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개인 유전체 염기서열 변이 정보의 분석을 통해 개인별로 특정 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물치료에서 개인 맞춤형으로 안전성이 높은 약물과 용량/용법을 선택할 수 있다는 발견에 근거한 것이다.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개인 유전체 염기서열 정보로부터 소정 약물 또는 약물군의 약력학(pharmaco-dynamics) 또는 약동학(pharmaco-kinetics)에 관여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별 단백질 손상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개인별 단백질 손상 점수를 약물과 단백질 사이의 상호 관계와 연관지어 개인별 약물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유전체 염기서열 변이를 이용한 맞춤형 약물 선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일 정보로 사용되는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는 개인의 유전자 염기서열의 변이 또는 다형성을 일컫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또는 다형성은 소정 약물 또는 약물군의 약력학 또는 약동학과 관련된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특히 엑손(exon) 부위에서 발생하는 것이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염기서열 변이 정보”는 유전자의 엑손을 구성하는 염기의 치환, 부가 또는 결실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이러한 염기의 치환, 부가, 또는 결실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염색체의 돌연변이, 절단, 결실, 중복, 역위 및/또는 전좌를 포함하는 구조적 차이에 의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염기서열의 다형성이란 유전체 상에 존재하는 염기서열의 개인 간 차이를 말하는 것으로, 염기서열 다형성에서 그 수가 가장 많은 것은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이며, 이는 A, T, C, G로 이루어진 염기서열 중 하나의 염기에 개인 간 차이가 있는 것이다. 염기서열 다형성은 SNP를 포함하여 SNV(Single Nucleotide Variation), STRP(short tandem repeat polymorphism), 또는 VNTR(various number of tandem repeat) 및 CNV(Copy number variation)를 포함하는 다수체(polyalleic) 변이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개인 유전체에서 발견되는 염기서열 변이 또는 다형성 정보는 소정 약물 또는 약물군의 약력학 또는 약동학과 관련된 단백질과 관련되어 수집된다. 즉,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염기서열 변이 정보는 수득한 개인의 유전체 염기서열 정보 중 특정 질환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약물 또는 약물군의 약력학 또는 약동학에 관여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 예를 들면, 약물과 관련된 표적(target) 단백질, 약물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enzyme) 단백질, 수송체 단백질(transporter) 및 운반체(carrier)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특히 엑손 영역에서 발견되는 변이 정보이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약동학(pharmaco-kinetics, pk) 또는 약동학적 파라미터”는 일정 시간동안 약물의 체내에서의 흡수, 이동, 분포, 전환, 배출과 관련된 약물의 특성을 일컫는 것으로, 약물의 분포용적(Vd), 청소율(CL), 생체이용율(F), 흡수속도계수(ka), 또는 최대 혈중 약물 농도(maximum plasma concentration, Cmax), 최대 혈중 약물 농도의 도달시간(time point of maximum plasma concentration, Tmax), 일정 시간 동안의 혈중 약물 농도 변화에 대한 그래프 아래의 면적(AUC, Area Under the Curve) 측정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약력학(pharmacodynamics) 또는 약력학적 파라미터”는 약물의 생체에 대한 생리학적 및 생화학적 작용과 그 작용기전, 즉 약물이 일으키는 생체의 반응 또는 효과와 관련된 특징을 일컫는 것이다.
소정 약물 또는 약물군의 약력학 또는 약동학에 관여하는 유전자 목록을 하기 표 1 내지 표 15에 나타내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국 질병통제예방국(CDC)에서 발행한 일 보고서(Health, United States, 2011,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에서 제공하는 2005~2008년 사이 미국에서 가장 흔하게 처방되는 상위 15위 약물군을 표준 약물 분류 코드인 ATC 코드로 매핑하여 추출한 920개의 약물에 대해서 DrugBank ver 3.0 및 KEGG Drug 데이터베이스에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약력학 또는 약동학 관련 유전자가 알려진 395개의 약물과 해당 약물-유전자 쌍의 구성을 하기 표 1 내지 표 15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 내지 표 15의 유전자/단백질은 HGNC(HUGO Gene Nomenclature Committee)의 명명법에 따라 표시하였다(Gray KA, Daugherty LC, Gordon SM, Seal RL, Wright MW, Bruford EA. genenames.org: the HGNC resources in 2013. Nucleic Acids Res. 2013 Jan;41(Database issue):D545-52. doi: 10.1093/nar/gks1066. Epub 2012 Nov 17 PMID:23161694).
또한, 소정 약물 또는 약물군의 약력학 또는 약동학에 관여하는 유전자/단백질 정보는 DrugBank (http://www.drugbank.ca/) 또는 KEGG Drug (http://www.genome.jp/kegg/drug/) 또는 PharmGKB (https://www.pharmgkb.org/)등과 같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수득할 수 있으며, 하기 표 1 내지 표 15는 예시일 뿐,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표 1
ACE inhibitors [C09A] 약물명 | 표적 단백질 | 효소 단백질 | 수송체 단백질 | 운반체 단백질 |
Benazepril | ACE | MTHFR | SLC15A1, SLC15A2 | |
Captopril | ACE, MMP2 | CYP2D6 | ABCB1, SLC15A1, SLC15A2, SLC22A6 | ALB |
Cilazapril | ACE | | ABCB1, SLC15A1, SLC15A2 | |
Enalapril | ACE | CYP3A4 | ABCB1, SLC15A1, SLC15A2, SLC22A6, SLC22A7, SLC22A8, SLCO1A2 | |
Fosinopril | ACE | | SLC15A1, SLC15A2 | |
Lisinopril | ACE, ACE2 | | ABCB1, SLC15A1 | |
Moexipril | ACE, ACE2 | | SLC15A1, SLC15A2 | |
Perindopril | ACE | | ABCB1, SLC15A1, SLC15A2 | |
Quinapril | ACE | | SLC15A1, SLC15A2 | |
Ramipril | ACE | | SLC15A1, SLC15A2 | |
Spirapril | ACE | | SLC15A1, SLC15A2 | |
Trandolapril | ACE | | SLC15A1, SLC15A2 | |
Bupropion | CHRNA3, SLC6A2, SLC6A3 | CYP1A2, CYP2A6, CYP2B6, CYP2C8, CYP2C9, CYP2D6, CYP2E1, CYP3A4 | | ORM1 |
표 2
Analgesics [N02] 약물명 | 표적 단백질 | 효소 단백질 | 수송체 단백질 | 운반체 단백질 |
Acetaminophen | PTGS1, PTGS2 | CYP1A1, CYP1A2, CYP2A6, CYP2C8, CYP2C9, CYP2D6, CYP2E1, CYP3A4 | ABCB1, SLC22A6 | |
Acetylsalicylic acid | AKR1C1, PTGS1, PTGS2 | CYP2C19, CYP2C8, CYP2C9 | ABCB1, SLC16A1, SLC22A10, SLC22A11, SLC22A6, SLC22A7, SLC22A8, SLCO2B1 | ALB |
Almotriptan | HTR1B, HTR1D | CYP1A2, CYP2C19, CYP2C8, CYP2D6, CYP2E1, CYP3A4, FMO3, MAOA | | |
Aminophenazone | | CYP17A1, CYP1A2, CYP2C18, CYP2C19, CYP2C8, CYP2C9, CYP2D6, CYP3A4, CYP3A7 | SLC22A6 | |
Antipyrine | PTGS1, PTGS2 | CYP1A2, CYP2A6, CYP2B6, CYP2C18, CYP2C19, CYP2C8, CYP2C9, CYP2D6, CYP2E1, CYP3A4 | SLC22A6 | |
Buprenorphine | OPRD1, OPRK1, OPRM1 | CYP1A2, CYP2A6, CYP2C18, CYP2C19, CYP2C8, CYP2C9, CYP2D6, CYP3A4, CYP3A5, CYP3A7, UGT1A9 | ABCB1, ABCG2 | |
Butorphanol | OPRD1, OPRK1, OPRM1 | | | |
Dezocine | OPRK1, OPRM1 | | | |
Diflunisal | PTGS1, PTGS2 | | SLC22A6 | ALB, TTR |
Dihydroergotamine | ADRA1A, ADRA1B, ADRA1D, ADRA2A, DRD1, DRD2, GABRA1, HTR1A, HTR1B, HTR1D, HTR2A, HTR2B | CYP3A4 | ABCB1 | |
Dipyrone | PTGS1 | CYP2B6, CYP3A4 | | |
Eletriptan | HTR1A, HTR1B, HTR1D, HTR1E, HTR1F, HTR2B, HTR7 | CYP2A6, CYP2C19, CYP2C9, CYP2D6, CYP3A4, PTGS1 | ABCB1 | |
Ergotamine | ADRA1A, ADRA1B, ADRA1D, ADRA2A, ADRA2B, DRD2, HTR1A, HTR1B, HTR1D, HTR2A, SLC6A2 | CYP1A2, CYP3A4 | ABCB1 | |
Fentanyl | OPRD1, OPRK1, OPRM1 | CYP3A4, CYP3A5, CYP3A7 | ABCB1 | |
Frovatriptan | HTR1B, HTR1D | CYP1A2 | | |
Heroin | OPRD1, OPRK1, OPRM1 | CYP2C8, CYP2D6, CYP3A4, UGT1A1, UGT1A3, UGT1A8, UGT2B4, UGT2B7 | ABCB1 | |
Hydromorphone | OPRD1, OPRK1, OPRM1 | CYP2C9, CYP2D6, CYP3A4, PTGS1, UGT1A9 | | |
Lisuride | ADRA2A, ADRA2B, ADRA2C, DRD1, DRD2, DRD3, DRD4, DRD5, HTR1A, HTR1B, HTR1D, HTR2A, HTR2B, HTR2C | CYP2D6, CYP3A4 | | |
Meperidine | GRIN1, GRIN2A, GRIN2B, GRIN2C, GRIN2D, OPRK1, OPRM1 | CYP2B6, CYP2C19, CYP2D6, CYP3A4 | | ALB, ORM1 |
Methoxyflurane | ATP2C1, ATP5D, GABRA1, GLRA1, GRIA1, KCNA1 | CYP1A2, CYP2A6, CYP2B6, CYP2C9, CYP2D6, CYP2E1, CYP3A4 | | |
Methysergide | HTR1A, HTR1B, HTR1D, HTR2A, HTR2B, HTR2C, HTR7 | | | |
Nalbuphine | OPRD1, OPRK1, OPRM1 | | | |
Naratriptan | HTR1A, HTR1B, HTR1D, HTR1F | | | |
Oxycodone | OPRD1, OPRK1, OPRM1 | CYP2D6, CYP3A4, CYP3A5, CYP3A7 | | |
Pentazocine | OPRK1, OPRM1, SIGMAR1 | | | |
Phenacetin | PTGS1 | CYP1A1, CYP1A2, CYP2A13, CYP2A6, CYP2C19, CYP2C9, CYP2D6, CYP2E1, CYP3A4 | SLC22A6 | |
Propoxyphene | OPRD1, OPRK1, OPRM1 | CYP2C8, CYP2C9, CYP2D6, CYP3A4, CYP3A7 | | |
Rizatriptan | HTR1B, HTR1D, HTR1F | CYP1A2, MAOA | | |
Salicylamide | PTGS1, PTGS2 | | | |
Salsalate | PTGS1, PTGS2 | | | |
Sumatriptan | HTR1A, HTR1B, HTR1D, HTR1F | MAOA | ABCB1, ABCG2, SLCO1A2, SLCO1B1 | |
Tramadol | CHRFAM7A, CHRM3, GRIN3A, HTR2C, OPRD1, OPRK1, OPRM1, SLC6A2, SLC6A4 | CYP2B6, CYP2D6, CYP3A4 | | |
Ziconotide | CACNA1B | | | |
Zolmitriptan | HTR1A, HTR1B, HTR1D, HTR1F | CYP1A2, MAOA | | |
Clonidine | ADRA2A, ADRA2B, ADRA2C | CYP1A1, CYP1A2, CYP2D6, CYP3A4, CYP3A5 | ABCB1, SLC22A1, SLC22A3, SLC22A4, SLC22A5 | |
표 3
Anti-diabetes[A10] 약물명 | 표적 단백질 | 효소 단백질 | 수송체 단백질 | 운반체 단백질 |
Acarbose | AMY2A, AMY2B, GAA, GANC, MGAM, SI | | | |
Acetohexamide | ABCC8, ABCC9, KCNJ1 | CBR1 | | |
Buformin | PRKAA1, PRKAA2 | | SLC22A1 | |
Chlorpropamide | ABCC8, ABCC9 | CYP2C19, CYP2C9, PTGS1 | ABCB1, SLC15A1, SLC15A2, SLC22A6 | |
Exenatide | GLP1R | | | |
Gliclazide | ABCC8, ABCC9, VEGFA | CYP2C19, CYP2C9 | | ALB |
Glimepiride | ABCC8, ABCC9, KCNJ1, KCNJ11 | CYP2C9 | | |
Glipizide | ABCC8, ABCC9, PPARG | CYP2C9, CYP3A4 | | |
Gliquidone | ABCC8, ABCC9, KCNJ8 | | | |
Glisoxepide | ABCC8, ABCC9, KCNJ8 | | | |
Glyburide | ABCA1, ABCB11, ABCC8, ABCC9, CFTR, KCNJ1, KCNJ11, KCNJ5 | CYP2C19, CYP2C9, CYP3A4 | ABCB1, ABCB11, ABCC1, ABCC2, ABCC3, ABCG2, SLC15A1, SLC15A2, SLC22A6, SLC22A7, SLCO1A2, SLCO2B1 | ALB |
Glycodiazine | ABCC8, ABCC9, KCNJ1 | | | |
Insulin Aspart | INSR | CYP1A2 | | |
Insulin Detemir | INSR | CYP1A2 | | ALB |
Insulin Glargine | IGF1R, INSR | CYP1A2 | | |
Insulin Glulisine | INSR | CYP1A2 | | |
Insulin Lispro | IGF1R, INSR | CYP1A2 | | |
Insulin aspart (genetical recombination) | INSR | | | |
Insulin detemir (genetical recombination) | INSR | | | |
Insulin glargine (genetical recombination) | INSR | | | |
Insulin lispro (genetical recombination) | INSR | | | |
Liraglutide | GLP1R | | | |
Liraglutide (genetical recombination) | GLP1R | | | |
Metformin | PRKAA1, PRKAA2, PRKAB1 | | SLC22A1, SLC22A2, SLC47A1, SLC47A2 | |
Miglitol | GAA, GANC, MGAM | AMY2A | | |
Mitiglinide | ABCC8, ABCC9, PPARG | UGT1A3, UGT1A9, UGT2B7 | | |
Nateglinide | ABCC8, ABCC9, PPARG | CYP2C9, CYP2D6, CYP3A4, CYP3A5, CYP3A7, PTGS1, UGT1A9 | ABCC4, SLC15A1, SLC15A2, SLC16A1, SLC22A6 | ALB, ORM1 |
Phenformin | KCNJ8, PRKAA1 | CYP2D6 | SLC22A1, SLC22A2 | |
Pioglitazone | PPARG | CYP2C19, CYP2C8, CYP2C9, CYP2D6, CYP3A4, PTGS1 | SLCO1B1, SLCO1B3 | |
Pramlintide | CALCR, RAMP1, RAMP2, RAMP3 | | | |
Repaglinide | ABCC8, ABCC9, PPARG | CYP2C8, CYP3A4 | SLCO1B1 | ALB |
Rosiglitazone | ACSL4, PPARG | CYP1A2, CYP2A6, CYP2C19, CYP2C8, CYP2C9, CYP2D6, PTGS1 | SLCO1B1 | |
Saxagliptin | DPP4 | CYP3A4, CYP3A5 | | |
Sitagliptin | DPP4 | CYP2C8, CYP3A4 | ABCB1 | |
Tolazamide | ABCC8, ABCC9, KCNJ1 | | | |
Tolbutamide | ABCC8, KCNJ1 | CYP2C18, CYP2C19, CYP2C8, CYP2C9 | SLC15A1, SLC15A2, SLC22A6, SLCO1A2, SLCO2B1 | |
Troglitazone | ACSL4, CYP2C8, ESRRA, ESRRG, PPARG, SERPINE1, SLC29A1 | CYP19A1, CYP1A1, CYP2B6, CYP2C19, CYP2C8, CYP2C9, CYP3A4, CYP3A5, CYP3A7, UGT1A1, UGT1A10, UGT1A3, UGT1A4, UGT1A8, UGT1A9, UGT2B7 | ABCB11, SLCO1B1 | FABP4 |
Vildagliptin | DPP4 | | | |
Voglibose | GAA, GANC, MGAM | | | |
표 4
Antidepressants [N06A] 약물명 | 표적 단백질 | 효소 단백질 | 수송체 단백질 | 운반체 단백질 |
Amineptine | SLC6A2, SLC6A4 | | | |
Amitriptyline | ADRA1A, ADRA1D, ADRA2A, CHRM1, CHRM2, CHRM3, CHRM4, CHRM5, HRH1, HTR1A, HTR2A, KCNA1, KCND2, KCND3, KCNQ2, NTRK1, NTRK2, OPRD1, OPRK1, SLC6A2, SLC6A4 | CYP1A2, CYP2B6, CYP2C19, CYP2C8, CYP2C9, CYP2D6, CYP2E1, CYP3A4, CYP3A5 | ABCB1 | ALB, ORM1 |
Amoxapine | ADRA1A, ADRA2A, CHRM1, DRD1, DRD2, GABRA1, SLC6A2, SLC6A4 | CYP2D6 | | ORM1 |
Citalopram | ADRA1A, CHRM1, HRH1, SLC6A2, SLC6A3, SLC6A4 | CYP1A2, CYP2B6, CYP2C19, CYP2D6, CYP2E1, CYP3A4 | ABCB1 | |
Clomipramine | GSTP1, HTR2A, HTR2B, HTR2C, SLC6A2, SLC6A4 | CYP1A2, CYP2C19, CYP2D6, CYP3A4 | ABCB1 | |
Desipramine | ADRA1A, ADRB1, ADRB2, CHRM1, CHRM2, CHRM3, CHRM4, CHRM5, HRH1, HTR2A, SLC6A2, SLC6A4, SMPD1 | CYP1A2, CYP2A6, CYP2B6, CYP2C18, CYP2C19, CYP2D6, CYP2E1, CYP3A4 | ABCB1, SLC22A1, SLC22A2, SLC22A3, SLC22A4, SLC22A5 | ORM1 |
Desvenlafaxine | SLC6A2, SLC6A4 | CYP3A4 | | |
Doxepin | ADRA1A, ADRA1B, ADRA1D, ADRA2A, ADRA2B, ADRA2C, CHRM1, CHRM2, CHRM3, CHRM4, CHRM5, DRD2, HRH1, HRH2, HTR1A, HTR2A, HTR2B, HTR2C, SLC6A2, SLC6A4 | CYP1A2, CYP2C19, CYP2C9, CYP2D6 | ABCB1 | ORM1 |
Duloxetine | SLC6A2, SLC6A3, SLC6A4 | CYP1A2, CYP2D6 | | |
Fluoxetine | HTR2A, SLC6A4 | CYP1A2, CYP2B6, CYP2C19, CYP2C9, CYP2D6, CYP2E1, CYP3A4 | ABCB1 | |
Fluvoxamine | SLC6A4 | CYP1A1, CYP1A2, CYP2B6, CYP2C19, CYP2C9, CYP2D6, CYP2E1, CYP3A4, CYP3A5, CYP3A7 | ABCB1 | |
Imipramine | ADRA1A, ADRA1D, CHRM1, CHRM2, CHRM3, CHRM4, CHRM5, HRH1, HTR2A, KCND2, KCND3, SLC6A2, SLC6A4 | CYP1A2, CYP2B6, CYP2C18, CYP2C19, CYP2D6, CYP2E1, CYP3A4, CYP3A7 | ABCB1, SLC22A1, SLC22A2, SLC22A3, SLC22A4 | ORM1 |
Iproniazid | MAOA, MAOB | MAOB | | |
Isocarboxazid | MAOA, MAOB | | | |
L-Citrulline | ASS1, DDAH1, DDAH2, NOS1, NOS2, NOS3, OTC, PADI1, PADI2, PADI3, PADI4, PADI6 | | | |
L-Tryptophan | WARS, WARS2 | DDC, IDO1, TDO2, TPH1, TPH2, WARS, WARS2 | SLC16A10, SLC16A2 | |
Maprotiline | ADRA1A, CHRM1, CHRM2, CHRM3, CHRM4, CHRM5, HRH1, SLC6A2 | CYP1A2, CYP2D6 | ABCB1 | ORM1 |
Mianserin | ADRA1A, ADRA1B, ADRA1D, ADRA2A, ADRA2B, ADRA2C, HRH1, HTR1A, HTR1B, HTR1D, HTR1E, HTR1F, HTR2A, HTR2B, HTR2C, SLC6A2, SLC6A4 | CYP1A2, CYP2B6, CYP2C19, CYP2D6, CYP3A4 | | |
Milnacipran | SLC6A2, SLC6A4 | | | |
Minaprine | ACHE, CHRM1, DRD1, DRD2, HTR2A, HTR2B, HTR2C, MAOA, SLC6A4 | CYP2D6 | | |
Mirtazapine | ADRA2A, ADRA2B, ADRA2C, HRH1, HTR2A, HTR2B, HTR2C, HTR3A, HTR3B, HTR3C, HTR3D, HTR3E, OPRK1 | CYP1A2, CYP2C8, CYP2C9, CYP2D6, CYP3A4 | | |
Moclobemide | MAOA | CYP1A2, CYP2C19, CYP2C9, CYP2D6, MAOA, MAOB | | |
Nefazodone | ADRA1A, ADRA1B, ADRA2A, HTR1A, HTR2A, HTR2C, SLC6A2, SLC6A3, SLC6A4 | CYP2B6, CYP2D6, CYP3A4, CYP3A5, CYP3A7 | ABCB1 | |
Nialamide | MAOA, MAOB | | | |
Nomifensine | SLC6A2, SLC6A3 | | | ORM1 |
Nortriptyline | ADRA1A, ADRA1D, CHRM1, CHRM2, CHRM3, CHRM4, CHRM5, HRH1, HTR1A, HTR2A, SLC6A2, SLC6A4 | CYP1A2, CYP2C19, CYP2C9, CYP2D6, CYP2E1, CYP3A4, CYP3A5, PTGS1 | | ALB, ORM1 |
Paroxetine | CHRM1, CHRM2, CHRM3, CHRM4, CHRM5, HTR2A, SLC6A2, SLC6A4 | CYP2B6, CYP2C8, CYP2C9, CYP2D6 | ABCB1 | |
Phenelzine | ABAT, AOC3, GAD2, GPT, GPT2, MAOA, MAOB | CYP2C19, CYP2C8, CYP2E1, CYP3A4, CYP3A43, CYP3A5, CYP3A7, MAOA, MAOB | | |
Protriptyline | SLC6A2, SLC6A4 | CYP2D6 | ABCB1 | |
Reboxetine | SLC6A2 | CYP2D6, CYP3A4 | ABCB1 | |
Sertraline | SLC6A3, SLC6A4 | CYP1A2, CYP2B6, CYP2C19, CYP2C9, CYP2D6, CYP3A4, MAOA, MAOB | ABCB1 | |
Tranylcypromine | MAOA, MAOB | CYP1A2, CYP2A6, CYP2C19, CYP2C9, CYP2D6, CYP2E1, CYP3A4 | | |
Trazodone | ADRA1A, ADRA2A, HRH1, HTR1A, HTR2A, HTR2C, SLC6A4 | CYP2D6, CYP3A4, CYP3A5, CYP3A7 | ABCB1 | ORM1 |
Trimipramine | ADRA1A, ADRA1B, ADRA2B, DRD1, DRD2, HRH1, HTR1A, HTR2A, SLC6A2, SLC6A3, SLC6A4 | CYP2C19, CYP2C9, CYP2D6, CYP3A4 | ABCB1 | |
Venlafaxine | SLC6A2, SLC6A3, SLC6A4 | CYP2B6, CYP2C19, CYP2C9, CYP2D6, CYP3A4 | ABCB1 | |
Vilazodone | HTR1A, SLC6A4 | CYP2C18, CYP2D6, CYP3A4 | | |
Zimelidine | SLC6A4 | | ABCB1 | |
표 5
Antihistamines for systemic use [R06] 약물명 | 표적 단백질 | 효소 단백질 | 수송체 단백질 | 운반체 단백질 |
Antazoline | HRH1 | | | |
Astemizole | HRH1, KCNH2 | CYP2D6, CYP2J2, CYP3A4, CYP3A5, CYP3A7 | ABCB1 | |
Azatadine | HRH1 | CYP3A4 | | |
Azelastine | HRH1 | CYP1A1, CYP1A2, CYP2A6, CYP2B6, CYP2C19, CYP2C8, CYP2C9, CYP2D6, CYP2E1, CYP3A4, CYP3A5 | ABCB1 | |
Bromodiphenhydramine | HRH1 | | SLC22A6, SLC47A1 | |
Brompheniramine | CHRM1, CHRM2, CHRM3, CHRM4, CHRM5, HRH1 | CYP2B6, CYP2C19, CYP2C8, CYP2C9, CYP2D6, CYP2E1, CYP3A4 | | |
Buclizine | CHRM1, HRH1 | | | |
Carbinoxamine | HRH1 | CYP2B6, CYP2C19, CYP2C8, CYP2C9, CYP2D6, CYP2E1, CYP3A4 | | |
Cetirizine | HRH1 | | | |
Chloropyramine | HRH1 | | | |
Chlorpheniramine | HRH1, SLC6A2, SLC6A3, SLC6A4 | CYP2D6, CYP3A4, CYP3A5, CYP3A7 | SLC22A1, SLC22A2 | |
Clemastine | HRH1 | CYP2D6, CYP3A4 | | |
Cyclizine | HRH1, SULT1E1 | CYP2C9 | | |
Cyproheptadine | CHRM1, CHRM2, CHRM3, HRH1, HTR2A, HTR2C | | | |
Desloratadine | HRH1 | CYP1A2, CYP2C19, CYP2C9, CYP2D6 | ABCB1 | |
Dimethindene | CHRM2, HRH1 | | | |
Diphenhydramine | HRH1, SLC6A3 | CYP1A2, CYP2B6, CYP2C18, CYP2C19, CYP2C9, CYP2D6, PTGS1 | SLC22A1, SLC22A2, SLC22A5 | |
Doxylamine | CHRM1, HRH1 | | | |
Epinastine | ADRA1A, ADRA2A, HRH1, HRH2, HTR2A, HTR7 | CYP2B6, CYP2D6, CYP3A4 | ABCB1 | |
Fexofenadine | HRH1 | CYP2D6 | ABCB1, ABCC3, SLCO1A2, SLCO1B3, SLCO2B1 | |
Isothipendyl | HRH1 | | | |
Ketotifen | HRH1, PDE4A, PDE4B, PDE4C, PDE4D, PDE7A, PDE7B, PDE8A, PDE8B, PGD | | | |
Loratadine | HRH1 | CYP2C19, CYP2C8, CYP2C9, CYP2D6, CYP3A4 | ABCB1 | |
Meclizine | HRH1 | CYP1A2 | | |
Mepyramine | HRH1 | CYP2D6 | | |
Mequitazine | HRH1 | CYP2D6, CYP3A4 | | |
Methdilazine | HRH1 | | | |
Phenindamine | HRH1 | | | |
Pheniramine | HRH1 | | | |
Promethazine | ADRA1A, CALM1, CHRM1, CHRM2, CHRM3, CHRM4, CHRM5, DRD2, HRH1, HTR2A | CYP2B6, CYP2C9, CYP2D6 | ABCB1 | |
Terfenadine | CHRM3, HRH1, KCNH2 | CYP2C8, CYP2C9, CYP2D6, CYP2J2, CYP3A4, CYP3A5, CYP3A7 | ABCB1 | |
Thiethylperazine | DRD1, DRD2, DRD4 | | | |
Trimeprazine | HRH1 | CYP3A4 | | |
Tripelennamine | HRH1 | CYP2D6 | | |
Triprolidine | HRH1 | CYP2D6 | | |
표 6
Antihypertensives [C02] 약물명 | 표적 단백질 | 효소 단백질 | 수송체 단백질 | 운반체 단백질 |
Ambrisentan | EDNRA | | | |
Bethanidine | ADRA2A, ADRA2B, ADRA2C, KCNJ1 | | | |
Bosentan | EDNRA, EDNRB | CYP2C19, CYP2C9, CYP3A4 | ABCB11 | |
Debrisoquin | SLC6A2 | CYP1A1, CYP2D6 | ABCB1 | |
Deserpidine | SLC18A2 | | | |
Diazoxide | ABCC8, ATP1A1, CA1, CA2, KCNJ11, KCNMA1, SLC12A3 | | | |
Doxazosin | ADRA1A, ADRA1B, ADRA1D, KCNH2, KCNH6, KCNH7 | CYP2C19, CYP2D6 | ABCB1 | ORM1 |
Guanethidine | SLC6A2 | CYP3A4 | | |
Guanfacine | ADRA2A, ADRA2B, ADRA2C | CYP2C19, CYP2C9, CYP3A4 | | |
Hydralazine | AOC3, P4HA1 | CYP3A4 | | |
Mecamylamine | CHRNA1, CHRNA10, CHRNA2, CHRNA3, CHRNA4, CHRNA5, CHRNA6, CHRNA7, CHRNA9, CHRNB1, CHRNB2, CHRNB3, CHRNB4, CHRND, CHRNE, CHRNG | | | |
Methyldopa | ADRA2A, ADRA2B, ADRA2C, DDC | COMT | SLC15A1 | |
Metyrosine | TH | | | |
Minoxidil | ABCC8, KCNJ1, PTGS1 | | | |
Nitroprusside | NPR1 | CYP1A1, CYP1A2 | | |
Pargyline | MAOA, MAOB | | | |
Prazosin | ADRA1A, ADRA1B, ADRA1D, KCNH2, KCNH6, KCNH7 | CYP1A1 | ABCB1, ABCG2, SLC22A1, SLC22A2, SLC22A3 | ORM1 |
Rescinnamine | ACE | | | |
Reserpine | SLC18A1, SLC18A2 | CYP3A5 | ABCB1, ABCB11, ABCC2, SLC22A1, SLC22A2 | |
Sitaxentan | EDNRA, EDNRB | CYP2C19, CYP2C9, CYP3A4 | | |
Trimethaphan | CHRNA10 | BCHE | | |
표 7
Anxiolytics and Hypnotics/sedatives [N05B|N05C] 약물명 | 표적 단백질 | 효소 단백질 | 수송체 단백질 | 운반체 단백질 |
Adinazolam | GABRA1, GABRA2, GABRA3, GABRA5, GABRB1, GABRB2, GABRB3, GABRD, GABRE, GABRG1, GABRG2, GABRG3, GABRP, GABRR1, GABRR2, GABRR3 | CYP2C19, CYP3A4 | | |
Alprazolam | GABRA1, GABRA2, GABRA3, GABRA4, GABRA5, GABRA6, GABRB1, GABRB2, GABRB3, GABRD, GABRE, GABRG1, GABRG2, GABRG3, GABRP, GABRQ, GABRR1, GABRR2, GABRR3, TSPO | CYP2C9, CYP3A4, CYP3A5, CYP3A7 | | |
Amobarbital | CHRNA4, CHRNA7, GABRA1, GABRA2, GABRA3, GABRA4, GABRA5, GABRA6, GABRB1, GABRB2, GABRB3, GABRD, GABRE, GABRG1, GABRG2, GABRG3, GABRP, GABRQ, GRIA2, GRIK2 | CYP2A6 | | |
Aprobarbital | CHRNA4, CHRNA7, GABRA1, GABRA2, GABRA3, GABRA4, GABRA5, GABRA6, GRIA2, GRIK2 | | | |
Bromazepam | GABRA1, GABRA2, GABRA3, GABRA4, GABRA5, GABRA6, GABRB1, GABRB2, GABRB3, GABRD, GABRE, GABRG1, GABRG2, GABRG3, GABRP, GABRQ, GABRR1, GABRR2, GABRR3 | CYP1A2, CYP2C19, CYP2E1, CYP3A4 | | |
Buspirone | DRD2, HTR1A | CYP2D6, CYP3A4, CYP3A5, CYP3A7 | ABCB1 | |
Butethal | CHRNA4, CHRNA7, GABRA1, GABRA2, GABRA3, GABRA4, GABRA5, GABRA6, GRIA2, GRIK2 | | | |
Chlordiazepoxide | GABRA1, GABRA2, GABRA3, GABRA4, GABRA5, GABRA6, GABRB1, GABRB2, GABRB3, GABRD, GABRE, GABRG1, GABRG2, GABRG3, GABRP, GABRQ, GABRR1, GABRR2, GABRR3 | CYP2D6, CYP3A4 | | |
Cinolazepam | GABRA1, GABRA2, GABRA3, GABRA5, GABRB1, GABRB2, GABRB3, GABRD, GABRE, GABRG1, GABRG2, GABRG3, GABRP, GABRR1, GABRR2, GABRR3 | | | |
Clobazam | GABRA1, GABRA2, GABRA3, GABRA4, GABRA5, GABRA6, GABRB1, GABRB2, GABRB3, GABRD, GABRE, GABRG1, GABRG2, GABRG3, GABRP, GABRQ, GABRR1, GABRR2, GABRR3 | CYP2B6, CYP2C18, CYP2C19, CYP3A4 | | |
Clorazepate | GABRA1, GABRA2, GABRA3, GABRA4, GABRA5, GABRA6, GABRB1, GABRB2, GABRB3, GABRD, GABRE, GABRG1, GABRG2, GABRG3, GABRP, GABRQ, GABRR1, GABRR2, GABRR3, TSPO | CYP3A4 | | |
Clotiazepam | GABRA1, GABRA2, GABRA3, GABRA4, GABRA5, GABRA6, GABRB1, GABRB2, GABRB3, GABRD, GABRE, GABRG1, GABRG2, GABRG3, GABRP, GABRQ, GABRR1, GABRR2, GABRR3 | CYP2B6, CYP2C18, CYP2C19, CYP3A4 | | |
Dexmedetomidine | ADRA2A, ADRA2B, ADRA2C | | | |
Diazepam | GABRA1, GABRA2, GABRA3, GABRA4, GABRA5, GABRA6, GABRB1, GABRB2, GABRB3, GABRD, GABRE, GABRG1, GABRG2, GABRG3, GABRP, GABRQ, GABRR1, GABRR2, GABRR3, TSPO | CYP1A2, CYP2B6, CYP2C18, CYP2C19, CYP2C8, CYP2C9, CYP3A4, CYP3A5, CYP3A7, PTGS1 | ABCB1 | ALB |
Estazolam | GABRA1, GABRA2, GABRA3, GABRA4, GABRA5, GABRA6, GABRB1, GABRB2, GABRB3, GABRD, GABRE, GABRG1, GABRG2, GABRG3, GABRP, GABRQ, GABRR1, GABRR2, GABRR3 | CYP3A4 | | |
Ethchlorvynol | GABRA1, GABRA2, GABRA3, GABRA4, GABRA5, GABRA6, GABRB1, GABRB2, GABRB3 | | | |
Fludiazepam | GABRA1, GABRA2, GABRA3, GABRA4, GABRA5, GABRA6, GABRB1, GABRB2, GABRB3, GABRD, GABRE, GABRG1, GABRG2, GABRG3, GABRP, GABRQ, GABRR1, GABRR2, GABRR3 | | | |
Flunitrazepam | GABRA1, GABRA2, GABRA3, GABRA4, GABRA5, GABRA6, GABRB1, GABRB2, GABRB3, GABRD, GABRE, GABRG1, GABRG2, GABRG3, GABRP, GABRQ, TSPO | CYP1A2, CYP2A6, CYP2B6, CYP2C19, CYP2C9, CYP3A4, UGT2B7 | | |
Flurazepam | GABRA1, GABRA2, GABRA3, GABRA4, GABRA5, GABRA6, GABRB1, GABRB2, GABRB3, GABRD, GABRE, GABRG1, GABRG2, GABRG3, GABRP, GABRQ, GABRR1, GABRR2, GABRR3 | CYP2A6, CYP2C19, CYP2E1, CYP3A4 | ABCB1 | |
Glutethimide | GABRA1, GABRA2, GABRA3, GABRA4, GABRA5, GABRA6, GABRB1, GABRB2, GABRB3, GABRD, GABRE, GABRG1, GABRG2, GABRG3, GABRP, GABRQ | CYP11A1, CYP2D6 | | |
Halazepam | GABRA1, GABRA2, GABRA3, GABRA5, GABRB1, GABRB2, GABRB3, GABRD, GABRE, GABRG1, GABRG2, GABRG3, GABRP, GABRR1, GABRR2, GABRR3 | | | |
Heptabarbital | CHRNA4, CHRNA7, GABRA1, GABRA2, GABRA3, GABRA4, GABRA5, GABRA6, GRIA2, GRIK2 | | | |
Hexobarbital | CHRNA4, CHRNA7, GABRA1, GABRA2, GABRA3, GABRA4, GABRA5, GABRA6, GABRB1, GABRB2, GABRB3, GABRD, GABRE, GABRG1, GABRG2, GABRG3, GABRP, GABRQ, GRIA2, GRIK2 | CYP1A2, CYP2C19, CYP2C9, CYP2E1, CYP3A4, PTGS1 | | |
Hydroxyzine | HRH1 | CYP2D6, CYP3A4, CYP3A5 | | |
Ketazolam | GABRA1, GABRB1, GABRD, GABRE, GABRG1, TSPO | CYP3A4 | ABCB1 | ALB |
Lorazepam | GABRA1, GABRA2, GABRA3, GABRA4, GABRA5, GABRA6, GABRB1, GABRB2, GABRB3, GABRD, GABRE, GABRG1, GABRG2, GABRG3, GABRP, GABRQ, GABRR1, GABRR2, GABRR3, TSPO | | | |
Melatonin | ASMT, CALM1, CALR, EPX, ESR1, MPO, MTNR1A, MTNR1B, NQO2, RORB | ASMT, CYP19A1, CYP1A1, CYP1A2, CYP1B1, CYP2C19, CYP2C9, IDO1, MPO | SLC22A8 | |
Meprobamate | GABRA1, GABRA2, GABRA3, GABRA4, GABRA5, GABRA6, GABRB1, GABRB2, GABRB3, GABRD, GABRE, GABRG1, GABRG2, GABRG3, GABRP, GABRQ | CYP2C19, CYP2E1 | ABCB1 | |
Methaqualone | GABRA1, GABRA2, GABRA3, GABRA4, GABRA5, GABRA6, GABRB1, GABRB2, GABRB3, GABRD, GABRE, GABRG1, GABRG2, GABRG3, GABRP, GABRQ | CYP3A4 | | |
Methohexital | GABRA1 | | | |
Methyprylon | GABRA1 | CYP2D6 | | |
Midazolam | GABRA1, GABRA2, GABRA3, GABRA4, GABRA5, GABRA6, GABRB1, GABRB2, GABRB3, GABRD, GABRE, GABRG1, GABRG2, GABRG3, GABRP, GABRQ, GABRR1, GABRR2, GABRR3 | CYP2B6, CYP3A4, CYP3A5, CYP3A7, CYP4B1 | ABCB1, SLC22A1 | |
Nitrazepam | GABRA1, GABRA2, GABRA3, GABRA4, GABRA5, GABRA6, GABRB1, GABRB2, GABRB3, GABRD, GABRE, GABRG1, GABRG2, GABRG3, GABRP, GABRQ, GABRR1, GABRR2, GABRR3, SCN1A | CYP3A4 | ABCB1 | |
Oxazepam | GABRA1, GABRA2, GABRA3, GABRA4, GABRA5, GABRA6, GABRB1, GABRB2, GABRB3, GABRD, GABRE, GABRG1, GABRG2, GABRG3, GABRP, GABRQ, GABRR1, GABRR2, GABRR3 | CYP3A4, CYP3A43, CYP3A5, CYP3A7 | | |
표 8
Beta blocking agents [C07] 약물명 | 표적 단백질 | 효소 단백질 | 수송체 단백질 | 운반체 단백질 |
Acebutolol | ADRB1, ADRB2 | CYP2D6 | ABCB1, SLC22A1 | |
Alprenolol | ADRB1, ADRB2, ADRB3, HTR1A | CYP2D6 | | |
Atenolol | ADRB1, LTF, PLA2G2E | | ABCB1 | |
Betaxolol | ADRB1, ADRB2 | CYP1A2, CYP2D6 | | |
Bevantolol | ADRA1A, ADRA1B, ADRA1D, ADRB1, ADRB2 | | | |
Bisoprolol | ADRB1, ADRB2 | CYP2D6, CYP3A4 | | |
Bopindolol | ADRB1, ADRB2, ADRB3, HTR1A, HTR1B | | | |
Bupranolol | ADRB1, ADRB2, ADRB3 | | | |
Carteolol | ADRB1, ADRB2, ADRB3 | CYP2D6 | | |
Carvedilol | ADRA1A, ADRA1B, ADRA1D, ADRB1, ADRB2, ADRB3, GJA1, KCNH2, NDUFC2, NPPB, VCAM1, VEGFA | CYP1A1, CYP1A2, CYP2C9, CYP2D6, CYP2E1, CYP3A4, PTGS1, XDH | ABCB1 | |
Esmolol | ADRB1 | | | |
Labetalol | ADRA1A, ADRA1B, ADRA1D, ADRB1, ADRB2, ADRB3 | CYP2D6 | | |
Metoprolol | ADRB1, ADRB2 | CYP2C19, CYP2D6 | ABCB1, SLC22A2 | |
Nadolol | ADRB1, ADRB2, ADRB3 | | ABCB1 | |
Nebivolol | ADRB1, ADRB2 | CYP2D6 | | |
Oxprenolol | ADRB1, ADRB2, ADRB3 | CYP2D6 | SLC22A2 | |
Penbutolol | ADRB1, ADRB2, ADRB3 | | | ORM1 |
Pindolol | ADRB1, ADRB2, ADRB3, HTR1A, HTR1B | CYP2D6 | SLC22A2 | |
Practolol | ADRB1 | | | |
Propranolol | ADRB1, ADRB2, ADRB3, HTR1A, HTR1B | CYP1A1, CYP1A2, CYP2C19, CYP2D6, CYP3A4, CYP3A5, CYP3A7 | ABCB1, SLC22A2 | ORM1 |
Sotalol | ADRB1, ADRB2, KCNH2 | | | |
Timolol | ADRB1, ADRB2, ADRB3, LYZ | CYP2C19, CYP2D6 | ABCB1 | |
표 9
Calcium channel blockers [C08] 약물명 | 표적 단백질 | 효소 단백질 | 수송체 단백질 | 운반체 단백질 |
Amlodipine | CA1, CACNA1B, CACNA1C, CACNA1D, CACNA1F, CACNA1S, CACNA2D1, CACNA2D3, CACNB1, CACNB2 | CYP1A1, CYP1A2, CYP2A6, CYP2B6, CYP2C8, CYP2C9, CYP2D6, CYP3A4, CYP3A5, CYP3A7 | ABCB1 | |
Bepridil | ATP1A1, CACNA1A, CACNA1C, CACNA1D, CACNA1F, CACNA1G, CACNA1H, CACNA1I, CACNA1S, CACNA2D2, CALM1, KCNA5, KCND3, KCNH2, KCNJ12, KCNJ3, KCNJ5, KCNJ8, KCNQ1, PDE1A, PDE1B, TNNC1 | CYP2C9, CYP2D6, CYP3A4 | ABCB1 | |
Diltiazem | CACNA1C, CACNA1D, CACNA1F, CACNA1S, CACNG1 | CYP2C19, CYP2C8, CYP2C9, CYP2D6, CYP3A4, CYP3A5, CYP3A7 | ABCB1 | |
Felodipine | CACNA1C, CACNA1D, CACNA1F, CACNA1H, CACNA1S, CACNA2D1, CACNA2D2, CACNB2, CALM1, NR3C2, PDE1A, PDE1B, TNNC1, TNNC2 | CYP2C8, CYP2C9, CYP2D6, CYP3A4, CYP3A5, CYP3A7 | ABCB1 | |
Isradipine | CACNA1C, CACNA1D, CACNA1F, CACNA1H, CACNA1S, CACNA2D1, CACNA2D2, CACNB2 | CYP3A4 | | |
Lercanidipine | CACNG1 | CYP2D6, CYP3A4, CYP3A5, CYP3A7 | | |
Losartan | AGTR1 | CYP1A2, CYP2C19, CYP2C8, CYP2C9, CYP3A4, CYP3A5, UGT1A1, UGT1A10, UGT1A3, UGT2B17, UGT2B7 | ABCB1, SLC22A6 | |
Mibefradil | CACNA1C, CACNA1D, CACNA1F, CACNA1G, CACNA1H, CACNA1I, CACNA1S, CACNB1, CACNB2, CACNB3, CACNB4 | CYP11B1, CYP11B2, CYP1A1, CYP1A2, CYP2D6, CYP3A4, CYP3A5, CYP3A7 | ABCB1 | |
Nicardipine | ADRA1A, ADRA1B, ADRA1D, CACNA1C, CACNA1D, CACNA1F, CACNA1S, CACNA2D1, CACNB2, CALM1, CHRM1, CHRM2, CHRM3, CHRM4, CHRM5, PDE1A, PDE1B | CYP2B6, CYP2C19, CYP2C8, CYP2C9, CYP2D6, CYP2E1, CYP3A4, CYP3A5 | ABCB1 | |
Nifedipine | CACNA1C, CACNA1D, CACNA1F, CACNA1H, CACNA1S, CACNA2D1, CACNB2, CALM1, KCNA1 | CYP1A1, CYP1A2, CYP2A6, CYP2B6, CYP2C8, CYP2C9, CYP2D6, CYP2E1, CYP3A4, CYP3A5, CYP3A7 | ABCB1, ABCC2, ABCC3 | |
Nilvadipine | CACNA1C, CACNA1D, CACNA1F, CACNA1S, CACNA2D1, CACNA2D3, CACNB2 | CYP1A2, CYP2A6, CYP2C19, CYP2C8, CYP2C9, CYP2E1, CYP3A4 | | |
Nimodipine | AHR, CACNA1C, CACNA1D, CACNA1F, CACNA1S, CACNB1, CACNB2, CACNB3, CACNB4, NR3C2 | CYP3A4, CYP3A5 | | |
Nisoldipine | CACNA1C, CACNA1D, CACNA1F, CACNA1S, CACNA2D1, CACNB2 | CYP1A2, CYP3A4, CYP3A5, CYP3A7 | ABCB1 | |
Nitrendipine | CACNA1C, CACNA1D, CACNA1F, CACNA1H, CACNA1S, CACNA2D1, CACNA2D2, CACNB2, CACNG1 | CYP3A4, CYP3A5, CYP3A7 | ABCB1 | |
Perhexiline | CPT1A, CPT2 | CYP2B6, CYP2D6, CYP3A4 | | |
Verapamil | CACNA1A, CACNA1B, CACNA1C, CACNA1D, CACNA1F, CACNA1G, CACNA1I, CACNA1S, CACNB1, CACNB2, CACNB3, CACNB4, KCNA10, KCNA3, KCNA7, KCNC2, KCNH2, KCNJ11, KCNJ6, SCN5A, SLC6A4 | CYP1A2, CYP2B6, CYP2C18, CYP2C19, CYP2C8, CYP2C9, CYP2D6, CYP3A4, CYP3A5, CYP3A7 | ABCB1, ABCB11, ABCC1, ABCC10, ABCC2, ABCC3, ABCC4, ABCG2, SLC22A1, SLC22A4, SLC22A5, SLCO1A2, SLCO1B1 | |
표 10
Diuretics [C03] 약물명 | 표적 단백질 | 효소 단백질 | 수송체 단백질 | 운반체 단백질 |
Amiloride | ABP1, ASIC1, ASIC2, PLAU, SCNN1A, SCNN1B, SCNN1D, SCNN1G, SLC9A1 | ABP1 | SLC22A1, SLC22A2, SLC22A4 | |
Bendroflumethiazide | CA1, CA2, CA4, KCNMA1, SLC12A3 | | | |
Bumetanide | CFTR, SLC12A1, SLC12A2, SLC12A4, SLC12A5 | | SLC10A1, SLC22A11, SLC22A6, SLC22A7, SLC22A8, SLCO1A2 | |
Chlorothiazide | CA1, CA2, CA4, SLC12A3 | | SLC22A6 | |
Chlorthalidone | CA2, SLC12A1, SLC12A3 | | | |
Conivaptan | AVPR1A, AVPR2 | CYP3A4 | | |
Cyclothiazide | CA1, CA2, CA4, FXYD2 | | SLC22A6 | |
Eplerenone | NR3C2 | CYP11B2, CYP3A4, CYP3A5, CYP3A7 | | |
Ethacrynic acid | ATP1A1, SLC12A1, SLC12A2 | GSTA2 | SLC22A6 | ALB |
Furosemide | CA2, GABRA1, GABRA2, GABRA3, GABRA4, GABRA5, GABRA6, SLC12A1, SLC12A2 | PGD | ABCC2, ABCC4, SLC22A11, SLC22A5, SLC22A6, SLC22A8, SLCO2A1 | ALB |
Hydrochlorothiazide | CA1, CA12, CA2, CA4, CA9, KCNMA1, SLC12A3 | | SLC22A6 | |
Hydroflumethiazide | ATP1A1, CA1, CA12, CA2, CA4, CA9, KCNMA1, SLC12A1, SLC12A3 | | | |
Indapamide | CA2, KCNE1, KCNQ1, SLC12A3 | CYP3A4 | | |
Methyclothiazide | CA1, CA2, CA4, SLC12A1, SLC12A3 | | | |
Metolazone | SLC12A3 | | | |
Polythiazide | SLC12A3 | | | |
Quinethazone | CA1, CA2, SLC12A1, SLC12A2, SLC12A3 | | | |
Spironolactone | AR, NR3C2 | CYP11B1, CYP2C8 | ABCB1, ABCC2, SLCO1A2 | |
Tolvaptan | AVPR2 | | | |
Torasemide | SLC12A1, SLC12A2 | CYP2C19, CYP2C8, CYP2C9, PTGS1 | | |
Triamterene | SCNN1A, SCNN1B, SCNN1D, SCNN1G | CYP1A2 | | |
Trichlormethiazide | ATP1A1, CA1, CA2, CA4, SLC12A1, SLC12A3 | | | |
Theobromine | ADORA1, ADORA2A, PDE4B | CYP1A2, CYP2E1 | | |
표 11
Drugs for obstructive airway diseases [R03] 약물명 | 표적 단백질 | 효소 단백질 | 수송체 단백질 | 운반체 단백질 |
Aminophylline | ADORA1, ADORA2A, ADORA3, PDE3A, PDE3B | CYP1A2, CYP2E1, CYP3A4 | | |
Amlexanox | FGF1, IL3, S100A12, S100A13 | | | |
Bambuterol | ADRB2 | BCHE | | |
Beclomethasone | NR3C1 | CYP3A5 | | SERPINA6 |
Betamethasone | ANXA1, NOS2, NR0B1, NR3C1 | CYP11A1, CYP17A1, CYP19A1, CYP1A1, CYP1B1, CYP2A6, CYP2B6, CYP2C19, CYP2C8, CYP2C9, CYP2D6, CYP2E1, CYP3A4, CYP3A43, CYP3A5, CYP3A7, CYP4A11 | ABCB1, ABCB11, ABCC2, ABCG2, SLCO1A2 | |
Betamethasone valerate | NR3C1 | | | |
Bitolterol | ADRB2 | | | |
Budesonide | NR3C1 | CYP3A4 | | |
Ciclesonide | NR3C1 | CES1, CYP2D6, CYP3A4 | | SERPINA6 |
Clenbuterol | ADRB1, ADRB2, ADRB3, NGF, TNF | CYP1A1, CYP1A2 | | |
Cromoglicate | KCNMA1, S100P | | | |
Dexamethasone propionate | NR3C1 | | | |
Dyphylline | ADORA1, ADORA2A, PDE4A, PDE4B, PDE4C, PDE4D, PDE7A, PDE7B | | | |
Ephedrine | ACHE, ADRA1A, ADRA1B, ADRA1D, ADRA2A, ADRA2B, ADRA2C, ADRB1, ADRB2, ADRB3, SLC18A2, SLC6A2, SLC6A3, SLC6A4 | CYP2D6, MAOA | | |
Epinephrine | ADRA1A, ADRA1B, ADRA1D, ADRA2A, ADRA2B, ADRA2C, ADRB1, ADRB2, ADRB3, PAH | CYP1A2, CYP2C9, CYP3A4 | SLC22A1, SLC22A2, SLC22A5 | |
Fenoterol | ADRB1, ADRB2, ADRB3 | | | |
Flunisolide | NR3C1 | CYP3A4 | | SERPINA6 |
Fluticasone Propionate | NR3C1, NR3C2, PGR, PLA2G4A | CYP3A4, CYP3A5, CYP3A7 | | SERPINA6 |
Fluticasone furoate | NR3C1 | CYP3A4 | | |
Formoterol | ADRB2 | CYP2A6, CYP2C19, CYP2C9, CYP2D6 | | |
Ibudilast | CYSLTR1, PDE3A, PDE3B, PDE4A, PDE4B, PDE4C, PDE4D, PTGIR | | | |
Indacaterol | ADRB2 | | | |
Ipratropium | CHRM1, CHRM2, CHRM3, CHRM4, CHRM5 | CYP2D6, CYP3A4 | SLC22A4, SLC22A5 | |
Isoetharine | ADRB1, ADRB2 | | | |
Isoproterenol | ADRB1, ADRB2, ADRB3, MAPK1, PIK3R1, PIK3R2, PIK3R3 | CYP1A1 | | |
Mometasone | NR3C1 | CYP2C8, CYP3A4 | | |
Mometasone furoate | NR3C1 | CYP3A4 | | |
Montelukast | ALOX5, CYSLTR1 | CYP2A6, CYP2C8, CYP2C9, CYP3A4, PTGS1 | SLCO2B1 | |
Nedocromil | CYSLTR1, CYSLTR2, FPR1, HSP90AA1, PTGDR | | | |
Omalizumab | FCER1A, MS4A2 | | | |
Orciprenaline | ADRB2 | | | |
Oxtriphylline | ADORA1, ADORA2A, PDE3A, PDE4A | CYP1A2 | SLC22A7 | |
Pirbuterol | ADRB1, ADRB2 | | | |
Pranlukast | CYSLTR1, CYSLTR2, IL5, MUC2, NFKB1, RNASE3, TNF | CYP2C9, CYP3A4 | ABCC2 | |
Procaterol | ADRB2 | | | |
Roflumilast | PDE4A, PDE4B, PDE4C, PDE4D | | | |
Salbutamol | ADRB1, ADRB2 | CYP3A4 | | |
Salmeterol | ADRB2 | CYP2C8, CYP3A4, CYP3A5, CYP3A7 | | |
Salmeterol xinafoate | ADRB2 | CYP3A4 | | |
Salmeterol xinafoate - fluticasone propionate mixt | | CYP3A4 | | |
Terbutaline | ADRB2 | BCHE | | |
Theophylline | ADORA1, ADORA2A, ADORA2B, PDE3A, PDE4A, PDE4B, PDE5A | ADA, CYP1A1, CYP1A2, CYP1B1, CYP2C8, CYP2C9, CYP2D6, CYP2E1, CYP3A4 | SLC22A7 | |
Tiotropium | CHRM1, CHRM2, CHRM3 | CYP2D6, CYP3A4 | SLC22A4, SLC22A5 | |
Triamcinolone | NR3C1 | | | SERPINA6 |
Zafirlukast | CYSLTR1 | CYP1A2, CYP2C19, CYP2C8, CYP2C9, CYP2D6, CYP2E1, CYP3A4, PTGS1 | | |
표 12
Lipid modifying agents [C10] 약물명 | 표적 단백질 | 효소 단백질 | 수송체 단백질 | 운반체 단백질 |
Atorvastatin | AHR, DPP4, HMGCR | CYP2B6, CYP2C19, CYP2C8, CYP2C9, CYP2D6, CYP3A4, CYP3A5, CYP3A7 | ABCB1, ABCC1, ABCC4, ABCC5, SLCO1A2, SLCO1B1 | |
Bezafibrate | PPARA, PPARD, PPARG | CYP1A1, CYP2C8, CYP3A4 | SLCO1B1 | |
Cerivastatin | HMGCR | CYP2B6, CYP2C19, CYP2C8, CYP2C9, CYP2D6, CYP3A4, CYP3A5, CYP3A7 | ABCB1, ABCC2, ABCG2, SLCO1B1 | |
Clofibrate | PPARA | CYP1A1, CYP2A6, CYP2B6, CYP2E1, CYP3A4, CYP4A11, GSTA2 | | |
Ezetimibe | ANPEP, NPC1L1, SOAT1 | CYP3A4, UGT1A1, UGT1A3, UGT2B7 | ABCB1, ABCC2, SLCO1B1 | |
Fenofibrate | MMP20, PPARA | CYP2C8, CYP2C9, CYP3A4 | | |
Fluvastatin | HMGCR | CYP1A1, CYP1A2, CYP2B6, CYP2C19, CYP2C8, CYP2C9, CYP2D6, CYP3A4 | | |
Gemfibrozil | PPARA | CYP1A2, CYP2C19, CYP2C8, CYP2C9, CYP3A4 | SLCO1B1 | |
Lovastatin | HDAC2, HMGCR, ITGAL | CYP2C19, CYP2C8, CYP2C9, CYP2D6, CYP3A4, CYP3A5, CYP3A7, PON3 | ABCB1, SLCO1A2, SLCO1B1 | |
Niacin | HCAR2, HCAR3, NNMT, QPRT | CYP2D6 | SLC16A1, SLC22A5, SLCO2B1 | |
Pravastatin | HMGCR | CYP2C8, CYP2C9, CYP2D6, CYP3A4, CYP3A5 | ABCB1, ABCB11, ABCC2, ABCG2, SLC22A11, SLC22A6, SLC22A7, SLC22A8, SLCO1A2, SLCO1B1, SLCO2B1 | |
Probucol | ABCA1 | | | |
Rosuvastatin | HMGCR | CYP2C19, CYP2C9, CYP3A4, CYP3A5 | ABCC1, ABCC4 | |
Simvastatin | HMGCR, ITGB2 | CYP2B6, CYP2C19, CYP2C8, CYP2C9, CYP2D6, CYP3A4, CYP3A5, CYP3A7 | ABCB1, SLCO1A2, SLCO1B1 | |
Levothyroxine | THRA, THRB, TPO | CYP2C8, CYP3A4 | ABCB1, SLC16A2, SLCO1C1 | ALB, SERPINA7, TTR |
표 13
Proton Pump Inhibitors [A02BC] 약물명 | 표적 단백질 | 효소 단백질 | 수송체 단백질 | 운반체 단백질 |
Lansoprazole | ATP4A, ATP4B | CYP1A1, CYP1A2, CYP1B1, CYP2C18, CYP2C19, CYP2C8, CYP2C9, CYP2D6, CYP3A4, CYP4A11 | ABCB1, ABCG2 | |
Omeprazole | ATP4A, ATP4B | CYP11A1, CYP1A1, CYP1A2, CYP1B1, CYP2C18, CYP2C19, CYP2C8, CYP2C9, CYP2D6, CYP3A4 | ABCB1, ABCC3, ABCG2 | |
Pantoprazole | ATP4A, ATP4B | CYP1A2, CYP2C19, CYP2C9, CYP3A4 | ABCB1, ABCG2, SLCO1B1 | |
Rabeprazole | ATP4A, ATP4B | CYP1A1, CYP1A2, CYP2C19, CYP2C9, CYP2D6, CYP3A4 | ABCG2 | |
표 14
Sex hormones and modulators of the genital system [G03] 약물명 | 표적 단백질 | 효소 단백질 | 수송체 단백질 | 운반체 단백질 |
Allylestrenol | ESR1, PGR | CYP3A4 | | |
Chlorotrianisene | ESR1 | | | |
Choriogonadotropin alfa | FSHR, LHCGR | | | |
Clomifene | ESR1, ESR2 | CYP11A1, CYP19A1, CYP1A1, CYP1A2, CYP2A6, CYP2E1, CYP3A4 | ABCB1 | |
Conjugated estrogens | ESR1, ESR2 | | | |
Cyproterone | AR | CYP19A1 | | |
Danazol | AR, CCL2, ESR1, GNRHR, GNRHR2, PGR | CYP19A1, CYP3A4 | | SHBG |
Desogestrel | ESR1, PGR | | | |
Dienestrol | ESR1, ESR2 | | | |
Diethylstilbestrol | AKR1C1, ESR1, ESR2, ESRRG | COMT, CYP19A1, CYP2A6, CYP2C8, CYP2C9, CYP2E1, CYP3A4 | ABCB1, ABCG2 | TTR |
Dydrogesterone | PGR | | | |
Estradiol | ESR1, ESR2, NR1I2 | CYP1A1, CYP1A2, CYP1B1, CYP2C19, CYP2C8, CYP2C9, CYP3A4, CYP3A5, CYP3A7, UGT1A1 | ABCB1, ABCC10, ABCG2, SLC22A1, SLC22A11, SLC22A2, SLC22A3, SLCO1A2, SLCO1B1, SLCO2B1 | ALB, FABP2, SHBG |
Estradiol - levonorgestrel mixt | | CYP3A4 | | |
Estriol | ESR1, ESR2, NCOA5 | | ABCB1, SLCO1A2 | |
Estrone | ESR1, ESR2 | COMT, CYP1A1, CYP1A2, CYP1B1, CYP2B6, CYP2C9, CYP2E1, CYP3A4, CYP3A5, CYP4A11 | ABCB1, ABCC1, ABCC11, ABCC2, ABCC3, ABCC4, ABCG2, SLC10A1, SLC22A10, SLC22A11, SLC22A6, SLC22A8, SLCO1A2, SLCO1B1, SLCO1B3, SLCO1C1, SLCO2B1, SLCO3A1, SLCO4A1 | ALB |
Ethinyl Estradiol | ESR1, ESR2, NR1I2 | CYP2C8, CYP3A4 | ABCB1, ABCB11, ABCC2, SLC10A1 | |
Ethynodiol | ESR1, PGR | | | |
Etonogestrel | ESR1, PGR | CYP3A4 | | |
Fluoxymesterone | AR, ESR1, NR3C1, PRLR | | | SHBG |
Follitropin alfa (genetical recombination) | FSHR | | | |
Follitropin beta | FSHR | | | |
Follitropin beta (genetical recombination) | FSHR | | | |
Hydroxyprogesterone caproate | PGR | | | |
Levonorgestrel | AR, ESR1, PGR, SRD5A1 | CYP19A1, CYP3A4 | | |
Lutropin alfa | LHCGR | | | |
Medroxyprogesterone | ESR1, PGR | CYP2C8, CYP2C9, CYP3A4, HSD3B2 | | |
Megestrol | NR3C1, PGR | | ABCB1 | |
Methyltestosterone | AR | CYP19A1, CYP2B6, CYP3A4 | SLC22A8, SLCO1A2 | ALB, SHBG |
Mifepristone | NR3C1, PGR | CYP2D6, CYP3A4, CYP3A5, CYP3A7 | ABCB1, ABCC1 | |
Nandrolone phenpropionate | AR | CYP19A1 | | |
Norethindrone | PGR | CYP2C19, CYP3A4, CYP3A5, CYP3A7 | ABCB1 | |
Progesterone | CYP17A1, ESR1, NR3C2, PGR | CYP17A1, CYP1A1, CYP1A2, CYP1B1, CYP2A6, CYP2C19, CYP2C8, CYP2C9, CYP2D6, CYP3A4, CYP3A5, CYP3A7 | ABCB1, ABCB11, ABCC1, SLC10A1, SLC22A1, SLC22A2, SLC22A3 | |
Raloxifene | ESR1, ESR2 | AOX1, CYP19A1, CYP2B6, CYP2C8, CYP3A4 | | |
Synthetic conjugated estrogens, B | ESR1, ESR2 | | | |
Testosterone | AKR1C1, AKR1C2, AR | CYP11A1, CYP19A1, CYP1A1, CYP1B1, CYP2A13, CYP2B6, CYP2C19, CYP2C8, CYP2C9, CYP3A4, CYP3A43, CYP3A5, CYP3A7, MAOA | ABCB1, ABCG2, SLC10A1, SLC22A1, SLC22A3, SLC22A4, SLC22A7, SLC22A8, SLCO1A2 | ALB, SHBG |
Testosterone Propionate | AR | | | |
Urofollitropin | FSHR | | | |
표 15
Thyroid therapy [H03] 약물명 | 표적 단백질 | 효소 단백질 | 수송체 단백질 | 운반체 단백질 |
Carbimazole | TPO | | | |
Liotrix | THRA, THRB | CYP2C8 | ABCB1, SLC10A1, SLC16A10, SLC16A2, SLC22A8, SLCO1A2, SLCO1B1, SLCO1B3, SLCO1C1, SLCO4A1, SLCO4C1 | ALB, SERPINA7, TTR |
Methimazole | TPO | CYP1A2, CYP2A6, CYP2B6, CYP2C19, CYP2C9, CYP2D6, CYP2E1, CYP3A4 | | |
Propylthiouracil | DIO1, DIO2, TPO | | | |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개인의 유전체 염기서열 정보는 공지된 염기서열분석법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1, 또한 상용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Complete Genomics, BGI (Beijing Genome Institute), Knome, Macrogen, DNALink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개인의 유전체 염기서열에 존재하는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정보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될 수 있으며, 참조군, 예를 들면 HG19의 유전체 염기서열과의 서열 비교 프로그램, 예를 들어, ANNOVAR(Wang et al., Nucleic Acids Research, 2010; 38(16): e164), SVA(Sequence Variant Analyzer) (Ge et al., Bioinformatics. 2011; 27(14): 1998-2000), BreakDancer(Chen et al., Nat Methods. 2009 Sep; 6(9):677-81) 등을 이용한 염기서열 비교 분석을 통해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정보는 컴퓨터 시스템을 통하여 접수/수득될 수 있으며, 이런 측면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유전자 변이 정보를 컴퓨터 시스템으로 접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특정 약물 또는 약물군의 약력학 또는 약동학에 관여하는 유전자, 예를 들면 약물과 관련된 표적 단백질, 약물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 단백질, 수송체 단백질 또는 운반체 단백질 등을 코딩하는 유전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접근 가능하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예를 들면 DrugBank (http://www.drugbank.ca/), KEGG Drug (http://www.genome.jp/kegg/drug/), PharmGKB (http://www.pharmgkb.org/) 등을 포함하는 유전자/단백질/약물-단백질 상호작용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공개 또는 비공개 데이터베이스 또는 지식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소정 약물 또는 약물군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처방(전)으로부터 입력된 정보, 또는 특정 질환에 치료효과가 있는 약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입력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처방전은 전자처방전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란 유전체 염기서열 변이가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엑손 부위에서 발견되었을 때, 이러한 개별 변이가 해당 유전자가 코딩하는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변이(치환, 부가 또는 결실) 또는 전사 조절 변이를 초래하여, 해당 단백질의 구조 및/또는 기능에 유의한 변화 혹은 손상을 유발하는 정도를 수치화한 점수를 말하며, 상기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는 유전체 염기서열 상에서 아미노산의 진화론적 보존 정도, 변형된 아미노산의 물리적 특성에 따른 해당 단백질의 구조나 기능의 변화에 미치는 정도 등을 고려하여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단백질 손상 점수 및 개인별 약물 점수 산출에 사용되는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SIFT (Sorting Intolerant From Tolerant, Pauline C et al., Genome Res. 2001 May; 11(5): 863-874; Pauline C et al., Genome Res. 2002 March; 12(3): 436-446; Jing Hul et al., Genome Biol. 2012; 13(2): R9), PolyPhen, PolyPhen-2 (Polymorphism Phenotyping, Ramensky V et al., Nucleic Acids Res. 2002 September 1; 30(17): 3894-3900; Adzhubei IA et al., Nat Methods 7(4):248-249 (2010)), MAPP (Eric A. et al., Multivariate Analysis of Protein Polymorphism, Genome Research 2005;15:978-986), Logre (Log R Pfam E-value, Clifford R.J et al., Bioinformatics 2004;20:1006-1014), Mutation Assessor (Reva B et al., Genome Biol. 2007;8:R232, http://mutationassessor.org/), Condel (Gonzalez-Perez A et al.,The American Journal of Human Genetics 2011;88:440-449, http://bg.upf.edu/fannsdb/), GERP (Cooper et al., Genomic Evolutionary Rate Profiling, Genome Res. 2005;15:901-913, http://mendel.stanford.edu/SidowLab/downloads/gerp/), CADD (Combined Annotation-Dependent Depletion, http://cadd.gs.washington.edu/), MutationTaster, MutationTaster2 (Schwarz et al., MutationTaster2: mutation prediction for the deep-sequencing age. Nature Methods 2014;11:361-362, http://www.mutationtaster.org/), PROVEAN (Choi et al., PLoS One. 2012;7(10):e46688), PMut (Ferrer-Costa et al., Proteins 2004;57(4):811-819, http://mmb.pcb.ub.es/PMut/), CEO (Combinatorial Entropy Optimization, Reva et al., Genome Biol 2007;8(11):R232), SNPeffect (Reumers et al., Bioinformatics. 2006;22(17):2183-2185, http://snpeffect.vib.be), fathmm (Shihab et al., Functional Analysis through Hidden Markov Models, Hum Mutat 2013;34:57-65, http://fathmm.biocompute.org.uk/) 등과 같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정보로부터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된 알고리즘들의 목적은 각각의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가 단백질 기능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이 영향이 단백질에 얼마나 손상을 주게 되는지, 혹은 별다른 영향이 없는지 가려내기 위함이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개별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가 초래할 해당 유전자가 코딩하는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및 관련 변화를 판단함으로써 해당 단백질의 구조 및/또는 기능에 미칠 영향을 판단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구현예에서는 개별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를 산출하기 위하여, SIFT (Sorting Intolerant From Tolerant)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SIFT 알고리즘의 경우, 예를 들면, VCF (Variant Call Format) 형식 파일로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정보를 입력받아, 각각의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가 해당 유전자를 손상시키는 정도를 점수화 한다. SIFT 알고리즘의 경우 산출 점수가 0에 가까울수록 해당 유전자가 코딩하는 단백질의 손상이 심해서 해당 기능이 손상됐을 것으로 판단하고, 1에 가까울수록 해당 유전자가 코딩하는 단백질이 정상 기능을 유지하고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또 다른 알고리즘인 PolyPhen-2의 경우, 산출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 유전자가 코딩하는 단백질의 기능적 손상 정도가 큰 것으로 판단한다.
최근에는 SIFT, Polyphen2, MAPP, Logre, Mutation Assessor를 서로 비교하고 종합하여 Condel 알고리즘을 제시한 연구(Gonzalez-Perez, A. & Lopez-Bigas, N. Improving the assessment of the outcome of nonsynonymous SNVs with a consensus deleteriousness score, Condel. The American Journal of Human Genetics, 2011;88(4):440-449.)가 발표되었으며, 상기 연구에서는 단백질에 손상을 주는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및 영향이 적은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와 관련하여 공지된 데이터의 집합인 HumVar와 HumDiv(Adzhubei, IAet al., A method and server for predicting damaging missense mutations. Nature methods, 2010;7(4):248-249)를 사용하여 상기 다섯 개의 알고리즘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HumVar의 97.9%의 단백질 손상을 일으키는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와 97.3%의 영향이 적은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가 상기 다섯 개의 알고리즘 중 최소 세 개의 알고리즘에서 동일하게 감지되었으며, HumDiv의 99.7%의 단백질 손상을 일으키는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와 98.8%의 영향이 적은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가 상기 다섯 개의 알고리즘 중 최소 세 개의 알고리즘에서 동일하게 감지되었다. 또한, 상기 HumDiv와 HumVar에 대하여 상기 다섯 개의 알고리즘과 각 알고리즘을 통합하여 계산한 결과들의 정확도를 나타내는 ROC(Receiver Operating Curve) 곡선을 그려본 결과, 상당히 높은 수준(69%~88.2%)에서 AUC(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urve) 일치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술한 다양한 알고리즘들은 그 산출 방법은 달라도 산출된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들은 서로 유의하게 상관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알고리즘들 또는 알고리즘들을 응용한 방법을 적용하여 산출된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를 본 발명에 의한 개인별 단백질 손상 점수 및 개인별 약물 점수 산출 단계에 적용하는 것은 각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를 산출하는 서로 다른 알고리즘의 종류에 상관없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가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엑손 부위에 발생할 경우, 단백질의 구조 및/또는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정보를 단백질 기능 손상 정도와 관련시킬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다음의 단계에서 상술한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를 기반으로 개인별 단백질 손상 점수를 산출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단백질 손상 점수”란 하나의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 부위에 두 개 이상의 유의한 염기서열 변이가 발견되어, 하나의 단백질이 두 개 이상의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를 갖게 되는 경우, 상기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를 종합하여 계산된 점수를 말하며, 만약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 부위에 유의한 염기서열 변이가 한 개인 경우에는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와 단백질 손상 점수가 동일하다. 이때,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가 두 개 이상인 경우, 단백질 손상 점수는 각 변이별로 계산된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들의 평균값으로 계산되며, 이러한 평균값은 예를 들면 기하평균, 산술평균, 조화평균, 산술기하평균, 산술조화평균, 기하조화평균, 피타고라스 평균, 사분평균, 이차평균, 절삭평균, 윈저화 평균, 가중평균, 가중기하평균, 가중산술평균, 가중조화평균, 함수의 평균, 멱평균, 일반화된 f-평균, 백분위수, 최대값, 최소값, 최빈값, 중앙값, 중앙범위, 중심경향도(measures of central tendency), 단순 곱 또는 가중곱, 또는 상기 산출값들의 함수 연산으로 계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일 구현예에서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단백질 손상 점수를 산출하였으며, 하기 수학식 1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수학식 1에서 Sg는 유전자 g가 코딩하는 단백질의 단백질 손상 점수, n은 상기 유전자 g의 염기서열 변이 중 분석대상 염기서열 변이의 수, vi는 i 번째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의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이고, p는 0이 아닌 실수이다. 상기 수학식 1에서 상기 p의 값이 1일 때는 산술평균, 상기 p의 값이 -1일 때는 조화평균이 되며, 상기 p의 값이 0에 가까워지는 극한의 경우에는 기하평균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구현예에서는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단백질 손상 점수를 산출하였다.
상기 수학식 2에서 Sg는 유전자 g가 코딩하는 단백질의 단백질 손상 점수, n은 상기 유전자 g의 염기서열 변이 중 분석대상 염기서열 변이의 수, vi는 i 번째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의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 wi는 상기 vi에 부여되는 가중치이다. 모든 가중치 wi가 같은 값을 갖는 경우 상기 단백질 손상 점수 Sg는 상기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 vi의 기하평균값이 된다. 상기 가중치는 해당 단백질의 종류, 해당 단백질의 약동학적 또는 약력학적 분류, 해당 약물 효소 단백질의 약동학적 파라미터, 인구 집단 또는 인종별 분포를 고려하여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약물 효소 단백질의 약동학적 파라미터”는 Vmax, Km, Kcat/Km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Vmax는 기질 농도가 매우 높을 때의 최대 효소 반응 속도이고, Km은 해당 반응이 1/2 Vmax에 도달하게 하는 기질의 농도이다. Km은 해당 효소와 해당 기질 간의 친화도로 볼 수 있으며, Km이 작을수록 해당 효소와 해당 기질 간의 결합이 강하다. 효소의 대사회전수라고도 불리는 Kcat은 해당 효소가 최대 속도로 활동하고 있을 때 각 효소 활성 부위 당 1초의 시간에 대사되는 기질 분자의 개수를 의미하며, 해당 효소 반응이 실제 얼마나 빠르게 일어나는지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다음 단계에서 상술한 단백질 손상 점수를 약물과 단백질 사이의 상호 관계와 연관지어 개인별 약물 점수를 산출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약물 점수”란 소정의 약물이 주어졌을 때, 해당 약물의 약력학 또는 약동학에 관여하는 표적 단백질, 약물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 단백질, 수송체 단백질 또는 운반체 단백질들을 찾아내어, 해당 단백질들의 단백질 손상 점수를 계산한 후, 이를 다시 종합하여 하나의 약물에 대하여 산출된 값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약물 점수는 소정 약물 또는 약물군의 약력학 또는 약동학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손상이 두 개 이상인 경우, 상기 단백질 손상 점수들의 평균값으로 계산되며, 이러한 평균값은 예를 들면 기하평균, 산술평균, 조화평균, 산술기하평균, 산술조화평균, 기하조화평균, 피타고라스 평균, 사분평균, 이차평균, 절삭평균, 윈저화 평균, 가중평균, 가중기하평균, 가중산술평균, 가중조화평균, 함수의 평균, 멱평균, 일반화된 f-평균, 백분위수, 최대값, 최소값, 최빈값, 중앙값, 중앙범위, 중심경향도(measures of central tendency), 단순 곱 또는 가중곱, 또는 상기 산출값들의 함수 연산으로 계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약물 점수는 약물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해당 약물의 약력학 또는 약동학에 관여하는 표적 단백질, 약물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 단백질, 수송체 단백질 및 운반체 단백질의 가중치를 조율하여 산출될 수 있으며, 상기 가중치는 해당 약물 효소 단백질의 약동학적 파라미터, 인구 집단 또는 인종별 분포 등을 고려하여 부여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약물과 직접 상호작용하지는 않지만, 해당 약물의 전구체 또는 해당 약물의 대사산물들과 상호작용하는 단백질, 예를 들면, 약물학적 패스웨이에 참여하는 단백질들의 단백질 손상 점수도 함께 고려하여 종합된 약물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약물의 약력학 또는 약동학에 관여하는 단백질들과 유의하게 상호작용하는 단백질들의 단백질 손상 점수를 함께 고려하여 종합된 약물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해당 약물의 약물학적 패스웨이에 참여하거나, 해당 단백질들과 유의하게 상호작용하거나 그 신호전달경로에 참여하는 단백질에 관한 정보는 PharmGKB (Whirl-Carrillo et al., Clinical Pharmacology & Therapeutics 2012;92(4):414-4171), The MIPS Mammalian Protein-Protein Interaction Database (Pagel etl al., Bioinformatics 2005;21(6):832-834), BIND (Bader et al., Biomolecular Interaction Network Database, Nucleic Acids Res. 2003 Jan 1;31(1):248-50), Reactome (Joshi-Tope et al., Nucleic Acids Res. 2005 Jan 1;33(Database issue):D428-32) 등의 공지된 생물학적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구현예에서는 하기 수학식 3에 의해 약물 점수를 산출하였으며, 하기 수학식 3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수학식 3에서 Sd는 약물 d의 약물 점수, n은 상기 약물 d의 약력학 또는 약동학에 직접 관여하거나 해당 약물의 전구체 또는 해당 약물의 대사산물들과 상호작용하는 단백질, 예를 들면, 약물학적 패스웨이에 참여하는 유전자 군에서 선정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가 코딩하는 단백질의 수, gi는 상기 약물 d의 약력학 또는 약동학에 직접 관여하거나 해당 약물의 전구체 또는 해당 약물의 대사산물들과 상호작용하는 단백질, 예를 들면, 약물학적 패스웨이에 참여하는 유전자 군에서 선정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가 코딩하는 단백질의 단백질 손상 점수이며, p는 0이 아닌 실수이다. 상기 수학식 3에서 상기 p의 값이 1일 때는 산술평균, 상기 p의 값이 -1일 때는 조화평균이 되며, 상기 p의 값이 0에 가까워지는 극한의 경우에는 기하평균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구현예에서는 하기 수학식 4에 의해 약물 점수를 산출하였다.
상기 수학식 4에서 Sd는 약물 d의 약물 점수, n은 상기 약물 d의 약력학 또는 약동학에 직접 관여하거나 해당 약물의 전구체 또는 해당 약물의 대사산물들과 상호작용하는 단백질, 예를 들면, 약물학적 패스웨이에 참여하는 유전자 군에서 선정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가 코딩하는 단백질의 수, gi는 상기 약물 d의 약력학 또는 약동학에 직접 관여하거나 해당 약물의 전구체 또는 해당 약물의 대사산물들과 상호작용하는 단백질, 예를 들면, 약물학적 패스웨이에 참여하는 유전자 군에서 선정된 하나 이상의 유전자가 코딩하는 단백질의 단백질 손상 점수이며, wi는 상기 gi에 부여되는 가중치이다. 모든 가중치 wi가 같은 값을 갖는 경우 상기 약물 점수 Sd는 상기 단백질 손상 점수 gi의 기하평균값이 된다. 상기 가중치는 해당 단백질의 종류, 해당 단백질의 약동학적 또는 약력학적 분류, 해당 약물 효소 단백질의 약동학적 파라미터, 인구 집단 또는 인종별 분포를 고려하여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구현예의 방법에 사용되는 기하평균 계산법의 경우 약물과 단백질의 연관성이 갖는 특징과 상관없이 가중치를 모두 동일하게 부여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구현예에서처럼 약물과 단백질의 연관성이 갖는 각 특징을 고려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약물 점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약물의 표적 단백질과 약물과 관련된 수송체 단백질에는 다른 점수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해당 약물 효소 단백질에는 그 약동학적 파라미터인 Km, Vmax, Kcat/Km를 가중치로 부여하여 약물 점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어 표적 단백질은 수송체 단백질과 비교하여 약리작용상 더 중요하다고 판단되므로 높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고, 수송체 단백질이나 운반체 단백질은 농도에 민감한 약물에 대해서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중치는 약물과 약물 관련 단백질 간의 상관관계, 약물과 단백질 상호작용의 특성에 따라 면밀히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적 단백질에는 2점을, 수송체 단백질에는 1점을 부여하는 것과 같이 약물과 단백질의 상호작용의 특성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한 정교한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서술에서는 약물과 직접 상호작용하는 단백질만을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일 구현예에서와 같이 해당 약물의 전구체 또는 해당 약물의 대사산물들과 상호작용하는 단백질, 해당 약물의 약력학 또는 약동학에 관여하는 단백질들과 유의하게 상호작용하는 단백질, 그 신호전달경로에 참여하는 관련 단백질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수식의 예측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 혹은 약물학적 패스웨이 정보를 활용하여 이에 관여하는 다양한 단백질의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즉 해당 약물과 직접 상호작용하는 단백질에 유의한 변이가 발견되지 않아 해당 단백질 손상 점수 계산값이 없거나 손상 없음(예를 들면, SIFT 알고리즘을 적용한 경우 1.0점)인 경우에도, 해당 단백질과 상호작용하거나 같은 신호전달경로에 참여하는 관련 단백질들의 단백질 손상 점수의 평균값(예를 들면, 기하평균치) 등을 해당 단백질의 단백질 손상 점수로 대신 사용하여, 약물 점수 산출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개인별 약물 점수는 하나 이상의 연관 단백질에 대한 정보가 획득 가능한 모든 약물 또는 그 중 선별된 일부 약물에 대해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개인별 약물 점수는 순위점수(rank)로 환산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술한 개인별 약물 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에 대해 적용되는 약물 간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개인별 약물 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에 적용되는 약물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개인별 약물 점수는 모든 약물에 개별적으로 적용할 수 있지만, 질환별, 임상적 특징, 또는 작용방식 등의 분류별 또는 의학적 비교대상 약물 간에 적용하면 더 유용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약물 분류체계는, 예를 들면 ATC (Anatomical Therapeutic Chemical Classification System) 코드, 미국에서 자주 처방되는 15가지 약물 목록 (top 15 frequently prescribed drug classes during 2005~2008 in the United States (Health, United States, 2011,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약물유전체학적 마커가 알려져 있어서 약물의 표시에 기재되는 약물 작용 정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약물, 또는 부작용 등으로 시장에서 퇴출된 약물 목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처방 점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처방 점수”란 두 개 이상 복수의 약물이 동시에 혹은 서로의 약리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만큼 짧은 시간 간격을 두고 투약되는 경우, 상기 각 약물에 대하여 결정된 상기 약물 점수를 종합하여 계산되는 점수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처방점수는 상기 약물 간의 우선순위에 의해 결정된 약물이 두 개 이상이고 동시 투약이 필요한 경우, 상기 각 약물에 대하여 결정된 약물 점수를 종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처방 점수의 계산은, 예를 들어, 해당 복수 약물과 공통으로 상호작용하는 단백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순히 해당 복수 약물의 약물 점수들을 평균 내거나 합산 혹은 곱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해당 복수 약물과 공통으로 상호작용하는 단백질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공통 상호작용 단백질의 단백질 손상 점수에, 예를 들면 2배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각각의 약물 점수를 산출한 후, 해당 약물 점수들을 합산함으로써 처방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처방 점수는 개별 약물의 효과를 넘어서서, 개인에 대해 적용되는 처방(전) 안에 포함된 복수 약물 처방의 적정성 혹은 위험성을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개인에 대해 적용되는 처방(전)의 적정성 혹은 위험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약물 부작용 방지를 목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개인 유전체 염기서열 변이를 이용한 맞춤형 약물 선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각 단계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구현예에서는 (1) 개인 사용자의 유전체 염기서열 정보 입력 또는 수신 (S100), (2) 소정 약물 또는 약물군 관련 정보 입력 또는 수신 (S110), (3) 개인 사용자의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정보 결정 (S120), (4) 소정 약물 또는 약물군에 대한 개인별 단백질 손상 점수 계산 (S130), (5) 소정 약물 또는 약물군에 대한 개인별 약물 점수 계산 (S140), (6) 약물 점수 표기, 약물 점수 순위별 정렬 또는 우선순위 결정 (S150), 및 (7) 약물 점수와 우선순위를 고려한 약물 선택 및 처방점수 계산 (S160)의 순서로 맞춤형 약물 선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진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순위별로 정렬된 약물 점수를 선택하면, 해당 약물 점수가 산출된 약물유전체학적 계산과정과 근거를 그림, 도표 및 설명 등의 정보로 제공하여 처방의사의 판단을 돕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본 발명의 약물 순위 결정의 근거가 된,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정보,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 단백질 손상 점수, 약물 점수 및 그 산출에 사용된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특정 약물인 터뷰탈린을 선택했을 때 제공될 수 있는 해당 약물 점수 산출의 약물유전체학적 근거에 관한 그림, 도표 및 설명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개인에 대해 적용대상이 되는 약물 또는 약물군에 대하여, 상기 약물 또는 약물군과 관련된 유전자 또는 단백질과 관련된 정보 검색 또는 추출이 가능한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접근 가능한 통신부;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약물 또는 약물군의 약력학 또는 약동학에 관여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정보를 산출하는 제1 산출모듈; 상기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별 단백질 손상 점수를 산출하는 제2 산출모듈; 상기 개인별 단백질 손상 점수를 약물과 단백질 사이의 상호 관계와 연관지어 개인별 약물 점수를 산출하는 제3 산출모듈; 및 상기 산출모듈에서 산출된 산출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개인 유전체 염기서열 변이를 이용한 맞춤형 약물 선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산출모듈”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분석대상이 되는 약물 및 유전자에 대하여, 상기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 단백질 손상 점수, 약물 점수 및 그 산출의 근거가 되는 정보 및 상기 정보를 근거로 각 점수를 계산하는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또한 상기 제3 산출모듈에서 산출된 상기 개인별 약물 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에 대해 적용되는 약물 간의 우선순위를 산출; 또는 상기 개인별 약물 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에 적용되는 약물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제4 산출모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또한 약물 간의 우선순위에 의해 결정된 약물이 두 개 이상이고 동시 투약이 필요한 경우, 상기 각 약물에 대하여 결정된 상기 약물 점수를 종합하여 처방 점수로 산출하는 제5 산출모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약물 또는 약물군 목록을 입력하거나, 또는 특정 질환에 치료효과가 있는 약물 또는 약물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관련 정보를 추출하고, 이에 따라 상기 약물의 약물 점수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또한 각 산출모듈에서 산출된 값 또는 약물 간의 우선순위가 결정된 계산과정 및 상기 산출 또는 계산의 기초가 된 정보를 추가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또는 그 접근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 산출된 정보 및 이와 연결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서로 연계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약물-단백질 상호관계에 대한 약물학/생화학적 새로운 정보가 산출되는 경우 즉시 업데이트되어 더 향상된 맞춤형 약물 선택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구현예에서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지식베이스의 갱신에 따라, 상기 각 산출모듈에 저장된 상기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정보,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 단백질 손상 점수, 약물 점수 및 그 산출의 근거가 되는 정보가 갱신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개인 유전체 염기서열 변이를 이용한 맞춤형 약물 선택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약물 또는 약물군과 관련된 유전자 또는 단백질과 관련된 정보 검색 또는 추출이 가능한 데이터베이스(DB)(100), 통신부(200),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단말(300), 산출부(400) 및 표시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단말(300)은 서버로부터 개인 유전체 염기서열 변이를 이용한 맞춤형 약물 선택 처리를 요청, 결과 수신 및/또는 저장할 수 있으며, 스마트 폰, PC(Personal Computer), 태블릿 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이동 통신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서버는 약물, 유전자 변이 또는 약물-단백질 상호관계에 대한 데이터베이스(100)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통신부(200)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단말(300)과 연결되어 각종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통신부(200)는 동일한 하드웨어에서의 통신은 물론, 구내 정보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도시권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 2G, 3G, 4G 이동 통신망,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 방식도 유선, 무선을 가리지 않으며 어떠한 통신 방식이라도 상관없다. 데이터베이스(100) 또한 서버에 직접 설치된 것뿐 아니라 목적에 따라 인터넷 등을 통해 접근 가능한 다양한 생명과학 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산출부(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집/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약물 또는 약물군의 약력학 또는 약동학에 관여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 변이 정보를 산출하는 제1 산출모듈(410), 개인별 단백질 손상 점수를 산출하는 제2 산출모듈(420), 개인별 약물 점수를 산출하는 제3 산출모듈(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저장매체는 컴퓨터와 같은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형태의 저장 또는 전달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디스크 저장 매체; 광저장 매체; 플래쉬 메모리 장치 및 기타 전기적, 광학적 또는 음향적 신호 전달 매체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개인 유전체 염기서열 정보로부터 소정 약물 또는 약물군의 약력학 또는 약동학에 관여하는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 상기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별 단백질 손상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개인별 단백질 손상 점수를 약물과 단백질 사이의 상호 관계와 연관지어 개인별 약물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실행시키는 실행모듈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개인별 약물 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에 대해 적용되는 약물 간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개인별 약물 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에 적용되는 약물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제 1 군: 본 발명의 실제 적용 사례를 제시하기 위한 실시예로, 선택된 하나의 약물(실시예 1), 선택이 필요한 두 개의 약물(실시예 2) 또는 특정 의학적 상태에서 사용 가능한 동일한 약물군에 속하는 여러 개의 비교대상 약물(실시예 3)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개인별 맞춤형 약물 선택 방법을 제공하는 과정을 예시하는 실시예.
제 2 군: 본 발명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실시예로, 공개된 대규모 개인 유전체 염기서열 변이 정보에 근거한 데이터 기반의 타당성 검증(실시예 4), 항암제·골수억제제인 부설판(Busulfan) 처치 과정에서 심각한 부작용 경고 사인을 보인 소아 백혈병 환자 12례의 개인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 및 이에 근거한 실제 임상의학적 타당성 검증(실시예 5), 및 본 발명에 따라 산출된 개인별 약물 점수와 약물의 시장 퇴출 및 사용 제한 사이의 높은 상관관계를 제시하여 본 발명의 맞춤형 약물 선택 방법이 개인별 맞춤형 약물 부작용 예방에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집단유전학적 타당성을 검증(실시예 6)한 실시예.
제 3 군: 본 발명의 다양한 응용 사례를 제시하기 위한 실시예로, 일 개인에서 위험성이 예측된 특정 약물의 표적 단백질에서 발견된 개인 유전체 염기서열 변이의 임상의학적 의의를 고찰하여 본 발명의 개인별 맞춤형 약물 선택 방법의 유용성을 제시(실시예 7)한 실시예.
실시예 1. 선택된 하나의 약물(터뷰탈린)에 대한 개인별 맞춤형 약물 선택 방법 제공
본 발명의 방법과 시스템을 이용하여, 천식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의 하나인 터뷰탈린(Terbutaline)에 대한 개인별 맞춤형 약물 선택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분석을 수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인은 건강하지만 모친은 천식으로 치료를 받고 있어 천식에 걸릴 의학적 위험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개체 sg01에 대하여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터뷰탈린의 약동학 또는 약력학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전자인 BCHE(butyrylcholinesterase)와 ADRB2(adrenoceptor beta 2, surface)에 대한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를 SIF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 변이별로 계산하였으며, 단백질 손상 점수 및 약물 점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6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표 16
약물 성분명 (약물 점수) | 유전자/단백질 | 단백질 손상 점수 | 단백질 군 | 변이 점수 | 변이 정보 |
염색체 위치 | 참조 유전형 | 변이 유전형 |
Terbutaline (0.22) | Adrenoceptor beta 2, surface (ADRB2) | 0.68 | Target(PD) | 0.46 | chr5:148206440 | G | A |
0.45 | chr5:148206473 | G | C |
1.00 | chr5:148207447 | G | C |
1.00 | chr5:148207633 | G | A |
Butyrylcholinesterase (BCHE) | 0.07 | Enzyme(PK) | 0.07 | chr3:165491280 | C | T |
상기 표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체 sg01의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결과, BCHE에서 발견된 한 개의 변이(chr3:165491280)의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는 0.07이었으며, ADRB2에서 발견된 네 개의 변이(chr5:148206440, chr5:148206473, chr5:148207447, chr5:148207633)의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는 각각 0.46, 0.45, 1, 1이었다. 상기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를 근거로 수학식 2를 이용하여 BCHE와 ADRB2에 대한 개인별 단백질 손상 점수를 산출하였으며, 각각 0.07과 0.68(=(0.46 x 0.45 x 1 x 1)1/4)로 확인되었다. 상기 단백질 손상 점수를 근거로 수학식 4를 이용하여 터뷰탈린에 대한 개인별 약물 점수를 산출하였으며, 이는 0.22(=(0.07 x 0.68)1/2)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통하여 개체 sg01은 터뷰탈린의 대표적인 표적 단백질인 ADRB2와 대표적인 효소 단백질인 BCHE에 중등도(단백질 손상 점수: 0.68) 내지 심각(단백질 손상 점수: 0.07)한 손상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종합적으로 터뷰탈린의 개인별 약물 점수가 심각(0.22)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도 3). 따라서 개체 sg01에게는 0.22의 낮은 약물 점수를 보이는 터뷰탈린의 처방을 가능한 피하고 다른 약으로 대체하는 것을 추천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2. 선택이 필요한 두 개의 약물(아스피린 및 타이레놀)에 대한 개인별 맞춤형 약물 선택 방법 제공
본 발명의 방법과 시스템을 이용하여, 통증의 치료에 많이 사용되는 약물인 아스피린과 타이레놀에 대한 개인별 맞춤형 약물 선택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분석을 수행하였다.
아스피린(Acetylsalicylic acid)과 타이레놀(Acetaminophen)은 모두 좋은 진통제로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개인에 따른 반응성에 차이가 있고, 때로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하기도 한다. 특히, 특정 개인에 있어서 둘 중 어느 약물이 더 좋은 약물 작용을 제공하거나 더 심각한 약물 위해 반응을 나타낼지 미리 알아낼 수 없다는 한계가 있는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방법과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임상에서 흔히 마주치는 어려운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개시하였다.
평소 시중에서 처방전 없이 구입할 수 있는 해열진통제 복용에도 불편감을 호소하여 권장 용량의 절반만을 복용하였던 개체 sg09에 대하여 개인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아스피린과 타이레놀의 약동학 또는 약력학과 관련된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 단백질 손상 점수 및 약물 점수를 각각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표 17, 표 18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스피린(Acetylsalicylic acid)의 표적 단백질 3개, 효소 단백질 3개, 수송체 단백질 8개, 운반체 단백질 1개를 포함하여 총 15개의 약동학 또는 약력학에 관련된 sg09의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별 약물 점수를 구하였다. 먼저 아스피린의 약력학 또는 약동학에 관여하는 유전자에 나타난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정보를 결정하였으며, SIF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를 산출하였다. 아스피린의 표적 단백질인 PTGS1과 수송체 단백질인 SLC22A8은 변이 개수가 각각 1개(각각 chr9:125133479, chr11:62766431)로 나타나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각각 0.38, 0.32)를 그대로 단백질 손상 점수로 정하였다. 또 다른 수송체 단백질인 SLC22A10은 두 개의 변이(chr11:63066500, chr11: 63072226)를 가지고 있어, 각 변이에 해당하는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는 1.0, 0.03으로 산출되었으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단백질 손상 점수를 산출하였다(0.17(=(1.0 x 0.03)1/2)). 상기 3개의 단백질 손상 점수를 포함하여 총 15개의 단백질 손상 점수를 종합한 후, 수학식 4를 이용하여 약물 점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개체 sg09의 아스피린에 대한 약물 점수는 0.76(=(1.0 x 0.38 x 1.0 x 1.0 x 1.0 x 1.0 x 1.0 x 1.0 x 0.17 x 1.0 x 1.0 x 0.89 x 0.32 x 0.84 x 1.0)1/15)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표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레놀(Acetaminophen)의 표적 단백질 2개, 효소 단백질 8개, 수송체 단백질 2개를 포함하여 총 12개의 약동학 또는 약력학에 관련된 sg09의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별 약물 점수를 구하였다. 먼저 타이레놀의 약력학 또는 약동학에 관여하는 유전자에 나타난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정보를 결정하였으며, SIF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를 산출하였다. 타이레놀의 표적 단백질인 PTGS1은 변이가 1개(chr9:125133479)로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를 그대로 단백질 손상 점수로 정하였다. 2개의 변이를 가진 효소 단백질인 CYP1A1(chr15:75015305, chr15:75015215), CYP2A6(chr19:41350664, chr19:41356281)과 3개의 변이를 가진 효소 단백질인 CYP2D6(chr22:42525182, chr22:42525756, chr22:42526694)는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들의 기하평균(수학식 2를 이용)을 구하여 단백질 손상 점수를 각각 2.8 x 10-5(=(0.08 x (1x10-8))1/2), 0.52(=(0.55 x 0.49)1/2), 0.2(=(0.98 x 0.39 x 0.02)1/3)로 산출하였다. 상기 4개의 단백질 손상 점수를 포함하여 총 12개의 단백질 손상 점수를 종합한 후, 기하평균(수학식 4를 이용)을 이용하여 약물 점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개체 sg09의 타이레놀에 대한 약물 점수는 0.31(=(0.38 x 1.0 x (2.8 x 10-5) x 1.0 x 0.52 x 1.0 x 1.0 x 0.2 x 0.76 x 1.0 x 1.0 x 1.0)1/12)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체 sg09는 종합적으로 아스피린의 개인별 약물 점수가 0.76으로 산출되어, 이는 타이레놀의 개인별 약물 점수인 0.31보다 높아, 개체 sg09는 달리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임상적으로 아스피린과 타이레놀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약물로 인한 불편감을 줄이기 위해 아스피린을 선택하는 것을 추천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3. 동일한 약물군(동일한 ATC 코드군)에 속하는 여러 개의 비교대상 약물 중 안전성이 높은 약물 선택을 지원하기 위한 개인별 맞춤형 약물 선택 방법 제공
본 발명의 방법과 시스템을 이용하여, 동일한 약물군(동일한 ATC 코드군)에 속하는 여러 개의 비교대상 약물 중 안전성이 높은 약물 선택을 지원하기 위한 개인별 맞춤형 약물 선택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국제공인 ATC 코드로 C07 베타 차단제 속하는 22개의 약물 중 11개는 특이적 베타 차단제[C07AB], 9개는 비특이적 베타 차단제[C07AA], 2개는 알파 및 베타 차단제[C07AG]이다. 먼저 14명(sg01, sg02, sg03, sg04, sg05, sg07, sg09, sg11, sg12, sg13, sg14, sg16, sg17, sg19)의 개인 유전체 염기서열 변이 분석을 위해 일루미나사의 NGS(Next Generation Sequencing) 장비인 HISEQ-2000을 사용하여 30배수 전장유전체서열분석(Whole Genome Sequencing)을 수행하였다. 이때 상기 방법 외에 전장유전체분석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전장엑솜서열분석(WES, Whole Exome Sequencing) 또는 500~1000개의 약물관련 주요유전자 500~1000개에 대한 표적엑솜서열분석(Targeted Exome Sequencing)을 대안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분석된 염기서열 절편은 데이터 정비(Data Cleaning)와 품질확인(Quality Check)의 과정을 거쳐 인간 참조군 서열(예, HG19)에 맞추어 정렬된 SAM(Sequence Alignment Map) 및 BAM(Binary Alignment Map) 파일 형식으로 출력되었다. 상기 클린 배열 결과(cleaned alignment result)는 SAMTools:pileup, SAMTools:mpileup, GATK:recalibration, GATK:realignment 등의 소프트웨어 도구를 활용하여 단일염기변이(SNVs, Single Nucleotide Variants), InDels 등의 변이를 검출하여 VCF (Variant Calling Format) 형식의 파일로 출력되었다.
상기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정보를 담은 VCF 파일을 입력받아 전술한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 vi값을 각 변이별로 계산한 후,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개인별 단백질 손상 점수 Sg를 산출하고, 다시 약물별로 수학식 4를 이용하여 개인별 약물 점수 Sd를 산출하여 약물 점수 및 약물 간 우선순위 프로필을 각각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9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표 19
약물명 | sg01 | sg02 | sg03 | sg04 | sg05 | sg07 | sg09 | sg11 | sg12 | sg13 | sg14 | sg16 | sg17 | sg19 |
Alprenolol | 0.53 | 0.64 | 0.60 | 0.60 | 0.54 | 0.71 | 0.51 | 0.65 | 1.00 | 1.00 | 0.69 | 0.81 | 0.82 | 0.59 |
Bopindolol | 0.87 | 0.85 | 0.97 | 0.97 | 0.72 | 0.95 | 0.71 | 0.87 | 1.00 | 1.00 | 1.00 | 0.81 | 0.82 | 0.85 |
Bupranolol | 0.88 | 0.77 | 0.95 | 0.95 | 0.68 | 0.92 | 0.57 | 0.79 | 1.00 | 1.00 | 1.00 | 0.70 | 0.72 | 0.77 |
Carteolol | 0.49 | 0.57 | 0.52 | 0.52 | 0.52 | 0.65 | 0.44 | 0.59 | 1.00 | 1.00 | 0.63 | 0.76 | 0.78 | 0.52 |
Nadolol | 0.91 | 0.61 | 0.96 | 0.96 | 0.74 | 0.94 | 0.65 | 0.84 | 1.00 | 1.00 | 1.00 | 0.76 | 0.74 | 0.82 |
Oxprenolol | 0.49 | 0.55 | 0.47 | 0.47 | 0.47 | 0.56 | 0.41 | 0.56 | 0.79 | 1.00 | 0.55 | 0.69 | 0.65 | 0.47 |
Penbutolol | 0.80 | 0.82 | 0.96 | 0.96 | 0.74 | 0.94 | 0.65 | 0.84 | 1.00 | 1.00 | 1.00 | 0.76 | 0.78 | 0.82 |
Pindolol | 0.57 | 0.65 | 0.59 | 0.59 | 0.54 | 0.66 | 0.53 | 0.66 | 0.85 | 1.00 | 0.65 | 0.77 | 0.74 | 0.58 |
Propranolol | 0.49 | 0.49 | 0.64 | 0.05 | 0.53 | 0.53 | 0.33 | 0.72 | 0.77 | 1.00 | 0.57 | 0.66 | 0.51 | 0.54 |
Sotalol | 0.88 | 0.77 | 0.95 | 0.95 | 0.68 | 0.92 | 0.57 | 0.79 | 1.00 | 1.00 | 1.00 | 0.70 | 0.72 | 0.77 |
Timolol | 0.67 | 0.62 | 0.69 | 0.69 | 0.69 | 0.78 | 0.62 | 0.74 | 1.00 | 1.00 | 0.77 | 0.86 | 0.84 | 0.69 |
Acebutolol | 0.54 | 0.31 | 0.57 | 0.57 | 0.45 | 0.50 | 0.49 | 0.67 | 0.71 | 0.40 | 0.66 | 0.57 | 0.74 | 0.56 |
Atenolol | 1.00 | 0.72 | 0.95 | 0.90 | 0.77 | 0.94 | 0.43 | 1.00 | 0.79 | 0.95 | 0.87 | 0.40 | 0.80 | 0.95 |
Betaxolol | 0.49 | 0.57 | 0.39 | 0.01 | 0.52 | 0.49 | 0.44 | 0.49 | 1.00 | 1.00 | 0.63 | 0.76 | 0.58 | 0.52 |
Bevantolol | 0.71 | 0.85 | 0.74 | 0.74 | 0.78 | 0.73 | 0.55 | 0.73 | 0.99 | 1.00 | 0.99 | 0.79 | 0.81 | 0.84 |
Bisoprolol | 0.49 | 0.57 | 0.52 | 0.52 | 0.52 | 0.65 | 0.44 | 0.65 | 1.00 | 1.00 | 0.63 | 0.76 | 0.78 | 0.52 |
Esmolol | 1.00 | 1.00 | 1.00 | 1.00 | 0.40 | 1.00 | 0.40 | 1.00 | 1.00 | 1.00 | 1.00 | 0.40 | 0.63 | 1.00 |
Metoprolol | 0.55 | 0.50 | 0.54 | 0.54 | 0.53 | 0.62 | 0.47 | 0.66 | 0.83 | 1.00 | 0.61 | 0.74 | 0.68 | 0.53 |
Nebivolol | 0.39 | 0.48 | 0.42 | 0.42 | 0.42 | 0.57 | 0.33 | 0.57 | 1.00 | 1.00 | 0.54 | 0.70 | 0.72 | 0.42 |
Practolol | 1.00 | 1.00 | 1.00 | 1.00 | 0.40 | 1.00 | 0.40 | 1.00 | 1.00 | 1.00 | 1.00 | 0.40 | 0.63 | 1.00 |
Carvedilol | 0.54 | 0.61 | 0.73 | 0.22 | 0.71 | 0.62 | 0.45 | 0.73 | 0.43 | 0.90 | 0.70 | 0.75 | 0.65 | 0.63 |
Labetalol | 0.55 | 0.72 | 0.57 | 0.57 | 0.68 | 0.65 | 0.51 | 0.61 | 0.99 | 1.00 | 0.76 | 0.85 | 0.86 | 0.68 |
표 19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체 sg04의 경우 비특이적 베타 차단제[C07AA] 중에서는 프로프라놀올(Propranolol), 특이적 베타 차단제[C07AB] 중에서는 베탁솔올(Betaxolol)에 대한 개인별 약물 점수가 현저하게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개체 Sg04의 경우 개인별 약물 점수가 베탁솔올은 0.005, 프로프라놀올은 0.05로 낮게 산출되었다. 따라서 이처럼 낮은 약물 점수를 고려하지 않고 개체 sg04에게 상기의 약물을 처방한다면, 두 약물 모두 상당한 부작용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개체 sg04는 같은 계열의 약물 중 Atenolol, Sotalol, Bupranolol, Nadolol, Penbutolol, Bopindolol, Practolol, Esmolol 등에 대한 개인별 약물 점수는 0.9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개체 sg04는 현재까지 알려진 상기 약물과 관련된 단백질의 손상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안전한 약물로 판단하고 선택을 권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분석은 특정 약물군에서 특정 개인이 어떤 약물에 대해서 취약성을 보일 것인지 한눈에 알 수 있도록 표시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에서 극단적으로 점수가 낮은 경향을 보이는 개체 sg04의 베탁솔올과 프로프라놀올에 대한 약물 점수를 제외하면 14명 대부분은 22개의 베타 차단제에 대한 약물 점수가 0.3 이상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감안하였을 때, 특정 개인에서 베타 차단제에 대한 개인별 약물 점수가 0.3 미만으로 나오는 경우, 일반적인 범주와는 다르므로 약물 부작용 가능성을 의심하고 주의를 권고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약물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때 약물 점수의 기준은 해당 약물 자체에 따라 혹은 약물을 사용하는 임상적 상황, 즉 약물을 사용했을 때의 예상되는 이득과 손실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개체 sg04가 특정 약물에 대해 낮은 개인별 약물 점수를 나타내는 원인을 추가로 분석하기 위하여, 베탁솔올 및 프로프라놀올의 약력학 또는 약동학에 관여하는 표적 단백질, 효소 단백질, 수송체 단백질 및 운반체 단백질 등 총 15개 단백질과 관련된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별 단백질 손상 점수 및 개인별 약물 점수를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20, 표 21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체 sg04는 베탁솔올을 분해하는 두 개의 주요 효소 단백질 CYP1A2와 CYP2D6에 각각 한 개(chr15:75047221)와 두 개(chr22:42525756, chr22:42526694)의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를 가지고 있었고 해당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도 낮았다(각각 1e-08. 0.39, 0.02). 상기 효소 단백질 CYP1A2와 CYP2D6에 대해 수학식 2를 이용해서 산출한 개인별 단백질 손상 점수는 각각 1.0e-8과 0.088로 낮게 나타났으며, 수학식 4를 이용해서 산출한 베탁솔올에 대한 개인별 약물 점수도 0.005로 심각하게 낮게 나타났다. 한편, 개체 sg04는 베탁솔올의 표적 단백질 ADRB1에는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가 없었고, ADRB2에는 5개의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chr5:148206917, chr5:148206473, chr5:148206646, chr5:148207447, chr5:148207633)가 발견되었으나 그 점수는 낮지 않았으며, 수학식 2를 이용해서 산출한 ADRB2에 대한 개인별 단백질 손상 점수는 0.85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표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체 sg04는 프로프라놀올을 분해하는 7개의 분해 효소 중 CYP1A1, CYP1A2, CYP2D6, CYP3A5, CYP3A7 등 다섯 개에 각각 한 개 이상의 심각한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를 가지고 있었고. 해당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도 낮았다; CYP1A1 (0.08(chr15:75015305)), CY1A2 (1e-08(chr15:75047221)), CYP2D6 (0.39 (chr22:42525756); 0.02 (chr22:42526694)), CYP3A5 (1e-08(chr7:99245974)), CYP3A7 (0.16 (chr7:99306685)). 수학식 2를 이용해서 CYP1A1, CYP1A2, CYP2D6, CYP3A5, CYP3A7에 대해 산출한 개인별 단백질 손상 점수는 각각 0.08, 1.0e-8, 0.088, 1.0e-8, 0.16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수학식 4를 이용해서 산출한 프로프라놀올에 대한 개인별 약물 점수도 0.05로 심각하게 낮게 나타났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체 sg04는 베탁솔올과 프로프라놀올의 약물 대사 관련 단백질 다수에서 유의한 손상이 나타남을 확인하였으며, 베탁솔올과 프로프라놀올에 대한 개인별 약물 점수가 각각 0.005, 0.05로 심각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개체 sg04에게 베타 차단제를 사용할 것이 권장되는 임상적 상황에서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산출된 약물 점수가 높은 약물, 즉 비특이적 베타 차단제 중에서는 Bopindolol(0.97), Bupranolol(0.95), Nadolol(0.96), Penbutolol(0.96), Sotalol(0.95) 등, 특이적 베타 차단제 중에서는 Atenolol(0.9), Bevantolol(0.74), Esmolol(1.0), Practolol(1.0) 등을 사용하고, 알파 및 베타 차단제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점수가 높은 Labetalol(0.57)을 사용하며, 베탁솔올과 프로프라놀올은 처방을 하지 않는 방향으로 임상의에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개체 sg04에게 약물 부작용이 발생할 위험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4. 개인 유전체 염기서열 변이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맞춤형 약물 선택 방법의 타당성 검증
아직까지 개인 유전체 염기서열 변이 정보와 약물학적 반응의 개인차에 관한 신뢰할만한 연구결과는 매우 제한적이다. 현재까지의 연구는 특정 변이가 양성인 또는 음성인 군을 약물별로 비교하여 반응성의 개인차를 연구하는 증례-대조군 관찰연구의 패러다임을 따라왔다. 이러한 연구 패러다임에서는 수많은 염기서열 변이와 수많은 약물의 쌍으로 이루어지는 모든 조합에 대해 각각 고비용의 증례-대조군 연구를 수행해야하지만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하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맞춤형 약물 선택 방법은 모든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를 대상으로 할 뿐만 아니라, 고비용의 증례-대조군 설계의 관찰 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유전체 염기서열 변이에 대한 순수 계산만으로 개인별 단백질 손상 점수와 개인별 약물 점수를 산출하고 이를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하므로, 모든 유전체 염기서열 변이와 모든 약물 사이의 조합에 대하여 개인별 맞춤형 약물 선택을 위한 추론이 가능하다는 큰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개인별 맞춤형 약물 선택 산출 결과의 타당성 평가를 위해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497개의 다빈도 처방 약물을 선택하였다; (1) 미국에서 가장 흔히 처방되는 15가지 약물(top 15 frequently prescribed drug classes during 2005~2008 in the United State (Health, United States, 2011,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의 ATC 코드에 포함되는 약물 중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약력학 또는 약동학 관련 유전자가 알려진 약물, (2) 확립된 약물유전체학적 유전체 염기서열 변이 마커의 작용이 미국 식약처의 의약품 라벨 표시에 적용된 약물, (3) 약물 부작용 등으로 시장에서 퇴출된 것으로 DrugBank 데이터베이스에 공지된 약물.
타당성 평가 기준 자료로는 PharmGKB가 제공하는 987개의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약물 상호작용 쌍에 대한 확립된 지식 중 상기 497개의 약물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을 갖는 650개(65.9%)를 추출했다. 본 발명이 엑손 영역의 염기서열 변이를 대상으로 한 점을 고려하여, 공정한 평가를 위해서 검증 대상 자료와 평가 기준 자료 사이에 겹치는 부분은 제거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650쌍 중에서 엑손 영역에 위치한 염기서열 변이 36개를 모두 제거하고 비코딩 영역의 염기서열 변이만을 선택하여 좀 더 공정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결론적으로, 평가를 위한 최종 황금표준으로 614쌍을 선택하였다.
다음으로 The 1000 Genomes Project가 제공하는 1092명의 전장 유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1092명 각각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적용하여, 개인별 약물유전체학적 위험성과 PharmGKB에 등록된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별 약물유전체학적 위험성을 각각 계산하였다.
타당도 평가에는 민감도, 특이도 및 ROC 곡선하면적(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urve)를 사용했다. 개인별 약물 점수를 바탕으로 497개의 약물에 순위를 매기고 각 순위 사이의 496개의 분할 위치에 순위별로 역치를 설정한 후, (1) 해당 약물의 약물 점수 순위가 역치보다 상위에 있고 PharmGKB 변이가 개인 유전체 변이에 있을 때는 참양성, (2) 해당 약물의 약물 점수 순위가 역치보다 하위에 있고 PharmGKB 변이가 개인 유전체 변이에 없을 때는 참음성, (3) 해당 약물의 약물 점수 순위가 역치보다 상위에 있으나 PharmGKB 변이가 개인 유전체 변이에는 없을 때는 위양성, (4) 해당 약물의 약물 점수 순위가 역치보다 하위에 있으나 PharmGKB 변이가 개인 유전체 변이에 있을 때는 위음성으로 정했다, 각 개인에서 각 순위역치 L에 대해 참양성, 참음성, 위양성, 위음성의 개수를 산출하여 하기 식과 같이 민감도와 특이도를 계산하였다.
상기 D는 497개의 전체 약물의 집합, GS는 개인별로 개인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가 PharmGKB의 위험 대립유전형과 일치하여 개인별 황금표준으로 사용되는 개인화된 PharmGKB 약물의 집합, DL은 순위역치 상위 약물의 집합이며, 수직 막대 괄호는 해당 집합의 원소 개수를 의미한다.
계산 결과, 18명의 경우 PharmGKB의 변이와 일치하는 변이를 한 개도 가지고 있지 않아서 황금표준으로 사용되는 개인화된 PharmGKB 약물의 집합을 정의할 수 없었기에, 이들은 본 타당성 분석에서 제외하였으며, 모든 역치에 대한 민감도와 특이도를 계산하여 ROC 곡선을 그리고, AUC를 계산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1092명의 전체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SIF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를 산출한 후, 이에 수학식 2와 수학식 4를 적용하여 단백질 손상 점수 및 약물 점수를 각각 산출하였다. 또한, 인종별 분포에 따른 가중치 적용의 유용성을 판단하기 위해서 인종 특이적 민감도, 특이도 및 이에 기반을 둔 AUC 값 산출을 The 1000 Genomes Project에 명시된 4개의 인종(African (AFR, n=246), American (AMR, n=181), Asian (ASN, n=286), European (EUR, n=379))별로 각각 동일하게 수행한 후, 인종 특이적 민감도, 특이도 및 AUC를 각각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22, 표 23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표 22
단백질 군별 분포 및 평균 단백질 손상 점수 산출 단백질 군 | 단백질 수 | 관련 약물 수 | 단백질-약물 쌍의 수 | 평균 단백질 손상 점수 |
표적 단백질 | 440 | 486 | 2357 | 0.798 |
운반체 단백질 | 10 | 50 | 65 | 0.728 |
대사효소 단백질 | 74 | 330 | 1347 | 0.733 |
수송체 단백질 | 54 | 176 | 457 | 0.733 |
계 | 545 | 497 | 4201 | 0.783 |
표 23
The 1000 Genomes Project 데이터를 이용한 단백질 군별 및 인종별 약물 점수 산출 타당도(AUC) 산출 | Total | AFR | AMR | ASN | EUR |
약물 점수 산출 타당도(AUC) |
표적 단백질 | 0.617 | 0.634 | 0.608 | 0.614 | 0.614 |
운반체 단백질 | 0.554 | 0.511 | 0.599 | 0.485 | 0.594 |
대사효소 단백질 | 0.587 | 0.642 | 0.580 | 0.558 | 0.579 |
수송체 단백질 | 0.497 | 0.492 | 0.488 | 0.489 | 0.512 |
단백질 군별 가중치를 비적용 또는 적용한 약물 점수 산출 타당도(AUC) |
단순기하평균 | 0.666 | 0.744 | 0.650 | 0.634 | 0.653 |
가중기하평균 | 0.667 | 0.742 | 0.652 | 0.633 | 0.654 |
상기 표 22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약물 497개에 대한 단백질 군별 분포를 나타낸 것으로, 각 군별로 단백질-약물 쌍의 수와 평균 단백질 손상 점수를 함께 표시하였다.
상기 표 23은 수학식 4를 이용하여 약물 점수를 산출할 때, 단백질 군별 가중치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단순기하평균)와 적용한 경우(가중기하평균)에 각각 산출된 개인별 약물 점수 산출 타당도(AUC)를 각 단백질 군별, 각 인종별로 구분하여 나타낸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체 인구 집단을 예로 들면, 표적 단백질, 운반체 단백질, 대사효소 단백질, 수송체 단백질 등 각 단백질 군별로 산출한 AUC 값은 각각 0.617, 0.554, 0.587, 0.497이었으며, 이를 단백질 군별 가중치로 사용하여(수학식 4의 가중치 wi에 각 값을 대입) 산출한 개인별 가중기하평균 약물 점수 산출 타당도(AUC=0.667)를 구하였다(도 7b 참조). 그 결과, 상기 단백질 군별 가중치를 적용한 개인별 가중기하평균 약물 점수 산출 타당도는 가중치를 부여하지 않고(가중치 wi=1) 단순기하평균 산출식에 적용하여 산출한 개인별 단순기하평균 약물 점수 산출 타당도(AUC=0.666)보다 0.001점 향상됨을 확인하였다(도 7a 참조).
또한,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중치 적용의 또 다른 예로 각 인종별 인원수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개인별 약물 점수 산출 타당도(AUC) 분석을 수행한 결과, 인종 특이성을 고려한 경우(굵은선), 전체 인구 집단(Total)의 AUC 값은 0.666(아프리카인(African) 0.744, 아메리카인(American) 0.650, 아시아인(Asian) 0.631, 유럽인(European) 0.653)이었으며, 인종 특이성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점선), 전체 인구집단 AUC 값은 0.633(아프리카인 0.623, 아메리카인 0.629, 아시아인 0.64, 유럽인 0.636)으로 나타나, 인종 특이성을 고려한 약물 점수 산출 타당도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더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종 특이성을 고려하지 않고 단백질 군별 가중치만을 적용한 경우(점선), 본 발명의 개인별 약물 점수 산출 타당도 AUC는 0.634이고, 인종 특이성과 함께 단백질 군별 가중치도 함께 적용한 경우(굵은선), 본 발명의 개인별 약물 점수 산출 타당도 AUC는 0.667로 나타나, 서로 다른 가중치의 유용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항암제(Busulfan) 처치에서 심각한 부작용 경고 사인을 보인 소아 백혈병 환아의 개인 유전체 염기서열 변이 정보 분석을 통한 본 발명의 타당성 검증
골수이식(Bone Marrow Transplantation)은 백혈병과 같은 혈액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치료 방법의 하나이다. 골수이식을 위해서는 먼저 환자 자신의 골수를 제거해야 하는데 전신 방사선 조사 (TBI, Total Body Irradiation) 및 부설판(Busulfan) 등의 약제를 이용한 약물학적 처치의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부설판은 대표적인 알킬화제로 전신 방사선 조사를 대체할 수 있으나, 비교적 좁은 치료범위를 가지고 있어서, 약물 농도가 치료 범위보다 높으면 간정맥폐쇄성질환(hepatic veno-occlusive disease, VOD) 및 중추신경계 독성과 같은 약물과 관련된 중증 독성이 나타나고, 약물 농도가 치료 범위보다 낮으면 생착 실패나 재발 위험성이 증가한다. 특히 소아에서는 부설판의 약동학이 개인마다 차이가 커서 약물농도감시 (TDM, Therapeutic Drug Monitoring) 하에 사용된다. 부설판의 독성은 흔히 “Busulfan Lung”으로 불리는 간질성 폐 섬유화, 색소과침착, 간질, 간성 정맥폐쇄성 질환 (veno-occlusive disease, VOD), 구토, 혈소판 감소증 등이 있다. IARC(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는 부설판을 제1군 발암제로 분류하고 있다.
본 발명의 개인 유전체 염기서열 변이를 이용한 맞춤형 약물 선택 제공 방법을 통하여, 상기 부설판 치료 반응 위험군을 구분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골수이식 치료를 위한 전처치로 골수 제거를 위해 항암제 부설판(Busulfan, Myleran, GlaxoSmithKline, Busulfex IV, Otsuka America Pharmaceutical, Inc.) 치료를 받던 중 약물농도감시(TDM (therapeutic drug monitoring) 소견상 투약 후 Area Under Curve(AUC 6-hour)가 높아 심각한 부작용 경고 사인을 보인 소아 백혈병 환아 12례를 분석하였다, 객관적인 비교를 위하여 정상 대조군 14례 및 상기 The 1000 Genomes Project(http://www.1000genomes.org/)에서 제공하는 아시아인 286명과의 유전자 염기서열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부설판 및 그 대사산물의 약력학 또는 약동학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조사하여 다음 12개의 유전자를 선별하였다; CTH, GGT1, GGT5, GGT6, GGT7, GSTA1, GSTA2, GSTM1, GSTP1, MGMT, MGST2, MSH2.
상기 12개 유전자에 대한 상기 소아 백혈병 환아 12례 및 정상 대조군 14례의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정보로부터 SIF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를 산출한 후, 이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개인별 단백질 손상 점수 및 개인별 약물 점수를 산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개인별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정보를 근거로, 수학식 2를 사용하여 상기 12개 단백질에 대한 개인별 단백질 손상 점수를 산출하였고, 수학식 4를 사용하여 개인별 약물 점수를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4에 나타내었다. 이때 아시아인은 그 하위 인구집단인 CHB(Han Chinese in Bejing, China) (n=97), CHS(Southern Han Chinese) (n=100), JPT(Japanese in Tokyo, Japan) (n=89)로 나누어 동일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개인별 단백질 손상 점수 및 약물 점수는 기하평균, 조화평균 또는 프로덕트를 이용하여 각각 산출하였다.
표 24
| Busulfan(n=12) | 정상대조군(n=14) | Asian(n=286) | CHB(n=97) | CHS(n=100) | JPT(n=89) |
개인별 약물 점수 |
기하평균 | 0.507±.065 | 0.589±.079§
| 0.576±.084§
| 0.566±.068*
| 0.588±.082§
| 0.575±.101§
|
조화평균 | 0.282±.049 | 0.327±.087 | 0.331±.076§
| 0.326±.065*
| 0.332±.067§
| 0.336±.094§
|
프로덕트 | 2.83e-5±5.75e-5 | 2.00e-3±4.43e-3 | 2.92e-4±9.75e-4§
| 3.94e-4±1.17e-3§
| 2.69e-4±1.05e-3*
| 2.06e-4±5.77e-4§
|
단백질 손상 점수 |
기하평균 |
CTH | 0.3429 | 0.3714 | 0.6647 | 0.6645 | 0.6689 | 0.6638 |
GGT1 | 1.0000 | 1.0000 | 0.9264 | 0.8914 | 0.9569 | 0.9201 |
GGT5 | 0.3598 | 0.4800 | 0.6265 | 0.6071 | 0.6600 | 0.6139 |
GGT6 | 0.1826 | 0.2171 | 0.2061 | 0.1953 | 0.2069 | 0.2174 |
GGT7 | 0.8692 | 1.0000 | 0.9741 | 0.9718 | 0.9636 | 0.9889 |
GSTA1 | 1.0000 | 1.0000 | 0.9968 | 1.0000 | 1.0000 | 0.9897 |
GSTA2 | 0.3688 | 0.5132 | 0.4916 | 0.5067 | 0.4740 | 0.4955 |
GSTM1 | 0.6654 | 0.6371 | 0.3513 | 0.3448 | 0.3347 | 0.3752 |
GSTP1 | 1.0000 | 0.9665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MGMT | 0.8230 | 0.9621 | 0.8754 | 0.8736 | 0.9078 | 0.8361 |
MGST1 | 1.0000 | 1.0000 | 0.9968 | 0.9939 | 0.9968 | 1.0000 |
MSH2 | 0.2677 | 0.7793 | 0.3615 | 0.3605 | 0.3793 | 0.3412 |
조화평균 |
CTH | 0.3425 | 0.3714 | 0.6647 | 0.6645 | 0.6689 | 0.6638 |
GGT1 | 1.0000 | 1.0000 | 0.9252 | 0.8899 | 0.9557 | 0.9189 |
GGT5 | 0.3042 | 0.4664 | 0.6225 | 0.6015 | 0.6561 | 0.6115 |
GGT6 | 0.0859 | 0.1437 | 0.0942 | 0.0903 | 0.0943 | 0.0985 |
GGT7 | 0.8692 | 1.0000 | 0.9739 | 0.9718 | 0.9630 | 0.9889 |
GSTA1 | 1.0000 | 1.0000 | 0.9968 | 1.0000 | 1.0000 | 0.9897 |
GSTA2 | 0.3386 | 0.4934 | 0.4759 | 0.4948 | 0.4540 | 0.4808 |
GSTM1 | 0.6554 | 0.6371 | 0.2965 | 0.3011 | 0.2702 | 0.3200 |
GSTP1 | 1.0000 | 0.9533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MGMT | 0.7869 | 0.9543 | 0.8512 | 0.8516 | 0.8871 | 0.8045 |
MGST1 | 1.0000 | 1.0000 | 0.9968 | 0.9939 | 0.9968 | 1.0000 |
MSH2 | 0.2643 | 0.7793 | 0.3579 | 0.3587 | 0.3737 | 0.3381 |
프로덕트 |
CTH | 0.3320 | 0.3714 | 0.6643 | 0.6633 | 0.6689 | 0.6638 |
GGT1 | 1.0000 | 1.0000 | 0.9237 | 0.8880 | 0.9537 | 0.9184 |
GGT5 | 0.2190 | 0.4530 | 0.5942 | 0.5642 | 0.6324 | 0.5882 |
GGT6 | 0.0423 | 0.1179 | 0.0372 | 0.0413 | 0.0370 | 0.0326 |
GGT7 | 0.8692 | 1.0000 | 0.9725 | 0.9707 | 0.9600 | 0.9889 |
GSTA1 | 1.0000 | 1.0000 | 0.9968 | 1.0000 | 1.0000 | 0.9897 |
GSTA2 | 0.2528 | 0.4039 | 0.3943 | 0.4082 | 0.3728 | 0.4022 |
GSTM1 | 0.6450 | 0.6371 | 0.2371 | 0.2542 | 0.2101 | 0.2486 |
GSTP1 | 1.0000 | 0.9393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MGMT | 0.7400 | 0.9443 | 0.8223 | 0.8247 | 0.8660 | 0.7634 |
MGST1 | 1.0000 | 1.0000 | 0.9968 | 0.9939 | 0.9968 | 1.0000 |
MSH2 | 0.2141 | 0.7793 | 0.3375 | 0.3433 | 0.3473 | 0.3194 |
*p-value < 0.05 and §p-value <0.01 by Student T-test. Vaules are mean or mean±S.D.
상기 표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하평균, 조화평균 또는 프로덕트를 이용하여 개인별 약물 점수를 각각 산출한 결과, 부설판 투약 후 심각한 부작용 경고 사인 발생군인 소아 백혈병 환아(n=12)와 정상 대조군(n=14), 아시아인(n=286) 사이의 일원배치 분산 분석 결과는 기하평균(p=0.016)과 프로덕트(p=0.001)를 이용하여 산출한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조화평균을 이용하여 산출한 경우에도 유의한 경향성(p=0.088)을 보였다.
반면, 기하평균, 조화평균 또는 프로덕트를 이용하여 산출된 개인별 약물 점수의 T-test 분석 결과, 정상인 대 아시아인(n=286) (p=0.579, 0.872, 0.173), 정상인 대 CHB(n=97) (p=0.327, 0.942, 0.20), 정상인 대 CHS(n=100) (p=0.967, 0.837, 0.169) 및 정상인 대 JPT(n=89) (p=0.559, 0.735, 0.154) 모두 p-value 기준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유전체 염기서열 변이 정보 분석을 통한 개인별 약물 점수 산출을 이용하여 부설판 치료 시 심각한 약물 부작용 경고 사인을 겪은 군(부설판 치료 반응 위험군)과 그렇지 않은 군을 유의하게 구분할 수 있으며, 원치 않는 부작용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소아 백혈병 환아 12례 및 정상 대조군 14례의 개인별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항암제·골수억제제인 부설판의 약력학 또는 약동학 및 약물학적 패스웨이에 관여하는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정보를 결정한 후, 이로부터 산출된 개인별 단백질 손상 점수(수학식 2를 이용하여 산출) 및 개인별 약물 점수(수학식 4를 이용하여 산출)의 평균과 표준편차의 분포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전자 GGT1, GSTA1, GSTP1, MGST1의 단백질 손상 점수는 양 군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유전자 CTH, GGT5, GGT6, GGT7, GSTA2, MGMT, MSH2의 단백질 손상 점수는 다소간의 차이를 보였으며, 반면 유전자 GSTM1의 단백질 손상 점수는 소아 백혈병 환아군(0.665)에서 정상 대조군(0.637)보다 약간 높은 소견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와 같이, 개별적인 유전자 변이 또는 단백질 손상 점수를 통해서는 양 군을 구분하기 어려운 점이 있으나, 본 발명의 맞춤형 약물 선택 제공 방법을 이용할 경우, 종합적인 약물 점수 산출을 통해 양 군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구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표 24 참조).
또한, 도 8에서 도형의 크기로 표현된 유전자 염기서열의 빈도를 통하여, 소아 백혈병 환아군(도 8a)의 도형들의 크기가 정상 대조군(도 8b)의 도형들의 크기보다 큼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종합된 약물 점수 산출에 사용된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의 개수가 소아 백혈병 환아군에서 더 많음을 한눈에 알 수 있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향후 소아 백혈병 환자에서 부설판 투여 시 부작용의 가능성이 높은 군을 예측할 수 있으며, 고 위험군에 대해서는 약물의 농도를 조절하거나 대체 가능한 다른 치료법 혹은 중재요법을 사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6. 시장에서 퇴출된 약물의 약동학 또는 약력학에 관여하는 유전자에서 발견되는 개인 유전체 염기서열 변이 정보 분석을 통한 본 발명의 타당성 검증
식약처의 허가를 득하여 시장에서 판매를 시작한 약물도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과정에서 사후평가 (PMS, Post-market Surveillance) 결과에 따라 시장퇴출 명령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약물의 시장 퇴출은 의학적으로 매우 중대한 현상으로, 엄격한 임상시험의 전과정을 거쳐 허가를 득한 의약품의 경우도 실제 적용단계에서 예측하지 못했던 부작용이 발생하여 막대한 인명 손상과 경제적 손실을 일으키고 퇴출될 수 있으며, 대규모 임상시험에서도 찾아낼 수 없었던 개인별 차이가 이러한 약물 시장 퇴출 원인의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맞춤형 약물 선택 방법은 개개인의 차이를 고려하여 개인별로 위험성이 높은 약물의 사용을 배제하는 방안을 제공하는 바,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맞춤형 약물 선택 방법이 막대한 의학적 경제적 손해를 유발하는 약물의 시장퇴출을 예측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타당성이 한 번 더 검증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인구집단(n=1097)과 약물군(n=497)에 대하여 시장 퇴출 및 사용 제한된 약물을 중심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시장 퇴출 약물의 포괄적인 목록을 구축하기 위해 이미 포함된 DrugBank 데이터베이스의 퇴출 약물 목록 이외에도, 위키피디아의 ‘List of Withdrawn Drugs’문서와 전세계 시장 퇴출 약물에 대한 가장 포괄적인 자료인 유엔에서 발간하는 제 8, 10, 12, 14판 ‘Consolidated List of Products Whose Consumption and/or Sale Have Been Banned, Withdrawn, Severely Restricted, or Not Approved by Governments: Pharmaceuticals’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최종적으로 적어도 한 개 국가 이상에서 퇴출된 약물 392개의 목록을 확립하였고, 이중 상기 497개의 약물에 포함되는 약물은 모두 82개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장에서 퇴출된 것은 아니지만 사용이 심각하게 제한된 약물군은 미국 식약처에서 ‘Boxed Warning’을 받은 약물의 목록과 상기 유엔 보고서에 ‘severely restricted’로 표기된 약물의 합집합 중 상기 497개의 약물에 포함되는 것을 추출하였으며, 모두 139개임을 확인하였다. 상기 82개의 시장 퇴출 약물과 상기 139개의 사용 제한 약물, 그리고 나머지 276개의 약물에 대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각 약물의 시장 안전성 점수 또는 인구집단 약물 점수는 상기 1092명의 유전체 염기서열 변이를 근거로 SIF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를 산출한 후, 이로부터 산출한 개인별 약물 점수 1092개의 산술평균값을 취하여 얻었다. 그 결과, 시장 퇴출, 사용 제한 및 기타 약물군의 인구집단 약물 점수는 각각 0.585±0.21, 0.592±0.19, 0.664±0.19였고, 일원분산분석 결과 그 차이가 유의했다(F=9.282, p < 0.001). 또한, 사후 Tukey 분석에서도 시장 퇴출 약물과 기타 약물 간 비교 시 p-value는 0.004, 사용 제한 약물과 기타 약물 간 비교 시 p-value는 0.001로 모두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으며, 시장 퇴출 약물과 사용 제한 약물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p-value=0.971). 즉 인구집단에서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약물 선택 방법이 제안하는 약물 점수의 평균값이 낮을수록 약물의 시장 퇴출 및 사용 제한 확률이 유의하게 높으며, 위험성이 높은 약물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약물 점수의 유용성을 상대빈도 히스토그램으로 명료하게 시각화하였으며, 이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a는 DrugBank와 위키피디아에서 획득한 시장 퇴출 약물의 인구집단 약물 점수에 따른 상대빈도 히스토그램이고, 도 9b는 유엔 자료에서 획득한 시장 퇴출 및 사용 제한 약물의 인구집단 약물 점수에 따른 상대빈도 히스토그램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약물들을 해당 약물의 인구집단 약물 점수에 따라 0.0에서 1.0사이의 0.1 간격으로 구성된 10개의 점수 구간에 할당한 후 각 0.1 구간에 해당하는 약물들의 퇴출율을 히스토그램으로 표시하였으며, 인구집단 약물 점수 또는 상기 1092명의 유전체 염기서열 변이를 근거로 산출한 본 발명에 의한 개인별 약물 점수 1092개의 산술평균값이 낮을수록 시장 퇴출율이 현저히 높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인구집단 약물 점수 0.3점 이하의 약물이 현저하게 시장 퇴출 또는 사용 제한될 확률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개인별 약물 점수가 개개인의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의 특성을 이용해서 시장 퇴출 또는 사용 제한의 잠재적 위험성이 높은 약물을 개인 맞춤형으로 회피할 수 있는 기전을 제안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7. 위험성이 예측된 특정 약물의 표적 단백질과 관련된 유전체 염기서열 변이 분석을 통한 임상의학적 의의 고찰
일 개인에서 위험성이 예측된 특정 약물의 표적 단백질에서 발견된 개인 유전체 염기서열 변이의 임상의학적 의의를 고찰하여 본 발명의 개인별 맞춤형 약물 선택 방법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혈액 응고 능력이 정상이나, 개인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분석 및 본 발명에 따라 산출한 혈액 응고 억제제인 Rivaroxaban에 대한 개인별 약물 점수가 낮은 개체 sg01에 대한 상세 분석을 수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개체 sg01의 개인 유전체 염기서열에서는 Rivaroxaban의 약력학 및 약동학에 관여하는 유전자 5개 중 표적 단백질인 혈액 응고인자 10번(Coagulation Factor 10, F10)에 두 개의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13번 염색체 113801737 및 113795262)가 나타나며(SIF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점수를 산출한 후,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산출한 개인별 단백질 손상 점수=0.0001), 효소 단백질인 CYP2J2에 한 개의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1번 염색체 60392236)가 나타났다. 상기 유전자 염기서열 변이 정보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개체 sg01에 대한 Rivaroxaban의 개인별 약물 점수를 수학식 4를 사용하여 산출한 결과 0.148로 매우 낮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혈액 응고인자의 기능저하는 혈우병의 원인이 되는 매우 중요한 기전이다. 혈우병은 주로 8번, 9번 11번 응고인자의 기능결손으로 발병하고, 혈액 응고인자 10번(F10)에 의한 사례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F10은 프로트롬빈을 트롬빈으로 변환하는데 매우 중요한 효소로, 한 쌍의 F10 유전자 모두가 극심한 손상을 보이는 동형접합(homozygote)이라면 상기 개체 sg01은 고도의 출혈성 경향과 같은 극단적 경향을 보이거나 생존이 불가능했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 개체 sg01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한 쌍의 F10 유전자 중 한 개에만 염기서열 변이가 있고 다른 한 개의 기능에는 손상이 없는 이형접합(heterozygote)임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혈액 응고 능력이 정상인 개체 sg01은 인지하고 있지 못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점수 산출 시 개체 sg01은 Rivaroxaban에 대한 약물 부작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임상의학적으로 중요성을 갖는다. 따라서 추가 분석을 위해 상기 개체 sg01의 혈액 응고 능력에 대한 상세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5에 나타내었다.
표 25
개체 sg01의 혈액 응고 능력 분석 결과 혈액응고인자 | 활성도 | 정상 범위 참고치 |
Factor 2 | 109% | 84 - 139 |
Factor 5 | 113% | 63 - 140 |
Factor 7 | 127% | 72 - 141 |
Factor 10 | 67% | 74 - 146 |
Factor 8 | 87% | 50 - 184 |
Factor 9 | 132% | 48 - 149 |
Factor 11 | 123% | 72 - 153 |
Factor 12 | 68% | 44 - 142 |
| | |
출혈시간 분석 | 결과 | 정상 범위 참고치 |
PT | 12.3 sec | 9.8 - 12.2 |
aPTT | 34.9 sec | 26 - 35.3 |
Fibrinogen | 235 mg/dl | 180 - 380 |
상기 표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체 sg01의 혈액 응고인자 2, 5, 7, 8, 9, 11, 12번의 활성은 모두 정상범위에 들었으나, 혈액 응고인자 10번의 활성은 67%로 정상범위인 74~146%에 들지 못하는 낮은 활성도를 보였다. 즉 개체 sg01의 혈액 응고능력은 적어도 혈액 응고인자 10번의 관점에서는 정상보다 낮아 출혈성이 높아질 위험이 존재하였다. 또한, 출혈성을 직접 측정하는 PT, aPTT, fibrinogen 검사 결과, 개체 sg01은 다소 출혈성이 높은 편이지만 대략 정상범위 상단에서 그 값이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개체 sg01은 이형접합인 한 쌍의 F10 중 손상되지 않은 나머지 F10의 활성과 여타의 다른 혈액 응고 기전의 종합적인 적응적 대응으로 대략 정상 범위의 혈액 응고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개체 sg01은 상기 혈액 응고인자 활성도 검사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정상상태를 어렵게 유지하고 있으며 충분한 완충능력은 결여되어 있을 확률이 높다. 그러므로 개체 sg01이 미래에 의학적 필요에 의해 상기 혈액 응고 억제제인 Rivaroxaban을 처방받게 된다면 고도의 출혈성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을 겪을 확률은 매우 높으며, 혈액 응고인자 10번은 Rivaroxaban의 유일하고 직접적인 표적 단백질이므로 이러한 추론은 임상의학적으로 매우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아직까지 알려져 있지 않은 신규 유전체 염기서열 변이와 약물 사용과의 관련 분석을 통하여, 약물 부작용을 사전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으며, 실제 임상의학적 유용성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