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29910A1 - 캐릭터 메시지 서비스에 기반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캐릭터 메시지 서비스에 기반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29910A1
WO2016129910A1 PCT/KR2016/001344 KR2016001344W WO2016129910A1 WO 2016129910 A1 WO2016129910 A1 WO 2016129910A1 KR 2016001344 W KR2016001344 W KR 2016001344W WO 2016129910 A1 WO2016129910 A1 WO 201612991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user
conversation
user terminal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134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서용창
Original Assignee
서용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용창 filed Critical 서용창
Publication of WO201612991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2991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4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3D image data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n advertisement service based on a character message service and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vertisement service method for charging an advertiser using a character message by checking the number of times a character is transmitted.
  • the message service In the past, the message service generally displayed the contents of the conversation simply through text, images, and video. However, with the emergence of various kinds of message services, there is a demand for a function that can be more interesting to users in addition to the message-specific functions. In addition, the subject of the message service needs a way to generate a separate revenue through the messag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ssage service method that can induce interest of a user by providing a conversation mode for expressing a conversation content through a 3D character for advertisem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ssage service method that enables a user to communicate through a unique character by allowing a user to replace emotions, actions, and accessories of a 3D character for advertisement through selection of a character sticker.
  • a message service method includes: checking a number of times a character is displayed as a conversation content in a message window of a message application between a calling user and a receiving user; And charging the advertiser using the character based on the checked number, wherein the character may be expressed in a 3D character form according to augmented reality or hologram in a message window of a calling user and a receiving user.
  • Message service method performed by the user terminal comprises the steps of identifying the conversation mode associated with the method of representing the conversation content; And displaying the chat contents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in the chat room according to the chat mode, wherein the chat mode does not use the first chat mode and the 3D character using the 3D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 the displaying may include providing an interface including a character sticker associated with a visual effect to be applied to the 3D character in the first conversation mode or a time applied to a 2D character associated with the 3D character in the second conversation mode.
  • An interface including a character sticker related to the effect may be provided.
  • the displaying may include applying a visual effec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haracter sticker to the 3D character in the chat room in the first conversation mode, and displaying the selected character sticker in the chat room in the second conversation mode.
  • the character sticker may be added or updated based 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image information of an actual character provided offline, selected by a user among character stickers provided through an interface, or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sticker in a chat window. It may be selected when the user inputs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numbers, and symbols.
  • the word may be composed of one letter or a plurality of letters, and may be a Korean or foreign language (English, Japanese, Chinese, etc.).
  • the character sticker associated with the emotion of joy may be stored in a match with a keyword such as "joy”, “funny", “ ⁇ ”, or the like.
  • the step may identify the switched conversation mode.
  • the contents of the conversation may be displayed in a chat room having a virtual screen or a real world screen set in advance or determin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 the message servic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oring conversation contents in a chat room wh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leave the chat room; Displaying a 3D character associated with a user terminal and an identifier for a review according to the review request of the conversation content; And if the identifier is selected, reproducing the conversation contents in chronological order according to the first conversation mode.
  • the message service method includes displaying a 3D character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or the counterpart terminal according to a profile view request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or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controlling the 3D character to describ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or the counterpart terminal or to express preset emotions or actions.
  • Message application for a message servic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identifying a conversation mode, stored in the medium of the user terminal and executed by the processor of the user terminal, the conversation method related to the representation of the conversation content; And displaying the chat contents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in the chat room according to the chat mode, wherein the chat mode does not use the first chat mode and the 3D character using the 3D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 the displaying may include providing an interface including a character sticker associated with a visual effect to be applied to the 3D character in the first conversation mode or a time applied to a 2D character associated with the 3D character in the second conversation mode.
  • An interface including a character sticker related to the effect may be provided.
  • the displaying may include applying a visual effec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haracter sticker to the 3D character in the chat room in the first conversation mode, and displaying the selected character sticker in the chat room in the second conversation mode.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witching between a first conversation mode and a second conversation mode, wherein the identifying may identify the switched conversation mode.
  • the contents of the conversation may be displayed in a chat room having a virtual screen or a real world screen set in advance or determin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 the message application wh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leave the chat room, storing the conversation contents in the chat room; Displaying a 3D character associated with a user terminal and an identifier for a review according to the review request of the conversation content; If the identifier is selecte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producing the conversation contents in chronological order according to the first conversation mode.
  • the message application displaying a 3D character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or the counterpart terminal according to a profile view request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or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controlling the 3D character to describ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or the counterpart terminal or to express preset emotions or actions.
  • a user terminal includes a processor for identifying a conversation mode associated with a method of presenting a conversation content; And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chat contents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in a chat room according to the chat mode, wherein the chat mode uses a first chat mode and a 3D character using 3D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a second conversation mode that does not.
  • the first chat mode and the second chat mode may be switched between each other.
  • Message service method performed by the user terminal comprises the steps of: displaying a 3D character in a chat room in the background of the real-world screen in response to the request to enter the chat room; And displaying the conversation contents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3D character.
  • the displaying of the 3D character may include displaying the 3D character in the chat room when a predetermined object or movement of the object is detected on the real world screen.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witching the chat mode, and the displaying may include switching the chat mode. Accordingly, the conversation contents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can be displayed without using the 3D character.
  • the displaying may include providing an interface including a character sticker associated with a visual effect to be applied to the 3D character.
  • the character sticker may be added or updated based 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image information of an actual character provided offline, selected by a user among character stickers provided through an interface, or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sticker in a chat window. It may be selected when the user inputs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numbers, and symbols.
  • the message application for the message service method is stored in the medium of the user terminal and executed by the processor of the user terminal, the 3D character in the chat room in the background of the real world screen in response to the entry request to the chat room Displaying; And displaying the conversation contents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3D character.
  • an interest of the user may be induced by providing a dialogue mode for expressing the dialogue contents through the 3D character.
  • the emotion, motion, accessories, etc. of the 3D character can be replaced by selecting a character sticker, so that the user can communicate through a unique character.
  • FIG.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lecting a conversation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versation mode for representing a 3D character using a mark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playing conversation contents using a 3D charac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applying a visual effect to a 3D charac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6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process of switching a second conversation mode from a first conversation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witching from a second conversation mode to a first convers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viewing a conversation cont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user terminal 101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103 may exchange contents of a conversation through a chat room generated by the message server 102.
  • the user terminal 101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103 may include a medium capable of storing a processor, a display, and a message application.
  • the user terminal 101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103 may include all types of electronic device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versation contents through a network.
  • when there is only one counterpart terminal 103 it may mean 1: 1 conversation, an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counterpart terminals 103, it may mean 1: N conversation (group chat).
  • the user terminal 101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103 may be a calling terminal or a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conversation contents.
  • a description will be given focusing on the user terminal 101, and the description of the user terminal 101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103.
  • the user terminal 101 may identify a conversation mode related to a method of expressing a conversation content. For example, when a user of the user terminal 101 selects a conversation mode through an interface or starts a conversation for the first time in the user terminal 101, the conversation mode may be set in advance. Then, the user terminal 101 can identify the conversation mode selected by the user or the preset conversation mode.
  • the conversation mode may mean an expression method indicating which character to express the conversation content.
  • the conversation mode may include a first conversation mode using a 3D character or a second conversation mode not using a 3D character.
  • the 3D character is a basic character represented in a 3D form and corresponds to the user terminal 101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103, respectively.
  • the user terminal 101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103 may designate a 3D character in advance before talking through a chat room.
  • the second conversation mode refers to a conventional conversation method that does not use a 3D character.
  • the second conversation mode may basically mean a conversation method in which a content such as text, an image, a video, or the like may be attached and displayed in a situation where the 3D character is not displayed.
  • the background screen of the chat room in which the chat contents are displayed may be a real world screen or a virtual screen.
  • the real-world screen is a real-time screen shot by the user terminal 101 in real time through the camera, or a screen in which the user terminal 101 reproduces a still image or a video photographing a place or a specific object that exists in reality. It may include.
  • the user terminal 101 when the user terminal 101 is playing a screen, regardless of the current time and the current place of the user terminal 101, the user terminal 101 may be a still image or a still image of actually photographing a specific place or a specific object. You can play the composed slide or video. For example, even if the user terminal 101 plays a video photographing the Statue of Liberty in New York on July 30, 2014 in Seoul on August 20, 2014, the video may be a real world screen.
  • the virtual screen may include a screen on which the user terminal 101 reproduces a still image or a video produced for a virtual world.
  • the virtual screen may mean a content that is separately produced, not an actual object such as a game screen or an animation.
  • the background screen of the chat room is a real-world screen
  • the 3D character may be displayed corresponding to the object.
  • the object may be a marker for displaying a 3D character in augmented reality.
  • the message service method may be performed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a marker.
  • the 3D character when displaying a 3D character, if a flat surface such as a desk or a floor is a real world screen or a virtual screen, the 3D character may be displayed as it is originally stored. However, in the case of a real world screen or a virtual screen that is not a flat surface such as a desk or a floor, additional accessories such as "wings" may be displayed on the 3D character to display the 3D character in the form of floating in the air. That is, the user terminal 101 displays the 3D character originally store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of the chat room in the first conversation mode or displays additional accessories such as "wings" together with the 3D character in which space the 3D character is located. I can express it.
  • the user terminal 101 may additionally display the flat object at the position of the 3D character.
  • the user terminal 101 may display the conversation contents of the user terminal 101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103 in the chat room according to the conversation mode. For example, when the first conversation mode is selected, the 3D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3D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counterpart terminal may express conversation contents with each other so that the characters may have a conversation. The user terminal 101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103 may change the 3D character upon request.
  • the first conversation mode and the second conversation mode may be switch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while the contents of the conversation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in the chat room. Then, the user terminal 101 may display the contents of the conversation in the chat room using the character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witched conversation mode.
  • the 3D character described in FIG. 1 may be directly registered with the message server 102 or may be registered with the message server 102 through the character server 104.
  • the user terminal 101 may be provided with a basic character representing a preset basic accessory, basic operation, or basic emotion.
  • the basic character corresponds to the 3D character.
  • the user terminal 101 may purchase a character sticker related to a visual effect to be applied to the 3D character in order to indicate an accessory, an action, or an emotion to the basic character.
  • These visual effects relate to accessories, actions or emotions.
  • Character stickers related to accessories refer to contents that can change the basic character, such as clothes, shoes, jewelry, body parts (eyes, nose, mouth, chin, eyebrows, etc.) of the basic character. 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101 purchases and selects a character sticker related to an accessory called "clothes", the user terminal 101 may apply a visual effect related to "clothes" to the basic character.
  • the character sticker related to an action refers to a content that allows a basic character to perform an action other than the basic action for a preset time. 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101 purchases and selects a character sticker such as "running", the user terminal 101 may apply a visual effect related to "running" to the basic character for a preset time.
  • the character sticker associated with the emotion refers to content that allows the basic character to perform other emotions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ddition to the basic emotion. 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101 purchases and executes a character sticker of “joy”, the user terminal 101 may apply a visual effect related to “joy” to the basic character for a preset time.
  • the character stickers related to the accessory, the action, or the emotion may exist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may be present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 the accessory and the emotion may be present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the accessory and the emotion, such as a character sticker expressing the emotion when the accessory is worn on the basic character in the 3D form.
  • a character that wears an accessory or expresses an action may exist separately in the basic character in the 3D form.
  •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lecting a conversation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the conversation mode may be selected in various situations.
  • the friend's profile 201 may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2.
  • the user may select a 3D conversation meaning a first conversation mode or a 2D conversation meaning a second conversation mode in the profile 201. If the user selects the 3D conversation, the user terminal 101 may display the conversation content through the 3D character in the chat room 202 according to the first conversation mode.
  • the user terminal 101 can display the chat content through text, images, video, etc. without using the 3D character in the chat room 203 according to the second chat mode.
  • the user terminal 101 may provide an identifier displayed in the chat room to allow the user to switch the conversation mode.
  • the identifier may refer to an interface such as an icon or a button for providing the user terminal 101 with a command to switch between the first conversation mode and the second conversation mode.
  • the conversation mode is switched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user applied to the user terminal 101 itself or the operation of the user applied to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101 displaying a chat room.
  • the conversation mode may be switched.
  • the conversation mode may be switched when an operation related to the switching of the conversation mode is performed.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versation mode for representing a 3D character using a mark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the screen 301 of FIG. 3 shows a situation in which a message including the contents of the conversation of the counterpart terminal 103 is delivered to the user terminal 101.
  • the user terminal 101 may be switched to the conversation mode displaying the real world screen.
  • a marker such as an object preset by the user
  • a 3D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101 or the counterpart terminal 103 may be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marker.
  • the 3D character may be displayed in the chat room like augmented reality.
  • the user terminal 101 when selecting a message including the contents of the conversation of the other terminal 103 on the screen 301 of FIG. 3, the user terminal 101 is a first conversation mode for displaying the 3D character or a first that does not display the 3D character 2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receiving selection of one of the conversation modes.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01 displays a "3D conversation button" for selecting a first conversation mode displaying a 3D character and a "2D conversation button" for selecting a second conversation mode not displaying a 3D character. This allows the user to select a particular conversation mode.
  • the user terminal 101 when the identified conversation mode is the first conversation mode, corresponds to the marker when the marker is displayed on the real world screen.
  • 3D characters may be displayed in the chat room according to augmented reality.
  • the 3D character may be displayed in the chat room according to augmented reality regardless of the marker.
  • the user terminal 101 may be preset in addition to the real world screen, or the virtual screen selected by the user may be determined as the background screen of the chat room.
  • the 3D character when the user requests to enter the chat room as shown in the screen 302 of FIG. 3, the 3D character may be displayed through augmented reality.
  • the user terminal 101 may control to turn on the camera.
  • the 3D character can be expressed in augmented reality by displaying the 3D character in a chat room having a background of a real world screen.
  • the content of the convers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101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103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3D character of the user terminal 101 and the 3D character of the counterpart terminal 103 expressed through augmented reality.
  • the user terminal 101 may display a 3D character in a chat room.
  • the object may serve as a marker for displaying a 3D character through augmented reality.
  • a predetermined object is displayed on the real world screen such as a business card placed on a desk as shown in the screen 302 of FIG. 3, a 3D character may be displayed corresponding to the object.
  • the 3D character may be displayed even if the object or the movement of the object is present or absent.
  • the user terminal 101 displays the 3D character in the chat room according to augmented reality based on a situation in which a marker exists or based on a situation in which there is no marker,
  • the conversation contents of the user terminal 101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103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3D character.
  • the user terminal 101 may be able to switch to the conversation mode not using the 3D character at the request of the user.
  • the user terminal 101 may switch from the conversation mode not using the 3D character back to the conversation mode using the 3D character according to augmented reality.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playing conversation contents using a 3D charac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the 3D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101 and the 3D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counterpart terminal 103 may be displayed in the chat room according to the first conversation mode.
  • the conversation contents input by the user terminal 101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103 may be displayed corresponding to each 3D character.
  • the dialogue content may be displayed through a speech bubble connected to the 3D character.
  • the speech bubble may disappear over time.
  • the speech bubble is continuously displayed even after a time elapses so that the user terminal 101 or the counterpart terminal 103 may check the conversation contents.
  • the 3D character may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such as shaking a hand, winking, or moving a head.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applying a visual effect to a 3D charac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3D character displayed in the chat room in the first conversation mode may be a basic character set by the user.
  • the basic character may mean a 3D character expressing a preset emotion or motion.
  • an interface for selecting a character sticker related to an emotion, an action, or a visual effect of an accessory may be provided to a basic character in a part of a chat room.
  • the interface may be displayed by overlapping a part of the chat room.
  • the interface may be provided by selecting a button or icon displayed in the chat room.
  • the character sticker may be associated with a visual effect to be applied to the 3D character which is the basic character.
  • a visual effect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sticker may be applied to the basic character as illustrated in the screen 502 of FIG. 5.
  • Character stickers may be transferable and giftable.
  • the character sticker purchased by the user terminal 101 may be transferr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103 or a third party's terminal in the form of a transfer or a gift.
  • the character sticker may be continuously added or updated according to the purchase or activity of the user online or offline.
  • the purchase or activity of the user offlin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For example, suppose you are running an event that provides a dinosaur character to a customer who enters a theme park associated with a dinosaur or purchases a hamburger at a store in the theme park.
  • a user may receive a real dinosaur character as a gift.
  • various areas such as admission tickets purchased to enter the theme park, pamphlets of the theme park received when entering the theme park, structures installed in the designated places of the theme park, receipts for the purchase of hamburgers, separate coupons provided with the hamburgers, and wrapping paper for the hamburgers.
  •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ial number
  • image information image related to the dinosaur character may be displayed. Su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image information may also be displayed on a dinosaur character.
  • the user register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image information on the page provided by the message server 102 or the character server 104, the character associated with the dinosaur character or dinosaur character in the interface provided through the chat room of the user's message application
  • the sticker may be displayed.
  • the user may access a page provided by the message server 102 or the character server 104 through the user terminal 101 or other terminal.
  • a character sticker associated with the dinosaur character or dinosaur character is automatically displayed on the interface provided through the chat room of the user's messaging application. Can be displayed.
  • the user when a user performs online activities such as joining a specific online site, purchasing a product, or participating in an event, the user may provi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video information related to a character previously set in the corresponding site. have. Then, the user can regist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image information in the message server 102 or the character server 104 to use the character sticker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image information in the message application.
  • Such a character sticker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urrent conversation mode.
  • the user terminal 101 may apply a visual effect related to the character sticker selected by the user to the basic character.
  • the user terminal 101 may display the character sticker selected by the user in the chat room as it is.
  • the character sticker selected by the user represents a result in which the visual effect is already reflected on the 2D character associated with the 3D character.
  • the character sticker may be generated in the character server 104 and registered in the message server 102.
  • the user may purchase a character sticker related to visual effects such as accessories, emotions, and actions through a purchase page provided to the message server 102.
  • the purchased character stickers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for each user.
  • the counterpart terminal 103 If the user terminal 101 purchases the character sticker A and then applies it to the basic character, even if the counterpart terminal 103 does not purchase the character sticker A, the counterpart terminal 103 generates a visual effect related to the character sticker A. Applied to the 3D character of the user terminal 101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chat room.
  • Character stickers can be used to represent visual effects applied to 3D characters and visual effects applied to 2D characters associated with the 3D character.
  • the character sticker purchased by the user may be shared in the first conversation mode and the second conversation mode.
  • the character sticker representing the visual effect related to the accessory may be semi-permanently applied to the basic character.
  • a character sticker representing a visual effect related to an emotion or motion may be applied to the basic character in a temporary form.
  • the character sticker applied in the first conversation mode may be stored as a history in the order of time. Then, when switching from the first chat mode to the second chat mode, the character sticker used in the first chat mode may be displayed in the chat room that is switched to the second chat mode as it is in the order of time.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 FIG. 5 a process of selecting a character sticker directly from an interface including a character sticker in order to apply a visual effect related to a desired emotion or motion to the 3D character will be describe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hen the user inputs a preset word, symbol, or number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sticker in the chat window, the user terminal 101 may enter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word, symbol or number.
  • the sticker may be determined, and a visual effect related to an emotion or an action may be applied to the 3D character to be expressed as a character sticker.
  • the user terminal 101 may enter the user input.
  • a character sticker corresponding to " ⁇ ” may express a feeling of joy or an action related to joy to the 3D character in the chat room.
  • the character sticker is selected by the user from among the character stickers provided through the interface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words, numbers, or symbols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stickers in the chat window. It can be selected if the user enters it. Then, the user terminal 101 may apply a visual effect such as emotion or mo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haracter sticker to the 3D character and display the same in the chat room.
  • FIG. 6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process of switching a second conversation mode from a first conversation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a process of displaying a conversation content in a chat room through a 3D character according to the first conversation mode is illustrated.
  • an identifier (2D button") associated with the transition from the first chat mode to the second chat mode may be displayed in the chat room.
  • the chat room may be switched from the first conversation mode to the second conversation mode as shown in the screen 602 of FIG. 6.
  • the content of the conversation is displayed through the 3D character in the chat room.
  • the counterpart terminal 103 may switch the conversation mode or may not switch the conversation mode.
  • the counterpart terminal 103 when the user terminal 101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103 both request to switch to the second chat mode from the user terminal 101 while talking in the first chat mode, the counterpart terminal 103 performs the first c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mode or to switch to the second conversation mode in response to the switching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101.
  • the visual effect applied through the character sticker to the 3D-type basic character in the first conversation mode may be similarly applied to the second conversation mode.
  • the character sticker selected in the first conversation mode may be displayed in the order of time as it is in the second conversation mode.
  • the character sticker means a result that the visual effect is already applied to the 2D character associated with the 3D character.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witching from a second conversation mode to a first convers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an identifier (“3D button”) related to the transition from the second conversation mode to the first conversation mode may be displayed in the chat room.
  • the user terminal 101 may display the conversation content through the 3D character according to the first conversation mode.
  • the visual effect of the character sticker selected in the second conversation mode may not be applied to the 3D character displayed in the first conversation mode.
  • the dialogue contents displayed in the second dialogue mode may be displayed through a speech bubble of the 3D character in history form in chronological order.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viewing a conversation cont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the user terminal 101 may store the conversation contents in the chat room.
  • the exit from the chat room may mean a case where the message application is terminated, another application is executed, or the chat room is terminated.
  • the user may request to review the contents of the conversation exchanged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103.
  • an identifier for viewing again (“story view”) may be displayed in association with the 3D character.
  • the conversation contents exchanged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103 may be reproduced in chronological order through the 3D character according to the first conversation mode.
  • the 3D character means a 3D characte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user terminal 101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103 related to the conversation.
  • visual effect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haracter sticker at a specific time may also be applied to the 3D character and displayed.
  • the user may transmit a profile view request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101 or the counterpart terminal 103. Then, the user terminal 101 may display the 3D character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101 or the counterpart terminal 103 that requested to view the profile. Thereafter, the 3D character may be controlled to describ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1 or the counterpart terminal 103 or to express a preset emotion or action.
  • 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캐릭터에 기초한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캐릭터를 이용하는 메시지 서비스 방법은 발신 사용자와 수신 사용자 간에 캐릭터가 메시지의 대화 내용으로 포함되어 전송된 횟수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된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캐릭터를 이용한 광고주에게 과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캐릭터는, 발신 사용자 및 수신 사용자의 메시지 창에 증강 현실에 따라 3D 캐릭터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캐릭터 메시지 서비스에 기반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본 발명은 캐릭터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캐릭터가 전송된 횟수를 체크하여 캐릭터 메시지를 이용한 광고주에게 과금하는 광고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메시지 서비스는 단순히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을 통해 대화 내용을 평면적으로만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다양한 종류의 메시지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메시지 고유의 기능 이외에 사용자에게 보다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기능이 요청되고 있는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메시지 서비스를 운영하는 주체의 입장에서도, 메시지를 통해 별도의 수익 창출을 할 수 있는 방법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광고를 위한 3D 캐릭터를 통해 대화 내용을 표현하는 대화 모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광고를 위한 3D 캐릭터의 감정, 동작, 액세서리 등을 캐릭터 스티커의 선택을 통해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만의 고유한 캐릭터를 통해 대화할 수 있는 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메시지 서비스 방법은 발신 사용자와 수신 사용자 간에 캐릭터가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 창에 대화 내용으로 포함되어 표시된 횟수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된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캐릭터를 이용한 광고주에게 과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캐릭터는, 발신 사용자 및 수신 사용자의 메시지 창에 증강 현실 또는 홀로그램 형식에 따라 3D 캐릭터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메시지 서비스 방법은 대화 내용의 표현 방법과 관련된 대화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대화 모드에 따라 사용자 단말 및 상대방 단말의 대화 내용을 채팅방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화 모드는, 사용자 단말 및 상대방 단말에 대응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하는 제1 대화 모드 및 3D 캐릭터를 이용하지 않는 제2 대화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제1 대화 모드인 경우, 상기 3D 캐릭터에 적용할 시각 효과와 관련된 캐릭터 스티커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제2 대화 모드인 경우, 상기 3D 캐릭터와 관련된 2D 캐릭터에 적용된 시각 효과와 관련된 캐릭터 스티커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제1 대화 모드인 경우, 선택된 캐릭터 스티커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를 채팅방에 있는 3D 캐릭터에 적용하고, 제2 대화 모드인 경우, 선택된 캐릭터 스티커를 채팅방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캐릭터 스티커는, 오프라인에서 제공되는 실제 캐릭터의 식별 정보 또는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되거나 또는 업데이트되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캐릭터 스티커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또는 채팅창에 캐릭터 스티커에 대응하는 단어, 숫자, 또는 기호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사용자가 입력하는 경우에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단어는 1글자 또는 복수의 글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한글 또는 외국어(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쁨이라는 감정과 관련된 캐릭터 스티커는 "기쁨", "funny", "^^", 등과 같은 키워드에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채팅방에 표시된 대화 모드의 전환과 관련된 식별자가 선택되거나 또는 대화 모드의 전환과 관련된 사용자의 동작이 인식되면, 제1 대화 모드와 제2 대화 모드 간에 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전환된 대화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대화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미리 설정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된 가상 화면 또는 실세계 화면을 배경으로 하는 채팅방에 대화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메시지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단말 및 상대방 단말이 채팅방에서 퇴장하는 경우, 채팅방에서의 대화 내용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대화 내용의 다시 보기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3D 캐릭터 및 다시 보기를 위한 식별자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자를 선택하면, 대화 내용을 제1 대화 모드에 따라 시간 순서로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서비스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프로필 보기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3D 캐릭터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3D 캐릭터가 사용자 단말 또는 상대방 단말의 개인 정보를 설명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감정 또는 동작을 표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위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의 매체에 저장되어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대화 내용의 표현 방법과 관련된 대화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대화 모드에 따라 사용자 단말 및 상대방 단말의 대화 내용을 채팅방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화 모드는, 사용자 단말 및 상대방 단말에 대응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하는 제1 대화 모드 및 3D 캐릭터를 이용하지 않는 제2 대화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제1 대화 모드인 경우, 상기 3D 캐릭터에 적용할 시각 효과와 관련된 캐릭터 스티커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제2 대화 모드인 경우, 상기 3D 캐릭터와 관련된 2D 캐릭터에 적용된 시각 효과와 관련된 캐릭터 스티커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제1 대화 모드인 경우, 선택된 캐릭터 스티커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를 채팅방에 있는 3D 캐릭터에 적용하고, 제2 대화 모드인 경우, 선택된 캐릭터 스티커를 채팅방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채팅방에 표시된 식별자가 선택되면, 제1 대화 모드와 제2 대화 모드 간에 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전환된 대화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대화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미리 설정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된 가상 화면 또는 실세계 화면을 배경으로 하는 채팅방에 대화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 및 상대방 단말이 채팅방에서 퇴장하는 경우, 채팅방에서의 대화 내용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대화 내용의 다시 보기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3D 캐릭터 및 다시 보기를 위한 식별자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를 선택하면, 대화 내용을 제1 대화 모드에 따라 시간 순서로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프로필 보기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3D 캐릭터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3D 캐릭터가 사용자 단말 또는 상대방 단말의 개인 정보를 설명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감정 또는 동작을 표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대화 내용의 표현 방법과 관련된 대화 모드를 식별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대화 모드에 따라 사용자 단말 및 상대방 단말의 대화 내용을 채팅방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대화 모드는, 사용자 단말 및 상대방 단말에 대응하는 3D 캐릭터를 이용하는 제1 대화 모드 및 3D 캐릭터를 이용하지 않는 제2 대화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팅방에 표시된 대화 모드의 전환과 관련된 식별자가 선택되거나 또는 대화 모드의 전환과 관련된 사용자의 동작이 인식되면, 제1 대화 모드와 제2 대화 모드 간에 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메시지 서비스 방법은 채팅방으로의 입장 요청에 대응하여 실세계 화면을 배경으로 하는 채팅방에 3D 캐릭터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대방 단말의 대화 내용을 상기 3D 캐릭터에 대응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D 캐릭터를 표시하는 단계는, 실세계 화면에 미리 지정한 오브젝트 또는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채팅방에 3D 캐릭터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채팅방에 표시된 대화 모드의 전환과 관련된 식별자가 선택되거나 또는 대화 모드의 전환과 관련된 사용자의 동작이 인식되면, 대화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전환된 대화 모드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대방 단말의 대화 내용을 3D 캐릭터를 이용하지 않고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3D 캐릭터에 적용할 시각 효과와 관련된 캐릭터 스티커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캐릭터 스티커는, 오프라인에서 제공되는 실제 캐릭터의 식별 정보 또는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되거나 또는 업데이트되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캐릭터 스티커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또는 채팅창에 캐릭터 스티커에 대응하는 단어, 숫자, 또는 기호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사용자가 입력하는 경우에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위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의 매체에 저장되어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채팅방으로의 입장 요청에 대응하여 실세계 화면을 배경으로 하는 채팅방에 3D 캐릭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대방 단말의 대화 내용을 상기 3D 캐릭터에 대응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3D 캐릭터를 통해 대화 내용을 표현하는 대화 모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3D 캐릭터의 감정, 동작, 액세서리 등을 캐릭터 스티커의 선택을 통해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만의 고유한 캐릭터를 통해 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마커를 이용하여 3D 캐릭터를 표현하는 대화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3D 캐릭터를 이용하여 대화 내용을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3D 캐릭터에 시각 효과를 적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대화 모드에서 제2 대화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대화 모드에서 제1 대화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라 대화 내용을 다시 보기할 수 있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101)과 상대방 단말(103)은 메시지 서버(102)에서 생성한 채팅방을 통해 대화 내용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1)과 상대방 단말(103)은 프로세서와 디스플레이,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1)과 상대방 단말(103)은 네트워크를 통해 대화 내용을 송수신할 수 있는 어떤 형태의 전자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대방 단말(103)이 1개인 경우, 1:1 대화를 의미하고, 상대방 단말(103)이 복수인 경우 1:N대화 (그룹 채팅)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1)과 상대방 단말(103)은 대화 내용의 전개에 따라 발신 단말 또는 수신 단말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101)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사용자 단말(101)의 설명은 상대방 단말(103)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1)은 대화 내용의 표현 방법과 관련된 대화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101)의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화 모드를 선택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101)에서 처음 대화를 시작할 때 대화 모드를 미리 설정할 수도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1)은 사용자가 선택한 대화 모드 또는 미리 설정된 대화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대화 모드는 대화 내용을 어떠한 캐릭터로 표현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표현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대화 모드는 3D 캐릭터를 이용하는 제1 대화 모드, 또는 3D 캐릭터를 이용하지 않는 제2 대화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3D 캐릭터는 3D 형태로 표현되는 기본 캐릭터로서, 사용자 단말(101)과 상대방 단말(103)에 각각 대응된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101)과 상대방 단말(103)은 채팅방을 통해 대화하기 전에 미리 3D 캐릭터를 지정할 수 있다.
제2 대화 모드는 3D 캐릭터를 이용하지 않는 종래의 대화 방식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제2 대화 모드는 기본적으로 3D 캐릭터가 표시되지 않은 상황에서 텍스트,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의 컨텐츠를 첨부하여 표시할 수 있는 대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제1 대화 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하더라도, 대화 내용이 표시되는 채팅방의 배경 화면은 실세계 화면 또는 가상 화면이 될 수 있다. 일례로, 실세계 화면은 사용자 단말(101)이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실시간 화면이거나, 또는 현실에 존재하는 장소나 특정 사물을 촬영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사용자 단말(101)이 재생하는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1)이 재생하는 화면인 경우, 사용자 단말(101)의 현재 시간, 현재 장소와 무관하게 사용자 단말(101)은 실제로 특정 장소나 특정 사물을 촬영한 정지 영상, 정지 영상으로 구성된 슬라이드, 또는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14년 7월 30일에 뉴욕의 자유 여신상을 촬영한 동영상을 사용자 단말(101)이 2014년 8월 20일에 서울에서 재생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동영상은 실세계 화면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가상 화면은 가상 세계를 대상으로 제작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사용자 단말(101)이 재생하는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화면은 게임 화면이나 애니메이션 등과 같이 실제로 존재하는 대상이 아닌 별도로 제작된 형태의 컨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채팅방의 배경 화면이 실세계 화면인 경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오브젝트가 화면에 표시되면 오브젝트에 대응하여 3D 캐릭터가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오브젝트가 증강 현실에서 3D 캐릭터를 표시하기 위한 마커가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르면, 마커가 존재와 무관하게 메시지 서비스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3D 캐릭터를 표시할 때 책상, 바닥과 같은 평평한 지면이 실세계 화면이거나 또는 가상 화면인 경우, 3D 캐릭터는 원래 저장된 형태 그대로 표시될 수 있다. 하지만, 책상, 바닥과 같은 평평한 지면인 아닌 실세계 화면이나 또는 가상 화면인 경우, 3D 캐릭터에 "날개"와 같은 추가 액세서리가 표시되어 3D 캐릭터가 공중에 떠 있는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1)은 제1 대화 모드에서 채팅방의 배경 화면에 따라 원래 저장된 3D 캐릭터를 그대로 표시하거나 또는 "날개"와 같은 추가 액세서리를 3D 캐릭터와 함께 표시함으로써 3D 캐릭터가 어떠한 공간에 있는지를 표현할 수 있다.
또는, 평평한 지면이 아닌 실세계 화면이나 가상 화면에 3D 캐릭터를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1)은 3D 캐릭터의 위치에 평평한 오브젝트를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1)은 대화 모드에 따라 사용자 단말(101) 및 상대방 단말(103)의 대화 내용을 채팅방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대화 모드가 선택된 경우,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3D 캐릭터와 상대방 단말에 대응하는 3D 캐릭터가 서로 대화 내용을 표현함으로써 캐릭터 간에 대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1)과 상대방 단말(103)은 요청에 따라 3D 캐릭터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채팅방에서 대화 내용을 주고받는 도중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 대화 모드와 제2 대화 모드가 서로 전환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1)은 전환된 대화 모드에 따라 결정된 캐릭터를 이용하여 채팅방에서 대화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에서 설명하는 3D 캐릭터는 메시지 서버(102)에 직접 등록되거나 또는 캐릭터 서버(104)를 통해 메시지 서버(102)에 등록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1)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기본 액세서리, 기본 동작 또는 기본 감정을 표현하는 기본 캐릭터가 제공될 수 있다. 기본 캐릭터는 3D 캐릭터에 대응한다.
다만, 기본 캐릭터에 액세서리, 동작 또는 감정을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자 단말(101)은 3D 캐릭터에 적용할 시각 효과와 관련된 캐릭터 스티커를 구매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효과는 액세서리, 동작 또는 감정과 관련된다.
액세서리와 관련된 캐릭터 스티커는 기본 캐릭터의 옷, 신발, 장신구, 신체 부위(눈, 코, 입, 턱, 눈썹 등) 등과 같이 기본 캐릭터를 변경시킬 수 있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1)이 "옷"이라는 액세서리와 관련된 캐릭터 스티커를 구매하여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1)은 "옷"과 관련된 시각 효과를 기본 캐릭터에 적용할 수 있다.
동작과 관련된 관련된 캐릭터 스티커는 기본 캐릭터가 기본 동작 이외에 다른 동작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1)이 "달리기"와 같은 캐릭터 스티커를 구매하여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1)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달리기"와 관련된 시각 효과를 기본 캐릭터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감정과 관련된 캐릭터 스티커는 기본 캐릭터가 기본 감정 이외에 다른 감정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1)이 "기쁨"이라는 캐릭터 스티커를 구매하여 실행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1)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기쁨"과 관련된 시각 효과를 기본 캐릭터에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액세서리, 동작, 또는 감정과 관련된 캐릭터 스티커는 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하거나 또는 서로 조합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형태의 기본 캐릭터에 액세서리가 착용된 상황에서 감정을 표현하는 캐릭터 스티커와 같이 액세서리와 감정이 조합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또는, 3D 형태의 기본 캐릭터에 액세서리를 착용하거나 또는 동작을 표현하는 캐릭터가 구분되어 존재할 수도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대화 모드는 다양한 상황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101)에서 복수의 친구 리스트가 표시된 이후에 친구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친구가 선택되면, 도 2와 같이 친구의 프로필(201)이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프로필(201)에서 제1 대화 모드를 의미하는 3D 대화를 선택하거나 또는 제2 대화 모드를 의미하는 2D 대화를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3D 대화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1)은 제1 대화 모드에 따른 채팅방(202)에서 3D 캐릭터를 통해 대화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2D 대화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1)은 제2 대화 모드에 따른 채팅방(203)에서 3D 캐릭터를 이용하지 않고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을 통해 대화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대화 내용이 어느 정도 송수신된 상황에서는, 사용자 단말(101)은 채팅방에 표시된 식별자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대화 모드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식별자는 제1 대화 모드와 제2 대화 모드가 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명령을 사용자 단말(101)에 제공하기 위한 아이콘, 버튼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대화 내용이 어느 정도 송수신된 상황에서, 사용자 단말(101) 자체에 적용된 사용자의 동작 또는 채팅방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101)의 디스플레이에 적용된 사용자의 동작에 기초하여 대화 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1)의 주변을 반복적으로 두드리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101)을 흔드는 등 대화 모드의 전환과 관련된 동작이 이루어지면 대화 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1)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채팅방을 드래그하거나 또는 스와이핑하는 경우, 대화 모드의 전환과 관련된 동작이 이루어지면 대화 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마커를 이용하여 3D 캐릭터를 표현하는 대화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화면(301)은 상대방 단말(103)의 대화 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101)에 전달된 상황을 나타낸다. 만약, 사용자가 대화 내용을 선택하면, 도 3 의 화면(302)과 같이 사용자 단말(101)은 실세계 화면을 표시하는 대화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01)이 표시하는 실세계 화면에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오브젝트와 같은 마커가 표시된 경우, 마커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101) 또는 상대방 단말(103)에 대응하는 3D 캐릭터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3D 캐릭터는 증강 현실과 같이 채팅방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3의 화면(301)에서 상대방 단말(103)의 대화 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1)은 3D 캐릭터를 표시하는 제1 대화 모드 또는 3D 캐릭터를 표시하지 않는 제2 대화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대화 모드를 선택할 것인지를 선택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1)은 3D 캐릭터를 표시하는 제1 대화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3D 대화 버튼" 및 3D 캐릭터를 표시하지 않는 제2 대화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2D 대화 버튼"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 대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3의 화면(302)과 달리 사용자 단말(101)은 식별된 대화 모드가 제1 대화 모드인 경우, 실세계 화면에 마커가 표시되는 경우 마커에 대응하여 증강 현실에 따라 채팅방에 3D 캐릭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실세계 화면에 마커가 표시되지 않더라도 마커와 무관하게 증강 현실에 따라 채팅방에 3D 캐릭터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1)이 실세계 화면 이외에 미리 설정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가상 화면이 채팅방의 배경 화면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3의 화면(302)과 같이 사용자가 채팅방으로 입장 요청하면, 기본적으로 증강현실을 통해 3D 캐릭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채팅방으로 입장 요청하면, 사용자 단말(101)은 카메라를 온(ON)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실세계 화면을 배경으로 하는 채팅방에 3D 캐릭터를 표시함으로써, 3D 캐릭터를 증강 현실로 표현할 수 있다. 그러면, 증강 현실을 통해 표현된 사용자 단말(101)의 3D 캐릭터와 상대방 단말(103)의 3D 캐릭터를 통해 사용자 단말(101)과 상대방 단말(103) 간의 대화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실세계 화면에 미리 지정한 오브젝트 또는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1)은 채팅방에 3D 캐릭터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는 증강현실을 통해 3D 캐릭터를 표시하기 위한 마커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의 화면(302)과 같이 책상에 놓여진 명함 등과 같이 미리 지정된 오브젝트가 실세계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 오브젝트에 대응하여 3D 캐릭터가 표시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브젝트나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존재하거나 또는 존재하지 않아도 3D 캐릭터가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채팅방에 입장하면 사용자 단말(101)은 상황에 따라 마커가 존재하는 상황을 기반으로 하는 증강 현실 또는 마커가 없는 상황을 기반으로 하는 증강 현실에 따라 3D 캐릭터를 채팅방에 표시하고, 3D 캐릭터를 통해 사용자 단말(101)과 상대방 단말(103)의 대화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기본적으로 증강 현실에 따라 3D 캐릭터를 통해 대화 내용을 표시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 단말(101)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3D 캐릭터를 이용하지 않는 대화 모드로 전환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101)은 3D 캐릭터를 이용하지 않는 대화 모드에서 다시 증강 현실에 따라 3D 캐릭터를 이용하는 대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3D 캐릭터를 이용하여 대화 내용을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 대화 모드에 따라 사용자 단말(101)에 대응하는 3D 캐릭터와 상대방 단말(103)에 대응하는 3D 캐릭터가 채팅방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1) 및 상대방 단말(103)에서 입력한 대화 내용은 각각의 3D 캐릭터에 대응하여 표시될 수 있다.
도 4에서 대화 내용은 3D 캐릭터와 연결된 말풍선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말풍선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사라질 수 있다. 또는, 말풍선은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계속 표시되어 사용자 단말(101)이나 상대방 단말(103)이 대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대화 내용이 표시될 때마다 3D 캐릭터는 손을 흔들거나, 윙크를 하거나 또는 머리를 움직이는 등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3D 캐릭터에 시각 효과를 적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화면(501)을 참고하면, 제1 대화 모드에서 채팅방에 표시되는 3D 캐릭터는 사용자가 설정한 기본 캐릭터일 수 있다. 기본 캐릭터는 미리 설정된 감정 또는 동작을 표현하는 3D 캐릭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5의 화면(501)과 같이, 채팅방의 일부 영역에 기본 캐릭터에 감정, 동작 또는 액세서리의 시각 효과와 관련된 캐릭터 스티커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는 채팅방의 일부 영역을 오버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채팅방에 표시된 버튼 또는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캐릭터 스티커는 기본 캐릭터인 3D 캐릭터에 적용할 시각 효과와 관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캐릭터 스티커를 선택하면, 도 5의 화면(502)과 같이 캐릭터 스티커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가 기본 캐릭터에 적용되어 표현될 수 있다.
캐릭터 스티커는 양도 및 선물하기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1)이 구매한 캐릭터 스티커는 상대방 단말(103) 또는 제3자의 단말에 양도하거나 또는 선물하기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캐릭터 스티커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의 사용자의 구매 또는 활동에 따라 계속적으로 추가되거나 또는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오프라인 상의 사용자의 구매 또는 활동을 예시로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공룡과 관련된 테마 파크에 입장하거나 또는 테마 파크에 있는 매장에서 햄버거를 구매하는 고객에게 공룡 캐릭터를 제공하는 이벤트를 시행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만약, 사용자가 테마 파크에 입장하거나 또는 매장에서 햄버거를 구매하면 실제의 공룡 캐릭터를 선물로 받을 수 있다. 또한, 테마 파크에 입장하기 위해 구매한 입장권, 입장할 때 받았던 테마 파크의 팜플렛, 테마 파크의 지정된 장소에 설치된 구조물, 햄버거의 구매 영수증, 햄버거와 제공되는 별도의 쿠폰, 햄버거의 포장지 등 다양한 영역에 공룡 캐릭터와 관련된 식별 정보(시리얼 넘버), 공룡 캐릭터와 관련된 영상 정보(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식별 정보 또는 영상 정보는 공룡 캐릭터에도 표시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메시지 서버(102) 또는 캐릭터 서버(104)에서 제공하는 페이지에 식별 정보 또는 영상 정보를 등록하는 경우, 사용자의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의 채팅방을 통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에 공룡 캐릭터 또는 공룡 캐릭터와 관련된 캐릭터 스티커가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식별 정보와 영상 정보를 등록하기 위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1) 또는 기타 단말을 통해 메시지 서버(102) 또는 캐릭터 서버(104)에서 제공하는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테마 파크에 입장하거나 또는 햄버거를 구매하면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아이디 또는 전화 번호를 등록하면, 자동으로 사용자의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의 채팅방을 통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에 공룡 캐릭터 또는 공룡 캐릭터와 관련된 캐릭터 스티커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온라인 상의 특정 사이트에 가입을 하거나, 상품을 구매하거나 또는 이벤트에 참여하는 등 사용자가 온라인 상에서 활동을 하는 경우, 해당 사이트에서 미리 설정한 캐릭터와 관련된 식별 정보 또는 영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식별 정보나 영상 정보를 메시지 서버(102) 또는 캐릭터 서버(104)에 등록함으로써 식별 정보나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캐릭터와 관련된 캐릭터 스티커를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캐릭터 스티커는 현재의 대화 모드에 따라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화면(501)과 같이 현재의 대화 모드가 제1 대화 모드인 경우, 사용자 단말(101)은 사용자가 선택한 캐릭터 스티커와 관련된 시각 효과를 기본 캐릭터에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의 대화 모드가 제2 대화 모드인 경우, 사용자 단말(101)은 사용자가 선택한 캐릭터 스티커를 그대로 채팅방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2 대화 모드인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캐릭터 스티커는 3D 캐릭터와 관련된 2D 캐릭터에 이미 시각 효과가 반영된 결과를 나타낸다.
캐릭터 스티커는 캐릭터 서버(104)에서 생성되어 메시지 서버(102)에 등록될 수 있다. 사용자는 메시지 서버(102)에 제공하는 구매 페이지를 통해 액세서리, 감정, 동작과 같은 시각 효과와 관련된 캐릭터 스티커를 구매할 수 있다. 사용자마다 구매한 캐릭터 스티커가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101)이 캐릭터 스티커 A를 구매한 후 기본 캐릭터에 적용하는 경우, 상대방 단말(103)이 캐릭터 스티커 A를 구매하지 않았더라도 상대방 단말(103)은 캐릭터 스티커 A와 관련된 시각 효과를 사용자 단말(101)의 3D 캐릭터에 적용하여 채팅방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캐릭터 스티커는 3D 캐릭터에 적용할 시각 효과 및 3D 캐릭터와 관련된 2D 캐릭터에 적용된 시각 효과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가 구매한 캐릭터 스티커는 제1 대화 모드 및 제2 대화 모드에서 공유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대화 모드에서 캐릭터 스티커를 적용하는 경우, 액세서리와 관련된 시각 효과를 나타내는 캐릭터 스티커는 반영구적으로 기본 캐릭터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감정 또는 동작과 관련된 시각 효과를 나타내는 캐릭터 스티커는 일시적인 형태로 기본 캐릭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대화 모드에서 적용된 캐릭터 스티커는 시간의 순서에 따라 히스토리로 저장될 수 있다. 그러면, 제1 대화 모드에서 제2 대화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제1 대화 모드에서 사용되었된 캐릭터 스티커는 시간의 순서에 따라 그대로 제2 대화 모드로 전환된 채팅방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의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감정 또는 동작과 관련된 시각 효과를 3D 캐릭터에 적용하기 위해, 캐릭터 스티커를 포함하고 있는 인터페이스에서 직접 캐릭터 스티커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경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캐릭터 스티커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단어, 기호, 숫자 등을 채팅창에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1)은 입력된 단어, 기호, 숫자에 대응하는 캐릭터 스티커가 결정되어 캐릭터 스티커로 표현하고자 감정 또는 동작과 관련된 시각 효과를 3D 캐릭터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라고 입력하는 경우, "^^"가 기쁨과 관련된 캐릭터 스티커에 맵핑되어 사용자 단말(101) 또는 메신저 서버 등에 등록되어 있다면 사용자 단말(101)은 사용자가 입력한 "^^"에 대응하는 캐릭터 스티커가 표현하고자 하는 기쁨이라는 감정 또는 기쁨과 관련된 동작을 3D 캐릭터에 적용하여 채팅방에 표시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캐릭터 스티커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캐릭터 스티커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또는 채팅창에 캐릭터 스티커에 대응하는 단어, 숫자, 또는 기호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사용자가 입력하는 경우에 선택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1)은 선택된 캐릭터 스티커에 대응하는 감정 또는 동작 등의 시각 효과를 3D 캐릭터에 적용하여 채팅방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대화 모드에서 제2 대화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의 화면(601)을 참고하면, 제1 대화 모드에 따라 3D 캐릭터를 통해 채팅방에서 대화 내용을 표시하는 과정이 도시된다. 이 때, 채팅방에서 제1 대화 모드에서 제2 대화 모드로의 전환과 관련된 식별자 ("2D 버튼")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해당 식별자를 선택하면, 도 6의 화면(602)과 같이 채팅방은 제1 대화 모드에서 제2 대화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6의 화면(601)의 경우 채팅방에서 3D 캐릭터를 통해 대화 내용을 표시하였지만, 도 6의 화면(602)의 경우, 채팅방에서 3D 캐릭터를 이용하지 않고 텍스트,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을 통해 대화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101)이 대화 모드를 전환 요청한 경우, 상대방 단말(103)은 대화 모드를 전환하거나 또는 대화 모드를 전환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1)과 상대방 단말(103)이 모두 제1 대화 모드로 대화하는 도중에 사용자 단말(101)에서 제2 대화 모드로 전환 요청하는 경우, 상대방 단말(103)은 제1 대화 모드를 유지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101)에서의 전환 요청에 대응하여 제2 대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화면(602)과 같이, 제1 대화 모드에서 3D 형태의 기본 캐릭터에 캐릭터 스티커를 통해 적용되었던 시각 효과는 제2 대화 모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대화 모드에서 선택된 캐릭터 스티커는 제2 대화 모드에서 그대로 시간 순서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제2 대화 모드의 경우, 캐릭터 스티커는 3D 캐릭터와 관련된 2D 캐릭터에 이미 시각 효과가 적용된 결과를 의미한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대화 모드에서 제1 대화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의 화면(701)을 참고하면, 채팅방에 제2 대화 모드에서 제1 대화 모드로의 전환과 관련된 식별자 ("3D 버튼")가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식별자를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101)은 제1 대화 모드에 따라 3D 캐릭터를 통해 대화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2 대화 모드에서 선택된 캐릭터 스티커의 시각 효과는 제1 대화 모드에서 표시되는 3D 캐릭터에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제2 대화 모드에서 표시된 대화 내용은 시간 순서에 따라 히스토리 형태로 3D 캐릭터의 말풍선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라 대화 내용을 다시 보기할 수 있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101)과 상대방 단말(103)이 채팅방에서 퇴장하면, 사용자 단말(101)은 채팅방에서의 대화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채팅방에서 퇴장한다는 의미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거나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거나 또는 채팅방을 종료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상대방 단말(103)과 주고받았던 대화 내용의 다시 보기 요청을 할 수 있다. 그러면, 도 8과 같이 다시 보기를 위한 식별자("이야기 보기")가 3D 캐릭터와 연관하여 표시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가 식별자를 선택하면, 상대방 단말(103)과 주고받았던 대화 내용이 제1 대화 모드에 따라 3D 캐릭터를 통해 시간 순서로 재생될 수 있다. 여기서, 3D 캐릭터는 대화 내용과 관련된 사용자 단말(101) 및 상대방 단말(103) 각각에 대응하는 3D 캐릭터를 의미한다. 그리고, 대화 내용이 재생되면서, 특정 시간에서 선택된 캐릭터 스티커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도 함께 3D 캐릭터에 적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1) 또는 상대방 단말(103)과 관련된 프로필 보기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1)은 프로필 보기 요청한 사용자 단말(101) 또는 상대방 단말(103)과 관련된 3D 캐릭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 후, 3D 캐릭터는 사용자 단말(101) 또는 상대방 단말(103)의 개인 정보를 설명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감정 또는 동작을 표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9)

  1. 캐릭터를 이용하는 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발신 사용자와 수신 사용자 간에 캐릭터가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 창에 대화 내용으로 포함되어 표시된 횟수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된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캐릭터를 제공한 광고주에게 과금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캐릭터는, 발신 사용자 및 수신 사용자의 메시지 창에 증강 현실 또는 홀로그램 형식에 따라 3D 캐릭터 형태로 표현되는 메시지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은,
    발신 사용자 또는 수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3D 캐릭터 형태로 표현되는 캐릭터를 2D 캐릭터 형태로 전환하는 메시지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하는 단계는,
    상기 캐릭터에 적용된 스티커 사용 횟수를 상기 체크된 횟수에 적용하여 과금하는 메시지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3D 캐릭터에 적용할 시각 효과와 관련된 캐릭터 스티커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상기 3D 캐릭터와 관련된 2D 캐릭터에 적용된 시각 효과와 관련된 캐릭터 스티커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메시지 서비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선택된 캐릭터 스티커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를 채팅방에 있는 3D 캐릭터에 적용하고,
    선택된 캐릭터 스티커를 채팅방에 표시하는 메시지 서비스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는,
    상기 광고주가 제공한 캐릭터 효과가 수신 사용자 또는 발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캐릭터 효과가 적용되어 메시지 창에 표시되고,
    상기 과금하는 단계는,
    상기 캐릭터 효과에 설정된 광고비를 상기 체크된 횟수에 따라 결정된 광고비에 반영하는 메시지 서비스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및 상대방 단말이 채팅방에서 퇴장하는 경우, 채팅방에서의 대화 내용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대화 내용의 다시 보기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3D 캐릭터 및 다시 보기를 위한 식별자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를 선택하면, 대화 내용을 제1 대화 모드에 따라 시간 순서로 재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프로필 보기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3D 캐릭터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3D 캐릭터가 사용자 단말 또는 상대방 단말의 개인 정보를 설명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감정 또는 동작을 표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서비스 방법.
  9. 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위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매체에 저장되어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발신 사용자와 수신 사용자 간에 캐릭터가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 창에 대화 내용으로 포함되어 전송된 횟수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된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캐릭터 메시지를 이용한 광고주에게 과금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캐릭터는, 발신 사용자 및 수신 사용자의 메시지 창에 증강 현실 또는 홀로그램 형식에 따라 3D 캐릭터 형태로 표현되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PCT/KR2016/001344 2015-02-09 2016-02-05 캐릭터 메시지 서비스에 기반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WO201612991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480 2015-02-09
KR1020150019480A KR20160097604A (ko) 2015-02-09 2015-02-09 캐릭터 메시지 서비스에 기반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29910A1 true WO2016129910A1 (ko) 2016-08-18

Family

ID=56614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1344 WO2016129910A1 (ko) 2015-02-09 2016-02-05 캐릭터 메시지 서비스에 기반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097604A (ko)
WO (1) WO20161299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017B1 (ko) 2020-03-03 2021-10-14 주식회사 코아소프트 대화형 증강현실 콘텐츠 메시지의 커뮤니케이션 장치
KR20210155499A (ko) * 2020-06-16 2021-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생성 방법
KR20240028640A (ko) * 2022-08-25 2024-03-05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사용자 프로필 영역 상의 스폰서드 콘텐츠 표시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2818A (ko) * 2004-08-04 2006-02-09 박홍진 입체아바타를 이용한 메신저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KR100643023B1 (ko) * 2005-02-26 2006-11-10 조성구 근거리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대화 도우미 장치
KR20080096040A (ko) * 2007-04-26 2008-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채팅 기록을 저장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20130116646A (ko) * 2012-04-16 2013-10-24 주식회사 사이먼 스폰서 톡 서비스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17442A (ko) * 2012-04-17 2013-10-28 주식회사 리코시스 소셜 네트워크 사용자 프로필 정보 생성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2818A (ko) * 2004-08-04 2006-02-09 박홍진 입체아바타를 이용한 메신저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KR100643023B1 (ko) * 2005-02-26 2006-11-10 조성구 근거리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대화 도우미 장치
KR20080096040A (ko) * 2007-04-26 2008-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채팅 기록을 저장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20130116646A (ko) * 2012-04-16 2013-10-24 주식회사 사이먼 스폰서 톡 서비스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17442A (ko) * 2012-04-17 2013-10-28 주식회사 리코시스 소셜 네트워크 사용자 프로필 정보 생성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604A (ko) 201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36218A1 (ko) 캐릭터를 이용한 메시지 서비스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방법을 포함하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WO2023080506A1 (ko) 증강현실 기반의 메타버스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US7202886B2 (en) Videophone terminal
US84175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sumer-selected advertising and branding in interactive media
WO2013105760A1 (en) Contents provid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13165075A1 (ko) 메신저 상에서 스폰서 방식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6129910A1 (ko) 캐릭터 메시지 서비스에 기반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WO2011043632A2 (ko) 온라인 토론 능력 인증 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WO2016129811A1 (ko)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공식계정의 리치 메뉴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WO2022255597A1 (ko)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사이니지 시스템
WO2020159001A1 (ko) 인스턴트 메신저 기반의 광고 및 리워드 시스템
CN109785229A (zh) 基于区块链实现的智能合影方法、装置、设备和介质
WO2015182846A1 (ko) 동공인식을 이용한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14112760A1 (ko) 광고 제공 방법 및 서버
WO2023224265A1 (ko) 기준영역을 갖는 사이니지를 이용한 사진 공유 시스템
WO2023128307A1 (ko) 메타버스 기반의 오피스 환경에서 유저영상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과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저영상데이터 디스플레이 시스템
WO2023128309A1 (ko) 메타버스 기반의 오피스 환경에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과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WO2019124575A1 (ko) 음성 더빙을 이용한 어학 학습 지원 방법 및 어학 학습 지원서버
CN114095745A (zh) 直播互动方法、装置、计算机存储介质和电子设备
WO2018093083A1 (ko) 게임 유저 그룹에 대응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5327115A (ja) 仮想空間提供システム、仮想空間提供サーバおよび仮想空間提供方法
WO2015046739A1 (en) Display device and server device for providing service to event winner, and methods thereof
WO2013085166A1 (ko) 메시지 방송 아이템을 적용한 축구 게임 제공 방법, 축구 게임 서버, 축구 게임 제공 시스템 및 기록 매체
WO2018066935A2 (ko)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ims) 채팅방에서 퀴즈와 광고 동시 제공방법 및 시스템
WO2014051261A1 (ko) 채팅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74945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74945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