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6676A - 언어 장애인을 위한 언어보조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위한아이콘 언어 - Google Patents

언어 장애인을 위한 언어보조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위한아이콘 언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6676A
KR20050066676A KR1020030097999A KR20030097999A KR20050066676A KR 20050066676 A KR20050066676 A KR 20050066676A KR 1020030097999 A KR1020030097999 A KR 1020030097999A KR 20030097999 A KR20030097999 A KR 20030097999A KR 20050066676 A KR20050066676 A KR 20050066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guage
icon
vocabulary
korean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7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교남
Original Assignee
추교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교남 filed Critical 추교남
Priority to KR1020030097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6676A/ko
Publication of KR20050066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667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언어 장애인에게 기존의 키보드에 의한 문자입력 방법보다 원활하고 편리한 의사전달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아이콘 언어 인터페이스를 기술이다. 이를 위하여 활용성이 높은 대화 영역으로부터 구축한 원시 말뭉치를 대상으로 어휘 구사 경향과 특성을 분석하고 형태소, 구문, 의미 분석을 적용하여 아이콘에 부여되는 한국어의 어휘와 의미를 추출하였다.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하고 전달할 수 있는 아이콘 영역을 선별하고 추출한 한국어의 어휘와 의미를 정합시킨다. 이웃하는 아이콘간의 연결로부터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적 상황을 만들어내기 위하여, 아이콘 언어의 어휘와 품사, 문법 규칙, 의미체계를 정의하여 아이콘 언어를 발명였다.

Description

언어 장애인을 위한 언어보조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위한 아이콘 언어 {Iconic Language for the Interface of the Language Support System of the Language Disorders}
언어장애인용 통신보조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로서 언어장애인이나 일시적으로 언어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의사소통을 돕기 위한 기기를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장애인과 일반인, 장애인과 컴퓨터와의 의사소통을 위한 정보단말 시스템이므로, 장애인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사용하기가 쉽고, 휴대가 간편하며, 효과적인 언어생활이 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만들 계획이다. 본 발명으로 그동안 일상적인 대화가 어려웠던 언어장애인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그동안 정보통신분야의 발전에 소외되어온 사람들에게 그들의 잠재력을 개발하고 일상적인 사회생활을 원활히 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측면은 선진국으로의 도약과 복지 사회를 지향하는 국가의 목표에 크게 부합하는 것이며, 정보사회의 긍정적인 측면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장애인 이외에도 일시적인 장애나 사고로 인한 환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치료에도 도움을 줄 수도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아이콘 언어는 사용자가 인지 가능한 의미를 나타내는 그림에 어휘, 품사와 의미 속성이 부여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한 여러 아이콘 열로부터 이러한 어휘적 속성간의 여러 상황정보를 재구성하여 한국어를 생성하기 위한 언어 보조 인터페이스이다.
국내에서는 아직 본 기술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저조하며, 특히 장애인용 언어보조기기에 관한 연구는 초기단계라고 할 수 있다. 현재 발표되어 있는 관련 연구로는 본 기술팀의 Sentence Generation using the Verb Prediction for Korean Language Disorders (민홍기 등) 등이 있다. 한국어 어휘와 장애인용 의미심볼 간의 대응 연구, 언어 장애인이 입력한 어휘들을 한국어 문장으로 재구성해 주는 생성 시스템 연구 등은 그 필요성에 비해 상당히 미진하다고 생각된다.
국외의 사례로는 Talking Screen (v. 3.40) on System 2000 이라 하여 Words+ 와 Multivoice speech synthesizer, Softkey.를 포함하고, 기존 프로그램인 EZ Keys, Bank Street Writer (언어처리 프로그램), Scanning WSKE, Morse WSKE 와 Talking Screen.을 포함한 랩탑 컴퓨터 시스템이 있다. Assistivetech 사의 제품중 컴퓨터용 통신보조기기 S/W 로 EvaluWare 가 있으며, 어휘예측기법을 도입한 WriteAway 이라는 S/W 도 있고, 컴퓨터처럼 사용할 수 있는 Gemini 라는 시스템도 있다. 그리고 ENKIDU 사는 무선휴대방식을 이용한 Tablet, Handheld, Palmtop 3가지 형태의 통신보조기기도 출시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아이콘 언어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아이콘에 대해 어휘와 문법체계를 정의하고 자연언어 체계의 개념을 적용하여 하나의 독립적인 의미 기반 언어체계를 갖추어 이로 인하여 제한적인 아이콘으로부터 다양한 한국어 표현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이콘 언어를 설계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하였다.
1) 아이콘 언어의 품사와 문형 정보의 정의
2) 적용 영역 선정 및 원시 담화 말뭉치 구축
3) 아이콘 품사가 부여된 말뭉치 구축 : 아이콘 품사가 부여된 말뭉치 구축을 통한 담화 내용의 분석으로부터 아이콘에 부여될 어휘와 품사, 의미적 특성을 추출한다.
4) 아이콘과 어휘 및 의미 연결
본 발명은 어휘 예측을 통한 언어장애인용 통신보조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로서 언어장애인이나 일시적으로 언어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의사소통을 돕기 위한 기기를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장애인과 일반인, 장애인과 컴퓨터와의 의사소통을 위한 정보단말 시스템을 위한 언어이므로, 장애인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사용하기가 쉽고, 휴대가 간편하며, 효과적인 언어생활이 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으로 그동안 일상적인 대화가 어려웠던 언어장애인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그동안 정보통신분야의 발전에 소외되어온 사람들에게 그들의 잠재력을 개발하고 일상적인 사회생활을 원활히 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측면은 선진국으로의 도약과 복지 사회를 지향하는 국가의 목표에 크게 부합하는 것이며, 정보사회의 긍정적인 측면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장애인 이외에도 일시적인 장애나 사고로 인한 환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치료에도 도움을 줄 수도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도 1. 아이콘 언어의 구축 과정
도 2. 아이콘 언어
도 3. 아이콘 언어의 문법 체계

Claims (3)

  1. 언어 장애인을 위한 아이콘 언어
  2. 제1항에 있어서,
    아이콘 언어의 어휘 구축을 위한 문법 정의 기술
  3. 제1항에 있어서,
    아이콘 언어 구축을 위한 아이콘과 어휘를 연결 기술
KR1020030097999A 2003-12-26 2003-12-26 언어 장애인을 위한 언어보조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위한아이콘 언어 KR200500666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999A KR20050066676A (ko) 2003-12-26 2003-12-26 언어 장애인을 위한 언어보조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위한아이콘 언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999A KR20050066676A (ko) 2003-12-26 2003-12-26 언어 장애인을 위한 언어보조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위한아이콘 언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676A true KR20050066676A (ko) 2005-06-30

Family

ID=37257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7999A KR20050066676A (ko) 2003-12-26 2003-12-26 언어 장애인을 위한 언어보조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위한아이콘 언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66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379B1 (ko) * 2006-07-05 2008-09-22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언어장애자 의사소통 지원시스템
WO2016175350A1 (ko) * 2015-04-29 2016-11-03 (주)코어테크놀로지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379B1 (ko) * 2006-07-05 2008-09-22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언어장애자 의사소통 지원시스템
WO2016175350A1 (ko) * 2015-04-29 2016-11-03 (주)코어테크놀로지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errara et al. Language as description, indication, and depiction
US1007384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oss-lingual communication
Koolen et al. Factors causing overspecification in definite descriptions
US8239207B2 (en) Speech-enabled language translation system and method enabling interactive user supervision of translation and speech recognition accuracy
Hemphill et al. Surfing the Web by voice
US200700335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users in interacting with multi-modal dialog systems
JP2009205579A (ja) 音声翻訳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Newell et al. The rôle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in alternative and augmentative communication
Brockmann et al. Modelling alignment for affective dialogue
JPH08278972A (ja) 音声入力翻訳装置
KR20050066676A (ko) 언어 장애인을 위한 언어보조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위한아이콘 언어
McCoy et al. Some interface issues in developing intelligent communication aid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CN101287228A (zh) 应用于手机短信查询的拼音纠错技术及装置
Siroux et al. Modeling and processing of oral and tactile activities in the georal system
Dachkovsky From a demonstrative to a relative clause marker: grammaticalization of pointing signs in Israeli Sign Language
Wu et al. Text generation from Taiwanese sign language using a PST-based language model for augmentative communication
CN111009234B (zh) 语音转换方法、装置和设备
Manaris et al. Universal Access to Mobile Computing Devices through Speech Input.
Leiser Improving natural language and speech interfaces by the use of metalinguistic phenomena
Boissière et al. From a specialised writing interface created for the disabled to a predictive interface for all: the VITIPI System.
Judge et al. Ambiguous keyboards for AAC
JPH06230716A (ja) 手話通訳装置および方法
Sinha et al. Transforming interactions: mouse-based to voice-based interfaces
Hankinson et al. Musical phrase-structured audio communication
Choo et al. Design of iconic language interface for semantic based Korean language gen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