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10205A1 - 전선관 - Google Patents

전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10205A1
WO2016010205A1 PCT/KR2014/011818 KR2014011818W WO2016010205A1 WO 2016010205 A1 WO2016010205 A1 WO 2016010205A1 KR 2014011818 W KR2014011818 W KR 2014011818W WO 2016010205 A1 WO2016010205 A1 WO 201601020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duit
groove
conductive
area
surfac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1181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권병운
김은하
Original Assignee
권병운
김은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병운, 김은하 filed Critical 권병운
Publication of WO201601020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1020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reducing conductor losses when carrying alternating current, e.g. due to skin effe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2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heat dissipation or conduc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uit,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conduit, by forming a skin area enlargement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at least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tube body,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conduction current through the tubular conduit. It is for the purpose of making it possible.
  • conduits are used to transmit or distribute electricity remotely.
  • the conduit as described above is maximized because of the high current and high current supplied.
  • the diameter of the conventional conduit has to be increased in order to increase the conduction current due to the skin effect.
  • the conventional conduit generates heat in the current passing process, but does not have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t dissipation of heat generated during the energization process is not made smoothly.
  • the conventional conduit has to have a large diameter in order to increase the conduction current due to the skin effect, and thus it is not easy to miniaturize, and the conventional conduit generates heat in the conduction process of the current. It does not have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heat dissipation of the heat generated during the energization process is not made smoothl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nlarged skin area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at least one of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tube body.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xtend the skin area on any one or more of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it by maximizing the conduction current by forming a skin area expansion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any one or more of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it. Cooling is carried out through the ventilation through the enlarged area is a smooth heat dissipation of heat generated during the energization proces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conduit.
  •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carried out with a circular groove of the skin area expansion groove of the condui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carried out by the triangular groove the skin area expansion groove of the condui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n illustration of a vent hol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duit.
  • FIG. 5 is an exemplary view in which a conductive pip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conduit is formed in multiple layers.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ximize the conduction current by widening the surface area of the conduit and to facilitate the heat dissipation of heat generated during the conduction process.
  • the surface area enlarged groove 1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tubular body 10.
  • the skin area expanding groove 1 may be formed by selectively forming any one of a square groove, a triangular groove, and a circular groove.
  • the skin area expanding groove 1 is formed on both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pipe body 10, but the depth of the skin area expanding groove 1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nductive pipe body 1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pipe body 10. It can be carried out by forming longer than the depth of the skin area expansion groove (1) to form the same surface area of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tube body 10.
  • the conductive pipe body 10 can be formed by forming a multilayer in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 the conductive tube body 10 having the same diameter is formed.
  • the surface area is maximized to maximize the amount of current due to the skin effect, and through the surface area expansion groove (1) is made of air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generated in the current flow process of the current is made smoothly.
  • the skin area expanding groove 1 is formed on both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pipe body 10, but the depth of the skin area expanding groove 1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nductive pipe body 1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pipe body 10. If the skin area is formed longer than the depth of the enlarged groove (1) to form the same surface area of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pipe body 10, the surface area of the inner surface and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pipe body 10 is the same. It is formed so as not to cause variations in the skin resistance, and uniform energization is achieved at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conductive tube 10.
  • the conductive tube body 10 is formed in a plurality of layers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a large amount of current is conducted in one conduit.
  • the vent pipe 2 is formed in the conductive pipe body 10 and communicates with the hollow portion 11 at regular intervals, the hollow tube 11 is ventilated to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duit. The heat dissipation of the generated heat is made smoothly.

Landscapes

  • Insulated Conductor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관에 있어서, 도전관체의 내면과 외면 중 어느 일측 이상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표피면적 확대홈을 형성하여서, 관형 전선관을 통한 통전 전류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전선관에 있어서, 도전관체의 내면과 외면 중 어느 일측 이상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표피면적 확대홈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선관의 내면과 외면 중 어느 일측 이상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표피면적 확대홈을 형성함으로써 전선관의 내면과 외면 중 어느 일측 이상에 표피면적이 확대되어서 통전전류가 극대화되고, 상기 표피면적 확대홈을 통한 통기를 통하여 냉각이 이루어져 통전과정에 발생한 열의 방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선관
본 발명은 전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관에 있어서, 도전관체의 내면과 외면 중 어느 일측 이상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표피면적 확대홈을 형성하여서, 관형 전선관을 통한 통전 전류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관은 전기를 원거리로 전송하거나 분배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전선관은 고압과 과전류의 전류가 공급됨으로 인하여 그 단면 적을 최대화하여 실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전선관을 이용한 통전에 있어서 전기는 표피효과에 의하여 통전되므로 전선관을 굵게 하는 것보다 표면 적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장 통전에 유용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선관은 표피효과에 의한 통전 전류를 높이기 위하여는 직경을 크게 하여야 하므로 소형화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선관은 전류의 통전과정에 발열이 발생하고 있으나 방열 구조를 가지지 않아 통전과정에 발생한 열의 방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선관은 표피효과에 의한 통전 전류를 높이기 위하여는 직경을 크게 하여야 하므로 소형화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과, 종래의 전선관은 전류의 통전과정에 발열이 발생하고 있으나 방열 구조를 가지지 않아 통전과정에 발생한 열의 방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전선관에 있어서, 도전관체의 내면과 외면 중 어느 일측 이상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표피면적 확대홈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선관의 내면과 외면 중 어느 일측 이상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표피면적 확대홈을 형성함으로써 전선관의 내면과 외면 중 어느 일측 이상에 표피면적이 확대되어서 통전전류가 극대화되고, 상기 표피면적 확대홈을 통한 통기를 통하여 냉각이 이루어져 통전과정에 발생한 열의 방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 전선관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 전선관의 표피면적 확대홈을 원형홈으로 실시한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 전선관의 표피면적 확대홈을 삼각홈으로 실시한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 전선관의 도전관체 외면에 통기공을 실시한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 전선관의 도전관체를 복층으로 형성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전선관의 표피면적을 넓혀 통전전류를 극대화하고 통전과정에 발생한 열의 방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관체로 형성된 전선관에 있어서, 도전관체(10)의 내면과 외면 중 어느 일측 이상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표피면적 확대홈(1)을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표피면적 확대홈(1)은 사각홈과 삼각홈 및 원형홈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표피면적 확대홈(1)은 도전관체(10)의 내면과 외면에 모두 형성하되 상기 도전관체(10) 내면의 표피면적 확대홈(1)의 깊이가 도전관체(10) 외면에 형성된 표피면적 확대홈(1)의 깊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도전관체(10)의 내면과 외면의 표피면적이 동일면적을 이루게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도전관체(10)를 동일 단면적을 이루게 복층으로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도전관체(10)에 일정 간격으로 중공부(11)로의 공기 통기가 이루어지게 통기공(2)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선관에 있어서, 도전관체(10)의 내면과 외면 중 어느 일측 이상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표피면적 확대홈(1)을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동일 직경을 갖는 도전관체(10)에 있어 표피면적이 극대화되어 표피효과에 의한 통전량이 극대화되고, 상기 표피면적 확대홈(1)을 통하여 공기의 통기가 이루어져 전류의 통전과정에 발생하는 방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표피면적 확대홈(1)은 도전관체(10)의 내면과 외면에 모두 형성하되 상기 도전관체(10) 내면의 표피면적 확대홈(1)의 깊이가 도전관체(10) 외면에 형성된 표피면적 확대홈(1)의 깊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도전관체(10)의 내면과 외면의 표피면적이 동일면적을 이루게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도전관체(10)의 내면과 외면의 표피면적이 동일하게 형성되어서 표피저항의 편차가 발생하지 않아 도전관체(10)의 내, 외면에서 균일한 통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도전관체(10)를 동일 단면적을 이루게 복층으로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하나의 전선관으로 대용량의 전류 통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도전관체(10)에 일정 간격으로 중공부(11)와 연통되는 통기공(2)을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중공부(11)로의 통기가 이루어져 전선관의 내면에서 발생한 발열의 방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1 : 표피면적 확대홈
2 : 통기공
10 : 도전관체
11 : 중공부

Claims (5)

  1. 관체로 형성된 전선관에 있어서;
    도전관체(10)의 내면과 외면 중 어느 일측 이상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표피면적 확대홈(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피면적 확대홈(1)은 사각홈과 삼각홈 및 원형홈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피면적 확대홈(1)은 도전관체(10)의 내면과 외면에 모두 형성하되 상기 도전관체(10) 내면의 표피면적 확대홈(1)의 깊이가 도전관체(10) 외면에 형성된 표피면적 확대홈(1)의 깊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도전관체(10)의 내면과 외면의 표피면적이 동일면적을 이루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4. 제 1 항에 있어서;
    도전관체(10)를 동일 단면적을 이루게 복층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5. 제 1 항에 있어서;
    도전관체(10)에 일정 간격으로 중공부(11)로의 공기 통기가 이루어지게 통기공(2)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PCT/KR2014/011818 2014-07-18 2014-12-04 전선관 WO201601020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906 2014-07-18
KR1020140090906A KR20160010075A (ko) 2014-07-18 2014-07-18 버스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10205A1 true WO2016010205A1 (ko) 2016-01-21

Family

ID=55078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11818 WO2016010205A1 (ko) 2014-07-18 2014-12-04 전선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010075A (ko)
WO (1) WO2016010205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53928A (zh) * 2017-11-28 2018-05-18 安徽瑞侃电缆科技有限公司 一种高变形量的可变式防过热电缆
CN108074669A (zh) * 2017-11-28 2018-05-25 安徽瑞侃电缆科技有限公司 一种结构紧凑的可变式防过热电缆
CN108109765A (zh) * 2017-11-28 2018-06-01 安徽瑞侃电缆科技有限公司 一种可变式防过热电缆
DE102017211547A1 (de) * 2017-07-06 2019-01-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Modularer Mehrpegelenergiewandler
JP2023026273A (ja) * 2021-08-12 2023-02-24 高兆祥 導体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3658A (ja) * 2010-03-15 2011-09-29 Toshiba Corp ガス絶縁母線用導体
KR101089675B1 (ko) * 2011-08-18 2011-12-07 제우스텍 주식회사 다층 관형 버스바
JP2014116094A (ja) * 2012-12-06 2014-06-26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電線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482B1 (ko) 2008-10-22 2009-06-11 이광수 복층 관형 버스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3658A (ja) * 2010-03-15 2011-09-29 Toshiba Corp ガス絶縁母線用導体
KR101089675B1 (ko) * 2011-08-18 2011-12-07 제우스텍 주식회사 다층 관형 버스바
JP2014116094A (ja) * 2012-12-06 2014-06-26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電線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11547A1 (de) * 2017-07-06 2019-01-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Modularer Mehrpegelenergiewandler
CN108053928A (zh) * 2017-11-28 2018-05-18 安徽瑞侃电缆科技有限公司 一种高变形量的可变式防过热电缆
CN108074669A (zh) * 2017-11-28 2018-05-25 安徽瑞侃电缆科技有限公司 一种结构紧凑的可变式防过热电缆
CN108109765A (zh) * 2017-11-28 2018-06-01 安徽瑞侃电缆科技有限公司 一种可变式防过热电缆
CN108053928B (zh) * 2017-11-28 2019-10-01 云南多宝电缆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高变形量的可变式防过热电缆
CN108074669B (zh) * 2017-11-28 2019-12-24 云南多宝电缆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结构紧凑的可变式防过热电缆
JP2023026273A (ja) * 2021-08-12 2023-02-24 高兆祥 導体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075A (ko) 201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10205A1 (ko) 전선관
EP3748251A4 (en) PROCESS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HEAT DISCHARGE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EP3088972A3 (en) Hvac controller with predictive cost optimization
MY158877A (en) Holder for pipe in heat exchanger,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heat exchanger using said holder, and air conditioner and/or outdoor unit having said heat exchanger
EP3435004A4 (en) HEAT EXCHANGE SYSTEM,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AND AIR CONDITIONING SYSTEM CONTROL METHOD
GB201806851D0 (en) Heat exchanger,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flattened u-bend pipes
ITMI20042118A1 (it) Dispositivo e procedimento di connessione per la realizzazione di canali per riscaldament condizionamento ventilazione e simili
EP3842728A4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ING
WO2016087054A3 (de) Beheizungssystem für eine fluidführende leitung
WO2016037606A3 (de) Wandheizsystem
CN104296339A (zh) 一种墙体空调末端
CN104196136B (zh) 一种自动控温内墙保温板
SG11201912006TA (en) System for circulating air through double pipes for supplying gas and air circulation method using same
EP3315869A4 (en) HEAT EXCHANGER AND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101672630B1 (ko) 버스바
BR112018071425A2 (pt) aparelho de manipulação de duto, ferramenta de recuperação de tubulação flexível, e, método de manipular um duto flexível
BR112018003819A2 (pt) sistema para extrusão e secagem de um corpo alveolar extrudado, e, método para secagem de corpos alveolares extrudados.
MY193834A (en) Passive chilled panel
NZ725912A (en) Ducting systems
CN207415549U (zh) 一种散热热切刀
CN202042624U (zh) 接线管
WO2013024995A2 (ko) 다층 관형 버스바
EP3850292A4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ING WITH IT
EP3805660A4 (en) HEAT EXCHANGER ARRANGEMENT AND AIR CONDITIONING
EP3862713A4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9754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6.05.2017)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9754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