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35551A1 - 유아용 식판 - Google Patents

유아용 식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35551A1
WO2017135551A1 PCT/KR2016/012741 KR2016012741W WO2017135551A1 WO 2017135551 A1 WO2017135551 A1 WO 2017135551A1 KR 2016012741 W KR2016012741 W KR 2016012741W WO 2017135551 A1 WO2017135551 A1 WO 201713555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food
food container
plate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274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유칠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드
Publication of WO201713555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3555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6Plates with integral holders for spoons, glass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Definitions

  • the bottom plate further includes a tableware support on its bottom surface, wherein the tableware support is protruded in the shape of a comb or emboss, and the bottom between the edges from the point where it meets the outer edges of the first to third sidewalls.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plate,
  • the bottom plate 110 has a plate shape, and utensils, such as cutlery and forks, are placed on the bottom plate 110 and are in contact with and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 the decorative strip 111 protrudes from the edge of the bottom plate 110 so that the appearance is more beautiful.
  • the decorative strip 111 prevents the edge of the bottom plate 110 from being easily torn or cracked.
  • the infant food plat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bottom plate 110, the first food container 120, the second food container 130, the first 3 includes a food container 140 and the deformation preventing plate 150.
  • the baby food plate 100 when the second food container 130 and the third food container 140 when the stack is stored in plurality due to the height difference with the first food container 120.
  • the end heights of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131 and the third side wall portion 141 are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at of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21.
  • the inclined surface 160 is formed to be inclin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so that the upper end surface is the same as the upper surface height of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21. Equipped.
  • the baby food plate 100 has a comb pattern or embossed shape so that it can be easily separated with only a little force when removing from the table by slightly relieving the adsorption force from the table on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110.
  • the tableware support unit 170 may be integrally formed to protrude.
  • the tableware support unit 170 is protrud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0, as shown in Figure 4 and 5, between the edge portion 112 from the point that meets the outer edge of all side wall (121, 131, 141). That is, the food receiving portion 120, 130, 140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0 is formed in the outward direction. Therefore, the bottom surface 110 of the bottom plate 110 adjacent to the protrusion 170 ′ positioned at the innermost side of the tableware support unit 170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table surface even if the food container 120, 130, 140 contains food.
  • the baby food plate 100 is stacked as shown in FIG. 5, even when the food receiving parts 120, 130, and 140 of the baby food plate are placed directly below, the top surfaces 161, 161 ′ are not contaminated.
  • the infant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adsorption capacity, thereby increasing the self-reliance so that the infant can eat rice by themselves, can cultivate the correct eating habits, suitable for training of the use of spoons or chopsticks, etc. It can be usefully used, and hygienic management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when laminating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리콘을 이용하여 형성함으로써 사용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이 용이하고, 충돌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백금촉매제를 혼합하여 실리콘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식판을 개시한다. 개시된 유아용 식판은 플레이트 형상의 바닥판와, 음식을 수용하도록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제1음식물 수용부와, 상기 제1음식물 수용부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음식물 수용부의 깊이보다 낮은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2음식물 수용부와, 상기 제1음식물 수용부 및 상기 제2음식물 수용부와 구획된 공간을 가지도록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음식물 수용부의 깊이보다 낮은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3음식물 수용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유아용 식판
본 발명은 유아 스스로 식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학습 유도하는 유아용 식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리콘의 밀착력에 의해 식탁 등에서 미끄러지거나 유동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후의 신속 건조 및 위생적 보관이 가능하고, 충돌이나 타격에 의한 흠집이나 깨지지 아니하여 유아의 안전사고 등에도 안전성과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백금촉매제를 혼합하여 실리콘의 고유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식판에 관한 것이다.
유아들의 대부분은 주의가 산만할 뿐만 아니라 젓가락질은 물론이고, 숟가락질이 서툴기 때문에, 식사를 할 때 음식을 엎지르거나 흘리는 경우가 허다하게 발생된다. 따라서 음식이 흘러서 주변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흔히 유아들에게 간식이나 식사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자기 스스로 식사를 수행하도록 유도하고 습관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주로 식판을 이용하는 방법이 잘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종래 유아용 식판의 일례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7079호(공개일:2015년08월26일)에는 "유아용 식판"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하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밥을 담도록 된 밥수용부(10), 상기 밥수용부(10)의 일측에서 하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국을 담도록 된 국수용부(20), 상기 밥수용부(10) 및 국수용부(20)의 후방으로 위치되어 반찬을 수용하도록 하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다수개의 반찬수용부(30,31,33,34)를 갖도록 PLA 또는 사탕수수바이오-PE로 사출성형되며; 좌우 양측에는 상향으로 돌출되거나 하향으로 함몰되는 촉감발달돌기(42) 또는 촉감 발달홈이 상면에 형성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40)가 구비되고; 상기 반찬수용부(30,31,32,33) 중 어느 하나의 바닥에는 강판용 돌기(3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유아용 식판은, 밥수용부를 비롯해 국, 반찬수용부가 하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로 구성되므로서 복수의 식판을 적층 보관시 음식물이 담기는 오목형태의 수용부내에 다른 식판의 볼록 형태의 바닥부가 들어가 서로 접촉하게 되어 위생상에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아울러 식판 바닥부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마찰면적이 적어 약간의 힘을 가하는 정도만으로도 쉽게 식판이 이동되거나 엎어지게 되어 유아용 식판으로는 여전히 안전성 및 사용 편리성면에서 유아들을 충족시키기에는 다소 역부족하다는 지적이다.
더우기 상기와 같은 유아용 식판은 대부분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시 식탁에서 약간의 힘을 가하는 정도만으로도 쉽게 미끄러짐으로서 식판 본래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한편 사용상에 많은 불편이 뒤따르고, 수저 등의 가격이나 식판들 상호간에 충돌시에도 쉽게 깨지거나 금이 가 유아에게 치명적인 사고를 유발시키는 등 안전성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유아용 식판은 위생적인 면이나 안전성 및 사용 편리성면에서 유아들을 충족시키기에는 다소 역부족한 면들이 많으므로 좀 더 위생적이면서도 유아들이 안전하게 사용하기에 한층 더 적합한 구성의 식판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유아용 식판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사용시 유아들이 수저 등으로 가격하거나 임의적인 힘을 가하여도 흠집이나 깨지지 아니하면서, 바닥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견고하게 흡착되도록 하므로서, 사용상의 편리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가 있고, 취급 보관시나 사용상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식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판들을 상호간에 적층 보관시 적층 식판들 간에 음식물이 담기는 부분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위생을 꾀할 수 있고, 물세척시의 건조가 신속히 이루어지며, 물세척에도 흡착성을 그대로 유지하는 유아용 식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더한 또 다른 목적은 식판이 식탁에서 강한 흡착력으로 고정되어 부가적으로 유아 스스로 밥을 먹을 수 있게 자립심을 키울 수 있고, 올바른 식습관을 배양할 수 있으며, 유아들에게 숟가락이나 젓가락 사용의 훈련용으로 적합한 유아용 식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아용 식판은, 플레이트 형상의 바닥판과, 음식을 수용하도록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제1음식물 수용부와, 상기 제1음식물 수용부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음식물 수용부의 깊이보다 낮은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2음식물 수용부와, 상기 제1음식물 수용부 및 상기 제2음식물 수용부와 구획된 공간을 가지도록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음식물 수용부의 깊이보다 낮은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3음식물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음식물 수용부는, 상기 제1음식물 수용부의 제1측벽부에서 연장형성되는 제2측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측벽부의 높이가 상기 제1측벽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음식물 수용부는, 상기 제1음식물 수용부의 제1측벽부에서 연장형성되는 제3측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3측벽부의 높이가 상기 제1측벽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측벽부 및 상기 제3측벽부는,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측벽부 및 상기 제3측벽부는, 상면이 상기 제1측벽부에서 이격될수록 점진적으로 높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음식물수용부의 측벽부를 이루는 결합 구성은 평면 상에서 볼 때 고래가 물을 뿜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판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음식물 수용부, 상기 제2음식물 수용부 및 상기 제3음식물 수용부가 형성되는 부위에 음식물 수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변형 방지판이 인서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형 방지판은, 상기 제1측벽부와 상기 제2측벽부 및 상기 제3측벽부를 보강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보강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판은 그 저면에 식탁 등으로부터 슬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식기구 지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식기구 지지부는, 빗살무늬 또는 엠보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판 및 제1측벽부 내지 제3측벽부는 백금촉매제가 혼합되는 실리콘으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식판은 종래 발명과 달리 실리콘의 신축성에 의한 사용시 유아들이 수저 등으로 충격이나 임의적 힘을 가하여도 흠집이나 깨지지 아니하면서, 바닥에 견고하게 흡착되어 유아가 이동함이 없이 식사위치를 일정하게 할 수 있고 사용상의 안전성 확보 및 취급 보관 등의 사용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유아용 식판에 의해서는 식판들을 상호간에 적층 보관시에도 적층 식판들 간에 음식물이 담기는 부분과 바닥부분이 서로 접촉되지 않게 되므로서 효율적인 위생을 꾀할 수 있고, 물세척 용이 및 건조가 신속히 이루어지며, 잦은 물세척에도 흡착성을 그대로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아용식판은 식탁에서 강한 흡착력을 가지게 하므로서 부대적으로 유아 스스로 밥을 먹을 수 있게 자립심을 키울 수 있고, 올바른 식습관을 배양할 수 있으며, 유아들에게 숟가락이나 젓가락 사용의 훈련용으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식판에 의하면, 실리콘에 백금촉매제를 혼합하여 실리콘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여 냄새에 의한 사용 거부감을 없앨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을 도시한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이 적층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을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는 플레이트 형상의 바닥판;
음식을 수용하도록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제1음식물 수용부;
상기 제1음식물 수용부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음식물 수용부의 깊이보다 낮은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2음식물 수용부; 및
상기 제1음식물 수용부 및 상기 제2음식물 수용부와 구획된 공간을 가지도록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음식물 수용부의 깊이보다 낮은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3음식물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음식물 수용부 및 상기 제3음식물 수용부는 상기 제1음식물 수용부의 제1측벽부에서 연장형성되는 제2측벽부 및 제3측벽부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2측벽부 및 상기 제3측벽부의 높이가 상기 제1측벽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제2측벽부 및 상기 제3측벽부는 상면이 상기 제1측벽부에서 이격될수록 점진적으로 높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은 그 저면에 식기구 지지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식기구 지지부는 빗살무늬 또는 엠보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측벽부의 외측 모서리와 만나는 지점에서부터 테두리부 사이의 상기 바닥판 저면에 위치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제1 내지 제3측벽부는 실리콘으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식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식판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을 도시한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이 적층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을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100)은 사용상의 편의와 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하여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지며, 이에는 특히 실리콘에 실리콘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고 내열성과 사용온도범위를 비교적 넓게 하기 위해 백금촉매제가 혼합된다. 여기서, 백금촉매제는 실리콘 100중량부에 대하여 0.125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100)은 실리콘의 점성과 진공의 원리로 흡착이 이루어져 식탁 등에 올려놓았을 때 식탁이 기울어지더라도 식탁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100)은 여러 가지 음식을 나누어 담을 수 있도록 바닥판(110)과, 이 바닥판(110)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음식물 수용부(120)와, 제2음식물 수용부(130)와, 제3음식물 수용부(140)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유아용 식판(100)은 바닥판(110), 제1음식물 수용부(120), 제2음식물 수용부(130) 및 제3음식물 수용부(140)가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바닥판(11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수저와 포크 등과 같은 식기구가 올려지며, 식탁의 상면에 실질적으로 접촉되어 지지된다. 또한, 바닥판(110)은 외관이 보다 미려하도록 테두리부에 장식띠(111)가 돌출 형성된다. 장식띠(111)는 바닥판(110)의 테두리가 쉽게 찢어지거나 갈라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판(110)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제1음식물 수용부(120), 제2음식물 수용부(130) 및 제3음식물 수용부(140)의 형태에 따라 원형, 또는 직사각형, 다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바닥판(110) 내에 음식물의 열기나 무게에 의해 바닥판(11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판 변형 방지판(도면 미표시)을 함침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제1음식물 수용부(120)는 음식을 수용하도록 바닥판(110)의 상면에서 일체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음식물 수용부(120)는 바닥판(110)에서 일체로 돌출되는 제1측벽부(121)에 의해 형성되며, 제1측벽부(121)의 두께가 음식물의 중량 및 수저 가격 시에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판(11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고, 세척이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바닥판(110)과 제1측벽부(121)의 굴곡부분이 제1음식물 수용부(120)측으로 원호형을 이루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본 실시예에서 제1음식물 수용부(120)는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아들의 흥미를 자극하여 식사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래 몸통의 형상을 가지고, 이는 후술하는 제2음식물 수용부(130) 및 제3음식물 수용부(140)와 결합하여서 전체적으로 고래가 물을 뿜는 형상이다.
여기서, 제1측벽부(121)의 두께를 바닥판(11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것은 제1음식물 수용부(120)에 음식물을 담았을 때 제1측벽부(121)가 변형되지 않고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음식물이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음식물 수용부(120)는 제2음식물 수용부 및 제3음식물 수용부(140)보다 넓게 형성되며, 유아용 식판(100)을 적층하여 보관할 때 상단면이 바닥판(110)의 하면에 접촉되어 적층되는 다른 하나의 유아용 식판(100)을 지지하게 된다.
제2음식물 수용부(130)는 제1음식물 수용부(120)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바닥판(110)의 상면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2음식물 수용부(130)는 바닥판(110)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제2측벽부(131)에 의해 형성되며, 제1음식물 수용부(120)의 넓이보다 작은 넓이를 가지며, 그 깊이 또한 제1음식물 수용부(120)의 깊이와 같거나 낮게 형성된다.
제2측벽부(131)는 제1측벽부(121)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며, 제1측벽부(121)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2음식물 수용부(130)가 제1음식물 수용부(120)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게 되므로서 제2 음식물 수용부(130)의 음식물이 제1 음식물수용부(120)측으로 넘어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2측벽부(131)는 바닥판(11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앞서 설명드린 바처럼 음식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음식물이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제3음식물 수용부(140)는 제2음식물 수용부(130)와 접하도록 바닥판(110)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제3측벽부(141)에 의해 형성되며, 제1음식물 수용부(120) 및 제2음식물 수용부(130)와 구획된 공간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제3음식물 수용부(140) 또한 제1음식물 수용부(120)의 넓이 및 높이보다 작고 낮게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제3음식물 수용부(140)는 제1음식물 수용부(120)의 깊이보다 낮거나 같은 깊이를 가지게 된다.
제3측벽부(141)는 제1측벽부(121)의 일측에서 연장형성되며, 제1측벽부(121)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3음식물 수용부(140)가 제1음식물 수용부(120)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게 되므로서 제3음식물 수용부(140)에 담긴 내용물이 제1음식물 수용부(120)쪽으로 넘어오지 않게 된다. 또한, 제3측벽부(141)는 제2측벽부(131)를 비롯해 바닥판(11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므로서 앞서 설명드린 바처럼 음식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음식물이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임의 변형을 방지하는 한편, 바닥판(110)이 식탁 등에 놓이게 될 때 제2 및 제3측벽구(131)(141)의 중량이 바닥판(110)을 자연스럽게 눌러주어 흡착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3측벽부(141)는 제2측벽부(131)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100)은 신축성이 우수한 실리콘재로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조작함이 없이도 식탁과의 흡착이 쉽게 이루어져 식탁이 흔들이거나 기울어지더라도 식탁에서 미끄러지거나 떨어지지 않아 사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더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100)은 실리콘에 의해 제작되므로, 온도변화에도 변형방지 내지 충격에 강하여 수저로 충격을 가하거나 실수로 떨어뜨려도 식판 상호간에 부딪쳐도 깨지거나 흠집이 발생되지 않아 유아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나아가 물세척후에도 건조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바닥판의 흡착력이 오랫동안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식판(100)을 서로 적층하여도 음식물이 담기는 제1 내지 제3수용부에는 서로 접촉되지 아니하여 이로 인한 위생상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내열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져 식기세척기, 전자레인지 심지어 열탕소독 등의 그 어떤 조건에서도 환경호르몬이 나오지 아니하여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100)은 실리콘에 백금촉매제를 혼합하여 제작하므로, 실리콘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여 냄새에 의한 사용자의 거부감을 없앨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을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을 설명함에 있어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과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이 적층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을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100)은 바닥판(110), 제1음식물 수용부(120), 제2음식물 수용부(130), 제3음식물 수용부(140) 및 변형 방지판(150)을 포함한다.
또한, 제1음식물 수용부(120), 제2음식물 수용부(130) 및 제3음식물 수용부(140)는 바닥판(110)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제1측벽부(121), 제2측벽부(131) 및 제3측벽부(141)에 의해 각각 구획된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100)은 복수개를 적층하여 보관할 때 제2음식물 수용부(130) 및 제3음식물 수용부(140)가 제1음식물 수용부(120)와의 높이 차이로 인하여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제2측벽부(131) 및 제3측벽부(141)의 끝단부 높이가 제1측벽부(121)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측벽부(131) 및 제3측벽부(141)는, 끝단부 상면이 제1측벽부(121)의 상면 높이와 동일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60)을 구비한다.
경사면(160)은 제2측벽부(131) 및 제3측벽부(141)가 제1측벽부(121)에서 이격될수록 경사가 점진적으로 높아지게 형성된다. 또한, 경사면(160)은 제2음식물 수용부(130) 및 제3음식물 수용부(140)가 보다 미려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100)은 제1음식물 수용부(120), 제2음식물 수용부(130) 및 제3음식물 수용부(140)에 음식물을 담았을 때 음식물의 열기나 무게에 의해 바닥판(110)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바닥판(110)에 변형 방지판(150)이 인서트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변형 방지판(150)은 단단한 재질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며, 특히 제1측벽부(121), 제2측벽부(131) 및 제3측벽부(141)를 보강할 수 있도록 보강리브(151)가 돌출 형성된다. 보강리브(151)는 제1측벽부(121), 제2측벽부(131) 및 제3측벽부(141)의 하단부 내부에 위치하도록 제1측벽부(121), 제2측벽부(131) 및 제3측벽부(141)에 인서트된다.
더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100)은 바닥판(110)의 저면에 식탁등으로부터 흡착력을 다소 완화하여 식탁에서 제거하고자 할 때 약간의 힘만으로도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빗살무늬 또는 엠보 형태의 식기구 지지부(170)를 일체로 돌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식기구 지지부(17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10)의 저면에 돌출되되, 모든 측벽부(121,131,141)의 외측 모서리와 만나는 지점에서부터 테두리부(112) 사이에 즉, 바닥판(110) 저면의 음식물 수용부(120,130,140) 외측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식기구 지지부(170) 중 최내측에 위치하는 돌기(170')와 인접한 바닥판(110) 저면(113)은 음식물 수용부(120,130,140)에 음식을 담아도 식탁면에 접촉하지 않게 되므로, 도 5와 같이 유아용 식판(100)을 적층한 때 바로 아래 놓이는 유아용 식판의 음식물 수용부(120,130,140) 상면(161,161')과 접촉하더라도, 이 상면(161,161')을 더럽히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아용식판은 흡착력을 향상케 하므로서 부대적으로 유아 스스로 밥을 먹을 수 있게 자립심을 키울 수 있고, 올바른 식습관을 배양할 수 있으며, 숟가락이나 젓가락 사용의 훈련용으로 적합하는 등 유아들에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아울러 적층 보관 시 위생 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플레이트 형상의 바닥판;
    음식을 수용하도록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제1음식물 수용부;
    상기 제1음식물 수용부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음식물 수용부의 깊이보다 낮은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2음식물 수용부; 및
    상기 제1음식물 수용부 및 상기 제2음식물 수용부와 구획된 공간을 가지도록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음식물 수용부의 깊이보다 낮은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3음식물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음식물 수용부 및 상기 제3음식물 수용부는 상기 제1음식물 수용부의 제1측벽부에서 연장형성되는 제2측벽부 및 제3측벽부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2측벽부 및 상기 제3측벽부의 높이가 상기 제1측벽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제2측벽부 및 상기 제3측벽부는 상면이 상기 제1측벽부에서 이격될수록 점진적으로 높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은 그 저면에 식기구 지지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식기구 지지부는 빗살무늬 또는 엠보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측벽부의 외측 모서리와 만나는 지점에서부터 테두리부 사이의 상기 바닥판 저면에 위치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제1 내지 제3측벽부는 실리콘으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식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상기 제1음식물 수용부, 상기 제2음식물 수용부 및 상기 제3음식물 수용부가 형성되는 부위에 음식물 수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변형 방지판이 인서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식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변형 방지판은, 상기 제1측벽부와 상기 제2측벽부 및 상기 제3측벽부를 보강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보강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식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식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제1 내지 제3측벽부는 백금촉매제가 혼합되어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식판.
PCT/KR2016/012741 2016-02-05 2016-11-07 유아용 식판 WO201713555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979 2016-02-05
KR1020160014979A KR101648691B1 (ko) 2016-02-05 2016-02-05 유아용 식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35551A1 true WO2017135551A1 (ko) 2017-08-10

Family

ID=56854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2741 WO2017135551A1 (ko) 2016-02-05 2016-11-07 유아용 식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48691B1 (ko)
CN (1) CN106798453A (ko)
WO (1) WO20171355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849B1 (ko) * 2017-03-31 2018-10-16 최준혁 흡착패드를 구비한 유아용 식판
KR102146495B1 (ko) * 2018-11-05 2020-08-21 박의영 유아용 식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0242A (ja) * 1994-09-12 1996-03-26 Royal Kogyo Kk 音声発生機能付き食器
KR20060044597A (ko) * 2004-09-23 2006-05-16 양원동 기능성 배 식판
KR20070000578U (ko) * 2007-04-18 2007-05-18 고경자 격벽에 의해 밀폐 기능을 가지는 식판 용기
KR20150084419A (ko) * 2014-01-14 2015-07-22 서한나 퍼즐 식판
KR20150097079A (ko) * 2014-02-18 2015-08-26 류수환 유아용 식판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1214B2 (en) * 1998-04-17 2002-12-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ply food container
JP2003250680A (ja) * 2002-02-28 2003-09-09 Jun Kawahara 野菜を盛る容器
CN101525062A (zh) * 2008-03-04 2009-09-09 泉州梅洋塑胶五金制品有限公司 超薄注塑多格独立密封食品容器
CN201958422U (zh) * 2011-01-27 2011-09-07 苏州汉丰新材料有限公司 一种快餐盘
CN104106896A (zh) * 2013-04-18 2014-10-22 强新民 能吃的饭盒等系列餐具
CN103815732A (zh) * 2014-02-28 2014-05-28 苏州瑞邦塑胶有限公司 一种新型塑胶餐盘
US9462903B2 (en) * 2014-07-17 2016-10-11 Lindsey Laurain Surface contact self-sealing integrated tablewear and dining mat
CN204708496U (zh) * 2015-06-28 2015-10-21 高德翔 硅胶儿童餐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0242A (ja) * 1994-09-12 1996-03-26 Royal Kogyo Kk 音声発生機能付き食器
KR20060044597A (ko) * 2004-09-23 2006-05-16 양원동 기능성 배 식판
KR20070000578U (ko) * 2007-04-18 2007-05-18 고경자 격벽에 의해 밀폐 기능을 가지는 식판 용기
KR20150084419A (ko) * 2014-01-14 2015-07-22 서한나 퍼즐 식판
KR20150097079A (ko) * 2014-02-18 2015-08-26 류수환 유아용 식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798453A (zh) 2017-06-06
KR101648691B1 (ko) 2016-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69196B1 (en) Surface contact self-sealing integrated tablewear and dining mat
US11350777B2 (en) Assisted eating aid
RU2347519C2 (ru) Одноразовая тарелка с улучшенными эргономическими характеристиками
TWI656858B (zh) 特殊人士適用的餐具
US4989846A (en) Covered dish carrier
EP2328443B1 (en) Assembly of a food tray and a food container, and use thereof in an aircraft
US20140263365A1 (en) Stable and Stackable Tray with Receptacle for Beverage Container and Thumbholds for Secure Grip
WO2017135551A1 (ko) 유아용 식판
JP4980771B2 (ja) 飲食用カップ
GB2367233A (en) Device for carrying food and drink
KR20090012973U (ko) 식판
KR101908849B1 (ko) 흡착패드를 구비한 유아용 식판
WO2021177477A1 (ko) 유아용 식판
JP3041282U (ja) 食卓用皿
CN211324185U (zh) 儿童餐盘
NL2010209C2 (en) Assembly of a tray and an interlocking object.
CN210748521U (zh) 双面盘
KR20120001487U (ko)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
KR200329375Y1 (ko) 손접시
JP3012306U (ja) 食 器
KR20200002847U (ko) 유아용 식판
JP2023166261A (ja) どんぶり鉢の把持構造
JP3000149U (ja) トレー
WO2015030327A1 (ko) 다기능 식판세트
JPH0679371U (ja) 簡易食器用トレ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895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895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