KR101990141B1 - 파이프 연결구조체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141B1
KR101990141B1 KR1020170099734A KR20170099734A KR101990141B1 KR 101990141 B1 KR101990141 B1 KR 101990141B1 KR 1020170099734 A KR1020170099734 A KR 1020170099734A KR 20170099734 A KR20170099734 A KR 20170099734A KR 101990141 B1 KR101990141 B1 KR 101990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llow
packing material
seating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5920A (ko
Inventor
김영근
김대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윈테크
에스아이티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윈테크, 에스아이티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윈테크
Priority to KR1020170099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141B1/ko
Publication of KR20190015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08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one pipe en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being placed previously in the sleeve or socket
    • F16L47/1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one pipe en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being placed previously in the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being maintained in place by addition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용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구조에서 이탈방지링과 대응되는 단면 구조인 끼움홈과 연장면 및 경사면을 형성하여 패킹재를 가압 고정시키는 마개슬리브의 결합시 패킹재를 통해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이탈방지링이 변형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파이프의 연결배관의 중공 내 진입 과정에서 삽입편이 경사면과의 여유공간으로 휨 변형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파이프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좌,우측의 파이프가 내부에 진출입되도록 중공을 갖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양측 단부에 단차지도록 연장되며 상기 연결부의 내경 및 외경보다 더 큰 내경과 외경을 갖는 좌,우측 확관부를 갖는 연결배관과; 상기 좌,우측 확관부와 연결부의 단차진 부위의 내주면에 이탈방지링의 끼움편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좌,우측 확관부의 각각에 요홈지게 단턱된 구조로 형성된 끼움홈과; 상기 끼움홈의 내측 단부로부터 상기 좌,우측 확관부의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단부의 상,하모서리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연장면과; 상기 연장면의 단부로부터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측으로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과; 상기 끼움홈과 연장면 및 경사면의 단면 형태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좌,우측 확관부를 통해 내부로 진입되어 하측이 연장면의 상측에 각각 면접촉되도록 안착되며 상측에 패킹재가 면 접촉되도록 안착되는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의 일측 테두리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복수의 끼움편과, 상기 안착면의 타측 테두리부터 중공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파이프의 진입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며 상기 파이프의 중공 내 진입시 휘어지고 상기 파이프의 진입 후 인출시 파이프의 외주면으로 파고 들어가도록 탄성을 갖는 복수의 삽입편으로 구성되는 이탈방지링과;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과 상기 좌,우측 확관부의 내주면 사이를 밀폐하도록 상기 이탈방지링의 안착면에 면접촉되게 상기 좌,우측 확관부 내에 끼워지며, 내측면 테두리가 상기 연장면의 내측 테두리보다 더 중공의 중심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연장면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는 패킹재; 및 상기 좌,우측 확관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며 단부가 상기 패킹재에 접촉되어 패킹재를 상기 이탈방지링에 접촉시키는 마개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중공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띠 형태의 스톱퍼턱이 구비되며, 상기 이탈방지링은 안착면의 높이가 상기 연장면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며, 상기 연장면에 대한 상기 경사면의 경사각은 상기 삽입편이 상기 파이프의 중공 내 진입시 휘어질 수 있는 여유 공간을 갖도록 상기 안착면에 대한 삽입편의 경사각보다 더 큰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편의 길이는 상기 경사면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끼움편은 상기 파이프의 중공 내 진입시 외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끼움홈의 바닥면과 접촉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구조체{CONNECTING STRUCTURE FOR PIPE}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용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구조에서 이탈방지링과 대응되는 단면 구조인 끼움홈과 연장면 및 경사면을 형성하여 패킹재를 가압 고정시키는 마개슬리브의 결합시 패킹재를 통해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이탈방지링이 변형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파이프의 연결배관의 중공 내 진입 과정에서 삽입편이 경사면과의 여유공간으로 휨 변형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파이프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이나 기름과 같은 유체 또는 가스와 같은 기체를 이송하는데 파이프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파이프는 운반이나 취급상의 제약에 의해 일정 규격(길이)으로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다.
따라서, 파이프의 규격 길이보다 긴 구간을 시공한다든가 굽은 구간을 시공할 경우에는 파이프 연결 장치를 사용하거나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여 용접하여야만 한다.
한편, 합성수지 파이프(연질파이프 또는 경질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여러 종류의 파이프 연결구가 종래에 다수 제안되었다.
기존 파이프 연결구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9499호 "파이프 연결구"(등록일자 : 2014.09.0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유체가 통과하도록 유체통로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유체통로의 일단부에는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와 단차지는 확관부가 형성된 연결몸체와, 상기 확관부내에 삽입되어 상기 파이프와 확관부의 사이를 실링하는 패킹부재와, 상기 패킹부재와 상기 확관부의 바닥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이탈방지부 및 상기 패킹부재가 안착되는 패킹안착부를 일체로 구비하여 상기 파이프의 이탈 방지 및 패킹부재를 지지하는 이탈방지링과, 상기 연결몸체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내주면에는 상기 확관부내의 패킹부재를 압박하도록 압박부가 형성된 조임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탈방지링은, 상기 패킹부재가 안착되도록 평판형태로 형성되어 패킹부재를 지지하는 상기 패킹안착부와, 상기 패킹안착부의 외주면에 하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확관부의 바닥에 안착되는 지지부와, 상기 패킹안착부의 내주면에 하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직선부 및 상기 직선부의 끝단에 상기 파이프측으로 일정각도 절곡되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접촉하거나 파고 들어가는 이빨부를 구비한 상기 이탈방지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 경우에는 이탈방지링의 지지부 단부 테두리가 확관부의 내주면에 단턱진 부위에 수직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이탈방지링이 확관부에 지지되도록 접촉되는 부분이 지지부의 단부에 한정되므로, 이탈방지링이 연결관 내에서 끼워지고 패킹부재에 접촉된 후에 조임너트를 연결몸체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압박부가 패킹부재에 접촉되면서 패킹부재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외부에서 전달되는 압력이 패킹부재를 통해 이탈방지링의 패킹안착부에 전달됨에 따라 이탈방지링이 변형될 우려가 있으며, 이로 인해 절곡편이 파이프 내부로 침투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패킹부재에 충분한 가압력을 전달하지 못할 경우에는 파이프와의 기밀성이 저하되어 파이프를 통과하는 유체가 외부로 누설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기존 파이프 연결과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9723호 "파이프 연결구"(등록일자 : 2017.02.17)에 개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태의 중공으로 된 제1연결관과, 상기 제1연결관의 길이 방향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고 내경 및 외경이 제1연결관의 내경 및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되며 절곡 형성된 탄성 재질의 절곡편이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제1연결관과 인접한 내주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원통 형태의 중공으로 된 한 쌍의 제2연결관을 포함하는 연결 몸체; 및 상기 제2연결관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게 상기 제2연결관에 끼워지는 원통 형태의 중공으로 된 연결해제 부재;를 포함하며,상기 연결 해제 부재의 내경과 상기 제1연결관의 내경은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해제 부재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소정 폭의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관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돌기부의 폭 보다 넓은 폭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해제 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연결 해제 부재의 내측 단부의 외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도록 2단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관의 내주면은 상기 연결 해제 부재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절곡편의 일단부는 상기 제2연결관의 내주면에 수평으로 내설되며, 상기 절곡편의 타단부는 상기 제1연결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연결 해제 부재를 통해 삽입된 파이프를 탄성 지지하고, 상기 제2연결관에 끼워진 상기 연결 해제 부재를 상기 제1연결관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상기 연결 해제 부재의 상기 제1연결관에 인접한 내측 단부는 상기 파이프를 탄성 지지하는 상기 절곡편의 타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파이프와의 접촉 상태를 해제시키며, 상기 제2연결관에 끼워진 상기 연결 해제 부재를 상기 제1연결관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상기 연결 해제 부재의 내측 단부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절곡편의 타단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제2연결관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절곡편의 일단부가 제2연결관의 내주면에 내설되고 타단부가 파이프의 삽입시 파이프를 탄성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으며 연결해제부재를 이용하여 절곡편의 타단부와 파이프의 외주면의 접촉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으나, 앞에서 설명한 기존 선행기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9499호 "파이프 연결구"에서와 같이 파이프의 외주면으로 이빨부가 파고 들어가는 구성에 비해, 파이프와의 연결 지지력이 약하게 되어 파이프가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 파이프 연결구와 관련된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362781호 "파이프 연결구"(등록일자 : 2014.02.07)에 개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가 안착되도록 내주면에 제 1단턱이 형성된 소켓;과, 상기 소켓의 내주면으로 상기 제 1단턱 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제 2단턱에 안착되는 동심원 형상의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 안측에 중심부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다수 돌출되고 삽입방향으로 하향 경사져 소켓에 삽입되는 파이프 외주면을 그립시키는 그립편으로 구성되는 그립링;과, 상기 그립링 상부에 안착되어 삽입되는 파이프의 편심을 방지할 수 있도록 중심을 잡아주는 와셔;와, 상기 와셔의 상부에 안착되어 소켓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시일링;과, 상기 시일링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시일링을 가압하고, 상부에는 상기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다수의 절개편이 형성되는 조임부재; 및 상기 조임부재의 절개편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소켓에 나사 결합되는 캡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그립링은 플랜지는 표면적을 넓혀 휨과 변형에 따른 강도한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제 1만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와셔는 시일링과 그립링의 사이에 개재되어 그립링의 접촉에 의한 시일링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그립링의 제1만곡부 하측이 제2단턱에 접촉되도록 지지된 상태에서 와셔가 안착되는 과정에서 와셔의 연장테가 그립링의 그립편을 지지하여 그립편의 휨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임부재의 걸림후크가 파이프의 외주면을 교지하여 파이프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그립링과 시일링 사이에 와셔를 개재하여 그립링과 시일링의 접촉으로 인한 시일링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립링의 플랜지와 그립편에 각각 만곡부를 형성하여 표면적 증가로 인해 그립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고 있으나, 조임부재와 캡너트가 구비되어야 함과 아울러, 그립링을 지지하기 위해 연장테가 형성된 와셔가 더 구비되어야 하는 구성이 복잡하고 조립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와셔 및 절개편을 갖는 조임부재의 가공을 위한 제조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그립링의 플랜지와 그립편에 각각의 만곡부를 형성시키기 위한 가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소켓과 나사 체결된 캡너트가 나사 체결상태가 풀리게 될 우려가 있다.
기존 파이프 연결구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6467호 "파이프 연결구"(등록일자 : 2015.03.23)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유체가 통과하도록 유체통로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유체통로의 일단부에는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와 단차지는 확관부가 형성된 연결몸체와, 상기 확관부내에 삽입되어 상기 파이프와 확관부의 사이를 실링하는 패킹부재와, 상기 확관부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지지하여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링과, 상기 연결몸체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내주면에는 상기 확관부내로 삽입되어 상기 패킹부재를 압박하도록 압박부가 형성된 조임너트와, 상기 연결몸체와 조임너트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조임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상기 연결몸체의 확관부 끝단에 돌출되어 상기 조임너트의 압박부와 중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압박부와 마주하는 내주면에 톱니형상으로 복수개의 돌출면이 형성된 제1걸림부와, 상기 제1걸림부와 마주하는 상기 조임너트의 압박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부의 돌출면에 걸리는 제2걸림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걸림부는 반경방향으로 일정탄력을 갖도록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분할 형성되어 상기 제2걸림부에 일정탄력으로 접촉하며,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의 마주하는 면은 각각 상기 조임너트의 나사결합시 진행방향을 따라 내측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다.
이 경우에는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로 이루어진 풀림방지수단으로 조임너트의 나사 풀림을 예방할 수 있으나, 패킹안착부의 단부가 확관부의 내주면 단턱에 지지된 상태에서 패킹부재가 패킹안착부의 상측에 안착되므로, 이탈방지링이 수평상태로 확관부의 내주면 단턱에 진입되더라도 패킹재의 안착과정에서 외부 힘에 의해 수평이 아닌 상태로 틀어질 우려가 있으며, 조임너트의 압박부가 패킹부재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이탈방지링이 변형될 우려가 있다.
그런데, 기존 파이프 연결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탈방지링이 확관부에 지지되도록 접촉되는 부분이 지지부의 단부에 한정되므로, 이탈방지링이 연결관 내에서 끼워지고 패킹부재에 접촉된 후에 패킹부재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외부에서 전달되는 압력이 패킹부재를 통해 이탈방지링에 전달됨에 따라 이탈방지링이 변형될 우려가 있으며, 이로 인해 절곡편이 파이프 내부로 침투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패킹부재에 충분한 가압력을 전달하지 못할 경우에는 파이프와의 기밀성이 저하되어 파이프를 통과하는 유체가 외부로 누설될 우려가 있다.
또한, 기존 탄성재질의 절곡편은 길이가 길 경우에는 파이프의 인출시 파이프의 외주면과의 간섭으로 인해 파이프의 내부로 침투되어 견고한 연결력을 얻을 수 있는 반면에, 파이프의 진입과정에서 절곡편이 변형되는 부분이 커지게 되어 파이프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파이프의 외주면과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이와 반대로 탄성재질의 절곡편 길이를 줄이게 될 경우에는 파이프의 진입과정에서 변형될 가능성이 줄어들지만, 파이프의 인출시 파이프의 외주면과 간섭되면서 파이프의 외주면으로 침투되는 절곡편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어 충분한 연결력을 얻을 수 없게 되며, 파이프가 쉽게 외부로 분리될 우려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9499호 "파이프 연결구"(등록일자 : 2014.09.0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9723호 "파이프 연결구"(등록일자 : 2017.02.17)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362781호 "파이프 연결구"(등록일자 : 2014.02.07)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6467호 "파이프 연결구"(등록일자 : 2015.03.23)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연결배관과 이탈방지링의 구조를 개선하여 파이프가 진입된 후에 이탈이 방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패킹재의 가압과정에서 발생되는 이탈방지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파이프의 진입과정에서 삽입편이 중공의 내주면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이프의 인출과정에서 삽입편이 파이프의 외주면에 잘 박히도록 삽입편의 탄력성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파이프의 인출시 파이프 내부로 충분한 길이가 침투됨에 따라 견고한 파이프의 연결지지력을 얻을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파이프 연결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좌,우측의 파이프가 내부에 진출입되도록 중공을 갖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양측 단부에 단차지도록 연장되며 상기 연결부의 내경 및 외경보다 더 큰 내경과 외경을 갖는 좌,우측 확관부를 갖는 연결배관과; 상기 좌,우측 확관부와 연결부의 단차진 부위의 내주면에 이탈방지링의 끼움편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좌,우측 확관부의 각각에 요홈지게 단턱된 구조로 형성된 끼움홈과; 상기 끼움홈의 내측 단부로부터 상기 좌,우측 확관부의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단부의 상,하모서리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연장면과; 상기 연장면의 단부로부터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측으로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과; 상기 끼움홈과 연장면 및 경사면의 단면 형태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좌,우측 확관부를 통해 내부로 진입되어 하측이 연장면의 상측에 각각 면접촉되도록 안착되며 상측에 패킹재가 면 접촉되도록 안착되는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의 일측 테두리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복수의 끼움편과, 상기 안착면의 타측 테두리부터 중공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파이프의 진입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며 상기 파이프의 중공 내 진입시 휘어지고 상기 파이프의 진입 후 인출시 파이프의 외주면으로 파고 들어가도록 탄성을 갖는 복수의 삽입편으로 구성되는 이탈방지링과;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과 상기 좌,우측 확관부의 내주면 사이를 밀폐하도록 상기 이탈방지링의 안착면에 면접촉되게 상기 좌,우측 확관부 내에 끼워지며, 내측면 테두리가 상기 연장면의 내측 테두리보다 더 중공의 중심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연장면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는 패킹재; 및 상기 좌,우측 확관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며 단부가 상기 패킹재에 접촉되어 패킹재를 상기 이탈방지링에 접촉시키는 마개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링은 안착면의 높이가 상기 연장면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며, 상기 연장면에 대한 상기 경사면의 경사각은 상기 삽입편이 상기 파이프의 중공 내 진입시 휘어질 수 있는 여유 공간을 갖도록 상기 안착면에 대한 삽입편의 경사각보다 더 큰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편의 길이는 상기 경사면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끼움편은 상기 파이프의 중공 내 진입시 외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끼움홈의 바닥면과 접촉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는 중공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띠 형태의 스톱퍼턱이 더 구비된 것이다.
상기 삽입편은 상기 안착면의 테두리로부터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마개슬리브의 외주면과 상기 좌,우측 확관부의 내주면이 접착제로 접착된다.
상기 패킹재는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O링인 것이다.
상기 패킹재는 상기 안착면과 면접촉되는 부위에서 외측 테두리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하측면에 경사진 경사돌부가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이탈방지링의 단면구조와 대응되도록 좌,우측 확관부와 연결부의 단차진 부위에 끼움홈과 연장면 및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탈방지링의 안착면이 연장면에 면접촉되도록 안착됨에 따라 마개슬리브의 결합과정에서 패킹재에 외부 가압력이 전달되더라도 이탈방지링의 변형을 억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이프의 진입시나 인출시 이탈방지링의 삽입편과 간섭되는 중에 전달되는 하중을 연장면이나 패킹재측으로 분산시켜 휨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경사면의 경사각은 삽입편이 파이프의 중공 내 진입시 휘어질 수 있는 여유 공간을 갖도록 상기 안착면에 대한 삽입편의 경사각보다 더 큰 각도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파이프의 진입과정에서 삽입편이 중공의 내주면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이프의 인출과정에서 파이프의 외주면에 잘 박히도록 삽입편의 탄력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마개슬리브의 외주면과 상기 좌,우측 확관부의 내주면이 접착제로 접착되므로, 기존 선행기술에서 조임너트가 풀리거나 조림너트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풀림방지수단을 구비해야 하는 반면에, 본 발명은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용 파이프에 적용할 수 있도록 마개슬리브가 조립된 후에 간편하게 접착시켜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이탈방지링의 끼움편이 끼움홈의 바닥에 접촉될 정도의 길이를 갖고 있으므로, 파이프의 인출시 이탈방지링에 전달되는 압력에 대해 충분한 지지력을 가지며 하중이 분산되어 변형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의 패킹재는 안착면과 면접촉되는 부위에서 외측 테두리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하측면에 경사진 경사돌부가 형성된 경우, 이탈방지링의 끼움편 외측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어 파이프의 인출시 끼움편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 이탈방지링의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배관에 파이프가 진입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연결배관의 중공 내에 파이프가 인출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a와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 파이프의 중공 진입 전,후 및 인출동작시 삽입편의 동작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패킹재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 패킹재의 다른 변형예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조체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좌,우측의 파이프(50)가 내부에 진출입되도록 중공(105)을 갖는 연결부(110)와, 상기 연결부(110)의 양측 단부에 단차지도록 연장되며 상기 연결부(110)의 내경 및 외경보다 더 큰 내경과 외경을 갖는 좌,우측 확관부(120,130)를 갖는 연결배관(100)과; 상기 좌,우측 확관부(120,130)와 연결부(110)의 단차진 부위의 내주면에 이탈방지링(300)의 끼움편(320)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좌,우측 확관부(120,130)의 각각에 요홈지게 단턱된 구조로 형성된 끼움홈(210)과; 상기 끼움홈(210)의 내측 단부로부터 상기 좌,우측 확관부(120,130)의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단부의 상,하모서리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연장면(220)과; 상기 연장면(220)의 단부로부터 상기 연결부(110)의 내주면측으로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230)과; 상기 끼움홈(210)과 연장면(220) 및 경사면(230)의 단면 형태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좌,우측 확관부(120,130)를 통해 내부로 진입되어 하측이 연장면(220)의 상측에 각각 면접촉되도록 안착되며 상측에 패킹재(400)가 면 접촉되도록 안착되는 안착면(310)과, 상기 안착면(310)의 일측 테두리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끼움홈(210)에 끼워지는 복수의 끼움편(320)과, 상기 안착면(310)의 타측 테두리부터 중공(105)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파이프(50)의 진입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며 상기 파이프(50)의 중공(105) 내 진입시 휘어지고 상기 파이프(50)의 진입 후 인출시 파이프(50)의 외주면으로 파고 들어가도록 탄성을 갖는 복수의 삽입편(330)으로 구성되는 이탈방지링(300)과; 상기 파이프(50)의 외주면과 상기 좌,우측 확관부(120,130)의 내주면 사이를 밀폐하도록 상기 이탈방지링(300)의 안착면(310)에 면접촉되게 상기 좌,우측 확관부(120,130) 내에 끼워지며, 내측면 테두리가 상기 연장면(220)의 내측 테두리보다 더 중공(105)의 중심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연장면(220)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는 패킹재(400); 및 상기 좌,우측 확관부(120,130)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며 단부가 상기 패킹재(400)에 접촉되어 패킹재(400)를 상기 이탈방지링(300)에 접촉시키는 마개슬리브(500);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연결배관(100)은 연결부(110)가 중공(105)을 갖는 원통형 배관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10)의 양측 단부에 단차지도록 연장되며, 상기 연결부(110)의 좌,우 양측 단부에 연결부(110)의 외경과 중공(105)의 내경[연결부(110)의 내경]보다 더 큰 내경과 외경을 가지며, 파이프(50)가 진출입되도록 연통된 좌,우측 확관부(120,130)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상기 좌,우측 확관부(120,130)는 연결부(110)의 양측 단부로부터 단차진 구조로 형성되며, 단차진 부위의 내주면에 끼움홈(210)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홈(210)은 상기 이탈방지링(300)의 끼움편(320)이 진입되어 수용되도록 파이프(50)의 진입방향으로 요홈을 갖도록 단턱진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면(220)은 상기 끼움홈(210)의 내측 단부로부터 중공(105) 측으로 수평방향[상기 좌,우측 확관부(120,130)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210)과 연결되는 일측 부위인 연장면(220)의 단부 상측 모서리부분과 상기 경사면(230)과 연결되는 타측 부위인 연장면(220)의 단부 하측 모서리부분은 파이프(50) 진입 및 인출시 발생되는 이탈방지링(300)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면(230)은 연장면(220)의 내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중공(105)의 내주면까지 연결되며, 파이프(50)의 진입방향[상기 연장면(220)의 단부로부터 상기 연결부(110)의 내주면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링(300)은 상기 끼움홈(210)과 연장면(220) 및 경사면(230)으로 연결되는 단면 형태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지며, 이를 위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이 연장면(220)의 상측(단부면)에 각각 면접촉되도록 안착되며 타측면에 패킹재(400)가 면 접촉되도록 안착되는 안착면(310)과, 상기 안착면(310)의 일측 테두리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끼움홈(210)에 끼워지는 복수의 끼움편(320)과, 상기 안착면(310)의 타측 테두리부터 중공(105)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파이프(50)의 진입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며 중공(105) 내에 상기 파이프(50)의 진입시 휘어지고 파이프(50)의 진입 후 인출시 파이프(50)의 외주면으로 파고 들어가도록 탄성을 갖는 복수의 삽입편(3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링(300)은 상기 끼움편(320)이 안착면(310)의 일측 테두리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끼움편(320)의 길이는 상기 삽입편(33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게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끼움홈(210) 내에 용이하게 진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면(310)의 높이(H2)는 상기 연장면(220)의 높이(H1)보다 더 높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이탈방지링(300)의 안착면(310)은 상기 연장면(220)의 단부면에 면접촉되도록 원형 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편(320)과 삽입편(330)을 연결하며, 마개슬리브(500)의 결합시 패킹재(400)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을 하측의 연장면(220)으로 분산시켜 이탈방지링(300)의 변형을 억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삽입편(330)은 도 3에 고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면(310)의 타측 테두리로부터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상기 삽입편(330)의 길이(L2)가 상기 경사면(230)의 길이(L1)보다 더 길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삽입편(330)의 폭 변화로 인해 파이프(50)의 외주면으로 파고 들어가는 것이 유리해지고, 삽입편(330)의 단부가 경사면(230)보다 더 내측으로 돌출되어 파이프(50)의 외주면으로 파고 들어가는 단부 길이가 충분한 길이로 삽입됨에 따라 파이프(50)의 연결 지지력이 견고해지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끼움편(320)은 상기 끼움홈(210) 내에 삽입되고 단부가 끼움홈(210)의 바닥과 접촉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파이프(50)의 인출과정에서 파이프(50)로부터 이탈방지링(300)에 전달되는 파이프(50)의 인출력이 패킹재(400)에 의해 지지되는 안착면(310)을 통해 분산됨과 아울러, 끼움홈(210)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끼움편(320)을 통해 하중이 분산되어 이탈방지링(300)의 변형을 억제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이탈방지링(300)이 좌,우측 확관부(120,130)를 통해 연결배관(100)의 내부로 진입되면, 이탈방지링(300)의 끼움편(320)이 끼움홈(210) 내에 진입되고 안착면(310)이 연장면(220)에 면접촉되며, 삽입편(330)이 중공(105)을 향해 파이프(50)의 진입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결합된다.
이때, 패킹재(400)는 파이프(50)의 외주면과 상기 좌,우측확관부(120,130)의 내주면 사이를 밀폐토록 중앙에 파이프(50)가 끼워지도록 중앙에 통공(405)이 형성된 O링 구조로서, 상기 패킹재(400)는 이탈방지링(300)의 안착면(310)에 면 접촉되도록 좌,우측 확관부(120,130)의 내부로 끼워지며, 추후 결합과정에서 마개슬리브(500)의 일단부가 좌,우측 확관부(120,130)의 내부로 진입됨에 따라 이탈방지링(300)의 안착면(310)에 밀착되면서 가압력이 전달되어 이탈방지링(300)의 안착면(310)을 가압하게 된다.
또한, 패킹재(400)는 내측면 테두리가 상기 연장면(220)의 내측 테두리보다 더 중공(105)의 중심측으로 돌출되어 파이프(50)의 진입시 파이프(50)의 외주면에 끼워지도록 상기 연장면(220)의 폭보다 더 큰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마개슬리브(500)는 일단부가 좌,우측 확관부(120,130)의 내부로 진입되고 타단부 측에 좌,우측 확관부(120,130)의 단부 테두리에 걸려 진입이 제한되도록 플랜지가 형성된 원통형 배관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좌,우측 확관부(120,130) 내주면과 마개슬리브(500)의 일단부 외측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550)가 도포되어 좌,우측 확관부(120,130)의 내주면에 접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접착제(550)는 좌,우측 확관부(120,130)의 내주면에 도포되거나, 마개슬리브(500)의 일단부 외측면에 도포되거나, 혹은 좌,우측 확관부(120,130)의 내주면과 마개슬리브(500)의 일단부 외측면 양측에 접착제(550)가 도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마개슬리브(500)가 접착제(550)에 의해 좌,우측 확관부(120,130)의 내주면과 일체로 접착됨에 따라 마개슬리브(500)의 외부 이탈이 방지되고 패킹재(400)와 이탈방지링(300)의 외부 이탈 및 유동을 억제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파이프(50)는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용 파이프를 채용함으로써, 파이프(50)가 연결되도록 한번 조립된 후에는 분해할 필요가 없으므로 접착제(550)를 이용하여 기존 선행기술에서 조임너트의 풀림방지를 위한 풀림방지수단을 구비할 필요없이 접착제(550)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마개슬리브(50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미설명부호 "115"는 연결부(110)의 중공(105) 내주면 둘레를 따라 띠 형태로 돌출되어 좌,우측 확관부(120,130)를 통해 진입되는 파이프(50)의 진입 거리를 제한하는 스톱퍼턱(115)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링(300)의 안착면(310)이 연장면(220)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끼움편(320)이 끼움홈(210) 내에 진입되고 삽입편(330)이 경사면(230)으로부터 이격된 각도로 중공(105)을 향해 경사진 자유단이 된다.
이때, 상기 연장면(220)에 대한 경사면(230)의 경사각(θ1)은 상기 안착면(310)에 대한 삽입편(330)의 경사각(θ2)보다 더 큰 각도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삽입편(330)이 경사면(230)으로부터 이격되어 여유 간극이 형성된다.
상기 여유 간극은 중공(105) 내에 상기 파이프(50)가 진입할 때 삽입편(330)이 휘어질 수 있는 여유 공간이 된다.
이후에, 패킹재(400)를 좌,우측 확관부(120,130)를 통해 각각의 이탈방지링(300)의 안착면(310) 외측에 접촉되도록 끼움 결합시킨다.
상기 접착제(550)를 이용하여 마개슬리브(500)의 일단부를 좌,우측 확관부의 내주면에 접착시키는 과정에서 마개슬리브(500)의 일단부 테두리가 패킹재(400)를 가압하면서 이탈방지링(300)의 안착면(310)을 연장면(220)에 밀착시키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도 6a에서와 같이 이탈방지링(300)의 안착면(310)이 연장면(220)에 면 접촉되어 있으므로, 기존 선행기술에서 패킹재(400)를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외부 가압력이 이탈방지링(300)에 전달되어 이탈방지링(300)이 변형되는 것에 반해, 본 발명은 마개슬리브(500)의 결합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압력이 패킹재(400)를 통해 이탈방지링(300)에 전달되더라도 외부 가압력이 안착면(310)을 통해 연장면(220)측으로 분산되어 이탈방지링(3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사면(230)의 경사각(θ1)과 삽입편(330)의 경사각(θ2)의 각도 편차로 인해 삽입편(330)이 경사면(23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후에, 좌,우측 확관부의 내부를 통해 연결부(110)의 중공(105) 내부로 파이프(50)를 각각 진입시키면, 도 4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50)의 진입과정에서 파이프(50)의 외주면이 자유단인 삽입편(330)과 간섭되면서 삽입편(330)이 휘어지고 이탈방지링(300)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탈방지링(300)의 끼움편(320)이 끼움홈(210)의 내측면과 접촉되면서 지지되며, 이후에 도 5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50)를 외측으로 인출시키면, 외측으로 인출되는 파이프(50)의 외주면에 대해 역방향으로 경사진 삽입편(330)이 파이프(50)의 외주면에 파고 들어가 박히게 되어 파이프(50)의 외측 인출을 방지하도록 연결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패킹재의 다른 변형 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앞서 설명한 선 실시예와는 달리, 중앙에 형성된 통공(405)의 테두리가 안착면(310)과 면접촉되고, 안착면(310)이 면접촉되는 부위에서 외측 테두리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하측면[끼움홈(210)측 방향면]에 경사진 경사돌부(410)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경사돌부(410)는 패킹재(400)의 통공(405) 내주면 두께보다 외측면 둘레 테두리의 두께가 더 크게 형성되도록 경사진 구조를 갖는다.
또한, 경사돌부(410)는 하측면이 이탈방지링(300)의 끼움편(320)의 경사각과 대응되는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경우, 이탈방지링(300)의 끼움편(320) 외측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어 파이프(50)의 인출시 끼움편(32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탈방지링(300)의 안착면(310)과 끼움편(320) 및 삽입편(330)의 단면구조와 대응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좌,우측 확관부와 연결부(110)의 단차진 부위에 끼움홈(210)과 연장면(220) 및 경사면(23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탈방지링(300)의 안착면(310)이 연장면(220)에 면접촉되도록 안착됨에 따라 마개슬리브(500)의 결합과정에서 패킹재(400)에 외부 가압력이 전달되더라도 이탈방지링(300)의 변형을 억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이프(50)의 진입시나 인출시 이탈방지링(300)의 삽입편(330)과 간섭되는 중에 전달되는 하중을 연장면(220)이나 패킹재(400)측으로 분산시켜 휨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경사면(230)의 경사각(θ1)은 상기 삽입편(330)이 상기 파이프(50)의 중공(105) 내 진입시 휘어질 수 있는 여유 공간을 갖도록 상기 안착면(310)에 대한 삽입편(330)의 경사각(θ2)보다 더 큰 각도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파이프(50)의 진입과정에서 삽입편(330)이 중공(105)의 내주면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이프(50)의 인출과정에서 파이프(50)의 외주면에 잘 박히도록 삽입편(330)의 탄력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마개슬리브(500)의 외주면과 상기 좌,우측 확관부(120,130)의 내주면이 접착제(550)로 접착되므로, 기존 선행기술에서 조임너트가 풀리거나 조림너트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풀림방지수단을 구비해야 하는 반면에, 본 발명은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용 파이프에 적용할 수 있도록 마개슬리브(500)가 조립된 후에 간편하게 접착시켜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이탈방지링(300)의 끼움편(320)이 끼움홈(210)의 바닥에 접촉될 정도의 길이를 갖고 있으므로, 파이프(50)의 인출시 이탈방지링(300)에 전달되는 압력에 대해 충분한 지지력을 가지며 하중이 분산되어 변형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의 패킹재(400)는 안착면(310)과 면접촉되는 부위에서 외측 테두리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하측면에 경사진 경사돌부(410)가 형성된 경우, 이탈방지링(300)의 끼움편(320) 외측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어 파이프(50)의 인출시 끼움편(32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50 : 파이프 100 : 연결배관
105 : 중공 110 : 연결부
120,130 : 좌,우측 확관부 210 : 끼움홈
220 : 연장면 230 : 경사면
300 : 이탈방지링 310 : 안착면
320 : 끼움편 330 : 삽입편
400 : 패킹재 405 : 통공
410 : 경사돌부 500 : 마개슬리브
550 : 접착제

Claims (6)

  1. 좌,우측의 파이프(50)가 내부에 진출입되도록 중공(105)을 갖는 연결부(110)와, 상기 연결부(110)의 양측 단부에 단차지도록 연장되며 상기 연결부(110)의 내경 및 외경보다 더 큰 내경과 외경을 갖는 좌,우측 확관부(120,130)를 갖는 연결배관(100)과;
    상기 좌,우측 확관부(120,130)와 연결부(110)의 단차진 부위의 내주면에 이탈방지링(300)의 끼움편(320)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좌,우측 확관부(120,130)의 각각에 요홈지게 단턱된 구조로 형성된 끼움홈(210)과;
    상기 끼움홈(210)의 내측 단부로부터 상기 좌,우측 확관부(120,130)의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단부의 상,하모서리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연장면(220)과;
    상기 연장면(220)의 단부로부터 상기 연결부(110)의 내주면측으로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230)과;
    상기 끼움홈(210)과 연장면(220) 및 경사면(230)의 단면 형태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좌,우측 확관부(120,130)를 통해 내부로 진입되어 하측이 연장면(220)의 상측에 각각 면접촉되도록 안착되며 상측에 패킹재(400)가 면 접촉되도록 안착되는 안착면(310)과, 상기 안착면(310)의 일측 테두리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끼움홈(210)에 끼워지는 복수의 끼움편(320)과, 상기 안착면(310)의 타측 테두리부터 중공(105)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파이프(50)의 진입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며 상기 파이프(50)의 중공(105) 내 진입시 휘어지고 상기 파이프(50)의 진입 후 인출시 파이프(50)의 외주면으로 파고 들어가도록 탄성을 갖는 복수의 삽입편(330)으로 구성되는 이탈방지링(300)과;
    상기 파이프(50)의 외주면과 상기 좌,우측 확관부(120,130)의 내주면 사이를 밀폐하도록 상기 이탈방지링(300)의 안착면(310)에 면접촉되게 상기 좌,우측 확관부(120,130) 내에 끼워지며, 내측면 테두리가 상기 연장면(220)의 내측 테두리보다 더 중공(105)의 중심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연장면(220)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는 패킹재(400); 및
    상기 좌,우측 확관부(120,130)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며 단부가 상기 패킹재(400)에 접촉되어 패킹재(400)를 상기 이탈방지링(300)에 접촉시키는 마개슬리브(50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110)는 중공(105)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띠 형태의 스톱퍼턱(115)이 구비되며,
    상기 이탈방지링(300)은 안착면(310)의 높이(H2)가 상기 연장면(220)의 높이(H1)보다 더 높게 형성되며, 상기 연장면(220)에 대한 상기 경사면(230)의 경사각(θ1)은 상기 삽입편(330)이 상기 파이프(50)의 중공(105) 내 진입시 휘어질 수 있는 여유 공간을 갖도록 상기 안착면(310)에 대한 삽입편(330)의 경사각(θ2)보다 더 큰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편(330)의 길이(L2)는 상기 경사면(230)의 길이(L1)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끼움편(320)은 상기 파이프(50)의 중공(105) 내 진입시 외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끼움홈(210)의 바닥면과 접촉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조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편(330)은 상기 안착면(310)의 테두리로부터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개슬리브(500)의 외주면과 상기 좌,우측 확관부(120,130)의 내주면이 접착제(550)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킹재(400)는 중앙에 통공(405)이 형성된 O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조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킹재(400)는 상기 안착면(310)과 면접촉되는 부위에서 외측 테두리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하측면에 경사진 경사돌부(4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조체.
KR1020170099734A 2017-08-07 2017-08-07 파이프 연결구조체 KR101990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734A KR101990141B1 (ko) 2017-08-07 2017-08-07 파이프 연결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734A KR101990141B1 (ko) 2017-08-07 2017-08-07 파이프 연결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920A KR20190015920A (ko) 2019-02-15
KR101990141B1 true KR101990141B1 (ko) 2019-06-19

Family

ID=65367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734A KR101990141B1 (ko) 2017-08-07 2017-08-07 파이프 연결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1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968B1 (ko) * 2015-07-30 2016-06-02 고득출 파이프 연결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2967A (ko) * 2011-11-14 2013-05-23 박강훈 파이프 연결구
KR101362781B1 (ko) 2011-12-26 2014-02-13 주식회사 새롬테크 파이프 연결구
KR101439499B1 (ko) 2012-01-26 2014-09-12 박강훈 파이프 연결구
KR101506467B1 (ko) 2013-01-11 2015-03-27 박강훈 파이프 연결구
KR101709723B1 (ko) 2016-10-07 2017-02-24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파이프 연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968B1 (ko) * 2015-07-30 2016-06-02 고득출 파이프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920A (ko) 2019-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81139B (zh) 用於接合管元件之聯結器
JP4788696B2 (ja) ホースと管のためのプラグ型の結合装置
US7431343B2 (en) Joint structure for quickly connecting corrugated pipe
US6334634B1 (en) Push-to-connect tubing fitting
KR101486192B1 (ko) 기밀성과 정렬성능 향상한 플랜지 배관 연결용 가스켓
TWI628386B (zh) 管子接頭、脫離防止構件、及管子接合方法
JPS6311555B2 (ko)
US6517117B1 (en) Through wall connector for a reservoir
KR101977210B1 (ko) 신축 가능한 파이프 연결구조체
KR101990141B1 (ko) 파이프 연결구조체
KR102053283B1 (ko) 파이프 연결구
KR200424245Y1 (ko) 주름관 연결구의 기밀고정장치
KR101854531B1 (ko) 분기장치
KR20130074394A (ko) 파이프 연결구
KR20140044347A (ko)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
US6899354B2 (en) Pipe joining assembly
US20220349505A1 (en) Pipe coupling
JP6735124B2 (ja) 管継手および離脱防止部材
KR101857027B1 (ko) 스프링밴드 밀폐형 원터치 배관 커플러
KR20180076991A (ko) 기밀 보강 구조를 가지는 횡주관의 연결장치
CN113074285A (zh) 一种软管连接组件和软管对接装置
US10948114B2 (en) Connector for fluidic connection between two hoses or the like and arrangement associated
JPS6114790Y2 (ko)
KR101586171B1 (ko) 배관연결구
JP3278563B2 (ja) 離脱防止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