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56742A1 - 신남알데히드 및 퀴논메티드를 동시에 생성하는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신남알데히드 및 퀴논메티드를 동시에 생성하는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56742A1
WO2018056742A1 PCT/KR2017/010454 KR2017010454W WO2018056742A1 WO 2018056742 A1 WO2018056742 A1 WO 2018056742A1 KR 2017010454 W KR2017010454 W KR 2017010454W WO 2018056742 A1 WO2018056742 A1 WO 201805674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ncer
formula
compound
compound represented
os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045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동원
한은지
유동혁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805674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5674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two or more oxygen atoms in the same ring, e.g. crown ethers, guanadre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Definitions

  • a cancer is defined as a tumor formed by undifferentiated cells that proliferate and ignore indefinitely and ignore a necessary condition in a tissue, unlike a normal cell that can proliferate and suppress regularly according to an individual's needs. The reason is that a change occurs in the genes inside the cell and is transformed into cancer cells. Cancer accounts for 13% of all deaths worldwide and can occur regardless of gender or age, and it is a serious disease that is the second leading cause of death among the world's diseases. Research is ongoing. In these studies,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anticancer drugs with less side effects and resistance to the disease is required due to the variety of cancers and the diversification of pathogenesis, and new anticancer drugs are continuously being released.
  • Cinnamaldehyde is the main active ingredient of cinnamomum cassia, a Lauraceae plant that has been used to treat indigestion, gastritis, blood circulation disorders, and inflammation in both the East and the West, and cinnamon bark. Is the main constituent of. Cinnamic aldehydes contain ⁇ , ⁇ -carbonyl, known as the Micheal receptor pharmacophore, and produce reactive oxygen species (ROS) that reduce the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 ROS reactive oxygen species
  • GSH glutathione, glutathione
  • the present inventors have studied to prepare a compound that synergizes to enhance short-term retention time and efficacy, which are disadvantages of cinnamic aldehyde, which induces apoptosis, and to enhance its anti-cancer effect, cinnamic aldehyde and quinoneme.
  • OSamp [4-[[5-methyl-2- (styryl-1,3-dioxan-5-yl) methoxycarbonyloxymethyl] phenyl] benzoate
  • the prepared OSamp was cinnamon
  • the aldehyde in the body and further acts selectively to cancer cells to minimize the side effects while maximizing the anti-cancer effect confirmed the applicability as a new anti-cancer treatment, and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its use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 and a method of preparation:
  • R is H, C 1-5 alkyl or OCO— (C 6-10 aryl); R 'is H or C 1-5 alkyl; X is O or NH; And R '' is C 1-5 alkyl or C 6-10 aryl.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compound to a subject.
  • Compounds of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 oxidative systems and promote apoptosis by releasing cinnamic aldehydes that produce ROS and quinonemethes that eliminate GSH, respectively, in the presence of esterase and acidic pH conditions, thereby promoting cancer cell-specific double stimulation reactions and synergies. Since it causes an anticancer effect, it can be usefully used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
  • Figure 3b is a diagram confirming the sensitivity of the OSamp of the ester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GSH levels.
  • Figure 3c is a diagram confirming the OSamp stability in serum protein solution (20%) by 1 H NMR.
  • FIG. 4 is a diagram confirming whether quinone metide and cinnamic aldehyde are generated by OSamp in SW620 cell line.
  • Figure 5a is a diagram confirming the GSH scavenging ability according to the OSamp concentration in the SW620 cell line.
  • 5d to 5f are diagrams confirming cytotoxicity according to the OSamp concentration in DU145 (prostate cancer cell line) (d), SW620 (colon cancer cell line) (e), and HEK293 (human kidney cell) (f), respectively.
  • Figure 6a is a diagram confirming the change in the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of the SW620 cell line treated with the OSamp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b is a diagram confirming the release of cytochrome c of the SW620 cell line treated with the OSamp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b is a diagram confirming the increase in the SW620 cell volume treated with the OSamp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flow cytometer.
  • Figure 7c is a diagram confirming the degradation inducing effect of caspase-3 in the OS620 treated SW620 cell 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d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amount of nucleosome DNA fragments in the SW620 cell line treated with the OSamp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diagram confirming the tumor growth inhibitory effect through the tumor size (a), tumor volume change (b) and weight change (c) according to the OSamp concentration in the tumor mouse model administered OSamp of the present invention .
  • FIG. 10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histological examination (a) and immunohistochemistry (b) in the tumor mouse model administered OSamp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view showing the change in the ALT activity (a) and H & E staining results (b) of liver tissue in the tumor mouse model administered OSamp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 R is H, C 1-5 alkyl or OCO— (C 6-10 aryl); R 'is H or C 1-5 alkyl; X is O or NH; And R '' is C 1-5 alkyl or C 6-10 aryl.
  • the quinonemethide and cinnamaldehyde can be produced by the presence of esterase and acidic pH, in particular they can be produced specifically in cancer cells.
  • quinonemethide is generated through ester bond decomposition by esterase, and the quinonemethide produced may be alkylated with antioxidant glutathione (GSH) to inhibit the antioxidant system and increase oxidative stress.
  • GSH antioxidant glutathione
  • the acidic pH may cleave the acetal bond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lease cinnamic aldehyde, wherein the released cinnamic aldehyde may generate ROS to promote apoptosis.
  • ROS produced by the release of cinnamic aldehyde is accumulated in large amounts to further promote apoptosis.
  • the compounds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 synergistic anticancer effects through dual stimulation response and sequential therapeutic action in a cancer cell-specific manne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the compound, which is as follows.
  • R is H, C 1-5 alkyl or OCO— (C 6-10 aryl); R 'is H or C 1-5 alkyl; X is O or NH; R '' is C 1-5 alkyl or C 6-10 aryl; X 'is OH or NH 2 ; LG is a leaving group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alogen, OMs, OTs and OTf; Y and Y 'is imidazol-1-yl, Cl, OCCl 3, OC 1- 2 alkyl or OPh independently.
  • Step (a) is a step of preparing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3], 2-hydroxymethyl-1,3-propanediol or 2-amino substituted with cinnamic aldehyde in an acidic solution and substituted with R '
  • the reaction is carried out at a high temperature of 70 to 100 ° C. with methyl-1,3-propanediol, followed by evaporation of the solvent.
  • the acidic solution is preferably p-toluene sulfonic acid or sulfuric aci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 3] is capable of decomposing in acid, including acetal bonds, thereby enabling the release of cinnamic aldehyde in cancer cells.
  • Step (b) is a step of preparing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5], after dissolv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3] prepared in step (a) in an organic solvent with the compound of [Formula 4] The reaction is carried out at 20 to 40 ° C. and the solvent is evaporated to obtain a silica column.
  • Step (c) is a step of preparing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7], by react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6) with 4-hydroxybenzyl alcohol in an organic solvent.
  • LG can be easily substituted with the hydroxyl group of 4-hydroxybenzyl alcohol.
  • LG can be halogen, OMs, OTs or OTf.
  • OMs refers to the methanesulfonate group as mesylate
  • OTs refers to the p-toluenesulfonate group as tosylate
  • OTf refers to the trifluoromethanesulfonate group as triflate.
  • Step (d) is a step of preparing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5] prepared in the step (b) and [Chemical Formula prepared in the step (c) 7] is reacted under an organic solvent, the solvent is evaporated and then obtained through a silica column.
  • the compound of [Formula 4] is not reacted first with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3], but the first compound can be obtained even by reacting with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7] first. It is as follows.
  • R is H, C 1-5 alkyl or OCO— (C 6-10 aryl); R 'is H or C 1-5 alkyl; X is O or NH; R '' is C 1-5 alkyl or C 6-10 aryl; X 'is OH or NH 2 ; LG is a leaving group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alogen, OMs, OTs and OTf; Y and Y 'is imidazol-1-yl, Cl, OCCl 3, OC 1- 2 alkyl or OPh independently.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poun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additiv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It may also be used in the form of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and the like, oral formulations,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sterile injectable solution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Suitable formulations known in the art are preferably those disclosed in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recently,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may be included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 benzoate, propylhydroxy 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fillers, extender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ting agents, and surfactants are usually used.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and the solid preparations include at least one excipient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lactose, It is prepared by mixing gelatin.
  • excipients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lactose, It is prepared by mixing gelatin.
  •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are also used.
  • Oral liquid preparations include suspensions, solvents, emulsions, and syrups, and may include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and preservatives, in addition to commonly used simple diluents such as water and liquid paraffin. .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preparations, suppositories.
  • non-aqueous solvent and suspending agent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can be used.
  • base of the suppository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butter, glycerogelatin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at least one known effective ingredient having the effect of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with the compound.
  • the compound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use that can be used for the prophylaxis or treatment of cancer.
  • the compound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 quinonemethide and cinnamaldehyde to be released sequentially under acidic pH and presence of esterases, thereby releasing quinonemethide.
  • the antioxidant GSH may be alkylated to alkylate to inhibit the antioxidant system and increase oxidative stress.
  • the ROS produced by the release of cinnamic aldehyde is accumulated in large amounts to promote apoptosis, thereby synergistic anti-cancer effect through double stimulation response and sequential treatment of cancer cells. It can be usefully used.
  • the term "administration" means providing a subject with any of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suitable manner.
  • the compound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to a subject by various routes. All modes of administration can be expected, for example, by oral, rectal or intravenous, intramuscular, subcutaneous, intrauterine dural or cerebrovascular injection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ood composition
  • a food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pound.
  • the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itably used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adding the compound as it is, or mixing and using with other food or food ingredients.
  • the mixed amount of the compou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prevention, health or therapeutic treatment), the compound may be included in 0.001 to 5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food composi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doesn't happen. If the content is less than 0.001% by weight, the cancer improving effect may be insignificant, and if the content exceeds 50% by weight, it may be uneconomical because the effect increase rate is low.
  • the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anufacture of food or beverage, is added in an amount of 15 wt% or less, preferably 10 wt% or less with respect to the raw material.
  • the compound in the case of long-term ingestion for health and hygiene purposes or health control purposes, it may be added in an amount below the above range, and the compound may be used in an amount above the above range because there is no problem in terms of safety. .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into a beverage, it may contain various ingredients such as various flavoring agent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in the general beverage.
  • natural carbohydrat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and fructos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and sucrose; Natural sweeteners such as dextrin and cyclodextrin, and synthetic sweeteners such as saccharin and aspartame may be used.
  • the natural carbohydrate is 0.01 to 10% by weight, preferably 0.01 to 0.1%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arious nutrients, vitamins, electrolytes, flavors, coloring agents, pectic acid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salts thereof,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adjusting agent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s. And carbonation agents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ulp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s, fruit juice drinks and vegetable drinks. These components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 the ratio of the additi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t is preferably included in the range of 0.01 to 0.1%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1,1'-Carbonyldiimidazole (4.1 g) and cinnamic aldehyde derivative (2) (3.0 g) prepared in 1-2 were dissolved in 50 mL of dry dichloromethane. After reacting at room temperature for 30 minutes. The reaction mixture was evapo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remove dichloromethane and purified by column chromatography using ethyl acetate as elution solvent to afford the title compound (2).
  • OSamp was added to 350 ⁇ M GSH solution, divided into two groups, and esterase was added to only one group.
  • the amount of GSH reduced by the QM emitted from the OSamp was quantified by measuring the absorbance at 405 nm using a microplate reader (Biotek Instruments, Winooski, VT).
  • the GSH amount of the treated cells was compared with the basal GSH content measured in untreated cells, which is shown in FIG. 3B.
  • OSamp was added to 20% serum protein and left for 3 days. Thereafter, OSamp was extracted using ethyl acetate and 1 H NMR was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ure 3c.
  • a six-well plate (5 ⁇ 10 5 / well) is used to reach a colon cancer cell line (SW620) with 80% confluency. ) was inoculated. After SW620 was treated with OSamp for 24 hours, GSH and cinnamic aldehyde levels in cell lysates were analyzed using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LC-MS / M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4. .
  • OSamp treatment was foun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level of intracellular GSH and increase cinnamaldehyde levels compared to untreated cells. This indicates that quinonemethide and cinnamicaldehyde are produced in the cell that eliminate GSH.
  • SW620 cells were stained with dichlorodihydrofluorescein-diacetate (DCDF-DA) as an intracellular ROS probe. The cells were then observed using confocal scanning laser microscopy and flow cytometry,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ure 5b.
  • DCDF-DA dichlorodihydrofluorescein-diacetate
  • OSamp increased the level of intracellular RO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nd it was confirmed that DCFH-DA fluorescence significantly shifted to the right.
  • OSamp produced greater amounts of ROS than cinnamic aldehyde.
  • cells were pretreated with H 2 O 2 -erasing catalase. Catalase inhibited the accumulation of ROS induced by OSamp, confirming that the DCFH-DA fluorescence shifted to the left.
  • OSamp induced dose-dependent ROS production and catalase significantly inhibited ROS accumulation induced by OSamp. This indicates that OSamp induces the accumulation of ROS in cells because QM-mediated GSH clearance makes cells sensitive to cinnamic aldehydes that produce ROS.
  • a unique property of early apoptosis is the disruption of active mitochondria, including changes in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 OSamp on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 the SW620 cell line was divided and treated with cinnamic aldehyde or OSamp by concentration. The control did not process anything.
  • JC-1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probe
  • cinnamic aldehyd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mitochondrial permeability transition, but treatment of OSamp caused a significant loss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In the presence of catalase, the loss of mitochondrial membranes by OSamp was markedly inhibited.
  • cinnamic aldehyde induced an effect on the translocation of cytochrome c to cytosol from mitochondria.
  • OSamp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vels of cytosolic cytochrome c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 Catalase significantly inhibited the levels of cytosol cytochrome c.
  • oxidative stress which increases the apoptosis chain induced by OSamp, is associated with mitochondrial perturbation.
  • apoptosis cells exhibit both strong red (PI) and green (FITC) fluorescence, and catalase inhibits cointernationalization. This indicates that OSamp promotes the production of ROS that induce apoptosis.
  • cinnamic aldehyde 50 ⁇ M had no effect on the degradation of caspase-3, while OSamp induced the degradation of large amounts of caspase-3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which was degraded caspase. It was confirmed by the presence of a strong band of -3.
  • STAT3 Signal transduction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3
  • p-STAT3 phosphorylated (activated) STAT3
  • OSamp showed a weak anti-cancer activity when administered 1 mg / kg, showed a noticeable anti-cancer activity without change in body weight when administered 2 mg / kg or more. Tumor siz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2 mg / kg to 4 mg / kg.
  • tumors of untreated mice consisted of many tumor cells that retained the normal morphology of the apparent membrane and nuclear structure, whereas many tumor cells without nuclei were found in tumors of OSamp treated and CPT treated mice. Was observed.
  • nude mice Male, 6 weeks old, Orient Bio, Korea
  • OSamp 3 days intervals for 2 weeks
  • ALT activity was measu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12. .
  • the OS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s the antioxidant system and promotes apoptosis by activating acidic pH and esterase, which release cinnamaldehyde that produces ROS and GSH that eliminates GSH, respectively, thereby synergizing cancer cells specifically. It was confirmed that it can cause an anticancer effect.
  • the above ingredients are mixed and filled in an airtight cloth to prepare a powder.
  • tablets are prepared by tableting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for preparing tablets.
  • the above ingredients are mixed and filled into gelatin capsules to prepare capsules.
  • the amount of the above ingredient is prepared per ampoule (2 ml).
  • vitamin mixture proper amount vitamin A acetate 70 g, vitamin E 1.0, vitamin B1 0.13, vitamin B2 0.15, vitamin B6 0.5, vitamin B12 0.2 g, vitamin C 10, biotin 10 g, nicotinamide amide 1.7, folic acid 50 g, pantothenic acid Calcium 0.5, an amount of inorganic mixture, ferrous sulfate 1.75, zinc oxide 0.82, magnesium carbonate 25.3, potassium monophosphate 15, dicalcium phosphate 55, potassium citrate 90, calcium carbonate 100 and magnesium chloride 24.8 are mixed, and then granulated To prepare and prepare a health foo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At this time, although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vitamin and mineral mixture is mixed composition of a component suitable for a health food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ormulation ratio may be arbitrarily modified.
  • the compound of formula 1 vitamin C 15g, vitamin E (powder) 100g, iron lactate 19.75g, zinc oxide 3.5g, nicotinamide amide 3.5g, vitamin A 0.2g, vitamin B1 0.25g, vitamin
  • the composition ratio is a relatively suitable composition for the preferred drink in a preferred embodiment, but the composition ratio may be arbitrarily modified according to the regional and ethnic preferences such as the demand hierarchy, the demand country, the intended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남알데히드 및 퀴논메티드를 동시에 생성하는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에스테라아제의 존재 및 산성 pH 조건하에서 ROS를 생성하는 신남알데히드 및 GSH를 소거하는 퀴논메티드를 각각 방출함으로써, 항산화 시스템을 저해시키고 아폽토시스를 촉진시켜 암세포 특이적으로 이중 자극 반응 및 시너지 항암효과를 일으키므로 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남알데히드 및 퀴논메티드를 동시에 생성하는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본 발명은 산성 pH 및 에스테라아제가 존재하는 조건하에서 신남알데히드 및 퀴논메티드를 동시에 생성하는 신규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은 상호보완적 시너지 작용으로 산화스트레스를 증가시키면서 암세포의 사멸을 유도하여 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암은 개체의 필요에 따라 규칙적으로 증식과 억제를 할 수 있는 정상세포와 달리 조직 내에서 필요한 상태를 무시하고 무제한 증식하는 미분화 세포로 구성되어 종양을 형성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체내의 정상세포가 특정한 이유로 하여금 세포내의 유전자에 변화가 일어나 암세포로 변형된 것이다. 세계적으로 암은 전체 사망원인 중 약 13 %를 차지하고 있으며 성별, 나이에 구분 없이 발병이 가능하며 세계 질병 중 2 위의 사망원인, 국내 사망원인 1 위를 차지하는 무서운 질병으로, 암 정복을 목표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 속에서 암의 다양성 및 발병 기전의 다양화로 인해 부작용이 적고 내성을 이겨낼 수 있는 효율적인 항암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새로운 항암제들이 계속해서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자극감응시스템은 pH, 온도, 이온 강도(ionic strength), 전장 (electric field), 자장 (magnetic field), 빛, 초음파 등과 같은 외부환경에 감응해서 전달체가 상전이, 팽윤, 분해 등의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자극 감응 시스템은 약물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약물의 방출 속도를 조절하거나, 특정 부위에 약물이 머물 수 있도록 유도한 방출조절 시스템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암 부위의 pH 는 일반적인 체내의 pH (7.4 ± 0.04)와 다르고 pH 에 민감한 다양한 작용기가 존재하는바, 이를 이용한 약물전달체의 개발이 활발하다.
한편, 신남알데히드(cinnamaldehyde)는 동서양 모두에서 소화불량, 위염, 혈액 순환 장애, 염증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어 온 녹나무과(Lauraceae) 식물인 수피(cinnamomum cassia)의 주약효 성분 물질로서 계피 껍질(cinnamon bark)의 주요 구성 성분이다. 신남알데히드는 Micheal 수용체 약물특이분자단(michael receptor pharmacophore)으로 알려진 α,β-카보닐을 함유하고 있으며,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acises, ROS)을 생성하여 미토콘드리아 막전위(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를 저하시켜 세포에서 시토졸(cytosol)로 시토크롬 C(cytochrome C)의 방출을 통해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물질로서 카스파제(caspase)에 의존하는 기전을 통한 항암 능력이 입증되어 있다. 하지만 신남알데히드와 그 유도체의 뛰어난 항암능력에도 불구하고, 생체 내에서 간 대식세포에 의해 빨리 포획(phagocytosis)되고 1.5시간 미만(수 분, 약 5분)의 짧은 반감기를 가져 암을 표적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임상에서 신남알데히드를 항암치료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항암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물리, 화학적 개질 또는 새로운 약물 전달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퀴논메티드(quinonemethide)는 암세포 내의 필수적인 항산화 효소인 GSH(글루타치온, glutathione)와 반응하여 항산화 수준을 저하시켜 상대적으로 산화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면서 항암효과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신남알데히드의 단점인 짧은 체내 머무름 시간과 약효를 증진시키기고, 이의 항암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시너지 작용을 하는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신남알데히드 및 퀴논메티드를 동시에 생성하는 신규 화합물인 OSamp([4-[[5-methyl-2-(styryl-1,3-dioxan-5-yl)methoxycarbonyloxymethyl]phenyl]benzoate)를 합성하였으며, 상기 제조된 OSamp가 신남알데히드의 체내 머무름 시간을 증진시키고, 더 나아가 암세포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항암효과를 최대로 나타내어 새로운 항암치료제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암세포 조건, 즉 pH가 산성이고 에스테라아제가 존재하는 조건에서 신남알데히드 및 퀴논메티드를 동시에 생성하는 신규 화합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의 제조방법, 암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 및 이를 이용한 암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암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 및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01
R은 H, C1-5 알킬 또는 OCO-(C6-10 아릴); R'는 H 또는 C1-5 알킬; X는 O 또는 NH; 및 R''은 C1-5 알킬 또는 C6-10 아릴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에스테라아제의 존재 및 산성 pH 조건하에서 ROS를 생성하는 신남알데히드 및 GSH를 소거하는 퀴논메티드를 각각 방출함으로써, 항산화 시스템을 저해시키고 아폽토시스를 촉진시켜 암세포 특이적으로 이중 자극 반응 및 시너지 항암효과를 일으키므로 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 및 1-2에서 제조된 신남알데히드 유도체(1)(a) 및 신남알데히드 방출 화합물(2)(b)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4에서 제조된 OSamp의 1H-NMR 스펙트럼(a), 13C NMR 스펙트럼(b), LC-MS(c) 및 DSC 서모그램(d)을 나타낸 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OSamp의 산성 pH에 대한 민감성을 1H-NMR 스펙트럼을 통해 확인한 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OSamp의 에스테라아제에 대한 민감성을 GSH 수치를 통해 확인한 도이다.
도 3c는 혈청 단백질 용액(20%)에서의 OSamp 안정도를 1H NMR로 확인한 도이다.
도 4는 SW620 세포주에서 OSamp에 의한 퀴논메티드 및 신남알데히드의 생성 여부를 확인한 도이다.
도 5a는 SW620 세포주에서 OSamp의 농도에 따른 GSH 소거능을 확인한 도이다.
도 5b는 SW620 세포주에서 OSamp의 농도에 따른 ROS의 수치를 확인한 도이다.
도 5c는 SW620 세포주에서 OSamp의 농도에 따른 세포 내 ROS의 생성을 공초점 주사 레이져 현미경을 통해 확인한 도이다.
도 5d 내지 5f는 각각 DU145(전립선암 세포주)(d), SW620(대장암 세포주)(e) 및 HEK293(인간 신장세포)(f)에서 OSamp의 농도에 따른 세포 독성을 확인한 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OSamp를 처리한 SW620 세포주의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의 변화를 확인한 도이다.
도 6b은 본 발명의 OSamp를 처리한 SW620 세포주의 시토크롬 c의 방출 여부를 확인한 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OSamp를 처리한 SW620 세포주의 형광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OSamp를 처리한 SW620 세포량의 증가를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확인한 도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OSamp를 처리한 SW620 세포주에서 카스파아제-3의 분해 유도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7d는 본 발명의 OSamp를 처리한 SW620 세포주에서 뉴클레오좀 DNA 절편의 양을 관찰한 도이다.
도 7e는 본 발명의 OSamp를 처리한 SW620 세포주에서 p-STAT3의 발현을 관찰한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OSamp를 투여한 종양 마우스 모델에서 OSamp의 투여 후 종양의 크기(a), 종양의 부피 변화(b) 및 무게의 변화(c)를 통해 종양 성장 억제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OSamp를 투여한 종양 마우스 모델에서 OSamp의 농도에 따른 종양의 크기(a), 종양의 부피 변화(b) 및 무게의 변화(c)를 통해 종양 성장 억제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OSamp를 투여한 종양 마우스 모델에서 조직학적 검사(a) 및 면역조직화학 검사(b)를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OSamp을 처리한 종양 및 간에서의 LC-MS/MS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OSamp를 투여한 종양 마우스 모델에서 ALT 활성의 변화(a) 및 간조직의 H&E 염색 결과(b)를 확인한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OSamp와 선행 특허의 QCA의 항암 효과를 비교한 도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02
R은 H, C1-5 알킬 또는 OCO-(C6-10 아릴); R'는 H 또는 C1-5 알킬; X는 O 또는 NH; 및 R''은 C1-5 알킬 또는 C6-10 아릴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신남알데히드(Cinnam aldehyde)는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을 통해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정상 세포에는 미약한 세포 독성을 가진다. 그러나, 신남알데히드의 혈액 내에서의 짧은 반감기 및 일반적인 항암 약물에 비해 낮은 활성에 의해 활용이 제한되어 왔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신남알데히드에 항산화 물질을 소거하는 퀴논메티드 부분을 결합하여 새로운 화합물인 [4-[[5-methyl-2-(styryl-1,3-dioxan-5-yl)methoxycarbonyloxymethyl]phenyl]benzoate] (OSamp)를 제조하였으며, 이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된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03
상기 화합물은 퀴논메티드를 생성하는 에스터 화합물 부분 및 신남알데히드 유도체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에스터 화합물 부분과 신남알데히드 유도체 부분은 카보네이트(carbonate, -OCOO-) 또는 카바메이트(carbamate, -OCONH-)로 연결 될 수 있다. 이 때, 에스터 화합물 부분이 -OCO-와 연결된다.
상기 퀴논메티드 및 신남알데히드는 에스테라아제의 존재 및 산성 pH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특히 이들은 암세포에서 특이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에스테라아제에 의한 에스터 결합 분해를 통해 퀴논메티드를 생성하며 이때 생성된 퀴논메티드는 항산화제 글루타치온(glutathione, GSH)를 알킬화하여 항산화 시스템을 저해시키고 산화 스트레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산성 pH는 본 발명의 아세탈 결합을 절단하여 신남알데히드를 방출하고, 이때 방출된 신남알데히드는 ROS를 생성하여 아폽토시스(apoptosis)를 촉진시킬 수 있다. 항산화 수준이 저하된 상태에서 신남알데히드의 방출에 의해 생성되는 ROS는 대량 축적되어 아폽토시스를 더욱 촉진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암세포-특이적 방식으로 이중 자극 반응 및 순차 치료 작용을 통해 시너지 항암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이는 하기와 같다.
(a) 산성 용액에서 신남알데히드로부터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화학식 3]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04
(b)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화학식 4]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05
[화학식 5]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06
(c) 4-히드록시벤질알콜과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화학식 6]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07
[화학식 7]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08
(d)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7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09
식 중에서,
R은 H, C1-5 알킬 또는 OCO-(C6-10 아릴); R'는 H 또는 C1-5 알킬; X는 O 또는 NH; R''은 C1-5 알킬 또는 C6-10 아릴; X’은 OH 또는 NH2; LG는 할로겐, OMs, OTs 및 OTf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이탈기; Y 및 Y'은 각각 독립적으로 이미다졸-1-일, Cl, OCCl3, OC1- 2알킬 또는 OPh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a) 단계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신남알데히드를 산성 용액에 첨가하고 R’로 치환된 2-하이드록시메틸-1,3-프로판다이올 또는 2-아미노메틸-1,3-프로판다이올과 70~100℃의 고온에서 반응을 진행시킨 후 용매를 증발시켜 얻는다. 상기 산성 용액은 p-톨루엔 설폰산 또는 황산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a) 단계에서 R’로 치환된 2-아미노메틸-1,3-프로판다이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R’로 치환된 2-아미노메틸-1,3-프로판다이올의 아민기 부분을 에틸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반응성을 억제 시킨 후, 신남알데히드와 함께 동일한 과정을 진행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그 후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아민기의 반응성을 되살린 후 나머지 반응은 동일하게 진행한다.
상기 제조된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아세탈 결합을 포함하여 산에서 분해 가능하므로 암세포에서 신남알데히드 방출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b) 단계는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화학식 4]의 화합물과 함께 유기용매에 녹인 후 20~40℃에서 반응시키고 용매를 증발시킨 후 실리카 칼럼을 통하여 얻는다.
상기 (c) 단계는 [화학식 7]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유기용매 하에 4-하이드록시벤질알코올과 [화학식 6]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한다.
상기 [화학식 6]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좋은 이탈기(LG)를 가져 쉽게 4-하이드록시벤질알코올의 하이드록시기와 치환 반응을 할 수 있다. LG로는 할로겐, OMs, OTs 또는 OTf가 가능하다. 여기서 OMs는 메실레이트(mesylate)로 메탄설포네이트기를 지칭하며, OTs는 토실레이트(tosylate)로 p-톨루엔설포네이트기를 지창하고, OTf는 트리플레이트(triflate)로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기를 지칭한다.
상기 (d) 단계는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상기 (b) 단계에서 제조된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기 (c) 단계에서 제조된 [화학식 7]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기용매하에서 반응시킨 후 용매를 증발시킨 후 실리카 칼럼을 통하여 얻는다.
상기 각 단계에서 사용된 유기용매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클로로메탄, 헥산, 디옥산, 벤젠, 디메틸설폭시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의 본 발명 화합물의 제조방법의 대표적인 예는 하기 반응식 1 로 나타낼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10
상기 제조방법에서 [화학식 4]의 화합물을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먼저 반응시키지 않고, [화학식 7]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먼저 반응시켜도 동일한 화합물을 얻을 수 있으며, 그 경우의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a‘) 산성 용액에서 신남알데히드로부터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화학식 3]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11
(b‘) 4-히드록시벤질알콜과 하기 화학식 6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7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화학식 6]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12
[화학식 7]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13
(c‘) 상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화학식 4]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14
[화학식 8]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15
(d‘)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16
식 중에서,
R은 H, C1-5 알킬 또는 OCO-(C6-10 아릴); R'는 H 또는 C1-5 알킬; X는 O 또는 NH; R''은 C1-5 알킬 또는 C6-10 아릴; X’은 OH 또는 NH2; LG는 할로겐, OMs, OTs 및 OTf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이탈기; Y 및 Y'은 각각 독립적으로 이미다졸-1-일, Cl, OCCl3, OC1- 2알킬 또는 OPh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분해 과정의 대표적인 예는 하기 반응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17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는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최근,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이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화합물과 함께 암에 대하여 예방 또는 치료의 효과를 갖는 공지의 유효성분을 1종 이상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용도를 제공한다.본 발명의 화합물은 산성 pH 및 에스테라아제 존재 조건하에서 퀴논메티드와 신남알데히드를 순차적으로 방출되게 하여 퀴논메티드의 방출에 의해 항산화제 GSH를 알킬화하여 알킬화하여 항산화 시스템을 저해시키고 산화 스트레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항산화 수준이 저하된 상태에서 신남알데히드의 방출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ROS)가 대량 축적되어 아폽토시스를 촉진시킴으로써 암세포 특이적으로 이중 자극 반응 및 순차 치료 작용을 통해 시너지 항암효과를 일으켜 항암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암은 폐암, 췌장암, 대장암, 결장직장암, 골수성 백혈병, 갑상선암, 골수형 성이상증후군(MDS), 방광 암종, 표피 암종, 흑색종, 유방암, 전립선암, 두경부암, 자궁암, 난소암, 뇌암, 위암, 후두암, 식도암, 방광암, 구강암, 간엽 기원의 암, 육종, 기형암종, 신경모세포종, 신장 암종, 간암, 비-호지킨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및 갑상선 미분화암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대상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1일 1 mg/ kg 내지 10000 mg/kg의 양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하루에 한번 또는 수 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개체에게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암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치료 방법에서의 “치료”는 상기 화합물이 생체 내 pH 및 에스테라아제에 의해 신남알데히드 및 퀴논메티드로 분해되어 항암 작용하는 것, 상기 화합물이 아폽토시스(apoptosis)를 촉진시키는 것 또는 상기 화합물이 글루타티온(glutathione)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화합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되는 등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합물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화합물은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암 개선 작용이 미미할 수 있으며, 50중량%를 초과할 경우 사용량 대비 효과 상승률이 낮아 비경제적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원료에 대하여 1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이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여 장기간 섭취할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화합물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음료로 제조될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의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로는 포도당, 과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의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의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감미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0.1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첨가제 비율은 크게 제한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0.1중량% 범위내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OSamp의 제조
1-1. 신남알데히드 유도체((5-methyl-2-styryl-1,3-dioxan-5-yl)methanol) (1)의 제조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18
트리스(히드록시메틸)에탄(Tris(hydroxymethyl)ethane)(4.88g)을 70ml의 건조 벤젠(benzene)에 용해시켰다. 그 다음, 반응 용액에 신남알데히드 (5.714mL) 및 p-톨루엔설폰산(p-tolulenesulfonic acid)(40 mg)을 첨가하고 90℃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반응 용액을 상온에서 냉각시키고, 1mL의 트리에틸렌아민(triethyleneamine)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반응 혼합물 내의 벤젠을 회전증발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증발시키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exane/ethyl acetate = 7/3)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상기 표제 화합물의 1H NMR 스펙트럼은 도 1a에 나타내었다.
1-2. 신남알데히드 방출 화합물(2)의 제조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19
1,1'-카보닐디이미다졸(1,1'-Carbonyldiimidazole)(4.1g) 및 상기 1-2에서 제조한 신남알데히드 유도체 (2)(3.0g)를 50mL의 건조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에 용해시킨 후 상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디클로로메탄을 제거하고 에틸아세테이트를 용출 용매로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를 수득하였다.
상기 표제 화합물의 1H NMR 스펙트럼은 도 1b에 나타내었다.
1-3. (4-(히드록시메틸)페닐)벤조에이트의 합성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20
(4-히드록시메틸)페놀(2.0 g)을 실온에서 40 mL의 건조 테트라히드로퓨란에 용해시키고, 염화벤조일(1.87 mL)을 얼음통에서(4℃) 상기 용액에 한방울씩 첨가하였다. 그 후 30분 동안 교반하며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 내 용매를 증발시켜 건조하고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 아세테이트=2/1)을 이용하여 표제 화합물 (3)을 수득하였다.
1-4. OSamp의 제조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21
상기 1-2에서 제조된 화합물 (2)(2 g) 및 상기 1-3에서 제조된 화합물 (3)(2 g)을 4-(디메틸아미노)피리딘(4-(dimethylamino)pyridine)(0.74g)을 포함하는 50mL의 건조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40℃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용매를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2/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OSamp)을 수득하였다.
상기 제조된 표제 화합물(OSamp)의 1H NMR, 13C NMR 스펙트럼, LC-MS 및 DSC 서모그램(thermogram)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각각 도 2a 내지 도 2d에 나타내었다.
도 2a 내지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5.2ppm의 피크로 아세탈 양이온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1. 산성 pH 및 에스테라아제에 대한 OSamp의 민감성 확인
OSamp의 산성에 대한 민감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pH 5.5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1H NMR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a에 나타내었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산성 pH에서 5.2 ppm의 아세탈 양이온의 신호가 감소하고 9.6 ppm의 알데히드 양이온의 신호가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산성 pH에서 OSamp의 아세탈 결합이 끊어지며 신남알데히드를 방출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에스테라아제에 대한 OSamp의 민감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OSamp를 350 μM의 GSH 용액에 첨가하고, 이를 두 군으로 나누어 한 군에만 에스테라아제를 첨가하였다. 이때, OSamp로부터 방출되는 QM에 의해 감소되는 GSH의 양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Biotek Instruments, Winooski, VT)를 사용하여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하였다. 처리된 세포의 GSH 양을 미처리 세포에서 측정된 기저 GSH 함량과 비교하였으며, 이를 도 3b에 나타내었다.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스테라아제의 부재시 OSamp를 첨가한 경우에도 GSH 수치는 변화가 없었으나, 에스테라아제의 존재시, OSamp는 농도 의존적으로 GSH를 소거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에스테라아제로 인해 OSamp의 에스터 결합이 끊어지며 QM을 생성함으로써 GSH를 소거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혈청 단백질 존재하에서 OSamp의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20%의 혈청 단백질에 OSamp을 첨가하고 3일간 두었다. 그 후, 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OSamp를 추출하고, 1H NMR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3c에 나타내었다.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OSamp는 생리적 조건하에서 안정적이며, 산성 pH 및 에스터라아제에 의해 활성화되어 신남알데히드와 퀴논메티드를 생성할 수 있다.
실험예 2. 종양 환경에서 OSamp에 의한 퀴논메티드 및 신남알데히드의 생성 확인
OSamp가 종양 환경에서 퀴논메티드 및 신남알데히드의 생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대장암 세포주(SW620)를 80%의 컨플루언시(confluency)에 도달하도록 6 웰 플레이트(5×105/well)에 접종하였다. 그 후 SW620를 24시간 동안 OSamp로 처리한 후, 세포 용해물 내 GSH 및 신남알데히드 수치를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LC-MS/M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OSamp 처리는 비처리된 세포와 비교하여 세포 내 GSH의 수치를 현저하게 감소시키고, 신남알데히드 수치를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는 세포 내에서 GSH를 소거하는 퀴논메티드 및 신남알데히드가 생성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험예 3. 종양 환경에서 OSamp의 농도에 따른 산화스트레스 증가의 확인
종양 환경에서 OSamp의 농도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SW620 세포주의 군을 나누어 신남알데히드(CA) 또는 OSamp를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대조군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았다. 먼저, SW620 세포 내에서 OSamp의 GSH 수치를 측정하여 GSH 소거능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a에 나타내었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OSamp는 농도 의존적으로 GSH의 세포 내 수치를 현저하게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50 μM의 OSamp에 의해 세포 내 GSH의 반 정도가 소거되었다.
또한, OSamp의 산화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12시간 동안 신남알데히드 또는 OSamp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SW620 세포를 세포 내 ROS 프로브로서 DCDF-DA(dichlorodihydrofluorescein-diacetate)로 염색하였다. 그 후 상기 세포를 공초점 주사 레이져 현미경 및 유세포 분석기(flow cytometry)를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b에 나타내었다.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OSamp는 농도의존적으로 세포 내 ROS의 수치를 증가시켰으며, DCFH-DA 형광이 현저히 오른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50 μM의 같은 농도에서, OSamp은 신남알데히드보다 많은 양의 ROS를 생성하였다. OSamp로 인한 ROS의 생성을 더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를 H2O2-소거 카탈라아제(catalase)로 전처리하였다. 카탈라아제는 OSamp로 인해 유도된 ROS의 축적을 억제하였으며, 이는 DCFH-DA 형광이 왼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DCFH-DA로 염색된 세포의 세포 내 ROS의 생성을 더 확인하기 위하여 공초점 주사 레이져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c에 나타내었다.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OSamp는 용량 의존적으로 ROS 생성을 유도하였으며 카탈라아제는 OSamp에 의해 유도된 ROS 축적을 현저히 억제하였다. 이는 QM-매개된 GSH 소거는 ROS를 생성하는 신남알데히드에 대하여 세포를 민감하게 만들기 때문에 OSamp가 세포 내 ROS의 축적을 유도함을 나타낸다.
또한, 다양한 세포에 대한 OSamp의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DU145(전립선암 세포주), SW620(대장암 세포주) 및 HEK293(인간 신장세포)에 신남알데히드 또는 OSamp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각각 도 5d 내지 5f에 나타내었다.
도 5d 내지 5f에 나타낸 바와 같이, 50 μM의 신남알데히드는 약 20%의 세포 사멸을 유도하였으나, OSamp는 용량 의존적으로 신남알데히드보다 현저히 높은 독성을 나타내었다. 50 μM의 동일한 투여량의 OSamp는 DU145 세포 및 SW620 세포 모두에서 80 % 이상의 세포 사멸 유도를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OSamp는 DU145에 대하여 ~21 μM 및 SW620 세포에 대하여 ~16 μM의 IC50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OSamp는 정상 세포(HEK293)에 대해서는 적은 독성(~40 μM의 IC50)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4. OSamp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세포사멸 경로의 확인
초기 아폽토시스의 독특한 특성은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의 변화를 포함하는 활성 미토콘드리아의 중단이다.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에 미치는 OSamp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SW620 세포주의 군을 나누어 신남알데히드 또는 OSamp를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대조군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았다. 먼저,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 프로브, JC-1를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6a에 나타내었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남알데히드는 미토콘드리아 투과성 전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OSamp의 처리는 농도 의존적으로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의 현저한 손실을 유발하였다. 카탈라아제의 존재시, OSamp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막의 손실은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또한, 미토콘드리아 세포사멸 경로의 대표적인 특징 중 하나가 시토졸로 미토콘드리아 시토크롬 c가 방출되는 것이므로, OSamp가 시토졸로 시토크롬 c의 방출을 유도하는지 여부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6b에 나타내었다.
도 6b에 나탄낸 바와 같이, 신남알데히드는 미토콘드리아에서 시토졸로 시토크롬 c의 전위에 대한 효과를 유도하였다. 반면, OSamp는 농도 의존적으로 시토졸 시토크롬 c의 수치를 현저하게 증가시켰다. 카탈라아제는 시토졸 시토크롬 c의 수치를 현저히 억제하였다. 상기 결과는 OSamp로 인해 유도되는 세포사멸 연쇄를 증가시키는 산화 스트레스는 미토콘드리아의 변화(perturbation)와 관련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실험예 5. OSamp 세포 사멸능력 평가
OSamp 매개된 아폽토시스 세포 사멸 능력을 더 확인하기 위하여, SW620 세포주의 군을 나누어 신남알데히드 또는 OSamp를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대조군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았다. 카탈라아제 첨가군의 경우는 OSamp 처리 10분 전에 카탈라아제(CAT)를 첨가하였다. 그 후 아폽토시스 마커인 FITC(fluorescein isothiocyanate)로 표지된 Annexin V(Annexin V-FITC) 및 세포 생존 마커인 PI(propidium iodide)로 세포를 염색하고, 상기 세포의 형광 현미경 사진을 관찰하였으며, 이를 도 7a에 나타내었다.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멸 세포는 강한 적색(PI) 및 녹색(FITC) 형광을 모두 나타내며, 카탈라아제에는 공동국제화를 억제한다. 이는 OSamp가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ROS의 생성을 촉진하는 것을 나타낸다.
아폽토시스의 추가 분석은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7b에 나타내었다.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8 시간의 처리 후, 신남알데히드(50 μM)는 유의미한 아폽토시스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OSamp는 농도의존적으로 아폽토시스의 현저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이를 후기 사멸 세포에 해당하는 오른쪽 상단 부분의 세포량의 증가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러나, ROS-매개된 아폽토시스는 카탈라아제에 의해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또한 아폽토시스에 참여하는 중요 효소인 카스파아제-3의 발현에 대한 OSamp의 효과를 관찰하였으며, 이를 도 7c에 나타내었다.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남알데히드(50 μM)는 카스파아제-3의 분해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았으나, OSamp는 농도 의존적으로 많은 양의 카스파아제-3의 분해를 유도하였으며, 이는 분해된 카스파아제-3의 강한 밴드의 존재로 확인하였다.
또한 OSamp가 아폽토시스의 특징인 DNA 절편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으며, 이를 도 7d에 나타내었다.
도 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남알데히드는 DNA 절편을 거의 유도하지 않았으나, OSamp는 농도 의존적으로 뉴클레오좀 DNA 절편의 양을 증가시켰다.
STAT3(Signal transduction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3)는 종양 및 항-세포사멸 활성의 잠재적인 전사 인자이며 많은 인간 종양에서 주로 Tyr-705에서 인산화를 통해 구조적으로 활성화된다. 구조적으로 활성화된 STAT3는 다양한 인간 암의 처리를 위한 치료적 표적으로서 고려된다. 따라서 OSamp가 SW620 세포에서 인산화된(활성화된) STAT3(p-STAT3)의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였으며, 이를 도 7e에 나타내었다
도 7e에 나타낸 바와 같이, p-STAT3의 강한 발현은 비처리된 SW620 세포(대조군)에서 나타났다. 신남알데히드는 p-STAT3의 발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OSamp는 tyr-705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STAT-3의 인산화를 현저히 억제하였다. OSamp에 의해 유도된 STAT-3 인산화의 억제는 카탈라아제에 의해 촉진되었으며, 이를 통해 ROS를 생성하는 OSamp가 STAT3 활성화의 억제제로서 항암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OSamp의 치료적 항암 활성 확인
OSamp의 체내 항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SW620 세포의 이종 이식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먼저, SW620 세포를 누드 마우스(수컷, 6 주령, Orient Bio, Korea)의 등 아래쪽에 피하 접종하고 작은 종양(10 mm3)으로 발전했을 때 OSamp의 투여를 시작하였다. OSamp는 3일 간격으로 꼬리에 정맥 투여하고 종양의 크기 및 체중을 23일 동안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8a 내지 8c에 나타내었다.
도 8a 내지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처리된 마우스에서 눈에 띄는 종양의 성장이 관찰되었다. 2 mg/kg의 신남알데히드를 투여한 경우 종양 성장에 대해 미미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같은 양의 OSamp의 경우 체중의 변화 없이 종양의 성장을 현저히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OSamp의 치료 효과를 동일한 양의 상용 항암 약물, 캠토테신(camptothecin, CPT)과 비교하였다. OSamp의 용량 의존적 효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양의 OSamp를 3일 간격으로 꼬리에 정맥 투여하고 종양의 크기 및 체중을 23일 동안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9a 내지 9c에 나타내었다.
도 9a 내지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OSamp는 1 mg/kg 투여시 약한 항암 활성이 관찰되었고, 2 mg/kg 이상 투여시 체중의 변화 없이 눈에 띄는 항암 활성을 나타내었다. 종양의 크기는 2 mg/kg 내지 4 mg/kg에서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OSamp의 항암 활성을 더 확인하기 위하여 조직학적 검사 및 면역조직화학 검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처리된 마우스의 종양은 명백한 막 및 핵 구조의 정상적인 형태를 유지하는 많은 종양 세포로 구성된 반면, OSamp 처리된 마우스와 CPT 처리된 마우스의 종양에서는 핵이 없는 많은 사멸 세포가 관찰되었다.
또한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OSamp 처리된 마우스의 종양은 또한 넓은 영역의 TUNEL(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dUTP nick end) 양성 세포가 관찰되었으며, 이는 OSamp가 종양에서 아폽토시스 세포 사멸을 유도함을 나타낸다.
OSamp의 항암 활성을 더 확인하기 위해 종양 및 간에 대해서 LC-MS/MS 분석을 수행하였다. 오직 OSamp 처리된 생쥐의 종양에서만 신남알데히드 및 GSH의 감소(~40%)가 관측되었으며, 이를 도 11로 나타내었다.
실험예 7. OSamp의 체내 독성 확인
OSamp의 체내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누드 마우스(수컷, 6 주령, Orient Bio, Korea)에 2주 동안 3일 간격으로 OSamp의 투여를 시작하고, ALT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OSamp는 비처리된 마우스와 비교하여 ALT 활성의 변화를 유발하지 않았다.
또한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OSamp 처리된 마우스의 간 조직은 대조군 마우스의 조직과 유사한 변화를 나타냈으며, 이는 전위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양의 OSamp가 간에 만성적인 손상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OSamp는 산성 pH 및 에스테라아제에 의해 활성화되어 ROS를 생성하는 신남알데히드 및 GSH를 소거하는 QM을 각각 방출함으로써 항산화 시스템을 저해시키고 아폽토시스를 촉진시켜 암세포 특이적으로 시너지 항암효과를 일으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8. OSamp와 QCA의 항암 효과 비교
OSamp와 선행 특허의 QCA(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15-0000660)의 항암 효과를 SW620 세포주를 이용하여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3으로 나타내었다. OSamp가 QCA에 비해 더 월등한 항암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 산제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2. 정제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3. 캡슐제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4. 주사제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2 ml)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5. 액제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식품 제제의 제조
1. 건강식품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g, 비타민 E 1.0, 비타민 B1 0.13, 비타민 B2 0.15, 비타민 B6 0.5, 비타민 B12 0.2g, 비타민 C 10, 비오틴 10g, 니코틴산아미드 1.7, 엽산 50g, 판토텐산 칼슘 0.5,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산화아연 0.82, 탄산마그네슘 25.3, 제1인산칼륨 15, 제2인산칼슘 55, 구연산칼륨 90, 탄산칼슘 100 및 염화마그네슘 24.8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2. 건강음료 제조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화학식 1의 화합물, 비타민 C 15g, 비타민 E(분말) 100g, 젖산철 19.75g, 산화아연 3.5g, 니코틴산아미드 3.5g, 비타민 A 0.2g, 비타민 B1 0.25g, 비타민 B2 0.3g 및 정량의 물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청구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18)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22
    R은 H, C1-5 알킬 또는 OCO-(C6-10 아릴); R'는 H 또는 C1-5 알킬; X는 O 또는 NH; 및 R''은 C1-5 알킬 또는 C6-10 아릴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은 수소, 메틸 또는 OCOPh인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는 수소 또는 메틸인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은 메틸 또는 페닐인 화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는 O인 화합물.
  6.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인 화합물:
    [화학식 2]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23
    .
  7. (a) 산성 용액에서 신남알데히드로부터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화학식 3]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24
    (b)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화학식 4]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25
    [화학식 5]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26
    (c) 4-히드록시벤질알콜과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화학식 6]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27
    [화학식 7]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28
    (d)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7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29
    식 중에서,
    R은 H, C1-5 알킬 또는 OCO-(C6-10 아릴); R'는 H 또는 C1-5 알킬; X는 O 또는 NH; R''은 C1-5 알킬 또는 C6-10 아릴; X’은 OH 또는 NH2; LG는 할로겐, OMs, OTs 및 OTf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이탈기; Y 및 Y' 각각 독립적으로 이미다졸-1-일, Cl, OCCl3, OC1- 2알킬 또는 OPh이다.
  8. (a‘) 산성 용액에서 신남알데히드로부터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화학식 3]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30
    (b‘) 4-히드록시벤질알콜과 하기 화학식 6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화학식 6]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31
    [화학식 7]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32
    (c‘) 상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화학식 4]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33
    [화학식 8]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34
    (d‘)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PCTKR2017010454-appb-I000035
    식 중에서,
    R은 H, C1-5 알킬 또는 OCO-(C6-10 아릴); R'는 H 또는 C1-5 알킬; X는 O 또는 NH; R''은 C1-5 알킬 또는 C6-10 아릴; X’은 OH 또는 NH2; LG는 할로겐, OMs, OTs 및 OTf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이탈기; Y 및 Y'은 각각 독립적으로 이미다졸-1-일, Cl, OCCl3, OC1- 2알킬 또는 OPh이다.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으로 사용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1. 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폐암, 췌장암, 대장암, 결장직장암, 골수성 백혈병, 갑상선암, 골수형 성이상증후군(MDS), 방광 암종, 표피 암종, 흑색종, 유방암, 전립선암, 두경부암, 자궁암, 난소암, 뇌암, 위암, 후두암, 식도암, 방광암, 구강암, 간엽 기원의 암, 육종, 기형암종, 신경모세포종, 신장 암종, 간암, 비-호지킨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및 갑상선 미분화암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용도.
  13. 제1항 내지 제6항에 따른 화합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폐암, 췌장암, 대장암, 결장직장암, 골수성 백혈병, 갑상선암, 골수형 성이상증후군(MDS), 방광 암종, 표피 암종, 흑색종, 유방암, 전립선암, 두경부암, 자궁암, 난소암, 뇌암, 위암, 후두암, 식도암, 방광암, 구강암, 간엽 기원의 암, 육종, 기형암종, 신경모세포종, 신장 암종, 간암, 비-호지킨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및 갑상선 미분화암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암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생체 내 pH 및 에스테라아제에 의해 신남알데히드 및 퀴논메티드로 분해되어 항암 작용하는 것인 암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아폽토시스(apoptosis)를 촉진시키는 것인 암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글루타티온(glutathione)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인 암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1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PCT/KR2017/010454 2016-09-23 2017-09-22 신남알데히드 및 퀴논메티드를 동시에 생성하는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WO201805674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374A KR101798203B1 (ko) 2016-09-23 2016-09-23 산성 pH 및 에스테라아제에 의해 신남알데히드 및 퀴논메티드를 동시에 생성하는 혼성 항암 전구약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6-0122374 2016-09-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56742A1 true WO2018056742A1 (ko) 2018-03-29

Family

ID=60387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0454 WO2018056742A1 (ko) 2016-09-23 2017-09-22 신남알데히드 및 퀴논메티드를 동시에 생성하는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8203B1 (ko)
WO (1) WO20180567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6515A (zh) * 2022-04-22 2022-07-29 浙江科技学院 一种双重响应的聚乙二醇前药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7611A (zh) * 2017-11-16 2018-05-11 天津大学 甲基丙烯酸(2-羟甲基-2-甲基-丙二醇肉桂缩醛)酯及其制备方法
KR102111009B1 (ko) * 2018-09-18 2020-05-14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퀴논 메티드를 생성하는 항암 전구체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33858A1 (en) * 1998-12-07 2000-06-15 Ecosmart Technologies, Inc. Cancer treatment composition and method using natural plant essential oils with signal transduction modulators
WO2005065361A2 (en) * 2003-12-31 2005-07-21 Khosrow Kashfi Compoun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dysproliferative diseas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100000553A (ko) * 2008-06-25 2010-01-0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물에 대한 용해도가 개선된 신규 신남알데하이드 유도체,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
KR20150081415A (ko) * 2014-01-03 2015-07-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신남알데히드 및 퀴논 메티드를 동시에 생성하는 혼성 항암 전구약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33858A1 (en) * 1998-12-07 2000-06-15 Ecosmart Technologies, Inc. Cancer treatment composition and method using natural plant essential oils with signal transduction modulators
WO2005065361A2 (en) * 2003-12-31 2005-07-21 Khosrow Kashfi Compoun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dysproliferative diseas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100000553A (ko) * 2008-06-25 2010-01-0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물에 대한 용해도가 개선된 신규 신남알데하이드 유도체,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
KR20150081415A (ko) * 2014-01-03 2015-07-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신남알데히드 및 퀴논 메티드를 동시에 생성하는 혼성 항암 전구약물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AN, E. ET AL.: "Dual Stimuli-Activatabie Oxidative Stress Amplifying Agent as a Hybrid Anticancer Prodrug", BIOCONJUGATE CHEMISTRY, vol. 28, no. 4, 13 February 2017 (2017-02-13), pages 968 - 978, XP055482802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6515A (zh) * 2022-04-22 2022-07-29 浙江科技学院 一种双重响应的聚乙二醇前药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8203B1 (ko) 201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64150A2 (ko) 벤프로페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8056742A1 (ko) 신남알데히드 및 퀴논메티드를 동시에 생성하는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101688887B1 (ko) 신남알데히드 및 퀴논 메티드를 동시에 생성하는 혼성 항암 전구약물 및 이의 제조방법
CA2294250A1 (en) Bis-indole derivatives having antimetastatic activity,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WO2021230600A1 (ko) 대사항암제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WO2019098699A1 (ko) 다이터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47619A (ko) 신규한 칼콘 유도체 및 이의 용도
WO2020218720A1 (ko) 익모초 추출물 또는 레오누린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12064159A2 (ko) 항암용 조성물
WO2016080796A2 (ko) 세스퀴테르펜 화합물을 포함하는, stat3 매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9221453A1 (ko) 관동화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투실라곤 화합물을 함유하는 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2008788A2 (ko) 세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fatty liver diseases containing serine as an active ingredient and the use thereof}
WO2017150934A1 (ko) 판두라틴 또는 핑거루트(보에센베르기아 판두라타)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손실 질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21080129A1 (ko) 하이드란제놀 또는 필로둘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JP5295227B2 (ja) ズダヤクシュ抽出物またはこれから分離された化合物を含む癌疾患の予防および治療用組成物
WO2017142269A1 (ko) 신규한 인돌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WO2015102448A1 (ko) 신남알데히드 및 퀴논 메티드를 동시에 생성하는 혼성 항암 전구약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14299A (ko) RhoA 억제제 및 이의 용도
AU2019381050B2 (en) Anticancer composition
US7939542B2 (en) Cinnamaldehyde derivatives having improved solubility in water,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2176621B1 (ko) 페닐피리미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글루카곤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4168458A1 (en) Use of compounds isolated from morus bark
WO2013100585A2 (ko) 세복수초 추출물 또는 그 유효물질을 이용한 항암제 조성물
WO2014098307A1 (ko) 항암용 약학적 조성물
WO2023214836A1 (ko) 신규 베르베린 유사체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5345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5345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