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410B1 -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410B1
KR102158410B1 KR1020180092210A KR20180092210A KR102158410B1 KR 102158410 B1 KR102158410 B1 KR 102158410B1 KR 1020180092210 A KR1020180092210 A KR 1020180092210A KR 20180092210 A KR20180092210 A KR 20180092210A KR 102158410 B1 KR102158410 B1 KR 102158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conductive
housing
wearable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7061A (ko
Inventor
이치범
김광태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92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410B1/ko
Publication of KR20200017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Abstract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가 개시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포함되는 프로세서, 상기 하우징에 포함되는 배터리 및 전도성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도성 체결부와 상기 사용자의 신체 사이의 커패시턴스를 측정하고, 상기 커패시턴스는 상기 전도성 체결부의 면적에 비례하고 상기 전도성 체결부와 상기 사용자의 신체 사이의 거리에 반비례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OF WEARING WEARABLE DEVICE}
아래의 설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IoT기술을 활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많이 등장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특징상 휴대가 간편해야 하며, 가볍고 오랜 시간 동작하여 한다. 이에 따라 저전력과 전원 관리 기술이 많이 요구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은 소형의 장비는 사람의 신체에 직접적인 접촉을 하거나, 신체에 직접적인 접촉이 아닌 옷이나 다른 장구에 부착되는 형태로 사용된다. 기존의 센서로서 체온이나 피부의 땀을 이용하는 경우, 고온 환경에서 착용하지 않아도 동작하거나, 반드시 피부에 밀착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가속도계를 이용한 경우, 차량내 이동 중인 경우 착용하지 않아도 동작하거나, 착용 후 이동을 하지 않은 경우 오프(off)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7-0038359 (공개일자 2017년 4월 7일)
삭제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포함되는 프로세서, 상기 하우징에 포함되는 배터리 및 전도성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도성 체결부와 상기 사용자의 신체 사이의 커패시턴스를 측정하고, 상기 커패시턴스는 상기 전도성 체결부의 면적에 비례하고 상기 전도성 체결부와 상기 사용자의 신체 사이의 거리에 반비례한다.
상기 전도성 체결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단에 형성된 제1 체결 요소, 상기 베이스의 상단에 형성된 제2 체결 요소 및 상기 베이스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 요소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체결 요소와 상기 제2 체결 요소는 상기 전도성 체결부의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 요소는 상기 전도성 체결부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 요소와 상기 제2 체결 요소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체결됨으로써 상기 전도성 체결부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고, 상기 걸림 요소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모서리에 걸림으로써 상기 하우징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후면의 곡률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곡률의 차이는 제1 임계값 미만일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턴스가 제2 임계값보다 커지는 경우에,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에 포함된 프로세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결합되고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가 헬멧에 착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신발, 벨트 또는 손목 밴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신체 부위 또는 신체에 착용되는 기구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의 착용 감지 장치(100)는 전도성 체결부(101)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에 고정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100)는 전도성 체결부(101)와 사용자의 신체(111) 사이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측정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 커패시턴스는 정전 용량으로 지칭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신체에 착용되는 전자기기를 의미하지만, 본원에서는 신체에 착용되는 모든 종류의 기구를 포함하는 것으로 재정의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안전모, 스포츠 헬멧, 헤드셋 또는 블루투스 이어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경우, 휴대가 간편하여, 추후 일반적인 단말기 핸드폰을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디바이스로 각광받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몸, 목, 머리, 손목 등 신체의 일부에 착용될 수 있는데, 상황에 따라서 착용되었는지 여부가 감지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공사 현장에서 인부들이 헬멧을 착용하는 것은 안전 수칙을 위해 필수적이며, 인부들이 헬멧을 착용했는지 여부가 자동으로 판단될 필요가 있다. 다른 예로, 공사 현장의 위험 물질에 근접하는 경우에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데, 배터리의 소비 전력을 절감하기 위해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는 경우에만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동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저전력으로 동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가 요구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100)는 전도성 체결부(101)가 신체에 접촉하는 위치 또는 접촉하는 면적의 변화를 정전용량의 변화로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도성 체결부(101)가 신체에 접촉하거나 떨어질 때,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100)는 전도성 체결부(101)와 신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전도성 체결부(101)는 전기가 흐를 수 있도록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도성 체결부(101)는 전도성이 높은 금속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성 체결부(101)은 크롬(Cr), 니켈(Ni), 구리(Cu), 알루미늄(Al), 은(Ag), 몰리브덴(Mo) 및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도성 체결부(101)는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구리 산화물(copper oxide), 주석 산화물(tin oxide), 아연 산화물(zinc oxide), 티타늄 산화물(titanium oxide) 등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전도성 체결부(101)은 나노와이어, 감광성 나노와이어 필름, 탄소나노튜브(CNT), 그래핀(graphene) 또는 전도성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체결부(101)는 전체가 전도성 물질일 수도 있고, 비전도성 물질에 전도성 물질이 결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도성 체결부(101)는 금속성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도성 체결부(101)는 플라스틱 클립에 소현 금속이 부착된 형태일 수 있다.
전도성 체결부(101)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100)를 고정시키는 동시에 신체와 전도성 체결부(101) 사이의 정전 용량을 측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100)는 내구성을 높이고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100)는 자가 커패시턴스 방식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신체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균일한 저항 설계를 통해 전도성 체결부(101) 내에는 기준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전도성 체결부(101)에는 균일한 저항에 의한 기준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웨러러블 디바이스가 신체에 착용되는 경우에, 신체와 전도성 체결부(101) 사이에 형성된 정전용량의 변화에 의하여 전압 변화가 발생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100)는 시간에 따른 전압 변화를 계산함으로써, 접촉위치, 거리 및 면적 등을 계산할 수 있다. 전압 변화에 따른 시간응답에 대한 시간차가 발생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100)는 이에 의해 변형된 신호를 기준 신호와 비교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처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100)는 자가 커패시턴스 방식을 이용하여 높은 정확도로 근접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100)는 신체로부터 1~10 cm 이내로 전도성 체결부(101)가 접근하는 경우를 착용으로 판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신체에 착용되지 않는 경우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100)는 착용으로 판정한 경우에 반응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성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처럼, 신체에 착용된 경우에만 활성 모드를 유지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100)는 IoT 분야의 저전력 이슈에 적합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활성 모드에서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에 존재하는 위험한 오브젝트를 감지할 수 있다. 공사 현장에서 위험한 오브젝트에 비콘이 설치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해당 오브젝트에 접근할 경우 경보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활성 모드에서 비콘에 신호를 송신하고 비콘으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비콘과의 근접성을 판단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비콘이 일정한 거리 이하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경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경보 신호는 경광등과 같은 시각적인 출력 신호일 수도 있고, 경보음과 같은 청각적인 출력 신호일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것들은 예시에 불과하며 근접성을 알릴 수 있는 다양한 출력 신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100)는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결합되는 하우징(102, 103), 하우징(102, 103)에 포함되는 프로세서(104), 하우징(102, 103)에 포함되는 배터리(105) 및 전도성 체결부(101)를 포함한다.
하우징(102, 103)은 두 개의 파트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파트(102)는 프로세서(104) 및 배터리(105)를 포함한다. 제2 파트(103)는 프로세서(104) 및 배터리(105)가 제1 파트(102)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제1 파트(102)의 개방된 부분을 막는 덮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하우징(102, 103)은 절연성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2, 103)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2, 103)의 후면의 곡률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곡률의 차이는 제1 임계값 미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헬멧이고, 하우징(102, 103)은 전도성 체결부(101)를 통해 헬멧에 고정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100)와 접촉하는 헬멧의 접촉면은 곡면일 수 있고, 하우징(102, 103)의 접촉면은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접촉면은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02, 103)의 후면의 곡률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곡률의 차이는 제1 임계값 미만이므로, 밀착의 정도가 높아지고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100)는 헬멧에 보다 잘 고정될 수 있다.
전도성 체결부(101)는 베이스, 베이스의 하단에 형성된 제1 체결 요소, 베이스의 상단에 형성된 제2 체결 요소 및 베이스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 요소로 구성되고, 제1 체결 요소와 제2 체결 요소는 전도성 체결부의 후면에 형성되고, 걸림 요소는 전도성 체결부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는 전도성 체결부(10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체결 요소와 제2 체결 요소는 하우징(102, 103)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체결됨으로써 전도성 체결부를 하우징(102, 103)에 고정시키고, 걸림 요소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모서리에 걸림으로써 하우징(102, 103)을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고정시킨다. 제1 체결 요소 및 제2 체결 요소는 하우징(102, 103)의 양단에 체결됨으로써 전도성 체결부(101)를 하우징(102, 103)에 고정시킬 수 있다. 걸림 요소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모서리에 결합되어 전도성 체결부(101)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헬멧인 경우, 헬멧의 모서리에 걸림 요소가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전도성 체결부(101)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하우징(102, 103)을 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배터리(105)는 프로세서(104)에 전력을 공급한다.
다만, 전도성 체결부(101)의 형성은 후크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클립 또는 집게 형태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체결부(101)는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4)는 전도성 체결부와 사용자의 신체 사이의 커패시턴스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커패시턴스는 전도성 체결부의 면적에 비례하고 전도성 체결부와 사용자의 신체 사이의 거리에 반비례한다. 커패시턴스가 제2 임계값보다 커지는 경우에,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100)에서 하우징과 전도성 체결부(101)가 연결된 상태의 제1 측면도가 도시된다. 하우징은 헬멧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의 중심에는 전도성 체결부(101)가 체결될 수 있도록 직선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홈의 폭은 전도성 체결부(101)의 폭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의 폭은 전도성 체결부(101)의 폭보다 10% 더 길 수 있다. 홈의 깊이는 전도성 체결부(101)의 베이스의 두께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의 깊이는 베이스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헬멧과 하우징은 정교하게 밀착될 수 있다.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100)에서 하우징과 전도성 체결부(101)가 연결된 상태의 제2 측면도가 도시된다. 전도성 체결부(101)의 제2 체결 요소는 하우징의 하단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체결 요소는 하우징의 상단에 체결될 수 있다. 걸림 요소는 제1 체결 요소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걸림 요소는 제1 체결 요소가 체결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걸림 요소와 베이스 사이의 간격은 헬멧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헬멧의 모서리가 걸림 요소에 삽입되는 경우 걸림 요소의 복원력으로 인해 걸림 요소는 헬멧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에 포함된 프로세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04)와 센스 패드(sense pad)(101)가 연결된 구조가 도시된다. 프로세서(104)는 정전 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04)는 센스 패드(101)와 신체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센스 패드(101)는 전도성 체결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4)는 TTP223-ASB SSOP-16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며 다양한 종류의 프로세서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104)는 정전 용량을 측정함으로써 프로세서(104)의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정전 용량이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프로세서(104)는 활성화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프로세서(104)는 활성화 모드 상태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4)는 외부의 비콘과 커뮤니케이션을 함으로써 비콘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4)는 위험한 오브젝트에 부착된 비콘과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경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정전 용량이 제2 임계값 이하인 경우, 프로세서(104)는 슬립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104)는 슬립 모드로 전환되어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센스 패드(101)에서 측정되는 정전용량은 신체와의 거리에 반비례하고, 패드의 면적에 비례한다. 따라서 요구되는 거리와 패드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신체로부터 일정한 거리 미만으로 접근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4)는1cm ~ 10cm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접근 여부의 측정에 나노 암페어(nA) 수준의 미세한 전류가 필요하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100)는 저전력으로 동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Claims (4)

  1.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포함되는 프로세서;
    상기 하우징에 포함되는 배터리; 및
    전도성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도성 체결부와 상기 사용자의 신체 사이의 커패시턴스를 측정하고,
    상기 커패시턴스는 상기 전도성 체결부의 면적에 비례하고 상기 전도성 체결부와 상기 사용자의 신체 사이의 거리에 반비례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체결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단에 형성된 제1 체결 요소, 상기 베이스의 상단에 형성된 제2 체결 요소 및 상기 베이스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 요소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체결 요소와 상기 제2 체결 요소는 상기 전도성 체결부의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 요소는 상기 전도성 체결부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 요소와 상기 제2 체결 요소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체결됨으로써 상기 전도성 체결부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고, 상기 걸림 요소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모서리에 걸림으로써 상기 하우징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고정시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후면의 곡률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곡률의 차이는 제1 임계값 미만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커패시턴스가 제2 임계값보다 커지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
KR1020180092210A 2018-08-08 2018-08-08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 KR102158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210A KR102158410B1 (ko) 2018-08-08 2018-08-08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210A KR102158410B1 (ko) 2018-08-08 2018-08-08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061A KR20200017061A (ko) 2020-02-18
KR102158410B1 true KR102158410B1 (ko) 2020-09-21

Family

ID=69638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210A KR102158410B1 (ko) 2018-08-08 2018-08-08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4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3793A (ko) * 2019-11-04 2021-05-12 정대성 센서 장치를 포함하는 의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881Y1 (ko) * 2008-01-08 2010-01-07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안전모 착용관리장치
US9770185B2 (en) * 2014-08-06 2017-09-26 Verily Life Sciences Llc Sharing a single electrode between skin resistance and capacitance measurements
KR20170038359A (ko) 2015-09-30 2017-04-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착용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061A (ko) 202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2177B1 (ko) 에너지 검출 경고 디바이스
US11463799B2 (en) Force-activated earphone
JP4845981B2 (ja) 電圧警報器
US20140133669A1 (en) Controlling power for a headset
KR20180032902A (ko) 전자 장치에 있어서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2023822B1 (ko) 전력 관리 방법,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2448783B1 (ko) 스마트 안전모 및 이를 이용한 안전모 착용 관리장치
EP3229667B1 (en) Sensing of a user's physiological context using a computing device
KR102158410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감지 장치
CN105652651A (zh) 可穿戴物品
WO2017204301A1 (ja) 電子機器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10463301B2 (en) Wearable device band
US11171729B2 (en) Tag apparatus for attaching things based on human body communication
US20240027238A1 (en) Sensor fixing structure, wearable device, and hot melt apparatus
WO2018145430A1 (zh) 可穿戴设备及可穿戴设备防丢的方法
CN204650728U (zh) 后挂式头戴视力保护仪
CN218567625U (zh) 一种佩戴检测装置及可穿戴设备
US20200070590A1 (en) Tread detecting device and tread detecting module
US10553846B1 (en) System for thermal management of a battery
AU2021101005A4 (en) Force-activated earphone
US10976799B2 (en) Extending electronic device sensors through device mounts
CN216393193U (zh) 一种电子标签及安全帽
CN214252743U (zh) 头戴设备及其触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