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75350A1 -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WO2016175350A1 WO2016175350A1 PCT/KR2015/004305 KR2015004305W WO2016175350A1 WO 2016175350 A1 WO2016175350 A1 WO 2016175350A1 KR 2015004305 W KR2015004305 W KR 2015004305W WO 2016175350 A1 WO2016175350 A1 WO 2016175350A1
- Authority
- WO
- WIPO (PCT)
- Prior art keywords
- unit
- learning
- learner
- communication
- langu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solve the difficulty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redundant disabled person and the special teacher who have difficulty in expressing the doctor and emotions with autism, language development disorder, intellectual disability, etc.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sual learning management system for the communication training of the disabled with duplicates for the creation and service of content using non-verbal visual expression technology.
-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mote emotion sharing and communication with a person with autism, a language developmental disorder, an intellectual disability, and a redundant disorder having difficulty in expressing a doctor and feelings. It is to provide a visual learning management system for the communication training of the disabled with the help of special teachers and parent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made through a terminal in a network environment, comprising: a first database in which a visual language tool is stored with characteristic information; A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a search unit providing a search and selection function of a language tool in the first database, and a sharing unit sharing a selected language tool; A first storage unit accumulating the selected, searched and shared language tool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storing the language tools as pattern information; An analyzer configured to analyze the pattern information to generate preference information for a learner; A second database in which educational tools classified according to learner types are stored together with matching information with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A learning design unit having a recommendation unit for recommending an education tool from the second database based on the preference information, and a writing unit for designing learning contents through the recommended education too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s of.
- the communic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random input unit that receives and shares an object created by a learner, and a reaction unit that receives and shares feedback content from an instructor with respect to the object, wherein the object and the feedback content are pattern information. It can be configured to be stored in.
- the communic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reflecting unit configured to provide a language tool having high similarity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rough the search unit by analyzing pre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analyzing unit.
- the learning unit provides the learner designed through the creation unit, receiving the learning feedback from the learner;
- a second storage unit accumulating the learning content and the learning feedback provided to the learner and storing the learning content as a learning pattern;
- a learning analyzer having a rating unit for assigning a score to the learning feedback, and a selecting unit for selecting education tools included in learning contents having a score lower than a set score; It may further include.
- the learning analysis unit extracts the feature information of the associated visual language tool by analyzing the pre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analysis unit, and the education tool selected through the selection unit through the feature information extracted through the extraction unit A conversion unit to partially convert the characteristic; It may further include.
- the real-time communication through the visual expression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difficulty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redundant disabled and the special teacher who have difficulty in expressing the doctor and the emotion, and induces the interest and motivation of the learner based on the conventional static image. Education that greatly improves the degree of freedom and expression can be achieved.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secure access to the weak communication layer,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personality infringement factors due to the induction of social participation and lack of communication of the language-communication disabled.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made through the network (N) environment and the terminal (T1, T2) that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the network (N).
- the terminals T1 and T2 may be used as personal portable terminals capable of inputting an object from a user and supporting image output.
- the terminals T1 and T2 may be touch screens such as smart phones, smart pads, and tablet PCs. It is preferable to use a terminal provided.
- the configuration is divided into one, but one terminal may be used by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r three or more terminals may be used as an instructor and a plurality of learners.
- Various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terminal in such an environment, and may be extended to distribute more components to remote servers as necessary to support more data. Description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server and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through the network apply well-known techniques,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connect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atabase 110 and the configuration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learner and instructor and thereby increase the learning effect, and The communication unit 120, the first storage unit 130, the analysis unit 140, the second database 150, and the learning design unit 160 are illustrated.
- the first database 110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visual language tool is stored with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 visual language tools such as emoticons and images for expressing emotions, including expressions and symbols representing various characters, animals and plants or objects, are collected and stored in advance in the first database 110.
- the stored visual language tools are given characteristic information represented by color, meaning, and form, so that they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he language tools can be updated and modified as necessary.
- the communication unit 120 is configured to allow communication between learners and instructors by using visual language tools stored in the first database 110. Basically, the communication unit 120 searches for language tools in the first database 110. And a searching unit 121 for providing a selection function and a sharing unit 122 for sharing the selected language tool with each other.
- the searcher 121 is a search engine, and both instructors and learners may search and select visual language tools stored in the first database 110 through the searcher 121, respectively. Through the common terminal or a plurality of terminals through the real-time visual language tool selected by the opponent to be added to your own selected visual language tools.
- the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in particular, by accumulating and storing the content searched by the learner and the selected language tool, and analyzing it, any preferences including the student's preferences and major interests, etc. Learn how the learner reacts to the tool.
- the first storage unit 130 is configured to accumulate and store the language tools selected, searched, and shar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and the language tools searched and selected by the learner and the language shared by the instructor.
- the language tool of the learner fed back to the tool is stored as pattern information.
- the cumulative amount of pattern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30 increases, more accurate analysis can be performed. Therefore, an educator needs to lead communication with learners through various approaches and feedback so that sufficient pattern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There is.
- the communication unit 120 is an arbitrary language so that the learner directly inputs an object for communication, and the instructor can give feedback on the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the visual language tool stored in the first database 110.
- the input unit 123 and the reaction unit 124 are further included.
- the random input unit 123 is configured to receive an object created by the learner and share it with the instructor through the sharing unit 122, and the learner directly creates the object through the interface unit provided in the terminal. For example, if a student wants to enter a specific picture of his or her own, the student selects the color and thickness of the line and draws the picture, selects one of the basic shapes provided by default, adjusts the size, or combines multiple basic shapes. You can write it, and provide a simple and intuitive input tool for this.
- the reaction unit 124 is configured to receive feedback content from an instructor for a shared object input through the random input unit 123 and share it with the learner through the sharing unit 122. In order to induce the learner's additional communication behavior with respect to the objects created and shared through 162), the instructor can input the contents for feedback in the form of an object so that the learner can check.
- the object input through the random input unit 123 and the feedback content input through the reaction unit 124 are also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30 as pattern information for later analysis. Or shape, etc., can be input and stored together with the instructor as characteristic information.
- the analyzing unit 140 is configured to generate the preference information for the learner by analyzing the pattern information.
- the pattern information includes the language tools inputted by the learner and the feedback contents of the learner, including the language tool searched and selected by the learner, the language tool of the learner fed back on the language tool shared by the instructor. Accordingly, the analysis unit 140 extracts language information or feedback content, in which the learner responds positively to the language device or the feedback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structor, including language devices or objects that are frequently used, among them, preference information. Will generate
- the communication unit 120 analyzes the pre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analysis unit 140 so as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pre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analysis unit 140. It further includes a reflecting unit 125 for providing a language tool having high similarity characteristic information to the learner or instructor through the search unit 121.
- the preferenc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language tools determined to be high by the learner.
- the feature information assigned to the language tool with high preference is extracted, and other language tool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eature information as the extracted feature information are also likely to have high preference. Helps you find and select your language tools, and especially helps you better choose your preferred language tools.
- the second database 150 is a configuration in which educational tools classified according to learner types are stored together with matching information with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he educational tools have a software or app format based on computer programming and are provided through a terminal.
- the second database 150 stores various visual education tools for enhancing communication ability of learners with speech impairments.
- the educational tool is required for the participation and feedback of the learner from time to time, such as presenting an option during the process or requiring the creation and input of objects for expression,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communication ability. It will contain what is there.
- the learning design unit 160 is configured to help the instructor to increase the degree of participation by inducing the learning motivation in writing the teaching design for the learner through the educational tool stored in the second database 150, recommend the educational tool And a recommendation unit 161 and a creation unit 162 for designing learning contents.
- the recommendation unit 161 is configured to recommend an educational tool from the second database 150 based on the preference information.
- the educational tool stored in the second database 150 is stored in a language tool. Since it is stored together with matching information with the given characteristic information, it is recommended to instruct the teacher by extracting an educational tool provided with matching information with the same or higher similarity to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reference information.
- the composition unit 162 is configured to design the learning content through the recommended educational tool through the recommendation unit 161, by selecting a plurality of recommended educational tools from the instructor may organize the learning content or recommended multiple All of the educational tools of the school can be organized to reflect the learning contents.
-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connect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learning content design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 to perform the evaluation after the training progress for the learner and reflect this when designing later learning content
- the learning unit 170, the second storage unit 180, and the learning analysis unit 190 are added to the configuration.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tents as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 the learning unit 170 provides the learner with the learning contents designed through the creating unit 162 and receives the learning feedback from the learner.
- the educational tool presents an option in progress or From time to time, the participation and feedback of learners are required, such as the creation and input of objects for expression, and the learners are provided with feedback as an action corresponding thereto.
- the learning unit 170 receives feedback along with the progress of the learning content.
- the second storage unit 180 is configured to accumulate and store the learning feedback received in addition to the learning contents provided to the learners through the learning unit 170 in a learning pattern for analysis purposes.
- the learning analyzer 190 is a component for analyzing the learning content that is insufficient for the learner, that is, the content that requires intensive learning, in addition to the evaluation of the learning feedback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180, basically, the evaluation unit 191. ) And a sorting unit 192.
- the evaluation unit 191 is configured to assign a score to the learning feedback, and scores by scoring the learning feedback input by the learner along with the progress of th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grading criteria input in advance, including the learning participation rate of the learner. The score is calculated for each educational tool reflected in the contents.
- the selector 192 is configured to select an educational tool included in the learning content having a lower score than the set score, the educational tool having a low score is a learning part that is insufficient to participate or is particularly vulnerable to the learner due to lack of interest of the learner. Since it will be extracted, it is to be repeated later learning or to modify the learn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 to be made.
- the extractor 193 and the conversion unit 194 are further provided as a configuration for inducing the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for the educational tool vulnerable to the learner.
- the extractor 193 is configured to extract the feature information of the associated visual language tool by analyzing the pre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analyzer 140, and literally, such as color, shape, It extracts creatures such as animals or flowers or specific objects.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formation range included in the featur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language tool, but as mention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formation is generally configured such that color or shape, information such as an animal or a flower, or a specific object level can be extracted. .
- the conversion unit 194 partially conver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 tool selected by the selection unit 192 through the feature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extraction unit 193. That is, the characteristics included in the educational tool are converted into the characteristics preferred by the learner. For example, the color of the figure included in the educational tool is changed to the learner's preferred color extracted through the extractor 193, or the education. The flora and fauna included in the tool is changed to the learner's preferred flora or fauna extracted through the extractor 193. Through this, learners can participate in the learning contents including the same educational tool in the future and participate in feedback with more interest in the educational tool given their preferred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폐아, 언어발달장애, 지적장애 등을 수반하여 의사 및 감정표현에 어려움을 겪는 중복장애인과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학습 동기의 유발을 위해 비언어적 기반의 비주얼 의사표현 기술을 적용한 콘텐츠의 생성 및 서비스를 위한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학습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자폐아, 언어발달장애, 지적장애 등을 수반하여 의사 및 감정표현에 어려움을 겪는 중복장애인과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학습 동기의 유발을 위해 비언어적 기반의 비주얼 의사표현 기술을 적용한 콘텐츠의 생성 및 서비스를 위한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한 가지 이상의 장애를 가진 장애인을 의미하는 중복장애인 중 특별히 자폐, 언어발달장애, 지적장애 등의 수반한 경우 자신의 의사표현 및 감정 표현에 많은 어려움이 있어, 의사소통을 통한 학습 진행에 많은 애로사항이 있다.
이에 의사소통을 위한 보안 대체 의사소통(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기술을 활용하여 언어를 보완하거나 종래의 의사소통을 대체하여 상대방에게 의사를 전달할 수 있는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특별히 언어적 표현이 매우 제한적인 언어발달장애인의 교육에 있어 자신의 의사표현을 언어가 아닌 다양한 시각적인 수단으로 표출하도록 하여 소통을 유도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언어발달장애인은 5 ~ 6세에서 언어적 소통능력이 멈추는 경우가 많아 유아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기반으로 제스처와 그림장을 통해 부모나 가족과 소통을 하는 경우가 많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에서 비언어적 소통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다.
이와 같은 비언어적 소통을 돕는 종래의 기술에서는 사용자의 의도 및 의사를 더 자유롭게 표현하기 위한 시각적 의사표현 기술이 개발, 적용되고 있으나, 상대의 예측하지 못한 행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신뢰성 있는 환경을 반복 제공하고, 학습자의 감정 표현을 유도함으로써 사회적 소통을 유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폐아, 언어발달장애, 지적장애 등을 수반하여 의사 및 감정표현에 어려움을 겪는 중복장애인과 감정공유 및 의사소통 증진과 특수교사, 부모의 상호작용을 돕고 학습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학습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시각적 언어도구가 특성정보와 함께 저장되는 제1데이터베이스;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에서 언어도구의 검색 및 선택 기능을 제공하는 검색부와, 선택된 언어도구를 공유하는 공유부를 구비한 커뮤니케이션부; 상기 커뮤니케이션부를 통해 선택, 검색, 공유된 언어도구를 누적하여 패턴정보로 저장하는 제1저장부; 상기 패턴정보를 분석하여 학습자에 대한 선호정보를 생성하는 분석부; 학습자 유형에 따라 분류된 교육도구가 상기 특성정보와의 매칭정보와 함께 저장되는 제2데이터베이스; 상기 선호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로부터 교육도구를 추천하는 추천부와, 상기 추천된 교육도구를 통해 학습내용을 설계하는 작성부를 구비한 학습설계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커뮤니케이션부는 학습자로부터 작성된 객체를 입력받아 공유하는 임의입력부와, 상기 객체에 대해 교수자로부터 피드백 내용을 입력받아 공유하는 반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객체 및 피드백 내용이 패턴정보로 상기 제1저장부에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뮤니케이션부는 상기 분석부를 통해 생성된 선호정보를 분석하여 유사도가 높은 특성정보를 갖는 언어도구를 상기 검색부를 통해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반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부를 통해 설계된 학습내용을 학습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학습자로부터 학습 피드백을 입력받는 학습부; 학습자에게 제공된 학습내용 및 상기 학습 피드백을 누적하여 학습패턴으로 저장하는 제2저장부; 상기 학습 피드백에 대한 점수를 부여하는 평가부와, 설정된 점수보다 낮은 점수를 갖는 학습내용에 포함된 교육도구를 선별하는 선별부를 구비하는 학습분석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분석부는 상기 분석부를 통해 생성된 선호정보를 분석하여 연관된 시각적 언어도구의 특징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부를 통해 추출된 특징정보를 통해 상기 선별부를 통해 선별된 교육도구의 특성을 부분적으로 변환시키는 변환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주얼 의사표현 기술을 통한 실시간 소통을 통해 의사 및 감정표현에 어려움을 겪는 중복장애인과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고,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유발을 유도하여 종래의 정적 이미지 기반의 의사소통 교육보다 자유도와 표현도를 대폭 향상시킨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의사소통 취약 계층에 대한 접근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언어소통 장애인의 사회참여 유도 및 의사소통 부재로 인한 인격침해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념도로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네트워크(N) 환경 및 상기 네트워크(N) 내에서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단말기(T1, T2)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단말기(T1, T2)는 사용자로부터의 객체의 입력이 가능하고 영상출력을 지원하는 개인용 휴대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최근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태블릿 PC와 같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구성의 특징 및 기능의 설명을 위해 의사소통이 어려운 장애인에 해당하는 학습자가 소지한 단말기(T1)와, 특수교사 내지는 상기 학습자의 부모에 해당하는 교수자가 소지한 단말기(T2)로 나누어 구성을 설명하나, 1개의 단말기를 교수자와 학습자가 함께 사용하며 커뮤니케이션을 하거나, 3개 이상의 단말기를 통해 교수자와 복수의 학습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활동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을 이루는 다양한 구성은 이러한 환경 내에서 단말기를 통해 구현이 되며, 필요에 따라 원격의 서버에 일부 구성을 분산하여 더욱 많은 데이터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확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단말기 및 서버의 구성과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에 관한 기술은 공지의 기술이 적용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학습자와 교수자 사이의 의사소통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제1데이터베이스(110)와, 커뮤니케이션부(120)와, 제1저장부(130)와, 분석부(140)와, 제2데이터베이스(150)와, 학습설계부(160)를 구비한 모습을 나타낸다.
먼저,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110)는 시각적 언어도구가 특성정보와 함께 저장되는 구성이다. 일반적인 사람들 간에 이루어지는 대화를 대체하여 종래의 방식으로는 의사소통이 어려웠던 학습자의 원활한 의사표현을 돕기 위해 현재까지 개발된 다양한 언어도구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는 개발된 다양한 문자, 동식물이나 사물을 표현한 그림 및 심벌을 비롯하여 특별히 감정표현을 위한 이모티콘, 이미지와 같은 시각적인 언어도구를 수집하여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110)에 미리 저장하게 된다. 이때 저장되는 각각의 시각적 언어도구에는 색상, 의미, 형태로 대표되는 특성정보가 부여되어, 특성정보별로 분류가 가능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언어도구에 대한 업데이트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뮤니케이션부(120)는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시각적 언어도구를 활용하여 학습자와 교수자 사이의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기본적으로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110)에서 언어도구의 검색 및 선택 기능을 제공하는 검색부(121)와, 선택된 언어도구를 상호공유하는 공유부(122)를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검색부(121)는 검색엔진으로서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는 각각 상기 검색부(121)를 통해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시각적 언어도구를 검색하고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공유부(122)를 통해 공동의 단말기 또는 복수의 단말기를 통해 상대가 선택한 시각적 언어도구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자신의 선택한 시각적 언어도구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커뮤니케이션부(120)를 통해 의사소통이 이루어짐에 있어서, 특별히 상기 학습자가 검색한 내용 및 선택한 언어도구를 누적하여 저장하였다가 이를 분석함으로 학습자의 선호도를 비롯하여 주요 관심사를 비롯하여 교수자가 제시한 어떤 의사도구에 대해 학습자가 어떤 반응을 하는 등의 파악이 가능해 진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저장부(130)는 상기 커뮤니케이션부(120)를 통해 선택, 검색, 공유된 언어도구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구성으로, 특별히 학습자가 검색 및 선택한 언어도구와, 교수자가 공유한 언어도구에 대해 피드백되는 학습자의 언어도구 등이 패턴정보로 저장된다. 이때 상기 제1저장부(130)에 저장되는 패턴정보의 누적량이 많을수록 더욱 정확한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교육자는 충분한 패턴정보가 수집될 수 있도록 다양한 접근과 피드백을 통해 학습자와의 의사소통을 이끌어나갈 필요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부(120)는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시각적 언어도구 외에도 의사소통을 위해 학습자가 직접 객체를 입력하고, 교수자가 이에 대해 피드백을 할 수 있도록 임의입력부(123)와, 반응부(124)를 더 포함하게 된다.
상기 임의입력부(123)는 학습자로부터 작성된 객체를 입력받아 상기 공유부(122)를 통해 교수자와 공유하기 위한 구성으로, 단말기에 구비된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학습자가 직접 객체를 작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자신만의 특정한 그림을 입력하고자 할 경우 직접 선의 색상 및 굵기 등을 선택하여 그림을 그려 넣거나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기본 도형 중 선택하여 크기를 조절하거나 복수의 기본 도형을 조합함으로 객체를 작성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간단하고 직관적인 입력 툴(tool)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반응부(124)는 상기 임의입력부(123)를 통해 입력되어 공유된 객체에 대해 교수자로부터 피드백 내용을 입력받아 상기 공유부(122)를 통해 학습자와 공유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임의작성부(162)를 통해 작성되어 공유된 객체에 대하여 학습자의 추가 의사소통 행위를 이끌어내기 위해 교수자가 추가로 피드백을 위한 내용을 객체 형식으로 입력하여 학습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임의입력부(123)를 통해 입력된 객체와, 상기 반응부(124)를 통해 입력된 피드백 내용 또한 추후 분석을 위해 패턴정보로 상기 제1저장부(130)에 저장되며, 이때 사용된 색상이나 형상 등을 특성정보로 교수자로부터 함께 입력받아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석부(140)는 상기 패턴정보를 분석하여 학습자에 대한 선호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패턴정보는 학습자가 검색 및 선택한 언어도구와, 교수자가 공유한 언어도구에 대해 피드백되는 학습자의 언어도구 등을 비롯하여 학습자가 입력한 객체 및 교수자의 피드백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상기 분석부(140)는 이들 중 특별히 사용빈도가 높은 언어도구나 객체를 비롯하여 교수자가 제시한 언어도구나 피드백 내용에 대해 학습자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언어도구나 피드백 내용을 추출하여 선호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부(120)는 상기 분석부(140)를 통해 생성되는 선호정보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상기 분석부(140)를 통해 생성된 선호정보를 분석하여 유사도가 높은 특성정보를 갖는 언어도구를 상기 검색부(121)를 통해 학습자 내지는 교수자에게 제공하는 반영부(125)를 더 포함하게 된다.
즉 상기 선호정보는 학습자에 의해 선호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언어도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이때 선호도가 높은 언어도구에 부여된 특성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성정보와 동일하거나 유사도가 높은 특성정보를 갖는 다른 언어도구도 역시 선호도가 높게 나올 가능성이 크므로 언어도구의 검색시 이를 먼저 제시하여 언어도구의 검색 및 선택을 돕고, 특별히 학습자가 선호하는 언어도구를 더 잘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150)는 학습자 유형에 따라 분류된 교육도구가 상기 특성정보와의 매칭정보와 함께 저장되는 구성으로, 상기 교육도구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기반으로 한 소프트웨어 또는 앱 형식을 갖고 단말기를 통해 실행되는 콘텐츠로, 특별히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150)에는 언어장애를 갖는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 강화교육을 위한 다양한 시각적 교육도구가 저장된다. 이때, 상기 교육도구는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을 목적으로 함에 따라 진행 중 선택지를 제시하거나 의사표현을 위한 객체 작성 및 입력을 요구하는 등 수시로 학습자의 참여 및 피드백을 요구하며 학습자의 참여와 함께 진행될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학습설계부(160)는 교수자가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교육도구를 통해 학습자에 대한 교수설계안을 작성함에 있어서 학습 동기를 유발하여 참여도를 높일 수 있도록 돕는 구성으로, 교육도구를 추천하는 추천부(161)와, 학습내용을 설계하는 작성부(162)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추천부(161)는 상기 선호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교육도구를 추천하는 구성으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는 교육도구는 언어도구에 부여되는 특성정보와의 매칭정보와 함께 저장되므로 선호정보에 포함된 특성정보와 동일 내지는 유사도가 높은 특성정보와의 매칭정보가 부여된 교육도구를 추출하여 교수자에게 추천하는 것이다.
상기 작성부(162)는 상기 추천부(161)를 통해 추천된 교육도구를 통해 학습내용을 설계하는 구성으로, 추천된 다수의 교육도구를 교수자로부터 선택받아 학습내용을 편성할 수도 있고 추천된 다수의 교육도구를 모두 그대로 학습내용에 반영하여 편성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계된 학습내용을 통해 학습자에 대해 교육 진행 후 평가를 수행하고 이를 추후 학습내용 설계시 반영할 수 있도록 학습부(170)와, 제2저장부(180)와, 학습분석부(190)의 구성이 부가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학습부(170)는 상기 작성부(162)를 통해 설계된 학습내용을 학습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학습자로부터 학습 피드백을 입력받는 구성으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교육도구는 진행 중 선택지를 제시하거나 의사표현을 위한 객체 작성 및 입력을 요구하는 등 수시로 학습자의 참여 및 피드백을 요구하게 되며, 학습자는 이에 대응한 행위로서의 피드백이 이루어진다. 상기 학습부(170)는 이와 같은 학습내용의 진행과 함께 피드백을 입력받는다.
상기 제2저장부(180)는 상기 학습부(170)를 통해 학습자에게 제공된 학습내용과 더불어 입력받은 상기 학습 피드백을 분석을 목적으로 학습패턴화하여 누적하여 저장하는 구성이다.
상기 학습분석부(190)는 상기 제2저장부(180)에 저장된 학습 피드백에 대한 평가와 더불어 학습자에게 부족한 학습 내용 즉 집중적인 학습이 필요한 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구성으로, 기본적으로 평가부(191)와, 선별부(192)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평가부(191)는 상기 학습 피드백에 대한 점수를 부여하는 구성으로, 학습자의 학습참여율을 비롯하여 미리 입력된 채점기준에 따라 학습내용의 진행과 더불어 학습자가 입력한 학습 피드백을 채점하여 점수화하되 학습내용에 반영된 교육도구별로 점수를 산출한다.
상기 선별부(192)는 설정된 점수보다 낮은 점수를 갖는 학습내용에 포함된 교육도구를 선별하는 구성으로, 낮은 점수를 갖는 교육도구는 학습자의 흥미 부족으로 참여가 부족하거나 학습자에게 특별히 취약한 학습부분이 될 것이므로, 이를 추출하여 추후 반복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학습자의 특성에 맞추어 변형하여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학습자에게 취약한 교육도구에 대한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유발하기 위한 구성으로 추출부(193)와, 변환부(194)를 추가로 구비하게 된다.
상기 추출부(193)는 상기 분석부(140)를 통해 생성된 선호정보를 분석하여 연관된 시각적 언어도구의 특징정보를 추출하는 구성으로, 말 그대로 학습자가 선호하는 언어도구의 특성 이를테면 색상, 형상, 동물이나 꽃과 같은 생물 내지는 특정 사물 등을 추출하게 된다. 이는 언어도구에 부여되는 특징정보가 포함하는 정보범위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으나, 언급한 바와 같이 통상 색상, 형상, 동물이나 꽃과 같은 생물 내지는 특정 사물 수준의 정보가 추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환부(194)는 상기 추출부(193)를 통해 추출된 특징정보를 통해 상기 선별부(192)를 통해 선별된 교육도구의 특성을 부분적으로 변환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교육도구에 포함되는 특성을 학습자가 선호하는 특성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교육도구에 포함된 도형의 색상을 상기 추출부(193)를 통해 추출된 학습자 선호 색상으로 변경한다든지, 교육도구에 포함되어 있는 동식물 또는 사물을 상기 추출부(193)를 통해 추출된 학습자 선호 동식물 또는 사물로 변경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추후 동일한 교육도구를 포함한 학습내용 진행시 학습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특성이 부여된 교육도구에 대해 더욱 관심 있게 참여하여 피드백 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Claims (5)
- 네트워크 환경에서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학습관리 시스템에 있어서,시각적 언어도구가 특성정보와 함께 저장되는 제1데이터베이스;상기 제1데이터베이스에서 언어도구의 검색 및 선택 기능을 제공하는 검색부와, 선택된 언어도구를 공유하는 공유부를 구비한 커뮤니케이션부;상기 커뮤니케이션부를 통해 선택, 검색, 공유된 언어도구를 누적하여 패턴정보로 저장하는 제1저장부;상기 패턴정보를 분석하여 학습자에 대한 선호정보를 생성하는 분석부;학습자 유형에 따라 분류된 교육도구가 상기 특성정보와의 매칭정보와 함께 저장되는 제2데이터베이스;상기 선호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로부터 교육도구를 추천하는 추천부와, 상기 추천된 교육도구를 통해 학습내용을 설계하는 작성부를 구비한 학습설계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커뮤니케이션부는 학습자로부터 작성된 객체를 입력받아 공유하는 임의입력부와, 상기 객체에 대해 교수자로부터 피드백 내용을 입력받아 공유하는 반응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객체 및 피드백 내용이 패턴정보로 상기 제1저장부에 저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커뮤니케이션부는 상기 분석부를 통해 생성된 선호정보를 분석하여 유사도가 높은 특성정보를 갖는 언어도구를 상기 검색부를 통해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반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작성부를 통해 설계된 학습내용을 학습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학습자로부터 학습 피드백을 입력받는 학습부;학습자에게 제공된 학습내용 및 상기 학습 피드백을 누적하여 학습패턴으로 저장하는 제2저장부;상기 학습 피드백에 대한 점수를 부여하는 평가부와, 설정된 점수보다 낮은 점수를 갖는 학습내용에 포함된 교육도구를 선별하는 선별부를 구비하는 학습분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상기 학습분석부는 상기 분석부를 통해 생성된 선호정보를 분석하여 연관된 시각적 언어도구의 특징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부를 통해 추출된 특징정보를 통해 상기 선별부를 통해 선별된 교육도구의 특성을 부분적으로 변환시키는 변환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5/004305 WO2016175350A1 (ko) | 2015-04-29 | 2015-04-29 |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5/004305 WO2016175350A1 (ko) | 2015-04-29 | 2015-04-29 |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6175350A1 true WO2016175350A1 (ko) | 2016-11-03 |
Family
ID=57198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PCT/KR2015/004305 WO2016175350A1 (ko) | 2015-04-29 | 2015-04-29 |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WO (1) | WO2016175350A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10518B1 (ko) * | 1997-02-06 | 1999-07-15 | 김동수 | 언어장애자를 위한 언어학습장치 |
KR20050066676A (ko) * | 2003-12-26 | 2005-06-30 | 추교남 | 언어 장애인을 위한 언어보조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위한아이콘 언어 |
KR20110018397A (ko) * | 2011-01-10 | 2011-02-23 | 이영원 | 언어장애아동을 위한 언어치료용 교구 |
KR101169249B1 (ko) * | 2011-03-10 | 2012-08-06 | 나사렛대학교 산학협력단 | 장애인용 보완대체 의사소통 장치 |
KR20140126917A (ko) * | 2013-04-24 | 2014-11-03 | 한상윤 | 언어장애 극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언어장애 극복방법 |
-
2015
- 2015-04-29 WO PCT/KR2015/004305 patent/WO201617535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10518B1 (ko) * | 1997-02-06 | 1999-07-15 | 김동수 | 언어장애자를 위한 언어학습장치 |
KR20050066676A (ko) * | 2003-12-26 | 2005-06-30 | 추교남 | 언어 장애인을 위한 언어보조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위한아이콘 언어 |
KR20110018397A (ko) * | 2011-01-10 | 2011-02-23 | 이영원 | 언어장애아동을 위한 언어치료용 교구 |
KR101169249B1 (ko) * | 2011-03-10 | 2012-08-06 | 나사렛대학교 산학협력단 | 장애인용 보완대체 의사소통 장치 |
KR20140126917A (ko) * | 2013-04-24 | 2014-11-03 | 한상윤 | 언어장애 극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언어장애 극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Plamondon et al. | The CCGHR Principles for Global Health Research: Centering equity in research, knowledge translation, and practice | |
Reilly et al. | “Me and my computer”: emotional factors in online learning | |
Kane et al. | What we talk about: designing a context-aware communication tool for people with aphasia | |
Lynch et al. | Educational technology for learners with disabilities in primary school settings in low-and middle-income countrie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 |
Korte et al. | The impacts of Deaf culture on designing with Deaf children | |
Hafit et al. | Malaysian sign language mobile learning application: A recommendation app to communicate with hearing-impaired communities | |
Chen et al. | The learning style-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 architecture | |
Siong et al. | A mobile learning application for Malaysian sign language education | |
Suen et al. |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 Canadian perspective | |
Zheng et al. | Improving EFL students’ cultural awareness: Reframing moral dilemmatic stories with ChatGPT | |
Christ et al. | Emergent bilingual students’ small group read-aloud discussions | |
Piloiu | Rethinking the concept of “information literacy”: A German perspective | |
El-Soud et al. | A proposed web based framework e-learning and dictionary system for deaf Arab students | |
Healey et al. | Explicit embodiment of narrative worlds: a case study of student-teacher concept-led grammar conferencing for writing | |
KR20150095321A (ko) | 언어발달 장애인을 위한 교육 시스템 | |
Farzana et al. | An evaluation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research for ASD children in developing countries: Benefits and barriers | |
KR101688039B1 (ko) |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 | |
Elsheikh et al. | Mada tawasol symbols & mobile app | |
Ghaemi et al. | The cultuling analysis of technophobe and technophile EFL teachers' utterances in online classes | |
Walshe | Seeing, grasping and constructing: pre-service teachers’ metaphors for ‘understanding’in religious education | |
WO2016175350A1 (ko) |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 | |
CN107123318A (zh) | 一种基于输入法装置的外文写作学习系统 | |
Kvietok | Migrant bilingual youth, family, and school language policy: ethnographic insights for urban Quechua education | |
Osugi et al. | Sign language, what is it?: an ESCAP guide towards legal recognition of sign languages in Asia and the Pacific | |
Roomkham et al. | Restarting the conversation about conversational search: exploring new possibilities for multimodal and collaborative systems with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 158907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 DE |
|
122 |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
Ref document number: 158907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