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142085A1 - 라인스톤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라인스톤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142085A1
WO2015142085A1 PCT/KR2015/002686 KR2015002686W WO2015142085A1 WO 2015142085 A1 WO2015142085 A1 WO 2015142085A1 KR 2015002686 W KR2015002686 W KR 2015002686W WO 2015142085 A1 WO2015142085 A1 WO 201514208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uction
rhinestone
needle
elevating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268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홍규
Original Assignee
박홍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홍규 filed Critical 박홍규
Priority to CN201580015026.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6103840A/zh
Publication of WO201514208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14208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10Decorating textiles by treatment with, or fixation of, a particulate material, e.g. mica, glass bea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07Special types of ge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DTRIMMINGS; RIBBONS, TAPES OR BA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D7/00Decorative or ornamental textile articles
    • D04D7/04Three-dimensional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12Decorating textiles by transferring a chemical agent or a metallic or non-metallic material in particulate or other form, from a solid temporary carrier to the texti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17Flat presses, pressing plates or heating devices for pressing pl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31Methods for making patterns on fabrics, e.g. by application of powder dye, moiréing, emboss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hinestone attachment device for attaching rhinestone to an adhesive object.
  • Rhinestone which is a decorative material for imitation jewelry attached to the surface of a fabric such as clothing, is composed of an adhesive flat surface that forms an adhesive surface with respect to the fabric surface and a protrusion of a relatively narrow surface that protrudes on an opposite side of the adhesive flat surface.
  • the conventional rhinestone attachment device adopts a mechanism for picking up the adhesive flat surface of rhinestone with a pick-up suction needle and transferring it to the sticking suction needle so that the protrusion end side of the rhinestone faces the adhesive sheet. Since these suction needles rotate and exchange rhinestones, the conventional rhinestone attachment device is large and complex for the rotation radius and accurate rhinestone transfer function required for the suction needle, and it is difficult to realize high-speed operation. The manufacturing cost was expensive.
  • a rhinestone attachment device for attaching a rhinestone having an adhesive flat surface forming an adhesive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ojection end portion form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adhesive flat surface to an adhesive object
  • a frame A tubular suction lift needle having a suction end of a lower end for sucking the adhesive flat surface of the rhinestone
  • An elevating driving unit for elevating and driving the adsorption elevating needle with respect to the frame such that the adsorption elevating needle is absorbed by the rhinestone and then descends to repeat the pressure-adhering operation of the protrusion end to the object to be bonded
  • An elevating guide installed in the frame to guide the elevating of the suction elevating needle; And an air pump that sucks air from the inside of the suction lift needle to generate a suction force at the suction end.
  • the lifting guide is a tubular body
  • the suction lifting needle has a through inlet hole penetr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through inlet hole is the through inlet from the lifting guide when the suction lifting needle lowered more than a predetermined range Relieving the suction force of the adsorption end by exposing the ball to allow the inflow of external air helps to ensure that the rhinestone is correctly attached to the adhesion object.
  • the elevating guide has a lower main guide portion and an upper auxiliary guide portion separated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hrough-inlet hole allows the inflow of external air when exposed to the separated space. Relieving the suction force of the adsorption end can further enhance the warpage prevention effect on the suction lift needle.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rame on which the adhesive object is installed,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frame in an x-y plane, and a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fram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 the rhinestone attachment device does not have a transfer operation of the rhinestone or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suction needle, the structure is compact and enables precise attachment of the small rhinestone.
  • the suction needle is guided by the tubular lifting guide, it prevents buckling and improves durability.
  • the suction needle weakens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needle against the rhinestone when the rhinestone contacts the adhesive object, the rhinestone is stable to the adhesive object. Can be adhered to.
  • FIG. 1 and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hinestone attach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and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hinestone attach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rhinestone attach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dsorption end.
  • FIG. 1 and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hinestone attach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 includes an enlarged view of the rhinestone 50
  • FIG. 2 include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ction lifting needle 170 and the lifting guide 110.
  • the rhinestone attachment device includes a frame 100 and a tubular lifting guide 110 supported in a standing state on the frame 100.
  • the tubular suction lift needle 170 is liftably received inside the lift guide 110.
  • the lifting guide 110 is preferably tubular, but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guide parts that partially guide along the height direction.
  • the suction lift needle 170 has an upper end connected to the air pump 175 by an air hose 176.
  • the air pump 175 sucks air from the inside of the suction lift needle 170 to generate a suction force at the suction end 172 which is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lift needle 170. Due to this suction force, the rhinestone 50 is adsorbed to the adsorption end 172. 1 includes an enlarged view of the rhinestone 50.
  • the rhinestone 50 has an adhesive flat surface 51 forming an adhesive surface and a protrusion end 53 of a relatively narrow surfac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dhesive flat surface 51.
  • the suction lift needle 170 is connected to the lift driver 180 for lifting the suction lift needle 170.
  • the elevating driving unit 180 is coupled to the adsorption elevating needle 170 and the elevating unit 183 and the elevating unit 183 which are elevat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elevating unit 183 while supporting a pair of elevating supporters 181 for guiding the elevating.
  • An adhesive object 30 to which the rhinestone 50 is attached is disposed below the frame 100 on the moving frame 131.
  • the moving frame 131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133.
  • the driver 133 moves the moving frame 131 in the x-y plane by the controller 190.
  • the adhesive object 30 is moved in the x-y plane by the driver 133.
  • the adhesive object 30 includes all objects forming an adhesive surface such as an adhesive sheet or adhesive fiber.
  • the control unit 190 is connected to the air pump 175, the lifting drive unit 180 and the driving unit 133 of the adhesive object 30.
  • the controller 190 attaches the adhesive object 30 whenever the rhinestones 50 are attached to the adhesive object 30 one by one so that the rhinestone 50 may be attached to the adhesive object 30 in a pattern desired by the user.
  • the driving unit 133 is controlled to move to the position where the rhinestone 50 is to be attached.
  • the suction lifting needle 170 is lowered as in FIG. 2 in the state where the protrusion end portion 53 sucks the rhinestone 50 facing downward as shown in FIG. 1 to bond the rhinestone 50. It is attached to the object (30).
  • the specific process is as follows.
  • the suction lifting needle 170 is moved out of the lifting strok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n sucks and picks up the rhinestone 50 waiting on the adhesive flat surface 51 side with the protruding end 53 facing downward.
  • the worker may directly supply the rhinestone 50 with the protrusion end 53 facing downward to the suction end 172 of the suction lift needle 170.
  • the protrusion end 53 may include a separate rhinestone supply unit directly supplying the rhinestone 50 facing downward to the suction end 172.
  •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lift driver 180 to lower the suction lift needle 170 which absorbs the rhinestone 50.
  • the suction lifting needle 170 descends, the rhinestone 50 is adhered to the adhesion object 30 and falls.
  • the controller 190 raises the suction lifting needle 170 and changes the position of the bonding object 30.
  • the control unit 190 controls the lifting driving unit 180 to lower the suction lifting needle 170 again when the position of the bonding object 30 is changed.
  • the diameter of the adhesive flat surface 51 of the rhinestone 50 is usually small to 2 mm, and is made up to 4 to 6 mm.
  • the rigidity of the suction lifting needle 170 is larg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rhinestone 50, so that the rigidity is generally maintained.
  • the thickness is thin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rhinestone 50, the rigidity is relatively weak.
  • the inner diameter of the suction lifting needle 170 is small and the outer diameter is large enough stiffness can be secured, but if the interval between the rhinestones 50 should be narrow according to the pattern shape, the thickness between the inner diameter and the outer diameter hinders the work.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becomes.
  • the lifting guide 110 when the suction lifting needle 170 having such a thin thickness is pressed down in the state of adsorbing the rhinestone 50, the suction lifting needle 110 in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suction lifting needle 170 ( 170) to reinforce the stiffness. Accordingly, the suction lifting needle 170 is prevented from buckleing by the lifting guide 110.
  • the suction lifting needle 170 is formed with a through inlet 171 penetra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inlet 171 is closed by the inner wall of the lifting guide 110 when the adsorption end 172 is requir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suction force to suck the rhinestone 50 as shown in FIG.
  • FIG. 3 when the suction force is not required, such as when the rhinestone 50 is attached to the adhesive object 30, it is exposed from the lifting guide 110.
  • the penetration inlet 171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suction lifting needle 170 is lowered more than a predetermined range to attach the rhinestone 50 to the adhesive object 30. Accordingly, the air sucked only by the suction end 172 is also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 inlet 171, so that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end 172 is relatively weakened. Therefore, when the suction lifting needle 170 descends and the rhinestone 50 adheres to the adhesive object 30, the suction force against the rhinestone 50 is weakened, so that the rhinestone 50 adheres well to the adhesive object 30. Can be.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90 may control the air pump 175 so that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end 172 is weakened when the suction lift needle 170 is lowered to reach the bottom dead center.
  • FIGS. 3 and 4 show schematic diagram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th auxiliary lifting guides 277.
  • the auxiliary lifting guide 277 is add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FIGS. 1 and 2, and a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 the auxiliary lifting guide 277 i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lifting guide 210.
  • the auxiliary lifting guide 277 is supported by the lifting support 281 by the support 278.
  • the auxiliary lifting guide 277 may be supported by the frame 200.
  • the auxiliary lifting guide 277 and the main lifting guide 210 are tubular tubular bodies, and the suction lifting needle 270 can be lifted concentrically through the inside thereof.
  • the inner diameter of the auxiliary lifting guide 277 is preferably matched with the outer diameter of the suction lifting needle 270 as possible, so that the frictional force is minimized.
  • the penetration inlet 271 is maintained in the closed state by the auxiliary lifting guide 277 in the state of rising as shown in FIG. 3, but the suction lifting needle 270 is lowered as shown in FIG. ) Is attached to the adhesive object 30 is separated from the auxiliary lifting guide 277 is exposed to the space between the main lifting guide 210 and the auxiliary lifting guide 277.
  • the suction force of the adsorption end 272 is weakened so that the adhesion of the rhinestone 50 to the adhesion object 30 is accurate.
  • the suction elevating needle 270 is supplied with the rhinestone 50 in a state where the suction elevating needle 270 is separa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main elevating guide 210, and the main elevating guide 210 of the main elevating guide 210.
  • the rhinestone 50 may be attached to the adhesive object 30.
  • the suction lift needle 270 is separated upward from the main lift guide 210 to receive the rhinestone 50, the operation of supplying the rhinestone 50 to the suction end 272 is relatively performed. Easy
  • the lifting lift range of the suction lifting needle 270 is long, and thus the suction lifting needle 270 is relatively long, so that the buckling phenomenon is likely to occur, but the lifting guide 210 of two parts di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high.
  • the rigidity of the suction lift needle 270 is enhanced by 277 to improve the overall durability.
  • the suction lifting needle 270 is lowered in a state in which the protrusion end portion 53 receives the rhinestone 50 facing downward so as to adsorb the rhinestone 50. ). At this time, when the suction lifting needle 270 is lowered by a predetermined range or more, and the rhinestone 50 is adhered to the adhesive object 30, the penetration inlet hole 271 is separated from the auxiliary lifting guide 277 and exposed to the suction end ( 272) the suction power is weakened.
  • the controller 290 raises the suction lifting needle 270 and simultaneously moves the adhesive object 30 to the position where the next rhinestone 50 should be attached. Let's do it.
  • the suction lift needle 270 rises above a predetermined range, the penetration inlet hole 271 is closed by the auxiliary lift guide 277, so that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end 272 is enhanced.
  • the suction lifting needle 270 receives the rhinestone 50 with the protrusion end portion 53 facing downward, and then repeatedly follows the attachment process described above.
  •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weakening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end 372 when the suction lift needle 370 is located at the bottom dead center.
  • FIG. 5 is a view showing an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air high pressure unit 379, the air supply unit 320, and the air supply hose 321 in FIG. 4, and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side of the air high pressure unit 379 on one side. Included.
  • the through inlet hole 371 is positioned in the air high pressure part 379 to allow external air to flow through the through inlet hole 371.
  • the air high pressure unit 379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unit 320 and the air supply hose 321 to continuously receive external air to maintain a pressure higher than atmospheric pressure.
  • the suction force of the adsorption end 372 disappears when the rhinestone 50 is attached to the adhesive object 30, so that the rhinestone 50 can be more clearly adhered by the adhesive force on the surface of the adhesive object 30. have.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uction end 172 of the suction lift needle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plurality of intake holes are formed in the adsorption end 172.
  • the plurality of intake holes have a largest main intake hole 173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thereof, and a relatively small auxiliary intake hole 174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radially outer side thereof.
  • the suction lifting needle 170 evenly adsorbs the entire area of the adhesion flat surface 51 of the rhinestone 50 to perform the attachment work on the adhesion object 30. ) Or the rhinestone 50 may not be til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인스톤을 접착대상물에 부착하는 라인스톤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컴팩트하며, 접착대상물에 대한 초소형 라인스톤의 부착작업이 가능한 라인스톤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라인스톤 부착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라인스톤의 상기 접착평탄면을 흡착하는 하단의 흡착단부를 갖는 관상의 흡착승강니들과; 상기 흡착승강니들이 상기 라인스톤을 흡착한 후 하강하여 상기 접착대상물에 상기 돌기단부를 가압 접착하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상기 흡착승강니들을 상기 프레임에 대해 승강구동하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흡착승강니들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가이드와; 상기 흡착승강니들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흡착단부에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에어펌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라인스톤 부착장치
본 발명은 라인스톤을 접착대상물에 부착하는 라인스톤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 등 직물의 표면에 부착되는 모조보석 장식소재인 라인스톤은 직물표면에 대해 접착면을 형성하는 접착평탄면과 접착평탄면의 대향 측에 돌출 형성되는 비교적 좁은 표면의 돌기단부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라인스톤 부착장치는 라인스톤의 접착평탄면을 픽업용 흡착니들로 픽업한 후 접착용 흡착니들에 전달하여 라인스톤의 돌기단부 측이 접착시트를 향하도록 하여 부착하는 메커니즘을 채택한다. 이들 흡착니들은 각각 회동운동하며 라인스톤을 주고받기 때문에, 종래의 라인스톤 부착장치는 흡착니들들에 필요한 회동반경과 정확한 라인스톤 전달기능을 위해 전체적 구조가 크고 복잡하며, 고속 작업을 실현하기 어려웠고, 제조비용이 고가였다.
한편 정교한 디자인의 구현을 위해 가능한한 소형의 라인스톤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라인스톤 부착장치는 전달 동작과 회전운동의 필요성 때문에 소형 라인스톤 부착작업의 기계화가 곤란하였다. 특히 라인스톤의 직경이 작아질수록 흡착니들의 굵기도 가늘어져야 하기 때문에, 라인스톤을 가압접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흡착니들에 버클링 현상이 중요한 문제점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컴팩트한 구조로 소형 라인스톤의 부착작업이 가능한 라인스톤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착면을 형성하는 접착평탄면과 상기 접착평탄면의 대향측에 형성된 돌기단부를 갖는 라인스톤을 접착대상물에 부착하는 라인스톤 부착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라인스톤의 상기 접착평탄면을 흡착하는 하단의 흡착단부를 갖는 관상의 흡착승강니들과; 상기 흡착승강니들이 상기 라인스톤을 흡착한 후 하강하여 상기 접착대상물에 상기 돌기단부를 가압 접착하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상기 흡착승강니들을 상기 프레임에 대해 승강구동하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흡착승강니들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가이드와; 상기 흡착승강니들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흡착단부에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에어펌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가이드는 관상체이며, 상기 흡착승강니들은 길이방향에 가로방향으로 관통된 관통유입공을 가지며, 상기 관통유입공은 상기 흡착승강니들이 소정 범위 이상 하강하였을 때 상기 승강가이드로부터 상기 관통유입공이 노출되어 외부공기의 유입을 허용하여 상기 흡착단부의 흡인력을 완화시키는 것이 상기 라인스톤이 상기 접착대상물에 정확하게 부착되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가이드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공간을 두고 분리된 하부의 메인가이드부분과 상부의 보조가이드부분을 가지며, 상기 관통유입공은 상기 이격공간에 노출될 때 외부공기의 유입을 허용하여 상기 흡착단부의 흡인력을 완화시키는 것이 흡착승강니들에 대한 휨 방지 효과를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대상물이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x-y 평면 내에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 상기 프레임이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흡착단부에는 복수의 흡기공이 형성되는 것이 라인스톤의 흡착력을 강화하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인스톤 부착장치는 라인스톤의 전달 동작이나 흡착니들의 회전운동이 없으므로 구조가 컴팩트하고 소형 라인스톤의 정교한 부착작업이 가능하다. 흡착니들이 관상의 승강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면 버클링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되며, 라인스톤이 접착대상물에 접촉될 때 흡착니들의 라인스톤에 대한 흡착력을 약화시킬 경우 라인스톤을 접착대상물에 안정적으로 접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스톤 부착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인스톤 부착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인스톤 부착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6은 흡착단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스톤 부착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는 라인스톤(50)을 확대한 도시한 도면이 포함되어 있고, 도 2에는 흡착승강니들(170) 및 승강가이드(110)의 단면도가 포함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라인스톤 부착장치는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에 기립한 상태로 지지되는 관상의 승강가이드(110)를 포함한다. 승강가이드(110)의 내부에는 관상의 흡착승강니들(170)이 승강가능하게 수용된다. 승강가이드(110)는 관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높이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가이딩하는 복수의 가이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착승강니들(170)은 상단부가 에어호스(176)에 의해 에어펌프(175)와 연결된다. 에어펌프(175)는 흡착승강니들(170)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흡인하여 흡착승강니들(170)의 하단부인 흡착단부(172)에 흡인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흡인력에 의해, 흡착단부(172)에는 라인스톤(50)이 흡착된다. 도 1에는 라인스톤(50)이 확대된 도면이 포함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라인스톤(50)은 접착면을 형성하는 접착평탄면(51)과 접착평탄면(51)의 대향 측에 형성된 비교적 좁은 표면의 돌기단부(53)를 갖는다.
흡착승강니들(170)은 흡착승강니들(170)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180)와 연결된다. 승강구동부(180)는 흡착승강니들(170)에 결합되어 일체로 높이방향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183)와, 승강부(183)를 지지하면서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승강지지부(181)를 갖는다.
프레임(100)의 하부에는 라인스톤(50)이 부착되는 접착대상물(30)이 이동프레임(131) 상에 배치된다. 이동프레임(131)은 구동부(133)와 연결된다. 구동부(133)는 제어부(190)에 의해 이동프레임(131)을 x-y 평면 내에서 이동시킨다. 접착대상물(30)은 구동부(133)에 의해 x-y 평면 내에서 이동된다. 여기서, 접착대상물(30)은 접착시트, 접착섬유 등 접착면을 형성하는 모든 물체를 포함한다.
제어부(190)는 에어펌프(175), 승강구동부(180) 및 접착대상물(30)의 구동부(133)와 연결된다. 제어부(190)는 접착대상물(30)에 사용자가 원하는 패턴 형상대로 라인스톤(50)이 부착될 수 있도록 라인스톤(50)이 접착대상물(30)에 하나씩 부착될 때마다 접착대상물(30)이 다음 라인스톤(50)이 부착되어야 할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동부(133)를 제어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흡착승강니들(170)은 도 1에서와 같이 돌기단부(53)가 하방을 향한 라인스톤(50)을 흡착한 상태에서 도 2에서와 같이 하강하여 라인스톤(50)을 접착대상물(30)에 부착시킨다.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흡착승강니들(170)은 승강 스트로크를 벗어나 수평방향으로 이동한 후 돌기단부(53)가 하방을 향한 상태로 대기 중인 라인스톤(50)을 접착평탄면(51) 측에서 흡착 및 픽업하여 가져올 수 있다. 또는, 작업자가 돌기단부(53)가 하방을 향한 라인스톤(50)을 흡착승강니들(170)의 흡착단부(172)에 직접 공급할 수도 있다. 또는, 흡착승강니들(170)이 상승한 상태에 있을 때 돌기단부(53)가 하방을 향한 라인스톤(50)을 흡착단부(172)에 직접 공급하는 별도의 라인스톤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라인스톤(50)을 흡착한 흡착승강니들(170)이 하강하도록 승강구동부(180)를 제어한다. 흡착승강니들(170)이 하강하면, 라인스톤(50)이 접착대상물(30)에 접착되면서 떨어진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흡착승강니들(170)을 상승시키는 동시에 접착대상물(30)의 위치를 변경한다. 제어부(190)는 접착대상물(30)의 위치가 변경되면 흡착승강니들(170)이 다시 하강하도록 승강구동부(180)을 제어한다.
라인스톤(50)의 접착평탄면(51) 직경은 대게 작은 것은 2mm, 크게는 4 내지 6mm까지 제작된다. 큰 사이즈의 라인스톤(50)을 접착대상물(30)에 부착할 때는 흡착승강니들(170)의 굵기가 라인스톤(50)의 사이즈에 따라 크기 때문에 대체로 강성이 유지된다. 그러나 2mm이하의 작은 사이즈, 예를 들어 1.5mm의 라인스톤(50)으로 작업할 때는 라인스톤(50)의 사이즈에 따라 굵기가 얇아져 강성이 비교적 약하다. 한편, 흡착승강니들(170)의 내경은 작고 외경은 크게 한다면 충분한 강성은 확보할 수 있으나 패턴 형상에 따라 라인스톤(50)들의 간격이 좁아야 하는 경우에는 내경과 외경 사이의 두께가 작업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얇은 굵기를 갖는 흡착승강니들(170)이 라인스톤(50)을 흡착한 상태에서 하강 가압할 때 승강가이드(110)가 흡착승강니들(170)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흡착승강니들(170)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흡착승강니들(170)은 승강가이드(110)에 의해 버클링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흡착승강니들(170)에는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관통된 관통유입구(171)가 형성된다. 관통유입구(171)는 도 1에서와 같이 흡착단부(172)가 라인스톤(50)을 흡착하기 위해 일정이상의 흡입력을 유지해야 할 때에는 승강가이드(110)의 내벽에 의해 상당 부분 폐쇄되지만 도 2에서와 같이 라인스톤(50)이 접착대상물(30)에 부착될 때와 같이 흡입력이 필요하지 않을 때는 승강가이드(110)로부터 노출된다.
즉, 관통유입구(171)는 흡착승강니들(170)이 라인스톤(50)을 접착대상물(30)에 부착하기 위해 소정 범위 이상 하강하였을 때 외부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흡착단부(172)로만 흡인되던 공기가 관통유입구(171)를 통해서도 유입되어 흡착단부(172)의 흡입력이 상대적으로 약화된다. 그래서 흡착승강니들(170)이 하강하여 라인스톤(50)이 접착대상물(30)에 접착할 때 라인스톤(50)에 대한 흡인력이 약화되어 라인스톤(50)이 접착대상물(30)에 잘 붙을 수 있다. 이때, 제어부(190)는 흡착승강니들(170)이 하강하여 하사점에 이르렀을 때 흡착단부(172)의 흡입력이 약화되도록 에어펌프(175)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보조승강가이드(277)를 갖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 보조승강가이드(277)가 추가된 것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승강가이드(210)의 상부에는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보조승강가이드(277)가 설치된다. 보조승강가이드(277)는 지지대(278)에 의해 승강 지지부(281)에 지지된다. 보조승강가이드(277)는 프레임(200)에 지지될 수도 있다.
보조승강가이드(277)와 메인승강가이드(210)는 튜브 형태의 관상체이며, 이들의 내부를 통해 흡착승강니들(270)이 동심적으로 승강 가능하다. 보조승강가이드(277)의 내경은 흡착승강니들(270)의 외경과 가능한 한 일치시키되 이에 따른 마찰력은 최소화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관통유입구(271)은 도 3에서와 같이 상승한 상태에서 보조승강가이드(277)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도 4에서와 같이 흡착승강니들(270)이 하강하여 라인스톤(50)을 접착대상물(30)에 부착할 때는 보조승강가이드(277)로부터 이탈되어 메인승강가이드(210)와 보조승강가이드(277) 사이의 이격공간에 노출된다. 관통유입구(271)가 노출되어 외부공기를 유입함에 따라 흡착단부(272)의 흡입력은 약화되어 라인스톤(50)의 접착대상물(30)에 대한 접착은 정확해진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라인스톤(50) 부착장치에 의해, 흡착승강니들(270)은 메인승강가이드(210)의 상측으로 이탈된 상태에서 라인스톤(50)을 공급받으며, 메인승강가이드(210)의 내부를 따라 하강하여 라인스톤(50)을 접착대상물(30)에 부착할 수 있다. 여기서, 흡착승강니들(270)은 메인승강가이드(210)로부터 상측으로 이탈되어 라인스톤(50)을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라인스톤(50)을 흡착단부(272)에 공급하는 작업이 상대적으로 수월하다.
이 실시예의 경우 흡착승강니들(270)의 승강 범위가 길고 이에 따라 흡착승강니들(270)이 비교적 길어질 수밖에 없어 버클링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지만, 길이방향을 따라 나눠진 두 부분의 승강가이드(210, 277)에 의해 흡착승강니들(270)의 강성이 강화되어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인스톤 부착장치는 흡착승강니들(270)이 돌기단부(53)가 하방을 향한 라인스톤(50)을 공급받아 흡착한 상태에서 하강하여 라인스톤(50)을 접착대상물(30)에 부착시킨다. 이때, 흡착승강니들(270)이 소정 범위 이상 하강하여 라인스톤(50)을 접착대상물(30)에 접착할 때쯤에는 관통유입공(271)이 보조 승강가이드(277)로부터 이탈 노출되어 흡착단부(272)의 흡입력이 약화된다.
이렇게 라인스톤(50)이 접착대상물(30)에 부착되면 제어부(290)는 흡착승강니들(270)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접착대상물(30)를 다음 라인스톤(50)이 부착되어야 할 위치로 이동시킨다. 흡착승강니들(270)은 소정 범위 이상 상승했을 때부터 관통유입공(271)이 보조 승강가이드(277)에 의해 폐쇄되어 흡착단부(272)의 흡입력이 강화된다.
계속해서, 흡착승강니들(270)은 돌기단부(53)가 하방을 향한 라인스톤(50)을 공급받아 흡착한 후 상술한 부착과정을 반복적으로 따른다.
도 5는 흡착승강니들(370)이 하사점에 위치할 때 흡착단부(372)의 흡입력을 더욱 약화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의 도면에서 에어고압부(379), 에어공급부(320) 및 에어공급호스(321)의 구성을 추가하여 나타낸 것이며, 일측에 에어고압부(379) 측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측단면도가 포함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흡착승강니들(370)이 라인스톤(50)을 흡착한 상태에서 하강하여 라인스톤(50)을 접착대상물(30)에 부착하는 하사점에 도달했을 때, 관통유입공(371)이 에어고압부(379)에 위치하도록 하여 관통유입공(371)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에어고압부(379)는 에어공급부(320)와 에어공급호스(321)로써 연결되어 있어 외부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받아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을 유지한다.
이러한 도 5에서의 실시예는 단순히 흡착승강니들(370)이 하사점에 이르렀을 때 관통유입공(371)을 대기에 노출시켜 흡착단부(372)의 흡입력을 약화시키는 것에서 한발 더 나아간 것으로, 관통유입공(371)으로 외부 공기를 불어넣어 흡착단부(372)의 흡입력을 더욱 약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라인스톤(50)이 접착대상물(30)에 부착될 때 흡착단부(372)의 흡입력이 사라지게 됨으로써, 라인스톤(50)은 접착대상물(30) 표면 접착력에 의해 더욱 분명하게 접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흡착승강니들(170)의 흡착단부(172)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착단부(172)에는 복수의 흡기공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흡기공은 중앙부분에 가장 큰 주 흡기공(173)이 형성되고, 그 반경방향 외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된 비교적 작은 보조 흡기공(17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복수의 흡입공에 의해, 흡착승강니들(170)은 라인스톤(50)의 접착평탄면(51) 전체 면적을 골고루 흡착하여 접착대상물(30)에 대한 부착작업을 실시할 때 라인스톤(50)을 떨어뜨리거나 라인스톤(50)이 기울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Claims (6)

  1. 접착면을 형성하는 접착평탄면과 상기 접착평탄면의 대향측에 형성된 돌기단부를 갖는 라인스톤을 접착대상물에 부착하는 라인스톤 부착장치에 있어서,
    프레임과;
    상기 라인스톤의 상기 접착평탄면을 흡착하는 하단의 흡착단부를 갖는 관상의 흡착승강니들과;
    상기 흡착승강니들이 상기 라인스톤을 흡착한 후 하강하여 상기 접착대상물에 상기 돌기단부를 가압 접착하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상기 흡착승강니들을 상기 프레임에 대해 승강구동하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흡착승강니들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가이드와;
    상기 흡착승강니들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흡착단부에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에어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스톤 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가이드는 상기 흡착승강니들을 승강가능하게 수용하는 관상체이며,
    상기 흡착승강니들은 길이방향에 가로방향으로 관통된 관통유입공을 가지고, 상기 관통유입공은 상기 흡착승강니들이 소정 범위 이상 하강하였을 때 상기 승강가이드로부터 상기 관통유입공이 노출되어 외부공기의 유입을 허용하여 상기 흡착단부의 흡인력을 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스톤 부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가이드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공간을 두고 분리된 하부의 메인가이드부와 상부의 보조가이드부를 가지며, 상기 관통유입공은 상기 이격공간에 노출될 때 외부공기의 유입을 허용하여 상기 흡착단부의 흡인력을 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스톤 부착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승강니들이 하강하여 상기 승강가이드로부터 상기 관통유입공이 노출될 때 상기 관통유입공을 통해 외부공기를 주입하는 에어고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스톤 부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대상물이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x-y 평면 내에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 상기 프레임이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스톤 부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단부에는 복수의 흡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스톤 부착장치.
PCT/KR2015/002686 2014-03-20 2015-03-19 라인스톤 부착장치 WO2015142085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80015026.6A CN106103840A (zh) 2014-03-20 2015-03-19 人造钻石附着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943 2014-03-20
KR1020140032943A KR101519640B1 (ko) 2014-03-20 2014-03-20 라인스톤 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42085A1 true WO2015142085A1 (ko) 2015-09-24

Family

ID=53394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2686 WO2015142085A1 (ko) 2014-03-20 2015-03-19 라인스톤 부착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19640B1 (ko)
CN (1) CN106103840A (ko)
WO (1) WO201514208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49497A (zh) * 2018-01-26 2018-06-12 蔡海强 一种钻石刺绣装置
EP3984396A1 (en) * 2020-10-13 2022-04-20 G.S.M. S.r.l. Machine and method for applying rhineston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0311A (ko) * 1991-11-01 1993-06-22 이천오 직물 표면에의 스팡글 부착방법 및 그 장치
KR200324738Y1 (ko) * 2003-05-19 2003-08-27 주영용 장식구 부착기
KR100604004B1 (ko) * 2005-04-25 2006-07-25 주영용 장식구 부착기의 공급장치
KR20100107968A (ko) * 2009-03-27 2010-10-06 주진식 장식구 간이부착기
KR20120132104A (ko) * 2011-05-27 2012-12-05 주식회사 썬스타 라인스톤 접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60572A (en) * 1939-01-13 1941-10-28 Russa Anton A La Rhinestone attaching machine
KR100759088B1 (ko) * 2007-03-19 2007-09-19 최광택 대량 생산형 자동 보석 부착장치
CN101590643B (zh) * 2009-01-05 2010-10-13 浙江大学 水钻自动取放装置
JP2010168712A (ja) * 2009-01-26 2010-08-05 Barudan Co Ltd ラインストーン付着装置
CN101760907A (zh) * 2009-11-11 2010-06-30 天津宝盈电脑机械有限公司 全自动镶钻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0311A (ko) * 1991-11-01 1993-06-22 이천오 직물 표면에의 스팡글 부착방법 및 그 장치
KR200324738Y1 (ko) * 2003-05-19 2003-08-27 주영용 장식구 부착기
KR100604004B1 (ko) * 2005-04-25 2006-07-25 주영용 장식구 부착기의 공급장치
KR20100107968A (ko) * 2009-03-27 2010-10-06 주진식 장식구 간이부착기
KR20120132104A (ko) * 2011-05-27 2012-12-05 주식회사 썬스타 라인스톤 접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49497A (zh) * 2018-01-26 2018-06-12 蔡海强 一种钻石刺绣装置
CN108149497B (zh) * 2018-01-26 2023-07-21 蔡海强 一种钻石刺绣装置
EP3984396A1 (en) * 2020-10-13 2022-04-20 G.S.M. S.r.l. Machine and method for applying rhinesto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03840A (zh) 2016-11-09
KR101519640B1 (ko) 2015-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442B1 (ko) 다이 이젝팅 방법, 다이 이젝팅 유닛, 다이 픽업 방법 및 다이 픽업 장치
TWI701476B (zh) 貼附裝置
KR100697931B1 (ko) 유리 기판의 반송용 로봇
JP2013103807A (ja) ワーク移載装置
CN107457794A (zh) 一种多功能机械爪
WO2015142085A1 (ko) 라인스톤 부착장치
CN110021687A (zh) 微发光二极管的转移设备及转移方法
CN209651389U (zh) 一种高速pcb板送料机
KR101314217B1 (ko)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 합착장치
KR101368819B1 (ko) 기판 이송장치
CN209774414U (zh) 柔性键盘固定装置
KR101375651B1 (ko) 패널 이송 장치 및 패널 이송 방법
CN213140520U (zh) 一种用于曲面玻璃加工的机械手的手掌组件
KR100681500B1 (ko) 기판의 자동 언로딩 장치
CN217413049U (zh) 一种脚轮装配机
CN213752664U (zh) 一种用于丝网印刷的硅片分选机上料装置
KR101329228B1 (ko) 멀티 정반 및 이를 이용한 터치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합착장치
CN210551318U (zh) 吸料机械手
KR101314216B1 (ko)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 합착장치
JP2518163B2 (ja) 偏平ワ―ク等の吸着式移動装置における脱着装置
CN210480183U (zh) 一种侧位水平式放板机
CN221026326U (zh) 一种大型玻璃吸附装置
KR102127695B1 (ko) 반도체 다이 분리장치
CN210064477U (zh) 显示面板转移装置
CN214526535U (zh) Pcb板翻转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76406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76406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