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039B1 -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039B1
KR101688039B1 KR1020150060170A KR20150060170A KR101688039B1 KR 101688039 B1 KR101688039 B1 KR 101688039B1 KR 1020150060170 A KR1020150060170 A KR 1020150060170A KR 20150060170 A KR20150060170 A KR 20150060170A KR 101688039 B1 KR101688039 B1 KR 101688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arning
learner
tool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8578A (ko
Inventor
윤영한
노균택
Original Assignee
(주)코어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어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코어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50060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039B1/ko
Publication of KR20160128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폐아, 언어발달장애, 지적장애 등을 수반하여 의사 및 감정표현에 어려움을 겪는 중복장애인과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학습 동기의 유발을 위해 비언어적 기반의 비주얼 의사표현 기술을 적용한 콘텐츠의 생성 및 서비스를 위한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 {VISUAL LEARNING MANAGEMENT SYSTEM FOR COMMUNICATION TRAINING OF MULTIPLE DISABILITIES}
본 발명은 학습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자폐아, 언어발달장애, 지적장애 등을 수반하여 의사 및 감정표현에 어려움을 겪는 중복장애인과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학습 동기의 유발을 위해 비언어적 기반의 비주얼 의사표현 기술을 적용한 콘텐츠의 생성 및 서비스를 위한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한 가지 이상의 장애를 가진 장애인을 의미하는 중복장애인 중 특별히 자폐, 언어발달장애, 지적장애 등의 수반한 경우 자신의 의사표현 및 감정 표현에 많은 어려움이 있어, 의사소통을 통한 학습 진행에 많은 애로사항이 있다.
이에 의사소통을 위한 보안 대체 의사소통(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기술을 활용하여 언어를 보완하거나 종래의 의사소통을 대체하여 상대방에게 의사를 전달할 수 있는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특별히 언어적 표현이 매우 제한적인 언어발달장애인의 교육에 있어 자신의 의사표현을 언어가 아닌 다양한 시각적인 수단으로 표출하도록 하여 소통을 유도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언어발달장애인은 5 ~ 6세에서 언어적 소통능력이 멈추는 경우가 많아 유아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기반으로 제스처와 그림장을 통해 부모나 가족과 소통을 하는 경우가 많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에서 비언어적 소통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다.
이와 같은 비언어적 소통을 돕는 종래의 기술에서는 사용자의 의도 및 의사를 더 자유롭게 표현하기 위한 시각적 의사표현 기술이 개발, 적용되고 있으나, 상대의 예측하지 못한 행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신뢰성 있는 환경을 반복 제공하고, 학습자의 감정 표현을 유도함으로써 사회적 소통을 유발할 필요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51865호(2012.05.31.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폐아, 언어발달장애, 지적장애 등을 수반하여 의사 및 감정표현에 어려움을 겪는 중복장애인과 감정공유 및 의사소통 증진과 특수교사, 부모의 상호작용을 돕고 학습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학습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시각적 언어도구가 특성정보와 함께 저장되는 제1데이터베이스;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에서 언어도구의 검색 및 선택 기능을 제공하는 검색부와, 선택된 언어도구를 공유하는 공유부를 구비한 커뮤니케이션부; 상기 커뮤니케이션부를 통해 선택, 검색, 공유된 언어도구를 누적하여 패턴정보로 저장하는 제1저장부; 상기 패턴정보를 분석하여 학습자에 대한 선호정보를 생성하는 분석부; 학습자 유형에 따라 분류된 교육도구가 상기 특성정보와의 매칭정보와 함께 저장되는 제2데이터베이스; 상기 선호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로부터 교육도구를 추천하는 추천부와, 상기 추천된 교육도구를 통해 학습내용을 설계하는 작성부를 구비한 학습설계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커뮤니케이션부는 학습자로부터 작성된 객체를 입력받아 공유하는 임의입력부와, 상기 객체에 대해 교수자로부터 피드백 내용을 입력받아 공유하는 반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객체 및 피드백 내용이 패턴정보로 상기 제1저장부에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뮤니케이션부는 상기 분석부를 통해 생성된 선호정보를 분석하여 유사도가 높은 특성정보를 갖는 언어도구를 상기 검색부를 통해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반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부를 통해 설계된 학습내용을 학습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학습자로부터 학습 피드백을 입력받는 학습부; 학습자에게 제공된 학습내용 및 상기 학습 피드백을 누적하여 학습패턴으로 저장하는 제2저장부; 상기 학습 피드백에 대한 점수를 부여하는 평가부와, 설정된 점수보다 낮은 점수를 갖는 학습내용에 포함된 교육도구를 선별하는 선별부를 구비하는 학습분석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분석부는 상기 분석부를 통해 생성된 선호정보를 분석하여 연관된 시각적 언어도구의 특징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부를 통해 추출된 특징정보를 통해 상기 선별부를 통해 선별된 교육도구의 특성을 부분적으로 변환시키는 변환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주얼 의사표현 기술을 통한 실시간 소통을 통해 의사 및 감정표현에 어려움을 겪는 중복장애인과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고,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유발을 유도하여 종래의 정적 이미지 기반의 의사소통 교육보다 자유도와 표현도를 대폭 향상시킨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의사소통 취약 계층에 대한 접근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언어소통 장애인의 사회참여 유도 및 의사소통 부재로 인한 인격침해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념도로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네트워크(N) 환경 및 상기 네트워크(N) 내에서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단말기(T1, T2)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단말기(T1, T2)는 사용자로부터의 객체의 입력이 가능하고 영상출력을 지원하는 개인용 휴대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최근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태블릿 PC와 같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구성의 특징 및 기능의 설명을 위해 의사소통이 어려운 장애인에 해당하는 학습자가 소지한 단말기(T1)와, 특수교사 내지는 상기 학습자의 부모에 해당하는 교수자가 소지한 단말기(T2)로 나누어 구성을 설명하나, 1개의 단말기를 교수자와 학습자가 함께 사용하며 커뮤니케이션을 하거나, 3개 이상의 단말기를 통해 교수자와 복수의 학습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활동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을 이루는 다양한 구성은 이러한 환경 내에서 단말기를 통해 구현이 되며, 필요에 따라 원격의 서버에 일부 구성을 분산하여 더욱 많은 데이터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확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단말기 및 서버의 구성과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에 관한 기술은 공지의 기술이 적용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학습자와 교수자 사이의 의사소통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제1데이터베이스(110)와, 커뮤니케이션부(120)와, 제1저장부(130)와, 분석부(140)와, 제2데이터베이스(150)와, 학습설계부(160)를 구비한 모습을 나타낸다.
먼저,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110)는 시각적 언어도구가 특성정보와 함께 저장되는 구성이다. 일반적인 사람들 간에 이루어지는 대화를 대체하여 종래의 방식으로는 의사소통이 어려웠던 학습자의 원활한 의사표현을 돕기 위해 현재까지 개발된 다양한 언어도구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는 개발된 다양한 문자, 동식물이나 사물을 표현한 그림 및 심벌을 비롯하여 특별히 감정표현을 위한 이모티콘, 이미지와 같은 시각적인 언어도구를 수집하여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110)에 미리 저장하게 된다. 이때 저장되는 각각의 시각적 언어도구에는 색상, 의미, 형태로 대표되는 특성정보가 부여되어, 특성정보별로 분류가 가능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언어도구에 대한 업데이트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뮤니케이션부(120)는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시각적 언어도구를 활용하여 학습자와 교수자 사이의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기본적으로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110)에서 언어도구의 검색 및 선택 기능을 제공하는 검색부(121)와, 선택된 언어도구를 상호공유하는 공유부(122)를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검색부(121)는 검색엔진으로서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는 각각 상기 검색부(121)를 통해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시각적 언어도구를 검색하고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공유부(122)를 통해 공동의 단말기 또는 복수의 단말기를 통해 상대가 선택한 시각적 언어도구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자신의 선택한 시각적 언어도구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커뮤니케이션부(120)를 통해 의사소통이 이루어짐에 있어서, 특별히 상기 학습자가 검색한 내용 및 선택한 언어도구를 누적하여 저장하였다가 이를 분석함으로 학습자의 선호도를 비롯하여 주요 관심사를 비롯하여 교수자가 제시한 어떤 의사도구에 대해 학습자가 어떤 반응을 하는 등의 파악이 가능해 진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저장부(130)는 상기 커뮤니케이션부(120)를 통해 선택, 검색, 공유된 언어도구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구성으로, 특별히 학습자가 검색 및 선택한 언어도구와, 교수자가 공유한 언어도구에 대해 피드백되는 학습자의 언어도구 등이 패턴정보로 저장된다. 이때 상기 제1저장부(130)에 저장되는 패턴정보의 누적량이 많을수록 더욱 정확한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교육자는 충분한 패턴정보가 수집될 수 있도록 다양한 접근과 피드백을 통해 학습자와의 의사소통을 이끌어나갈 필요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부(120)는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시각적 언어도구 외에도 의사소통을 위해 학습자가 직접 객체를 입력하고, 교수자가 이에 대해 피드백을 할 수 있도록 임의입력부(123)와, 반응부(124)를 더 포함하게 된다.
상기 임의입력부(123)는 학습자로부터 작성된 객체를 입력받아 상기 공유부(122)를 통해 교수자와 공유하기 위한 구성으로, 단말기에 구비된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학습자가 직접 객체를 작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자신만의 특정한 그림을 입력하고자 할 경우 직접 선의 색상 및 굵기 등을 선택하여 그림을 그려 넣거나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기본 도형 중 선택하여 크기를 조절하거나 복수의 기본 도형을 조합함으로 객체를 작성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간단하고 직관적인 입력 툴(tool)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반응부(124)는 상기 임의입력부(123)를 통해 입력되어 공유된 객체에 대해 교수자로부터 피드백 내용을 입력받아 상기 공유부(122)를 통해 학습자와 공유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임의작성부(162)를 통해 작성되어 공유된 객체에 대하여 학습자의 추가 의사소통 행위를 이끌어내기 위해 교수자가 추가로 피드백을 위한 내용을 객체 형식으로 입력하여 학습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임의입력부(123)를 통해 입력된 객체와, 상기 반응부(124)를 통해 입력된 피드백 내용 또한 추후 분석을 위해 패턴정보로 상기 제1저장부(130)에 저장되며, 이때 사용된 색상이나 형상 등을 특성정보로 교수자로부터 함께 입력받아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석부(140)는 상기 패턴정보를 분석하여 학습자에 대한 선호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패턴정보는 학습자가 검색 및 선택한 언어도구와, 교수자가 공유한 언어도구에 대해 피드백되는 학습자의 언어도구 등을 비롯하여 학습자가 입력한 객체 및 교수자의 피드백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상기 분석부(140)는 이들 중 특별히 사용빈도가 높은 언어도구나 객체를 비롯하여 교수자가 제시한 언어도구나 피드백 내용에 대해 학습자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언어도구나 피드백 내용을 추출하여 선호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부(120)는 상기 분석부(140)를 통해 생성되는 선호정보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상기 분석부(140)를 통해 생성된 선호정보를 분석하여 유사도가 높은 특성정보를 갖는 언어도구를 상기 검색부(121)를 통해 학습자 내지는 교수자에게 제공하는 반영부(125)를 더 포함하게 된다.
즉 상기 선호정보는 학습자에 의해 선호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언어도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이때 선호도가 높은 언어도구에 부여된 특성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성정보와 동일하거나 유사도가 높은 특성정보를 갖는 다른 언어도구도 역시 선호도가 높게 나올 가능성이 크므로 언어도구의 검색시 이를 먼저 제시하여 언어도구의 검색 및 선택을 돕고, 특별히 학습자가 선호하는 언어도구를 더 잘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150)는 학습자 유형에 따라 분류된 교육도구가 상기 특성정보와의 매칭정보와 함께 저장되는 구성으로, 상기 교육도구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기반으로 한 소프트웨어 또는 앱 형식을 갖고 단말기를 통해 실행되는 콘텐츠로, 특별히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150)에는 언어장애를 갖는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 강화교육을 위한 다양한 시각적 교육도구가 저장된다. 이때, 상기 교육도구는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을 목적으로 함에 따라 진행 중 선택지를 제시하거나 의사표현을 위한 객체 작성 및 입력을 요구하는 등 수시로 학습자의 참여 및 피드백을 요구하며 학습자의 참여와 함께 진행될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학습설계부(160)는 교수자가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교육도구를 통해 학습자에 대한 교수설계안을 작성함에 있어서 학습 동기를 유발하여 참여도를 높일 수 있도록 돕는 구성으로, 교육도구를 추천하는 추천부(161)와, 학습내용을 설계하는 작성부(162)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추천부(161)는 상기 선호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교육도구를 추천하는 구성으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는 교육도구는 언어도구에 부여되는 특성정보와의 매칭정보와 함께 저장되므로 선호정보에 포함된 특성정보와 동일 내지는 유사도가 높은 특성정보와의 매칭정보가 부여된 교육도구를 추출하여 교수자에게 추천하는 것이다.
상기 작성부(162)는 상기 추천부(161)를 통해 추천된 교육도구를 통해 학습내용을 설계하는 구성으로, 추천된 다수의 교육도구를 교수자로부터 선택받아 학습내용을 편성할 수도 있고 추천된 다수의 교육도구를 모두 그대로 학습내용에 반영하여 편성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계된 학습내용을 통해 학습자에 대해 교육 진행 후 평가를 수행하고 이를 추후 학습내용 설계시 반영할 수 있도록 학습부(170)와, 제2저장부(180)와, 학습분석부(190)의 구성이 부가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학습부(170)는 상기 작성부(162)를 통해 설계된 학습내용을 학습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학습자로부터 학습 피드백을 입력받는 구성으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교육도구는 진행 중 선택지를 제시하거나 의사표현을 위한 객체 작성 및 입력을 요구하는 등 수시로 학습자의 참여 및 피드백을 요구하게 되며, 학습자는 이에 대응한 행위로서의 피드백이 이루어진다. 상기 학습부(170)는 이와 같은 학습내용의 진행과 함께 피드백을 입력받는다.
상기 제2저장부(180)는 상기 학습부(170)를 통해 학습자에게 제공된 학습내용과 더불어 입력받은 상기 학습 피드백을 분석을 목적으로 학습패턴화하여 누적하여 저장하는 구성이다.
상기 학습분석부(190)는 상기 제2저장부(180)에 저장된 학습 피드백에 대한 평가와 더불어 학습자에게 부족한 학습 내용 즉 집중적인 학습이 필요한 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구성으로, 기본적으로 평가부(191)와, 선별부(192)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평가부(191)는 상기 학습 피드백에 대한 점수를 부여하는 구성으로, 학습자의 학습참여율을 비롯하여 미리 입력된 채점기준에 따라 학습내용의 진행과 더불어 학습자가 입력한 학습 피드백을 채점하여 점수화하되 학습내용에 반영된 교육도구별로 점수를 산출한다.
상기 선별부(192)는 설정된 점수보다 낮은 점수를 갖는 학습내용에 포함된 교육도구를 선별하는 구성으로, 낮은 점수를 갖는 교육도구는 학습자의 흥미 부족으로 참여가 부족하거나 학습자에게 특별히 취약한 학습부분이 될 것이므로, 이를 추출하여 추후 반복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학습자의 특성에 맞추어 변형하여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학습자에게 취약한 교육도구에 대한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유발하기 위한 구성으로 추출부(193)와, 변환부(194)를 추가로 구비하게 된다.
상기 추출부(193)는 상기 분석부(140)를 통해 생성된 선호정보를 분석하여 연관된 시각적 언어도구의 특징정보를 추출하는 구성으로, 말 그대로 학습자가 선호하는 언어도구의 특성 이를테면 색상, 형상, 동물이나 꽃과 같은 생물 내지는 특정 사물 등을 추출하게 된다. 이는 언어도구에 부여되는 특징정보가 포함하는 정보범위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으나, 언급한 바와 같이 통상 색상, 형상, 동물이나 꽃과 같은 생물 내지는 특정 사물 수준의 정보가 추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환부(194)는 상기 추출부(193)를 통해 추출된 특징정보를 통해 상기 선별부(192)를 통해 선별된 교육도구의 특성을 부분적으로 변환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교육도구에 포함되는 특성을 학습자가 선호하는 특성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교육도구에 포함된 도형의 색상을 상기 추출부(193)를 통해 추출된 학습자 선호 색상으로 변경한다든지, 교육도구에 포함되어 있는 동식물 또는 사물을 상기 추출부(193)를 통해 추출된 학습자 선호 동식물 또는 사물로 변경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추후 동일한 교육도구를 포함한 학습내용 진행시 학습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특성이 부여된 교육도구에 대해 더욱 관심 있게 참여하여 피드백 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10: 제1데이터베이스 120: 커뮤니케이션부
121: 검색부 122: 공유부
123: 임의입력부 124: 반응부
125: 반영부 130: 제1저장부
140: 분석부 150: 제2데이터베이스
160: 학습설계부 161: 추천부
162: 작성부 170: 학습부
180: 제2저장부 190: 학습분석부
191: 평가부 192: 선별부
193: 추출부 194: 변환부

Claims (5)

  1. 네트워크 환경에서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학습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문자, 동식물이나 사물을 표현한 그림 및 심벌, 이모티콘, 이미지로 이루어지는 시각적 언어도구가 색상, 의미, 형태에 따른 특성정보와 함께 저장되는 제1데이터베이스(110);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110)에서 언어도구의 검색 및 선택 기능을 제공하는 검색부(121)와, 선택된 언어도구를 공유하는 공유부(122)와, 학습자로부터 직접 작성된 객체를 입력받아 공유하는 임의입력부(123)와, 상기 객체에 대해 교수자로부터 피드백 내용을 입력받아 공유하는 반응부(124)를 구비한 커뮤니케이션부(120);
    상기 커뮤니케이션부(120)를 통해 선택, 검색, 공유된 언어도구와 상기 객체 및 교수자로부터 입력받은 특성정보를 포함한 피드백 내용을 누적하여 패턴정보로 저장하는 제1저장부(130);
    상기 패턴정보를 분석하여 학습자에 대한 선호정보를 생성하는 분석부(140);
    학습자 유형에 따라 분류되며 진행 중 선택지를 제시하거나 의사표현을 위한 객체 작성 및 입력을 수시로 요구하며 학습자의 참여와 함께 진행될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하는 교육도구가 상기 특성정보와의 매칭정보와 함께 저장되는 제2데이터베이스(150);
    상기 선호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교육도구를 추천하는 추천부(161)와, 상기 추천된 교육도구를 통해 학습내용을 설계하는 작성부(162)를 구비한 학습설계부(160);
    상기 작성부(162)를 통해 설계된 학습내용을 학습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학습자로부터 학습 피드백을 입력받는 학습부(170);
    학습자에게 제공된 학습내용 및 상기 학습 피드백을 누적하여 학습패턴으로 저장하는 제2저장부(180);
    상기 학습 피드백에 대한 점수를 부여하는 평가부(191)와, 설정된 점수보다 낮은 점수를 갖는 학습내용에 포함된 교육도구를 선별하는 선별부(192)와, 상기 분석부(140)를 통해 생성된 선호정보를 분석하여 연관된 시각적 언어도구의 색상 및 형태를 포함하는 특징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193)와, 상기 추출부(193)를 통해 추출된 특징정보를 통해 상기 선별부(192)를 통해 선별된 교육도구의 색상 및 형태를 부분적으로 변환시키는 변환부(194)를 구비하는 학습분석부(19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케이션부(120)는 상기 분석부(140)를 통해 생성된 선호정보를 분석하여 유사도가 설정치보다 높은 특성정보를 갖는 언어도구를 상기 검색부(121)를 통해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반영부(1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60170A 2015-04-29 2015-04-29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 KR101688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170A KR101688039B1 (ko) 2015-04-29 2015-04-29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170A KR101688039B1 (ko) 2015-04-29 2015-04-29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578A KR20160128578A (ko) 2016-11-08
KR101688039B1 true KR101688039B1 (ko) 2016-12-21

Family

ID=57528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170A KR101688039B1 (ko) 2015-04-29 2015-04-29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0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16022A (zh) * 2016-11-14 2017-08-04 上海仪电鑫森科技发展有限公司 教学难点大数据分析系统
KR102024221B1 (ko) * 2018-01-15 2019-09-23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 기능 훈련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35733A1 (en) * 2007-08-01 2009-02-05 Shmuel Meitar Device, system, and method of adaptive teaching and learning
KR101151865B1 (ko) 2010-11-24 2012-05-31 (주)엘피케이에스 청각장애인용 휴대용 대화 장치
KR101183018B1 (ko) * 2010-12-03 2012-09-14 정일주 학습플랫폼 시스템 및 운영 방법
KR101417340B1 (ko) * 2012-09-17 2014-07-10 주식회사 유비온 Lms에서의 툴의 동적 호출방법
KR20140131291A (ko) * 2013-05-03 2014-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학습 플랫폼 메커니즘을 구비한 컴퓨팅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578A (ko) 201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hen A philosophy of informing science
Jdaitawi et al. A Decade of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Augmented Reality on Students with Special Disability in Higher Education.
Da Fonte et al. Recommend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competencie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ompson et al. Processing and visualizing data in complex learning environments
Cushing Stylistics goes to school
Kattari et al. Examining more inclusive approaches to social work, physical disability, and sexuality
Lynch et al. EdTech for learners with disabilities in primary school settings in LMIC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Kwon et al. Supporting object-level exploration of artworks by touch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Schultz Object-based learning, or learning from objects in the anthropology museum
Cole Tactile cartography in the digital age: A review and research agenda
Lochner et al. Any sign of virtual School garden exchanges?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school gardens since 1992: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Suen et al.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 Canadian perspective
Groba et al. Stakeholder perspectives to support graphical user interface desig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 qualitative study
Meylaerts et al. The Routledge Handbook of Translation Theory and Concepts
Wang et al. Assistive technology for adults on the autism spectrum: A systematic survey
Pirrone et al. Digital Humanities and disability: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cultural accessibility for people with disability
KR101688039B1 (ko)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
Smears Mobilizing Shakti: Hindu goddesses and campaigns against gender-based violence
Lakhana Tolerance of ambiguity in educational technology: A review of two social science concepts
Due The Practical Accomplishment of Everyday Activities Without Sight
Laursen Likes and loathing in the middle time: How adolescents time–space their figured literacy worlds
Fadlilah et al. Bisindo information system as potential daily sign language learning
Kasemsarn et al. Museums for Older Adults and Mobility-Impaired People: Applying Inclusive Design Principles and Digital Storytelling Guidelines—A Review
KR20150095321A (ko) 언어발달 장애인을 위한 교육 시스템
Manship et al. A literature review of the challenges encountered in the adoption of assistive technology (AT) and training of healthcare professio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