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119415A1 -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119415A1
WO2015119415A1 PCT/KR2015/001110 KR2015001110W WO2015119415A1 WO 2015119415 A1 WO2015119415 A1 WO 2015119415A1 KR 2015001110 W KR2015001110 W KR 2015001110W WO 2015119415 A1 WO2015119415 A1 WO 201511941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unit
base
mount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111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춘길
심덕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Publication of WO201511941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11941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5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a containment or docking spa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8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wirelessly charging an electronic device (battery) mounted on a vehicle.
  •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the like are equipped with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ies as batteries.
  •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 a separate charging device for providing electrical energy to the batter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a domestic commercial power source is required.
  • a separate contact terminal is configured on the outside of the charging device and the battery, there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harging device and the battery by connecting the two contact terminals to each other.
  • the contact terminal protrudes to the outside in this way, the aesthetic appearance is not good, and the contact terminal is contaminated with external foreign matters so that the contact state is easily poor.
  • the charging energy may be easily lost.
  • a wireless power charging system has been proposed in which power transmission is wireless so that the battery is charged in such a manner that the contact terminals of the charging device and the battery do not contact each other.
  • Such a wireless power charging system is typically used on a desk or table, but can also be used in a vehicle.
  • a wireless power charging system is used in a vehicle, it is difficult to stably supply power to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the vehicle may generate vibrations while driving due to the engine tremor or uneven road surface, and the vibrations may be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such that the wireless power charging system installed in the vehicle may be transmitt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ed thereon.
  •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ay not be positioned in the wireless power charging system due to the vibration of the vehicle, thereby reducing the charging efficiency.
  • the charging system fixed to the dashboard not only leaves traces of adhesive on the dashboard, but also wires connected to the power jacks of the vehicle are disposed across the center fascia, so that the interior of the vehicle may be damag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be easily mounted inside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maintain excellent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for the wireless power receiver even when the vibration of the vehicle, and to make a clean appearance inside the vehicle, It is to provide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a vehicle may include a base unit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a cup holder of a vehicle; A mounting housing formed to be inclined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base unit and having a mounting surface on which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s mounted, and a support surface extending from the mounting surface, and installed on the mounting housing to press the wireless power receiver to press the mounting surface.
  • a mounting unit including a pressing member adapted to be pressed toward the base unit and connected to the base unit; And a transmission unit built in the mounting unit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of the vehicle and outputting a wireless power signal towar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 the mounting surface may have a width that decreases away from the support surface.
  • the mounting housing further extends from the support surface, and further comprises an installation surface on which the pressing member is installed, the pressing member includes a support fixed to the inside of the installation surface; A movable piece installed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support; And an elastic body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movable piece to protrude the movable piece toward the mounting surface.
  • the movable piece, the pressing surface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mounting surface; And it may include a guide surface which is bent to extend the inclined to the pressing surface.
  • the moun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ide housing surrounding a side of the mounting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base unit.
  • the base unit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of the vehicle;
  • a mounting unit which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a central axis of the base unit, and has a mounting surface on which a wireless power receiver is mounted, and a mounting housing having a support surface extending from the mounting surface, the mounting unit being connected to the base unit;
  • a connecting jack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power jack of the vehicle,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mounting surface on the inside of the mounting surface,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of the vehicle through the connecting jack to receive the wireless power signal towar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 a transmission coil for outputting the transmission coil a transmission control unit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ounting surface based on the transmission coil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coil, and an electromagnetic wave generated between the transmission coil and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It may include a transmission unit having a shielding member for blocking the transmission to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 the transmit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installed in the mounting housing and displaying a transmission state of the wireless power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a vehicle may include a base inserted into a cup holder of a vehicle, a protrusion member connected to the base and configured to protrude out of the base; A base unit disposed between the base and the protruding member, the base unit including an elastic part for pressing the protruding member toward the sidewall of the cup holder; A mounting unit connected to the base unit and configured to mount a wireless power receiver; And a transmission unit built in the mounting unit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of the vehicle and outputting a wireless power signal towar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 the base unit the side wall portion formed in the base; A guide rail formed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ding member protrudes from the side wall; And a guide groove formed on the protruding member and engaged with the guide rail.
  • the base unit may further include a non-slip pad attached to the end surface of the protruding member.
  • the base unit may further include an inclined surfac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protruding member and inclining the central axis of the base.
  •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a vehicle may include a base inserted into a cup holder of a vehicle, a protrusion member connected to the base and configured to protrude out of the base; A base unit including a base housing surrounding the base and a flange extending from the base housing and configured to be caught by an upper end of the cup holder; A mounting unit connected to the base unit and configured to mount a wireless power receiver; And a transmission unit built in the mounting unit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of the vehicle and outputting a wireless power signal towar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 vehicl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cup holder of the vehicle can be easily mounted in the vehicle.
  •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s easy to use because the mounting is completed while lying on the inclined mounting surface.
  •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ounting surface by the crimping member, and the protruding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wall of the cup holder, it is possible to maintain excellent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for the wireless power receiver even when vibration of the vehicle occurs.
  • the wires connected to the power jack of the vehicle do not cross the center fascia, thereby forming a neat appearance inside the vehicle.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wireless charging between a transmission unit 130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200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for a vehicle of FIG. 1.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ular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of FIG. 1.
  • FIG. 4 is an exploded exploded view of the vehicular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of FIG. 1.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hicular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of FIG.
  • FIG. 6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vehicular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of FIG. 1.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wireless charging between a transmission unit 130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200 of a vehicl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 a wireless power charging system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FIG. 3)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200.
  • the vehicl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transmits a wireless power signal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0 by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0 that receives the power signal receives the power of the wireless power signal.
  •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transmits a wireless power signal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0 by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0 that receives the power signal receives the power of the wireless power signal.
  • the vehicl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specifically, the transmission unit 130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0 will be described.
  • the transmission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ssion coil 131, a transmission control unit 135, and an AC / DC converter 141.
  • the transmitting coil 131 is a device for transmitting a wireless power signal to the receiving coil 210 of the power receiver 200 in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in this embodiment two coils (that is, the first transmitting coil ( 132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133 may be applied.
  • the transmission controller 135 may include an object detector 136, a central controller 137, a switching controller 138, a drive driver 139, and a series resonant converter 140.
  • the object detector 136 may detect a load change of the transmission coil 131 and determine whether the load change is caused by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0 (that is, have a function as an ID checker). Further, when the transmitting coil 131 is composed of the first transmitting coil 132 and the second transmitting coil 133, the object detecting unit 136 is the first transmitting coil 132 and the second transmitting coil 133. Corresponding to which transmission coil of),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receiving coil 210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0 is located. In addition, the object detector 136 performs a function of filtering and processing the charging stat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0. For example, when an ID signal, which is a response signal of the ID cal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coil 131, is received and filtered, the charging state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battery cell or the charging voltage is filtered. When received, it functions to filter the processing.
  • an ID signal which is a response signal of the ID cal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coil 131
  • the central control unit 137 receives and confirms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object detecting unit 136, analyzes an ID signal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coil 131, and transmits a wireless power signal through the transmission coil 131. It transmits a signal to the driving driver 139.
  • the central control unit 137 may use the two transmitting coils 132 and the plurality of transmitting coils 132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object detecting unit 136. Only one transmitting coil close to the receiving coil 210 of the 133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 the central controller 137 controls the driving driver 139 to change the wireless power signal.
  • the switching controller 138 controls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between the series resonant converter 140, the first transmission coil 132,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133.
  • the switching controller 138 controls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between the series resonant converter 140, the first transmission coil 132,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133.
  • two transmitting coils 132 and 133 are illustrated, but if only one transmitting coil 131 is used, the switching control unit 138 is naturally unnecessary.
  • the driving driver 139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eries resonant converter 140 through the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ler 137.
  • the series resonant converter 140 generates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power signal to be transmitted by the control of the driving driver 139 and supplies it to the transmission coil 131.
  • the driving driver 139 resonates in series with the transmitted power control signal.
  • the series resonant converter 140 applies the output power corresponding to the power value required by the control of the drive driver 139 to the transmission coil 131, the required strength Is to allow the wireless power signal to be sent.
  • the series resonant converter 140 is configured to generate the first object detection signal and the second object detection signal through the first transmission coil 132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133 under the control of the driving driver 139. It serves to supply power.
  • the AC / DC converter 141 is a device for changing an AC power supply such as 220V or 110V to a DC power supply having a predetermined voltage.
  • the output voltage value is changed by the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 unit 137.
  • the AC / DC converter 141 since the vehicl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uses a battery (stores DC current) of the vehicle, the AC / DC converter 141 may not perform a function of changing AC power to DC power. have.
  • the light emitting unit 143 is configured to display a transmission state of the wireless power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35.
  • the light emitting unit 143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state of charge by the transmission unit 130 by adjusting the color and the point light form.
  •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0 that receives power by receiving a wireless power signal may include: a receiving coil 210 for generating induced power by the transmitted power signal, a rectifying unit 220 for rectifying the induced power, and the rectified power.
  • the battery cell module 230 is charged with electric power, and a receiving coil 210, a rectifier 220, and a reception controller 240 for controlling the battery cell module.
  • the receiving coil 210 is a component for receiving a wireless power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coil 131 of the transmitting unit 130.
  • the rectifier 220 rectifies the wireless power received from the receiving coil 210 to a DC voltage, and maintains the charging state at the charging voltage until the charging is started.
  • the battery cell module 230 becomes a charging target to be charged by the DC power supply from the rectifier 220 under the control of the reception controller 240.
  • the battery cell module 230 includes a protection circuit such as an overvoltage and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a temperature sensing circuit, and also includes a charge management module for collect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such as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cell.
  • the reception controller 240 controls the current of the power charged by the rectifier 220 to allow an appropriate current to flow to the battery cell module 230.
  • the three sensors may be installed to detect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0.
  • the three sensors may include a DC current sensor for measuring the DC current of the driving driver 139, an AC current sensor, and an AC voltage sensor for measuring the AC current and the AC voltage of the transmission coil 131.
  •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signal (that is, including the ID signal and the charging status signal)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0 through the transmission coil 131, accordingly, the current in the transmission coil 131 and The voltage and the current in the driving driver 139 are fluctuated, and detects this to receive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signal.
  • more accurate wireless power reception signals can be received using three sensors. That is, the central control unit 137 generates an error signal only when the signals from the AC current sensor, the DC current sensor, and the AC voltage sensor are all errors, and when any one of these signals is a normal signal, the received signal is normal. Based on the control operation. If two or more signals are normal signals, measure their power levels, select the best signal (the signal with the highest power level), and process the best signal to obtain a wireless reception signal, Accordingly,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s controlled.
  • the structure of the vehicular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vehicular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of FIG. 1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ular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of FIG. 1.
  • the vehicl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is configured to fit in the cup holder (C) of the vehicle, it is also configured to mount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such as a smartphone.
  • the cup holder (C) has a cylindrical shape
  • the vehicl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may be fitted in a direction facing any direction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cup holder (C). Accordingly, the user may arrange the display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0 in a desired direction.
  • the vehicl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may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jack J of the vehicle through the connection jack 145.
  • the vehicl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may charge the mounted wireless power receiver 200 through the above-describ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process by using the supplied power.
  • FIG. 4 is an exploded view of the vehicular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of FIG. 1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hicular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of FIG. 1.
  •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for a vehicle may include a mounting unit 110, a transmission unit 130, and a base unit 150.
  • the mounting unit 110 is a configuration for mounting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0 (hereinafter, Fig. 2).
  • the mounting unit 110 may include a mounting housing 111, a side housing 115, and a crimping member 117.
  • the mounting housing 111 may include a mounting surface 112, a support surface 113, and an installation surface 114.
  • Mounting surface 112 is a surface on which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0 is mounted.
  • the mounting surface 112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with the central axis X of the base unit 150, and may have a width that decreases away from the support surface 113.
  • the supporting surface 113 is a surface for supporting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0.
  • the supporting surface 113 may be bent and extended from the mounting surface 112.
  • the installation surface 114 is a surface on which the crimping member 117 is installed.
  • the installation surface 114 may be formed to be bent from the support surface 113 to face the mounting surface 112.
  • the side housing 115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side of the mounting housing 111.
  • the side housing 115 may have a closed bottom, and the bottom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unit 150.
  • the pressing member 117 is configured to press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0 to be pressed toward the mounting surface 112.
  • the pressing member 117 may include a support 119, a movable piece 121, and an elastic body 125.
  • the support 119 is fixed inside the installation surface 114.
  • the movable piece 121 is provided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ody 119.
  • the movable piece 121 may include a pressing surface 122 and a guide surface 123.
  • the pressing surface 122 may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mounting surface 112, and the guide surface 123 may be extend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pressing surface 122.
  • the elastic body 125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119 and the movable piece 121 to protrude toward the surface 112 through the movable piece 121.
  • the transmission unit 130 may include a connection jack 145, a transmission coil 131, a temperature sensor 147, a transmission control unit 135, a shielding member 149, and a light emitting unit 143.
  • the connection jack 145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power jack J of the vehicle.
  • the transmitting coil 131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mounting surface 112 inside the mounting surface 112, and is configured to output a wireless power signal with power input from the connection jack 145.
  • the temperature sensor 147 is disposed across the transmitting coil 131.
  •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35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ounting surface 112 based on the transmission coil 131.
  • the transmission controller 135 may adjust the output of the wireless power signal based o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147.
  • the shield member 149 is positioned between the transmission coil 131 and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35.
  • the shielding member 149 blocks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the transmission coil 131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35.
  • the light emitting unit 143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housing 111.
  • the light emitting unit 143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transmission state of the wireless power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35,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information on the charging state.
  • the base unit 150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cup holder C of the vehicle.
  • the base unit 150 may include a base 151, a protruding member 157, an elastic portion 163, and a base housing 165.
  • the base 151 may include sidewalls 152, guide rails 153, guide holes 154, and recesses 155.
  • the side wall part 152 is formed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ding member 157 to be described later protrudes, which may be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along a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X of the base 151.
  • the guide rail 153 is formed in the side wall portion 152 along its extending direction.
  • the guide hole 154 is formed through the base 151.
  • the recess 155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side wall 152.
  • the protruding member 157 is connected to the base 151 and is configured to protrude outward of the base 151. Although three protruding members 157 are shown in the figure, the number of protruding members 157 is not limited thereto.
  • the non-slip pad 158, the inclined surface 159, the guide groove 160, the guide pin 161, and the locking piece 162 may be formed in the protruding member 157.
  • the non-slip pad 158 is attached to the end surface of the protruding member 157.
  • the inclined surface 159 is formed in the lower edge region of the protruding member 157.
  • the inclined surface 159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the central axis X of the base 151.
  • the guide groove 160 is formed in the protruding member 157 to be engaged with the guide rail 153.
  • the guide pin 161 extends rearward from the protruding member 157 and may be drawn in and drawn out through the guide hole 154.
  • the locking piece 162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protruding member 157 and is configured to be caught by the recess 155.
  • the elastic portion 163 is provided between the base 151 and the protruding member 157. Specifically, the elastic portion 163 is fitted to the guide pin 161, it is configured to press the protruding member 157 toward the side wall of the cup holder (C).
  • the base housing 165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base 151.
  • An opening 166 and a flange 167 may be formed in the base housing 165.
  • the opening 166 may be formed at the side of the base housing 165 to allow the protruding member 157 to be drawn in and drawn out from the base 151.
  • the flange 167 extends from the top of the base housing 165.
  • the flange 167 protrudes in the shape of a ring and is configured to be caught by the upper end of the cup holder C.
  • FIG. 6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vehicular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of FIG. 1.
  •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0 may be mounted on the mounting housing 111.
  •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0 slides through the mounting surface 112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movable piece 121.
  • the movable piece 121 has an inclined guide surface 123,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0 can be easily inserted up to the support surface 113 with only a small force. Then, when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0 is supported on the support surface 113, the pressing surface 122 of the movable piece 121 will press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0.
  • the rear surfac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0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mounting surface 112, the charging efficiency through the transmission unit 130 can be increased significantly.
  •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0 may be stably in close contact with the mounting surface 112, thereby maintaining the charging efficiency almost intact.
  • the mounting surface 112 is arranged to be inclined with the central axis (X) of the base 151 so that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0 is placed in a slightly lying state, i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0 is placed by gravity In addition to being closer to 112, the user may more easily identify the display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0.
  •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0 for a vehicl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base unit 150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cup holder C. Specifically, when the base unit 150 is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C), first, the protruding member 157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cup holder (C). Here, since the protruding member 157 has an inclined surface 159, the base unit 150 can be easily inserted as if it slides on the cup holder (C). When the inclined surface 159 is pressed by the sidewall of the cup holder C, the protruding member 157 retreats toward the base 151 along the guide groove 160 and the guide rail 153 (FIG. 4).
  • the flange 167 may be fixed to the cup holder C while contacting the upper end of the cup holder C.
  • the non-slip pad 158 of the protruding member 157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ide wall of the cup holder C by the elastic portion 163,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does not shake even when the vehicle vibrates. Can be fixed stably.
  • connection jack 145 (FIG. 4) as described above.
  • the wires of the connection jack 145 are not arranged across the center fascia, as the conventional dashboard fixing holder is arranged next to the gear rod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button, the user is placed in the center fascia Not only can the operation buttons be easily operated, but the inside of the vehicle can be organized more neatly.
  •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a vehicle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uch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the embodi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컵홀더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의 중심축과 경사지게 형성되고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거치되는 거치면과 상기 거치면에서 절곡 연장되는 받침면을 갖는 거치 하우징과, 상기 거치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가압하여 상기 거치면을 향해 압착되도록 하는 압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유닛에 연결되는 거치 유닛; 및 상기 거치 유닛에 내장되고, 상기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향해 무선전력 신호를 출력하는 전송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어 전자기기(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는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Secondary Battery)가 배터리로서 장착된다.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가정용 상용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 별도의 충전장치가 필요하다.
통상적으로, 충전장치와 배터리에는 외부에 각각 별도의 접촉 단자가 구성되어 있어서, 두 접촉 단자를 서로 접속시키는 것에 의해 충전장치와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접촉 단자가 외부에 돌출되면, 미관상 좋지 않고 접촉 단자가 외부의 이물질에 오염되어 접촉 상태가 쉽게 불량해지기도 한다. 또한, 사용자의 부주의로 배터리에 단락이 발생하거나 습기에 노출되면, 충전에너지가 쉽게 소실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식 충전방식의 대안으로서, 충전장치와 배터리 각각의 접촉 단자들이 서로 접촉되지 않는 방식으로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전력 전달이 무선으로 이루어지는 무선전력 충전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전력 충전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책상이나 탁자 위 등에서 놓여서 사용될 수 있으나, 차량 내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무선전력 충전시스템이 차량 내에서 사용되는 경우, 휴대용 전자기기에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은 엔진의 떨림 또는 노면 요철 등을 인해 주행 중에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진동은 차량 내부로 전달되어서, 차량 내부에 설치된 무선전력 충전시스템과, 이에 거치된 휴대용 전자기기에도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는 차량의 진동으로 인해 무선전력 충전시스템에 정위치되지 못하여 충전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차량의 대쉬보드에 접착되는 거치대 형식의 충전시스템의 경우, 대쉬보드의 바닥면에 일점 지지되므로, 차량의 진동을 차단하기 어려워 무선전력 충전시스템을 응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아울러, 대쉬보드에 고정되는 방식의 충전시스템은 대쉬보드에 접착재의 흔적을 남길 뿐만 아니라, 차량의 전원잭과 연결되는 전선이 센터페시아를 가로질러 배치되므로 차량 내부의 미관을 헤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내부에 간편하게 장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진동 발생시에도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대한 우수한 무선 충전 효율을 유지할 수 있고, 차량 내부의 깔끔한 외관을 구성할 수 있게 하는,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과 관련된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차량의 컵홀더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의 중심축과 경사지게 형성되고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거치되는 거치면과 상기 거치면에서 절곡 연장되는 받침면을 갖는 거치 하우징과, 상기 거치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가압하여 상기 거치면을 향해 압착되도록 하는 압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유닛에 연결되는 거치 유닛; 및 상기 거치 유닛에 내장되고, 상기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향해 무선전력 신호를 출력하는 전송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치면은, 상기 받침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치 하우징은, 상기 받침면에서 절곡 연장되고, 상기 압착 부재가 설치되는 설치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착 부재는, 상기 설치면의 내측에 고정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편; 및 상기 지지체와 상기 가동편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편을 상기 거치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동편은, 상기 거치면과 평행하게 배열되는 압착면; 및 상기 압착면에 대해 경사를 이루며 절곡 연장되는 안내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치 유닛은, 상기 거치 하우징의 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베이스 유닛과 연결되는 측면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과 관련된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차량의 컵홀더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의 중심축과 경사지게 형성되고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거치되는 거치면과 상기 거치면에서 절곡 연장되는 받침면을 갖는 거치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유닛에 연결되는 거치 유닛; 및 상기 차량의 전원잭에 접속되도록 형성되는 접속잭과, 상기 거치면의 내측에 상기 거치면과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접속잭을 통해 상기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향해 무선전력 신호를 출력하는 전송 코일과, 상기 전송 코일을 기준으로 상기 거치면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전송 코일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송 제어부와, 상기 전송 코일과 상기 전송 제어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전송 코일에서 발생한 전자기파가 상기 전송 제어부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폐 부재를 갖는 전송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송 유닛은, 상기 거치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전송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무선전력 신호의 전송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과 관련된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차량의 컵홀더에 삽입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돌출 부재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돌출 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돌출 부재를 상기 컵홀더의 측벽을 향해 가압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에 연결되고,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거치되도록 구성되는 거치 유닛; 및 상기 거치 유닛에 내장되고, 상기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향해 무선전력 신호를 출력하는 전송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에 상기 돌출 부재가 돌출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안내레일; 및 상기 돌출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레일과 맞물리는 안내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유닛은, 상기 돌출 부재의 끝단면에 부착되는 논슬립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유닛은, 상기 돌출 부재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중심축과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과 관련된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차량의 컵홀더에 삽입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돌출 부재와, 상기 베이스를 둘러싸는 베이스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서 연장되고 상기 컵홀더의 상단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에 연결되고,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거치되도록 구성되는 거치 유닛; 및 상기 거치 유닛에 내장되고, 상기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향해 무선전력 신호를 출력하는 전송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컵홀더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되므로 차량 내부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경사진 형태의 거치면에 뉘어지면서 거치가 완료되므로 사용이 간편하다.
또한,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압착 부재에 의해 거치면과 밀착되고, 돌출 부재가 컵홀더의 측벽에 밀착되므로, 차량의 진동 발생시에도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대한 우수한 무선 충전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차량의 대쉬보드가 아닌 컵홀더에 장착되므로, 차량의 전원잭과 연결되는 전선이 센터페시아를 가로지르지 않게 되어, 차량 내부의 깔끔한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전송 유닛(130)과 무선전력 수신장치(200) 사이의 무선 충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분해 전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전송 유닛(130)과 무선전력 수신장치(200) 사이의 무선 충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무선전력 충전 시스템은, 무선전력 전송장치(100, 도 3)와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를 포함한다. 전자기 유도 방식에 의해,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100)가 무선전력 신호를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로 전송하면, 이 전력 신호를 수신한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는 상기 무선전력 신호의 전력으로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와 연결된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100), 구체적으로는 전송 유닛(130)과,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연관된 구성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도록 한다.
전송 유닛(130)은, 전송 코일(131) 및 전송 제어부(135), 그리고 AC/DC 컨버터(1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전송 코일(131)은 무선전력 신호를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력 수신장치(200)의 수신 코일(210)에 전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코일[즉, 제1 전송 코일(132) 및 제2 전송 코일(133)]이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송 제어부(135)는, 객체 감지부(136), 중앙 제어부(137), 스위칭 제어부(138), 구동 드라이버(139) 및 직렬 공진형 컨버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 감지부(136)는 전송 코일(131)의 부하 변화를 감지하고, 해당 부하 변화가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즉, 아이디 확인부로서의 기능을 가짐). 나아가, 전송 코일(131)이 제1 전송 코일(132)과 제2 전송 코일(133)로 구성되는 경우에, 객체 감지부(136)는 제1 전송 코일(132) 및 제2 전송 코일(133) 중 어느 전송 코일에 대응하여,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수신 코일(210)이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객체 감지부(136)는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충전 상태 신호를 필터링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전송 코일(131)을 통해 전송되는 아이디 호출 신호의 응답신호인 아이디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필터링하여 처리하고, 충전 중, 배터리 셀이나 충전 전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상태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필터링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한다.
중앙 제어부(137)는 객체 감지부(136)의 판단결과를 전송받아 확인하고, 전송 코일(131)에서 수신되는 아이디 신호를 분석하여, 전송 코일(131)을 통해 무선전력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전력 신호를 구동 드라이버(139)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전송 코일(131)이 제1 전송 코일(132)과 제2 전송 코일(133)로 구성된 경우에, 중앙 제어부(137)은 객체 감지부(136)의 판단결과에 따라 두 개의 전송 코일(132 및 133) 중 수신 코일(210)에 가까운 하나의 전송 코일만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137)는 전송 코일(131)로부터 충전 상태신호가 수신되면, 이에 기초하여 구동 드라이버(139)를 제어하여 무선전력 신호를 변경하는 기능을 한다.
스위칭 제어부(138)는 직렬 공진형 컨버터(140)와 제1 전송 코일(132) 및 제2 전송 코일(133)의 사이에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전송 코일(132 및 133)이 예시되나, 전송 코일(131)이 하나만 사용되는 경우에는 당연히 스위칭 제어부(138)가 불필요하게 된다.
구동 드라이버(139)는 중앙 제어부(137)의 제어를 통해 직렬 공진형 컨버터(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직렬 공진형 컨버터(140)는 구동 드라이버(139)의 제어에 의해 송출하고자 하는 전력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송출 전원을 생성하여 전송 코일(131)로 공급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중앙 제어부(137)가 요구되는 전력 값을 갖는 전력 신호의 송출을 위한 전력 제어 신호를 구동 드라이버(139)로 전송하면, 구동 드라이버(139)는 전송된 전력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직렬 공진형 컨버터(140)의 동작을 제어하고, 직렬 공진형 컨버터(140)는 구동 드라이버(139)의 제어에 의하여 요구되는 전력 값에 대응하는 송출 전력을 전송 코일(131)에 인가함으로써, 요구되는 세기의 무선전력 신호가 송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직렬 공진형 컨버터(140)는 구동 드라이버(139)의 제어에 의해 제1 전송 코일(132) 및 제2 전송 코일(133)을 통해 각각 제 1 객체 감지 신호와 제 2 객체 감지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AC/DC 컨버터(141)는 220V 또는 110V 등의 교류 전원을 소정 전압의 직류 전원으로 변경하는 장치로서, 중앙 제어부(137)의 제어에 의해, 출력 전압 값이 변경된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차량의 배터리(DC 전류를 저장하는)를 이용하므로, AC/DC 컨버터(141)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발광부(143)는 전송 제어부(135)의 제어하에 무선전력 신호의 전송 상태를 표시하는 구성이다. 발광부(143)는 전송 유닛(130)에 의한 충전 상태를 색상 및 점광 형태를 조절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무선전력 신호를 수신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는, 상기 송출된 전력 신호에 의해 유도전력을 생성하는 수신 코일(210), 유도된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부(220), 정류된 전력으로 충전되는 배터리셀 모듈(230), 그리고, 수신 코일(210), 정류부(220) 및 상기 배터리 셀 모듈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수신 코일(210)은 전송 유닛(130)의 전송 코일(131)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정류부(220)는 수신 코일(21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전력을 직류 전압으로 정류하며, 충전 개시 전까지는 충전전압으로 충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배터리셀 모듈(230)은 수신 제어부(240)의 제어를 받아 정류부(220)에서의 직류 전원을 통해 충전이 되는 충전 대상이 된다. 한편, 배터리셀 모듈(230)에는 과전압 및 과전류방지회로, 온도감지회로 등의 보호회로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또한, 배터리셀의 충전상태 등의 정보를 수집 및 처리하는 충전관리모듈이 포함된다.
수신 제어부(240)는 정류부(220)에서 충전된 전원의 전류를 제어하여 배터리셀 모듈(230)로 적절한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한편,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측으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전력 수신 신호의 검파를 위하여 3개의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3개의 센서는, 구동 드라이버(139)의 직류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직류 전류 센서와, 전송 코일(131)의 교류 전류 및 교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교류 전류 센서 및 교류 전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로부터 무선전력 수신 신호(즉, 아이디 신호 및 충전 상태 신호를 포함)가 전송 코일(131)을 통해 수신되게 되면, 이에 따라, 전송 코일(131)에서의 전류 및 전압과 구동 드라이버(139)에서의 전류가 변동되게 되고, 이를 감지하여 무선전력 수신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무선전력 수신 신호의 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즉, 중앙 제어부(137)는, 교류 전류 센서, 직류 전류 센서, 교류 전압 센서로부터의 신호가 모두 에러인 경우에만 에러신호를 발생시키며, 이 중 어느 하나라도 정상 신호인 경우에는, 정상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만약, 2 이상의 신호가 정상신호인 경우, 이들의 전력 레벨을 측정하고, 이중 최선의 신호(전력 레벨이 가장 높은 신호)를 선택하고, 그 최선의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무선 수신 신호를 획득하고, 이에 따라 무선전력 전송을 제어하게 된다.
이상의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구조에 대해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차량의 컵홀더(C)에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또한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거치할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컵홀더(C)는 원통의 형상을 가지므로,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컵홀더(C)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임의의 방향을 향하는 상태로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디스플레이를 원하는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접속잭(145)을 통하여 차량의 전원잭(J)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이 공급받은 전력을 이용하여 전술한 무선전력 전송 과정을 통해, 거치된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를 충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분해 전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거치 유닛(110), 전송 유닛(130), 및 베이스 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치 유닛(110)은 무선전력 수신장치(200, 이하 도 2)를 거치하기 위한 구성이다. 거치 유닛(110)은 거치 하우징(111), 측면 하우징(115), 및 압착 부재(117)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 하우징(111)은 거치면(112), 받침면(113), 및 설치면(114)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치면(112)은 무선전력 수신장치(200)가 거치되는 면이다. 거치면(112)은 베이스 유닛(150)의 중심축(X)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받침면(113)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받침면(113)은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를 지지하기 위한 면이다. 받침면(113)은 거치면(112)에서 절곡 연장될 수 있다. 설치면(114)은 압착 부재(117)가 설치되는 면이다. 설치면(114)은 받침면(113)에서 절곡 연장되어, 거치면(112)과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측면 하우징(115)은 거치 하우징(111)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측면 하우징(115)은 하단이 폐쇄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 하단은 베이스 유닛(150)과 연결될 수 있다.
압착 부재(117)는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를 가압하여 거치면(112)을 향해 압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압착 부재(117)는 지지체(119), 가동편(121), 및 탄성체(12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체(119)는 설치면(114)의 내측에 고정된다. 가동편(121)은 지지체(119)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동편(121)은 압착면(122) 및 안내면(123)을 포함할 수 있다. 압착면(122)은 거치면(112)과 평행하게 배열되며, 안내면(123)은 압착면(122)에 대해 경사를 이루며 절곡 연장될 수 있다. 탄성체(125)는 지지체(119)와 가동편(121)의 사이에 설치되어, 가동편(121)을 거치면(112)을 향해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전송 유닛(130)은 전술한 것과 같이, 접속잭(145), 전송 코일(131), 온도 센서(147), 전송 제어부(135), 차폐 부재(149), 및 발광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잭(145)은 차량의 전원잭(J)에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전송 코일(131)은 거치면(112)의 내측에 거치면(112)과 평행하게 배열되고, 접속잭(145)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으로 무선전력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온도 센서(147)는 전송 코일(131)을 가로질러 배치된다. 전송 제어부(135)는 전송 코일(131)을 기준으로 거치면(112)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전송 제어부(135)는 온도 센서(147)로부터 수신되는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전력 신호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차폐 부재(149)는 전송 코일(131)과 전송 제어부(135)의 사이에 위치한다. 차폐 부재(149)는 전송 코일(131)에서 발생한 전자기파가 전송 제어부(135)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발광부(143)는 거치 하우징(111)에 설치된다. 발광부(143)는 전송 제어부(135)의 제어하에 무선전력 신호의 전송 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베이스 유닛(150)은 차량의 컵홀더(C)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 유닛(150)은 베이스(151), 돌출 부재(157), 탄성부(163), 및 베이스 하우징(165)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51)에는 측벽부(152), 안내레일(153), 가이드홀(154), 및 리세스부(155)가 형성될 수 있다. 측벽부(152)는 후술하는 돌출 부재(157)가 돌출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이는 베이스(151)의 중심축(X)을 기준으로 대략 방사 방향을 따르는 방향일 수 있다. 안내레일(153)은 측벽부(152)에 그의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가이드홀(154)은 베이스(151)에 관통 형성된다. 리세스부(155)는 측벽부(152)의 일정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 부재(157)는 베이스(151)에 연결되고, 베이스(151)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도면에는 3개의 돌출 부재(157)가 도시되어 있으나, 돌출 부재(157)의 갯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돌출 부재(157)에는 논슬립 패드(158), 경사면(159), 안내홈(160), 가이드핀(161), 및 걸림편(162)이 형성될 수 있다. 논슬립 패드(158)는 돌출 부재(157)의 끝단면에 부착된다. 경사면(159)은 돌출 부재(157)의 하단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된다. 경사면(159)은 베이스(151)의 중심축(X)과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안내홈(160)은 돌출 부재(157)에 형성되어, 안내레일(153)과 맞물리게 구성된다. 가이드핀(161)은 돌출 부재(157)에서 그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가이드홀(154)을 통해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걸림편(162)은 돌출 부재(157)의 측면에 형성되어, 리세스부(155)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탄성부(163)는 베이스(151)와 돌출 부재(157)의 사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탄성부(163)는 가이드핀(161)에 끼워져서, 돌출 부재(157)를 컵홀더(C)의 측벽을 향해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 하우징(165)은 베이스(151)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베이스 하우징(165)에는 개구부(166) 및 플랜지(167)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66)는 베이스 하우징(165)의 측면에 형성되어, 돌출 부재(157)가 베이스(151)에 대해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플랜지(167)는 베이스 하우징(165)의 상단에서 연장 형성된다. 플랜지(167)는 링의 형상으로 돌출되어, 컵홀더(C)의 상단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작동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작동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는 거치 하우징(111)에 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는 거치면(112)을 통해 미끄러지듯 이동하여, 가동편(121)과 맞닿게 된다. 여기서, 가동편(121)은 경사진 형태의 안내면(123)을 가지므로,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는 작은 힘만으로도 받침면(113)까지 손쉽게 꽂혀질 수 있다. 이후, 무선전력 수신장치(200)가 받침면(113)에 지지되면, 가동편(121)의 압착면(122)이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를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후면이 거치면(112)과 밀착될 수 있어, 전송 유닛(130)을 통한 충전 효율이 상당량 증가할 수 있다. 아울러, 오프 로드 주행과 같이, 차량에 비교적 큰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무선전력 수신장치(200)가 거치면(112)과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어 충전 효율을 거의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거치면(112)은 베이스(151)의 중심축(X)과 경사지게 배열되어 무선전력 수신장치(200)가 약간 뉘어진 상태로 배치되므로, 무선전력 수신장치(200)가 중력에 의해 거치면(112)과 보다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디스플레이를 보다 쉽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컵홀더(C)에 베이스 유닛(150)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유닛(150)이 컵홀더(C)에 삽입되는 경우, 먼저 돌출 부재(157)가 컵홀더(C)의 상단과 맞닿게 된다. 여기서, 돌출 부재(157)는 경사면(159)을 가지므로, 베이스 유닛(150)은 컵홀더(C)에 미끄러지듯이 손쉽게 삽입될 수 있다. 경사면(159)이 컵홀더(C)의 측벽에 의해 가압되면, 돌출 부재(157)는 안내홈(160) 및 안내레일(153, 도 4)을 따라 베이스(151)를 향해 후퇴하게 된다. 사용자가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를 더 누르게 되면, 플랜지(167)가 컵홀더(C)의 상단과 맞닿게 되면서 컵홀더(C)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 부재(157)의 논슬립 패드(158)가 탄성부(163)에 의해 컵홀더(C)의 측벽과 맞닿게 되므로,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차량의 진동시에도 흔들림 없이 컵홀더(C)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100)가 컵홀더(C)에 고정되면, 전술한 것과 같이 접속잭(145, 도 4)을 통해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종래의 대쉬보드 고정용 거치대와 같이 접속잭(145)의 전선이 센터페시아를 가로질러 배치되지 않고, 별도의 조작 버튼이 없는 기어봉 옆으로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센터페시아에 배치된 조작 버튼을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가 보다 깔끔하게 정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2)

  1. 차량의 컵홀더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의 중심축과 경사지게 형성되고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거치되는 거치면과 상기 거치면에서 절곡 연장되는 받침면을 갖는 거치 하우징과, 상기 거치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가압하여 상기 거치면을 향해 압착되도록 하는 압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유닛에 연결되는 거치 유닛; 및
    상기 거치 유닛에 내장되고, 상기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향해 무선전력 신호를 출력하는 전송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면은,
    상기 받침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너비를 갖는,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하우징은,
    상기 받침면에서 절곡 연장되고, 상기 압착 부재가 설치되는 설치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착 부재는,
    상기 설치면의 내측에 고정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편; 및
    상기 지지체와 상기 가동편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편을 상기 거치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편은,
    상기 거치면과 평행하게 배열되는 압착면; 및
    상기 압착면에 대해 경사를 이루며 절곡 연장되는 안내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유닛은,
    상기 거치 하우징의 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베이스 유닛과 연결되는 측면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6. 차량의 컵홀더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의 중심축과 경사지게 형성되고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거치되는 거치면과 상기 거치면에서 절곡 연장되는 받침면을 갖는 거치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유닛에 연결되는 거치 유닛; 및
    상기 차량의 전원잭에 접속되도록 형성되는 접속잭과, 상기 거치면의 내측에 상기 거치면과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접속잭을 통해 상기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향해 무선전력 신호를 출력하는 전송 코일과, 상기 전송 코일을 기준으로 상기 거치면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전송 코일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송 제어부와, 상기 전송 코일과 상기 전송 제어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전송 코일에서 발생한 전자기파가 상기 전송 제어부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폐 부재를 갖는 전송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상기 거치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전송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무선전력 신호의 전송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8. 차량의 컵홀더에 삽입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돌출 부재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돌출 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돌출 부재를 상기 컵홀더의 측벽을 향해 가압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에 연결되고,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거치되도록 구성되는 거치 유닛; 및
    상기 거치 유닛에 내장되고, 상기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향해 무선전력 신호를 출력하는 전송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에 상기 돌출 부재가 돌출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안내레일; 및
    상기 돌출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레일과 맞물리는 안내홈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유닛은,
    상기 돌출 부재의 끝단면에 부착되는 논슬립 패드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유닛은,
    상기 돌출 부재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중심축과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12. 차량의 컵홀더에 삽입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돌출 부재와, 상기 베이스를 둘러싸는 베이스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서 연장되고 상기 컵홀더의 상단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에 연결되고,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거치되도록 구성되는 거치 유닛; 및
    상기 거치 유닛에 내장되고, 상기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향해 무선전력 신호를 출력하는 전송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PCT/KR2015/001110 2014-02-07 2015-02-03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WO201511941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4412A KR101461101B1 (ko) 2014-02-07 2014-02-07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KR10-2014-0014412 2014-0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19415A1 true WO2015119415A1 (ko) 2015-08-13

Family

ID=52290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1110 WO2015119415A1 (ko) 2014-02-07 2015-02-03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61101B1 (ko)
WO (1) WO20151194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0237A1 (ko) * 2015-08-17 2017-02-23 신승진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869B1 (ko) * 2015-05-15 2017-02-23 삼성전기주식회사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WO2017069326A1 (ko) * 2015-10-21 2017-04-27 권의준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20180065459A (ko) 2016-12-08 2018-06-18 (주)신형아이엔티 차량 컵홀더용 휴대기기 거치부재
KR20200010002A (ko) * 2018-07-20 2020-01-30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을 구비한 컵 홀더
CN112424024B (zh) 2018-07-20 2023-03-24 阿莫善斯有限公司 可无线充电的汽车用杯座
WO2020017933A1 (ko) * 2018-07-20 2020-01-23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컵홀더
KR102172414B1 (ko) * 2019-04-29 2020-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차량용 거치장치
JP7218715B2 (ja) 2019-12-09 2023-02-07 豊田合成株式会社 ワイヤレス給電ユニット
KR102152678B1 (ko) * 2020-03-05 2020-09-07 이정화 컨버터를 이용한 유무선충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5309A (ja) * 2011-03-24 2012-10-22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携帯電子機器用の外付け触覚発生器
KR20130021752A (ko) * 2011-08-23 2013-03-06 심순섭 차량용 무접점충전기
KR101294530B1 (ko) * 2011-08-17 2013-08-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수신장치
KR101295482B1 (ko) * 2011-11-21 2013-08-09 정선미 휴대기기 거치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3181B2 (ja) 2004-07-21 2008-01-16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携帯端末装置
JP5166773B2 (ja) 2007-05-28 2013-03-21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無接点電力伝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5309A (ja) * 2011-03-24 2012-10-22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携帯電子機器用の外付け触覚発生器
KR101294530B1 (ko) * 2011-08-17 2013-08-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수신장치
KR20130021752A (ko) * 2011-08-23 2013-03-06 심순섭 차량용 무접점충전기
KR101295482B1 (ko) * 2011-11-21 2013-08-09 정선미 휴대기기 거치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0237A1 (ko) * 2015-08-17 2017-02-23 신승진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1101B1 (ko) 2014-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19415A1 (ko)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EP2747236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for vehicle
WO2015088108A1 (en) Wireless charger for a mobile terminal
WO2015093748A1 (ko) 벽에 설치 가능한 무선전력 전송장치
WO2011155735A2 (ko) 무선 충전용 전력 수신기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WO2014088164A1 (ko) 무선충전 시스템의 송수신 정렬상태 표시방법 및 장치
KR20130037082A (ko)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WO2014104813A1 (ko) 공진형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WO2014025168A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호환성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13165049A1 (en) Magnetic power connector and power supply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2694425A (zh) 无线电力接收装置及其电力控制方法
WO2013095068A1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의 무선 전력 신호 전송 제어 방법
WO2017150884A1 (ko) 무선전력 송수신 가능한 보조배터리
KR20100010648U (ko) 무접점 충전 정위치 표시기능이 구비된 거치대
KR102204344B1 (ko) 모바일 기기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멀티 콘센트 장치
KR20120092455A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차량용 충전 장치
WO2014157840A1 (ko)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차량
KR101824516B1 (ko) 차량시동에 따른 급속충전기능 및 오류 검출기능을 갖는 휴대용 비상 전원 공급장치
WO2016056759A1 (ko) 다기능 벨트
WO2021162269A1 (ko) 무선 충전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16072624A1 (ko)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장치
KR102631834B1 (ko) 벽에 설치 가능한 무선전력 전송장치
KR20100010649U (ko) 무접점 충전 정위치 표시기능이 구비된 스탠드 조명장치
CN109193974A (zh) 一种优化无线充电稳定性的方法
KR102167963B1 (ko) 이종의 콘센트에 사용될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74576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74576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