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24995A2 - 다층 관형 버스바 - Google Patents

다층 관형 버스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24995A2
WO2013024995A2 PCT/KR2012/006148 KR2012006148W WO2013024995A2 WO 2013024995 A2 WO2013024995 A2 WO 2013024995A2 KR 2012006148 W KR2012006148 W KR 2012006148W WO 2013024995 A2 WO2013024995 A2 WO 2013024995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us bar
conductive
conductive tube
sectional area
layer tub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614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3024995A3 (ko
Inventor
노승태
Original Assignee
제우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우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우스텍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3024995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24995A2/ko
Publication of WO2013024995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24995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02Single bars, rods, wires, or stri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02G5/061Tubular ca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5Laminated bus-b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10Cool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ayer tubular busbar, and more particularly, in a multilayer tubular busbar, two or more conductive tubular bodies are formed in the same cross-section with the same internal resistance value, so that the amount of current is evenly applied in the process of energizing the current.
  • the purpose is to allow distributed energization.
  • busbars are used to supply or distribute current in distribution boards.
  • the bus bar is maximized in cross-sectional area due to the supply of high voltage and overcurrent.
  • the conventional multilayer tubular bus bar as described above has the same thickness of the outermost conductive tube and the innermost conductive tube,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toward the innermost portion, thereby increasing the internal resistance, thereby substantially reducing the outermost conductive tube.
  • the bias is energized.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conventional multilayer tubular busbar is not uniformly distributed through the current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outermost conductive tube and the innermost conductive tube.
  • two or more conductive tubes are formed in the same cross-section with the same internal resistance value.
  • the conductive tubular body is formed in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in the multilayer tubular bus bar to have the same internal resistance value, so that the conductive current is evenly distributed and energized in all conductive tubular bodies in the current flow.
  • FIG. 1 is an exemplar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a sectional view according to FIG. 1;
  • Figure 3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n exemplary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n exemplary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the current is evenly distributed through all conductive tubes in the multilayer tubular busbar.
  •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layered tube bus bar composed of two or more conductive tubes 110 in a multi-layered structure so as to maximize the amount of current passing through the skin effect as shown in FIGS.
  • the conductive tubes 110 are formed to have the same internal resistance value and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 the configuration of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ductive tube 110 may be performed by forming a thicker thickness of the conductive tube 110 toward the inner side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sam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conductive tube body 110 may be performed by forming the conductive tube body 110 into a corrugated conductive tube body 110 toward the inner side as shown in FIG. 3.
  • the multilayer vent hole 130 is formed between the conductive pipes 110 stacked in multiple layers at both ends of the bus bar 100, and a connection part for connection.
  • the outer surface of both ends of the bus bar 100 may be crimped so that the 101 may be formed to form four or more polygonal tubular bodies.
  • the conductive tube body 110 is formed of aluminum that is easily extruded, and heat dissipation according to the heat dissipation effect of the projections on the surface of the outermost conductive tube body 110 is performed. It can be carried out by forming an outer surface heat radiating protrusion 140 to maximize the.
  •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in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having two or more conductive tubes 110 having the same internal resistance value to the distribution board, the current is applied to both ends, and applied to both ends.
  • the current is evenly distributed in the conductive tube 110 formed of the multilayer.
  • each conductive tube 110 is uniformly distributed and energized by the skin effect through the surface of each conductive tube 110 having the same internal resistance as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 a cooling vent is formed in the innermost conductive tube 110, and the outer surface of both ends of the bus bar 100 is compressed to form a connection portion 101 formed of four or more polygonal tubular bodies at the corners of each layer.
  • the conductive tube body 110 made of aluminum, and the heat radiation projection 140 on the surface of the outermost conductive tube 110 is easy to manufacture and release of hea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use The smooth current flow is 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관형 버스바에 관한 것으로서, 전류의 통전과정에 있어 균등하게 전류량이 분산 통전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다층 관형 버스바에 있어서,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도전관체들이 동일 내부 저항값을 갖게 동일 단면적으로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층 관형 버스바에 있어 도전관체를 동일 단면적으로 형성하여 동일한 내부 저항값을 갖게 함으로써 전류의 통전에 있어 모든 도전관체에 고르게 분산 통전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층 관형 버스바
본 발명은 다층 관형 버스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층 관형 버스바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의 구성되는 도전관체를 동일 내부 저항값을 갖게 동일 단면적으로 형성하여서, 전류의 통전과정에 있어 균등하게 전류량이 분산 통전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바는 분전반에서 전류를 공급하거나 분배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버스바는 고압과 과전류의 전류가 공급됨으로 인하여 그 단면 적을 최대화하여 실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버스바를 이용한 통전에 있어서 전기는 표피효과에 의하여 표면을 통해서만 통전되므로 버스바의 굵게 하는 것보다 표면 적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장 통전에 유용한 것이나 분전반의 구조에 따른 설치면적으로 제한으로 인하여 그 표면 적의 극대화에 한계가 따르는 문제점이 있어 특허 제902482호와 같이 다층의 관체로 구성한 버스바가 개발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다층관형 버스바는 최 외측 도전관체와 최 내측 도전관체의 두께가 동일하여 최 내측으로 갈 수 록 단면적이 적어져서 내부저항이 증대되어 실질적으로는 최 외측 도전관체에 편중되어 통전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다층관형 버스바가 최 외측 도전관체와 최 내측 도전관체의 내부 저항의 차이로 인하여 통전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다층 관형 버스바에 있어서,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도전관체들이 동일 내부 저항값을 갖게 동일 단면적으로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층 관형 버스바에 있어 도전관체를 동일 단면적으로 형성하여 동일한 내부 저항값을 갖게 함으로써 전류의 통전에 있어 모든 도전관체에 고르게 분산 통전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예시 사시도.
도 2는 도 1 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예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예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예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다층 관형 버스바를 구성함에 있어 모든 도전관체에 전류가 고루 분산 통전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피효과에 의한 전류 통전량을 최대화할 수 있게 두 개 이상의 도전관체(110)를 다층으로 구성한 다층관형 버스바에 있어서,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도전관체(110)들이 동일 내부 저항값을 갖게 동일 단면적으로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도전관체(110)의 동일 단면적의 구성은 도 1 과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갈수록 도전관체(110)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전관체(110)의 동일 단면적 구성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갈수록 도전관체(110)를 주름 형 도전관체(110)로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최 내측 도전관체(110)의 지름을 최 외측 도전관체(110) 지름의 10% 이상으로 형성하여 중심에 냉각 통기공(120)이 형성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100)의 양단에서 다층으로 적층된 도전관체(110) 사이에 적층 통기공(130)이 형성되게 함과 더불어 접속을 위한 접속부(101)가 형성되게 버스바(100)의 양단 측 외면을 압착하여 4 각 이상의 다각 관체를 이루게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전관체(110)를 압출성형이 용이한 알루미늄으로 형성하고, 최 외측 도전관체(110)의 표면에 알루미늄의 돌기 방열효과에 따른 방열을 극대화할 수 있게 외면 방열돌기(140)를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층관형 버스바에 있어서,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도전관체(110)들이 동일 내부 저항값을 갖게 동일 단면적으로 형성한 본 발명을 분전반에 적용하여서 양단에 전류를 통전시키면, 양단에 인가된 전류가 다층으로 이루어진 도전관체(110)에 고르게 분산된다.
이상과 같이 각 도전관체(110)로 분산된 전류는 동일 단면 적을 이루어 동일 내부저항값을 갖는 각각의 도전관체(110)의 표면을 통한 표피효과에 의하여 고르게 분산 통전되는 것이다.
또한, 최 내측 도전관체(110)에 냉각 통기공을 형성하고, 버스바(100)의 양단 측 외면을 압착하여 4 각 이상의 다각 관체로 형성한 접속부(101)를 형성하여 각 층의 모서리부분에서 적층 통기공(130)이 형성되게 실시함으로써 통전과정에 발생하는 열이 원활하게 방열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도전관체(110)를 알루미늄으로 형성하고, 최 외측 도전관체(110)의 표면에 방열돌기(140)를 형성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사용과정에 있어 발생하는 열의 방출이 원활하여 전류의 통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Claims (6)

  1. 표피효과에 의한 전류 통전량을 최대화할 수 있게 두 개 이상의 도전관체를 다층으로 구성한 다층관형 버스바에 있어서;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도전관체(110)들이 동일 내부 저항값을 갖게 동일 단면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관형 버스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관체(110)의 동일 단면적의 구성은 내측으로 갈수록 도전관체(110)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관형 버스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관체(110)의 동일 단면적 구성은 내측으로 갈수록 도전관체(110)를 주름 형 도전관체(110)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관형 버스바.
  4. 제 1 항에 있어서;
    최 내측 도전관체(110)의 지름을 최 외측 도전관체(110) 지름의 10% 이상으로 형성하여 중심에 냉각 통기공(12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관형 버스바.
  5. 제 1 항에 있어서;
    버스바(100)의 양단에서 다층으로 적층된 도전관체(110) 사이에 적층 통기공(130)이 형성됨과 더불어 접속을 위한 접속부(101)이 형성되게 버스바(100)의 양단 측 외면을 압착하여 4 각 이상의 다각 관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관형 버스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관체(110)를 압출성형이 용이한 알루미늄으로 형성하고, 최 외측 도전관체(110)의 표면에 알루미늄의 돌기 방열효과에 따른 방열을 극대화할 수 있게 외면 방열돌기(14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관형 버스바.
PCT/KR2012/006148 2011-08-18 2012-08-01 다층 관형 버스바 WO2013024995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979 2011-08-18
KR1020110081979A KR101089675B1 (ko) 2011-08-18 2011-08-18 다층 관형 버스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24995A2 true WO2013024995A2 (ko) 2013-02-21
WO2013024995A3 WO2013024995A3 (ko) 2013-04-11

Family

ID=45505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6148 WO2013024995A2 (ko) 2011-08-18 2012-08-01 다층 관형 버스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89675B1 (ko)
WO (1) WO201302499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075A (ko) * 2014-07-18 2016-01-27 권병운 버스바
CN105931700A (zh) * 2016-04-28 2016-09-07 深圳市智豪特材科技有限公司 含复合绝缘层的1kV及以下绝缘管型母线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0936U (ja) * 1991-12-05 1993-07-02 日新電機株式会社 ブスバー
JP2001359230A (ja) * 2000-06-12 2001-12-26 Fujitsu Ltd 電源バスバー
KR100902482B1 (ko) * 2008-10-22 2009-06-11 이광수 복층 관형 버스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0936U (ja) * 1991-12-05 1993-07-02 日新電機株式会社 ブスバー
JP2001359230A (ja) * 2000-06-12 2001-12-26 Fujitsu Ltd 電源バスバー
KR100902482B1 (ko) * 2008-10-22 2009-06-11 이광수 복층 관형 버스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9675B1 (ko) 2011-12-07
WO2013024995A3 (ko) 201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43224T3 (es) Cable con capa barrera
CN104167254B (zh) 具有超软铝导体的电动汽车内部用双护套高压连接电缆及制作方法
JP2017509507A5 (ko)
CN205621469U (zh) 一种高分子绝缘材料电缆
WO2013024995A2 (ko) 다층 관형 버스바
RU2476965C2 (ru) Кабель с параллельной структурой и арматурой для проводников, обладающий высокой проводимостью
CN104183311A (zh) 具有超柔软铝导体的电动汽车内部用高压连接电缆及制作方法
CN203574880U (zh) 多芯碳纤维发热电缆
CN104392783A (zh) 一种紧凑型抗挤压电缆
WO2015108395A1 (ko) 전열 케이블 및 이를 이용한 건식 바닥 난방 시스템
JP2014525649A5 (ko)
WO2016010205A1 (ko) 전선관
WO2021015470A1 (ko) 전자파 방지용 필름면상발열체
CN201402642Y (zh) 诺梅克斯绝缘组合换位导线
CN106158108A (zh) 一种防水绝缘电力电缆
CN104051070A (zh) 一种输送大电流母线
KR101707215B1 (ko) 에폭시 분체 절연 부스덕트
CN101341556A (zh) 交错的平面变压器初级绕组和次级绕组
CN205610151U (zh) 一种散热性好的大电流多层母排
CN215815223U (zh) 一种适用于交联聚乙烯防潮阻水工业电缆
CN204792044U (zh) 一种铝合金mc电缆
CN203642308U (zh) 耐温发热网席
CN105913906A (zh) 一种电力电缆
CN216212523U (zh) 一种高效节能环保型热缩辐照电缆
CN220065252U (zh) 矿物绝缘金属护套防火电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2422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7-06-2014)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2422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