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59539A1 -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59539A1
WO2016159539A1 PCT/KR2016/002561 KR2016002561W WO2016159539A1 WO 2016159539 A1 WO2016159539 A1 WO 2016159539A1 KR 2016002561 W KR2016002561 W KR 2016002561W WO 2016159539 A1 WO2016159539 A1 WO 201615953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ashing
laundry
weight
water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256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현오
이승훈
박준현
이성모
한소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6180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39141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563,550 priority Critical patent/US10876242B2/en
Priority to CN201680019565.1A priority patent/CN107438683B/zh
Priority to EP16773320.3A priority patent/EP3279383B1/en
Priority to AU2016241172A priority patent/AU2016241172B2/en
Publication of WO201615953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59539A1/ko
Priority to US17/133,539 priority patent/US1145968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ter fil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 D06F2103/46Current or voltage of the motor driving the dr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세탁기는 세탁조 및 상기 세탁조에 투입된 세탁물을 습포(濕布)인지 또는 건포(乾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기초로, 습포 무게 감지 또는 건포 무게 감지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는 세탁조 및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수의 수위를 판단하고, 상기 수위에 따라 습포 무게 감지 및 건포 무게 감지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고, 습포 무게 감지 및 건포 무게 감지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에 따라 세탁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Description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피복, 침구 또는 수건, 또는 기타 섬유 제품 등의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는 전자 제품을 의미한다. 세탁기에는, 세탁물 및 세탁수가 수용 가능한 세탁조가 마련되어 있으며, 세탁조 내의 설치된 각종 부품의 동작에 따라서 세탁을 수행할 수 있다.
세탁기의 세탁조에는 바닥면에 회전 가능한 펄 세이터나, 세탁조 중심에 설치되고 날개가 마련된 회전 봉이 설치되어 있으며, 세탁기는, 펄 세이터 또는 회전 봉을 회전시켜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다.
펄 세이터가 마련된 경우, 세탁기는 세탁조의 바닥면에 마련된 펄 세이터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생성된 와류를 이용하여 세탁조 내의 세탁물을 세탁할 수도 있고, 펄 세이터가 일정한 각 범위 내에서 일정한 주기로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세탁물을 교반시켜 세탁물을 세탁할 수도 있다.
또한 세탁기는 세탁기의 전면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지면의 수직선과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회전하는 드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세탁물은 드럼 내에서 낙차를 이용하여 세탁될 수 있다.
세탁기는, 이와 같이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세탁 행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헹굼 행정 및 탈수 행정을 순차적으로 더 진행하여 세탁물의 세탁을 수행할 수 있다.
세탁조 내에 투입된 세탁물의 양이나 무게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세탁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의 세탁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세탁조 내에 투입된 세탁물이 습포(濕布)인지 또는 건포(乾布)인지 여부에 따라 적절하게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는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세탁조 외에 별도로 세탁물의 세탁이 가능한 용기가 형성된 보조 세탁 유닛이 더 마련된 세탁기에 있어서, 보조 세탁 유닛에 마련된 용기를 이용하여 세탁을 수행하였느냐 여부에 따라 적절하게 세탁조에 투입된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는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세탁조 내의 수위를 판단하고 판단된 수위에 따라 세탁물의 무게를 감지하고 감지된 세탁물의 무게에 따라서 적절하게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는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세탁기는, 세탁조 및 상기 세탁조에 투입된 세탁물을 습포(濕布)인지 또는 건포(乾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기초로, 습포 무게 감지 또는 건포 무게 감지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는, 세탁조와 별도로 세탁이 수행 가능한 보조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도어에 세탁수가 공급된 경우 상기 세탁조로 투입된 세탁물을 습포로 판단하고 습포 무게 감지를 이용하여 무게를 결정할 수 있다.
세탁기는, 상기 세탁조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세탁수 공급부는, 상기 세탁조에 투입된 세탁물이 습포로 판단된 경우, 판단 결과에 응하여 미리 정의된 수위까지 상기 세탁조에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세탁기는, 상기 세탁조 바닥면에 설치된 펄 세이터(pulsator) 및 상기 펄 세이터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세탁조에 미리 정의된 수위까지 급수가 수행되면 상기 펄 세이터를 적어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회전하는 상기 펄 세이터에 대한 세탁물의 마찰 부하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펄 세이터 또는 회전조와 연결된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 펄 세이터의 회전 속도 및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수의 수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전류의 크기에 대응하는 부하를 결정하고, 결정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할 수 있다.
세탁기는, 상기 보조 도어에 대한 세탁수 공급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보조 도어에 세탁수가 공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세탁기는, 조작에 따라서 상기 보조 도어에 대한 세탁수 공급 명령을 입력 받는 보조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보조 입력부의 조작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입력부의 조작 여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기 보조 도어에 세탁수가 공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도어의 용기에 세탁수가 공급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세탁조에 투입된 세탁물을 건포로 판단하고, 건포 무게 감지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조 바닥에 설치된 펄 세이터를 회전시켜, 상기 펄 세이터에 대한 포의 마찰 부하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세탁조의 회전조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조의 회전에 따른 회전 관성 또는 상기 회전조의 회전 중에 출력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물의 무게가 결정되고 결정된 세탁물의 무게에 따라 세탁 행정이 수행된 후,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물을 습포로 판단하고 습포 무게 감지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물의 무게를 다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세탁물의 무게에 따라서 세탁 행정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설정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세탁 행정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설정은, 세탁조 내로의 세탁수 공급량, 상기 세탁조 또는 상기 세탁조 내부에 설치된 펄 세이터와 연결된 모터에 인가되는 전력,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 및 세탁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는, 개구가 마련된 세탁조, 상기 세탁조와 별도로 보조 세탁이 수행 가능한 보조 세탁 유닛, 상기 보조 세탁 유닛의 용기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1 세탁수 공급부 및 상기 세탁조에 투입된 세탁물이 습포인지 또는 건포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이한 방법으로 상기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되, 상기 제1 세탁수 공급부가 보조 도어의 용기에 세탁수를 공급한 경우, 상기 세탁조로 투입된 세탁물을 습포로 판단하여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는, 상기 세탁물의 세탁 수행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 수행 명령 전에 상기 제1 세탁수 공급부에 의해 세탁수가 공급된 경우, 상기 세탁조로 투입된 세탁물을 습포로 판단하여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할 수 있다.
세탁물이 투입되는 세탁조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세탁조에 투입된 세탁물이 습포인지 건포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세탁물이 습포인지 건포인지에 따라서 서로 상이한 방법으로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세탁조와 별도로 세탁이 수행 가능한 보조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탁조에 투입된 세탁물이 습포인지 건포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 도어에 세탁수가 공급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 도어에 세탁수가 공급된 경우 상기 세탁조로 투입된 세탁물을 습포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는 단계는, 습포 무게 감지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포 무게 감지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세탁조에 투입된 세탁물이 습포로 판단된 경우, 판단 결과에 응하여 미리 정의된 수위까지 상기 세탁조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포 무게 감지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세탁조에 미리 정의된 수위까지 급수가 수행되면 모터가 상기 세탁조의 바닥면에 설치된 펄 세이터를 적어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포 무게 감지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펄 세이터에 대한 세탁물의 마찰 부하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포 무게 감지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는 단계는, 펄 세이터 또는 회전조와 연결된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 펄 세이터의 회전 속도 및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수의 수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포 무게 감지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전류의 크기 에 대응하는 부하를 결정하고, 결정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보조 도어에 대한 세탁수 공급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탁조에 투입된 세탁물이 습포인지 건포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보조 도어에 세탁수가 공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조작에 따라서 상기 보조 도어에 대한 세탁수 공급 명령을 입력 받는 보조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도어에 대한 세탁수 공급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 입력부의 조작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보조 도어에 세탁수가 공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 입력부의 조작 여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기 보조 도어에 세탁수가 공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보조 도어에 세탁수가 공급된 경우 상기 세탁조로 투입된 세탁물을 습포로 판단하는 단계에 선행하여, 세탁 수행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물이 습포인지 건포인지에 따라서 서로 상이한 방법으로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 도어에 세탁수가 공급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 도어에 세탁수가 공급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세탁조에 투입된 세탁물을 건포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는 단계는, 건포 무게 감지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포 무게 감지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세탁조 바닥에 설치된 펄 세이터를 회전시켜, 상기 펄 세이터에 대한 포의 마찰 부하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세탁조의 회전조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조의 회전에 따른 회전 관성 또는 상기 회전조의 회전 중에 출력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세탁물의 무게가 결정되고 결정된 세탁물의 무게에 따라 세탁 행정이 수행되는 단계 및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물을 습포로 판단하고 습포 무게 감지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물의 무게를 다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결정된 세탁물의 무게에 따라서 세탁 행정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설정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 행정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설정은, 세탁조 내로의 세탁수 공급량, 상기 세탁조 또는 상기 세탁조 내부에 설치된 펄 세이터와 연결된 모터의 부하,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 및 세탁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는, 세탁조,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 및 상기 수위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수위에 따라 습포 무게 감지 및 건포 무게 감지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고, 상기 습포 무게 감지 및 건포 무게 감지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에 따라 세탁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수의 수위가 제1 기준 수위보다 낮은 경우, 건포 무게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포 무게 감지에 의해 결정된 상기 세탁물의 무게가 제1 기준 무게보다 더 큰 경우, 제1 목표 수위까지 세탁수를 공급하고, 습포 무게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포 무게 감지에 의해 결정된 상기 세탁물의 무게가 제2 기준 무게보다 더 큰 경우, 상기 건포 무게 감지의 결과를 기초로 세탁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포 무게 감지에 의해 결정된 제2 기준 무게보다 더 작은 경우 상기 습포 무게 감지의 결과를 기초로 세탁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포 무게 감지에 의해 결정된 상기 세탁물의 무게가 제1 기준 무게보다 더 작은 경우, 상기 건포 무게 감지 결과를 기초로 세탁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수의 수위가 상기 제1 기준 수위보다 높고 제2 기준 수위보다 낮은 경우, 제2 목표 수위까지 세탁수를 상기 세탁조에 공급하고, 습포 무게 감지를 수행한 후 습포 무게 감지 결과에 따라 세탁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목표 수위는 상기 제2 기준 수위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수의 수위가 제2 기준 수위보다 높고 제3 기준 수위보다 낮은 경우, 제3 목표 수위까지 세탁수를 상기 세탁조에 더 공급한 후 습포 무게 감지를 수행하고, 습포 무게 감지 결과에 따라 세탁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3 목표 수위는 상기 제3 기준 수위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수의 수위가 제3 기준 수위보다 높은 경우, 무게 감지 결과에 무관하게 세탁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수의 수위가 제3 기준 수위보다 높은 경우, 제4 목표 수위까지 세탁수를 상기 세탁조에 더 공급하고, 세탁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할 수 있다.
세탁기는 세탁조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펄 세이터 및 인가된 전력에 따라서 상기 펄 세이터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전력의 평균값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평균값을 기초로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부하를 결정하고, 결정된 부하를 기초로 상기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함으로써 습포 무게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세탁기는, 상기 습포 무게 감지 및 건포 무게 감지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표시하는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세탁물이 투입된 세탁조 내의 세탁수의 수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세탁수의 수위에 따라 습포 무게 감지 및 건포 무게 감지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 및 습포 무게 감지 및 건포 무게 감지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에 따라서 세탁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수의 수위에 따라 습포 무게 감지 및 건포 무게 감지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세탁수의 수위가 제1 기준 수위보다 낮은 경우, 건포 무게 감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수의 수위에 따라 습포 무게 감지 및 건포 무게 감지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건포 무게 감지에 의해 결정된 세탁물의 무게가 제1 기준 무게보다 더 큰 경우, 제1 목표 수위까지 세탁수를 공급하고, 습포 무게 감지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수의 수위에 따라 습포 무게 감지 및 건포 무게 감지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습포 무게 감지에 의해 결정된 세탁물의 무게가 제2 기준 무게보다 더 큰 경우, 상기 건포 무게 감지의 결과에 따라서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수의 수위에 따라 습포 무게 감지 및 건포 무게 감지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습포 무게 감지에 의해 결정된 제2 기준 무게보다 더 작은 경우 상기 습포 무게 감지의 결과에 따라서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수의 수위에 따라 습포 무게 감지 및 건포 무게 감지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건포 무게 감지에 의해 결정된 상기 세탁물의 무게가 제1 기준 무게보다 더 작은 경우, 상기 건포 무게 감지 결과에 따라서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수의 수위에 따라 습포 무게 감지 및 건포 무게 감지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세탁수의 수위가 상기 제1 기준 수위보다 높고 제2 기준 수위보다 낮은 경우 제2 목표 수위까지 상기 세탁조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단계, 습포 무게 감지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습포 무게 감지 결과에 따라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수의 수위에 따라 습포 무게 감지 및 건포 무게 감지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세탁수의 수위가 제2 기준 수위보다 높고 제3 기준 수위보다 낮은 경우, 제3 목표 수위까지 세탁수를 세탁조에 더 공급하는 단계, 습포 무게 감지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습포 무게 감지 결과에 따라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수의 수위에 따라 습포 무게 감지 및 건포 무게 감지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세탁수의 수위가 제3 기준 수위보다 높은 경우 무게 감지 결과에 무관하게 세탁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수의 수위가 상기 제3 기준 수위보다 높은 경우, 무게 감지 결과에 무관하게 세탁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세탁수의 수위가 제3 기준 수위보다 높은 경우, 제4 목표 수위까지 상기 세탁조에 세탁수를 더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목표 수위까지 세탁수가 공급되면 세탁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포 무게 감지를 수행하는 단계는, 세탁조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펄 세이터를 구동시키는 모터에 전력이 인가되는 단계, 상기 모터에 인가된 전력의 평균값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연산된 평균값을 기초로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부하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부하를 기초로 상기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습포 무게 감지 및 건포 무게 감지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세탁조 내에 투입된 세탁물의 양이나 무게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세탁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최적화된 세탁 성능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세탁기가 세탁물이 습포인지 건포인지 여부에 따라 적절하게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게 되며, 구체적으로는, 세탁기가 투입된 세탁물이 습포인지 건포인지 여부에 따라 적절한 양의 세탁수를 투입하고, 적절한 시간 동안 세탁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보조 세탁 유닛에 마련된 용기를 이용하여 세탁을 수행하였느냐 여부에 따라 세탁조에 투입된 세탁물을 적절한 방법으로 세탁할 수 있게 된다.
보조 세탁 유닛에 마련된 용기를 이용하여 세탁을 수행하였느냐 여부에 따라, 또는 세탁물이 습포인지 건포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상이한 방법으로 세탁조 내의 세탁물의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세탁물의 무게를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세탁조에 투입된 세탁물의 무게를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고, 측정된 세탁물의 무게에 따라서 세탁수를 세탁조에 공급하거나, 또는 세탁 행정을 위한 모터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투입된 세탁물의 세탁에 필요한 수준으로 세탁기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세탁조에 투입된 세탁물이 애벌 세탁이 수행되었는지 여부에 따라서 세탁수의 공급량이나 세탁기 모터의 동작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불필요한 세탁수의 사용 및 전력의 공급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경제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세탁조에 투입된 세탁물의 무게를 높은 분해능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되어, 세탁물 무게의 측정의 정확성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보다 적절하게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세탁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세탁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세탁기의 도어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세탁기의 도어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어 어셈블리의 도어와 보조 도어의 결합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보조 도어의 일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보조 도어의 일 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보조 도어에 마련된 용기에 세탁수가 공급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어 어셈블리의 모든 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모든 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도어 어셈블리의 도어만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어 어셈블리의 도어만 열린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어 어셈블리의 보조 도어가 일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어 어셈블리의 도어 및 보조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어 어셈블리의 도어 및 보조 도어가 모두 열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6은 펄 세이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펄 세이터의 회전에 따라 세탁조 내부에 생성된 와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세탁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0은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1은 세탁기가 건포의 무게를 측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2는 건포 무게 측정 과정에서 펄 세이터의 회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시간과, 펄 세이터의 회전 각속도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4는 관성과, 세탁물 무게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5는 건포의 무게를 측정하는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로, 세탁조를 회전시켜 건포 무게를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회전 시 세탁조 내부의 세탁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세탁조에 급수되는 세탁수의 수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세탁물 무게가 결정된 후 세탁조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세탁조 내에 세탁수와 세탁물이 함께 투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세탁기가 습포의 무게를 측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1은 세탁조 내에 세탁수의 추가 급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는 세탁조 내에 급수된 세탁수의 수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은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를 이용하여 무게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4a는 낮은 부하 시 출력되는 전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b는 중간 부하 시 출력되는 전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a는 출력되는 전류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b는 시간에 따른 Q축 전류의 크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5c는 시간에 따른 전류의 평균값의 크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6은 세탁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7은 적어도 하나의 수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8은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제1 흐름도이다.
도 39는 세탁수의 수위가 제1 기준 수위보다 낮은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0은 세탁수를 제1 목표 수위까지 투입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1은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제2 흐름도이다.
도 42는 세탁수의 수위가 제2 기준 수위보다 낮은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3은 세탁수를 제2 목표 수위까지 투입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4는 세탁수의 수위가 제3 기준 수위 보다 낮은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5는 세탁수를 제3 목표 수위까지 투입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6은 세탁수의 수위가 제3 기준 수위보다 높은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7은 세탁수를 제4 목표 수위까지 투입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세탁기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세탁기(1)의 전면 방향, 배면 방향, 상 방향, 하 방향 또는 측 방향 등과 같이 각종 방향이나 위치를 이용하여 세탁기(1) 및 세탁기(1)의 각 부품에 대해 설명한다. 이와 같은 방향이나 위치는, 세탁기(1)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거나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전면 방향은 세탁기(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향하는 방향 등을 의미하고, 배면 방향은 전면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하 방향은 세탁기의 설치 시 일반적으로 바닥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상 방향은 하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방향이나 위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정의한 것으로 실제 구현, 제작, 설치 또는 사용 시에는 다르게 정의될 수도 있다.
도 1은 세탁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세탁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세탁기(1)는, 본 세탁 수행시 외부로의 세탁수 유출을 방지하고 보조 세탁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 어셈블리(100)와, 도어 어셈블리(100)와 결합되고 내측에 세탁조(20a)를 비롯한 각종 세탁 유닛(20)이 설치된 본체 어셈블리(100a)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어셈블리(100a)는 본체 어셈블리(100a)의 외장을 구현하는 본체 어셈블리 하우징(11)을 포함하고, 도어 어셈블리(100)는, 도어 어셈블리(100)의 외장을 구현하는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체 어셈블리 하우징(11)과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2)은 함께 세탁기(1)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 어셈블리 하우징(11)과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2)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세탁기(1)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어 어셈블리(100)와 본체 어셈블리(100a)는 서로 별도로 제작된 후 접착제나 또는 각종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되어 세탁기(10)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룰 수도 있다.
도어 어셈블리(100)에는 세탁조(20a)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구(90)가 형성되고, 개구(90)를 밀폐하기 위한 주 도어(110, main door)가 마련된다.
도어 어셈블리(100)에는, 세탁조(20a) 내에서 수행되는 본 세탁과 별도로, 손 세탁이나 애벌 세탁과 같은 보조 세탁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보조 세탁 유닛이 설치 수 있으며, 보조 세탁 유닛은 보조 도어(150)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보조 세탁 유닛으로 보조 도어(150)를 채용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나, 보조 세탁 유닛은 반드시 도어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보조 세탁 유닛은 도어 어셈블리(100) 내부에 마련된 안착부(90a)에 안착되고 도어 어셈블리(100)와 분리 가능한 소정 형태의 용기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보조 도어(150)는 개구(90)에 설치되고, 개구(90)를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110, main door) 및 보조 세탁 유닛(150)는 회동하여 개구(90)를 개폐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주 도어(110) 및 보조 도어(150)의 개폐에 따라 회전조(22)의 내부는 외부에 노출되거나 또는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주 도어(110)는 도어 어셈블리(100)의 상단에 마련되며,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2)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주 도어(110)에는 주 도어(110)가 개구(90)를 폐쇄한 상태에서도 회전조(22)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창(112)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주 도어(110)에는 주 도어(11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리드 스위치(Reed Switch, 230a) 및 체커 스위치(Checker Switch, 230b)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보조 도어(150)는 주 도어(1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주 도어(110)가 열린 경우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계된다. 보조 도어(150)에는 주 도어(110) 반대 방향, 즉 회전조(22) 방향으로 함몰된 용기(152)가 형성되며, 용기(152)는 세탁조(20a) 내부의 주 세탁 공간(21a)과 별도로 세탁이 수행될 수 있는 보조 세탁 공간(150a)을 제공한다. 보조 세탁 공간(150a)는 손 세탁 및 애벌 세탁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회전조(22) 내부의 주 세탁 공간(21a)과 보조 세탁 공간(150a)은, 서로 분리되어 있어, 각각의 공간에서 독립적으로 세탁이 수행될 수 있다.
도어 어셈블리(100)에는 주 도어(110) 또는 보조 도어(150)를 개폐하기 위한 핸들부(190)가 마련될 수 있으며, 핸들부(190)는 주 도어(110)만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 핸들부(192) 및 보조 도어(150)만을 개폐하거나 또는 주 도어(110) 및 보조 도어(150)를 함께 개폐하기 위한 보조 핸들부(194)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 핸들부(192)는 주 도어(110)와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보조 핸들부(194)는 보조 도어(150)와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어(110) 및 보조 도어(150)의 자세한 내용에 대해선 후술하도록 한다.
도어 어셈블리(100)에는 세탁수 및 세제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기 위한 세탁수 공급부(300)의 일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급수부(300)는 급수 밸브(320), 급수관(325), 전환 유닛(380), 제1 세탁수 공급부(301) 및 제2 세탁수 공급부(302)를 포함하며, 제1 세탁수 공급부(301)는 보조 급수구(340), 및 보조 급수관(345)을 포함하고, 제2 세탁수 공급부(302)는 주급수관(360) 및 주급수구(391)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관(325)은 세탁조(20a)로 세탁수를 공급한다. 급수관(325)을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는, 직접 세탁조(20a)의 고정조(21) 및 회전조(22) 중 적어도 하나로 공급되거나, 또는 세제 공급 장치(390)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고정조(21) 및 회전조(22) 중 적어도 하나로 공급될 수 있다. 급수관(325)의 일단은 외부의 급수원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물을 공급받고, 급수관(325)의 타단은 전환 유닛(380)과 연결될 수 있다.
급수관(325)과 외부의 급수원 사이에는 급수 밸브(320)가 설치될 수 있다. 급수 밸브(320)는, 외부의 급수원과 연결되고, 개폐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급수관(325)에 세탁수의 공급 여부 또는 공급되는 세탁수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전환 유닛(380)은 급수관(325)과 연결되고, 급수관(325)에서 전달된 세탁수를 제1 세탁수 공급부(301) 및 제2 세탁수 공급부(302)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급할 수 있다. 전환 유닛(380)은 급수관(325)으로부터 전달되는 세탁수가 제2 세탁수 공급부(302)의 주급수관(360) 및 제1 세탁수 공급부(301)의 보조 급수관(345)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전환 유닛(380)의 제어를 통해 주급수관(360) 및 보조 급수관(345) 중 적어도 하나로 세탁수가 유동하기 때문에, 용기(152) 또는 주 세탁 공간(21a)에 세탁수가 공급될 수 있다. 전환 유닛(380)은, 예를 들어, 3방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전환 유닛(380)은 생략될 수도 있다.
주급수관(360)은 주 세탁 공간(21a)으로 급수가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주급수관(360)은 일단은 주급수구(391)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세제 공급 장치(390)와 연결되고, 타단은 전환 유닛(380)과 연결될 수 있다.
주급수구(391)는 주급수관(360)을 통해 공급된 세탁수가 주 세탁 공간(21a)으로 토출되도록 마련되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 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주급수구(391)는 주급수관(360)의 말단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주급수구(391)는 세제 공급장치(390)와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세제 공급장치(390)에 마련된 경우 주급수구(391)는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를 주 세탁 공간(21a)으로 토출할 수 있다.
보조 급수관(345)은 보조 도어(150)의 보조 세탁 공간(150a)으로 급수가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보조 급수관(345)은 일단은 보조 급수구(340)와 연결되고, 타단은 전환 유닛(380)과 연결될 수 있다.
보조 급수구(340)는 용기(152) 내부로 보조 급수관(345)를 통해 공급된 세탁수를 토출할 수 있다. 보조 급수구(340)는 보조 급수관(345)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조 급수구(340)는 용기(152)로 세탁수를 급수할 수 있도록 보조 도어(150)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급수관(360)과 보조 급수관(345)이 전환 유닛(380)을 사이에 두고 급수관(325)으로부터 분기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주급수관(360)과 보조 급수관(345) 각각이 직접 급수 밸브(320)에 연결되어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일단이 세제 공급 장치(390)와 연결되는 메인 급수관(360)의 타단과, 일단이 보조 급수구(340)와 연결되는 보조 급수관(345)의 타단이 각각 별도로 급수 밸브(320)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급수 밸브(320)의 제어를 통해 세탁수가 용기(152) 또는 주 세탁 공간(21a)으로 급수될 수 있다.
또한 전환 유닛(380)에 의해 주 급수관(360) 및 보조 급수관(345) 중 어느 하나로만 세탁수가 공급되는 것도 가능하나, 주 급수관(360) 및 보조 급수관(345) 양자 모두에 세탁수가 공급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주 급수관(360) 및 보조 급수관(345)을 각각 별도로 제어하는 급수 밸브가 세탁기(1)에 마련될 수도 있다.
세제 공급장치(390)는, 주급수관(360)과 연결되고 주급수관(360)에서 공급되는 세탁수에 세제를 합성할 수 있다. 세제 공급장치(390)에서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는 주 급수구(391)를 통해 주 세탁 공간(21a)으로 공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세제 공급장치(390)는 보조 급수관(345)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보조 도어(150)로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가 공급될 수 있다.
급수 온도 조절부(330)는, 주급수관(360) 및 보조 급수관(345)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급수되는 세탁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급수 온도 조절부(330)는, 예를 들어, 압축기, 응축기, 팽창 밸브 및 증발기를 통해 유동하는 냉매를 이용하여 세탁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외에도 급수 온도 조절부(330)는, 세탁수에 열을 공급하는 별도의 가열 장치를 이용하여 세탁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술한 급수 밸브(320), 급수관(325), 전환 유닛(380), 제1 세탁수 공급부(301) 및 제2 세탁수 공급부(30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어셈블리(100)에 마련될 수 있다.
도어 어셈블리(100)에는 사용자가 세탁기(1)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또는 세탁기(1)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600)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600)에 대해선 후술한다.
또한 도어 어셈블리(100)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00)와는 별도로, 보조 도어 용기(152)에 대한 세탁수 공급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보조 급수 입력부(89)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보조 급수 입력부(89)가 조작된 경우, 급수 밸브(320)는 개방되어 외부에서 세탁수를 공급받고, 세탁기(1)의 전환 유닛(380)은 보조 급수관(345)을 개방시키고, 주급수관(360)을 폐쇄시켜 보조 급수관(345)으로만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보조 급수 입력부(89)는, 가압에 따라서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2) 내부로 삽입되는 물리 버튼이나, 또는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2) 외부에서 회동하는 레버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물리 버튼이나 레버는 조작된 경우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도 22의 40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부(400)는 전환 유닛(380)을 제어하여 보조 급수구(340)에 세탁수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보조 급수 입력부(89)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패드나 터치 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이외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다양한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도어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세탁기의 도어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세탁기의 도어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어 어셈블리의 도어와 보조 도어의 결합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체 어셈블리(100a) 상단에 형성된 도어 어셈블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2), 주 도어(110), 보조 도어(150), 및 핸들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2)에는,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2)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개구(90)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90)는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2)의 중심 또는 중심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개구(90)는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2)의 전면 방향에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2)의 개구(90) 방향 내측에는, 개구(90)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안착부(90a)가 형성될 수 있다.안착부(90a)는 보조 도어(150)의 보조 도어 연장부(160)가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보조 도어(150)는 보조 도어 연장부(160)가 안착부(90a)에 안착됨으로써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2)에 안착될 수 있다.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2)의 개구(90) 방향 내측에는, 세탁수를 토출 가능한 보조 급수구(340)가 마련될 수 있다. 보조 급수구(340)는 보조 급수구(340)는 보조 급수관(345)과 연통되며, 보조 급수관(345)을 통해 공급된 세탁수가 보조 도어(150)의 용기(152) 내부로 급수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보조 급수구(340)에서 토출된 세탁수는, 보조 도어(150)에 마련된 세탁수 유입구(350)를 통과하여 용기(152) 내부로 급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주 도어(110)는,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2)의 상면에 소정의 도어 회동축(114a)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보조 도어(150)는 주 도어(110)의 내측에서 소정의 보조 회동축(170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주 도어(110)와 보조 도어(150)의 회동축(114a, 170a)은 서로 일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어 회동축(114a)과 보조 회동축(170a)이 주 도어(110)와 보조 도어(150)에 대해 동일한 측면에 배치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도어 회동축(114a)과 보조 회동축(170a)은 동일한 축 상에 마련되어 도어 회동축(114a)과 보조 회동축(170a)가 일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 도어(110)는 도어 회동축(114a)을 따라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2)에 마련되는 도어 회동부(110a)을 이용하여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보조 도어(150)는 보조 회동부(170)에 의해 주 도어(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어 회동부(110a)는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2)에서 주 도어(110)가 도어 회동축(114a)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2)에서 개구(90)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주 도어(110)에는 삽입홈(114)이 마련되고, 도어 회동부(110a)가 삽입홈(114)에 삽입됨으로써, 주 도어(110)가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2)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주 도어(110)의 측면에 도어 회동축(114a)방향으로 돌출된 돌기가 마련되고,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2)에 홈 형태의 수용부가 마련되어 주 도어(110) 측면에 마련된 돌기가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2)에 마련된 수용부에 삽입됨으로써, 주 도어(110)가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2)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도 있다.
이상 주 도어(110)가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2)에 결합된 일례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들의 결합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다. 주 도어(110) 및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2)에는 이외에도 또 다른 구조가 마련되어 주 도어(110)가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2)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도어(110)에는 주 도어(110)의 일 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되어 형성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보조 도어 결합부(116)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보조 도어 결합부(116)에는 보조 회동축(170a)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회동 돌기(118)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도어(150)에는 보조 도어 결합부(116)에 대응되는 보조 회동부(170)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보조 회동부(170)는 용기(152)에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보조 회동축(170a)을 용기(152)에서 어느 정도 격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보조 회동부(170)가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보조 도어(150)의 회전 반경을 크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조 도어(150)가 회전하는 경우 용기(152)가 주 도어(110)나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2)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보조 회동부(170)는 도어 회동축(114a)과 보조 회동축(170a)이 서로 일치하도록 보조 도어 결합부(116)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회동 돌기(118)는 회동 홀(172)에 삽입됨으로써, 보조 도어(150)가 보조 회동축(170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 주 도어(110)와 보조 도어(150)가 보조 도어 결합부(116) 및 보조 회동부(170)를 통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주 도어(110)와 보조 도어(150)가 서로 결합된 형상이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계자의 임의적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도어(150)에 보조 도어 결합부(116)에 대응되는 구조가 설치되고, 주 도어(110)에 보조 회동부(170)에 대응되는 구조가 설치되어 주 도어(110)와 보조 도어(150)를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이상 주 도어(110)와 보조 도어(150)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구(90)를 개폐할 수 있는 일례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주 도어(110)와 보조 도어(150)가 개구(90)를 개폐시킬 수 있는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주 도어(110)와 보조 도어(150)가 서로 결합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2)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설계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이용하여 주 도어(110)와 보조 도어(150)가 개구(90)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보조 도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보조 도어의 일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보조 도어의 일 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보조 도어에 마련된 용기에 세탁수가 공급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보조 도어(150)는 용기(152) 및 보조 도어 연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152)는 보조 도어(150)의 보조 세탁 공간(150a)을 형성하며, 이를 위해서 바닥면(194) 및 측면(156)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면(194)는 보조 세탁 공간(150a)의 깊이를 결정짓는 요소로서, 바닥면(194)는 평평하게 마련될 수도 있고,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측면(156)는 바닥면(194)를 향해 구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닥면(194) 및 측면(156)는 오목한 보조 세탁 공간(150a)을 갖도록 마련되어, 보조 세탁 공간(150a)에 세탁수를 받아 별도의 세탁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용기(152)의 바닥면(194) 및 측면(156) 중 적어도 하나에는 마찰 돌기(158)가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보조 도어(150)의 측면(156)에서 상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마찰 돌기(158)는 손 세탁 시 세탁물과의 마찰력을 상승시켜 세탁물의 때가 제거시킴으로써 손 세탁을 함에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개선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는 마찰 돌기(158)가 용기(152)의 측면(156)에 마련된 일례에 대해 도시되어 있으나, 마찰 돌기(158)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마찰 돌기(158)의 형상 역시 도 6 및 도 7 등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용기(152)에는 마찰 홈이 마찰 돌기(158) 대신에 또는 마찰 돌기(158)과 함께 마련될 수도 있으며, 마찰 홈 역시 손 세탁 시 세탁물과의 마찰력을 상승시켜 손 세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용기(152)의 일 측면에는 보조 배수구(960)가 마련될 수 있다. 보조 배수구(960)는 보조 세탁 공간(150a)에서 세탁된 세탁수가 배수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보조 배수구(960)는 용기(152) 내에 세탁수가 다량 공급되어 세탁수의 수위가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된 세탁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배출된 세탁수는 고정조(21) 및 회전조(22)로 투입될 수 있다. 또한 보조 배수구(960)는, 보조 도어(150)가 회동하여 기울어진 경우, 용기(152) 내에 저수된 세탁수가 고정조(21) 및 회전조(22)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보조 도어(150)가 회동하여 기울어진 경우, 보조 배수구(960)는, 용기(152) 내에 저수된 세탁수뿐만 아니라 세탁물도 함께 회전조(22) 내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조 배수구(960)는 별도의 개폐부재를 갖고 보조 세탁 공간(150a)의 바닥면(194)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용기(152)의 측면(156)에 마련될 수도 있다.
보조 배수구(960)가 용기(152)의 측면(156)에 마련된 경우, 보조 배수구(96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52)의 측면을 바닥면(154) 방향으로 일부 오목하게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 배수구(960)는 용기(152)에서 인접한 용기(152)의 상단부(156a)보다 낮도록 형성되는 보조 배수구(960)의 절개면(156b)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배수구(960) 역시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외에도 보조 도어(150)를 회동시켜 기울였을 때, 보조 세탁 공간(150a)에 저수된 세탁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다양한 형상이 보조 배수구(960)의 일례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세탁수 유입구(350)는 보조 도어(150)의 일 측에 마련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급수구(340)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2)가 보조 도어(150)의 용기(152)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 경우 세탁수 유입구(350)는 보조 도어(150)에서 보조 급수구(340)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세탁수 유입구(35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52)의 측면을 바닥면(154) 방향으로 일부 오목하게 절개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인접한 용기(152)의 상단부(156a)보다 낮게 형성된 유입구 둘레(156c)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세탁수 유입구(350)의 일례에 대해 도시되어 있으나, 세탁수 유입구(350)의 형상이나 위치는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세탁수 유입구(350)는, 보조 급수구(340)에서 토출되는 세탁수가 용기(152)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보조 세탁 공간(150a)으로 유입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도어 연장부(160)는,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2)의 안착부(90a)에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예를 들어 보조 도어(150)의 상단에 둘레를 따라 형성된 평면판을 포함할 수 있다.평면판의 상면은 상 방향으로 노출되고, 평면판의 바닥면은 안착부(90a)의 상단에 접촉함으로써, 보조 도어(150)가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2)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보조 도어(150)는 합성 수지, 일례로 열 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외에도 손빨래에 필요한 내충격성과 강성 등을 갖춘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보조 도어(150)가 제작될 수 있다.
보조 도어(150)에는 보조 핸들부(194)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도어 어셈블리(100)는 핸들부(19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핸들부(190)는 주 도어(110)에 구비되는 도어 핸들부(192) 및 보조 도어(150)에 구비되는 보조 핸들부(194)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핸들부(192)는 일측에 마련되는 도어 회동축(114a)에 대응하여 주 도어(110) 타측에 마련될 수 있고, 보조 핸들부(194)는 일측에 마련되는 보조 회동축(170a)에 대응하여 보조 도어(150)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도어 핸들부(192)와 보조 핸들부(194)는 상호 폭 방향으로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어 핸들부(192)와 보조 핸들부(194)는 각각 주 도어(110)의 전면 및 보조 도어(150)의 전면에 마련되어 주 도어(110)와 보조 도어(150)를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도어 핸들부(192)의 동작으로 주 도어(110)를 회동시킬 수 있고, 보조 핸들부(194)의 동작으로 보조 도어(150)만을 회동시키거나, 보조 도어(150)과 주 도어(110)를 함께 회동시킬 수 있다.
도어 핸들부(192)를 동작하면 주 도어(110)가 회동하고, 주 도어(110)가 개방된 경우 보조 핸들부(194)를 동작하면 보조 도어(150)를 회동시킬 수 있다. 주 도어(110)가 닫힌 경우 보조 핸들부(194)를 동작하면 주 도어(110)와 보조 도어(150)를 함께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주 도어(110)와 보조 도어(150)의 무게를 고려하여 보조 핸들부(194)의 길이는 도어 핸들부(19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는 상기 구성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어셈블리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도 9 내지 도 15을 참조하여 도어 어셈블리의 위치를 조절하는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도어 어셈블리의 모든 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모든 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어 어셈블리(100)는, 핸들부(190)의 조작에 따라서 폐쇄 상태, 보조 세탁 상태 및 개방 상태의 세 가지 상태를 가지도록 조작될 수 있다.
여기서 폐쇄 상태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어셈블리(100)가 개구(90)를 폐쇄하도록 주 도어(110) 및 보조 도어(150)가 개구(90) 상에 배치되어, 개구(90)를 밀폐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 경우, 주 도어(110) 및 보조 도어(150)는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되 주 도어(110) 및 보조 도어(150)의 상면의 법선이 모두 세탁기(1)의 상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폐쇄 상태에서 세탁기(1)의 사용자는 보조 도어(150)에서 손 세탁을 하거나, 또는 회전조(22) 내부에 세탁물을 투입시킬 수 없다.
도 11은 도어 어셈블리의 도어만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어 어셈블리의 도어만 열린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어 어셈블리의 보조 도어가 일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보조 세탁 상태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어셈블리(100)가 폐쇄 상태로부터 주 도어(110)가 회동하여 보조 도어(150)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 경우 주 도어(110) 및 보조 도어(150)는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보조 세탁 상태에서는 용기(152)가 형성된 보조 도어(150)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기(152)에서 손 세탁 등의 보조 세탁을 할 수 있게 된다. 보조 세탁 상태에서 보조 도어(150)는 회동하지 않고,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2)의 안착부(90a)에 안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구(90)는, 보조 배수구(960)에 의해 일부 개방된 부분을 제외하면 거의 밀폐되어 있을 수 있다.
보조 세탁 상태에서 사용자가 보조 급수 입력부(89)를 조작하는 경우, 보조 급수구(340)에서는 세탁수가 토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용기(152)의 마찰 돌기(158) 등을 이용하여 손 세탁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보조 세탁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도어(150)를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조 도어(150)는 일부만 열릴 수도 있다. 이 경우 용기(152) 내의 세탁수(2a)는 보조 도어(150)의 회동 및 중력에 의해 보조 배수구(960) 방향으로 이동한 후, 보조 배수구(960)를 통해 하 방향, 즉 회전조(22) 방향으로 투하될 수 있다.만약 용기(152) 내에 세탁물(3)이 존재하는 경우, 세탁물(3) 역시 세탁수(2a)와 함께 회전조(22) 방향으로 투하될 수 있다.
도 14는 도어 어셈블리의 도어 및 보조 도어가 열린 상태
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어 어셈블리의 도어 및 보조 도어가 모두 열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각도 내에서 회동한 보조 도어(150)가 계속해서 더 회동되면, 보조 도어(150)는, 주 도어(110)와 동일하게,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처럼, 완전히 회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어 어셈블리(100)는 개방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개방 상태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도어(110) 및 보조 도어(150) 모두가 회동하여 개구(90)를 개방하도록 한 상태를 의미한다. 이 경우 주 도어(110) 및 보조 도어(150)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되, 주 도어(110) 및 보조 도어(150)의 상면의 법선이 모두 세탁기(1)의 배면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개방 상태에서는 회전조(22) 내부의 세탁 공간(21a)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직접 회전조(22) 내부로 세탁물을 투하시킬 수 있다.
한편 보조 세탁을 수행한 후 사용자가 보조 도어(150)를 회동시키는 과정에서 아직 용기(152)에 잔여한 세탁수(2a)나 세탁물(3)은 개방 상태에서도 보조 배수구(960)를 통하여 회전조(22) 방향으로 투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폐쇄 상태, 보조 세탁 상태 및 개방 상태의 변화는 사용자가 핸들부(190)를 조작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폐쇄 상태 및 보조 세탁 상태의 변화는 도어 핸들부(192)를 조작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고,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의 변화는 보조 핸들부(194)를 조작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체 어셈블리(100a) 내부에는 세탁 유닛(20), 구동부(800) 및 배수부(900)가 마련될 수 있다.
세탁 유닛(20)은, 주 세탁 공간(21a)에 투하된 세탁물을 이용하여 본 세탁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조(20a), 밸런서(24), 펄세이터(29) 및 현가장치(25)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조(20a)는 본 세탁 공간(21a)에 투입된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세탁 행정, 행굼 행정 및 탈수 행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세탁조(20a)는, 세탁물의 세탁을 위해서, 고정조(21) 및 회전조(2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조(21)는 회전조(22)의 외측에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된 원통형으로 형성된 용기의 형상을 갖고, 세탁수 및 세제를 담아 회전조(22)의 세탁 행정을 도울 수 있다. 고정조(21)는 현가 장치(25)를 통해 본체 어셈블리 하우징(11)에 지지된다.
회전조(22)는, 고정조(21)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된 용기의 형상을 가지며, 내측에 세탁물이 수용 가능한 주 세탁 공간(21a)이 형성된다.회전조(22)의 측면에는 복수의 탈수공(13)이 마련될 수 있다.복수의 탈수공(13)은 회전조(22)의 외면을 관통하도록 마련되며, 회전조(22)의 내부 공간과 고정조(21)의 내부 공간을 서로 연통시킨다.회전조(22)는, 회전조(22) 하부에 마련된 구동부(800)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조(22)의 바닥면에는 펄 세이터(29)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펄 세이터(29)에 대해선 후술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조(22)에는, 원기둥 형상을 갖고 측면에 팬이 형성된 회전봉(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회전봉은, 상면은 개구(90) 방향을 향하고, 하면은 회전조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세워져 설치될 수 있다.회전봉은, 회전봉의 바닥면이 회전조(22)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회전조(22)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회전봉은, 세탁 행정 시 지속적으로 반전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회전봉이 회전할 때 측면에 형성된 팬은 세탁수 내부에 수류를 형성시키게 된다.회전조(22) 내부의 세탁물은 팬에 의해 형성된 수류에 의해 세탁될 수 있다.
밸런서(24)는, 회전조(22)의 상부에 마련되고, 회전조(22)가 회전하는 경우 회전조(22)에 발생되는 불평형 하중을 상쇄시킴으로써 회전조(22)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펄 세이터(29)는 회전조(22) 하부에 마련되어, 정 방향 및 역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수류(w1)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정 방향 및 역 방향 각각은, 펄 세이터(29)가 회전하는 두 개의 방향 중 어느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역 방향은 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정의된다. 정 방향과 역 방향은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펄 세이터(29)의 회전 방향 중에서 임의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펄 세이터(29)는 정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도 있고, 역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도 있다. 또한, 펄 세이터(29)는 정 방향으로 회전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다시 일정 시간 경과 후 정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펄 세이터(29)는 회전 방향을 바꿔가며 회전할 수 있다.
회전조(22) 내의 세탁물은, 펄 세이터(29)의 회전에 따라 발생된 수류(w1)에 의해 물과 함께 교반될 수 있다.
도 16은 펄 세이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펄 세이터의 회전에 따라 세탁조 내부에 생성된 와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펄 세이터(29)는 회전판(29a), 회전 팬(29b), 회전 축 결합부(29c)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판(29a)은 원판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구동부(800)의 동작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판(29a)은 구동부(800)의 동작에 따라 특정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도 있고, 양 방향으로 번갈아 가며 회전할 수도 있다. 회전판(29a)의 일 면은 회전조(22) 내부의 주 세탁 공간(21a)에 노출되고 타 면은 세탁기(1)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마련된다. 주 세탁 공간(21a)에 노출된 일 면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회전팬(29b)이 마련될 수 있다.
회전팬(29b)은 주 세탁 공간(21a)에 노출된 회전판(29a)의 일 면에 형성되고, 회전판(29a)과 함께 회전하면서 회전조(22) 내부의 주 세탁 공간(21a)에 존재하는 세탁수와 마찰하여,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수 내에 수류(w1)를 형성시킨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팬(29b)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세탁 공간(21a)에 볼록하게 돌출된 돌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돌기는 회전판(29a)의 중심부에서 경계 방향까지 연장되어 회전판(29a)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형상은 일 실시예일뿐이며, 회전팬(29b)의 형상은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다양하게 결정 및 구현될 수 있다.
회전 축 결합부(29c)는, 구동부(800)의 세탁축(840)에 마련된 세탁 축 결합부(845)와 결합되고, 모터(810)의 동작에 따른 세탁축(840)의 회전에 따라 회전판(29a) 및 회전팬(29b)은 세탁 축 결합부(845)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현가 장치(25)는 고정조(21)를 본체 어셈블리 하우징(11) 내부와 연결시키며, 고정조(21)가 일정 수준 이상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현이 장치(25)는, 예를 들어, 금속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구동부(800)는 구동력을 발생시켜 이를 회전조(22) 및 펄세이터(29) 등에 전달하여 회전조(22) 내에서 본 세탁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구동부(800)는 모터(810), 동력 절환 장치(830), 세탁축(840) 및 중공형 탈수축(850)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810) 및 동력 절환 장치(830)는 고정조(21)의 하측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모터(810)는, 회전조(22) 및 펄세이터(29)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모터(810)는, 예를 들어, 교류 모터(AC motor, Alternating Current Motor)이나, 직류 브러쉬리스 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BLDC Motor)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동력 절환 장치(830)는 모터(810)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회전조(22)와 펄세이터(29)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동력 절환 장치(830)는 동력 절환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820), 액추에이터(820)의 동작에 따라 직선 운동하는 로드부(825) 및 로드부(825)와 연결되어 로드부(825)의 동작에 따라 회동하는 클러치부(827)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동력 절환 장치(380)의 승강 동작에 따라 회전조(22)와 펄세이터(29)에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세탁축(840)은 탈수축(850)의 중공에 설치되며, 세탁축 결합부(845)를 통해 펄 세이터(29)에 결합될 수 있다. 세탁축(840)의 회전에 따라 펄 세이터(29) 역시 회전하게 될 수 있다. 세탁축(840)은 축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도 있고, 양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펄 세이터(29)도 일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도 있고, 양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중공형 탈수축(850)은 회전조(22)에 결합되고, 중공형 탈수축(805)의 회전에 따라 회전조(22) 역시 회전하게 될 수 있다.중공형 탈수축(805)은 축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도 있고, 양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회전조(22)도 일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도 있고, 양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배수부(900)는 고정조(21) 내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고정조(21)의 바닥면에는 고정조(21)에 저장된 세탁수가 배출되도록 배수구(910)가 형성되고, 배수구(910)에는 제1 배수관(920)의 일 단이 연결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배수관(920)의 타 단에는 배수를 단속하는 배수 밸브(930)의 입구가 설치될 수 있다. 배수 밸브(930)의 출구에는 배수관(920)에서 전달된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 2 배수관(940)이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사용자 인터페이스(6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8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600)는, 예를 들어, 세탁기(1)의 도어 어셈블리(100)의 상부와 같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60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부(601) 및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제공부(602)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601)는, 전원의 온/오프(On/Off) 명령을 입력받는 전원 버튼(510), 세탁 행정의 시작/일시 정지 명령을 입력 받는 시작/정지 버튼(520), 세탁 방식을 선택 명령을 입력 받는 세탁 방식 선택 버튼(530), 세탁 행정의 종류 선택 명령을 입력 받는 행정 선택 버튼(540), 급수되는 세탁수의 수위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 받는 수위 결정 버튼(550) 및 배수 명령을 입력 받는 배수 입력 버튼(56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버튼(510)이 조작되면 세탁기(1)에는 세탁기(1)의 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력이 공급되고,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동작을 개시할 준비를 시작한다. 전원 버튼(510)이 조작되기 전부터 세탁기(1)에는 대기 전력이 공급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전원 버튼(510)을 조작한 경우, 전원 버튼(510)은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전원 또는 제어부(40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원 버튼(510)은 세탁기(1)에 공급되는 대기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시작/정지 버튼(520)이 조작되면 세탁조(20a) 내부에서 수행되는 여러 행정 중 적어도 하나가 개시되거나, 또는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예를 드렁 시작/정지 버튼(520)이 조작되면 세탁조(20a) 내부에서 본 세탁 행정이 수행될 수 있다. 정이지 상태에서 시작/정지 버튼(520)이 조작되면, 모터(810)가 인가된 전원에 따라 구동하고, 모터(810)의 구동에 따라 세탁기(1)의 회전조(22) 및 펄 세이터(29) 중 적어도 하나가 회전을 시작하여 세탁 행정을 개시한다.
세탁 방식 선택 버튼(530)이 조작되면 선택된 세탁 방식에 따라서 세탁 행정이 수행된다. 세탁 방식은 세탁되는 세탁물의 종류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행정 선택 버튼(540)은, 세탁기(1)의 세탁조(20a)에서 수행되는 여러 행정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수동(手動)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여기서 세탁기(1)에서 수행되는 여러 행정은 주 세탁 행정, 행굼 행정 및 탈수 행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위 결정 버튼(550)이 조작되면, 세탁기(1)의 세탁조(20a) 내부의 수위가 수동으로 결정되며, 제어부(400)는 결정된 수위에 따라 세탁조(20a) 내부에 세탁수를 공급하도록 급수 밸브(320) 및 전환 유닛(380)을 제어한다. 수위 결정 버튼(550) 주변에는 결정된 수위를 표시하기 위한 수위 표시부(610)가 마련될 수 있다.
배수 입력 버튼(560)가 조작되면, 세탁조(20a) 내부의 세탁수가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부(900)가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된다.
정보 제공부(602)는, 세탁기(1)의 제어 상황이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 제공부(602)는, 세탁물(3)의 세탁 공정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부(602)는 후술하는 건포 무게 감지 결과 또는 습포 무게 감지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화상 표시부(620)는 건포 무게 감지 결과에 따른 세탁물(3)의 무게나 습포 무게 감지 결과에 따른 세탁물(3)의 무게를 수치로 표시함으로써, 건포 무게 감지 결과 또는 습포 무게 감지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정보 제공부(602)는, 건포 무게 감지 수행 여부나, 습포 무게 감지 수행 여부나, 또는 세탁수(4)의 세탁조(20a) 내로의 공급 여부 등과 같이 세탁기(1)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602)는, 예를 들어, 결정된 수위를 표시하기 위한 수위 표시부(610), 그림, 도형, 기호 또는 문자와 같은 각종 화상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620) 및 배수 명령 입력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배수 정보 표시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위 표시부(610), 화상 표시부(620) 및 배수 정보 표시부(630) 중 적어도 하나는 실시예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수위 표시부(610) 및 배수 정보 표시부(630)는 각종 조명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조명등은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조명등일 수 있다.
화상 표시부(620)는, 각종 디스플레이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표시부(620)는,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이나,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또는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ctive-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냉음극관(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등과 같이, 소정의 문자, 기호 또는 그림 등을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정보 제공부(602)는, 사용자에게 세탁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고, 또한 음성 또는 음향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사운드 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9를 참조하여 세탁기(1)의 제어 흐름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는 세탁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세탁기(1)는, 감지부(200), 급수부(300), 제어부(400), 사용자 인터페이스(600), 통신부(700), 전원부(780), 메모리(790), 구동부(800) 및 배수구(9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200)는 세탁기(1)의 동작 상태나 주변 환경 등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200)는, 고정조(21) 내부의 잔수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210), 보조 세탁 입력 시간 및 보조 급수 시간을 감지하는 타이머(220), 주 도어(11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감지부(230), 사용자와 세탁기(1)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부(240) 및 세탁수의 탁도를 감지하는 탁도 감지부(2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위 감지부(210)는 고정조(21) 내부에 마련되어, 고정조(21) 내의 잔수의 수위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수위 감지부(210)는 고정조(21) 내부의 하면에 고정조(21) 내의 잔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수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고정조(21) 내의 잔수의 수위는 수로 내의 잔수의 수위와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위 감지부(210)의 수로 내에 잔수 위에 존재하는 내부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면 압력에 대응되는 수위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수위 감지부(210)는 기계식 수위 감지 방법, 반도체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방법 및 커패시턴스 측정 방법 등을 이용하여 고정조(21) 내부 잔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이하 기계식 수위 감지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세탁기(1)의 고정조(21) 내부로 투입되는 물에 의해서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수로 내부 수면과 수위 감지 장치 사이의 공기압이 증가하게 된다. 증가한 공기압으로 인해 기계식 수위감지 장치는 증가한 공기압에 의해 다이아프램(Diaphragm)을 밀어 올려지며 이 다이아프램은 다시 코어를 밀어 올리게 된다. 코어와 코어를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보빈과의 상호작용으로 자속 밀도 값이 변하게 되는데, 자속 밀도 값은 동작 회로 내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와 공진하여 주파수의 전기적 신호로 출력된다. 수위에 따라서 자속 밀도 값이 변화하면, 출력 주파수 값 역시 동일하게 변화되는바, 이를 이용하여 고정조(21) 내부 잔수의 수위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조(21) 내부 잔수의 수위는 상태 결정부(4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반도체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반도체 압력 센서는 스트레인 게이지가 부착된 다이아프램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기계식 수위 감지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공기 압력의 변화에 따라 다이아프램이 변형될 수 있는데, 스트레인 게이지는 이와 같은 다이아프램의 변형을 측정함으로써, 고정조(21) 내부 잔수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는 측정된 다이아프램의 변형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된 전기적 신호는 상태 결정부(410)로 전달되고, 상태 결정부(410)는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해석하여 고정조(21) 내부 잔수의 수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 커패시턴스(Capacitance) 측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커패시턴스 측정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고정조(21) 내부의 측면에 복수 개의 수위 감지 센서가 고정조(21) 내부에 하면에서 상면을 향해 마련되어 있으며, 복수 개의 수위 감지 센서는 복수 개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수위 감지 센서의 복수 개의 전극 사이의 커패시턴스는 수위에 따라서 변화하게 되므로, 이와 같은 커패시턴스를 측정함으로써 수위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전극의 유전체는 공기와 물로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이 이루어진 유전체의 캐패시턴스는 공기와 잔수의 비율에 따라 그 값이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변화된 캐패시턴스의 값을 이용하여 고정조(21) 내부 잔수의 수위가 판단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전극 사이의 커패시턴스에 따라 수위 감지부(210)는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태 결정부(410)는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해석하여 고정조(21) 내부 잔수의 수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수위 감지 방법을 통해, 수위 감지부(210)는 고정조(21) 내부 잔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태 결정부(410)는 이를 통해 고정조(21) 내부 잔수위 수위를 판단할 수 있다.
타이머(220)는, 입력부(601)의 보조 세탁 시작 신호의 입력 시간 및 보조 급수 시간을 감지한다. 타이머(220)는 입력 신호를 받아서 설정 시간 경과 후에 회로가 열리거나 닫히는 접점을 가지고 있는 릴레이로, 싱크로나이드 모터식, 트랜지스터식 등일 수 있다.
도어 개폐 감지부(230)는 주 도어(11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보조 급수 제어에 이용되는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도어 개폐 감지부(230)는 리드 스위치(Reed Switch, 230a) 및 체커 스위치(Checker Switch, 230b)를 포함할 수 있다.
리드 스위치(230a)는 핸들부(190)에 마련된 자석을 감지하여, 리드 스위치(230a)가 감지한 자계의 세기에 따라 주 도어(11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드 스위치(230a)가 감지한 자계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는 주 도어(110)가 닫힌 상태인 것으로 감지하고, 감지한 자계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에는 주 도어(110)가 열린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체커 스위치(230b)는 몸체부, 주 도어(110)와 접촉하여 주 도어(110)의 개방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감지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는 도어 회동축(114)에 마련되고, 몸체부의 내부에는 스위치가 내장되어 있다. 스위치는 도어 개폐 감지레버에 의하여 온ㆍ오프되어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또, 몸체부의 일측에는 스위치와 연결되어 스위치에서 발생하는 제어신호를 제어부(400)로 전달하는 전극 단자가 설치된다.
도어 개폐 감지레버는 몸체부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단부가 주 도어(110)의 일측과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도어 개폐 감지레버는 주 도어(110)의 개폐 시 상하로 회동되어 몸체부에 설치된 스위치를 온 또는 오프시킨다.
거리 감지부(240)는 본체 하우징(11) 또는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2)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와 세탁기(1)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 감지부(240)는 세탁기(1)의 좌우 측면 및 전면에 구비되어 좌우 측면 및 전면과 사용자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리 감지부(240)는 적외선 광이나 초음파를 조사하고 사용자로부터 반사되어 귀환하는 시간 또는 반사광의 또는 에코 초음파의 세기를 감지하여 사용자와 세탁기(1)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거리 감지부(240)로는 초음파 센서나 적외선 센서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사용자와 세탁기(1)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탁도 감지부(250)는 세탁수의 탁도를 감지하여 세탁수의 오염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탁수의 오염 정도에 따라 보조 세탁을 한 세탁수를 본 세탁에 이용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급수부(300)는 제어부(400)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서 보조 도어(150) 및 세탁 유닛(20)에 세탁수 및 세제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할 수 있다.
급수부(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환 유닛(380), 보조 급수관(345), 보조 급수구(340), 메인 급수관(360) 및 세탁수 유입구(39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300)는 제어부(40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환 유닛(380)을 동작시켜 보조 도어(150)의 용기(152)에 급수를 하거나 본 세탁 유닛(20)에 급수를 할 수 있다.
또한, 급수부(300)는 보조 도어(150)의 용기(152)에 급수를 하는 경우 세탁수만을 공급 할 수도 있고, 세제 및 세탁수의 혼합수를 급수할 수도 있다.
급수부(300)에 대해선 이미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400)는 세탁기(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세탁기(1)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감지부(200)로부터 수신하거나, 또는 메모리(790)에서 독출한 후, 수신하거나 독출한 정보를 기초로 세탁기(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하드웨어적으로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 가능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반도체 칩, 반도체 칩과 연결된 회로 및 관련 부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제어부(400)는 상태 결정부(410), 동작 결정부(420), 무게 결정부(430), 배수 제어부(440), 급수 제어부(450), 표시 제어부(460) 및 동작 제어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이들(410 내지 470) 중 일부는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태 결정부(410), 동작 결정부(420), 무게 결정부(430), 배수 제어부(440), 급수 제어부(450), 표시 제어부(460) 및 동작 제어부(470)는, 하나의 반도체 칩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둘 이상의 반도체 칩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태 결정부(410), 동작 결정부(420), 무게 결정부(430), 배수 제어부(440), 급수 제어부(450), 표시 제어부(460) 및 동작 제어부(470)는 각각 별도의 반도체 칩에 의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외에도 설계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상태 결정부(410), 동작 결정부(420), 무게 결정부(430), 배수 제어부(440), 급수 제어부(450), 표시 제어부(460) 및 동작 제어부(470)는 구현될 수 있다.
상태 결정부(410)는, 감지부(200)에서 감지한 고정조(21) 내부 잔수의 수위, 보조 세탁 시작 신호의 입력 시간, 보조 급수의 급수 시간, 주 도어(110)의 개폐 여부, 사용자와 세탁기(1) 사이의 거리 또는 보조 급수 입력부(89)의 조작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현재 세탁기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태 결정부(410)는 입력부(601)에서 입력 받은 사용자의 보조 세탁 시작 신호, 보조 세탁 종료 신호, 보조 세탁 유닛(150)의 세척 신호 및 세탁수의 재사용 신호를 수신 받아, 현재의 세탁 상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동작 결정부(420)는, 세탁기(1)가 수행할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작 결정부(420)는 상태 결정부(410) 또는 무게 결정부(430)에 의해 결정된 상태나 세탁물의 무게에 따라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급수부(300), 사용자 인터페이스(600), 구동부(800) 및 배수부(900)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동작 결정부(420)는 상태 결정부(410) 또는 무게 결정부(430)에 의해 결정된 결과에 따른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배수 제어부(440), 급수 제어부(450), 표시 제어부(460) 및 동작 제어부(470)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함으로써, 상술한 세탁기(1)의 각종 부품이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세탁조(20a) 내의 세탁물의 무게를 감지 또는 측정하는 실시예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상태 결정부(410)는, 보조 도어(150)의 용기(152)에서 손 세탁 또는 애벌 세탁이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태 결정부(410)는, 메모리(790)로부터 보조 급수 입력부(89)의 조작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손 세탁 또는 애벌 세탁이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790)에서 전달된 정보를 분석한 결과 보조 급수 입력부(89)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상태 결정부(410)는 손 세탁 또는 애벌 세탁이 수행되었다고 결정하고, 보조 급수 입력부(89)가 조작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태 결정부(410)는 손 세탁 또는 애벌 세탁이 수행되지 않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태 결정부(410)는 보조 도어(150)의 무게를 이용하여 손 세탁 또는 애벌 세탁이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조 도어(150)에는 보조 도어(150)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무게 측정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며, 무게 측정부는 전자적 방법을 이용하여 보조 도어(150)의 무게를 측정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태 결정부(410)는 보조 급수구(340)의 세탁수 토출 여부에 따라서 손 세탁 또는 애벌 세탁이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조 급수구(340)에는 세탁수의 토출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감지 센서는 세탁수의 토출 압력을 감지하는 감압 센서나, 세탁수의 토출에 따른 진동을 감지하는 압전 센서, 또는 세탁수가 토출되고 있거나 또는 토출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수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세탁수의 토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손 세탁 또는 애벌 세탁이 수행된 경우라면, 상태 결정부(410)는 젖은 세탁물이 세탁조(20a) 내부에 투입된 것으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젖은 세탁물의 무게 감지의 수행을 결정하고, 결정 결과를 동작 결정부(420)로 전달할 수 있다.
반대로 손 세탁 또는 애벌 세탁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라면, 상태 결정부(410)는 마른 세탁물이 세탁조(20a) 내부에 투입된 것으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마른 세탁물의 무게 감지의 수행을 결정하고, 결정 결과를 동작 결정부(4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보조 도어(150)의 용기(152)에서 손 세탁 또는 애벌 세탁이 수행되어 젖은 세탁물을 습포(濕布)라 칭하고, 손 세탁 또는 애벌 세탁이 수행되지 않고 바로 세탁조(20a) 내부로 투입된 마른 세탁물을 건포(乾布)라 칭한다.
습포는 손 세탁 또는 애벌 세탁이 수행된 세탁물이기 때문에 수분을 머금어 젖어있을 수 있다. 건포는 손 세탁 또는 애벌 세탁이 수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수분을 전혀 머금지 않거나, 또는 적게 머금은 상태이므로 거의 젖어 있지 않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건포는 일상 생활 중 발생할 수 있는 정도로 조금 젖은 세탁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동작 결정부(420)는, 세탁기(1)가 수행할 동작을 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메모리(79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세탁기(1)가 수행할 동작을 결정하거나, 상태 결정부(410)에서 결정된 세탁기(1)의 상태에 따라서 세탁기(1)가 수행할 동작을 결정하거나, 또는 무게 결정부(430)에서 결정된 세탁물의 무게에 따라서 세탁기(1)가 수행할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동작 결정부(420)는 손 세탁 또는 애벌 세탁의 수행 여부에 따라서 습포 무게 감지 또는 건포 무게 감지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 또는 관련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습포 무게 감지는 세탁물이 습포인 경우 세탁조(20a) 내에 투입된 세탁물의 무게를 측정 또는 감지하는 것을 의미하고, 건포 무게 감지는 세탁물이 건포인 경우 세탁조(20a) 내에 투입된 세탁물의 무게를 측정 또는 감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습포 무게 감지를 수행하는 경우, 동작 결정부(420)는 먼저 급수 제어부(450)에 제어 신호 또는 습포 무게 감지와 관련된 데이터를 전달하고, 급수 제어부(450)는 전달된 제어 신호 또는 습포 무게 감지와 관련된 데이터에 따라서 메인 급수구(391)에서 소정 수량의 세탁수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동작 결정부(420)는 동작 제어부(470)에 제어 신호 또는 습포 무게 감지와 관련된 데이터를 전달하고, 동작 제어부(470)는 제어 신호 또는 습포 무게 감지와 관련된 데이터에 따라서 구동부(800)를 제어하여 본 세탁 유닛(20)의 회전조(22) 및 펄 세이터(29) 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하도록 한다.
무게 결정부(430)는, 세탁조(20a) 내부의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도록 마련되며, 예를 들어, 회전조(22) 및 펄 세이터(29)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따라 획득되는 각종 정보를 이용하여 세탁조(20a) 내부의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획득되는 각종 정보는, 예를 들어, 모터(810)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 세탁조(20a) 내부의 수위 및 회전조(22)의 회전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810)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는 모터(810)에서 출력되는 피드백 전류를 이용하여 획득 가능하다. 피드백 전류에 대해선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게 결정부(430)는, 펄 세이터(29)에 대한 세탁물의 마찰 부하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펄 세이터(29)가 회전하면 세탁조(20a) 내부의 세탁물은 펄 세이터(29)와 마찰하게 되는데, 무게 결정부(430)는 이와 같은 세탁물의 마찰 부하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무게 결정부(430)는 모터(810)에서 출력되는 피드백 전류를 이용하여 펄 세이터(29)에 대한 세탁물의 마찰 부하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세탁물의 마찰 부하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게 결정부(430)는, 세탁조(20a)의 회전조(22)의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회전조(22)의 회전 관성을 이용하여 세탁조(20a) 내부의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게 결정부(430)는, 세탁조(20a)의 회전조(22)의 회전에 따라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된 회전조(22)의 회전 각속도를 기초로 세탁조(20a) 내부의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할 수도 있다.
무게 결정부(430)는, 결정된 무게에 대한 정보를 동작 결정부(420)로 전달할 수 있다.
동작 결정부(420)는, 무게 결정부(430)로부터 전달받은 세탁물의 무게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각 부품의 동작을 결정하고, 결정된 동작과 관련된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배수 제어부(440), 급수 제어부(450), 표시 제어부(460) 및 동작 제어부(470)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할 수 있다.
배수 제어부(440), 급수 제어부(450), 표시 제어부(460) 및 동작 제어부(470) 중 적어도 하나는, 전달받은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에 따라 각각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배수부(900), 급수부(300), 표시부(600) 및 구동부(80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세탁물의 무게에 따라 세탁물이 세탁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동작 결정부(420)는, 결정된 동작에 따라 급수 제어부(450)에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전달하고, 급수 제어부(450)는 전달받은 신호 또는 데이터에 따라 세탁조(20a) 내에 급수를 수행하므로, 결국 세탁물의 무게에 따라 급수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
건포 무게 감지를 수행하는 경우, 동작 결정부(420)는 동작 제어부(470)에 제어 신호 또는 건포 무게 감지와 관련된 데이터를 전달하고, 동작 제어부(470)는 제어 신호 또는 건포 무게 감지와 관련된 데이터에 따라서 구동부(800)를 제어하여 회전조(22) 및 펄 세이터(29)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킨다.
무게 결정부(430)는 회전조(22) 및 펄 세이터(29)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따라 획득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세탁조(20a) 내부의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획득되는 각종 정보는 모터(810)에서 출력되는 피드백 전류의 크기, 세탁조(20a) 내부의 수위, 및 회전조(22)의 회전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게 결정부(430)에 의해 결정된 세탁물의 무게에 대한 정보는 동작 결정부(420)로 전달될 수 있다.
동작 결정부(420)는 무게 결정부(430)에 의해 결정된 세탁물의 무게에 따라 세탁 행정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설정을 결정하고, 결정된 설정에 따라서 각 부품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세탁 행정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설정은, 세탁조(20a) 내로의 세탁수의 공급량, 세탁조(20a) 또는 세탁조(20a) 내부에 설치된 펄 세이터(29)와 연결된 모터(810)에 인가되는 전력, 모터(810)의 회전 속도 및 세탁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이외에도 설계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결정부(420)는 결정된 동작과 관련된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배수 제어부(440), 급수 제어부(450), 표시 제어부(460) 및 동작 제어부(470)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할 수 있다.
배수 제어부(440), 급수 제어부(450), 표시 제어부(460) 및 동작 제어부(470) 중 적어도 하나는, 전달된 제어 신호나 데이터에 따라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배수부(900), 급수부(300), 표시부(600), 및 구동부(800) 중 적어도 하나에 생성한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배수부(900), 급수부(300), 표시부(600), 및 구동부(800) 중 적어도 하나는 전달받은 제어 신호에 따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 결정된 세탁물의 무게에 따라 세탁물이 세탁될 수 있다.
상태 결정부(410), 동작 결정부(420) 및 무게 결정부(430)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600)를 조작하여 세탁 수행 명령을 입력한 경우에 습포 무게 감지 또는 건포 무게 감지를 수행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세탁 수행 명령은 시작/정지 버튼(520)의 단독 조작, 또는 시작/정지 버튼(520) 및 세탁 방식 선택 버튼(530)의 순차적 조작에 따라서 입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습포인지 건포인지 여부에 따라서 서로 상이한 방법을 통해 세탁물의 무게를 감지 및 측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세탁물의 보다 정확한 무게를 감지 및 측정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세탁기(1)는 세탁물에 적절하게 세탁수를 세탁조(20a)에 투입하거나 또는 모터(290)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세탁수를 세탁조(20a)에 과하게 공급하여 세탁수를 낭비하거나, 또는 모터(290)에 필요 이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세탁기(1) 사용의 경제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습포 무게 감지 및 건포 무게 감지의 보다 자세한 내용에 대해선 후술하도록 한다.
배수 제어부(440)는, 배수부(900)로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배수부(900)를 제어하고, 급수 제어부(450)는 급수부(300)로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급수부(300)를 제어하고, 표시 제어부(460)는 표시부(600)로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표시부(600)를 제어하고, 동작 제어부(470)는 구동부(800), 로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세탁기(1)의 세탁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배수 제어부(440), 급수 제어부(450), 표시 제어부(460) 및 동작 제어부(470)는 각각 개별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고, 서로 연관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구동부(80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발생한 구동력을 회전조(22) 및 펄세이터(29)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하여 세탁조(20a) 내에서 본 세탁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구동부(800)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기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선 생략하도록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60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600)는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00)에 마련될 수 있으며, 입력부(601) 및 정보 제공부(602)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60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신호를 제어부(400)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600)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기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선 생략하도록 한다.
보조 급수 입력부(89)는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00)의 일부에 마련되며, 예를 들어 도어 어셈블리 하우징(10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 급수 입력부(89)는, 물리 버튼이나, 레버,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보조 급수 입력부(89)의 조작에 따라서 보조 급수구(340)를 통한 세탁수의 토출 여부 또는 토출되는 세탁수의 양 등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 급수 입력부(89)가 조작되면 보조 급수 입력부(89)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400)로 전달하고, 제어부(400)는 급수 밸브(320) 및 전환 유닛(380)을 제어하여 보조 급수구(340)에서 세탁수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보조 급수 입력부(89)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는 메모리(790)로 전달될 수도 있다. 메모리(790)는 보조 급수 입력부(89)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보조 급수 입력부(89)가 조작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보조 급수 입력부(89)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는 제어부(400)에 전달되고, 제어부(400)는 보조 급수 입력부(89)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메모리(79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신호는 보조 급수 입력부(89) 조작 여부에 대한 정보의 저장에 대한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9)는 제어부(400)에서 전달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보조 급수 입력부(89) 조작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보조 급수 입력부(89)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미 위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통신부(7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740)와 연결되어 외부 다른 가전기기(770), 휴대용 단말(760) 또는 서버(750)와 상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700)는 홈 서버를 통해 서버(750)나 가정 내의 다른 가전기기(770)와 상호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통신부(700)는 홈 서버의 표준에 따라 홈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700)는, 다른 가전기기(770)의 동작에 대한 각종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세탁기(1)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다른 가전기기(770)에 전달할 수도 있다. 나아가, 통신부(700)는 서버(750)로부터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세탁기(1)의 동작에 활용할 수도 있다.
통신부(700)는 네트워크(740)를 통해 원격 조정과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7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740)와 연결되어 서버(750), 리모컨, 휴대용 단말(760) 또는 다른 가전기기(77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통신부(700)는 외부 다른 가전기기(770)와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700)는 근거리 통신 모듈(710), 유선 통신 모듈(720) 및 이동 통신 모듈(730)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710)은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소정 거리 이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기술은, 예를 들어,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초광대역(UWB, ultra wideband) 통신,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및 근거리 장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720)은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 또는 광 신호를 이용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을 위하여 유선 통신 모듈(720)은, 페어 케이블(pair cable),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이더넷(ethernet) 케이블 등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730)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780)는 세탁기(1)의 동작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전원부(780)는 상용 전원을 세탁기(1)의 사용에 적절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세탁기(1) 내부의 각 부품에 공급하는 파워 서플라이(power supply)나, 전기 에너지를 저장 및 공급 가능한 축전기 등과 같은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780)는 사용자가 세탁기(1)의 전원을 오프시킨 상태에서도 보조 도어(150)의 용기(152)에 대한 급수 또는 급수 중지가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부(400) 및 전환 유닛(38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메모리(790)는 감지부(200)에서 감지한 데이터, 제어부(400)의 제어 데이터, 입력부(601)의 입력 데이터, 통신부(700)의 통신 데이터, 보조 급수 입력부(89)의 조작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790)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부(400)는 사용자의 세탁기(1)의 사용 및 다른 가전기기(770)의 사용을 분석해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메모리(790)에 저장하여 제어에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790)에 저장된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수위, 미리 설정된 제한 시간, 미리 설정된 제 2 시간,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 및 미리 설정된 거리, 미리 설정된 세척 횟수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보조 급수 입력부(89)의 조작 여부에 대한 정보를 열람하여, 세탁물의 무게 측정 방법을 결정하고, 결정된 바에 따라 세탁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메모리(790)는 자기 디스크의 자화 현상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나 반도체 칩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반도체 저장 장치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반도체 저장 장치는 램(RAM)이나 롬(ROM)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반도체 저장 장치는, 읽기, 쓰기 및 삭제가 전기적으로 수행 가능한 이이피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M)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배수부(900)는 세탁조(20a) 내부의 잔수를 세탁기(1)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배수부(900)에 대해선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도 20 내지 도 35d를 참조하여 보조 도어(150)를 통한 손 세탁 또는 애벌 빨래 수행 여부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습포 무게 감지 또는 건포 무게 감지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0은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먼저 세탁기(1)가 구동된 후 모든 도어(110, 150)가 개폐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1000). 다시 말해서 주 도어(110)만 개폐되었는지 또는 주 도어(110) 및 보조 도어(150)가 모두 개폐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주 도어 및 보조 도어가 모두 열린 경우(s1000의 예), 사용자는 세탁조(20a)에 직접 세탁물을 투하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세탁조(20a)에 투하된 세탁물은 건포일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00)의 입력부(601)를 조작하여 세탁기(1)의 구동 명령, 즉 세탁 수행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s1011), 세탁 수행 명령이 입력된 경우, 세탁기(1)는 건포 무게 감지를 수행하여 세탁물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s1012).
다시 말해서 모든 도어(110, 150)가 열린 상태이고, 또한 보조 급수 입력부(89)도 조작되지 않았기 때문에, 세탁기(1)의 제어부(400)는 세탁조(20a)에 건포가 투입된 것으로 판단하고, 건포 무게 감지를 수행하여 세탁물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이하 건포 무게 감지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건포 무게 감지는 펄 세이터(29)를 이용하거나, 또는 회전조(22)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펄 세이터(29)를 이용하는 방법은 건포와 펄 세이터(29) 사이의 마찰 부하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무게 감지 시간이 짧고 소량 부하에서 분해능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도 21은 세탁기가 건포의 무게를 측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로 펄 세이터를 이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2는 건포 무게 측정 과정에서 펄 세이터의 회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시간과, 펄 세이터의 회전 각속도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3의 x축은 시간을 의미하고, y축은 각속도를 의미한다. 도 24는 관성과, 세탁물 무게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4의 x축은 부하의 크기를 의미하고, y축은 관성 모멘트를 의미한다. 도 24에서 직사각형 및 선분은 관성 모멘트의 분포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으로, 직사각형은 특정 부하에서 측정된 관성 모멘트가 빈번하게 분포하는 지점을 의미하고, 직사각형 안의 작은 사각형은 특정 부하에서 가장 많이 측정된 관성 모멘트의 최빈값을 의미한다. 직사각형에서 연장된 선분은 특정 부하에서 측정된 관성 모멘트가 분포할 수 있는 지점을 의미한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펄 세이터(29)를 이용하여 건포 무게를 감지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먼저 세탁조(20a) 내에 건포(3)가 투입되고(s1040, 도 20의 s1010과 동일), 건포(3)가 투입된 상태에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 세이터(29)를 회전시킨다(s1041).
이 경우, 펄 세이터(29)의 회전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동력 절환 장치(380)에 의해 펄 세이터(29)에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설정되고, 모터(810)에 전력이 공급된다. 모터(810)의 전력 공급에 따라서 모터(810)와 연결된 세탁축(840)이 회전하게 되고, 세탁축(840)의 회전에 따라서 세탁축(840)과 연결된 펄 세이터(29) 역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펄 세이터(29)는 특정 방향 회전 및 반대 방향 회전을 교대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특정 방향 회전 및 반대 방향 회전은 각각 적어도 일 회 이상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펄 세이터(29)의 특정 방향 회전 및 반대 방향 회전은, 각각 3회 정도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펄 세이터(29)는 먼저 특정 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할 수 있다(①). 이 경우 펄 세이터(29)의 각속도는 증가하기 시작한다. 펄 세이터(29)가 어느 정도 회전하거나 시간이 경과되면 펄 세이터(29)의 회전 속도는 줄어들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정지하게 된다. 정지했던 펄 세이터(29)의 특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②).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던 펄 세이터(29)의 각속도 역시 증가하다가, 일정한 회전 또는 시간의 경과 이후에 감소하고, 최종적으로 펄 세이터(29)는 정지한다. 이어서 펄 세이터(29)는 다시 특정 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한다(③). 이와 같은 펄 세이터(29)의 동작은 반복하여 수행된다(① 내지 ⑥).
펄 세이터(29)가 회전을 개시하면 관성 모멘트를 추정한다(s1042).
이 경우 관성 모멘트의 추정은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은 모터-토크 방정식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Figure PCTKR2016002561-appb-M000001
수학식 1에서 T는 모터의 토크(torque)를 의미하고, J는 관성 모멘트를 의미한다. ω는 각속도를 의미하고, t는 시간을 의미한다.dω/dt는 시간의 변화에 따른 각속도의 변화를 의미하며, 따라서 각가속도일 수 있다.B는 모터의 마찰 계수를 의미하고, TL은 부하 토크를 의미한다.
수학식 1을 참조하면, 모터 토크(T)는 관성 모멘트(J) 및 각가속도(dω/dt)의 곱에 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모터의 마찰력(Bω)과 부하 토크(TL)가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이들은 무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관성 모멘트(J)는, 하기의 수학식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모터 토크(T)와 각가속도의 역수(dt/dω)의 곱에 비례하게 된다.
Figure PCTKR2016002561-appb-M000002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모터(810)에 일정한 모터 토크(T)가 인가된 상태에서 속도 변화량(dω)에 대한 시간 변화량(dt)을 이용해서 관성 모멘트(J)를 추정할 수 있게 된다.
일정한 시간(도 23의 Δt) 동안에 각속도의 변화량(도 23의 Δω)은, 모터(810)의 회전 속도, 또는 펄 세이터(29) 등에 마련된 속도 감지 장치 등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이와 같이 측정된 일정한 시간 동안의 각속도의 변화량(Δω/Δt)과, 미리 알고 있는 모터 토크(T)를 이용하여 관성 모멘트(J)를 추정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회수로 특정 방향 회전 및 반대 방향 회전(① 내지 ⑥)을 수행한 경우, 제어부(400)는 각각의 회전(① 내지 ⑥)마다 측정된 일정한 시간 동안의 각속도의 변화량(Δω/Δt)들을 획득하고, 획득한 각속도의 변화량(Δω/Δt)들의 절대값의 평균값(m)을 연산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400)는 이와 같이 연산된 평균값(m) 및 모터 토크(T)을 이용하여 관성 모멘트(J)를 추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400)는 모든 회전(① 내지 ⑥)에서 측정된 각속도의 변화량(Δω/Δt)을 이용하여 평균값(m)을 연산할 수도 있고, 모든 회전(① 내지 ⑥) 중에서 일부의 회전에서 획득된 각속도의 변화량(Δω/Δt)만을 이용하여 평균값(m)을 연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오차의 제거를 위해서 최초 회전(①)을 제외하고, 나머지 회전(② 내지 ⑥)에서의 각속도의 변화량(Δω/Δt)만을 이용하여 평균값(m)을 연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관성 모멘트(J)가 추정되면, 제어부(400)는 추정된 관성 모멘트(J)에 상응하는 부하, 즉 세탁물의 무게를 추정하여 결정한다(s1043).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400)는 메모리(790) 등에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열람하여 추정된 관성 모멘트(J)에 대응하는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관성 모멘트가 200 정도로 측정되면, 도 27에 도시된 그래프를 참조하여 세탁물의 무게가 10kg 정도인 경으로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와 관성 모멘트 사이의 관계에 대한 데이터로 구축된 것일 수 있으며, 경험 또는 실험을 통해 획득된 것일 수 있다.
도 25는 건포의 무게를 측정하는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로, 세탁조를 회전시켜 건포 무게를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6은 세탁조의 회전 시 세탁조 내부의 세탁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회전조(22)를 이용하는 방법은, 스핀 드럼(spin drum) 회전 방식이라고도 하는데, 구체적으로 회전조(22)를 회전시켜 회전조(22)의 회전 관성을 측정하여 건포의 무게를 측정하거나, 또는 회전조(22)의 회전을 위해 구동부(800)에 인가되는 전류를 회전조(22)의 회전 중에 측정하여 건포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회전조(22)를 이용하는 방법은, 부하 별로 선형성을 가지며, 포질 및 로딩 산포에 강인한 장점이 있다.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조(22)를 소정의 속도(ω)로 회전시키면 회전조(22) 내부의 세탁물(3)은 원심력에 의해 회전조(22) 가장 자리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조(22) 및 회전조(22)를 회전시키는 모터(810)에는 소정의 토크가 인가된다. 이와 같이 인가된 토크를 이용하여 회전 관성을 측정하고 회전 관성을 이용하여 세탁물의 무게를 추정 및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회전조(22)가 회전할 때 모터(810)에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무게를 추정 및 측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측정되는 전류는 피드백 전류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물(3)의 무게가 측정되면,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제어부(400)는 세탁 행정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설정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설정은, 세탁조(20a) 내로의 세탁수 공급량, 세탁조(20a) 또는 상기 세탁조(20a) 내부에 설치된 펄 세이터(29)와 연결된 모터(810)에 인가되는 전력, 모터(810)의 회전 속도 및 세탁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결정되는 설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적으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급수 수위 및 세탁 행정을 결정하고(s1030), 결정된 급수 수위 및 세탁 행정에 따라서 급수 및 세탁을 수행하도록, 세탁기(1)를 제어할 수 있다(s1031, s1032).
구체적으로 건포 무게 감지 결과 세탁물의 무게가 결정되면, 세탁기(1)의 제어부(400)는, 감지된 무게를 기초로 세탁수의 급수 수위 및 세탁 행정을 결정할 수 있다(s1030).
도 27은 세탁조에 급수되는 세탁수의 수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8은 세탁물 무게가 결정된 후 세탁조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세탁수의 급수 수위는 적어도 하나의 수위(LV1 내지 LV3)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수위(LV1 내지 LV3)는 세탁물의 양이나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세탁물의 무게에 따라서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수위(LV1 내지 LV3) 중 어느 하나의 수위를 선택하고, 선택된 수위로 세탁수의 급수 수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세탁물의 무게가 크면 클수록 높은 수위, 일례로 제3 수위(LV3)를 세탁수의 급수 수위로 결정하고, 세탁물의 무게가 작으면 작을수록 낮은 수위, 일례로 제1 수위(LV1)를 세탁수의 급수 수위로 결정할 수 있다.
세탁수의 급수 수위 및 세탁 행정이 결정되면,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정된 세탁수의 급수 수위에 따라 세탁조(20a)에 세탁수(4)가 제공되고(s1031), 세탁수(4)가 제공되면 세탁조(20a) 내에서 본 세탁이 수행된다(s1032). 여기서 세탁수(4)의 제공은 상술한 급수부(300)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2 세탁수 공급부(302)에 의해 세탁조(20a)에 세탁수(4)가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전환 유닛(380)이 급수관(325) 및 주급수관(360)을 연결하도록 설정됨으로써 세탁수는 주급수구(391)를 통해 토출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건포 무게 감지에 따라 건포의 무게가 결정되고, 건포의 무게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세탁 행정이 수행된 이후에, 추가적으로 세탁물의 무게를 추정 및 결정하여 발생된 오차를 교정하거나 또는 세탁물이 습기를 머금음에 따라 발생된 부하의 증가를 반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적으로 수행되는 무게의 측정 및 결정은 후술하는 습포 무게 감지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도 20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만약 모든 도어가 열리지 않은 경우(s1000의 아니오), 주 도어(110)만 열리고 보조 도어(150)는 열리지 않을 수 있다(s1020의 예). 보조 도어(150)만 열린 상태에서는 손 세탁 또는 애벌 세탁이 수행될 수 있다(s1021 내지 s1023). 이 경우 세탁기(1)의 제어부(400)는, 본 세탁을 수행하기에 앞서 습포 무게 감지를 수행하여 세탁물의 무게를 추정 및 측정하게 된다.
도 29는 세탁조 내에 세탁수와 세탁물이 함께 투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 도어(110)가 열리고 보조 도어(150)는 개구(90)를 밀폐한 경우(s1021), 사용자가 세탁물을 보조 도어(150)의 용기(152) 내에 투입하고 보조 급수 입력부(89)를 조작하면(s1021), 보조 급수구(340)에서는 세탁수가 토출되어 용기(15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s1022). 보조 급수 입력부(89)가 조작되면 보조 급수 입력부(89)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전기적 신호는 메모리(790) 또는 제어부(400)로 전달된다. 메모리(790)는 전달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 보조 급수 입력부(89)가 조작되었다는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부(400)는 전달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 보조 급수 입력부(89)가 조작되었다는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로 메모리(790)로 전달하여, 메모리가 보조 급수 입력부(89)가 조작되었다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용기(152) 내에 투입된 세탁수 및 용기(152)를 이용하여 손 세탁 또는 애벌 세탁을 하고(s1023), 보조 도어(150)를 회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세탁수 및 세탁물 중 적어도 하나는 보조 배수구(960)를 통해 하 방향으로 떨어져 세탁조(20a) 내부에 투하된다(s1024). 이에 따라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조(20a) 내부에는 젖은 세탁물인 습포와 세탁수가 함께 존재하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00)의 입력부(601)를 조작하여 세탁기(1)의 구동 명령, 즉 세탁 수행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s1025), 세탁 수행 명령이 입력된 경우, 세탁기(1)는 습포 무게 감지를 수행하여 세탁물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s1026).
습포는 건포보다 상대적으로 무겁고 또한 세탁수가 일부 세탁조(20a) 내에 유입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세탁물이 건포라고 가정하고 건포 무게 감지를 수행한다면, 세탁물의 무게가 더 높게 추정 및 측정되게 된다. 따라서 불필요하게 더 많은 양의 세탁수를 세탁조(20a)에 투하하거나 또는 모터(810)에 더 큰 전기 에너지를 인가하게 되어 세탁수 및 전력의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기(1)의 제어부(400)는, 손 세탁 또는 애벌 세탁이 수행된 경우에는 습포 무게 감지를 통하여 세탁물의 무게를 감지하도록 한다.
이하 습포 무게 감지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0은 세탁기가 습포의 무게를 측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1은 세탁조 내에 세탁수의 추가 급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2는 세탁조 내에 급수된 세탁수의 수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습포 무게 감지는 펄 세이터(29)를 이용하거나, 또는 회전조(22)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하 펄 세이터(29)를 이용하여 습포 무게 감지를 수행하는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손 세탁 또는 애벌 세탁의 수행(s1023)에 따라 습포가 세탁조(20a)에 투하된다(s1050). 이 경우 세탁수도 함께 세탁조(20a)에 투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세탁조(20a) 내부에는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위(LVA)의 세탁수가 담기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제1 수위(LVA)의 세탁수는 주 급수구(391)를 통해 공급된 것이 아니라, 보조 급수구(340)를 통해 용기(152)에 급수되었던 것이다.
한편 제어부(400)는 습포가 세탁조(20a)에 투하되었는지 여부를 메모리(790)를 열람하여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메모리(790)를 열람하여 손 세탁 또는 애벌 세탁이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메모리(790)에 저장된 보조 급수 입력부(89)가 조작되었다는 정보를 이용하여 손 세탁 애벌 세탁이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습포가 세탁조(20a)에 투하된 경우, 제어부(400)는 급수부(300)의 급수 밸브(320)를 제어하여,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조(20a) 내에 소정 수량의 세탁수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제1차 급수). 제1차 급수는 습포의 무게 측정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참조 데이터(reference data)를 설정하기 위하여 수행된다.
도 3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원래 담겨 있던 제1 수위(LVA) 위에 새로 급수된 세탁수가 투하되므로, 세탁수의 수위는 제1 수위(LVA)보다 높은 제2 수위(LV0)로 변화하게 된다.
제1차 급수가 종료된 후(s1051), 모터(810)에 전류가 인가되고, 모터는 펄 세이터(29)를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펄 세이터(29)가 회전을 개시한다(s1052).
펄 세이터(29)의 회전에 따라서 세탁조(20a) 내의 세탁수 내에서는 수류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습포의 존재 및 이에 의한 마찰에 의해 펄 세이터(29)에는 부하가 인가되고, 펄 세이터(29)에 인가되는 부하는 모터(810)에도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810)에는 세탁물 및 세탁수가 없을 때보다 더 많은 량의 전류가 인가될 수 있으며, 세탁물의 무게에 상응하는 크기의 전류가 모터(810)에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모터(810)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면(s1053), 전류 크기에 따라서 세탁물의 무게를 추정 및 결정할 수 있게 된다(s1054). 이와 같은 전류 크기에 따라서 세탁물의 무게를 추정 및 결정은 제어부(4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어부(400)는 펄 세이터에 대한 세탁물의 마찰 부하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할 수 있다. 무게 감지를 위해 전류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선 후술한다.
습포 무게 감지 결과 세탁물의 무게가 추정 및 결정되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정된 세탁물의 무게에 따라서 제어부(400)는 급수 수위 및 세탁 행정을 결정할 수 있다(s1030).
이어서 제어부(400)는 추정 및 결정된 무게를 기초로 결정된 급수 수위 및 세탁 행정에 따라서 급수 및 세탁을 수행하도록, 세탁기(1)를 제어할 수 있다(s1031, s1032).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제어부(400)는, 습포의 무게에 따라서 어느 하나의 수위(LV1 내지 LV3)를 선택하고, 선택된 수위(LV1 내지 LV3)에 따라 투하될 세탁수의 양을 결정할 수 있으며, 급수부(300)는 투하될 세탁수의 양에 따라 세탁수를 세탁조(20a) 내에 투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00)는 세탁물의 무게가 크면 클수록 세탁수의 수위가 높도록, 다시 말해서 투하된 투하된 세탁수의 높이가 제3 수위(LV3)에 도달하도록 세탁수의 급수를 제어하고, 세탁물의 무게가 작으면 작을수록 세탁수의 수위가 낮도록, 다시 말해서 투하된 투하된 세탁수의 높이가 제1 수위(LV1)에 도달하도록 세탁수의 급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3은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를 이용하여 무게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세탁기(1)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400) 및 구동부(8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부(800)는 모터(810)와, 모터(810)에 전력을 인가하는 전력 인가부(801)와, 전력 인가부(801) 및 모터(801) 사이의 피드백 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피드백 전류 감지부(80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에서 전달되는 제어 신호는 전력 인가부(801)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전력 인가부(801)는 제어 신호에 따라 모터(810)에 전력을 공급하여 모터(810)의 회전 속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전력 인가부(801)는 다양한 종류의 인버터(inverter)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피드백 전류 감지부(802)는, 전력 인가부(801)와 모터(801) 사이를 연결하는 회로 또는 전선에서 분기되어 마련되고, 전력 인가부(801)와 모터(801) 사이를 이동하는 전류 또는 피드백 전류를 감지한다.
피드백 전류는 모터(810)에 인가된 부하에 따라서 상이하게 출력된다.
도 34a는 낮은 부하 시 출력되는 전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5b는 중간 부하 시 출력되는 전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a 및 도 34b는, 펄 세이터(29)가 정 방향과 역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모터(810)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측정 결과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모터(810)로, 펄 세이터(29)를 정 방향 및 역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 직류 브러쉬리스 모터가 채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모터(810)로 채용 가능한 모터는 직류 브러쉬리스 모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모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도 34a 및 도 34b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모터(810)에 인가된 부하가 낮은 부하인 경우와 모터(810)에 인가된 부하가 중간 부하인 경우에 있어서, 양자의 모터(810)의 회전 속도가 동일 또는 거의 유사하다고 하더라도, 도 3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810)에 인가된 부하가 낮은 부하인 경우에 측정되는 Q축 전류는, 도 3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810)에 인가된 부하가 중간 부하인 경우에 측정되는 Q축 전류보다 그 진폭이 상대적으로 훨씬 작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피드백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면 모터(810)에 인가된 부하를 알 수 있으며, 모터(810)에 인가되는 부하는 습포의 무게에 따라 비례하여 변화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는 세탁조(20a) 내에 존재하는 습포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피드백 전류 감지부(802)에 의해 도 3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피드백 전류가 감지되면 부하가 작기 때문에 습포의 무게를 상대적으로 작게 결정하고, 도 3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피드백 전류가 감지되면 부하가 크기 때문에 습포의 무게를 상대적으로 크게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세탁조(20a) 내에 존재하는 습포의 무게를 추정 및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3을 참조하면, 제어부(400)는 피드백 전류 감지부(802)에서 감지된 전류의 크기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피드백 전류 감지부(802)에서 전달되는 피드백 전류를 기초로 습포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 결정부(430)는 피드백 전류 감지부(802)에서 감지된 전류의 크기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류의 크기에 따라 습포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400)는, 피드백 전류 감지부(802)에서 감지된 전류의 크기를 이용하여 습포 무게 감지를 수행할 수도 있고,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400)는, 피드백 전류 감지부(802)에서 감지된 전류의 크기의 평균값을 연산한 후, 연산된 피드백 전류의 크기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습포 무게 감지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400)는, 수신한 피드백 전류의 크기의 절대값을 획득하고, 획득한 피드백 전류의 크기의 절대값을 이용하여 습포 무게 감지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400)는, 피드백 전류 크기의 절대값의 평균값을 연산한 후, 연산된 피드백 전류 크기의 절대값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습포 무게 감지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급수 후 초기 일정 시간, 일례로 30초 동안은 습포의 분포나 적심에 따라 피드백 전류의 크기가 변화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400)는 초기 일정 시간 동안에 전달된 피드백 전류는 제외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전달되는 피드백 전류만을 이용하여 습포 무게 감지를 수행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400)는, 초기 일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전달되는 피드백 전류의 크기의 평균값을 연산한 후, 연산된 피드백 전류의 크기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습포 무게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피드백 전류의 크기의 평균값을 연산을 수행할 기간을 미리 정의하고, 수행할 기간 동안에 전달되는 피드백 전류의 크기의 평균값을 연산한 후, 연산된 피드백 전류의 크기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습포 무게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일정한 시간, 일례로 30초 동안 전달되는 피드백 전류의 크기를 평균하고, 획득된 피드백 전류의 크기를 이용하여 습포 무게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35a 내지 도 35c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제어부(400)에 의해 획득되는 피드백 전류의 크기 또는 피드백 전류의 크기의 평균값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5a는 출력되는 전류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b는 시간에 따른 Q축 전류의 크기를 연결하여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35c는 시간에 따른 전류의 평균값의 크기를 연결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5a, 도 35b 및 도 35c는, 도 34a 및 도 34b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게, 펄 세이터(29)가 정 방향과 역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모터(810)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기초로 획득한 결과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 것이며, 이 경우에도 모터(810)로 직류 브러쉬리스 모터가 채용될 수 있다.
도 35a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피드백 전류는, 펄 세이터(29)의 정 방향 회전 및 역 방향 회전에 의해 사인 곡선의 형태로 모터(810)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드백 전류는 복수의 펄스(p1 내지 p9)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펄스(p1 내지 p9)는 펄 세이터(29)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양 또는 음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펄 세이터(29)가 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양의 값을 갖는 펄스(p1, p3, p5, p7 및 p9)가 감지되고, 반대로 펄 세이터(29)가 역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음의 값을 갖는 펄스(p2, p4, p6 및 p8)가 감지될 수 있다. 물론, 설계자의 설계에 따라서, 펄 세이터(29)가 역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양의 값을 갖는 펄스(p1, p3, p5, p7 및 p9)가 감지되고, 반대로 펄 세이터(29)가 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음의 값을 갖는 펄스(p2, p4, p6 및 p8)가 감지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제어부(400)는 펄스(p1 내지 p9)로부터 도 3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의 크기를 획득하거나, 또는 도 3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의 크기의 평균값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 일례로 무게 결정부(도 19의 430)는, 각각의 펄스(p1 내지 p9)마다 피크 전류값을 측정하여 전류의 크기를 획득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일정 기간(d1 내지 d9) 동안 펄스의 크기, 즉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를 평균하고 평균값의 절대값을 획득함으로써 도 3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의 크기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측정된 전류의 절대값을 획득하고 일정 기간(d1 내지 d9) 동안 획득한 전류의 절대값의 평균을 획득함으로써 도 3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의 크기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40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전류의 크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펄스(p1)가 출력되는 기간 내의 일정 기간, 즉 제1 기간(d1) 동안 제1 펄스(p1)의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제1 기간(d1) 동안의 제1 펄스(p1)의 전류의 평균값을 연산하여 무게 측정에 필요한 전류의 크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간(d1)은, 제1 펄스(p1)가 피크에 도달하기 일정 시간 전과 피크에 도달하고 일정 시간 후 사이의 짧은 기간일 수 있으며, 제1 펄스(p1)가 생성된 후 소멸하기까지의 기간(d11), 즉 제1 펄스(p1)의 폭보다 더 짧도록 설정된다. 이 경우, 제1 기간(d1)은 제1 펄스(p1)의 폭의 절반 이하의 길이로 설정될 수도 있다.
제1 펄스(p1)에서의 전류의 크기가 획득되면, 이어서 제어부(400)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제2 펄스(p2)가 출력되는 기간 내의 일정 기간, 즉 제2 기간(d2) 동안 제2 펄스(p2)의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제2 기간(d2) 동안의 제2 펄스(p2)의 전류의 평균값을 연산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00)는 제2 펄스(p2)의 전류의 절대값을 획득한 후 제2 펄스(p2)의 전류의 평균값을 연산하거나, 또는 제2 펄스(p2)의 전류의 평균값을 획득한 후, 제2 펄스(p2)의 전류의 평균값의 절대값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간(d2)은 제1 기간(d1)과 동일하게, 제2 펄스(p2)가 피크에 도달하기 일정 시간 전과 피크에 도달하고 일정 시간 후 사이의 짧은 기간일 수 있으며, 제2 펄스(p2)가 생성된 후 소멸하기까지의 기간(d12), 즉 제2 펄스(p2)의 폭보다 더 짧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1 펄스(p1)의 경우와 동일하게 제3 펄스(p3), 제5 펄스(p5), 제7 펄스(p7) 및 제9 펄스(p9)의 전류의 평균값을 연산하고, 제2 펄스(p2)의 경우와 동일하게 제4 펄스(p4), 제6 펄스(p6) 및 제8 펄스(p8)의 전류의 절대값의 평균값 또는 전류의 평균값의 절대값을 연산할 수 있으며, 연산된 전류의 평균값과 전류의 절대값의 평균값을 연결하거나, 또는 연산된 전류의 평균값과 전류의 평균값의 절대값을 연결하여, 도 3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의 크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5b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제어부(400)에 의해 획득된 전류의 크기는, 초기에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 일정한 값을 계속해서 유지하게 된다. 제어부(400)는, 이와 같이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 유지되는 일정한 값을 이용하여 세탁물의 마찰 부하를 감지하고, 획득한 세탁물의 마찰 부하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400)는, 제1 펄스(p1)가 출력되는 전체 기간(d11) 동안의 전류의 평균값을 연산하여 무게 측정에 필요한 전류의 크기를 획득할 수도 있다. 제1 펄스(p1)가 출력되는 기간(d11)은 제1 펄스(p1)의 폭에 대응한다.
제1 펄스(p1)에서의 전류의 크기가 획득되면, 이어서 제어부(400)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제2 펄스(p2)가 출력되는 전체 기간(d12) 동안의 제2 펄스(p2)의 전류의 평균값을 연산하고 제2 펄스(p2)의 전류의 평균값의 절대값을 획득하거나, 또는 제2 펄스(p2)의 전류의 절대값을 획득한 후 제2 펄스(p2)의 전류의 평균값을 연산할 수 있다. 제2 펄스(p2)가 출력되는 기간(d12)은 제2 펄스(p2)의 폭에 대응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1 펄스(p1)의 경우와 동일하게 제3 펄스(p3), 제5 펄스(p5), 제7 펄스(p7) 및 제9 펄스(p9)의 전류의 평균값을 연산하고, 제2 펄스(p2)의 경우와 동일하게 제4 펄스(p4), 제6 펄스(p6) 및 제8 펄스(p8)의 전류의 절대값의 평균값 또는 전류의 평균값의 절대값을 연산할 수 있으며, 연산된 전류의 평균값과 전류의 절대값의 평균값을 연결하거나, 또는 연산된 전류의 평균값과 전류의 평균값의 절대값을 연결하여, 도 3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의 크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5c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제어부(400)에 의해 획득된 전류의 절대값의 평균값 또는 전류의 평균값의 절대값의 크기는, 초기에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 일정한 값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제어부(400)는 이와 같이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 유지되는 일정한 값을 이용하여 세탁물의 마찰 부하를 감지하고, 획득한 세탁물의 마찰 부하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피드백 전류의 크기 또는 피드백 전류의 크기의 평균값이 획득되면, 제어부(400)의 무게 결정부(430)는, 피드백 전류의 크기 또는 피드백 전류의 크기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습포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제어부(400)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거나, 또는 소정의 수학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상 펄 세이터(29) 및 전류의 크기를 이용하여 습포의 무게를 감지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습포의 무게를 감지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펄 세이터(29)의 회전 속도, 세탁조(20a) 내의 세탁수의 수위 또는 회전조(22)의 회전 속도 등을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습포의 무게가 측정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다른 여러 방법을 이용하여 습포의 무게를 감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도 36을 참조하여, 세탁기(1)의 제어 흐름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6은 세탁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6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세탁기(1)는, 감지부(200), 급수부(300), 제어부(400), 사용자 인터페이스(600), 통신부(700), 전원부(780), 메모리(790), 구동부(800) 및 배수구(9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200)는 세탁기(1)의 동작 상태나 주변 환경 등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200)는, 고정조(21) 내부의 잔수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210), 보조 세탁 입력 시간 및 보조 급수 시간을 감지하는 타이머(220), 주 도어(11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감지부(230), 사용자와 세탁기(1)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부(240), 및 세탁수의 탁도를 감지하는 탁도 감지부(2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위 감지부(210)는 고정조(21) 내부에 마련되어, 고정조(21) 내의 잔수의 수위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상태 결정부(410)의 수위 결정부(411)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위 감지부(210)는 기계식 수위 감지 방법, 반도체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방법 및 커패시턴스 측정 방법 등을 이용하여 고정조(21) 내부 잔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수위 감지부(210)가 수위를 감지하는 방법에 대해선 기 설명한 바 있기 때문에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외 타이머(220), 도어 개폐 감지부(230), 거리 감지부(240)의 동작 등에 대해선, 도 19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 있기 때문에,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급수부(300)는 제어부(400), 구체적으로는 급수 제어부(450)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서 보조 도어(150) 및 세탁 유닛(20)에 세탁수 및 세제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할 수 있다. 급수부(300)에 대해선 이미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400)는 세탁기(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400)는 수위 감지부(210)에서 감지된 수위를 기초로 건포 무게 감지 및 습포 무게 감지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건포 무게 감지 및 습포 무게 감지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하여 급수부(300), 정보 제공부(602), 구동부(800) 및 배수부(900)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400)는,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 결정부(410), 동작 결정부, 무게 결정부(430), 배수 제어부(440), 급수 제어부(450), 표시 제어부(460) 및 동작 제어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이들(410 내지 470) 중 일부는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태 결정부(410)는, 감지부(200)의 감지 결과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현재 세탁기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태 결정부(410)는 수위 결정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수위 결정부(411)는, 수위 감지부(21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를 해석하여, 세탁조(20a)에 투입된 세탁수(5)의 수위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수위는 동작 결정부(4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태 결정부(410)는, 감지부(200)에서 감지한 보조 세탁 시작 신호의 입력 시간, 보조 급수의 급수 시간, 주 도어(110)의 개폐 여부, 사용자와 세탁기(1) 사이의 거리 또는 보조 급수 입력부(89)의 조작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현재 세탁기의 상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동작 결정부(420)는, 세탁기(1)가 수행할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동작 결정부(420)는 수위 결정부(411)에서 전달된 세탁수(5)의 수위를 기초로 세탁기(1)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작 결정부(420)는 미리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수위(도 37의 LV0 내지 LV10)와, 수위 결정부(411)에서 전달된 세탁수(5)의 수위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서 세탁기(1)의 각 부품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결정부(420)는 비교 결과에 따라서, 건포 무게 감지를 수행할 것인지 여부, 습포 무게 감지를 수행할 것인지 여부, 세탁조(20a)에 더 많은 세탁수(3)를 공급할 것인지 여부 또는 세탁 공정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7은 미리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수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작 결정부(4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수위(LV0 내지 LV10)와 수위 결정부(411)에서 전달된 세탁수(5)의 수위를 비교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수위(RLV1 내지 RLV10)는, 세탁조(20a) 내부의 본 세탁 공간(21a)에 투입된 세탁수의 수위를 나타내거나 또는 비교하기 위하여 정의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수위(RLV1 내지 RLV10)는,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조(20a) 내부의 본 세탁 공간(21a)을 분할하는 각각의 가상적인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조(20a) 내부의 본 세탁 공간(21a)에는, 본 세탁 공간(21a)을 하나 이상 구획하는 적어도 한 개의 가상적인 면을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가상적인 면은 세탁조(20a)의 바닥에서 세탁조(20a)의 상부 말단까지의 높이를 복수 개로 구획하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다.복수의 구역을 구획하는 가상적인 면은, 세탁수가 투입된 경우 세탁수의 수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수면의 법선과 가상적인 면의 법선이 서로 일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상적인 면은 적어도 하나의 수위(RLV1 내지 RLV10)로 정의될 수 있다.
미리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수위(RLV1 내지 RLV10)는,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조(20a) 내부 공간(21a)을 11개로 구획하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세탁조(20a) 내부 공간(21a)에는 10개의 수위(RLV1 내지 RLV10)가 정의될 수 있다. 이하 각각의 수위(RLV1 내지 RLV10)를 세탁조(20a)의 바닥에 인접한 순서로 제1 수위 내지 제10 수위라 칭하도록 한다. 수위(RLV1 내지 RLV10)가 세탁조(20a) 내부 공간(21a)을 11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정의된 경우, 가장 하단의 수위, 즉 제1 수위(RLV1)는 펄 세이터(29)를 통과하는 기준면 또는 펄 세이터(29) 바로 위의 기준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가장 상단의 수위, 즉 제10 수위(RLV10)는 세탁조(20a)의 상부 말단을 통과하는 기준면 또는 세탁조(20a)의 상부 말단보다 약간 아래를 통과하는 기준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수위(RLV1 내지 RLV10)의 위치는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수위(RLV1 내지 RLV10) 사이의 거리, 즉 각각의 가상적인 면 사이의 높이 차이는 서로 동일하게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위(RLV1)와 제2 수위(RLV2) 사이의 거리와, 제2 수위(RLV2)와 제3 수위(RLV3) 사이의 거리와, 임의의 제k 수위와 제(k+1) 수위 사이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의 수위(RLV1 내지 RLV10) 사이의 거리 중 일부의 수위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고, 다른 일부의 수위의 사이의 거리는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뿐만 아니라, 수위(RLV1 내지 RLV10) 사이의 거리 각각은 모두 서로 상이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수위(RLV1 내지 RLV10) 사이의 거리는 설계자의 필요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기준 수위는, 이와 같이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수위(RLV1 내지 RLV10) 중 적어도 하나로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복수의 기준 수위가 정의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기준 수위는 서로 상이하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 수위는 제1 수위(RLV1)로 정의되고, 제2 기준 수위는 제2 수위(RLV2)로 정의되며, 제3 기준 수위는 제6 수위(RLV6)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상이한 기준 수위가 동일한 수위로 정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 수위와 제2 기준 수위 모두 동일하게 제1 수위(RLV1)로 정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설계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기준 수위는 정의 가능하다.
동작 결정부(420)는 현재 세탁조(20a) 내부에 투입된 세탁수(5)의 현재 수위를 이와 같이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수위와 비교하고, 배수 제어부(440), 급수 제어부(450), 표시 제어부(460) 및 동작 제어부(470) 중 적어도 하나에 비교 결과를 전달함으로써, 세탁기(1)의 각 부품, 일례로 급수부(300) 및 본 세탁 유닛(20)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의 동작을 취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 수위는 제1 수위(RLV1)로 정의될 수 있으며, 동작 결정부(420)는 세탁수(5)의 현재 수위가 제1 기준 수위, 즉 제1 수위(RLV1)보다 작은 경우, 건포 무게 감지 수행을 결정하고, 결정된 바를 동작 제어부(470) 및 무게 결정부(430)에 전달하여 건포 무게 감지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작 결정부(420)는 표시 제어부(460)에도 건포 무게 감지 수행 여부에 대한 결정 결과를 전달함으로써, 정보 제공부(602)가 건포 무게 감지 수행 여부에 대한 결정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동작 결정부(420)는 세탁수(5)의 현재 수위가 제1 기준 수위, 즉 제1 수위(RLV1)보다 큰 경우 급수 및 습포 무게 감지 수행을 결정하고, 급수 제어부(450)에 결정 결과를 전달하여 소정의 목표 수위에까지 급수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동작 제어부(470)에 결정 결과를 전달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습포 무게 감지가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소정의 목표 수위는, 세탁수를 어느 정도의 수위까지 급수할 것인가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서, 소정의 목표 수위가 설정되면, 세탁조(20a) 내부에는, 투입된 세탁수의 수위가 소정의 목표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세탁수가 급수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목표 수위는, 상술한 기준 수위와 동일하게 세탁조(20a) 내부에 마련된 복수의 수위(RLV1 내지 RLV10) 중 어느 하나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목표 수위 및 제2 목표 수위는 제2 수위(RLV2)로 정의되고, 제3 목표 수위는 제6 수위(RLV6)로 정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4 목표 수위는 제10 수위(RLV10)로 정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목표 수위는 서로 상이하게 정의될 수도 있고,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목표 수위, 즉 제1 목표 수위 및 제2 목표 수위가 동일한 수위, 일례로 제2 수위(RLV2)로 정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목표 수위는 상술한 수위(RLV1 내지 RLV10)와 상이하게 설정된 수위로 정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도 37에 도시된 바와 상이하게 정의된 수위를 이용하여 목표 수위를 정의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목표 수위는 설계자가 고려하는 바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목표 수위를, 도 37에 도시된 제1 수위 내지 제10 수위(RLV1 내지 RLV10)를 이용하여 정의한 일례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동작 결정부(420)는 세탁수(5)의 수위가 제1 기준 수위, 즉 제1 수위(RLV1)보다 높은 경우, 판단 결과를 급수 제어부(450)에 전달하고, 급수 제어부(450)는 전달받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급수부(300)를 제어하여, 제2 목표 수위까지 급수가 수행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3 목표 수위까지 급수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수(5)의 수위가 제1 기준 수위와 제2 기준 수위 사이인 경우, 예를 들어 제1 수위(RLV1)과 제2 수위(RLV2) 사이인 경우, 동작 결정부(420)는 현재 수위에 대한 판단 결과를 급수 제어부(450)로 전달하고, 급수 제어부(450)는 급수부(300)를 제어하여, 제2 목표 수위, 일례로 제2 수위(RLV2)까지 급수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세탁수(5)의 수위가 제2 기준 수위와 제3 기준 수위 사이인 경우, 예를 들어 제2 수위(RLV2)과 제6 수위(RLV6) 사이인 경우, 급수 제어부(450)는 급수부(300)를 제어하여, 제3 목표 수위, 일례로 제6 수위(RLV6)까지 급수가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세탁수(5)의 수위가 제3 기준 수위를 초과하는 경우, 예를 들어 세탁수의 수위가 제6 수위(RLV6) 사이인 경우, 급수 제어부(450)는 급수부(300)를 제어하여, 제4 목표 수위, 일례로 제10 수위(RLV10)까지 급수가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목표 수위, 제3 목표 수위 또는 제4 목표 수위까지 급수가 진행되면, 동작 결정부(420)의 결정 결과에 따라서 동작 제어부(470)는 구동부(800)를 제어하여 습포 무게 감지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무게 결정부(430)는, 세탁조(20a) 내부의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무게 결정부(430)는, 회전조(22) 및 펄 세이터(29)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따라 획득되는 각종 정보를 이용하여 세탁조(20a) 내부의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게 결정부(430)는 동작 제어부(47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구동부(800)의 펄 세이터(29)의 마찰 부하를 이용하거나, 회전조(22)의 회전 관성을 이용하여 세탁물(3)의 무게를 결정하고, 결정 결과를 동작 결정부(42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무게 결정부(430)는 결정된 무게를 메모리(790)에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저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복수 회수로 무게를 결정한 경우, 각각 결정된 무게를 별도로 저장하고, 저장된 무게를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세탁물(3)의 무게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게 결정부(430)는 건포 무게 감지를 수행하여 획득된 세탁물(3)의 무게를 저장하고, 이후 습포 무게 감지를 수행하여 획득된 세탁물(3)의 무게를 저장한 후, 습포 무게 감지 결과 획득된 무게가 일정 무게보다 큰 경우 건포 무게 감지 결과가 정확하다 판단하고, 판단된 건포 무게 감지 결과를 동작 결정부(420)로 전달할 수 있다. 반대로 무게 결정부(430)는, 건포 무게 감지를 수행하여 획득된 세탁물(3)의 무게를 저장하고, 이후 습포 무게 감지를 수행하여 획득된 세탁물(3)의 무게를 저장한 후, 습포 무게 감지 결과 획득된 무게가 일정 무게보다 작은 경우 습포 무게 감지 결과가 정확하다 판단하고 습포 무게 감지 결과를 동작 결정부(420)로 전달할 수도 있다.
동작 결정부(420)는, 무게 결정부(430)에 의한 무게 결정 결과에 따라서, 세탁 공정을 어떻게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된 바를 배수 제어부(440), 급수 제어부(450), 표시 제어부(460) 및 동작 제어부(470)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하여 소정의 세탁 공정이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38 내지 도 47을 참조하여,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8은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제1 흐름도이다. 도 39는 세탁수의 수위가 제1 기준 수위보다 낮은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0은 세탁수를 제1 목표 수위까지 투입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8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먼저 세탁기(1)의 제어부(400)의 상태 결정부(410)는 현재 세탁조(20a) 내부의 수위를 판단한다(s2000). 상태 결정부(410)는, 수위 감지부(21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를 해석하여, 세탁조(20a)에 투입된 세탁수(5)의 수위를 결정할 수 있으며, 수위 감지부(210)는 기계식 수위 감지 방법, 반도체 압력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 및 커패시턴스 측정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세탁조(20a) 내부의 현재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400)는 현재의 수위와 제1 기준 수위를 비교할 수 있다(s2001). 만약 감지된 현재 수위가,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준 수위보다 작은 경우(s2001의 예), 제어부(400)는 건포 무게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s2002). 여기서 제1 기준 수위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적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수위(RLV1)일 수 있다.
건포 무게 감지는, 예를 들어, 도 21 내지 도 26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펄 세이터(29)를 이용하거나, 또는 회전조(22)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건포 무게 감지 수행(s2002) 결과 획득된 세탁물(3)의 무게는 메모리(70)에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건포 무게 감지의 수행에 따라 세탁물(3)의 무게가 측정되면, 제어부(400)는 이를 제1 기준 무게와 비교할 수 있다(s2010). 여기서, 제1 기준 무게는 설계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정의된 무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 무게는 제6 수위(RLV6)까지 급수된 세탁수의 무게와 동일하게 정의될 수 있다.
제1 기준 무게와 건포 무게 감지에 의해 획득된 결과를 비교한 결과, 만약 건포 무게 감지 결과 획득된 무게가 제1 기준 무게보다 크다면(s2010의 예), 제어부(400)는, 도 39 및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수(5)의 수위가 제1 목표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세탁수(4)를 회전조(22) 내의 주 세탁 공간(21a)에 급수하도록 급수부(30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1 목표 수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적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2 수위(RLV2)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400)는, 건포 무게 감지 결과 획득된 무게가 제1 기준 무게보다 크다면(s2010의 예), 사용자 인터페이스(600)의 정보 제공부(602)를 제어하여, 정보 제공부(602)가 건포 무게 감지 결과를 표시하도록 하거나, 또는 세탁수(4)의 급수 여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세탁수(4)가 회전조(22) 내부에 추가적으로 급수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건포 무게 감지 결과의 표시 또는 세탁수(4)의 급수 여부에 대한 표시는 급수(s2011) 전에 선행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이어서, 제어부(400)는, 제1 목표 수위에까지 세탁수(4)가 투입되면, 습포 무게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s2012).
습포 무게 감지는, 도 30 내지 도 35c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펄 세이터(29)를 이용하거나, 또는 회전조(22)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실시예에 따라서, 습포 무게 감지를 하는 경우, 투입된 세탁수(5)를 반영하여 획득된 세탁물(3)의 무게를 보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제1 목표 수위까지 투입된 세탁수(5)의 무게를 습포 무게 감지 결과 획득된 무게에서 차감하여 세탁물(3)의 무게를 결정할 수도 있다.
습포 무게 감지 결과, 획득된 세탁물(3)의 무게가 획득되면, 제어부(400)는 제2 기준 무게와 획득된 세탁물(3)의 무게를 비교할 수 있다(s2013). 여기서, 제2 기준 무게는 설계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정의된 무게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 기준 무게는 제1 기준 무게와 동일하게 정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준 무게는 제6 수위(RLV6)까지 급수된 세탁수의 무게와 동일하게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2 기준 무게는 제1 기준 무게보다 더 크게 정의될 수도 있으며, 반대로 제1 기준 무게보다 더 작게 정의될 수도 있다.
습포 무게 감지 결과 획득된 세탁물(3)의 무게와 제2 기준 무게의 비교 결과, 습포 무게 감지 결과 획득된 세탁물(3)의 무게가 제2 기준 무게보다 큰 경우(s2013의 예), 제어부(400)는 건포 무게 감지 수행(s2002) 결과 획득된 세탁물(3)의 무게를 이용하여 세탁 공정을 수행하도록 한다(s2014).
다시 말해서, 세탁기(1)는 습포 무게 감지 결과 획득된 세탁물(3)의 무게 대신에 건포 무게 감지 수행(s2002) 결과 획득된 세탁물(3)의 무게를 이용하여 세탁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세탁기(1)는, 예를 들어, 제2 수위 내지 제5 수위(RLV2 내지 RLV5)에 대응하는 무게에 따라 미리 정의된 세탁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세탁기(1)의 정보 제공부(602)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서, 건포 무게 감지 수행(s2002) 결과 획득된 세탁물(3)의 무게를 이용하여 세탁 공정을 수행한다는 내용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습포 무게 감지 결과 획득된 세탁물(3)의 무게와 제2 기준 무게의 비교 결과, 만약 습포 무게 감지 결과 획득된 세탁물(3)의 무게가 제2 기준 무게보다 작다면(s2013의 아니오), 제어부(400)는 습포 무게 감지(s2012) 결과 획득된 세탁물(3)의 무게를 이용하여 세탁 공정을 수행하도록 세탁기(1)의 각 부품을 제어할 수 있다(s2015).
다시 말해서, 세탁기(1)는 건포 무게 감지 수행(s2002) 결과에 따라 획득된 세탁물(3)의 무게 대신에 습포 무게 감지(s2012) 결과에 따라 획득된 세탁물(3)의 무게를 이용하여 세탁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세탁기(1)는, 예를 들어, 제6 수위 내지 제10 수위(RLV6 내지 RLV10)에 대응하여 설정된 세탁물(3)의 무게를 기초로 소정의 세탁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세탁기(1)의 정보 제공부(602)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서, 습포 무게 감지(s2012)에 따라 획득된 세탁물(3)의 무게를 이용하여 세탁 공정을 수행한다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 기준 무게와 건포 무게 감지에 의해 획득된 결과를 비교한 결과, 만약 건포 무게 감지 결과에 따라 결정된 무게가 제1 기준 무게보다 크다면(s2010의 아니오), 제어부(400)는, 별도로 세탁수를 더 투입하지 않고, 건포 무게 감지의 수행(s2002)에 따라 획득된 세탁물(3)의 무게를 이용하여 세탁 공정을 수행하도록 세탁기(1)의 각 부품을 제어할 수 있다(s2016). 이에 따라, 세탁기(1)는 건포 무게 감지의 수행(s2002)에 따라 획득된 세탁물(3)의 무게를 이용하여 세탁 공정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세탁기(1)의 정보 제공부(602)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서, 건포 무게 감지(s2002)에 의해 획득된 세탁물(3)의 무게를 이용하여 세탁 공정을 수행한다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세탁 공정은, 건포 무게 감지 수행(s2002)에 따른 세탁물(3)의 무게에 따라 수행되거나, 또는 습포 무게 감지 수행(2012)에 따른 세탁물(3)의 무게에 따라 수행된 후 종료될 수 있다(s2030).
세탁 공정이 종료되면, 세탁기(1)의 정보 제공부(602)는 세탁 공정의 종료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세탁 공정이 어떻게 수행되었는지 여부, 예를 들어 건포 무게 감지 결과에 따라 수행되었는지, 또는 습포 무게 감지 결과에 따라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도 41은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제2 흐름도이다. 도 42는 세탁수의 수위가 제2 기준 수위보다 낮은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3은 세탁수를 제2 목표 수위까지 투입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4는 세탁수의 수위가 제3 기준 수위 보다 낮은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5는 세탁수를 제3 목표 수위까지 투입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6은 세탁수의 수위가 제3 기준 수위보다 높은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7은 세탁수를 제4 목표 수위까지 투입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만약 현재 수위가 제1 기준 수위보다 높은 경우(도 38의 s2001의 아니오), 제어부(400)는 현재 수위가 제1 기준 수위보다 높고 제2 기준 수위보다 낮은지 판단할 수 있다(s2020). 즉, 현재 수위가 제1 기준 수위와 제2 기준 수위 사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수위 및 제2 기준 수위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적으로 결정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 수위는 제1 수위(RLV1)로 정의되고, 제2 기준 수위는 제2 수위(RLV2)로 정의된 것일 수 있다.
만약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수위가 제1 기준 수위보다 높고 제2 기준 수위보다 낮다면(s2020의 예), 제어부(400)는 도 42 및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수(5)의 수위가 제2 목표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세탁수(4)를 회전조(22) 내의 주 세탁 공간(21a)에 급수하도록 급수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s2021). 다시 말해서, 세탁조(20a) 내의 수위가 제2 목표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급수가 수행될 수 있다.
제2 목표 수위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적으로 정의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목표 수위는 제2 기준 수위와 동일하게 정의된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기준 수위가 제2 수위(RLV2)로 정의된 경우라면, 제2 목표 수위 역시 제2 수위(RLV2)로 정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목표 수위는 상술한 단계 s2011의 제1 목표 수위와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상이할 수도 있다.
제2 목표 수위까지 급수가 수행되면 제어부(400)는 습포 무게 감지가 수행되도록 세탁기(1)의 각 부품을 제어할 수 있다(s2022). 여기서 습포 무게 감지는, 도 30 내지 도 35c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펄 세이터(29)를 이용하거나, 또는 회전조(22)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습포 무게 감지를 하는 경우, 제어부(400)는, 투입된 세탁수(5)의 무게를 반영하여 획득된 세탁물(3)의 무게를 보정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2 목표 수위까지 투입된 세탁수(5)의 무게를, 습포 무게 감지 결과 획득된 무게로부터 차감함으로써 세탁물(3)의 무게를 결정할 수도 있다.
습포 무게 감지가 수행되면, 제어부(400)는 습포 무게 감지 결과를 기초로 세탁 공정이 수행되도록 세탁기(1)의 각 부품을 제어할 수 있다(s2023). 다시 말해서, 세탁기(1)는 습포 무게 감지의 결과에 따라서 세탁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세탁기(1)는, 예를 들어, 제2 수위 내지 제10 수위(RLV2 내지 RLV10)에 대응하는 세탁물(3)의 무게를 기초로 설정된 바에 따라서 소정의 세탁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기(1)의 정보 제공부(602)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세탁 공정을 수행한다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서 세탁 공정을 수행한다는 정보는 습포 무게 감지(s2022)에 의해 획득된 세탁물(3)의 무게를 이용하여 세탁 공정을 수행한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만약 현재 수위가 제1 기준 수위보다 높고(도 38의 s2001의 아니오), 또한 제2 기준 수위보다도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s2020의 아니오). 제어부(400)는 현재 수위가 제2 기준 수위보다 높고 제3 기준 수위보다 낮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24). 여기서 제2 기준 수위 및 제3 기준 수위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적으로 결정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준 수위는 제2 수위(RLV2)로 정의되고, 제3 기준 수위는 제6 수위(RLV6)로 정의된 것일 수 있다.
만약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수위가 제2 기준 수위보다 높고 제3 기준 수위보다 낮다고 판단된다면(s2024의 예), 제어부(400)는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수(4)를 회전조(22) 내의 주 세탁 공간(21a)에 추가적으로 급수하도록 급수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s2025). 이 경우, 급수부(300)는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수(5)의 수위가 제3 목표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추가 급수를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세탁조(20a) 내의 수위가 제3 목표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급수가 수행될 수 있다.
제3 목표 수위는, 제2 목표 수위보다 더 높은 수위일 수 있다. 제3 목표 수위의 구체적인 수위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적으로 정의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목표 수위는 제3 기준 수위와 동일하게 정의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제3 기준 수위가 제6 수위(RLV6)라 정의된 경우라면, 제3 목표 수위 역시 제6 수위(RLV6)로 정의된 것일 수 있다. 물론 제3 목표 수위는 제6 수위(RLV6)뿐만 아니라 다른 수위로도 정의될 수 있다.
제3 목표 수위까지 세탁수가 투입되면(s2025), 제어부(400)는, 습포 무게 감지가 수행되도록 세탁기(1)의 각 부품을 제어할 수 있다(s2026). 상술한 바와 같이, 습포 무게 감지는, 펄 세이터(29)를 이용하거나, 또는 회전조(22)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습포 무게 감지를 수행하는 경우, 추가적으로 투입된 세탁수(5)의 무게를 반영하여 획득된 세탁물(3)의 무게를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제3 목표 수위까지 투입된 세탁수(5)의 무게를, 습포 무게 감지 결과 획득된 무게로부터 차감함으로써 세탁물(3)의 무게를 결정할 수도 있다.
습포 무게 감지가 수행되면, 제어부(400)는 습포 무게 감지 결과를 기초로 세탁 공정이 수행되도록 세탁기(1)의 각 부품을 제어할 수 있다(s2027). 다시 말해서, 세탁기(1)는 습포 무게 감지의 결과에 따라서 세탁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세탁기(1)는, 예를 들어, 제6 수위 내지 제10 수위(RLV6 내지 RLV10)에 대응하는 세탁물(3)의 무게에 따라서 소정의 세탁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기(1)의 정보 제공부(602)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서, 습포 무게 감지(s2026)에 따라 획득된 세탁물(3)의 무게를 이용하여 세탁 공정을 수행한다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습포 무게 감지(s2026)에 따라 획득된 세탁물(3)의 무게를 표시할 수 있다. 습포 무게 감지(s2026)에 따라 획득된 세탁물(3)의 무게를 이용하여 세탁 공정을 수행한다는 정보는, 급수(s2025) 전에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고, 급수(s2025) 도중에 제공될 수도 있다.
만약 현재 수위가 제3 기준 수위, 일례로 제6 수위(RLV6)보다 더 높다면(s2024의 아니오), 급수부(300)는, 도 46 및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수(5)의 수위가 제4 목표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주 세탁 공간(21a)에 더 많은 세탁수(4)가 공급할 수 있다(s2028). 이 경우, 급수부(300)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제4 목표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세탁수(4)를 계속하여 공급할 수 있다.
제4 목표 수위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적으로 정의된 것일 수 있다. 제4 목표 수위는, 제1 목표 수위, 제2 목표 수위 및 제3 목표 수위보다 더 높은 수위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목표 수위는 제10 수위(RLV1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4 목표 수위는 세탁 공정이 원활하게 진행 가능한 세탁수(4)의 최대 수위로 정의될 수도 있다.
세탁기(1)의 정보 제공부(602)는, 세탁수의 공급 전 또는 세탁수의 공급 도중에, 제4 목표 수위에까지 급수가 수행된다는 정보나 또는 제4 목표 수위에서 세탁 공정을 수행한다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제4 목표 수위에까지 세탁수가 공급되면, 세탁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s2029). 이 경우, 세탁 공정은 제10 수위(RLV6 내지 RLV10)에 대응하는 세탁물(3)의 무게를 기초로 미리 정의된 바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건포 무게 감지 또는 건포 무게 감지가 선행하여 수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건포 무게 감지 결과 또는 습포 무게 감지 결과는 이와 같은 세탁 공정을 결정하는데 이용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세탁기(1)는 세탁수의 수위가 제3 기준 수위보다 높은 경우, 무게 감지 결과에 무관하게 세탁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세탁기(1)의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들 과정 중 일부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일부 생략될 수도 있고, 또는 이외 다른 과정이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준 수위와 현재 수위의 비교 후 세탁 공정 단계(s2020 내지 s2023)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이용하여 설계 및 제작된 것일 수 있다.프로그램은 상술한 및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된 것일 수도 있고,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기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각종 함수나 정의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상술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나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테이프, 컴팩트 디스크(CD)나 디브이디(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기록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반도체 저장 장치 등 컴퓨터 등의 호출에 따라 실행되는 특정 프로그램을 저장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오직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상술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수정 및 변형하여 구현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 역시 상술한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일례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각 과정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 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균등물과 같은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상술한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결과를 획득할 수도 있으며, 이들 역시 상술한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해당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댁내 또는 산업 현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으므로 산업 상 이용 가능성이 있다.

Claims (15)

  1. 세탁조; 및
    상기 세탁조에 투입된 세탁물을 습포(濕布)인지 또는 건포(乾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기초로, 습포 무게 감지 또는 건포 무게 감지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세탁조와 별도로 세탁이 수행 가능한 보조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도어에 세탁수가 공급된 경우 상기 세탁조로 투입된 세탁물을 습포로 판단하고 습포 무게 감지를 이용하여 무게를 결정하는 세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세탁수 공급부는, 상기 세탁조에 투입된 세탁물이 습포로 판단된 경우, 판단 결과에 응하여 미리 정의된 수위까지 상기 세탁조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 바닥면에 설치된 펄 세이터(pulsator); 및
    상기 펄 세이터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세탁조에 미리 정의된 수위까지 급수가 수행되면 상기 펄 세이터를 적어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세탁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회전하는 상기 펄 세이터에 대한 세탁물의 마찰 부하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는 세탁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펄 세이터 또는 회전조와 연결된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 펄 세이터의 회전 속도 및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수의 수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는 세탁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전류의 크기에 대응하는 부하를 결정하고, 결정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는 세탁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도어에 대한 세탁수 공급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보조 도어에 세탁수가 공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세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조작에 따라서 상기 보조 도어에 대한 세탁수 공급 명령을 입력 받는 보조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보조 입력부의 조작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입력부의 조작 여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기 보조 도어에 세탁수가 공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세탁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도어의 용기에 세탁수가 공급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세탁조에 투입된 세탁물을 건포로 판단하고, 건포 무게 감지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는 세탁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조 바닥에 설치된 펄 세이터를 회전시켜, 상기 펄 세이터에 대한 포의 마찰 부하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세탁조의 회전조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조의 회전에 따른 회전 관성 또는 상기 회전조의 회전 중에 출력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는 세탁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물의 무게가 결정되고 결정된 세탁물의 무게에 따라 세탁 행정이 수행된 후,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물을 습포로 판단하고 습포 무게 감지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물의 무게를 다시 결정하는 세탁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세탁물의 무게에 따라서 세탁 행정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설정을 결정하는 세탁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 행정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설정은, 세탁조 내로의 세탁수 공급량, 상기 세탁조 또는 상기 세탁조 내부에 설치된 펄 세이터와 연결된 모터에 인가되는 전력,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 및 세탁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탁기.
  15. 세탁물이 투입되는 세탁조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에 투입된 세탁물이 습포인지 건포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세탁물이 습포인지 건포인지에 따라서 서로 상이한 방법으로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물의 무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PCT/KR2016/002561 2015-04-01 2016-03-15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WO2016159539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563,550 US10876242B2 (en) 2015-04-01 2016-03-15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680019565.1A CN107438683B (zh) 2015-04-01 2016-03-15 洗衣机以及洗衣机的控制方法
EP16773320.3A EP3279383B1 (en) 2015-04-01 2016-03-15 A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U2016241172A AU2016241172B2 (en) 2015-04-01 2016-03-15 A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7/133,539 US11459687B2 (en) 2015-04-01 2020-12-23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46033 2015-04-01
KR10-2015-0046033 2015-04-01
KR10-2015-0161803 2015-11-18
KR1020150161803A KR102439141B1 (ko) 2015-04-01 2015-11-18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5/563,550 A-371-Of-International US10876242B2 (en) 2015-04-01 2016-03-15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7/133,539 Continuation US11459687B2 (en) 2015-04-01 2020-12-23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59539A1 true WO2016159539A1 (ko) 2016-10-06

Family

ID=57007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2561 WO2016159539A1 (ko) 2015-04-01 2016-03-15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615953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26612A (zh) * 2017-06-29 2017-11-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洗干一体机的烘干判断方法、装置和洗干一体机
CN107447474A (zh) * 2017-08-02 2017-12-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烘干控制方法、装置、烘干机器、存储介质和处理器
CN109868609A (zh) * 2017-12-05 2019-06-11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洗衣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3195A (ja) * 1994-05-31 1995-12-12 Toshiba Corp 洗濯機乾燥機組合せ装置
KR19990016037A (ko) * 1997-08-12 1999-03-05 윤종용 세탁기의 보조 세탁장치
KR20130014058A (ko) * 2010-05-06 2013-02-0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세탁기
KR101466338B1 (ko) * 2008-07-08 2014-1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1504686B1 (ko) * 2012-10-09 2015-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3195A (ja) * 1994-05-31 1995-12-12 Toshiba Corp 洗濯機乾燥機組合せ装置
KR19990016037A (ko) * 1997-08-12 1999-03-05 윤종용 세탁기의 보조 세탁장치
KR101466338B1 (ko) * 2008-07-08 2014-1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130014058A (ko) * 2010-05-06 2013-02-0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세탁기
KR101504686B1 (ko) * 2012-10-09 2015-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동작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26612A (zh) * 2017-06-29 2017-11-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洗干一体机的烘干判断方法、装置和洗干一体机
CN107447474A (zh) * 2017-08-02 2017-12-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烘干控制方法、装置、烘干机器、存储介质和处理器
CN109868609A (zh) * 2017-12-05 2019-06-11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洗衣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43452A1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7217810A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U2018257543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8190488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1020816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068277A1 (en)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U2017409625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6159539A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WO2018199433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1172945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ntrol panel of the same
WO2022182119A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O2022182113A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O2015068990A1 (en)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22182112A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O2017131444A1 (ko) 세탁장치의 구동 유닛, 이를 포함하는 세탁장치 또는 트윈 세탁장치, 그리고 이의 제어방법
WO2023277344A1 (ko) 전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9009621A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WO2024034795A1 (ko) 필터장치 및 필터장치를 갖는 의류 처리 장치
AU2018341366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AU2018341361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WO2024005373A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WO2024019267A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WO2024005372A1 (ko) 세탁기
WO2024014675A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WO2024034792A1 (ko) 필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77332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241172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160315

Kind code of ref document: A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773320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563550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