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5459A - 차량 컵홀더용 휴대기기 거치부재 - Google Patents

차량 컵홀더용 휴대기기 거치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5459A
KR20180065459A KR1020160166357A KR20160166357A KR20180065459A KR 20180065459 A KR20180065459 A KR 20180065459A KR 1020160166357 A KR1020160166357 A KR 1020160166357A KR 20160166357 A KR20160166357 A KR 20160166357A KR 20180065459 A KR20180065459 A KR 20180065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lder
vehicle
portable device
moving body
rectilin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엽
Original Assignee
(주)신형아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형아이엔티 filed Critical (주)신형아이엔티
Priority to KR1020160166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5459A/ko
Publication of KR20180065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4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record carriers apparatus, e.g. video recorders, tape players or CD p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personal computers, e.g. laptops, noteb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8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navig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성부품수를 간소화시켜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조립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주는 수단을 통해 컵홀더에 고정되는 효율이 사용연한에 따라 반감되지 않고, 유지시켜 주는 차량 컵홀더용 휴대기기 거치부재에 관한 것으로, 휴대기기(M)를 고정시켜주는 거치부재(200)와; 상기 거치부재(200)에 연결되는 것으로,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변환됨으로써, 차량의 컵홀더(C)에 고정 및 고정해제되게 안내하는 운동변환방식 고정부재(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컵홀더용 휴대기기 거치부재{Portable device for vehicle cup holder}
본 발명은 구성부품수를 간소화시켜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조립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주는 수단을 통해 컵홀더에 고정되는 효율이 사용연한에 따라 반감되지 않고, 유지시켜 주는 차량 컵홀더용 휴대기기 거치부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휴대폰(mobile phone), 태블릿 PC, 내비게이션(navigation),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등 다양한 형태의 휴대기기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기기는 그 특성상 고정된 장소뿐만 아니라 이동중인 차량 내에서도 사용할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휴대기기를 차량 내의 다양한 위치에 거치하기 위한 여러 종류의 거치대가 제안되고 있다.
휴대기기를 차량 내의 다양한 위치에 거치하기 위한 일예로, 차량 유리에 부착되는 다용도 거치대(특허문헌 1 참조)가 있는데, 그 기술적 구성은 유리와 같은 편평한 부착면과 흡착판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진공(즉, 저압)상태로 만들어서 거치대를 부착시키는 구조인데, 사용에 따라 흡착력이 저감되어 거치대가 견고하게 부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휴대기기를 차량 내의 다양한 위치에 거치하기 위한 다른 일예로서,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모바일기기용 유니버설 마운트(특허문헌 2 참조)는 차량의 CD투입구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를 통해 휴대기기를 거치할 수 있게 제공한다.
휴대기기를 차량 내의 다양한 위치에 거치하기 위한 또 다른 일예로서, 차량의 컵홀더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도 있다.
차량의 컵홀더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를 갖는 종래의 휴대기기 거치기구(특허문헌 3 참조)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휴대기기를 몸체 내에 수납하며, 몸체 하단으로 힌지부가 구비된 받침부재(3)와, 몸체 양단부에 각도조절 스토퍼가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재(3)의 힌지부에 몸체 일단이 결합되고, 다른 일단에 형성된 각도조절 스토퍼에는 돌출된 고정핀을 갖는 어댑터가 결합된 지지대(2)와, 상기 지지대(2)의 고정핀이 몸체 상부에 결합되며, 잠금버튼(20)의 누름으로 몸체내부의 밀착부재(80)를 돌출시켜 설치구멍(H) 내부에 몸체를 고정하고, 해제버튼(25)의 누름으로 밀착부재(80)를 삽입시키는 홀더 하우징(1)으로 구성되는 휴대용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홀더 하우징(1)은 몸체 상부로 통과홀이 형성되고, 그 일측으로 지지대(2)의 고정핀(230)이 끼워져 결속되는 상부케이스(11)와, 상부케이스(11)의 하부에 위치되며, 몸체 일측으로 판스프링(13)이 구비된 인너커버(11a)의 내부로 상부케이스(11)와 체결고정되며 몸체 둘레를 따라 회전걸림턱(12a)이 연속 성형된 인너커버홀더(12)가 결합 구성된 회전부재(10)와, 상기 회전부재(1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어, 상부케이스(11)의 통과홀을 관통하는 누름부(21)가 몸체 상부에 돌출되고, 상기 누름부(21) 하부에 가이드홀(22) 및 끼움홀(23a)을 갖는 확장판(23)이 형성된 잠금버튼(20)과, 상기 잠금버튼(20)의 중앙에 더 구비되어, 몸체 하단부가 잠금버튼(20)의 가이드홀(22)에 누름축(26)으로 상호결합된 해제버튼(25)과, 상기 잠금버튼(20)의 확장판(23) 하단부에 위치되어 몸체 상부가 해제버튼(25) 내경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경사면(31)이 형성되고, 몸체 하부로 잠금돌기(33)가 구비된 잠금편(32)이 돌출 성형되며, 확장판(23) 하단부와 리턴스프링(S)으로 상호 연결되어 수평이동하는 잠금해제부재(30)와, 몸체 하부둘레를 따라 개방홀이 형성된 하부케이스(12aa)와, 상기 하부케이스(12aa)내에 수직되게 결합되는 받침부(41)와 그 상단부에서 하부 공간을 덮는 덮개판(42)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41) 일측으로 잠금해제버튼(25)의 잠금편(32)에 맞물리는 잠금걸림턱(45)이 성형된 하부커버(40)와, 몸체 상부면과 전면이 개방된 함체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커버(40)의 받침부(41)에 고정되고, 몸체 측벽에 슬라이드홀(51)과 고정홀(52)이 형성된 고정부재(50)와, 상기 고정부재(50)의 내부공간에서 장공홀(61)을 갖는 몸체가 위치되며, 다른 일단이 하부커버(40)의 덮개판(42)을 관통해 잠금버튼(20)의 끼움홀(23a)에 고정되는 피스톤로드(60)와,
상기 피스톤로드(60)의 장공홀(61)에 결속핀(71)으로 몸체 중심이 결합되며, 몸체 일단의 상단축(72a)과 하단축(73a)이 고정부재(50)의 슬라이드홀(51)과 고정홀(52)에 각각 끼워지는 X-링크바(70)와, 상기 고정부재(50) 상부와 X-링크바(70)의 상단축(72a)에 상호 결합되는 리턴스프링(S)과, 상기 하부케이스(12aa)의 개방홀에 위치되며, 몸체 후면이 개방된 함체로 형성되어, 몸체 측벽에 상기 X-링크바(70)의 다른 일측으로 형성된 상단축(72b)과 하단축(73b)이 끼워지는 슬라이드홀(81)과 고정홀(82)이 형성된 밀착부재(80)로 이루어져 있다.
이처럼, 종래의 휴대기기 거치기구는 그 구성부품수가 매우 많아 많은 제조비용이 소요되고, 조립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사용에 다른 고장이 빈번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다른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특허문헌 4 참조)는 이동통신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구비된 2차 전지(Secondary Battery)를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장치로서, 휴대기기 거치기구와는 그 목적하는 바가 상이하나 차량의 컵홀더에 장치가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조는 유사하다.
이에, 종래의 다른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차량의 컵홀더에 장치가 탈착가능하게 고정되게 하기 위해, 하부에 측벽부(152)를 갖는 베이스(151), 베이스(151)에 연결되고, 베이스(151)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성된 돌출 부재(157), 베이스(151)와 돌출 부재(157)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63) 및 베이스 하우징(165)을 갖는 베이스 유닛(150)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돌출 부재(157)의 개수는 3개이고, 하부에는 경사면(159)이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스프링(163)은 돌출 부재(157)를 컵홀더(C)의 측벽을 향해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베이스 하우징(165)은 베이스(151)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베이스 하우징(165)에는 개구부(166)가 하우징(165)의 측면에 형성되어, 돌출 부재(157)가 베이스(151)에 대해 인입 및 인출되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다른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컵홀더에 고정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베이스 유닛(150)을 파지한 상태에서 컵홀더에 진입시키면, 돌출 부재(157)의 경사면(159)이 컵홀더에 가압접촉되면서, 베이스 하우징(165)의 내부로 인입되는데 이때, 베이스(151)와 돌출 부재(157)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63)은 탄성가압 되어진다.
이때, 탄성가압되면서 발생되는 스프링(163)의 탄성력을 통해, 돌출 부재(157)의 전면이 컵홀더의 내측면에 가압되면서 종래의 다른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고정되어진다.
이후, 고정을 해제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베이스 유닛(150)을 잡고 현재 가해진 스프링력 이상의 힘을 주어 상부로 이동시키면, 베이스 하우징(165)의 내부에 인입된 돌출 부재(157)가 스프링(16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면서 완료된다.
이와 같은, 반복을 통해 종래의 다른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컵홀더에 고정 및 고정해제하여 사용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다른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다른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컵홀더에 고정되는 구조는 스프링(163)의 탄성압착을 통한 탄성력에 의한 것인데, 스프링(163)에서 발생되는 탄성력은 사용에 따른 탄성 경화가 발생되기 때문에, 고정구조의 효율이 반감되거나 고정구조 자체를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376788호(2005년02월15일) 특허문헌 2 :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20-0474064호(등록일자:2014년08월12일) 특허문헌 3 :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1295482호(등록일자:2013년08월05일) 특허문헌 4 :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1461101호(등록일자:2014년11월06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부품수를 간소화시켜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조립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주는 수단을 통해 컵홀더에 고정되는 효율이 사용에 따라 반감되지 않게 하는 차량 컵홀더용 휴대기기 거치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차량 컵홀더용 휴대기기 거치부재는, 휴대기기를 고정시켜주는 거치부재와; 상기 거치부재에 연결되는 것으로,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변환됨으로써, 차량의 컵홀더에 고정 및 고정해제되게 안내하는 운동변환방식 고정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운동변환방식 고정부재는, 상기 거치부재 쪽에 고정연결되는 것으로, 일면에 나사산이 돌출된 회전체와; 일면에 상기 회전체의 나사산이 맞물리는 나사홈들이 형성된 직진이동체들;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체의 순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직진이동체들이 전반향으로 직진이동됨으로써, 차량의 컵홀더의 내측면에 가압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직진이동체들이 배치되어 전후로 안내될 수 있게 제공하는 격벽들을 포함한다.
상기 직진이동체의 외측에는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의 내측에는 상기 직진이동체의 레일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레일돌기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직진이동체가 이동 시 상하로 이탈되지 않게 제공한다.
본 발명의 차량 컵홀더용 휴대기기 거치부재에는, 상기 격벽들이 고정설치되는 하부지지체;를 포함하되, 그 고정설치되는 상기 격벽들이 상기 직진이동체들이 방사상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지지체 상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직진이동체의 측면에는 마찰부재;가 부착된다.
본 발명은 구성부품수를 간소화시켜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조립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주는 수단을 통해 컵홀더에 고정되는 효율이 사용연한에 따라 반감되지 않고, 유지시켜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종래의 휴대기기 거치기구를 나타낸 전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휴대기기 거치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나타낸 전체사시도,
도 4는 종래의 다른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 컵홀더용 휴대기기 거치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 컵홀더용 휴대기기 거치부재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 컵홀더용 휴대기기 거치부재를 이루는 구성 중 운동변환방식 고정부재를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차량 컵홀더용 휴대기기 거치부재를 이루는 구성 중 운동변환방식 고정부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차량 컵홀더용 휴대기기 거치부재가 차량의 컵홀더에 고정된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언급된 것일 뿐이지,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표현하거나, 또는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하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컵홀더용 휴대기기 거치부재는 크게 거치부재(200), 연결대(400) 및 운동변환방식 고정부재(300)로 이루어진다.
먼저, 거치부재(200)는 휴대기기(M)를 고정시켜주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거치부재(200)의 세부구성은 휴대기기(M)의 상측이 놓여지는 상부가압턱(211)이 돌출된 이동몸체(210), 이동몸체(210)가 승강가능하게 내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휴대기기(M)의 하측이 놓여지는 하부고정턱(221)이 돌출된 고정몸체(220) 및 양측이 이동몸체(210) 및 고정몸체(220)에 걸려 이동몸체(210)의 상부가압턱(211) 및 고정몸체(220)의 하부고정턱(221)에 놓여진 휴대기기(M)가 스프링력에 의해 고정되게 안내하는 스프링(230)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거치부재(200)에 휴대기기(M)를 고정시키기 위해 먼저, 이동몸체(210)를 잡고 상부쪽으로 잡아당기면, 내부의 스프링(230)이 탄성신장되면서 고정몸체(220)에 내입된 이동몸체(210)가 상부로 이동된다.
이후, 휴대기기(M)를 이동몸체(210) 및 고정몸체(220) 사이에 배치한 상태에서 이동몸체(210)에 가해졌던 외력을 서서히 제거하면, 스프링(230)이 탄성복원되면서 휴대기기(M)가 스프링력에 의해 이동몸체(210)의 상부가압턱(211) 및 고정몸체(220)의 하부고정턱(221)에 맞물려 고정된다.
상기 연결대(400)는 운전을 하는 사용자가 착석한 위치에서, 원활하게 거치부재(200)를 시청할 수 있도록 거치부재(200)와 후술되는 운동변환방식 고정부재(300) 사이를 연결시켜주는 부재이다.
여기서, 사용자가 거치부재(200)를 다양한 각도로 조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거치부재(200)와 연결대(400) 간은 볼조인트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운동변환방식 고정부재(300)는 거치부재(200)에 연결되는 것으로,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변환됨으로써, 차량의 컵홀더(C)에 고정 및 고정해제되게 안내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운동변환방식 고정부재(300)의 세부구성은 중앙부가 관통된 상부지지체(341), 상기 상부지지체(341)의 하면에 원통벽체(342)가 고정설치되되, 후술되는 직진이동체(320)들이 이동될 수 있도록 그 직진이동체(320)의 개수 정도만큼의 이동공간(343)이 절개형성된 고정하우징(340)을 갖는다.
또한, 연결대(400) 쪽에 고정연결되는 것으로, 하면에 나사산(311)이 돌출된 회전체(310)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하우징(340)의 상부가 덮일 수 있도록 연결대(400)의 하단이 고정되는 커버(350)를 구비하고, 상부지지체(341)의 관통된 중앙부를 통해 커버(350)의 하부와 회전체(310)의 상면이 고정되게 제공한다.
또한, 상면에 회전체(310)의 나사산(311)이 맞물리는 나사홈(321)들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직진이동체(320)들이 구비된다.
이를 통해, 회전체(310)와 고정연결된 덮개를 순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체(310)의 나사산(311)에 맞물린 직진이동체(320)들이 전반향인 외부로 전진이동됨으로써, 차량의 컵홀더(C)의 내측면을 가압시켜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를 위해, 고정하우징(340)을 이루는 원통벽체(342)의 내경 정도의 직경을 갖는 원판인 하부지지체(332) 상에 직진이동체(320)들이 배치되어 전후로 안내될 수 있게 제공하는 격벽(330)들이 고정설치되되, 그 고정설치되는 격벽(330)들이 직진이동체(320)들이 방사상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부지지체(332) 상에 고정설치되어 제공된다. 여기서, 상부지지체(341)와 하부지지체(332) 간을 고정시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직진이동체(320)의 외측에는 레일홈(322)을 형성시키고, 격벽(330)의 내측에는 직진이동체(320)의 레일홈(322)에 대응되는 위치에 레일돌기(331)를 돌출시켜, 직진이동체(320)가 이동 시 상하로 이탈되지 않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컵홀더(C)의 내측면에 맞닿는 직진이동체(320)의 측면에는 마찰부재(323)를 부착하여 고정성능이 최대한 극대화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마찰부재(323)는 연성재질인 실리콘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차량 컵홀더용 휴대기기 거치부재를 이용하여 차량의 컵홀더(C)에 휴대기기(M)의 거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는 먼저, 컵홀더(C)에 운동변환방식 고정부재(300)를 인입시킨다. 이때, 운동변환방식 고정부재(300)를 이루는 회전체(310)와 고정연결된 커버(35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직진이동체(320)들이 고정하우징(340)의 내부 쪽으로 최대한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인입시켜 주는 것이 좋다.
이후, 운동변환방식 고정부재(300)를 이루는 회전체(310)와 고정연결된 커버(350)를 순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체(310)의 나사산(311)이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회전체(310)의 나사산(311)이 맞물린 나사홈(321)을 갖는 방사상으로 대칭된 3개의 직진이동체(320)들은 회전운동이 직선으로 변환하여 즉, 전반향인 고정하우징(340)의 외부로 전진이동된다.
여기서, 도 4를 주로 참조하여, 0°에서 120°, 240°및 360°까지 회전체(310)가 회전될 경우 방사상으로 대칭된 3개의 직진이동체(320)들은 방사상으로 전진되면서 컵홀더(C)의 내측면에 가압접촉됨으로써, 본 발명의 차량 컵홀더용 휴대기기 거치부재가 차량의 컵홀더(C)에 고정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차량 컵홀더용 휴대기기 거치부재의 고정해제는 앞에서 설명한 과정의 역순이므로 그 과정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200 : 거치부재 210 : 이동몸체
211 : 상부가압턱 220 : 고정몸체
221 : 하부고정턱 230 : 스프링
300 : 운동변환방식 고정부재 310 : 회전체
311 : 나사산 320 : 직진이동체
321 : 나사홈 322 : 레일홈
323 : 마찰부재 330 : 격벽
331 : 레일돌기 332 : 하부지지체
340 : 고정하우징 341 : 상부지지체
342 : 원통벽체 343 : 이동공간
350 : 커버 400 : 연결대
M :휴대기기

Claims (6)

  1. 휴대기기(M)를 고정시켜주는 거치부재(200)와;
    상기 거치부재(200)에 연결되는 것으로,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변환됨으로써, 차량의 컵홀더(C)에 고정 및 고정해제되게 안내하는 운동변환방식 고정부재(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컵홀더용 휴대기기 거치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변환방식 고정부재(300)는,
    상기 거치부재(200) 쪽에 고정연결되는 것으로, 일면에 나사산(311)이 돌출된 회전체(310)와;
    일면에 상기 회전체(310)의 나사산(311)이 맞물리는 나사홈(321)들이 형성된 직진이동체(320)들;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체(310)의 순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직진이동체(320)들이 전반향으로 직진이동됨으로써, 차량의 컵홀더(C)의 내측면에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컵홀더용 휴대기기 거치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진이동체(320)들이 배치되어 전후로 안내될 수 있게 제공하는 격벽(330)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컵홀더용 휴대기기 거치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직진이동체(320)의 외측에는 레일홈(322)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330)의 내측에는 상기 직진이동체(320)의 레일홈(322)에 대응되는 위치에 레일돌기(331)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직진이동체(320)가 이동 시 상하로 이탈되지 않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컵홀더용 휴대기기 거치부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330)들이 고정설치되는 하부지지체(332);를 포함하되, 그 고정설치되는 상기 격벽(330)들이 상기 직진이동체(320)들이 방사상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지지체(332) 상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컵홀더용 휴대기기 거치부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진이동체(320)의 측면에는 마찰부재(323);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컵홀더용 휴대기기 거치부재.
KR1020160166357A 2016-12-08 2016-12-08 차량 컵홀더용 휴대기기 거치부재 KR201800654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357A KR20180065459A (ko) 2016-12-08 2016-12-08 차량 컵홀더용 휴대기기 거치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357A KR20180065459A (ko) 2016-12-08 2016-12-08 차량 컵홀더용 휴대기기 거치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459A true KR20180065459A (ko) 2018-06-18

Family

ID=62768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357A KR20180065459A (ko) 2016-12-08 2016-12-08 차량 컵홀더용 휴대기기 거치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545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589B1 (ko) * 2019-09-30 2020-12-02 주식회사 허킨스 전자기기 거치 장치
WO2021026501A1 (en) * 2019-08-07 2021-02-11 Neuromatic Devices, Inc. Physically secured device for vehicle intrusion detection
US20220212608A1 (en) * 2021-01-06 2022-07-07 Scosche Industries, Inc. Retractable cup holder device mou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788Y1 (ko) 2004-12-06 2005-03-08 전연배 차량유리에 부착되는 다용도 거치대
KR101295482B1 (ko) 2011-11-21 2013-08-09 정선미 휴대기기 거치기구
KR200474064Y1 (ko) 2014-01-29 2014-08-19 (주)신형아이엔티 모바일기기용 유니버설 마운트
KR101461101B1 (ko) 2014-02-07 2014-11-13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788Y1 (ko) 2004-12-06 2005-03-08 전연배 차량유리에 부착되는 다용도 거치대
KR101295482B1 (ko) 2011-11-21 2013-08-09 정선미 휴대기기 거치기구
KR200474064Y1 (ko) 2014-01-29 2014-08-19 (주)신형아이엔티 모바일기기용 유니버설 마운트
KR101461101B1 (ko) 2014-02-07 2014-11-13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6501A1 (en) * 2019-08-07 2021-02-11 Neuromatic Devices, Inc. Physically secured device for vehicle intrusion detection
KR102185589B1 (ko) * 2019-09-30 2020-12-02 주식회사 허킨스 전자기기 거치 장치
US20220212608A1 (en) * 2021-01-06 2022-07-07 Scosche Industries, Inc. Retractable cup holder device mou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5459A (ko) 차량 컵홀더용 휴대기기 거치부재
EP2209289B1 (en) Universal holder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WO2022160542A1 (zh) 一种快速连接机构
US20170327054A1 (en) Multifunctional stand for communication terminal
GB2436960A (en) Battery Pack
KR101295482B1 (ko) 휴대기기 거치기구
CN101740739A (zh) 电池盖卡锁结构
US9125476B2 (en) Clip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60003654U (ko) 무선충전 크래들
US8319135B2 (en) Electronic device and slide switch thereof
US20130119220A1 (en) Fixing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Screen
US20110170245A1 (en) Til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1752519A (zh) 电池固定装置
WO2019218609A1 (zh) 连接结构及手持式吸尘器
CN213693803U (zh) 移动终端夹持支架
CN110190454A (zh) 一种多国转换器
CN212537197U (zh) 移动终端支架
TWI455677B (zh) 支架機構及應用該支架機構之電子裝置
KR100785193B1 (ko) 차량용 통신 단말기 거치대
KR101081077B1 (ko) 차량 시트용 래치 어셈블리
CN218734395U (zh) 重力手机支架
CN221127707U (zh) 多重吸附式固定装置
CN214396527U (zh) 车载杯位支架座及电子设备支架
CN217524910U (zh) 一种马桶盖板的快拆支架
CN209909509U (zh) 智能移动终端夹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