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48418A2 - 화장실용 보면대 - Google Patents

화장실용 보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48418A2
WO2016148418A2 PCT/KR2016/002270 KR2016002270W WO2016148418A2 WO 2016148418 A2 WO2016148418 A2 WO 2016148418A2 KR 2016002270 W KR2016002270 W KR 2016002270W WO 2016148418 A2 WO2016148418 A2 WO 2016148418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upport
main body
toilet
gea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227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6148418A3 (ko
Inventor
강권중
Original Assignee
강권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권중 filed Critical 강권중
Priority to CN201680002754.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7076353B/zh
Publication of WO2016148418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48418A2/ko
Publication of WO2016148418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48418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troom for a toilet, and more particularly, having a reststand in a restroom to conveniently mount a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a tablet PC according to a user's necessity, as well as sitting on the toilet and looking at a toilet. It corrects poor posture of the user, and when not in use, it is related to the restroom for restroom which can be used without placing obstacles on the wall.
  • the toilet In general, as the environment of the toilet is much improved, the toilet is positioned as an independent rest space beyond the conventional space for simple bowel movement, and the situation for the efficient use of the toilet is also increasing.
  • the toilet of the toilet is replaced by a toilet seat sitting on the chair as if sitting on a chair and viewing the toilet.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131414 (Name: auxiliary table for the toilet, publication date: December 05, 2012) is disclosed as a prior document.
  • the prior art document consists of a book holder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and a configuration including a pair of leg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plate.
  • the auxiliary tabl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s a useful advantage in that it is free to sit on the toilet bowl and both hands are free to use the book or place various small terminals on the toilet as described above.
  • the auxiliary table has a disadvantage of occupying a place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toilet, the auxiliary table becomes an obstacle when using and when not in use or when the user stands up in the toilet, after finishing the toilet, and occupies the toilet. There is a downside to doing this.
  • the user is required to move the table, so compared to the music stand that is generally mounted on the floor, the configuration is different, but there is no big difference in the use part.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equipped with a music stand in the restroom to conveniently mount a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tablet PC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as well as the toilet Its purpose is to provide a restroom for the restroom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toilet while sitting on the toilet and use the stand not to interfere with traffic.
  • a support bracket connected to the support and the front end side of the support from the main body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is installed, the mounting plate for mounting the object from the support bracket is screwed In the music rest stand for toilet, which is connected and installed with adjustable angle
  • the support is formed in a plurality of nodes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nodes so as to be curved out from the top of the main body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ly connected to each other elastically coupled, the drive gear and the drive gear meshed with the gear portion of the support inside the main body
  • a driving motor for driving is installed, and is coupled to the driving motor and pad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iving motor so that the driving gear is in contact with the gear part of the support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 a guide protrusion is formed on one side and a spring supporting protrusion is formed on one side.
  • the fixed holder is formed, and the rail unit for guiding the guide protrusion of the fixing holder is provided, the motor mounting base provided with a spring support groove facing the spring support projection on one side of the inside, and both ends of the spring support projection and the spring support groove are located
  • An elastic part composed of a compression spring that elastically presses the fixing holder in one direction Is installed and the support has a locking step for supporting the take-off walking the final stand in the extended state is a guide portion is provided in the body having therei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 the restroom for restrooms is provided with a part of the rest rest body installed on the wall inside the restroom equipped with a restroom, and the user pulls out the support from the body by controlling the controller provided in the body and sits on the restroom.
  • the mounting plate coupled to the end side of the support can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eye level of the user, and the smartphone, tablet PC, book, etc. placed on the mounting plate can be viewed in a comfortable position. It guides the user to sit in a correct posture, and when not in use, accommodates the support on the main body side, and the mounting plate can be positioned as close to the wall as possible, providing an independent rest area inside the bathroom through the music stan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st of the present inventors toilet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plate and the connecting bracket of the music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from the support,
  •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a music 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elastic portion of the drive motor applied to the music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a), (b)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is drawn out through the drive motor side drive gear in Figure 4,
  •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mounting plate of the music 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by 90 degrees;
  • FIG. 7 to 9 are front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plate of the music 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quentially received.
  • the music stand 100 for the restroom is the same
  • a main body 110 partially embedded in a wall surface 1 adjacent to the toilet seat in the bathroom;
  • a control unit 112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 a support 120 that is elastically coupled and combined in a plurality of node shapes so as to emerge from the top of the main body 110 in a curved shape, and a gear portion 121 is formed at a longitudinal side thereof;
  • a drive gear G installed in the main body 110 and engaged with the gear part of the support 120 and a drive motor M for driving the drive gear;
  • An elastic part 140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10 and coupled to the driving motor M to elastically support the driving gear G in contact with the gear part 121 of the support 120;
  • a guide part 150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10 to receive the support 120;
  • a support bracket 160 connected to the front end side of the support 120 to be drawn out; It is composed of; a mounting plate 17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bracket 160.
  • the support 120 is drawn out sequentially in the same principle as the retractable multi-stage antenna, and on the contrary, the support constituting each node is hung on the inner side of the next support in the form of a gradient rather than the front. It is provided so as not to overlap, and the support 120 is located at the end is installed so as not to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guide portion 150 by the catching jaw 151 provided in the guide portion 150 inside the main body 110.
  • the resilient portion 140 is pad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driving motor (M), the guide protrusion 141a is formed on one side, the fixing holder 141 is formed with a spring support protrusion (141b) on one side, and the fixed holder A rail mounting portion 142a for guiding the guide protrusion 141a of 141 is provided, and a motor mounting stand 142 provided with a spring support groove 142b facing the spring support protrusion 141b on one side thereof. Both ends are positioned in the spring support protrusion 141b and the spring support groove 142b, and the compression spring 143 elastically presses the fixing holder 141 in one direction.
  • the elastic part 1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rive motor (G) drive gear (G) to the gear portion 121 of the support 120 to be able to draw out or accommodate the support of the several nodes sequentially It is.
  • the supporter connected to the support bracket 160 of the supporter 120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drive gear G of the driving motor M and the gear unit 121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e main body 110.
  • the drive gear is driven in a manner to lead and move to the next support so that the acceptance is made in a continuous drawing and vice versa in a manner in which the support gear is elastically closely fitted to the gear of the next support.
  • One side of the support 12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bracket 160 of the support 120, the screw fastener 180 is fastened through the support bracket 160 so that the angle of the support bracket 160 is made.
  • the support bracket 160 is formed with a first connection portion 161 having a coupling hole 161a, and an angle adjusting protrusion 161b is circumferentially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161a, and a support (
  • a second connecting portion 162 which is rotatable is formed from the 120, and a hinge piece 171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170, and a coupling hol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61 is formed in the hinge piece 171.
  • Coupling holes 171a coincident with the same line as 161a are formed, and angle adjusting grooves 171b are formed in a circumferential shape on one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171a to engage with the first connection part 161 to adjust the angle.
  • An angle fixing tool 190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61 and the hinge piece 171 so as to be fixed by screwing.
  • the angle adjusting protrusion 161b is in the shape of a triangular protrusion, and the angle adjusting groove 171b is formed in a circumferential arrangement of the triangular groove, and the angle adjustment is performed at an angle between them. It is to be done.
  • the angle fixing tool 190 is a screw shaft is coupled to the circular handle, the nut (N) is embedded in the hinge piece of the hinge piece 171 of the mounting plate 170, the end of the screw shaft is finally passed through The fastening is such tha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1 and the hinge piece 171 is tightly fixed.
  • reference numeral 111 denotes an entrance through which the support is drawn out and formed in the main body
  • reference numeral 170a denotes a separation prevention barrier that prevents an object placed on the mounting plat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late.
  • the music stand 100 installed on the wall 1 adjacent to the toilet seat according to a user's choice of sitting on the toilet seat provided in the toilet is placed on the user's book, smartphone, tablet PC, etc. while viewing the toilet. It can be used by placing it in the board 170.
  • the mounting plate 170 may be driven by driving the driving motor M located therein through the controller 112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 the drive gear (G) through the drive motor (M) is drawn out starting with the support 120 connected to the support bracket 160 of the support 120, where the sequential withdrawal of each support is the drive gear
  • the support 120 is made of a curved shape having a curvature as shown in the drawing to draw out the mounting plate 170 coupled with the support bracket 160 by the sequential drawing to a comfortable position that the user sitting on the toilet seat can see Let it be.
  • each support 120 is withdrawn while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drive gear is in close contact by the elastic portion.
  • the rail portion 142a of the motor mount 142 flows along the guide protrusion 141a of the fixed holder 141, which is a spring support protrusion 141b of the fixed holder 141 and a spring support of the motor mount 142.
  • the driving gear G is applied to the gear part 1210 of each support 120 by pressing the motor mounting stand 142 from the fixed holder 141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143 whose both ends are supported in the groove 142b.
  • the support 120 may be drawn out in an elastically engaged relationship.
  •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62 of the support bracket 160 is to adjust the angle of the mounting plate 170 to the fastening degree of the screw fastener 180 from the support 120, where the screw fastener 180
  • the angle of the mounting plate 170 can be adjusted by selecting from the horizontal to the vertical direction.
  • the support is overlapped to accommodate the main body 110 side, and the mounting plate 170 is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 By adjusting the angle of 162, it is possible to return to a position near the wall 1 as a whole.
  • the position of the mounting plate 170 By setting the position of the mounting plate 170 to a comfortable position for the user to view or manipulate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free both hands, reduce fatigue to a posture that can raise the waist, and prevent back pain and the like. have.
  • control unit 120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실용 보면대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에 구비되는 콘트롤부가 구비된 본체로부터 지지대 및 지지대의 선단측에 연결되는 받침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받침브라켓으로부터는 대상물을 올려놓기 위한 거치판이 나사체결구 각도조정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구성된 화장실용 보면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본체의 상부로부터 곡선형으로 출몰되도록 다수개의 마디 형태로 길이방향 측면에는 기어부가 형성되어 상호 신축가능하게 연결 조합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는 지지대의 기어부와 치합되는 구동기어 및 구동기어를 구동하는 구동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와 결합되어 지지대의 기어부에 구동기어가 접촉되어 탄력 지지되도록 구동모터 외측둘레에 덧대어지며, 일측에 가이드돌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스프링지지돌기가 형성된 고정홀더와, 상기 고정홀더의 가이드돌부를 안내하는 레일부가 마련되고, 내부 일측에 상기 스프링지지돌기와 마주하는 스프링지지홈이 마련된 모터설치대와, 상기 스프링지지돌기 및 스프링지지홈에 양단이 위치되어 고정홀더를 일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된 탄력부가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가 인출되어 신장된 상태에서 최종 지지대를 걸어 지지하는 걸림턱이 내부에 구비된 가이드부가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좌식변기가 설비된 화장실 내부의 벽면에 보면대 본체를 일부 매입 설치하고, 이용자가 본체에 구비된 콘트롤러를 통한 제어에 의해 본체로부터 지지대를 인출시켜 좌식변기에 앉아 용변을 보는 이용자의 눈높이에 맞추어 지지대의 단부측에 결합된 거치판을 이용자의 전방에 위치시킬 수 있고, 거치판에 안치시킨 스마트폰, 태블릿 PC, 책 등을 편안한 위치에서 볼 수 있기 때문에 좌식변기에 앉은 이용자가 바른 자세로 유지될 수 있게 유도하여 주며, 미사용시에는 본체측으로 지지대를 수용시키고, 거치판은 최대한 벽 측에 근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어 보면대를 통한 화장실 내부의 독립된 휴식 공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장실용 보면대
본 발명은 화장실용 보면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화장실 내에 보면대를 구비하여 이용자의 필요성에 따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단말기를 거치시켜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함은 물론, 변기에 앉아 용변을 보는 이용자의 불량한 자세를 바로잡아 주며, 미사용시에는 벽면 측에 보면대를 위치시켜 통행에 방해가 되지 않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화장실용 보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의 환경이 많이 개선됨에 따라 화장실이 종래의 단순한 배변을 위한 공간을 넘어 독립된 휴식 공간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으며, 화장실의 효율적인 활용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화장실에서 시간을 효율적으로 보내기 위해 또는 배변을 보는 동안의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 좌변기에 앉아 신문이나 책을 보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화장실에서 책을 볼 때, 사용자는 한 손 또는 양손에 책을 들고 용변을 보면서 책을 읽게 되어 불편한 자세에서 용변을 보게 되며, 그로 인해 등, 목, 척추 등에 무리가 가게 되고, 시력에 안 좋은 영향을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은 대부분의 자세는 양 무릎 위에 양팔의 팔꿈치를 대고 양손은 스마트폰, 테블릿 PC, 책 등을 잡고 보는 이유에서 자연스럽게 허리를 구부리는 저자세에서
또한 용변 후 뒷 처리를 할 때, 책을 거치시킬 만한 마땅한 곳이 없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화장실에서 용변을 볼 때 바지 주머니에 넣어 두었던 지갑, 휴대폰 또는 스마트 폰 등을 꺼내어 두는데 이를 마땅히 보관해 둘 만한 곳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생활 방식과 건축물의 구조가 서구식으로 변화됨에 따라 화장실의 변기는 엉덩이를 의자에 앉듯이 걸터앉아 용변을 보는 좌변기로 대체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좌변기에 앉아 용변을 보는 자세는 치골직장근(恥骨直腸筋)을 수축시켜 항문 직장(直腸)의 배변 통로를 구부러지게 함으로써 배변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게 한다.
그래서, 좌변기에 앉아 용변을 보면, 장내 대변이 완전히 배출되지 않아 용변을 보고 나서도 장내에 남아 있는 잔변으로 개운하지 못한 느낌을 받으며, 아랫배에 힘을 가하기 어렵기 때문에 변비가 있는 사람의 경우 용변을 보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려 변비가 더 심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31414호(명칭: 화장실용 보조 테이블, 공개일자: 2012년 12월 05일)가 선행문헌으로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은 지지판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책 거치대 및 지지판의 하부에서 상기 지지판과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다리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보조 테이블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화장실 내에서 책을 보거나 각종 소형 단말기 등을 거치시켜 놓고 활용함에 있어, 화장실 변기에 앉은 바른 자세, 양손이 자유롭다는 유용한 장점은 있다.
하지만 상기 보조 테이블은 화장실의 실내 공간에 자리를 차지하는 단점이 있고, 사용시와 미사용시 혹은 이용자가 변기에서 일어서는 동작, 용변을 마치고 뒷처리를 하는 동작에서는 보조 테이블이 장해물이 되고, 화장실 내에 자리 차지를 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이용자가 테이블을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마련이어서, 일반적으로 바닥에 거치시켜 사용하는 보면대와 비교하여 보면, 그 구성은 각기 다르나 사용부분에서 큰 차이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화장실 내에 보면대를 구비하여 이용자의 필요성에 따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단말기를 거치시켜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함은 물론, 변기에 앉아 용변을 보는 이용자의 불량한 자세를 바로잡아 주며, 미사용시에는 벽면 측에 보면대를 위치시켜 통행에 방해가 되지 않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화장실용 보면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에 구비되는 콘트롤부가 구비된 본체로부터 지지대 및 지지대의 선단측에 연결되는 받침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받침브라켓으로부터는 대상물을 올려놓기 위한 거치판이 나사체결구 각도조정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구성된 화장실용 보면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본체의 상부로부터 곡선형으로 출몰되도록 다수개의 마디 형태로 길이방향 측면에는 기어부가 형성되어 상호 신축가능하게 연결 조합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는 지지대의 기어부와 치합되는 구동기어 및 구동기어를 구동하는 구동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와 결합되어 지지대의 기어부에 구동기어가 접촉되어 탄력 지지되도록 구동모터 외측둘레에 덧대어지며, 일측에 가이드돌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스프링지지돌기가 형성된 고정홀더와, 상기 고정홀더의 가이드돌부를 안내하는 레일부가 마련되고, 내부 일측에 상기 스프링지지돌기와 마주하는 스프링지지홈이 마련된 모터설치대와, 상기 스프링지지돌기 및 스프링지지홈에 양단이 위치되어 고정홀더를 일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된 탄력부가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가 인출되어 신장된 상태에서 최종 지지대를 걸어 지지하는 걸림턱이 내부에 구비된 가이드부가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용 보면대는, 좌식변기가 설비된 화장실 내부의 벽면에 보면대 본체를 일부 매입 설치하고, 이용자가 본체에 구비된 콘트롤러를 통한 제어에 의해 본체로부터 지지대를 인출시켜 좌식변기에 앉아 용변을 보는 이용자의 눈높이에 맞추어 지지대의 단부측에 결합된 거치판을 이용자의 전방에 위치시킬 수 있고, 거치판에 안치시킨 스마트폰, 태블릿 PC, 책 등을 편안한 위치에서 볼 수 있기 때문에 좌식변기에 앉은 이용자가 바른 자세로 유지될 수 있게 유도하여 주며, 미사용시에는 본체측으로 지지대를 수용시키고, 거치판은 최대한 벽 측에 근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어 보면대를 통한 화장실 내부의 독립된 휴식 공간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화장실용 보면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면대의 거치판 및 연결브라켓을 지지대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면대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면대에 적용된 구동모터의 탄력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의 (a),(b)는 도 4에서 구동모터측 구동기어를 통해 지지대가 인출되는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면대의 거치판이 90도 변경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면대의 거치판이 순차적으로 수납되는 상태를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화장실용 보면대(100)는,
화장실 내의 좌식변기와 근접하는 벽면(1)에 일부 매입 설치되는 본체(110) 및; 본체(110)에 구비되는 콘트롤부(112)와; 본체(110)의 상부로부터 곡선형으로 출몰되도록 다수개의 마디 형태로 신축가능하게 연결 조합되고, 길이방향 측면에는 기어부(121)가 형성된 지지대(120)와;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어 지지대(120)의 기어부와 치합되는 구동기어(G) 및 구동기어를 구동하는 구동모터(M)와;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고 구동모터(M)와 결합되어 지지대(120)의 기어부(121)에 구동기어(G)가 접촉되도록 탄력 지지하는 탄력부(140)와;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어 지지대(120)를 수용하는 가이드부(150)와; 인출되는 지지대(120)의 선단측과 연결되는 받침브라켓(160)과; 상기 받침브라켓(160)에 연결되는 거치판(17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20)는 출몰식 다단 안테나와 같은 원리로서 순차적으로 인출되고, 그 반대로 수용되는 형태로서 각 마디를 이루는 지지대는 말단 부분은 전방보다 구배진 형태로 다음 지지대의 내측에 걸려 더 이상 인출되지 않는 형태로 중첩되게 구비되며, 최종에 위치한 지지대(120)는 상기 본체(110) 내부의 가이드부(150) 내에 마련된 걸림턱(151)에 걸려 가이드부(150)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게 설치된다.
상기 탄력부(140)는 구동모터(M) 외측둘레에 덧대어지며, 일측에 가이드돌부(141a)가 형성되고, 일측에 스프링지지돌기(141b)가 형성된 고정홀더(141)와, 상기 고정홀더(141)의 가이드돌부(141a)를 안내하는 레일부(142a)가 마련되고, 내부 일측에 상기 스프링지지돌기(141b)와 마주하는 스프링지지홈(142b)이 마련된 모터설치대(142)와, 상기 스프링지지돌기(141b) 및 스프링지지홈(142b)에 양단이 위치되어 고정홀더(141)를 일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압축스프링(143)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탄력부(140)는 구동모터(M)측 구동기어(G)를 지지대(120)의 기어부(121)에 밀착하여 여러 마디로 된 지지대를 순차적으로 인출시키거나 수용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지지대(120) 중 받침브라켓(160)과 연결되는 지지대는 본체(110) 내부에서 상기 구동모터(M)의 구동기어(G)와 기어부(121)가 치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지지대가 인출되면서, 다음 지지대를 이끌고 진출하는 방식으로 상기 구동기어는 다음 지지대의 기어부에 탄력적으로 밀착 치합되는 방식으로 연속 인출과 그 반대로 수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지지대(120) 중 받침브라켓(160)과 연결되는 지지대(120)의 일측에는 나사체결구(180)가 받침브라켓(160)에 관통 체결되어 받침브라켓(160)의 각도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받침브라켓(160)에는 결합공(161a)을 갖는 제1연결부(161)가 형성되되, 결합공(161a)을 기준으로 일면에 원주상으로 각도 조절돌기(161b)가 배열 형성되고, 지지대(120)로부터 회동가능한 제2연결부(162)가 형성되며, 상기 거치판(170)의 저면 상에는 힌지편(171)이 형성되고, 힌지편(171)에는 상기 제1연결부(161)의 결합공(161a)과 동일선상으로 일치되는 결합공(171a)이 형성되고, 결합공(171a)을 기준으로 일면에 원주상으로 각도 조절홈(171b)이 배열 형성되어 제1연결부(161)와 맞물려 각도조정되도록 상기 제1연결부(161)와 힌지편(171)을 관통하여 나사체결로서 고정하는 각도고정구(190)가 구비된다.
첨부된 도 2에서 발췌된 바와 같이, 상기 각도 조절돌기(161b)는 삼각 돌부의 형상이고, 각도 조절홈(171b)은 삼각 요홈이 원주상에 배열 형성된 것으로 상호 이들의 치합되는 각도에서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각도고정구(190)는 원형의 손잡이에 나사축이 결합된 것이며, 상기 거치판(170)의 힌지편(171) 중 상기 나사축의 단부가 최종 관통되는 힌지편 내에는 너트(N)가 매입되어 체결이 제1연결부(161)와 힌지편(171)의 밀착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11은 본체에 형성되어 지지대가 인출되는 출입구를 나타내고, 부호 170a는 거치판의 전면에 형성되어 안치되는 대상물이 거치판으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화장실용 보면대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장실 실내에 마련된 좌식변기에 앉아 용변을 보는 이용자 중 선택에 따라 상기 좌식변기와 근접한 벽면(1)에 설치된 보면대(100)는 용변을 보는 도중 이용자의 책,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거치판(170)에 안치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거치판(170)은 여러 마디로 지지대를 본체(110)로부터 인출시켜 주기 위해서는 본체(110)에 마련된 컨트롤러(112)를 통해 내부에 위치된 구동모터(M)를 작동시켜 인출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M)를 통한 구동기어(G)는 지지대(120)중 받침브라켓(160)과 연결된 지지대(120)를 시작으로 인출이 이루어지지며, 여기서 각 지지대의 순차적인 인출은 상기 구동기어(G)에 대해 치합된 지지대(120)의 기어부(121)를 이동시킴으로써, 출몰식 다단 안테나와 같은 형태로 지지대를 인출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지지대(120)는 도면에서와 같이 곡률을 갖는 곡선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순차적인 인출에 의해 받침브라켓(160)과 결합된 거치판(170)을 좌식변기에 앉은 이용자가 볼 수 있는 편안한 위치까지 인출시켜 준다.
상기 각각의 지지대(120)의 인출은 탄력부에 의해 구동기어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인출이 이루어진다.
고정홀더(141)의 가이드돌부(141a)를 따라 모터설치대(142)의 레일부(142a)가 유동되는데, 이는 고정홀더(141)의 스프링지지돌기(141b)와 모터설치대(142)의 스프링지지홈(142b)에 양단이 지지된 압축스프링(143)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고정홀더(141)로부터 모터설치대(142)를 가압하여 각 지지대(120)의 기어부(1210에 구동기어(G)가 탄력적으로 치합된 관계로 상기 지지대(120)를 인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인출된 거치판(170)은 상기와 같이 책,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편안한 각도에서 안치시킬 수 있게 상기 받침브라켓(160)으로부터 각도고정구(190)를 나사체결하는 방식으로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브라켓(160)의 제2연결부(162)는 지지대(120)로부터 나사체결구(180)의 체결 정도로 거치판(170)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여기서 나사체결구(180)에 의한 거치판(170)의 각도는 가로에서 세로방향으로 선택하여 조정할 수 있다.
이용자가 용변을 마치거나, 보면대(100)의 거치판(170) 사용이 필요없는 경우라면, 상기와 반대로 지지대를 중첩시켜 본체(110)측으로 수용하고, 거치판(170)은 상기 제2연결부(162)의 각도조정을 통해 전반적으로 벽면(1)에 근접하는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거치판(170)의 위치를 이용자가 보거나 조작하기에 편안한 위치로 세팅시켜 줌으로써, 이용자는 양손이 자유롭게 되고, 허리를 세울 수 있는 자세로 피로를 줄이고, 허리 통증 등 유발을 방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보면대 110: 본체
112: 콘트롤부 120: 지지대
140: 탄력부 141: 고정홀더
142: 모터설치대 143: 압축스프링
150: 가이드부 160: 받침브라켓
170, 170': 거치판 M: 구동모터

Claims (1)

  1. 본체(110)에 구비되는 콘트롤부(112)가 구비된 본체(110)로부터 지지대 및 지지대(120)의 선단측에 연결되는 받침브라켓(160)이 설치되고, 상기 받침브라켓(160)으로부터는 대상물을 올려놓기 위한 거치판(170)이 나사체결구(180) 각도조정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구성된 화장실용 보면대(100)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20)는 본체(110)의 상부로부터 곡선형으로 출몰되도록 다수개의 마디 형태로 길이방향 측면에는 기어부(121)가 형성되어 상호 신축가능하게 연결 조합되고,
    상기 본체(110) 내부에는 지지대(120)의 기어부(121)와 치합되는 구동기어(G) 및 구동기어를 구동하는 구동모터(M)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M)와 결합되어 지지대(120)의 기어부(121)에 구동기어(G)가 접촉되어 탄력 지지되도록 구동모터(M) 외측둘레에 덧대어지며, 일측에 가이드돌부(141a)가 형성되고, 일측에 스프링지지돌기(141b)가 형성된 고정홀더(141)와, 상기 고정홀더(141)의 가이드돌부(141a)를 안내하는 레일부(142a)가 마련되고, 내부 일측에 상기 스프링지지돌기(141b)와 마주하는 스프링지지홈(142b)이 마련된 모터설치대(142)와, 상기 스프링지지돌기(141b) 및 스프링지지홈(142b)에 양단이 위치되어 고정홀더(141)를 일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압축스프링(143)으로 구성된 탄력부(140)가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120)가 인출되어 신장된 상태에서 최종 지지대를 걸어 지지하는 걸림턱(151)이 내부에 구비된 가이드부(150)가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보면대.
PCT/KR2016/002270 2015-03-19 2016-03-07 화장실용 보면대 WO2016148418A2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80002754.8A CN107076353B (zh) 2015-03-19 2016-03-07 用于卫生间的支撑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048 2015-03-19
KR1020150038048A KR101545833B1 (ko) 2015-03-19 2015-03-19 화장실용 보면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48418A2 true WO2016148418A2 (ko) 2016-09-22
WO2016148418A3 WO2016148418A3 (ko) 2016-11-10

Family

ID=54061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2270 WO2016148418A2 (ko) 2015-03-19 2016-03-07 화장실용 보면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45833B1 (ko)
CN (1) CN107076353B (ko)
WO (1) WO201614841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08459A (zh) * 2021-03-01 2021-12-17 李能辉 一种展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48326B (zh) * 2017-12-14 2020-10-09 苏州睿澎诚科技有限公司 用于网络通讯设备的安装装置
CN110425422B (zh) * 2019-07-03 2022-02-22 中国商用飞机有限责任公司 一种可调式固定支架
KR102238972B1 (ko) * 2019-07-30 2021-04-09 노홍길 사물 출몰장치
CN111131679B (zh) * 2020-01-02 2021-07-20 福州米鱼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摄像装置
CN112998549A (zh) * 2021-02-20 2021-06-22 刘士明 一种搁物架及其现代家居系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938Y1 (ko) * 1998-04-23 2003-10-17 김철재 낚시대 받침구의 각도조절장치
JP3931870B2 (ja) * 2003-09-30 2007-06-20 東陶機器株式会社 ミラーキャビネット及び洗面化粧台
KR20050107261A (ko) * 2004-05-27 2005-11-11 이규원 책상이 부착된 양변기
GB0624525D0 (en) * 2006-12-08 2007-01-17 Amos Thomas M Reading frame for bath
KR20080070404A (ko) * 2007-01-26 2008-07-30 김대성 다기능 독서대
DE202010013117U1 (de) * 2010-12-14 2011-02-24 Satek Gmbh Stützklappgriff
KR20120087354A (ko) * 2011-01-28 2012-08-07 이종성 변기 독서대
KR101264353B1 (ko) * 2011-07-20 2013-05-14 원성희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08459A (zh) * 2021-03-01 2021-12-17 李能辉 一种展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833B1 (ko) 2015-08-19
CN107076353A (zh) 2017-08-18
WO2016148418A3 (ko) 2016-11-10
CN107076353B (zh) 2018-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48418A2 (ko) 화장실용 보면대
WO2009125949A2 (ko) 욕조를 구비한 침대
WO2018101704A2 (ko) 자세 변경에 따라 변형 가능한 허리 받침용 의자
US20100243011A1 (en) Walking aid combined with a toilet seat
WO2014092390A1 (ko) 척추 교정 장치
WO2013002453A1 (ko) 책상 부착형 자세교정용 완충쿠션
WO2019009493A1 (ko) 유아용 캐리어
WO2013125907A1 (ko) 책상용 가슴받이
WO2017007135A1 (ko)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US6381772B1 (en) Shower support system
WO2022197014A1 (ko) 개별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
US20170043204A1 (en) Physical Therapy Device and Methods for Use Thereof
CN209361258U (zh) 一种实用性高的医疗用复健辅助设备
WO2015108357A1 (ko) 요가 의자
WO2017111284A1 (ko) 관절 재활치료기
ITRM20130606A1 (it) Dispositivo di sostegno ascellare per cabine doccia.
WO2011087284A2 (ko) 접이식 마사지 체어 베드
WO2013085214A1 (ko) 좌판 슬라이드 틸팅 의자
GB2575465A (en) A shower seat
EP2561849A1 (en) Multifunctional locomotor
CN208564061U (zh) 一种有可折叠墙体的光波房
CN209865187U (zh) 一种用于康复训练的医疗护理装置
WO2013162154A1 (ko) 좌변기용 변좌
WO2021075637A1 (ko)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
WO2011126337A2 (ko)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76517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76517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