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078B1 - 전동 팔꿈치 재활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전동 팔꿈치 재활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078B1
KR101099078B1 KR1020090123269A KR20090123269A KR101099078B1 KR 101099078 B1 KR101099078 B1 KR 101099078B1 KR 1020090123269 A KR1020090123269 A KR 1020090123269A KR 20090123269 A KR20090123269 A KR 20090123269A KR 101099078 B1 KR101099078 B1 KR 101099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force
rotation angle
upper limb
cu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3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6565A (ko
Inventor
송원경
김종배
안광옥
이인호
정동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90123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078B1/ko
Publication of KR20110066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61H1/0277Elbow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8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elbow jo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2001/0207Nutating movement of a body part around its arti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69Angl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팔꿈치 재활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노인이나 근력이 약한 재활 환자의 상지 근육의 재활을 보조해 주도록 착용할 수 있는 외골격 타입의 전동 팔꿈치 재활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박에 장착되는 상박커프와, 하박에 장착되는 하박커프와, 상기 상박커프에서 연장되게 장착되는 상박프레임과, 상기 하박커프에서 연장되게 장착되는 하박프레임과, 상기 상박프레임과 상기 하박프레임이 팔꿈치 관절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연결하는 회전연결부 및 상기 회전연결부에 구비되어 모터에 의해 상기 회전연결부를 회전시키는 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지가 굽혀지거나 펴지도록 하여 상지 근력을 보조하도록 동작되는 기구부; 상기 회전연결부에 부착되어 팔 자체의 힘으로 상지가 굽혀지거나 펴질 때의 팔꿈치 관절의 회전각을 측정하는 회전각센서; 및 상기 회전각센서에서 측정된 관절의 회전각만큼 반대 방향으로 상지를 펴거나 굽히도록 상기 기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동 팔꿈치 재활보조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하박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지가 굽혀지거나 펴질 때 팔에 걸리는 힘을 측정하는 힘센서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구부를 작동시킬 때 상기 힘센서에서 산정된 힘을 이용하여 상기 기구부에 걸리는 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지, 하지, 재활

Description

전동 팔꿈치 재활보조기구{Rehabilitative and Assistive Device for Elbow Movements}
본 발명은 전동 팔꿈치 재활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노인이나 근력이 약한 재활 환자의 상지 근육의 재활을 보조해 주도록 착용할 수 있는 외골격 타입의 전동 팔꿈치 재활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노인이나 근력이 약한 재활 환자들은 젊거나 건강한 사람들에 비해 관절운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운동이 필요함에도 일반적인 운동기구로는 운동을 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특허출원번호 제10-2007-0095675호(이하, '등록발명'이라 함)는 발명의 명칭을 "상지 근력 보조기 및 그 제어방법"으로 하여 출원되어 등록된 바 있다.
상기 등록발명은 팔에 입을 수 있는 형태의 기구부, 상박의 근육신호 및 팔꿈치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감지부, 기구부를 동작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근전도 신호 및 기구부에 가해지는 힘의 정도를 감지하여 팔꿈치를 굽히고 펴는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근전도 센서가 이두박근과 삼두박근에 부착되고, 근전도 센서에 서의 신호를 기반으로 팔꿈치 관절을 굽히고 펴는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근전도 센서를 사용할 경우에는 근력 보조기를 입거나 벗을 때마다 센서를 부착하거나 탈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척수손상 장애인의 경우에는 특정 수준 이상의 손상을 입는 경우에는 근전도 신호가 매우 미약하여 근력 보조기의 실효성이 없었다.
가령, 경추 5번 척수손상 장애인의 경우는 팔꿈치 관절을 굽히는 것은 가능하나 펴는 것은 불가능한 경우로, 이러한 경우라면 팔꿈치를 펴는 운동이 실질적으로 필요한 것인데 삼두근에 근전도 센서를 부착하더라도 실질적으로 신호가 매우 미약하고 삼두근이 거의 재기능을 하지 못하므로 등록발명을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팔꿈치 관절을 펴거나 굽히는 것 중 어느 하나만이 가능한 노인이나 재활 환자의 팔꿈치 관절 운동을 사람의 도움 없이 본 발명을 이용하여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아울러, 척수손상, 뇌졸중, 근육병, 자연스러운 노화로 인하여 팔꿈치 관절을 굽히고 펴는 운동이 불안전한 사람의 움직임을 보조하여 일상생활을 돕고 자연스럽게 재활의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박(1)에 장착되는 상박커프(11)와, 하박(2)에 장착되는 하박커프(15)와, 상기 상박커프(11)에서 연장되게 장착되는 상박프레임(12)과, 상기 하박커프(15)에서 연장되게 장착되는 하박프레임(16)과, 상기 상박프레임(12)과 상기 하박프레임(16)이 팔꿈치 관절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연결하는 회전연결부(19) 및 상기 회전연결부(19)에 구비되어 모터(13)에 의해 상기 회전연결부(19)를 회전시키는 기어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지가 굽혀지거나 펴지도록 하여 상지 근력을 보조하도록 동작되는 기구부(10); 상기 회전연결부(19)에 부착되어 팔 자체의 힘으로 상지가 굽혀지거나 펴질 때의 팔꿈치 관절의 회전각(θ)을 측정하는 회전각센서(20); 및 상기 회전각센서(20)에서 측정된 관절의 회전각(θ)만큼 반대 방향으로 상지를 펴거나 굽히도록 상기 기구부(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동 팔꿈치 재활보조기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상·하박프레임(12,16)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지가 굽혀지거나 펴질 때 팔에 걸리는 힘을 측정하는 힘센서(21)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기구부(10)를 작동시킬 때 상기 힘센서(21)에서 산정된 힘을 이용하여 상기 기구부(10)에 걸리는 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가 상기 기구부(10)를 작동시킬 때 걸리는 힘은 팔 자체의 힘으로 상지를 굽히거나 펼 때의 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구부(10)를 작동시킬 때 걸리는 힘의 조절은 모터(13)의 입력 전류를 가감하는 방식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13)의 입력 전류는 한계값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각센서(20)에서 팔꿈치 관절의 회전각(θ)의 측정은 인코더 또는 전위차계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힘센서(21)는 로드셀 또는 스트레인게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부(14)는 전원을 끈 상태에서도 부드럽게 돌아가도록 기어비가 200:1 이하인 것, 바람직하게는 100: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구부(10)는 상기 하박프레임(16)에서 연장구비되어 손으로 파지하여 상지를 굽히거나 펼 때 힘을 전달할 수 있는 손잡이부(17)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의 제어하에 상기 기구부(10)를 이용하여 반대 방향으 로 상지를 펴거나 굽히는 각은 회전각(θ)보다 2~3°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활용하면, 팔꿈치 관절을 펴거나 굽히는 것 중 어느 하나만이 가능한 노인이나 재활 환자의 팔꿈치 관절 운동을 사람의 도움 없이 본 발명을 이용하여 혼자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척수손상, 뇌졸중, 근육병, 자연스러운 노화로 인하여 팔꿈치 관절을 굽히고 펴는 운동이 불안전한 사람의 움직임을 보조하여 일상생활을 돕고 자연스럽게 재활의 효과를 부여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사용자가 본 발명을 팔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은 기구부(10), 회전각센서(20) 및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에 힘센서(21)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전원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상기 기구부(10)는 상박(1)에 장착되는 상박커프(11)와, 하박(2)에 장착되는 하박커프(15)와, 상기 상박커프(11)에서 연장되게 장착되는 상박프레임(12)과, 상기 하박커프(15)에서 연장되게 장착되는 하박프레임(16)과, 상기 상박프레임(12)과 상기 하박프레임(16)이 팔꿈치 관절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연결하는 회전연결부(19) 및 상기 회전연결부(19)에 구비되어 모터(13)에 의해 상기 회전연결부(19)를 회전시키는 기어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지가 굽혀지거나 펴지도록 하여 상지 근력을 보조하도록 동작되는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상박커프(11) 및 하박커프(15)에는 사용자의 피부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피부와 접촉되는 부분에는 부드러운 충전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어부(14)는 상기 회전연결부(19)에서 모터(13)와 베벨기어 형식으로 연결되어 모터(13)의 회전력을 회전연결부(19)가 팔꿈치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변환해준다. 물론, 다른 기어 연결 방식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기구부(10)는 상기 하박프레임(16)에서 연장구비되어 손으로 파지하여 상지를 굽히거나 펼 때 힘을 전달할 수 있는 손잡이부(17)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손잡이부(17)를 추가로 구비하는 경우에는 팔의 길이가 길어져서 손잡이에 손을 고정하여 팔을 굽히거나 펴는 것이 용이하므로 사용자가 쉽게 기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아울러, 상기 기어부(14)는 전원을 끈 상태에서도 부드럽게 돌아가도록 기어비가 200:1 이하인 것, 바람직하게는 100: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구동부의 경우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데, 여기서 모터(13)가 사용자가 원하는 움직임에 따라 전원을 끈 상태에서도 부드럽게 돌아가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본 발명이 굽히거나 펴는 것 중 어느 하나의 운동은 가능한 사용자가 사용하게 되므로 어느 하나의 운동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팔 힘에 의해 자체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이다.
상기 회전각센서(20)는 상기 회전연결부(19)에 부착되어 팔 자체의 힘으로 상지가 굽혀지거나 펴질 때의 팔꿈치 관절의 회전각(θ)을 측정하는 장치로, 이의 측정은 인코더(encoder) 또는 전위차계(potentiometer)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각도 측정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힘센서(21)는 상기 상·하박프레임(12,16)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지가 굽혀지거나 펴질 때 팔에 걸리는 힘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힘센서(21)에는 로드셀 또는 스트레인게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 다. 로드셀 또는 스트레인게이지는 미세한 길이변화를 감지하여 힘을 측정하는 장치로 본 발명에서 힘이 가해지는 상박프레임(12) 또는 하박프레임(16)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30)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 제어부(30)를 설명한 후에 하도록 하겠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회전각센서(20)에서 측정된 관절의 회전각(θ)만큼 반대 방향으로 상지를 펴거나 굽히도록 상기 기구부(1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기구부(10)를 작동시킬 때 상기 힘센서(21)에서 산정된 힘을 이용하여 상기 기구부(10)에 걸리는 힘을 제어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팔을 펴거나 굽힐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 의해 일단 펴거나 굽혀진 팔을 반대 방향으로 다시 회전해야 하는데, 이를 돕는 것이 본 발명인 것이다. 재활운동의 경우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팔을 편 만큼 다시 굽혀주거나, 굽힌 만큼 다시 펴주는 것으로 관절의 회전각(θ)만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동일한 운동을 반복하게 된다. 다만, 재활운동의 효과를 주기 위해서 상기 제어부(30)의 제어하에 상기 기구부(10)를 이용하여 반대 방향으로 상지를 펴거나 굽히는 각은 회전각(θ)에 2~3°를 합산한 만큼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30)에서 상기 기구부(1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경우에 상기 힘센서(21)에서 산정된 힘을 이용하여 상기 기구부(10)에 걸리는 힘을 제어한다. 즉, 힘센서(21)에서 산정된 힘을 모니터링하여 기구부(10)에 걸리는 힘을 한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0)가 상기 기구부(10)를 작동시킬 때 걸리는 힘은 팔 자체의 힘으로 상지를 굽히거나 펼 때의 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기구부(10)는 사용자의 팔 힘 자체로 기구부(10)를 펴거나 굽힐 때도 힘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 측정된 힘보다 큰 힘으로 반대방향으로 기구부(10)를 굽히거나 필 때 사용하면 사용자에게 무리가 갈 수 있으므로 힘의 크기를 제한한 것이다.
상기 기구부(10)를 작동시킬 때 걸리는 힘의 조절은 모터(13)의 입력 전류를 가감하는 방식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모터(13)의 입력 전류는 모터의 토크에 비례하므로 입력 전류를 제어부(30)에서 적절히 조절하여 팔꿈치 관절 운동에 있어 설정된 힘의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모터(13)의 입력 전류는 한계값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척수손상 장애인은 갑작스럽게 여러 근육이 동시에 수축되는 현상인 경직(Spasticity)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기구를 이용하여 무리하게 팔꿈치의 관절을 굽히거나 펴게 되면 기구나 사용자의 팔이 손상을 입을 수 있다. 특히 기구의 위치값을 피드백 받아 폐루프 위치제어를 적용하면 누적되는 작은 위치 오차에 의해서 기구에 큰 신호가 입력될 수 있어 위험하다. 이러한 경우라면 전류 입력의 한계(Limit)를 설정하거나 전류 제어 방식으로 구동하여 힘을 제어하는 방법이 적합하다. 이렇게 전류를 제어한다면 입력되는 전류에 비례하여 토크가 발생하므로 원 하는 토크 이상의 움직임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사용자가 본 발명을 팔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기호의 설명>
θ : 관절의 회전각
1 : 상박
2 : 하박
10 : 기구부
11 : 상박커프
12 : 상박프레임
13 : 모터
14 : 기어부
15 : 하박커프
16 : 하박프레임
17 : 손잡이부
19 : 회전연결부
20 : 회전각센서
21 : 힘센서
30 : 제어부

Claims (10)

  1. 상박(1)에 장착되는 상박커프(11)와, 하박(2)에 장착되는 하박커프(15)와, 상기 상박커프(11)에서 연장되게 장착되는 상박프레임(12)과, 상기 하박커프(15)에서 연장되게 장착되는 하박프레임(16)과, 상기 상박프레임(12)과 상기 하박프레임(16)이 팔꿈치 관절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연결하는 회전연결부(19) 및 상기 회전연결부(19)에 구비되어 모터(13)에 의해 상기 회전연결부(19)를 회전시키는 기어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지가 굽혀지거나 펴지도록 하여 상지 근력을 보조하도록 동작되는 기구부(10);
    상기 회전연결부(19)에 부착되어 팔 자체의 힘으로 상지가 굽혀지거나 펴질 때의 팔꿈치 관절의 회전각(θ)을 측정하는 회전각센서(20); 및
    상기 회전각센서(20)에서 측정된 관절의 회전각(θ)만큼 반대 방향으로 상지를 펴거나 굽히도록 상기 기구부(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어부(14)는 전원을 끈 상태에서도 부드럽게 돌아가도록 기어비가 200: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팔꿈치 재활보조기구.
  2. 상박(1)에 장착되는 상박커프(11)와, 하박(2)에 장착되는 하박커프(15)와, 상기 상박커프(11)에서 연장되게 장착되는 상박프레임(12)과, 상기 하박커프(15)에서 연장되게 장착되는 하박프레임(16)과, 상기 상박프레임(12)과 상기 하박프레임(16)이 팔꿈치 관절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연결하는 회전연결부(19) 및 상기 회전연결부(19)에 구비되어 모터(13)에 의해 상기 회전연결부(19)를 회전시키는 기어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지가 굽혀지거나 펴지도록 하여 상지 근력을 보조하도록 동작되는 기구부(10);
    상기 회전연결부(19)에 부착되어 팔 자체의 힘으로 상지가 굽혀지거나 펴질 때의 팔꿈치 관절의 회전각(θ)을 측정하는 회전각센서(20); 및
    상기 회전각센서(20)에서 측정된 관절의 회전각(θ)만큼 반대 방향으로 상지를 펴거나 굽히도록 상기 기구부(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하박프레임(12,16)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지가 굽혀지거나 펴질 때 팔에 걸리는 힘을 측정하는 힘센서(21)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기구부(10)를 작동시킬 때 상기 힘센서(21)에서 산정된 힘을 이용하여 상기 기구부(10)에 걸리는 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30)가 상기 기구부(10)를 작동시킬 때 걸리는 힘은 팔 자체의 힘으로 상지를 굽히거나 펼 때의 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팔꿈치 재활보조기구.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부(10)를 작동시킬 때 걸리는 힘의 조절은 모터(13)의 입력 전류를 가감하는 방식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팔꿈치 재활보조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13)의 입력 전류는 한계값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팔꿈치 재활보조기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센서(20)에서 팔꿈치 관절의 회전각(θ)의 측정은 인코더 또는 전위차계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팔꿈치 재활보조기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힘센서(21)는 로드셀 또는 스트레인게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팔꿈치 재활보조기구.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부(10)는 상기 하박프레임(16)에서 연장구비되어 손으로 파지하여 상지를 굽히거나 펼 때 힘을 전달할 수 있는 손잡이부(17)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팔꿈치 재활보조기구.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의 제어하에 상기 기구부(10)를 이용하여 반대 방향으로 상지를 펴거나 굽히는 각은 회전각(θ)보다 2~3°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팔꿈치 재활보조기구.
KR1020090123269A 2009-12-11 2009-12-11 전동 팔꿈치 재활보조기구 KR101099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269A KR101099078B1 (ko) 2009-12-11 2009-12-11 전동 팔꿈치 재활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269A KR101099078B1 (ko) 2009-12-11 2009-12-11 전동 팔꿈치 재활보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565A KR20110066565A (ko) 2011-06-17
KR101099078B1 true KR101099078B1 (ko) 2011-12-28

Family

ID=44399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269A KR101099078B1 (ko) 2009-12-11 2009-12-11 전동 팔꿈치 재활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907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0125A (zh) * 2013-06-27 2014-01-01 上海大学 防代偿手臂固定器
KR101435514B1 (ko) * 2012-04-05 2014-09-02 주식회사 엔티리서치 회전조인트에서의 토크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동작의도를 추정하는 근력증강로봇 및 그 제어방법
KR101656410B1 (ko) 2015-03-04 2016-09-2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상지 고정용 팽창 에어백을 포함한 주관절 재활장치
KR20160139595A (ko) 2015-05-28 2016-12-0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팔꿈치 재활훈련장치
KR20190110329A (ko) 2018-03-20 2019-09-3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팔 재활 장치 및 팔 재활 게임 장치
CN110624209A (zh) * 2019-08-13 2019-12-31 袁远 健身设备、数据监控方法及其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131755B1 (ko) 2019-01-03 2020-07-08 주식회사 메디앤퓨처스 능동적인 재활운동이 가능한 착용식 상지 재활운동기구
WO2023008680A1 (ko) * 2021-07-30 2023-02-02 에이치로보틱스 주식회사 재활 운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74475A (zh) * 2011-09-01 2014-06-18 艾谱森股份有限公司 康复装置及其驱动方法
KR101317817B1 (ko) * 2011-09-29 2013-10-1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근전도 피드백 기반의 능동형 상지 재활 훈련 시스템
KR101295004B1 (ko) * 2011-10-05 2013-08-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근력보조를 위한 외골격장치
KR101295966B1 (ko) * 2011-12-28 2013-08-1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워 수트
WO2013111916A1 (ko) * 2012-01-25 2013-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착용형 재활 치료 장치
KR101474807B1 (ko) * 2014-03-06 2014-12-2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지근력 강화장치
KR101523014B1 (ko) * 2014-04-24 2015-05-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상지 근력 강화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키트
CN105326622B (zh) * 2014-08-12 2017-09-29 冯学光 偏瘫病人康复治疗仪
KR101694369B1 (ko) * 2015-08-28 2017-01-0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상지 재활 로봇
KR101757564B1 (ko) * 2015-12-24 2017-07-26 (주)대성마리프 관절 재활치료기
CN106726350A (zh) * 2016-12-29 2017-05-31 河北工业大学 一种绳驱动肘腕康复机器人
KR102068878B1 (ko) * 2017-11-08 2020-02-1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유수용성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CN109745671B (zh) * 2019-02-21 2023-12-01 山东中医药大学 一种辅助肘关节骨折主动康复的装置
CN109770939A (zh) * 2019-03-20 2019-05-21 刘静 一种手关节辅助装置及旋转角度精确控制方法
KR102034988B1 (ko) * 2019-05-15 2019-10-21 김일열 팔 관절 과부하 감소를 위한 운반 보조기
KR102327103B1 (ko) * 2020-02-24 2021-11-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던지기 동작을 보조하는 상지 보조 시스템
CN111672086B (zh) * 2020-06-05 2023-10-20 广东技术师范大学天河学院 一种智能健身辅助设备及应用其的方法
CN111956447B (zh) * 2020-06-29 2022-09-09 昆明医科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动静态结合的上肢康复支具
CN112169285B (zh) * 2020-09-29 2021-11-05 商丘工学院 排球屈肘垫球纠正器
KR102478726B1 (ko) * 2020-12-30 2022-12-16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팔 재활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9113A (ja) 2005-07-22 2007-02-08 Toyota Motor Corp 補助装置
US20070191743A1 (en) * 2002-11-21 2007-08-1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 of Using Powered Orthotic Device
KR100815477B1 (ko) * 2006-10-17 2008-03-2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사지 강직 환자용 물리치료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91743A1 (en) * 2002-11-21 2007-08-1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 of Using Powered Orthotic Device
JP2007029113A (ja) 2005-07-22 2007-02-08 Toyota Motor Corp 補助装置
KR100815477B1 (ko) * 2006-10-17 2008-03-2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사지 강직 환자용 물리치료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514B1 (ko) * 2012-04-05 2014-09-02 주식회사 엔티리서치 회전조인트에서의 토크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동작의도를 추정하는 근력증강로봇 및 그 제어방법
CN103480125A (zh) * 2013-06-27 2014-01-01 上海大学 防代偿手臂固定器
KR101656410B1 (ko) 2015-03-04 2016-09-2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상지 고정용 팽창 에어백을 포함한 주관절 재활장치
KR20160139595A (ko) 2015-05-28 2016-12-0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팔꿈치 재활훈련장치
KR20190110329A (ko) 2018-03-20 2019-09-3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팔 재활 장치 및 팔 재활 게임 장치
KR102131755B1 (ko) 2019-01-03 2020-07-08 주식회사 메디앤퓨처스 능동적인 재활운동이 가능한 착용식 상지 재활운동기구
CN110624209A (zh) * 2019-08-13 2019-12-31 袁远 健身设备、数据监控方法及其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624209B (zh) * 2019-08-13 2022-01-25 袁远 健身设备、数据监控方法及其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3008680A1 (ko) * 2021-07-30 2023-02-02 에이치로보틱스 주식회사 재활 운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565A (ko) 201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9078B1 (ko) 전동 팔꿈치 재활보조기구
KR101099063B1 (ko) 공압근육을 이용한 양팔 재활 운동 기구
JP4065459B2 (ja) 動作支援装置および動作支援方法
JP4110203B2 (ja) 動作支援装置
KR101065420B1 (ko) 상지거동을 위한 착용형 로봇장치
KR101667179B1 (ko) 사용자-연계 휴먼-머신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의 외골격 제어 방법
EP2723458B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habilitating an injured limb
US20120165158A1 (en) Wearable and convertible passive and active movement training robot: apparatus and method
TW201639533A (zh) 互動式外骨骼膝關節機器系統
KR102018566B1 (ko) 상지 재활을 위해 엔드 이펙터 타입의 재활로봇과 연결가능한 재활 로봇
US20090306548A1 (en) Therapeutic method and device for rehabilitation
KR100802533B1 (ko) 인체 하지의 보행모드 결정장치 및 이를 갖는 인체 하지용보조 근력 로봇 및 이를 사용한 인체 하지의 보행모드결정방법
WO2002092164A3 (fr) Dispositif de reeducation et/ou d&#39;entrainement des membres inferieurs d&#39;une personne
CA2381887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utomation of body weight support training (bwst) of biped locomotion over a treadmill using a programmable stepper device (psd) operating like anexoskeleton drive system from a fixed base
CN209092054U (zh) 一种基于拉线驱动与镜像同步模拟的可自主康复训练的手部外骨骼
CN110393894A (zh) 前臂关节训练适配件、康复训练设备及其训练控制方法
CN111248917B (zh) 一种下肢步行训练器主动训练控制装置
RU175324U1 (ru) Тренажер
KR102207991B1 (ko) 시트형 근력 보조 슈트
CN110974600A (zh) 一种基于柔性触觉的可穿戴式脑卒中康复装置
EP3646843B1 (en) Body movement assistance device
WO2015190938A1 (en) A rehabilitation exoskeleton and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torque
JPWO2019069534A1 (ja) 最適弾性強度計算装置、最適弾性強度計算システム、運動補助システム、最適弾性強度計算方法および最適弾性強度計算プログラム
PL242595B1 (pl) Urządzenie do rehabilitacji kończyny górnej
WO2023248194A1 (en) Modular physiotherapy and rehabilit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