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85746A1 -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85746A1
WO2014185746A1 PCT/KR2014/004411 KR2014004411W WO2014185746A1 WO 2014185746 A1 WO2014185746 A1 WO 2014185746A1 KR 2014004411 W KR2014004411 W KR 2014004411W WO 2014185746 A1 WO2014185746 A1 WO 201418574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uide
biopsy needle
module
linear
linea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441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신동익
박경율
주세경
허수진
이현주
배성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ublication of WO201418574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8574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Device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rised tomograp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8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with vacuum aspiration, e.g. caused by retractable plunger or by connected syri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2Devices for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1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for stereotaxic surgery, e.g. frame-based stereotaxis
    • A61B90/11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for stereotaxic surgery, e.g. frame-based stereotaxis with guides for needles or instruments, e.g. arcuate slides or ball joints
    • A61B90/13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for stereotaxic surgery, e.g. frame-based stereotaxis with guides for needles or instruments, e.g. arcuate slides or ball joints guided by light, e.g. laser poin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GUIDING APPARATUS FOR BIOPSY NEEDLE)에 있어서, 테이블에 놓여진 생체검사 대상물에 선형 가이드 빔(line guide beam)을 비추어 생검 바늘(biopsy needle)이 생체검사 대상물과 진입 각도를 이루도록 정렬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 모듈;로서, 테이블을 기준으로 가이드 모듈에 대향하는 측에 위치하는 면에 선형 가이드 빔이 조사되도록 테이블에 대해 위치하는 가이드 모듈; 그리고, 가이드 모듈의 위치를 조정하는 이송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GUIDING APPARATUS FOR BIOPSY NEEDL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형 가이드 빔으로 생검 바늘을 안내하는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CT 기반 생체검사(CT-Based Biopsy)는 주위의 정상조직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종양 질환(neoplastic disease)의 병리적 진단에 필요한 견본을 뽑아내는 중재 시술(interventional procedure)로서, 부신, 췌장, 림프절 등의 후 복막, 폐 종격, 척추, 사지골 등의 부위에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CT 기반 생체검사는 고해상의 영상을 이용하여 병변 부위를 섬세하게 3차원적으로 지역화(localization) 하고 조직 내에 진입한 생검 바늘(Biopsy Needle)을 볼 수 있어서 작은 크기의 병변 감지에 용이하다. 조직이 겹쳐있는 부위에 대해서는 CT 기반 생체검사가 초음파 또는 X선 투시로 시술을 유도하는 방법에 비해 병변 감지능력이 더 우수하다. 또한, CT 기반 생체검사는 주위 조직과의 관계를 보여줌으로써 임상의가 병변 부위의 경로(route)를 설정하기가 용이하며, 다양한 환자 위치에서 시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T 기반 생체검사에서 환자 몸에 생검 바늘의 진입 각도가 중요하며, CT 촬영 등으로 사전에 진입 각도가 계산된다. CT 기반 생체검사 시술시 시술자가 생검 바늘을 조절하며, 보조자가 각도기를 사용하여 눈대중으로 생검 바늘의 각도를 판단하여 시술자에게 안내하고 있다.
이로 인해 원하는 부위까지 생검 바늘을 정확하고 안전하게 진입시키는 것에 많은 어려움이 있고, 보조자의 눈대중 안내로 인한 오차 때문에 CT 촬영 반복, 검사 시간 및 방사선 피폭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본 개시에 따른 일 태양에 의하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테이블에 놓여진 생체검사 대상물에 선형 가이드 빔(line guide beam)을 비추어 생검 바늘(biopsy needle)이 생체검사 대상물과 진입 각도를 이루도록 정렬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 모듈;로서, 테이블을 기준으로 가이드 모듈에 대향하는 측에 위치하는 면에 선형 가이드 빔이 조사되도록 테이블에 대해 위치하는 가이드 모듈; 그리고, 가이드 모듈의 위치를 조정하는 이송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선형 가이드 빔을 기준으로 시술자가 생검 바늘을 정렬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복수의 선형 레이저 발생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및 도 8은 생검 바늘의 정렬을 안내하는 선형 가이드 빔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개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선형 가이드 빔을 기준으로 시술자가 생검 바늘을 정렬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100)는 CT 겐트리(gantry)(5) 앞에 위치한 CT 테이블(table)(7) 주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100)는 생체검사 대상물(예; 사람, 동물)(10)에 선형 가이드 빔(line guide beam)(141,142,143)을 비추어 생검 바늘(biopsy needle)(300)이 생체검사 대상물(10)과 진입 각도(entry angle)(A)를 이루도록 정렬되는 것을 안내한다. 진입 각도(A)는 사람의 갈비뼈 등을 피하여 안전하고 정확하게 생검 바늘(300)이 암 조직 등 병변에 도달하도록 계산된 각도이다. 진입 각도(A)는 CT 촬영 자료 등으로부터 계산된다.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100)가 출사하는 선형 가이드 빔(141,142,143)은 대표적으로 선형 레이저가 사용된다.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100)는 선형 가이드 빔(141,142,143)의 개수를 1개, 2개, 3개 또는 그 이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100)는 CT 테이블(7) 주변을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100)는 CT 테이블(7)의 머리에 위치하여 CT 겐트리(5)의 전면과 마주하거나 CT 테이블(7)의 측방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선형 가이드 빔(141,142,143)은 CT 테이블(7) 상에 위치한 생체검사 대상물(10)에 여러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생검 바늘(300)의 다양한 진입 각도(A)에 대해 가이드 할 수 있다.
생체검사 대상물(10)과 수직을 이루는 수직면에 비친 선형 가이드 빔(141,142,143)은 생체검사 대상물(10)과 진입 각도(A)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선형 가이드 빔(141,142,143)에 나란하게 정렬된 생검 바늘(300)은 생체검사 대상물(10)과 진입 각도(A)를 이루게 된다.
진입 각도(A)는 수평면(예를 들어, CT 테이블 면)을 기준으로 측정된다. 생체검사 대상물(10)과 생검 바늘(300) 또는 선형 가이드 빔(141,142,143)이 진입 각도(A)를 이룬다는 것은 생검 바늘(300) 또는 선형 가이드 빔(141,142,143)이 수평면에 대해 진입 각도(A)를 이룬다는 의미이다. 또한, 생체검사 대상물(10)과 수직면이 수직을 이룬다는 것은 CT 테이블 면과 수직면이 수직을 이룬다는 의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CT 겐트리(5)의 전면(front face)은 CT 테이블(7) 상의 생체검사 대상물(10)과 대략 수직을 이룬다. 즉, 바람직하게는 CT 겐트리의 전면 내지 선형 가이드 빔(141,142,143이) 조사되는 면이 수직면으로 형성되지만,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선형 가이드 빔(141,142,143)이 조사되는 면이 구비되는 것으로 족하다. 또한 전체적으로 수직면으로 된 CT 겐트리의 전면이 평면이 아니어도 좋다. CT 겐트리(5)의 전면에 비친 선형 가이드 빔(141,142,143)은 생체검사 대상물(10)과 진입 각도(A)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사면은 생검과 관련하으 CT가 일반적이지만, 이외의 영상장치가 사용되거나, 별도의 구비된 조사면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시술자(15)는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100)가 제공하는 선형 가이드 빔(141,142,143)에 생검 바늘(300)을 정렬한다. 이때, 생검 바늘(300)의 측면에 선형 가이드 빔(141,142,143)이 비치고 생검 바늘(300)이 선형 가이드 빔(141,142,143)과 나란하게 정렬되는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시술자(15)는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100)의 안내에 따라 쉽고, 빠르며, 정확하게 CT 테이블(7) 위에 누워 있는 생체검사 대상물(10)에 생검 바늘(300)을 진입 각도(A)에 맞추어 진입시킬 수 있다.
이하,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1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100)는 가이드 모듈(110) 및 이송 모듈(160)을 포함한다. 가이드 모듈(110)은 선형 가이드 빔(141,142,143)을 출사하며, 이송 모듈(160)은 가이드 모듈(110)을 이송하여 수직 및 수평 위치를 조정한다.
가이드 모듈(110)은, 예를 들어, 회전 플레이트(120) 및 복수의 선형 레이저 발생부(131,132,133)를 포함한다. 복수의 선형 레이저 발생부(131,132,133)는 회전 플레이트(120)에 고정되며, 베터리(19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각 선형 가이드 빔(예; 선형 레이저)(141,142,143)을 출사한다. 회전 플레이트(120)의 회전 각도가 영(zero)일 때, 선형 가이드 빔(141,142,143)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도 영이 되도록 복수의 선형 레이저 발생부(131,132,133)가 회전 플레이트(120)에 결합한다. 회전 플레이트(12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은 가이드 모듈(110)의 회전각을 측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플레이트(12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은 직선으로 형성된다.
도 4는 복수의 선형 레이저 발생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복수의 선형 레이저 발생부(131,132,133)는 중심이 서로 다른 선상에 위치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복수의 선형 가이드 빔(141,142,143)이 중첩되지 않고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복수의 선형 레이저 발생부(131,132,133)의 간격을 변경하여 복수의 선형 가이드 빔(141,142,143)의 간격을 변경할 수 있다.
생검 바늘(300)이 진입 각도(A)로 정렬된 때에 선형 가이드 빔(141,142,143)이 생검 바늘(300)의 측면에 생검 바늘(300)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선형 가이드 빔(141,142,143)이 생검 바늘(3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도록 복수의 선형 레이저 발생부(131,132,133) 간의 간격이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복수의 레이저 발생부(131,132,133)는 각기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간격(단위; mm)으로 배열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송 모듈(160)은 가이드 모듈(110)의 위치변경을 위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 모듈(160)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직 이송부(165) 및 수평 이송부(150)를 포함한다.
수직 이송부(165)는 상하로 움직이며 가이드 모듈(110)의 높이를 조절한다. 수직 이송부(165)는 축과 축을 상하 이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이송부(150)는 수직 이송부(165)에 결합하며, 가이드 모듈(110)의 수평 이동을 조절한다. 수평 이송부(150)는 수평 레일(151) 및 연결부(155)를 포함한다. 연결부(155)는 수평 레일(151)에 설치되어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해 수평 레일(151)을 따라 움직인다.
연결부(155)는 회전축(157)을 포함하며, 회전 플레이트(120)는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157)에 결합한다. 회전축(157)은 입력되는 회전각에 따라 자동으로 회전하는 자동식으로 구성되거나 작동자의 힘으로 회전되는 수동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100)는 각도계(170)를 포함한다. 각도계(170)는 가이드 모듈(110)과 함께 이동되거나 가이드 모듈(110)과 독립하여 이송 모듈(16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는 각도계(170)가 연결부(155)에 결합하여 가이드 모듈(110)과 함께 수평 이동되는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100)가 예시되어 있다. 가이드 모듈(110)의 회전 플레이트(120)는 각도계(170)에 대해 회전하며, 회전 플레이트(120)의 하측 면이 각도계(170)에서 회전각을 가리키게 된다(도 3 참조).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100)는 수평계(180)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계(180)는 이송 모듈(160)에 설치되며 수평 이송부(150)의 수평 상태를 보여준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생체검사 대상물(10)의 굴곡 때문에 선형 가이드 빔(141,142,143)이 보이지 않는 사각 지역이 발생할 수 있다. 가이드 모듈(110)의 높이를 증가시켜 사각 지역이 발생하지 않거나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직 이송부(165)는 가이드 모듈(110)의 높이를 충분히 높일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사각을 제거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이드 모듈(110)이 경사각(B)만큼 생체검사 대상물(10)를 향하여 기울어져서 선형 가이드 빔(141,142,143)을 조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평 이송부(150)는 수직 이송부(165)에 대해 회전되어 CT 테이블(7)을 향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 이송부(150)가 회전되어 CT 테이블(7)을 향하여 기울어지면 가이드 모듈(110)도 생체검사 대상물(10)을 향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선형 가이드 빔(141,142,143)을 조사한다. 이로 인해 생체검사 대상물(10)의 굴곡에 의한 사각을 거의 제거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모듈(110)이 환자를 향해 기울어지면 CT 겐트리(5) 전면에 비친 선형 가이드 빔(141,142,143)의 회전각이 최초에 계산된 진입 각도(A)와 차이가 날 수 있다. 그러나 수평 이송부(150)가 기울어지는 각도(B)를 일정한 값 이내로 하면, 예를 들어, 대략 15도 이내로 하면 상기 차이는 오차 허용범위 내로 통제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생검 바늘의 정렬을 안내하는 선형 가이드 빔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전술한 것과 같이, 선형 가이드 빔(141,142,143)의 개수는 선형 레이저 발생부(131,132,133)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생검 바늘(300)이 생체검사 대상물(10)에 대해 진입 각도(A)로 정렬되기 위해서는 선형 가이드 빔(141,142,143)이 생검 바늘(300)의 측면에 비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7과 같이 하나의 선형 가이드 빔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선형 가이드 빔(141,142,143)을 사용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또한, 생검 바늘(300)은 몸체(310)와 바늘(330)을 포함한다. 병변 조직의 견본은 바늘(330)을 통해 몸체(310)로 추출된다.
바늘(330)이 생체검사 대상물(10)의 진입점(entry point)에 위치하고 진입 각도(A)로 배치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가운데 위치한 선형 가이드 빔(142)을 나머지 선형 가이드 빔(141,143)과 다른 색으로 형성하여 바늘(330)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가이드 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가운데 선형 가이드 빔(142)은 그린 레이저로 하고 나머지 선형 가이드 빔(141,143)은 레드 레이저로 구성한다. 선형 그린 레이저 발생부(131)는, 예를 들어, 532nm 파장, 빔직경 2.0mm, 입력전압 3V, 사이즈 12mm x 50mm 의 사양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가이드 모듈(110)은 복수의 선형 가이드 빔(141,142,143) 중 일부의 선형 가이드 빔을 점멸하여 나머지 선형 가이드 빔과 구분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모듈(110)은 2개의 선형 가이드 빔(141, 143)이 점멸하거나, 가운데 선형 가이드 빔(142)이 점멸하도록 하여 바늘(330)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가이드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8과 같이 3개의 선형 가이드 빔(141,142,143)이 생검 바늘(300)의 몸체에 형성되어 생검 바늘(300)을 진입 각도(A)로 정렬되도록 가이드 하며, 특히 생검 바늘(300)의 바늘(330)은 가운데의 그린 선형 가이드 빔(142)에 맞추어 정확히 진입점에 진입 각도(A)로 정렬된다.
본 개시에 따른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100)와 다르게 점 레이저 빔(point laser)로 생검 바늘(300)의 후면에 비추어 생검 바늘(300)을 가이드 하는 방식을 따르면, 생검 바늘(300)의 후면을 점 레이저 빔에 맞추는 것이 편리하지 못하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 또한, 점 레이저 가이드 방식의 경우 바늘이 생체검사 대상물(10)에 진입한 후에는 바늘의 끝이 점 레이저 빔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는지 직접 확인하기가 어려워 정확성에 문제가 있다.
반면, 본 개시에 따른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100)에 의하면, 바늘이 생체검사 대상물(10)에 진입한 후에도 생검 바늘(300)의 몸체에는 복수의 선형 가이드 빔(141,142,14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생검 바늘(300)이 생체검사 대상물(10)에 진입하기 전과 진입한 후 모두 정확하고 편리하게 생검 바늘(300)의 진입 각도(A)가 유지된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1000)는 스위치 패달(1850) 및 회로부(19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8에서 설명된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스위치 패달(1850)은 시술자(15)가 CT 테이블(7) 옆에서 시술하면서 직접 선형 가이드 빔(1141,1142,1143)의 온 및 오프를 통제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시술자(15)는 생검 바늘(300)의 가이드가 필요한 시점과 불필요한 시점을 선택하여 선형 가이드 빔(1141,1142,1143)을 온 및 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선형 가이드 빔(1141,1142,1143)으로 인해 눈부심이 있을 때 선형 가이드 빔(1141,1142,1143)을 일시적으로 오프 하여 눈부심을 피해 시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연결 배선(1855)은 스위치 패달(1850)과 가이드 모듈(11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스위치 패달(1850)은 시술자(15)의 발 아래에 설치된다. 시술자(15)가 발로 스위치 패달(1850)을 밟아 선형 가이드 빔(1141,1142,1143)을 온 및 오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부(1950)는 회전 플레이트(1120) 후면에 설치된다. 회로부(1950)는 외부로부터 제공된 전원을 복수의 레이저 발생부에 필요한 전원으로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패달(1850)로부터 전달된 온/오프 신호에 따라 복수의 레이저 발생부를 온 및 오프시킬 수도 있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테이블에 놓여진 생체검사 대상물에 선형 가이드 빔(line guide beam)을 비추어 생검 바늘(biopsy needle)이 생체검사 대상물과 진입 각도를 이루도록 정렬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 모듈;로서, 테이블을 기준으로 가이드 모듈에 대향하는 측에 위치하는 면에 선형 가이드 빔이 조사되도록 테이블에 대해 위치하는 가이드 모듈; 그리고, 가이드 모듈의 위치를 조정하는 이송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 가이드 모듈과 조사면이 테이블의 양단에 위치할 수도 있지만, 생검 바늘이 생체검사 대상물의 삽입점되는 점을 기준으로 마주하며 위치하는 것으로 족하다.
(2) 테이블을 기준으로 가이드 모듈에 대향하는 측에 위치하는 면은 CT 겐트리(gantry) 전면(front fac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
(3) 가이드 모듈은 서로 나란한 복수의 선형 가이드 빔을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
(4) 복수의 선형 가이드 빔 중 일부의 선형 가이드 빔의 색이 나머지 선형 가이드 빔의 색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
(5) 가이드 모듈은 복수의 선형 가이드 빔 중 일부의 선형 가이드 빔을 점멸하여 나머지 선형 가이드 빔과 구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
(6) 생검 바늘이 진입 각도로 정렬될 때, 가이드 모듈은 생검 바늘의 측면에 복수의 선형 가이드 빔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 복수의 선형 가이드 빔의 선폭은 서로 다를 수 있다. 가운데 위치한 선형 가이드 빔이 생검 바늘의 바늘을 가이드 하는 것이 좋고 가운데 위치한 선형 가이드 빔의 선폭과 빔의 강도를 다른 선형 가이드 빔의 선폭과 빔의 강도와 다르게 할 수 있다.
(7) 가이드 모듈은 각기 선형 가이드 빔을 출사하는 복수의 선형 레이저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 도 4에서는 복수의 선형 레이저 발생부 간의 간격이 고정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회전 플레이트와 복수의 레이저 발생부 사이에 미세한 간격 조절 부재를 설치하여 상황에 따라 복수의 선형 가이드 빔의 간격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8) 이송 모듈은 가이드 모듈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직 이송부; 그리고 가이드 모듈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가이드 모듈을 좌우로 이송시키는 수평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 이송 모듈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가이드 모듈의 수평 및 수직 또는 회전을 정확하게 통제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이송 모듈은 수직 이송부 및 수평 이송부를 별개로 구비하지 않고 자유롭게 휘어지는 플렉시블한 부재를 가이드 모듈에 연결할 수도 있다.
(9) 수평 이송부는 CT 테이블 위에 놓인 생체검사 대상물을 향하여 기울어질 수 있도록 수직 이송부와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
(10) 이송 모듈에 설치되는 수평계; 그리고 이송 모듈에 설치되어 가이드 모듈의 회전각을 측정하는 각도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 각도계는 기계식 각도계 대신 디지털 각도계를 가이드 모듈에 설치할 수도 있다.
(11) 가이드 모듈은 각도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수평 이송부에 결합하며, 각도계와 함께 수평 이동하는 회전 플레이트; 그리고 회전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각기 선형 가이드 빔을 출사하는 복수의 선형 레이저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
(12) 가이드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CT 테이블 주변 바닥에 위치하여 시술자가 발로 밟아 선형 가이드 빔을 온 및 오프 시키는 스위치 패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
(13) 테이블을 기준으로 가이드 모듈에 대향하는 측에 위치하는 면에 선형 가이드 빔이 진입 각도로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
본 개시에 따른 하나의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에 의하면, 생검 바늘을 쉽고 정확하게 진입 각도로 생체검사 대상물에 진입시킬 수 있어서 시술자에게 편리하며 안정적인 시술이 가능하다.
또한, 시술 시간이 단축되어 CT 촬영 횟수 및 방사선 피폭 선량이 감소한다.
또한, 눈대중으로 진입 각도를 안내하는 시술 보조자가 필요 없어서 감염 위험이 많이 감소된다.
본 개시에 따른 다른 하나의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에 의하면, CT 화면에 표시된 선형 가이드 빔의 회전각 및 스위치 패달을 사용하여 시술자가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며 정확한 시술을 할 수 있다.

Claims (14)

  1.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테이블에 놓여진 생체검사 대상물에 선형 가이드 빔(line guide beam)을 비추어 생검 바늘(biopsy needle)이 생체검사 대상물과 진입 각도를 이루도록 정렬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 모듈;로서, 테이블을 기준으로 가이드 모듈에 대향하는 측에 위치하는 면에 선형 가이드 빔이 조사되도록 테이블에 대해 위치하는 가이드 모듈; 그리고,
    가이드 모듈의 위치를 조정하는 이송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테이블을 기준으로 가이드 모듈에 대향하는 측에 위치하는 면은 CT 겐트리(gantry) 전면(front fac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이드 모듈은 서로 나란한 복수의 선형 가이드 빔을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복수의 선형 가이드 빔 중 일부의 선형 가이드 빔의 색이 나머지 선형 가이드 빔의 색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복수의 선형 가이드 빔 중 일부의 선형 가이드 빔이 점멸되어 나머지 선형 가이드 빔과 구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생검 바늘이 진입 각도로 정렬될 때, 가이드 모듈은 생검 바늘의 측면에 복수의 선형 가이드 빔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이드 모듈은 각기 선형 가이드 빔을 출사하는 복수의 선형 레이저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이송 모듈은
    가이드 모듈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직 이송부; 그리고
    가이드 모듈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가이드 모듈을 좌우로 이송시키는 수평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수평 이송부는 CT 테이블 위에 놓인 생체검사 대상물을 향하여 기울어질 수 있도록 수직 이송부와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이송 모듈에 설치되는 수평계; 그리고
    이송 모듈에 설치되어 가이드 모듈의 회전각을 측정하는 각도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가이드 모듈은
    각도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수평 이송부에 결합하며, 각도계와 함께 수평 이동하는 회전 플레이트; 그리고
    회전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각기 선형 가이드 빔을 출사하는 복수의 선형 레이저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이드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CT 테이블 주변 바닥에 위치하여 시술자가 발로 밟아 선형 가이드 빔을 온 및 오프 시키는 스위치 패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테이블을 기준으로 가이드 모듈에 대향하는 측에 위치하는 면에 선형 가이드 빔이 진입 각도로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
  14. 청구항 2에 있어서,
    테이블을 기준으로 가이드 모듈에 대향하는 측에 위치하는 면에 선형 가이드 빔이 진입 각도로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
PCT/KR2014/004411 2013-05-16 2014-05-16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 WO201418574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5670A KR101511299B1 (ko) 2013-05-16 2013-05-16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
KR10-2013-0055670 2013-05-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85746A1 true WO2014185746A1 (ko) 2014-11-20

Family

ID=51898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4411 WO2014185746A1 (ko) 2013-05-16 2014-05-16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11299B1 (ko)
WO (1) WO201418574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22274A3 (ko) * 2016-06-21 2018-02-15 큐렉소 주식회사 라인레이저가 장착된 엔드이펙터
US10667869B2 (en) 2017-05-17 2020-06-02 General Electric Company Guidance system for needle procedur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406B1 (ko) 2015-11-24 2017-08-2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조직검사용 2차원 레이저빔 주사방식 바늘 가이드장치
KR20200071392A (ko) 2018-12-11 2020-06-19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영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4281A (ja) * 1997-11-28 1999-09-14 Picker Internatl Inc 定位誘導装置
JPH11262485A (ja) * 1997-11-26 1999-09-28 Picker Internatl Inc 像形成装置及び方法
JP2002511784A (ja) * 1997-06-30 2002-04-16 ネオラッド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コンピュータ断層撮影誘導経皮的外科活動を補助する方法および機器
JP2005517487A (ja) * 2002-02-20 2005-06-1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走査面の自動的な視覚化を伴う診断装置
JP2005535382A (ja) * 2002-08-13 2005-11-24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医用デバイス位置決め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80103387A1 (en) * 2004-09-15 2008-05-01 Scientific Biospy Ltd. Breast Cancer Detection And Biopsy
US20130066232A1 (en) * 2011-09-08 2013-03-14 Stryker Leibinger Gmbh & Co., Kg Axial Surgical Trajectory Guid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1784A (ja) * 1997-06-30 2002-04-16 ネオラッド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コンピュータ断層撮影誘導経皮的外科活動を補助する方法および機器
JPH11262485A (ja) * 1997-11-26 1999-09-28 Picker Internatl Inc 像形成装置及び方法
JPH11244281A (ja) * 1997-11-28 1999-09-14 Picker Internatl Inc 定位誘導装置
JP2005517487A (ja) * 2002-02-20 2005-06-1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走査面の自動的な視覚化を伴う診断装置
JP2005535382A (ja) * 2002-08-13 2005-11-24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医用デバイス位置決め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80103387A1 (en) * 2004-09-15 2008-05-01 Scientific Biospy Ltd. Breast Cancer Detection And Biopsy
US20130066232A1 (en) * 2011-09-08 2013-03-14 Stryker Leibinger Gmbh & Co., Kg Axial Surgical Trajectory Guid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22274A3 (ko) * 2016-06-21 2018-02-15 큐렉소 주식회사 라인레이저가 장착된 엔드이펙터
JP2019520140A (ja) * 2016-06-21 2019-07-18 キュレクソ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Curexo, Inc. ラインレーザーを搭載したエンドエフェクタ
US10893916B2 (en) 2016-06-21 2021-01-19 Curexo, Inc. End effector having line laser mounted therein
US10667869B2 (en) 2017-05-17 2020-06-02 General Electric Company Guidance system for needle proced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872A (ko) 2014-11-27
KR101511299B1 (ko) 2015-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85746A1 (ko) 생검 바늘 가이드 장치
WO2019225795A1 (ko) 골절 정복 시술장치
WO2014058255A1 (en) X-ray apparatus and method of obtaining x-ray image
WO2023282585A1 (ko) 니들 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생검 시술 장치
WO2011074867A2 (ko) 구강용 스캐너
WO2015069039A1 (ko) 다수의 엑스선원들을 구비하는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
WO2012153990A2 (ko) 엑스선 촬영장치
WO2010128772A9 (ko) 초음파 치료기용 헤드, 초음파 치료기 및 초음파 치료기의 동작 방법
WO2015111979A1 (ko) 씨티 촬영 장치
KR101215917B1 (ko) X선 피폭을 감소시킨 복합디지털x선 촬영장치
WO2012115372A2 (ko)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
WO2017047933A1 (ko) X선 촬영장치
WO2013036074A2 (ko) X선 파노라마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악궁 x선 파노라마 촬영방법
WO2018174389A1 (ko) 방사선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 방법
WO2013137523A1 (ko) X선 촬영장치
US20030036692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ccess to a subsurface target
WO2020209665A1 (ko) 방사선을 이용한 진단 및 치료 장치의 방사선 중심점의 품질 보증 시스템 및 방법
WO2014054899A1 (ko) 엑스선 촬영장치
WO2012115370A2 (ko) 엑스선을 구강 외부에서 검출하는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
WO2018038299A1 (ko) 방사선 치료 시 광조사야 및 광반사체를 이용한 환자정렬 방법 및 시스템
WO2016144117A1 (ko) 구강내 센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강내 엑스선 촬영시스템
JP2021509622A (ja) 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7039201A1 (ko) 엑스레이 장비용 콜리메이터의 촬영 위치 및 영역 표시장치
WO2013069842A1 (ko) 컴퓨터 단층촬영장치
WO2017090994A1 (ko) 삼차원 안면 광학 영상과 세팔로 x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세팔로 x선 영상 획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79866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9866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