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55135A1 - 물을 이용한 드라이 클리닝장치 - Google Patents

물을 이용한 드라이 클리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55135A1
WO2017155135A1 PCT/KR2016/002316 KR2016002316W WO2017155135A1 WO 2017155135 A1 WO2017155135 A1 WO 2017155135A1 KR 2016002316 W KR2016002316 W KR 2016002316W WO 2017155135 A1 WO2017155135 A1 WO 201715513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ater
detergent
drum
laundry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231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영주
Original Assignee
이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주 filed Critical 이영주
Publication of WO201715513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5513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3/00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 cleaning apparatus using water,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protect worker health and minimize water pollution by washing with water without using organic solvents that are harmful to the human body.
  • the shower-type spray device installed in the drum and the bubble generator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drum can increase the washing effect by washing with shock waves while washing the laundry inside the drum, and reduce the amount of detergent and water used by the recirculation devic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 cleaning apparatus using water, which can automatically supply an amount of detergent according to the type of laundry, and does not require replacement of a filter.
  • Dry cleaning is a method of washing clothes using organic solvents, also known as dry washing. It is mainly used for washing high-quality clothes such as woolen fabrics, silk fabrics, down clothing and mink coats, which are easily damaged by washing with water. have.
  • the entrance 12 is provided on one side, the first door 11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ntrance 12 is provided, the entrance 12
  • a main body 10 having a warm air passage 14 through which the warm air generated through the heating part is discharged, and an input hole 16 through which detergent and water are supplied
  • the outer cylinder 22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the drum 24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242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side the outer cylinder 22, and the outer cylinder 22
  • Washing unit having a bubble generator 26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ubble generator 26 to generate bubbles in the drum 24 so that the laundry put into the drum 24 is floa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rotation of the drum 24 ( 20);
  • a tank 32 for stor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to supply water to the outer cylinder 22 of the washing unit 20, a pump 34 for supplying the water stored in the tank 32, and the pump 34 Injecting the supply water from the drum through the outer cylinder 22 to the drum 24 and the spray means 36 to be
  • the stirring means 54 of the detergent input unit 50 as shown in Figure 5, the inlet 512 is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first barrel 510 provided with a first discharge port 513 on the other side and; An interlayer partition wall 514 provided inside the stirring tube 510 to separate the inlet 512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513 up and down, and having a second discharge port 515 at one side thereof; And a communication port for divid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separated by the interlayer partition wall 514 and allowing water or detergent to flow at one or both ends thereof, so that water or detergent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512 is provided.
  • the upper and lower separation partitions 516 and 518 are configured to amplify the residence time and the stirring time discharged to the second discharge port 515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513 to achieve uniform stirring.
  • the first door the first door body 11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112; And warmth or water extending from the first door body 112 and extending to the doorway 112 and discharged through the hot air passage 14 or the input hole 16 provided inside the doorway 112. It includes a guide portion 116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clined so that detergent is introduced into the center of the drum 24 of the laundry unit 20.
  • the type and amount of detergent should be selected and supplied according to the type of laundry.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necessary to replace the filter is to reduce the maintenance cost, the object to be able to easily remove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filte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automatically supply an appropriate amount of detergent according to the type of laundry.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notify the worker when the residual amount of detergent remaining in the detergent supply container is below a certain level.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easur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drum when drying laundry so that the laundry can be completely dried in a short time.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fire and explosion accidents caused by vapor, and to prevent water and air pollution by using water without using an organic solvent during dry cleaning.
  • the door is provided on one side, the first door is provided with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the warm air passage is discharged through the heating portion gener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 a main body provided with an input hole through which detergent and water are supplied;
  • An outer cylinde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 drum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part inside the outer cylinder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laundry provided to the drum by generating bubbles in the drum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cylinder.
  • a washing unit provided with a bubble generator to floa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rotation of the drum;
  • a tank for storing a certain amount of water to supply water to the outer cylinder of the washing unit, a pump for pumping the water stored in the tank, and the water pumped from the pump to the drum to blow to the laundry fresh water
  • a water supply unit provided with a spraying means to be applied, and a water supply line receiving water stored in the tank to fill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n the drum through the injection hole;
  • a power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to rotate the drum of the washing unit;
  • a detergent supply barrel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at least one detergent storage unit, stirring means for uniformly mixing the detergent and water provided from the detergent supply cylinder, and the detergent and water mixed in the stirring unit.
  • the dry cleaning apparatus using water comprising a discharge tube having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be discharged into the injection hole of the main body, collecting and storing and circulating the water to the first washing is complet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anks, the inside of the main body, further comprising a recirculation device for recovering dust and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washed water and recycling it, and a second door for maintaining the recirculation device,
  • the recirculation device includes a pipe-shaped metal filter therein, and filters the water supplied from the tank to a drum.
  • a cylind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caught in the filter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etal filter, and a detergent automatic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 certain amount of detergent according to the type of laundry between the plurality of detergent supply containers and the stirring device.
  • a control board for displaying a state of each component on an upper side of the main body and operating a dry cleaning device.
  • the metal filter is formed of a sheath (Sheath) tube of stainless steel woven in a lattice shape, a vertical bar is provided therein,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ba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ylinder for lifting it up is provided. .
  • the metal filter is manufactured by winding a stainless bar in a polygonal coil shape, a vertical bar is provided therein, and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bar is provided with a cylinder for lifting it.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ing device is a pump having a detergent check valve and an air check valve, characterized in that for selectively pumping the detergent contained in each detergent supply container to supply to the stirring means.
  • each of the detergent suppl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loat for lifting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the detergent (Float) and a sensor for detecting this when the position of the float is below a certain level.
  • the weight sensor for detecting the weight of the laundry put into the dru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 a hygrometer for detecting the humidity of the laundry and a thermomete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is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first door can be opened after the humidity and temperature of the dried laundry to a certain level.
  • a lamp is further provided inside the first door.
  • the agitation means of the detergent input unit the stirring passage provided with an inlet on one side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on the other side;
  • An interlayer partition wall provided inside the stirring tube to separate the inlet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up and down, and having a second discharge port at one side thereof;
  • a communication port for dividing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separated by the interlayer partition wall and allowing water or detergent to flow at one or both ends thereof, wherein the water or detergent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is discharged from the second discharge port and the firs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paration partition to amplify the residence time and the stirring tim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to achieve a uniform stirring.
  • the first door the first door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nd an angle extending from the first door body and extending to the doorway such that warmth, water, or detergent discharged through the hot air passage or the injection hole provided inside the doorway is introduced into the center of the drum of the laundry unit.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intenance cost by using a semi-permanent filt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remove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filter.
  • the drying tim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of clothes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drum, and the door can not be opened in the state that drying is not completed to prevent wrinkles after washing. It has an effect.
  • the shower-type spraying apparatu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rum and the bubble generator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drum have the effect of being able to dry-clean laundry with water by washing with shock waves while the laundry floats inside the drum. .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y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ure 2 is a schematic front sectional view of the dry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washing unit and the power unit of the dry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introduction of warmth or detergent through the first door in the dry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tirring means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y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circulation device and the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shows another example of a filt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 Figure 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ergent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view showing a detergent remaining amou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view showing a control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dry cleaning apparatus using water includes a main body 10, a washing unit 20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and a water supply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shing unit 20.
  •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space in which the washing unit 20 is installed at an inner side thereof, and at one end thereof, an entrance 12 for injecting laundry into the washing unit 20 is provided.
  • the doorway 12 is provided with a first door 110 to open and close the doorway 12.
  • a hot air passage for supplying warmth heated by a heating unit (not shown) through the side of the first door 110 to the inside of the washing unit 20 to promote the drying of laundry. 14 is provided.
  • the entrance 12, the injection hole 16 for guiding the detergent supplied through the detergent input unit 50 is uniformly distributed inside the washing unit 20 through the side of the first door 110. ) Is provided.
  • the first door 110 includes a first door main body 112 and a first door main body 112 that are supported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by a hinge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 the handle 114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and the guide portion 116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door body 112 is configured.
  • the first door main body 112 opens and closes the entrance and exit 12 of the main body 10, and is formed in a sealed structure to prevent water from leaking to the outside during washing.
  • the handle 114 allows the user to be gripped from the outside to facilitat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door 112.
  • the handle 114 is provided with a locking device to prevent the first door 110 is opened during the laundry operation.
  • the guide part 116 is inserted into the inlet and outlet 12 of the main body 10 to mix warmth or detergent through the warm air passage 14 or the input hole 16.
  • the water is guided to be uniformly distributed inside the washing unit 20.
  • the guide portion 116 is preferably formed in a con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inclination.
  • the washing unit 20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outer cylinder 22 and the drum 24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ylinder 22 by a predetermined interval. ), A bubble generator 26 provided below the outer cylinder 22, and a pressure gauge 28 for indicating the pressure acting on the drum 26.
  • the outer cylinder 22 is formed in a sealed structure so that water is filled inside while protecting the drum 24.
  • the drum 24 is provided inside the outer cylinder 22 to store laundry, and rotates by a rotational force provided by the power unit 40.
  • the drum 24 is provided to adjust the speed according to the type of laundry.
  •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42 are form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um 24, and at least one blade 244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drum 24. do.
  • the blade 244 strikes water when the drum 24 rotates, so that a vortex is formed inside the drum 24, and thus dust or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laundry is removed.
  • the bubble generator 26, as shown in Figure 2,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cylinder 22 to generate bubbles in the water stored in the outer cylinder (22).
  • the laundry put into the drum 24 is in a state of floating in water without being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rum 24.
  • the effect of washing the laundry while floating in the water can be obtained.
  • the pressure gauge 28 measures the pressure acting on the drum 24 and adjusts the water level according to the type or amount of the laundry.
  • the water supply unit 30 includes a tank 32 storing water, a pump 34 pumping water stored in the tank 32, and the pump 34. It is composed of the injection means 36 for receiving the pumped water and spraying the washing unit 20.
  • the water supply unit 30 is provided with a recirculation apparatus 38 for collecting water from the washing unit 20 and resupply it to the tank 32 to circulate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unit 30.
  • the water supply unit 30 is provided with a supply line 39 for connecting the water stored in the tank 32 to the detergent input unit 50 by the pumping force of the pump 34.
  • the supply line 39 may be connected to another pump instead of the pump 34 to supply water to the washing unit 20.
  • the tank 32 is provided below the main body 10 to store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 the tank 32 is connected to a drain (not shown) for draining the stored water to the outside.
  • the pump 34 pumps the water stored in the tank 32 and supplies it to the injection means 36.
  • the injection means 36 is provided in the outer cylinder 22 to inject water into the drum 24 of the washing unit 20.
  • the injection means 36 at least one or more is provided in the outer cylinder 22, it is preferable th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uter cylinder are provid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 the supply line 39 is a line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shing unit 20.
  • the supply line 39 constitutes a valve in a line connected from the pump 34 to the injection means 36 so that the pumped water is selective to the injection means 36 or the supply line 39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alve. To be supplied.
  • the power unit 40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to provide a rotational force for rotating the drum 24 of the washing unit 20.
  • the power unit 40 is fixed to the motor 42, the driving roll 44 provided at one end of the motor 42 and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42, and the drum 24.
  • the driven roll 46, and the connecting means 48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roll 44 to the driven roll 46.
  • the driving roll 44, the driven roll 46 and the connecting means 48 is preferably provided in a pulley and a belt meth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y method can be used as long a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roll 44 is transmitted to the driven roll 46.
  • Any method can be used as long a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roll 44 is transmitted to the driven roll 46.
  • chains and chain sprockets or gear structures may be used.
  • the detergent input unit 50 determines the type and amount of detergent according to the type of laundry and the amount of laundry, and inserts the detergent into the drum 24 of the laundry unit 20.
  • the stirring means 54, the detergent provided through the detergent supply container 52 is uniformly mixed and supplied to the laundry.
  • the stirring means 54 includes a stirring cylinder 510, an interlayer partition wall 514 separating the stirring tube 510 up and down, and the interlayer partition wall 514.
  • the separated upper and lower layers may be provided as an upper separation partition 516 and a lower separation partition 518 separa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 the stirring barrel 510 is provided with a closed structure inside the hollow, the inlet 512 is introduced into the detergent or water on one side, and includes a first discharge port 513 provided symmetrically with the inlet 512 It is composed.
  • the inlet 512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tirring barrel 510 to allow the detergent supplied from the detergent supply container 52 to be introduced,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513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tirring container 510.
  • the stirred detergent is discharged by the stirring barrel 510.
  • the interlayer partition wall 514 is provided to separate the inside of the stirring tube 510 up and down.
  • one side of the interlayer partition wall 514 is provi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let 512, so that a stirring action is performed while the detergent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512 flows, and the stirred detergent is transferred to the lower side.
  • the second discharge port 515 is provided.
  • the upper separation partition 516 is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stirring tube 510 separated through the interlayer partition wall 514.
  • the lower separation partition 518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irring tube 510 through the interlayer partition wall 514.
  • the upper and lower separating partitions 516 and 518 bisec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tirring tube 510 across the stirring tube 510 in the width direction.
  • the upper and lower separation partitions 516 and 518 are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port for allowing detergent to flow in one or both ends.
  • the communication port is preferably provided at each of both ends of the upper, lower partitions 516, 518.
  • the detergent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512 of the stirring tube 510 flows to the upper separation partition 516 and flows separately into communication ports provided at both ends, and to the second discharge port 515 provided in the interlayer partition wall 514. It is collected and discharged downward.
  • the detergent discharged downward flows to the lower separation partition 518 and flows separately into communication ports provided at both ends, and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56 while being collected at the first discharge port 513 provided at one side.
  • the detergent may be uniformly mixed while passing through the interlayer partition 514 and the upper and lower partitions 516 and 518.
  • the stirring means may be formed in various structures.
  • a rotor blade or a screw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tirring tube to promote stirring.
  • a plurality of tanks 32 for collecting, storing, and circulating water having been rins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 are stored. It is provided.
  • each tank 32 After rinsing water is separated and stored in each tank 32, it can be mixed with clean water and washed properly to reduce the amount of water used. 6, the tank 32 is shown in thre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each tank 32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the water gauge 32a is indicated there.
  • the tank 32 is provided with one, and clean water and washed water are mixed and stored, and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water level and state of the water from the outside.
  •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oor (110a) for maintaining the recirculation apparatus 38 for recovering the dust and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washed water and recycling it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further Equipped.
  • the second door 110a can be opened and the recirculation device 38 can be easily maintained.
  • the recirculation apparatus 38 as shown in FIG. 7, is provided with a pipe-shaped metal filter 80 therein, to filter the rinsing water is completed and then supplied to the tank (32).
  • the metal filter 80 may be formed of a sheath tube in which stainless steel is woven into a lattice shape.
  • the sheath tube is a tube used to protect electric wires and the like, and has fine pore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has elasticity.
  • the metal filter 80 may be manufactured by winding a thin stainless bar in a polygonal coil shape as shown in FIG. 8.
  • the metal filter on the coil is preferably formed to be bent in a hexag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lter 80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lter is semi-permanent, there is no need to replace the filter.
  • the upper portion of the metal filter 80, the cylinder 86 for removing the foreign matter caught in the filter is further provided.
  •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metal filter 80 may be separated by the operation of lifting the cylinder 86 up and down.
  • the foreign matter thus removed is collec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ecirculation apparatus 38, and the collected foreign matters can be easily removed during maintenance of the recirculation apparatus 38.
  • the second door 110a may be opened, and the lower pipe of the recirculation apparatus 38 may be disassembled to easily remove foreign substances.
  • detergent automatic supply device 90 for supplying a certain amount of detergent depending on the type of laundry It is further provided.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90) is a type of pump including a detergent check valve (92) and an air check valve (94), and selectively pumps the detergent contained in each detergent supply container (52) by stirring means (54). To feed.
  • the amount of detergent pumped at a time is about 10 cc is appropriate, but this may be added or subtracted depending on the type of laundry.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90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supply a variety of detergent according to the type of laundry.
  • the detergent supply container 52 is shown as six, but the number of the detergent supply container 52 and the number of pumps can be added or subtracted.
  • each detergent supply container 52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0, a float 52a for elevating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detergent, and a sensor 52b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float 52a. It is further provided.
  • the level of detergent detected by the sensor 52b is displayed on the control board 60. At the same time, a warning sound may be generated.
  •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eight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the weight of the laundry put into the drum (24).
  • the weight of the laundry is more than a certain standard, it is preferable to display it on the control board 60, or to inform the worker through a buzzer or a warning light.
  • the overloading of the power unit 40 can be prevented, and the effect of washing can be increased by inducing an appropriate amount of laundry.
  •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 hygrometer and thermometer for detecting the humidity and temperature of the laundry in the process of drying after washing is complete.
  • the drying time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laundry, and the first door 110 may not be opened if the laundry is not completely dried.
  • the lamp 118 is further provided inside the first door 110 to help dry the laundry during the drying process of the laundry.
  • a glass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amp 118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from penetrating during the washing.
  • control board 60 for displaying the state of each component and operating the dry cleaning apparatus.
  • control board 60 By the control board 60 described above, the operator can grasp the operating state of each component at a glance, thereby simplifying the washing operation and the maintenance work of the apparatus.
  • the first door 110 of the main body 10 is opened, laundry is put into the drum 24, and the entrance 12 is closed.
  • the weight sensor detects the weight of the laundry so that the laundry is not excessively added to the drum 24.
  • control board 60 is operated to select a washing method according to the type of clothes, and then press a start button.
  • the water pumped through the pump 34 is then injected into the drum 24 through the injection means 36.
  • the water may be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sprayed onto the drum 24 according to the type of laundry.
  •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90 is operated to pump the appropriate amount of detergent for the selected laundry to supply it to the stirring means (54).
  • the pump 34 supplies the water stored in the tank 32 to the stirring means 54 through the water supply line 39.
  • the stirring means 54 After sufficiently stirring the detergent supplied from the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90 and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line 39, the drum of the washing unit 20 through the discharge tube 56 Discharge at 24.
  • the bubble generator 26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rum 24 generates bubbles, so that laundry contained in the drum 24 is floated in water without being attached to the drum 24.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washing clothes while shaking the water.
  • the blade 244 provided inside the drum 24 strikes water to generate vortices, and the water pumped from the pump 34 is sprayed to the drum 24 through the injection means 36 to wash the laundry. Will be hit.
  • the water after the rinsing operation is filtered through the metal filter 80 of the recirculation apparatus 38 and stored in the tank 32 again, and then recycled to the drum (24).
  • the amount of detergent and water can be greatly reduced, and water pollution can be minimized.
  • the heated air is supplied from the heating unit through the hot air passage 14 provided in the doorway 12 of the main body 10 to dry the laundry.
  • the warm air generated in the heating unit is discharged to the warm air passage 14, the warm air is guid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uide unit 116 of the first door 110 to enter the drum 24 to dry the laundry. Let's do it.
  • the lamp 118 is turned on so that the heat of the lamp helps to dry the laundry.
  • the first door 110 is not opened.
  • the metal filter in the recirculation method of reusing the washed water, maintenance costs can be reduced, and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filter can be easily removed.
  • the residual amount of each detergent can be confirmed from the outside of the apparatus.
  •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drum are measured to prevent the door from being opened until the temperature is sufficiently low, thereby preventing wrinkles of clothes after wa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을 이용한 드라이 클리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에 유해한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물을 사용하여 세탁함으로써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수질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도어(110)와, 세제 및 물이 공급되는 투입공(16)이 구비된 본체(10)와; 드럼(24)과, 외통(22)의 하부에 구비되는 기포발생기(26)가 구비된 세탁부(20)와; 물을 저장하는 탱크(32)와, 물을 드럼(24)으로 분사시켜 세탁물에 타격이 가해지도록 하는 분사수단(36)을 포함하는 급수부(30)와; 드럼(24)을 회전시키도록 회전력을 발생하는 동력부(40); 세제공급통(52)과 교반수단(54)을 구비한 세제투입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물을 이용한 드라이 클리닝장치에 있어서, 본체(10)의 하부에 탱크(32)가 복수로 구비되고, 본체(10)의 내부에 세탁된 물에 포함된 먼지 및 이물질을 회수한 후 이를 재순환시키는 재순환장치(38)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재순환장치(38)는, 파이프 형상의 금속재 필터(80)와 필터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실린더(86)를 더 구비하고, 복수의 세제공급통(52)과 교반장치(54) 사이에, 세제 자동공급장치(90)를 더 구비하며, 본체(10)의 상부 일측에 각 부품의 상태를 표시하며 드라이 클리닝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컨트롤 보드(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을 이용한 드라이 클리닝장치
본 발명은 물을 이용한 드라이 클리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에 유해한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물을 사용하여 세탁함으로써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수질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드럼의 양쪽에 설치된 샤워식 분사장치 및 드럼의 하부에 설치된 기포발생기에 의해, 드럼에 내부에 세탁물을 띄운 상태에서 충격파에 의해 세탁함으로써 세탁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고, 재순환장치에 의해 세제 및 물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으며,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세제의 양을 자동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필터를 교체할 필요가 없도록 한 물을 이용한 드라이 클리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드라이클리닝(Dry Cleaning)은, 유기용제를 사용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방식으로서 건식세탁이라고도 하며, 물로 세탁할 경우 손상되기 쉬운 모직물이나 견직물, 오리털 의류, 밍크코트와 같은 고급의류의 세탁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드라이클리닝에 사용되는 유기용제로는, 벤젠, 나프타, 휘발유 등이 사용되었으나, 화재 및 폭발사고로 인하여 최근에는 인화점이 높은 석유계 용제나 불연성 용제 등으로 대체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유기 용제 역시 인화성이 있어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을 피할 수 없고, 장시간 사용시 작업자의 건강을 위협하고, 세탁 후의 폐수로 인해 수질이 오염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물을 이용한 드라이 크리닝장치를 출원하여 특허 제1413225호로 등록을 받은 바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출입구(12)가 구비되고, 상기 출입구(12)를 개폐하는 제1도어(110)가 구비되며, 상기 출입구(12)의 내측면에 히팅부를 통해 발생된 온기가 토출되는 온풍통로(14)와, 세제 및 물이 공급되는 투입공(16)이 구비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외통(22)과, 상기 외통(22)의 내측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고 다수의 통공(242)이 구비되는 드럼(24)과, 상기 외통(2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24)에 기포를 발생시켜 상기 드럼(24)에 투입된 세탁물이 상기 드럼(24)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고 일정간격 띄워지도록 하는 기포발생기(26)가 구비된 세탁부(20); 상기 세탁부(20)의 외통(22)으로 물을 공급시킬 수 있도록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는 탱크(32)와, 상기 탱크(32)에 저장된 물을 공급하는 펌프(34)와, 상기 펌프(34)에서 공급 물을 상기 외통(22)을 통해 드럼(24)으로 물을 분사시켜 물에 담수된 세탁물에 타격이 가해지도록 하는 분사수단(36), 및 상기 탱크(32)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 상기 투입공(16)을 통해 상기 드럼(24)에 일정량의 물이 채워지도록 하는 급수라인(39)이 구비된 급수부(30);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세탁부(20)의 드럼(24)을 회전시키도록 회전력을 발생하는 동력부(40);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공급통(52)과, 상기 세제공급통(52)에서 제공되는 세제와 물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교반하는 교반수단(54), 및 상기 교반수단(54)에서 혼합된 세제 또는 물이 상기 본체(10)의 투입공(16)으로 토출되도록 연결하는 토출관(56)이 구비된 세제투입부(5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세제투입부(50)의 교반수단(5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유입구(512)가 구비되고 타측에 제1토출구(513)가 구비된 교반통(510)과; 상기 유입구(512)와 제1토출구(513)를 상,하로 분리시키도록 상기 교반통(510)의 내측에 구비되고, 일측에 제2토출구(515)가 구비된 층간격벽(514); 및 상기 층간격벽(514)에 의해 분리된 상,하부 각각을 양분시키고, 일단 또는 양단에 물 또는 세제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소통구가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512)를 통해 유입된 물 또는 세제가 제2토출구(515) 및 제1토출구(513)로 토출되는 체류시간과 교반 시간을 증폭시켜 균일한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측 및 하측분리격벽(516)(5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도어는, 출입구(112)를 개폐하는 제1도어본체(112); 및 상기 제1도어본체(112)에서 연장되고 상기 출입구(112)로 연장되며, 상기 출입구(112)의 내측에 구비된 온풍통로(14) 또는 투입공(16)을 통해 배출되는 온기나 물 또는 세제가 상기 세탁부(20)의 드럼(24)의 중앙으로 투입되도록 일정각도 기울어져 구비되는 안내부(116)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드라이클리닝 장치에 의하면, 인체에 유해한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물을 사용하여 세탁함으로써,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수질 오염을 최소화할 수가 있다.
또한, 드럼의 양쪽에 설치된 샤워식 분사장치 및 드럼의 하부에 설치된 기포발생기에 의해, 드럼에 내부에 세탁물을 띄운 상태에서 충격파에 의해 세탁함으로써 물에 의해 드라이 클리닝 세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세제투입부에 교반수단을 구비하여 물과 세제가 균일하게 혼합된 후 드럼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세제로 인해 세탁물에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체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제1도어에 안내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출입구의 내측에서 배출되는 온기나 물 또는 세제가 드럼의 내측 중앙에 투입되도록 유도할 수가 있다.
그런데 본 발명자가 상기 드라이 클리닝장치를 실제로 제작하여 사용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첫째, 세척수를 재사용하는 과정에서 거름망에 이물질이 많이 끼게 되어 이를 자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둘째,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세제를 자동으로 투입하는 방식이 아니므로,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세제의 종류 및 양을 선택하여 공급하여야 한다.
셋째, 다수의 세제공급통에 남아있는 세제의 잔량을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넷째, 세탁물의 건조시 드럼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파악하기가 곤란하므로 세탁물의 건조상태를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터를 교체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고,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적정한 양의 세제를 자동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제공급통에 남아있는 세제의 잔량이 일정 수위 이하이면 이를 자동적으로 작업자에게 알려주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탁물의 건조시 드럼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세탁물이 빠른 시간 내에 완전하게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드라이클리닝 세탁시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물을 사용함으로써, 유증기로 인한 화재 및 폭발사고를 방지하고, 수질 및 대기오염을 방지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에 출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제1도어가 구비되며, 상기 출입구의 내측면에 히팅부를 통해 발생된 온기가 토출되는 온풍통로와, 세제 및 물이 공급되는 투입공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측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고 다수의 통공이 구비되는 드럼과, 상기 외통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에 기포를 발생시켜 상기 드럼에 투입된 세탁물이 상기 드럼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고 일정 간격 띄워지도록 하는 기포발생기가 구비된 세탁부와; 상기 세탁부의 외통으로 물을 공급시킬 수 있도록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는 탱크와, 상기 탱크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서 펌핑된 물을 드럼으로 분사시켜 물에 담수된 세탁물에 타격이 가해지도록 하는 분사수단, 및 상기 탱크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 상기 투입공을 통해 상기 드럼에 일정량의 물이 채워지도록 하는 급수라인이 구비된 급수부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세탁부의 드럼을 회전시키도록 회전력을 발생하는 동력부;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공급통과, 상기 세제공급통에서 제공되는 세제와 물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교반하는 교반수단, 및 상기 교반수단에서 혼합된 세제와 물이 상기 본체의 투입공으로 토출되도록 연결하는 토출관이 구비된 세제투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물을 이용한 드라이 클리닝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1차 세탁이 완료된 물을 회수하여 저장 및 순환시키기 위한 탱크가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세탁된 물에 포함된 먼지 및 이물질을 회수한 후 이를 재순환시키는 재순환장치와, 상기 재순환장치를 유지 보수하기 위한 제2도어를 더 구비하며, 상기 재순환장치는, 그 내부에 파이프 형상의 금속재 필터를 구비하여, 상기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걸러 드럼으로 공급하고, 상기 금속재 필터의 상부에 필터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실린더가 더 구비되며, 복수의 세제공급통과 교반장치 사이에,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일정량의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 자동공급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각 부품의 상태를 표시하며 드라이 클리닝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컨트롤 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속재 필터는, 스테인레스 스틸이 격자 형상으로 직조된 시스(Sheath)관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수직바가 구비되며, 상기 수직바의 상단에는 이를 승강시키기 위한 실린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속재 필터는, 스테인레스 바를 다각형의 코일상으로 감아서 제조되고, 그 내부에는 수직바가 구비되며, 상기 수직바의 상단에는 이를 승강시키기 위한 실린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제 자동공급장치는, 세제 체크밸브와 에어 체크밸브를 구비한 펌프로서, 각 세제공급통에 담겨진 세제를 선택적으로 펌핑하여 교반수단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세제공급통에, 세제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플로트(Float) 와 상기 플로트의 위치가 일정 수준 이하일 경우 이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럼에 투입되는 세탁물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세탁물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계 및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계가 더 구비되어, 건조된 세탁물의 습도 및 온도가 일정 수준으로 내려간 후 상기 제1도어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도어의 내측에 램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제투입부의 교반수단은, 일측에 유입구가 구비되고 타측에 제1토출구가 구비된 교반통과; 상기 유입구와 제1토출구를 상,하로 분리시키도록 상기 교반통의 내측에 구비되고, 일측에 제2토출구가 구비된 층간격벽; 및 상기 층간격벽에 의해 분리된 상,하부 각각을 양분시키고, 일단 또는 양단에 물 또는 세제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소통구가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 또는 세제가 제2토출구 및 제1토출구로 토출되는 체류시간과 교반 시간을 증폭시켜 균일한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분리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도어는, 출입구를 개폐하는 제1도어 본체; 및 상기 제1도어 본체에서 연장되고 상기 출입구로 연장되며, 상기 출입구의 내측에 구비된 온풍통로 또는 투입공을 통해 배출되는 온기나 물 또는 세제가 상기 세탁부의 드럼의 중앙으로 투입되도록 일정각도 기울어져 구비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영구적인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적정량의 세제가 자동적으로 공급되므로 세탁 작업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제공급통에 남아있는 세제의 잔량이 일정 수위 이하가 되면, 이를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탁물의 건조시 드럼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옷의 종류에 따라 건조시간을 다르게 할 수 있고, 건조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여 세탁 후 옷의 구김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럼의 양쪽에 설치된 샤워식 분사장치 및 드럼의 하부에 설치된 기포발생기에 의해, 드럼에 내부에 세탁물을 띄운 상태에서 충격파에 의해 세탁함으로써, 물에 의해 드라이 클리닝 세탁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제투입부에 교반수단을 구비하여 물과 세제가 균일하게 혼합된 후 드럼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세제로 인해 세탁물에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체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제1도어에 안내부를 구비함으로써, 출입구의 내측에서 배출되는 온기나 물 또는 세제가 드럼의 내측 중앙에 투입되도록 유도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체에 유해한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물을 사용하여 세탁함으로써, 유증기로 인한 화재 및 폭발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으며, 수질 오염 및 대기 오염을 최소화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드라이 클리닝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드라이 클리닝장치의 개략적인 정면 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드라이 클리닝장치의 세탁부와 동력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드라이 클리닝장치에서 제1도어를 통해 온기 또는 세제의 투입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교반수단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 클리닝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재순환장치 및 필터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제투입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제 잔량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보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물을 이용한 드라이 클리닝장치(1)의 일반적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을 이용한 드라이 클리닝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세탁부(20)와, 상기 세탁부(2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30)와, 상기 세탁부(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부(40), 및 상기 세탁부(20)로 세제를 투입시키는 세제투입부(5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내측에 세탁부(20)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구비되고, 일단에 상기 세탁부(20)에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출입구(12)가 구비된다.
상기 출입구(12)에는 상기 출입구(12)를 개폐시키는 제1도어(11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출입구(12)에는, 상기 제1도어(110)의 측면을 통해 히팅부(도시 생략)에 의해 가열된 온기를 상기 세탁부(20)의 내측에 공급하여 세탁물의 건조를 촉진시키는 온풍통로(1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출입구(12)에는, 세제투입부(50)를 통해 공급되는 세제가 상기 제1도어(110)의 측면을 통해 상기 세탁부(20)의 내측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안내하는 투입공(16)이 구비된다.
상기 제1도어(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일측에 힌지에 의해 일정각도 회전하도록 지지되는 제1도어 본체(112)와, 상기 제1도어 본체(112)의 외측에 구비되는 손잡이(114), 및 상기 제1도어본체(112)의 내측에 구비되는 안내부(116)로 구성된다.
상기 제1도어 본체(112)는, 상기 본체(10)의 출입구(12)를 개폐시키며, 밀폐구조로 형성되어 세탁시 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손잡이(114)는 외부에서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제1도어(112)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114)에는 시건장치가 구비되어 세탁작업시 상기 제1도어(11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안내부(11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출입구(12)에 삽입되어, 상기 온풍통로(14) 또는 투입공(16)을 통해 온기 또는 세제가 혼합된 물이 세탁부(20)의 내측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안내부(116)는, 일정각도 기울기를 갖는 원뿔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탁부(20)는,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구비되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22)과, 상기 외통(22)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는 드럼(24)과, 상기 외통(22)의 하부에 구비되는 기포발생기(26), 및 상기 드럼(26)에 작용하는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계(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통(22)은, 상기 드럼(24)을 보호하면서 내측에 물이 채워지도록 밀폐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드럼(24)은, 상기 외통(22)의 내측에 구비되어 세탁물을 저장하며, 동력부(4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드럼(24)은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그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24)의 외주연에는 다수의 통공(242)이 형성되고, 드럼(24)의 내측면에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244)가 구비된다.
상기 블레이드(244)는, 상기 드럼(24)이 회전할 때 물을 타격함으로써, 상기 드럼(24)의 내측에 와류가 형성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세탁물에 부착된 먼지 또는 이물질이 탈락되도록 한다.
상기 기포발생기(2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통(22)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외통(22)에 저장된 물에 기포를 발생시킨다.
상기 기포발생기(26)에 의해 형성된 기포에 의해, 드럼(24)에 투입된 세탁물은 상기 드럼(24)의 내측면에 붙지 않고 물속에 떠 있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세탁물을 물에 띄운 상태에서 흔들어 세탁하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상기 압력계(28)는, 드럼(24)에 작용하는 압력을 측정하여, 세탁물의 종류 또는 량에 따라 수위를 조절한다.
상기 급수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을 저장하는 탱크(32)와, 상기 탱크(32)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는 펌프(34), 및 상기 펌프(34)를 통해 펌핑된 물을 공급받아 상기 세탁부(20)에 분사시키는 분사수단(36)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급수부(30)에는, 세탁부(20)에서 물을 회수하여 이를 상기 탱크(32)로 재공급하여 급수부(30)의 물이 순환되도록 하는 재순환장치(38)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급수부(30)에는, 펌프(34)의 펌핑력으로 탱크(32)에 저장된 물을 세제투입부(50)로 공급하도록 연결하는 공급라인(39)이 구비된다. 상기 공급라인(39)은, 상기 펌프(34)에 연결되지 않고 다른 펌프로 연결되어 세탁부(20)에 물을 공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탱크(32)는 본체(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일정량의 물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탱크(32)에는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도록 하는 배수구(도시 생략)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펌프(34)는, 상기 탱크(32)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여 상기 분사수단(36)으로 공급한다.
상기 분사수단(36)은, 상기 외통(22)에 구비되어 물을 세탁부(20)의 드럼(24)으로 분사시킨다.
상기 분사수단(36)은, 외통(2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외통의 좌우측에 상호 대칭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라인(39)은 세탁부(20)에 물을 공급하는 라인이다. 상기 공급라인(39)은 펌프(34)에서 분사수단(36)으로 연결되는 라인에 밸브를 구성하여, 상기 밸브의 작동에 따라 펌핑된 물이 분사수단(36) 또는 공급라인(39)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동력부(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상기 세탁부(20)의 드럼(24)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한다.
상기 동력부(40)는, 모터(42)와, 상기 모터(42)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모터(42)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원동롤(44)과, 상기 드럼(24)에 고정되는 종동롤(46), 및 상기 원동롤(44)의 회전력을 종동롤(46)로 전달시키는 연결수단(48)으로 구성된다.
상기 원동롤(44)과 종동롤(46) 및 연결수단(48)는 풀리 및 벨트 방식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원동롤(44)의 회전력을 종동롤(46)에 전달시키는 방식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예컨대, 체인과 체인스프로킷 또는 기어 구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세제투입부(50)는, 세탁물의 종류 및 세탁량에 따라 세제의 종류 및 투입량을 결정하여, 이를 세탁부(20)의 드럼(24)에 투입한다.
상기 교반수단(54)은, 상기 세제공급통(52)을 통해 제공되는 세제를 균일하게 혼합시켜 세탁물에 공급한다.
상기 교반수단(5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통(510)과, 상기 교반통(510)을 상, 하로 분리하는 층간격벽(514)과, 상기 층간격벽(514)에 의해 분리된 상, 하층을 좌,우측으로 분리하는 상측분리격벽(516) 및 하측분리격벽(518)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교반통(510)은, 내측이 빈 밀폐형 구조로 구비되며, 일측에 세제 또는 물이 투입되는 유입구(512)와, 상기 유입구(512)와 대칭되게 구비되는 제1토출구(5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입구(512)는 상기 교반통(5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세제공급통(52)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제가 투입되도록 하고, 제1토출구(513)는 교반통(5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교반통(510)에 의해 교반된 세제가 토출되도록 한다.
상기 층간격벽(514)은 상기 교반통(510)의 내측을 상하로 분리시키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층간격벽(514)의 일측에는, 상기 유입구(512)와 반대방향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512)을 통해 투입된 세제가 흘러가는 도중에 교반작용이 이루어지고 교반된 세제가 하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제2토출구(515)가 구비된다.
상기 상측 분리격벽(516)은 상기 층간격벽(514)을 통해 분리된 교반통(510)의 상부측에 구비된다. 상기 하측 분리격벽(518)은 상기 층간격벽(514)을 통해 교반통(510)의 하부측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측 및 하측 분리격벽(516)(518)은, 상기 교반통(510)을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상기 교반통(510) 상부 및 하부 각각을 양분한다. 또한, 상기 상측 및 하측 분리격벽(516)(518)은 일단 또는 양단 각각에 세제가 흘러갈 수 있도록 하는 소통구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소통구는 상기 상,하측 분리격벽(516)(518)의 양단 각각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반통(510)의 유입구(512)를 통해 유입된 세제는 상측 분리격벽(516)으로 흐르면서 양단에 구비된 소통구로 분리되어 흐르고, 층간격벽(514)에 구비된 제2토출구(515)로 모아지면서 하방으로 토출된다.
또한, 하방으로 토출된 세제는, 하측 분리격벽(518)으로 흐르면서 양단에 구비된 소통구로 분리되어 흐르고, 일측에 구비된 제1토출구(513)로 모아지면서 토출관(56)으로 토출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세제가 층간격벽(514)과 상,하측 분리격벽(516)(518)을 통과하면서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교반수단은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교반통 내부에 회전날개 또는 스크류를 설치하여 교반을 촉진시킬 수도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특징부를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을 이용한 드라이 클리닝장치는,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하부에 헹굼 작업이 완료된 물을 회수하여 저장 및 순환시키기 위한 탱크(32)가 복수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헹굼이 완료된 물을 각 탱크(32)에 구분하여 저장한 후, 이를 깨끗한 물과 적절히 혼합하여 세탁을 할 수 있으므로 물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가 있다. 도 6에는 상기 탱크(32)가 3개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각 탱크(32)의 전면은 투명재질로 형성되고 여기에 수위계(32a)가 표시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외부에서 각 탱크의 수위 및 물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32)가 하나로 구비되어 있어, 깨끗한 물과 세탁된 물이 혼합되어 저장되고, 외부에서 물의 수위 및 상태를 파악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세탁된 물에 포함된 먼지 및 이물질을 회수한 후 이를 재순환시키는 재순환장치(38)를 유지 보수하기 위한 제2도어(110a)를 더 구비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상기 제2도어(110a)를 열고 재순환장치(38)를 간편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순환장치(38)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파이프 형상의 금속재 필터(80)를 구비하여, 헹굼이 완료된 물을 거른 다음 탱크(32)로 공급한다.
상기 금속재 필터(8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스틸이 격자 형상으로 직조된 시스(Sheath)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시스관은 전선 등을 보호하는 데 사용되는 관으로서, 외주면에 미세한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신축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미세한 통공을 통해 세탁된 물에 포함된 먼지나 이물질을 걸러낼 수가 있다.
또한, 상기 금속재 필터(8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는 스테인레스 바를 다각형의 코일상으로 감아서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코일상의 금속재 필터는 7각형으로 절곡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서로 겹쳐지는 코일 사이에 미세한 틈새가 형성되도록 하여 이물질을 걸러 낼 수가 있다.
종래의 거름망(382) 방식에 의하면(도 2 참조), 거름망(382)을 자주 갈아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특히 세탁된 물을 재순환시키기 때문에 상기 거름망(382)을 빈번하게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금속재 필터(80) 구조에 의하면, 필터가 반영구적이므로 필터를 교체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금속재 필터(80)의 상부에는, 필터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실린더(86)가 더 구비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상기 실린더(86)를 승강시키는 동작에 의해 금속재 필터(80)에 부착된 이물질이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제거된 이물질은 상기 재순환장치(38)의 하부에 모여지게 되고, 이렇게 모여진 이물질들은 재순환장치(38)의 유지 보수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즉, 제2도어(110a)를 열고 재순환장치(38)의 하부 파이프를 분해하여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세제공급통(52)과 교반장치(54) 사이에,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일정량의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 자동공급장치(9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세제 자동공급장치(90)는, 세제 체크밸브(92)와 에어 체크밸브(94)를 구비한 일종의 펌프로서, 각 세제공급통(52)에 담겨진 세제를 선택적으로 펌핑하여 교반수단(54)에 공급한다. 한번에 펌핑하는 세제의 양은 약 10cc 정도가 적당하나, 이는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상기한 세제 자동공급장치(90)에 의해,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세제를 자동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9에는 상기 세제공급통(52)이 6개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세제공급통(52)의 개수 및 펌프의 수는 가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세제공급통(52)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플로우트(52a)와, 상기 플로우트(52a)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52b)를 더 구비한다.
상기 센서(52b)에 의해 감지된 세제의 수위는 컨트롤 보드(60) 상에 표시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체(10)의 도어를 열어보지 않고도 외부에서 각 세제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드럼(24)에 투입되는 세탁물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도시 생략)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세탁물의 중량이 일정 기준 이상이면, 이를 컨트롤 보드(60)에 표시하거나, 부저 또는 경광등을 통해 작업자에게 알려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동력부(40)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적정량의 세탁물 투입을 유도함으로써 세탁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이 완료된 후 건조하는 과정에서 세탁물의 습도 및 온도를 감지하는 습도계 및 온도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건조시간을 다르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세탁물이 완전히 건조되지 않았으면 제1도어(110)를 개방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세탁물이 덜 건조되었거나 세탁물의 온도가 일정 수준 내려가지 않은 상태에서 세탁물을 꺼냄으로써, 옷에 구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도어(110)의 내측에 램프(118)가 더 구비되어 세탁물의 건조과정 시 세탁물의 건조를 돕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램프(118)의 전면에는 유리가 구비되어 세탁시 세탁수가 침투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상부 일측에 각 부품의 상태를 표시하고 드라이 클리닝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컨트롤 보드(60)가 구비된다.
상기한 컨트롤 보드(60)에 의해, 작업자는 각 구성부품의 작동상태를 한 눈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세탁 작업 및 장치의 유지보수 작업이 간편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물을 이용한 드라이 클리닝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본체(10)의 제1도어(110)를 열고 드럼(24)에 세탁물을 투입한 후 출입구(12)를 폐쇄시킨다. 이때 중량센서가 세탁물의 중량을 감지하여 세탁물이 과도하게 드럼(24)에 투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어서, 컨트롤 보드(60)를 조작하여 옷의 종류에 따라 세탁방식을 선택한 후 시작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펌프(34)를 통해 펌핑된 물이 분사수단(36)을 통해 드럼(24)의 내부로 분사된다. 이때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서 물을 일정 온도로 가열한 후 드럼(24)에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세제 자동공급장치(90)가 작동되어 선택된 세탁물에 적당한 세제를 적정량 펌핑하여 이를 교반수단(54)에 공급한다.
한편, 펌프(34)에서는 탱크(32) 내에 저장된 물을 급수라인(39)을 통해 상기 교반수단(54)에 공급한다.
상기 교반수단(54)에서는 상기 세제 자동공급장치(90)로부터 공급되는 세제와 상기 급수라인(39)을 통해 공급된 물을 충분히 교반한 후, 토출관(56)을 통해 세탁부(20)의 드럼(24)으로 토출한다.
상기 분사수단(36)에 의해 세탁부(20)의 드럼(24)에 일정량의 물이 채워지면, 동력부(40)에 의해 상기 드럼(24)이 회전하면서 세탁작업이 수행된다.
이때 드럼(24)의 하부에 구비된 기포발생기(26)가 기포를 발생시켜, 드럼(24)에 담긴 세탁물들이 드럼(24)에 붙지 않고 수중에 뜬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마치 물속에서 옷을 흔들어가면서 세탁하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드럼(24)의 내측에 구비된 블레이드(244)는 물을 타격하여 와류를 발생시키고, 펌프(34)에서 펌핑되는 물은 분사수단(36)을 통해 드럼(24)으로 분사됨으로써 세탁물을 타격하게 된다.
즉, 상기 기포발생기(26), 블레이드(244) 및 분사수단(36)에 의해 세탁물을 물에 띄운 상태에서 세탁물에 타격을 가하게 되므로, 세탁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한편, 헹굼 작업이 완료된 물은, 재순환장치(38)의 금속재 필터(80)를 통과하여 걸러진 후 탱크(32)에 다시 저장된 다음, 드럼(24)으로 재순환된다.
이때 탱크(32)의 전면에 구비된 투명창을 통해 물의 상태를 확인하여 물의 교체여부를 결정한다.
상기한 방식에 의해, 세제 및 물의 사용량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수질 오염을 최소화할 수가 있다.
세탁물의 헹굼 작업이 완료되면, 본체(10)의 출입구(12)에 구비된 온풍통로(14)를 통해 히팅부에서 가열된 온풍을 공급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즉, 히팅부에서 발생된 온풍을 온풍통로(14)로 토출시키면, 상기 온풍이 제1도어(110) 안내부(116)의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면서 드럼(24)의 내측으로 진입되어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또한, 램프(118)를 점등하여 상기 램프의 열기가 세탁물의 건조를 돕도록 한다.
이때 세탁물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세탁물이 완전히 건조되거나 온도가 일정 수준으로 낮아진 상태가 아니면, 제1도어(110)가 열리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탁된 물을 재사용하는 재순환방식에서 금속재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가 있다.
또한, 컨트롤 보드를 터치하여 세탁물의 종류를 선택하게 되면, 세탁물에 적합한 세제가 자동으로 적정량 공급되므로 세탁 작업이 매우 간편해진다.
또한, 장치의 외부에서도 각 세제의 잔량을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세탁물의 건조시 드럼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온도가 충분히 낮아지기 전에는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세탁 후 옷의 구김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드럼의 양쪽에 설치된 샤워식 분사장치 및 드럼의 하부에 설치된 기포발생기에 의해, 드럼의 내부에 세탁물을 띄운 상태에서 충격파에 의해 세탁함으로써, 물에 의해 드라이 클리닝 세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인체에 유해한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물을 사용하여 세탁함으로써, 유증기로 인한 화재 및 폭발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으며, 수질오염 및 대기오염을 최소화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일측에 출입구(12)가 구비되고, 상기 출입구(12)를 개폐하는 제1도어(110)가 구비되며, 상기 출입구(12)의 내측면에 히팅부를 통해 발생된 온기가 토출되는 온풍통로(14)와, 세제 및 물이 공급되는 투입공(16)이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외통(22)과, 상기 외통(22)의 내측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고 다수의 통공(242)이 구비되는 드럼(24)과, 상기 외통(22)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24)에 기포를 발생시켜 상기 드럼(24)에 투입된 세탁물이 상기 드럼(24)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고 일정 간격 띄워지도록 하는 기포발생기(26)가 구비된 세탁부(20)와;
    상기 세탁부(20)의 외통(22)으로 물을 공급시킬 수 있도록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는 탱크(32)와, 상기 탱크(32)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는 펌프(34)와, 상기 펌프(34)에서 펌핑된 물을 드럼(24)으로 분사시켜 물에 담수된 세탁물에 타격이 가해지도록 하는 분사수단(36), 및 상기 탱크(32)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 상기 투입공(16)을 통해 상기 드럼(24)에 일정량의 물이 채워지도록 하는 급수라인(39)이 구비된 급수부(30)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세탁부(20)의 드럼(24)을 회전시키도록 회전력을 발생하는 동력부(40); 및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공급통(52)과, 상기 세제공급통(52)에서 제공되는 세제와 물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교반하는 교반수단(54), 및 상기 교반수단(54)에서 혼합된 세제와 물이 상기 본체(10)의 투입공(16)으로 토출되도록 연결하는 토출관(56)이 구비된 세제투입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물을 이용한 드라이 클리닝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세탁이 완료된 물을 회수하여 저장 및 순환시키기 위한 탱크(32)가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세탁된 물에 포함된 먼지 및 이물질을 회수한 후 이를 재순환시키는 재순환장치(38)와, 상기 재순환장치(38)를 유지 보수하기 위한 제2도어(110a)를 더 구비하며 ,
    상기 재순환장치(38)는,
    그 내부에 파이프 형상의 금속재 필터(80)를 구비하여, 상기 탱크(32)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걸러 드럼(24)으로 공급하고,
    상기 금속재 필터(80)의 상부에 필터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실린더(86)가 더 구비되며,
    복수의 세제공급통(52)과 교반장치(54) 사이에,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일정량의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 자동공급장치(9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본체(10)의 상부 일측에 각 부품의 상태를 표시하며 드라이 클리닝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컨트롤 보드(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드라이 클리닝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재 필터(80)는,
    스테인레스 스틸이 격자 형상으로 직조된 시스(Sheath)관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수직바(80a)가 구비되며, 상기 수직바(80a)의 상단에 이를 승강시키기 위한 실린더(80b)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드라이 클리닝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재 필터(80)는,
    스테인레스 바를 다각형의 코일상으로 감아서 제조되고, 그 내부에는 수직바(80a)가 구비되며, 상기 수직바(80a)의 상단에 이를 승강시키기 위한 실린더(80b)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드라이 클리닝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제 자동공급장치(90)는,
    세제 체크밸브(92)와 에어 체크밸브(94)를 구비한 펌프로서, 각 세제공급통(52)에 담겨진 세제를 선택적으로 펌핑하여 교반수단(54)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드라이 클리닝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세제공급통(52)은, 세제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플로우트(52a)와, 상기 플로우트(52a)의 위치가 일정 수준 이하일 경우 이를 감지하는 센서(52b)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드라이 클리닝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럼(24)에 투입되는 세탁물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드라이 클리닝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세탁물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계 및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계가 더 구비되어, 건조된 세탁물의 습도 및 온도가 일정수준으로 내려간 후 상기 제1도어(110)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드라이 클리닝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110)의 내측에 램프(118)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드라이 클리닝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제투입부(50)의 교반수단(54)은, 일측에 유입구(512)가 구비되고 타측에 제1토출구(513)가 구비된 교반통(510)과;
    상기 유입구(512)와 제1토출구(513)를 상,하로 분리시키도록 상기 교반통(510)의 내측에 구비되고, 일측에 제2토출구(515)가 구비된 층간격벽(514); 및
    상기 층간격벽(514)에 의해 분리된 상,하부 각각을 양분시키고, 일단 또는 양단에 물 또는 세제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소통구가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512)를 통해 유입된 물 또는 세제가 제2토출구(515) 및 제1토출구(513)로 토출되는 체류시간과 교반 시간을 증폭시켜 균일한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분리격벽(516)(51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드라이 클리닝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110)는, 출입구(112)를 개폐하는 제1도어 본체(112); 및
    상기 제1도어 본체(112)에서 연장되고 상기 출입구(112)로 연장되며, 상기 출입구(112)의 내측에 구비된 온풍통로(14) 또는 투입공(16)을 통해 배출되는 온기나 물 또는 세제가 상기 세탁부(20)의 드럼(24)의 중앙으로 투입되도록 일정각도 기울어져 구비되는 안내부(1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드라이 클리닝장치.
PCT/KR2016/002316 2016-03-07 2016-03-09 물을 이용한 드라이 클리닝장치 WO201715513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928 2016-03-07
KR1020160026928A KR20170104219A (ko) 2016-03-07 2016-03-07 물을 이용한 드라이 클리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55135A1 true WO2017155135A1 (ko) 2017-09-14

Family

ID=59789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2316 WO2017155135A1 (ko) 2016-03-07 2016-03-09 물을 이용한 드라이 클리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104219A (ko)
WO (1) WO20171551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10948A (zh) * 2020-09-27 2021-01-12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多筒洗衣机及其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725B1 (ko) * 2020-11-10 2022-06-29 이숙옥 물과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드라이 클리닝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994B1 (ko) * 2000-10-19 200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탁수 재순환 장치
JP4812678B2 (ja) * 2007-04-09 2011-11-09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及び洗濯方法並びに汚れ分離方法
KR101222681B1 (ko) * 2010-12-08 2013-01-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세탁기
KR101413225B1 (ko) * 2013-03-15 2014-06-30 이영주 물을 이용한 드라이 크리닝장치
KR101572160B1 (ko) * 2008-11-26 2015-1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994B1 (ko) * 2000-10-19 200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탁수 재순환 장치
JP4812678B2 (ja) * 2007-04-09 2011-11-09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及び洗濯方法並びに汚れ分離方法
KR101572160B1 (ko) * 2008-11-26 2015-1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1222681B1 (ko) * 2010-12-08 2013-01-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세탁기
KR101413225B1 (ko) * 2013-03-15 2014-06-30 이영주 물을 이용한 드라이 크리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10948A (zh) * 2020-09-27 2021-01-12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多筒洗衣机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219A (ko) 2017-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53092A2 (en)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WO2011078611A1 (en) Washing method and washing machine
WO2013012247A2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
WO2018097482A2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5142058A1 (ko) 세탁기
WO2017155135A1 (ko) 물을 이용한 드라이 클리닝장치
WO2017057940A1 (ko) 세탁기
WO2021230491A1 (ko) 청바지 탈색장치
WO2010128731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WO2017135602A1 (ko)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의 터브 세척 방법
WO2018117422A1 (ko) 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WO2017146472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0008181A2 (en) Washing machine
WO2013054967A1 (ko) 순차적 역세척을 자동제어하는 멀티케이지 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및 그 방법
WO2017176060A1 (ko) 세탁기에 사용되는 악세서리
WO2018070730A1 (en) Washing machine
EP3365487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8088810A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O2019156503A1 (ko) 식기세척기와 그의 제어방법
WO2017104989A1 (ko) 물통의 내부 세척장치
WO2018088814A1 (ko) 세제박스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WO2019074259A1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7126823A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O2022154402A1 (ko) 필터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WO2021002720A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9365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1.02.2019)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9365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