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62919A1 - 코어확산성능이 향상된 코어캐쳐 - Google Patents

코어확산성능이 향상된 코어캐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62919A1
WO2018062919A1 PCT/KR2017/010879 KR2017010879W WO2018062919A1 WO 2018062919 A1 WO2018062919 A1 WO 2018062919A1 KR 2017010879 W KR2017010879 W KR 2017010879W WO 2018062919 A1 WO2018062919 A1 WO 201806291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re
melt
catcher
cooling
core catc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087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문호림
하희운
강상희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806291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6291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9/00Emergency protection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reactor, e.g. safety valves provided with pressure equalisation devices
    • G21C9/016Core catch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e catcher having improved core diffusion performance.
  • the core melt may be released into the reactor cavity through the breakdown of the reactor pressure vessel.
  • the core melt refers to a high-temperature molten material in which enriched uranium, which is a nuclear fuel of the reactor core installed inside the reactor pressure vessel, zirconium used as a coating material, and a plurality of materials in the reactor pressure vessel are mixed.
  • the core melt generates heat by the collapse of the fission product therein.
  • the level of decay heat gradually decreases with time elapsed after the reactor stops, and the heat of decay after 1 hour of reactor shutdown is approximately 1% of the reactor's rated heat output.
  • the core melt discharged in the event of a serious accident of a nuclear power plant is not cooled properly, the high temperature core melt reacts with the concrete in the bottom of the reactor building to melt and erode the floor while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non-condensable gas. There is a risk of seriously polluting the environment by causing breakage of the building pressure retention structure and the release of radioactive material to the outside.
  • a typical facility is a core catcher that collects, holds and cools the core melt in the reactor cavity.
  • the core catcher of the related art does not have sufficient core melt diffusion and thus has a limitation in safely cooling the core mel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re catcher with improved core diffusion performanc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re catcher located in the bottom of the core to cool the core melt, the first structure forming a first receiving space; And a cooling structure having at least two or more floor portions located within the first structure and projecting towards the core and having a valley portion between the floor portions.
  • the cooling structure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valley portion corresponds to the core.
  • the vertices of the floor portion may be elongated and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 the height of the floor portion may be lowered away from the core.
  • the cooling structure is elongated, and the height of the floor portion may be lowered away from the core.
  • the bottom of the first structure may have a concave-convex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floor portion and the valley portion.
  • the first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tructure surrounding the first structure and forming a cooling water accommodating space therebetwee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re catcher located in the bottom of the core to cool the core melt, the first structure forming a first receiving space; A cooling structure located within the first structure and having at least two melt receiving spaces in which the core melt can be located upon dropping of the core melt, wherein the melt receiving spac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re lower than the surroundings. By having a height.
  • the melt receiving space may be extended and arranged side by side.
  • the cooling structure may be disposed such that any one of the melt receiving spaces corresponds to the core.
  • the cooling structure is elongated, and the height of the melt receiving space may be lowered away from the core.
  • the bottom of the first structure may have a concave-convex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melt receiving space.
  • the first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tructure surrounding the first structure and forming a cooling water accommodating space therebetween.
  • a core catcher having improved core diffusion performance is provid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re catch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 of FIG. 1;
  • 4A to 4C are views showing diffusion of the core melt in the core catch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core catch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core catch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 to 4 (a to c).
  •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re catch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1
  • FIG. 4. Is a view showing the diffusion of the core melt in the core catch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2, and 4a to 4c, the second structure is not shown, and the core is also shown in FIG.
  • the core catcher 10 includes a first structure 110, a cooling structure 120, and a second structure 130.
  • the first structure 110 may be made of concrete or the like, and has a rectangular box shape with an open top.
  • the first structure 110 forms an accommodation space, and the cooling structure 120 is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 the cooling structure 120 has a wave shape of the upper surface as a whole and the floor and the valley are repeated.
  • the apex of the floor extends long and is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the valley between the floors is also formed to a certain depth.
  • the bone part forms a core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core melt is accommodated during a serious accident.
  • the cooling structure 120 may be formed of a single lay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oling structure 120 may be made of a ceramic high heat refractory material (for example, zirconia) or a metal having a high melting point (about 2000 ° C. or more).
  • a metal having a high melting point an alloy of tungsten and iron may be used.
  • the cooling structure 12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having different melting points, and the cooling water may be located or flow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ayers.
  • the upper layer and the lower layer may have different melting points, and the upper layer may have a higher melting point than the lower layer.
  • the second structure 130 surrounds the first structure 110, and a cooling water accommodating space in which the cooling water can be accommodated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tructure 110 and the second structure 130.
  • the core catcher 10 includes a structure such as a column connected to both the second structure 130 and the first structure 110 to support a positional relationship therebetween.
  • the water source of the cooling water used in the core catcher 10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n containment recharging tank (IRWST).
  • the core 20 is located above the core catcher 10, and the core catcher 10 is disposed so that the bone portion is located in correspondence to the point at which the core 20 melts and the core melt falls during a serious accident.
  • the core melt dropped as shown in FIG. 4 (a) falls to the bone portion at the center of the cooling structure 120, and cooling is started through contact with the bone portion. Since the core melt with cooling as shown in Figure 4 (b) moves beyond the floor portion to the adjacent bone portion. At this time, the core melt located in the central valley is continuously cooled. 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cooling structure 120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core melt is deformed while melting. Some core melts abut sidewalls of the first structure 110.
  • FIG. 4 (c)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oling of the core melt is completed.
  • the surface of the cooling structure 120 is melted and deformed by contact with the core melt, so that the valley portion and the floor portion are unclear, and the surface is a mixture of the core melt and the cooling structure 120.
  • the core melt is diffused without being concentrated on a specific portion of the cooling structure 120, thereby allowing even cooling.
  • the core melt is efficiently cooled because the core melt is dispersed and cooled in the plurality of bone portions.
  • the core melt is dispersed at a specific point by the dispersion, and the height is increased. The height of the core melts in contact with the core, thereby preventing the core melt from falling down.
  • the core melt in contact with the first structure 110 is further cooled by cooling water located between the first structure 110 and the second structure 130.
  • the diffusion of the core melt is improved to allow uniform and rapid cooling, and the cooling stability is improved by the second structure 130.
  • a core catch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tructure 110 is formed of the unevenness 111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ooling structure 120.
  • a core catch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the cooling structure 120 has a high height of the floor portion at the center, that i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re 20, and the height of the floor portion is lowered away from the core. Thereby, the core melt dropped to the cooling structure 120 is easily moved to the surrounding valley part.
  • a core catch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the first structure 110 is elongated, and thus the cooling structure 120 is also elongated. Therefore, in the fourth embodiment, more bone portions are formed than in the first embodiment.
  • the core melt may fall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A).
  • the diffusion area of the core melt is increased to improve the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the core melt.
  • the core melt may fall in response to either of the positions B and C of the apex.
  • a core catch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 the first structure 110 is elongated, and thus the cooling structure 120 is also elongated.
  • the cooling structure 120 is formed to reduce the height of the floor portion toward one direction. Therefore, in the fifth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bone portion also decreases toward one direction.
  • the core melt falls to one end (B) where the ridge is formed high and diffuses to the center (A) and the other end (C).
  • the height of the floor portion is reduced along the diffusion direction of the core melt,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diffusion of the core melt.
  • the width of the cooling structure 120 may decrease toward one direction, and thus, the width of the first structure 110 may also change.
  • the depth of the bone portion may decrease in one direction.
  • a core catch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 the surface of the cooling structure 120 is formed by repeating the valleys and the floor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the vertices of the valleys are arranged in a pattern in the form of dots.
  • the height / depth and placement of the valleys and floors may var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tructure Of Emergency Protection For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확산성능이 향상된 코어캐쳐에 관한 것으로, 노심 하부에 위치하며 노심용융물을 냉각시키는 코어캐쳐에 있어서, 제1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구조물과; 상기 제1구조물 내에 위치하며 상기 노심을 향하고 돌출되어 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마루 부분과 상기 마루 부분 사이의 골 부분을 가지는 냉각구조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어확산성능이 향상된 코어캐쳐
본 발명은 코어확산성능이 향상된 코어캐쳐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에서 중대사고 발생 시 노심용융물(코어)이 원자로 압력용기의 파손부를 통해 원자로 하부공동으로 방출될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노심용융물이란 원자로 압력용기 내부에 설치되는 원자로 노심의 핵연료인 농축우라늄과, 피복재로 사용되는 지르코늄 및 원자로 압력용기 내부 다수의 물질들이 혼합된 고온의 용융물질을 말한다.
노심용융물은 그 내부의 핵분열 생성물의 붕괴로 열을 발생시킨다. 붕괴열의 수준은 원자로 정지 후 경과 시간에 따라 점차 감소되며, 원자로 정지 1시간 후의 붕괴열은 원자로 정격 열출력의 약 1%수준이다.
따라서 원자력발전소의 중대사고 발생 시 배출된 노심용융물이 적절히 냉각되지 않으면 결국 고온의 노심용융물은 원자로 건물 하부공동 바닥 콘크리트와 반응하여 다량이 비응축성 가스를 발생시키면서 바닥을 용융 침식시키게 되며, 최종적으로 원자로건물 압력 유지 구조물의 파손을 야기시켜 방사능 물질이 외부로 누출됨으로써 환경을 심각하게 오염시킬 위험이 있다.
이상과 같은 원자력발전소의 중대사고시 원자로 건물 건전성 상실에 대처하기 위해 노심용융물과 원자로건물 하부공동 바닥 콘크리트가 직접 반응하지 않도록 노심용융물을 보유 및 냉각하는 여러 가지 대응책이 연구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설비로서 원자로건물 하부공동에서 노심용융물을 수집, 보유 및 냉각수 공급을 통해 냉각하는 코어캐쳐가 있다.
그러나 종래 코어캐쳐는 노심용융물 확산이 충분하지 않아 노심용융물을 안전하게 냉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어확산성능이 향상된 코어캐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노심 하부에 위치하며 노심용융물을 냉각시키는 코어캐쳐에 있어서, 제1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구조물과; 상기 제1구조물 내에 위치하며 상기 노심을 향하고 돌출되어 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마루 부분과 상기 마루 부분 사이의 골 부분을 가지는 냉각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냉각구조체는 상기 골 부분이 상기 노심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마루부분의 정점부는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마루부분의 높이는 상기 노심에서 멀어질수록 낮아질 수 있다.
상기 냉각구조체는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마루부분의 높이는 상기 노심에서 멀어질수록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제1구조물의 바닥은 상기 마루부분 및 상기 골부분에 대응하는 요철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구조물을 감싸고 있으며, 상기 제1구조물과의 사이에 냉각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노심 하부에 위치하며 노심용융물을 냉각시키는 코어캐쳐에 있어서, 제1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구조물과; 상기 제1구조물 내에 위치하며 상기 노심용융물의 낙하 시에 상기 노심용융물이 위치할 수 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용융물 수용공간을 가지는 냉각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용융물 수용공간은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주변에 비하여 낮은 높이를 가지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용융물 수용공간은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나란히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냉각구조체는 상기 용융물 수용공간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노심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냉각구조체는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용융물 수용공간의 높이는 상기 노심에서 멀어질수록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제1구조물의 바닥은 상기 용융물 수용공간에 대응하는 요철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구조물을 감싸고 있으며, 상기 제1구조물과의 사이에 냉각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어확산성능이 향상된 코어캐쳐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I-III'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에서 노심용융물의 확산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각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크기와 간격 등이 실제와 달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a 내지 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어캐쳐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I-III'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에서 노심용융물의 확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 2 및 도 4a 내지 도 4c에서는 제2구조물 도시를 생략하였고, 도 3에서는 노심을 같이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코어캐쳐(10)는 제1구조체(110), 냉각구조체(120) 및 제2구조체(130)를 포함한다.
제1구조체(110)는 콘크리트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직사각형 상자 형태이다.
제1구조체(110)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수용공간 내에는 냉각구조체(120)가 위치한다.
냉각구조체(120)는 전체적으로는 상부 표면이 웨이브가 있는 형상이며 마루부분과 골부분이 반복되어 있다. 마루부분의 정점부는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마루부분 사이에 위치한 골부분도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골부분은 중대사고시 노심용융물이 수용되는 노심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냉각구조체(120)는 단일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세라믹 고열 내화재(예를 들어, 지르코니아) 또는 용융점이 높은(약 2000℃이상)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용융점이 높은 금속으로는 텅스텐과 철의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냉각구조체(120)는 용융점이 다른 복수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층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냉각수가 위치하거나 흐를 수 있다. 2층 구조로 이루어질 경우, 상부층과 하부층은 용융점이 다를 수 있으며, 상부층이 하부층보다 용융점이 높을 수 있다.
제2구조체(130)는 제1구조체(110)를 감싸고 있으며, 제1구조체(110)와 제2구조체(130) 사이에는 냉각수가 수용될 수 있는 냉각수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코어캐쳐(10)는 제2구조체(130)와 제1구조체(110) 모두에 연결되어 이들 간의 위치관계를 지지할 기둥과 같은 구조물을 포함한다. 코어캐쳐(10)에 사용되는 냉각수의 수원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격납건물내재장전수조(IRWST)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에서의 노심용융물 확산을 설명한다.
노심(20)은 코어캐쳐(10) 상부에 위치하며, 코어캐쳐(10)는 중대사고시 노심(20)이 용융되어 노심용융물이 낙하는 지점에 대응하여 골부분이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도 4의 (a)와 같이 낙하된 노심용융물은 냉각구조체(120)의 중심에 있는 골부분으로 낙하하며, 골부분과의 접촉을 통해 냉각이 개시된다. 이후 도 4의 (b)와 같이 냉각과 함께 노심용융물은 마루부분을 넘어 인접한 골부분으로 이동한다. 이 때 중앙의 골부분에 위치한 노심용융물은 계속하여 냉각이 진행된다. 또한 노심용융물에 직접 접한 냉각구조체(120)의 표면은 용융되면서 변형된다. 일부 노심용융물은 제1구조체(110)의 측벽에 접한다.
도 4의 (c)는 노심용융물의 냉각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노심용융물과의 접촉에 의해 냉각구조체(120)의 표면이 용융 및 변형되어 골부분과 마루부분이 구분이 불명확해졌으며, 표면은 노심용융물과 냉각구조체(120)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노심용융물이 냉각구조체(120)의 특정 부분에 집중되지 않고 확산되어 고른 냉각이 가능하다. 복수의 골부분에서 노심용융물이 분산되어 냉각되기 때문에 노심용융물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분산에 의해 노심용융물이 특정 지점에 집적되면서 높이가 높아지고, 높아진 높이에 의해 노심용융물이 노심과 접촉하여 상부의 노심용융물의 낙하를 방해하는 문제가 해소된다.
또한, 고른 냉각에 의해 급작스런 냉각에 의한 증기폭발의 위험성이 감소한다.
제1구조체(110)와 접촉한 노심용융물은 추가로 제1구조체(110)와 제2구조체(130) 사이에 위치한 냉각수에 의해 냉각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노심용융물의 확산이 향상되어 균일하고도 신속한 냉각이 가능하며, 제2구조체(130)에 의해 냉각 안정성이 향상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를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 제1구조체(110)의 바닥면은 냉각구조체(1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요철(111)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를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서 냉각구조체(120)는 중심부, 즉 노심(2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마루부분의 높이가 높고 노심에서 멀어질수록 마루부분의 높이가 낮아진다. 이에 의해 냉각구조체(120)에 낙하한 노심용융물이 주변의 골 부분으로 용이하게 이동한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를 설명한다.
제4실시예에서는 제1구조체(110)가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냉각구조체(120)도 길게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4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보다 골부분이 더 많이 형성되어 있다.
제4실시예에서 노심용융물은 중간위치(A)로 낙하할 수 있다. 제4실시예에 따르면, 노심용융물의 확산면적이 증가하여 노심용융물의 확산 특성이 향상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노심용융물은 정점부의 양단 위치(B, C)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낙하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를 설명한다.
제5실시예에서는 제4실시예와 같이 제1구조체(110)가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냉각구조체(120)도 길게 연장되어 있다. 다만, 냉각구조체(120)는 일방향으로 갈수록 마루부분의 높이가 줄어들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5실시예에서는 골부분의 높이도 일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진다.
노심용융물은 마루부분이 높게 형성되어 있는 일단(B)으로 낙하하여 중심부(A)와 타단(C)으로 확산된다. 제5실시예에서는 노심용융물의 확산방향을 따라 마루부분의 높이가 줄어들어 노심용융물의 확산이 더욱 향상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방향으로 갈수록 냉각구조체(120)의 폭이 감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구조체(110)의 폭도 변화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방향으로 갈수록 골부분의 깊이도 감소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를 설명한다.
제6실시예에서 냉각구조체(120)의 표면은 골과 마루가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반복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골의 정점은 점 형태로 일정한 패턴으로 배치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골과 마루의 높이/깊이 및 배치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노심 하부에 위치하며 노심용융물을 냉각시키는 코어캐쳐에 있어서,
    제1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구조물과;
    상기 제1구조물 내에 위치하며 상기 노심을 향하고 돌출되어 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마루 부분과 상기 마루 부분 사이의 골 부분을 가지는 냉각구조체를 포함하는 코어캐쳐.
  2. 제1항에서,
    상기 냉각구조체는 상기 골 부분이 상기 노심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캐쳐.
  3. 제1항에서,
    상기 마루부분의 정점부는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캐쳐.
  4. 제1항에서,
    상기 마루부분의 높이는 상기 노심에서 멀어질수록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캐쳐.
  5. 제1항에서,
    상기 냉각구조체는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마루부분의 높이는 상기 노심에서 멀어질수록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캐쳐.
  6. 제1항에서,
    상기 제1구조물의 바닥은 상기 마루부분 및 상기 골부분에 대응하는 요철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캐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물을 감싸고 있으며,
    상기 제1구조물과의 사이에 냉각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캐쳐.
  8. 노심 하부에 위치하며 노심용융물을 냉각시키는 코어캐쳐에 있어서,
    제1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구조물과;
    상기 제1구조물 내에 위치하며 상기 노심용융물의 낙하 시에 상기 노심용융물이 위치할 수 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용융물 수용공간을 가지는 냉각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용융물 수용공간은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주변에 비하여 낮은 높이를 가지는 코어캐쳐.
  9. 제8항에서,
    상기 용융물 수용공간은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캐쳐.
  10. 제8항에서,
    상기 냉각구조체는 상기 용융물 수용공간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노심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캐쳐.
  11. 제8항에서,
    상기 냉각구조체는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용융물 수용공간의 높이는 상기 노심에서 멀어질수록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캐쳐.
  12. 제8항에서,
    상기 제1구조물의 바닥은 상기 용융물 수용공간에 대응하는 요철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캐쳐.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물을 감싸고 있으며,
    상기 제1구조물과의 사이에 냉각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캐쳐.
PCT/KR2017/010879 2016-09-28 2017-09-28 코어확산성능이 향상된 코어캐쳐 WO201806291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091 2016-09-28
KR20160125091 2016-09-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62919A1 true WO2018062919A1 (ko) 2018-04-05

Family

ID=61760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0879 WO2018062919A1 (ko) 2016-09-28 2017-09-28 코어확산성능이 향상된 코어캐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80629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49995C1 (ru) * 2020-11-10 2021-06-21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томэнергопроект" Система локализации и охлаждения расплава активной зоны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6286A (ja) * 2009-05-13 2010-11-25 Mitsubishi Heavy Ind Ltd 溶融物の冷却促進装置及び原子炉格納容器
JP2011174897A (ja) * 2010-02-25 2011-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溶融物冷却構造、これを備えた原子炉格納容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原子力プラント
JP2013108772A (ja) * 2011-11-17 2013-06-06 Mitsubishi Heavy Ind Ltd 溶融物の捕集装置
KR20140139947A (ko) * 2013-05-28 2014-12-08 한국원자력연구원 노심용융물의 피동 순차 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KR20160057546A (ko) * 2014-11-13 2016-05-24 한국과학기술원 코어캐쳐를 구비한 원자로용기 내외 노심용융물 냉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6286A (ja) * 2009-05-13 2010-11-25 Mitsubishi Heavy Ind Ltd 溶融物の冷却促進装置及び原子炉格納容器
JP2011174897A (ja) * 2010-02-25 2011-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溶融物冷却構造、これを備えた原子炉格納容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原子力プラント
JP2013108772A (ja) * 2011-11-17 2013-06-06 Mitsubishi Heavy Ind Ltd 溶融物の捕集装置
KR20140139947A (ko) * 2013-05-28 2014-12-08 한국원자력연구원 노심용융물의 피동 순차 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KR20160057546A (ko) * 2014-11-13 2016-05-24 한국과학기술원 코어캐쳐를 구비한 원자로용기 내외 노심용융물 냉각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49995C1 (ru) * 2020-11-10 2021-06-21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томэнергопроект" Система локализации и охлаждения расплава активной зоны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WO2022103302A1 (ru) * 2020-11-10 2022-05-19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томэнергопроект" Система локализации и охлаждения расплава активной зоны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58984A1 (ko) 통합 냉각유로를 갖춘 코어 캐쳐
US4115192A (en) Fast neutron nuclear reactor
WO2016003159A1 (ko) 노심 용융물 냉각용 다공성 냉각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노심 용융물 냉각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노심 용융물 냉각방법
WO2018062919A1 (ko) 코어확산성능이 향상된 코어캐쳐
JPH0318792A (ja) 受動形冷却装置
JP2014081212A (ja) 炉心溶融物保持装置および原子炉格納容器
US4978496A (en) Arrangement to prevent the molten core of a nuclear reactor from penetrating into the ground
RU2154314C2 (ru) Пассивная аварийная система уменьшения количества водорода для водоохлаждаемого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US4290852A (en) Roof reflector for a gas-cooled pebble-bed reactor and process for the disassembly of the roof reflector
WO2018062918A1 (ko) 코어확산성능이 향상된 계단형 코어캐쳐
JP2005195595A (ja) 炉心キャッチャ冷却
WO2012173388A2 (ko) 방사성 폐기물 보관용 구조체
KR100677735B1 (ko) 일체식 수용기를 구비한 수형 원자로
GB1581123A (en) Nuclear reactor coolant receptacle
WO2018043801A1 (ko) 냉각수 저장조 및 이를 포함하는 원자로건물 피동 냉각시스템
WO2018062917A1 (ko) 냉각수 저장조 및 이를 포함하는 원자로건물 피동 냉각시스템
WO2017026557A1 (ko) 노심용융물의 포집기능을 갖는 원자로 단열체
US4154650A (en) Nuclear reactors
US3888731A (en) Modular core component support for nuclear reactor
WO2020009309A1 (ko) 모듈 타입의 원자로 외벽 냉각 임계열속 실험장치
WO2020013518A1 (ko)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
WO2020138930A1 (ko) 원자력 시설의 해체 방법
KR100265320B1 (ko) 원자력발전소의노심용융물억제장치
JPS63177096A (ja) 原子炉格納容器
WO2020009308A1 (ko) 노심용융물의 노외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568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568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