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76060A1 - 세탁기에 사용되는 악세서리 - Google Patents

세탁기에 사용되는 악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76060A1
WO2017176060A1 PCT/KR2017/003760 KR2017003760W WO2017176060A1 WO 2017176060 A1 WO2017176060 A1 WO 2017176060A1 KR 2017003760 W KR2017003760 W KR 2017003760W WO 2017176060 A1 WO2017176060 A1 WO 201717606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odule
washing machine
rinsing
accessory
turbid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376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춘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091,349 priority Critical patent/US11021824B2/en
Publication of WO201717606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7606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9/00Washing machines using vibrations for washing purpo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rin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0Washing liquid condition,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62Stopping or disabling machine ope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00Washing devices adapted to be used independently of any particular receptacle, e.g. for removable mounting on wash-tubs, bath-tubs, or the like
    • D06F7/04Washing devices adapted to be used independently of any particular receptacle, e.g. for removable mounting on wash-tubs, bath-tubs, or the like of the vibrator typ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ory that is introduced into a washing machine and includes an ultrasonic generator and a turbidity sensor, which improves washing efficiency and rinsing efficiency by ultrasonic waves generated by the ultrasonic generator, and the rinsing water detected by the turbidity sensor provided in the accessory.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ory for a washing machine, which recommends a desired rinse frequency to a user based on the degree of contamination.
  •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includes a washing machine, a dryer, a styler, and the like, and the washing machine may include a drying function.
  • the washing machine comprises a pulsator washing machine with a drum standing vertically (ie, the laundry inlet is placed above the cabinet) and a drum lying down in a horizontal direction (ie, the laundry inlet is arranged at the front side of the cabinet). It can be divided into a drum washing machine.
  • Such a washing machine may be driven through manipulation of an operation unit provided in a cabinet of a washing machine after a treatment object and a detergent and the like are put into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 the driving stroke of the washing machin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washing stroke, a rinsing stroke and a dehydration stroke.
  • an appropriate amount of detergent may be added, and the rins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one or more tim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object to be treated (that is, laundry).
  • the detergent may include a surfactant, and in the washing process, the surfactant may be attached to the laundry and the contaminants may be removed from the object to be washed.
  • washing efficiency when the surfactant promotes the process of adhering and falling on the laundry object, washing efficiency may be increased. Therefore, studies for increasing such washing efficiency continue, for example, when ultrasonic vibration is applied to the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administration, the process of adhering and falling off the surfactant to the washing object may be promoted.
  • the user can adjust the number of rinsing strokes, but the user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how many rinsing strokes are required to remove the residual detergent and contaminants remaining in the laundry after the washing strok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cessory for a washing machine that can increase the washing efficiency and rinsing efficiency by generating ultrasonic waves in at least one of the washing water and the rinsing water.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cessory for a washing machine that can sense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r turbidity) of the rinsing water and recommend to the user how much of the rinsing frequency is desirable (that is, the desired number of rinsing cycles). .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cessory for a washing machine that can be easily applied to a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abinet forming the appearance, the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binet and opened to accommodate the object to be processed, and the laundry inle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 An accessory for use in a top loading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body forming an exterior and having an enclosed interior space; At least one ultrasonic generator provided inside the body; It includes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ultrasonic generator, the body provides an accessory for a washing machine that can be formed so that its center of gravity is located below.
  • the body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 the ultrasonic generator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body.
  • the accessory is a turbidity sensor for detecting the turbidity of the rinsing water accommodated in the drum; And a third communication modul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of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 the washing machine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 the external terminal.
  • the data sensed by the turbidity sensor may be transmit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 the turbidity sensor may be disposed inside the body, and a sensing window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urbidity sensor, and the sensing window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 the weight of the body is determined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body is immersed in washing water or rinsing water at a height above the height at which the turbidity sensor is disposed in the body.
  • the turbidity sensor is disposed above the ultrasonic generator.
  • the data sensed by the turbidity sensor may be transmit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at the end of the washing stroke and the rinsing stroke.
  • the accessory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configured to store the information of the additional rinsing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turbidity of the rinsing water in the form of a table, wherein the information of the additional rinsing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data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data detected by the turbidity sensor. It may be transmit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a third communication module.
  • a stop signal for stopping the washing machine for a predetermined time may also be transmitted. Can be.
  •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may receive information of the number of additional rinses actually performed in the washing machine from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number of additional rinses transmitted by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is different from the number of additional rinses actually performed, the information of the turbidity of the rinsing water in the last rinsing stroke and the corresponding additional rinsing frequency is displayed. It may be transmit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a third communication module.
  • the stop signal for stopping the washing machine for a predetermined time May also be sent together.
  • the ultrasonic generator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from the lower side of the body.
  • the turbidity sensor may be located in the radially central portion of the body, the sensing window may be provided with two to face each other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urbidity sensor.
  • the body may be detachably provided with one or more weights for adjusting the weight of the entire accessory.
  • an accessory for a washing machine capable of increasing washing efficiency and rinsing efficiency by generating ultrasonic waves in at least one of washing water and rinsing water.
  •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ct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rinsing wat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ccessory for a washing machine that can recommend the desired number of rinsing to the user.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accessory for a washing machine that can be easily applied to a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 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ccessory for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washing machine.
  • 2 (a) to 2 (c) show a perspective view of an accessory for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ccessory floating in the washing water or rinsing water in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of the main components of the washing machine accessories, washing machine and externa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and 6 are views illustrating a display unit of an external terminal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of a washing machine and accessories.
  • the washing machine described below is a concept including a top loading washing machine and a front loading washing machine.
  • the accesso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both the top loading washing machine and the front loading washing machine, but is more preferably applied to the top loading washing machine.
  • the damping structure, the water supply structure, and the drainage structure which may be provided inside the washing machine,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structures of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 the general structures of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ccessory for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washing machine.
  • the washing machine to which the accessory is applied may be limited to a top loading washing machine. This is because the accessory must be operated in a suspended state in the wash water or rinse water contained in the washing machine.
  • the washing machine 1 includes a cabinet 10 forming an appearance, a drum 30 provided in the cabinet 10, and a laundry inlet 15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0.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top loading.
  • the washing machine 1 is disposed in the cabinet 10 to surround the side and bottom of the drum 30, the tub 40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wash water, the rotational force to the wash water in the drum 30 It may further include a pulsator 50 formed to provide, a drive unit 55 for rotating the pulsator 50.
  • the drum 30 may be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10, and may receive a rotational force by the driving unit 55.
  • the inlet 15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20, and a top cover 25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door 20 and the inlet 15.
  • the laundry object may be introduced into the drum 30 through the inlet 15 while the door 20 and the top cover 25 are opened.
  • the door 20 and the top cover 25 may be disposed above the cabinet 10, which i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let 15.
  • the drum 30 and the pulsator 50 may be rotated at the same time by the driving unit 55 or only one of them may be rotated. In addition, the drum 30 and the pulsator 50 may b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or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by the driving unit 55.
  • a structure such as a clutch (not shown) is provided to the drive unit 55 and the drum 30 and the pulsator ( 50) can be applied between.
  • the washing machine 1 may include a drain valve 61, a drain passage 63, and a drain pump 65 for draining the wash water or the rinsing water in the tub 40.
  • the washing water or the rinsing water in the tub 4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age passage 63 by driving the drainage pump 65 and the drain valve 61.
  • the washing machine 1 may include a water supply passage 71 and a water supply valve 73, and water supplied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field is driven through the water supply passage 71 by driving the water supply valve 73. It may be supplied into the tub 40.
  • the water supply passage 71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a detergent box (not shown), and the detergent in the detergent box may be supplied into the tub 40 together with water during the water supply process.
  • the washing machine 1 may include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for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of an accessory and an external terminal,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first display unit for manipulating the washing machine 1 and displaying information. 80).
  •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for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of an accessory and an external terminal,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first display unit for manipulating the washing machine 1 and displaying information. 80).
  • an accessory 100 configured to detect turbidity (or contamination) of at least one of washing water and rinsing water and generate ultrasonic waves may be accommodated.
  • FIG. 2 (a) to 2 (c) show a perspective view of an accessory for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ccessories from above
  • Figure 2 (b)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side
  • Figure 2 (c) is a perspective view from below.
  • the top-loading washing machine may mean a washing machine in which an upper side of the tub and the drum is opened and a rotating shaft for rotating the drum is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installation surface.
  • the washing machine accessory 100 includes a body 110 forming an appearance and at least one provided inside the body 110.
  • An ultrasonic generator 120 and a control unit (C) for controlling the ultrasonic generator 120, the body 110 may be formed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 the body 11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dy 110 may be located in the lower center portion of the body 110.
  • the accessory 100 may be suspended in the washing water or the rinsing water in a standing state (as shown in FIG. 3).
  • weights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110.
  • the weight may be detachably provided inside the body 110 to adjust the weight of the entire accessory (100).
  • the weight is preferably provided detachably to the lower central portion in the body (110).
  • the weight of the accessory 100 may be set or adjusted so that a part of the accessory 100 is immersed in the washing water or the rinsing water so that the turbidity sensor to be described later is immersed in the washing water or the rinsing water.
  • the ultrasonic generator 12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C to generate ultrasonic waves toward the washing water and the rinsing water in the washing stroke and the rinsing stroke.
  • the ultrasonic generator 120 is preferably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inner side of the body (110).
  • the ultrasonic waves generated by the ultrasonic generator 120 may vibrate the washing water and the rinsing water through the body 110, and the washing of the washing water and the rinsing water may be accelerated by the action of the surfactant falling on the washing object and washing. Efficiency and rins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 the ultrasonic generator 120 may be provided 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110 from the lower side in the body 110 (see (c) of Figure 2) .
  • the accessory 100 for a washing machine may further include a turbidity sensor 130 for detecting turbidity (or contamination) of rinsing water contained in the drum 30.
  • the turbidity sensor 130 may be disposed inside the body 110, and a sensing window 115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urbidity sensor 130 in the body 110.
  • the sensing window 115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 sensing window 115 and the body 110 may be sealed through a sealing member (not shown).
  • the turbidity sensor 130 may detect the turbidity or contamination of the wash water and the rinsing water through the sensing window 115.
  • the weight of the body 110 may be determin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110 is immersed in washing water or rinsing water at a height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height at which the turbidity sensor 130 is disposed in the body 110. At this time, the weight of the body 110 may be set through the selective use of the above-described weight or by changing the material of the body.
  • the turbidity sensor 130 may be suspended in the rinsing water, and thus the turbidity may be detected in a radial direction instead of the depth direction of the rinsing water. have.
  • the turbidity sensor 130 may be located at the radial center portion of the body 110.
  • two sensing windows 115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urbidity sensor 130. Accordingly, the turbidity sensor 130 may be formed to detect the turbidity of the rinsing water through at least one of the two sensing windows 115.
  • the turbidity sensor 130 may be disposed above the ultrasonic generator 120. This is to increase the washing efficiency and the rinsing efficiency through the downward ultrasonic generation by the ultrasonic generator 120 and to increase the detection accuracy by the turbidity sensor 130 as described above.
  • the exact turbidity may not be detected by the depth of the washing water and the rinsing water (ie, the rinsing water). Turbidity can be perceived to be relatively higher than the actual turbidity).
  • the turbidity sensor 130 is arranged to detect the turbidity of the rinsing water toward the side of the accessory 100, the turbidity of the rinsing water is relatively accurate because the width is narrower than the depth (height) of the tub. (See Figure 3).
  • the accessory 100 for a washing machine may further include a power input unit 105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110 and a battery 160 for supplying power to the accessory 100.
  • the power input unit 105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ush button, and the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accessory 100 by pressing the power input unit 105 or the power supplied to the accessory 100 may be cut off.
  • the battery 160 may be formed to be chargeable.
  • the battery 160 may be formed to be charged through a generally known wireless charging method.
  • the accessory 10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ommunication module 190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of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 the washing machine to be described later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 the external terminal.
  • a third communication module 190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of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 the washing machine to be described later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 the external terminal.
  •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accessories, washing machine and externa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ccessory 100 for a washing machine may include the above-described ultrasonic wave generator 120 and turbidity sensor 130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C.
  • the controller C may control the ultrasonic generator 120 to operate the ultrasonic generator 120 during at least one of a washing stroke and a rinsing stroke.
  • the accessory 100 may receive power from the battery 160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150.
  • the accessory 100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of the washing machine 1 and the external terminal 200.
  • the washing machine 1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90
  • the external terminal 200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90
  • the accessory 100 includes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 90) and a third communication module 190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90.
  • first communication module 9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90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90,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90, and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190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method such as Wi-Fi communication or RFID communication.
  • the data sensed by the turbidity sensor 130 provided in the accessory 100 is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9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90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190. Can be sent.
  • the first display unit included in the washing machine 1 Information based on the data may be displayed.
  • the second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external terminal 200 may display the information based on the data.
  • the user may obtain information on the turbidity of the rinsing water and the desired number of rinsing cycles based on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80 or the second display unit 280.
  • the first display unit 8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80 may be formed as a touch panel capable of touch input.
  • the data detected by the turbidity sensor 130 is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90 and the first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190 at the end of the washing stroke and rinsing stroke of the washing machine 1 2 may be transmitted to at least on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290).
  • the data sensed by the turbidity sensor 130 may be stored at the end of the washing and rinsing strokes of the washing machine 1 and before entering the dehydration stroke,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190. It may be transmit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9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90.
  •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190 is a signal for the termination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9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90 at the end of the washing stroke and rinsing stroke of the washing machine (1) It is assumed that can be transmitted.
  • the dehydrating stroke proceeds in the washing machine 1,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play portion 80 of the washing machine 1 and the second display portion 280 of the external terminal 200 before entering the dehydration stroke.
  • An alarm may be displayed to allow the accessory 100 to be removed from the washing machine 1.
  • the desired additional rinsing frequency based on the turbidity of the rinsing water can be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C.
  • the accessory 100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140 configured to store additional rinsing frequenc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urbidity of the rinsing water in a table form (ie, a corresponding table).
  • a memory 140 configured to store additional rinsing frequenc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urbidity of the rinsing water in a table form (ie, a corresponding table).
  • the information of the additional rinsing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data together with the data sensed by the turbidity sensor 130 is provided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190 to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9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 290).
  • the data detected by the turbidity sensor 130 and the information of the additional rinsing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data is the third communication at least one of the end of the washing stroke of the washing machine 1 and the end of one rinsing stroke.
  • the module 190 may be transmit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9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90.
  • the data a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190 to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9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90 is the first display unit 80 of the washing machine 1 and the external terminal ( It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280 of the 200.
  • the user may obtain information on the turbidity of the rinsing water and the desired additional rinsing frequency through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play unit 8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80.
  • the washing machine 1 A stop signal for stopping for a predetermined time may also be transmitted.
  • the user may have the washing machine 1 described above.
  • the first display unit 8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80 of the external terminal 200 can be obtained the information of the desired rinsing frequency (or preferred additional rinsing frequency).
  • the user may set an additional rinsing frequency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80 or the second display unit 280, and the washing machine 1 may be configured for a time for checking the user's information and setting the additional rinsing frequency.
  • the drive needs to be stopped.
  • the data detected by the turbidity sensor 130, the information of the additional rinsing frequency and the stop signal for stopping the washing machine 1 for a predetermined time may be transmitted to at least one.
  • the stop signal may be display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play unit 8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80, and at the same time, driving of the washing machine 1 may be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
  • the user may check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8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80, and then set a rinse frequency or an additional rinse frequency.
  • the user may set and execute a rinse frequency different from the recommended rinsing frequency recommend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play unit 8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80.
  •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19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rinses actually performed in the washing machine 1 from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9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90. .
  • control unit (C) determines that the number of rinses (that is, preferred rinsing frequency) transmitted from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190 is different from the number of rinses actually performed, the turbidity of the rinsing water in the last rinsing stroke And information about an additional rinsing frequency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transmit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9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90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190.
  • the rinsing number of the last rinsing stroke is determined.
  • Information of turbidity and additional rinsing frequency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transmit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9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90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190.
  • the turbidity of the rinsing water and additional rinsing frequency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display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play unit 80 of the washing machine 1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80 of the external terminal 200. have.
  • the user may determine whether to further proceed with the rinsing stroke through one of the first display unit 8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80 and may set the number of additional rinsing cycles again.
  • the washing machine 1 is set to have a predetermined time.
  • the stop signal for stopping during the transmission may be transmit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9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90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190.
  • the washing machine 1 when the information of the turbidity of the rinsing water in the last rinsing stroke and the corresponding additional rinsing frequency is transmit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9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90, the washing machine 1
  • the stop signal for stopping a predetermined time may be transmit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9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90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190.
  • the controller C determines that the number of rinses actually performed is less than the number of rinses transmitted by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190 (that is, the preferred recommended number of rinses)
  • the turbidity of the rinsing water in the last rinsing stroke is determined.
  • the information on the additional rinsing frequency and the stop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transmit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9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90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190.
  • the data detected by the turbidity sensor 130 and information on the desired additional rinsing frequency may be display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play 80 and the second display 280.
  • FIG 5 and 6 are views illustrating a display unit of an external terminal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of a washing machine and accessories.
  • the user may put the above-described accessory 100 into the drum of the washing machine before driving the washing machine.
  • the accessory 100 is preferably introduced into the drum after the rotation of the drum for checking the amount of water. That is, the accessory 100 is preferably introduced into the washing machine at the same time as the water supply or after the water supply is completed.
  • the user may input power through the power input unit 105 provided in the accessory 100.
  • whether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190 provided in the accessory 100 is normally communicated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80 of the external terminal 20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80 of the external terminal 200. Can be displayed.
  • the external terminal 200 When both the washing stroke and the rinsing stroke are completed, the external terminal 200 performs additional rinsing based on the turbidity of the rinsing water from the accessory 100 (ie, the turbidity of the rinsing water in the last rinsing stroke) and the turbidity. Information related to the number of times may be received.
  • the second display unit 280 of the external terminal 200 includes text information 281 for completion of washing and text information 282 about turbidity of rinsing water in the last rinsing stroke. May be displayed.
  • the display unit 280 may display the graph information 283 of the turbidity of the rinsing water in the form of a bar graph, and the level 284 of the turbidity of the rinsing water on the side of the graph information 283.
  • a description eg, information of turbidity level
  • the display unit 280 may be displayed such that an input unit related to “additional rinse 286” and “end of washing 287” can be selected by a user's touch.
  • the user may determine whether to perform an additional rinsing or end the washing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 the screen of the second display unit 280 may be switched to the screen shown in FIG. 6.
  • the second display unit 280 displays a desired additional rinsing frequency 288, and the displayed additional rinsing frequency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or cancel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 the desired additional rinsing frequency 288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pop-up window on the screen shown in FIG.
  • the user may check the information on the turbidity of the rinsing water and the desired additional rinsing frequency, which are transmitted from the accessory 100, which is input to the washing machine 1,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200.
  • the user can easily determine and set whether to perform an additional rinse and the number of additional rinses based on the information checked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2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처리 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측면 개방된 드럼과,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 구비되는 세탁물 투입구를 구비하는 탑로딩형 세탁기에 사용되는 악세서리로서, 외관을 형성하고 밀폐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바디; 상기 바디 내측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초음파발생기; 상기 초음파발생기를 제어하도록 형성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그 무게중심이 하측에 위치하도록,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악세서리.

Description

세탁기에 사용되는 악세서리
본 발명은 세탁기 내로 투입되고 초음파발생기 및 탁도센서를 구비하는 악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초음파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초음파에 의해 세탁효율 및 헹굼효율을 높이고, 상기 악세서리에 구비되는 탁도센서에서 감지된 헹굼수의 오염도에 기초하여 바람직한 헹굼횟수를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세탁기용 악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스타일러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세탁기는 건조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드럼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진(즉, 세탁물의 투입구가 캐비닛의 상측에 배치된) 펄세이터 세탁기와, 드럼이 수평방향으로 눕혀진(즉, 세탁물의 투입구가 캐비닛의 전방측에 배치된) 드럼 세탁기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세탁기는 의류처리 장치에 처리 대상물 및 세제 등이 투입된 후, 세탁기의 캐비닛에 구비된 조작부의 조작을 통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세탁기의 구동행정은 크게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세탁행정에서는 복수개의 코스 중 원하는 코스를 선택한 후, 적절한 양의 세제가 투입될 수 있으며, 헹굼행정은 처리 대상물(즉, 세탁물)의 오염도에 따라 1회이상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세제에는 계면활성제가 포함되고, 세탁행정에서 계면활성제가 세탁물에 붙고 떨어지는 과정을 통해 세탁 대상물에 묻어 있는 오염물이 제거될 수 있다.
이때, 계면활성제가 세탁 대상물에 붙고 떨어지는 과정을 촉진시킬 경우, 세탁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세탁효율 증대를 위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세탁행정에서 세탁수에 초음파의 진동이 가해지면 계면활성제가 세탁 대상물에 붙고 떨어지는 과정이 촉진될 수 있다.
또한, 헹굼행정에 있어서, 사용자가 헹굼행정의 횟수를 조절할 수 있으나, 사용자는 세탁행정 이후에 세탁물에 남아 있는 잔여 세제 및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몇 회의 헹굼행정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헹굼행정의 횟수가 너무 적은 경우 세탁물에 남아 있는 잔여 세제 및 오염물이 완벽히 제거될 수 없고, 반대로, 헹굼행정의 횟수가 너무 많은 경우 헹굼수의 소비량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세탁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세탁행정에서 드럼 내의 세탁수 또는 헹굼수에 진동을 발생시켜서 세탁효율 및 헹굼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연구 및 바람직한 헹굼행정의 횟수를 추천해줄 수 있는 세탁기용 악세서리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은 세탁수 및 헹굼수 중 적어도 하나에 초음파발생기를 통해 초음파를 발생시켜서 세탁효율 및 헹굼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세탁기용 악세서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헹굼수의 오염도(또는 탁도)를 감지하여, 어느 정도의 헹굼 횟수가 바람직한지 여부(즉, 바람직한 헹굼 횟수)를 사용자에게 추천해줄 수 있는 세탁기용 악세서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세탁기에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한 세탁기용 악세서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처리 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측면 개방된 드럼과,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 구비되는 세탁물 투입구를 구비하는 탑로딩형 세탁기에 사용되는 악세서리로서, 외관을 형성하고 밀폐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바디; 상기 바디 내측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초음파발생기; 상기 초음파발생기를 제어하도록 형성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그 무게중심이 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 세탁기용 악세서리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바디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초음파발생기는 상기 바디 내측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악세서리는 상기 드럼 내에 수용된 헹굼수의 탁도를 감지하기 위한 탁도센서; 및 세탁기에 구비되는 제1통신모듈 및 외부 단말기에 구비되는 제2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가능하도록 형성된 제3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탁도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는 상기 제3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1통신모듈 및 상기 제2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탁도센서는 상기 바디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에는 상기 탁도센서에 대응되는 위치에 센싱창이 형성되며, 상기 센싱창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에서 상기 탁도센서가 배치된 높이 이상으로 상기 바디의 적어도 일부가 세탁수 또는 헹굼수에 잠기도록, 상기 바디의 무게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초음파발생기에 비해 상기 탁도센서가 위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탁도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는 세탁행정 및 헹굼행정의 종료 시에 상기 제3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1통신모듈 및 상기 제2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악세서리는 헹굼수의 탁도에 대응하는 추가 헹굼횟수의 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탁도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와 함께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추가 헹굼횟수의 정보가 상기 제3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1통신모듈 및 상기 제2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탁도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 및 상기 추가 헹굼횟수의 정보가 상기 제1통신모듈 및 상기 제2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될 때, 상기 세탁기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시키는 정지신호도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통신모듈은 세탁기에서 실제로 수행되는 추가 헹굼 횟수의 정보를 상기 제1통신모듈 및 상기 제2통신모듈 중 하나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통신모듈에서 전송한 추가 헹굼 횟수가 상기 실제로 수행되는 추가 헹굼 횟수와 상이하다고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되면, 마지막 헹굼행정에서의 헹굼수의 탁도 및 그에 대응하는 추가 헹굼횟수의 정보가 상기 제3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1통신모듈 및 상기 제2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마지막 헹굼행정에서의 헹굼수의 탁도 및 그에 대응하는 추가 헹굼횟수의 정보가 상기 제1통신모듈 및 상기 제2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될 때, 상기 세탁기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시키는 정지신호도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상기 초음파발생기가 상기 바디의 하측에서 상기 바디의 둘레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탁도센서는 상기 바디의 반경방향 중앙부에 위치되고, 상기 센싱창은 상기 탁도센서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 내측에는 상기 악세서리 전체의 무게를 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무게추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수 및 헹굼수 중 적어도 하나에 초음파발생기를 통해 초음파를 발생시켜서 세탁효율 및 헹굼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세탁기용 악세서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헹굼수의 오염도를 감지하여, 바람직한 헹굼 횟수를 사용자에게 추천해줄 수 있는 세탁기용 악세서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세탁기에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한 세탁기용 악세서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용 악세서리가 세탁기 내에 구비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용 악세서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세서리가 세탁기 내에서 세탁수 또는 헹굼수에 떠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용 악세서리, 세탁기 및 외부 단말기의 주요 구성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 및 6은 세탁기 및 악세서리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는 외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아래 설명되는 세탁기는 탑로딩 세탁기와 프론트로딩 세탁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세서리는 탑로딩 세탁기 및 프론트로딩 세탁기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나, 탑로딩 세탁기에 적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세탁기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댐핑 구조, 급수 구조 및 배수 구조 등은 종래의 세탁기의 구조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하, 본원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한 종래 세탁기의 일반적인 구조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용 악세서리가 세탁기 내에 구비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악세서리가 적용되는 세탁기는 탑로딩형 세탁기로 한정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악세서리가 세탁기 내에 수용되는 세탁수 또는 헹굼수에 부유된 상태로 작동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 상기 캐비닛(10) 내에 구비되는 드럼(30),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구비되는 세탁물 투입구(15)를 구비하는 탑로딩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세탁기(1)는 상기 캐비닛(10) 내에서 상기 드럼(30)의 측면 및 하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터브(40), 상기 드럼(30) 내의 세탁수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펄세이터(50), 상기 펄세이터(5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30)은 상기 캐비닛(10)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55)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투입구(15)는 도어(20)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20)와 상기 투입구(15) 사이에 탑 커버(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세탁 대상물은 상기 도어(20) 및 상기 탑 커버(25)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투입구(15)를 통해 상기 드럼(30) 내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 및 탑 커버(25)는 상기 투입구(15)에 대응하는 위치인 캐비닛(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5)에 의해 상기 드럼(30)과 상기 펄세이터(50)는 동시에 회전되거나 또는 어느 하나만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55)에 의해 상기 드럼(30)과 상기 펄세이터(50)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하나의 구동부(55)에 의해 드럼(30)과 펄세이트(50)을 동일하거나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도시되지 않은 클러치와 같은 구조가 구동부(55)와 상기 드럼(30) 및 펄세이터(50) 사이에 적용될 수 있다.
세탁기(1)는 터브(40) 내의 세탁수 또는 헹굼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밸브(61), 배수유로(63) 및 배수펌프(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65) 및 상기 배수밸브(61)의 구동에 의해 터브(40) 내의 세탁수 또는 헹굼수는 상기 배수유로(6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세탁기(1)는 급수유로(71) 및 급수밸브(7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의 급수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상기 급수밸브(73)의 구동에 의해 상기 급수유로(71)를 통해 상기 터브(40) 내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급수유로(71)는 도시되지 않은 세제박스를 경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급수 과정에서 세제박스 내의 세제가 물과 함께 터브(40) 내로 공급될 수 있다.
세탁기(1)는 후술할 악세서리 및 외부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와의 통신을 위한 제1통신모듈(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으며, 세탁기(1)의 조작 및 정보의 표시를 위한 제1디스플레이부(8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세탁기(1)의 드럼(30) 내에는 세탁수 및 헹굼수 중 적어도 하나의 탁도(또는 오염도)를 감지하고, 초음파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된 악세서리(100)가 수용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이러한 악세서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용 악세서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2의 (a)는 악세서리를 위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의 (b)는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2의 (c)는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하 설명될 악세서리는 전술한 세탁기(1)와 같은 탑로딩 형태의 세탁기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여시서 탑로딩 형태의 세탁기라 함은, 터브 및 드럼의 상측이 개방되고,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이 설치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세탁기를 의미할 수 있다.
우선, 도 2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용 악세서리(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110), 상기 바디(110) 내측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초음파발생기(120) 및 상기 초음파발생기(120)를 제어하는 제어부(C)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110)는 그 무게중심이 하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바디(110)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110)의 하측 중앙부에 상기 바디(110)의 무게중심이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기(1) 내에 세탁수 또는 헹굼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악세서리(100)는 세탁수 또는 헹굼수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워진 상태로 부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110) 내부의 하측에는 하나 이상의 무게추(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게추는 상기 악세서리(100) 전체의 무게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바디(110)의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게추는 상기 바디(110) 내의 하측 중앙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악세서리(100)의 바디(110)는 밀봉 형성되기 때문에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상기 악세서리(100)는 세탁수 또는 헹굼수에 부유할 수 있다. 이때, 후술할 탁도센서가 세탁수 또는 헹굼수에 잠길 정도로 악세서리(100)의 일부가 세탁수 또는 헹굼수에 잠기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악세서리(100)의 무게가 설정 또는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발생기(120)는 세탁행정 및 헹굼행정에서 세탁수 및 헹굼수를 향해 초음파를 발생시키도록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발생기(120)는 상기 바디(110)의 내측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바디(110)가 세워진 상태로 세탁수 및 헹굼수에 부유할 경우, 상기 초음파발생기(120)로부터 세탁수 및 헹굼수를 향해 초음파를 효과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초음파발생기(12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는 바디(110)를 통해 세탁수 및 헹굼수를 진동시킬 수 있으며, 세탁수 및 헹굼수의 진동에 의해 세탁 대상물에 붙고 떨어지는 계면활성제의 작용이 촉진되어 세탁효율 및 헹굼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초음파발생기(120)는 상기 바디(110) 내의 하측에서 상기 바디(110)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도 2의 (c) 참조).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용 악세서리(100)는 드럼(30) 내에 수용된 헹굼수의 탁도(또는 오염도)를 감지하기 위한 탁도센서(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탁도센서(130)는 상기 바디(110)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110)에는 상기 탁도센서(130)에 대응되는 위치에 센싱창(1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싱창(115)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창(115)과 상기 바디(110)는 도시되지 않은 실링부재를 통해 밀봉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탁도센서(130)는 상기 센싱창(115)을 통하여 세탁수 및 헹굼수의 탁도 또는 오염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110)에서 상기 탁도센서(130)가 배치된 높이 이상으로 상기 바디(110)의 적어도 일부가 세탁수 또는 헹굼수에 잠기도록, 상기 바디(110)의 무게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디(110)의 무게는 전술한 무게추의 선택적 사용 또는 바디의 소재 변경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적어도 상기 탁도센서(130)가 헹굼수에 잠긴 상태로 상기 악세사리가 헹굼수에 부유되어야만, 헹굼수의 탁도 또는 오염도가 상기 탁도센서(130) 및 상기 센싱창(115)을 통해 감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탁도센서(130)는 헹굼수에 부유된 상태로, 헹굼수의 깊이방향이 아닌 반경방향으로 탁도를 감지하기 때문에 헹굼수에 대한 탁도 감지의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탁도센서(130)는 상기 바디(110)의 반경방향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싱창(115)은 상기 탁도센서(130)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2개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탁도센서(130)는 상기 2개의 센싱창(115)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헹굼수의 탁도를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초음파발생기(120)에 비해 상기 탁도센서(130)가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초음파발생기(120)에 의한 하방향 초음파발생을 통해 세탁효율 및 헹굼효율의 증대를 도모함과 동시에, 전술한 바와 같이 탁도센서(130)에 의한 감지 정확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탁도센서(130)가 악세서리(100)의 하방을 향하여 헹굼수의 탁도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면, 세탁수 및 헹굼수의 깊이에 의해 정확한 탁도가 감지되지 않을 수 있다(즉, 헹굼수의 탁도가 실제 탁도보다 비교적 높게 감지될 수 있다).
이에 반해, 탁도센서(130)가 악세서리(100)의 측면을 향하여 헹굼수의 탁도를 감지하도록 배치되면, 터브의 깊이(높이)에 비해 폭이 좁기 때문에 비교적 정확한 헹굼수의 탁도의 감지가 가능해진다(도 3 참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용 악세서리(100)는 바디(110)의 상단에 구비되는 전원입력부(105) 및 상기 악세서리(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베터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입력부(105)는 누름 버튼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입력부(105)를 눌러서 상기 악세서리(100)에 전원이 공급되거나 상기 악세서리(10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베터리(160)는 충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160)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무선충전 방식을 통해 충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악세서리(100)는 후술할 세탁기에 구비되는 제1통신모듈 및 외부 단말기에 구비되는 제2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가능하도록 형성된 제3통신모듈(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용 악세서리(100)가 세탁기 및 외부 단말기와 통신하는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용 악세서리, 세탁기 및 외부 단말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용 악세서리(100)는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되는 전술한 초음파발생기(120) 및 탁도센서(1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세탁행정 및 헹굼행정 중 적어도 하나의 행정 동안에 상기 초음파발생기(120)가 작동되도록 상기 초음파발생기(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전원입력부(105)가 작동되면, 상기 악세서리(100)는 전원공급부(150)를 통해 베터리(160)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악세서리(100)는 세탁기(1) 및 외부 단말기(20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탁기(1)는 제1통신모듈(90)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 단말기(200)는 제2통신모듈(290)을 구비하며, 상기 악세서리(100)는 상기 제1통신모듈(90) 및 상기 제2통신모듈(29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가능하도록 형성된 제3통신모듈(19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통신모듈(90)과 상기 제2통신모듈(290)은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통신모듈(90), 상기 제2통신모듈(290) 및 상기 제3통신모듈(190)은 와이파이 통신, RFID 통신 등의 방식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악세서리(100)에 구비되는 탁도센서(130)에서 감지된 데이터는 상기 제3통신모듈(190)을 통해 상기 제1통신모듈(90) 및 상기 제2통신모듈(29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탁도센서(130)에서 감지된 데이터가 상기 제3통신모듈(190)을 통해 상기 제1통신모듈(90)로 전송되면, 상기 세탁기(1)에 구비된 제1디스플레이부(80)에 상기 데이터에 기초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탁도센서(130)에서 감지된 데이터가 상기 제3통신모듈(190)을 통해 상기 제2통신모듈(290)로 전송되면, 상기 외부 단말기(200)에 구비된 제2디스플레이부(280)에 상기 데이터에 기초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80) 또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280)에 표시된 정보에 기초하여, 헹굼수의 탁도 및 바람직한 헹굼 횟수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80)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280)는 터치입력 가능한 터치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탁도센서(130)에서 감지된 데이터는 세탁기(1)의 세탁행정의 및 헹굼행정의 종료시에 상기 제3통신모듈(190)을 통해 상기 제1통신모듈(90) 및 상기 제2통신모듈(29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탁도센서(130)에서 감지된 데이터는 세탁기(1)의 세탁행정 및 행굼행정의 종료 시에, 그리고 탈수행정에 진입하기 전에, 상기 제3통신모듈(190)을 통해 상기 제1통신모듈(90) 및 상기 제2통신모듈(29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3통신모듈(190)은 상기 세탁기(1)의 세탁행정 및 헹굼행정의 종료 시에 상기 제1통신모듈(90) 및 상기 제2통신모듈(29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종료에 대한 신호를 전송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또한, 세탁기(1)에서 탈수행정이 진행되는 경우, 탈수행정의 진입 전에 세탁기(1)의 제1디스플레이부(80) 및 외부 단말기(200)의 제2디스플레이부(280)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악세서리(100)를 세탁기(1)로부터 빼내도록 하는 알람이 표시될 수 있다.
이는, 탈수행정 동안에 상기 악세서리(100)가 세탁기(1)의 드럼 내에 수용되어 있으면, 상기 악세서리(100)가 드럼의 회전에 의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세탁행정 및 헹굼행정의 종료 시에 헹굼수의 탁도에 기초한 바람직한 추가 헹굼횟수가 제어부(C)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악세서리(100)는 헹굼수의 탁도에 대응하는 추가 헹굼횟수의 정보를 테이블 형태(즉, 대응 표)로 저장하도록 형성된 메모리(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탁도센서(130)에서 감지된 데이터와 함께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추가 헹굼횟수의 정보가 상기 제3통신모듈(190)을 통해 상기 제1통신모듈(90) 및 상기 제2통신모듈(29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상기 탁도센서(130)에서 감지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추가 헹굼횟수의 정보는 세탁기(1)의 세탁행정의 종료 시 및 헹굼행정의 1회 종료시 중 적어도 한 시점에 상기 제3통신모듈(190)을 통해 상기 제1통신모듈(90) 및 상기 제2통신모듈(29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통신모듈(190)로부터 제1통신모듈(90) 및 상기 제2통신모듈(290)에 전송된 데이터 및 정보는 세탁기(1)의 제1디스플레이부(80) 및 외부 단말기(200)의 제2디스플레이부(280)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80) 및 제2디스플레이부(280)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된 정보를 통해, 헹굼수의 탁도 및 바람직한 추가 헹굼횟수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탁도센서(130)에서 감지된 데이터 및 상기 추가 헹굼횟수의 정보가 상기 제1통신모듈(90) 및 상기 제2통신모듈(29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될 때, 상기 세탁기(1)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정지시키는 정지신호도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즉, 기 탁도센서(130)에서 감지된 데이터 및 상기 추가 헹굼횟수의 정보가 상기 제1통신모듈(90) 및 상기 제2통신모듈(29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되면, 사용자는 전술한 세탁기(1)의 제1디스플레이부(80) 및 외부 단말기(200)의 제2디스플레이부(280)를 통해 바람직한 헹굼횟수(또는 바람직한 추가 헹굼횟수)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80) 또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280)를 통해, 추가 헹굼횟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정보 확인 및 추가 헹굼횟수 설정을 위한 시간 동안 세탁기(1)의 구동이 정지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세탁행정의 종료 시 또는 헹굼행정의 1회 종료 시에, 상기 탁도센서(130)에서 감지된 데이터, 상기 추가 헹굼횟수의 정보 및 상기 세탁기(1)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정지시키는 정지신호가 함께 상기 제1통신모듈(90) 및 상기 제2통신모듈(29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80)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280)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정지신호가 표시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세탁기(1)의 구동이 기설정된 시간동안 정지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80)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280)에 표시된 정보를 확인한 후, 헹굼횟수 또는 추가 헹굼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80)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280)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추천된 바람직한 헹굼횟수와 다른 헹굼횟수를 설정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통신모듈(190)은 세탁기(1)에서 실제로 수행되는 헹굼횟수의 정보를 상기 제1통신모듈(90) 및 상기 제2통신모듈(290) 중 하나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통신모듈(190)에서 전송한 헹굼횟수(즉, 바람직한 추천 헹굼횟수)가 상기 실제로 수행되는 헹굼횟수와 상이하다고 제어부(C)에서 판단되면, 마지막 헹굼행정에서의 헹굼수의 탁도 및 그에 대응하는 추가 헹굼횟수의 정보가 상기 제3통신모듈(190)을 통해 상기 제1통신모듈(90) 및 상기 제2통신모듈(29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통신모듈(190)에서 전송한 헹굼횟수(즉, 바람직한 추천 헹굼횟수)가 상기 실제로 수행되는 헹굼횟수보다 크다고 제어부(C)에서 판단되면, 마지막 헹굼행정에서의 헹굼수의 탁도 및 그에 대응하는 추가 헹굼횟수의 정보가 상기 제3통신모듈(190)을 통해 상기 제1통신모듈(90) 및 상기 제2통신모듈(29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세탁기(1)의 제1디스플레이부(80) 및 외부 단말기(200)의 제2디스플레이부(280)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헹굼수의 탁도 및 그에 대응하는 추가 헹굼횟수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80)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280) 중 하나를 통해 헹굼행정을 추가로 진행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추가헹굼 횟수를 다시 설정할 수 있다.
이는, 헹굼수의 탁도에 기초한 추천 헹굼횟수보다 적은 횟수로 행굼행정을 수행할 경우, 헹굼효율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함이다.
나아가, 상기 제3통신모듈(190)에서 전송한 헹굼횟수(즉, 바람직한 추천 헹굼횟수)가 상기 실제로 수행되는 헹굼횟수와 상이하다고 제어부(C)에서 판단되면, 상기 세탁기(1)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시키는 정지신호가 상기 제3통신모듈(190)을 통해 상기 제1통신모듈(90) 및 상기 제2통신모듈(29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될 수 있다.
즉, 마지막 헹굼행정에서의 헹굼수의 탁도 및 그에 대응하는 추가 헹굼횟수의 정보가 상기 제1통신모듈(90) 및 상기 제2통신모듈(290)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될 때, 상기 세탁기(1)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신호가 상기 제3통신모듈(190)을 통해 상기 제1통신모듈(90) 및 상기 제2통신모듈(29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제로 수행되는 헹굼횟수 상기 제3통신모듈(190)에서 전송한 헹굼횟수(즉, 바람직한 추천 헹굼횟수)보다 작다고 제어부(C)에서 판단되면, 마지막 헹굼행정에서의 헹굼수의 탁도, 그에 대응하는 추가 헹굼횟수의 정보 및 상기 정지신호가 상기 제3통신모듈(190)을 통해 상기 제1통신모듈(90) 및 상기 제2통신모듈(29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80)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28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얻은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헹굼의 필요성에 대해 판단하고 추가 헹굼횟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탁도센서(130)에서 감지된 데이터 및 바람직한 추가 헹굼횟수에 대한 정보는 제1디스플레이(80) 및 제2디스플레이(280)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될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탁도센서(130)에서 감지된 데이터 및 바람직한 추가 헹굼횟수에 대한 정보가 외부 단말기(200)의 제2디스플레이(280)에 표시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6은 세탁기 및 악세서리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는 외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세탁 대상물을 세탁기 내로 투입 후, 세탁기를 구동하기 전에 전술한 악세서리(100)를 세탁기의 드럼 내로 투입할 수 있다.
일반적인 세탁기의 경우 포량의 체크를 위해 급수 전에 드럼이 회전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상기 악세서리(100)는 포량의 체크를 위한 드럼의 회전 후에 상기 드럼 내로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악세서리(100)는 급수와 동시에 또는 급수가 완료된 후에 상기 세탁기 내로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악세서리(100)가 드럼 내로 투입되기 전에, 사용자는 상기 악세서리(100)에 구비된 전원입력부(105)를 통해 전원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악세서리(100)에 구비된 제3통신모듈(190)이 정상적으로 외부 단말기(200)의 제2통신모듈(280)과 통신되고 있는지 여부가 외부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80)에 표시될 수 있다.
세탁행정 및 헹굼행정이 모두 완료되면, 상기 외부 단말기(200)는 상기 악세서리(100)로부터 헹굼수의 탁도(즉, 마지막 헹굼행정에서의 헹굼수의 탁도)와 관련된 정보 및 상기 탁도에 기초한 추가 헹굼횟수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 단말기(200)의 제2디스플레이부(280)에는 세탁 완료에 대한 문자 정보(281), 마지막 헹굼행정에서 헹굼수의 탁도에 대한 문자 정보(282)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80)에는 헹굼수의 탁도에 대한 그래프 정보(283)가 막대 그래프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그래프 정보(283) 측면에 헹굼수의 탁도에 대한 레벨(284)의 설명(예를 들어, 탁도 레벨의 정보)이 표시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80)에는 "추가헹굼(286)" 및 "세탁종료(287)"와 관련된 입력부가 사용자의 터치를 통해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전술한 정보를 참조하여, 추가헹굼을 수행할지 또는 세탁을 종료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추가헹굼"을 선택하면,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280)의화면이 도 6에 표시된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280)에는 바람직한 추가 헹굼횟수(288)가 표시되며, 표시된 추가 헹굼횟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되거나, 취소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람직한 추가 헹굼횟수(288)는 도 5에 도시된 화면에서 팝업창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세탁기(1)에 투입되는 악세서리(100)로부터 전송되는 헹굼수의 탁도에 대한 정보 및 바람직한 추가 헹굼횟수에 대한 정보를 외부 단말기(2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는 상기 외부 단말기(200)를 통해 확인한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헹굼을 수행할지 여부 및 추가헹굼의 횟수를 용이하게 판단 및 설정할 수 있다.

Claims (20)

  1.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처리 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측면이 개방된 드럼과,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 구비되는 세탁물 투입구를 구비하는 탑로딩형 세탁기에 사용되는 악세서리로서,
    외관을 형성하고 밀폐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바디;
    상기 바디 내측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초음파발생기;
    상기 초음파발생기를 제어하도록 형성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그 무게중심이 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악세서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악세서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발생기는 상기 바디 내측의 하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악세서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내에 수용된 세탁수 또는 헹굼수의 탁도를 감지하기 위한 탁도센서; 및
    세탁기에 구비되는 제1통신모듈 및 외부 단말기에 구비되는 제2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가능하도록 형성된 제3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탁도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는 상기 제3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1통신모듈 및 상기 제2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악세서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탁도센서는 상기 바디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에는 상기 탁도센서에 대응되는 위치에 센싱창이 형성되며, 상기 센싱창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악세서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서 상기 탁도센서가 배치된 높이 이상으로 상기 바디의 적어도 일부가 세탁수 또는 헹굼수에 잠기도록, 상기 바디의 무게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악세서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발생기에 비해 상기 탁도센서가 위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악세서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탁도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는 세탁행정 및 헹굼행정의 종료 시에 상기 제3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1통신모듈 및 상기 제2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악세서리.
  9. 제8항에 있어서,
    세탁수 또는 헹굼수의 탁도에 대응하는 추가 헹굼횟수의 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탁도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와 함께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추가 헹굼횟수의 정보가 상기 제3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1통신모듈 및 상기 제2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악세서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탁도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 및 상기 추가 헹굼횟수의 정보가 상기 제1통신모듈 및 상기 제2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될 때, 상기 세탁기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시키는 정지신호도 함께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악세서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통신모듈은 세탁기에서 실제로 수행되는 추가 헹굼 횟수의 정보를 상기 제1통신모듈 및 상기 제2통신모듈 중 하나로부터 전송받고,
    상기 제3통신모듈에서 전송한 추가 헹굼 횟수가 상기 실제로 수행되는 추가 헹굼 횟수와 상이하다고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되면, 마지막 헹굼행정에서의 헹굼수의 탁도 및 그에 대응하는 추가 헹굼횟수의 정보가 상기 제3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1통신모듈 및 상기 제2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악세서리.
  12. 제11항에 있어서,
    마지막 헹굼행정에서의 헹굼수의 탁도 및 그에 대응하는 추가 헹굼횟수의 정보가 상기 제1통신모듈 및 상기 제2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될 때, 상기 세탁기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시키는 정지신호도 함께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악세서리.
  13. 제4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초음파발생기가 상기 바디의 하측에서 상기 바디의 둘레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악세서리.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탁도센서는 상기 바디의 반경방향 중앙부에 위치되고,
    상기 센싱창은 상기 탁도센서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2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악세서리.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내측에는 상기 악세서리 전체의 무게를 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무게추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악세서리.
  16. 밀폐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바디;
    상기 바디 내측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초음파발생기;
    상기 초음파발생기를 제어하도록 형성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는 그 무게중심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악세서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내에 수용된 세탁수 또는 헹굼수의 탁도를 감지하기 위한 탁도센서; 및
    세탁기에 구비되는 제1통신모듈 및 외부 단말기에 구비되는 제2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가능하도록 형성된 제3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탁도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는 상기 제3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1통신모듈 및 상기 제2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악세서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탁도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는 세탁행정 및 헹굼행정의 종료 시에 상기 제3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1통신모듈 및 상기 제2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악세서리.
  19. 제18항에 있어서,
    세탁수 또는 헹굼수의 탁도에 대응하는 추가 헹굼횟수의 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탁도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와 함께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추가 헹굼횟수의 정보가 상기 제3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1통신모듈 및 상기 제2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악세서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통신모듈은 세탁기에서 실제로 수행되는 추가 헹굼 횟수의 정보를 상기 제1통신모듈 및 상기 제2통신모듈 중 하나로부터 전송받고,
    상기 제3통신모듈에서 전송한 추가 헹굼 횟수가 상기 실제로 수행되는 추가 헹굼 횟수와 상이하다고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되면, 마지막 헹굼행정에서의 헹굼수의 탁도 및 그에 대응하는 추가 헹굼횟수의 정보가 상기 제3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1통신모듈 및 상기 제2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악세서리.
PCT/KR2017/003760 2016-04-08 2017-04-06 세탁기에 사용되는 악세서리 WO2017176060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091,349 US11021824B2 (en) 2016-04-08 2017-04-06 Accessory used for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325A KR20170115749A (ko) 2016-04-08 2016-04-08 세탁기에 사용되는 악세서리
KR10-2016-0043325 2016-04-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76060A1 true WO2017176060A1 (ko) 2017-10-12

Family

ID=60000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3760 WO2017176060A1 (ko) 2016-04-08 2017-04-06 세탁기에 사용되는 악세서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21824B2 (ko)
KR (1) KR20170115749A (ko)
WO (1) WO201717606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5211A (zh) * 2018-05-15 2018-08-21 汪智静 一种超声波清洗器的洗衣机
CN109722848A (zh) * 2019-01-19 2019-05-07 深圳市前海鸿商电子商务有限公司 超声波洗涤装置的清洗衣物的方法和洗涤装置
WO2019223571A1 (zh) * 2018-05-24 2019-11-2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带局部预洗功能的洗衣机
CN110735291A (zh) * 2018-07-20 2020-01-3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浊度检测装置、洗衣机及其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77281A (zh) * 2016-07-15 2019-03-15 汉高股份有限及两合公司 用于确定特别是清洁策略的方法和装置
WO2024058291A1 (ko) * 2022-09-16 2024-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액세서리 및 세탁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103A (ko) * 1998-09-25 2000-04-15 김헌식 초음파와 원적외선방출 세라믹을 이용한 무세제 세탁기
KR20000071828A (ko) * 1999-04-28 2000-11-25 마찌다 가쯔히꼬 부분 세탁 장치를 갖는 세탁기 및 세탁 장치
US20030227394A1 (en) * 2002-05-24 2003-12-11 The Procter & Gamble Co Sensor device and methods for using same
KR20150087760A (ko) * 2014-01-22 2015-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2824A (ko) 1987-04-09 1988-11-29 구자학 초음파 발생장치가 부착된 세탁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103A (ko) * 1998-09-25 2000-04-15 김헌식 초음파와 원적외선방출 세라믹을 이용한 무세제 세탁기
KR20000071828A (ko) * 1999-04-28 2000-11-25 마찌다 가쯔히꼬 부분 세탁 장치를 갖는 세탁기 및 세탁 장치
US20030227394A1 (en) * 2002-05-24 2003-12-11 The Procter & Gamble Co Sensor device and methods for using same
KR20150087760A (ko) * 2014-01-22 2015-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5211A (zh) * 2018-05-15 2018-08-21 汪智静 一种超声波清洗器的洗衣机
WO2019223571A1 (zh) * 2018-05-24 2019-11-2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带局部预洗功能的洗衣机
CN110735291A (zh) * 2018-07-20 2020-01-3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浊度检测装置、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10735291B (zh) * 2018-07-20 2023-07-21 重庆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浊度检测装置、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09722848A (zh) * 2019-01-19 2019-05-07 深圳市前海鸿商电子商务有限公司 超声波洗涤装置的清洗衣物的方法和洗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36431A1 (en) 2019-05-09
US11021824B2 (en) 2021-06-01
KR20170115749A (ko) 201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76060A1 (ko) 세탁기에 사용되는 악세서리
WO2018038399A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8128262A1 (ko) 세탁 장치 및 세탁 장치의 제어방법
WO2010128729A2 (en) Washing machine
WO2018030640A2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1053095A2 (en)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WO2011078611A1 (en) Washing method and washing machine
WO2018097482A2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003212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18164529A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2096522A2 (en) Operating method for washing machine
WO2017135602A1 (ko)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의 터브 세척 방법
WO2013118999A1 (en) Controlling method of laundry device
WO2017003214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14171619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1118189A1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6199958A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0060269A1 (en) 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apparatus
WO2017111465A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1107600A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8155797A1 (ko) 세탁기
WO2019074259A1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8066970A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WO2022191559A1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6140522A1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77936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77936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