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11285A1 - 관절 재활치료기 - Google Patents

관절 재활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11285A1
WO2017111285A1 PCT/KR2016/012266 KR2016012266W WO2017111285A1 WO 2017111285 A1 WO2017111285 A1 WO 2017111285A1 KR 2016012266 W KR2016012266 W KR 2016012266W WO 2017111285 A1 WO2017111285 A1 WO 201711128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rist
finger
joint rehabilitation
patient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226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재화
김국한
하정훈
Original Assignee
(주)대성마리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마리프 filed Critical (주)대성마리프
Publication of WO201711128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1128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int rehabilitation therapy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freely change the fixed form adaptively to the change in the posture of the patient that can occur during rehabilitation treatment, body weight is biased to prevent excessively inclined forwar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int rehabilitation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unexpected muscle damage such as shoulders.
  • hemiplegia may be caused by a movement disorder accompanied by paralysi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such as stroke, traumatic brain injury, or cerebral palsy, deficits in sensation, posture imbalance, and lack of body awareness. It's one of the paralysis of muscles that can't use your muscles to produce the right amount of force when you need it.
  • the one-on-one exercise treatment with the therapist makes posture adjustment and movement, the pain control using the electrotherapy and the strength training using the exercise equipment, Muscle control training, stretching, balance training, etc. will be treated through the patient's own exercise.
  • the therapist and the one-to-one treatment gives the patient a psychological stability, the efficiency of rehabilitation treatment is excellent, but due to the psychological anxiety of the patient, the therapist suffers from excessive work stress and the one-to-one treatment through the therapis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st is high.
  • the treatment using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is performed, and the rehabilitation training is performed by forcibly exercising the upper limb of the patient by attaching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to the upper extremity of the patient in a position where the patient is lying or sitting in bed.
  • the patient's upper limb is first rehabilitated using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which is the method described above, and secondly, the joint is exercised with the help of a third party. There was a problem with waiting.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joint rehabilitation therapy device that can be changed in the fixed form adaptively to the change in the posture of the patient that can occur during rehabilitation treatment by the individual rotation of the plurality of extensions It aims to provid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oint rehabilitation therapy device that prevents unexpected muscle damage such as shoulders by making the body weight shifted forward and making it impossible to rotate or tilt over a certain range or a predetermined position. do.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oint rehabilitation treatment device capable of setting the range or position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topper to make it impossible to rotate or tilt beyond a certain range or a predetermined position as described above. Another purpose.
  • Joint rehabilitation therapy devic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fixed part fixed to a specific position, one e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xing part, the other end is installed in the joint rehabilitation treatment unit, spontaneous movement of the patient, involuntary And joints rehabilitation treatment unit coupled to the joint and the universal joint part capable of buffering the movement of the patient to be adaptively moved to enable normal rehabilitation treatment of the joint rehabilitation unit even if there is movement or movement by external force.
  • the connection part is adaptively moved to a position where the patient achieves the most stable posture.
  • the joint rehabilitation therapy device is a hand joint rehabilitation therapy device, the universal joint portion, it is impossible to rotate or tilt over a certain range or a predetermined position to the front of the patient, only to rotate or tilt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patient This is possible.
  • the connecting por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xing portion, the first rod for supporting the second rod therein, is installed in the hol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rod, the length adjustment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rod It is possible, the second rod having a predetermined repulsion force,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rod can be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ro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And a second extension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extension, the nth extension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xtension, wherein n is a natural number of three or more.
  • the universal joint part may include a universal joint lower structure part fixed to a distal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or an nth extension part, a universal joint upper structure part coupled to the universal joint lower structure part, and the universal joint upper structure part And a sphere inserted in the space formed inside the universal joint undercarriage to allow rotation in all directions and the sphere, and both ends thereof are fixedly coupled to the universal joint undercarriage and the joint rehabilitation unit, and are elas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It includes a coupling portion.
  • a stopper is installed in the universal joint upper structure so that the universal joint portion cannot be rotated or inclined forward in a predetermined range or a predetermined position or more, and the universal joint upper structure and the universal joint lower structure part In the space formed therein, there is a gap of a certain size between the universal joint undercarriage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sphere, so that the sphere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in a partial direction in the downward direction.
  • the stopper may adjust a position installed in the universal joint upper structure portion, and adjust a predetermined range or a predetermined position such that the universal joint portion cannot be rotated or tilted forward.
  • the joint rehabilitation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nge or position to prevent the shoulder rotator cuff damage of the patient, and adjust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topper, the joint rehabilitation treatment unit, caused by the paralysis of the patient It i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be rotated or tilted left and right to match the twisted or twisted muscles.
  • FIG. 1 is a view showing a joint rehabilitation therap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and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nnection of the joint rehabilita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showing a joint rehabilitation unit of the joint rehabilitation therap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universal joint portion of the joint rehabilita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nnection of the joint rehabilita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view showing a joint rehabilitation therap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joint rehabilitation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main body (not shown), the fixing portion 100,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joint rehabilitation treatment unit 300.
  • the fixing part 100 is an object or furniture in a specific position (for example, a wall, a wardrobe, a window frame, a bed, a railing, a table, a chair, etc., in a position close to a body part where a joint rehabilitation treatment should be performed while the patient is in a comfortable posture).
  • a joint rehabilitation device is fixed to one side, and the connection part is installed at one side.
  • the fixing part 100 is a fastening part 100 which is located through the one side of the "c" shape when the part to be fixed is inserted into the "c" shape is inserted into the thickness portion of the portion to be fixed is fixed portion 100
  • the fixing is achieved by pressing the part inserted in the).
  • a hook form such as a hook, a tongs form, a belt form, etc., the desired angle through the rotating body or the angle adjuster, etc. You can also adjust with.
  • connection portion On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xed portion 100, the other end is installed in the joint rehabilitation treatment unit 300, even if there is an involuntary movement such as spontaneous movement, muscle spasm or seizure or movement by external force, joint rehabilitation treatment It is possible to adaptively move to allow the normal rehabilitation treatment of the unit 300 to buffer the movement of the patient.
  • joint to receive the rehabilitation of the patient is extended to various degrees of freedom through the connection to the most comfortable position to mount the joint rehabilitation treatment unit (300).
  • the joint rehabilitation unit 300 is coupled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universal joint portion 310, when the movement of the patient, the connection portion is the patient's most stable posture (the person always has the most energy consumption, less power or position or posture The most stable posture is adaptively moved to a position that eventually constitutes a position or posture where energy consumption or power is least consumed.
  • the joint rehabilitation therapy device is a joint rehabilitation therapy device, ankle joint rehabilitation therapy device, knee joint rehabilitation therapy device, etc., the universal joint portion 310, it is impossible to rotate or tilt over a certain range or a predetermined position in front of the patient. It is possible to rotate or tilt only to the left and right and rear of the patient.
  • it may be provided with a button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joint rehabilitation treatment unit 300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 FIG. 2 and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joint rehabilita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state in which only two extensions are formed
  • Figure 5 shows a state in which three extensions are formed. .
  • the connecting portion is composed of a first rod 210, a second rod 220 and a plurality of extensions.
  • the first rod 21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xing part 100. As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rod 210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ortion 100 of the "c" shape, not the side of the fixing portion 100 of the "c” shape.
  • the second rod 220 is supported therein, and the second rod 220 is installed in a hole formed in the inner surfac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rod 210, and the length is adjust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rod 210. This is possible and has a certain repulsive force. This predetermined repulsive force provides the patient a comfortable feeling when placing the joint to be rehabilitated.
  • the plurality of extensions basically include a first extension 230 and a second extension 240, and the first extension 230 is rotatable in a vertical plane of the second rod 220.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rod 220,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4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30.
  • n-th extension part 250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240, where n is a natural number of 3 or more.
  • the fixed shape is adaptively changed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posture of the patient, which may occur during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thereby minimizing the inconvenience of the patient receiving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and maximizing comfort. It is possible.
  • the button may adjust the degree to which the second rod 2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rod 210, and the second rod 220 may be removed from the first rod 210 while pressing the button. As it exits, the height of the joint rehabilitation treatment unit 300 is increased, and when the patient reaches a desired height, it is possible to stop the rising of the second rod 220 by releasing the force applied to the button.
  • FIG 3 is a view showing the joint rehabilitation unit 300 of the joint rehabilitation therap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joint rehabilitation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 water polo unit 320 on which the back of the arm and the hand are mounted to prevent the hand of the patien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joint rehabilitation unit during the joint rehabilitation treatment.
  • a water polo unit 320 on which the back of the arm and the hand are mounted to prevent the hand of the patien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joint rehabilitation unit during the joint rehabilitation treatment.
  • the wrist is fixed through holes on both sides of the wrist (four holes are illustrated in FIG. 3).
  • insert the fixing strap on one side of the wrist insert the fixing strap in the hol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wrist while wrapping the wrist while allowing the wrist not to press too much.
  • Fix the wrist of the patient by attaching the Velcro existing on opposite sides of each other.
  • Such a fixing strap can be detachably fixed and can be easily cleaned and sterilized even if contaminated by blood or foreign substances of a patient, as well as easily replaced if necessary.
  • the water polo holder 320 is not a glove type inserted into the arm, the wrist, and the hand, but is formed of a skeleton type, and thus sweating is performed on the patient's hand, wrist, or the like. It can be prevented. That is, it consists of only the skelet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wrist or arm is mounted, the user's wrist and arm is exposed to the outside can be maximized to ensure good ventilation.
  • the joint rehabilitation treatment unit 300 i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be rotated or tilted left and right to match the twisted or twisted muscles of the patient caused by the paralysis.
  • the finger holder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nger is mounted to enable the hand rehabilitation exercise. That is, the finger mount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water polo mounting portion 320 and the two-axis rotation (up, down, left and right rotation) to enable the movement of the wrist, buckling, long buckling, and buckling of the wrist, as well as the movement of the wrist and buckling.
  • the lumbar and vertebral rehabilitation exercises of the wrist are also possible.
  • the finger holding unit which is a configuration for holding the finger mounted on the finger mounting portion, usually uses a velcro to fix the finger. Similar to the wrist fixing described above, the finger holding portion fixes the finger through hol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nger mounting portion. That is, insert the fixing strap on one side of the finger, insert the fixing strap in the hol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nger while enclosing the finger while allowing the space to not press the finger too much, and then wrap the finger in the opposite direction again. Fix the patient's fingers by attaching the Velcro existing on opposite sides of each other.
  • Such a fixing strap can be detachably fixed and can be easily cleaned and sterilized even if contaminated by blood or foreign substances of a patient, as well as easily replaced if necessary.
  • the finger air bladder is configured to induce the sliding plate installed in the finger rest so as to slide forward in the finger rest so that the finger is naturally stretched while the finger mounted on the finger rest is slid forward.
  • the fingers curled inwardly are guided to extend, while the finger rests are coupled to the water brace for biaxial rotation, that is, the wrist rests coupled to allow the lumbar and vertebral movements of the wrist.
  • the wrist air bladder is operated to allow movement of the long buckles.
  • the wrist air bladder is a structure which makes it possible to induce the buckling and long buckling motion of a wrist.
  • the hose air connection portion for the finger air bladder, and the hose connection for the wrist air bladder, the hose air connection for the finger air bladder is connected to the pneumatic pump that is usually present in the body, to inject or discharge air to the finger air bladder
  • the hose connection portion for the wrist air bladder is also connected to the pneumatic pump and is controlled by the main body so as to inject or discharge air to the wrist air bladder.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niversal joint part 310 of the joint rehabilit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niversal joint 310 is composed of a universal joint substructure 311, a universal joint upper structure 312, a sphere 313, and an elastic coupling portion 314.
  • the universal joint lower structure 311 is fixedly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extension 240 or the n-th extension 250 and the universal joint upper structure 312 is the universal joint lower structure 311. Combined with.
  • the elastic coupling part 314 penetrates the sphere 313 inserted into the universal joint upper structure 312 and the universal joint lower structure 311 so as to be able to rotate in all directions, and both ends thereof.
  • Universal joint lower structure 311 and joint rehabilitation treatment unit 300 is fixed and elastically coupled.
  • a stopper is installed in the universal joint upper structure 312 so that the universal joint 310 cannot be rotated or tilt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range or a predetermined position or more forward.
  • the stopper adjusts the position installed in the universal joint upper structure portion 312, it is possible to adjust a predetermined range or a predetermined position so that the universal joint 310 is impossible to rotate or tilt forward, shoulder rotation of the patien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range or position to prevent damage.
  • the movable section of the stopper may be a stopper extending from the sphere 313 or an extension of the sphere 313 (the sphere 313 is extended to the water polo unit 320). It is formed within a range that can limit the movement of the connected portion), and a separate adjustment handle for moving the stopper along the formed movable section is provided to the outside for the patient or a person around to adjust.
  • the stopper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rotrusions to form a switch for controlling the protrusion of each protrusion, so as to control the position where the stopper is in contact with the sphere 313 or the extension of the sphere 313, etc. It is possible to apply the embodiment.
  • a predetermined size bin between the universal joint lower structure 311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sphere 313 there is a gap 315, which makes it possible for the sphere 313 to be partially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 the sphere 313 is elastically supported not only through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314 but also through the empty space 315.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lastic support for the sphere 313. In this way, when the patient passes through the joint to receive rehabilitation treatment,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comfort by providing a feeling of cushion.
  • a main body including a user interface (UI) having a pneumatic pump for providing pneumatic pressure to the joint rehabilitation therap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uch screen operation button that can be operated by a doctor or a nurse, or the patient himself. It may further include.
  • UI user interface
  • a touch screen operation button that can be operated by a doctor or a nurse, or the patient himself. It may further include.
  •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display to visually show the patient's rehabilitation motion to the patient through the display, thereby recognizing the rehabilitation motion as the brain, thereby stimulating a brain region necessary for the exercise.
  •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speaker, through the speaker, to inform the patient in a motion of the rehabilitation of his own rehabilitation, it is possible to stimulate the brain area necessary for the exercise by recognizing the rehabilitation operation to the brain.
  • the joint rehabilitation therapy device when us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r more, the effect of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no longer appears, and the state of saturation comes.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visually see the operation of the patient's rehabilitation treatment through the user interface of the main body and to recognize it with the brain, thereby actively stimulating the brain to maintain or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and a speaker for indicating, "I am currently rehabilitating the OO site" so that the brain can also be stimulated acoustical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부; 일단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타단은 관절 재활치료부에 연결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결합된 관절 재활치료부;를 포함하는, 관절 재활치료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관절 재활치료기
본 발명은 관절 재활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재활치료 중 발생할 수 있는 환자의 자세의 변화에 적응적으로 고정 형태가 자유롭게 변화하되 신체 무게가 치우쳐져 전방으로 무리하게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예상치 못한 어깨 등의 근육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관절 재활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마비는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또는 뇌성마비 등의 중추신경계 손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마비를 동반한 운동장애와 감각의 결손, 자세의 불균형, 신체자각 능력결여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편마비는 마비된 근육을 필요한 순간에 적당한 크기의 힘이 발생하도록 사용하지 못하는 운동마비 중 하나이다.
상기와 같은 증상을 갖는 편마비 환자를 치료하기 위하여, 신경발달치료 접근법을 이용하여 치료사와 일대일 운동치료를 통하여 자세 조정과 움직임을 만들어가고 전기치료를 이용한 통증의 조절과 운동기구를 이용한 근력강화 훈련, 근육조절 훈련, 스트레칭, 균형훈련 등에 의해 환자 스스로의 운동을 통하여 치료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치료사와 일대일 치료가 환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줌으로써, 재활 치료 효율성은 우수하나, 환자의 심리적 불안감으로 치료사는 과도한 업무적 스트레스를 받는 등의 여러 이유로 치료사의 인력부족과 더불어 치료사를 통한 일대일 치료비용이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으로 인해 재활치료기구를 이용한 치료가 행해지고, 이는 환자가 침대에 누워있거나 앉아있는 자세에서 환자의 상지에 재활치료기구를 부착하여 강제적으로 환자의 상지를 운동시키는 재활훈련이 실시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1차적으로 상기의 방법인 재활치료기구를 이용하여 환자 상지를 재활한 후 2차적으로 제 3자의 도움으로 수관절 운동을 실시하게 되나 이는 환자의 옆에 제 3자가 항상 대기하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신의 의지에 의해서만 재활치료가 병행됨에 따라 의지력이 약한 환자의 경우 재활치료 시간을 채우지도 못하고, 중단함에 따라 재활치료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10256호(발명의 명칭 : 수관절 재활치료 훈련기구)에서, "환자의 손을 거치하는 손 거치대, 상기 손 거치대와 힌지로 연결되며 환자의 팔을 거치하는 팔 거치대, 상기 팔 거치대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와 상기 손 거치대의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출입에 따라 상기 손 거치대를 회동시키고, 각각의 공기 유입호스가 구비되는 복수개의 에어백 및 상기 공기 유입호스와 연결되는 에어호스가 구비되고, 상기 에어백으로 공기를 유입 또는 배출시키기 위한 에어펌프가 구비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수관절 재활치료 훈련기구"를 특허출원하였다.
이와 같은 수관절 재활치료 훈련기구의 시제품을 테스트한 결과, 재활치료를 받는 환자가 취하는 자세 또는 환자의 자세 변화에 따라 재활치료를 실시하는 것이 상당히 어렵고, 환자 입장에서도 고정된 자세로 장시간 재활 치료를 받는 것이 꽤 불편하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불편한 자세와 마비된 관절부로 인해 환자의 앞 방향으로 갑자기 신체의 무게 중심이 치우쳐져서, 예상치 못한 어깨 등의 근육 손상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연장부의 개별 회전으로 재활치료 중 발생할 수 있는 환자의 자세의 변화에 적응적으로 고정형태가 변화하는 것이 가능한 관절 재활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신체 무게가 치우쳐져 전방으로 일정 범위 또는 일정 위치 이상으로는 회전 또는 기울어짐이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예상치 못한 어깨 등의 근육 손상을 방지하는 관절 재활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전방으로 일정 범위 또는 일정 위치 이상으로는 회전 또는 기울어짐이 불가능하게 하기 위한 스톱퍼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범위 또는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관절 재활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관절 재활치료기는, 특정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부, 일단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타단은 관절 재활치료부에 설치되어, 환자의 자발적 움직임, 비자발적 움직임 또는 외력에 의한 움직임이 있어도 관절 재활치료부의 정상적인 재활 치료가 가능하도록 적응적으로 이동되어 상기 환자의 움직임의 완충 작용을 하는 것이 가능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유니버셜 조인트부로 결합된 관절 재활치료부를 포함하며, 상기 환자의 움직임 발생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환자가 가장 안정된 자세를 이루는 위치로 적응적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관절 재활치료기는, 수관절 재활치료기이며,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부는, 환자의 전방으로 일정 범위 또는 일정 위치 이상으로는 회전 또는 기울어짐이 불가능하며, 환자의 좌우 및 후방으로만 회전 또는 기울어짐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제 2 봉을 지지하는 제 1 봉, 상기 제 1 봉의 축방향으로 내면에 형성된 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봉의 축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소정의 반발력을 갖는 제 2 봉, 상기 제 2 봉의 수직 방향의 평면에서 회전이 가능하며, 일단이 상기 제 2 봉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1 연장부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2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연장부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n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n은 3 이상의 자연수이다.
또한,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부는, 상기 제 2 연장부 또는 제 n 연장부 중 가장 끝단 연장부의 말단에 결합 고정된 유니버셜 조인트 하부 구조부,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 하부 구조부와 결합되는 유니버셜 조인트 상부 구조부,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 상부 구조부 및 유니버셜 조인트 하부 구조부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서 전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삽입된 구체 및 상기 구체를 관통하며, 그 양단이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 하부 구조부 및 상기 관절 재활치료부에 결합 고정되어, 탄성 결합되는 탄성 결합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부가 전방으로 일정 범위 또는 일정 위치 이상으로는 회전 또는 기울어짐이 불가능하도록, 스톱퍼(stopper)가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 상부 구조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 상부 구조부 및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 하부 구조부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있어서, 상기 구체의 아래쪽 방향으로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 하부 구조부와의 사이에 일정 크기의 빈 공간(gap)이 존재하여, 상기 구체가 아래쪽 방향으로 일정 부분 탄성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톱퍼는,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 상부 구조부에 설치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부가 전방으로 회전 또는 기울어짐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일정 범위 또는 일정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관절 재활치료기는, 상기 환자의 어깨 회전근 손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범위 또는 위치로, 상기 스톱퍼의 설치되는 위치를 조절하며, 상기 관절 재활치료부는, 마비로 인해 발생한 상기 환자의 틀어지거나 또는 뒤틀린 근육에 맞게 좌우 회전이나 기울어짐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관절 재활치료기에 의하면,
첫째, 연장부를 복수 개 구성함으로써 각각 개별로 회전하여 재활치료 중 발생할 수 있는 환자의 자세의 변화에 적응적으로 고정 형태가 변화하도록 하여 재활치료를 받는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유니버셜 조인트부에 스톱퍼를 형성하여, 신체 무게가 치우쳐져 전방으로 일정 범위 또는 일정 위치 이상으로는 회전 또는 기울어짐이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예상치 못한 어깨 등의 근육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셋째, 전방으로 일정 범위 또는 일정 위치 이상으로는 회전 또는 기울어짐이 불가능하게 하기 위한 스톱퍼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범위 또는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넷째, 유니버셜 조인트부의 상부와 하부 구조부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탄성 결합부뿐만 아니라, 빈 공간을 통해서도 구체를 탄성 지지하여 구체에 대한 탄성 지지를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섯째, 연장부의 회전에 대한 다양한 자유도, 유니버셜 조인트의 다양한 자유도, 관절 재활치료부 자체의 다양한 자유도를 가져서, 관절 재활 치료를 받아야 하는 환자에게 맞춤형의 편안한 재활 위치 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절 재활치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절 재활치료기의 연결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절 재활치료기의 관절 재활치료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절 재활치료기의 유니버셜 조인트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절 재활치료기의 연결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절 재활치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관절 재활치료기는 본체부(미도시), 고정부(100), 연결부 및 관절 재활치료부(300)로 구성된다.
고정부(100)는 특정 위치(예를 들어 벽, 옷장, 창틀, 침대, 난간, 테이블, 의자 등 환자가 편한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관절 재활치료가 이루어져야 할 신체부위와 근접한 위치의 물체나 가구 등)에 관절 재활치료기를 고정하며, 일측에는 상기 연결부가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0)는 고정될 부분의 두께부분이 삽입되는 "ㄷ" 형태에 고정될 부분이 삽입되면, "ㄷ" 형태의 일측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조임부로 고정부(100)에 삽입된 부분을 가압함으로써 고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고정부(100)의 다양한 형태의 예로서, 후크와 같은 걸이형태, 집게형태, 벨트형태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연결부와의 연결된 부분의 각도를 회전체 또는 각도조정체 등을 통해 원하는 각도로 조정할 수도 있다.
연결부는 그 일단이 고정부(100)와 연결되고, 그 타단이 관절 재활치료부(300)에 설치되어, 환자의 자발적 움직임, 근육 경련이나 발작 등 비자발적 움직임 또는 외력에 의한 움직임이 있더라도 관절 재활치료부(300)의 정상적인 재활 치료가 가능하도록 적응적으로 이동되어 상기 환자의 움직임의 완충 작용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환자의 경직 등을 고려하여, 환자의 재활을 받을 관절을 관절 재활치료부(300)에 거치하기 가장 편안한 위치까지, 연결부를 통해서 다양한 자유도로 연장되게 된다.
이때, 관절 재활치료부(300)는 연결부와 유니버셜 조인트부(310)를 통해 결합되며, 환자의 움직임 발생시, 연결부는 환자가 가장 안정된 자세(사람은 항상 가장 에너지 소비, 힘이 덜 들어가는 위치나 자세로 움직이게 된다. 가장 안정된 자세라는 것은 결국 에너지 소비 또는 힘이 가장 적게 소모되는 위치 또는 자세를 말한다.)를 이루는 위치로 적응적으로 이동한다.
이때, 관절 재활치료기는, 수관절 재활치료기, 발목관절 재활치료기, 무릎관절 재활치료기 등이며, 유니버셜 조인트부(310)는, 환자의 전방으로 일정 범위 또는 일정 위치 이상으로는 회전 또는 기울어짐이 불가능하며, 환자의 좌우 및 후방으로만 회전 또는 기울어짐이 가능하다. 추가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연결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관절 재활치료부(3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절 재활치료기의 연결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연장부가 2개만 형성된 상태이며, 도 5는 연장부가 3개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는 제 1 봉(210), 제 2 봉(220) 및 복수 개의 연장부로 구성된다.
제 1 봉(210)은 고정부(100)의 일측에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ㄷ" 형태의 고정부(100)의 측면이 아니라, "ㄷ" 형태의 고정부(100)의 다른 면에 제 1 봉(210)이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내부에 제 2 봉(220)을 지지하며, 제 2 봉(220)은 제 1 봉(210)의 축방향으로 내면에 형성된 홀에 설치되고, 제 1 봉(210)의 축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소정의 반발력을 갖는다. 이와 같은 소정의 반발력은 환자에게 재활을 받을 관절을 거치할 때 편안한 느낌을 제공한다.
복수 개의 연장부는 기본적으로 제 1 연장부(230) 및 제 2 연장부(240)를 포함하며, 제 1 연장부(230)는 제 2 봉(220)의 수직 방향의 평면에서 회전이 가능하며, 일단이 제 2 봉(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2 연장부(240)는 제 1 연장부(23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추가로, 제 2 연장부(24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n 연장부(250)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의 n은 3 이상의 자연수이다.
이와 같이, 연장부를 복수 개 구성함으로써 각각 개별로 회전하여 재활치료 중 발생할 수 있는 환자의 자세의 변화에 적응적으로 고정 형태가 변화하도록 하여 재활치료를 받는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편안함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버튼은 제 2 봉(220)이 제 1 봉(210)에 삽입된 정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버튼을 가압하는 동안 제 2 봉(220)이 제 1 봉(210)으로부터 빠져나오면서 관절 재활치료부(300)의 높이가 상승하게 되고, 환자가 원하는 높이가 되면 버튼에 가해준 힘을 해제하여 제 2 봉(220)의 상승을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절 재활치료기의 관절 재활치료부(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 재활치료부(300)는 팔과 손등이 거치되는 수구 거치부(320)를 더 포함하여 환자의 손이 관절 재활치료 중에 관절 재활치료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구 거치부(320)에는 손목을 거치하게 되면, 손목 양쪽의 홀(도 3에는 홀이 4개 도시되어 있음)을 통해서 손목을 고정한다. 즉, 손목의 일측에 고정용 스트랩을 삽입하여, 손목을 너무 압박하지 않도록 공간적 여유를 주면서 손목을 감싸면서 손목의 반대편 홀에 고정용 스트랩을 삽입하고, 다시 반대방향으로 손목을 감싸면서 고정용 스트랩의 서로 반대편에 존재하는 벨크로를 서로 부착시킴으로써 환자의 손목을 고정한다. 이와 같은 고정용 스트랩은 착탈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환자의 혈액 또는 이물질 등이 묻어서 오염되더라고 손쉽게 세척, 살균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한 경우 용이하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구 거치부(320)는 팔, 손목, 손까지 모두 삽입되는 장갑 타입이 아니고, 스켈러튼(skeleton) 타입으로 형성되어서, 환자의 손, 손목 등에 땀이 차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즉, 손목이나 팔이 거치되는 하부의 뼈대만으로 이루어져서, 사용자의 손목과 팔이 외부로 노출되는 인체 부분이 최대화되어 통풍이 잘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관절 재활치료부(300)는, 마비로 인해 발생한 환자의 틀어지거나 또는 뒤틀린 근육에 맞게 좌우 회전이나 기울어짐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56235호(2016년 5월 19일 공개, 발명의 명칭 : 손 재활 장치)에서 공개된 바와 같이, 손가락 거치부, 손가락 파지부, 손가락 에어 블래더(air bladder) 및 손목 에어 블래더를 포함한다.
손가락 거치부는 손 재활 운동이 가능하도록 손가락이 거치되는 구성이다. 즉, 손가락 거치부는, 손목의 배굴, 장굴, 요굴 및 척굴 운동이 가능하도록, 수구 거치부(320)와 2축 회전(상하, 좌우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손목의 배굴 및 장굴 운동은 물론이고 손목의 요굴 및 척굴 재활 운동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손가락 파지부는, 손가락 거치부에 거치된 손가락을 파지하는 구성으로 통상 벨크로를 사용하여 손가락을 고정하는데, 상술한 손목 고정과 유사하게, 손가락 거치부의 양쪽에 형성된 홀을 통해서 손가락을 고정한다. 즉, 손가락의 일측에 고정용 스트랩을 삽입하여, 손가락을 너무 압박하지 않도록 공간적 여유를 주면서 손가락을 감싸면서 손가락의 반대편 홀에 고정용 스트랩을 삽입하고, 다시 반대방향으로 손가락을 감싸면서 고정용 스트랩의 서로 반대편에 존재하는 벨크로를 서로 부착시킴으로써 환자의 손가락을 고정한다. 이와 같은 고정용 스트랩은 착탈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환자의 혈액 또는 이물질 등이 묻어서 오염되더라고 손쉽게 세척, 살균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한 경우 용이하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손가락 에어 블래더는, 손가락 거치부에 거치된 손가락이 앞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손가락이 자연스럽게 펴지도록, 손가락 거치부에 설치된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손가락 거치부의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안쪽으로 말려진 손가락이 펴지도록 가이딩되면서, 수구 거치부와 2축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 즉 손목의 요굴 및 척굴 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손가락 거치부가 회전되면서, 손목의 배굴 및 장굴이 운동이 가능하게 손목 에어 블래더가 동작하게 된다.
또한, 손목 에어 블래더는, 손목의 배굴 및 장굴 운동을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또한, 손가락 에어 블래더용 호스 연결부, 및 손목 에어 블래더용 호스 연결부를 포함하고, 손가락 에어 블래더용 호스 연결부는, 본체 내부에 통상 존재하는 공압 펌프와 연결되어, 손가락 에어 블래더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고, 손목 에어 블래더용 호스 연결부도, 공압 펌프와 연결되어, 손목 에어 블래더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본체에 의해서 제어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절 재활치료기의 유니버셜 조인트부(31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유니버셜 조인트부(310)는 유니버셜 조인트 하부 구조부(311), 유니버셜 조인트 상부 구조부(312), 구체(313) 및 탄성 결합부(314)로 구성된다.
유니버셜 조인트 하부 구조부(311)는 상기 제 2 연장부(240) 또는 제 n 연장부(250) 중 가장 끝단 연장부의 말단에 결합 고정되며, 유니버셜 조인트 상부 구조부(312)는 유니버셜 조인트 하부 구조부(311)와 결합된다.
여기서, 탄성 결합부(314)는, 유니버셜 조인트 상부 구조부(312) 및 유니버셜 조인트 하부 구조부(311)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서 전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삽입된 구체(313)를 관통하며, 그 양단이 유니버셜 조인트 하부 구조부(311) 및 관절 재활치료부(300)에 결합 고정되어, 탄성 결합된다.
또한, 유니버셜 조인트부(310)가 전방으로 일정 범위 또는 일정 위치 이상으로는 회전 또는 기울어짐이 불가능하도록, 스톱퍼(stopper)가 유니버셜 조인트 상부 구조부(312)에 설치된다.
이때, 스톱퍼는 유니버셜 조인트 상부 구조부(312)에 설치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유니버셜 조인트부(310)가 전방으로 회전 또는 기울어짐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일정 범위 또는 일정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환자의 어깨 회전근 손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범위 또는 위치로 조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스톱퍼의 위치 조정 방법의 예로서, 스톱퍼의 이동가능 구간이 스톱퍼가 구체(313) 또는 구체(313)의 연장부(상기 구체(313)에서 연장되어 상기 수구 거치부(320)까지 연결된 부분)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형성되고, 형성된 이동가능 구간을 따라 스톱퍼를 이동시키는 별도의 조정핸들이 환자 또는 주변 사람이 조정할 수 있도록 외부로 나와있다.
다른 예로는, 스톱퍼가 복수 개의 돌출부로 구성되어, 각각의 돌출부의 돌출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형성하여, 구체(313) 또는 구체(313)의 연장부와 스톱퍼가 닿는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버셜 조인트 상부 구조부(312) 및 유니버셜 조인트 하부 구조부(311)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있어서, 구체(313)의 아래쪽 방향으로 유니버셜 조인트 하부 구조부(311)와의 사이에 일정 크기의 빈 공간(gap)(315)이 존재하여, 구체(313)가 아래쪽 방향으로 일정 부분 탄성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유니버셜 조인트부(310)의 상부와 하부 구조부(311) 사이에 빈 공간(315)을 형성함으로써 탄성 결합부(314)뿐만 아니라, 빈 공간(315)을 통해서도 구체(313)를 탄성 지지하여 구체(313)에 대한 탄성 지지를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서, 환자가 재활 치료를 받을 관절을 거치할 때, 쿠션의 느낌을 제공하여 편안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나아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관절 재활치료기에 공압을 제공하는 공압 펌프, 의사나 간호사, 또는 환자 본인이 조작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조작 버튼 등을 갖는 유저 인터페이스(UI)를 포함하는 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환자에게 본인이 재활하는 동작을 시각적으로 보여주어서 그 재활 동작을 뇌로 인지하여 운동에 필요한 뇌 부위를 자극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서, 환자에게 본인이 재활하는 동작을 청각적으로 알려주어서 그 재활 동작을 뇌로 인지하여 운동에 필요한 뇌 부위를 자극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관절 재활치료기를 일정 기간 이상 사용하게 되면, 재활 치료의 효과가 더 이상 나타나지 않고, 포화(saturation)되는 상태가 오게 된다. 이 때, 본체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환자 본인의 재활 치료의 동작을 시각적으로 보고 뇌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능동형으로 뇌를 자극하여, 재활 치료의 효과를 유지 또는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체에는 청각적으로도 뇌를 자극할 수 있도록, “지금 OO 부위를 재활 치료 중입니다.”라고 알려 주기 위한 제어부 및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부호의 설명)
100...고정부 210...제 1 봉
220...제 2 봉 230...제 1 연장부
240...제 2 연장부 250...제 n 연장부
300...관절 재활치료부 310...유니버셜 조인트부
311...유니버셜 조인트 하부 구조부 312...유니버셜 조인트 상부 구조부
313...구체 314...탄성 결합부
315...빈 공간 320...수구 거치부

Claims (6)

  1. 특정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부;
    일단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타단은 관절 재활치료부에 연결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결합된 관절 재활치료부;를 포함하는,
    관절 재활치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 재활치료부는, 마비로 인해 발생한 상기 환자의 틀어지거나 또는 뒤틀린 근육에 맞게 좌우 회전이나 기울어짐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관절 재활 치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 재활치료부는 수관절 재활치료기이며,
    상기 관절 재활치료부는,
    손목이 거치되는 수구 거치부;
    손가락이 거치되는 손가락 거치부;
    상기 손가락 거치부에 거치된 손가락이 앞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손가락이 펴지도록, 상기 손가락 거치부에 설치된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상기 손가락 거치부의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손가락 에어 블래더(air bladder); 및
    손목의 배굴 및 장굴 운동을 유도하는 것이 가능한, 손목 에어 블래더;를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 거치부는, 손목의 배굴, 장굴, 요굴 및 척굴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구 거치부와 2축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절 재활 치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본체의 공압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손가락 에어 블래더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에어 블래더용 호스 연결부; 및
    상기 공압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손목 에어 블래더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손목 에어 블래더용 호스 연결부;를 포함하는,
    관절 재활 치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구 거치부에 거치된 손목을 파지하는 손목 파지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수구 거치부에는 손목을 거치하게 되면, 손목 양쪽의 홀을 통해서 손목을 고정하는데, 상기 손목의 일측에 고정용 스트랩을 삽입하여, 상기 손목을 감싸면서 손목의 반대편 홀에 고정용 스트랩을 삽입하고, 다시 반대방향으로 손목을 감싸면서 고정용 스트랩의 서로 반대편에 존재하는 벨크로를 서로 부착시킴으로써 환자의 손목을 고정하는,
    관절 재활 치료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거치부에 거치된 손가락을 파지하는 손가락 파지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손가락의 일측에 고정용 스트랩을 삽입하여, 상기 손가락을 감싸면서 손가락의 반대편 홀에 고정용 스트랩을 삽입하고, 다시 반대방향으로 손가락을 감싸면서 고정용 스트랩의 서로 반대편에 존재하는 벨크로를 서로 부착시킴으로써 환자의 손가락을 고정하는,
    관절 재활 치료기.
PCT/KR2016/012266 2015-12-24 2016-10-28 관절 재활치료기 WO201711128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594 2015-12-24
KR1020150186594A KR101757564B1 (ko) 2015-12-24 2015-12-24 관절 재활치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11285A1 true WO2017111285A1 (ko) 2017-06-29

Family

ID=59090624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4306 WO2017111193A1 (ko) 2015-12-24 2015-12-28 관절 재활치료기
PCT/KR2016/012265 WO2017111284A1 (ko) 2015-12-24 2016-10-28 관절 재활치료기
PCT/KR2016/012267 WO2017111286A1 (ko) 2015-12-24 2016-10-28 관절 재활치료기
PCT/KR2016/012266 WO2017111285A1 (ko) 2015-12-24 2016-10-28 관절 재활치료기
PCT/KR2016/012262 WO2017111283A1 (ko) 2015-12-24 2016-10-28 관절 재활치료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4306 WO2017111193A1 (ko) 2015-12-24 2015-12-28 관절 재활치료기
PCT/KR2016/012265 WO2017111284A1 (ko) 2015-12-24 2016-10-28 관절 재활치료기
PCT/KR2016/012267 WO2017111286A1 (ko) 2015-12-24 2016-10-28 관절 재활치료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2262 WO2017111283A1 (ko) 2015-12-24 2016-10-28 관절 재활치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57564B1 (ko)
CN (4) CN206334064U (ko)
WO (5) WO20171111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97637A (zh) * 2020-03-19 2020-06-19 山东建筑大学 一种用于上肢康复的手臂托架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425B1 (ko) * 2019-05-22 2021-03-15 (주)대성마리프 관절재활 치료시스템
CN110170104B (zh) * 2019-06-25 2023-03-14 北京石油化工学院 一种耦合理疗装置的运动治疗康复机器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67832A1 (en) * 2001-01-11 2004-04-08 Andreas Hassler Therapeutic and training device for the shoulder joint
KR20130024386A (ko) * 2011-08-31 2013-03-0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축 링크형 오십견 큐어 로봇
KR20130025311A (ko) * 2011-09-01 2013-03-11 주식회사 앞썬아이앤씨 어깨 관절용 재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50028536A (ko) * 2013-09-06 2015-03-1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착용형 상지 재활 훈련장치
KR20150099945A (ko) * 2014-02-24 2015-09-02 (주)대성마리프 손목 운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634B1 (ko) * 2000-06-01 2002-10-11 최혁렬 로봇용 관절장치
WO2007131340A1 (en) * 2006-05-11 2007-11-22 Rehab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delivery of therapeutic exercises of the upper extremity
KR101093954B1 (ko) * 2009-07-24 2011-12-15 (주)대성마리프 수관절 재활치료 훈련기구
KR101099078B1 (ko) * 2009-12-11 2011-12-28 대한민국 전동 팔꿈치 재활보조기구
TW201136717A (en) * 2010-04-19 2011-11-01 Yuan Li Hsing Ind Co Ltd Universal joint
KR101098565B1 (ko) * 2010-07-23 2011-12-26 한국과학기술원 손 재활 로봇 기구
KR101305341B1 (ko) * 2012-05-18 2013-09-0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손목 및 발목 겸용 재활훈련장치
KR20150011132A (ko) * 2013-07-22 2015-01-30 김경중 1회용 도마
KR101419187B1 (ko) * 2013-07-31 2014-07-14 오은진 회선근개 운동기구
KR101547331B1 (ko) * 2013-10-28 2015-08-25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관절 운동 장치
KR101559551B1 (ko) * 2013-10-28 2015-10-15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관절 운동 장치
KR101553854B1 (ko) * 2014-10-01 2015-09-1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뇌파 집중도 피드백을 활용한 게임 기반 운동 재활 시스템 및 방법
KR101541082B1 (ko) * 2015-01-23 2015-08-03 주식회사 네오펙트 손 재활 운동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67832A1 (en) * 2001-01-11 2004-04-08 Andreas Hassler Therapeutic and training device for the shoulder joint
KR20130024386A (ko) * 2011-08-31 2013-03-0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축 링크형 오십견 큐어 로봇
KR20130025311A (ko) * 2011-09-01 2013-03-11 주식회사 앞썬아이앤씨 어깨 관절용 재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50028536A (ko) * 2013-09-06 2015-03-1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착용형 상지 재활 훈련장치
KR20150099945A (ko) * 2014-02-24 2015-09-02 (주)대성마리프 손목 운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97637A (zh) * 2020-03-19 2020-06-19 山东建筑大学 一种用于上肢康复的手臂托架装置
CN111297637B (zh) * 2020-03-19 2022-06-14 山东建筑大学 一种用于上肢康复的手臂托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6334064U (zh) 2017-07-18
WO2017111286A1 (ko) 2017-06-29
KR101757564B1 (ko) 2017-07-26
WO2017111193A1 (ko) 2017-06-29
WO2017111284A1 (ko) 2017-06-29
KR20170076393A (ko) 2017-07-04
CN206334066U (zh) 2017-07-18
CN206334065U (zh) 2017-07-18
CN206334063U (zh) 2017-07-18
WO2017111283A1 (ko) 201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4555B1 (en) Self-assisted shoulder passive range of motion apparatus
KR101093954B1 (ko) 수관절 재활치료 훈련기구
WO2010085111A2 (en) Strengthening and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WO2014092390A1 (ko) 척추 교정 장치
WO2014137178A1 (ko) 지압볼을 구비한 기능성 의자
WO2014065493A1 (ko) 뇌졸중 환자의 보행재활 치료용 로봇
WO2016060470A1 (ko) 신체의 균형을 복원하는 하체 및 척추 관절 운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7111285A1 (ko) 관절 재활치료기
WO2019182188A1 (ko) 글러브 타입 수관절 치료장치
WO2013141613A1 (ko) 척추측만증 교정 운동치료기
Neblett et al. A clinical guide to surface-EMG-assisted stretching as an adjunct to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rehabilitation
WO2018151482A1 (ko) 높이 조절형 재활치료 겸용 베개
KR20190015122A (ko)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WO2019160258A1 (ko) 경추자동조절 운동기
Georgarakis et al. Supporting and stabilizing the scapulohumeral rhythm with a body-or robot-powered orthosis
WO2015108357A1 (ko) 요가 의자
KR20160056235A (ko) 손 재활 장치
CN212940095U (zh) 一种脊柱外科治疗用矫正装置
CN211940926U (zh) 一种辅助下肢锻炼的可穿戴机器人
CN113876564A (zh) 一种临床神经内科脑血管病康复椅
WO2020101374A1 (ko) 반전 운동이 가능한 수동 거꾸리 운동장치
WO2016195131A1 (ko) 한의학용 치료 통합 베드
WO2021075637A1 (ko)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
CN204995776U (zh) 一种降低肌张力的训练器
WO2016167624A1 (ko) 휴대용 척추 운동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7915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7915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