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56598A1 -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에너지 저장 장치의 화재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에너지 저장 장치의 화재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56598A1
WO2018056598A1 PCT/KR2017/009441 KR2017009441W WO2018056598A1 WO 2018056598 A1 WO2018056598 A1 WO 2018056598A1 KR 2017009441 W KR2017009441 W KR 2017009441W WO 2018056598 A1 WO2018056598 A1 WO 201805659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ire
duct
detector
energy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944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지원
이현민
김석철
이준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EP17853312.1A priority Critical patent/EP3417915B1/en
Priority to US16/079,481 priority patent/US10933263B2/en
Priority to AU2017330796A priority patent/AU2017330796B2/en
Publication of WO201805659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5659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18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gases or vapours that do not support combustion, e.g. steam, 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ergy storage system (ESS) and a fire management method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nergy storage device and an energy management method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fire management system.
  • ESS energy storage system
  • This application is a priority application for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6-0120936, filed September 21, 2016, and all the cont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application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 the energy storage device refers to a device that receives and stores external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for example, a power plant, and transmits the power to where it is needed when power is needed.
  • the energy storage device is a large-capacity power storage device including a battery for power storage.
  • the energy storage device is a device for storing power and using the same at a required place and time. Accordingly, it is currently in the spotlight for storing renewable energy (solar, wind energy, etc.).
  • lithium ion batteries are used for energy storage devices. Normally, batteries lose some of the electricity stored by self discharge, but lithium-ion batteries do not. The storage capacity per unit volume is high, and even a small amount of electricity generated from the solar power generation of the house can be stored without problems. The weaknesses of other batteries, such as 'recharging the battery while it's on electricity, reduces the battery capacity (memory effect)', are not seen. This is the reason for increasing the power storage function of the lithium ion battery.
  • Energy storage devices are usually constructed by loading a battery module of lithium ion batteries into a container.
  • the battery modules are stacked in a plurality of battery rack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predetermined number.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general energy storage device
  • FIG. 2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of FIG. 1.
  • the energy storage device 1 includes a container 2, a battery rack 3, a cooling member 4, and the like.
  • a plurality of battery racks 3 are located inside the container 2.
  • the plurality of battery racks 3 are adjacent to one side wall and the other side wall of the container 2 and ar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wall.
  • a cooling member 4 for cooling the heat generated by the battery rack 3 is located inside the container 2.
  • the energy storage device 1 has a problem in that a large amount of heat is generated because the battery modul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concentrated manne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cooling member 4 must be provided.
  •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5 the control panel 6, and the smoke detector 7 are conventionally provided inside the container 2.
  • a fire extinguishing system 5 is used by mechanically or manually using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5 or by using a smoke detector 7 to determine whether a fire is performed through the control panel 6.
  • a smoke detector 7 to determine whether a fire is performed through the control panel 6.
  • carbon dioxide gas extinguishing method is appli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ergy storage device and a fire management method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fire management system to enable accurate fire determination and suppression. There is this.
  • the energy storage device includes a container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HVAC) system that controls the internal air of the container and controls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ntainer and controls the natural wind flowing into the container; And a fire management system inside the container, wherein the fire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fire extinguishing system and a control panel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 smoke detector, a heat detector and a flame detector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And a duct smoke detector installed in the duct of the HVAC system, wherein the control panel is a mode in which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is operated when all of the smoke detector, the heat detector and the flame detector detect a fire, and the duct smoke detector detects the fire.
  • the mode has a mode for operating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and a mode for operating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by a manual operation button operation.
  • the extinguishing facility may be a fire extinguishing gas injection device of a valve opening and closing method.
  • the duct smoke detector may b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an inlet duct and an outlet duct of the HVAC system.
  • a first zone and a second zone are set up to bisect the interior space, and smoke detectors, heat detectors, and flame detectors are installed in each zone.
  • the smoke detector and the heat detector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wall (ceiling) of the container corresponding to the substantially center portion of each zone, and the flame detector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wall of the container on two opposite side walls of the container. have.
  • control panel may operate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when all three types of detectors installed in the same zone detect a fire, or the different types of detectors installed in different zones may all detect a fire.
  •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can be operated.
  • control panel may be configured to trigger a fire alarm without operating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when all the detectors of the same type installed in different zones detect a fire.
  • the HVAC system further comprises a battery rack including a first battery rack group and a second battery rack group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facing each other relative to the center of the accommodation space,
  • the upper duct is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space, and supplies a cooling fluid to a cooling space that is a space between the first battery rack group and the second battery rack group;
  • a cooling unit positioned outside the accommodation space to cool the cooling fluid;
  • a fluid moving member having a moving space in which the heated cooling fluid moves to the cooling unit after cooling the battery racks, wherein the cooling unit receives the cooled cooling fluid from the moving space and cools it.
  • the duct smoke detector is supplied to the upper duct, and the duct smoke detector is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duct and the fluid moving member.
  • the container the first side wall; A second sidewall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sidewall; A third sidewall facing the first sidewall and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second sidewall; And a fourth sidewall positioned to face the second sidewall and vertically disposed with the first sidewall and the third sidewall, wherein the cooling unit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outer sides of the first sidewall and the third sidewall.
  • the fluid moving member may include: a partition wall disposed above the first battery rack group and the second battery rack group; A pair of blocking plates for blocking a space between the battery rack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first battery rack group or the second battery rack group and the second side wall or the fourth side wall; And a pair of inner ducts connecting a moving space between the cooling unit and the second side wall or the second side wall and the first group of battery racks or the second group of battery racks, wherein the duct smoke detector includes: It can be installed in the inner duct.
  • the container may be provided with a door formed on the second sidewall or the fourth sidewall and positioned adjacent to the first sidewall or the third sidewall and the inner duct may be located higher than the top surface of the door.
  • the upper duct may include a first horizontal portion positioned adjacent to the first side wall; A second horizontal portion adjacent to the third sidewall and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d a center part vertically coupled to a center of the first horizontal part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 respectively, and the duct smoke detector may be installed at the center part.
  •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and the central portion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when viewed from the top, may be formed in an I-shape.
  • the battery racks of the first battery rack group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a first direction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idewal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battery racks of the second battery rack group may b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 the upper duct includes a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cooling fluid to the accommodation space, located in the center portion, the supply unit, the upper portion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flowing inside the duct passes;
  • a plurality of guide plates arranged side by side in a form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irst direction in a central region of the opening;
  • a guide pla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guide plate, and the duct smoke detector may be installed in the supply unit.
  • the supply part may be loca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entral part, and the plurality of supply parts may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first direction.
  • the guide plate controller may control the guide plate to adjust the supply direction of the cooling fluid supplied to the cooling space through the opening.
  • a fire management method of an energy storage device is a fire management method of an energy storage device including a container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an HVAC system, and a fire extinguishing system, the smoke detector, the heat detector, and the flame detector inside the container. And install a duct smoke detector in the duct of the HVAC system to operate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when the smoke detector, the heat detector and the flame detector all detect a fire, or the duct smoke detector detects the fire.
  • a manual operation button characterized in that for operating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are set to divide the internal space, and to install a smoke detector, a heat detector and a flame detector in each zone.
  •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may be operated when all three types of detectors in the same zone detect a fire, or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may be activated when all the different types of detectors in different zones detect a fire. have.
  • three different types of fire detectors are used so that the cause of the fire can be clearly identified.
  • detecting smoke entering through the ducts of the HVAC system it is possible to secure fire alarms and extinguishing equipment operation,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of fire diagnosis.
  • classifying the fire alarm stages in detail the evacuation and action principles of each stage of fire can be clearly defined.
  • the energy storage device may provide a cooling unit outside the space in which the battery rack is accommodated, thereby increasing the number of battery racks located inside the container to improve the energy density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 the space for cooling the battery rack and the space in which the heated cooling fluid is moved may be separated to improve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battery rack.
  • duct smoke detectors can be installed in various locations to improve reliability and accuracy in the event of fire in the event of a fire and diagnostic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general energy storage device.
  • FIG. 2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of FIG. 1.
  • FIG. 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e management method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shown in FIG. 3.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of FIG. 5.
  • FIG. 7 is a view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of FIG. 6 viewed from the A-A direction.
  • FIG. 8 is a view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of FIG. 6 seen in the B-B direction.
  • FIG. 9 is a view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of FIG. 6 viewed from the C-C direction.
  • FIG. 10 is a rear view of the upper duct of FIG. 5.
  •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the Z region of FIG. 10.
  • FIG. 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e management method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shown in FIG. 3.
  • the energy storage device 10 may adjust a container 20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djust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20, and adjus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20.
  •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HVAC) system 30 to control the natural wind flowing into the (20), and a fire management system 40 inside the container (20).
  • HVAC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 the fire management system 40 includes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45 and a control panel 50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 smoke detector 55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20, a heat detector 60, and a flame detector 65. And a duct smoke detector 70 installed in the duct of the HVAC system 30.
  • the control panel 50 operates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45 when the smoke detector 55, the heat detector 60, and the flame detector 65 all detect fire.
  • Mode 1 the mode in which the duct smoke detector 70 operates the extinguishing system 45 when detecting a fire (mode 2) and the mode in which the extinguishing system 45 is operated by a manual operation button operation (mode 3).
  • the smoke detector 55 is a device that detects smoke due to combustion and detects an accident before heat is generated by a fire.
  • An ion detector and a photoelectric detector may be used. Closed, such as the container 20 is suitable for places where a faster detection is required, such as indoors or electricity-related places easy to incomplete combustion.
  • the heat sensor 60 is operated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rises above the set reference point, and is divided into a differential type and a constant temperature type.
  • the differential type detects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generates a higher rate of increase than the normal rate of increase.
  • differential methods such as using air expansion and changing the value of electric resistance due to temperature rise.
  • the constant temperature type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reaches a certain temperature, there is a method of using a bimetal and a method of detecting a change in thermal resistance.
  • the heat detector 60 is further used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the malfunction of the smoke detector 55.
  • the flame detector 65 includes an infrared spot flame detector for detecting infrared rays (IR) emitted from a fire light and an ultraviolet spot flame detector for detecting ultraviolet rays (UV). There is also a combined spot flame detector that combines them. It is a method of detecting energy by converting energy of a specific wavelength (infrared rays, ultraviolet rays) emitted from a flame into electrical energy. This is used for a phenomenon in which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by emitting photoelectrons when a material absorbs light. would have don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me detector 65 is further used in addition to the heat detector 60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the malfunction of the smoke detector 55.
  • IR infrared rays
  • UV ultraviolet rays
  •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45 may be a fire extinguishing gas injection device of a valve opening and closing method.
  • the duct smoke detector 70 may b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an inlet duct and an outlet duct of the HVAC system 30.
  • the energy storage device 10 additionally installs, equips, and combines the heat detector 60 and the flame detector 65 in series, in addition to the smoke detector 55, to ensure that three types of fire alarms are input. Judging by the fact that it is designed to emit digestive gas.
  • a duct smoke detector 70 in the duct of the HVAC system 30, to detect the smoke flowing through the duct. It was diagnosed as a fire to emit a fire alarm and extinguishing gas.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of FIG. 5.
  • the energy storage device 10 ′ includes a container 100, a battery rack 200, an upper duct 300, a cooling unit 400, and a fluid moving member 500.
  • the upper duct 300, the cooling unit 400 and the fluid movement member 500 correspond to the HVAC system 30 in the configura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the energy storage device 10 ′ also includes a fire management system 600.
  • the fire management system 600 includes a fire extinguishing system 645 and a control panel 650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smoke detectors 655a and 655b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100, heat sensors 660a and 660b, and Flame detectors 665a, 665b, and duct smoke detector 670 installed in upper duct 300.
  •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645 may be provided on the side wall or the upper wall of the container 100.
  •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645 may be provided to burn it when ignited inside the container 100.
  •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645 may be a fire extinguishing gas injection device of a valve opening and closing method.
  • the container 100 has an accommodation space 101 therein.
  • the plurality of battery racks 200 and the fluid moving member 500 are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1.
  • the container 100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0 has a gener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 the container 100 has a first sidewall 110, a second sidewall 120, a third sidewall 130, and a fourth sidewall 140.
  •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idewall 120 is called a first direction 12.
  •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12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direction 14.
  •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both the first direction 12 and the second direction 14 is referred to as the third direction 16.
  • the first sidewall 110 and the third sidewall 1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irst direction 12.
  • the second sidewall 120 and the fourth sidewall 14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second direction 14.
  • the second sidewall 120 is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sidewall 110.
  • the second sidewall 120 may be provided longer than the first sidewall 110.
  • the third sidewall 130 is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sidewall 110 facing each other.
  • the third sidewall 130 is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second sidewall 120.
  • the fourth side wall 140 is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side wall 120 facing each other.
  • the fourth side wall 140 is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side wall 110 and the third side wall 130, respectively.
  • the first sidewall 110, the second sidewall 120, the third sidewall 130, and the fourth sidewall 140 may have a length according to the container specification.
  • the length (container length) of the second sidewall 120 and the fourth sidewall 140 is 12.02M
  • the length (container width) of the first sidewall 110 and the third sidewall 130. ) Is 2.34M.
  • the height of the container 100 is 2.38M.
  • the door 150 may be formed on the second sidewall 120.
  • a plurality of doors 150 may be provided.
  • two doors 150 may be provided.
  • One of the two doors 150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first sidewall 110, and the other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third sidewall 130.
  • the battery racks 200 may be disposed side by side in the first direction 12 on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side wall 120 facing the space between the two doors 150.
  • the door 150 is formed on the second sidewall 120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 plurality of doors 150 may be formed on the fourth sidewall 140.
  • the door 150 may be formed on both the second side wall 120 and the fourth side wall 140.
  • the battery rack 200 is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1.
  • the battery rack 200 is provided in plurality.
  • the battery racks 200 include a first battery rack group 201 and a second battery rack group 202.
  • the first battery rack group 201 and the second battery rack group 202 ar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accommodation space 101.
  • the first battery rack group 201 and the second battery rack group 20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second direction 14.
  • the first battery rack group 201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ide wall 1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battery racks 200 of the first battery rack group 201 ar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first direction 12.
  • the second battery rack group 202 is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the fourth side wall 14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battery racks 200 of the second battery rack group 202 ar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first direction 12.
  • 15 battery racks 200 of the first battery rack group 201 and the second battery rack group 202 are provided as examples, but the number of battery racks 200 is limited thereto. It doesn't work.
  • the first battery rack group 201 and the second battery rack group 202 are located in the cooling space 102 of the accommodation space 101.
  • the cooling space 102 is defined as a space therebetween including a space in which the first battery rack group 201 and the second battery rack group 202 are placed among the accommodation spaces 101.
  • the moving space 501 may include a space between the first battery rack group 201 and the second side wall 120, a space between the second battery rack group 202 and the fourth side wall 140, and a fluid moving member (to be described later). It is defined as a space including a space between the inner duct 550 of 500. That is, the moving space 501 is defined as a space in which the fluid moving member 500 described later is provided.
  • the battery rack 200 has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 the battery module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thium ion batteries.
  • the battery rack 200 may include a rack housing, a battery module, a cooling fan, and a battery controller.
  •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may be stacked on each other along the third direction 16.
  • the cooling fan may regulate the fluid flow such that the cooling fluid supplied to the cooling space 102 passes through the battery rack 200.
  • the plurality of cooling fans may be stacked on each other along the third direction 16.
  • the battery controller performs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protection operations of the battery module.
  • the battery controller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fan.
  • the energy storage device 10 ′ sets up a first zone and a second zone to divide the internal space 101, and installs a smoke detector, a heat detector, and a flame detector in each zone.
  • the smoke detector 655a, the heat detector 660a and the flame detector 665a are installed in the first zone
  • the smoke detector 655b, the heat detector 660b and the flame detector 665b are installed in the second zone. Is installed.
  • Smoke detectors, heat detectors, and flame detectors have areas that can be protected by standards.
  • the container 100 is elongated along the first direction 12.
  • Smoke detectors 655a and 655b and heat detectors 660a and 660b are installed on the upper wall of the container 100 corresponding to approximately the center of each zone, and the flame detectors 665a and 665b are the container 100.
  • Two side walls facing each o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wall of the container 100 on the first side wall 110 and the third side wall 130.
  •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each detector is selected to be the most effective fire diagnosis and management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of the container 100 and, if possible, to be installed symmetrically in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 the control panel 650 operates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645 when all three types of detectors installed in the same zone detect a fire, or different types of detectors installed in different zones.
  • both of the fire detection can be to operate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645).
  • the smoke detector 655a, the heat detector 660a, and the flame detector 665a installed in the first zone all operate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645 when detecting a fire.
  • the fire detector 655b, the heat detector 660b, and the flame detector 665b installed in the second zone all operate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645 even when detecting a fire.
  • both the smoke detector 655a and the heat detector 660a installed in the first zone and the flame detector 665b installed in the second zone operate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645 even when detecting a fire.
  • both the smoke detector 655a installed in the first zone, the heat detector 660b installed in the second zone, and the flame detector 665b operate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645 even when detecting a fire.
  • various combinations are possible.
  • control panel 650 may trigger a fire alarm without operating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645 when all the sensors of the same type installed in different zones detect a fire. For example, when the smoke detectors 655a and 655b both detect a fire, when the heat detectors 660a and 660b both detect a fire and when the flame detectors 665a and 665b detect a fire, the fire extinguishment is performed. Fire alarms without triggering facility 645. If three types of detectors are installed but only one of them is fire-diagnosed, the probability of fire is relatively low. Therefore, instead of operating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645 immediately to trigger a fire alarm to be prepared for the future fire.
  • FIG. 10 is a rear view of the upper duct of FIG. 5, and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the Z region of FIG. 10.
  • the upper duct 300 supplies cooling fluid to the accommodation space 101.
  • the upper duct 300 is located above the container 100.
  • the upper duct 30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ooling units 400 to be described later.
  • a space in which the cooling fluid supplied from the cooling unit 400 flows is formed.
  • the upper duct 300 includes a cover part 390, a first horizontal part 310, a second horizontal part 330, a central part 350, and a supply part 370.
  • the duct smoke detector 670 may be installed in the central portion 350, particularly the supply portion 370.
  • the duct smoke detector 670 may install a rod detector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fluid flow in the duct to detect the smoke contained in the fluid.
  • the cover portion 390 has a space therein.
  • the cover portion 390 is generally provid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 the cover part 390 is located above the container 100.
  • the cover 390 is provided in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container 100, and has a lower height in the third direction 16 than the container 100.
  • the first horizontal part 310, the second horizontal part 330, and the central part 350 are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part 390.
  • the first horizontal part 310, the second horizontal part 330, and the central part 35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cooling fluid flows in the respective internal spaces.
  •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310,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330, and the central portion 350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formed in an I-shape which is Roman when viewed from the top.
  •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310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first side wall 110.
  •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310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second direction 14.
  •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330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third sidewall 130.
  •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330 is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310.
  •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330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second direction 14.
  • the central portion 350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centers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310 and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330, respectively.
  • the central portion 350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first direction 12.
  • the supply unit 370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duct 300.
  • the supply unit 370 is located at the central unit 350.
  • the supply unit 370 may pass through the cooling fluid flowing in the central unit 350.
  • the supply unit 370 supplies a cooling fluid to the accommodation space 101.
  • the supply unit 370 is provided in plurality.
  • the plurality of supply parts 370 are position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entral part 350.
  • the plurality of supply parts 37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irst direction 1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supply part 370 includes a frame 372, an opening 371, a guide plate 373 and a guide plate controller 375.
  • the frame 372 forms an empty space in the center.
  • the frame 372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 the opening 371 may pass through a cooling fluid flowing in the upper duct 300.
  • a frame 372 is provided in the opening 371.
  • the opening 371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rectangle.
  • the guide plate 373 is dispos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opening 371.
  • the guide plate 373 may be provided as a thin plate.
  • the guide plate 373 is provided in plurality.
  • the guide plates 373 of the recovery dog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a form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irst direction 12.
  • the guide plate 373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 the guide plate controller 375 controls the rotation angle of the guide plate 373.
  • the guide plate controller 375 adjusts the rotation angle of the guide plate 373 so that the cooling fluid passing through the supply unit 370 is supplied along the first direction 12 of the cooling space 102.
  • the cooling fluid supplied to the cooling space 102 is not directly supplied to the battery rack 200 through the supply unit 370. As such, since the cooling fluid is not directly supplied to the battery rack 200, the cooling fluid may be prevented from colliding with the battery rack 200 to form a vortex.
  • the cooling fluid after being suppli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pace between the first battery rack group 201 and the second battery rack group 202 to the lower side through the battery rack 200 through the cooling fan 250 By cooling the battery rack 200 it is possible to perform a stable cooling of the battery rack 200.
  • the cooling fluid may be supplied directly from the supply unit 370 to the battery rack 200 to prevent the cooling fluid from concentrating onl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rack 200.
  • the cooling unit 400 is located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01.
  • the cooling unit 400 may cool the heated cooling fluid.
  • the cooling unit 400 supplies the cooled cooling fluid to the upper duct 300.
  • the cooling unit 400 may cool the cooling fluid supplied from the moving space 501 to be described later.
  • the cooling unit 400 is provided in plurality. In one embodiment, four cooling units 400 may be provided. Two cooling units 400 may be installed on the first side wall 110. The two cooling units 4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second direction 14. The two cooling units 40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310 and may supply cooling fluid to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310.
  • the other two cooling units 400 may be installed on the third side wall 130.
  • the two cooling units 4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second direction 14.
  • the two cooling units 40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330 and may supply cooling fluid to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330.
  • the duct smoke detector 670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horizontal part 310 and / or the second horizontal part 310 connected to the cooling unit 400.
  • the cooling unit 400 may have a suction part.
  • the suction unit may suck the cooling fluid of the moving space 501.
  • the cooling unit 400 may be provided as an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having a suction unit. Alternatively, it may be provided as a device capable of cooling the cooling fluid.
  • the number of battery racks 3 provided in the container 2 is limited because the cooling member 4 is positioned inside the container 2.
  • the limitation of the number of battery racks 3 lowers the energy density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
  • the cooling unit 400 is located outside the container 100, thereby securing mor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rack 200 therein. As the cooling unit 400 is located outside, more battery racks 200 may be placed in the container 100. Through this, the energy density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0 ′ may be improved.
  • the ratio of the area occupied by the battery rack 200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tainer 100 may be 2/3 or more to improve energy density.
  • the area occupied by the container 100 and the battery rack 200 is an area occupied by the container 100 and the battery racks 200 based on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0 ′ as shown in FIG. 6.
  • FIG. 7 is a view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of FIG. 5 viewed from the AA direction
  • FIG. 8 is a view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of FIG. 5 viewed from the BB direction
  • FIG. 9 is a view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of FIG. 5 viewed from the CC direction.
  • the fluid moving member 500 provides a moving space 501 for moving the cooling fluid cooling the battery rack 200 to move the cooling fluid.
  • two fluid moving members 500 are provided in the container 100 as an example.
  • the two fluid movement members 500 are identical in configuration only in their positions.
  • the fluid movement member 500 positioned around the first battery rack group 201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 the fluid moving member 500 includes a partition 510, a blocking plate 530, and an inner duct 550.
  • the partition wall 510 is positioned above the first battery rack group 201.
  • the partition wall 510 is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wall of the container 100 and the first battery rack group 201.
  • the partition wall 510 prevents the cooling fluid supplied from the upper duct 300 from moving 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battery rack group 201 and the second side wall 120.
  • the partition wall 510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first direction 12.
  • the partition wall 510 may be provided as a plate-shaped plate.
  • the blocking plate 530 blocks a space between the second side wall 120 and the first battery rack group 201.
  • the blocking plate 530 is positioned between the battery rack 200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first battery rack group 201 and the second side wall 120.
  • the blocking plate 530 is provided in pairs.
  • the blocking plate 530 is located facing each other.
  • the pair of blocking plates 530 are spaced apart along the first direction 12.
  • the blocking plate 530 may be provided at the same height as the battery rack 200.
  • the inner duct 550 may have a cooling fluid flowing therein.
  • the inner duct 550 is provided in pairs.
  • the pair of inner ducts 550 are spaced apart along the first direction 12.
  • the inner duct 550 connects the moving space 501 between the second side wall 120 and the first battery rack group 201.
  • the inner duct 550 is located higher than the top surface of the door 150.
  • the inner duct 550 is located on top of the blocking plate 530.
  • the inner duct 550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quadrangle in cross section.
  • One end of the inner duct 550 is connected to the cooling unit 40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space between the second side wall 120 and the first battery rack group 201.
  • the inner duct 550 provides a space for the cooling fluid passing through the battery rack 200 to move to the cooling unit 400.
  • the duct smoke detector 670 may be install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internal duct 550 or the internal duct 550 and the cooling unit 400.
  • the fluid moving member 500 provides a moving space 501 separated from the cooling space 102 through the partition wall 510, the blocking plate 530, and the inner duct 550.
  • the moving space 501 is a space in which cool cooling fluid supplied to the cooling space 102 passes through the battery rack 200 to cool the battery rack 200 and then moves to the cooling unit 400.
  • the cooling fluid cools the battery rack 200
  • the battery rack 200 may be cooled between the battery modules 230 stacked on each other or through each of the battery modules 230.
  • the moving space 501 is formed in the letter T shape when view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second side wall 120 from the center of the cooling space 102.
  • the moving space 501 is separated from the cooling space 102 and passes through the battery rack 200, thereby allowing the heated cooling fluid to move without mixing with the cooling fluid of the cooling space 102 so that the moving space of the battery rack 200 can be moved. Cool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 the flow of the cooling fluid in the energy storage device 10 ′ of FIG. 3 will be described.
  • 4 and 5 schematically show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oling fluid flows.
  • the initial cooling fluid moves from the cooling unit 400 to the upper duct 300.
  • the cooling fluid moves to the upper duct 300 through the cooling unit 400 positioned on the first side wall 110 or the third side wall 130.
  • the cooling fluid moves from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310 to the central portion 350 or from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330 to the central portion 350.
  • the cooling fluid is moved to the cooling space 102 through the supply part 370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entral part 350 during the process of moving to the central part 350.
  • the cooling fluid moved to the cooling space 102 passes through the battery module 230 by the cooling fan 250 of the battery rack 200.
  • the cooling fluid cools the battery module 230 while passing through the battery module 230.
  • the cooling fluid may cool the battery rack 200 between each battery module 230 provided through each other or through each battery module 230.
  • the cooling fluid passing through the battery module 230 moves to the cooling unit 400 through the moving space 501 separated from the cooling space 102.
  • the heated cooling fluid moved to the cooling unit 400 is cooled again and supplied to the upper duct 300.
  • the energy storage device 10 ′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ooling unit 400, the upper duct 300, the cooling space 102, the battery module 230, the moving space 501, and again the cooling unit.
  • the battery 400 may be cooled by circulating the cooling fluid to 400. In this process, the cooling space 102 and the moving space 501 in which the heated cooling fluid moves may be separated to improve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battery rack 200.
  • the energy storage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bination of smoke detectors 655a and 655b, heat detectors 660a and 660b, and flame detectors 665a and 665b, and duct smoke detector 670.
  • the duct smoke detector 670 may be installed in the upper duct 300, the fluid moving member 500, or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duct smoke detector 500 and the cooling unit 400 to more accurately diagnose the fire inside the container 10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정확한 화재 판단 및 진압이 가능하도록 화재 관리 시스템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에너지 저장 장치의 화재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는, 컨테이너,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시스템, 및 화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화재 관리 시스템은, 소화설비와 제어반;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 설치된 연기 감지기, 열 감지기 및 불꽃 감지기; 및 상기 HVAC 시스템의 덕트에 설치된 덕트 연기 감지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반은 상기 연기 감지기, 열 감지기 및 불꽃 감지기가 모두 화재를 감지할 시 상기 소화설비를 작동시키는 모드, 상기 덕트 연기 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할 시 상기 소화설비를 작동시키는 모드 및 수동 조작 버튼 동작으로 상기 소화설비를 작동시키는 모드를 갖는다.

Description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에너지 저장 장치의 화재 관리 방법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 ESS) 및 에너지 저장 장치의 화재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관리 시스템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에너지 저장 장치의 화재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6년 9월 21일자로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번호 제10-2016-0120936호에 대한 우선권주장출원으로서, 해당 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원용된다.
에너지 저장 장치는 외부 전력원, 예를 들면, 발전소에서 외부 전력을 공급받아 저장하여, 전력이 필요한 시점에 필요한 곳으로 전송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즉, 에너지 저장 장치는 전력 저장용 배터리를 포함한 대용량 전력 저장 장치로서, 전력을 저장해 필요한 장소와 시간에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장치이다. 이에 따라 현재에는 신재생 에너지(태양광, 풍력에너지 등) 저장용으로 각광받고 있다.
현재 에너지 저장 장치에는 리튬 이온 배터리가 이용되고 있다. 보통 축전지는 자기 방전에 의하여 축전된 전기를 다소 잃게 되지만, 리튬 이온 배터리에는 그러한 현상이 없다. 단위 부피당 축전 능력도 높고, 주택의 태양광 발전에서 생기는 적은 양의 전기라도 문제없이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축전지들의 약점인 '전기가 남아있는 동안에 충전하면 축전지 용량이 감소하는 (메모리 효과)' 것과 같은 현상도 나타나지 않는다. 이러한 특징이 리튬 이온 배터리의 축전 기능을 높이는 이유이다.
에너지 저장 장치는 보통 컨테이너 안에 리튬 이온 배터리로 구성된 배터리 모듈을 적재하여 구성한다. 이 배터리 모듈은 다단으로 형성된 배터리 랙에 일정 개수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재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에너지 저장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에너지 저장 장치(1)는 컨테이너(2), 배터리 랙(3) 그리고 냉각 부재(4) 등을 포함한다.
컨테이너(2) 내부에는 복수개의 배터리 랙(3)이 위치된다. 복수개의 배터리 랙(3)은 컨테이너(2)의 일측벽 및 타측벽과 인접하며, 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다. 또한, 컨테이너(2) 내부에는 배터리 랙(3)에서 발생된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부재(4)가 위치한다.
에너지 저장 장치(1)는 많은 수의 배터리 모듈을 서로 연결하여 집중적으로 배치하기 때문에, 발열량이 매우 많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냉각 부재(4)가 필수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자칫 화재가 일어날 경우 큰 대형 사고로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할 화재 관리 시스템도 필요하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컨테이너(2) 내부에 소화설비(5)와 제어반(6), 그리고 연기 감지기(7)가 마련되어 있다.
화재 대처법으로, 종래에는 소화설비(5)를 기계적으로 또는 수동적으로 사용하거나 연기 감지기(7)만으로 화재 여부를 판단하여 제어반(6)을 통해 소화설비(5)를 작동시키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소화설비(5)의 경우 이산화탄소 가스 소화방식을 적용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화재 여부 판단에 있어서 연기 감지기(7)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화재와 관련 없는 연기, 이를 테면 냉각 부재(4)에서 내/외부 온도차이로 발생되는 연기, 수증기, 외부 유입 모래먼지 등을 화재로 인식하여 소화설비(5)를 오작동시킬 수 있는 우려가 있다.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소화가스가 방출될 경우, 컨테이너(2) 내부 구성품들, 예를 들어 배터리, 컴퓨터(미도시) 등은 모두 사용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에너지 저장 장치 내 소화설비 동작에 대한 신뢰성 및 정확성을 더욱 높일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화재 관리 시스템의 정밀도를 향상시켜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정확한 화재 판단 및 진압이 가능하도록 화재 관리 시스템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에너지 저장 장치의 화재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공기를 조화시킴과 더불어 상기 컨테이너 내부 온도를 조절하고 상기 컨테이너로 인입되는 자연풍을 조절하는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시스템; 및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화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화재 관리 시스템은, 상기 수용 공간에 위치하는 소화설비와 제어반;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 설치된 연기 감지기, 열 감지기 및 불꽃 감지기; 및 상기 HVAC 시스템의 덕트에 설치된 덕트 연기 감지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반은 상기 연기 감지기, 열 감지기 및 불꽃 감지기가 모두 화재를 감지할 시 상기 소화설비를 작동시키는 모드, 상기 덕트 연기 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할 시 상기 소화설비를 작동시키는 모드 및 수동 조작 버튼 동작으로 상기 소화설비를 작동시키는 모드를 갖는다.
상기 소화설비는 밸브 개폐 방식의 소화가스 분사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덕트 연기 감지기는 상기 HVAC 시스템의 인렛(inlet) 덕트 및 아울렛(outlet) 덕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을 양분하도록 제1 구역과 제2 구역을 설정하고, 각 구역마다 연기 감지기, 열 감지기 및 불꽃 감지기를 설치한다. 이 때, 상기 연기 감지기와 열 감지기는 상기 각 구역의 대략 중앙 부위에 해당하는 상기 컨테이너의 상벽(천장)에 설치되고 상기 불꽃 감지기는 상기 컨테이너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벽 위 상기 컨테이너 상벽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제어반은 동일한 구역 내 설치된 세 가지 종류의 상기 감지기가 모두 화재를 감지할 시 상기 소화설비를 작동시키거나, 서로 다른 구역 내 설치된 서로 다른 종류의 상기 감지기가 모두 화재를 감지할 시 상기 소화설비를 작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반은 서로 다른 구역 내 설치된 동일한 종류끼리의 상기 감지기가 모두 화재를 감지할 시 상기 소화설비를 작동시키지 않고 화재 경보를 발동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 공간의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는 제1 배터리 랙 그룹과 제2 배터리 랙 그룹을 포함하는 배터리 랙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HVAC 시스템은, 상기 수용 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배터리 랙 그룹과 상기 제2배터리 랙 그룹의 사이 공간인 냉각 공간으로 냉각 유체를 공급하는 상부 덕트; 상기 수용 공간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냉각 유체를 냉각시키는 냉각 유닛; 및 상기 배터리 랙들을 냉각시킨 후 가열된 상기 냉각 유체가 상기 냉각 유닛으로 이동하는 이동 공간을 가지는 유체 이동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냉각 유닛은 가열된 상기 냉각 유체를 상기 이동 공간으로부터 공급받아 냉각시킨 후 상기 상부 덕트로 공급하며, 상기 덕트 연기 감지기는 상기 상부 덕트 및 상기 유체 이동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컨테이너는, 제1 측벽; 상기 제1 측벽과 수직으로 위치하는 제2 측벽; 상기 제1 측벽과 마주보며, 상기 제2 측벽과 수직으로 위치하는 제3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과 마주보며 위치하며, 상기 제1 측벽 및 제3 측벽과 수직으로 위치하는 제4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3 측벽의 외측에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유체 이동 부재는, 상기 제1 배터리 랙 그룹 및 상기 제2 배터리 랙 그룹의 상부에 위치하는 격벽; 상기 제1 배터리 랙 그룹 또는 상기 제2 배터리 랙 그룹의 최외곽에 위치하는 상기 배터리 랙과 상기 제2 측벽 또는 상기 제4 측벽의 사이 공간을 차단하는 한 쌍의 차단 플레이트; 및 상기 냉각 유닛과 상기 제2 측벽 또는 제2 측벽과 상기 제1 배터리 랙 그룹 또는 상기 제2 배터리 랙 그룹 사이에 이동 공간을 연결시켜주는 한 쌍의 내부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 연기 감지기는 상기 내부 덕트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에는 상기 제2 측벽 또는 상기 제4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벽 또는 상기 제3 측벽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도어가 제공되며 상기 내부 덕트는 상기 도어의 상부면보다 더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덕트는, 상기 제1 측벽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1 수평부; 상기 제3 측벽과 인접하며, 상기 제1 수평부와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2 수평부; 및 상기 제1 수평부 및 상기 제2 수평부의 중앙에 각각 수직하게 결합되는 중앙부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 연기 감지기는 상기 중앙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수평부, 상기 제2 수평부 그리고 상기 중앙부는 서로 조합되어, 상부에서 바라 볼 때, Ⅰ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배터리 랙 그룹의 상기 배터리 랙들은 상기 제2 측벽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제1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배터리 랙 그룹의 상기 배터리 랙들은 상기 제4 측벽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상부 덕트는, 상기 수용 공간에 상기 냉각 유체를 공급하고, 상기 중앙부에 위치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부는, 상기 상부 덕트의 내부에 흐르는 상기 냉각 유체가 통과되는 개구; 상기 개구의 중앙 영역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형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복수개의 가이드 판; 및 상기 가이드판을 제어하는 가이드판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덕트 연기 감지기는 상기 공급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공급부는 상기 중앙부의 하면에 복수개 위치하며, 복수개의 상기 공급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판 제어기는 상기 개구를 통해서 상기 냉각 공간으로 공급되는 상기 냉각 유체의 공급 방향을 조절하도록 상기 가이드 판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화재 관리 방법은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는 컨테이너, HVAC 시스템 및 소화설비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화재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 연기 감지기, 열 감지기 및 불꽃 감지기를 설치하고, 상기 HVAC 시스템의 덕트에 덕트 연기 감지기를 설치하여, 상기 연기 감지기, 열 감지기 및 불꽃 감지기가 모두 화재를 감지할 시 상기 소화설비를 작동시키거나, 상기 덕트 연기 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할 시 상기 소화설비를 작동시키거나, 수동 조작 버튼 동작으로 상기 소화설비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내부 공간을 양분하도록 제1 구역과 제2 구역을 설정하고, 각 구역마다 연기 감지기, 열 감지기 및 불꽃 감지기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구역 내 설치된 세 가지 종류의 상기 감지기가 모두 화재를 감지할 시 상기 소화설비를 작동시키거나, 서로 다른 구역 내 설치된 서로 다른 종류의 상기 감지기가 모두 화재를 감지할 시 상기 소화설비를 작동시킬 수 있다.
서로 다른 구역 내 설치된 동일한 종류끼리의 상기 감지기가 모두 화재를 감지할 시 상기 소화설비를 작동시키지 않고 화재 경보를 발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 가지 다른 종류의 화재 감지기를 사용하므로 화재의 원인을 명확히 알아낼 수 있다. HVAC 시스템의 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 경보 및 소화 설비동작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화재 진단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화재 경보 단계를 세부적으로 분류함으로써, 화재 단계별 대피 및 행동 원칙을 명확히 정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구성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는 배터리 랙이 수용되는 공간의 외측에 냉각 유닛을 제공하여, 컨테이너 내부에 위치하는 배터리 랙의 개수를 최대로 하여 에너지 저장 장치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랙을 냉각시키는 공간과 가열된 냉각 유체가 이동되는 공간을 분리하여 배터리 랙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치에 덕트 연기 감지기를 설치하여 화재 발생시, 진단 및 소화 가스 방출에 대한 신뢰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에너지 저장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화재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에너지 저장 장치를 A-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에너지 저장 장치를 B-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에너지 저장 장치를 C-C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의 상부 덕트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Z 영역의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화재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에너지 저장 장치(1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는 컨테이너(20), 상기 컨테이너(20)의 내부 공기를 조화시킴과 더불어 상기 컨테이너(20) 내부 온도를 조절하고 상기 컨테이너(20)로 인입되는 자연풍을 조절하는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시스템(30), 및 상기 컨테이너(20) 내부의 화재 관리 시스템(40)을 포함한다.
상기 화재 관리 시스템(40)은, 상기 수용 공간에 위치하는 소화설비(45)와 제어반(50), 상기 컨테이너(20) 내부에 설치된 연기 감지기(55), 열 감지기(60) 및 불꽃 감지기(65), 그리고 상기 HVAC 시스템(30)의 덕트에 설치된 덕트 연기 감지기(7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반(5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기 감지기(55), 열 감지기(60) 및 불꽃 감지기(65)가 모두 화재를 감지할 시 상기 소화설비(45)를 작동시키는 모드(모드 1), 상기 덕트 연기 감지기(70)가 화재를 감지할 시 상기 소화설비(45)를 작동시키는 모드(모드 2) 및 수동 조작 버튼 동작으로 상기 소화설비(45)를 작동시키는 모드(모드 3)를 갖는다.
상기 연기 감지기(55)는 연소로 인한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에 의해 열이 발생하기 전에 사고를 발견하는 장치로, 이온식 감지기와 광전식 감지기가 사용될 수 있다. 컨테이너(20)와 같이 밀폐되어 불완전 연소가 쉬운 실내나 전기와 관련된 곳 등 보다 빠른 감지가 요구되는 장소에 적합하다.
열 감지기(60)는 주위의 온도가 설정이 된 기준점의 이상으로 상승을 하게 되면 작동을 하게 되는 것으로서 차동식과 정온식으로서 나누어진다. 차동식은 주위온도가 일반적인 상승률보다도 높은 상승률을 발생을 할 때에 감지를 하는 것으로서 공기팽창을 이용을 하는 것과 온도상승에 의한 전기저항의 값의 변화로서 감지를 하는 방식이 있다. 정온식의 경우에는 주위온도가 일정한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작동을 하는 방식으로서 바이메탈을 이용을 하는 방식과 열저항의 변화로서 감지를 하는 방식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연기 감지기(55) 오작동으로 인한 문제 해결을 위해 열 감지기(60)를 더 이용한다.
불꽃 감지기(65)는 화재의 불빛에서 방출을 하는 적외선(IR)을 검출을 하는 적외선식 스폿형 불꽃 감지기와 자외선(UV)을 검출을 하는 자외선식 스폿형 불꽃 감지기가 있다. 또한 이들을 혼합을 한 병용식 스폿형 불꽃 감지기도 있다. 불꽃에서 방출을 하는 특정한 파장(적외선, 자외선)의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화를 시켜서 이를 검출을 하는 방식으로서 이는 물질이 빛을 흡수를 하게 되면 광전자를 방출을 하여 기전력이 발생을 하는 현상에 대해서 이용을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연기 감지기(55) 오작동으로 인한 문제 해결을 위해 열 감지기(60) 이외에도 불꽃 감지기(65)를 더 이용한다.
상기 소화설비(45)는 밸브 개폐 방식의 소화가스 분사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덕트 연기 감지기(70)는 상기 HVAC 시스템(30)의 인렛 덕트 및 아울렛 덕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너지 저장 장치(10)는 연기 감지기(55) 이외에, 열 감지기(60) 및 불꽃 감지기(65)를 추가적으로 설치/구비하고 직렬로 조합하여, 세 종류의 화재 경보가 입력되는 경우를 확실한 화재로 판단하여 소화가스를 방출하도록 설계한 것이다.
또한, 상기 HVAC 시스템(30)의 덕트에 덕트 연기 감지기(70)를 설치하여, 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연기를 감지. 화재로 진단하여 소화 경보 및 소화 가스를 방출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오로지 컨테이너 상벽에 설치된 연기 감지기만을 이용하여 정확한 화재 진단에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 구성에 따르면, 화재 발생시, 진단 및 소화 가스 방출에 대한 신뢰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세 가지 다른 종류의 화재 감지기를 사용하므로 화재의 원인을 명확히 알아낼 수 있다. 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연기까지 감지하여 정확한 화재 경보 및 소화 설비(45)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에너지 저장 장치(10')는 컨테이너(100), 배터리 랙(200), 상부 덕트(300), 냉각 유닛(400) 그리고 유체 이동 부재(500)를 포함한다. 상부 덕트(300), 냉각 유닛(400) 그리고 유체 이동 부재(500)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에서 HVAC 시스템(30)에 해당한다. 그리고, 에너지 저장 장치(10')는 화재 관리 시스템(600)을 포함한다. 상기 화재 관리 시스템(600)은, 상기 수용 공간에 위치하는 소화설비(645)와 제어반(650), 상기 컨테이너(100) 내부에 설치된 연기 감지기(655a, 655b), 열 감지기(660a, 660b) 및 불꽃 감지기(665a, 665b), 그리고 상부 덕트(300)에 설치된 덕트 연기 감지기(670)를 포함한다. 소화설비(645)는 컨테이너(100)의 내부에 측벽 또는 상벽에 제공될 수 있다. 소화설비(645)는 컨테이너(100)의 내부에 발화 시 이를 연소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소화설비(645)는 밸브 개폐 방식의 소화가스 분사 장치일 수 있다.
컨테이너(100)는 내부에 수용 공간(101)을 가진다. 수용 공간(101)에는 복수개의 배터리 랙(200) 및 유체 이동 부재(500)가 위치된다. 에너지 저장 장치(10’)의 컨테이너(100)는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컨테이너(100)는 제1 측벽(110), 제2 측벽(120), 제3 측벽(130), 그리고 제4 측벽(140)을 가진다.
여기서, 제2 측벽(120)의 길이 방향을 제1 방향(12)이라 한다. 상부에서 바라 볼 때, 제1 방향(12)과 수직한 방향을 제2 방향(14)이라 한다. 제1 방향(12) 및 제2 방향(14) 모두에 수직한 방향을 제3 방향(16)이라 한다.
제1 측벽(110)과 제3 측벽(130)은 제1 방향(12)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한다. 제2 측벽(120)과 제4 측벽(140)은 제2 방향(14)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한다.
제2 측벽(120)은 제1 측벽(110)과 수직하게 위치된다. 제2 측벽(120)은 제1 측벽(110)보다 그 길이가 길게 제공될 수 있다. 제3 측벽(130)은 제1 측벽(110)과 서로 마주보며 평행하게 위치된다. 제3 측벽(130)은 제2 측벽(120)과 수직하게 위치된다. 제4 측벽(140)은 제2 측벽(120)과 서로 마주보며 평행하게 위치된다. 제4 측벽(140)은 제1 측벽(110) 및 제3 측벽(130)과 각각 수직하게 위치된다.
제1 측벽(110), 제2 측벽(120), 제3 측벽(130), 그리고 제4 측벽(140)은 컨테이너 규격에 따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40FT 컨테이너인 경우, 제2 측벽(120)과 제4 측벽(140)의 길이(컨테이너 길이)는 12.02M이고, 제1 측벽(110)과 제3 측벽(130)의 길이(컨테이너 너비)는 2.34M이다. 그리고 컨테이너(100) 높이는 2.38M이다.
제2 측벽(120)에는 도어(150)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150)는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150)는 두 개가 제공될 수 있다. 두 개의 도어(150) 중 어느 하나는 제1 측벽(110)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다른 하나는 제3 측벽(130)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두 개의 도어(150)의 사이 공간과 마주하는 제2 측벽(120)의 내측에는 배터리 랙(200)들이 제1 방향(12)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측벽(120)에 도어(150)가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어(150)는 제4 측벽(140)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어(150)는 제2 측벽(120) 및 제4 측벽(140)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배터리 랙(200)은 수용 공간(101)에 위치한다. 배터리 랙(200)은 복수개 제공된다. 배터리 랙(200)들은 제1 배터리 랙 그룹(201)과 제2 배터리 랙 그룹(202)을 포함한다.
제1 배터리 랙 그룹(201)과 제2 배터리 랙 그룹(202)은 수용 공간(101)의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며 위치한다. 제1 배터리 랙 그룹(201)과 제2 배터리 랙 그룹(202)은 제2 방향(14)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제1 배터리 랙 그룹(201)은 제2 측벽(120)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한다. 제1 배터리 랙 그룹(201)의 배터리 랙(200)들은 제1 방향(12)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다.
제2 배터리 랙 그룹(202)은 제4 측벽(140)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한다. 제2 배터리 랙 그룹(202)의 배터리 랙(200)들은 제1 방향(12)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배터리 랙 그룹(201) 및 제2 배터리 랙 그룹(202)의 배터리 랙(200)은 각각 15개가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배터리 랙(20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배터리 랙 그룹(201)과 제2 배터리 랙 그룹(202)은 수용 공간(101) 중 냉각 공간(102)에 위치한다.
여기서, 냉각 공간(102)이란, 수용 공간(101) 중 제1 배터리 랙 그룹(201)과 제2 배터리 랙 그룹(202)의 놓이는 공간을 포함하는 그 사이 공간으로 정의한다. 이동 공간(501)은 제1 배터리 랙 그룹(201)과 제2 측벽(120)의 사이 공간, 제2 배터리 랙 그룹(202)과 제4 측벽(140)의 사이 공간 그리고 후술하는 유체 이동 부재(500)의 내부 덕트(550)의 사이 공간을 포함하는 공간으로 정의한다. 즉, 이동 공간(501)은 후술하는 유체 이동 부재(500)가 제공되는 공간으로 정의한다.
배터리 랙(200)은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을 가진다. 배터리 모듈에는 복수개의 리튬 이온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 배터리 랙(200)은 랙 하우징, 배터리 모듈, 냉각 팬, 그리고 배터리 제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은 제3 방향(16)을 따라 서로 적층되어 위치할 수 있다. 냉각 팬은 냉각 공간(102)에 공급된 냉각 유체가 배터리 랙(200)을 통과하도록 유체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복수개의 냉각 팬들은 제3 방향(16)을 따라 서로 적층되어 위치할 수 있다. 배터리 제어부는 배터리 모듈의 충방전 및 보호 동작을 수행한다. 배터리 제어부는 냉각 팬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장치(10')는 상기 내부 공간(101)을 양분하도록 제1 구역과 제2 구역을 설정하고, 각 구역마다 연기 감지기, 열 감지기 및 불꽃 감지기를 설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구역에 연기 감지기(655a), 열 감지기(660a) 및 불꽃 감지기(665a)가 설치되고 제2 구역에 연기 감지기(655b), 열 감지기(660b) 및 불꽃 감지기(665b)가 설치된다. 연기 감지기, 열 감지기, 불꽃 감지기는 규격별로 방호할 수 있는 면적이 정해져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설치한다.
40FT 컨테이너의 규격을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100)는 제1 방향(12)을 따라 길쭉한 형태이다. 이러한 컨테이너(100)의 내부 공간(101)에 대한 화재 관리를 원활히 하기 위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공간(101)을 제2 방향(14)을 따라 양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기 감지기(655a, 655b)와 열 감지기(660a, 660b)는 상기 각 구역의 대략 중앙 부위에 해당하는 상기 컨테이너(100)의 상벽에 설치되고 상기 불꽃 감지기(665a, 665b)는 상기 컨테이너(100)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벽,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측벽(110)과 제3 측벽(130) 위 컨테이너(100) 상벽에 설치될 수 있다. 각 감지기의 설치 위치는 컨테이너(100)의 형상을 고려하여 가장 효과적인 화재 진단 및 관리가 될 수 있는 위치로 선정하며 가능하면 제1 구역과 제2 구역에 서로 대칭적으로 설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제어반(650)은 동일한 구역 내 설치된 세 가지 종류의 상기 감지기가 모두 화재를 감지할 시 상기 소화설비(645)를 작동시키거나, 서로 다른 구역 내 설치된 서로 다른 종류의 상기 감지기가 모두 화재를 감지할 시 상기 소화설비(645)를 작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역에 설치된 연기 감지기(655a), 열 감지기(660a) 및 불꽃 감지기(665a)가 모두 화재를 감지할 시 상기 소화설비(645)를 작동시킨다. 제2 구역에 설치된 연기 감지기(655b), 열 감지기(660b) 및 불꽃 감지기(665b)가 모두 화재를 감지할 시에도 상기 소화설비(645)를 작동시킨다. 가령, 제1 구역에 설치된 연기 감지기(655a)와 열 감지기(660a), 그리고 제2 구역에 설치된 불꽃 감지기(665b)가 모두 화재를 감지할 시에도 상기 소화설비(645)를 작동시킨다. 다른 예로 제1 구역에 설치된 연기 감지기(655a)와 제2 구역에 설치된 열 감지기(660b), 그리고 불꽃 감지기(665b)가 모두 화재를 감지할 시에도 상기 소화설비(645)를 작동시킨다. 여기 열거한 예 이외에도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반(650)은 서로 다른 구역 내 설치된 동일한 종류끼리의 상기 감지기가 모두 화재를 감지할 시 상기 소화설비(645)를 작동시키지 않고 화재 경보를 발동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기 감지기(655a, 655b)가 모두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열 감지기(660a, 660b)가 모두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그리고 불꽃 감지기(665a, 665b)가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는 상기 소화설비(645)를 작동시키지 않고 화재 경보를 발동하도록 한다. 세 종류의 감지기를 설치하지만 그 중 한 종류의 감지기만 화재 진단하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화재 발생 가능성이 낮은 것이다. 따라서, 바로 소화설비(645)를 작동하는 대신 화재 경보를 발동하여 추후 화재에 대비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화재 발생시, 진단 및 소화 가스 방출에 대한 신뢰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세 가지 다른 종류의 화재 감지기를 사용하므로 화재의 원인을 명확히 알아낼 수 있다. 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 경보 및 소화 설비(645)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화재 경보 단계를 세부적으로 분류함으로써, 화재 단계별 대피 및 행동 원칙을 명확히 정의할 수 있다.
도 10은 도 5의 상부 덕트의 배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Z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5, 도 10 그리고 도 11을 참고하면, 상부 덕트(300)는 냉각 유체를 수용 공간(101)으로 공급한다. 상부 덕트(300)는 컨테이너(100)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부 덕트(300)는 후술하는 복수개의 냉각 유닛(400)과 연결된다. 상부 덕트(300)의 내부에는 냉각 유닛(400)으로부터 공급받은 냉각 유체가 흐르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부 덕트(300)는 커버부(390), 제1 수평부(310), 제2 수평부(330), 중앙부(350) 그리고 공급부(370)를 포함한다.
덕트 연기 감지기(670)는 중앙부(350), 그 중에서도 특히 공급부(370)에 설치될 수 있다. 덕트 연기 감지기(670)는 덕트 내 유체 흐름 방향에 수직으로 봉상 감지기를 설치하여 유체 내에 포함된 연기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커버부(39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진다. 커버부(390)는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공된다. 커버부(390)는 컨테이너(100)의 상부에 위치한다. 커버부(390)는 컨테이너(100)와 유사한 형상으로 제공되며, 컨테이너(100)보다 제3 방향(16)의 높이가 더 낮게 제공된다. 커버부(390)의 내부 공간에는 제1 수평부(310), 제2 수평부(330) 그리고 중앙부(350)가 위치한다.
제1 수평부(310), 제2 수평부(330) 그리고 중앙부(350)는 서로 연결되며, 각각의 내부 공간에는 냉각 유체가 흐른다. 제1 수평부(310), 제2 수평부(330) 그리고 중앙부(350)는 서로 조합되어, 상부에서 바라 볼 때, 로마자인 Ⅰ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수평부(310)는 제1 측벽(110)과 인접하게 위치한다. 제1 수평부(310)는 그 길이방향이 제2 방향(14)을 따라 형성된다. 제2 수평부(330)는 제3 측벽(130)과 인접하게 위치한다. 제2 수평부(330)는 제1 수평부(310)와 평행하게 위치한다. 제2 수평부(330)는 그 길이방향이 제2 방향(14)을 따라 형성된다.
중앙부(350)는 제1 수평부(310) 및 제2 수평부(330)의 중앙에 각각 수직하게 결합된다. 중앙부(350)는 그 길이방향이 제1 방향(12)을 따라 형성된다.
공급부(370)는 상부 덕트(300)의 하면에 위치한다. 공급부(370)는 중앙부(350)에 위치한다. 공급부(370)는 중앙부(350)에 흐르는 냉각 유체가 통과할 수 있다. 공급부(370)는 수용 공간(101)에 냉각 유체를 공급한다. 공급부(370)는 복수개 제공된다. 복수개의 공급부(370)는 중앙부(350)의 하면에 위치한다. 복수개의 공급부(370)는 제1 방향(12)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한다.
공급부(370)는 프레임(372), 개구(371), 가이드 판(373) 그리고 가이드판 제어기(375)를 포함한다.
프레임(372)은 중앙에 빈 공간을 형성한다. 프레임(372)은 직사각틀 모양으로 제공된다.
개구(371)는 상부 덕트(300)에 흐르는 냉각 유체가 통과할 수 있다. 개구(371)에는 프레임(372)이 설치된다. 개구(371)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제공된다.
가이드 판(373)은 개구(371)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다. 가이드 판(373)은 두께가 얇은 플레이트로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 판(373)은 복수개 제공된다. 복구개의 가이드 판(373)은 제1 방향(12)을 따라 상호 이격된 형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가이드 판(373)은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판 제어기(375)는 가이드 판(373)의 회전각도를 제어한다. 가이드판 제어기(375)는 공급부(370)를 통과하는 냉각 유체가 냉각 공간(102)의 제1 방향(12)을 따라 공급되도록 가이드 판(373)의 회전 각도를 조절한다.
냉각 공간(102)에 공급되는 냉각 유체는 공급부(370)를 통해서 배터리 랙(200)에 직접 공급되지 않는다. 이처럼, 냉각 유체가 배터리 랙(200)에 직접 공급되지 않아 배터리 랙(200)과 부딪쳐 와류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배터리 랙 그룹(201)과 제2 배터리 랙 그룹(202)의 사이 공간의 상부에서 하부로 공급된 후 냉각 팬(250)을 통해서 배터리 랙(200)을 통과하여 배터리 랙(200)을 냉각 시켜주어 배터리 랙(200)의 냉각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냉각 유체가 공급부(370)에서 직접 배터리 랙(200)으로 공급되어 배터리 랙(200)의 상부에만 냉각 유체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냉각 유닛(400)은 수용 공간(101)의 외부에 위치한다. 냉각 유닛(400)은 가열된 냉각 유체를 냉각시킬 수 있다. 냉각 유닛(400)은 냉각된 냉각 유체를 상부 덕트(300)로 공급한다. 냉각 유닛(400)은 후술하는 이동 공간(501)으로부터 공급받은 냉각 유체를 냉각 시킬 수 있다.
냉각 유닛(400)은 복수개 제공된다. 일 실시예로 냉각 유닛(400)은 4개가 제공될 수 있다. 두 개의 냉각 유닛(400)은 제1 측벽(110)에 설치될 수 있다. 두 개의 냉각 유닛(400)은 제2 방향(14)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한다. 두 개의 냉각 유닛(400)은 제1 수평부(310)와 연결되며, 냉각 유체를 제1 수평부(310)로 공급할 수 있다.
다른 두 개의 냉각 유닛(400)은 제3 측벽(130)에 설치될 수 있다. 두 개의 냉각 유닛(400)은 제2 방향(14)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한다. 두 개의 냉각 유닛(400)은 제2 수평부(330)와 연결되며, 냉각 유체를 제2 수평부(330)로 공급할 수 있다.
덕트 연기 감지기(670)는 냉각 유닛(400)과 연결된 제1 수평부(310) 및/또는 제2 수평부(3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냉각 유닛(400)은 석션부를 가질 수 있다. 석션부는 이동 공간(501)의 냉각 유체를 흡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냉각 유닛(400)은 석션부를 구비한 에어컨(실외기)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냉각 유체를 냉각할 수 있는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 기술에서는 컨테이너(2) 내부에 냉각 부재(4)가 위치함으로써 컨테이너(2) 내부에 제공되는 배터리 랙(3)의 개수에 한계가 있다. 또한, 배터리 랙(3) 개수의 제한은 에너지 저장 장치(1)의 에너지 밀도를 저하시킨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냉각 유닛(400)이 컨테이너(100)의 외측에 위치하여, 내부에 배터리 랙(20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다. 냉각 유닛(400)이 외부에 위치함에 따라 배터리 랙(200)을 컨테이너(100)에 더 많이 놓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에너지 저장 장치(10')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은 컨테이너(100)의 단면적에 대한 배터리 랙(200)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를 2/3 이상으로 하여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컨테이너(100) 및 배터리 랙(200)이 차지하는 면적은 각각 도 6의 도면처럼, 에너지 저장 장치(10')의 평단면도를 기준으로 했을 때 컨테이너(100)와 배터리 랙들(200)이 차지하는 면적을 말한다.
도 7은 도 5의 에너지 저장 장치를 A-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8은 도 5의 에너지 저장 장치를 B-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9는 도 5의 에너지 저장 장치를 C-C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유체 이동 부재(500)는 배터리 랙(200)을 냉각시킨 냉각 유체를 이동시키는 이동 공간(501)을 제공하여 냉각 유체를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컨테이너(100) 내에 유체 이동 부재(500)가 두 개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두 개의 유체 이동 부재(500)는 그 위치만 상이할 뿐 구성이 동일하다. 이하, 제1 배터리 랙 그룹(201) 주변에 위치하는 유체 이동 부재(50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유체 이동 부재(500)는 격벽(510), 차단 플레이트(530) 그리고 내부 덕트(550)를 포함한다.
격벽(510)은 제1 배터리 랙 그룹(201)의 상부에 위치한다. 격벽(510)은 컨테이너(100)의 상벽과 제1 배터리 랙 그룹(201)의 사이에 위치한다. 격벽(510)은 상부 덕트(300)에서 공급된 냉각 유체가 제1 배터리 랙 그룹(201)과 제2 측벽(120)의 사이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격벽(510)은 그 길이 방향이 제1 방향(12)을 따라 형성된다. 격벽(510)은 판 형상의 플레이트로 제공될 수 있다.
차단 플레이트(530)는 제2 측벽(120)과 제1 배터리 랙 그룹(201) 사이의 공간을 차단한다. 차단 플레이트(530)는 제1 배터리 랙 그룹(201)의 최외곽에 위치하는 배터리 랙(200)과 제2 측벽(120) 사이에 위치한다. 차단 플레이트(530)는 한 쌍이 제공된다. 차단 플레이트(530)는 서로 마주보며 위치한다. 한 쌍의 차단 플레이트(530)는 제1 방향(12)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다. 차단 플레이트(530)는 배터리 랙(200)과 동일한 높이로 제공될 수 있다.
내부 덕트(550)는 내부에 냉각 유체가 흐를 수 있다. 내부 덕트(550)는 한 쌍이 제공된다. 한 쌍의 내부 덕트(550)는 제1 방향(12)을 따라 이격되어 위치한다. 내부 덕트(550)는 제2 측벽(120)과 제1 배터리 랙 그룹(201) 사이에 이동 공간(501)을 연결시켜준다. 내부 덕트(550)는 도어(150)의 상부면보다 더 높게 위치한다. 내부 덕트(550)는 차단 플레이트(530)의 상부에 위치한다. 내부 덕트(550)는 그 단면이 사각형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내부 덕트(550)의 일단은 냉각 유닛(400)과 연결되며, 타단은 제2 측벽(120)과 제1 배터리 랙 그룹(201) 사이의 공간과 연결된다. 내부 덕트(550)는 배터리 랙(200)을 통과한 냉각 유체가 냉각 유닛(400)으로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덕트 연기 감지기(670)는 내부 덕트(550) 또는 내부 덕트(550)와 냉각 유닛(400) 연결 부위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체 이동 부재(500)는 격벽(510), 차단 플레이트(530) 그리고 내부 덕트(550)를 통해서 냉각 공간(102)과 분리된 이동 공간(501)을 제공한다. 이동 공간(501)은 냉각 공간(102)에 공급된 차가운 냉각 유체가 배터리 랙(200)을 통과하여, 배터리 랙(200)을 냉각 시킨 후에 냉각 유닛(400)으로 이동하는 공간이다. 냉각 유체가 배터리 랙(200)을 냉각 시 서로 적층된 배터리 모듈(230)의 사이 또는 각각의 배터리 모듈(230)을 통과하여 배터리 랙(200)을 냉각 시킬 수 있다. 이동 공간(501)은 냉각 공간(102)의 중앙에서 제2 측벽(120)을 향하는 방향으로 바라볼 때, 영문자 T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동 공간(501)은 냉각 공간(102)과 분리되어 배터리 랙(200)을 통과한 뒤, 가열된 냉각 유체가 냉각 공간(102)의 냉각 유체와 섞이지 않고 이동할 수 있게 하여 배터리 랙(200)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의 에너지 저장 장치(10')에서 냉각 유체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의 화살표는 냉각 유체가 흐르는 방향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이하, 도 4 및 도 5의 도면을 참조하면, 최초 냉각 유체는 냉각 유닛(400)에서 상부 덕트(300)로 이동한다. 제1 측벽(110) 또는 제3 측벽(130)에 위치하는 냉각 유닛(400)을 통해서 냉각 유체는 상부 덕트(300)로 이동한다. 냉각 유체는 제1 수평부(310)에서 중앙부(350) 또는 제2 수평부(330)에서 중앙부(350)로 이동한다. 냉각 유체는 중앙부(350)로 이동되는 과정 중 중앙부(350)의 하부에 형성된 공급부(370)를 통해서 냉각 공간(102)으로 이동된다. 냉각 공간(102)으로 이동된 냉각 유체는 배터리 랙(200)의 냉각 팬(250)에 의해서 배터리 모듈(230)을 통과한다. 냉각 유체는 배터리 모듈(230)을 통과하면서 배터리 모듈(230)을 냉각시킨다. 일 예로, 냉각 유체는 서로 적층되어 제공되는 각각의 배터리 모듈(230)의 사이 또는 각각의 배터리 모듈(230)을 통과하여 배터리 랙(200)을 냉각 시킬 수 있다. 배터리 모듈(230)을 통과한 냉각 유체는 냉각 공간(102)과 분리된 이동 공간(501)을 통해서 냉각 유닛(400)으로 이동한다. 냉각 유닛(400)으로 이동된 가열된 냉각 유체는 다시 냉각되어 상부 덕트(300)로 공급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 기술에서는 배터리 랙(3)을 냉각 시 배터리 랙(3)을 냉각 시킨 냉각 유체를 내부의 냉각 부재(4)로 냉각하는 과정에서 발열이 일어난다. 이러한 열은 컨테이너(2)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로 인해, 배터리 랙(3)의 냉각 효율이 저하되며, 냉각 부재(4)의 용량을 크게 만들어, 냉각 부재(4)가 컨테이너(2) 내부에서 차지하는 면적을 높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너지 저장 장치(10')는 냉각 유닛(400), 상부 덕트(300), 냉각 공간(102), 배터리 모듈(230), 이동 공간(501) 그리고 다시 냉각 유닛(400)으로 냉각 유체를 순환하여 배터리 랙(200)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냉각 공간(102)과 가열된 냉각 유체가 이동하는 이동 공간(501)을 분리하여, 배터리 랙(200)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 기술에서는 화재 여부 판단에 있어서 연기 감지기(7)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화재와 관련 없는 연기를 화재로 인식하여 소화설비(5)를 오작동시킬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너지 저장 장치(10')는 연기 감지기(655a, 655b), 열 감지기(660a, 660b) 및 불꽃 감지기(665a, 665b)의 직렬 조합 및 덕트 연기 감지기(670)를 활용하므로 화재 진단의 신뢰성 및 적확성을 높일 수 있다. 덕트 연기 감지기(670)는 상부 덕트(300), 유체 이동 부재(500) 또는 이들과 냉각 유닛(400)의 연결 부위 등에 설치하여 컨테이너(100) 내부의 화재 진단을 더욱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공기를 조화시킴과 더불어 상기 컨테이너 내부 온도를 조절하고 상기 컨테이너로 인입되는 자연풍을 조절하는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시스템; 및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화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화재 관리 시스템은,
    상기 수용 공간에 위치하는 소화설비와 제어반;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 설치된 연기 감지기, 열 감지기 및 불꽃 감지기; 및
    상기 HVAC 시스템의 덕트에 설치된 덕트 연기 감지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반은 상기 연기 감지기, 열 감지기 및 불꽃 감지기가 모두 화재를 감지할 시 상기 소화설비를 작동시키는 모드, 상기 덕트 연기 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할 시 상기 소화설비를 작동시키는 모드 및 수동 조작 버튼 동작으로 상기 소화설비를 작동시키는 모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설비는 밸브 개폐 방식의 소화가스 분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연기 감지기는 상기 HVAC 시스템의 인렛 덕트 및 아울렛 덕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을 양분하도록 제1 구역과 제2 구역을 설정하고, 각 구역마다 연기 감지기, 열 감지기 및 불꽃 감지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감지기와 열 감지기는 상기 각 구역의 대략 중앙 부위에 해당하는 상기 컨테이너의 상벽에 설치되고 상기 불꽃 감지기는 상기 컨테이너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벽 위 상기 컨테이너 상벽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은 동일한 구역 내 설치된 세 가지 종류의 상기 감지기가 모두 화재를 감지할 시 상기 소화설비를 작동시키거나, 서로 다른 구역 내 설치된 서로 다른 종류의 상기 감지기가 모두 화재를 감지할 시 상기 소화설비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은 서로 다른 구역 내 설치된 동일한 종류끼리의 상기 감지기가 모두 화재를 감지할 시 상기 소화설비를 작동시키지 않고 화재 경보를 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 공간의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는 제1 배터리 랙 그룹과 제2 배터리 랙 그룹을 포함하는 배터리 랙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HVAC 시스템은
    상기 수용 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배터리 랙 그룹과 상기 제2배터리 랙 그룹의 사이 공간인 냉각 공간으로 냉각 유체를 공급하는 상부 덕트;
    상기 수용 공간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냉각 유체를 냉각시키는 냉각 유닛; 및
    상기 배터리 랙들을 냉각시킨 후 가열된 상기 냉각 유체가 상기 냉각 유닛으로 이동하는 이동 공간을 가지는 유체 이동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냉각 유닛은 가열된 상기 냉각 유체를 상기 이동 공간으로부터 공급받아 냉각시킨 후 상기 상부 덕트로 공급하며,
    상기 덕트 연기 감지기는 상기 상부 덕트 및 상기 유체 이동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제1 측벽;
    상기 제1 측벽과 수직으로 위치하는 제2 측벽;
    상기 제1 측벽과 마주보며, 상기 제2 측벽과 수직으로 위치하는 제3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과 마주보며 위치하며, 상기 제1 측벽 및 제3 측벽과 수직으로 위치하는 제4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3 측벽의 외측에 복수개 제공되는 에너지 저장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이동 부재는,
    상기 제1 배터리 랙 그룹 및 상기 제2 배터리 랙 그룹의 상부에 위치하는 격벽;
    상기 제1 배터리 랙 그룹 또는 상기 제2 배터리 랙 그룹의 최외곽에 위치하는 상기 배터리 랙과 상기 제2 측벽 또는 상기 제4 측벽의 사이 공간을 차단하는 한 쌍의 차단 플레이트; 및
    상기 냉각 유닛과 상기 제2 측벽 또는 제2 측벽과 상기 제1 배터리 랙 그룹 또는 상기 제2 배터리 랙 그룹 사이에 이동 공간을 연결시켜주는 한 쌍의 내부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 연기 감지기는 상기 내부 덕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덕트는,
    상기 제1 측벽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1 수평부;
    상기 제3 측벽과 인접하며, 상기 제1 수평부와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2 수평부; 및
    상기 제1 수평부 및 상기 제2 수평부의 중앙에 각각 수직하게 결합되는 중앙부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 연기 감지기는 상기 중앙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 랙 그룹의 상기 배터리 랙들은 상기 제2 측벽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제1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배터리 랙 그룹의 상기 배터리 랙들은 상기 제4 측벽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상부 덕트는, 상기 수용 공간에 상기 냉각 유체를 공급하고, 상기 중앙부에 위치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부는,
    상기 상부 덕트의 내부에 흐르는 상기 냉각 유체가 통과되는 개구;
    상기 개구의 중앙 영역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형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복수개의 가이드 판; 및
    상기 가이드판을 제어하는 가이드판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덕트 연기 감지기는 상기 공급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13.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는 컨테이너, HVAC 시스템 및 소화설비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화재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 연기 감지기, 열 감지기 및 불꽃 감지기를 설치하고,
    상기 HVAC 시스템의 덕트에 덕트 연기 감지기를 설치하여,
    상기 연기 감지기, 열 감지기 및 불꽃 감지기가 모두 화재를 감지할 시 상기 소화설비를 작동시키거나, 상기 덕트 연기 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할 시 상기 소화설비를 작동시키거나, 수동 조작 버튼 동작으로 상기 소화설비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화재 관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을 양분하도록 제1 구역과 제2 구역을 설정하고, 각 구역마다 연기 감지기, 열 감지기 및 불꽃 감지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화재 관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동일한 구역 내 설치된 세 가지 종류의 상기 감지기가 모두 화재를 감지할 시 상기 소화설비를 작동시키거나, 서로 다른 구역 내 설치된 서로 다른 종류의 상기 감지기가 모두 화재를 감지할 시 상기 소화설비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화재 관리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구역 내 설치된 동일한 종류끼리의 상기 감지기가 모두 화재를 감지할 시 상기 소화설비를 작동시키지 않고 화재 경보를 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화재 관리 방법.
PCT/KR2017/009441 2016-09-21 2017-08-29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에너지 저장 장치의 화재 관리 방법 WO2018056598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853312.1A EP3417915B1 (en) 2016-09-21 2017-08-29 Energy storage system and fire control method of the energy storage system
US16/079,481 US10933263B2 (en) 2016-09-21 2017-08-29 Energy storage system and fire control method of the energy storage system
AU2017330796A AU2017330796B2 (en) 2016-09-21 2017-08-29 Energy storage system and fire control method of the energy storag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936 2016-09-21
KR1020160120936A KR102053988B1 (ko) 2016-09-21 2016-09-21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에너지 저장 장치의 화재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56598A1 true WO2018056598A1 (ko) 2018-03-29

Family

ID=61690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9441 WO2018056598A1 (ko) 2016-09-21 2017-08-29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에너지 저장 장치의 화재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33263B2 (ko)
EP (1) EP3417915B1 (ko)
KR (1) KR102053988B1 (ko)
AU (1) AU2017330796B2 (ko)
WO (1) WO2018056598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5700A (zh) * 2018-05-02 2018-10-12 蔚来汽车有限公司 用于充换电站的安全防护系统及安全防护方法
CN109195368A (zh) * 2018-10-17 2019-01-11 郑州云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多区域集装箱数据中心
CN109686888A (zh) * 2018-12-29 2019-04-26 广东康鼎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电池柜
CN110350608A (zh) * 2018-04-03 2019-10-18 深圳市瑞能实业股份有限公司 电池管理装置、方法及系统
US20220094013A1 (en) * 2020-09-24 2022-03-24 Battelle Memorial Institute Automatic venting safety enclosure for grid-storage batteri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76454B2 (en) * 2018-10-29 2022-07-05 Air Distribution Technologies Ip, Llc Integrated air distribution system and fire suppression system
KR102137977B1 (ko) 2019-01-17 2020-08-04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태양광 발전 설비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화재 확산 방지 구조
KR102381692B1 (ko) * 2019-02-21 2022-03-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저장 장치
US10511001B1 (en) * 2019-03-18 2019-12-17 Sinexcel Inc. Compact battery-based energy storage systems
KR102234336B1 (ko) * 2019-04-12 2021-03-31 주식회사 진성피엘티 연기감지 기능을 갖는 항온항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항온항습장치 제어 방법
CN110124237B (zh) * 2019-04-27 2020-10-30 广州市锋安消防工程有限公司 消防控制系统
KR102134707B1 (ko) * 2019-05-02 2020-07-17 주식회사 이에스텍 화재 예방 에너지저장 시스템
KR20200140011A (ko) * 2019-06-05 2020-1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저장 장치
CN110227223A (zh) * 2019-06-14 2019-09-13 郑州轻工业学院 一种集装箱式锂离子电池储能系统用高效定点定位灭火系统
CN110571380B (zh) * 2019-09-06 2022-02-22 北京海博思创科技股份有限公司 风道及储能散热系统
KR20210042485A (ko) * 2019-10-10 2021-04-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미 산란을 이용한 가스 발생 감지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를이용한 가스 검출 방법
AU2020380066A1 (en) * 2019-11-08 2022-01-20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battery rack comprising same, and power storage device
KR102247044B1 (ko) * 2019-12-10 2021-04-30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배터리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소화장치
US20210218004A1 (en) * 2020-01-10 2021-07-15 Caterpillar Inc. Battery fire suppression system
CN111249651B (zh) * 2020-01-18 2022-03-11 中国人民解放军海军潜艇学院 一种用于船舶岸电系统的消防装置及控制方法
KR20210120700A (ko) 2020-03-27 2021-10-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전력 저장 장치
KR102172449B1 (ko) 2020-06-05 2020-10-30 김광섭 상변화 물질의 잠열을 이용한 배터리 시스템의 화재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US11990388B2 (en) 2020-08-06 2024-05-21 Caterpillar Inc. Pump-motor assembly for an energy storage system
KR20220049357A (ko) 2020-10-14 2022-04-21 설영일 복수의 화재인자 검출에 기반한 에너지저장장치용 배터리팩 화재 모니터링 방법 및 에너지저장장치용 배터리팩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89709B1 (ko) * 2020-10-19 2021-08-13 퍼스트 유한회사 전기추진 선박의 배터리 적재함 화재진화 시스템
CN112451880A (zh) * 2020-12-01 2021-03-09 南方电网调峰调频发电有限公司 一种用于储能电站的消防系统
CN112618994A (zh) * 2020-12-14 2021-04-09 中汽研(天津)汽车工程研究院有限公司 一种应用于锂离子电池储能装置的灭火系统
KR102521729B1 (ko) 2021-04-21 2023-04-17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내 배터리 제어 시스템
KR20230012805A (ko) * 2021-07-16 2023-01-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
KR20230025289A (ko) 2021-08-13 2023-02-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화재 진압용 에너지 저장 장치
KR20230112004A (ko) * 2022-01-19 2023-07-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화재 감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33794B1 (en) * 2007-07-18 2008-10-07 Tesla Motors, Inc. Mitigation of propagation of thermal runaway in a multi-cell battery pack
JP2009110469A (ja) * 2007-11-01 2009-05-21 Ntt Facilities Inc ラック冷却システム
JP2013054630A (ja) * 2011-09-06 2013-03-21 Nihon Sekkei Inc 建物、火災検知システム、データセンタ、および火災検知の方法
KR20150064962A (ko) * 2013-12-04 2015-06-12 세방전지(주)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
KR20150078643A (ko) * 2013-12-31 2015-07-08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배터리 관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23447C2 (de) 1974-05-14 1982-11-25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Automatische Brandmelde- und Löscheinrichtung
US4227577A (en) * 1976-07-26 1980-10-14 Security Patrols Co., Ltd. Fire-extinguishing system
US5486811A (en) * 1994-02-09 1996-01-2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Fire detection and extinguishment system
US6897774B2 (en) * 2003-05-07 2005-05-24 Edwards Systems Technology, Inc. Ambient condition detector with multipe sensors and single control unit
US7129847B2 (en) 2003-08-06 2006-10-31 Edwards Systems Technology, Inc. Detector with dust filter and airflow monitor
JP2009010469A (ja) 2007-06-26 2009-01-15 Oki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受信装置及び高周波受信方法と高周波信号用lsi及びベースバンド信号用lsi
US8547238B2 (en) * 2010-06-30 2013-10-01 Knowflame, Inc. Optically redundant fire detector for false alarm rejection
KR101264338B1 (ko) * 2011-07-14 2013-05-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랙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력저장장치
US20130082115A1 (en) * 2011-10-03 2013-04-04 Matthew Ryan May Remote Controlled Vent Register
ITBO20120229A1 (it) * 2012-04-26 2013-10-27 Spal Automotive Srl Macchina elettrica.
KR101381592B1 (ko) 2013-09-04 2014-04-04 채재훈 에너지 저장 장치용 컨테이너
WO2015054225A1 (en) * 2013-10-07 2015-04-16 Google Inc. Smart-home hazard detector providing non-alarm status signals at opportune momen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33794B1 (en) * 2007-07-18 2008-10-07 Tesla Motors, Inc. Mitigation of propagation of thermal runaway in a multi-cell battery pack
JP2009110469A (ja) * 2007-11-01 2009-05-21 Ntt Facilities Inc ラック冷却システム
JP2013054630A (ja) * 2011-09-06 2013-03-21 Nihon Sekkei Inc 建物、火災検知システム、データセンタ、および火災検知の方法
KR20150064962A (ko) * 2013-12-04 2015-06-12 세방전지(주)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
KR20150078643A (ko) * 2013-12-31 2015-07-08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배터리 관리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417915A4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50608A (zh) * 2018-04-03 2019-10-18 深圳市瑞能实业股份有限公司 电池管理装置、方法及系统
CN108635700A (zh) * 2018-05-02 2018-10-12 蔚来汽车有限公司 用于充换电站的安全防护系统及安全防护方法
CN109195368A (zh) * 2018-10-17 2019-01-11 郑州云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多区域集装箱数据中心
CN109686888A (zh) * 2018-12-29 2019-04-26 广东康鼎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电池柜
US20220094013A1 (en) * 2020-09-24 2022-03-24 Battelle Memorial Institute Automatic venting safety enclosure for grid-storage batter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33263B2 (en) 2021-03-02
EP3417915A4 (en) 2019-02-27
EP3417915B1 (en) 2021-05-26
EP3417915A1 (en) 2018-12-26
KR102053988B1 (ko) 2019-12-09
US20190046820A1 (en) 2019-02-14
AU2017330796A1 (en) 2018-09-27
KR20180032122A (ko) 2018-03-29
AU2017330796B2 (en)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56598A1 (ko)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에너지 저장 장치의 화재 관리 방법
ES2875741T3 (es) Sistema de almacenamiento estacionario para baterías
US8469782B1 (en) Data center air handling unit
US201700863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oling data centers and other electronic equipment
JP4427355B2 (ja) 電力貯蔵システム
KR20190022485A (ko) 배터리 시스템 내의 열폭주 가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1025539A1 (ko) 소화 유닛을 포함한 배터리 팩
CN111133605B (zh) 排气系统
JP2007316989A (ja) 機器収容ラックおよび機器収容室用空調システム
US20200006821A1 (en) Rack-type power supply device
WO2021177585A1 (ko) 열 폭주 현상 발생 시 냉각수가 배터리 모듈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ess
CN113572184B (zh) 储能系统的储电模块和储能系统
US20220052414A1 (en) Upper cover assembly and battery pack
WO2016032101A1 (ko) 에너지저장시스템
KR102302982B1 (ko) 데이터센터용 모듈형 냉방시스템의 제어방법
US20140000299A1 (en) Air Conditioner for Refuge Shelter, System and Method
WO2023121193A1 (ko) 배터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ess 및 자동차
KR20230107448A (ko) 공조장치를 구비한 사막 기후 대응형 에너지저장시스템 보관 컨테이너
AU2022354509A1 (en) Battery storage system comprising at least two battery modules
CN110865306A (zh) 多腔独立式安全测试箱、温控箱以及冷板箱
KR102659501B1 (ko) 교체형 화재감지모듈을 갖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냉각장치
CN210380336U (zh) 具有隔热板的充电电池柜
WO2016204582A1 (ko) 댐퍼 개폐기
CN210535782U (zh) 横列式模组化储能舱
WO2023239083A1 (ko) 소화 기능이 구비된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853312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330796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170829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853312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80918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5331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