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2430A -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2430A
KR20130042430A KR1020120045310A KR20120045310A KR20130042430A KR 20130042430 A KR20130042430 A KR 20130042430A KR 1020120045310 A KR1020120045310 A KR 1020120045310A KR 20120045310 A KR20120045310 A KR 20120045310A KR 20130042430 A KR20130042430 A KR 20130042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bus bar
battery module
battery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4826B1 (ko
Inventor
임동훈
황재일
주승훈
김덕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42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2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배터리 모듈은 적층 배열되고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배터리 셀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하면에 알루미늄 패널이 고정되어 있는 복수개의 파티션, 상기 카트리지 중 최상부에 위치하는 카트리지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커버, 및 상기 카트리지 중 최하부에 위치하는 카트리지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상기 파티션, 상기 상부커버, 및 상기 하부커버가 장볼트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배터리 모듈{Battery Module and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having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ㅇ대형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배터리셀이 적층되는 사이에 양측면에 알루미늄 패널이 구비되어 있는 파티션을 구비하여 조립이 간편하고, 배터리 셀을 안정적으로 보호하고 생산성이 높은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이차 전지는 디지털 카메라, 셀룰라 폰, 노트북,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첨단 분야의 개발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이차 전지로는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메탈 하이드라이드 전지, 니켈-수소 전지, 리튬 이차 전지를 들 수 있다. 이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작동 전압이 3.6V 이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다수개를 직렬 연결하여 고출력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사용되는데,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메탈 하이드라이드 전지에 비하여 작동 전압이 3배가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의 특성도 우수하여 급속도로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리튬 이차 전지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가능한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리튬 이온 전지에 주로 사용되는 원통형(cylinder type) 및 각형(prismatic type)을 들 수 있다. 최근 들어 각광받는 리튬 폴리머 전지는 유연성을 지닌 파우치형(pouched type)으로 제조되어서, 그형상이 비교적 자유롭다.
이러한, 파우치형 리튬 폴리머 전지(이하, "파우치형 셀"이라고 함)는 쉽게 휘어지거나 구부러질 수 있기 때문에 견고한 케이스 장치로 보호해 주어야 장시간 사용할 수 있으나, 종래에는 이러한 직렬 연결을 위해 각 파우치의 전극탭을 회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PCB(Printed Circuit Board; 인쇄회로기판)에 의해 연결하고 이를 케이스에 담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파우치형 셀을 적층하여 고출력 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방법에 따르면, 연약한 구조인 파우치형 셀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고 파우치형 셀을 다수 적층하여 PCB로 연결하는 방식도 완전하지 않아 외부 충격 등의 환경 변화에 강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고출력 전원으로 사용되는 리튬 전지를 구성하는 파우치형 셀을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적층하고, 이들을 신뢰성 있게 직렬 연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공개특허 제2006-0102207의 "고출력 리튬 2차 전지용 케이스"가 있다.
도1을 참조하면, 공개특허 제2006-0102207의 "고출력 리튬 2차 전지용 케이스"는 파우치(11) 및 전극탭(12)으로 구성된 파우치형 셀(10)의 파우치(11)를 지지하는 파우치 지지프레임(21)과, 상기 파우치 지지프레임(21)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파우치(11)에서 발생하는 열을 배출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선반형의 방열부(22)와, 상기 방열부(22)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파우치형 셀(10)의 전극탭(12)을 지지하는 벽(wall)형의 탭지지부(23)를 포함한다.
도2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고출력 리튬 2차 전지용케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파우치형 셀(10)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적층한 전지 모듈(30)을 제작할 수 있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전지 모듈(30)은 상기 파우치 셀(10)의 양측면에 상기 파우치 지지프레임(21)을 결합하여, 제작공정이 복잡하여 조립성과 생산성이 우수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6-010220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립성과 생산성이 우수하고, 배터리 셀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은 적층 배열되고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배터리 셀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하면에 알루미늄 패널이 고정되어 있는 복수개의 파티션, 상기 배터리 셀 중 최상부에 위치하는 배터리 셀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커버, 및 상기 배터리 셀 중 최하부에 위치하는 배터리 셀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상기 파티션, 상기 상부커버, 및 상기 하부커버가 장볼트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셀은 전극탭부에 'ㄱ'자 형상의 버스바가 용접되고, 상기 버스바는 버스바홀이 형성되어 있어, 인접한 상기 배터리 셀의 버스바와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버스바홀과 상기 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버스바삽입홀에 단볼트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티션은 양측면에 패널고정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패널홀에 상기 패널고정돌출부가 삽입되어 상기 패널이 상기 파티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티션은 파티션A, 파티션B, 및 파티션C를 포함하되, 상기 파티션A는 상기 파티션 중 최하단에 위치하며, 각 모서리 측면에 배터리모듈고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티션 B는 상기 파티션 중 중앙에 위치하며, 온도센서장착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온도센서 장착부에 온도센서가 위치되며, 상기 파티션 C는 상기 파티션 A와 상기 파티션 B를 제외한 파티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티션A는 PPS(Polyphenylene Sulfide)에 GF(Glass Fiver)를 40% 포함한 것으로 제작되고, 상기 파티션 중 상기 파티션A를 제외한 파티션은 mPPO(modifide Polyphenylene Oxide)에 GF(Glass Fiver)를 20%포함한 것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모듈의 전면부에 PCB가 설치되고, 상기 PCB는 복수개의 상기 버스바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온도센서가 연결되어 온도데이터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모듈은 상기 PCB를 보호하고, 전면에 위치하는 전면커버와, 후면에 위치하여 상기 배터리 셀을 보호하는 후면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중·대형 배터리모듈은 상기 배터리모듈을 복수개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모듈은 이웃하는 배터리모듈과 외부버스바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버스바는 버스바보호부재로 상기 외부버스바를 감싸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스바보호부재는 상부버스바보호부재와 하부버스바보호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버스바보호부재는 상기 외부버스바의 전체면을 덮고, 상기 하부버스바보호부재는 상기 외부버스바의 양 단부를 제외하고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ㅇ대형 배터리모듈은 상기 배터리모듈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차단부재는 공기차단패드, 상부커버차단부재, 및 하부커버차단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차단부재와 상기 하부커버차단부재 사이에 상기 공기차단패드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배터리 모듈은 복수개의 배터리셀이 적층되는 사이에 양측면에 알루미늄 패널이 구비되어 있는 파티션을 구비하여 조립성과 생산성이 우수하고, 배터리 셀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파티션의 재질을 달리하여 배터리모듈의 내구성을 향상 시키며, 배터리 탭을 볼트로 연결함으로서 용접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공기차단부재를 포함하여, 배터리모듈간의 진동을 흡수하고,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버스바에 버스바보호부재를 장착함으로써, 외부버스바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로부터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고출력 리튬 2차 전지용케이스를 사용한 2차 전지 분해사시도.
도2는 종래의 고출력 리튬 2차 전지용케이스를 사용한 전지 모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배터리 셀의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배터리 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는 도4A의 B-B'의 단면도
도 5B는 도4B의 C-C'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파티션의 분해도 및 부분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파티션 A, 파티션 B, 및 파티션 C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파티션 B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의 부분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의 분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이 연결된 중·대형 배터리모듈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이 연결된 중·대형 배터리모듈의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이 외부버스바를 이용하여 연결된 중·대형 배터리모듈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외부버스바의 분해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공기차단부재를 포함하는 중·대형 배터리모듈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공기차단부재의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10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1000)은 복수개의 배터리 셀(100), 복수개의 카트리지(130), 복수개의 파티션(200), 상부커버(510), 및 하부커버(520)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셀(100)은 적층 배열되고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카트리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배터리셀(100)이 안착되어 있다.
상기 파티션(200)은 상기 카트리지(130)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ㅇ하면에 알루미늄 패널(210)이 고정된다.
상기 상부커버(510)는 상기 카트리지(130) 중 최상부에 위치하는 카트리지(130)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하부커버(520)는 상기 카트리지(130) 중 최하부에 위치하는 카트리지(130)의 하부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카트리지(130), 상기 파티션(200), 상기 상부커버(510), 및 상기 하부커버(520)는 홀이 형성되어 있어, 장볼트(310)에 의해서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파티션(200)과 상기 카트리지(13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상기 배터리 모듈(1000)을 조립하여 조립공정을 단축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배터리 셀(100)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배터리 셀(100) 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의 배터리 셀(100)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배터리 셀(100) 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셀(100)은 전극탭부(110)에 'ㄱ'자 형상의 버스바(120)가 용접되고, 상기 버스바(120)는 버스바홀(121)이 형성되어 있어(도 4a 참조), 인접한 상기 배터리 셀(100)의 버스바(120)와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버스바홀(121)과 상기 파티션(200)에 형성되어 있는 버스바삽입홀(212)에 단볼트(32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도 4b 참조).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버스바(120)와 인접한 상기 버스바(120)가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경우, 상기 버스바(12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버스바홀(121)과 상기 버스바(120)와 인접한 상기 버스바(12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버스바홀(121)이 서로 겹쳐지게 결합되어 상기 단볼트(320)가 삽입되어 서로 고정되며, 상기 단볼트(320)가 상기 파티션(200)에 형성되어 있는 버스바삽입홀(212)에 삽입되어 상기 버스바(120)가 상기 파티션(200)의 일측에 고정된다.(도 5참조)
따라서, 상기 버스바(12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있어서, 용접을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단볼트(320)를 삽입하여 연결하는 구성으로 용접불량에 의한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조립을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파티션(200)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파티션A(220), 파티션 B(230), 및 파티션 C(240)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파티션 B(23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티션(200)은 양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고정돌출부(2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알루미늄패널(210)에 패널홀(21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패널홀(211)에 상기 패널고정돌출부(213)가 삽입되어, 상기 알루미늄패널(210)이 상기 파티션(200)에 고정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티션(200)은 상기 배터리 모듈(1000)에 위치하는 곳에 따라, 파티션 A(220), 파티션 B(230), 및 파티션 C(240)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파티션 A(220)는 상기 파티션(200) 중 최하단에 위치하며, 각 모서리 측면에 배터리모듈고정부(2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221)는 상기 배터리모듈(1000)과 이웃하는 상기 배터리모듈(1000)을 서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파티션 B(230)는 상기 파티션(200) 중 중앙에 위치하며, 온도센서장착부(23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온도센서장착부(231)에 온도센서(232)가 위치하며, 상기 온도센서(232)는 후술되는 PCB(400)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모듈(1000)의 내부온도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도 8 참조)
상기 파티션 C(240)는 상기 파티션A(22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221)가 없고, 상기 파티션B(23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온도센서장착부(231)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티션A(220)는 PPS(Polyphenylene Sulfide)에 GF(Glass Fiver)를 40% 포함한 것으로 제작되고, 상기 파티션(200) 중 상기 파티션A(220)를 제외한 파티션 B(230)와 상기 파티션 C(240)는 mPPO(modifide Polyphenylene Oxide)에 GF(Glass Fiver)를 20%포함한 것으로 제작된다.
즉, 상기 파티션A(220)는 상기 배터리모듈(1000)을 고정하는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221)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파티션B(230)와 상기 파티션 C(240)보다 강도가 높은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1000)의 부분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모듈(1000)은 상기 배터리 셀(100)이 적층되어 있으며, 인접하는 상기 배터리 셀(100)과 상기 버스바(120)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버스바(120)는 상기 파티션(200)에 형성되어 있는 버스바삽입홀(212)에 상기 단볼트(32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1000)의 분해도이다.
상기 배터리모듈(1000)의 전면부에는 PCB(400)가 설치되며, 상기 PCB(400)는 상기 배터리모듈(100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버스바(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압을 측정하며, 상기 온도센서(232)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모듈(1000)의 내부온도 데이터를 받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모듈(1000)의 전면부에 전면커버(530)가 설치되어, 상기 PCB(400)와 상기 배터리 셀(10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배터리모듈(1000)의 후면부에는 후면커버(540)가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 셀(10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1000)이 연결되어 있는 중ㅇ대형 배터리모듈(10)을 나타내는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상기 배터리 모듈(1000)은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1000)이 결합하여 중ㅇ대형 배터리 모듈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 모듈(1000)과 이웃하는 배터리 모듈(1000)은 상기 파티션 A(22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221)가 연결되어 서로 고정되며(도 11 참조), 외부버스바(600)가 이웃하는 배터리 모듈(10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중ㅇ대형 배터리모듈(10)로 사용할 수 있다.(도 12와 도 13 참조)
도 1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외부버스바(600)의 형태와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외부버스바(600)는 버스바보호부재(610)로 상기 외부버스바(600)를 감싸, 상기 외부버스바(6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여, 파손 및 부식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버스바(600)가 전기적으로 상기 배터리모듈(1000) 간에 연결되기 때문에, 전도성이 없는 플라스틱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스바보호부재(610)는 상부버스바보호부재(611)와 하부버스바보호부재(612)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버스바보호부재(611)는 상기 외부버스바(600)의 전체면을 덮고, 상기 하부버스바보호부재(612)는 상기 외부버스바(600)의 양 단부를 제외하고 덮는다.
이때, 상기 상부버스바보호부재(611)가 상기 외부버스바(600)의 전면을 덮고 있어, 전기가 흐르고 있는 상기 외부버스바(600)에 사용자가 접촉되어 전기적인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버스바(600)는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배터리모듈(100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5와 도 1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공기차단부재의 형태와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중·대형 배터리모듈(10)은 상기 배터리모듈(1000)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차단부재(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상기 공기차단부재(700)는 공기차단패드(710), 상부커버차단부재(721), 및 하부커버차단부재(722)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커버차단부재(721)와 상기 하부커버차단부재(722) 사이에 상기 공기차단패드(710)가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위치한다.
이때, 상기 공기차단부재(700)는 상기 배터리모듈(100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배터리모듈(1000) 사이에 이격된 공간에 공기를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배터리모듈(1000)이 진동을 흡수하여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차단부재(7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모듈(1000)의 형태에 따라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1000)은 복수개의 배터리 셀(100)이 적층되는 사이에 양측면에 상기 알루미늄패널(210)이 구비되어 있는 상기 파티션(200)을 구비하여 조립성과 생산성이 우수하고, 상기 배터리 셀(100)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티션(200)의 재질을 달리하여 배터리모듈(1000)의 내구성을 향상 시키며, 상기 전극탭부(110)를 상기 단볼트(320)로 연결함으로서 용접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차단부재(700)를 포함하여, 상기 배터리모듈(1000)간의 진동을 흡수하고,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버스바(600)에 버스바보호부재(610)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외부버스바(6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로부터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 중대형 배터리모듈
1000 : 배터리 모듈
100 : 배터리 셀 110 : 전극탭부
120 : 버스바 121 : 버스바홀
130 : 카트리지
200 : 파티션 210 : 알루미늄 패널
211 : 패널홀 212 : 버스바삽입홀
213 : 패널고정돌출부
220 : 파티션A 221 : 배터리모듈고정부
230 : 파티션B 231 : 온도센서장착부
232 : 온도센서
240 : 파티션C 250 : 파티션D
300 : 고정부재
310 : 장볼트 320 : 단볼트
400 : PCB
510 : 상부커버 520 : 하부커버
530 : 전면커버 540 : 후면커버
600 : 외부버스바 610 : 버스바보호부재
611 : 상부버스바보호부재 612 : 하부버스바보호부재
700 : 공기차단부재 710 : 공기차단패드
720 : 커버차단부재 721 : 상부커버차단부재
722 : 하부커버차단부재

Claims (12)

  1. 적층 배열되고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배터리 셀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하면에 알루미늄 패널이 고정되어 있는 복수개의 파티션;
    상기 카트리지 중 최상부에 위치하는 카트리지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커버; 및
    상기 카트리지 중 최하부에 위치하는 카트리지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상기 파티션, 상기 상부커버, 및 상기 하부커버가 장볼트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은 전극탭부에 'ㄱ'자 형상의 버스바가 용접되고, 상기 버스바는 버스바홀이 형성되어 있어, 인접한 상기 배터리 셀의 버스바와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버스바홀과 상기 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버스바삽입홀에 단볼트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은 양측면에 패널고정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패널홀에 상기 패널고정돌출부가 삽입되어 상기 패널이 상기 파티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은 파티션A, 파티션B, 및 파티션C를 포함하되,
    상기 파티션A는 상기 파티션 중 최하단에 위치하며, 각 모서리 측면에 배터리모듈고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티션 B는 상기 파티션 중 중앙에 위치하며, 온도센서장착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온도센서 장착부에 온도센서가 위치되며
    상기 파티션 C는 상기 파티션 A와 상기 파티션 B를 제외한 파티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A는 PPS(Polyphenylene Sulfide)에 GF(Glass Fiver)를 40% 포함한 것으로 제작되고,
    상기 파티션 중 상기 파티션A를 제외한 파티션은 mPPO(modifide Polyphenylene Oxide)에 GF(Glass Fiver)를 20%포함한 것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모듈의 전면부에 PCB가 설치되고, 상기 PCB는 복수개의 상기 버스바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온도센서가 연결되어 온도데이터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모듈은 상기 PCB를 보호하고, 전면에 위치하는 전면커버와, 후면에 위치하여 상기 배터리 셀을 보호하는 후면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모듈을 복수개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모듈은 이웃하는 배터리모듈과 외부버스바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배터리모듈.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버스바는 버스바보호부재로 상기 외부버스바를 감싸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배터리모듈.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보호부재는 상부버스바보호부재와 하부버스바보호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버스바보호부재는 상기 외부버스바의 전체면을 덮고, 상기 하부버스바보호부재는 상기 외부버스바의 양 단부를 제외하고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배터리모듈.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중·대형 배터리모듈은 상기 배터리모듈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배터리모듈.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차단부재는 공기차단패드, 상부커버차단부재, 및 하부커버차단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차단부재와 상기 하부커버차단부재 사이에 상기 공기차단패드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배터리모듈.
KR1020120045310A 2011-10-18 2012-04-30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배터리 모듈 KR1019448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475 2011-10-18
KR20110106475 2011-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430A true KR20130042430A (ko) 2013-04-26
KR101944826B1 KR101944826B1 (ko) 2019-04-17

Family

ID=48441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310A KR101944826B1 (ko) 2011-10-18 2012-04-30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배터리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826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5568A1 (ko) * 2013-05-15 2014-1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
WO2015046635A1 (ko) * 2013-09-24 2015-04-0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배터리 모듈
WO2015064902A1 (ko) * 2013-10-29 2015-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개선된 체결구조를 갖는 센싱 모듈을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
KR20150055255A (ko) * 2013-11-13 2015-05-21 에스케이배터리시스템즈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KR20170066896A (ko) * 2015-12-07 2017-06-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용 전압 센싱 블록
WO2017099347A1 (ko) * 2015-12-09 2017-06-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09103032A (zh) * 2018-09-12 2018-12-28 张拉社 一种超级电容器及动力电池的端盖防爆阀总成
CN109216049A (zh) * 2018-09-12 2019-01-15 张拉社 一种超级电容器及动力电池的壳体端盖总成
CN109466519A (zh) * 2018-11-13 2019-03-15 淮海机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车电池的稳定组件
KR20190056039A (ko) * 2017-11-16 2019-05-24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모듈
US11901530B2 (en) 2019-02-08 2024-02-13 Sk On Co., Ltd. Battery module including bus bar assembly sidely disposed on electrode tabs of battery cell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039A (ko) * 2020-01-15 2021-07-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방염 시트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시스템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6427A (ja) * 2003-10-10 2005-04-28 Nissan Motor Co Ltd 組電池
JP2005222699A (ja) * 2004-02-03 2005-08-18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組電池
KR20060039377A (ko) * 2004-11-02 2006-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팩의 전지 전압 및 온도 측정용 부재
KR20060102207A (ko) 2005-03-23 2006-09-27 에스케이 주식회사 고출력 리튬 2차 전지용 케이스
KR20070091387A (ko) * 2006-03-06 2007-09-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대형 전지모듈
JP2008123800A (ja) * 2006-11-10 2008-05-29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JP2009537946A (ja) * 2006-05-15 2009-10-29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防水機能を有するbms
KR20100027731A (ko) * 2008-09-03 2010-03-11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버스 바 구비 리튬 2차 전지 단위 셋 및 버스 바 구비 리튬2차 전지 셋
KR20110112082A (ko) * 2010-04-06 2011-10-12 (주)브이이엔에스 배터리모듈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6427A (ja) * 2003-10-10 2005-04-28 Nissan Motor Co Ltd 組電池
JP2005222699A (ja) * 2004-02-03 2005-08-18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組電池
KR20060039377A (ko) * 2004-11-02 2006-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팩의 전지 전압 및 온도 측정용 부재
KR20060102207A (ko) 2005-03-23 2006-09-27 에스케이 주식회사 고출력 리튬 2차 전지용 케이스
KR20070091387A (ko) * 2006-03-06 2007-09-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대형 전지모듈
JP2009537946A (ja) * 2006-05-15 2009-10-29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防水機能を有するbms
JP2008123800A (ja) * 2006-11-10 2008-05-29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KR20100027731A (ko) * 2008-09-03 2010-03-11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버스 바 구비 리튬 2차 전지 단위 셋 및 버스 바 구비 리튬2차 전지 셋
KR20110112082A (ko) * 2010-04-06 2011-10-12 (주)브이이엔에스 배터리모듈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5568A1 (ko) * 2013-05-15 2014-1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
US9660233B2 (en) 2013-05-15 2017-05-23 Lg Chem, Ltd. Base plate of battery module assembly with novel structure
WO2015046635A1 (ko) * 2013-09-24 2015-04-0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배터리 모듈
WO2015064902A1 (ko) * 2013-10-29 2015-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개선된 체결구조를 갖는 센싱 모듈을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
US9412993B2 (en) 2013-10-29 2016-08-09 Lg Chem, Ltd. Battery module equipped with sensing modules having improved coupling structure
KR20150055255A (ko) * 2013-11-13 2015-05-21 에스케이배터리시스템즈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KR20170066896A (ko) * 2015-12-07 2017-06-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용 전압 센싱 블록
WO2017099347A1 (ko) * 2015-12-09 2017-06-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10665831B2 (en) 2015-12-09 2020-05-26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KR20190056039A (ko) * 2017-11-16 2019-05-24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모듈
CN109103032A (zh) * 2018-09-12 2018-12-28 张拉社 一种超级电容器及动力电池的端盖防爆阀总成
CN109216049A (zh) * 2018-09-12 2019-01-15 张拉社 一种超级电容器及动力电池的壳体端盖总成
CN109466519A (zh) * 2018-11-13 2019-03-15 淮海机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车电池的稳定组件
CN109466519B (zh) * 2018-11-13 2022-02-11 淮海机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车电池的稳定组件
US11901530B2 (en) 2019-02-08 2024-02-13 Sk On Co., Ltd. Battery module including bus bar assembly sidely disposed on electrode tabs of battery cell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4826B1 (ko) 2019-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826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배터리 모듈
KR101835582B1 (ko) 배터리 팩
US11139529B2 (en) Cylindrical battery cell assembly with improved space utilization and safety,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EP2615664B1 (en) Power source unit
KR101680709B1 (ko) 배터리 모듈 케이스
KR100876458B1 (ko) 신규한 구조의 전지 카트리지와 그것을 포함하고 있는개방형 전지 모듈
EP2615663B1 (en) Battery module and power source unit
JP5259599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インタフェース
KR101816813B1 (ko) 파우치형 셀 케이스
JP2021501447A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KR101281811B1 (ko)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전지팩
US20100248004A1 (en) Battery pack
KR101305218B1 (ko) 중공 구조의 고정부재와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EP2615662B1 (en) Power source unit comprising an electric device
KR101979371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A2751053A1 (en) Cell cartridge with a composite intercell connecting net structure
US20220247046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KR101897822B1 (ko) 배터리 팩
KR20180132338A (ko) 배터리 팩과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20210133886A (ko)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101501431B1 (ko) 파우치형 전지셀이 내장되어 있는 각형화된 전지셀
KR101036060B1 (ko)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KR20130062543A (ko) 2차 전지의 파우치형 배터리 셀 모듈
KR101913375B1 (ko) 배터리 모듈
KR101047991B1 (ko) 수용부가 형성된 엔드프레임을 갖는 리튬 2차 전지 케이스 및 수용부가 형성된 엔드프레임을 갖는 리튬 2차 전지 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