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85568A1 -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85568A1
WO2014185568A1 PCT/KR2013/004294 KR2013004294W WO2014185568A1 WO 2014185568 A1 WO2014185568 A1 WO 2014185568A1 KR 2013004294 W KR2013004294 W KR 2013004294W WO 2014185568 A1 WO2014185568 A1 WO 201418556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base plate
battery
assembly
modu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429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주한
이범현
성준엽
신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PCT/KR2013/00429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185568A1/ko
Priority to CN201380070752.9A priority patent/CN104919621B/zh
Priority to EP13884597.9A priority patent/EP2999024B1/en
Priority to US14/762,058 priority patent/US9660233B2/en
Priority to JP2015557930A priority patent/JP6120996B2/ja
Publication of WO201418556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8556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2Inorganic material
    • H01M50/224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against vibrations, collision impact or swe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72Vertically superposed cells with vertically disposed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 plate for a battery module assembly having a novel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consisting of a plat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receiving portion on which at least one battery module is mounted, and on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late A sidewall of an upwardly bent structure is formed, and the module accommodating part relates to a base plate for a battery modul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a reinforcement bead protruding toward the battery module is formed.
  • lithium secondary batteries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increasing demand for mobile devices, the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is also rapidly increasing. Among them, lithium secondary batteries with high energy density, high operating voltage, and excellent storage and life characteristics are used for various mobile devices as well as various electronic products. It is widely used as an energy source.
  • Secondary batteries are classified into roughly cylindrical cells, square cells, and pouch cells according to external and internal structural features. Among them, rectangular batteries and pouch cells having a small width to length are particularly noticeable. I am getting it.
  • the secondary battery has attracted attention as an energy source of electric vehicles, hybrid electric vehicles, etc. which are proposed as a solution for air pollution of conventional gasoline and diesel vehicles using fossil fuel. Therefore, the type of applications using the secondary battery is very diversified due to the advantages of the secondary battery, and it is expected that the secondary battery will be applied to many fields and products in the future.
  • small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PDAs, digital cameras, notebook computers, and the like are used with one or two or four small and light battery cells per device according to the miniaturization tendency of the products.
  • medium and large devices such as electric vehicles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due to the need for high output capacity, a battery module (or sometimes referred to as a "medium and large battery pack") that electrically connects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s used. Since the size and weight of R are directly relat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output of the medium and large devices, manufacturers are trying to manufacture battery modules that are as small and lightweight as possible.
  • the secondary battery may generate gas while the battery is operated in an abnormal state due to overcharge, overdischarge, overheat, external shock, and the like.
  • an overheated cell generates gas
  • the pressurized gas in the case further accelerates the decomposition reaction of the cell element, causing continuous overheating and gas generation, and swelling may occur. This phenomenon occurs even when the secondary battery gradually deteriorates due to prolonged use.
  • the battery module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pack,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pack is deformed together by swelling.
  • the conventional battery module minimizes swelling by adding a separate structure to the outermost part, but this method increases the overall volume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and causes a complicated production process. It is becoming.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technical problems that have been requested from the pas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se plate for the battery module assembly that can suppress the increase in volume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production process while preventing the deformation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by swelling by configuring a specific structure including the reinforcing beads To provid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module assembly that can be assembled in a compact (compact) structure, can be securely fixed to the inner storage member, and at the same time can achiev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the production process To provide.
  • Base plate (base plate) for a battery modu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made of a plat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receiving unit on which at least one battery module is mounted, the at least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late A sidewall of an upwardly bent structure is formed, and the module accommodating por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reinforcing beads protruding toward the battery module are formed.
  • the base plate for the battery module assembly prevents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from being deformed during swelling without including a separate supporting structure due to the reinforcing beads, and is more compact. You can configure the assembly.
  • the battery cell may be a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or a pouch secondary battery,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sealed in a rectangular metal case
  •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may specificall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sealed in a laminate sheet including a resin layer and a metal layer.
  • the secondary battery may preferably be a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high energy density, discharge voltage, and output stability. Other components of such a lithium secondary battery will be briefly described below.
  •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composed of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 separator, a lithium salt-containing nonaqueous electrolyte, and the like.
  • the positive electrode is produced by, for example, applying a mixture of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conductive material, and a binder onto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followed by drying, and further, a filler may be further added as necessary.
  • the negative electrode is also manufactured by coating and drying a mixture of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binder on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if necessary, the components as described above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separator is interposed between the cathode and the anode, and an insulating thin film having high ion permeability and mechanical strength is used.
  • the lithium salt-containing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consists of a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and a lithium salt, and a liquid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a solid electrolyte, an inorganic solid electrolyte, and the like are used as the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 the current collector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the binder, the filler, the separator, the electrolyte, the lithium salt, and the like are known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 Such lithium secondary batteries may be prepared by conventional methods known in the art. That is, it may be prepared by inserting a porous separator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and injecting the electrolyte therein.
  • the positive electrode may be manufactured by, for example, applying a slurry containing the lithium transition metal oxide active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and the binder described above onto a current collector and then drying.
  • the negative electrode can be prepared by, for example, applying a slurry containing the above-described carbon active material, a conductive material and a binder onto a thin current collector and then drying it.
  • the battery cells in the battery module may be a structure that is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 the parallel connection may be a structure achieved by a 'b' or 'c' shaped bus bar, bu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electrode terminals of battery cells without a separate bus bar.
  • the battery cells are preferably fixed to a cartridge frame, and the battery module may have a stacked structure of cartridge frames.
  • This cartridge frame is a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rigidity, which protects the battery cells from external shocks and ensures stable mounting of the battery cells.
  • the battery cells are arranged so that the electrode leads face one side, thereby facilitating electrical parallel connection by the bus bar.
  • the battery cell electrode leads making an electrical parallel connection by the bus bar are connected to an electrode terminal, and the electrode terminal may be preferably formed on the same surface as one side of the electrode leads. Accordingly, the battery module, in which the battery cells are fixed by the cartridge frame and assembled by stacking the cartridge frame, facilitates a detection member for voltage measurement as well as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attery modules by electrode terminals formed on one side thereof. Can be installed.
  • the plate may be, for example, made of a plate of metal material.
  • two or more battery modules are mounted on the base plate, a plate-like member moun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s and fastened to the battery modules, the assembly including a cable fixing for fixing the cable It may further comprise an assembly cover.
  • the battery modules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fasteners for fastening with the assembly cover are formed. Therefore, since the battery module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on the base plate and can be fastened with the assembly cover, it is possible to achieve a more robust and stable fixing effect.
  • the fastening of the battery module and the assembly cover achieved through the fasteners may be fastening by bolts or rivet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reinforcing beads preferably, may be a size of 10 to 400% of the thickness of the base plate. If the height is too small, it is difficult to exert the effect of the formation of the reinforcing beads, if it is too large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 volume increases as a whole. More preferred protrusion height may be 30 to 300% of the thickness of the base plate.
  • the reinforcing beads are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reinforcing beads,
  • a planar circular main bead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module accommodating portion and receiving a central stress
  • Auxiliary beads of planar circular shapes each positioned at the corners of the module housing and relatively smaller in size than the main beads;
  • Connection beads extending from the main bead to respective auxiliary beads
  • the main bead has a relatively large radius compared to the auxiliary bead to effectively accommodate the expansion stress applied in the battery cell or battery module, for example, the radius of the main bead is 1.5 of the radius of the auxiliary bead To 10 time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attery module assembly comprising the base plate for the battery module assembly.
  • the battery module assembly is the battery module assembly
  • Two or more battery modules including two or more plate-shaped battery cells vertically stacked so that the electrode leads are aligned in one direction;
  • An upper cover plate including sidewalls bent downward on both sides of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battery module and fixed on the base plate to form an upper surface of the module assembly;
  • reinforcing beads protruding toward the battery module may be formed in the upper cover plate.
  • the reinforcing beads of the upper cover plate may preferably have a planar X-shape to improve its rigidit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deformation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without including a separate support structure by the reinforcing beads of the base plate and the upper cover plate located at the outermost part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 the battery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ically insulating module cover mounted on the electrode leads of the battery cell and fastened and fixed to the base plate and the assembly cover.
  • the module cover can protect the electrode leads of the battery cell from external impact, and is made of an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thereby achieving the effect of electrically separating from the outside.
  • the module cover preferably, a first hook (hook) for fixing the cable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battery module (hook), a position fixing upward projection to be fixed to the assembly cover, and a second fixed to the battery module It may include a hook.
  • the first hook includes a cable terminal and at least one protrusion that can hold and secure the cable. Accordingly, in the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cable terminal and the cable,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cable terminal and the cable binding portion from moving out or rotating the cable terminal in place. In addition, due to this effect, in the battery module assembly assembly process, it is possible to perform a faster battery module assembly, it is possible to ensure a safer production process.
  • the module cover includes a battery module and a second hook which is easily removable, so that the assembly process of the battery module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in assembling the battery module.
  • the module cover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rigidity, the plate-shaped battery cells stacked inside the battery module may be integrated into one and at the same time may achieve an effect of protecting from an external shock.
  • the module cover includes an upward protrusion that can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assembly cover, the battery module integrated by the module cover may be seated and fixed integrally with the assembly cover.
  • the module cover may further include a bushing insert for mounting and fixing to the base plate.
  • the module cover further includes a bushing insert for fastening and fixing together with the upper cover plate and the base plate, and is fastened and fixed by the bushing and the fastening member inserted into the bushing insert.
  • the fastening member may preferably be a bol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battery module integrated with the module cover is stably mounted and fixed to the base plate by the bushing insertion hole, thereby achieving a stable and desired level of self rigidity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 the base plate and the upper cover plate may be a structure that is fixed via a bracket (bracket).
  • one side of the bracket is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base plate, preferably can be coupled by welding, the other side can be coupled to the side wall of the upper cover plate in a fastening manner.
  • the fastening method with the upper cover plate is preferably a method using self-elastic deformation of the upper cover plate, and forms a protrusion on the side wall of the upper cover plate, and an indentation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bracket. Formed on, may be a fastening method by combining them.
  • the protrusion and the indentation include fastener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as fastening members through the fasteners.
  • the upper cover plate can be easily seated on the bracket by its elasticity, thereby further facilitating the fastening assembly proces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evice comprising the battery module assembly as a power source, the device specifically, emergency power supply, computer room power supply, portable power supply, medical equipment power supply,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power supply, alarm equipment It may be a power supply device or an evacuation facility power supply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FIG. 1 is a plan view of a pouch-type battery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cell of Figure 1 is mounted on the cartridge frame;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ttery module stacked and assembled by the cartridge frame of FIG. 2;
  • FIGS.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mounting of the module cover to the battery module of Figure 3;
  • FIG. 6 is a front view of a module co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front view of a base pl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racket mounted on the base plate of FIG. 7;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ck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ttery module seated on a base plate of FIG. 7;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y co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ssembly cover is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of FIG. 10;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hape in which an upper cover plate is mounted on the base plate of FIG. 7.
  • FIG. 1 is a plan view of a plate-shaped battery cell 10 in which electrode leads 11 and 12 are formed at one end thereof.
  • the battery cell 10 is a plate-shaped battery cell 10 in which electrode leads 11 and 12 are formed at one end thereof.
  • the plate-shaped battery cell 10 has a structure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not shown) is built in the pouch-type case 13 of the laminate sheet including a metal layer (not shown) and a resin layer (not shown). Usually this is referred to as a pouch-type battery cell 10.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cells 10, 20 are mounted to the cartridge frame 31
  • Figure 3 is a view of the battery module 100 assembled by the cartridge frames (31-38) A perspective view is shown.
  • the battery cells 10 and 20 are mounted in the cartridge frame 31, and these cartridge frames 31-38 are mounted on the cartridge frame top cover 111 and the cartridge frame bottom cover 112.
  • By bolt fastening (121, 122, 123, 124) is fixed to form one battery module (100).
  • the electrode leads 11 and 12 of the battery cells 10 and 20 mounted inside the cartridge frames 31 to 38 are aligned to one side of the battery module 100, and the 'c' shaped bus bars 131 and 141 are electrically connected in parallel.
  • the electrode leads 11 and 12 electrically connected in parallel are connected to the positive terminal 130 and the negative terminal 140, respectively.
  • FIGS.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mounting of the module cover 200 to the battery module 100 of Figure 3
  • Figure 6 shows a module co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nt view is shown.
  • protrusions 151 and 152 of a hook structure are formed at both side edges of one side of the battery module 100 in which the module cover 200 is mounted.
  • a second hook 211 and 212 having a size that fits the protrusions 151 and 152 is formed in the module cover 200 mount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 this hook structure is a structure that is very easy to remove, in the assembly process of the battery module 10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y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dule cover 200 includes position fixing upward protrusions 251 and 252 which are engaged with and fixed to the assembly cover 500.
  • the module cover 200 includes a bushing insertion hole 220, and is more firmly fixed through the fastener 523 of the assembly cover 500.
  • FIG. 7 is a front view of a bas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racket 400 is mounted on the base plate 300 of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cket 4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se plate 300 is made of a metal plat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301, 302, 303, 304) for mounting the battery modules (not shown).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etal sheet, that is, the side walls 330 of the structure bent upwardly opposite to each other is formed, the reinforcing beads protruding toward the battery module in the module housing (301, 302, 303, 304) 340 is formed.
  • the reinforcement bead 340 includes a planar circular main bead 341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module accommodating parts 301, 302, 303, and 304 to receive an expansion stress in the center; Planar circular auxiliary beads 342 located at corners of the module accommodating parts 301, 302, 303, and 304, respectively, and smaller than the main bead 341; And connecting beads 343 extending from the main bead 341 to respective auxiliary beads 342; It includes.
  • the protruding height h of the reinforcing bead 340 is about 150% of the thickness W of the base plate 300, and the radius R of the main bead 341 is the radius r of the auxiliary bead.
  • the main bead 341 mainly receives the expansion stress in the center thereof, and interlocks with the connection bead 343 and the auxiliary bead 342 to effectively receive the overall expansion stress.
  • bracket 400 is bonded to the side wall 330 of the structure bent upwar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late 300 by welding.
  • the bracket 400 includes a weld coupling portion 420 welded to the side wall 330 of the base plate 300, indentations 401, 402, and 403 coupled to the upper cover plate (not shown) in a fastening manner. Fasteners 411, 412, and 413 formed in the indents 401, 402, and 403 are formed.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modules 101, 102, 103, and 104 are seated on the base plate 300 of FIG. 7, and in FIG. 11, an assembly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perspective view of 500 is shown.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ssembly cover is moun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of FIG. 7.
  • the battery modules 101, 102, 103, and 104 are mounted on the module accommodating parts 301, 302, 303, and 304 of the base plate 300, respectively.
  • the seated battery modules 101, 102, 103, 104 are mounted and fixed by the assembly cover 500.
  • the fasteners 512 and 540 of the assembly cover 500 are fastened and fixed to the upwardly projecting fasteners 321 and 322 of the base plate 300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hereto.
  • the upward protrusions 251 and 252 are engaged with the fastening fasteners 521 and 522 of the assembly cover 50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cover 200 of the battery modules 101, 102, 103 and 104. Is formed. These fastening fasteners 521, 522 allow the battery modules 101, 102, 103, 104 to be mounted in place of the assembly cover 500.
  • the battery modules 101, 102, 103, and 104 seated and fixed in position by this method may include a bushing (not shown) mounted in the bushing insertion hole 220 and the bushing insertion hole 220 formed in the module cover 200. Is fixed again by bolting). Specifically, the bolt passing through the fastener 523 of the assembly cover 500 and the bushing insertion hole 220 of the module cover 200 is fastened to fasten the fastening fasteners 311, 312, 313, and 134 of the base plate. As a result, the battery modules 101, 102, 103, 104 fixed to the module cover 200 are more firmly fixed.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hape in which the upper cover plate 800 is mounted on the base plate 300 of FIG. 7.
  • the upper cover plate 800 is fixed on the base plate 300 to form an upper surface of the module assembly, and the side walls 810 that are bent downward on opposite outer peripheral surfaces thereof. ) And is coupled by a bracket 400 mounted to the base plate 300.
  • the upper cover plate 800 protrudes toward the battery module 101, 102, 103, 104, and has a planar X-shaped reinforcement bead 82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to improve its rigidity, and along the edg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 a plurality of vents 830 are formed.
  • the upper cover plate 800 includes indents 401, 402, 403 and protrusions 811, 812, 813 formed in the bracket 400.
  • These protrusions 811, 812, 813 include fasteners 411, 412, 413 of the indents 401, 402, 403, respectively, and fasteners (not shown) that can be fastened by bolts.
  • the fastening method of the upper cover plate 800 and the bracket 400 uses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upper cover plate 800, so that the upper cover plate 800 is easily fixed to the bracket 400 by its own elasticity. Since it is possible to fasten, through this fastening assembly process can be made easier.
  • the base plate for the battery module assembly comprises a structure including a reinforcing bead, while preventing the deformation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by swelling, while suppressing the volume increase and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production process Can be.
  • the battery module assembly including the base plate can be assembled in a compact structure, it is possible to stably fix the inner receiving members, and at the same time, to achiev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the production proc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이 탑재되는 모듈 수납부가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판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판재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 상향 절곡된 구조의 측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듈 수납부에는 전지모듈 쪽으로 돌출된 보강 비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
본 발명은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이 탑재되는 모듈 수납부가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판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판재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 상향 절곡된 구조의 측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듈 수납부에는 전지모듈 쪽으로 돌출된 보강 비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의 증가로, 이차전지의 수요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에너지 밀도와 작동전압이 높고 보존과 수명 특성이 우수한 리튬 이차전지는 각종 모바일 기기는 물론 다양한 전자 제품들의 에너지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차전지는 외부 및 내부의 구조적 특징에 따라 대략 원통형 전지, 각형 전지 및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되며, 그 중에서도 높은 집적도로 적층될 수 있고, 길이 대비 작은 폭을 가진 각형 전지와 파우치형 전지가 특히 주목받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에너지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에플리케이션의 종류는 이차전지의 장점으로 인해 매우 다양화되어 가고 있으며, 향후에는 지금보다는 많은 분야와 제품들에 이차전지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이차전지의 적용 분야와 제품들이 다양화됨에 따라, 전지의 종류 또한 그에 알맞은 출력과 용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화되고 있다. 더불어, 당해 분야 및 제품들에 적용되는 전지들은 소형 경량화가 강력히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 PDA,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소형 모바일 기기들은 해당 제품들의 소형 경박화 경향에 따라 그에 상응하도록 디바이스 1 대당 하나 또는 두서너 개의 소형 경량을 가진 전지셀들이 사용되고 있다. 반면에,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들은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전지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전지모듈(또는 "중대형 전지팩"으로 칭하기도 함)이 사용되고 있는데, 전지모듈의 크기와 중량은 당해 중대형 디바이스 등의 수용 공간 및 출력 등에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으므로, 제조업체들은 가능한 한 소형이면서 경량의 전지모듈을 제조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전지모듈에서 이차전지는 과충전, 과방전, 과열,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전지가 비정상적인 상태로 작동되면서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열된 전지는 가스를 발생시키고 케이스에서 가압된 가스는 전지요소의 분해반응을 더욱 촉진시켜 계속적인 과열 및 가스 발생을 유발하며, 스웰링(swell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장기간의 사용으로 인해 이차전지가 서서히 열화되는 과정에서도 나타난다. 이 때, 전지모듈이 전지팩 외면과 직접 접촉하는 구조의 경우, 스웰링에 의해 전지팩 외면이 함께 변형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전지모듈에는 최외곽에 별도의 구조물을 추가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스웰링을 최소화 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전지모듈 어셈블리 전체 부피를 증가시키고 생산 공정을 복잡하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강 비드를 포함하는 특정한 구조를 구성함으로써, 스웰링에 의한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부피 증가를 억제하고 생산 공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콤팩트(compact)한 구조로 조립할 수 있고, 내부 수납 부재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생산 공정의 안전성 및 효율성 증대 효과를 함께 달성할 수 있는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는,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이 탑재되는 모듈 수납부가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판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판재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 상향 절곡된 구조의 측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듈 수납부에는 전지모듈 쪽으로 돌출된 보강 비드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보강 비드로 인해, 별도의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지 않고도 스웰링 시 전지모듈의 외면이 변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보다 콤팩트한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전지셀은 각형 이차전지 또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일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각형 이차전지는 각형의 금속 케이스에 전극조립체가 밀봉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고,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구체적으로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에 전극조립체가 밀봉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는 바람직하게는 높은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및 출력 안정성의 리튬 이차전지일 수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의 기타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이하에서 간단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분리막, 리튬염 함유 비수 전해액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극은, 예를 들어,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의 혼합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제조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충진제를 더 첨가하기도 한다. 음극은 또한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 활물질과 바인더의 혼합물을 도포, 건조하여 제작되며, 필요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성분들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분리막은 음극과 양극 사이에 개재되며, 높은 이온 투과도와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절연성의 얇은 박막이 사용된다.
리튬염 함유 비수계 전해액은, 비수 전해액과 리튬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비수 전해액으로는 액상 비수 전해액, 고체 전해질, 무기 고체 전해질 등이 사용된다.
상기 집전체, 전극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 충진제, 분리막, 전해액, 리튬염 등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한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즉, 양극과 음극 사이에 다공성 분리막을 삽입하고 거기에 전해액을 주입하여 제조할 수 있다.
양극은,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리튬 전이 금속 산화물 활물질과 도전재 및 결합제를 함유한 슬러리를 집전체 위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음극은,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탄소 활물질과 도전재 및 결합제를 함유한 슬러리를 얇은 집전체 위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전지모듈에서 전지셀들은 상호 병렬 연결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병렬 연결은 'ㄱ'자형 또는 'ㄷ'자형 버스 바(bus bar)에 의해 달성되는 구조일 수 있지만 별도의 버스 바 없이 전지셀들의 전극단자들을 직접 연결할 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지셀들은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 프레임(cartridge frame)에 고정되고, 상기 전지모듈은 카트리지 프레임들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카트리지 프레임은 소정의 강성을 갖는 구조물로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전지셀들을 보호하고, 전지셀들의 안정적인 장착을 보장한다. 또한, 카트리지 프레임에 의해 상기 전지셀들은 전극 리드들이 일 측면을 향하도록 배열됨으로써, 상기 버스 바에 의한 전기적 병렬 연결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 바에 의해 전기적 병렬 연결을 이루는 전지셀 전극 리드들은 전극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전극단자는 바람직하게, 전극 리드들이 배열된 일 측면과 동일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지셀들이 카트리지 프레임에 의해 고정되고 카트리지 프레임의 적층에 의해 조립된 전지모듈은, 일 측면에 형성된 전극단자에 의해 전지모듈들 상호간의 전기적 연결뿐만 아니라, 전압 측정을 위한 검출부재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상기 판재는, 예를 들어, 금속 소재의 판재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둘 이상의 전지모듈들이 탑재되고, 상기 전지모듈들의 상면에 탑재되고 전지모듈들에 체결 결합되는 판상형 부재로서,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고정부를 포함하고 있는 어셈블리 커버(assembly cover)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어셈블리 커버의 장착에 의해, 전지모듈을 베이스 플레이트 내부 수납부에 안정적으로 장착 고정할 수 있으며,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구성시 전체의 강성을 증대시키고, 이와 더불어 베이스 플레이트 내부에 수납되는 케이블들을 안정적으로 체결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전지모듈들에는 어셈블리 커버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들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지모듈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모듈 수납부의 상면에 탑재됨과 동시에 어셈블리 커버와 체결될 수 있으므로,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인 고정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구들을 통해 달성되는 전지모듈과 어셈블리 커버와의 체결은, 바람직하게, 볼트 또는 리벳에 의한 체결일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보강 비드의 돌출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 대비 10 내지 400%의 크기일 수 있다. 상기 높이가 너무 작은 경우에는 보강 비드의 형성에 따른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고, 너무 큰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부피가 증가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더욱 바람직한 돌출 높이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 대비 30 내지 300%의 크기일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보강 비드는,
모듈 수납부의 중앙에 위치하며 중앙의 응력을 수용하는 평면상 원형의 메인 비드(main bead);
모듈 수납부의 모서리 부위에 각각 위치하고 메인 비드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평면상 원형의 보조 비드들(auxiliary beads); 및
상기 메인 비드로부터 각각의 보조 비드들로 연장되어 있는 연결 비드들(connection beads);
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비드에 의해 가장 많이 집중되는 중앙의 응력을 수용하면서, 연결 비드 및 보조 비드에 의해 응력이 사방으로 분산되므로 매우 바람직하다.
상기 구조에서, 전지셀 또는 전지모듈에서 인가되는 팽창 응력을 효과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상기 메인 비드는 보조 비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반경을 갖는 바, 예를 들어, 메인 비드의 반경은 보조 비드의 반경의 1.5 내지 10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는,
전극 리드들이 일측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수직 적층된 둘 이상의 판상형 전지셀들을 포함하고 있는 둘 이상의 전지모듈들; 및
전지모듈의 전극단자를 기준으로 양측에 하향 절곡된 측벽을 포함하고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고정되어 모듈 어셈블리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upper cover plate);
를 포함하고 있다.
즉, 전지모듈의 안정적인 고정 및 상부 커버 플레이트 등과 같은 구성 부품들의 장착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생산 공정의 효율성 증대 효과와 더불어 안전성 증대 효과를 함께 달성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에도 전지모듈 쪽으로 돌출된 보강 비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의 보강 비드는 자체 강성의 향상을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평면상 X자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최외곽에 위치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부 커버 플레이트의 보강 비드에 의해 별도의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지 않고도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지모듈은, 전지셀의 전극 리드들 상에 장착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와 어셈블리 커버에 체결 고정되는 전기 절연성의 모듈 커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듈 커버는 전지셀의 전극 리드들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바, 전기 절연성 소재로 구성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전기적으로 이격시키는 효과를 더불어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모듈 커버는, 바람직하게는, 전지모듈의 전극단자와 연결되는 케이블을 고정하는 제 1 후크(hook), 상기 어셈블리 커버에 맞물려 고정되는 위치고정용 상향 돌기, 및 전지모듈에 장착 고정되는 제 2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후크는, 케이블 단자 및 케이블을 잡아 고정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케이블 단자 및 케이블과의 전기적 연결시, 케이블 단자 및 케이블 결속부가 외부로 이탈하거나, 케이블 단자가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효과로 인해 전지모듈 어셈블리 조립 공정에서, 더욱 빠른 전지모듈 조립을 수행할 수 있으며, 더욱 안전한 생산 공정을 담보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모듈 커버는, 전지모듈과 착탈이 용이한 제 2 후크를 포함하고 있어서, 전지모듈을 조립함에 있어 전지모듈의 조립 공정을 더욱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커버는, 소정의 강성을 가지는 소재로 제작되는 바, 전지모듈 내부에 적층된 판상형 전지셀들을 하나로 일체화 시킴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모듈 커버는 어셈블리 커버의 일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상향 돌기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모듈 커버에 의해 일체화된 전지모듈은 어셈블리 커버와 일체형으로 안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커버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 고정되기 위한 부싱(bushing) 삽입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듈 커버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와 함께 체결 고정되기 위한 부싱 삽입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바, 상기 부싱 삽입구에 삽입된 부싱 및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상기 체결 부재는 바람직하게 볼트일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커버와 함께 일체화된 전지모듈은, 상기 부싱 삽입구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정적으로 장착 고정되므로,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안정적이고 소망하는 수준의 자체 강성을 달성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부 커버 플레이트는 브라켓(bracket)를 경유하여 고정되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라켓은 일측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벽에 장착 고정되는 바, 바람직하게는 용접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타측이 상부 커버 플레이트의 측벽에 체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와의 체결 방식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의 자체 탄성 변형을 이용한 방식으로서, 상부 커버 플레이트의 측벽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크기의 만입부를 상기 브라켓의 측벽에 형성하여, 이들의 결합에 의한 체결 방식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 및 만입부에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구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체결구를 통해 체결 부재로서 상호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커버 플레이트는 자체 탄성에 의해 브라켓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체결 조립 공정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전원으로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바, 상기 디바이스는 구체적으로, 비상용 전원장치, 전산실 전원장치, 휴대용 전원장치, 의료설비 전원장치, 소화설비 전원장치, 경보설비 전원장치 또는 피난설비 전원장치일 수 있지만, 이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디바이스의 구조 및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셀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지셀이 카트리지 프레임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카트리지 프레임에 의해 적층되어 조립된 전지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및 도 5는 도 3의 전지모듈에 모듈 커버를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 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브라켓이 장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전지모듈을 안착시킨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전지모듈 상단면에 어셈블리 커버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7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상부 커버 플레이트를 장착한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전극 리드들(11, 12)이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판상형 전지셀(1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지셀(10)은 전극 리드들(11, 12)이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판상형 전지셀(10)이다. 구체적으로 판상형 전지셀(10)은 금속층(도시하지 않음)과 수지층(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13)에 전극조립체(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는 구조이며, 통상적으로 이를 파우치형 전지셀(10)로 통칭한다.
도 2에는 전지셀들(10, 20)이 카트리지 프레임(31)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카트리지 프레임들(31-38)에 의해 조립된 전지모듈(1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전지셀들(10, 20)은 카트리지 프레임(31)에 장착되고, 이러한 카트리지 프레임들(31-38)은 카트리지 프레임 상단 커버(111) 및 카트리지 프레임 하단 커버(112)에 의해 볼트 체결(121, 122, 123, 124)되어 고정되어 하나의 전지모듈(100)을 이룬다. 또한, 카트리지 프레임들(31-38) 내부에 장착된 전지셀들(10, 20)의 전극 리드들(11, 12)은 전지모듈(100)의 일 측면에 정렬되고, 'ㄷ'자형 버스 바들(131, 141)에 의해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된다. 또한, 이렇게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된 전극 리드들(11, 12)은 각각 양극 단자(130) 및 음극 단자(140)에 연결된다.
도 4 및 도 5에는 도 3의 전지모듈(100)에 모듈 커버(200)를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 커버(200)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전지모듈(100)의 모듈 커버(200)가 장착되는 일 측면의 양측 모서리에는 후크 구조의 돌출부(151, 15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되는 모듈 커버(200)에는 돌출부(151, 152)에 들어맞는 크기의 제 2 후크(211, 21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후크 구조는 착탈이 매우 용이한 구조이므로, 전지모듈(100)의 조립 공정에 있어서,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도 11과 함께 참조하면, 모듈 커버(200)는 어셈블리 커버(500)에 맞물려 고정되는 위치고정용 상향 돌기들(251, 252)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모듈 커버(200)는 부싱 삽입구(220)를 포함하고 있어, 어셈블리 커버(500)의 체결구(523)를 통해 더욱 견고히 고정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7의 베이스 플레이트(300)에 브라켓(400)이 장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4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300)에는 전지모듈들(도시하지 않음)을 탑재할 수 있는 수납부들(301, 302, 303, 304)이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금속 판재로 이루어져 있다. 금속 판재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 즉, 상호 대향하는 양측 외주면에 상향 절곡된 구조의 측벽(330)이 형성되어 있으며, 모듈 수납부(301, 302, 303, 304)에는 전지모듈 쪽으로 돌출된 보강 비드(340)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보강 비드(340)는, 모듈 수납부(301, 302, 303, 304)의 중앙에 위치하며 중앙의 팽창 응력을 수용하는 평면상 원형의 메인 비드(341); 모듈 수납부(301, 302, 303, 304)의 모서리 부위에 각각 위치하고 메인 비드(34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평면상 원형의 보조 비드들(342); 및 메인 비드(341)로부터 각각의 보조 비드들(342)로 연장되어 있는 연결 비드들(343); 을 포함한다.
이 때, 보강 비드(340)의 돌출 높이(h)는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두께(W) 대비 약 150%의 크기이고, 메인 비드(341)의 반경(R)은 보조 비드의 반경(r)의 약 4배로 형성되어 있어서, 중앙의 팽창 응력을 메인 비드(341)가 주로 수용하면서, 연결 비드(343) 및 보조 비드(342)와 연동하여 전체적인 팽창 응력을 효과적으로 수용한다.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하단면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체결부들(311, 312, 313, 1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300) 외주면에 상향 절곡된 구조의 측벽(330)에는 브라켓(400)이 용접에 의해 결속되어 있다.
브라켓(400)에는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측벽(330)과 용접 결속되는 용접 결합부(420), 상부 커버 플레이트(도시하지 않음)와 체결 방식으로 결합되는 만입부들(401, 402, 403) 및 각 만입부들(401, 402, 403)에 형성된 체결구들(411, 412, 413)이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는 도 7의 베이스 플레이트(300)에 전지모듈들(101, 102, 103, 104)을 안착시킨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 커버(5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는 도 7의 전지모듈 상단면에 어셈블리 커버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도 6 내지 도 8과 함께 참조하면, 전지모듈들(101, 102, 103, 104)은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모듈 수납부들(301, 302, 303, 304)에 각각 안착된다. 안착된 전지모듈들(101, 102, 103, 104)은 어셈블리 커버(500)에 의해 장착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어셈블리 커버(500)의 체결구들(512, 540)은,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상향 돌출형 체결구들(321, 322)에 체결 고정된다.
전지모듈들(101, 102, 103, 104)의 모듈 커버(200)의 상부면에는 어셈블리 커버(500)의 위치고정용 체결구들(521, 522)에 맞물려 고정되는 상향 돌기들(251, 25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고정용 체결구들(521, 522)은 전지모듈들(101, 102, 103, 104)로 하여금 어셈블리 커버(500)의 정위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정위치에 안착 고정된 전지모듈들(101, 102, 103, 104)은, 모듈 커버(200)에 형성된 부싱 삽입구(220) 및 부싱 삽입구(220) 내에 장착된 부싱(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볼트 체결에 의해 또다시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어셈블리 커버(500)의 체결구(523), 모듈 커버(200)의 부싱 삽입구(220)를 관통한 볼트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향 돌출형 체결구들(311, 312, 313, 134) 체결 고정됨으로써, 모듈 커버(200)에 고정된 전지모듈들(101, 102, 103, 104)을 더욱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도 13에는 도 7의 베이스 플레이트(300)에 상부 커버 플레이트(800)를 장착한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을 도 8 및 도 9와 함께 참조하면, 상부 커버 플레이트(800)는 베이스 플레이트(300) 상에 고정되어 모듈 어셈블리의 상면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호 대향하는 양측 외주면에는 하향 절곡된 측벽(810)을 포함하고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300)에 장착된 브라켓(400)에 의해 결합된다.
상부 커버 플레이트에(800)는 전지모듈(101, 102, 103, 104) 쪽으로 돌출되어 외부 표면에 자체 강성 향상을 위한 평면상 X자 형상의 보강 비드(8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 모서리를 따라 다수의 통풍구들(83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부 커버 플레이트(800)에는 브라켓(400)에 형성되어 있는 만입부들(401, 402, 403)과 대응하는 돌출부들(811, 812, 813)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돌출부들(811, 812, 813)은 각각 만입부들(401, 402, 403)의 체결구들(411, 412, 413)과 볼트에 의해 체결될 수 있는 체결구들(도시하지 않음) 각각 포함한다.
상부 커버 플레이트(800)와 브라켓(400)의 체결 방식은, 상부 커버 플레이트(800)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는 바, 상부 커버 플레이트(800)를 자체 탄성에 의해 브라켓(400)에 용이하게 정위치 안착할 수 있는 체결 방식이므로, 이를 통해 체결 조립 공정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는 보강 비드를 포함하는 구조를 구성함으로써, 스웰링에 의한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부피 증가를 억제하고 생산 공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한 전지모듈 어셈블리는 콤팩트 한 구조로 조립할 수 있고, 내부 수납 부재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생산 공정의 안전성 및 효율성 증대 효과를 함께 달성할 수 있다.

Claims (23)

  1.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이 탑재되는 모듈 수납부가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판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판재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 상향 절곡된 구조의 측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듈 수납부에는 전지모듈 쪽으로 돌출된 보강 비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각형 이차전지 또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에 전극조립체가 밀봉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에서 전지셀들은 병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 연결은 'ㄱ'자형 또는 'ㄷ'자형 버스 바(busbar)에 의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들은 카트리지 프레임(cartridge frame)에 고정되고, 상기 전지모듈은 카트리지 프레임들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금속 소재의 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둘 이상의 전지모듈들이 탑재되고, 상기 전지모듈들의 상면에 탑재되고 전지모듈들에 체결 결합되는 판상형 부재로서,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고정부를 포함하고 있는 어셈블리 커버(assembly cover)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들에는 어셈블리 커버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비드의 돌출 높이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 대비 10 내지 400%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비드는,
    모듈 수납부의 중앙에 위치하며 중앙의 응력을 수용하는 평면상 원형의 메인 비드;
    모듈 수납부의 모서리 부위에 각각 위치하고 메인 비드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평면상 원형의 보조 비드들; 및
    상기 메인 비드로부터 각각의 보조 비드들로 연장되어 있는 연결 비드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비드의 반경은 보조 비드의 반경의 1.5 내지 1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는,
    전극 리드들이 일측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수직 적층된 둘 이상의 판상형 전지셀들을 포함하고 있는 둘 이상의 전지모듈들; 및
    전지모듈의 전극단자를 기준으로 양측에 하향 절곡된 측벽을 포함하고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고정되어 모듈 어셈블리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upper cover plate);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에는 전지모듈 쪽으로 돌출된 보강 비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의 보강 비드는 평면상 X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은, 전지셀의 전극 리드들 상에 장착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와 어셈블리 커버에 체결 고정되는 전기 절연성의 모듈 커버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커버는, 전지모듈의 전극단자와 연결되는 케이블을 고정하는 제 1 후크(hook), 상기 어셈블리 커버에 맞물려 고정되는 위치고정용 상향 돌기, 및 전지모듈에 장착 고정되는 제 2 후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커버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 고정되기 위한 부싱(bushing) 삽입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부 커버 플레이트는 브라켓(bracket)를 경유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일측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벽에 용접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고, 타측이 상부 커버 플레이트의 측벽에 체결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22. 제 13 항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전원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비상용 전원장치, 전산실 전원장치, 휴대용 전원장치, 의료설비 전원장치, 소화설비 전원장치, 경보설비 전원장치 또는 피난설비 전원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PCT/KR2013/004294 2013-05-15 2013-05-15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 WO2014185568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4294 WO2014185568A1 (ko) 2013-05-15 2013-05-15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
CN201380070752.9A CN104919621B (zh) 2013-05-15 2013-05-15 具有新型结构的电池模块组件底板
EP13884597.9A EP2999024B1 (en) 2013-05-15 2013-05-15 Base plate for battery module assembly having novel structure
US14/762,058 US9660233B2 (en) 2013-05-15 2013-05-15 Base plate of battery module assembly with novel structure
JP2015557930A JP6120996B2 (ja) 2013-05-15 2013-05-15 新規な構造の電池モジュールアセンブリー用ベースプレー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4294 WO2014185568A1 (ko) 2013-05-15 2013-05-15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85568A1 true WO2014185568A1 (ko) 2014-11-20

Family

ID=51898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4294 WO2014185568A1 (ko) 2013-05-15 2013-05-15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60233B2 (ko)
EP (1) EP2999024B1 (ko)
JP (1) JP6120996B2 (ko)
CN (1) CN104919621B (ko)
WO (1) WO20141855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11857A (ja) * 2019-08-07 2022-02-01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表面凹凸構造を有する電池パックカバー及びそれを含む電池パッ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347B1 (ko) 2017-11-14 2020-09-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 가압형 엔드 플레이트와 확장형 센싱 하우징 구조가 적용된 배터리 모듈
KR102360951B1 (ko) 2019-01-17 2022-02-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저장 장치
KR20210046339A (ko) * 2019-10-18 2021-04-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모듈 및 이을 포함하는 전지 팩
KR20210118527A (ko) * 2020-03-23 2021-10-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된 요철 패턴이 형성된 전지 모듈 커버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US11745681B2 (en) * 2020-11-30 2023-09-05 Nissan North America, Inc. Battery bracket assembly for a vehicle
WO2023049507A2 (en) 2021-09-27 2023-03-30 Quantumscape Battery, Inc. Electrochemical stack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JP7470730B2 (ja) 2022-03-30 2024-04-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41457A1 (en) * 2005-12-19 2007-06-21 Nissan Motor Co., Ltd. Battery module
US20080138698A1 (en) * 2006-12-11 2008-06-12 Nissan Motor Co., Ltd. Battery module
US20110014512A1 (en) * 2008-02-29 2011-01-20 Nissan Motor Co., Ltd.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battery module
JP2011100619A (ja) * 2009-11-05 2011-05-19 Sanyo Electric Co Ltd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並びに防水ケース
KR20130042430A (ko) * 2011-10-18 2013-04-2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배터리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0834B1 (en) * 1999-09-16 2001-05-15 Daimlerchrysler Corporation Battery mounting system
US6521371B1 (en) * 2000-11-28 2003-02-18 Richard A. Lavanture Battery tray
KR101141057B1 (ko) 2007-06-28 2012-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대형 전지팩
US9083029B2 (en) * 2009-12-23 2015-07-14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JP2011175743A (ja) * 2010-02-23 2011-09-08 Sanyo Electric Co Ltd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
CN102893426A (zh) 2010-09-20 2013-01-23 丰田自动车株式会社 二次电池用组装托盘及二次电池的制造方法
KR101293952B1 (ko) * 2010-11-23 2013-08-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버스 바 어셈블리
WO2012140727A1 (ja) * 2011-04-12 2012-10-18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二次電池モジュール
WO2012158150A1 (en) * 2011-05-13 2012-11-22 Husqvarna Consumer Outdoor Products N.A., Inc. Vehicle battery storage compartment
JP5776345B2 (ja) * 2011-06-09 2015-09-09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モジュール、電子機器、電力システムおよび電動車両
AT511669B1 (de) 2011-06-30 2015-06-15 Avl List Gmbh Wiederaufladbare elektrische batterie
JP6136230B2 (ja) * 2012-01-16 2017-05-31 株式会社Gsユアサ 組電池及び電源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41457A1 (en) * 2005-12-19 2007-06-21 Nissan Motor Co., Ltd. Battery module
US20080138698A1 (en) * 2006-12-11 2008-06-12 Nissan Motor Co., Ltd. Battery module
US20110014512A1 (en) * 2008-02-29 2011-01-20 Nissan Motor Co., Ltd.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battery module
JP2011100619A (ja) * 2009-11-05 2011-05-19 Sanyo Electric Co Ltd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並びに防水ケース
KR20130042430A (ko) * 2011-10-18 2013-04-2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배터리 모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2999024A4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11857A (ja) * 2019-08-07 2022-02-01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表面凹凸構造を有する電池パックカバー及びそれを含む電池パック
JP7195438B2 (ja) 2019-08-07 2022-12-23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表面凹凸構造を有する電池パックカバー及びそれを含む電池パ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99024A1 (en) 2016-03-23
EP2999024B1 (en) 2017-03-08
JP6120996B2 (ja) 2017-04-26
CN104919621B (zh) 2017-10-24
US9660233B2 (en) 2017-05-23
CN104919621A (zh) 2015-09-16
JP2016514344A (ja) 2016-05-19
US20160156004A1 (en) 2016-06-02
EP2999024A4 (en)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85567A1 (ko)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어셈블리
WO2014185568A1 (ko)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
WO2015016566A1 (ko) 전지모듈 어셈블리
KR101478707B1 (ko)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
WO2013089470A1 (ko) 신뢰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KR101287107B1 (ko) 연결부재를 가지는 전지 모듈
WO2015016557A1 (ko) 냉매 유로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WO2015026202A1 (ko) 연결 구조의 변경이 용이한 적층형 전지모듈
WO2015080466A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16032092A1 (ko) 전지모듈
WO2014185566A1 (ko)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어셈블리
KR101459400B1 (ko) 전지모듈 어셈블리
WO2017217641A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자동차
JP2011108652A (ja) バッテリ・パック、自動車、バッテリ・パックの補強方法、及びバッテリ・パックの形成方法
WO2015046725A1 (ko) 전기 절연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382543B1 (ko)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어셈블리
KR20130116446A (ko) 신규한 구조의 외부 입출력 케이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WO2015046832A1 (ko) 보호회로모듈 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16056776A1 (ko)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
JP2023503870A (ja) 電池セル、電池モジュール、電池パック、電池セルを電源とするデバイス、および電池セルの組立て方法
WO2023060657A1 (zh) 电池、用电装置、制备电池的方法和装置
WO2024117786A1 (ko) 배터리 팩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23123048A1 (zh) 电池、用电设备、制备电池的方法和设备
KR20230164598A (ko) 전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845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62058

Country of ref document: US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8845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8845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557930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