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57846A1 - 착용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착용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57846A1
WO2017057846A1 PCT/KR2016/009098 KR2016009098W WO2017057846A1 WO 2017057846 A1 WO2017057846 A1 WO 2017057846A1 KR 2016009098 W KR2016009098 W KR 2016009098W WO 2017057846 A1 WO2017057846 A1 WO 201705784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ire
band
buckle
detection sensor
fix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909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상영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690001227.0U priority Critical patent/CN208188783U/zh
Publication of WO201705784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5784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 detection sensor and a wearab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the wearable device In the case of such a wearable device, it is easy to carry, and thus, the wearable device has been spotlighted as a next-generation device that can replace a general terminal mobile phone.
  • the wearable device may be worn on a part of the user's body, neck, head, wrist, etc., and when the existing touch panel is applied as it is, the input of the wearable device may be difficult and the advantages of the wearable may be faded.
  • the wearable device needs sensors that can provide an interface suitable for wearable device characteristics, away from the existing touch sensors that merely grasp the touch position.
  • Embodiments provide a wear detection sensor optimized for a wearable device and a wearab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the wear detection sensor is a wear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worn on the wearable device having a band, a fastener connecting the band and the body, the wear detection sensor, disposed on the fastener, the conductive buckle; A fixing pin disposed in the fastener and having conductivity; A first wire having a first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ckle; And a second wire having a first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xing pin, the second end of the first wire extending to the band side, and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wire extending to the band side, The second end of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wir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 the first end of the first wire and the first end of the second wir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 one end of the fixing pin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connection bar.
  • the first connection bar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xing pin, and the elastic member may apply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fixing pin is separated from the buckle.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bar and the elastic member.
  • the elastic member may be a torsion spring, and the torsion spring may include a spring part, a first arm disposed at one end of the spring part, and a second arm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spring part.
  • One end of the fixing pin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arm, and the second wire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arm.
  • the fixing pin may include a body and a hea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uckle, the diameter of the head portion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dy.
  • the buckle may further include a concave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head portion.
  • the outer surface of the buckle and the fixing pin may be insulation coated.
  • the bonding surface of the buckle and the fixing pin may be exposed from the insulating coating.
  • the buckle is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in and includes a first junction having a first polarity
  • the fixing pin is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buckle and includes a second junction having a second polarity. can do.
  • a power source is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 first connection wire connecting the second end of the first wire and the power source, and a second connection wire connecting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wire and the power source. It may further include.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nnection bar that detachably couples the main body and the band, and the second connection bar may include the first connection wire and the second connection wire.
  • the main body includes a coupl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and, the partial region of the band is coupled in contact with the coupling portion, disposed in a partial region of the band and connected to the second end of the first wire and from the band
  •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region, which is an exposed conductive region, and a second region, which is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second wire and is exposed from the band.
  •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ntact region disposed in the coupling portion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gion, and a second contact region disposed in the coupling portion a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egion. Can be.
  • main body and the band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electric wire and the second electric wire may extend directly into the main body to be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 the wearable device including the wear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provided.
  • a wearable device in another aspect, includes a wearable device including a band, a fastener connecting the band, and a main body, the wearable sensor disposed on the fastener and detecting a user's wearing by using a switch principl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Other sensors for sensing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wear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wear detection sensor.
  • the controller may execute the deep sleep control mode when the wear detection sensor receives the non-wear detection signal.
  • control unit may generate a position departure signal and a loss signal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ear detection sensor and the other sensor.
  • the wear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a wear detection sensor optimized for a wearable device, and can accurately detect whether the user wears the wearable device with a simple structure, fast response speed, and low power.
  • the wear detection sensor can accurately detect wear of the wearable device as a digital signal using a simple switching principle without processing analog signals generated by the wear on the user.
  • the wear detection sensor detects wearing only by power, wires, and fasteners, and thus, wear can be detected without a dedicated IC for a separate detection, thereby reducing costs.
  • the wear detection sensor has an advantage that the response speed is fast because the signal processing is unnecessary by using the electrical switching principl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earable device applicable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lan view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a detection method of the wear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ear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5.
  •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6.
  • FIG 8 shows a method of connecting a wire and a power 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shows a method of connecting a wire and a power sour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shows a method of connecting a wire and a power sour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shows a method of connecting a wire and a power sour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shows a deep sleep mod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wo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departure no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5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departure notific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Wearable devices that can be worn by the user may include a neckband type device worn on the user's neck, a headset type device worn on the user's head, or a watch type device worn on the user's wrist. Can be.
  • the embodiment describes a watch type wearable device among the wearable devices as a remote control device, the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the above-described various types of wearable device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earable device applicable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earable device 100 may include a main body 201, a band 204, and a wear detection sensor 300.
  • the body 201 may include a case forming an appearance.
  •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may be provided in the case of the main body 201.
  • some of the units shown in FIG. 12 may be disposed within the body 201.
  • main body 201 may be separated and fastened into a first case and a second case to provide an inner space.
  • a display unit 151 (refer to FIG. 12) may be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201 to output information.
  • the touch sensor may be disposed on the display unit 151 and provided as a touch screen.
  • the touch screen may have a circular shape as shown in FIG.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n elliptic shape and a square shape.
  • the shape of the touch screen of the embodiment may give a visually good image to the user and may be any shape as long as it can help the user's manipulation of the touch screen.
  • the display unit 151 of the wearable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to display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driven by the wearable device 100, or UI and GUI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have.
  • the user may control the wearable device 100 by a touch input to the UI or the GUI.
  • the band 204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201.
  • the band 204 may be formed to be worn on the wrist to surround the wrist.
  • the band 204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o facilitate wearing.
  • the band 204 may be formed of leather, rubber, silicone, synthetic resin, or the like.
  • the band 204 may include a first band 203 extending to one side from the body 201 and a second band 205 extending to the other side to adjust the length when worn.
  • a fastener for fastening may be provided by connecting the first band 203 and the second band 205.
  • the wear detection sensor 300 may be disposed in the fastener.
  • the fastener may be implemented as a buckle, a snap-fit hook structure, or a velcro structure, and may include elastic sections or materials.
  • the embodiment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fastener is implemented in the form using a buckle and a fixing pin, but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are provided, and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are joined to wear the wearable device 100.
  • Embodiments may be applied to all of the various fastener structures that may be employed.
  • FIG. 2 is a plan view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astener may include a buckle 310, a fixing pin 320, and a first connection bar 330 disposed at one end of the first band 203.
  • the buckle 310 and the first connection bar 330 may be formed integrally, but below, the buckle 310 and the first connection bar 330 are separated, so that the b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bar 330. It demonstrates with the structure fastened to the flow.
  • the buckle 310 may have a semi-ring shape, and both ends of the first connection bar 330 may b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buckle 310. That is,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bar 33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buckle 31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bar 330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buckle 310 so that the buckle 310 is separated from the buckle 310.
  • the first connection bar 330 may form an annular shape as a whole.
  • the first connection bar 330 and the buckle 310 may be coupled to be rotatable.
  • the first connection bar 330 may be supported at both ends of the buckle 310 by a spring bar and rotate.
  • the first band 203 is coupled to receive the first connecting bar 330, so that the fastener can freely rotate in the first band 203.
  • the fixing pin 32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connection bar 330.
  • one end of the fixing pin 32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first connection bar 330.
  •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in 320 may extend toward the buckle 310 side.
  • the fixing pin 320 is rotated toward the buckle 310 side,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in 320 is caught by the buckle 310 so that the buckle 310 and the fixing pin 320 may contact each other.
  • At least one hole H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band 205.
  • the wearable device 100 may be worn.
  • whether the wearable device 100 is worn may be detected by whether the fixing pin 320 and the buckle 3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a detection method of the wear detection senso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in 32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uckle 310 as illustrated in FIG. 3A.
  •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in 320 may not contact the buckle 310.
  •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in 320 is not worn apart from the buckle 310 may be understood as an open state of the switch.
  •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in 320 may contact the buckle 310 as shown in FIG. 4A.
  • the fixing pin 32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buckle 310, so that wearing can be performed.
  •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in 320 is worn in contact with the buckle 310 may be understood as a short state of the switch.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ear detection sensor 3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5
  •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6.
  • the wear detection sensor 300 may include a buckle 310, a fixing pin 320, a first connection bar 330, a first wire 340, a second wire 350, and a power source. Can be. However, the components shown in FIG. 5 are not essential to implementing the wear detection sensor 300, so that the wear detection sensor 300 described herein has more or less components than those listed above. It can have elements.
  • the buckle 310, the fixing pin 320, and the first connection bar 330 may have the fastener structure described above.
  • At least a portion of the buckle 310, the fixing pin 320, and the first connection bar 330 may include a metal to have conductive properties.
  • a separate conductive part is included in the buckle 310, the fixing pin 320, and the first connection bar 330 may have a conductive property.
  • the first wire 34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ckle 310.
  • first end of the first wire 34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ckle 310.
  • first end of the first wire 34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bar 330 and the first connection bar 330 is connected to the buckle 310, thereby the first wire 340 and buckle 310 May be indirectly electrically connected.
  • the second wire 3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xing pin 320.
  • first end of the second wire 35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xing pin 32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 first end of the first wire 340 is connected to a separate connection member and the connection member is connected to the fixing pin 320, the second wire 350 and the fixing pin 320 may be indirectly electrically connected. have.
  • the first wire 340 and the second wire 350 may be connected to a power source.
  • the second end of the first wire 340 and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wire 350 may be connected to a power source to receive power.
  • the fixing pin since the first end of the first electric wire 3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ckle 310 and the first end of the second electric wire 3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xing pin 320, the fixing pin according to the switching principle. As the switch is shorted when the 320 and the buckle 3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wire 340 and the second wire 3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wear detection sensor 300 may easily detect whether the wearable device 100 is worn depending on whether the buckle 310 and the fixing pin 3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wear detection sensor 300 may accurately detect the wear of the wearable device 100 as a digital signal using a simple switching principle without processing an analog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a user's wearing.
  • the wear detection sensor 300 detects whether the wearer is wearing only power, wires, and fasteners, and thus, wear can be detected without a dedicated IC for separate detection, thereby reducing costs.
  • the wear detection sensor 300 has an advantage that the response speed is fast because the signal processing is unnecessary by using the electrical switching principle.
  • the premise of the wear detection sensor 300 is that the fixing pin 320 and the buckle 310 should be spaced apart when not wearing. In addition, the fixing pin 320 and the buckle 3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current must flow through the bonding area to the fixing pin 320 and the buckle 310. Detailed structure of the wear detection sensor 300 that can reflect this premis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 the wear detection sensor 300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335 and an insulating member in the first connection bar 330.
  • an elastic member 335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connection bar 330.
  • the elastic member 335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connection bar 330 and connected to the fixing pin 320.
  • the elastic member 335 may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in 320 away from the buckle 310.
  • the elastic member 335 may apply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fixing pin 320 does not rotate unless a fixed force is applied to the fixing pin 320.
  •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in 320 and the buckle 310 may be separated by the elastic member 335 when not worn.
  • a torsion spring may be used as this elastic member 335.
  • the torsion spring may be formed to wind the first connection bar 330.
  • the torsion spring may include a spring part and a first arm and a second arm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spring part.
  • the first arm of the torsion spring may be connected to the fixing pin 320, and the second arm may extend toward the first band 203.
  • a first end of the second wire 350 is connected to the second arm, and the second wire 350 and the fixing pin 3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torsion spr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orsion spring may provide an elastic force to rotate the first arm upward,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in 320 and the receiving portion 311 of the buckle 310 may be separated when not worn.
  • the elastic member 335 when the fixing pin 320 and the second wire 3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elastic member 335, in order to prevent the elastic member 335 and the first connection bar 330 from shorting, the elastic member ( An insulation memb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335 and the first connection bar 330.
  • This insulating member ultimately insulates between one end of the fixing pin 320 and both ends of the buckle 310, thereby preventing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in 320 from shorting when the buckle 310 is not in contact. Can be.
  • the fixing pin 320 and the buckle 310 is in contact with the electricity in order to flow easily, it is preferable that the bonding area of the fixing pin 320 and the buckle 310 is enlarged.
  •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in 320 may be a head portion 321 to extend the size.
  • the body of the fixing pin 320 has a constant width W1 (see FIG. 7) and extends, and at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in 320, the width W2 larger than the width W1 of the body of the fixing pin 320. (See FIG. 7) may be disposed.
  • the size of the fixing pin 320 and the head 321 is compared based on the width, but the size comparison based on the width is performed by the fixing pin 320.
  • the shape may also correspond to the diameter or length.
  • the body of the fixing pin 320 may have a width W1 of 0.3 mm or less, and the head portion 321 may have a width W2 of more than 0.3 mm.
  • the width W2 of the head portion 321 may be between 1.3 and 3 times the width W1 of the fixing pin 320.
  • the width W2 of the head portion 321 may be between 1.5 times and 2.5 times the width W1 of the fixing pin 320. More specifically, the width W2 of the head portion 321 may be between 1.8 and 2 times the width W1 of the fixing pin 320.
  • the width W2 is less than 1.3 times, the bonding area between the fixing pin 320 and the buckle 310 is small, so the resistance is excessively large, and the current may not flow smoothly.
  • the width W2 exceeds three times, the head part 321 and the buckle 310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even when not worn due to the weight of the head part 321, and there is a design disadvantage.
  • the buckle 310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311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fixing pin 320 is in contact with the buckle 310.
  • the receiving portion 311 may have a shape concavely arranged in the buckle 310.
  • the accommodating part 311 and the head part 321 may have a corresponding shape. That is, when the head part 321 of the fixing pin 320 is in contact with the receiving part 311 of the buckle 310 part, the head part 321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311, whereby the contact area may be expanded. .
  • a first junction having a first polarity may be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311, and a second junction having a second polarity may be further disposed in the head portion 321.
  • the attraction force may be joined to each other. That is, the first bonding portion and the second bonding portion may maintain the bonding of the fixing pin 320 and the buckle 310 when worn,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of wearing detection.
  • the first junction and the second junction may be implemented in an electromagnetic structure. That is, the first junction and the second junction are operated when electricity begins to flow through the fixing pin 320 and the buckle 310 by the user's wear to maintain a bonded state, and when not wearing, the fixing pin 320 and the buckle 310. ) May not work if electricity is not flowing.
  • the wearable device 100 may further provide a button or a GUI for stopping the flow of electricity to the fixing pin 320 and the buckle 310 for the convenience of removing the user.
  • the fixing pin 320 and the buckle 310 may include an insulating portion for insulating the outside.
  • outer surfaces of the fixing pin 320 and the buckle 310 may be insulated from each other.
  • the bonding regions 321 and 311 of the fixing pin 320 and the buckle 310 may be exposed from the insulating coating.
  • the abutment surface 322 of the head portion 321 of the fixing pin 320 may not be insulated coated and may be exposed from the insulated coating.
  • the bonding surface 312 of the receiving portion 311 of the buckle 310 may be exposed from the insulating coating is not coated.
  • an area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wire 340 in the buckle 310 may be exposed from the insulating coating.
  • an area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350 in the fixing pin 320 may be exposed from the insulating coating.
  • the first wire 340 and the second wire 350 may maintain a short state when the fixing pin 320 and the buckle 310 are bonded to each other.
  • first wire 340 and the second wire 350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o receive power to detect whether the short / open.
  • a power source of the main body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power source but is not limited to this is natural.
  • FIG 8 shows a method of connecting a wire and a power 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wire 34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wire 341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250 of the main body 201, and the second wire 350 includes the main body 201.
  • the second connection wire 351 i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250 of the.
  • the second end of the first wire 340 may extend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band 203 to one end of the first band 203.
  • the first connection wire 341 connected to the second end of the first wire 340 may extend from the first band 203 to the power source 250 of the main body 201.
  • the first connection wire 341 is a power source 250 inside the main body 201 at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band 203 and the main body 201 (the coupling portion of the main body 201 and the first band 203). Can be extended to).
  •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wire 350 may extend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band 203 to one end of the first band 203.
  • the second connection wire 351 connected to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wire 350 may extend from the first band 203 to the power source 250 of the main body 201.
  • the second connection wire 351 may extend from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band 203 and the main body 201 to the power source 250 inside the main body 201.
  • connection wire i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250 through the connection wire.
  • FIG 9 illustrates a method of connecting a wire and a power source 25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earable device 100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on bar 220 as a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main body 201 and the first band 203.
  • the body 201 may include a fastening part 210 for receiving both ends of the second connection bar 220.
  • the fastening part 210 may include a hole to accommodate both ends of the second connection bar 220.
  • the second connection bar 220 may be rotatably coupled in the hole of the fastening part 210, so that the first band 203 coupled to receive the second connection bar 220 may be rotatable from the main body 201. .
  • the second end of the first wire 340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250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bar 220.
  • the second end of the first wire 340 extends to contact the second connection bar 220, and the second connection bar 220 is the first connection wire 341 and the first wire 340 and the power source ( 25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wire 350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250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bar 220.
  • a second end of the second wire 350 is extended to contact the second connection bar 220, and the second connection bar 220 is the second connection wire 351 and the second wire 350 and the power source ( 25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 the second connection bar 22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wire 341 and a second connection wire 351, and may insulate the first connection wire 341 and the second connection wire 351.
  • the second connection bar 220 may be insulated by disposing an insulating material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wire 341 and the second connection wire 351.
  • the first band 203 and the main body 201 can b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electrically connect the wire and the connection wire.
  • FIG. 10 shows a method of connecting the wires and the power source 25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in body 201 of the wearable device 10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band 203 by contacting a partial region.
  • the main body 201 may include a coupling part 210 in contact with the first band 203, and overlap a portion of the first band 203 with a part of the coupling part 210.
  • a first contact region 211 which is a conductiv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gion 342, is disposed at a coupling portion of the main body 201.
  • the second contact region 212 which is a conductiv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egion 352, may be disposed.
  • a first connection wire 34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region 211.
  • a second connection wire 35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region 212.
  • the first region 342 and the first contact region 21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second region 352 and the second contact region 212 may be in electrical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first band 203 and the main body 201 can b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electrically connect the wire and the connection wire.
  • FIG. 11 shows a method of connecting the wires and the power source 25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upling portion of the main body 201 and the first band 203 may be integrally formed.
  • the first wire 340 and the second wire 350 may be directly extended to the power source 250 inside the body 201.
  • the first band 203 and the main body 201 are not removable, but may have a rigid structure.
  • the above-described wear detection sensor 300 has a simple structure and can effectively detect whether it is worn correctly, an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control element, so that the reaction speed is fast and can be implemented at low cost.
  • the wearable device 100 that may provide a new interface including the wear detection sensor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5.
  • FIG 12 illustrate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wearab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earable device 10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sensor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n interface unit 160, a memory 170, and a controller 180. And a power supply 250 and a supply unit 190.
  •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2 are not essential to implementing the wearable device 100, so the wearable device 100 described herei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listed above. have.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wearable device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between the wearable device 100 and an external device.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connecting the wearable device 100 to one or more networks.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transmit whether the wear is sensed by the wearable device 100 and location-based data to an external device. In addition, a feedback of an external device with respect to the transmitted data may be receiv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80.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may include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schemes (eg,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and 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 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EV-DO), Wideband CDMA (WCDM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A wireless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structed according to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 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 EV-DO 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 WCDMA Wideband CDMA
  •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 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 LTE Long Term Evolution
  • LTE-A Long
  •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n external device remote control signal,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embedded or external to the wearable device 100.
  •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in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Wireless LAN (WLAN), Wireless-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Wireless Broadband (WiBro), and WiMAX (World).
  •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for performing the wireless Internet access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may be understood as a kind of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is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and includes Bluetooth TM,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and ZigBee.
  •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 UWB Ultra Wideband
  • ZigBee ZigBee
  •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 Wi-Fi Wireless-Fidelity
  • Wi-Fi Direct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 Wi-Fi Direct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 Wi-Fi Direct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 Wi-Fi Direct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 wireless 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may control the wearable device 100 and an external device, between the wearable device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wearable device 100, and other remote control via a wireless area network.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or between a network in which the wearable device 100 and a mobile terminal (or an external server) are located may be supported.
  • the local area network may be local area network (Wire
  •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may detect (or recognize) another external device that can be controlled around the wearable device 100.
  • the controller 180 is described as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using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ntroller 180 may remotely control an external device by directly transmitting a remote control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located in close proximity through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through a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it may be advantageous for short-range data communication because it does not go through a relay network and has high security and fast response speed.
  • 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camera 121 or a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an image signal, a microphone 122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an audio input unit, or a user input unit 123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 Touch keys, mechanical keys, and the like.
  • the voice data or the image data collected by the input unit 120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as a control command of the user.
  • the sensor unit 140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t least one of whether the wearable device 100 is worn, information in the wearable device 100,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wearable device 100, and a user input. have.
  • the sensor unit 140 may include a wear detection sensor 300 that detects wearing and other sensors that detect various user inputs and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 the wear detection sensor 300 is a wear detection sensor 3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ich is disposed in the fastener of the wearable device 100 to detect a signal of whether the user wears the wearable device 100. 180).
  • the other sensor may detect various gestures and motion inputs that the user takes while wearing the wearable device 100.
  • other sensors may include gesture sensors and motion sensors.
  • the gesture sensor may detect a user's gesture input.
  • the gesture of the user refers to a gesture that the user takes while wearing the wearable device 100.
  • the gesture may mean a maintainable gesture, not a simple one-time movement.
  • the gesture may include a gesture of fisting, a gesture of fisting, and a gesture of pinching at least one finger.
  • the gesture sensor may be located in the band 204 of the wearable device 100 to detect a gesture of the user.
  • the gesture sensor may detect an area of the user's gesture by measuring an area where the user's wearing part contacts the band 204.
  • the gesture sensor may include a sensor electrode to detect a change in contact area with the band 204 according to a gesture of the user as a change in capacitance. For example, a change in distance between a user's wearing part and a sensor electrode disposed in the band 204 according to the gesture may be detected as a change in capacitance.
  • Such a change in capacitance can sense a user's gesture even when the worn portion and the sensor electrode ar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Therefore, even if the sensor electrode is disposed in the enclosing band 204 member, the gesture can be sensed, so that the gesture sensor can be safely protec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shape of the band 204 can be free from design constraints.
  • the gesture sensor senses the capacitance that changes precisely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sensor electrod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user's gesture.
  • the sensor electrode may detect a user's gesture through a self capacitance method.
  • the self-capacitance method has good sensing sensitivity and further enables proximity sensing, so that a user's gesture can be accurately detected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worn portion and the sensor electrode is far.
  • the other sensor 141 may further include a mo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motion of the user.
  • Such motion sensors may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sensors that detect the motion of the user in different ways, and thus detect the motion of at least two or more users.
  • the motion sensor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scope sensor, and a gravity sensor.
  • the acceleration sensor may measure the amount of acceleration that the wearable device 100 moves in a specific direction in space.
  • the acceleration sensor may detect a first motion in which the user moves the wrist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gyroscope sensor may measure a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wearable device 100 in a horizontal plane.
  • the gyroscope sensor may detect a second motion in which the user tilts the wearable device 100 in various directions.
  • the gravity sensor may complement the motion detection of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gyroscope sensor.
  • the motion sensor of the sensor unit may detect various motions by dividing methods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wears the wearable device 100.
  • sensors include proximity sensor, illumination sensor, touch sensor, magnetic sensor, RGB sensor, infrared sensor, and fingerprint sensor. (finger scan sensor), ultrasonic sensor, optical sensor, battery gauge, environmental sensor (e.g. barometer, hygrometer, thermometer, radiation sensor, heat sensor, gas sensor Etc.), or at least one of a chemical sensor (eg, an electronic nose, a healthcare sensor, a biometric sensor, etc.)
  • the wearable device 100 disclosed herein may include at least two of these sensors.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above sensors may be combined to further improve the accuracy of gesture detection or motion detection.
  • the other sensor 141 may accurately detect the position and motion state of the user having the wearable device 100 using the motion sensor and the location module.
  • the output unit 150 is used to generate an output related to sight, hearing, or tactile sense,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151, an audio output unit 152, a hap tip module 153, and an optical output unit 154. can do.
  • the display unit 151 forms a layer structure with or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touch sensor, thereby implementing a touch screen.
  • the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123 providing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wearable device 100 and the user, and may also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wearable device 100 and the user.
  • the interface unit 160 serves as a path to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wearable device 100.
  • the interface unit 160 connects a device equipped with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nd an identification modu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rt, an audio input / output (I / O) port, a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and an earphone port. In the wearable device 100, even when an external device is directly connec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160, appropriate control may be performed.
  • the memory 170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wearable device 100.
  • the memory 17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that are driven by the wearable device 100, data for operating the wearable device 100, and instruction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via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exist on the wearable device 100 from the time of shipment for the basic function of the wearable device 100.
  •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and installed on the wearable device 100 to be driven by the controller 180 to perform an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wearable device 100.
  • 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100 in addition to an operation related to an application program.
  • the controller 180 may provide or process information or a function appropriate to a user by processing signals, data, information, and the like, which are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r by driv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controller 18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operate at least two or mor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wearable device 100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 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the external power 250 and the internal power 25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o supply the power 250 to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wearable device 100.
  • the power supply unit 190 includes a battery, and the battery may be a built-in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to implement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wearable device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wearable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on the wearable device 100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FIG. 13 shows a deep sleep mod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wo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roller may detect whether the user wears the wearable device 100 by using the wear detection sensor 300.
  • the control unit 180 may display the detected signal on the display unit 151 of the wearable device 100.
  • the detection signal of the wear detection sensor 300 may be an open state signal, that is, a non-current detection signal.
  •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wearable device 100 in the deep sleep mode when the wear detection sensor 300 transmits the non-wear detection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 the controller 180 can minimize power consumption by operating only a minimum number of units.
  • the controller 180 may turn off the display unit 151 in the deep sleep mode, and activat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nly for a short time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 the controller 180 may not receive the power supply 250 as the current does not flow when not worn. That is, the power 250 may be supplied to each unit of the wearable device 100 only when a current flows by the wear detection sensor 300. In this embodiment,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wear detection sensor 300 may be controlled by simple on / off without setting a separate program.
  • FIG. 14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departure no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other sensor 141 may detect that the wearable device 100 is separated from a preset space.
  • the controller 180 may transmit a location departure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500 (eg, the guardian mobile terminal) previously connected to the wearable device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the external device 500 eg, the guardian mobile terminal
  • 15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departure notific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roller 180 may transmit the departure notification to the external device 500 in consideration of whether the wear detected by the wear detection sensor 300 and the position deviation detected by the other sensor 141 are comprehensively considered. have.
  • the controller 180 may detect this from the wear detection sensor 300 when the wearable device 100 is removed, and provide a removal notification to the external device 500.
  • controller 180 may transmit a location departure notification to the external device 500 when the preset space departure occurs after the wearable device 100 is worn.
  • controller 180 may transmit the theft notification / lost notification to the external device 500 when the wearable device 100 is not worn and the preset space is released.
  • the guardian who carries the external device 500 may wear the wearable device 100 when there is no notification, and recognize that the wearable device 100 is located in a preset 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감지 센서는 밴드, 상기 밴드를 연결하는 파스너 및 본체를 구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배치되어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착용 감지 센서로서, 상기 파스너에 배치되며, 도전성을 갖는 버클; 상기 파스너에 배치되며, 도전성을 갖는 고정 핀; 상기 버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전선; 및 상기 고정 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선은, 상기 버클과 연결되는 상기 제 1 전선의 제 1 끝단; 및 상기 밴드 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제 1 전선의 제 2 끝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선은, 상기 고정핀과 연결되는 상기 제 2 전선의 끝단; 및 상기 밴드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전선의 제 2 끝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선의 제 2 끝단과 상기 제 2 전선의 제 2 끝단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착용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본 발명은 착용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단말기와 같이 사용자가 손에 직접 쥐고 사용하는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신체에 직접 착용하여 휴대가 간편한 스마트 워치 또는 스마트 글래스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경우, 휴대가 간편하여, 추후 일반적인 단말기 핸드폰을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디바이스로 각광 받고 있다.
그런데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컨트롤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대부분 버튼이나 터치 스크린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몸, 목, 머리, 손목 등 신체의 일부에 착용되면서, 기존의 터치 위치를 감지하는 터치 패널을 그대로 적용하였을 때, 입력이 어렵고 웨어러블의 장점이 퇴색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단순히 터치 위치만을 파악하는 기존 터치 센서들에서 벗어나, 웨어러블 디바이스 특성에 적합한 인터페이스 제공할 수 있는 센서들이 요구된다.
그리고 이러한 새로운 센서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특성을 반영한 새로운 인터페이스 또한 요구된다.
실시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착용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감지 센서는 밴드, 상기 밴드를 연결하는 파스너 및 본체를 구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배치되어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착용 감지 센서로서, 상기 파스너에 배치되며, 도전성을 갖는 버클; 상기 파스너에 배치되며, 도전성을 갖는 고정 핀; 상기 버클에 제 1 끝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전선; 및 상기 고정 핀에 제 1 끝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선의 제 2 끝단은 상기 밴드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전선의 제 2 끝단은 상기 밴드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전선의 제 2 끝단과 상기 제 2 전선의 제 2 끝단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 핀과 상기 버클이 접할 때, 상기 제 1 전선의 제 1 끝단과 상기 제 2 전선의 제 1 끝단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클의 양 끝단을 연결하고, 도전성을 갖는 제 1 연결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핀의 일 끝단은 상기 제 1 연결 바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 바는 상기 고정 핀의 일 끝단과 연결된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고정 핀과 상기 버클이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 바와 상기 탄성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절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는 토션 스프링으로, 상기 토션 스프링은 스프링부와, 상기 스프링부의 일 끝단에 배치된 제 1 암과, 상기 스프링부의 타 끝단에 배치된 제 2 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암에는 상기 고정 핀의 일 끝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암에는 상기 제 2 전선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핀은 바디와 상기 버클과 접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의 직경은 상기 바디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클은 상기 헤드부를 수용하는 오목한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클과 상기 고정 핀의 외면은 절연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클과 상기 고정 핀이 접하는 접합 면은 상기 절연 코팅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클은 상기 고정 핀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며 제 1 극성을 갖는 제 1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핀은 상기 버클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며 제 2 극성을 갖는 제 2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내부에는 전원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전선의 제 2 끝단과 상기 전원을 연결하는 제 1 연결 전선과, 상기 제 2 전선의 제 2 끝단과 상기 전원을 연결하는 제 2 연결 전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와 상기 밴드를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제 2 연결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결 바는 상기 제 1 연결 전선과 상기 제 2 연결 전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밴드와 접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의 일부 영역은 상기 결합부와 접하여 결합되고, 상기 밴드의 일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전선의 제 2 끝단과 연결되고 상기 밴드로부터 노출된 도전 영역인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전선의 제 2 끝단과 연결되고 상기 밴드로부터 노출된 도전 영역인 제 2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영역에 대응되는 도전 영역인 제 1 컨택 영역과, 상기 결합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영역에 대응되는 도전 영역인 제 2 컨택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와 상기 밴드는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 1 전선과 상기 제 2 전선은 직접 본체 내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밴드, 상기 밴드를 연결하는 파스너 및 본체를 구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서, 상기 파스너에 배치되고 스위치 원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착용 감지 센서; 외부 기기와 무선 데이터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기타 센서; 및 상기 착용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착용 여부 감지 신호에 따라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 감지 센서에서 미착용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딥 슬립 제어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 감지 센서와 상기 기타 센서에서 전달된 감지 신호에 따라서 위치 이탈 신호 및 분실 신호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감지 센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착용 감지 센서로서, 간단한 구조, 빠른 반응 속도, 저전력으로 정확하게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자세히, 착용 감지 센서는 사용자에 착용에 따라 발생하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 없이 단순한 스위칭 원리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정확하게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착용 감지 센서는 전원, 전선 및 파스너 만으로 착용 여부 감지하여, 별도의 감지를 위한 전용 IC 없이 착용을 감지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착용 감지 센서는 전기 스위칭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신호 처리가 불필요하여 반응 속도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적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감지 센서의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감지 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과 전원의 연결방법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과 전원의 연결방법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과 전원의 연결방법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과 전원의 연결방법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내부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여부에 따른 딥 슬립 모드 제공방법을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이탈 알림 제공방법을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이탈 알림 제공방법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는 넷밴드 타입 디바이스(neckband type device),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헤드셋 타입 디바이스(headset type device) 또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워치 타입 디바이스 등이 있을 수 있다.
실시예는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와치 타입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장치로 설명하나, 전술한 다양한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도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적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본체(201), 밴드(204) 및 착용 감지 센서(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체(2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201)의 케이스 내부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유닛들 중 일부는 본체(20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201)는 내부 공간 마련을 위해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로 분리 및 체결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본체(2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도 12 참조)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51) 상에는 터치 센서가 배치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도 1처럼 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타원 형상, 사각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실시예의 터치 스크린의 형상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좋은 이미지를 줄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의 조작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상관없다.
자세히,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 GUI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UI 또는 GUI에의 터치 입력에 의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201)에는 밴드(204)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밴드(204)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204)는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례로, 밴드(204)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204)는 착용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본체(201)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1 밴드(203)와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밴드(20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밴드(203)와 제 2 밴드(205)를 연결하여 착용을 위한 파스너(fastener)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파스너에는 착용 감지 센서(3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파스너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등의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는, 파스너가 버클과 고정 핀을 이용한 형태로 구현된 예를 제시하나, 제 1 체결부와 제 2 체결부가 구비되고 제 1 체결부와 제 2 체결부가 접합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착용될 수 있는 다양한 파스너 구조에는 모두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평면도이다.
자세히,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는 제 1 밴드(203)의 일 끝단에 배치된 버클(310), 고정 핀(320), 제 1 연결 바(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버클(310)과 제 1 연결 바(33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구조도 가능하나, 이하, 버클(310)과 제 1 연결 바(330)가 분리되어 밴드가 제 1 연결 바(330)에 유동 가능하게 체결된 구조로 설명한다.
자세히, 버클(310)은 반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버클(310)의 양 단에는 제 1 연결 바(330)의 양단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연결 바(330)의 일 끝단은 버클(310)의 일 끝단에 배치되고, 제 1 연결 바(330)의 타 끝단은 버클(310)의 타 끝단에 배치되어 버클(310)과 제 1 연결 바(330)는 전체적으로 고리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제 1 연결 바(330)와 버클(310)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연결 바(330)는 스프링 바(spring bar)로 버클(310)의 양 끝단에서 지지되며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밴드(203)는 이러한 제 1 연결 바(330)를 수용하도록 결합됨으로써, 파스너는 제 1 밴드(203)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연결 바(330)에는 고정 핀(320)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히, 제 1 연결 바(330)에 중앙에는 고정 핀(320)의 일 끝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핀(320)의 타 끝단은 버클(310) 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핀(320)을 버클(310) 측을 향해 회전시키면 고정 핀(320)의 타 끝단은 버클(310)에 걸려 버클(310)과 고정 핀(320)은 접할 수 있다.
한편, 제 2 밴드(205)에는 적어도 1 이상의 홀(H)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밴드(203)의 고정 핀(320)이 제 2 밴드(205)의 홀(H)에 삽입된 후 버클(310)과 접하여 제 1 밴드(203)와 제 2 밴드(205)가 고정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착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착용 여부는 고정 핀(320)과 버클(310)이 접하였는지 여부로 검출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감지 센서(300)의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미착용시 도 3(a)와 같이 고정 핀(320)의 타 끝단은 버클(310)과 이격될 수 있다. 자세히, 고정 핀(320)이 제 2 밴드의 홀(H)에서 탈거될 경우, 고정 핀(320)의 타 끝단은 버클(310)과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즉, 고정 핀(320)이 버클(310)과 이격되어 착용되지 않는 상태를 스위치의 오픈 상태로 이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착용시 도 4(a)와 같이 고정 핀(320)의 타 끝단은 버클(310)과 접할 수 있다. 자세히, 고정 핀(320)이 제 2 밴드의 홀(H)에 삽입된 후 고정 핀(320)이 버클(310)의 수용부에 수용됨으로써, 착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고정 핀(320)이 버클(310)과 접하여 착용된 상태를 스위치의 쇼트 상태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정 핀(320)과 버클(310)을 스위치로 보아 오픈/쇼트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있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착용 여부를 손쉽게 감지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원리를 이용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감지 센서(300)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감지 센서(30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착용 감지 센서(300)는 버클(310), 고정 핀(320), 제 1 연결 바(330), 제 1 전선(340), 제 2 전선(350) 및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착용 감지 센서(3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착용 감지 센서(3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버클(310)과 고정 핀(320)과 제 1 연결 바(330)는 전술한 파스너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버클(310)과 고정 핀(320)과 제 1 연결 바(330)의 적어도 일부는 금속을 포함하여, 도전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버클(310), 고정 핀(320) 및 제 1 연결 바(330) 내에 별도의 도전부가 포함되어 도전 성질을 가지는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버클(310)에는 제 1 전선(34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자세히, 제 1 전선(340)의 제 1 끝단은 버클(310)에 직접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 1 전선(340)의 제 1 끝단은 제 1 연결 바(330)에 연결되고 제 1 연결 바(330)는 버클(310)에 연결됨으로써, 제 1 전선(340)과 버클(310)은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 핀(320)에는 제 2 전선(35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자세히, 제 2 전선(350)의 제 1 끝단은 고정 핀(320)의 일 끝단에 직접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 1 전선(340)의 제 1 끝단은 별도의 연결부재에 연결되고 연결부재는 고정 핀(320)과 연결됨으로써, 제 2 전선(350)과 고정 핀(320)은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전선(340)과 제 2 전선(350)은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자세히, 제 1 전선(340)의 제 2 끝단과 제 2 전선(350)의 제 2 끝단은 전원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잇다.
따라서, 제 1 전선(340)의 제 1 끝단과 제 2 전선(350)의 제 1 끝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경우, 전원에 의해 전류가 흘러 전류가 검출될 경우 제 1 전선(340)과 제 2 전선(350)이 폐회로를 구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제 1 전선(340)의 제 1 끝단은 버클(3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2 전선(350)의 제 1 끝단은 고정 핀(3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있으므로, 스위칭 원리에 따라서 고정 핀(320)과 버클(310)이 접할 때 스위치가 쇼트된 것과 같이, 제 1 전선(340)과 제 2 전선(35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착용 감지 센서(300)는 버클(310)과 고정 핀(320)이 접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착용 여부를 손쉽게 감지할 수 있다.
자세히, 착용 감지 센서(300)는 사용자에 착용에 따라 발생하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 없이 단순한 스위칭 원리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정확하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착용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착용 감지 센서(300)는 전원, 전선 및 파스너 만으로 착용 여부 감지하여, 별도의 감지를 위한 전용 IC 없이 착용을 감지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착용 감지 센서(300)는 전기 스위칭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신호 처리가 불필요하여 반응 속도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이러한 착용 감지 센서(3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착용 감지 센서(300)에서 전제되어야 할 것은 미착용시 고정 핀(320)과 버클(310)이 이격되어 있어야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착용시 고정 핀(320)과 버클(310)이 접하고 고정 핀(320)과 버클(310)에 접합 영역을 통해 전류가 흘러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전제를 반영할 수 있는 착용 감지 센서(300)의 세부적인 구조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착용 감지 센서(300)는 제 1 연결 바(330)에 탄성 부재(335), 절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 1 연결 바(330)에는 탄성 부재(335)가 배치될 수 있다.
자세히, 탄성 부재(335)는 제 1 연결 바(330)에 배치되고 고정 핀(32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부재(335)는 고정 핀(320)의 타 끝단을 버클(310)에서 멀어지도록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또는, 탄성 부재(335)는 고정 핀(320)에 일정 힘 이상을 가하지 않으면 고정 핀(320)이 회전하지 않도록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335)에 의해 미착용시 고정 핀(320)의 타 끝단과 버클(310)은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탄성 부재(335)로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을 사용할 수 있다. 자세히, 토션 스프링은 제 1 연결 바(330)를 감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토션 스프링은 스프링부 및 상기 스프링부의 양 단에 배치되는 제 1 암과 제 2 암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토션 스프링의 제 1 암은 고정 핀(320)과 연결될 수 있고, 제 2 암은 제 1 밴드(203) 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 2 암에는 제 2 전선(350)의 제 1 끝단이 연결되어, 제 2 전선(350)과 고정 핀(320)은 토션 스프링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토션 스프링은 제 1 암을 상측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함으로, 미착용시 고정 핀(320)의 타 끝단과 버클(310)의 수용부(311)를 이격시킬 수 있다.
한편, 고정 핀(320)과 제 2 전선(350)이 탄성 부재(335)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경우, 탄성 부재(335)와 제 1 연결 바(330)가 쇼트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탄성 부재(335)와 제 1 연결 바(330) 사이에는 절연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절연 부재는 궁극적으로는 고정 핀(320)의 일 끝단과 버클(310)의 양단 사이를 절연함으로써, 고정 핀(320)의 타 끝단과 버클(310)이 접하지 않을 때 쇼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고정 핀(320)과 버클(310)이 접하여 전기가 수월하게 흐르기 위해서는 고정 핀(320)과 버클(310)의 접합 면적이 확대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고정 핀(320)의 타 끝단에는 크기를 확장시키는 헤드부(321)가 배치될 수 있다. 자세히, 고정 핀(320)의 바디는 일정한 폭(W1, 도 7 참조)을 가지며 연장되며, 고정 핀(320)의 타 끝단에는 고정 핀(320)의 바디의 폭(W1)보다 큰 폭(W2, 도 7 참조)을 갖는 헤드부(321)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고정 핀(320)이 사각형상을 가지므로 폭을 기준으로 고정 핀(320)과 헤드부(321)의 크기를 비교하나, 폭을 기준으로 한 크기 비교는 고정 핀(320)의 형상에 따라 직경이나 길이 등에도 대응될 수 있을 것이다.
자세히, 고정 핀(320)의 바디는 0.3mm 이하의 폭(W1)을 가지며, 헤드부(321)는 0.3mm를 초과하는 폭(W2)을 가질 수 있다. 좀더 자세히, 헤드부(321)의 폭(W2)은 고정 핀(320)의 폭(W1)에 1.3 배 내지 3배 사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드부(321)의 폭(W2)은 고정 핀(320)의 폭(W1)에 1.5 배 내지 2.5배 사이일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헤드부(321)의 폭(W2)은 고정 핀(320)의 폭(W1)에 1.8 배 내지 2배 사이일 수 있다. 폭(W2)이 1.3배 미만일 경우, 고정 핀(320)과 버클(310)의 접합 면적이 작아 저항이 과다하게 커 전류가 원활하게 흐르지 못할 수 있다. 폭(W2)이 3배를 초과할 경우, 헤드부(321)의 무게로 인해 미착용시에도 헤드부(321)와 버클(310)이 접해있을 수 있고 디자인적인 단점도 있다.
그리고 버클(310)부는 고정 핀(320)이 접하는 위치에 배치된 수용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용부(311)는 버클(310)부에 오목하게 배치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수용부(311)와 헤드부(321)는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즉, 고정 핀(320)의 헤드부(321)가 버클(310)부의 수용부(311)에 접하면, 헤드부(321)는 수용부(311) 내에 수용됨으로써, 접촉 면적이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부(311)에는 제 1 극성을 갖는 제 1 접합부가 배치될 수 있고, 헤드부(321)에는 제 2 극성을 갖는 제 2 접합부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접합부와 제 2 접합부는 일정 거리 이하로 접근할 경우 서로 인력이 작용하여 접합할 수 있다. 즉, 제 1 접합부와 제 2 접합부는 착용시 고정 핀(320)과 버클(310)부의 접합을 유지하여, 착용 감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 1 접합부와 제 2 접합부는 전자기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제 1 접합부와 제 2 접합부는 사용자 착용에 의하여 고정 핀(320)과 버클(310)에 전기가 흐르기 시작한 경우에 작동되어 접합상태를 유지하고, 미착용시 고정 핀(320)과 버클(310)이 떨어져 전기가 흐르지 않은 경우에는 작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탈거 편의를 위하여 고정 핀(320)과 버클(310)에 전기 흐름을 끊는 버튼이나 GUI를 더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고정 핀(320)과 버클(310)에 전기가 흐를 경우, 사용자는 불쾌감을 느낄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 핀(320)과 버클(310)의 외부를 절연하는 절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도 7을 보면, 고정 핀(320)과 버클(310)의 외면은 절연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고정 핀(320)과 버클(310)의 접합 영역(321, 311)은 절연 코팅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자세히, 고정 핀(320)의 헤드부(321)의 접합면(322)은 절연 코팅되지 않아 절연 코팅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버클(310)의 수용부(311)의 접합면(312)은 절연 코팅되지 않아 절연 코팅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버클(310)에서 제 1 전선(3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영역은 절연 코팅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고정 핀(320)에서 제 2 전선(3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영역은 절연코팅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절연 코팅과 관계없이 제 1 전선(340)과 제 2 전선(350)은 고정 핀(320)과 버클(310) 접합시 쇼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 1 전선(340)과 제 2 전선(350)은 전원과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아야 쇼트/오픈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전원을 구비하지 않고 본체의 전원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과 전원의 연결방법을 나타낸다.
이를 위해, 도 8을 참조하면, 제 1 전선(340)은 본체(201)의 전원(250)과 연결되는 제 1 연결 전선(341)을 포함하고, 제 2 전선(350)은 본체(201)의 전원(250)과 연결되는 제 2 연결 전선(351)을 포함한다.
자세히, 제 1 전선(340)의 제 2 끝단은 제 1 밴드(203) 내부에서 제 1 밴드(203)의 일 끝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전선(340)의 제 2 끝단과 연결된 제 1 연결 전선(341)은 제 1 밴드(203)에서 본체(201)의 전원(25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자세히, 제 1 연결 전선(341)은 제 1 밴드(203)와 본체(201)의 결합부(본체(201)와 제 1 밴드(203)의 결합부)에서 본체(201) 내부의 전원(25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 2 전선(350)의 제 2 끝단은 제 1 밴드(203) 내부에서 제 1 밴드(203)의 일 끝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전선(350)의 제 2 끝단과 연결된 제 2 연결 전선(351)은 제 1 밴드(203)에서 본체(201)의 전원(25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자세히, 제 2 연결 전선(351)은 제 1 밴드(203)와 본체(201)의 결합부에서 본체(201) 내부의 전원(25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하, 전선이 연결 전선을 통해 전원(250)과 연결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과 전원(250)의 연결방법을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본체(201)와 제 1 밴드(203)의 결합부로 제 2 연결 바(22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본체(201)는 제 2 연결 바(220)의 양단을 수용하는 체결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210)에는 홀이 포함되어 제 2 연결 바(220)의 양 끝단이 수용될 수 있다.
제 2 연결 바(220)는 체결부(210)의 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제 2 연결 바(220)를 수용하도록 결합된 제 1 밴드(203)는 본체(201)로부터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 구조를 가질 때, 제 1 전선(340)의 제 2 끝단은 제 2 연결 바(220)를 통해 전원(250)과 연결될 수 있다. 자세히, 제 1 전선(340)의 제 2 끝단이 연장되어 제 2 연결 바(220)와 접하고, 제 2 연결 바(220)는 제 1 연결 전선(341)으로 제 1 전선(340)과 전원(25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 2 전선(350)의 제 2 끝단은 제 2 연결 바(220)를 통해 전원(250)과 연결될 수 있다. 자세히, 제 2 전선(350)의 제 2 끝단이 연장되어 제 2 연결 바(220)와 접하고, 제 2 연결 바(220)는 제 2 연결 전선(351)으로 제 2 전선(350)과 전원(25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2 연결 바(220)는 제 1 연결 전선(341)과 제 2 연결 전선(351)을 포함하며, 제 1 연결 전선(341)과 제 2 연결 전선(351)을 절연할 수 있다. 자세히, 제 2 연결 바(220)는 제 1 연결 전선(341)과 제 2 연결 전선(351) 사이에 절연 소재를 배치하여 절연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제 1 밴드(203)와 본체(201)는 착탈 가능하면서 전선과 연결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과 전원(250)의 연결방법을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본체(201)는 제 1 밴드(203)와 일부 영역이 접하여 결합될 수 있다.
자세히, 본체(201)는 제 1 밴드(203)와 접하는 결합부(210)를 포함하고, 제 1 밴드(203)의 일부 영역과 결합부(210)의 일부 영역을 오버랩되어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밴드(203)에 오버랩 되는 영역에는 제 1 전선(340)과 연결되고 제 1 밴드(203)로부터 노출되는 도전성 영역인 제 1 영역(342)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전선(350)과 연결되고 제 1 밴드(203)로부터 노출되는 도전성 영역인 제 2 영역(352)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영역(342)과 제 2 영역(352)에 대응되도록, 본체(201)의 결합부에는 제 1 영역(342)에 대응되는 도전성 영역인 제 1 컨택 영역(211)이 배치되고, 제 2 영역(352)에 대응되는 도전성 영역인 제 2 컨택 영역(212)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컨택 영역(211)에는 제 1 연결 전선(341)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2 컨택 영역(212)에는 제 2 연결 전선(351)이 연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결합부와 제 1 밴드(203)가 결합될 때, 제 1 영역(342)과 제 1 컨택 영역(211)은 서로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2 영역(352)과 제 2 컨택 영역(212)은 서로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제 1 밴드(203)와 본체(201)는 착탈 가능하면서 전선과 연결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과 전원(250)의 연결방법을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체(201)의 결합부와 제 1 밴드(203)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제 1 전선(340)과 제 2 전선(350)은 직접 본체(201) 내부의 전원(250)까지 연장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제 1 밴드(203)와 본체(201)가 착탈 가능하지는 않으나, 견고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술한 착용 감지 센서(300)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효과적으로 착용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제어 소자를 요구하지 않아 반응 속도가 빠르고 저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착용 감지 센서(300)를 포함하여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내부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서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250)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먼저,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외부 기기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센싱된 착용 감지 여부 및 위치 기반 데이터를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송된 데이터에 대한 외부 기기의 피드백을 수신하여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좀더 자세히,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외부 기기 원격제어 신호,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특히,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 (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외부 기기 사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다른 원격 제어장치 사이,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이동 단말기(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주변에 제어 가능한 다른 외부 기기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근거리 통신 모듈(114)를 통해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근접 거리에 위치한 외부 기기에 원격 제어신호를 직접 보내 외부 기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이용할 경우, 중계 네트워크를 거치지 않아 보안성이 높고 및 반응 속도가 빠른 측면에서 근거리 데이터 통신에 유리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서부(14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착용 여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내 정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센서부(140)는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착용 감지 센서(300) 및 다양한 사용자 입력과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기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착용 감지 센서(300)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감지 센서(300)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파스너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한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기타 센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취하는 다양한 제스처와 모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타 센서는 제스처 센서 및 모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스처 센서는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제스처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취한 몸짓을 의미한다. 이때, 몸짓은 단순 일회 움직임이 아닌 유지 가능한 몸짓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제스처는 주먹을 쥐고 있는 몸짓, 주먹을 피고 있는 몸짓 및 적어도 1 이상의 손가락을 피는 몸짓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스처 센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밴드(204)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스처 센서는 사용자의 착용부위가 밴드(204)에 접촉하는 면적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자세히, 제스처 센서는 센서 전극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른 밴드(204)와의 접촉 면적 변화를 정전용량 변화로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스처에 따른 사용자의 착용부위와 밴드(204)에 배치된 센서 전극 사이의 거리 변화를 정전용량의 변화로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정전용량의 변화는 착용부위와 센서 전극이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도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전극은 둘러싸는 밴드(204)부재 내에 배치되어도 제스쳐 감지가 가능하므로, 외부 환경으로부터 제스쳐 센서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밴드(204) 형상는 디자인적 제약에서도 벗어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스처 센서는 사용자와 센서 전극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정밀하게 변화하는 정전용량 감지하므로, 사용자의 제스쳐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센서 전극은 자가 커패시턴스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다. 자가 커패시턴스 방식은 센싱 감도가 좋고 나아가 근접 센싱도 가능하므로, 착용부위와 센서 전극 사이의 거리가 멀어도 사용자의 제스쳐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기타 센서(141)은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션 센서는 각기 다른 방식으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여, 적어도 둘 이상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모션 센서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및 중력 센서(geomagnetic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가속도 센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공간에서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속량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는 사용자가 손목을 상하좌우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자이로스코프 센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수평면에서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스코프 센서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여러 방향으로 기울이는 제 2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중력 센서는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스코프 센서의 모션 감지를 보완할 수 있다.
즉, 센서부의 모션 센서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취하는 다양한 모션들을 방식을 구분하여 감지할 수 있다.
그 밖에, 기타 센서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제스처 감지나 모션 감지 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타 센서(141)는 특히 모션 센서와 위치 모듈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구비한 사용자의 위치와 모션 상태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는,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외부 기기가 직접 연결될 때에도,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2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250), 내부의 전원(250)을 인가 받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250)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착용 감지 센서(300)를 이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제어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여부에 따른 딥 슬립 모드 제공방법을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착용 감지 센서(3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착용 감지 센서(30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미착용했다는 감지 신호를 전송하면, 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착용 감지 센서(300)의 감지 신호는 오픈 상태 신호, 즉, 전류 미 감지 신호일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착용 감지 센서(300)가 미착용 감지 신호를 기 설정된 일정 시간 이상 전달하면, 딥 슬립 모드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딥 슬림 모드에서 제어부(180)는 최소한의 유닛만 동작시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자세히, 제어부(180)는 딥 슬립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151)를 오프할 수 있고, 무선 통신부(110)를 일정 시간 간격에 맞추어 잠시 동안만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또한, 그 밖에 유닛들은 모두 오프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미착용시 전류가 흐르지 않음에 따라서 전원(250) 공급 자체를 받지 않을 수 있다. 즉, 착용 감지 센서(300)에 의해 전류가 흐를때에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각 유닛에는 전원(250)이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프로그램 설정 없이 단순 온/오프로 착용 감지 센서(300)에 따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이탈 알림 제공방법을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기타 센서(141)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기 설정된 공간에서 이탈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기 연결된 외부 기기(500)(예컨대, 보호자 이동 단말기)에 위치 이탈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의 위치 이탈 알림에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벗어 놓고 기 설정된 공간을 이탈할 때 알림이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이탈 알림 제공방법을 나타낸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착용 감지 센서(300)에서 감지된 착용 여부와 기타 센서(141)에서 감지된 위치 이탈 여부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탈 알림을 외부 기기(500)에 전송할 수 있다.
자세히, 제어부(18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탈거시 착용 감지 센서(300)로부터 이를 감지하고, 외부 기기(500)에 탈거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착용 후 기 설정된 공간 이탈시 위치 이탈 알림을 외부 기기(5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미착용이면서 기 설정된 공간 이탈시 도난 알림/분실 알림을 외부 기기(5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외부 기기(500)를 소지한 보호자는, 알림이 없을 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기 설정된 공간에 위치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밴드, 상기 밴드를 연결하는 파스너 및 본체를 구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배치되어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착용 감지 센서로서,
    상기 파스너에 배치되며, 도전성을 갖는 버클;
    상기 파스너에 배치되며, 도전성을 갖는 고정 핀;
    상기 버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전선; 및
    상기 고정 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선은, 상기 버클과 연결되는 상기 제 1 전선의 제 1 끝단; 및 상기 밴드 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제 1 전선의 제 2 끝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선은, 상기 고정핀과 연결되는 상기 제 2 전선의 끝단; 및 상기 밴드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전선의 제 2 끝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선의 제 2 끝단과 상기 제 2 전선의 제 2 끝단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착용 감지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핀과 상기 버클이 접할 때, 상기 제 1 전선의 제 1 끝단과 상기 제 2 전선의 제 1 끝단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착용 감지 센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의 양단을 연결하고, 도전성을 갖는 제 1 연결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핀의 일 끝단은 상기 제 1 연결 바와 결합하는 착용 감지 센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 바를 감싸면서 배치되고, 상기 고정 핀의 일 끝단과 연결된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고정 핀과 상기 버클이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착용 감지 센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 바와 상기 탄성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절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착용 감지 센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토션 스프링으로,
    상기 토션 스프링은 스프링부와, 상기 스프링부의 일 끝단에 배치된 제 1 암과, 상기 스프링부의 타 끝단에 배치된 제 2 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암에는 상기 고정 핀의 일 끝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암에는 상기 제 2 전선이 연결된 착용 감지 센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핀은 바디와 상기 버클과 접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의 폭은 상기 바디의 폭 보다 큰 착용 감지 센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상기 헤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착용 감지 센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과 상기 고정 핀의 외면은 절연 코팅된 착용 감지 센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과 상기 고정 핀이 접하는 접합 면은 상기 절연 코팅으로부터 노출된 착용 감지 센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고정 핀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며 제 1 극성을 갖는 제 1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버클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며 제 2 극성을 갖는 제 2 접합부를 포함하는 착용 감지 센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는 전원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전선의 제 2 끝단과 상기 전원을 연결하는 제 1 연결 전선과, 상기 제 2 전선의 제 2 끝단과 상기 전원을 연결하는 제 2 연결 전선을 더 포함하는 착용 감지 센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는 전원이 배치되고,
    상기 본체와 상기 밴드를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제 2 연결 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선 및 상기 제 2 전선은 상기 연결바를 통해 상기 전원과 연결되는 착용 감지 센서.
  14.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는 상기 밴드와 접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의 일부 영역은 상기 결합부와 접하여 결합되고,
    상기 밴드의 일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전선의 제 2 끝단과 연결되고 상기 밴드로부터 노출된 도전 영역인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전선의 제 2 끝단과 연결되고 상기 밴드로부터 노출된 도전 영역인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착용 감지 센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영역에 대응되는 도전 영역인 제 1 컨택 영역과, 상기 결합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영역에 대응되는 도전 영역인 제 2 컨택 영역을 더 포함하는 착용 감지 센서.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는 전원이 배치되고,
    상기 본체와 상기 밴드는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 1 전선과 상기 제 2 전선은 본체 내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전원과 연결되는 착용 감지 센서.
  17. 제 1 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착용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8. 밴드, 상기 밴드를 연결하는 파스너 및 본체를 구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서,
    상기 파스너에 배치되고 스위치 원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착용 감지 센서;
    외부 기기와 무선 데이터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기타 센서; 및
    상기 착용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착용 여부 감지 신호에 따라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 감지 센서에서 미착용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딥 슬립 제어 모드를 실행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 감지 센서와 상기 기타 센서에서 전달된 감지 신호에 따라서 위치 이탈 신호 및 분실 신호을 생성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PCT/KR2016/009098 2015-09-30 2016-08-18 착용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WO2017057846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90001227.0U CN208188783U (zh) 2015-09-30 2016-08-18 穿戴检测传感器以及包括其的可穿戴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638 2015-09-30
KR1020150137638A KR20170038359A (ko) 2015-09-30 2015-09-30 착용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57846A1 true WO2017057846A1 (ko) 2017-04-06

Family

ID=58427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9098 WO2017057846A1 (ko) 2015-09-30 2016-08-18 착용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70038359A (ko)
CN (1) CN208188783U (ko)
WO (1) WO20170578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80479B2 (en) 2019-12-10 2024-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contact of living body to wearable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410B1 (ko) 2018-08-08 2020-09-2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
KR20220098508A (ko) * 2021-01-04 2022-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결속 핀 및 그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CN112965360B (zh) * 2021-03-24 2022-05-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穿戴件和可穿戴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09964A1 (en) * 2001-06-21 2003-01-16 Shear Force Wall Systems Inc. Prefabricated shearwall having improved structural characteristics
US20060140055A1 (en) * 2003-06-25 2006-06-29 Nicolas Ehrsam Bracelet with clip comprising electrical connection means
US20070064542A1 (en) * 2005-09-21 2007-03-22 Citizen Watch Co., Ltd Wristwatch type apparatus
EP2161701A1 (en) * 2008-09-04 2010-03-10 Disney Enterprises, Inc. Identification band with secured association to wearer
US20130107674A1 (en) * 2011-10-26 2013-05-02 Google Inc. Smart-watch with user interface featur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09964A1 (en) * 2001-06-21 2003-01-16 Shear Force Wall Systems Inc. Prefabricated shearwall having improved structural characteristics
US20060140055A1 (en) * 2003-06-25 2006-06-29 Nicolas Ehrsam Bracelet with clip comprising electrical connection means
US20070064542A1 (en) * 2005-09-21 2007-03-22 Citizen Watch Co., Ltd Wristwatch type apparatus
EP2161701A1 (en) * 2008-09-04 2010-03-10 Disney Enterprises, Inc. Identification band with secured association to wearer
US20130107674A1 (en) * 2011-10-26 2013-05-02 Google Inc. Smart-watch with user interface featur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80479B2 (en) 2019-12-10 2024-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contact of living body to wearable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359A (ko) 2017-04-07
CN208188783U (zh) 201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52077A1 (ko) 원격 제어장치, 원격 제어방법 및 원격 제어시스템
WO2021100932A1 (ko)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8143529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6122271A1 (en) Wearable device
WO2017057846A1 (ko) 착용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WO2016032076A1 (en) Watch type terminal
WO2017111385A1 (en) Electronic device
WO2012169861A2 (en) Apparatus for handling change in orientation of terminal during wireless power transfer and method thereof
WO2017007045A1 (ko) 무인 항공기, 이동 단말기 및 그것들의 제어방법
WO2016035927A1 (en) Headset
WO2017188492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039051A1 (ko) 와치 타입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6117745A1 (ko)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WO2017039044A1 (ko)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WO2016047837A1 (ko) 와치 타입의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WO2021107225A1 (ko)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7018603A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6167406A1 (ko) 디스플레이 장치,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하는 동기화 시스템 및 제어 방법
WO2018124334A1 (ko) 전자장치
WO2015182848A1 (ko) 이동 단말기의 충전 어셈블리
WO2018043844A1 (ko) 이동 단말기
WO2017010595A1 (ko) 키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단말 시스템
WO2017175919A1 (en) Mobile terminal
WO2016190477A1 (ko) 이동 단말기
WO2016195207A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519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519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