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43468A1 -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 - Google Patents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43468A1
WO2016043468A1 PCT/KR2015/009473 KR2015009473W WO2016043468A1 WO 2016043468 A1 WO2016043468 A1 WO 2016043468A1 KR 2015009473 W KR2015009473 W KR 2015009473W WO 2016043468 A1 WO2016043468 A1 WO 201604346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lectrodes
unit cells
battery
battery cell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947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류승민
김기웅
김동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US15/328,651 priority Critical patent/US11127981B2/en
Priority to JP2017502852A priority patent/JP6635521B2/ja
Priority to EP15841182.7A priority patent/EP3159959B1/en
Priority to CN201580041087.XA priority patent/CN106797045B/zh
Publication of WO201604346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4346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cell including a battery case is formed with a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assembly of the staircase structure.
  •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cylindrical batteries, square batteries, pouch-type batteries,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 and may be classified into lithium ion batteries, lithium ion polymer batteries, lithium polymer batteries,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type of electrolyte.
  • a pouch type battery refers to a battery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and an electrolyte are sealed inside a pouch type case of a laminate sheet including a resin layer and a metal layer.
  • the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ed in the battery case may have a structure of jelly-roll type (wound type), stacked type (stacked type), or complex type (stack / folding type).
  • the electrode assemblies are generally manufactur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the electrode assemblies are embedded in a battery case to fabricate a pouch-shaped battery cell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 FIG. 1 shows, as an example, a plan view (a) and a side view (b) of a battery cell including an electrode assembly forming a stepped structure.
  •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10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30 having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nd a separator disposed therebetween inside the pouch type battery case 20.
  • Two electrode leads 40 and 41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re configured to be sea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 a plurality of electrodes or unit cells 31 and 32 having different sizes are stacked in a height direction based on a plane to form a staircase structure.
  • the battery case 20 includes a lower case 21 including a concave shape accommodating portion into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30 can be seated, and an upper case 22 sealing the electrode assembly 30 as a cover of the lower case 21.
  • the upper case 22 and the lower case 21 are shown in FIG. 1 as the member in which it is integrally connected, the structure which consists of separate members is also possible.
  • the accommodating part of the battery case 20 has a structure in which a stepped step 24 having a step shape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shape of the electrode assembly 30.
  • the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ed in the battery compartment of the battery case is designed to fit the size of the housing so as to be accommodated closely to the housing, the manufacturing tolerances may cause a certain size gap Furthermore, in the case of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des or unit cells having different sizes are stacked in a height direction based on a plane to form a step structure, the gap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accommodating part becomes larger due to the complicated structure of the step shape. The problem of safety can be exacerbated easily.
  • the flow of the electrode assembly is generated due to the gap between the accommodating part of the battery case and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easily damaged by external and internal physical shocks.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problems that have been requested from the past.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fter in-depth study and various experiments, as described later, one or more protrusions protruding toward the electrode assembly to prevent the flow of one or more electrodes or unit cell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case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it is possible to easily prevent the occurrence of a gap between the housing and the electrode assembly without adding a member for fixing the electrode assembly inside the battery cell separately, confirming that the safety of the battery cell is improved.
  • the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 a battery case comprising an upper case and a lower case and including an accommodating part for mounting the electrode assembly to the upper case and / or the lower case;
  •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des or unit cells are stacked in a he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a plane, and at least two or more of the electrodes or unit cells have a different planar size to form a staircase structure;
  • An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case accommodating part may include one or more protrusions protruding toward the electrode assembly to prevent the flow of one or more electrodes or unit cells.
  • the one or more protrusions protruding toward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formed to mean that the protrusions ar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out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of the battery case is recessed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is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located.
  • the battery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trudes toward the electrode assembly in order to prevent the flow of one or more electrodes or unit cell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case accommodating portion, thereby preventing the gap between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electrode assembly from occurring. There is an effect to greatly improve the safety of the battery cell.
  • an electrode stacked on the bottom layer of the electrode assembly having a stepped structure with respect to a plane may have a relatively large plane size, and is relatively on the electrode of the bottom layer.
  • One or more electrodes or unit cells having a small plane size may be stacked.
  • the electrode assembly has a relatively complicated structure compared to a conventional electrode assembly having a single layer. Since it may be very difficult to precisely form the position of the electrode or unit cell to be stacked, the electrode or unit cell having a relatively small plane size stacked on a high layer may have a larger gap with the housing.
  • the protrusion may be a structure that is located corresponding to the side of one or more electrodes or unit cells having a relatively small plane size among a plurality of electrodes or unit cells, and in detail, the protrus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ow of the electrodes or unit cells by pressing at least one side of the electrode or unit cell of relatively small plane size.
  •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by pressing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direction, and in detail, the protrusion may have a pyramidal, prismatic or hemispherical shape, and more specifically, may have a trapezoidal column shape.
  • the two or more electrodes or unit cells having different plane sizes ar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width of the electrode or the unit cell is different based on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electrode terminal, or the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ode or the unit cell is different in length.
  • the width of the electrode or the unit cell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structure.
  • two or more electrodes or unit cells having different plane sizes may have the same thickness or different thicknesses, but the thickness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or unit cells may be different.
  • the thickness is based on the lamination direction.
  • the unit cell in a structure in which one or more positive electrodes and one or more negative electrodes are stack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the same type of electrod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unit cell, or the type of electrodes located on both sides It may be another unit cell.
  • the unit cell having the same type of electrode located on both sides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anode is located at both sides, or the cathode is located at both sides.
  • the anode / separation membrane / cathode / separation membrane / anode may be a cathode / separator / anode / separator / cathode, and a structure having a larger number of anodes and cathodes is also possible.
  • the unit cells having different types of electrode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tacked structure have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positioned on both sides, for example, a positive electrode, a separator, and a negative electrode.
  • the shape of the electrodes or the unit cell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shape of the electrodes or unit cells may be a parallelepiped shape, a planar polygon, a circle, or the like. Moreover, it may be flat plate shape, or may be plate shape with a curved surface.
  • two or more electrodes or unit cells having different plane sizes may be stacked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an upper side, a rear side, a left side, and a right side of the housing, based on a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terminals are formed. Accordingly, the position where the protrusions are formed may be determined. That is, for example, when all of the electrodes or the unit cells are stack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 the two or more electrodes or unit cells having different plane sizes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having a different width of the electrode or unit cell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terminal is formed.
  • the electrode or unit cell Are different in width but the same length
  • the electrodes or unit cells may be formed in a stacked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and / or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and the protrusions may be formed with electrode terminals in plan view. It may be one or mo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portion, or one or more formed on the lower side facing the upper side.
  • two or more electrodes or unit cells having different planar sizes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having different lengths of electrodes or unit cells based on a direction in which electrode terminals are formed. Since the unit cells have different lengths but the same widths, the electrodes or unit cells may be formed in a stacked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adjacent to the upper side, and the protrusions may be flat. At least one of the upper side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adjacent to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on the electrode terminal may be formed.
  • two or more electrodes or unit cells having different plane sizes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having a different width and length of an electrode or a unit cell based on a direction in which an electrode terminal is formed. Since the widths and lengths of the electrodes or the unit cells are different, the electrodes or the unit cells may be formed in a stacked structure in contact with any one of an upper side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or left and right sides adjacent to the upper side and the upper side.
  • the protrusions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protrusions is formed on an upper side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in which the electrode terminals are formed in a plane, or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ccommodating part adjacent to the upper side and the upper side. .
  • the size difference between two or more electrodes or unit cells having different plane sizes may vary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width and / or length and the position and shape in which the protrusions are formed depending on where the electrodes or unit cells are stacked. affect.
  • the battery case may be a pouch-type case consisting of a laminate sheet including a resin layer and a metal layer,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is to be formed of a structure consisting of one unit of interconnection, or mutually independent members Can be.
  • the battery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lithium secondary battery.
  •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manufactured by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in a battery case and impregnating the electrode assembly with a lithium salt-containing nonaqueous electrolyt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ttery cell.
  • the upper case and / or the lower case is formed with an accommoda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electrode assembly, the inner surface of the one or more protrusions for preventing the flow of the electrode or unit cell Manufacturing a battery case in which the battery pack is formed;
  •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des or unit cells are stacked in a he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a plane, and at least two or more of the electrodes or unit cells have different plane sizes to form a step structure;
  •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side surface of one or more electrodes or unit cells having a relatively small plane size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des or unit cell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attery pack comprising the battery cell as a unit battery, and a device including the battery pack as a power source.
  • the device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a smartphone, a mobile phone, a notebook computer, a tablet PC,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 electric vehicle, a hybrid electric vehicle,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or a power storage system.
  • FIG. 1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a battery cell including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conventional staircase structure
  • FIG. 2 is a plan view, A-A 'side cross-sectional view and front view of a battery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to 5 are plan views of battery cell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lan view (a), A-A 'side cross-sectional view (b) and front view (c) of a battery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ttery case 120 of the battery cell 100 includes an upper case 125 and a lower case 127, and mounting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to the lower case 127.
  • An accommodating part 130 is formed.
  • the electrode assembly 110 may have two electrodes or unit cells 111 and 112 having different lengths D 1 and D 2 based on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electrode terminals 140 based on a plane. Stacked in the height direction to form a step structure, in this case, the electrode 111 stacked on the bottom layer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of the step structure has a relatively large plane size, and on the electrode 111 is relatively It has a structure in which electrodes or unit cells 112 having a small plane size are stacked.
  • the electrode assembly 110 is mounted to the accommodating part 130 of the battery case 120 and sealed by the battery case 120, and the two electrode terminals 141 and 142 are electrodes or unit cell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tabs 111 and 112 are exposed to the outside.
  • the battery case 120 has a sealing portion 121 in a state where the upper case 125 and the lower case 127 are sealed, and the receiving portion 130 is an outer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having a stepped structure. Steps of the staircase structure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 the electrodes or unit cells 111 and 112 having different plane sizes may have lengths D 1 and D 2 of the electrodes or unit cells 111 and 112 based on a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terminals 140 are formed. Is formed in a different structure, and the electrodes or unit cells 111 and 112 are stack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126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127 and 128 of the housing.
  • protrusions 170, 171, and 172 protruding toward the electrode assembly 110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case accommodating part 130 to prevent the flow of the electrodes or the unit cells 111 and 112. have.
  • the protrusions 170, 171, and 172 are formed in a trapezoidal column shape in which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case accommodating part 130 is recessed when viewed from the front view (c), and the storage part is viewed in the side cross-sectional view (b).
  • the inner surface is formed in a trapezoidal pillar shape protru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110 is located.
  • the protrusions 170, 171, and 172 ar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de or unit cell 112 having a relatively small plane size among the electrodes or the unit cells 111 and 112, and the protrusions 170. , 171 and 172 may prevent the flow of the electrode or unit cell 112 by pressing the side of the electrode or unit cell 112.
  • 3 to 5 schematically show plan views of battery cel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ttery cell 200 of FIG. 3 accommodates electrodes or unit cells 211 and 212 having different plane sizes in the accommodating part 230 of the battery case 220.
  • the electrodes or unit cells 211 and 212 having different plane sizes may have widths W 1 and W 2 of the electrodes or unit cells 211 and 212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terminals 240 are formed. It is formed in different sizes. That is, the width size W 1 of the lowermost electrode or the unit cell 211 is formed to be relatively larger than the width size W 2 of the electrode 212, based on the stacking direction, and the electrodes 211 and 212.
  • each of the protrusions 270, 271 is on the upper surface 226 and the lower surface 229 of the receiving portion It is formed and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ide of the electrode or unit cell 21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ow of the electrodes or unit cells 212.
  • the battery cell 300 of FIG. 4 accommodates two or more electrodes or unit cells 311, 312, and 313 having different plane sizes in the accommodating part 330 of the battery case 320.
  • the electrodes or unit cells 311, 312, and 313 may have widths W 3 , W 4, and W 5 of the electrodes or unit cells 311, 312, and 313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s are formed. And length (D 5, D 6 , D 7 ) is formed in different structures.
  • the electrodes or unit cells 311, 312, and 313 are stack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326 of the housing.
  • the protrusions 370, 371, and 372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326 of the accommodating part, and the protrusions 371 of the electrodes or unit cells 313 stacked on the uppermost layer based on the stacking direction.
  • the protrusions 370 and 372 are position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ide surfaces, and the protrusions 370 and 372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ide surfaces of the electrodes or unit cells 312 stacked on the intermediate layer, so that the flow of the electrodes or unit cells 312 and 313 is achieved. Can be prevented.
  • the battery cell 400 of FIG. 5 includes electrodes or unit cells 411, 412, and 414 having different plane sizes from the battery case 420. and the receiving and the housing 430, these electrodes or unit cells (411, 412, 414) has a width relative to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electrode terminal (440) (W 6, W 7, W 8 ) and the length (D 8 , D 9 , D 10 ) is formed in a different structure.
  • the electrodes or unit cells 411, 412, and 414 are stack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426 and the right side 428 of the accommodating part 430, and the protrusions 470 and 471 are accommodating the accommodating part.
  • the protrusion part 470 is loc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upper side of the electrode or unit cell 413 laminated
  • the protrusions 471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right surfaces of the electrodes or the unit cells 412 stacked on the intermediate layer, thereby preventing the flow of the electrodes or the unit cells 412 and 413. have.
  • the battery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difference between the width and / or length of two or more electrodes or unit cells having different plane sizes, and in which position the electrodes or unit cells are stacked in addition to the size difference type. As a result,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protrusion are formed.
  •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electrode assembly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case accommodating part to prevent the flow of one or more electrodes or unit cells.
  • the gap between the liver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which greatly improves the safety of the battery cell.
  •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electrode assembly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case accommodating part to prevent the flow of one or more electrodes or unit cell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ap between the housing portion and the electrode assembly from occurring even without adding a member for fixing the electrode assembly to the electrode assembly,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safety of the battery cell from external shoc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로서, 둘 이상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은 평면 크기가 서로 달라서 계단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전극조립체; 및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전지케이스 수납부의 내면에는 전극조립체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
본 출원은 2014년 9월 19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4-0125098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최근에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의 동력원으로서 이차전지의 사용이 실현화되고 있어, 그러한 이차전지 중 높은 에너지 밀도와 높은 방전 전압 및 출력 안정성의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다.
리튬 이차전지는 그것의 외형에 따라 크게 원통형 전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 등으로 분류되며, 전해액의 형태에 따라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모바일 기기의 소형화에 대한 최근의 경향으로 인해, 두께가 얇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형태의 변형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중량이 작은 파우치형 전지에 대한 관심이 높은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파우치형 전지는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 내부에 전극조립체와 전해질이 밀봉되어 있는 전지를 말한다. 전지케이스에 수납되는 전극조립체는 젤리-롤형(권취형), 스택형(적층형), 또는 복합형(스택/폴딩형)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한 전극조립체들은 대략 장방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러한 전극조립체들이 전지케이스 내에 내장되어 직육면체 형상의 파우치형 전지셀이 제작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슬림한 타입 또는 다양한 디자인 트랜드로 인하여 새로운 형태의 전지셀이 요구되고 있고, 상기와 같은 장방형의 전극조립체의 경우 디바이스 내부의 공간 활용도에 한계가 있는바, 모바일 기기의 형태에 따른 요구에 수반하여 이차전지가 적용되는 디바이스 모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의 적용 가능한 전극조립체로서 일반적인 장방형의 구조를 벗어나, 여러가지 외형을 갖는 전극조립체들이 개발되고 있다.
도 1에는 하나의 예로서, 계단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셀의 평면도(a) 및 측면도(b)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파우치형 이차전지(10)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20)의 내부에, 양극, 음극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으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30)가 그것의 양극 및 음극 탭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전극리드(40, 4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밀봉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전극조립체(30)는 크기가 다른 다수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31, 32)이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어 계단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전지케이스(20)는 전극조립체(30)가 안착될 수 있는 오목한 형상의 수납부를 포함하는 하부 케이스(21)와 그러한 하부 케이스(21)의 덮개로서 전극조립체(30)를 밀봉하는 상부 케이스(22)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에는 상부 케이스(22)와 하부 케이스(21)가 일체로서 연결되어 있는 부재로서 표시되어 있지만, 각각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진 구조도 가능하다. 이때, 전지케이스(20)의 수납부는 전극조립체(30) 외면 형상에 대응하여 계단 형상의 단차(24)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전지케이스의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전극조립체는 수납부에 밀접하여 수용되도록 수납부의 크기에 들어맞도록 설계되지만, 제조공차로 인해 일정크기의 간극이 생길 수 있고, 더욱이, 크기가 다른 다수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이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어 계단 구조를 형성된 전극조립체인 경우에는 계단 형상의 복잡한 구조로 인해 전극조립체와 수납부의 간극이 더욱 커지기 쉬워 안전성의 문제가 심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의 전지셀은 전지케이스의 수납부와 전극조립체간의 간극으로 인해 전극조립체의 유동이 발생되고 외부 및 내부의 물리적 충격에도 전극조립체가 쉽게 손상될 수 있는 바,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셀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지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전지케이스 수납부의 내면에는 하나 이상의 전극 또는 유닛셀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전극조립체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될 경우, 별도로 전지셀 내부에 전극조립체를 고정하기 위한 부재를 추가하지 않아도, 손쉽게 수납부와 전극조립체 간의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지셀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로서,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부 케이스 및/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에 전극조립체의 장착을 위한 수납부를 포함하는 전지케이스; 및
복수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이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고 그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은 평면 크기가 서로 달라서 계단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전극조립체;
를 포함하며,
상기 전지케이스 수납부의 내면에는 하나 이상의 전극 또는 유닛셀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전극조립체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극조립체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함은, 상기 돌출부가 외부에서 볼 때 전지케이스의 수납부의 외면이 내부로 움푹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수납부 내부에서 볼 경우에는 수납부의 내면에 전극조립체가 위치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전지케이스 수납부의 내면에 하나 이상의 전극 또는 유닛셀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전극조립체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바, 수납부와 전극조립체 간의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지셀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예를 들면, 평면을 기준으로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의 최하부층에 적층되어 있는 전극이 상대적으로 평면 크기가 가장 클 수 있고, 상기 최하부층의 전극 상에는 상대적으로 평면 크기가 작은 하나 이상의 전극 또는 유닛셀이 적층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렇게 크기가 다른 다수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이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인 경우에는 종래의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복잡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적층되는 전극 또는 유닛셀의 위치를 정밀하게 형성시키기가 매우 까다로울 수 있으므로, 높은 층에 적층된 상대적으로 평면 크기가 작은 전극 또는 유닛셀일 수록 수납부와의 간극이 더욱 클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평면 크기가 작은 하나 이상의 전극 또는 유닛셀의 측면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있는 구조일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상대적으로 평면 크기가 작은 전극 또는 유닛셀의 하나 이상의 측면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전극들 또는 유닛셀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는 수납부의 외면을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프레싱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세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각뿔, 각기둥 또는 반구 형상일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사다리꼴 기둥 형상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은 전극단자의 형성 방향을 기준으로 전극 또는 유닛셀의 폭이 다른 구조로 형성되거나, 전극 또는 유닛셀의 길이가 다른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전극 또는 유닛셀의 폭과 길이 모두가 다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은, 그 두께가 동일할 수도, 다를 수도 있으며, 이를 한정하지 아니하나, 상세하게는 두께가 다를 수 있다. 여기서 두께는 적층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유닛셀은, 1개 이상의 양극과 1개 이상의 음극이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로 적층된 구조에서 양면에 위치한 전극의 종류가 동일한 유닛셀, 또는 양면에 위치한 전극의 종류가 다른 유닛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층된 구조에서 양면에 위치한 전극의 종류가 동일한 유닛셀은 양극이 양면에 위치한 구조, 또는 음극이 양면에 위치한 구조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양극/분리막/음극/분리막/양극, 또는 음극/분리막/양극/분리막/음극일 수 있으며, 양극과 음극의 개수가 더 많은 구조도 가능하다. 적층된 구조에서 양면에 위치한 전극의 종류가 다른 유닛셀은 양극과 음극이 각각 하나씩 양면에 위치한 구조로, 예를 들어 양극/분리막/음극일 수 있고, 양극과 음극의 개수가 더 많은 구조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므로, 평행 육면체 형상일수도 있고, 평면상 다각형, 원형 등일 수 있다. 또한, 평판상일 수도 있고, 곡면을 가진 판상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은 전극단자의 형성 방향을 기준으로 수납부의 상측면, 후측면, 좌측면 및 우측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모두 접하도록 적층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돌출부들이 형성되는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상기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 모두가 상측면에 접하여 적층될 경우, 수납부의 상측면에는 돌출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 예에서, 상기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은 전극단자의 형성 방향을 기준으로 전극 또는 유닛셀의 폭이 다른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전극 또는 유닛셀의 폭은 상이하지만 길이는 같으므로, 상기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은 수납부의 상측면 및/또는 하측면에 접하여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는 평면상으로 전극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수납부 상측면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상측면과 대향하고 있는 하측면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은 전극단자의 형성 방향을 기준으로 전극 또는 유닛셀의 길이가 다른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전극 또는 유닛셀의 길이는 상이하지만 폭은 같으므로, 상기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은 수납부의 상측면 및 상기 상측면과 인접하고 있는 좌우 측면들에 접하여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는 평면상으로 전극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수납부의 상측면 및 상기 상측면과 인접하고 있는 좌우 측면들 중 어느 하나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은 전극단자의 형성 방향을 기준으로 전극 또는 유닛셀의 폭 및 길이가 다른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전극 또는 유닛셀의 폭 및 길이가 상이하므로, 상기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은 수납부의 상측면, 또는 상기 상측면 및 상측면과 인접한 좌우 측면들 중 어느 하나에 접하여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들은 평면상으로 전극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수납부의 상측면, 또는 상기 상측면과 상측면에 인접하고 있는 수납부의 좌우 측면들 중 어느 하나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의 크기 차이가 폭 및/또는 길이의 차이와,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이 어느 위치에 적층되는지에 따라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위치와 형상에 영향을 준다.
한편, 상기 전지케이스는 수지층 및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진 파우치형 케이스일 수 있고,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는 상호 연결된 1단위의 부재, 또는 상호 독립적인 부재들로 이루어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상세하게는, 리튬 이차전지일 수 있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상기 전극조립체를 전지케이스에 수납하고, 리튬염 함유 비수 전해액을 전극조립체에 함침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셀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의 제조방법은,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부 케이스 및/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에 전극조립체의 장착을 위한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부의 내면에 전극 또는 유닛셀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제조하는 과정;
복수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이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고, 그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은 평면 크기가 서로 달라서 계단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전극조립체를 제조하는 과정; 및
상기 전지케이스에 전극조립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전해액을 주입한 후 전지케이스의 외주면을 열융착시켜 실링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지케이스를 제조하는 과정은,
(a) 성형 몰드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성형 몰드의 상면에 파우치 필름을 배치시키는 단계;
(c) 상기 성형 몰드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성형 지그를 준비하는 단계; 및
(d) 상기 성형 지그로 상기 파우치 필름을 압착함으로써 상기 전극조립체 수납부 및 상기 전극조립체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내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돌출부를 복수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평면 크기가 작은 하나 이상의 전극 또는 유닛셀의 측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셀을 단위전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및 상기 전지팩을 전원으로서 포함하고 있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휴대폰, 노트북, 테블릿 PC, 웨어러블 전자기기,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전력 저장용 시스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셀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의 평면도, A-A' 측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들의 평면도들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의 평면도(a), A-A' 측단면도(b) 및 정면도(c)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100)의 전지케이스(120)는 상부 케이스(125) 및 하부 케이스(127)로 이루어져 있고, 하부 케이스(127)에 전극조립체(110)의 장착을 위한 수납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극조립체(110)는, 전극단자들(140)의 형성 방향을 기준으로 길이(D1, D2)가 서로 다른 2개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111, 112)이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어 계단 구조를 형성하고 있고, 이때,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110)의 가장 하부층에 적층되어 있는 전극(111)은 상대적으로 평면 크기가 가장 크고, 이러한 전극(111) 상에는 상대적으로 평면 크기가 작은 전극 또는 유닛셀(112)이 적층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전극조립체(110)는 전지케이스(120)의 수납부(130)에 장착되어 전지케이스(120)에 의해 밀봉되어 있고, 두 개의 전극단자들(141, 142)은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111, 112)의 양극 및 음극 탭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전지케이스(120)는 상부 케이스(125)와 하부 케이스(127)가 밀봉된 상태의 실링부(121)가 형성되어 있고, 수납부(130)는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110)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계단 구조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111, 112)은 전극단자들(140)의 형성 방향을 기준으로 전극 또는 유닛셀들(111, 112)의 길이(D1, D2)가 다른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111, 112)은 수납부의 상측면(126) 및 좌우 측면들(127, 128)에 접하여 적층되어 있다.
이때, 전지케이스 수납부(130)의 내면에는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111, 112)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전극조립체(110)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들(170, 171, 17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부들(170, 171, 172)은 정면도(c)에서 보면 전지케이스 수납부(130)의 외면이 내부로 움푹 들어간 사다리꼴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측단면도(b)에서 보면 수납부의 내면에 전극조립체(110)가 위치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사다리꼴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들(170, 171, 172)은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111, 112) 중에서 상대적으로 평면 크기가 작은 전극 또는 유닛셀(112)의 측면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있고, 이러한 돌출부들(170, 171, 172)은 전극 또는 유닛셀(112)의 측면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전극 또는 유닛셀(112)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들의 평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의 전지셀(200)은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211, 212)을 전지케이스(220)의 수납부(230)에 수용하고 있고, 이러한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211, 212)은 전극단자(240)의 형성 방향을 기준으로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211, 212)의 폭(W1, W2)의 크기가 서로 다른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적층 방향을 기준으로 최하층의 전극 또는 유닛셀(211)의 폭 크기(W1)는 전극(212)의 폭 크기(W2)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극들(211, 212)은 수납부(230)의 상측면(226) 및 하측면(229)에 접하도록 적층되어 있고, 각각의 돌출부들(270, 271)은 수납부 상측면(226)과 하측면(229)에 형성되어 있고, 전극 또는 유닛셀(212)의 측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212)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전지셀(300)은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311, 312, 313)을 전지케이스(320)의 수납부(330)에 수용하고 있고, 이러한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311, 312, 313)은 전극단자의 형성 방향을 기준으로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311, 312, 313)의 폭(W3, W4, W5 ) 및 길이(D5, D6, D7)가 서로 다른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311, 312, 313)은 수납부의 상측면(326)과 접하여 적층되어 있다. 이때, 돌출부들(370, 371, 372)은 수납부의 상측면(326)에 형성되어 있고, 그 중, 돌출부(371)는 적층 방향을 기준으로 최상층에 적층된 전극 또는 유닛셀(313)의 측면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있고, 돌출부들(370, 372)은 중간층에 적층된 전극 또는 유닛셀(312)의 측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312, 313)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의 전지셀(300)과 마찬가지로, 도 5의 전지셀(400)은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411, 412, 414)을 전지케이스(420)의 수납부(430)에 수용하고 있고, 이러한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411, 412, 414)은 전극단자(440)의 형성 방향을 기준으로 폭(W6, W7, W8)과 길이(D8, D9, D10)가 서로 다른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411, 412, 414)은 수납부(430)의 상측면(426) 및 우측면(428)에 접하여 적층되어 있고, 각각의 돌출부들(470, 471)은 수납부(430)의 상측면(426) 및 우측면(428)에 형성되어 있고, 그 중, 돌출부(470)는 적층 방향을 기준으로 최상층에 적층된 전극 또는 유닛셀(413)의 상측면에 대응하여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들(471)은 중간층에 적층된 전극 또는 유닛셀(412)의 우측면과 대응하여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412, 413)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의 폭 및/또는 길이의 크기 차이와, 상기 크기 차이 유형 외에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이 어느 위치에 적층되는지에 따라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형상 및 위치에 영향을 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전지케이스 수납부의 내면에 하나 이상의 전극 또는 유닛셀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전극조립체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바, 수납부와 전극조립체 간의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지셀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전지케이스 수납부의 내면에 하나 이상의 전극 또는 유닛셀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전극조립체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바, 별도로 전지셀 내부에 전극조립체를 고정하기 위한 부재를 추가하지 않아도 수납부와 전극조립체 간의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전지셀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로서,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부 케이스 및/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에 전극조립체의 장착을 위한 수납부를 포함하는 전지케이스; 및
    복수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이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고 그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은 평면 크기가 서로 달라서 계단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전극조립체;
    를 포함하며,
    상기 전지케이스 수납부의 내면에는 하나 이상의 전극 또는 유닛셀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전극조립체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평면 크기가 작은 하나 이상의 전극 또는 유닛셀의 측면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대적으로 평면 크기가 작은 전극 또는 유닛셀의 하나 이상의 측면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전극들 또는 유닛셀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수납부의 외면을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프레싱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각뿔, 각기둥 또는 반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사다리꼴 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은 전극단자의 형성 방향을 기준으로 전극 또는 유닛셀의 폭 및/또는 길이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은 적층 방향을 기준으로 두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셀은, 1개 이상의 양극과 1개 이상의 음극이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로 적층된 구조에서 양면에 위치한 전극의 종류가 동일한 유닛셀, 또는 양면에 위치한 전극의 종류가 다른 유닛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은 전극단자의 형성 방향을 기준으로 전극 또는 유닛셀의 폭이 다르고, 상기 돌출부는 평면상으로 전극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수납부 상측면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상측면과 대향하고 있는 하측면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은 전극단자의 형성 방향을 기준으로 전극 또는 유닛셀의 길이가 다르고, 상기 돌출부는 평면상으로 전극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수납부의 상측면 및 상기 상측면과 인접하고 있는 수납부의 좌우 측면들 중 어느 하나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은 전극단자의 형성 방향을 기준으로 전극 또는 유닛셀의 폭 및 길이가 다르고, 상기 돌출부들은 평면상으로 전극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수납부의 상측면, 또는 상기 상측면과 상측면에 인접한 수납부의 좌우 측면들 중 어느 하나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케이스는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진 파우치형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는 상호 연결된 1단위의 부재, 또는 상호 독립적인 부재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리튬 이차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6. 제 1 항에 따른 전지셀의 제조방법으로서,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부 케이스 및/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에 전극조립체의 장착을 위한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부의 내면에 전극 또는 유닛셀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제조하는 과정;
    복수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이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고, 그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은 평면 크기가 서로 달라서 계단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전극조립체를 제조하는 과정; 및
    상기 전지케이스에 전극조립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전해액을 주입한 후 전지케이스의 외주면을 열융착시켜 실링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제조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케이스를 제조하는 과정은,
    (a) 성형 몰드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성형 몰드의 상면에 파우치 필름을 배치시키는 단계;
    (c) 상기 성형 몰드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성형 지그를 준비하는 단계; 및
    (d) 상기 성형 지그로 상기 파우치 필름을 압착함으로써 상기 전극조립체 수납부 및 상기 전극조립체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내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형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제조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를 복수의 전극들 또는 유닛셀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평면 크기가 작은 하나 이상의 전극 또는 유닛셀의 측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제조방법.
  19.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지셀을 단위전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20. 제 19 항에 따른 전지팩을 전원으로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휴대폰, 노트북, 테블릿 PC, 웨어러블 전자기기,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전력 저장용 시스템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PCT/KR2015/009473 2014-09-19 2015-09-09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 WO2016043468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328,651 US11127981B2 (en) 2014-09-19 2015-09-09 Battery cell including battery case having protrusion corresponding to stepped electrode assembly
JP2017502852A JP6635521B2 (ja) 2014-09-19 2015-09-09 階段構造の電極組立体に対応する突出部が形成されている電池ケースを含む電池セル
EP15841182.7A EP3159959B1 (en) 2014-09-19 2015-09-09 Battery cell including battery case having projecting portion formed thereon corresponding to step-structured electrode assembly
CN201580041087.XA CN106797045B (zh) 2014-09-19 2015-09-09 包括具有与阶梯式电极组件相对应的凸起的电池壳体的电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098A KR101725903B1 (ko) 2014-09-19 2014-09-19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2014-0125098 2014-09-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43468A1 true WO2016043468A1 (ko) 2016-03-24

Family

ID=55533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9473 WO2016043468A1 (ko) 2014-09-19 2015-09-09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27981B2 (ko)
EP (1) EP3159959B1 (ko)
JP (1) JP6635521B2 (ko)
KR (1) KR101725903B1 (ko)
CN (1) CN106797045B (ko)
WO (1) WO20160434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643B1 (ko) * 2016-09-19 2019-08-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JP7246889B2 (ja) * 2018-10-19 2023-03-28 株式会社エンビジョンAescジャパン 組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0357A (ko) * 2003-08-22 2005-03-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 전지
KR20070098399A (ko) * 2006-03-30 2007-10-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증가된 이차전지
KR20130113366A (ko) * 2012-04-05 2013-10-15 주식회사 엘지화학 계단 구조의 전지셀
KR20140005614A (ko) * 2012-07-05 2014-0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 케이스 성형 장치, 파우치 케이스 성형 지그,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파우치 케이스 및 파우치 케이스 제조 방법
KR20140103402A (ko) * 2013-02-18 2014-08-27 (주)오렌지파워 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0584A (ja) 1999-01-04 2000-07-18 Mitsubishi Electric Corp 角型電池
JP3611765B2 (ja) 1999-12-09 2005-01-19 シャープ株式会社 二次電池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DE602007013256D1 (de) 2006-08-21 2011-04-28 Lg Chemical Ltd Sekundärbatterie des beuteltyps mit verbesserter sicherheit und ausgezeichneter herstellungsprozesseigenschaft
KR20140100032A (ko) * 2013-02-05 2014-08-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0357A (ko) * 2003-08-22 2005-03-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 전지
KR20070098399A (ko) * 2006-03-30 2007-10-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증가된 이차전지
KR20130113366A (ko) * 2012-04-05 2013-10-15 주식회사 엘지화학 계단 구조의 전지셀
KR20140005614A (ko) * 2012-07-05 2014-0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 케이스 성형 장치, 파우치 케이스 성형 지그,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파우치 케이스 및 파우치 케이스 제조 방법
KR20140103402A (ko) * 2013-02-18 2014-08-27 (주)오렌지파워 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159959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59959A4 (en) 2017-05-03
CN106797045B (zh) 2019-06-07
EP3159959B1 (en) 2018-12-26
KR101725903B1 (ko) 2017-04-11
US11127981B2 (en) 2021-09-21
JP6635521B2 (ja) 2020-01-29
EP3159959A1 (en) 2017-04-26
US20170214094A1 (en) 2017-07-27
JP2017532713A (ja) 2017-11-02
CN106797045A (zh) 2017-05-31
KR20160034056A (ko) 201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68948A1 (ko) 비정형 구조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WO2014137112A1 (ko)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WO2014123329A1 (ko)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WO2014126338A1 (ko) 안전성이 향상된 신규한 구조의 전지셀
WO2014168397A1 (ko) 라운드 코너를 포함하는 전지셀
WO2013168980A1 (ko) 비정형 구조의 전지팩
WO2013151249A1 (ko) 계단 구조의 전지셀
WO2020204407A1 (ko) 이차 전지용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WO2015122667A1 (ko) 실링부에 홈을 포함하고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WO2013069953A1 (ko) 신규한 구조의 전지셀
WO2019074193A1 (ko) 원통형 이차전지 모듈 및 원통형 이차전지 모듈 생산 방법
WO2014027783A1 (ko) 벤팅 유도부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WO2013100643A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WO2014137120A1 (ko) 젤리롤 타입의 전극 조립체 제조방법 및 젤리롤 타입의 폴리머 이차전지 제조방법
WO2014042400A1 (ko) 적층형 이차전지
WO2014126358A1 (ko) 엇갈린 배열 구조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셀
WO2017135718A1 (ko) 열가소성 수지에 의한 고정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팩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WO2015005652A1 (ko)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지 및 디바이스
WO2016056776A1 (ko)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
WO2016056764A1 (ko) 양 방향으로 권취되어 있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9146892A1 (en) Battery module comprising a housing with integrated bus bar
WO2020145737A1 (ko)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WO2019031702A1 (ko) 배터리 셀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WO2020101353A1 (ko) 파우치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WO2021038545A1 (ko)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4118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502852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841182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841182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328651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