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06899A1 -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 - Google Patents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WO2016006899A1 WO2016006899A1 PCT/KR2015/006964 KR2015006964W WO2016006899A1 WO 2016006899 A1 WO2016006899 A1 WO 2016006899A1 KR 2015006964 W KR2015006964 W KR 2015006964W WO 2016006899 A1 WO2016006899 A1 WO 2016006899A1
- Authority
- WO
- WIPO (PCT)
- Prior art keywords
- base plate
- heating pipe
- plate portion
- cup
- hea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4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789 fastener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1965 increased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826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44 surfac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4282 Grewia occident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847 Jaw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282 Nail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83 cement mort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5 constru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8220 erythropoietic protoporphyr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08 flo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81 foam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1 foam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59 shock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29 step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6—Tubes specially adapted for underfloor hea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7—Mechanical connections between pan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5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support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underlayer
- E04F2015/02061—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support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underlayer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underlay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은 콘크리트 슬라브의 상면에 배치되어 그 상부로 난방배관이 고정되는 것으로, 사각판재 형상으로 구비되는 베이스판부 및 이 베이스판부의 상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 구비되는 것으로 난방배관을 끼움 고정하는 배관홀더 및 상기 베이스판부의 하면에서 하방향으로 컵형상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깊이를 갖는 공간을 형성한 돌출컵부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부와 배관홀더 그리고 돌출컵부는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되, 상기 돌출컵부는 바닥면 중심에 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홀에는 나사체결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부의 높이가 조절되게 나사부를 구비한 높이조절 나사부재가 체결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판부는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돌출컵부의 하면을 기준으로 같거나 낮은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처짐방지돌기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콘크리트 슬라브의 상면 즉, 시공 대상면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조립하여 확장이 가능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으며, 특히 상부로 노출된 나사부재의 머리부를 좌·우로 돌리는 간소한 작업만으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므로 콘크리트 슬라브가 갖는 구배를 보상하여 수평면을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종전의 수평면 시공몰탈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아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작업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높은 시공품질을 보장하며 아울러 공기단축을 통한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은 나사부재의 머리를 확장하여 된 메쉬판부에 의해 마감몰탈의 균열발생을 억제하고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임으로써 시공품질의 향상과 종전의 와이어 메쉬 시공에 따른 폐단을 해소하여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층간소음 저 감용 난방배관 패널은 홀더의 구조를 개선하여 사방향으로 난방배관에 대한 견고한 고정 지지를 가능하게 하여 마감 몰탈의 타설시 타설압력에 의해 난방배관이 분리되는 것을 안정되게 방지할 뿐만 아니라 직각 방향으로의 굽힘 고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난방배관의 시공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기존의 획일화된 난방 배관 패턴에서 벗어나 원하는 부분에 대한 집중난방이 가능하도록 난방배관의 위치 고정이 가능함에 따라 실내 난방효율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난방시 열효율을 극대화시킴과 아울러 층간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조립 확장식 난방배관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나사 조절방식으로 콘크리트 슬라브가 갖는 구배를 정확하고 간편하게 보상할 수 있도록 하여 양호한 평탄성을 확보함으로써 표준화되고 향상된 시공품질을 보장하고, 아울러 서로 다른 크기의 홈을 형성하여 소음을 흡수 및 분사키면서 콘크리트 슬라브와의 접촉면을 최소화하여 층간소음 발생에 따른 충격음이나 진동의 전달을 효율적으로 억제하며, 난방배관을 간소한 끼움구조에 의해 시공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세대 주택 또는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은 다수의 세대가 한 겹의 벽과 바닥을 사이에 두고 생활하는 특성상 생활소음이 그대로 이웃집이나 아랫집으로 전달되는 층간소음이 발생하는데, 이는 공동주택의 특성상 콘크리트 슬라브를 건물의 층수에 따라 시공하여 기초 공사를 완료하고, 이 콘크리트 슬라브 위에 난방배관을 한 뒤 자갈과 시멘트 몰탈로 소정두께로 바닥층을 시공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해당층의 공간에서 발생되는 소음이나 충격으로 인한 진동은 구조적으로 콘크리트 슬라브에서 저감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즉, 층간소음은 공동주택의 윗층에서 발생하는 각종 생활소음(걷거나 뛰는 발자국 소리, 물건을 떨어뜨리거나 끄는 소리, 화장실의 급/배수소리, 문을 여닫는 소리, 오디오/비디오 음향기기 소리 등)이 아래층으로 전달되어 소음으로 인한 거주성을 저해하는 현상을 지칭하며, 보통 바닥 충격음으로 대표되는 문제이다.
최근에는 층간소음 문제가 사회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정부에서는 직접충격소음(뛰거나 걷는 소리, 문/창을 닫거나 두드리는 소리, 망치질, 의자 등 가구 끄는 소리 등)과 공기전달소음(TV/라디오/악기/청소기구 등에서 나는 소리 등)로 구분하여 일정 소음기준을 정하여 법적으로 규제하고 있으나 실효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층간소음을 줄이거나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층간 바닥구조물 들이 제안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 콘크리트 슬라브를 기준으로 상부에 충격음과 소음을 감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단열층과 경량기포 콘크리트 층을 형성하고, 그 상단으로 난방용 배관과 마감 몰탈로 된 바닥층을 형성한 뒤 그 위에 장판이나 타일 등으로 된 바닥표면층으로 구성하는 방식이 있으나, 이러한 층간바닥구조에서 단열층과 경량기포 콘크리트층은 생활소음에서 발생하는 충격음이나 소음 감쇄효과가 낮은 단점으로 인해 이 충격음이나 소음을 감쇄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으나 그 효과가 미미한 실정이다.
종래의 다른 기술로는 고무 칩과 발포 폴리에스텔 또는 우레탄을 발포재를 이용한 층간 소음방지재를 슬라브의 일면에 까는 공법이 있으나, 경제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대량 양산과 시공성이 불량한 단점이 있다.
종래의 또 다른 기술로는 콘크리트 슬라브 상부에 완충성 소재로 된 방진재를 깔아 충격음이나 소음을 감쇄키도록 하고 있으나, 발자국 소리 등과 같이 무겁고 부드러운 충격에 의해 발생한 저음역의 소리는 감소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방진재의 두께가 감소되어 그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5260호를 통해 아파트 소음 방지구조가 제안된 바 있으며, 그 청구항 1에는 일정한 두께의 콘크리트 슬라브층 위에 일정한 형상을 가진 고무를 결합한 후 고무의 상단에 일정한 두께를 가진 보강판을 깔아 상부의 보강판과 하부의 콘크리트 슬라브 층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보강판 위에 단열재를 부착한 다음 단열재 위에 와이어 메쉬와 온수 파이프를 배관한 후 덮개 브래킷과 스프링 앵커로 온수 파이프를 고정하고, 덮개 브래킷으로 고정된 온수 파이프 위에 일정한 높이로 온돌 패널 모르타르를 시공하도록 구성된 아파트 바닥의 소음 방지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아파트 바닥의 소음 방지 구조는 보강판의 강도가 약하여 상부층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보강판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별도의 흡음부재를 구비시키지 않아 상부층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차단효율이 현저히 낮아지는 단점이 있으며, 공간부의 폭과 넓이를 조절할 수 없어 아파트나 빌딩 등의 평수에 적합한 소음방지 구조체를 건물 층간에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29249호에는 공동주택의 층간바닥 충격음 차단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며, 그 청구항 1에는 다층 공동주택의 하중을 구조벽과 슬라브를 통해 지지하도록 벽식구조로 설계되는 공동주택의 층간바닥 충격음 차단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의 상면에 소정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매스블록; 상기 매스블록들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슬라브 위에 설치되며, 전후좌우 및 상하로 구획되는 단위 공명실을 다중으로 갖는 경성 재질의 다중공명패널; 상기 매스블록과 상기 다중공명패널 위에 깔게 되는 연성 재질의 차음시트; 상기 차음시트의 상부면 위에 설치되는 마감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층간바닥 충격음 차단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공동주택의 층간바닥 충격음 차단구조는 다중공명패널과 차음시트 및 별도로 다수의 매스블록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경제적인 시공이 불가하여 건축비용을 상승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4040호를 통해 난방배관용 및 층간소음 저감용 온돌패널이 제안된 바 있으며, 그 청구항 1에는 콘크리트바닥면 상에 놓이며,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또는 발포폴리스티렌(EPS) 소재 중 어느 한 소재로 제작되고, 상면에서 하측으로 교호하게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낮은 깊이의 요홈과 다수개의 깊은 깊이의 요홀을 포함하는 난방배관용 단열판넬과; 상기 난방배관용 단열판넬의 상기 요홀에 끼워져 장착되는 발포폴리프로필렌(EPP) 소재의 소음 저감판넬 및; 상기 난방배관용 단열판넬의 상기 요홀의 말단에 장착되고, 우레탄, 고무 또는 연질 PVC 중 어느 한 소재로 제작된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배관 및 층간소음 저감용 온돌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공동주택의 층간바닥 충격음 차단구조를 비롯한 난방배관용 층간소음 저감용 온돌패널은 구조적으로 콘크리트 슬라브가 갖는 구배를 보상할 수 없음에 따라 콘크리트 슬라브를 양생한 후 별도의 수평면 시공 공정을 수반하여야 하므로 작업공기의 연장과 시공추가로 인한 시공원가 상승의 페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난방배관용 및 층간소음 저감용 온돌패널은 시공 후 그 상부로 마감용 몰탈을 사용하여 바닥층을 형성하는데, 몰탈의 양생 과정에서 불규칙한 균열이 발생하거나 일정기간 경과 후 균열이 발생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와이어메쉬를 시공하여야 하나 시공자재 및 시공공정 추가로 인한 비용 상승과 경제적이 이유로 배제되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4040호, '난방배관용 및 층간소음 저감용 온돌패널' 2쪽 청구항 1, 도면 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슬라브의 구배를 보정하기 위한 수평면 몰탈 작업의 공정을 수반하지 않고도 간소한 작업만으로도 콘크리트 슬라브의 구배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 개선을 통한 경제적인 시공과 표준화된 시공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층을 형성하기 위한 마감몰탈의 균열 방지와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와이어 메쉬 시공에 따른 폐단을 해소하여 경제적이면서 향상된 시공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난방배관의 설치 자유도를 대폭 개선하여 기존의 획일화된 난방배관 패턴에서 벗어나 집중 난방구역과 비집중 난방구역을 구분하여 배관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등 양호한 시공성 확보와 더불어 열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음에 따라 제품에 대한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은, 콘크리트 슬라브의 상면에 배치되어 그 상부로 난방배관이 고정되는 것으로, 사각판재 형상으로 구비되는 베이스판부 및 이 베이스판부의 상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 구비되는 것으로 난방배관을 끼움 고정하는 배관홀더 및 상기 베이스판부의 하면에서 하방향으로 컵형상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깊이를 갖는 공간을 형성한 돌출컵부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부와 배관홀더 그리고 돌출컵부는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되, 상기 돌출컵부는 바닥면 중심에 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홀에는 나사체결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부의 높이가 조절되게 나사부를 구비한 높이조절 나사부재가 체결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판부는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돌출컵부의 하면을 기준으로 같거나 낮은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처짐방지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높이조절나사부재는 나선을 형성하여 된 것으로 상기 나사홀에 나사체결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나사부 및 상기 나사부의 상부 지름을 확장하여 머리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돌출컵부의 상면 지름을 기준으로 50~300%의 단면 크기를 갖는 판재형으로 된 메쉬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배관홀더는 난방배관이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가로질러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ㄱ′자 형상의 기둥 4개를 배치하여 십자 형태의 교차홈을 형성하고, 상기 각 기둥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난방배관의 삽입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을 형성하여 된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베이스판부는 인접한 다른 베이스판부와 서로 끼움구조로 연결되게 테두리를 따라 끼움홈과 끼움돌기가 선택 형성된 결합플랜지와; 상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돌출컵부를 구획 분리하는 보강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베이스판부는 상기 돌출컵부와 위치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다른 크기와 깊이를 갖는 복수개의 음향분산컵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에 있다.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은 베이스판부(3)위에 복수개의 높이조절컵(4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판부(3) 사면중 한쪽의 'L'자면은 T자형 연장 단부를 포함하고, 또다른 'L'자면은 U자 형태의 연장 단부를 포함하는 결합플랜지(5)를 구성할 수 있다.
베이스판부(3)는 인접한 베이스판부(3)와 T자형과, U자형 연장단부가 선택 형성된 결합플랜지(5)의 연장 결합을 통해 베이스판부(3)간 상호 결합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은 콘크리트 슬라브의 상면 즉, 시공 대상면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조립하여 확장이 가능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으며, 특히 상부로 노출된 나사부재의 머리부를 좌·우로 돌리는 간소한 작업만으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므로 콘크리트 슬라브가 갖는 구배를 보상하여 수평면을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종전의 수평면 시공몰탈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아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작업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높은 시공품질을 보장하며 아울러 공기단축을 통한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은 나사부재의 머리를 확장하여 된 메쉬판부에 의해 마감몰탈의 균열발생을 억제하고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임으로써 시공품질의 향상과 종전의 와이어 메쉬 시공에 따른 폐단을 해소하여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은 홀더의 구조를 개선하여 사방향으로 난방배관에 대한 견고한 고정 지지를 가능하게 하여 마감 몰탈의 타설시 타설압력에 의해 난방배관이 분리되는 것을 안정되게 방지할 뿐만 아니라 난방배관에 대한 안정된 굽힘 고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난방배관의 시공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종전에는 난방배관 사이의 간격 조절을 수작업에 의존하였기에 정해진(획일화된) 난방 배관 패턴으로 시공을 하였으나 본 발명은 원하는 부분에 대한 집중난방이 가능하도록 간격조절과 견고한 위치 고정이 가능함에 따라 실내 난방효율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이 적용된 시공 예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도 2의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을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7은 도 4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4의 B-B선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도 4의 C-C선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2는 도 10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D-D선을 나타낸 단면도,
도 14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배관의 설치 예시도,
도 17a의 부유구조물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17b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부유구조물로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의 측면도이다.
도 18a는 본발명 실시 예에 따라 T자형 연장단부가 결합플랜지(5)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구조물과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8b는 두개의 인접한 베이스판부(3)가 한쪽 T자형 연장 단부와 다른 한쪽의 U자형 연장단부를 통해 서로 결합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8c는 두개의 인접한 베이스판부(3)가 한쪽 U자형 연장 단부와 다른 한쪽의 T자형 연장단부를 통해 서로 결합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이 적용된 시공 예시도이다. 도면에는 사각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베이스판부(3)를 가로 세로 방향으로 조립 연결하고, 그 상부면에 난방배관(p)을 배치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베이스판부(3)의 상부에는 난방배관(p)을 고정시키기 위한 배관홀더(10)가 균등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며, 소리에 대한 난반사와 분산을 유도하여 저감시키는 역할을 하는 돌출컵부(20) 및 음향분산컵부(30)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컵부(20)는 상기 베이스판부(3)에 대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높이조절 나사부재(25)가 나사 체결되는 구성의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전체적인 외체를 형성하는 베이스판부(3)와, 이 베이스판부(3)의 상부에 일체로 성형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자 형상의 기둥(11)을 도면에서와 같이 배치하여 된 배관홀더(10)와, 상기 배관홀더(10)와 위치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상기 배관홀더(10)의 하측으로 컵 형상으로 돌출시켜 형성된 돌출컵부(20) 그리고 상기 돌출컵부(20)에 체결되어 상기 베이스판부(3)에 대한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나사부재(25) 끝으로 상기 돌출컵부(20)와 위치 간섭되지 않은 위치에 돌출컵부(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작거나 큰 크기를 갖는 음향분산컵부(30)로 구성되는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도 2의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사각판 형상으로 구비되며 다른 베이스판부와 상호 끼움구조로 조립되어 확장될 수 있도록 그 테두리를 따라 끼움홈(5a)과 끼움돌기(5b)가 선택적으로 형성된 결합플랜지(5)를 갖는 베이스판부(3)와, 이 베이스판부(3)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난방배관(p)을 끼움 고정하는 요소로 십자 형상의 교차홈(10h)을 형성한 배관홀더(10)와, 상기 배관홀더(10)와 위치 간섭되지 않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높이조절 나사부재(25)가 나사체결되는 돌출컵부(20)와, 이 돌출컵부(20)와 위치 간섭되지 않도록 복수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돌출컵부(20)와 동일하거나 또는 작거나 큰 크기로 구비되는 음향분산컵부(30)로 구성되는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결합플랜지(5)는 실질적 형상을 확장할수 있는 T자형 연장 단부와 U자형 연장 단부를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인접한 베이스판부(3)가 T자형 연장 단부와 U자형 연장 단부에 의해 서로 강하게 결합 될 수 이다. 따라서, 서로 다른 두개의 베이스판부(3)를 견고하게 밀착시켜 몰탈 타설시 누수를 방지 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끼움홈(5a)과 끼움돌기(5b)가 형성된 결합플랜지(5)를 구비한 베이스판부(3)와, 이 베이스판부(3)의 하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구비되는 돌출컵부(20)와, 상기 돌출컵부(20)에 나사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부(3)의 높낮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높이조절 나사부재(25)와, 상기 베이스판부(3)와 위치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같거나 또는 작거나 큰 크기로 구비되는 음향분산컵부(30)로 구성되는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서 상기 음향분산컵부(30)는 제1음향분산컵부(31)와 제2음향분산컵부(33)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낸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을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면에는, 사각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테두리를 따라 결합플랜지(5)가 형성된 베이스판부(3)와, 이 베이스판부(3)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컵부(20) 및 음향분산컵부(30)와, 상기 돌출컵부(20)에 나사체결되어 그 하단부가 돌출컵부(20)의 하부로 노출되는 것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부(3)에 대한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나사부재(25) 그리고 상기 돌출컵부(20)의 하면을 기준으로 같거나 낮은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판부(3)의 상부에 작업자가 올라서서 밟거나 또는 마감 몰탈의 타설시 급격한 처짐을 방지되게 하는 처짐방지돌기(35)를 구비하여 된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도 4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은 콘크리트 슬라브(s)의 상면에 시공되는 것으로, 도면에는 사각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베이스판부(3) 및 이 베이스판부(3)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일체 돌출 형성되는 돌출컵부(20) 및 음향분산컵부(30) 그리고 상기 돌출컵부(20)에 나사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부(3)에 대한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나사부재(25)로 이루어진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도 4의 B-B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는, 사각판 형상의 베이스판부(3)와, 이 베이스판부(3)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컵 형상의 돌출컵부 및 음향분산컵부 그리고 상기 돌출컵부(20)에 나사체결되는 높이조절 나사부재(25) 및 상기 돌출컵부(20)의 하면을 기준으로 같거나 낮은 높이로 돌출되는 처짐방지돌기(35)가 형성된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이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도 4의 C-C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는 사각판 형상으로 제공되는 베이스판부(3) 및 이 베이스판부(3)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컵부 및 음향분산컵부 그리고 이들 돌출컵부와 음향분산컵부와 위치 간섭되지 않은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판부(3)의 상부에 가해지는 하중이나 외력에 대해 급격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처짐방지돌기(35)가 형성된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이 도시되어 있다.
이상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은 콘크리트 슬라브(s)의 상면에 조립식으로 연결하여 시공되는 것으로, 그 상부로는 난방배관(p)이 배치 고정된 상태에서 마감용 몰탈을 타설/양생하여 바닥층이 시공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s)와 마감용 몰탈에 의해 형성된 바닥층 사이의 공간을 띄워 층간소음으로 인한 충격음 등의 소리와 진동의 전달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콘크리트 슬라브(s)의 상면으로부터 베이스판부(3)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점접촉으로 지지되어 부상된 상태 즉, 뜬 바닥 구조를 취하도록 함으로써 소리나 진동이 콘크리트 슬라브(s)를 통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아울러 난방배관(p)에 의한 열전도가 상측으로 집중되도록 하여 열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은, 끼움조립 구조에 의해 시공대상 면적에 따라 확장 가능한 사각형상의 베이스판부(3) 및 상기 베이스판부(3)의 상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난방배관(p)을 끼움고정하는 배관홀더(10) 및 상기 베이스판부(3)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컵 형상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는 것에 의해 베이스판부(3)의 하부에 공간(a)이 형성되게 하는 복수의 돌출컵부(20) 및 이 돌출컵부(20)와 위치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복수 돌출 구비되는 음향분산컵부(30) 및 상기 돌출컵부(20)에 나사 체결되어 그 끝단이 상기 돌출컵부(20)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것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부(3)의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콘크리트 슬라브(s)의 양생과정에서 발생한 기울기인 구배를 정확하게 보상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조절 나사부재(25)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부(3)의 상부에서 작업자가 시공을 위해 밟거나 또는 바닥층 형성을 위한 마감 몰탈의 타설시 가해지는 타설압력 등에 의해 베이스판부(3)가 급격하게 국부적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처짐방지돌기(35)로 구성된다.
베이스판부(3)는 합성수지재를 사출 성형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사각판 형상으로 구비되고, 사방 테두리를 따라 얇은 띠 형태의 결합플랜지(5) 및 구조적인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후술할 돌출컵부(20)와 음향분산컵부(30)를 구획 분리하는 형태로 상향 돌출되는 얇은 띠 형태로 제공되는 보강리브(6)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상기 결합플랜지(5)는 다양한 크기의 시공 대상면적에 대응할 수 있도록 다른 베이스판부와 서로 끼움구조로 조립되어 연결되게 하는 것으로, 도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일면 테두리에 형성되는 결합플랜지에는 복수의 끼움홈(5a)이 형성되고, 타면 테두리에 형성되는 결합플랜지에는 복수의 끼움돌기(5b)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결합플랜지(5)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끼움홈(5a)과 끼움돌기(5b)를 대응 구비하여 끼움구조로 조립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나, 이외에도 나사나 못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보강리브(6)는 상기 베이스판부(3)의 상면에서 수직하게 일체 돌출 형성되는 얇은 띠 형상으로 구비되어 수직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서는 후술할 돌출컵부(20)와 음향분산컵부(30)의 주위를 감싸는 형태로 돌출 구비시키는 것을 제안하였다.
배관홀더(10)는 난방배관(p)을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시킨 상태에서 끼움고정하는 요소로서, 도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4개의 기둥(11)을 배치하여 십자 형태의 교차홈(12)을 형성하여 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기둥(11)은 ′┐′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이들 기둥(11)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난방배관(p)의 삽입시 이탈되지 않도록 하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단면적이 증가되는 삼각편상의 걸림턱(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둥(11)은 얇은 두께로 제공되는 것 보다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이고, 작업자가 시공을 위해 베이스판부(3)의 위를 밟고 지나다닐 때 변형이나 손상이 방지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컵부(20)는 상기 베이스판부(3)의 하면에서 일체로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컵 형태의 부재로서, 도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그 중심으로는 높이조절 나사부재(25)가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나선을 갖는 나선홀(21b)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돌출컵부(20)는 높이조절 나사부재(25)의 체결시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도 3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높이조절 나사부재(25)의 나사체결 부위 주변에 리브(미부호)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본 발명의 돌출컵부(20)는 상기 베이스판부(3)의 네모서리 부분에는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 베이스판부(3)의 크기에 따라 베이스판부(3)를 안정되게 받칠 수 있는 위치에 추가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돌출컵부(20) 외에도 다양한 크기의 음향분산컵부(3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제안하며, 상기 음향분산컵부(30)는 상기 돌출컵부(20)와 위치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서로 다른 크기와 깊이를 갖도록 구비된다.
높이조절 나사부재(25)는 볼트 등과 같은 나사부재로서, 외면에 나선을 형성하여 된 것으로 상기 돌출컵부(20)의 나선홀(21b)에 나사체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나선 이동되는 나사부(25a)와, 상기 나사부(25a)의 상부에 지름을 확장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나선홀(21b)을 통과하지 못할 정도의 크기를 가지면서 작업자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조작력을 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머리부(25b)로 구성된다.
이러한 높이조절 나사부재(25)는 머리부(25b)가 상기 베이스판부(3)의 상측으로 노출된 상태이므로 작업자가 별도의 공구 없이도 손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는 작업만으로 베이스판부(3)에 대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높이조절 나사부재(25)는 나사부(25a)의 하측 끝단부가 상기 돌출컵부(20)의 나선홀(21b)을 통과하여 콘크리트 슬라브(s)의 상면에 접촉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베이스판부(3)는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s)로부터 떠 있는 상태로 지지되며, 상기 높이조절 나사부재(25)는 콘크리트 슬라브(s)와 점접촉을 함으로써 콘크리트 슬라브(s)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음을 최소화하게 된다.
음향분산컵부(30)는 상기 돌출컵부(20)에 대하여 작은 크기를 갖는 제1음향분산컵부(31)와, 상기 돌출컵부(20)에 대하여 큰 크기를 갖는 제2음향분산컵부(33)를 등 간격으로 배치하여 형성시킨 구성을 제안하였으며, 이러한 음향분산컵부(30)는 상기 돌출컵부(20)와 함께 요철 구조를 통한 소리나 진동을 저감시키게 된다.
즉, 상기 돌출컵부(20)와 제1음향분산컵부(31) 및 제2음향분산컵부(33)는 서로 다른 크기와 깊이를 갖도록 구비되면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서로 교호되게 배치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판부(3)와 배관홀더(10) 그리고 음향분산컵부(30)는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판부(3)에 높이 조절컵을 장착 할 수 있다. 높이 조절컵은 음향 분산컵(31)에 전체 또는 일부에 설치 할 수 있다. 높이 조절컵을 음향 분산컵에 장착하므로
몰탈을 타설하는 작업자는 몰탈을 얼마나 공급해야 하는지 지표로 삼을 수 있고, 높이 조절컵을 참조하여 고르고 수평하게 몰탈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돌출컵부(20)와 제1음향분산컵부(31) 및 제2음향분산컵부(33)는 일면에 흡음성 및 차음성을 높이기 위하여 발포재, 우레탄, 고무, 부직포 등으로 된 흡음부재가 추가 부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돌출컵부(20)와 음향컵부(30)의 상단을 따라 돌출된 테두리가 형성되고, 그 구조물에 의해서, 몰탈
주입시, 베이스판부(3)와 몰탈간 결합을 강화하여, 몰탈 건조시 발생하는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처짐방지돌기(35)는 상기 베이스판부(3)의 하면에서 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돌출컵부(20)의 하면을 기준으로 같거나 낮은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돌출컵부(20)의 하면을 기준으로 2~5mm 가량 낮은 높이로 돌출되어 시공 상태에서는 콘크리트 슬라브(s)에 접촉되지 않고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처짐방지돌기(35)는 작업자가 베이스판부(3)의 상면을 밟고 지나다니면서 시공을 하게 되는데, 이때 베이스판부(3)가 작업자의 하중에 의해 국부적으로 눌려져 영구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바닥층 형성을 위한 마감 몰탈 타설시 타설압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부(3)가 국부적으로 내려 앉아 영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구조이다.
참고적으로, 도 14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배관의 설치 예시도로서, 본 발명에서의 난방배관(p)은 배관홀더(10)에 견고하게 고정 지지되는 것에 의해 다양한 패턴으로 배치 고정이 가능하며, 일례로 집중 난방이 필요한 구역으로는 난방배관(p) 사이의 간격을 좁게 배설하고, 그렇지 않은 곳은 넓게 배설하거나 또는 붙박이장이나 침대 등이 위치되는 자리는 난방배관을 넓은 간격으로 배설하고, 그렇지 않은 곳은 상대적으로 좁게 배설하여 실내 난방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배관홀더(10)가 사방으로 난방배관(p)이 가로질러 고정될 수 있도록 십자 형태의 교차홈(10h)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에서 높이조절 나사부재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실시례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12는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그리고 도 13은 도 12의 D-D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례에서의 높이조절 나사부재(25)는 기존의 바닥층 형성을 위한 마감 몰탈의 결합력 증대와 균열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와이어 메쉬 역할을 대체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부(25a)의 머리를 형성하는 머리부분을 확장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본 실시례에서의 높이조절 나사부재(25)는 외면에 나선을 형성하여 된 것으로 상기 돌출컵부(20)의 나선홀(21b)에 나사체결되어 나선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나사부(25a) 및 상기 나사부(25a)의 상부 지름을 확장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돌출컵부(20)의 개방된 상부면 지름에 대한 50~300%의 단면 크기를 갖는 판재형의 메쉬판부(25c)로 구성되는 것을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 메쉬판부(25c)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 판 형상으로 구비되고, 바닥층 형성을 위한 마감 몰탈에 대한 결속을 높이기 위하여 메쉬 구조를 취하도록 결속통공(25c)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는 시공대상 콘크리트 슬라브(s)의 면적을 치수하고, 준비된 난방배관 패널(1)을 상호 연결하여 시공대상 바닥면 전체에 배치한다.
이어서, 상기 베이스판부(3)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십자홈 형태의 교차홈(12)을 형성하는 배관홀더(10)에 난방배관(p)을 끼움 고정으로 결합시킨다.
그리고, 난방배관(p)이 고정된 상기 베이스판부(3)의 상부로 마감 몰탈을 타설하여 바닥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장판이나 타일 등으로 된 바닥 표면층을 시공함으로써 바닥공사가 완료된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로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로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17a와 17b의 높이 조절컵(40)을 베이스판부(3)에 장착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베이스판부(3)는 복수개의 높이 조절컵(40)을 포함 할 수 있다.
높이 조절컵(40)은 음향분산컵부(31)의 일부 또는 전부에 설치 할 수 있다.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높이 조절컵(40)은 복수의 배관홀더(10), 돌출컵부(20), 음향분산컵부(30)의 베이스판부(3)상에 배치 될 수 있고, 베이스판부(3)의 도시되지 않은 함몰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오목부중 일부 또는 전부에 삽입 될수 있다. 음향분산컵부(31)에 결합된 높이조절컵(40)은 작업자가 상기 베이스판부(3)에 넣는 몰탈의 양에 관한 기준을 제공하는 지시자로써 기능 할 수 있고, 작업자가 고르고 수평하게 전체적인 베이스판부(3)에 몰탈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8a는 실질적으로 T자형 형상의 확장이 결합플랜지(5)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구조물로 가열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b는 두개의 인접한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중 하나의 T자형 연장 단부와 다른 하나의 U자형 연장 단부를 통해 서로 결합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8c는 두개의 인접한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중 하나의 T자형 연장 단부와 다른 하나의 U자형 연장 단부를 통해 서로 결합되어 질 수 있는 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참조. 18A,18B,및 18C,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1)의 결합플랜지(5)는 결합플랜지(5)의 가장자리를 따라 T자형 연장 단부 5c의 하단부와 함께 결합되는 또 다른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1)의 결합플랜지(5)는 결합플랜지(5)의 가장 자리를 따라 U자형 연장 단부 5d의 상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T자형 연장 단부 5c는 돌출 방향이 베이스판부(3)에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평행되어 있다.
베이스판부(3)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T자형 연장단부 5c의 일부를 병렬로 또 다른 베이스판부(3)의 U자형 연장 단부 5d의 상단부분에 T자형 연장단부 일부를 덮도록 하여 U자형 연장 단부 5d의 상당 부분에 결합 할 수 있다. 따라서, 두개의 베이스판부(3) 사이를 견고하고 단단하게 조여 몰탈 타설시 누수를 방지 할 수 있다.
U자형 연장 단부 5d의 상단부는 T자형 연장 단부 5c의 일부와 결합하여 평행 연장 되므로, 각각 다른 두개의 베이스판부(3)의 실질적 위치는 서로에 대해 동일 평면상에 있도록 배치 될수 있다.
이와 같이 바닥 공사가 완료되면, 본 발명의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은 콘크리트 슬라브(s)와 마감몰탈(미도시)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높이조절 나사부재(25)에 의해 베이스판부(3)가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s)로부터 떠 있는 뜬 바닥 구조를 형성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상기 높이조절 나사부재(25)가 콘크리트 슬라브(s)에 대하여 점 접촉으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층간소음으로 인한 충격음의 전달이 최소화된다. 아울러, 베이스판부(3)와, 돌출컵부(20)와, 제1음향분산컵부(31) 및 제2음향분산컵부(33)로 된 음향분산컵부(30)이 전체적으로 요철 형태로 구비됨에 따라 충격음 등의 소리가 분산되어 감소된다.
특히, 본 발명의 높이조절 나사부재(25)는 선택적으로 그 머리부분을 확장하여 기존의 와이어 메쉬의 역할을 하도록 메쉬판부(25c) 형태로 제공이 가능함에 따라 바닥층 형성을 위한 마감몰탈에 대한 결속력을 높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균열발생을 억제하고 구조적인 안정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끝으로, 배관홀더(10)는 십자 형태의 교차홈(12)을 형성함에 따라 난방배관(p)에 대한 직선 고정 뿐만 아니라 커브 고정을 안정되게 하여 바닥 난방시 난방배관(p)의 간격조절이 자유로워 결과적으로 다양한 패턴의 난방배관의 시공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
3 : 베이스판부
5 : 결합플랜지
5a : 끼움홈
5b : 끼움돌기
10 : 배관홀더
11 : 기둥
12 : 십자 교차홈
20 : 돌출컵부
25 : 높이조절 나사부재
30 : 음향분산컵부
31 : 제1음향분산컵부
33 : 제2음향분산컵부
p : 배관
p1 : 입수구
p2 : 출수구
Claims (8)
- 콘크리트 슬라브의 상면에 배치되어 그 상부로 난방배관이 고정되는 것으로, 사각판재 형상으로 구비되는 베이스판부 및 이 베이스판부의 상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 구비되는 것으로 난방배관을 끼움 고정하는 배관홀더 및 상기 베이스판부의 하면에서 하방향으로 컵형상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깊이를 갖는 공간을 형성한 돌출컵부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에 있어서,상기 베이스판부와 배관홀더 그리고 돌출컵부는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되, 상기 배관홀더는 난방배관이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가로질러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ㄱ′자 형상의 기둥 4개를 배치하여 십자 형태의 교차홈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컵부는 바닥면 중심에 나사홀이 형성되고;,상기 나사홀에는 나사체결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부의 높이가 조절되게 나사부 및 상기 나사부의 상부 지름을 확장하여 형성된 것으로 나선홀을 통과하지 못할 정도의 크기를 가지면서 작업자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조작력을 가하도록 구비되는 머리부로 이루어진 높이조절나사부재가 체결구비되며;,상기 베이스판부는 시공시 국부적으로 내려 앉아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돌출컵부의 하면을 기준으로 같거나 낮은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처짐방지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나사부재의 머리부는, 상기 돌출컵부의 상면 지름을 기준으로 50~300%의 단면 크기를 갖는 판재형의 메쉬판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홀더의 각 기둥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난방배관의 삽입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부는 인접한 다른 베이스판부와 서로 끼움구조로 연결되게 테두리를 따라 끼움홈과 끼움돌기가 선택 형성된 결합플랜지와;상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돌출컵부를 구획 분리하는 보강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부는 상기 돌출컵부와 위치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다른 크기와 깊이를 갖는 복수개의 음향분산컵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
- 제 1항에 있어서, 베이스판부의 표면위에 형성된 높이조절컵의 복수를 포함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베이스판부는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에 하나의 결합부, T자 형상으로 연장단부를 포함한다.
- 제 7항에 있어서,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의 결합플랜지의 T자형 연장 단부와 또다른 U자형 연장 단부를 결합 할수 있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6527A KR101446467B1 (ko) | 2014-07-10 | 2014-07-10 |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 |
KR10-2014-0086527 | 2014-07-1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6006899A1 true WO2016006899A1 (ko) | 2016-01-14 |
Family
ID=51996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PCT/KR2015/006964 WO2016006899A1 (ko) | 2014-07-10 | 2015-07-06 |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60010875A1 (ko) |
KR (1) | KR101446467B1 (ko) |
WO (1) | WO2016006899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805812A (zh) * | 2016-06-01 | 2016-07-27 | 叶君芝 | 一种易安装地暖管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879385B2 (en) * | 2010-03-26 | 2018-01-30 | Ramin Tabibnia |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of paving a subsurface |
KR101855586B1 (ko) * | 2015-12-29 | 2018-05-09 | 장재혁 | 건축물의 층간소음 방지 바닥구조 |
US10641180B2 (en) * | 2017-06-15 | 2020-05-05 |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 Hydrostatic non-contact seal with varied thickness beams |
CN107190944A (zh) * | 2017-07-01 | 2017-09-22 | 武汉金牛经济发展有限公司 | 一种新型地暖模块 |
KR102035669B1 (ko) | 2019-06-10 | 2019-10-23 | 김기세 | 난방배관 지지용 모듈 패널 |
KR20220013797A (ko) | 2020-07-27 | 2022-02-04 | (주)대우건설 | 온돌바닥 미장 모르타르 일체화, 모르타르 두께에 따라 난방효율 확보를 위한 배관 높이 고정이 가능한 고정패드 |
US20220357052A1 (en) * | 2021-05-04 | 2022-11-10 | Hoyahometech Co., Ltd | Heating pan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36305A (ja) * | 2002-05-23 | 2003-11-28 | Noritz Corp | 洗い場の暖房床パネル |
KR20060074940A (ko) * | 2004-12-28 | 2006-07-03 | 김유성 | 건축용 온돌판넬 및 그 시공방법 |
KR20060078348A (ko) * | 2004-12-31 | 2006-07-05 | 강연도 | 건축물의 층간바닥 충격음 차단 다중패널 |
KR100765408B1 (ko) * | 2005-11-24 | 2007-10-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바닥 난방 시스템 |
KR100817728B1 (ko) * | 2007-01-11 | 2008-03-31 | 김광임 | 높이조절이 가능한 층간소음방지용 난방패널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3318694C2 (de) * | 1983-05-21 | 1985-09-12 | Franz-Josef 4434 Ochtrup Hagemann |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aus modulartig zu verlegenden Platten bestehenden Bodenauflage |
US4576221A (en) * | 1983-11-21 | 1986-03-18 | Manfred Fennesz | System for tempering a room |
US5118235A (en) * | 1991-02-11 | 1992-06-02 | Illinois Tool Works Inc. | Washer with integral flap and fastening assembly combining fastener with such washer |
US5499476A (en) * | 1993-08-31 | 1996-03-19 | Interface, Inc. | Low profile raised panel flooring with metal support structure |
DE29916642U1 (de) * | 1999-09-21 | 2000-01-05 | Siegmund Helmut | Distanzplatte für einen Hohlraumboden und Hohlraumboden |
DE10103001C1 (de) * | 2001-01-24 | 2002-10-24 | Schuetz Gmbh & Co Kgaa | Bodenelement zum Erstellen von Hohlraumböden für Heizrohre einer Raumheizung sowie für Heiz- und Kühlrohre einer kombinierten Raumheizung und Raumkühlung für Gebäude |
ITBO20070096A1 (it) * | 2007-02-20 | 2008-08-21 | Paolo Campagna | Sistema di scambio termico, modulare, componibile e ad ingombro limitato, particolarmente adatto per la climatizzazione degli ambienti. |
US20090230113A1 (en) * | 2008-02-29 | 2009-09-17 | Batori Imre | Heated floor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of installing |
CA135433S (en) * | 2010-05-12 | 2014-04-24 | Randell Macphee | Radiant heating panel |
WO2013126900A2 (en) * | 2012-02-23 | 2013-08-29 | Armstrong World Industries, Inc. | Floating floor system, floor panel, and installation method for the same |
-
2014
- 2014-07-10 KR KR1020140086527A patent/KR10144646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
- 2015-07-01 US US14/788,809 patent/US2016001087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5-07-06 WO PCT/KR2015/006964 patent/WO201600689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36305A (ja) * | 2002-05-23 | 2003-11-28 | Noritz Corp | 洗い場の暖房床パネル |
KR20060074940A (ko) * | 2004-12-28 | 2006-07-03 | 김유성 | 건축용 온돌판넬 및 그 시공방법 |
KR20060078348A (ko) * | 2004-12-31 | 2006-07-05 | 강연도 | 건축물의 층간바닥 충격음 차단 다중패널 |
KR100765408B1 (ko) * | 2005-11-24 | 2007-10-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바닥 난방 시스템 |
KR100817728B1 (ko) * | 2007-01-11 | 2008-03-31 | 김광임 | 높이조절이 가능한 층간소음방지용 난방패널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805812A (zh) * | 2016-06-01 | 2016-07-27 | 叶君芝 | 一种易安装地暖管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46467B1 (ko) | 2014-10-01 |
US20160010875A1 (en) | 2016-0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6006899A1 (ko) |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의 난방배관 패널 | |
US8789339B2 (en) | Method for making façades of buildings | |
KR100741757B1 (ko) | 복층건물의 층간 구조체 | |
JP2012527551A (ja) | タイル整列平坦化デバイス | |
KR100770615B1 (ko) | 건축물 층간 소음 방지 구조 | |
US6860073B2 (en) | Structure of a combinative interlocking board enclosing vertical and horizontal pipes | |
KR102217348B1 (ko) | 반 건식 층간 소음 완충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100571671B1 (ko) | 온돌패널용 방열보드 | |
KR101642289B1 (ko) |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뜬바닥 어셈블리 | |
KR100701858B1 (ko) | 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구조 | |
CN211622769U (zh) | 一种淋浴间防水结构 | |
JP3330317B2 (ja) | 排水溝を有する防水構造 | |
KR200391133Y1 (ko) | 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구조 | |
KR101569242B1 (ko) | 단열재 부착용 보조패널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방법 | |
KR200178217Y1 (ko) | 실내용 칸막이의 높낮이 및 수평조절 장치 | |
KR950018994A (ko) | 공동주택의 온돌바닥 시공방법 및 그 장치 | |
KR101555260B1 (ko) | 창틀 단열 공법을 이용한 단차 단열재 | |
KR102197720B1 (ko) | 건물 슬라브 층간 충격음 차단 유닛 및 건물 슬라브 층간 충격음 차단 구조체 | |
KR200347936Y1 (ko) | 조립식 욕실 | |
KR20160017465A (ko) | 난방 모듈판 및 난방 모듈판의 시공방법 | |
KR101968927B1 (ko) | 공동주택 베란다 바닥구조 | |
KR102234306B1 (ko) | 건물 벽체 타일 시공방법 | |
CN212613532U (zh) | 一种装配式室内地面铺设安装结构 | |
PL202775B1 (pl) | Podpodłogowe gniazdo przyłączne | |
KR20120140284A (ko) | 욕실용 덕트마감재의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 158182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 DE |
|
122 |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
Ref document number: 158182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