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62918A1 - 코어확산성능이 향상된 계단형 코어캐쳐 - Google Patents

코어확산성능이 향상된 계단형 코어캐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62918A1
WO2018062918A1 PCT/KR2017/010878 KR2017010878W WO2018062918A1 WO 2018062918 A1 WO2018062918 A1 WO 2018062918A1 KR 2017010878 W KR2017010878 W KR 2017010878W WO 2018062918 A1 WO2018062918 A1 WO 201806291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re
cooling surface
cooling
catcher
m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087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문호림
하희운
강상희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806291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6291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9/00Emergency protection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reactor, e.g. safety valves provided with pressure equalisation devices
    • G21C9/016Core catch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pped core catcher with improved core diffusion performance.
  • the core melt may be released into the reactor cavity through the breakdown of the reactor pressure vessel.
  • the core melt refers to a high-temperature molten material in which enriched uranium, which is a nuclear fuel of the reactor core installed inside the reactor pressure vessel, zirconium used as a coating material, and a plurality of materials in the reactor pressure vessel are mixed.
  • the core melt generates heat by the collapse of the fission product therein.
  • the level of decay heat gradually decreases with time elapsed after the reactor stops, and the heat of decay after 1 hour of reactor shutdown is approximately 1% of the reactor's rated heat output.
  • a typical facility is a core catcher that collects, holds and cools the core melt in the reactor cavity.
  • the core catcher of the related art does not have sufficient core melt diffusion and thus has a limitation in safely cooling the core mel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pped core catcher with improved core diffusion performanc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ped core catcher located in the bottom of the core to cool the core melt, the structure forming a receiving space; And a cooling structure located within the structure and in contact with the core melt, the cooling structure being achieved by having a plurality of cooling surfaces located at different heights.
  • the cooling surface may extend long side by side.
  • the cooling surface corresponds to the core and includes the highest vertex cooling surface, and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vertex cooling surface.
  • the cooling surface corresponds to the core and includes the highest vertex cooling surface, and a lower cooling surface positioned below the vertex cooling surface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vertex cooling surface.
  • It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wall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ooling surface and guides the flow of the core melt.
  • the partition wall is continuously formed on at least two cooling surfaces, and the cooling surfaces may be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zones.
  • the cooling water may be supplied from the IRWS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ped core catcher located in the bottom of the core to cool the core melt, the structure forming a receiving space;
  • a cooling structure located in the structure and having a cooling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ore melt, wherein the cooling surface comprises: a first cooling surface in first contact with the core melt;
  • a second cooling surface positioned below the first cooling surface and contacted by the core melt flowing from the first cooling surface, wherein the first cooling surface and the second cooling surface are disposed in a stepwise manner. Is achieved.
  • the first cooling surface and the second cooling surface may extend long side by side.
  • the second cooling surface is provided in pairs and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oling surface.
  • the second cooling surface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first cooling surface.
  • It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wall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ooling surface and guides the flow of the core melt.
  • the cooling water may be supplied from the IRWST.
  • a stepped core catcher having improved core diffusion performance is provid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re catch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 of FIG. 1;
  • FIG. 4 is a view showing the diffusion of the core melt in the core catch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core catch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core catch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re catch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1
  • FIG. 4. Is a view showing the diffusion of the core melt in the core catch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the core as well.
  • the core catcher 10 includes a first structure 110 and a cooling structure 120.
  • the first structure 110 may be made of concrete or the like, and has a rectangular box shape with an open top.
  • the first structure 110 forms an accommodation space, and the cooling structure 120 is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 the cooling structure 120 has a symmetrical staircase shape as a whole, and has a plurality of cooling surfaces 122a, 122b, and 122c.
  • stepped or “stepped” means that cooling surfaces having different heights are sequentially positioned.
  • the shape of each cooling surface may be variously changed, such as a rectangular band shape, a square shape, a circular shape, a circular band shape, and the like, and a single cooling structure 120 may have a plurality of cooling surfaces.
  • the cooling surfaces may be parallel to each other or may not be parallel to each other, and may b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inclined rather than horizontally.
  • each of the cooling surfaces 122a, 122b, 122c is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extends in parallel with each other.
  • the connection surface 123 connecting the cooling surfaces 122a, 122b, and 122c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cooling water layer 121 is formed in the cooling structure 120. Cooling water layer 121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of the cooling structure 120, and receives the cooling water from the IRWST.
  • the arrangement of the coolant layer 121, the location of the coolant inlet and outlet, and the coolant source may vary.
  • the cooling structure 120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made of a ceramic high temperature refractory material (eg, zirconia) or a metal having a high melting point (about 2000 ° C. or more).
  • a ceramic high temperature refractory material eg, zirconia
  • a metal having a high melting point about 2000 ° C. or more.
  • an alloy of tungsten and iron may be used.
  • the core 20 is located above the core catcher 10, and the core catcher 10 i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point at which the core 20 melts during the major accident and the core melt falls.
  • the first cooling surface 122a located at the highest point among the cooling surfaces 122a, 122b, and 122c corresponds to the core 20, that is, is located closest.
  • the core melt dropped as shown in FIG. 4 (a) falls to the first cooling surface 122a at the center of the cooling structure 120, and cooling is started through contact with the first cooling surface 122a. Thereafter, as shown in FIG. 4B, the core melt with cooling moves to the second cooling surface 122b positioned below.
  • the second cooling surface 122b is provided in pairs, and the core melt is cooled in the second cooling surface 122b. Thereafter, the core melt, which is not sufficiently cooled, moves to the third cooling surface 122c and is cooled.
  • the core melt is sequentially cooled by the plurality of cooling surfaces 122a, 122b, and 122c provided for each height while flowing down by its own weight. This eliminates the problem that the core melt is integrated in one place and cooling is not performed smoothly. In addition, even cooling reduces the risk of vapor explosion due to sudden cooling.
  • the improved melt disperses the core melt at a certain point, thereby increasing its height, and the increased height eliminates the problem of the core melt contacting the core and preventing the upper core melt from falling.
  • a core catch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the connecting surface 123 is formed to be inclined rather than vertic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lower flow of the core melt can be guided smoothly, and cooling through the connection surface 123 can be made more effectively.
  • a core catch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the partition wall 124 protruding from the cooling surface 122 and the connection surface 123 is formed.
  • the partition 124 guides the flow of the core melt and also has an additional cooling effect.
  • coolant may also be su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partition 124.
  • the shape of the partition wall 124 may vary.
  • the partition wall 124 may be formed only in some of the cooling surfaces 122 and may be formed in an oblique direction (a direction other tha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oling surface extending direction).
  • a core catch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the cooling structure 120 is elongated, and although not shown, the structure 110 is also elongated.
  • the core melt may fall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A).
  • the diffusion area of the core melt is increased to improve the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the core melt.
  • the core melt may fall in response to either of the positions B and C of the apex.
  • the cooling structure 12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height is lowered toward both ends (B, C).
  • a core catch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 the cooling structure 120 has a pyramid shape.
  • the cooling surface 122 has a rectangular shape at the apex, but has a rectangular band shape thereafter, and the cooling surface 122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surrounds the cooling surface 122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thereof.
  • the core melt can flow through the entire 360 degree direction, thereby improving core melt diffusion efficienc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tructure Of Emergency Protection For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확산성능이 향상된 계단형 코어캐쳐에 관한 것으로, 노심 하부에 위치하며 노심용융물을 냉각시키는 계단형 코어캐쳐에 있어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과; 상기 구조물 내에 위치하며 상기 노심용융물과 접촉하게 되는 냉각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구조체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냉각면을 가진다.

Description

코어확산성능이 향상된 계단형 코어캐쳐
본 발명은 코어확산성능이 향상된 계단형 코어캐쳐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에서 중대사고 발생 시 노심용융물(코어)이 원자로 압력용기의 파손부를 통해 원자로 하부공동으로 방출될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노심용융물이란 원자로 압력용기 내부에 설치되는 원자로 노심의 핵연료인 농축우라늄과, 피복재로 사용되는 지르코늄 및 원자로 압력용기 내부 다수의 물질들이 혼합된 고온의 용융물질을 말한다.
노심용융물은 그 내부의 핵분열 생성물의 붕괴로 열을 발생시킨다. 붕괴열의 수준은 원자로 정지 후 경과 시간에 따라 점차 감소되며, 원자로 정지 1시간 후의 붕괴열은 원자로 정격 열출력의 약 1%수준이다.
따라서 원자력발전소의 중대사고 발생시 배출된 노심용융물이 적절히 냉각되지 않으면 결국 고온의 노심용융물은 원자로 건물 하부공동 바닥 콘크리트와 반응하여 다량이 비응축성 가스를 발생시키면서 바닥을 용융 침식시키게 되며, 최종적으로 원자로건물 압력 유지 구조물의 파손을 야기시켜 방사능 물질이 외부로 누출됨으로써 환경을 심각하게 오염시킬 위험이 있다.
이상과 같은 원자력발전소의 중대사고시 원자로 건물 건전성 상실에 대처하기 위해 노심용융물과 원자로건물 하부공동 바닥 콘크리트가 직접 반응하지 않도록 노심용융물을 보유 및 냉각하는 여러 가지 대응책이 연구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설비로서 원자로건물 하부공동에서 노심용융물을 수집, 보유 및 냉각수 공급을 통해 냉각하는 코어캐쳐가 있다.
그러나 종래 코어캐쳐는 노심용융물 확산이 충분하지 않아 노심용융물을 안전하게 냉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어확산성능이 향상된 계단형 코어캐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노심 하부에 위치하며 노심용융물을 냉각시키는 계단형 코어캐쳐에 있어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과; 상기 구조물 내에 위치하며 상기 노심용융물과 접촉하게 되는 냉각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구조체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냉각면을 가지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냉각면은 나란히 길게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냉각면은, 상기 노심에 대응하며 가장 높은 정점 냉각면을 포함하며, 상기 정점 냉각면을 중심으로 양 편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냉각면은, 상기 노심에 대응하며 가장 높은 정점 냉각면을 포함하며, 상기 정점 냉각면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냉각면은 상기 정점 냉각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냉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노심용융물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2개 이상의 상기 냉각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냉각면을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냉각면 내부에 위치하는 냉각수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냉각수는 IRWST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노심 하부에 위치하며 노심용융물을 냉각시키는 계단형 코어캐쳐에 있어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과; 상기 구조물 내에 위치하며 상기 노심용융물과 접촉하게 되는 냉각면을 가지는 냉각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면은, 상기 노심용융물과 먼저 접촉하게 되는 제1냉각면과; 상기 제1냉각면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1냉각면에서 흘러내린 상기 노심용융물이 접촉하는 제2냉각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냉각면과 상기 제2냉각면은 계단식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냉각면과 상기 제2냉각면은 나란히 길게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냉각면은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냉각면을 중심으로 양 편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냉각면은, 상기 제1냉각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냉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노심용융물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면 내부에 위치하는 냉각수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냉각수는 IRWST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어확산성능이 향상된 계단형 코어캐쳐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I-III'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에서 노심용융물의 확산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각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크기와 간격 등이 실제와 달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어캐쳐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I-III'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에서 노심용융물의 확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는 노심을 같이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코어캐쳐(10)는 제1구조체(110)와 냉각구조체(120)를 포함한다.
제1구조체(110)는 콘크리트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직사각형 상자 형태이다.
제1구조체(110)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수용공간 내에는 냉각구조체(120)가 위치한다.
냉각구조체(120)는 전체적으로는 좌우가 대칭인 계단형태이며, 복수의 냉각면(122a, 122b, 122c)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계단형태"또는 "계단식"이라는 것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냉각면이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것을 얘기한다. 각 냉각면의 형태는 사각띠 형상, 사각형 형상, 원형 형상, 원형 띠 형상 등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단일 냉각구조체(120)에서도 복수의 형태를 가진 냉각면이 존재할 수 있다. 냉각면은 서로 평행하거나 서로 평행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거나 수평방향이 아닌 경사지게 마련될 수도 있다.
제1실시예에서 각 냉각면(122a, 122b, 122c)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나란하게 길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냉각면(122a, 122b, 122c)을 연결하는 연결면(123)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냉각구조체(120) 내에는 냉각수층(121)이 형성되어 있다. 냉각수층(121)은 냉각구조체(120)의 표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IRWST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는다.
냉각수층(121)의 배치, 냉각수 입구 및 출구 위치 및 냉각수 공급원은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냉각구조체(12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세라믹 고열 내화재(예를 들어, 지르코니아) 또는 용융점이 높은(약 2000℃이상)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용융점이 높은 금속으로는 텅스텐과 철의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에서의 노심용융물 확산을 설명한다.
노심(20)은 코어캐쳐(10) 상부에 위치하며, 코어캐쳐(10)는 중대사고시 노심(20)이 용융되어 노심용융물이 낙하는 지점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냉각면(122a, 122b, 122c) 중 가장 정점에 위치하는 제1냉각면(122a)은 노심(20)에 대응하여, 즉 가장 가깝게 위치하고 있다.
도 4의 (a)와 같이 낙하된 노심용융물은 냉각구조체(120)의 중심에 있는 제1냉각면(122a)으로 낙하하며, 제1냉각면(122a)와의 접촉을 통해 냉각이 개시된다. 이후 도 4의 (b)와 같이 냉각과 함께 노심용융물은 하부에 위치하는 제2냉각면(122b)으로 이동한다. 제2냉각면(122b)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노심용융물은 제2냉각면(122b)에서 냉각된다. 이후 냉각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노심용융물은 제3냉각면(122c)으로 이동하여 냉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노심용융물은 자중에 의해 흘러내리면서 높이별로 마련된 복수의 냉각면(122a, 122b, 122c)에서 순차적으로 냉각된다. 이에 의해 노심용융물이 한 곳에 집적되어 냉각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해소된다. 또한, 고른 냉각에 의해 급작스런 냉각에 의한 증기폭발의 위험성이 감소한다.
향상된 분산에 의해 노심용융물이 특정 지점에 집적되면서 높이가 높아지고, 높아진 높이에 의해 노심용융물이 노심과 접촉하여 상부의 노심용융물의 낙하를 방해하는 문제가 해소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를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 연결면(123)은 수직이 아닌 경사를 지고 형성되어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노심용융물의 하부 흐름을 부드럽게 유도할 수 있으며, 연결면(123)을 통한 냉각도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를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서는 냉각면(122) 및 연결면(123)으로부터 돌출된 격벽(124)이 형성되어 있다.
격벽(124)은 2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냉각면(122)을 3개의 구역으로 구획하고 있다. 격벽(124)은 노심용융물의 흐름을 가이드 하며, 추가적인 냉각효과도 가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격벽(124)의 내부에도 냉각수가 공급될 수 있다.
격벽(124)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격벽(124)은 일부 냉각면(122)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사선방향(냉각면 연장방향의 직각방향이 아닌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를 설명한다.
제4실시예에서는 냉각구조체(120)가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구조체(110) 역시 길게 연장되어 있다.
제4실시예에서 노심용융물은 중간위치(A)로 낙하할 수 있다. 제4실시예에 따르면, 노심용융물의 확산면적이 증가하여 노심용융물의 확산 특성이 향상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노심용융물은 정점부의 양단 위치(B, C)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낙하할 수 있다. 이 경우, 냉각구조체(120)는 양단 위치(B, C)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를 설명한다.
제5실시예에서는 냉각구조체(120)가 피라미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냉각면(122)은 정점에서는 사각형 형상이지만 그 이후부터는 사각 띠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하부에 위치한 냉각면(122)이 상부에 위치한 냉각면(122)을 감싸고 있다.
제5실시예에 따르면 노심용융물이 360도 전체 방향으로 통해 흘러내릴 수 있어 노심용융물 확산 효율이 향상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노심 하부에 위치하며 노심용융물을 냉각시키는 계단형 코어캐쳐에 있어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과;
    상기 구조물 내에 위치하며 상기 노심용융물과 접촉하게 되는 냉각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구조체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냉각면을 가지는 코어캐쳐.
  2. 제1항에서,
    상기 냉각면은 나란히 길게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캐쳐.
  3. 제2항에서,
    상기 냉각면은,
    상기 노심에 대응하며 가장 높은 정점 냉각면을 포함하며,
    상기 정점 냉각면을 중심으로 양 편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캐쳐.
  4. 제1항에서,
    상기 냉각면은,
    상기 노심에 대응하며 가장 높은 정점 냉각면을 포함하며,
    상기 정점 냉각면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냉각면은 상기 정점 냉각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캐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노심용융물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캐쳐.
  6. 제5항에서,
    상기 격벽은 2개 이상의 상기 냉각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냉각면을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캐쳐.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면 내부에 위치하는 냉각수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냉각수는 IRWST로부터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캐쳐.
  8. 노심 하부에 위치하며 노심용융물을 냉각시키는 계단형 코어캐쳐에 있어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과;
    상기 구조물 내에 위치하며 상기 노심용융물과 접촉하게 되는 냉각면을 가지는 냉각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면은,
    상기 노심용융물과 먼저 접촉하게 되는 제1냉각면과;
    상기 제1냉각면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1냉각면에서 흘러내린 상기 노심용융물이 접촉하는 제2냉각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냉각면과 상기 제2냉각면은 계단식으로 배치되어 있는 코어캐쳐.
  9. 제8항에서,
    상기 제1냉각면과 상기 제2냉각면은 나란히 길게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캐쳐.
  10. 제8항에서,
    상기 제2냉각면은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냉각면을 중심으로 양 편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캐쳐.
  11. 제8항에서,
    상기 제2냉각면은,
    상기 제1냉각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캐쳐.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노심용융물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캐쳐.
  13.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면 내부에 위치하는 냉각수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냉각수는 IRWST로부터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캐쳐.
PCT/KR2017/010878 2016-09-28 2017-09-28 코어확산성능이 향상된 계단형 코어캐쳐 WO201806291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086 2016-09-28
KR20160125086 2016-09-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62918A1 true WO2018062918A1 (ko) 2018-04-05

Family

ID=61759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0878 WO2018062918A1 (ko) 2016-09-28 2017-09-28 코어확산성능이 향상된 계단형 코어캐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80629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3109A (zh) * 2018-11-13 2019-01-25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一种熔融物安全壳滞留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836B1 (ko) * 2008-12-08 2010-12-09 한국과학기술원 액체금속로용 코어 캐쳐
KR101005668B1 (ko) * 2010-06-14 2011-01-05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통합 냉각유로를 갖춘 코어 캐쳐
JP2015017870A (ja) * 2013-07-10 2015-01-29 日立Geニュークリア・エナジー株式会社 炉心溶融物保持装置
JP2016001164A (ja) * 2014-06-12 2016-01-07 一般財団法人電力中央研究所 炉心溶融物の分散構造
KR101585841B1 (ko) * 2014-10-20 2016-01-1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코어냉각성능이 향상된 코어캐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836B1 (ko) * 2008-12-08 2010-12-09 한국과학기술원 액체금속로용 코어 캐쳐
KR101005668B1 (ko) * 2010-06-14 2011-01-05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통합 냉각유로를 갖춘 코어 캐쳐
JP2015017870A (ja) * 2013-07-10 2015-01-29 日立Geニュークリア・エナジー株式会社 炉心溶融物保持装置
JP2016001164A (ja) * 2014-06-12 2016-01-07 一般財団法人電力中央研究所 炉心溶融物の分散構造
KR101585841B1 (ko) * 2014-10-20 2016-01-1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코어냉각성능이 향상된 코어캐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3109A (zh) * 2018-11-13 2019-01-25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一种熔融物安全壳滞留系统
CN109273109B (zh) * 2018-11-13 2020-01-31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一种熔融物安全壳滞留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58984A1 (ko) 통합 냉각유로를 갖춘 코어 캐쳐
WO2016003159A1 (ko) 노심 용융물 냉각용 다공성 냉각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노심 용융물 냉각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노심 용융물 냉각방법
US5659589A (en) Device for collecting and cooling reactor-meltdown products
US4115192A (en) Fast neutron nuclear reactor
JP2007121313A (ja) 水冷却式原子炉用の受動的緊急水素減少システム
US4053358A (en) Modular assembly for supporting, straining, and directing flow to a core in a nuclear reactor
US11227695B2 (en) Core catcher and boiling water nuclear plant using the same
JP4620449B2 (ja) 炉心キャッチャ冷却のアセンブリおよび該アセンブリを有する原子炉
JPH0318792A (ja) 受動形冷却装置
WO2018062918A1 (ko) 코어확산성능이 향상된 계단형 코어캐쳐
WO2011043513A1 (ko) 원자로 용기의 외벽 냉각장치
WO2012173388A2 (ko) 방사성 폐기물 보관용 구조체
WO2018062919A1 (ko) 코어확산성능이 향상된 코어캐쳐
WO2017026557A1 (ko) 노심용융물의 포집기능을 갖는 원자로 단열체
WO2018062917A1 (ko) 냉각수 저장조 및 이를 포함하는 원자로건물 피동 냉각시스템
WO2018043801A1 (ko) 냉각수 저장조 및 이를 포함하는 원자로건물 피동 냉각시스템
WO2018128338A1 (ko) 피동 작동형 노심 용융물 냉각장치
US20210398697A1 (en) Cooling system for nuclear reactor
RU2165108C2 (ru) Система защиты защитной оболочки реакторной установки водо-водяного типа
WO2020009308A1 (ko) 노심용융물의 노외냉각장치
JPH07333383A (ja) 原子力プラント
US4343681A (en) Core energy plant with closed working gas circuit
WO2023177154A1 (ko) 소형원자로 냉각장치 및 냉각방법
JPS61791A (ja) 高速中性子炉
JPS60205278A (ja) 高速中性子原子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568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568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