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30654A1 - 생리대 - Google Patents

생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30654A1
WO2018030654A1 PCT/KR2017/007517 KR2017007517W WO2018030654A1 WO 2018030654 A1 WO2018030654 A1 WO 2018030654A1 KR 2017007517 W KR2017007517 W KR 2017007517W WO 2018030654 A1 WO2018030654 A1 WO 201803065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olded
sanitary napkin
cutout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751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경순
Original Assignee
장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경순 filed Critical 장경순
Publication of WO201803065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3065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3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characterised by an unusual contour
    • A61F13/4724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characterised by an unusual contour with asymmetry around the x or y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2013/16Sanitary towels; Means for supporting or fastening th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2013/451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lded in special shape during use

Definitions

  • both ends of the reinforcement pads 200 are fixed to both ends of the cutout 110, respectively, there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insertion part 210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cutout 110. It can be worn to fit the body size of the effect is generated to improve the fit.
  • the expansion part 220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insertion part 210 to be folded, thereby preventing the insertion part 210 from being easily detached from the anal inlet, and thus without limiting movement even when wearing a sanitary napkin. The effect is to make you comfortable.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anitary napki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having an absorbent portion 100a for absorbing and maintaining menstrual blood and an outer skin portion 100b surrounding the absorbent portion 100a;
  • a reinforcement pad 200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100 and folded to be folded to the main body 100 during packaging, and deployed to be inserted into the anal inlet of the wearer during use;
  • Including, but one end of the main body 100 is formed with a 'V' shaped cutout 110 is gradually narrower in width toward the other end, the reinforcement pad 200 is one end of the cutout 110 It is fixed to one end of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incision 110, the center portion is folded to protrude in the anal direction, providing a sanitary napkin is formed so that the width becomes smaller toward the top of the main body 100 I would like to.
  • the main body 100 is attached to underwear such as panties, and absorbs menstrual blood, and has a flat and long rectangular shape, and includes an absorbing part 100a and an outer skin part 100b.
  • one surface of the outer skin part 100b is a part in contact with the wearer's body, and the other surface is a part in contact with the underwear.
  • an adhesive layer (not shown)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outer skin portion 100b so that the main body 100 is attached to the underwear.
  • an incision 11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100, that is, at the end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anus is disposed.
  • the cutout 110 is a groove cut into a 'V' shape in which the width gradually decreases from one end of the main body 100 to the other end direction, an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reinforcement pad 200 to be described later. It will open or narrow.
  • the first protrusion 120 is inserted into the inlet of the perineum when worn,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erineum.
  • the lower end of the first protrusion 120 is formed in an arc shape curved in the downward direction, as shown in FIG.
  • the first protrusion 120 and the second protrusion 130 form a 'Y' shape, which is similar to a female pubic shape.
  • the first protrusion 120 and the second protrusion 130 are formed in a 'Y' shape similar to the female pubic shape,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adhesion when worn.
  • the wings 14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respectively.
  • the wing 140 is to prevent the menstrual blood is buried in the edge portion of the underwear.
  • the reinforcement pad 20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100 and inserted into the anal inlet of the wearer to block the flow of menstrual blood in the anal direction.
  • the reinforcement pad 200 includes an insertion part 210 and an expansion part 220.
  • the insertion part 21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inforcement pad 200 and is formed of a face pad, and is fold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anal opening based on a line in the center.
  • the insertion portion 210 has a triangular shape in which the center thereof is folded in half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line and becomes smaller in width toward the top.
  • the insertion unit 210 is configured to be folded to lie on the main body 100, thereby minimizing the volume of the sanitary napkin packaging, thereby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such as transportation costs.
  • the extended portion 220 disposed on the left end is fixed to the left end of the cutout 110, and the extended portion 220 disposed on the right end has the right end of the cutout 110. Is fixed to.
  • the expansion unit 220 is formed in a folded wrinkled shape when alternately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line.
  • the expansion part 220 smoothes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insertion part 210 while opening when the insertion part 210 is moved left and right.
  • the expansion part 220 can be moved to the left and right.
  • both ends of the reinforcement pads 200 are fixed to both ends of the cutout 110, so that the height of the insertion part 21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cutout 110. It can be worn to fit the body size of the effect is generated to improve the fit.
  •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s disposed in the perineal part of the wearer is formed with a reinforcing member 300 to prevent the outflow of menstrual blood in the width direction.
  • the wrinkles 310 are provided between the first protrusions 120 and the wing 140, respectively, and are formed to be folded to be wrinkled like a r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wrinkles 310 ar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protrusion 120, thereby preventing menstrual blood from leaking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and improving safety. Is generated.
  • the wrinkle part 310 is formed to be folded to wrinkle like a lace, there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member 300 and improves the absorption rate.
  • the reinforcing member 300 i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protrusion 120, thereby preventing menstrual blood from leaking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and improving safety. Is gen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의 끝단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의 양단에 항문 입구에 삽입되도록 세워지게 절첩되는 보강패드가 장착됨으로써, 생리혈이 항문 방향으로 흘러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착용감과 흡수성을 향상시킨 생리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생리대
본 발명은 생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성의 생리혈을 흡수하기 위해 속옷 등에 착용하여 사용되며, 회음부에서 항문 부근까지 길게 형성된 납작한 형태의 생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리대는 생리혈과 같은 여성의 분비물을 흡수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분비물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는 코팅지와 분비물을 흡수하는 흡수지 및 피부에 접촉되는 부직포로서 납작한 평면상으로 이루어진다.
최근 현대 여성들의 활동성이 강해짐에 따라 생리대에는 단순한 흡수 기능뿐만 아니라 활동시 분비물이 외부로 세어나가지 않게 하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최근에는 생리대의 측부에 생리혈 샘 방지용 플랩을 형성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생리대들은 모두 사용자가 서있거나 앉아 있는 경우와 같이 여성분비물이 하방으로 흐르는 경우에는 그 효과가 우수하나, 취침시나 누워있는 경우와 같이 분비물이 등에 평형하게 이동할 경우에는 생리대와 사용자의 둔부 중앙 골 사이에 틈이 발생되므로 분비물이 이러한 틈을 통하여 외부로 새어나와 옷이나 시트를 버리게 되므로 사용자가 취침시에 불안감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생리대는 인체와 닿는 부분이 평면형이므로 회음부나 항문 등과 같은 부분은 인체 굴곡에 의하여 생리대 표면과 접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한 종래의 생리대를 착용하더라도 생리혈이 생리대에 닿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그 사이에 생리혈이 피부를 따라 생리대 측부로 흐르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의 끝단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의 양단에 항문 입구에 삽입되도록 세워지게 절첩되는 보강패드가 장착됨으로써, 생리혈이 항문 방향으로 흘러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착용감과 흡수성을 향상시킨 생리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생리대는, 생리혈을 흡수 유지하는 흡수부(100a)와 상기 흡수부(100a)를 감싸는 외피부(100b)를 갖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일단에 구비되며, 포장시 상기 본체(100)에 포개어지게 절첩되어 있다가 사용시 착용자의 항문 입구에 삽입되도록 세워지게 전개되는 보강패드(200); 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100)의 일단에는 타단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V'자 형상 절개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패드(200)는 일단이 상기 절개부(110)의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절개부(110)의 타단에 고정되며, 가운데 부분이 항문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첩되며, 상기 본체(100)의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보강패드(200)는, 가운데에 배치되며,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작아지는 삼각형 형상으로 갖는 삽입부(210); 상기 삽입부(210)의 양단에 각각 연장 형성되며, 끝단이 상기 절개부(110)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고, 가운데가 상기 절개부(110)의 반대 방향으로 절첩되는 확장부(220); 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의 일면에는 가운데가 회음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첩된 제1돌출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의 일면에는,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며, 착용자의 회음부에 배치되어 생리혈의 폭 방향 유출을 저지하는 보강부재(300)가 형성되되, 상기 보강부재(3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주름지도록 절첩된 레이스 형태이다.
상기 삽입부의 양단 사이에는 가운데가 상기 본체 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를 폭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대(230)가 구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생리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음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첩된 상기 제1돌출부(120)가 형성됨으로써, 생리혈을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제1돌출부(120)의 좌,우측에 상기 보강부재(300)가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됨으로써, 생리혈이 상기 본체(100)의 양측으로 흘러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특히, 상기 보강부재(300)의 주름부(310)가 레이스와 같이 주름지도록 절첩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강부재(300)의 두께를 증가시키고 흡수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보강패드(200)의 삽입부(210)가 상기 본체(100)에 눕혀지게 절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생리대의 포장시 부피를 최소화하며, 이로 인해 운송비 등 생산 단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절개부(110)의 양단에 상기 보강패드(200)의 양단이 각각 고정됨으로써, 상기 절개부(110)의 폭에 따라 상기 삽입부(2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적합하게 착용할 수 있어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210)의 양단에 상기 확장부(220)가 절첩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삽입부(210)가 항문 입구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 인해 생리대 착용시에도 움직임의 제한 없이 편안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리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리대의 보강패드(200)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리대의 보강패드(200)가 확장부(220)에 의해 변형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1의 C-C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리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생리혈을 흡수 유지하는 흡수부(100a)와 상기 흡수부(100a)를 감싸는 외피부(100b)를 갖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일단에 구비되며, 포장시 상기 본체(100)에 포개어지게 절첩되어 있다가 사용시 착용자의 항문 입구에 삽입되도록 세워지게 전개되는 보강패드(200); 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100)의 일단에는 타단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V'자 형상 절개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패드(200)는 일단이 상기 절개부(110)의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절개부(110)의 타단에 고정되며, 가운데 부분이 항문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첩되며, 상기 본체(100)의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생리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리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리대의 보강패드(200)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리대의 보강패드(200)가 확장부(220)에 의해 변형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1의 C-C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리대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리대는, 본체(100), 보강패드(200) 및 보강부재(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0)는 팬티 등의 속옷에 부착되며, 생리혈을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 납작하고 길이가 긴 직사각형의 형태이며, 흡수부(100a)와 외피부(100b)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수부(100a)는 생리혈을 흡수하여 유지하기 위해 얇은 흡수시트를 다층으로 포개어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흡수시트는 면부직포로 이루어지며, 경우에 따라 흡수성이 높은 다양한 재질의 섬유나 흡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외피부(100b)는 상기 흡수부(100a)를 감싸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외피부(100b)의 일면은 상기 흡수부(100a)로 생리혈을 통과시키기 위해 거즈로 이루어지고, 타면은 흡수된 생리혈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닐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외피부(100b)의 일면은 착용자의 신체와 접하는 부분이고, 타면은 속옷과 접하는 부분이 된다.
또한, 상기 외피부(100b)의 타면에는 접착층(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가 속옷에 부착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일단, 즉 항문이 배치된 방향의 끝단에는 절개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110)는 상기 본체(100)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V'자 형상으로 절개된 홈이며, 좌우 간격이 후술할 상기 보강패드(200)의 상태에 따라 벌어지거나 좁혀지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일면에는 가운데가 회음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첩된 제1돌출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제1돌출부(120)는 상기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타면이 서로 부착되면서 일면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첩된다.
이러한 상기 제1돌출부(120)는 착용시 회음부의 입구에 삽입되어 회음부와 더욱 밀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돌출부(120)의 하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향으로 만곡진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음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첩된 상기 제1돌출부(120)가 형성됨으로써, 회음부와 상기 본체(100) 사이의 간격과 틈새를 최소화하여 생리혈을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고,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일면에는 상기 제1돌출부(120)에서 상기 보강패드(200)의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지면서 상호 간격이 멀어지는 제2돌출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제2돌출부(130)는 상기 제1돌출부(120)와 마찬가지로 상기 본체(100)가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절첩되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돌출부(120)와 상기 제2돌출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이 'Y'자 형상을 이루게 되며, 이는 여성의 음부 형상과 유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돌출부(120) 및 상기 제2돌출부(130)가 여성의 음부모양과 유사한 'Y'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착용시 밀착력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가운데 양측에는 날개부(14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날개부(140)는 착용시 상기 본체(100)의 타면 방향으로 절첩되어 속옷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본체(100)의 양측에 대략 반원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날개부(140)는 속옷의 테두리 부분에 생리혈이 묻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보강패드(200)는 상기 본체(100)의 일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항문 입구에 삽입되어 항문 방향으로 생리혈이 흐르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패드(200)는 삽입부(210)와 확장부(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부(210)는 상기 보강패드(200)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 면패드로 이루어지고, 가운데의 선을 기준으로 항문 입구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첩된다.
즉, 상기 삽입부(210)는 가운데가 길이 방향 선을 기준으로 반으로 절첩되어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작아지는 삼각형 형상을 갖게 된다.
이러한 상기 삽입부(210)는 포장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에 평형하도록 눕혀지게 되며, 착용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210)가 항문 입구 방향으로 세워지게 전개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210)는 착용시 착용자의 항문 입구에 삽입되며, 회음부에서 항문 방향으로 생리혈이 흘러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삽입부(210)가 상기 본체(100)에 눕혀지게 절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생리대의 포장시 부피를 최소화하며, 이로 인해 운송비 등 생산 단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확장부(220)는, 거즈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부(21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끝단이 상기 절개부(110)의 양단에 각각 고정된다.
즉, 좌측에 배치된 상기 확장부(220)는 끝단이 상기 절개부(110)의 좌측단에 고정되고, 우측에 배치된 상기 확장부(220)는 끝단이 상기 절개부(110)의 우측단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확장부(220)는 좌우로 번갈아 가면 절첩되는 주름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확장부(220)는 길이 방향 선을 기준으로 상호 다른 방향으로 번갈아가면 절첩된 주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확장부(220)는 상기 삽입부(210)가 좌우로 이동될 때 벌어지면서 상기 삽입부(210)의 좌우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즉, 상기 삽입부(210)가 항문 입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항문의 위치가 좌우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확장부(220)가 전개되면서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삽입부(210)의 양단에 상기 확장부(220)가 절첩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삽입부(210)가 항문 입구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 인해 생리대 착용시에도 움직임의 제한 없이 편안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확장부(220)는 상기 절개부(110)의 폭에 따라 상기 삽입부(2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절개부(110)의 폭이 좁아질수록 상기 삽입부(210)의 높이는 높아지고, 상기 절개부(110)의 폭이 벌어질수록 상기 삽입부(210)의 높이는 낮아진다.
이와 같이 상기 절개부(110)의 양단에 상기 보강패드(200)의 양단이 각각 고정됨으로써, 상기 절개부(110)의 폭에 따라 상기 삽입부(2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적합하게 착용할 수 있어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일면에는 착용자의 회음부에 배치되어 생리혈의 폭 방향 유출을 저지하는 보강부재(300)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재(300)는 상기 본체(100)의 일면의 외피부(100b)와 동일한 거즈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 주름부(310)와 덮개부(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름부(310)는 상기 제1돌출부(120)와 상기 날개부(140)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며 레이스와 같이 주름지도록 절첩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주름부(310)는 2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돌출부(120)의 좌,우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주름부(310)와 상기 제1돌출부(120) 사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골이 형성되어 생리혈이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고 가운데에 모이도록 유도하게 되며, 갑자기 많은 양의 생리혈이 배출되더라도 상기 골에 생리혈이 일정시간 머무르면서 흡수를 보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돌출부(120)의 좌,우측에 상기 주름부(310)가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됨으로써, 생리혈이 상기 본체(100)의 양측으로 흘러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특히, 상기 주름부(310)가 레이스와 같이 주름지도록 절첩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강부재(300)의 두께를 증가시키고 흡수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덮개부(320)는 상기 주름부(310)에서 상기 날개부(140)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140)의 일면을 덮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덮개부(320)는 상기 주름부(3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생리혈이 상기 날개부(140)로 새어나가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210) 사이에는 상기 삽입부(210)의 폭을 지지하는 지지대(2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30)는 상기 삽입부(210)의 양단 사이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삽입부(210)의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삽입부(210)의 타단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230)는 가운데가 상기 본체(100)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첩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대(230)는 포장시에는 상기 삽입부(210)와 마찬가지로 평평하게 접혀졌다가, 전개시 'v'자 형상으로 전개되며, 상기 삽입부(210)을 폭 방향으로 지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삽입부(210)의 사이에 상기 지지대(23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삽입부(210)가 항문 입구에 삽입될 때 피부에 잘 밀착되도록 하여 생리혈이 새는 것을 더욱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리대는, 상기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음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첩된 상기 제1돌출부(120)가 형성됨으로써, 생리혈을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제1돌출부(120)의 좌,우측에 상기 보강부재(300)가 일정간격 이격 배치됨으로써, 생리혈이 상기 본체(100)의 양측으로 흘러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특히, 상기 보강부재(300)의 주름부(310)가 레이스와 같이 주름지도록 절첩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강부재(300)의 두께를 증가시키고 흡수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보강패드(200)의 삽입부(210)가 상기 본체(100)에 눕혀지게 절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생리대의 포장시 부피를 최소화하며, 이로 인해 운송비 등 생산 단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절개부(110)의 양단에 상기 보강패드(200)의 양단이 각각 고정됨으로써, 상기 절개부(110)의 폭에 따라 상기 삽입부(2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적합하게 착용할 수 있어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210)의 양단에 상기 확장부(220)가 절첩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삽입부(210)가 항문 입구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 인해 생리대 착용시에도 움직임의 제한 없이 편안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여성의 생리혈을 흡수하기 위해 속옥 등에 착용하여 사용되면서 회음부에서 항문 부근까지 길게 형성된 납작한 형태의 생리대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5)

  1. 생리혈을 흡수 유지하는 흡수부(100a)와 상기 흡수부(100a)를 감싸는 외피부(100b)를 갖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일단에 구비되며, 포장시 상기 본체(100)에 포개어지게 절첩되어 있다가 사용시 착용자의 항문 입구에 삽입되도록 세워지게 전개되는 보강패드(200); 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100)의 일단에는 타단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V'자 형상 절개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패드(200)는 일단이 상기 절개부(110)의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절개부(110)의 타단에 고정되며, 가운데 부분이 항문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첩되며, 상기 본체(100)의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패드(200)는,
    가운데에 배치되며,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작아지는 삼각형 형상으로 갖는 삽입부(210);
    상기 삽입부(210)의 양단에 각각 연장 형성되며, 끝단이 상기 절개부(110)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고, 좌우로 번갈아 가면 절첩되는 주름 형상의 확장부(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일면에는, 가운데가 회음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첩된 제1돌출부(120)와, 상기 제1돌출부(120)에서 상기 보강패드(200)의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지면서 상호 간격이 멀어지는 제2돌출부(1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에 양측에는 날개부(140)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일면에는 상기 날개부(140) 사이에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어 생리혈의 폭 방향 유출을 저지하는 보강부재(300)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보강부재(3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주름지도록 절첩된 레이스 형태인 주름부(310);
    상기 주름부(310)에서 연장되어 상기 날개부(140)의 일면을 덮는 덮개부(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양단 사이에는 가운데가 상기 본체 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를 폭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대(2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PCT/KR2017/007517 2016-08-12 2017-07-13 생리대 WO201803065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702A KR101676844B1 (ko) 2016-08-12 2016-08-12 생리대
KR10-2016-0102702 2016-08-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0654A1 true WO2018030654A1 (ko) 2018-02-15

Family

ID=57542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7517 WO2018030654A1 (ko) 2016-08-12 2017-07-13 생리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76844B1 (ko)
WO (1) WO20180306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844B1 (ko) * 2016-08-12 2016-11-17 장경순 생리대
KR101879280B1 (ko) * 2018-03-16 2018-08-16 (주)동해다이퍼 기능성 생리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2695A (ja) * 1997-11-19 2001-11-20 エスシーエー・ハイジーン・プロダクツ・アーベー 衛生ナプキン、失禁プロテクター、パンティライナー又はそれらの類似物品の如き吸収物品
KR20070024478A (ko) * 2004-05-27 2007-03-02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생리대
KR20070040887A (ko) * 2005-10-13 2007-04-18 이경임 입체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470249B1 (ko) * 2013-12-16 2014-12-05 채주석 생리대
JP2015097716A (ja) * 2013-11-20 2015-05-2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KR101676844B1 (ko) * 2016-08-12 2016-11-17 장경순 생리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190B1 (ko) 2014-08-28 2016-09-23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속지교체가 용이한 생리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2695A (ja) * 1997-11-19 2001-11-20 エスシーエー・ハイジーン・プロダクツ・アーベー 衛生ナプキン、失禁プロテクター、パンティライナー又はそれらの類似物品の如き吸収物品
KR20070024478A (ko) * 2004-05-27 2007-03-02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생리대
KR20070040887A (ko) * 2005-10-13 2007-04-18 이경임 입체패드 및 그 제조방법
JP2015097716A (ja) * 2013-11-20 2015-05-2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KR101470249B1 (ko) * 2013-12-16 2014-12-05 채주석 생리대
KR101676844B1 (ko) * 2016-08-12 2016-11-17 장경순 생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6844B1 (ko) 201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94203B2 (ja) 生理用ナプキン
JP3830676B2 (ja) 生理用ナプキン
BRPI0613248B1 (pt) Artigo absorvente
BRPI1005427A2 (pt) Artigo aderente ao corpo
BR0316389B1 (pt) Método para a fabricação de uma roupa de baixo descartável
CA1232703A (en) Shaped sanitary napkin with flaps
JP4234001B2 (ja) 陰唇パッド
KR19990088285A (ko) 생리대
BR112012012622B1 (pt) Artigo do vestuário descartável
KR20010020268A (ko) 남성 착용자용 일회용 흡수 디바이스
MXPA05005882A (es) Prenda interior desechable con insercion absorbente capaz de estirarse y metodo para el uso de la misma.
WO2018030654A1 (ko) 생리대
BR112018074759B1 (pt) Artigo absorvente
WO2019168314A1 (ko) 여성용 속옷
JP6442274B2 (ja) 吸収性物品
BR112018015938B1 (pt) Artigo absorvente
WO2022025469A1 (ko) 남성용 기능성 팬티
BR0307554A (pt) Artigo de vestimenta descartável do tipo calça
JP3904302B2 (ja) 生理用ナプキン
TWI576098B (zh) Disposable diaper
BR112018016123B1 (pt) Artigo absorvente
ZA200309207B (en) Labial pad.
WO2009145466A2 (ko) 보조패드가 구비된 생리대
CN211835015U (zh) 一种抗菌轻柔卫生巾
WO2022114853A1 (ko) 분리형 여성용 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3967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3967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