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04939A1 - 낙뢰 전류를 분산하는 사장교의 낙뢰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낙뢰 전류를 분산하는 사장교의 낙뢰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04939A1
WO2017104939A1 PCT/KR2016/010229 KR2016010229W WO2017104939A1 WO 2017104939 A1 WO2017104939 A1 WO 2017104939A1 KR 2016010229 W KR2016010229 W KR 2016010229W WO 2017104939 A1 WO2017104939 A1 WO 201710493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ightning
cable
stayed bridge
support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022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용기
Original Assignee
(주)옴니엘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옴니엘피에스 filed Critical (주)옴니엘피에스
Priority to CN201680081737.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8701971B/zh
Publication of WO201710493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0493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4Cable-stayed b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1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having a single gap or a plurality of gaps in parallel
    • H01T4/12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having a single gap or a plurality of gaps in parallel hermetically seal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ning protection device of a cable-stayed bridge that distributes lightning currents. More specifically, the cable-stayed bridge's support cable is essentially a lightning inflow path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underclouds.
  • the current flows through the steel wires (such as piano wires) that make up the support cable that is responsible for the mechanical action of the support cable, allowing the current path formed by the support cable to be a variety of current paths.
  • the cable of the cable-stayed bridge is damaged by lightning.
  • the occurrence of lightning strikes such as global warming is on the rise and the occurrence of high current lightning strikes with lightning currents of 10 ⁇ 350us 50KA is frequent.
  • cable-stayed bridges are a key component that has a critical impact on the safety of structures.
  • One si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and the other side has a structural feature in the form of opposing thunderclouds, and thus there is a possibility of lightning inflow, and the lightning support site cable acts as a lowering conductor of the lightning rod.
  • the support cable itself is a resistor and has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capable of generating high heat due to lightning current.
  • the supporting cable which is the main component of the cable-stayed bridge
  • the supporting cable forms a current path between the thundercloud and the ground when the lightning strikes, and the supporting cable becomes the current path,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supporting cable or the contact resistance of the connecting cable connecting the supporting cable with the main tower and the top plate. Due to the interaction with the lightning current, heat generation occurs in the support cable, and this heat causes a serious impact on the safety of the cable-stayed bridge by weakening not only the fire in the support cable but also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support cable.
  • lightning arresters In general, lightning arresters (generally called lightning arresters in the form of flanked need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lightning rods) are set on the pylons of the cable-stayed bridges.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ble-stayed bridges, thunderclouds are generated at lower positions than the lightning rods installed on the pylons.
  • the thundercloud has a (+) charge and the thundercloud has a (-) charge
  • the flashover initiation voltage also varies considerably between the thundercloud and the earth, and the size of the lightning stroke varies, so that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upport cable or the lowering lead of the lightning rod is different.
  • the supporting cable connecting the pylon and the top plate of the cable-stayed bridge is a conductor that collectively binds steel wires such as piano wires, although it has a larger resistance than the down-wire wires connected to lightning rods such as Na-dong wires.
  • the structural support cable is connected to the ground through the bridge deck, and the upper end of the main tower is bound to act as a lightning rod.
  • the supporting cable is a metal conductor connecting the bridge deck with the main tower, and is grounded even if it is not in good ground and earth like a lightning rod.
  • the current path of the upward or downward lightning is formed by the discharge path of the current connected to the lightning arrester and the discharge path of the lightning current consisting of a thundercloud and a support cable.
  • a lightning strike when a lightning strike occurs, a lightning strike may form a thundercloud and a discharge path through a lightning arrester or a discharge path through which a thundercloud is connected to the earth through a support cable.
  • a discharge path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urrent path) is formed.
  • the lightning current is absorbed to the earth, but the resistance and lightning current of the support cable It is obvious that the generation of Joule heat caused by this is unavoidable, and the lightning current usually affects the mechanical strength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supporting cable because the current is usually hundreds to thousands of amps or more. something to do.
  • lightning currents and voltages caused by thunderstorms are thousands of volts, and currents also have a battery characteristic that hundreds to thousands of amperes are discharged to earth through wires in a short time.
  • the down-conductor wire connected from the lightning rod to the ground should be less than 0.2 ⁇ and the wire with 50mm2 or more of the bare wire should be used to discharge the lightning current flowing into the lightning rod to the ground smoothly.
  • support cables made up of multiple bundles of steel wires, although conductors, have greater resistance than normal down-conductor wires, and are not intended to be characterized by electrical characteristics, but are metallic materials that focus on mechanical strength such as tensile strength. This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to be smoothly absorbed by the current.
  • structures such as cable-stayed bridges are installed at locations where individual support cables are close to the thundercloud.
  • structures such as cable-stayed bridges are installed at locations where individual support cables are close to the thundercloud.
  • lightning rods to prevent lightning damage by installing lightning rods on the pylons.
  • the supporting cable is closer to the thundercloud than the lightning rod of the pylon, the lightning can flow into the supporting cable.
  • Prior Art 1 registers a support cable and an electrically insulated bare copper wire, and proposes a lightning protection structure of a cable-stayed bridge having a structure to prevent lightning flowing into the support cable.
  • the supporting cable itself is groun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acts as a protruding protrusion toward the thundercloud, and the lightning path upward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hundercloud is set as the current path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supporting cable.
  • the flashing cable flows through a current of lightning, which may cause cable damage.
  • Document 1 Japanese Patent No. 3199226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1), which is a prior art in the field, proposes a measure for minimizing the inflow of lightning,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ble for the cable stayed bridge in any form.
  • Prior art 1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id to be the same to protect the cable-stayed bridge from lightning,
  • Prior art document 1 is to prevent the lightning from flowing into the support cable of the cable-stayed bridge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tect the support cable when lightning strikes into the support cable of the cable-stayed bridge, that is, the technical idea of protecting the cable-stayed bridge from lightning
  • the invention has different objects, different solutions, and different configurations.
  • the corona which is discharged due to the breakdown of the air layer mediated between the charged electrodes while the high voltage is charged between both ends, If you look at the pattern of an avalanche during discharge,
  • a posi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precipitation electrode, which is one of the electrodes to which high voltage is charged, and the other is a flat electrode, and an electric avalanche occurs when the earth is grounded to the ground.
  • the precipitation electrode which is one of the electrodes to which high voltage is charged
  • the other is a flat electrode
  • an electric avalanche occurs when the earth is grounded to the ground.
  • the electrons that escaped are collected around the settling electrode, and a first electron avalanche occurs in which a cation is formed in a shape that gradually shrinks toward the plate electrode.
  • a mixed ion region in which a cation and an electron group are mixed is formed, and secondary avalanches of the type shown in FIG.
  • the needle electrode corresponds to an electrode grounded to the earth to which the positive charge is charged, and the plate electrode charged to the negative charge corresponds to the thundercloud.
  • the existing conventional lightning rod takes the form of a needle electrode based on this.
  • the conventional lightning arrester in which the grounded electrode is in the form of a sedimentary pole is used, and the present inventors have also implemented a dipole lightning rod of the sedimentary pole type in implementing a lightning arrester using the dipole principle for reducing the probability of direct lightning strike.
  • a rod of conductive material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an object to be protected from lightning and connected to a grounding means; a charging tube having a tubular tube through which the rod penetrates and a needle tip is formed toward the rod, A charging means comprising a first cap and a second cap coupling both ends of a charge pipe to the rod, and a charge plat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od, wherein the charge plate is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charge plates. And a third and fourth electrode plates are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cap, and irregularities are repeated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fourth electrode plate,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are edged.
  • a de cap is further provided, and the rod cap and the first electrode plate are registered in a patent application for a flat electrode type dipole charging tube lightning pro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one pie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 And
  • a rod member having one end coupl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stationary plate and charged with earth charges; At least two insulators install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od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adjacent insulators and the rod member.
  • a charging plat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and charged with a polarity opposite to the ground charge, a charging tube installed between the charging plate and the insulato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ed plate, and charged with a polarity opposite to the ground charge; and It includes a rod cap coupled to the top of the rod member to induce a lightning strike, the rod cap has a relatively large outer diameter compared to the insulator to greatly improve the lightning inflow area to increase the discharge efficiency,
  • a first cap, a second cap coupled around a radially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cap, and a texture for fixing the first cap to the rod member
  • a coupling member including a base plate having a coupling hole and a coupling hol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base plate, wherein a multi-step
  • the ground electrode is generally in the form of the settling electrode in consideration of the discharge phenomenon occurring in the flat plate to the settling electrode.
  • the dielectric breakdown voltage, that is, between the electrodes Flashover is 130KV
  • Insulation breakdown is applied when a positive voltage (+) voltage is applied to a flat electrode corresponding to a thundercloud and a negative voltage (-) voltage is applied to a needle-shaped dipole lightning rod (the above-described dipole lightning arrester developed by the present inventor). It can be seen that the voltage, that is, the flashover between the electrodes is 90 KV, and the difference in the flashover voltage reaches 40 KV according to the polarity of the electric charge charged in the thundercloud.
  • the results of the above experiments ar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under the conditions set by the inventor, and are flashover voltages that may vary depending on the distance between electrodes, laboratory conditions during the test, and the size of the dipole lightning rod, and the flashover voltage according to the polarity of the voltage supplied to the flat electrode.
  • the above experimental values are presented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asured values measured in these laboratories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lso the same below.
  • the conventional lightning arresters including the dipole lightning rods shown in Documents 2 and 3 above vary the polarity of the charge of the thundercloud by the type of charge charged to the thundercloud, that is, region, season, temperature, and the like.
  • the conventional dipole lightning ro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operating characteristics, that is, the flashover voltage, and in addition, the dipole lightning rod shown in Documents 1 and 2 stacks discharge, charging and grounding electrodes, and the like and manufactures them according to the laminated structure. Due to the difficulty, it was found that not only the cost increase factor but also the heavy lightning arrester was inconvenient for installation, transportation, and maintenance.
  • the bare copper wire or tin-plated copper wire or braided copper wire braided together is installed in parallel to the outermost part of the steel wire constituting the supporting cab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ick leave).
  • the charges of thunderclouds generated around the cable-stayed bridges differ in the polarity of thunderclouds depending on the region, season, temperature, humidity, etc., and the direction of the preceding discharge is upward or downward when the thundercloud approaches. As a result, deviation of the preceding discharge start voltage of the lightning arrester occurs.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dipole lightning rod using the dipole principle to reduce the potential between the thundercloud and the earth through the preceding discharge during the thundercloud approach to the lightning rod installed in the pylon, the dipole having a small variation in the start voltage of the preceding discharge according to the polarity of the thundercloud
  • a lightning rod it is to provide a lightning protection device for a cable-stayed bridge that operates stably according to the thundercloud polarity.
  • the support cable of the cable-stayed bridge is essentially a lightning inflow path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hundercloud, so that the current path formed by the support cable is connected to the current flowed only by one of the support cables.
  • the bare copper wire or tin-plated copper wire or braided copper wire braided together is installed in parallel to the outermost part of the steel wire constituting the supporting cab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ick leave).
  • the lightning current minimizes the current flow to the steel wires that make up the support cable when the current flows into the support cable due to lightning. To provide lightning protection for cable-stayed bridges.
  • the charges of thunderclouds generated around the cable-stayed bridges differ in the polarity of thunderclouds depending on the region, season, temperature, humidity, etc., and the direction of the preceding discharge is upward or downward when the thundercloud approaches.
  • a dipole lightning rod using the dipole principle that reduces the potential between the thundercloud and the earth through the preceding discharge during the thunderstorm approach to the lightning rod installed in the main tower, etc.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ghtning protection device of a cable-stayed bridge for distributing lightning current" which operates stably according to the thundercloud polarity by using a dipole lightning rod having a small variation in the starting voltage of the preceding discharge.
  • the lightning protection device of the cable-stayed bridge for dispersing the lightning curr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Lightning rod (40) installed on the cable-stayed bridge, grounding body (80) for easy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lightning rod and earth, down-conductor wire (50) connecting the lightning rod and the grounding body, support cable connecting the main tower and the bridge deck of the cable-stayed bridge (30), a lightning strike wire for protection on the support cable which is supported by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nsulated support bodies 90 on the uppermost support cabl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cables and connected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conductor line 50 and the lightning rod 50; 60) "a cable-stayed bridge for distributing lightning current, consisting of a current-distributing conductor 70 parallel to a support cable and connected to a support cable connected to a grounding cable 80 and a grounding conductor 80 at both ends of the support cable. Lightning protection device ".
  • the opposite polarity of the type electrode consists of a charging electrode made of metal and an insulating support which supports the charging electrode on one end and the metal support on the other end or the flat ground electrode. It is a dipole lightning rod having a flat ground electrod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is generated,
  • the flat ground electrode is a plate-shaped ground electrode and the earth electrode is a dipole lightning rod having a flat ground electrode, characterized in that the ring-shaped charging electrod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disk-shaped ground electrode.
  • the ring-shaped charging electrode is a dipole lightning rod having a flat ground electrode,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al pipe,
  • the plate-shaped ground electrode is a disk type, the charging electrode is spaced outside the circumference of the disk-shaped ground electrode is provided on the same plane, the ground electrode is formed of any one of a metal plate or a metal wire or metal pipe, a metal rod, the inner planar spa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pole lightning rod having a flat ground electrode.
  • the flat ground electrode and the charging electrode having a metal plate shape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pole lightning rod having a flat ground electrode, characterized in that the rainwater penetrates the perforated hole.
  • An end of the flat ground electrode is a dipole lightning rod having a flat ground electrod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pin of the serrated or pin-shaped in the charging electrode direction,
  • the dipole lightning rod having a flat ground electrod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pin is provid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of the end of the flat ground electrode and the charging electrode,
  • the dipole lightning rod having a flat ground electrode
  • the ring-shaped charging electrode is disposed up and down unde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t ground electrode.
  • Y2O3 is a paramagnetic material which is a mixture or alloy of any one or more of them, or Fe, Ni, Co and alloys between these metals, silicon steel, Permalloy, CrBr3, GdCl3
  • One is a ferromagnetic material, or a ferromagnetic material which is any one of FeO, MnO, NiO, CrSb, EuTe, MnTe, FeCl2, CoCl2, MnF2, or a ferrimagnetic material which is Fe3O4, Ferrite, Y3Fe5O12.
  • Lightning rods or support cables installed on cable-stayed bridges whether lightning strikes are discharged downward from the thundercloud to the earth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wnward lightning) according to the polarity of the thundercloud,
  • the lightning current current flowed by lightning
  • the current-distributing conductor parallel to the down-conductor wire and each supporting cable so that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aggregate of steel wires forming the supporting cable, especially the supporting cable.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cable-stayed bridge by preventing the deterioration of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support cable by fire or heat in the support cable due to Joule heat due to heat generated from the support cable, ie lightning current and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assembly of steel wires.
  • the lightning rods are installed on each support cable 30, and the lower conductors are installed, respectively.
  • Lightning protection device of a cable-stayed bridge for distributing lightning currents excellent in workability and economy.
  • Figure 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cable-stayed bridge for lightning protection connected to the down-conductor wires for supporting current distribution
  • Figure 3 is a structural view of the connector connecting the grounding conductor for the current distribution of the support cable current distribution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cable with the current distribution down-conductor
  •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discharge pattern when a positive voltage is applied to a plate electrode at a plate-to-sediment pole and the precipitation pole is grounded.
  •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discharge pattern when a negative voltage is applied to a plate electrode at a plate-to-sediment pole and the precipitation pole is grounded.
  • FIG. 7 is a dipole lightning rod having a flat ground electrod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dipole lightning rod having a planar ground electrod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dipole lightning rod having a planar ground electrod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sectional view of a flat plate type ground electrode incorporating the magnetic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ightning protection device of the cable-stayed bridge which distributes the lightning current of this invention
  • the supporting cable of the cable-stayed bridge is essentially a lightning inflow path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thundercloud, and the current path formed by one of the supporting cables can be applied to various current paths.
  • the steel wires such as piano wires
  • a lightning rod 40 installed in the cable-stayed bridge, a grounding body 80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lightning rod and the earth, a lowering conductor 50 connecting the lightning rod and the grounding body, a main tower and a bridge of the cable-stayed bridge
  • Support cable 30 for connecting the upper plate, the support cable is supported by th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nsulated support body 90 on the top support cabl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cables and connected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conductor 50 and the lightning rod 50 Lightning lightning line 60 for protection on top, consisting of a support cable and the current-distributing conductor 70 connected to the support cable connected to the lower conductor 50 and the grounding body 80 at both ends of the support cable Lightning protection device of cable-stayed bridge for distributing current.
  • a thundercloud is formed around the cable-stayed bridge where the lightning protection device of the cable-stayed bridge dispersing the lightning curr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pending on the distance to the thundercloud or the polarity of the thundercloud,
  • the flashing upward or downward flashover conditions such as the state of flashover conditions are established, and thus the inflow current due to the lightning strikes the lower wire 50, or the aggregate of the steel wires 30-1 of the support cable 30.
  • the current spreading conductor 70 or the lightning induction line 60 flows.
  • lightning rods 40 and thunderclouds installed on the pylons of the cable-stayed bridge are flashed away, and most of the inflow current due to lightning flows through the down-conductor wire, and is partially dispersed, and the current distribution conductors of the steel wire 30-1 are dispersed. 70, the heat generated in the steel wire 30-1 is insignificant.
  • the lightning strike wire 60 and the lightning strike are generated closer to the lightning guideline 60 than to the lightning rod 40, and at this time, the lightning strike line 60 is the lightning rod 60 It is connected to the lower wire 50 at the bottom of most of the inflow current flows to the lower wire 50 and does not flow to the aggregate of the steel wire 30-1 of the support cable 30 having a relatively large electrical resistance. Even if it flows in, it is connected to the iron wire 30-1 and flows in parallel to the current distributing conductor 70.
  • the heat generated in the steel wire 30-1 is insignificant.
  •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able-stayed bridge, the support cable 30 connecting the bridge top plate 20 and the main column 10 of the cable-stayed bridge is made of metal, so that one end is a ground state having a certain resistance value with the bridge top plate 20.
  • the connection with the main tower 10 has a structure such as a protrusion toward the thundercloud, so that the support cable 30 plays a role as a lightning arrester that acts as a down wire connected to the protrusion.
  • the support cable 30 When the connection part of the support cable 30 connected to the main tower 10 and connected to the thundercloud more closer to the thundercloud than the lightning rod 40 or the lightning induction line 60 in the wound state, the support cable 30 is lowered. Being a city, all the inflow current due to the lightning flows to the steel wire 30-1 of the support cable 30 to heat the steel wire 30-1,
  • the current distribution conductor 70 made of a bare copper wire or a tin-plated copper wire having excellent conductivity, and a braided or associated conductor of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cable 30 as shown in FIG. 3. -1) together to form an integrated support cable 30, and as shown in FIG. 4, connecting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support cable 30 with the main column 10 and the bridge top plate 20.
  • the lightning current flowing into the support cable 30 flows through the current distributing conductor 70 and further distributed to the current distributing conductor 70 and the like, in which the lightning does not flow, so that the support cable 70 has the lightning current. To prevent damage.
  •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main tower of the support cable 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urrent spreading conductor 70 and the down conductor 50 and the dipole lightning rod 4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dipole lightning rod is substantially supported by the support cable 30. It is the same as the one installed at the connection to the pylon of the tower.
  • Lightning protection device of cable-stayed bridge that distributes lightning current with excellent workability and economy.
  • the support cable 30 having the structure in which the current distributing conductor 70 is assembled with the steel wire 30-1 constituting the support cable 30 is illustrated in FIG. 4.
  • the case of production at the production stage is presented.
  • the current-distributing conductor 70 in use is a support cable 30 which is not integrally associated with the support cable 30
  • the protective lightning induction wire 60 on the support cable is installed on the support cable.
  • the method for connecting the current dissipation conductor 70 by installing a conductive copper wire, a tin-plated wire, and a conductor braided or associated with them on a protective sheath 30-2 protecting the support cable 3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installed.
  • the protective sheath 30-2 protecting the support cable 30 is made of a metal having a higher conductivity than that of steel wir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current dissipation conductor 70 described above. Can be.
  •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protective lightning induction wire 60 on the support cable is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supported by using the known technology shown in the preceding patent 1, etc.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fatigue needl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as a dipole lightning rod.
  • Dipole lightning rod having a flat ground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twin rod lightning ro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end is coupled to or fixed to a fixed plate (not shown) or a support (not shown) outside the building and wires The metal support 30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ing body embedded in the ground (not shown) through
  • the plate-type ground electrode 100 of the metal material and coupled to the metal support 300 by mechanical coupling such as screw coupling or melting point and
  • planar ground electrode charge electrode 200 having an inner planar space made of metal wires, metal pipes, metal plates, metal rods, etc. charged in opposite polarity with 100
  • the charging electrode 200 is fixed to the plate-shaped ground electrode 100 to b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the charging electrode to maintain a gap so that discharge can occur between the charging electrode 200 and the ground electrode 100 during the thunder approach ( 200 and a dipole having a flat ground electrode composed of an insulating support 400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to be electrically insulated even when connecting between the ground electrode 100 or the charging electrode 200 and the metal support 300 Lightning rod.
  • the internal planar space refers to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charging electrode 200 forms a closed loop by a metal wire, a metal surface, a metal rod, a metal pipe, and the like. The explanation is centere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shape as needed.
  • the flat ground electrode 100 is screwed or welded to one end of the metal support 300 as described abov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and ultimately grounded to the earth, when the thundercloud approaches the earth It is an electrode serving as a counter electrode of the liver, which is in the form of a flat plate.
  • discharge pins directed toward the charging electrode direction 200 formed on the circumference of a part or all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serrated or processed into a pin shape (circular saw shape) ( 110 is a plate-type ground electrode 110 may be further provided.
  • the ground electrode is referred to as a flat plat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to various shapes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harging electrode while maintaining a plane in a thundercloud direction. .
  • the flat ground electrode 100 may have a flat hole shape so that rainwater may be drained.
  • planar ground electrode 100 is approached to the thundercloud, until the thundercloud and flashover, and the known dipole principle in the art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between the planar ground electrode 100 and the charging electrode 200
  • An inter-electrode support insulator 410 is provided to support the charging electrodes 200 space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discharge may occur.
  • inter-electrode support insulator 410 is given a separate name by changing the support portion, but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as the insulation support 400, except only the support portion.
  • the inter-electrode support insulator 410 corresponds to one type included in the insulator support 400.
  • a structure in which the ground electrode 100 and the charging electrode 200 are connected and supported by the inter-electrode support insulator 410 is referred to as a first embodiment.
  • the inter-electrode support insulator 410 is made of the same function and material as the above-described insulator 400, and the inter-electrode support insulator 410 is not shown, but is provided with a screw or clip structure connection part to form a flat ground electrode 100. ) And the charging electrode 200 are fixed.
  • the inter-electrode support insulator 410 may utilize an insulator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may have a concave-convex structure of a wavy shape (also referred to as a waveform) to secure a creepage insulation distance.
  • the charging electrode 200 may also use a metal material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lat ground electrode 100.
  • a metal pipe a metal wire, a metal rod, and a metal plate
  • a metal pipe a metal pipe, a metal wire, a metal rod, and a metal plate
  • the plate-shaped ground electrode 100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is disposed in an inner space of the ring shape.
  • the charging electrode 200 is described based on the doughnut shape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a discharge pin to facilitate the discharge in the direction of the planar ground electrode 100, as described above is coupled to the inter-electrode support insulator 410 on the same side as the planar ground electrode 100 As shown in FIG. 2, which is a second embodiment, it may be supported by an insulating support 400 coupled to the metal support 300.
  • the insulating support 400 for supporting and coupling the charging electrode 200 and the metal support 300 may utilize an insulator that is conventionally used in this field, and when it is excellent, the surface is wavy (waveform) to secure the creepage insulation distance. And a concave-convex structure (also referred to as a shape).
  • the charging electrode 200 and the planar ground electrode 100 are horizontally arranged on the same plane, but the donut-shaped charging electrode 200 is disposed inside the planar ground electrode 100.
  • the charging electrode 200 and the planar ground electrode 100 are located in a snowy area. If electrical conduction occurs due to snowfall in between, a discharge may not occur due to a dipole, which is an inheren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nd second embodiment) of the horizontal arrangement structure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principle, but the third embodiment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planar ground electrode 100 is disposed on the charging electrode 200 It demonstrates using FIG.
  • the charging electrode 200 and the metal support 300 are supported and coupled by the insulating support 400, and the flat ground electrode 100 covers only the upper portion of the ring forming the charging electrode 200 at a lower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 the charging electrode 200 is spaced below the edge of the flat ground electrode 100 so as to be partially overlapped, so that even when it snows, the charging electrode 200 and the flat ground electrode 100 are separated. Since the insulation state can be maintaine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dipole lightning rod having a flat ground electrode which is not disturbed by the discharge by the dipole.
  • the discharge pin 110 is further added to the portion facing the charging electrode 200 and the planar ground electrode 100 up and down. Can be equipped
  • the superior hole 120 of the flat plate type ground electrode 100 is not installed at a portion where the charging electrode 200 and the flat plate type ground electrode 100 overlap each other.
  • Discharge pins in both the above 1,2,3 embodiments are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harging electrode 200 and the flat plate type ground electrode 100, can be installed only on either side, or both, and both If the comb teeth 110 can be installed to cross at a certain interval from each other.
  • a dipole lightning rod having a planar ground electrode having an increased discharge current compared to a conventional dipole lightning arrester can be implemented.
  • the discharge electrod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due to the dropping of the magnetic material due to vibration or other oxidation due to vibration. And this can be realized by filling the magnetic material inside the pipe.
  • the fact that the discharge current is increased by maximizing the internal polarization phenomenon by the magnetic material in the dipole lightning rod has been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512025, which is registered by the inventors,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planar ground electrode 1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magnetic material is embedded between two electrically connected metal plates, as shown in FIG. 4.
  • the charging electrode 200 has a ring shape formed by a metal pipe, the same as the case in which the magnetic material is embedded, the type of the magnetic material is also the same, and thus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 the thickness and the embedding method of the magnetic material are registered in Korea. Since the technology shown in Patent 10-1512025 is utiliz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breakdown voltage or the inter-electrode flashover Is 170KV When the negative voltage (-) voltage is applied to the plate electrode corresponding to the thundercloud and the positive voltage (+) voltage is applied (connected to the earth) to the dipole lightning rod provided with the plate-type ground electrod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eakdown voltage or the inter-electrode flashover Is 170KV,
  • the dipole lightning rod having the plate-type ground electrod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reducing the deviation of the flashover voltage by more than 50%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dipole lightning rod due to the polarity change in the thundercloud.
  • At least two insulators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 member, between the neighboring insulators and electrically charged with the rod member, and a charging plate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earth charge, between the charging plate and the insulator
  • a charge tube install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plate and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earth charge, and a charge cap coupled to the top of the rod member to induce a lightning strike, and the load cap greatly improves the lightning inflow area.
  • the outer cap has a relatively large outer diameter compared to the insulator so as to increase the discharge efficiency, and the dome-shaped first cap and the second cap coupled to the radial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cap and the first cap are fixed to the rod member. Although it has a complex assembly structure that must be coupled to the rod sub-assembly, such as a variety of parts, such as a coupling member to the charging tube, insulator, charging plate,
  •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metal support 300, a flat ground electrode 100, a charging electrode 200, the insulating support 400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parts is significantly reduced, the total weight of the lightning arrester is about 5 ⁇ It can be seen that the 7kg reduction is extremely easy to assem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낙뢰 전류를 분산하는 사장교의 낙뢰 보호 장치"는, 사장교에 설치된 피뢰침(40), 피뢰침과 대지와 전기적인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접지체 (80), 피뢰침과 접지체를 연결하는 인하도선(50), 사장교의 주탑과 교량상판을 연결하는 지지케이블(30), 상기 다수의 지지케이블 중 최상부 지지케이불상에 하나이상의 다수의 절연지지체(90)로 지지되고 인하도선(50)과 피뢰침(50)의 하단에서 접속되는 지지케이블상의 보호용 낙뢰유도선(60), 지지케이블과 병설되고 지지케이블의 양끝단 부분에서 인하도선(50) 및 접지체(80)과 접속되는 지지케이블에 병설되는 전류분산용 도체(70)로 구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뇌운에 극성에 따라 뇌운에서 대지로 하향방전 하는 낙뢰(이하 하향낙뢰 라 합니다)이든, 대지에서 뇌운으로 상향방전하는 낙뢰(이하 상향낙뢰 라 합니다) 이든 사장교에 설치된 피뢰침 또는 지지케이블을 통하여 낙뢰가 유입 된 경우 낙뢰전류(낙뢰에 의하여 유입된 전류)는 인하도선과 각각의 지지케이블에 병설된 전류분산용 도체로 분산되어 흐르게 됨으로서 지지케이블 특히 지지케이블을 이루는 강철소선의 집합체로 흐르는 전류를 최소화 시킴으로서, 지지케이블에서 발생되는 발열 즉 낙뢰전류와 강철소선의 집합체의 전기저항에 의한 주울열에 의한 지지케이블에서의 화재 또는 열에 의한 지지케이블의 기계적 강도를 저하를 방지하여 사장교의 안정 성을 확보 할 수 있으며, 아울러 뇌운의 극성에 따라 방전개시 전압의 편차를 최소화 한 쌍극자 피뢰침을 구비함으로서 인하도선과 전류 분산용 도체에 흐르는 전류 크기의 편차가 최소화됨으로서 사장교량의 피뢰설비 설계시 인하도선과 전류 분산용 도체의 용량 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낙뢰 전류를 분산하는 사장교의 낙뢰 보호 장치"이다. 또한 지지케이블(30)로 유입되는 낙뢰 방지를 위하여 지지케이블(30)마다 피뢰침을 설치하고 인하도선을 각각설치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어서 하나의 피뢰침으로 사장교 지지케이블마다 피뢰장치를 설치하는 복잡성, 시공성, 경제성이 우수한 낙뢰 전류를 분산하는 사장교의 낙뢰 보호 장치이다.

Description

낙뢰 전류를 분산하는 사장교의 낙뢰 보호 장치
본 발명은 낙뢰 전류를 분산하는 사장교의 낙뢰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장교의 지지케이블은 뇌운의 위치에 따라 근본적으로 낙뢰 유입경로가 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지지케이블로 유입된 낙뢰에 의하여 유입된 전류를 어느 한 지지케이블에 의하여만 대지와 형성되는 전류 경로를 다양한 전류경로가 될 수 있도록 하고, 지지케이블의 기계적 작용력을 담당하는 지지케이블을 구성하는 강철소선(피아노선등)으로 흐르는 전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사장교 낙뢰 유입시 사장교 케이블을 낙로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사장교 낙뢰 방지에 관한 것이다.
사장교의 지지케이블이 낙뢰에 의하여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 되고 있다.
지구 온난화 등의 낙뢰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낙뢰전류의 크기도 10×350us 50KA 이상인 고전류 낙뢰 발생이 빈번한 실정이며, 특히 사장교는 구조물 안전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는 핵심 부품이나, 사장교의 특성상 지지케이블은 그 어느 한쪽은 대지에 전기적으로 연결 되어 있고 다른 한쪽은 뇌운과 대향 하고 있는 형태의 구조적 특징을 가지고 있어 낙뢰유입의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으며, 낙뢰유입지 지지케이블은 피뢰침의 인하도선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으며, 지지케이블 자체가 하나의 저항도체로서 낙뢰전류에 의한 고열 발생가능한 전기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사장교의 주요 구성요소인 지지케이블이 낙뢰 유입시 뇌운과 대지간에 전류경로가 형성 되게 되고 지지케이블이 전류 경로가 됨으로 인하여 지지케이블의 전기저항 또는 지지케이블과 주탑 및 상판과 연결하는 연결부의 접촉저항에 의한 낙뢰전류와의 상호 작용으로 인하여, 지지케이블에 발열이 발생하고 이 발열에 의하여 지지케이블에서의 화재뿐만 아니라 지지케이블의 기계적 강도를 약화시켜 사장교의 안전에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장교의 주탑상부에 피뢰장치(일반적으로 플랭크린 돌침 형태의 피뢰침, 이하에서는 피뢰 침이라 한다)가 설정되어 있다 하나 사장교의 특성상 주탑에 설치된 피뢰침보다 낮은 위치에서 뇌운이 생성되는 경우가 비일 비재하며, 뇌운이 (+) 전하를 띠게 된 경우와, 뇌운이 (-) 전하를 띠고 있는 경우, 뇌운에 극성에 따라 대전된 뇌운에 의한 뇌운과 대지간에 섬락 진행 방향이 상이하고 주탑에 설치된 피뢰침의 형태에 뇌운과 대지간에 섬락 개시 전압도 상당한 히 큰 편차가 있어 낙뢰 전유의 크기도 다르게 됨으로 지지케이블 또는 피뢰침의 인하도선에 흐르는 전류도 상이하다.
이와 같이, 사장교에서 주탑과 교량의 상판을 연결하는 지지케이블은 피아노선과 같은 강선을 집합 결속한 도체로서 비록 나동선 등과 같은 피뢰침에 연결되는 인하도선보다 큰 저항을 가지고 있으나 도체일 뿐으로서, 사장교의 지탱 구조상 지지케이블은 교량상판을 통하여 대지와 접속된 상태이고 주탑의 결속되는 상단부는 피뢰침 역할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으로 인하여 사장교의 지지케이블에 낙뢰가 유입되어 케이블이 절단되는 사고가 발생 되면, 이로 인하여 교량안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지케이블은 교량 상판을 주탑과 연결하는 금속 도체로서 피뢰침처럼 대지와 양호한 접지 상태는 아니라 할지라도 접지된 상태이다.
이러 하다면 상향 또는 하향하는 낙뢰에 의한 전류 경로는 피뢰장치와는 연결되는 전류의 방전경로와 뇌운과 지지케이블로 이루어지는 낙뢰 전류의 방전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즉 낙뢰 발생 시 낙뢰가 피뢰장치를 통하여 뇌운과 방전경로를 형성하거나 뇌운이 지지케이블을 통하여 대지로 연결되는 방전경로를 형성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피뢰침의 설치 높이의 일정반경 하단은 피뢰침에 의하여 보호 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사장교의 지지케이블이 피뢰침 보다 더 가까운 지역에서 뇌운이 형성된 경우에는 낙뢰의 유입은 지지케이블을 통하여 대지로 흐르는 낙뢰전류의 방전경로(이하에서는 이를 전류경로라 한다)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피뢰침을 매개로 하는 대지와 뇌운 간에 전류 경로가 설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지지케이블로 낙뢰가 유입되는 경우 지지케이블 자체는 낙뢰전류가 흐르는 선로가 되어 지지케이블은 주울 열 만큼의 열이 발생한다.
더구나 지지케이블을 지지하는 주탑과 지지케이블을 연결하는 연결부 또는 지지케이블과 교량 상판을 연결하는 연결부가 대지와 전기적으로 안정적 접속을 유지하는 경우 낙뢰전류가 대지로 흡수나, 지지케이블의 저항과 낙뢰전류에 의한 주울열 발생은 피할 수 없는 것이고, 낙뢰전류는 통상 수백내지 수천 암페어 이상인 경우가 대부분임으로 지지케이블의 열화에 의한 기계적 강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로 인한 교량의 안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은 자명 하다 할 것이다.
또한 지지케이블과 연결되는 주탑 연결부 또는 교량 상판 연결부 등에서 전기적 접속이 불안정한 경우 낙뢰, 전류에 의한 직렬아크가 발생 할 수 있고, 설령 직렬아크 정도는 아니라 할지라고 연결부에 접촉저항 증가로 연결부에 서는 지지케이블의 다른 부위에 비하여 많은 열이 발생 할 수 있다.
또한 뇌운에 의한 낙뢰 전류와 전압은 수천 볼트이며, 전류 역시 수백~수천 암페어가 단시간에 도선을 통하여 대지로 방전되는 전지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피뢰침으로 유입되는 낙뢰전류를 대지와 원활히 방전 되도록 피뢰침으로부터 대지로 연결되는 인하도선은 전기저항이 0.2Ω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하고, 나동선 기준 50㎟ 이상인 전선을 사용하고 있다.
하나 사장교와 같이 다수의 강선 다발로 이루어진 지지케이블은 비록 도체라 하더라도 정상적인 인하도선 보다 저항이 크고, 전기적 특성에 관점을 둔 것이 아닌 인장강도 등 기계적 강도 측면에 관점을 둔 금속재로서, 낙뢰 유입 시 낙뢰가 가지고 있는 전류를 대지로 원활히 흡수하고자 하는 전기적 특성을 고려 한 것은 아니다.
특히 사장교와 같은 구조물는 개별 지지케이블이 뇌운과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바 비록 주탑에 피뢰침을 부설하여 낙뢰 피해를 방지 하고자 하나
지지케이블이 주탑의 피뢰침보다 뇌운에 더근접 한 경우에는 지지케이블로 낙뢰가 유입 될 수 있는 구조다.
특히 이를 해결 하고자 에서 등록된 선행문헌 1에는 지지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절연된 나동선등을 병설하여 지지케이블로 유입되는 낙뢰를 방지하고자 하는 구조의 사장교의 낙뢰 방지 구조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다.
철골조의 철근구조물 과 철근콘크리트구조체인 경우 이의 저항이 0.2Ω이하인 경우 낙뢰 전류 유입에 효과적으로 대응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건축물의 설비기준에 등에 관한 규칙 제20조 참조),이는 철근구조물이 다양한 전류 경로를 가지고 있어서 어느 한 철골 구조로 전류가 집중 되지 아니하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아니하나, 사장교처럼 지지케이블 하나 하나가 피뢰침의 인하도선 역할을 할 수 있는 경우에는 각지지 지지케이블에는 집중적으로 전류가 흐를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한 발열을 피할 수 없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장교의 지지케이블은 근본 적으로 낙뢰 유입경로가 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지지케이블로 유입된 낙뢰에 의하여 유입된 전류는 어떠한 형태로든 지지케이블의 발열을 야기 할 수밖에 없고, 낙뢰 전류가 지지케이블로 유입되어 발열에 의한 지지케이블의 손상이 된다는 문제점을 여전히 내포하고 있다.
선행문헌1에서 뇌운의 극성에 따라 상향되는 선행 방전에 의하여 낙뢰가 발생 할 경우 주탑에 설치된 피뢰 돌침에 의하여 상향되는 낙뢰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보호 될 수 있고, 최상부 지지케이블 상부에 나동선 배치로 하향 낙뢰에 대응 할 수 있다고 제시 되어 있다.
하나 사장교의 경우 지지케이블 자체가 일단은 접지되고 타단은 뇌운을 향하여 돌출된 돌침 역할을 하는 것으로 뇌운의 위치에 따라 상향 되는 낙뢰가 지지케이블 상단을 통하는 전류경로가 설정되어 뇌운과 지지케이블간에 섬락이 발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섬락되는 케이블에는 낙뢰에 의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케이블 손상을 야기 할 수 있다.
하향하는 낙뢰의 경우 최상부 지지케이블 상단에 배치된 나동선에 의하여 하향 낙뢰를 흡수 할 수 있다하나, 사장교의 지지케이블의 배치를 보면 상하로 펼쳐진 형태로서, 뇌운의 위치에 따라 최상부 지지케이블 뿐 만 아니라 최상부하단의 다른 지지 케이블로도 낙뢰 유입 가능성이 상존하게 되고,
낙뢰가 유입된 지지테이블이 인하도선 역할을 하여 대전류가 흐르게 되어 지지케이블의 손상을 야기 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항시 내포 하고 있다.
본 분야의 선행기술인 일본 등록특허 특허제 3199226호(이하 문헌1)는 낙뢰 유입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책을 제시하는 것이고, 본 발명은 어떠한 형태이든 낙뢰가 사장교의 케이블로 유입되었을 경우,
유입된 전류가 지지케이블 중 어느 하나에만 집중됨에 따른 지지케이블 손상을 최소화 하고자 하는 것으로,
선행문헌1과 본 발명은 사장교를 낙뢰로 부터 보호하고자 한다는 것에는 동일하다 할 수 있으나,
선행문헌1은 낙뢰가 사장교의 지지케이블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고, 본 발명은 낙뢰가 사장교의 지지케이블에 유입된 경우 지지케이블을 보호하고자 하는 것으로, 낙뢰로 부터 사장교를 보호하는 기술적 사상 즉 발명의 목적이 상이하고, 해결수단도 상이하며 그 구성도 상이한 발명이다.
또한 사장교 주변에서 발생 될수 있는 뇌운의 극성에 따른 뇌운과 대지간의 방전 형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양단간에 고전압이 대전된 상태에서 대전된 전극사이에 공기층을 매개로한 절연이 파괴되어 방전이 발생하는 코로나 방전 시 전자사태가 발생하는 패턴을 살펴보면,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5.11.2016] 
먼저 고전압이 대전되는 전극 중 어느 하나인 침전극에는 (+)전압을 인가하고, 다른 하나는 평판 전극으로 하여 대지에 접지한 상태에서 전자사태가 발생되어 최종적으로 전극간 절연파괴 되는 방전과정을 보면, 양이온(+)이 도5(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로 침전극 주변에는 이탈된 전자가 모이게 되고, 평판 전극쪽으로 점점 축소되는 형상으로 양이온이 형성되는 1차적인 전자 사태가 발생하며 이후 침전극 주변에는 양이온과 전자 군이 혼합된 혼합형태의 이온지역이 형성되어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의 2차 전자사태(avalanches)가 진행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5.11.2016] 
다음으로 혼합된 이온지역에서 평판전극 방향으로 음이온이 밀집되면서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의 글로우 방전이 개시되고 평판전극 방향으로 전자 군 영역에서 다시 상기한 1차적 전자사태, 제2 전자사태를 거처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5.11.2016] 
글로우 방전으로 진전 되면서 주위에 분포되는 도 5(d)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으로 진행됨에 따라 침전극에서 평판 전극 쪽으로 브레이크다운 스트림(Breakdown streamer)이 형성되면서 광이 출사 된다.
이를 낙뢰 보호 장치인 피뢰장치에 적용하여 보면
침 전극은 양전하가 대전되는 대지에 접지된 전극에 해당하는 것이고, 음전하가 대전된 평판전극은 뇌운에 해당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기존의 전통적인 피뢰침은 이를 바탕으로 하여 침 전극의 형태를 띠고 있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5.11.2016] 
다음은 고전압이 대전되는 전극 중 어느 하나인 침 전극에는 (-)전압을 인가하고, 다른 하나는 평판 전극으로 하여 대지에 접지한 상태에서의 전극사이에서 인가하여 전자사태가 발생되어 최종 전극 간 절연파괴 되는 방전과정을 보면,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5.11.2016] 
양이온(+)과 전자가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로 (-)의 침전극 주변에서 시작하여 (+)의 평판전극 쪽으로 점점 확대 되면서 확대되는 형상으로 양이온이 발생하고 양이온은 무게가 전자에 비해 무거우므로 리더 형상에 고르게 분포 되고,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5.11.2016] 
(+)의 평판 전극 쪽에는 전자가 가벼우므로 모두 쉽게 전면에 모여 형성되는 전자의 집합체 형태가 된다. 이러한 대전 상태에서 글로우 방전으로 진행 되는 과정은 양전자는 점점 침전극 쪽으로 확산되면서 집중되고 침전극 쪽에서 멀어진 부분에는 양전하 밀도가 낮아지며, 이에 따라 전자도 분산되면서 밀도가 낮아지는 양이온 주위에 분포되는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으로 진행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5.11.2016] 
이후 음이온과 양이온은 전극사이에서 상기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서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은 브레이크다운 스트림(Breakdown streamer)을 형성하고 광이 출사 된다.
상기한 바를 보면 동일한 전극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각각의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에 따라 섬락까지 전개되는 양상이 다름을 알 수 있다.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접지된 전극이 침전극의 형태로 이루어진 전통적인 피뢰장치가 활용되고 있으며, 본 발명자 역시 직격뢰 유입 확률 감소를 위한 쌍극자 원리를 이용한 피뢰 장치를 구현함에 있어, 침전극형태의 쌍극자 피뢰침을 개발하였으며,
그 대표적인 사례를 보면,
"낙뢰로부터 보호되는 물체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접지 수단에 연결되는 전도성 물질의 로드; 관형(tube)으로 이루어져 그 중심에 상기 로드가 관통하고 상기 로드 쪽으로 침형의 팁이 형성되어 있는 대전관과, 상기 대전관의 양단을 상기 로드에 결합시켜 주는 제1캡 및 제2캡으로 구성되는 대전수단; 및 상기 로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대전판을 포함하되, 상기 대전판은 제1,2대전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대전판과 제2캡 사이에는 제3,4대전판이 개재되며, 상기 제4대전판에는 원주 가장자리를 따라 요철(凹凸)이 반복 형성되고, 상기 제1,2대전판은 가장자리가 하부를 향하도록 겹쳐지며, 상기 제3대전판의 가장자리는 하부를 향하고 상기 제4대전판의 가장자리는 상부를 향하되 상기 가장자리는 서로 맞닿으며, 상기 로드에 결합되어 낙뢰를 유도하는 로드 캡이 더 구비되고, 상기 로드캡과 제1대전판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전극형 쌍극자 대전관 피뢰장치"를 특허 출원하여 등록 받은 등록특허 10-1025499호(이하 선행문헌2) 과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길이방향 일단이 결합되며 대지 전하가 대전되는 로드부재; 상기 로드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는 애자; 이웃하는 상기 애자들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로드부재와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대지 전하와 반대되는 극성이 대전되는 대전판; 상기 대전판과 애자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대전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대지 전하와 반대되는 극성을 가진 전하가 대전되는 대전관; 및 상기 로드부재의 상단에 결합되어 낙뢰를 유도하는 로드 캡을 포함하되, 상기 로드 캡은 낙뢰 유입 면적을 크게 향상시켜 방전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애자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가지며, 돔 형상의 제1 캡과, 상기 제1 캡의 반경방향 외주 둘레에 결합되는 제2 캡과, 상기 제1 캡을 로드부재에 고정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결합구멍을 형성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결합구멍에 결합되는 결합구로 구성되, 상기 결합구의 길이방향 외주둘레에는 다단형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로드 캡의 내측에는 상기 결합구를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는 걸림편을 형성한 체결플레이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극자 피뢰장치"를 특허 출원하여 등록 받은 등록특허 10-1496979호(이하 문헌3) 등 다수의 관련특허를 등록받고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하고 있다.
상기한 문헌2 및 3에 나타난 침상 형상의 쌍극자 피뢰 장치는 상기한 평판 대 침전극에서 일어나는 방전현상을 고려하여 접지전극이 대체적으로 침전극 형태로 된 것이다.
하나 상기와 같은 대전되는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에 따라 방전의 양상이 다름으로 인하여,
동일조건, 동일이격거리에서 뇌운에 해당하는 평판전극과 본 발명자가 기 개발하였든 상기한 쌍극자 피뢰 장치사이에 동일한 파형의 전압을 증가시키면서 실험한 결과를 보면
뇌운에 해당하는 평판전극에 부전압(-)전압을 인가하고 침상형상의 쌍극자 피뢰침(본 발명자가 기 개발하였든 상기한 쌍극자 피뢰 장치)에 정전압(+) 전압을 인가한 경우 절연파괴전압 즉 전극간 섬락은 130KV 이며,
이와 반대인 뇌운에 해당하는 평판전극에 정전압(+)전압을 인가하고, 침상형상의 쌍극자 피뢰침(본 발명자가 기 개발하였든 상기한 쌍극자 피뢰 장치)에 부전압(-) 전압을 인가한 경우 절연파괴전압 즉 전극간 섬락은 90KV 임을 알 수 있어, 뇌운에 대전된 전하의 극성에 따라 섬락전압의 차이가 40 KV에 달함을 알 수 있다.
상기한 실험의 결과는 본 발명자 설정한 조건에의 실험한 결과이며 전극간거리, 시험 시 실험실 조건, 쌍극자 피뢰침의 크기에 따라 달라 질수 있는 섬락 전압으로서, 평판전극에 공급되는 전압의 극성에 따라 섬락 전압의 차이가 있음 설명하기 위한 실험으로, 상기한 실험값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실험값을 제시한 것이며, 이러한 실험실에서 측정한 측정값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이하에서도 동일하다.
상기한 실험값을 추출하기 위한 실험 장치는 상기한 본 발명자의 등록 특허인 10-1025499호의 도6에 나타난 실험 장치를 활용한 것이어서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실험결과를 보면 상기한 문헌2,문헌3에 나타난 쌍극자 피뢰침을 포함하는 종래의 피뢰장치들은 뇌운에 대전되는 전하의 종류 즉 지역, 계절, 기온 등등의 요인에 의하여 뇌운의 전하의 극성이 변하는 경우 기존의 쌍극자 피뢰침은 동작특성 즉 섬락전압의 차이가 있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고, 아울러 문헌1,문헌2에 나타난 쌍극자 피뢰침은 방전과, 대전과 접지전극 등을 적층하고 , 이들을 적층구조에 따른 제조상어려움으로 인하여 원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 할 뿐 만 아니라 무거운 피뢰장치가 되어 설치, 운반, 유지보수 등에도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 하고자
낙뢰에 의하여 지지케이블로 유입된 전류를 어느 한 지지케이블에 의하여만 대지와 형성되는 전류 경로를 다양한 전류경로가 될 수 있도록 하고,
지지케이블의 기계적 작용력을 담당하는 지지케이블을 구성하는 강철소선(피아노선등)으로 흐르는 전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강철선보다 전기저항이 월등히 낮은 나동선 또는 주석도금 동선 또는 이들을 편조한 편조동선을 지지케이블을 구성하는 강철소선의 최외각에 병행설치(이하 병가라 한다)하여
지지케이블에 흐르는 전류를 분산시키는 전류 분산용 전선을 피뢰침의 인하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킴으로서 낙뢰에 의한 지지케이블에 전류 유입시 지지케이블을 구성하는 강철소선들로의 전류흐름을 최소화 한 "낙뢰 전류를 분산하는 사장교의 낙뢰 보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더나가 사장교 주변에서 발생하는 뇌운의 전하는 지역, 계절 ,온.습도의 영향 등등에 따라 뇌운의 극성이 다르게 되고, 뇌운의 극성에 따라 뇌운 접근 시 선행 방전의 방향이 상향 이거나 하향되며 이러한 선행 방전의 특성에 따라 피뢰장치의 선행 방전 개시전압의 편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탑 등에 설치하는 피뢰침을 뇌운 접근시 선행 방전을 통하여 뇌운과 대지 간에 전위를 감소시키는 쌍극자 원리를 이용한 쌍극자 피뢰침을 설치하되, 뇌운의 극성에 따른 선행방전의 개시 전압의 편차가 적은 쌍극자 피뢰침을 사용함으로서, 뇌운 극성에 따라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사장교용의 낙뢰보호 장치를 제공하고 자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선행문헌1:일본 등록특허 특허제 3199226호
선행문헌2:한국 등록특허 10-1025499호
선행문헌3:등록특허 10-1496979호
본 발명은 사장교의 지지케이블은 뇌운의 위치에 따라 근본적으로 낙뢰 유입경로가 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지지케이블에 유입된 전류를 어느 한 지지케이블에 의하여만 대지와 형성되는 전류 경로를 다양한 전류경로가 될 수 있도록 하고,
지지케이블의 기계적 작용력을 담당하는 지지케이블을 구성하는 강철소선(피아노선등)으로 흐르는 전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강철선보다 전기저항이 월등히 낮은 나동선 또는 주석도금 동선 또는 이들을 편조한 편조동선을 지지케이블을 구성하는 강철소선의 최외각에 병행설치(이하 병가라 한다)하여
지지케이블에 흐르는 전류를 분산시키는 전류 분산용 전선을 피뢰침의 인하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킴으로서 낙뢰에 의한 지지케이블에 전류 유입 시 지지케이블을 구성하는 강철소선들로의 전류흐름을 최소화 한 "낙뢰 전류를 분산하는 사장교의 낙뢰 보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더나가 사장교 주변에서 발생하는 뇌운의 전하는 지역, 계절 ,온.습도의 영향 등등에 따라 뇌운의 극성이 다르게 되고, 뇌운의 극성에 따라 뇌운 접근 시 선행 방전의 방향이 상향 이거나 하향되며 이러한 선행 방전의 특성에 따라 피뢰장치의 선행 방전 개시전압의 편차가 발생함으로 주탑 등에 설치하는 피뢰침을 뇌운 접근시 선행 방전을 통하여 뇌운과 대지 간에 전위를 감소시키는 쌍극자 원리를 이용한 쌍극자 피뢰침을 설치하되, 뇌운의 극성에 따른 선행방전의 개시 전압의 편차가 적은 쌍극자 피뢰침을 사용함으로서, 뇌운 극성에 따라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낙뢰 전류를 분산하는 사장교의 낙뢰 보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낙뢰 전류를 분산하는 사장교의 낙뢰 보호 장치는
사장교에 설치된 피뢰침(40), 피뢰침과 대지와 전기적인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접지체 (80), 피뢰침과 접지체를 연결하는 인하도선(50), 사장교의 주탑과 교량상판을 연결하는 지지케이블(30), 상기 다수의 지지케이블 중 최상부 지지케이불상에 하나이상의 다수의 절연지지체(90)로 지지되고 인하도선(50)과 피뢰침(50)의 하단에서 접속되는 지지케이블상의 보호용 낙뢰유도선(60), 지지케이블과 병설되고 지지케이블의 양끝단 부분에서 인하도선(50) 및 접지체(80)과 접속되는 지지케이블에 병설되는 전류분산용 도체(70)로 구성된 "낙뢰 전류를 분산하는 사장교의 낙뢰 보호 장치"이다.
상기에서 피뢰침은
인하도선(50)과 보호용 낙뢰유도선(60) 및 전류분산용 도체(7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금속지지체, 상기 금속지지체의 일단에 연결된 평판형 접지전극, 상기 평판형 접지전극과 이격되어 평판형 전극과 반대되는 극성으로 대전대는 금속재의 대전전극, 일단은 대전전극을 지지하고 타단은은 금속지지체 또는 평판형 접지전극을 지지하는 절연지지체로 구성되어 뇌운 접근 시 평판형 접지전극과 대전전극 사이에 방전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접지전극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침이며,
상기 평판형 접지전극은 원판형이고 대지전극은 원판형 접지전극의 원주의 외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링 형상의 대전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접지전극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침다.
상기 링 형상의 대전전극은 금속 파이프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접지전극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침이며,
상기 평판형 접지전극은 원판형이고 대전전극은 원판형 접지전극의 원주의 외측에 이격되어 동일 평면상에 구비되고, 대지전극은 금속판 또는 금속 선재 또는 금속재 파이프, 금속봉 중 어느 하나로 내부 평면 공간이 형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접지전극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평판형 접지전극 및 금속판 형상 으로된 대전전극은 빗물이 관통하는 우수공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접지전극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장침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평판형 접지전극의 끝단은 대전전극방향으로 톱니형상 또는 핀 형상의 방전 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접지전극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침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평판형 접지전극의 끝단과 대전전극의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방전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접지전극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장침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평판형 접지전극의 외주면 하부에 링형상의 대전전극이 상하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접지전극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평판형 접지전극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침에서 대전전극이 금속 파이프에 의한 링 형상인 경우, 링 형상에서의 코로나 방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금속 파이프 내부에 Na, K, Ca, Al, Pt, Cr, Mn, W, Mo, Ce, ErCl3, Nd2O3, Y2O3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 또는 합금인 상자성재료이거나, Fe, Ni, Co 및 이 금속들 간의 합금, 규소강, Permalloy, CrBr3, GdCl3 중 어느 하나인 강자성 재료이거나, FeO, MnO, NiO, CrSb, EuTe, MnTe, FeCl2, CoCl2, MnF2 중 어느 하나인 반강자성 재료이거나, Fe3O4, Ferrite, Y3Fe5O12인 페리자성재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재료를 충진 시킴으로서 자성재료가 자연환경에 노출되지 아니하고 설치된 장소의 진동에 의한 자성재료의 탈락 등에의 한 방전 특성의 변화를 최소화 평판형 접지전극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침이다.
본 발명에 따른 뇌운에 극성에 따라 뇌운에서 대지로 하향방전 하는 낙뢰(이하 하향낙뢰 라 합니다)이든, 대지에서 뇌운으로 상향 방전하는 낙뢰(이하 상향낙뢰 라 합니다) 이든 사장교에 설치된 피뢰침 또는 지지케이블을 통하여 낙뢰가 유입 된 경우 낙뢰전류(낙뢰에 의하여 유입된 전류)는 인하도선과 각각의 지지케이블에 병설된 전류분산용 도체로 분산되어 흐르게 됨으로서 지지케이블 특히 지지케이블을 이루는 강철소선의 집합체로 흐르는 전류를 최소화 시킴으로서, 지지케이블에서 발생되는 발열 즉 낙뢰전류와 강철소선의 집합체의 전기저항에 의한 주울열에 의한 지지케이블에서의 화재 또는 열에 의한 지지케이블의 기계적 강도를 저하를 방지하여 사장교의 안정성을 확보 할 수 있으며,
특히 지지케이블(30)로 유입되는 낙뢰 방지를 위하여 지지케이블(30)마다 피뢰침을 설치하고 인하도선을 각각설치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어서 하나의 피뢰침으로 사장교 지지케이블마다 피뢰장치를 설치하는 복잡성, 시공성, 경제성이 우수한 낙뢰 전류를 분산하는 사장교의 낙뢰 보호 장치"이다.
아울러 뇌운의 극성에 따라 방전개시 전압의 편차를 최소화 한 쌍극자 피뢰침을 구비함으로서 인하도선과 전류 분산용 도체에 흐르는 전류 크기의 편차가 최소화됨으로서 사장교량의 피뢰설비 설계 시 인하도선과 전류 분산용 도체의 용량 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뇌운 접근시 선행 방전을 통하여 뇌운과 대지 간에 전위를 감소시키는 쌍극자 원리를 이용한 쌍극자 피뢰침을 설치하되, 뇌운의 극성에 따른 선행방전의 개시 전압의 편차가 적은 쌍극자 피뢰침을 사용함으로서, 뇌운 극성에 따라 안정적으로 동작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사장교의 일반적 구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케이블 전류 분산용 인하도선이 연결된 낙뢰보호용 사장교 구조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케이블 전류 분산용 인하도선이 접지체에 연결구 구조 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류 분산용 인하도선이 병설된 지지케이블 단면도
도 5는 평판 대 침전극에서 평판전극에 (+) 전압을 인가하고 침전극 접지한 경우 방전 양상을 나타낸 도면
도 6는 평판 대 침전극에서 평판전극에 (-) 전압을 인가하고 침전극 접지한 경우 방전 양상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접지전극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침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접지전극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침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접지전극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침
도10은 본 발명의 자성재료를 내장한 평판형 접지 전극의 단면도
이하, 도 1 내지 도10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낙뢰 전류를 분산하는 사장교의 낙뢰 보호 장치는
사장교의 지지케이블은 뇌운의 위치에 따라 근본적으로 낙뢰 유입경로가 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지지케이블로 유입된 낙뢰에 의하여 유입된 전류를 어느 한 지지케이블에 의하여만 대지와 형성되는 전류 경로를 다양한 전류경로가 될 수 있도록 하고, 지지케이블의 기계적 작용력을 담당하는 지지케이블을 구성하는 강철소선(피아노선등)으로 흐르는 전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도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장교에 설치된 피뢰침(40), 피뢰침과 대지와 전기적인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접지체 (80), 피뢰침과 접지체를 연결하는 인하도선(50), 사장교의 주탑과 교량상판을 연결하는 지지케이블(30), 상기 다수의 지지케이블 중 최상부 지지케이불상에 하나이상의 다수의 절연지지체(90)로 지지되고 인하도선(50)과 피뢰침(50)의 하단에서 접속되는 지지케이블상의 보호용 낙뢰유도선(60), 지지케이블과 병설되고 지지케이블의 양끝단 부분에서 인하도선(50) 및 접지체(80)과 접속되는 지지케이블에 병설되는 전류분산용 도체(70)로 구성된 낙뢰 전류를 분산하는 사장교의 낙뢰 보호 장치이다.
본 발명의 낙뢰 전류를 분산하는 사장교의 낙뢰 보호 장치가 설치 된 사장교 주변에 뇌운이 형성 된 경우 뇌운과의 거리에 따라 또는 뇌운의 극성에 따라,
뇌운과 피뢰침(40) 또는 뇌운과 낙뢰유도선(60) 또는 뇌운과 지지케이블(30)사이에 후술하는 도5 또는 도6에 도시한 형태의 선행방전이 개시되고, 뇌운 과의 거리 또는 습도등의 상태등의 섬락 조건이 성립되는 상향 또는 하향되는 섬락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낙뢰에 의한 유입 전류가 인하도선(50), 또는 지지케이블(30)의 강철소선(30-1)의 집합체 와 전류분산용도체(70) 또는 낙뢰유도선(60)흐르게 된다.
통상적으로는 사장교 주탑등에 설치된 피뢰침(40)과 뇌운이 섬락하게 되며, 인하도선을 통하여 낙뢰에 의한 유입전류가 대부분 흐르게 되고, 일부 분산되어 강철소선(30-1)의 집합체 와 전류분산용도체(70)를 통하여 흐르게 됨으로 강철소선(30-1)에서의 발열은 미미하게 된다.
사장교의 특성상 뇌운이 피뢰침(40)보다 낙뢰유도선(60)에 더 근접하여 낙뢰유도선(60)과 뇌운이 섬락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이때에는 낙뢰유도선(60)이 피뢰침(40)의 하단에 인하도선(50)과 연결되어 대부분의 유입전류가 인하도선(50)으로 흐르게 되고 상대적으로 전기저항이 큰 지지케이블(30)의 강철소선(30-1)의 집합체로는 흐르게 되지 아니하고 설령 유입된다 하여도 철소선(30-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병설된 전류분산용도체(70)로 흐르게 되어
강철소선(30-1)에서의 발열은 미미하게 된다.
또한 사장교의 구조적 특징을 보면 사장교의 교량상판(20)과 주탑(10)을 연결하는 지지케이블(30)은 금속제로된 연결되게 됨으로 일단이 교량상판(20)과 일정 저항값을 가진 접지 상태이고, 주탑(10)과의 연결부는 뇌운을 향하는 돌침과 같은 구조여서 지지케이블(30)이 돌침과 연결된 인하도선과 같은 역할을 하는 피뢰장치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감은 상태에서 상기한 피뢰침(40) 또는 낙뢰유도선(60)보다 주탑(10)을고 연결되는 지지케이블(30)의 접속부가 뇌운에 더 접근되어 낙뢰가 유입된 경우 지지케이블(30)은 인하도성이 되어 낙뢰에 의한 유입전류가 모두 지지케이블(30)의 강철소선(30-1)로 흐르게 되어 강철소선(30-1)을 발열하게 될수 있고,
지지케이블(30)의 접속부의 전기적 접속불량 , 또는 접촉저항이 큰 경우 직렬아크가 발생하여 지지케이블(30)의 단선을 유발 할 수 있다.
하나 본 발명과 같이 지지케이블(30)의 의 구조를 도전성이 우수한 나동선 또는 주석도금 동선, 소선을 편조하거나 연합한 도체로 이루어진 전류분산용도체(70)을 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강철 소선(30-1)에 병설하여 집합시켜 일체로한 지지케이블(30)을 구성하고,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케이블(30)을 주탑(10) 과 접속하는 접속부와 교량 상판(20)을 접속하는 접속부 전단에서 인출하여 각각을 인하도선(50) 및 접지체(80)에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 인하여,
지지케이블(30)에 유입된 낙뢰 전류가 전류분산용도체(70)를 통하여 흐르게 되고 더나가 낙뢰가 유입되지 아니한 전류분산용도체(70)등으로 분산되어 흐르게 되어, 지지케이블(70)이 낙뢰전류에 의한 손상을 방지 할 수 있다.
더나가 지지케이블(30)의 주탑과 연결된 접속부는 전기적으로 전류분산용도체(70)와 인하도선(50) 및 후술하는 쌍극자 피뢰침(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쌍극자피뢰침이 지지케이블(30)의 주탑 과 연결된 접속부에 설치된 것 과 같은 것이 된다.
또한 지지케이블(30)로 유입되는 낙뢰 방지를 위하여 지지케이블(30)마다 피뢰침을 설치하고 인하도선을 각각설치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어서 하나의 피뢰침으로 사장교 지지케이블마다 피뢰장치를 설치하는 복잡성, 시공성, 경제성이 우수한 낙뢰 전류를 분산하는 사장교의 낙뢰 보호 장치이다.
상기에서 전류분산용도체(70)가 지지케이블(30)을 구성하는 강철소선(30-1)과 집합시킨 구조의 지지케이블(30)을 도4를 예시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이는 지지케이블(30)을 생산단계에서 생산한 경우를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기 사용중인 전류분산용 도체(70)가 지지케이블(30)에 일체로 연합되지 아니한 지지케이블(30)인 경우에는 상기한 지지케이블상의 보호용 낙뢰 유도선(60)을 설치하듯이 지지 케이블상에 도전성이 우수한 나동선, 주석도금선, 이들을 편조하거나 연합한 도체를 지지케이블(30)을 보호하는 보호 피복(30- 2)상에 설치하여 상기 전류분산용도체(70)를 접속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시공 할 수 있다.
또한 지지케이블(30)을 보호하는 보호 피복(30- 2)을 강철소선보다 도전률이 높은 금속으로 하고 이를 상기한 전류분산용도체(70)를 접속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시공 할 수 있다.
지지케이블상의 보호용 낙뢰유도선(60)을 설치방법은 본 발명에서 제시된 선행문허1등에 나타난 공지된 기술을 활용하여 지지 할 수 있는 정도이면 되는 것이어서 구체적 설명을 생략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피로침은 쌍극자피뢰 침으로서 도7내지 도10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 하고자 한다.
본발명에서 활용되는 쌍끄자 피뢰침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접지전극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침은 고정플레이트(도시하지 아니함) 또는 건물의 외부에 지지부(도시하지 아니함)에 일단이 결합되거나 고정되며 전선 등을 통하여 도시하지 아니한 대지에 매설된 접지체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금속지지체(300)와
금속지지체(300)에 나사결합 또는 용점 등의 기계적 결합에 의하여 결합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된 금속재질의 평판형 접지전극(100)과
뇌운 접근 시 평판형 접지전극(100과 반대극성으로 대전되는 금속선, 금속 파이프, 금속 판, 금속 봉 등으로 만들어진 내부 평면 공간이 형성된 대전전극(200)과
대전전극(200)을 평판형 접지전극(100)과 일정거리 이격되게 고정하여 즉 뇌운접근 시 대전전극(200)과 접지전극(100)사이에 방전이 일어 날수 있도록 간극을 유지하도록 하는 대전전극(200)과 접지전극(100) 또는 대전전극(200)과 금속지지체(300)사이를 연결하도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도록 하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절연지지체(400)로 구성된 평판형 접지전극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침이다.
상기에서 내부 평면 공간이라 함은 대전전극(200)이 금속선, 금속면, 금속봉, 금속 파이프 등에 의하여 폐쇄된 루프를 형성한 내부 공간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링 형상(도우넛 형상)을 도시하고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 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자가 필요에 따라 형상변경 가능 한 것이다.
먼저, 상기 평판형 접지전극(100)은 상기한바와 같이 금속지지체(300)의 일단에 나사결합 되거나 용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이고, 궁극적으로 대지에 접지된 상태이며, 뇌운의 접근시 뇌운과 대지간의 대향전극 역할을 하는 전극이며 ,이는 평판형상의 원판 형태이다.
대전전극(200)과의 방전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원주면 일부, 또는 전부 가공하여 톱니형상으로 하거나 핀 형상 (원형 톱형상)으로 가공한 원주상에 형성된 대전전극방향(200)으로 향하는 방전핀(110)을 더 구비 할 수 있는 평판형 접지 전극(110)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접지전극을 평판형 원판이라 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뇌운 방향으로 평면을 유지 하면서 상기한 대전전극의 형상에 대응되는 다양한 모양으로 변경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평판형 접지전극(100)이 평판 형상임으로 빗물 등이 배수 될 수 있는 우수공(120)을 구비 할 수 있다.
또한 평판형 접지전극(100)에는 뇌운 접근하여 뇌운과 섬락이 되기 전까지, 평판형 접지전극(100)과 대전전극(200)사이에서 상기한 종래의 기술 등에서 설명된 본 분야의 공지된 쌍극자 원리에 의한 방전이 발생 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 이격된 대전전극(200)을 지지하는 전극간지지절연체(410)가 구비 되어 있다.
여기서 전극간지지절연체(410)는 지지부위를 달리하여 별도의 명칭을 부여 하였으나 실질적으로 지지 부위만 다를 뿐 절연지지체 (400)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전극간지지절연체(410)는 절연지지체(400)에 포함되는 한 종류에 해당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1에 나타난바와 같이 접지전극(100)과 대전전극(200)을 전극간지지절연체(410)로 연결 지지하는 구조를 제1실시예 라 한다.
전극간지지절연체(410)는 상기한 절연지지체(400)와 동일한 기능과 재질로 이루어지며 전극간지지절연체(410)는 도시하지 아니하나 나사 또는 클립구조의 연결부가 구비되어 평판형 접지전극(100)과 대전전극(200)을 고정지지 한다.
전극간지지절연체(410)는 본 분야에서 관용적으로 활용되는 절연애자를 활용 할 수 있으며, 연면 절연거리 확보를 위하여 표면을 물결형상(파형형상이라고도 한다)의 요철구조를 구비 할 수 있다.
대전전극(200)역시 평판형 접지전극(100)과 같은 재질의 금속재를 사용 할 수 있으며
금속 파이프, 금속선, 금속 봉, 금속 판을 이용하여 링 형상(도우넛 형태)으로 가공된 것이며, 이 링 형상의 내부 공간에는 일정간격 이격된 평판형 접지전극(100)이 배치된 구조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대전전극(200)을 도우넛 형태를 기본으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을 다시 한 번 밝혀둔다.
이 역시 평판형 접지전극(100)방향으로 방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방전핀을 구비 할 수 있으며, 상기에서는 설명한 바와 같이 평판형 접지전극(100)과 동일 편면 상에서 전극간지지절연체(410)로 결합 될 수 있으며, 제2 실시예인 도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금속지지체(300)에 결합되는 절연지지체(400)에 의하여 지지 될 수 있다.
대전전극(200)과 금속지지체(300)를 지지 결합하는 절연지지체(400)는 본 분야에서 관용적으로 활용되는 절연애자를 활용 할 수 있으며, 우수 시 연면 절연거리 확보를 위하여 표면을 물결형상(파형형상이라고도 한)의 요철구조를 구비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대전전극(200)과 평판형 접지전극(100)을 동일평면상에 수평 배치하되 도우넛 형상의 대전전극(200)내부 평판형 접지전극(100을 배치하여
뇌운 접근시 대전전극(200)과 평판형 접지전극(100)사이에 방전이 발생하는 구조의 쌍극자 피뢰침에 대하여 설명 하였으나, 눈이 많이 오는 지역에서는 대전전극(200)과 평판형 접지전극(100)사이에 적설에 의한 전기적 도통이 발생하는 경우 본 발명의 고유 기능인 쌍극자에 의한 방전이 발생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 한다.
이에 대비하여 상기한 수평배치구조의 본 발명(제1 및 제2실시예)과 동작 원리는 동일하나 평판형 접지전극(100)을 대전전극(200) 상부에 배치하는 구조의 제3 실시예를 도3을 활용하여 설명한다.
도3에 나타난 바를 보면
대전전극(200)과 금속지지체(300)를 상기한 절연지지체(400)에 의하여 지지결합하며 평판형 접지전극(100)이 원주면 하단의 일부가 대전전극(200)을 형성하는 링 상부만을 덮는 구조이며 이를 부연설명하면 대전전극(200)은 평판형 접지전극(100)의 가장자리 하부에 이격되어 일부 중첩되게 함으로서, 눈이 내리는 경우에도 대전전극(200)과 평판형 접지전극(100)사이에 절연상태를 유지 할 수 있어 쌍극자에 의한 방전에 방해 받지 아니한 평판형 접지전극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침을 구현 할 수 있다.
더나가 대전전극(200)과 평판형 접지전극(100)사이에 방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한 상하로 대전전극(200)과 평판형 접지전극(100)마주 보는 부분에 방전핀 (110)을 더 구비 할 수 있다.
이 경우 평판형 접지전극(100)의 우수공(120)은 대전전극(200)과 평판형 접지전극(100)이 겹쳐지는 부분에는 설치하지 아니한다.
상기한 1,2,3실시예 모두에서 방전핀은 대전전극(200)과 평판형 접지전극(100)마주 보는 부분에 설치되며, 어느 한쪽에만 설치 또 양쪽모두 설치 할 있으며, 양쪽모두에 설치하는 경우 빗살(110)처럼 서로 일정간격 두고 교차되게 설치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제4 실시예는 도시 하지 아니하나,
대전전극(200)이 금속 파이프에 의한 링 형상인 경우,
링 형상에서의 코로나 방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금속 파이프 내부에 Na, K, Ca, Al, Pt, Cr, Mn, W, Mo, Ce, ErCl3, Nd2O3, Y2O3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 또는 합금인 상자성재료이거나, Fe, Ni, Co 및 이 금속들 간의 합금, 규소강, Permalloy, CrBr3, GdCl3 중 어느 하나인 강자성 재료이거나, FeO, MnO, NiO, CrSb, EuTe, MnTe, FeCl2, CoCl2, MnF2 중 어느 하나인 반강자성 재료이거나, Fe3O4, Ferrite, Y3Fe5O12 인 페리자성재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재료를 충진 시킴으로서 자성재료가 자연환경에 노출되지 아니하고 설치된 장소의 진동에 의한 자성재료의 탈락 등에의 한 방전 특성의 변화를 최소화 하면서,
평판형 접지전극(100)과 대전전극(200)사이에 방전이 개시된 이후에는 방전전류를 종래의 쌍극자 피뢰 장치에 비하여 증가시킨 평판형 접지전극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침을 구현 할 수 있으며, 이는 기존의 쌍극자 피뢰침에 자성물질을 코팅하여 방전 전류를 증가시키는 쌍극자 피뢰침에서 진동 등에 의항 자성재료의 탈락, 자연노출에 다른 산화 등으로 인한 방전 특성변화를 본 발명에 따른 대전전극(200)이 금속 파이프로 되어 있고 이 파이프 내부에 자성 재료를 충진 함으로서 실현 될 수 있는 것이다. 쌍극자 피뢰침에서 자성물질에 의한 내부 분극현상 극대화로 방전전류를 증가시키는 사실은 본 발명자가 등록 받은 한국등록 특허 10-1512025에 개시된바 있어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1 및 제4 실시예 에서 평판형 접지전극(100)은 도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두 개의 금속판사이에 자성재료를 내장한 구조로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작용과정 및 작용효과는 상기한 대전전극(200)이 금속 파이프에 의한 링 형상인 경우에 자성물질을 내장시킨 경우와 동일하며, 자성재료의 종류 역시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며, 자성재료의 두께 및 내장방법은 한국등록 특허 10-1512025에 나타난 기술을 활용하는 것이어서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뇌운의 접근 시 접지전극과 접지전극과는 반대 극성으로 대전되는 대전전극 사이에 방전이 발생하는 쌍극자원리에 의한 방전이 발생된다는 사실과 방전 발생이 섬락전압에 영향을 미치는 사실 등 본 발명에서 활용되는 쌍극자를 채용한 피뢰장치의 동작은 상기한 특허문헌 등에 나타나 원리와 동일하여 생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판형 접지전극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침을 본 발명자의 등록 특허인 10-1025499호의 도6에 나타난 실험 장치를 활용하여,
뇌운에 해당하는 평판전극에 부전압(-)전압을 인가하고 본 발명의 평판형 접지전극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침에 정전압(+) 전압을 인가(대지에 접속)한 경우 절연파괴전압 즉 전극간 섬락은 170KV이며,
이와 반대인 뇌운에 해당하는 평판전극에 정전압(+)전압을 인가하고, 본 발명의 평판형 접지전극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침에 부전압(-) 전압을 인가(대지에 접속)한 경우 절연파괴전압 즉 전극 간 섬락은 150KV 임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평판형 접지전극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침은 뇌운의 극성에 다른 편차가 20 KV 임을 알 수 있다.
상기한 실험결과를 보면 본 발명의 평판형 접지전극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침은 뇌운에 극성변화에 따라 기존의 쌍극자 피뢰침에 비하여 섬락전압의 편차가 50%이상 감소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문헌1,문헌2에 나타난 쌍극자 피뢰침은 방전관, 대전판, 접지전극 등을 적층하고 , 이들을 적층하여 쌍극자에 의한 방전이 발생하도록 하기 위하여,
로드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는 애자, 이웃하는 상기 애자들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로드부재와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대지 전하와 반대되는 극성이 대전되는 대전판, 대전판과 애자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대전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대지 전하와 반대되는 극성을 가진 전하가 대전되는 대전관, 로드부재의 상단에 결합되어 낙뢰를 유도하는 로드 캡, 상기 로드 캡은 낙뢰 유입 면적을 크게 향상시켜 방전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애자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가지며, 돔 형상의 제1 캡과 상기 제1 캡의 반경방향 외주 둘레에 결합되는 제2 캡과 상기 제1 캡을 로드부재에 고정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등 다양한 부품과 대전관, 애자, 대전판 등을 로드부제에 결합하여야 하는 복잡한 조립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바와 같이 금속지지체(300), 평판형 접지전극(100), 대전전극(200), 절연지지체(400)로 구성됨으로서 부품수가 현저히 감소하고, 피뢰장치의 전체 중량이 약 5~7kg 감소하며 조립이 극히 용이함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낙뢰 전류를 분산하는 사장교의 낙뢰 보호 장치에 있어서,
    사장교에 설치된 피뢰침(40), 피뢰침과 대지와 전기적인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접지체(80), 피뢰침(40)과 접지체(80)를 연결하는 인하도선(50), 사장교의 주탑(10)과 교량상판(20)을 연결하는 지지케이블(30), 상기 다수의 지지케이블 중 최상부 지지케이불 상에 하나 이상의 다수의 절연지지체(90)로 지지되고, 인하도선(50)과 피뢰침(50)의 하단에서 접속되는 보호용 낙뢰유도선(60), 지지케이블과 병설되고 지지케이블의 양끝단 부분에서 인하도선(50) 및 접지체(80)와 접속되는 전류분산용 도체(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 전류를 분산하는 사장교의 낙뢰 보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피뢰침(40)은,
    지지부에 일단이 결합되거나 고정되며 대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금속지지체(300)와,
    금속지지체(300)에 기계적 결합에 의하여 결합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된 평판형 접지전극(100)과,
    뇌운 접근 시 평판형 접지전극(100과 반대극성으로 대전되는 금속선 또는 금속 파이프 또는 금속 판 또는 금속 봉 중 어느 하나로 만들어진 내부 평면 공간을 형성한 대전전극(200)과,
    뇌운접근 시 대전전극(200)과 접지전극(100)사이에 방전이 일어 날수 있도록 간극을 유지하면서 대전전극(200)과 접지전극(100) 또는 대전전극(200)과 금속지지체(300)를 지지하고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도록 하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절연지지체(400)로 구성되며,
    상기한 대전전극(200)의 내부 평면 공간에 접지전극(100)이 배치되며, 대전전극(200)과 접지전극(100)이 동일 평면상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 전류를 분산하는 사장교의 낙뢰 보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피뢰침(40)은,
    지지부에 일단이 결합되거나 고정되며 대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금속지지체(300)와,
    금속지지체(300)에 기계적 결합에 의하여 결합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된 평판형 접지전극(100)과,
    뇌운 접근 시 평판형 접지전극(100)과 반대극성으로 대전대는 금속선재 또는 금속 파이프, 또는 금속판 또는 금속봉 중 어느 하나로 만들어진 내부 평면 공간을 형성한 대전전극(200)과,
    뇌운접근 시 대전전극(200)과 접지전극(100)사이에 방전이 일어 날수 있도록 간극을 유지하면서 대전전극(200)과 금속지지체(300)를 지지하고 전기적으로 절연 될 수 있도록 하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절연지지체(400)로 구성되며,
    상기한 대전전극(200)은 평판형 접지전극(100)의 가장자리 하부에 일부 중첩되게 배치되어 평판형 접지전극(100)과 대전전극(200)이 뇌운 접근 시 방전이 발생 될 수 있도록 상하로 대향되면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 전류를 분산하는 사장교의 낙뢰 보호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평판형 접지전극(100)에 우수 시 빗물이 관통하는 우수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 전류를 분산하는 사장교의 낙뢰 보호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절연지지체(400)는 연면거리 확보를 위하여 요철부 또는 굴곡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 전류를 분산하는 사장교의 낙뢰 보호 장치.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평판형 접지전극(100)은 원판이며 대전전극(200)은 원형 링(도우넛 형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 전류를 분산하는 사장교의 낙뢰 보호 장치.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대전전극(200)은 금속 파이프이며, 금속 파이프 내부에는 Na, K, Ca, Al, Pt, Cr, Mn, W, Mo, Ce, ErCl3, Nd2O3, Y2O3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 또는 합금인 상자성재료이거나, Fe, Ni, Co 및 이 금속들 간의 합금, 규소강, Permalloy, CrBr3, GdCl3 중 어느 하나인 강자성 재료이거나, FeO, MnO, NiO, CrSb, EuTe, MnTe, FeCl2, CoCl2, MnF2 중 어느 하나인 반강자성 재료이거나, Fe3O4, Ferrite, Y3Fe5O12인 페리자성재료 중 어느 하나가 들어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 전류를 분산하는 사장교의 낙뢰 보호 장치.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접지전극(10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두 개의 금속판사이에 Na, K, Ca, Al, Pt, Cr, Mn, W, Mo, Ce, ErCl3, Nd2O3, Y2O3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 또는 합금인 상자성재료이거나, Fe, Ni, Co 및 이 금속들 간의 합금, 규소강, Permalloy, CrBr3, GdCl3 중 어느 하나인 강자성 재료이거나, FeO, MnO, NiO, CrSb, EuTe, MnTe, FeCl2, CoCl2, MnF2 중 어느 하나인 반강자성 재료이거나, Fe3O4, Ferrite, Y3Fe5O12인 페리자성재료 중 어느 하나가 들어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 전류를 분산하는 사장교의 낙뢰 보호 장치.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대전전극(200)과 접지전극(100)이 대향되는 면에는 뇌운 접근 시 방전이 용이하도록 방전핀(11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 전류를 분산하는 사장교의 낙뢰 보호 장치.
PCT/KR2016/010229 2015-12-14 2016-09-12 낙뢰 전류를 분산하는 사장교의 낙뢰 보호 장치 WO2017104939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80081737.8A CN108701971B (zh) 2015-12-14 2016-09-12 分散雷电流的斜拉桥的防雷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335 2015-12-14
KR1020150178335A KR101605511B1 (ko) 2015-12-14 2015-12-14 낙뢰 전류를 분산하는 사장교의 낙뢰 보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04939A1 true WO2017104939A1 (ko) 2017-06-22

Family

ID=55799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0229 WO2017104939A1 (ko) 2015-12-14 2016-09-12 낙뢰 전류를 분산하는 사장교의 낙뢰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05511B1 (ko)
CN (1) CN108701971B (ko)
WO (1) WO20171049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40314A (zh) * 2020-07-21 2020-10-02 山东中呈防雷科技有限公司 一种高铁用无源电晕场驱雷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214B1 (ko) 2016-04-06 2016-09-13 반윤명 뇌운 감지 및 경보 시스템이 구비된 교량
KR101706974B1 (ko) * 2016-07-04 2017-02-15 수풍산업 주식회사 출렁다리 시스템
KR101793718B1 (ko) 2017-07-14 2017-11-03 주식회사대명전력 설치가 용이한 송배전용 피뢰침 고정 프레임
KR102162956B1 (ko) 2018-01-18 2020-10-07 다올이앤씨 주식회사 케이블 교량의 낙뢰보호 케이블 장력 도입방법
KR102200895B1 (ko) 2018-06-28 2021-01-11 다올이앤씨 주식회사 케이블 교량의 낙뢰보호 케이블 장력 도입방법
KR102269284B1 (ko) 2019-01-22 2021-06-30 주식회사 와이즈전기 사장교 케이블에 대한 낙뢰 보호 구조
CN109680600B (zh) * 2019-02-20 2024-02-20 广东省气象公共安全技术支持中心 桥梁防雷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9226B2 (ja) * 1996-12-24 2001-08-13 鹿島建設株式会社 斜張橋の対雷保護方法
KR100462440B1 (ko) * 2002-10-01 2004-12-29 정용기 공간전하 분산형 피뢰장치
KR100787576B1 (ko) * 2007-01-12 2007-12-21 정용기 피뢰장치
KR101025499B1 (ko) * 2010-08-24 2011-04-04 (주)의제전기설비연구원 평판 전극형 쌍극자 대전관 피뢰장치
KR101496979B1 (ko) * 2013-11-07 2015-03-02 한국산업은행 쌍극자 피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403211U (zh) * 2011-12-28 2012-08-29 中铁工程设计咨询集团有限公司 桥梁斜拉索灯具安装装置
CN103321149B (zh) * 2013-06-21 2015-09-16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桥梁桥塔避雷针内置式安装平台及用其安装避雷针的方法
JP3199226U (ja) * 2015-06-01 2015-08-13 清治 荻原 半鐘叩き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9226B2 (ja) * 1996-12-24 2001-08-13 鹿島建設株式会社 斜張橋の対雷保護方法
KR100462440B1 (ko) * 2002-10-01 2004-12-29 정용기 공간전하 분산형 피뢰장치
KR100787576B1 (ko) * 2007-01-12 2007-12-21 정용기 피뢰장치
KR101025499B1 (ko) * 2010-08-24 2011-04-04 (주)의제전기설비연구원 평판 전극형 쌍극자 대전관 피뢰장치
KR101496979B1 (ko) * 2013-11-07 2015-03-02 한국산업은행 쌍극자 피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40314A (zh) * 2020-07-21 2020-10-02 山东中呈防雷科技有限公司 一种高铁用无源电晕场驱雷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701971B (zh) 2020-02-14
CN108701971A (zh) 2018-10-23
KR101605511B1 (ko) 2016-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04939A1 (ko) 낙뢰 전류를 분산하는 사장교의 낙뢰 보호 장치
RU2537037C2 (ru) Токоотвод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розозащиты электрооборудования и линия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снабженная таким устройством
KR101354017B1 (ko) 갭리스 타입의 애자형 피뢰기
KR101945144B1 (ko) 가공 선로용 애자 장치
HRP20030623A2 (en) Electrical insulators, materials and equipment
CA2338566C (en) Creeping discharge lightning arrestor
US4398057A (en) Arc protection arrangement for covered overhead power distribution lines
Rocha et al. New technologies, standards, and maintenance methods in spacer cable systems
US4396794A (en) Arc protection clamp and arrangement for covered overhead power distribution lines
He et al. Discussion on measures against lightning breakage of covered conductors on distribution lines
US20070183112A1 (en) Spark gap arrestor
RU171093U1 (ru) Шлейфовый мультикамерный разрядник
US20090218208A1 (en) Disconnector and a support insulator therefor
Nakada et al. Distribution arrester failures caused by lightning current flowing from customer's structure into distribution lines
WO2017086585A1 (ko) 평판형 접지전극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장치
Yokoyama Lightning protection of overhead power distribution lines—Outage aspects, mitigation methods and future projects
JP7097728B2 (ja) 電車線路の異常電圧防護装置
US3328640A (en) Electrical conductor system
WO2023191287A1 (ko) 몰드 변압기
US3360686A (en) Lightning protection assembly for overhead lines
Ueda et al. Risk Assessment of Surge Arresters for Efficient Maintenance of Medium-voltage Distribution Lines
Peterlin Guidelines for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provision in power plants and substations
Hu et al. Development and Tests of a 220 kV Novel Composite Insulator with Lightning Protection and Icing Flashover Prevention
JPH10285794A (ja) 配電線耐雷方式
Yokoyama et al. Designing Method of Insulation Strength and Lightning Protection for Overhead Power Distribution L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7588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7588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