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7448A - 공조장치를 구비한 사막 기후 대응형 에너지저장시스템 보관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공조장치를 구비한 사막 기후 대응형 에너지저장시스템 보관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7448A
KR20230107448A KR1020220002951A KR20220002951A KR20230107448A KR 20230107448 A KR20230107448 A KR 20230107448A KR 1020220002951 A KR1020220002951 A KR 1020220002951A KR 20220002951 A KR20220002951 A KR 20220002951A KR 20230107448 A KR20230107448 A KR 20230107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ir
energy storage
storage system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아이티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아이티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아이티이엔지
Priority to KR1020220002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7448A/ko
Publication of KR20230107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74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7Stationary installations, e.g. power plant buffering or backup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52Removing gases inside the secondary cell, e.g. by absorp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3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3Control systems
    • H01M10/63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algorithms, flow charts, software detail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3Gases with forced flow, e.g. by blow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6Means within the gas flow to guide the flow around one or more cells, e.g. manifolds, baffles or other b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8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by thermal insulation or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75Vent means sensitive to or responsiv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조장치를 구비한 사막 기후 대응형 에너지저장시스템 보관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너지저장시스템 내의 배터리들의 열 관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냉기를 공급하는 공조시스템이 적용된 공조장치를 구비한 사막 기후 대응형 에너지저장시스템 보관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를 구비한 사막 기후 대응형 에너지저장시스템 보관 컨테이너는 차열, 방염, 방수, 방진 처리를 통해 외부 환경조건으로부터 에너지저장시스템의 배터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하고, 에너지저장시스템 전체에 걸쳐 균등하게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의 위치에 상관없이 모두 동일한 수준의 열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공조장치를 구비한 사막 기후 대응형 에너지저장시스템 보관 컨테이너{A storage container for an energy storage system for desert climates equipped with an 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공조장치를 구비한 사막 기후 대응형 에너지저장시스템 보관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너지저장시스템 내의 배터리들의 열 관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냉기를 공급하는 공조시스템이 적용된 공조장치를 구비한 사막 기후 대응형 에너지저장시스템 보관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은 배터리를 보호하기 위해서 밀폐형 컨테이너의 내부에 다수 개의 배터리를 보관해서 운용한다. 따라서 에너지저장시스템은 배터리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어려운 구조를 갖고 있고, 이로 인해 공조설비를 운용하기 위해서 많은 전력 비용이 소요된다.
여기서, 비 배터리 방식의 에너지저장시스템은 부지 선정이 어렵고 오랜 건설기간이 요구되는 반면 배터리 방식의 에너지저장시스템은 설치 기간이 짧고 장소의 제약이 없으며 충전 및 방전 속도가 빨라 2차 전지를 이용한 배터리 방식의 에너지저장시스템은 지속적인 산업 확산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배터리를 이용한 에너지저장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배터리인데,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는 배터리를 활용할수록 배터리의 충전 혹은 방전 시 높은 온도 혹은 과충전으로 인한 화재 및 폭발의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배터리의 열관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배터리의 내구성 및 수명은 치명적으로 줄어들게 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에너지저장시스템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전력 저장 및 공급의 성능에도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 뿐만 아니라, 에너지저장시스템에 사용되는 배터리에 대한 열관리가 비정상적일 경우, 온도 편자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사용 가능한 배터리들이 많음에도 배터리팩 전체를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에너지저장시스템 내 배터리들의 열 관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냉기를 공급하는 공조시스템을 적용하고 있으나,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에너지저장시스템 혹은 에너지저장시스템이 적용된 장치의 경우, 배터리의 열 관리 이용되는 냉기의 유동성을 고려한 냉기의 공급 형태가 배터리팩 위치 별로 상이하여 배터리 위치에 따른 온도 편차를 해소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0-0088553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0-008795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열, 방염, 방수, 방진 처리를 통해 외부 환경조건으로부터 에너지저장시스템의 배터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하고, 에너지저장시스템 전체에 걸쳐 균등하게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의 위치에 상관없이 모두 동일한 수준의 열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공조장치를 구비한 사막 기후 대응형 에너지저장시스템 보관 컨테이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를 구비한 사막 기후 대응형 에너지저장시스템 보관 컨테이너는 에너지저장시스템을 보관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차열, 방염, 방수, 방진 처리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기 공간부를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이 설치되는 설치공간부와, 상기 설치공간부 내의 온도 및 습도 조절을 위한 공조부가 설치되며 상기 설치공간부와는 독립적인 공간을 형성하는 공조공간부로 각각 구획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설치공간부 내측으로 인입되게 형성되는 구획부; 에너지저장시스템 및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 일 측에 개방 형성된 출입구에 설치되는 출입도어부; 상기 출입도어부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센서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설치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각각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 및 습도 정보를 각각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마련된 온습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구획부에 마련된 설치홀에 삽입 장착되어 상기 본체부 외부에서 상기 공조공간부 내부로 유입된 외기를 냉각하여 상기 설치공간부 내부로 공급하고 상기 설치공간부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본체부 외부로 배출시키는 냉각부와, 상기 설치공간부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서큘레이터와, 상기 설치공간부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으로 상승할 시 냉각부 및 상기 서큘레이터를 작동시키도록 설정된 온도조절기를 포함하는 공조부; 상기 공조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상기 공조부와 대응되는 상기 본체부의 폭방향 일 측에 개방 형성된 점검개구에 설치되는 점검도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는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내피층 및 외피층과, 상기 외피층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외피층과의 사이에 공기단열층을 형성하며 상기 외피층으로부터 상기 내피층으로 열방사를 차단하는 열방사단열층과, 상기 열방사단열층과 상기 내피층 사이에 개재되는 우레탄단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조부의 배기구 및 흡기구와 각각 대응되는 상기 점검도어부의 상부 및 하부에는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설치공간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개방된 도어배기구와 상기 본체부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조공간부로 유입될 수 있게 개방된 도어급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급기구와 상기 도어배기구에는 각각 급기루버 및 배기루버가 설치되며, 상기 공조부의 배기구와 상기 점검도어부의 배기구 사이에는 급기와 배기를 분리하기 위한 배기덕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급기구 또는 상기 급기루버에는 방진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방진필터는 염화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설치공간부를 조명하기 위한 LED조명부와, 비상 상황 발생시 작동하는 비상조명등 및 시청각경보부가 설치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설치공간부 내부의 화재 감지를 위해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광전식 연기감지기 및 차동식 열감지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도어부의 전면에는 상기 LED조명부와 상기 비상조명등 및 상기 시청각경보부의 동작을 수동조작하기 위한 수동조작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이 장착되는 트레이를 상기 본체부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이격프레임과, 상기 이격프레임과 대응되는 높이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연장된 발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를 구비한 사막 기후 대응형 에너지저장시스템 보관 컨테이너는 차열, 방염, 방수, 방진 처리를 통해 외부 환경조건으로부터 에너지저장시스템의 배터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하고, 에너지저장시스템 전체에 걸쳐 균등하게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의 위치에 상관없이 모두 동일한 수준의 열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를 구비한 사막 기후 대응형 에너지저장시스템 보관 컨테이너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를 구비한 사막 기후 대응형 에너지저장시스템 보관 컨테이너의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를 구비한 사막 기후 대응형 에너지저장시스템 보관 컨테이너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를 구비한 사막 기후 대응형 에너지저장시스템 보관 컨테이너의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조장치를 구비한 사막 기후 대응형 에너지저장시스템 보관 컨테이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를 구비한 사막 기후 대응형 에너지저장시스템 보관 컨테이너(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를 구비한 사막 기후 대응형 에너지저장시스템 보관 컨테이너(1)는 본체부(100)와, 구획부(200)와, 출입도어부(300)와, 센서부와, 공조부(400)와, 점검도어부(500)를 구비한다.
본체부(100)는 긴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박스 또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며, 사막 기후 지역의 지면으로부터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도록 지지블록(1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본체부(100)는 바닥부(101)와, 전면부(102) 및 후면부(103)와, 양측 측면부(104)와, 천장부(105)로 구성되며, 전면부(102)에는 출입도어부(300)가 설치되고 양측 측면부(104) 중에서 어느 한 측면부(104)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검도어부(500)가 설치된다.
본체부(100)는 내부에 보관되는 배터리팩의 개수 또는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용량에 따라 그 길이가 긴 것을 사용하거나 짧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00)의 길이에 따라 점검도어부(500)의 개수 또한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본체부(100)에는 설치공간부(100A)를 조명하기 위한 LED조명부(160)와, 비상 상황 발생시 작동하는 비상조명등 및 시청각경보부가 설치된다.
본체부(100)는 에너지저장시스템 즉, 복수의 배터리로 구성된 배터리팩들을 수납하는 트레이(20)를 보관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사막 기후 지역의 환경적인 영향을 차단할 수 있도록 차열, 방염, 방수, 방진 처리된다.
본체부(100)는 차열, 방염, 방수, 방진 기능을 위해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내피층(110) 및 외피층(120)과, 외피층(120)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외피층(120)과의 사이에 공기단열층(130)을 형성하며 외피층(120)으로부터 내피층(110)으로 열방사를 차단하는 열방사단열층(140)과, 열방사단열층(140)과 내피층(110) 사이에 개재되는 우레탄단열층(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100)는 전도, 대류, 복사 등에 의한 열흐름을 저감시킬 수 있느 단일 재료 또는 여러 재료(섬유질, 미립자, 막, 블록이나 공기층, 개방형 혹은 폐쇄형 셀 등)의 조합으로 기밀성을 갖는 외피에 심재를 넣고 내부를 진공상태로 처리하여 밀봉한 단열재를 적용할 수 있다.
본체부(100) 내에는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이 장착되는 트레이(20)를 본체부(10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이격프레임(107)과, 이격프레임(107)과 대응되는 높이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연장된 발판(108)을 더 구비한다.
구획부(200)는 본체부(100)의 공간부를 에너지저장시스템이 설치되는 설치공간부(100A)와, 공조부(400)가 설치되는 공조공간부(100B)로 각각 구획한다. 여기서, 공조공간부(100B)는 설치공간부(100A) 내의 온도 및 습도 조절을 위한 공조부(400)가 설치되며 설치공간부(100A)와는 독립적인 공간을 형성한다.
구획부(200)는 본체부(100)의 일 측 측면부(104) 일부를 개방하여 형성한 측면개구의 가장자리로부터 설치공간부(100A) 내측으로 일정 깊이 인입되게 형성된다. 측면개구에는 후술하는 점검도어부(500)가 설치되어 공조공간부(100B)를 개폐한다.
출입도어부(300)는 에너지저장시스템 및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본체의 길이방향 일 측의 전면부(102) 일부를 개방하여 형성한 출입구에 설치된다.
출입도어부(300)는 본체부와 같이 차열, 방염, 방수, 방진 기능을 위해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내피층(110) 및 외피층(120)과, 외피층(120)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외피층(120)과의 사이에 공기단열층(130)을 형성하며 외피층(120)으로부터 내피층(110)으로 열방사를 차단하는 열방사단열층(140)과, 열방사단열층(140)과 내피층(110) 사이에 개재되는 우레탄단열층(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출입도어부(300)는 메인출입도어(310), 서브출입도어(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인출입도어(310)는 에너지저장시스템을 본체부(100) 내부로 반입하거나 본체부(100) 내부에서 외부로 반출할 시 전면부(102)를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게 전면부(102) 좌우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메인출입도어(310)에는 잠금수단이 구비된다.
서브출입도어(320)는 메인출입도어(310)를 개방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본체부(100) 내부로 드나들 수 있도록 메인출입도어(310) 자체에 별도의 도어를 설치한 것으로서, 메인출입도어(310)의 중앙에 형성된 출입개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를 구비한 사막 기후 대응형 에너지저장시스템 보관 컨테이너는 메인출입도어(310) 대신 메인출입도어(3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서브출입도어(320)를 통해 작업자가 본체부(100)에 출입할 수 있어 본체부(100) 내부의 설치공간부(100A)가 외부 환경적인 요인인 온도, 습도, 분진 등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서브출입도어(320)는 좌우측의 메인출입도어(310) 중에서 어느 한 쪽에만 설치되며, 나머지 한 쪽의 메인출입도어(310)에는 본체부(100) 내부에 설치되는 LED조명부(160)와, 비상조명등과, 시청각경보부 및 본체부(100)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전기전자장치 등을 조작할 수 있는 수동조작함(330)과, 댐퍼장치(340)가 설치된다.
센서부는 도어센서와, 온습도센서, 연기감지기, 열감지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어센서는 출입도어부(300)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게 메인출입도어(310)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1도어센서와, 서브출입도어(320)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2도어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어센서에서 검출된 센서정보는 모니터링부에 전송된다.
온습도센서는 본체부(100)의 설치공간부(100A)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본체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각각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 및 습도 정보를 각각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마련된다. 온습도센서에서 측정된 온습도정보는 모니터링부에 전송된다.
연기감지기는 설치공간부(100A) 내부의 화재 감지를 위해 본체부(1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광전식 연기감지기를 적용할 수 있다.
열감지기는 설치공간부(100A) 내부의 화재 감지를 위해 본체부(1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차동식 열감지를 적용할 수 있다.
공조부(400)는 설치공간부(100A) 내부의 공기를 냉각, 순환, 환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냉각부(410)와 서큘레이터(450)와 온도조절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냉각부(410)는 구획부(200)에 마련된 설치홀에 삽입 장착되어 본체부(100) 외부에서 공조공간부(100B) 내부로 유입된 외기를 냉각시킨다. 냉각부(410)는 냉각된 공기를 설치공간부(100A) 내부로 공급하고, 설치공간부(100A)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본체부(100) 외부로 배출시킨다.
냉각부(410)는 공조공간부(100B)를 향하는 하부 일 면에 공조공간부(100B) 내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개방된 제1흡기구(411)가 형성되고, 설치공간부(100A)를 향하는 하부 타 면에는 제1흡기구(411)를 통해 흡입 후 냉각된 공기를 설치공간부(100A)로 토출할 수 있게 개방된 제1배기구(412)가 형성된다.
그리고, 냉각부(410)는 설치공간부(100A)를 향하는 상부 타 면에 설치공간부(100A)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개방된 제2흡기구(413)가 형성되고, 공조공간부(100B)를 향하는 상부 일 면에는 제2흡기구(413)를 통해 흡입된 설치공간부(100A) 내의 공기를 공조공간부(100B)로 토출할 수 있도록 개방된 제2배기구(414)가 형성된다.
서큘레이터(450)는 설치공간부(100A)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냉각부(410)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설치공간부(100A) 내부에서 순환시킴으로써 에너지저장장치를 구성하는 배터리 및 배터리팩을 골고루 냉각시키며 설치공간부(100A)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서큘레이터(450)는 설치공간부(100A) 내부의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지향성을 갖도록 설치된다.
온도조절기는 센서부에서 측정된 센서정보를 전달받아 설치공간부(100A)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며, 냉각부(410)나 서큘레이터(450)를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시키도록 설정된다. 온도조절기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설정할 수도 있고, 유선 및 무서 접속을 통해 원격으로 조작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공조부(400)는 트레이(20)의 설치 위치 및 설치 개수에 따라 3개가 설치된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트레이(20) 설치 위치 및 개수에 따라 더 많은 개수가 설치되거나 더 적은 개수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점검도어부(500)는 공조부(400)를 점검할 수 있도록 공조부(400)가 설치된 위치와 대응되는 본체부(100)의 폭 방향 일 측면에 개방 형성된 점검개구에 설치된다. 점검도어부(500)는 본체부(100)의 길이 및 공조부(400)의 개수에 따라 복수가 설치될 수 있다.
점검도어부(500)는 여닫이 방식으로 공조공간부(100B)를 개폐할 수 있게 점검개구의 좌우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점검도어부(500)는 잠금수단이 구비된다.
한편, 공조부(400)의 제2배기구(414)와 대응되는 점검도어부(500)의 상부에는 제2배기구(414)를 통해 배출되는 설치공간부(100A) 내부의 공기를 본체부(10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개방된 도어배기구(501)가 형성된다.
그리고, 공조부(400)의 제1흡기구(411)와 대응되는 점검도어부(500)의 하부에는 본체부(100) 외부의 공기가 공조공간부(100B)로 유입될 수 있게 개방된 도어급기구(502)가 형성된다.
또한, 도어급기구(502)와 도어배기구(501)에는 각각 급기루버(510) 및 배기루버(520)가 설치되며, 공조부(400)의 제2배기구(414)와 점검도어부(500)의 도어배기구(501) 사이에는 급기와 배기를 분리하기 위한 배기덕트(503)가 설치된다.
그리고, 도어급기구(502) 또는 급기루버(510)에는 방진필터(520)가 설치되고, 방진필터(520)는 염화필터를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를 구비한 사막 기후 대응형 에너지저장시스템 보관 컨테이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컨테이너
100 : 본체부
200 : 구획부
300 : 출입도어부
400 : 공조부
500 : 점검도어부

Claims (6)

  1. 에너지저장시스템을 보관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차열, 방염, 방수, 방진 처리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기 공간부를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이 설치되는 설치공간부와, 상기 설치공간부 내의 온도 및 습도 조절을 위한 공조부가 설치되며 상기 설치공간부와는 독립적인 공간을 형성하는 공조공간부로 각각 구획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설치공간부 내측으로 인입되게 형성되는 구획부;
    에너지저장시스템 및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 일 측에 개방 형성된 출입구에 설치되는 출입도어부;
    상기 출입도어부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센서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설치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각각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 및 습도 정보를 각각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마련된 온습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구획부에 마련된 설치홀에 삽입 장착되어 상기 본체부 외부에서 상기 공조공간부 내부로 유입된 외기를 냉각하여 상기 설치공간부 내부로 공급하고 상기 설치공간부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본체부 외부로 배출시키는 냉각부와, 상기 설치공간부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서큘레이터와, 상기 설치공간부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으로 상승할 시 냉각부 및 상기 서큘레이터를 작동시키도록 설정된 온도조절기를 포함하는 공조부;
    상기 공조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상기 공조부와 대응되는 상기 본체부의 폭방향 일 측에 개방 형성된 점검개구에 설치되는 점검도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를 구비한 사막 기후 대응형 에너지저장시스템 보관 컨테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내피층 및 외피층과, 상기 외피층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외피층과의 사이에 공기단열층을 형성하며 상기 외피층으로부터 상기 내피층으로 열방사를 차단하는 열방사단열층과, 상기 열방사단열층과 상기 내피층 사이에 개재되는 우레탄단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를 구비한 사막 기후 대응형 에너지저장시스템 보관 컨테이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부의 배기구 및 흡기구와 각각 대응되는 상기 점검도어부의 상부 및 하부에는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설치공간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개방된 도어배기구와 상기 본체부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조공간부로 유입될 수 있게 개방된 도어급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급기구와 상기 도어배기구에는 각각 급기루버 및 배기루버가 설치되며,
    상기 공조부의 배기구와 상기 점검도어부의 배기구 사이에는 급기와 배기를 분리하기 위한 배기덕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를 구비한 사막 기후 대응형 에너지저장시스템 보관 컨테이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급기구 또는 상기 급기루버에는 방진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방진필터는 염화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를 구비한 사막 기후 대응형 에너지저장시스템 보관 컨테이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설치공간부를 조명하기 위한 LED조명부와, 비상 상황 발생시 작동하는 비상조명등 및 시청각경보부가 설치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설치공간부 내부의 화재 감지를 위해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광전식 연기감지기 및 차동식 열감지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도어부의 전면에는 상기 LED조명부와 상기 비상조명등 및 상기 시청각경보부의 동작을 수동조작하기 위한 수동조작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를 구비한 사막 기후 대응형 에너지저장시스템 보관 컨테이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이 장착되는 트레이를 상기 본체부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이격프레임과, 상기 이격프레임과 대응되는 높이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연장된 발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를 구비한 사막 기후 대응형 에너지저장시스템 보관 컨테이너.
KR1020220002951A 2022-01-07 2022-01-07 공조장치를 구비한 사막 기후 대응형 에너지저장시스템 보관 컨테이너 KR202301074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951A KR20230107448A (ko) 2022-01-07 2022-01-07 공조장치를 구비한 사막 기후 대응형 에너지저장시스템 보관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951A KR20230107448A (ko) 2022-01-07 2022-01-07 공조장치를 구비한 사막 기후 대응형 에너지저장시스템 보관 컨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7448A true KR20230107448A (ko) 2023-07-17

Family

ID=87430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951A KR20230107448A (ko) 2022-01-07 2022-01-07 공조장치를 구비한 사막 기후 대응형 에너지저장시스템 보관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74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3904B1 (ko) * 2024-01-29 2024-05-10 라이트시스템 주식회사 Ess용 컨트롤시스템을 포함하는 ess 하우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956A (ko) 2019-01-13 2020-07-22 주식회사 플랜티 화재확산 방지기능이 강화된 외장 컨테이너형 에너지저장장치시스템
KR20200088553A (ko) 2019-01-15 2020-07-23 주식회사 플랜티 공기조화냉방용 전력부하를 저감하는 기능을 갖는 외장 컨테이너형 에너지저장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956A (ko) 2019-01-13 2020-07-22 주식회사 플랜티 화재확산 방지기능이 강화된 외장 컨테이너형 에너지저장장치시스템
KR20200088553A (ko) 2019-01-15 2020-07-23 주식회사 플랜티 공기조화냉방용 전력부하를 저감하는 기능을 갖는 외장 컨테이너형 에너지저장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3904B1 (ko) * 2024-01-29 2024-05-10 라이트시스템 주식회사 Ess용 컨트롤시스템을 포함하는 ess 하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56598A1 (ko)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에너지 저장 장치의 화재 관리 방법
ES2875741T3 (es) Sistema de almacenamiento estacionario para baterías
US7604535B2 (en) Assembly for extracting heat from a housing for electronic equipment
JP5339492B2 (ja) 蓄電装置
JP4873997B2 (ja) 機器収容ラックおよび機器収容室用空調システム
ES2361646T3 (es) Sistema de bastidores y procedimiento para determinar un estado de climatización del mismo.
KR20230107448A (ko) 공조장치를 구비한 사막 기후 대응형 에너지저장시스템 보관 컨테이너
JP5378195B2 (ja) サーバ室の空調方法
JP2015191717A (ja) 電力貯蔵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装置並びに電力貯蔵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9884743B2 (en) Ventilating apparatus for display of elevator hall door
KR102059301B1 (ko) Ess용 외함
CN210316705U (zh) 智能安全工器具库房
TW201806213A (zh) 用於儲存至少一電氣能量儲存單元之設有通風艙門的收納庫
KR20230107447A (ko) 화재진압부를 구비한 사막 기후 대응형 에너지저장시스템 보관 컨테이너
JP6586698B2 (ja) 環境性能評価装置
KR101403717B1 (ko) 서버 랙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센터
CN114270120B (zh) 保冷箱
JP2876592B2 (ja) プラグインユニット方式の電子機器装置
CN210636870U (zh) 一种智能安全工器具库房
KR102659501B1 (ko) 교체형 화재감지모듈을 갖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냉각장치
KR102659500B1 (ko) 화재감지유로를 갖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냉각장치
CN220021436U (zh) 储能系统及电子设备
US20230170574A1 (en) Energy storage unit with active ventila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CN216958215U (zh) 一种电池箱架
JP2519858B2 (ja) アクセスブ―ス付き環境試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