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26069A1 -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26069A1
WO2015026069A1 PCT/KR2014/006827 KR2014006827W WO2015026069A1 WO 2015026069 A1 WO2015026069 A1 WO 2015026069A1 KR 2014006827 W KR2014006827 W KR 2014006827W WO 2015026069 A1 WO2015026069 A1 WO 201502606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ayer
absorbing material
coating
nonwoven fabric
high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682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승한
이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호 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호 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호 엔.티
Publication of WO201502606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2606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02F1/24Cylinder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11Thermal or acoustic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11Thermal or acoustic insulation
    • F02B77/13Acoustic insu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는 코팅층 및 상기 코팅층이 형성된 기재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며, 아라미드 부직포로 이루어진 표피층으로 이루어지며, 아라미드 부직포를 카딩하여 형성된 섬유웹을 니들링한 후에, 함침용액에 함침하는 기재층제조단계, 아라미드 부직포를 카딩하여 형성된 섬유웹을 니들링하는 표피층형성단계, 상기 표피층형성단계를 통해 제조된 표피층의 일면에 코팅용액을 그라비아 코팅하는 코팅층형성단계, 상기 코팅층형성단계를 통해 일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표피층을 상기 기재층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기재층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적층하되, 상기 코팅층이 상기 기재층 방향을 향하도록 적층하는 적층단계 및 상기 적층단계를 통해 제조된 적층체를 성형하는 성형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는 내열성과 형태안정성이 우수하여 자동차의 엔진커버 및 각종 내장재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열성과 형태안정성이 우수하여 자동차의 엔진커버 및 각종 내장재로 활용될 수 있는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열성과 형태안정성이 우수하여 자동차의 엔진커버 및 각종 내장재로 활용될 수 있는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흡음재는 전자제품, 건축자재 및 자동차 등의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자동차의 외부 가속 소음이나 외부 아이들링(idling) 소음을 방지할 목적으로 엔진이나 트렌스미션의 주위를 덮는 차폐커버의 수단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경우 안전의 관점에서 차폐커버는 흡음력이 뛰어나야 할 뿐만 아니라 엔진룸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우수한 내열성을 갖추어야한다.
한국특허등록 제10-1114805호에는 단위면적당 질량이 150-800g/m2, 벌크밀도가 0.01-0.2g/cm3인 아라미드 부직포와, JIS L-1096에 따라서 측정되는 통기량이 50cc/cm2/sec 이하의 표피재가 적층되어 내열성과 통기성이 우수한 있는 흡음재가 개시되어 있으나, 아라미드 부직포로만 이루어진 부직포층은 형태안정성이 낮아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기 때문에, 엔진룸과 같은 부분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기술은 표피재의 내열성이 우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흡음재를 엔진룸에 형태에 대응될 수 있도록 성형하는 과정에서 흡음재가 금형에 달라붙어 표면품질이 저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형의 수명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라미드 부직포를 내열성이 우수한 함침액에 함침하여 제조되는 기재층이 적용되어 내열성과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열성이 우수한 아라미드 부직포로 표피층을 형성하여 우수한 내열성을 나타내며, 성형과정에서 금형에 달라붙지 않기 때문에, 표면품질이 저하가 발생되지 않고, 금형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는 코팅층 및 상기 코팅층이 형성된 기재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며, 아라미드 부직포로 이루어진 표피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기재층은 5 내지 7 밀리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아라미드 부직포를 카딩하여 형성된 섬유웹을 니들링한 후에, 함침용액에 함침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함침용액은 디메틸카르보네이트 100 중량부에 에폭시 15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코팅층은 25 내지 35g/m2의 면밀도로 이루어지며, 디메틸카르보네이트 100 중량부에 에폭시 90 내지 1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표피층은 1 내지 3 밀리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아라미드 부직포를 카딩하여 형성된 섬유웹을 니들링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라미드 부직포를 카딩하여 형성된 섬유웹을 니들링한 후에, 함침용액에 함침하는 기재층제조단계, 아라미드 부직포를 카딩하여 형성된 섬유웹을 니들링하는 표피층형성단계, 상기 표피층형성단계를 통해 제조된 표피층의 일면에 코팅용액을 그라비아 코팅하는 코팅층형성단계, 상기 코팅층형성단계를 통해 일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표피층을 상기 기재층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기재층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적층하되, 상기 코팅층이 상기 기재층 방향을 향하도록 적층하는 적층단계 및 상기 적층단계를 통해 제조된 적층체를 성형하는 성형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함침용액은 디메틸카르보네이트 100 중량부에 에폭시 15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코팅용액은 디메틸카르보네이트 100 중량부에 에폭시 90 내지 1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성형단계는 상기 적층단계를 통해 제조된 적층체를 130 내지 230℃의 온도를 나타내는 열간금형에서 압축성형한 후에 냉각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은 아라미드 부직포를 내열성이 우수한 함침액에 함침하여 제조되는 기재층이 적용되어 내열성과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를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아라미드 부직포로 표피층을 형성하여 성형과정에서 금형에 달라붙지 않기 때문에, 표면품질이 저하가 발생되지 않고, 금형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를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재층
20 ; 코팅층
30 ; 표피층
S101 ; 기재층형성단계
S103 ; 표피층형성단계
S105 ; 코팅층형성단계
S107 ; 합지단계
S109 ; 성형단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는 기재층(10), 상기 기재층(1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는 코팅층(20) 및 상기 코팅층(20)이 형성된 기재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며, 아라미드 부직포로 이루어진 표피층(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재층(10)은 5 내지 7 밀리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아라미드 부직포를 카딩하여 형성된 섬유웹을 니들링한 후에, 함침용액에 함침하여 제조되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아라미드 부직포를 카딩하여 형성된 20 내지 100g/㎡의 면밀도로 형성된 섬유웹을 5 내지 12겹으로 적층하여, 연속적으로 1차 Up-down 프리니들링 (pre needling), 2차 Down-up Needling, 3차 Up-down Needling의 연속공정을 통하여 필요한 두께의 조절, 필요 결속력 확보 및 필요 물성의 구현을 위한 물리적 교락이 형성된 섬유웹을 디메틸카르보네이트 100 중량부에 에폭시 15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함침용액에 함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니들링 공정은 요구되는 물성치에 따라 4 내지 8차까지의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함침용액은 에폭시 수지가 높은 점도를 나타내어 상기 섬유웹의 내부로 침투되는 효율성이 낮기 때문에, 디메틸카르보네이트 용매 에폭시 수지에 분산하여 점도를 낮춘 상태에서 함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침용액은 상기 섬유웹 100 중량부 대비 80 내지 120 중량부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와 같이 함침용액이 도포된 섬유웹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10)은 300 내지 800g/m2의 면밀도를 나타내며,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의 내열성과 형태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아라미드 부직포는 고내열성 소재인 아라미드 스테이플 섬유를 니들펀칭하여 제조되는데, 이때, 상기 아라미드 스테이플 섬유에 크림프가 많으면 고강도 및 고내구성의 부직포를 제조하기에 용이하나, 부직포의 밀도가 높아 니들 펀칭 작업 시 마찰이 커져 니들의 마모가 빨라 교체주기가 짧아지는 단점이 있으며, 기공이 부족하게 되어 고강성 부여를 위한 상기의 함침과정에서 섬유웹 내부로 함침용액의 침투성이 저하되어 균일한 물성을 나타내는 기재층을 제조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아라미트 스테이플 섬유는 섬도가 0.5 내지 10 데니어,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데니어,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데니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아라미드 스테이플 섬유의 길이는 30 내지 90 밀리미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 밀리미터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의 아라미트 스테이플 섬유를 카딩하여 제조되는 섬유웹의 두께는 1 내지 30 밀리미터,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 밀리미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니틀과정은 니들의 스트록 수가 100 내지 260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층(20)은 상기 기재층(1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기재층(10)과 상기 표피층(30)을 접착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내열성이 우수한 재료로 이루어져 흡음재의 내열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코팅층(20)은 상기 기재층(1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25 내지 35g/m2의 면밀도로 형성되며, 디메틸카르보네이트 100 중량부에 에폭시 90 내지 1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피층(30)은 상기 코팅층(20)이 형성된 기재층(1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1 내지 3 밀리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를 금형에서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기재층(10)이나 상기 코팅층(20)에 함유된 에폭시 수지가 상기 금형에 달라붙는 현상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의 표피층(30)이 형성된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는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우수한 표면품질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금형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 표피층(30)은 아라미드 부직포를 카딩하여 형성된 섬유웹을 니들링하여 제조되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아라미드 부직포를 카딩하여 형성된 20 내지 100g/㎡의 면밀도의 섬유웹을 5 내지 12겹으로 적층하여, 연속적으로 1차 Up-down 프리니들링 (pre needling), 2차 Down-up Needling, 3차 Up-down Needling의 연속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이때 상기 표피층(30)은 100 내지 200g/m2의 면밀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표피층(30)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아라미드 부직포는 상기 기재층(10)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제조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의 제조방법은 아라미드 부직포를 카딩하여 형성된 섬유웹을 니들링한 후에, 함침용액에 함침하는 기재층제조단계(S101), 아라미드 부직포를 카딩하여 형성된 섬유웹을 니들링하는 표피층형성단계(S103), 상기 표피층형성단계(S103)를 통해 제조된 표피층(30)의 일면에 코팅용액을 그라비아 코팅하는 코팅층형성단계(S105), 상기 코팅층형성단계(S105)를 통해 일면에 코팅층(20)이 형성된 표피층(30)을 상기 기재층제조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기재층(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적층하되, 상기 코팅층(20)이 상기 기재층(10) 방향을 향하도록 적층하는 적층단계(S107) 및 상기 적층단계(S107)를 통해 제조된 적층체를 성형하는 성형단계(S109)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재층제조단계(S101)는 아라미드 부직포를 카딩하여 형성된 섬유웹을 니들링한 후에, 함침용액에 함침하는 단계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라미드 부직포를 카딩하여 형성된 20 내지 100g/㎡의 면밀도의 섬유웹을 5 내지 12겹으로 적층하여, 연속적으로 1차 Up-down 프리니들링 (pre needling), 2차 Down-up Needling, 3차 Up-down Needling의 연속공정을 통하여 필요한 두께의 조절, 필요 결속력 확보 및 필요 물성의 구현을 위한 물리적 교락이 형성된 섬유웹을 디메틸카르보네이트 100 중량부에 에폭시 15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함침용액에 함침하고 건져낸 후에, 140 내지 160℃의 텐터(tenter)에서 약 5분 동안 건조시키고, 텐터의 온도를 180℃로 승온한 상태에서 5분 동안 추가 건조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니들링 공정은 요구되는 물성치에 따라 4 내지 8차까지의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함침용액은 에폭시 수지가 높은 점도를 나타내어 상기 섬유웹의 내부로 침투되는 효율성이 낮기 때문에, 디메틸카르보네이트 용매에 에폭시 수지를 분산하여 점도를 낮춘 상태에서 함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피층형성단계(S103)는 아라미드 부직포를 카딩하여 형성된 섬유웹을 니들링하는 단계로, 아라미드 부직포를 카딩하여 형성된 섬유웹을 니들링하는 단계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라미드 부직포를 카딩하여 형성된 20 내지 100g/㎡의 면밀도의 섬유웹을 5 내지 12겹으로 적층하여, 연속적으로 1차 Up-down 프리니들링 (pre needling), 2차 Down-up Needling, 3차 Up-down Needling의 연속공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의 표피층형성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표피층(30)이 형성된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는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우수한 표면품질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성형과정에서 상기 기재층(10)이나 상기 코팅층에 함유된 에폭시 수지가 금형에 달라붙은 것을 차단하여 금형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역할도 한다.
상기 코팅층형성단계(S105)는 상기 표피층형성단계(S103)를 통해 제조된 표피층(30)의 일면에 코팅용액을 그라비아 코팅하는 단계로, 상기 코팅용액은 디메틸카르보네이트 100 중량부에 에폭시 90 내지 1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와 같이 표피층(30)의 일면에 코팅용액을 그라비아 코팅하여 코팅층(20)을 형성하면, 상기 기재층(10)과 상기 표피층(30)을 접착시키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열성을 나타내는 흡음재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코팅층(20)은 상기 기재층(1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25 내지 35g/m2의 면밀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층단계(S107)는 상기 코팅층형성단계(S105)를 통해 일면에 코팅층(20)이 형성된 표피층(30)을 상기 기재층제조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기재층(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적층하되, 상기 코팅층(20)이 상기 기재층(10) 방향을 향하도록 적층하는 단계다.
상기 적층단계(S107)에서 상기 코팅층(20)은 상기 기재층(10) 방향을 향해 적층된 후에, 상기 성형단계(S109)에서 기재층(10)과 표피층(30)을 접착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 표피층(30)이 금형과 접촉되게 되므로 기재층(10)과 코팅층(20)에 함유된 에폭시 수지가 금형의 표면에 달라붙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성형단계(S109)는 상기 적층단계(S107)를 통해 제조된 적층체를 성형하는 단계로, 상기 적층단계(S107)를 통해 제조된 적층체를 130 내지 230℃의 온도를 나타내는 열간금형에서 압축성형한 후에 냉각하여 이루어지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적층단계(S107)를 통해 제조된 적층체를 130 내지 230℃의 온도를 나타내는 열간금형에서 1 내지 10분 동안 압축성형한 후에, 압축성형된 적층체를 4 내지 40℃의 온도로 냉각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아라미드 섬유를 카딩하여 제조된 60g/m2 면밀도의 섬유웹을 9겹 적층하여 1차 up-down 니들링, 2차 down-up니들링, 3차 up-down니들링의 연속 펀칭을 통해 물리적 교락을 형성시켜 면밀도가 400g/m2이고 두께가 6 밀리미터인 아라미드 부직포를 제조하고, 제조된 아라미드 부직포를 디메틸카르보네이트 100 중량부에 에폭시 15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함침용액에 함침하고 150℃의 온도의 텐터에서 5분 동안 건조시키고, 텐터의 온도를 180℃로 승온시킨 상태에서 5분간 추가로 건조하여 기재층을 제조하고,
아라미드 섬유를 카딩하여 제조된 60g/m2 면밀도의 섬유웹을 5겹 적층하여 1차 up-down 니들링, 2차 down-up니들링, 3차 up-down니들링의 연속 펀칭을 통해 물리적 교락을 형성시켜 면밀도가 130g/m2이고 두께가 2 밀리미터인 아라미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표피층을 제조하고, 제조된 표피층 일면에 디메틸카르보네이트 100 중량부에 에폭시 90 내지 1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코팅용액을 30g/m2의 면밀도로 그라비아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기재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상기 코팅층이 형성된 표피층을 적층하되, 상기 코팅층이 상기 기재층을 향하도록 적층하여 적층체를 제조하고, 상기 적층체를 200℃의 온도를 나타내는 열간금형에서 1 내지 10분동안 압축성형한 후에, 압축성형된 적층체를 25℃의 온도로 냉각하여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는 기재층에 함침용액이 고르게 분포하게 되어 내열성, 형태안정성 및 차음효과를 향상시키며, 코팅층이 형성되어 성형과정에서 금형에 달라붙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표피층은 부직포 사이에 미세한 공극으로 인해 내열성의 향상과 음파를 효과적으로 상쇄시켜 흡음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열성과 형태안정성이 우수하여 자동차의 엔진커버 및 각종 내장재로 활용될 수 있는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에 이용된다.

Claims (9)

  1.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는 코팅층; 및
    상기 코팅층이 형성된 기재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며, 아라미드 부직포로 이루어진 표피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5 내지 7 밀리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아라미드 부직포를 카딩하여 형성된 섬유웹을 니들링한 후에, 함침용액에 함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함침용액은 디메틸카르보네이트 100 중량부에 에폭시 15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25 내지 35g/m2의 면밀도로 이루어지며, 디메틸카르보네이트 100 중량부에 에폭시 90 내지 1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피층은 1 내지 3 밀리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아라미드 부직포를 카딩하여 형성된 섬유웹을 니들링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
  6. 아라미드 부직포를 카딩하여 형성된 섬유웹을 니들링한 후에, 함침용액에 함침하는 기재층제조단계;
    아라미드 부직포를 카딩하여 형성된 섬유웹을 니들링하는 표피층형성단계;
    상기 표피층형성단계를 통해 제조된 표피층의 일면에 코팅용액을 그라비아 코팅하는 코팅층형성단계;
    상기 코팅층형성단계를 통해 일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표피층을 상기 기재층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기재층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적층하되, 상기 코팅층이 상기 기재층 방향을 향하도록 적층하는 적층단계; 및
    상기 적층단계를 통해 제조된 적층체를 성형하는 성형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의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함침용액은 디메틸카르보네이트 100 중량부에 에폭시 15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의 제조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코팅용액은 디메틸카르보네이트 100 중량부에 에폭시 90 내지 1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의 제조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성형단계는 상기 적층단계를 통해 제조된 적층체를 130 내지 230℃의 온도를 나타내는 열간금형에서 압축성형한 후에 냉각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의 제조방법.
PCT/KR2014/006827 2013-08-22 2014-07-25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502606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905 2013-08-22
KR1020130099905A KR101520276B1 (ko) 2013-08-22 2013-08-22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26069A1 true WO2015026069A1 (ko) 2015-02-26

Family

ID=52483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6827 WO2015026069A1 (ko) 2013-08-22 2014-07-25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20276B1 (ko)
WO (1) WO20150260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626B1 (ko) * 2017-04-17 2021-03-08 (주)엘지하우시스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51662B1 (ko) 2019-07-11 2021-05-13 (주)크린앤사이언스 흡음제품 성형용 판재의 제조방법 및 흡음제품 성형용 판재
KR20230003792A (ko) 2021-06-30 2023-01-06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흡음재
KR20230045705A (ko) 2021-09-28 2023-04-05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흡음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897A (ja) * 1995-07-14 1997-02-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成形用クッション材、及び、その成形用クッション材を使用した積層板の成形方法
KR200293784Y1 (ko) * 2002-07-29 2002-10-31 김형배 방오(오염 방지성), 발수, 방염 기능을 가지는 흡음재
KR20040048139A (ko) * 2002-12-02 2004-06-07 주식회사 그린메이드 코코넛 섬유를 이용한 흡음 및 충진용 시이트 및 그제조방법
KR20070033310A (ko) * 2003-08-25 2007-03-26 다카야스 가부시키가이샤 흡음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897A (ja) * 1995-07-14 1997-02-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成形用クッション材、及び、その成形用クッション材を使用した積層板の成形方法
KR200293784Y1 (ko) * 2002-07-29 2002-10-31 김형배 방오(오염 방지성), 발수, 방염 기능을 가지는 흡음재
KR20040048139A (ko) * 2002-12-02 2004-06-07 주식회사 그린메이드 코코넛 섬유를 이용한 흡음 및 충진용 시이트 및 그제조방법
KR20070033310A (ko) * 2003-08-25 2007-03-26 다카야스 가부시키가이샤 흡음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0276B1 (ko) 2015-05-18
KR20150022283A (ko) 2015-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3567B1 (ko)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28422B1 (ko) 고내열 흡차음재의 성형방법
WO2015026069A1 (ko) 자동차 내장용 고내열성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39066B1 (ko) 성형성 및 외관이 우수한 흡차음재 및 이의 제조방법
CA1281980C (en) Needled fibrous composite and methods
CN104903152B (zh) 高耐热隔音吸声材料的制造方法
KR101439067B1 (ko) 흡차음재 및 이의 제조방법
EP3315389B1 (en) Vehicle underbody cov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018641B1 (ko) 팽창형 발포제를 갖는 차량용 대쉬 인슐레이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17394B1 (ko) 자동차용 고내열 흡음재의 제조방법
KR20040007629A (ko) 다밀도 라이너/절연체
US5712017A (en) Composite materials comprising a plurality of resin impregnated felt layers
WO2005084934A1 (en) Layered polymer fiber insulation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CN108278928A (zh) 一种红外隐身功能的轻量化的屏蔽方舱壁板及其制备方法
WO2019009539A2 (ko) 경량화와 흡음성이 향상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056554A1 (ko) 샌드위치 패널용 심재, 샌드위치 패널 및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
KR102632167B1 (ko) 탄소섬유 함침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6283207A (ja) 表面処理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7213479A1 (ko)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1337681A (ja) 吸音断熱インシュレ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40597A (ko)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기재 및 그 제조 방법
JPS61160237A (ja) 内装材
EP3636418B1 (en) Composite material preforming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140509B1 (ko) 차량용 언더바디 커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54215B1 (ko) 흡음성능이 개선된 차량용 헤드라이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3839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3839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