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04978A1 - 광학용 접착 조성물 및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학용 접착 조성물 및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04978A1
WO2016104978A1 PCT/KR2015/013046 KR2015013046W WO2016104978A1 WO 2016104978 A1 WO2016104978 A1 WO 2016104978A1 KR 2015013046 W KR2015013046 W KR 2015013046W WO 2016104978 A1 WO2016104978 A1 WO 201610497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adhesive composition
meth
acrylate
optical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304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연보라
정부기
김상환
윤경준
김장순
최원구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ublication of WO201610497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0497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Definitions

  • the adhesive composition for optics,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re related.
  • an air layer filled with air exists in the space between the image display unit and the protection unit, and this air layer can significantly reduce visibility.
  • a transparent acrylic cured product or the like is filled to improve visibility, but a transparent cured product is usually adhered in the form of an adhesive film or an adhesive sheet on an image display unit, and then the protective part is an adhesive film or an adhesive sheet. It sticks on and interposes transparent hardened
  • an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that can implement excellent step absorption, excellent adhesion, excellent surface appearance and long-term uniform performance.
  •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an adhesive layer formed by photocuring the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image display device is provided.
  • an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bout 10% to about 60% by weight of monofunctional (meth) acrylate-based oligomer.
  • the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may not include a multifunctional (meth) acrylate-based oligomer o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about 15% by weight or less.
  • the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 acrylate monomers, photoinitiators, plasticizers,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plasticizer may be included up to about 20% by weight.
  • the plasticiz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poxy plasticizers, fatty acid ester plasticizers, polyester plasticizers, polybutadiene plasticizers,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monofunctional (meth) acrylate-based oligomer may be about 5,000g / mol to about 50,000g / mol.
  • the monofunctional (meth) acrylate oligomer is a urethane (meth) acrylate oligomer, polyester (meth) acrylate oligomer, epoxy (meth) acrylate oligomer, polyether (meth) acrylate oligomer, polybutadiene (meth)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ate oligomers,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image display unit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image display unit; An adhesive layer formed by photocuring the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And a protection unit.
  • the image display unit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 LCD liquid crystal display
  • the protective part may be a glass substrate or a transparent plastic substrate.
  • the adhesive laye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image display unit and the protective unit, and may be formed by photocuring a liquid adhesive composition for optics.
  • the curing shrinkage rate of the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may be about 3.0% or less.
  • the storage modulus may be about 0.5 ⁇ 10 4 Pa to about 2.0X10 4 Pa at a temperature of about 25 ° C. of the adhesive layer.
  • At a temperature of about 25 °C of the adhesive layer may be an adhesive force of about 10N / cm 2 to about 100N / cm 2 for the protection unit.
  • the adhesive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50 ⁇ m to about 300 ⁇ m.
  • An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for a light amount of the liquid to conditions of about 2,000mJ / cm 2 to about 6,000mJ / cm 2 may be photo-cured.
  • the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can realize excellent step absorption, excellent adhesion, excellent surface appearance and long-term uniform performance.
  • 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process flowchar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y configuration is formed on the “top (or bottom)" of the substrate or “top (or bottom)” of the substrate means that any configuration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top (or bottom) of the substrate.
  • it is not limited to not including other configurations between the substrate and any configuration formed on (or under) the substrate.
  • an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bout 10% to about 60% by weight of the monofunctional (meth) acrylate-based oligomer.
  •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 display
  • a transparent acrylic cured product is interposed in the form of an adhesive film or an adhesive sheet between the image display unit and the protection unit, and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remove bubbles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adhesive film or adhesive sheet. Absorbency is lowered and it is not easy to apply to various types of structures.
  • the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in the liquid phase between the image display unit and the protective unit in a liquid st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bubble generation by improving photo-curing, but such a liquid adhesive composition is typically at least bifunctional or more than one polyfunctional (meth). Since the amount of acrylate oligomer is included in a large amount, the curing shrinkage rate is too high, which causes a problem of low flexibility and increased stress generated in the image display unit and the protection unit. In addition, when a large amount of plasticizer is included in order to reduce the curing shrinkage rate, a migration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plasticizer moves to the surface after being applied to the product, resulting in steaming and dirt on the surface, resulting in surface appearance and adhesion performance. This can be degraded.
  •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bout 10% to about 60% by weight of monofunctional (meth) acrylate-based oligomer, specifically, about 15% to about 60% by weight Can be.
  • the adhesive formed by photocuring can further reduce the stress generated in the image display portion and the protective portion while being suitable for flexibility.
  • the monofunctional (meth) acrylate-based oligomer means an oligomer including one (meth) acrylate group
  • the polyfunctional (meth) acrylate-based oligomer means at least two or more (meth) acrylate groups It means an oligomer containing.
  • At least two or more multifunctional (meth) acrylate-based oligomers have a large number of functional groups or hardening sites capable of forming a bond by photocuring, and thus act as an interaction between unsaturated bonds in a liquid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 the spacing apart from each other due to the Derbals force may be relatively large.
  • the above-mentioned gap is reduced as the unsaturated bonds of the functional groups or the curing sites are broken and covalent bonds are formed, so that the curing is more difficult than that of the monofunctional (meth) acrylate-based oligomer. Since the shrinkage ratio is larger, when the polyfunctional (meth) acrylate-based oligomer is included in a large amou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mount of the plasticizer must be increased to reduce the curing shrinkage rate.
  • the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does not include a multifunctional (meth) acrylate-based oligomer, or may be included in about 15% by weight or less, specifically, may be included in about 0.1% to about 10% by weight. .
  • the polyfunctional (meth) acrylate-based oligomer is included in a low water content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uring shrinkage rate of the adhesive composition for optics, thereby reducing the stress generated in the image display portion and the protective portion, thereby bending The phenomenon is further prevented to maintain uniform physical properties for a long time.
  • the content of the plasticizer may be further reduced, thereby realizing excellent surface appearance and excellent adhesive performance.
  • the monofunctional (meth) acrylate oligomer is a urethane (meth) acrylate oligomer, polyester (meth) acrylate oligomer, epoxy (meth) acrylate oligomer, polyether (meth) acrylate oligomer, polybutadiene (meth)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ate oligomers, and combinations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monofunctional (meth) acrylate-based oligomer may be about 5,000g / mol to about 50,000g / mol.
  • the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 acrylate monomers, photoinitiators, plasticizers,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meth) acrylate-based monomer may include from about 10% by weight to about 30% by weight.
  • Examples of the (meth) acrylate monomers include methyl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n-propyl (meth) acrylate, isopropyl (meth) acrylate, and n-butyl (meth).
  • the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may or may not include a polyfunctional (meth) acrylate-based monomer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use of the invention.
  • the amount of plasticizer may be, for example, about 20% by weight or less, and, for example, about 1% by weight to about 15% by weight, specifically, about 1% by weight to about 10 weight percent.
  • the curing shrinkage when the curing shrinkage is a high level of more than about 3.0%, it is necessary to mitigate the curing shrinkage by mixing a large amount of the plasticizer, but in the case of the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as described above, monofunctional (meth) acrylat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tent of plasticizers by including a high level of the content of the system oligomer, so that the amount of plasticizer can be reduced, and as a result, the plasticizer migrates over time after being applied to the product, so that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phenomenon in which dirt and the like occur and performance decreases.
  • the plasticiz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epoxy plasticizer, a fatty acid ester plasticizer, a polyester plasticizer, a polybutadiene plasticizer, and a combination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hotoinitiator is, for example, ⁇ -hydroxy ketone compounds (ex. IRGACURE 184, IRGACURE 500, IRGACURE 2959, DAROCUR 1173; Ciba Specialty Chemicals (manufactured)); Phenylglyoxylate compounds (ex. IRGACURE 754, DAROCUR MBF; Ciba Specialty Chemicals); Benzyl dimethyl ketal compounds (ex. IRGACURE 651; Ciba Specialty Chemicals); ⁇ -amino ketone compounds (ex. IRGACURE 369, IRGACURE 907, IRGACURE 1300; Ciba Specialty Chemicals); Monoacylphosphine-based compounds (MAPO) (ex.
  • MAPO Monoacylphosphine-based compounds
  • DAROCUR TPO Ciba Specialty Chemicals
  • Bisacylphosphene compounds BAPO
  • IRGACURE 819, IRGACURE 819DW Ciba Specialty Chemicals
  • Phosphine oxide compounds ex. IRGACURE 2100; Ciba Specialty Chemicals
  • Metallocene compounds ex. IRGACURE 784; Ciba Specialty Chemicals
  • Iodonium salts ex. IRGACURE 250; Ciba Specialty Chemicals
  • mixtures of one or more of the above ex. DAROCUR 4265, IRGACURE 2022, IRGACURE 1300, IRGACURE 2005, IRGACURE 2010, IRGACURE 2020; Ciba Specialty Chemicals (R)
  • R Ciba Specialty Chemicals
  • the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urface lubricants, leveling agents, softeners, antioxidants, antioxidants, light stabilizers, ultraviolet absorbers, polymerization inhibitors,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ultraviolet absorber may be used, for example, benzotriazole-based, benzophenone-based, salicylic acid-based, or cyanoacrylate-based ultraviolet absorbent, and the like
  • the antioxidant may be, for example, a hindered phenol-based, sulfur-based, or Phosphorus-based antioxidants may be used
  • the light stabilizer may be, for example, a hindered amine-based light stabiliz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 kind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use of the invention. It can use suitably.
  • 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mage display unit 110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display unit 110; An adhesive layer 130 formed by photocuring the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And a protection unit 120.
  •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is as described above in one embodiment.
  • the image display unit 11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for example, the uppermost layer of the image display unit 110 may be a polarizing film,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otective part 120 may be a glass substrate or a transparent plastic substr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 light blocking part 121 may be formed at an edge of the protection part 120.
  • the adhesive layer 13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image display unit 110 and the protection unit 120, and may be formed by photocuring a liquid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 the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is applied to an upper part of the polarizing film that is the uppermost layer of the image display unit 110, and then the glass substrate or the transparent plastic substrate is covered and adhered to the applied adhesive composition to close the image display unit 110.
  • the empty space between the protective part 120 and the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may be photocured in a liquid state to form the adhesive layer 130.
  • the coating method of the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may be, for example, one of a die coating method, a gravure coating method, a knife coating method, and a bar coating meth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 generally used adhesive composition is a polyfunctional (such as a bifunctional (meth) acrylate-based oligomer, Since a large amount of meta) acrylate-based oligomer is included, the curing shrinkage rate during photocuring is so high that the plasticizer must be mixed in a large amount, thereby lowering the adhesive strength and further deteriorating the surface appearance and the adhesive performance.
  • an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about 10% by weight, specifically about 15% by weight of a monofunctional (meth) acrylate-based oligomer
  • the content of the plasticizer may be, for example, about 20% by weight, specifically about 10% by weight or less,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excellent adhesion, excellent surface appearance, and long-term uniform performance may be realized.
  • An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for a light amount of the liquid to conditions of about 2,000mJ / cm 2 to about 6,000mJ / cm 2 may be photo-cured.
  • the image display unit 110 and the protection unit 120 can be adhered to an excellent level, and the curing shrinkage rate can be realized at a low level.
  • a metal halide lamp may be used as the photocur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uring shrinkage rate of the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may be, for example, about 3.0% or less, and for example, about 1% to about 2.5%.
  • the curing shrinkage rate can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 A is the specific gravity of the composition before photocuring
  • B is the specific gravity of the cured product formed by photocuring the composition.
  • the storage modulus may be about 0.5 ⁇ 10 4 Pa to about 2.0 ⁇ 10 4 Pa at a temperature of about 25 ° C. of the adhesive layer 130.
  • the adhesive force to the protective part 120 at a temperature of about 25 ° C. of the adhesive layer 130 may be, for example, about 10 N / cm 2 to about 100 N / cm 2 , and specifically about 30 N / cm 2 to About 70 N / cm 2 .
  • the adhesive layer 130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50 ⁇ m to about 300 ⁇ m. By having a thickness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realize a good adhesion and at the same time fill the gap between the image display unit 110 and the protection unit 120 sufficiently.
  •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jig 140 for fixing the protection part 120 or the like.
  • the fixing jig 140 may use a kind known in the art,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FIG. 2 schematically shows a process flowchar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mage display unit, the protective unit and the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are as described above in one embodiment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 display
  • a transparent acrylic cured product is interposed in the form of an adhesive film or an adhesive sheet between the image display unit and the protection unit, and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remove bubbles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adhesive film or adhesive sheet. Absorbency is lowered and it is not easy to apply to various types of structures.
  • the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illing the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in the liquid phase between the image display portion and the protective portion in a liquid phase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bubbles to improve the step absorption.
  • the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as described above, by containing a monofunctional (meth) acrylate-based oligomer at a high level of content, there are fewer functional groups or curing sites that can form bonds by photocuring,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curing shrinkage rate. Since it can be reduced, the adhesive formed by photocuring the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can further reduce the stress generated in the image display portion and the protective portion while being appropriately flexible.
  • the liquid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may be applied onto the image display part, and then the cover part may be covered and adhered onto the applied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 the coating of the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may be performed using, for example, one of a die coating method, a gravure coating method, a knife coating method, and a bar coating meth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liquid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may be photocured.
  • the empty space between the image display portion and the protective portion may be filled with the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and then the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may be photocured in a liquid state to form an adhesive layer.
  • the adhesive layer is as described above in another embodiment.
  • An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for a light amount of the liquid to conditions of about 2,000mJ / cm 2 to about 6,000mJ / cm 2 may be photo-cured.
  • a metal halide lamp may be used as the photocur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by mixing and stirring 15% by weight of a functional urethane acrylate crab oligomer, 38% by weight of an acrylate monomer, 2% by weight of a photoinitiator, 4% by weight of a polybutadiene plasticizer, and 1% by weight of an antioxidant.
  • Example 2 (does not include bifunctional oligomers, only monofunctional oligomers)
  • Each of the adhesive layers had a thickness of 200 ⁇ m, and the physical properties thereof were shown in Table 1 below.
  • A is the specific gravity of the composition before photocuring
  • B is the specific gravity of the cured product formed by photocuring the composition.
  • Measuring method After leaving each image display apparatus at 25 ° C. for at least 3 hours, and then driving the respective image display apparatuses, the edges of the glass substrate are visually observed and discolored to yellow. It was observed whether there was any part, and the yellowing phenomenon occurred when the color was changed to yellow, and the case where no yellowing occurred was indicated by "X".
  • the adhesion force measuring device (Stable Micro Systems , TA XT-PLUS) was used to measure the peeling force by pulling each slide glass in a 180 ° direction at a rate of 25mm / min at 25 ° C.
  • Measurement method Measured using a rheometer (TA instrument, ARES-G2).
  • the measurement was performed while raising the temperature in a nitrogen atmosphere at a rate of 5 ° C. per minute from ⁇ 40 ° C. to 110 ° C. under conditions of axial force 2N, frequency 1.0 rad / sec, and displacement 10%.
  • Measuring method Each image display device was subjected to 85 ° C. and 85% R.H. for 250 hours. After leaving it in the oven under the condition, the surface of each adhesive is visually observed whether the adhesive is steamed or dirty, and the steaming and dirt are not generated. In addition, the case where steaming, dirt, etc. generate
  • the curing shrinkage rate was low, so that yellowing did not occur, and the adhesive force was realized at a high level, and excellent surface appearance and uniform adhesive performance were realized.
  •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contained a large amount of plasticizer in order to lower the curing shrinkage rate, but yellowing did not occur, but the adhesive strength was lower than that of Examples 1 and 2, in particular, the surface appearance was inferior and uniform adhesive perform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단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가 10 중량% 내지 60 중량%로 포함된 광학용 접착 조성물,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광학용 접착 조성물 및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광학용 접착 조성물 및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젼, 컴퓨터, 모바일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화상 표시부 및 보호부 사이의 공간에 공기가 채워진 공기층이 존재하고, 이러한 공기층은 시인성을 현저히 저하시킬 수 있다. 이에, 예를 들어, 투명한 아크릴계 경화물 등을 충진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있는데 통상적으로 화상 표시부 상에 투명한 경화물이 점착 필름 또는, 점착 시트의 형태로 점착되고, 이어서 보호부를 점착 필름 또는, 점착 시트 상에 점착시켜 화상 표시부 및 보호부의 사이에 투명한 경화물을 개재시키고 있다.
이러한 점착 필름 또는 점착 시트는 다양한 구조에 적용하는 것이 쉽지 않고, 점착시 기포를 제거하기 어려워 낮아 데코 필름 등에 의한 인쇄 단차를 흡수할 수 있는 단차 흡수성이 저하된다.
이에, 화상 표시부 및 보호부의 사이에 액상의 접착 조성물을 채운 상태에서 광경화를 시켜 접착시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우수한 단차 흡수성, 우수한 접착력, 우수한 표면 외관 및 장기간 균일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광학용 접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광학용 접착 조성물을 광경화시켜 형성한 접착층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단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가 약 10 중량% 내지 약 60 중량%로 포함된 광학용 접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광학용 접착 조성물에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가 포함되지 않거나, 약 15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학용 접착 조성물이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광개시제, 가소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가 약 20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소제가 에폭시계 가소제, 지방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 폴리부타디엔계 가소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약 5,000g/mol 내지 약 50,000g/mol일 수 있다.
상기 단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가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부타디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화상 표시부; 상기 광학용 접착 조성물을 광경화시켜 형성한 접착층; 및 보호부;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화상 표시부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일 수 있다.
상기 보호부가 유리 기판 또는, 투명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이 상기 화상 표시부 및 상기 보호부의 사이에 개재되고, 액상의 상기 광학용 접착 조성물을 광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학용 접착 조성물의 경화수축률이 약 3.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의 약 25℃의 온도 조건에서 저장탄성율이 약 0.5Ⅹ104Pa 내지 약 2.0Ⅹ104Pa일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의 약 25℃의 온도 조건에서 상기 보호부에 대한 접착력이 약10N/cm2 내지 약 100N/cm2일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의 두께가 약 50㎛ 내지 약 30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화상 표시부 상에 상기 액상의 광학용 접착 조성물을 도포하고, 이어서 보호부를 도포된 광학용 접착 조성물 상에 밀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액상의 광학용 접착 조성물을 광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액상의 광학용 접착 조성물을 약 2,000mJ/cm2 내지 약 6,000mJ/cm2의 광량 조건으로 광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광학용 접착 조성물은 우수한 단차 흡수성, 우수한 접착력, 우수한 표면 외관 및 장기간 균일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공정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형성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형성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단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가 약 10중량% 내지 약 60 중량%로 포함된 광학용 접착 조성물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서, 화상 표시부 및 보호부의 사이에 투명한 아크릴계 경화물이 점착 필름 또는 점착 시트의 형태로 개재되는데 점착 필름 또는 점착 시트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기포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어려워 단차 흡수성이 저하되고, 다양한 형태의 구조에 적용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에, 화상 표시부 및 보호부의 사이에 광학용 접착 조성물을 액상으로 채운 후 광경화시킴으로써 기포 발생을 방지하여 단차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이러한 액상의 접착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적어도 2관능 이상의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다량으로 포함하여 경화수축률이 너무 높으므로 유연성이 작고 화상 표시부 및 보호부에 발생하는 응력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경화수축률을 감소시키기 위해 가소제를 다량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제품에 적용된 이후 가소제가 표면으로 이동하는 이동(migration) 현상이 일어나, 표면에 접착제의 찐, 오물 등이 발생하여 표면 외관 및 접착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광학용 접착 조성물은 단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가 약 10 중량% 내지 약 6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약 15 중량% 내지 약 6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높은 수준의 함량으로 단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포함함으로써 광경화에 의해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관능기 또는 경화 사이트가 적어 경화수축률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광학용 접착 조성물이 광경화되어 형성된 접착제는 유연성이 적절하면서 화상 표시부 및 보호부에 발생하는 응력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경화수축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가소제의 함량을 더욱 감소시킴으로써 접착력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제품에 적용된 이후 가소제의 이동(migration)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우수한 접착력, 우수한 표면 외관 및 장기간 균일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단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란 한 개의(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올리고머를 의미하고,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올리고머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2관능 이상의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경우 광경화에 의해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관능기 또는 경화사이트가 더욱 많아 이를 포함하는 액상의 접착 조성물 내에서 불포화 결합 간에 작용하는 반데르발스 힘 등에 의해 서로 떨어져 있는 간격이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이러한 액상의 접착 조성물이 광경화되는 경우 관능기 또는 경화사이트의 불포화 결합이 깨지면서 공유결합 등이 형성됨에 따라 전술된 간격이 줄어드는 정도가 더욱 크기 때문에 단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에 비하여 경화수축률이 더욱 크기 때문에 이러한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다량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경화수축률을 감소시키기 위해 가소제의 함량을 증가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광학용 접착 조성물은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가 포함되지 않거나, 약 15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약 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가 상기 범위 내의 낮은 수주의 함량으로 포함됨으로써 상기 광학용 접착 조성물의 경화수축률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화상 표시부 및 보호부에 발생하는 응력이 감소하여 휨 현상이 더욱 방지되어 장기간 균일한 물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화수축률 및 응력이 감소함에 따라 가소제의 함량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우수한 표면 외관 및 우수한 접착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화수축률이 높은 경우에는 화상 표시부 및 보호부에 발생하는 응력이 증가하여 휨이 발생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화상 표시부 상에 황변이나 얼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 단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가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부타디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약 5,000g/mol 내지 약 50,000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가짐으로써 경화수축률을 충분히 낮은 수준으로 구현하면서도 점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광학용 접착 조성물이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광개시제, 가소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광학용 접착 조성물의 점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경화 속도를 충분히 높은 수준으로 구현함과 동시에 경화수축률을 충분히 낮은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예를 들어,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 아세트산, 3-(메타)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산, 4-(메타)아크릴로일옥시 부틸산,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용 접착 조성물은 발명의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일 모노머를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가소제의 함량이 예를 들어, 약 20 중량% 이하일 수 있고, 또한, 예를 들어, 약 1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약 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낮은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접착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제품에 적용된 이후 가소제의 이동(migration) 현상이 더욱 감소되어 우수한 표면 외관 및 장기간 균일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경화수축률이 약 3.0% 초과의 높은 수준인 경우 상기 가소제를 다량으로 혼합하여 경화수축률을 완화시킬 필요가 있으나, 상기 광학용 접착 조성물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단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높은 수준의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경화수축률을 낮은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가소제의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제품에 적용된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소제가 이동(migration)하여 점착제의 찐, 오물 등이 발생하고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가소제가 에폭시계 가소제, 지방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 폴리부타디엔계 가소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개시제는 예를 들어, α-히드록시케톤계 화합물(ex. IRGACURE 184, IRGACURE 500, IRGACURE 2959, DAROCUR 1173; Ciba Specialty Chemicals(제)); 페닐글리옥실레이트(phenylglyoxylate)계 화합물(ex. IRGACURE 754, DAROCUR MBF; Ciba Specialty Chemicals(제)); 벤질디메틸케탈계 화합물(ex. IRGACURE 651; Ciba Specialty Chemicals(제)); α-아미노케톤계 화합물(ex. IRGACURE 369, IRGACURE 907, IRGACURE 1300; Ciba Specialty Chemicals(제)); 모노아실포스핀계 화합물(MAPO)(ex. DAROCUR TPO; Ciba Specialty Chemicals(제)); 비스아실포스펜계 화합물(BAPO)(ex. IRGACURE 819, IRGACURE 819DW; Ciba Specialty Chemicals(제)); 포스핀옥시드계 화합물(ex. IRGACURE 2100; Ciba Specialty Chemicals(제)); 메탈로센계 화합물(ex. IRGACURE 784; Ciba Specialty Chemicals(제)); 아이오도늄염(iodonium salt)(ex. IRGACURE 250; Ciba Specialty Chemicals(제)); 및 상기 중 하나 이상의 혼합물(ex. DAROCUR 4265, IRGACURE 2022, IRGACURE 1300, IRGACURE 2005, IRGACURE 2010, IRGACURE 2020; Ciba Specialty Chemicals(제)) 등일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광학용 접착 조성물이 표면 윤활제, 레벨링제, 연화제, 산화 방지제, 노화 방지제, 광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중합 금지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예를 들어,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살리실산계, 또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흡수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산화 방지제로는 예를 들어, 힌더드 페놀계, 황계, 또는 인계의 산화 방지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광안정제는 예를 들어,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종류를 발명의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1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화상 표시부(110); 상기 광학용 접착 조성물을 광경화시켜 형성한 접착층(130); 및 보호부(120)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100)를 제공한다.
상기 광학용 접착 조성물은 일 구현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화상 표시부(110)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화상 표시부(110)의 최상부층이 편광 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보호부(120)가 유리 기판 또는, 투명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호부(120)의 테두리에는 차광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30)이 상기 화상 표시부(110) 및 상기 보호부(120)의 사이에 개재되고, 액상의 광학용 접착 조성물을 광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상 표시부(110)의 최상부층인 편광 필름의 상부에 상기 광학용 접착 조성물을 도포하고, 이어서 도포된 접착 조성물 상에 유리 기판 또는 투명 플라스틱 기판을 덮어 밀착시켜 상기 화상 표시부(110) 및 상기 보호부(120) 사이의 빈 공간을 상기 광학용 접착 조성물로 채운 이후 액상의 상태에서 광경화시켜 상기 접착층(13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광학용 점접착 조성물의 도포 방법은 예를 들어, 다이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및, 바 코팅법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통상 화상 표시부(110) 및 보호부(120)의 사이에 채워진 접착 조성물을 광경화시키는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착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등의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다량으로 포함하기 때문에 광경화시 경화수축률이 너무 높아 가소제를 다량으로 혼합해야 하므로 접착력이 낮아지면서 표면 외관 및 접착 성능이 더욱 저하된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예를 들어, 약 10 중량%, 구체적으로는 약 15 중량% 이상으로 포함하는 광학용 접착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가소제의 함량을 예를 들어, 약 20 중량%, 구체적으로는 약 10 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어, 우수한 접착력, 우수한 표면 외관 및 장기간 균일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액상의 광학용 접착 조성물을 약 2,000mJ/cm2 내지 약 6,000mJ/cm2의 광량 조건으로 광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광량으로 광경화시킴으로써 상기 화상 표시부(110) 및 상기 보호부(120)를 우수한 수준으로 접착시킬 수 있으면서 경화수축률을 낮은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가 예를 들어, 메탈 할라이드 램프(metal halide lamp)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학용 접착 조성물의 경화수축률이 예를 들어, 약 3.0% 이하일 수 있고, 또한 예를 들어, 약 1% 내지 약 2.5%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낮은 경화수축률을 가짐으로써 상기 화상 표시부(110) 및 상기 보호부(120)에 발생하는 응력을 더욱 저감시킴과 동시에 전술한 바와 같이 가소제의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우수한 표면 외관 및 장기간 균일한 접착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경화수축률은 하기 식 1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계산식 1]
경화수축률(%) = (B-A)/BⅩ100
상기 계산식 1에서, 상기 A는 광경화 이전 조성물의 비중이고, 상기 B는 상기 조성물이 광경화되어 형성된 경화물의 비중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경화수축률이 증가할수록 상기 화상 표시부(110) 및 상기 보호부(120)에 발생하는 응력이 증가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응력이 증가하면 휨 현상이 발생하여 황변 또는 얼룩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30)의 약 25℃의 온도 조건에서 저장탄성율(storage modulus)이 약 0.5Ⅹ104Pa 내지 약 2.0Ⅹ104Pa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저장탄성율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접착력을 구현하면서도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어 쉽게 깨지지 않고 우수한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30)의 약 25℃의 온도 조건에서 상기 보호부(120)에 대한 접착력이 예를 들어, 약 10N/cm2 내지 약 100N/cm2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약 30N/cm2 내지 약 70N/cm2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우수한 수준의 접착력을 가짐으로써 상기 화상 표시부(110) 및 상기 보호부(120)를 견고히 접착하여 장기간 우수한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130)의 두께가 약 50㎛ 내지 약 300㎛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접착력을 구현함과 동시에 상기 화상 표시부(110) 및 상기 보호부(120) 간의 간극을 충분히 메울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 표시 장치(100)은 상기 보호부(120) 등을 고정시키는 고정 지그(1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 지그(140)는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종류를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의 공정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화상 표시부 상에 상기 액상의 광학용 접착 조성물을 도포하고, 이어서 보호부를 도포된 광학용 접착 조성물 상에 덮어 밀착시키는 단계(S1); 및 상기 액상의 광학용 접착 조성물을 광경화시키는 단계(S2);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화상 표시부, 상기 보호부 및 상기 광학용 접착 조성물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 및 다른 구현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서, 화상 표시부 및 보호부의 사이에 투명한 아크릴계 경화물이 점착 필름 또는 점착 시트의 형태로 개재되는데 점착 필름 또는 점착 시트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기포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어려워 단차 흡수성이 저하되고, 다양한 형태의 구조에 적용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화상 표시부 및 보호부의 사이에 광학용 접착 조성물을 액상으로 채운 후 광경화시킴으로써 기포 발생을 방지하여 단차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용 접착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높은 수준의 함량으로 단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포함함으로써 광경화에 의해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관능기 또는 경화 사이트가 적어 경화수축률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광학용 접착 조성물이 광경화되어 형성된 접착제는 유연성이 적절하면서 화상 표시부 및 보호부에 발생하는 응력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경화수축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가소제의 함량을 더욱 감소시킴으로써 접착력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제품에 적용된 이후 가소제의 이동(migration)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우수한 접착력, 우수한 표면 외관 및 장기간 균일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상기 화상 표시부 상에 상기 액상의 광학용 접착 조성물을 도포하고, 이어서 상기 보호부를 도포된 광학용 접착 조성물 상에 덮어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광학용 점접착 조성물의 도포는 예를 들어, 다이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및, 바 코팅법 중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상기 액상의 광학용 접착 조성물을 광경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화상 표시부 및 상기 보호부 사이의 빈 공간을 상기 광학용 접착 조성물로 채우고, 이어서 상기 광학용 접착 조성물을 액상의 상태에서 광경화시켜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다른 구현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액상의 광학용 접착 조성물을 약 2,000mJ/cm2 내지 약 6,000mJ/cm2의 광량 조건으로 광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광량으로 광경화됨으로써 상기 화상 표시부 및 상기 보호부를 우수한 수준으로 접착시킬 수 있으면서 경화수축률을 낮은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가 예를 들어, 메탈 할라이드 램프(metal halide lamp)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고, 이로써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실시예 1
중량평균 분자량이 15,000g/mol인 단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로서 단관능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40 중량%, 중량평균 분자량이 15,000g/mol인 이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로서 이관능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게 올리고머 15 중량%,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38 중량%, 광개시제 2 중량%, 폴리부타디엔 가소제 4 중량% 및, 산화방지제 1 중량%를 혼합 및 교반하여 광학용 접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이관능성 올리고머를 포함하지 않고, 단관능성 올리고머만 포함)
중량평균 분자량이 15,000g/mol인 단관능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55 중량%,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38 중량%, 광개시제 2 중량%, 폴리부타디엔 가소제 4 중량% 및, 산화방지제 1 중량%를 혼합 및 교반하여 광학용 접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단관능성 올리고머를 포함하지 않음)
중량평균 분자량이 15,000g/mol인 이관능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35 중량%,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38 중량%, 광개시제 2 중량%, 폴리부타디엔 가소제 24 중량% 및, 산화방지제 1 중량%를 혼합 및 교반하여 광학용 접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단관능성 올리고머의 함량이 미만인 경우)
중량평균 분자량이 15,000g/mol인 단관능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5 중량%, 중량평균 분자량이 15,000g/mol인 이관능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30 중량%,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38 중량%, 광개시제 2 중량%, 폴리부타디엔 가소제 24 중량% 및, 산화방지제 1 중량%를 혼합 및 교반하여 광학용 접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 1에 비해 가소제 함량이 적은 경우)
중량평균 분자량이 15,000g/mol인 이관능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35 중량%,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52 중량%, 광개시제 2 중량%, 폴리부타디엔 가소제 10 중량%, 및 산화방지제 1 중량%를 혼합 및 교반하여 광학용 접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2 및 상기 비교예 1-3에 따른 광학용 접착 조성물을 각각 LCD의 최상부층인 편광 필름 상에 도포한 후 도포된 광학용 접착 조성물의 상부에 유리 기판을 덮고, 이어서, 메탈 할라이드 램프(Dymax, 5000 EC)를 사용하여 3000mJ/cm2으로 광경화시켜 접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편광 필름 및 상기 유리 기판이 접착된 화상 표시 장치를 제조하였다.
상기 각각의 접착층은 두께가 200㎛였고, 이들 각각의 물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평가 방법
(경화수축률)
측정방법: 25℃에서, 상기 점착제의 비중 및 상기 접착제의 비중을 측정하고, 이들을 하기 계산식 1에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계산식 1]
경화수축률(%) = (B-A)/BⅩ100
상기 계산식 1에서, 상기 A는 광경화 이전 조성물의 비중이고, 상기 B는 상기 조성물이 광경화되어 형성된 경화물의 비중이다.
(황변 발생 여부)
측정방법: 상기 각각의 화상 표시 장치가 제조된 시점으로부터 25℃에서, 적어도 3시간 동안 방치하고, 이어서 상기 각각의 화상 표시 장치를 구동시킨 후 상기 유리 기판의 테두리부를 육안으로 관측하여 황색으로 변색이 일어난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관찰하였고, 색이 황색으로 변색되어 황변 현상이 발생한 경우를 “○”로 표시하고,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Ⅹ”로 표시하였다.
(접착력)
측정방법: 상기 실시예 1, 2 및 상기 비교예 1-4에 따른 광학용 점접착 조성물을 2개의 슬라이드 글래스 사이에 지름 2cm, 두께 200um의 크기로 도포하고 광경화시킨 후 접착력 측정기(Stable Micro Systems, TA XT-PLUS)을 사용하여 25℃에서 25mm/min의 속도로 상기 각 슬라이드 글래스를 180o방향으로 당겨서 박리되는 힘을 측정하였다.
(저장탄성률)
측정방법: 레오미터(TA instrument, ARES-G2)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축 방향력 2N, 주파수 1.0 rad/sec, 변위 10%의 조건에서 -40℃에서 110℃까지 분당 5℃의 속도로 질소 분위기에서 승온하면서 측정하였다.
(표면 외관 및, 균일한 접착 성능 구현 여부)
측정방법: 상기 각 화상 표시 장치를 250시간 동안 85℃ 및 85%R.H. 조건의 오븐에서 넣어 방치한 후 각 접착제의 표면에서 점착제의 찐, 오물 등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관측하여 찐, 오물 등이 발생하지 않아 접착 성능이 균일하게 유지된 경우를 “○”로 표시하고, 찐, 오물 등이 발생하여 접착 성능이 저하된 경우를 “Ⅹ”로 표시하였다.
표 1
경화수축률(%) 황변 발생 여부 접착력(단위) 저장탄성률(kPa) 표면외관 및 균일한 접착 성능
실시예1 2.4 45 18.6
실시예2 2.2 40 17.8
비교예1 3.0 22 16.4
비교예2 2.8 19 15.8
비교예3 3.5 25 19.5
실시예 1 및 2에 따른 광학용 접착 조성물에 의한 접착층의 경우 경화수축률이 낮아 황변 현생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접착력이 높은 수준으로 구현되었고, 우수한 표면외관 및, 균일한 접착 성능을 구현하였다.
반면, 비교예 1 및 2의 경우 경화수축율을 낮추기 위해 가소제가 다량으로 포함되어 황변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접착력이 실시예 1 및 2에 비해 낮아지고, 특히, 표면외관이 열등하면서 균일한 접착 성능을 구현하지 못하였다.
게다가, 비교예 3의 경우에는 가소제의 함량을 낮추어 표면외관은 양호하였으나, 경화수축률이 매우 높아 표시장치에 적용시 화상 표시부 및 보호부에 높은 응력이 발생하여 황변 현상이 발생하였음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었다.
<부호의 설명>
100: 화상 표시 장치
110: 화상 표시부
120: 보호부
121: 차광부
130: 접착층
140: 고정 지그

Claims (17)

  1. 단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가 10 중량% 내지 60 중량%로 포함된
    광학용 접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가 포함되지 않거나, 15 중량% 이하로 포함된
    광학용 접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광개시제, 가소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광학용 접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가 20 중량% 이하로 포함된
    광학용 접착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가 에폭시계 가소제, 지방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 폴리부타디엔계 가소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학용 접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0g/mol 내지 50,000g/mol인
    광학용 접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가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부타디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학용 접착 조성물.
  8. 화상 표시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학용 접착 조성물을 광경화시켜 형성한 접착층; 및 보호부;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부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인
    화상 표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가 유리 기판 또는, 투명 플라스틱 기판인
    화상 표시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이 상기 화상 표시부 및 상기 보호부의 사이에 개재되고, 액상의 상기 광학용 접착 조성물을 광경화시켜 형성된
    화상 표시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용 접착 조성물의 경화수축률이 3.0% 이하인
    화상 표시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25℃의 온도 조건에서 저장탄성율이 0.5Ⅹ104Pa 내지 2.0Ⅹ104Pa인
    화상 표시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25℃의 온도 조건에서 상기 보호부에 대한 접착력이 10N/cm2 내지 100N/cm2
    화상 표시 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두께가 50㎛ 내지 300㎛인
    화상 표시 장치.
  16. 화상 표시부 상에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액상의 광학용 접착 조성물을 도포하고, 이어서 보호부를 도포된 광학용 접착 조성물 상에 밀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액상의 광학용 접착 조성물을 광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의 광학용 접착 조성물을 2,000mJ/cm2 내지 6,000mJ/cm2의 광량 조건으로 광경화시키는
    화상 표시 장치.
PCT/KR2015/013046 2014-12-23 2015-12-02 광학용 접착 조성물 및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WO201610497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836 2014-12-23
KR1020140186836A KR101940542B1 (ko) 2014-12-23 2014-12-23 광학용 접착 조성물 및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04978A1 true WO2016104978A1 (ko) 2016-06-30

Family

ID=56150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3046 WO2016104978A1 (ko) 2014-12-23 2015-12-02 광학용 접착 조성물 및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40542B1 (ko)
TW (1) TW201623529A (ko)
WO (1) WO20161049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64753A (zh) * 2022-01-19 2022-05-1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盖板组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25767B (zh) * 2020-07-16 2022-02-18 上海本诺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可见光固化粘合剂组合物及其用途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2410A (ja) * 2009-08-04 2011-02-17 Bridgestone Corp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粘着シート
JP2012046658A (ja) * 2010-08-27 2012-03-08 Kyoritsu Kagaku Sangyo Kk 光学表示体又はタッチセンサー貼り合せ用光硬化型接着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て貼り合わせた光学表示体又はタッチセンサー
KR20120081769A (ko) * 2011-01-12 2012-07-2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KR20140001230A (ko) * 2010-12-16 2014-01-06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화상 표시용 장치, 그 제조 방법
KR20140126740A (ko) * 2012-02-17 2014-10-31 쓰리본드 화인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광학용 광경화성 시트형상 접착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93158B2 (ja) * 2007-06-19 2014-05-14 サイデン化学株式会社 光学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光学機能性フィルム
KR20130019894A (ko) * 2011-08-18 2013-02-2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2410A (ja) * 2009-08-04 2011-02-17 Bridgestone Corp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粘着シート
JP2012046658A (ja) * 2010-08-27 2012-03-08 Kyoritsu Kagaku Sangyo Kk 光学表示体又はタッチセンサー貼り合せ用光硬化型接着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て貼り合わせた光学表示体又はタッチセンサー
KR20140001230A (ko) * 2010-12-16 2014-01-06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화상 표시용 장치, 그 제조 방법
KR20120081769A (ko) * 2011-01-12 2012-07-2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KR20140126740A (ko) * 2012-02-17 2014-10-31 쓰리본드 화인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광학용 광경화성 시트형상 접착제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64753A (zh) * 2022-01-19 2022-05-1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盖板组件
CN114464753B (zh) * 2022-01-19 2023-10-3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盖板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542B1 (ko) 2019-01-22
TW201623529A (zh) 2016-07-01
KR20160077423A (ko) 201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32108A1 (ko) 점착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부재
WO2017047889A1 (ko) 광학 접착제용 광경화성 조성물, 이를 적용한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WO2012070887A2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및 터치패널
WO2014027788A1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터치 패널
WO2010120105A2 (ko) 점착제 조성물
WO2013095064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2128596A2 (ko) 점착제 조성물
WO2012128597A2 (ko) 점착제 조성물
WO2011126265A2 (ko) 터치 패널용 점착 필름 및 터치 패널
WO2011126263A2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시트 및 터치 패널
WO2017179899A2 (ko) 광학용 점착 조성물
WO2014204252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6021895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8004091A1 (ko)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4204253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8159923A1 (ko) 윈도우 필름,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필름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WO2016099187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8043851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1152616A2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WO2014204211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6104977A1 (ko) 광학용 점접착 조성물, 이를 다단 경화시키는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WO2016104978A1 (ko) 광학용 접착 조성물 및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WO2019088752A1 (ko) 다층 점착 테이프
WO2018147686A1 (ko) 무기재 전사 테이프
WO2016085072A1 (ko) 편광자 보호층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편광자 보호층,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735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735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