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56949A1 - 슬러지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56949A1
WO2015056949A1 PCT/KR2014/009621 KR2014009621W WO2015056949A1 WO 2015056949 A1 WO2015056949 A1 WO 2015056949A1 KR 2014009621 W KR2014009621 W KR 2014009621W WO 2015056949 A1 WO2015056949 A1 WO 201505694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ludge
rollers
belt
housing
drying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962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배선일
Original Assignee
㈜아티스
주식회사 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티스, 주식회사 라트 filed Critical ㈜아티스
Publication of WO201505694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5694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carrying the materials;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or elements attached to endless belts or chains propelling the materials over stationary surfaces
    • F26B17/02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carrying the materials;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or elements attached to endless belts or chains propelling the materials over stationary surfaces the material being moved in-between belts which may be perfor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4Agitating, stirring, or scrap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3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food or foodstuff industry, e.g. brewery waste w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udge dry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udge drying apparatus for drying organic sludge such as sewage sludge, livestock wastewater, and food waste to evaporate moisture in the sludge to dry it.
  • organic sludge such as sewage sludge, livestock wastewater, and food waste have high value of dry heat of dry matter, which makes it highly useful as a renewable energy source.However, the water content is 80%, so much moisture can not be used as energy. Attempts have been made to develop a sludge drying apparatus for heating sludge to evaporate moisture in the sludge.
  • a direct drying method of directly supplying thermal energy by directly contacting the burned heating air with the sludge, and heating the heat medium (steam or oil) by the heat of combustion and heating the sludge by using the heat energy of the heated heat medium It is divided into indirect drying method.
  • a dehydrator and a dryer are installed side by side on the ground, and sludge conveying means are installed in the dehydrator and the dryer, and when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sludge is first removed from the dehydrator (screw or belt type) By means of conveyor belts or pocket elevators, the sludge is transferred to a dryer (steam tube type, paddle type heated by a burner) to completely remove any remaining moisture not removed from the dehydrator.
  •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02-0005917 discloses a "multistage screw dryer”.
  • Such a conventional multi-stage screw dryer arranges a single number of drying cylinders with screws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drying object injected into the uppermost drying cylinder is continuously transferred from top to bottom and discharged through the lowermost drying cylinder.
  • the hot air injected into the lowermost drying cylinder is configured to be exhausted through the uppermost drying cylinder so as to be continuously transferred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 the multi-stage screw dryer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not only the practicality is low due to low thermal efficiency, but also the sludge is not smoothly transferred by transferring the sludge using a screw.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udge drying apparatus that can improve the dehydration or drying efficiency by adjusting and supplying the thickness of the sludge according to the size and type of sludge to be dried. It is done.
  • a space portion is formed therein,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upper rollers and lower roller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respectively,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pace portion.
  • a drying furnace having a housing, a heating rolle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housing,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roller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elow the heating roller, and install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drying furnace, respectively.
  • a lower belt continuously installed to intersect the roller and the plurality of auxiliary rollers, and the housing Sludge supply means for supplying sludge to the lower belt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ide, and is installed in the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housing made of a discharge conveyor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the sludge dried in the drying furnace, the upper
  • the belt and the lower belt provides a sludge dry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overlap each other in the interior of the drying furnace.
  • the meandering correction means is provid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upper belt and the lower belt.
  • the upper part of the drying furna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uit oil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fruit oil supplied from the fruit oil auxiliary tank is provided.
  • the sludge supply means includes a bod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one side of the housing, a supply hopper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a nozzl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upply hopper to supply sludge to the lower belt.
  • th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ste heat recovery preheating unit for receiving the heat of the fruit oil heated in the fruit oil heating unit to supply the thermal energy of the fruit oil to the supply hopper.
  • the sludge supply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by a moving cylinder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 the scraper is install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upper roller and the lower roller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conveyor among the plurality of upper roller and the lower roller.
  • One side of the nozz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udge thickness adjusting means for equalizing the thickness of the sludge supplied from the nozzle to the lower belt is installed.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ludg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drying furnace shown in FIG. 1.
  • FIG. 2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drying furnace shown in FIG. 1.
  • housing 197 sludge thickness adjusting means
  • space 198 waste heat recovery preheating unit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ludg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drying furnace shown in FIG.
  • the sludge drying apparatus 100 is a housing 110, drying furnace 120, upper and lower heating burners (130, 140), upper and lower belts 150, 160, sludge supply means 190, and a discharge conveyor 200 are configured.
  • the housing 110 has a space portion 112 formed therein, and includes a plurality of upper rollers 114 and lower rollers 116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pace portion 112.
  • the drying furnace 12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and the heating roller 122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rein, and the plurality of auxiliary rollers 124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height direction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eating roller 122. It is provided.
  • the upper part of the drying furnace 120 is provided with a fruit oil heating unit 126
  • the fruit oil heating unit 126 is a fruit oil (steam) from the fruit oil auxiliary tank 128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drying furnace 120 Or oil) is supplied and heated to supply thermal energy of the fruit oil to the interior of the drying furnace 120.
  • the upper side of the drying furnace 12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ipe 129 for discharging the air heated in the drying furnace 120, a heating burner 129a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ischarge pipe 129, this heating The burner 129a is heated to prevent odor from being generated in the heat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129.
  • the upper and lower heating burners 130 and 140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upper and lower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drying furnace 120 to heat the interior of the drying furnace 120 between the upper belt 150 and the lower belt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upper belt 150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ing roller 122 and crosses the plurality of upper rollers 114 and the auxiliary rollers 124 to be circulated along the interior of the drying furnace 120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heating roller 122. Are installed continuously.
  • the lower belt 160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ing roller 122 and intersects the plurality of lower rollers 116 and the auxiliary rollers 124 to circulate along the interior of the drying furnace 120 as the heating roller 122 is driven. Are installed continuously.
  • the upper belt 150 and the lower belt 160 overlap each other in the interior of the drying furnace 120, which is supplied from the sludge supply means 190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lower belt 160, the drying furnace 120
  • the sludge located between the upper belt 150 and the lower belt 160 is the upper belt 150 and the lower belt 160 ) Is pressed by a plurality of auxiliary rollers 124 as it moves.
  • the heating roller 122 is heated. Can extend the life of the product.
  • the meandering correction means 170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upper belt 150 and the lower belt 160.
  • the meandering correction means 170 includes an upper roller 150 and a lower belt 160 respectively.
  • the upper belt 150 and the lower belt 150 are precisely along the center of the upper roller 114 and the lower roller 116 when a meandering occurs while leaving the center of the 114 and the lower roller 116. Allow it to proceed
  • the scraper 18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upper roller and the lower roller located above the discharge conveyor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mong the plurality of upper rollers 114 and the lower rollers 116.
  • the sludge attached to the upper belt 150 and the lower belt 160 is removed from the upper belt 150 and the lower belt 160.
  • the sludge supply means 19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110 to supply sludge to the lower belt 160 described above.
  • the sludge supply means 19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dy 192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110, the supply hopper 194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92, the supply hopper 194. It comprises a nozzle 196 for supplying sludge to the lower belt (160).
  • a waste heat recovery preheating unit 198 is installed in the body 192 to receive the fruit oil heated by the fruit oil heating unit 126 and supply heat energy of the fruit oil to the supply hopper 194.
  • the part 198 supplies waste heat to the sludge inside the feed hopper 194 to facilitate crushing of the sludge inside the feed hopper 194.
  •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92 is provided with a moving cylinder (192a), which allows the sludge supply means 190 to be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10 to maintain the sludge drying apparatus 100 when the operator needs to maintain it. This is to allow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10 and the drying furnace 120 to enter.
  • the sludge thickness adjusting means 197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nozzle 196, which uniformly adjusts the thickness of the sludge according to the size or type of sludge supplied from the nozzle 196 to the lower belt 160.
  • the discharge conveyor 20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10 to discharge dry sludge supplied to the drying furnace 120.
  • the sludge contained in the feed hopper 194 of the sludge supply means 190 is supplied to the lower belt 160 through the nozzle 196.
  • the sludge supplied to the lower belt 160 is transferred together with the lower belt 160, and the thickness is uniformly adjusted by the sludge thickness adjusting means 197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nozzle 196.
  • the lower belt 160 overlaps the upper belt 150 and then moves to the interior of the drying furnace 120, and the sludge located between the lower belt 160 and the upper belt 150 includes a plurality of auxiliary rollers ( 124 and the heating roller 122 is pressed, and at the same time is dried by the heat energy supplied from the upper and lower heating burners (130, 140) and the fruit oil heating unit 126, the outside of the drying furnace 120 Moved to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conveyor (200).
  • the sludge drying apparatus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dehydration or drying efficiency by controlling and supplying the thickness of the sludge according to the size and type of sludge to be drie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udge drying apparatus, and more specifically, it can be used in a sludge drying apparatus for heating organic sludge such as sewage sludge, livestock wastewater and food waste to evaporate and dry moisture in the slu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건조장치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개의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된 가열롤러와, 상기 가열롤러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개의 보조롤러를 구비하는 건조로와, 상기 건조로의 상부와 하부 소정위치에 각각 설치된 상부 및 하부가열버너와, 상기 가열롤러의 외주면에 감겨져 순환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상부롤러와 상기 복수개의 보조롤러에 교차하여 연속되게 설치된 상부밸트와, 상기 가열롤러의 외주면에 감겨져 순환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하부롤러와 상기 복수개의 보조롤러에 교차하여 연속되게 설치된 하부밸트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밸트에 슬러지를 공급하는 슬러지공급수단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건조로에서 건조된 슬러지를 공급받아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밸트와 상기 하부밸트는 상기 건조로의 내부에서 상호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러지 건조장치
본 발명은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수슬러지, 축산폐수,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유기물 슬러지를 가열하여 슬러지 속의 수분을 증발시켜 건조하는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슬러지, 축산폐수,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유기물 슬러지는 건조물의 보유열량이 높아서 재생 에너지 자원으로 이용가치가 높은 반면, 함수비가 80% 수준으로 수분이 너무 많아 보유 열량을 에너지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슬러지를 가열하여 슬러지 속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슬러지 건조 장치의 개발이 시도되었다.
슬러지 건조장치를 크게 분류하면, 연소된 가열공기와 슬러지를 직접 접촉시켜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직접건조방식과, 연소열로 열매체(스팀이나 오일 등)를 가열하고 가열된 열매체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슬러지를 가열하는 간접건조방식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종래의 슬러지 건조장치는 탈수기와 건조기가 지면상에 나란하게 설치되고 이들 탈수기와 건조기에서는 슬러지 이송 수단이 설치된 것으로서, 탈수기(스크류 또는 벨트 방식)에서 슬러지에 함습된 수분이 1차로 제거되면 이송수단인 컨베이어 벨트 또는 포킷 에레베이터에 의해서 슬러지가 건조기(스팀 튜브형, 버너로 가열하는 패들형)로 이송되어 탈수기에서 제거되지 않은 나머지 수분을 완전히 제거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슬러지 건조장치는 공장 증설에 따라 폐수의 량이 증가하게 되면 탈수기와 건조기의 증설이 불가피하였고, 슬러지의 이송수단인 컨베니어 벨트 또는 포켓 에레베이터의 잦은 고장이 발생하여 폐수 처리장의 안전 운전에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슬러지가 이송되는 과정에 컨베이어 벨트 등에서 슬러지가 누출되어 주변 바닥 및 주위 도랑을 오염시켜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컨베이어 벨트 또는 스크류를 사용하여 이송시키면서 다양한 종류의 열원을 사용하여 건조공정을 진행하는 장치 및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2-0005917호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는 스크류가 설치된 단수의 건조용 원통을 인접하게 나란히 배치하고, 최상단의 건조용 원통에 주입된 건조 대상물은 상부에서 하부로 연속적으로 이송되어 최하단의 건조용 원통을 통해 배출되고, 최하단의 건조용 원통으로 주입된 열풍은 하부에서 상부로 연속적으로 이송되도록 최상단의 건조용 원통을 통해 배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는 열효율이 낮아 실용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스크류를 이용하여 슬러지를 이송함으로써 슬러지의 이송이 원활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크류를 통해 이송되는 슬러지의 표면은 건조되지만 내측의 슬러지는 건조되지 않아 스크류에 과부하가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건조시키고자 하는 슬러지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슬러지의 두께를 조절하여 공급함으로써 탈수 또는 건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러지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개의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된 가열롤러와, 상기 가열롤러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개의 보조롤러를 구비하는 건조로와, 상기 건조로의 상부와 하부 소정위치에 각각 설치된 상부 및 하부가열버너와, 상기 가열롤러의 외주면에 감겨져 순환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상부롤러와 상기 복수개의 보조롤러에 교차하여 연속되게 설치된 상부밸트와, 상기 가열롤러의 외주면에 감겨져 순환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하부롤러와 상기 복수개의 보조롤러에 교차하여 연속되게 설치된 하부밸트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밸트에 슬러지를 공급하는 슬러지공급수단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건조로에서 건조된 슬러지를 공급받아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밸트와 상기 하부밸트는 상기 건조로의 내부에서 상호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상부밸트와 하부밸트의 소정 위치에는 사행보정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로의 상부에는 열매유보조탱크로부터 열매유를 공급받아 가열하는 열매유가열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러지공급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 소정위치에 설치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설치된 공급호퍼와, 상기 공급호퍼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밸트에 슬러지를 공급하는 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열매유가열부에서 가열된 열매유를 공급받아 열매유의 열에너지를 상기 공급호퍼에 공급하는 폐열회수예열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러지공급수단은 상기 몸체의 하부에 구비된 이동실린더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중 상기 배출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각각의 일측에는 스크래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의 일측에는 상기 노즐로부터 상기 하부밸트로 공급된 슬러지의 두께를 균일하게 하는 슬러지 두께 조절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시키고자 하는 슬러지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슬러지의 두께를 조절하여 공급함으로써 탈수 또는 건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조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하우징 197: 슬러지 두께 조절수단
112: 공간부 198: 폐열회수 예열부
114: 상부롤러 200: 배출컨베이어
116: 하부롤러
120: 건조로
122: 가열롤러
124: 보조롤러
126: 열매유가열부
128: 열매유보조탱크
130, 140: 상부 및 하부가열버너
150: 상부밸트
160: 하부밸트
170: 사행보정수단
180: 스크래퍼
190: 슬러지공급수단
192: 몸체
192a: 이동실린더
194: 공급호퍼
196: 노즐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조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장치(100)는 하우징(110), 건조로(120), 상부 및 하부가열버너(130, 140), 상부 및 하부밸트(150, 160), 슬러지공급수단(190), 배출컨베이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공간부(112)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112)의 상부와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하여 설치된 복수개의 상부롤러(114)와 하부롤러(116)를 구비한다.
건조로(120)는 하우징(110)에 설치되고,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된 가열롤러(122)와, 가열롤러(122)의 하부에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개의 보조롤러(124)를 구비한다.
여기서, 건조로(120)의 상부에는 열매유가열부(126)가 마련되는데, 이 열매유가열부(126)는 건조로(120)의 상부 일측에 마련된 열매유보조탱크(128)로부터 열매유(스팀 또는 오일 등)를 공급받아 가열하여 열매유의 열에너지를 건조로(120)의 내부에 공급한다.
또한, 건조로(120)의 상측에는 건조로(120)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관(129)이 설치되고, 배출관(129)의 소정 위치에는 가열버너(129a)가 설치되는데, 이 가열버너(129a)는 배출관(129)을 통해 배출되는 가열된 공기에서 악취가 발생되지 않도록 가열한다.
상부 및 하부가열버너(130, 140)는 각각 건조로(120)의 상부와 하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건조로(120)의 내부를 가열하여 후술하는 상부밸트(150)와 하부밸트(160) 사이에 위치되어 이송되는 슬러지가 건조되게 한다.
상부밸트(150)는 가열롤러(122)의 외주면에 감겨져 가열롤러(122)의 구동에 따라 건조로(120)의 내부를 따라 순환되도록 복수개의 상부롤러(114)와 보조롤러(124)에 교차하여 연속되게 설치된다.
하부밸트(160)는 가열롤러(122)의 외주면에 감겨져 가열롤러(122)의 구동에 따라 건조로(120)의 내부를 따라 순환되도록 복수개의 하부롤러(116)와 보조롤러(124)에 교차하여 연속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부밸트(150)와 하부밸트(160)는 건조로(120)의 내부에 상호 겹쳐지는데, 이는 후술하는 슬러지공급수단(190)으로부터 슬러지가 하부밸트(160)에 공급되어 건조로(120)의 내부로 이송되었을 때 상부밸트(150)가 하부밸트(160)의 상부에 겹쳐짐으로써 상부밸트(150)와 하부밸트(160) 사이에 위치한 슬러지가 상부밸트(150)와 하부밸트(160)가 이동함에 따라 복수개의 보조롤러(124)에 의해 압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부밸트(150)와 하부밸트(160)가 겹쳐진 상태로 가열롤러(122)의 외주면을 둘러 지나가기 때문에 슬러지가 가열롤러(122)와 비접촉되면서 가열건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열롤러(122)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한편, 상부밸트(150)와 하부밸트(160)의 소정 위치에는 사행보정수단(170)이 마련되는데, 이 사행보정수단(170)은 상부밸트(150)와 하부밸트(160)가 각각 상부롤러(114)와 하부롤러(116)의 중심부를 이탈하여 진행하게 되는 사행이 발생될 때 상부밸트(150)와 하부밸트(150)가 정확하게 상부롤러(114)와 하부롤러(116)의 중심부를 따라 진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복수개의 상부롤러(114)와 하부롤러(116) 중 후술하는 배출컨베이어(200)의 상부에 위치된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각각의 일측에는 스크래퍼(180)가 설치되는데, 이 스크레퍼(180)는 상부벨트(150)와 하부벨트(160)에 부착된 슬러지가 상부벨트(150)와 하부벨트(160)로부터 제거되게 한다.
슬러지공급수단(190)은 하우징(110)의 일측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전술한 하부밸트(160)에 슬러지를 공급한다.
이러한, 슬러지공급수단(190)은 하우징(110)의 일측 소정위치에 설치된 몸체(192)와, 몸체(192)의 상부에 설치된 공급호퍼(194)와, 공급호퍼(194)의 일측에 설치되어 하부밸트(160)에 슬러지를 공급하는 노즐(19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몸체(192)의 내부에는 열매유가열부(126)에서 가열된 열매유를 공급받아 열매유의 열에너지를 공급호퍼(194)에 공급하는 폐열회수 예열부(198)가 설치되는데, 이 폐열회수 예열부(198)는 공급호퍼(194) 내부의 슬러지에 폐열을 공급하여 공급호퍼(194) 내부의 슬러지를 용이하게 분쇄할 수 있게 한다.
몸체(192)의 하부에는 이동실린더(192a)가 구비되는데, 이는 슬러지공급수단(190)을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게 하여 슬러지 건조장치(100)의 보전이 필요할 경우 작업자가 하우징(110) 및 건조로(120)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노즐(196)의 일측에는 슬러지 두께 조절수단(197)이 설치되는데, 이는 노즐(196)로부터 하부밸트(160)로 공급된 슬러지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 슬러지의 두께를 균일하게 조절한다.
배출컨베이어(200)는 하우징(110)의 타측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건조로(120)에 건조된 슬러지를 공급받아 배출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슬러지공급수단(190)의 공급호퍼(194)의 내부에 수용된 슬러지를 노즐(196)을 통해 하부밸트(160)에 공급한다.
계속해서, 하부밸트(160)에 공급된 슬러지는 하부밸트(160)와 함께 이송되다가 노즐(196)의 일측에 설치된 슬러지 두께 조절수단(197)에 의해 두께가 균일하게 조절된다.
이후, 하부밸트(160)는 상부밸트(150)와 겹쳐진 후 건조로(12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되고, 하부밸트(160)와 상부밸트(150) 사이에 위치된 슬러지는 복수개의 보조롤러(124) 및 가열롤러(122)를 지나면서 압착되고, 이와 동시에 상부 및 하부가열버너(130, 140)와 열매유가열부(126)로부터 공급된 열에너지에 의해 건조된 후, 건조로(120)의 외부로 이동되어 배출컨베이어(2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건조장치는 건조시키고자 하는 슬러지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슬러지의 두께를 조절하여 공급함으로써 탈수 또는 건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수슬러지, 축산폐수,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유기물 슬러지를 가열하여 슬러지 속의 수분을 증발시켜 건조하는 슬러지 건조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7)

  1.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개의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된 가열롤러와, 상기 가열롤러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개의 보조롤러를 구비하는 건조로;
    상기 건조로의 상부와 하부 소정위치에 각각 설치된 상부 및 하부가열버너;
    상기 가열롤러의 외주면에 감겨져 순환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상부롤러와 상기 복수개의 보조롤러에 교차하여 연속되게 설치된 상부밸트;
    상기 가열롤러의 외주면에 감겨져 순환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하부롤러와 상기 복수개의 보조롤러에 교차하여 연속되게 설치된 하부밸트;
    상기 하우징의 일측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밸트에 슬러지를 공급하는 슬러지공급수단;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건조로에서 건조된 슬러지를 공급받아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밸트와 상기 하부밸트는 상기 건조로의 내부에서 상호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건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밸트와 하부밸트의 소정 위치에는 사행보정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건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로의 상부에는 열매유보조탱크로부터 열매유를 공급받아 가열하는 열매유가열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건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공급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 소정위치에 설치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설치된 공급호퍼와, 상기 공급호퍼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밸트에 슬러지를 공급하는 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열매유가열부에서 가열된 열매유를 공급받아 열매유의 열에너지를 상기 공급호퍼에 공급하는 폐열회수예열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건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공급수단은 상기 몸체의 하부에 구비된 이동실린더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건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중 상기 배출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각각의 일측에는 스크래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건조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일측에는 상기 노즐로부터 상기 하부밸트로 공급된 슬러지의 두께를 균일하게 하는 슬러지 두께 조절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건조장치.
PCT/KR2014/009621 2013-10-14 2014-10-14 슬러지 건조장치 WO201505694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691A KR101374870B1 (ko) 2013-10-14 2013-10-14 슬러지 건조장치
KR10-2013-0121691 2013-10-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56949A1 true WO2015056949A1 (ko) 2015-04-23

Family

ID=50648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9621 WO2015056949A1 (ko) 2013-10-14 2014-10-14 슬러지 건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74870B1 (ko)
WO (1) WO20150569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385B1 (ko) * 2019-11-27 2021-03-23 (주)진합 국소부위 가열 레이저를 이용한 폐수 상온 증발 및 재생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0113A (ja) * 2006-03-30 2007-10-18 Kenki Kk 含水廃棄物の連続乾燥および炭化方法と連続乾燥および炭化装置
KR101005086B1 (ko) * 2010-08-13 2010-12-30 주식회사 에이케이인터내셔널 폐수슬러지 처리용 탈수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0113A (ja) * 2006-03-30 2007-10-18 Kenki Kk 含水廃棄物の連続乾燥および炭化方法と連続乾燥および炭化装置
KR101005086B1 (ko) * 2010-08-13 2010-12-30 주식회사 에이케이인터내셔널 폐수슬러지 처리용 탈수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4870B1 (ko) 2014-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79958A1 (ko) 건조효율이 개선된 폐열을 활용한 음식물 건조장치
WO2013094879A1 (ko) 액체금속을 이용한 열분해 장치
WO2010027138A1 (ko) 초고온 건조시스템
WO2014123290A1 (ko) 슬러지 처리 장치 및 방법
WO2015174604A1 (ko) 폐 플라스틱 고형연료 소각로
WO2012021012A2 (ko) 폐수슬러지 처리용 탈수 건조장치
WO2012002744A2 (ko) 오니 건조 장치
KR20100113947A (ko) 건조로의 배출가스를 이용하여 슬러지를 예열하는 저에너지 건조시스템
WO2015056949A1 (ko) 슬러지 건조장치
CN101373070B (zh) 高含水有机物碳化处理系统的热分解气体处理方法及其装置
JP2008116190A (ja) 回転キルン炉および回転キルン炉を備えた熱処理装置
WO2015130090A1 (ko) 회전 반응기
BRPI0618838B1 (pt) Método e aparelho para alimentar e para tratar lama de cal em um forno de cal
FI91005C (fi) Menetelmä ja laite meesan lämpökäsittelemiseksi
KR20140106098A (ko) 하수 슬러지 건조장치
CN219328303U (zh) 分段式回转炉
WO2023074944A1 (ko) 과열증기를 이용한 활성탄 재생 및 수처리 통합시스템
WO2021125629A1 (ko) 이차 전지 양극재 소성 장치
KR100860595B1 (ko) 축열식 레일 연속 오니 건조장치
KR101542902B1 (ko) 습도 제어를 통한 저온 열풍식 건조시스템
CN112923721A (zh) 分段式回转炉
WO2023080345A1 (ko) 슬러지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뇨 처리 장치
CA2821875C (en) A heating module, a heating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heating modules, and an installation including such a heating system
KR20100130507A (ko) 적층 회전식 슬러지 건조 소각 장치
WO2015083908A1 (ko)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541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541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