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63263A1 - 모종 식재장치 - Google Patents

모종 식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63263A1
WO2014163263A1 PCT/KR2013/009287 KR2013009287W WO2014163263A1 WO 2014163263 A1 WO2014163263 A1 WO 2014163263A1 KR 2013009287 W KR2013009287 W KR 2013009287W WO 2014163263 A1 WO2014163263 A1 WO 201416326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lanting
unit
height
link
seed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928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두영
Original Assignee
Lee Doo-Young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3723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298212B1/ko
Application filed by Lee Doo-Young filed Critical Lee Doo-Young
Publication of WO201416326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6326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edling plan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he planting unit is independently lifted by self-weight and self-weight repulsion along the planting surface, while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independently by the linkage between the driving unit and the planting uni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edling planting device that allows the seedlings on the planting surface to be planted to a certain depth.
  • crops such as lettuce, cabbage, cucumber, pepper, etc. grown in the field germinate seeds in a certain shape of the bed, and seedlings grown to a certain height on the bed are seedlings by a seedling planting device (commonly called a seedling transplanter). It is to be transplanted to this arable land.
  • a seedling planting device commonly called a seedling transplanter
  • the conventional seedling transplanter has a problem that the seedling transplanting depth in the actual planting surface is not uniform because the planting portion is lifted according to the plane state that the wheel of the drive unit moves while the planting portion is interlocked with the driving portion.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6-0121835 (Name: Vegetable transplanter) has been proposed as a seedling transplanter to cope with this problem, but in the known art, the implantation depth of the seedling is applied to the abdominal wheel or suppressor wheel, which is a lifting sensor. And the detection operation of the lift sensor is transmitted to the lift valve, which is a rather complicated configuration, which is not only easy to manage and handle due to frequent failures, but also increases the manufacturing and purchasing cost burden. Since the seedling implantation depth by the sensor should be at least 5 mm, there is a problem that is not applicable to the seedling of a lower height.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ve along the planting surface planting seedlings, while the planting portion is elevated by its own weight independently of the drive unit, so that even if the planting surface is uneven
  • the main objective is to provide a seedling planting apparatus that allows seedlings to be planted to a depth.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edling planting device that allows the planting part to be more easily lifted by the spring stress when lowered by its own weight so that smooth running can be stably performed.
  • the seedling planting apparatus including a planting unit and an operation unit for planting the seedlings by raising and lowering the seedling take-out part by the drive unit provided as an engine and the transmission and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drive unit.
  • a height adjusting unit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compaction roller connected to a lower side while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planting unit between the driving unit and the planting unit;
  • a link unit connecting the driving unit and the height adjusting unit to be rotatable so that each end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and the driving unit can be independently elevated;
  • It is a structure including a load support part provided to buffer.
  •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lanting portion and the linking brackets respectively;
  • a tubular outer fixing pipe integrally coupled to the connection bracket and provided at a constant height;
  • An inner movable tube having a lower end integrally fixed to a roller connection bracket connected to the compaction roller in an inner side of the outer fixing tube and provided to be elevated;
  • An inner moving tube attach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moving tube;
  • the shaft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outer fixing tube, the handle is fixed to the shaft end portion protru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outer fixing tube to enable the rotation opera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penetrating the interior of the inner moving tube to form a screw thread It is screwed with the spiral portion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figuration,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shaft to make the height adjustment is made while the inner movable pipe is elevated to a certain height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handle.
  • the link unit is provided with a pair of upper and lower links, respectively, with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and the upper link is rotatably pinned to the lower end of the load supporting part.
  • the fixed connecting portion is a lower end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e unit, the support for horizontal ben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rearward;
  • the upp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end portion horizontally bent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while forming a guide hole of a long hole on the lower side plate surface is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guide plate provided as a predetermined height.
  • the lifting support is provided between the guide plate on both sides of the lifting channel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through the guide hole of the guide plate and the pin is coupled with the link of the link portion;
  • Between the lower end bolt head of the adjustment bol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channel is provided a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djusting bolt to be made of a coupling of the buffer spring to cushion the falling shock of the elevating channel in conjunction with the load of the planting portion.
  • the seedling pla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planting part moving along the planting surface to be independently lifted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so that the seedlings can be stably formed at a constant depth along the planting surface having various heights.
  •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planting portion to rise more easily by the spring stress in response to its own weight, so that more stable and smooth seedlings are made.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cover roller to be elevated along the planting surface with the compaction roller so that the depth of the soil covering the seedlings can be kept constan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eedling pla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seedling pla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seedling pla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fixed connection portion and the load supporting portion of the seedling pla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load supporting portion of the seedling pla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main part operation structur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anting portion is located above the drive unit in the process of planting seedl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main part operation structur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anting portion is located below the driving unit in the process of planting seedl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structural diagram illustrating a buffering action by a lifting channel of a load supporting part in the operating state of FIG. 7;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eedling pla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ain configuration of the seedling pla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driving part 10, a planting part 20, an operation part 30, a height adjusting part 40, a link part 50, a fixed connection part 60, and a load supporting part 70. Configuration.
  • the driving unit 10 and the planting unit 20 and the operation unit 30 are well known techniques already known through the prior art,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between the driving unit 10 and the planting unit 20.
  • the driving unit 10 and the planting unit 20 can vibrate and lift up and down independently when moving along the planting surface and the ground of the furrow, and minimize the influence of the planting unit 20 by its own weight.
  • the most prominent feature is the ability to plant seedlings to a certain depth.
  • the driving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the engine 11 and the transmission 12 again, and the driving force generated in the engine 11 is shifted to the desired power through the transmission 12. Will be done.
  • the engine 11 is normally provided at the front, and the transmission 12 is configured to be integrally coupled at the rear thereof, and the drive unit 10 has the front wheel 13 and the rear wheel 14 at both sides, respectively. Is connected.
  • the planting unit 20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riving unit 10 is seedling at the seedling extracting unit 21 while driving force output from the transmission 12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10 by the universal joint is transmitted to the planting unit 20. Plant them at regular intervals.
  • the operation unit 30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driving operation and loading of the mother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unit 30 together with the operation handle 31, the shift operation unit 32
  • the height adjustment part 40 of the configuration connecting the drive unit 10 and the planting part 20 is connected to the bracket 41 and the outer fixing pipe 42 and the inner movable pipe 43 and the height adjustment shaft ( 44 and the handle 45.
  • FIG 3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of the seedling pla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40 is inserted into the inner movable tube 43 to the inside of the outer fixed tube 42 to be elevated, the inner movable tube ( 43, the height adjustment shaft 44 is screwed so that when the height adjustment shaft 44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outer fixed pipe 42 is configured to move the inner movable pipe 43 by a predetermined height.
  • the planting portion 20 is fixedly connected to the planting portion 20 by a connecting bracket 41 in a corresponding direction of the outer fixing pipe 42,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ink portion 50.
  • connection bracket 41 connected to the planting part 20 and the connection bracket 41 connected to the link part 5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tegrally, and tubular outer fixing pipes 42 are connected to these connection brackets 41. Integral connection by welding.
  • connection bracket 41 connected to the link part 50 be provided in a pair of configurations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external fixing pipe 42.
  • the inner moving tube 43 is accommodated inside the outer fixing tube 42 coupled to the connection bracket 41, and the inner moving tube 43 is inserted to move up and down in the outer fixing tube 42 and the inner moving tube 43.
  •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iral portion 430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height.
  • the spiral portion 430 may be formed in a configuration that is integrally formed in the inner moving tube 43, or may be formed i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nut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moving tube 43 by welding or the like.
  • the outer fixing pipe 42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height adjustment shaft 44 formed a male screw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height adjustment shaft 44 is screwed to the spiral portion 430 of the inner movable pipe 43 By the rot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shaft 44, the inner movable pipe 43 is raised and lowered.
  • the height adjustment shaft 44 is a shaft 45 is fixed to the handle 45 to facilitate the manual rotation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shaft 44 to the upper end protru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fixed tube (42).
  • the lower end of the inner movable pipe 43 lifted by the height adjusting shaft 44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oller connecting bracket 81 connected to the compaction roller 80 so that the roller connecting bracket when the inner movable pipe 43 is elevated.
  • the compaction rollers 80 connected by 81 are also elevated at the same time.
  • the height adjusting part 40 raises and lowers the compaction roller 80 while allowing the inner movable pipe 42 to move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direction by rotating the handle 45 at the top of the height adjusting shaft 44. Allow the height of the to be adjusted.
  • the link unit 50 provid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planting unit 20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40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driving unit 10 and the height adjusting unit 40.
  • Link portion 50 is more preferably to have a more rigid coupling force to be connected as a plurality of links rather than to a single link.
  • the upper link 51 and the lower link 52 together with the connecting brackets 41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external fixing pipe 42 of the height adjusting part 40 drive part 10 of the link part 50.
  • the shaft is pivotally secured to the side end.
  • the driving unit 10 and the height adjusting unit 40 can each independently perform vertical flow.
  • the driving unit 10 side end portion of the link unit 50 is axially coupled to the rear end surface of the transmission 12, and the lower end of the fixed connection unit 60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mission 12.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fixed connection portion and the load supporting portion of the seedling pla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xed connection part 60 includes a support 61 coupled to the rear upper surface of the transmission 12 and a pair of guide plates 62 rotatably axially coupled to the support 61. to be.
  • the support 61 of the fixed connection part 60 is fixed to the lower end is firmly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upper surface in the transmission 12 of the drive unit 10, and the upper end is horizontally bent backward while the predetermined height is extended vertically As much as possible.
  •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61 to be horizontally bent is separated on both sides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width, the upper side of the guide plate 62 of the thin plate which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height by each of the fixed shaft 63 on both sides of the separated upper part Are each rotatably axially coupled.
  • the guide plate 62 having the upper end axially coupl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61 has a lower side plate surface of the guide plate 62 with the lower end positioned below the position of at least the upper link 51 of the link part 50.
  • the guide hole 62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r the guide plate 62 is formed longer than the position of the lower link 52, while the upper hole 51 and the lower link are formed in the guide hole 62 of the long hol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configuration that allows the link pins 53 respectively coupled to the 52 to pass through at the same time.
  • a load supporting part 70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guide plates 62 provided in the fixed connection part 60 to enable lifting.
  • FIG.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load supporting part of the seedling pla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load supporting part 70 is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elevating channel 71 provided to elevate between the pair of guide plates 62 and the elevating channel 71 on the fixed shaft 63 of the fixed connection part 60. It is a configuration consisting of a buffer spring (73) which is provided a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rol bolt 72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djustment bolt 72 and the elevating channel (71) for connecting.
  • the lifting channel 71 of the load supporting part 70 is configured such that both sides thereof are close to the guide plates 62 on both sides thereof, and both sides thereof are connected to the upper end thereof.
  • the link pins 53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plate side surfaces of the lifting channels 71, respectively, but only one link pin 53 may be coupled, but the link pins 53 may be coupled to the same height as that of the upper link 51 and the lower link 52. It may be spaced apart so that a pair of link pins 53 are formed up and down.
  • the adjusting bolt 72 is coupled to the lifting channel 71 so as to vertically penetrate the upper surface from the lower portion.
  • the adjustment bolt 72 has a top end screwed through the fixed shaft 63 fixedly axially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pair of guide plates 62 is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61 of the fixed connection part 60. do.
  • the adjustment bolt 72 is provided to be able to adjust the height relative to the fixed shaft 63 by rotation.
  • a buffer spring 73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djustment bolt 72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channel 71 to prevent downward deviation from the bolt head 720, and by this buffer spring 73
  • the lifting channel 71 has a predetermined elasticity upward.
  • the compaction roller 80 is connected by the connecting link 91 so as to elevate independently of the cover roller 90.
  • reference numeral 33 is a seedling box supply rack.
  • the handle 45 of the height adjusting part 40 is rotated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ground where the front wheel 13 and the rear wheel 14 are closed and the planting surface where the compaction roller 80 is closed. Height adjustment is made so that the appropriate planting depth of the seedlings through the seedling extraction unit 21.
  • the handle 45 is rotated to raise the compaction roller 80 further, on the contrary, when the height difference is small, the compaction roller 80 is lowered by rotating the handle 45 oppositely. This ensures that the planting depth is properly adjusted.
  • the seedling pla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riving the engine 11 of the drive unit 10 in the height adjustment is made, the seedling pla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transmission 12 is moved at a constant speed.
  • the driving force of a constant speed is transmitted to the seedling taking-out part 21 through the drive shaft 15 connected by the universal joint between the output shaft of the transmission 12 and the input shaft of the seedling taking-out part 21 side.
  • the seedlings are transplanted.
  • the load of the planting unit 20 is the height adjustment unit 40 It is transmitted to the compaction roller 80 through.
  • the driving unit 10 and the dodging roller 80 lifting and lowering along the planting surface which ar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road surface through which the wheels are independently lifted, may be planted at a constant depth with respect to the planting surface.
  • the planting surface is never formed in a plane state because the compaction roller 80 that moves along the planting surface also raises and lowers the height.
  • the upper link 51 of the link unit 50 And the lower link 52 is inclined upwardly from the end of the height adjusting part 40 side than the end of the driving part 10, and conversely, when the planting part 20 is positioned below the driving part 10, the link is lower.
  • the upper link 51 and the lower link 52 of the unit 50 are inclined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drive unit 10 side to the end of the height control unit 40 side at the same time.
  • This action is based on the height adjusted by the height adjuster 40 when the upper link 51 and the lower link 52 is in a horizontal state when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wheel and the compaction roller 80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height. 6 and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wheel and the compaction roller 80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height, and the state is as shown in FIG. 7.
  • the compactor roller 80 is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planting surface by the load of the planting part 20, so that when the recess is deeply recessed to the planting surface, the compactor roller 80 is not easily pulled out.
  • the buffer spring 73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channel 71 is compressed, and the elevating channel 71 is moved upward by the buffer spring 73. To maintain elasticity.
  • the compaction roller 80 which has been lowered to a certain depth, can be easily escaped even when the load of the planting part 20 is applied while the resilience of the buffer spring 73 is continuously applied.
  • the compaction spring 80 buffers the load shock of the planting part 20 by the buffer spring 73 so that the lifter 80 can easily lift by the repulsive force.
  • the planting surface where) moves is irregular, and it can be quickly escaped even if there is a recess in a certain depth.
  • cover roller 90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ompactor roller 80 is connected by the compactor roller 80 and the connecting link 91 so that the lifting action can be perform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f the planting surface Make sure that they are always in contact with the planting surface at different locations.
  •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planting of seedlings to be planted at a constant depth along the planting surface while planting the seedlings, while the height is properly adjusted to the height of the planting surface to plant the seedlings. It's easy to do, and it's more effici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종 식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동부(10)와 식재부(20) 및 조작부(30)를 포함하는 모종 식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0)와 상기 식재부(20)의 사이에서 일측이 상기 식재부(20)에 연결되면서 하부에 연결되는 다지기롤러(80)의 높이가 조절되게 하는 높이조절부(40); 상기 높이조절부(40)의 상기 구동부(10)측 단부와 상기 구동부(10)간이 각각 독립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상기 구동부(10)와 높이조절부(40)간을 연결하는 링크부(50); 하단이 상기 구동부(10)에 결합되는 지지대(61)의 상단에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62) 상단부가 축고정되는 고정연결부(60);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62) 사이에서 양측면의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62)에 형성한 가이드 홀(620)을 관통하여 상기 링크부(50)의 링크와 축고정되면서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측으로 일정한 탄성을 갖도록 하여 상기 식재부(20)의 하중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구비되는 하중지지부(7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모종 식재장치
본 발명은 모종 식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부와 식재부간 링크 결합에 의해 상호 독립적으로 승강하도록 연결하면서 구동부와는 별개로 식재면을 따라 식재부가 자중과 자중 반발력에 의해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재면에서의 모종이 일정한 깊이로 식재될 수 있도록 하는 모종 식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밭에서 재배하는 상추나 배추, 오이, 고추 등과 같은 작물은 일정한 모양의 모판에서 씨앗을 발아시키고, 모판에서 일정 높이로 성장되게 한 모종은 모종 식재장치(통상 모종 이식기라고도 함)에 의해 모종이 경작지에 이식되도록 하고 있다.
모종 이식을 예전에는 모두 수작업으로 수행하였으나, 경작지의 규모가 확장되면서 수작업으로 하기에는 시간과 인력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최근에는 웬만한 규모가 되면 모종 이식기를 사용하여 좀더 빠르고 손쉽게 모종 이식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전의 모종 이식기는 식재부가 구동부와 연동하면서 구동부의 바퀴가 이동하는 면상태에 따라 식재부가 승강하게 되므로 실제 식재면에서의 모종 이식 깊이가 균일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응하기 위한 모종 이식기로서 국내공개특허 제2006-0121835호(2006.11.29.명칭:야채 이식기)가 제안된 바 있으나, 공지 기술에서는 모종의 이식 깊이를 승강 센서인 복토륜 또는 진압륜에 의해 검출되도록 하고, 승강 센서의 검출동작은 승강 밸브에 전달되도록 하고 있어 다소 복잡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잦은 고장 등에 의해 관리 및 취급에서도 용이치 않을 뿐만 아니라 제작 및 구입 비용 부담이 커지는 폐단이 있으며, 승강 센서에 의한 모종 이식 깊이는 최소 5㎜ 이상이 되어야만 하므로 보다 낮은 높이의 모종에 대해서는 적용이 불가한 문제를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모종을 식재하는 식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구동부에 대해 독립적으로 식재부가 자중에 의해 승강토록 하여 식재면이 고르지 않아도 식재면에 일정한 깊이로 모종이 식재될 수 있도록 하는 모종 식재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중에 의해 하강 시 스프링 응력에 의해 식재부가 보다 쉽게 상승할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한 주행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모종 식재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식재부와 함께 복토롤러가 식재면을 따라 승강하도록 하여 모종을 덮는 흙의 깊이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모종 식재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모종 식재장치는, 엔진과 변속기로서 구비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모종취출부를 승강시켜 모종을 식재하는 식재부 및 조작부를 포함하는 모종 식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와 상기 식재부의 사이에서 일측이 상기 식재부에 연결되면서 하부에 연결되는 다지기롤러의 높이가 조절되게 하는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의 단부와 상기 구동부가 각각 독립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상기 구동부와 높이조절부간을 연결하는 링크부; 하단이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는 지지대의 상단에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 상단부가 축결합되는 고정연결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서 양측면의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한 가이드 홀을 관통하여 상기 링크부의 링크와 핀결합되면서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측으로 일정한 탄성을 갖도록 하여 상기 식재부의 하중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구비되는 하중지지부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높이조절부는 양단이 상기 식재부와 상기 링크부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 브라켓; 상기 연결 브라켓에 일체로 결합되어 일정한 높이로 구비되는 관형상의 외부 고정관; 상기 외부 고정관의 내부에서 하단부가 상기 다지기롤러에 연결되는 롤러 연결 브라켓에 일체로 고정되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내부 이동관; 상기 내부 이동관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내부 이동관; 상기 외부 고정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며, 상기 외부 고정관의 상부측으로 돌출된 축단부에는 회전 조작이 가능하도록 핸들이 고정되고, 상기 내부 이동관의 내부를 관통하는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내부 이동관의 내주면에 형성한 나선부와 나사결합되며, 상기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내부 이동관이 일정 높이로 승강하면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높이조절축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링크부는 일정 높이차를 두고 상부 링크와 하부 링크가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 링크는 상기 하중지지부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핀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연결부는 상기 구동부의 상부에 하단이 고정되고, 일정 높이에서 후방으로 수평 절곡되도록 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양측으로 수평 절곡시킨 상단부의 양측에 상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면서 하부측 판면에는 일정 높이로 장공의 가이드 홀을 형성하여 일정 높이로서 구비되는 가이드 플레이트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하중지지부는 양측의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양측면 하단부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가이드 홀을 관통하여 상기 링크부의 링크와 핀결합되면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채널; 상기 승강채널의 상부면을 하부로부터 관통하여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단부를 양측에서 축결합되도록 한 고정축에 수직 관통시켜 나사 결합되도록 하는 조절 볼트; 상기 조절 볼트의 하단부측 볼트 헤드와 상기 승강채널의 상부면 사이에서 상기 조절 볼트의 외주면으로 구비되어 상기 식재부의 하중에 연동하는 상기 승강채널의 하강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 스프링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모종 식재장치는 식재면을 따라 이동하는 식재부가 구동부와는 독립적으로 승강이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다양한 높낮이를 갖는 식재면을 따라 안정적으로 일정한 깊이로서 모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식재부가 자중에 대응하여 스프링 응력에 의해 보다 쉽게 상승할 수 있도록 하여 좀더 안정되고 원활한 모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복토롤러가 다지기롤러와 함께 식재면을 따라 승강하도록 하여 모종을 덮는 흙의 깊이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종 식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종 식재장치의 요부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종 식재장치의 높이조절부를 예시한 수직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종 식재장치의 고정연결부와 하중지지부의 결합 구조를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종 식재장치의 하중지지부를 예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모종을 식재하는 과정에서 식재부가 구동부보다 상부에 위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작동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모종을 식재하는 과정에서 식재부가 구동부보다 하부에 위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작동 구조도,
도 8은 도 7의 작동 상태에서 하중지지부의 승강채널에 의한 완충작용을 예시한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종 식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종 식재장치의 요부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구동부(10)와 식재부(20)와 조작부(30)와 높이조절부(40)와 링크부(50)와 고정연결부(60)와 하중지지부(70)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서 구동부(10)와 식재부(20)와 조작부(30)는 이미 종래의 기술을 통해서도 잘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며, 이에 본 발명은 구동부(10)와 식재부(20)간 연결 구조를 개선하여 구동부(10)와 식재부(20)가 식재면과 고랑의 지면을 따라 이동 시 독립적으로 상하로 진동 및 승강할 수 있도록 하고, 식재부(20)의 자중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일정한 깊이로 모종 식재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 있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본 발명의 구동부(10)는 다시 엔진(11)과 변속기(12)로서 이루어지고, 엔진(11)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은 변속기(12)를 통하면서 원하는 동력으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구동부(10)에서 통상 엔진(11)이 앞쪽으로 구비되고, 변속기(12)는 그 뒤쪽에서 일체로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구동부(10)에는 양측으로 각각 앞바퀴(13)와 뒷바퀴(14)가 연결된다.
구동부(10)의 후방에 구비되는 식재부(20)는 구동부(10)와는 유니버설 조인트로 연결되는 변속기(12)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이 식재부(20)에 전달되면서 모종취출부(21)에서 모종이 일정 간격으로 식재되도록 한다.
한편, 조작부(30)는 본 발명의 운전 조작과 모판 적재 등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조작부(30)에는 조작 핸들(31)과 함께 변속조작부(32)
상기의 구성에서 구동부(10)와 식재부(20) 사이를 연결하는 구성 중 높이조절부(40)는 다시 연결 브라켓(41)과 외부 고정관(42)와 내부 이동관(43)과 높이조절축(44)과 핸들(45)로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종 식재장치의 높이조절부를 예시한 수직 단면도로서, 높이조절부(40)는 외부 고정관(42)의 내부로 내부 이동관(43)이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고, 내부 이동관(43)에는 높이조절축(44)이 나사 결합되므로 외부 고정관(42)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높이조절축(44)을 회전시키게 되면 내부 이동관(43)이 일정 높이를 승강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외부 고정관(42)의 대응되는 방향에서 연결 브라켓(41)에 의해 식재부(20)와는 고정 연결되고, 링크부(50)와는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식재부(20)에 연결되는 연결 브라켓(41)과 링크부(50)에 연결되는 연결 브라켓(41)은 상호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고, 이들 연결 브라켓(41)에 관형의 외부 고정관(42)이 용접에 의해서 일체로 연결되도록 한다.
다만, 링크부(50)에 연결되는 연결 브라켓(41)은 외부 고정관(42)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구성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연결 브라켓(41)에 결합되는 외부 고정관(42)의 내부에는 내부 이동관(43)이 수용되며, 내부 이동관(43)은 외부 고정관(42)에서 승강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고, 내부 이동관(43)의 내주면에는 일정 높이로 나선부(430)가 형성되도록 한다.
나선부(430)는 내부 이동관(43)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고, 너트를 내부 이동관(43)의 내주면에 용접 등에 의해서 일체로 결합되는 구성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외부 고정관(42)에는 외주면에 수나사를 형성한 높이조절축(44)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도록 하며, 높이조절축(44)은 내부 이동관(43)의 나선부(430)에 나사결합되게 하여 높이조절축(44)의 회전에 의해서 내부 이동관(43)이 승강하도록 한다.
한편, 높이조절축(44)은 외부 고정관(42)의 상부로 돌출되는 상단부에 높이조절축(44)을 수동으로 회전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핸들(45)이 축고정되도록 한다.
높이조절축(44)에 의해 승강하는 내부 이동관(43)의 하단부는 다지기롤러(80)에 연결되는 롤러 연결 브라켓(81)의 상부면과 고정되도록 하여 내부 이동관(43)의 승강 시 롤러 연결 브라켓(81)으로 연결된 다지기롤러(80)도 동시에 승강하게 된다.
높이조절부(40)는 높이조절축(44) 상단의 핸들(45)을 회전시킴에 의해서 회전 방향에 따라 내부 이동관(42)이 승강하도록 하면서 다지기롤러(80)를 승강시켜 다지기롤러(8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높이조절부(40)의 식재부(20)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링크부(50)는 구동부(10)와 높이조절부(40)간을 연결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링크부(50)는 하나의 링크로 연결하기 보다는 복수 개의 링크로서 연결되게 하는 것이 보다 견고한 결합력을 갖도록 하는데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면에서는 동일한 길이를 갖는 상부 링크(51)와 하부 링크(52)로서 구비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상부 링크(51)와 하부 링크(52)는 높이조절부(40)의 외부 고정관(42) 양측으로 결합된 각 연결 브라켓(41)과 함께 링크부(50)의 구동부(10)측 단부와도 회동이 가능하게 축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외부 고정관(42)의 연결 브라켓(41)과 구동부(10)와를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게 되면 구동부(10)와 높이조절부(40)는 각각 상하 유동이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가 있게 된다.
링크부(50)의 구동부(10)측 단부는 변속기(12)의 후방측 단면에 축결합되도록 하며, 변속기(12)의 상부에는 고정연결부(60)의 하단이 연결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종 식재장치의 고정연결부와 하중지지부의 결합 구조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연결부(60)는 변속기(12)의 후방측 상부면에 결합되는 지지대(61)와 상기 지지대(61)에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62)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고정연결부(60)의 지지대(61)는 하단부가 구동부(10)의 변속기(12)에서 후방측 상부면에 견고하게 밀착되면서 고정되도록 하고, 일정 높이가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하면서 상단부가 후방으로 수평 절곡되도록 한 형상이다.
이때, 수평 절곡되는 지지대(61)의 상단부는 일정 폭으로 이격되게 양측으로 분리되며, 이렇게 분리된 상단부의 양측면에는 각각 고정축(63)에 의해서 일정 높이로 구비되는 박판의 가이드 플레이트(62) 상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도록 한다.
지지대(61)의 상단에서 상단부가 축결합되는 가이드 플레이트(62)는 하단부가 링크부(50)의 적어도 상부 링크(51)의 위치보다는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면서 가이드 플레이트(62)의 하부측 판면에는 일정 높이로 장공의 가이드 홀(620)이 형성되도록 하거나, 가이드 플레이트(62)는 하부 링크(52)의 위치보다 더 길게 형성되도록 하면서 장공의 가이드 홀(62)에는 상부 링크(51)와 하부 링크(52)에 각각 결합되는 링크 핀(53)이 동시에 관통되게 하는 구성으로도 형성이 가능하다.
고정연결부(60)에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62) 사이에는 승강이 가능하게 하중지지부(70)가 구비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종 식재장치의 하중지지부를 예시한 측면도이다.
하중지지부(70)는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62)들 사이에서 승강하도록 구비되는 승강채널(71)과 이 승강채널(71)을 고정연결부(60)의 고정축(63)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조절 볼트(72)와 승강 채널(71)의 하부에서 조절 볼트(72)의 외주면으로 구비되는 완충 스프링(73)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하중지지부(70)의 승강채널(71)은 양측면이 양측의 가이드 플레이트(62)들에 근접하도록 하면서 양측면은 상단부가 연결되도록 한 형상이다.
승강채널(71)의 양측면 하단부측 판면에는 각각 링크 핀(53)이 결합되도록 하되 링크 핀(53)은 하나만 결합되게 할 수도 있으나 상부 링크(51)와 하부 링크(52)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이격되도록 하여 상하로 한 쌍의 링크 핀(53)이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승강채널(71)에는 하부로부터 상부면을 상향 수직 관통하도록 조절 볼트(72)가 결합된다.
조절 볼트(72)는 상단부가 고정연결부(60)의 지지대(61) 상단에서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62)의 상단부를 축결합하도록 축고정된 고정축(63)을 수직으로 나사 결합되면서 관통하도록 한다.
따라서, 조절 볼트(72)는 회전에 의해서 고정축(63)을 기준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한편, 승강채널(71)의 상부면 하부에서 조절 볼트(72)의 외주면에는 완충 스프링(73)이 볼트 헤드(720)에 의해 하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비되고, 이 완충 스프링(73)에 의해서는 승강채널(71)을 상측으로 일정 탄성을 갖도록 한다.
특히, 다지기롤러(80)는 복토롤러(90)와는 독립적으로 승강 작용하도록 연결 링크(91)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3은 육묘상자 공급랙이다.
이에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모종 식재장치에서 앞바퀴(13)와 뒷바퀴(14)가 닫는 지면과 다지기롤러(80)가 닫는 식재면과의 높이 차를 감안하여 높이조절부(40)의 핸들(45)을 회전시켜 모종취출부(21)를 통한 모종의 적절한 식재 깊이가 되도록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시 말해 바퀴가 닫는 지면과 식재면간 높이차가 크면 핸들(45)을 회전시켜 다지기롤러(80)를 좀더 상승시키고, 반대로 높이차가 작으면 핸들(45)을 반대로 회전시켜 다지기롤러(80)가 좀더 하강하도록 함으로써 식재 깊이가 적절하게 조절되도록 한다.
높이조절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구동부(10)의 엔진(11)을 구동시키게 되면 변속기(12)를 통해 본 발명의 모종 식재장치는 일정한 속도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변속기(12)를 통해서는 변속기(12)의 출력축과 모종취출부(21)측 입력축간 유니버설 조인트로 연결한 드라이브 샤프트(15)를 통해서 모종취출부(21)로 일정 속도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모종의 이식이 이루어지게 된다.
모종 이식이 이루어지면서 이동하게 될 때 구동부(10)와 식재부(20)는 링크부(50)에 의해서 상호 독립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므로 식재부(20)의 하중은 높이조절부(40)를 통해 다지기롤러(80)에 전달된다.
따라서, 바퀴가 지나는 노면을 따라 승강하는 구동부(10)와 식재면을 따라 승강하는 다지기롤러(80)는 각각 독립적으로 승강하면서 식재면에 대해서 항상 일정한 깊이로 모종의 식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식재면은 결코 면상태가 불규칙적으로 형성되므로 식재면을 따라 이동하는 다지기롤러(80) 또한 크고 작은 높이를 승강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모종 식재장치를 이용하여 모종을 식재하는 과정에서 식재부(20)가 구동부(10)보다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링크부(50)의 상부 링크(51)와 하부 링크(52)는 동시에 구동부(10)측 단부보다 높이조절부(40)측 단부가 상향 경사지는 상태가 되고, 그 반대로 식재부(20)가 구동부(10)보다 하부에 위치하게 되면 링크부(50)의 상부 링크(51)와 하부 링크(52)는 동시에 구동부(10)측 단부로부터 높이조절부(40)측 단부로 하향 경사지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작용은 높이조절부(40)에 의해 조절한 높이를 기준으로 상부 링크(51)와 하부 링크(52)가 수평의 상태라고 했을 때 바퀴와 다지기롤러(80)간 높이 차가 기준 높이보다 커지면 도 6과 같은 상태가 되고, 반대로 바퀴와 다지기롤러(80)간 높이차가 기준 높이보다 작아지면 도 7과 같은 상태가 된다.
다만 다지기롤러(80)는 식재부(20)의 하중에 의해 식재면과 긴밀하게 밀착되는 상태가 되므로 식재면에 다소 깊이 요입되게 파져있는 경우에는 다지기롤러(80)가 빠져나오기 용이치 않다.
다지기롤러(80)가 내려가게 되면 다지기롤러(80)와 연결된 높이조절부(40)가 도 7과 같이 하향 이동하면서 링크부(50)에 연결된 하중지지부(70)의 승강채널(71)이 도 8과 같이 하강을 하게 된다.
승강채널(71)이 하강하게 되면 승강채널(71)의 상부면 하부에 구비한 완충 스프링(73)이 압축되는 상태가 되며, 완충 스프링(73)에 의해서 승강채널(71)은 상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탄성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일정 깊이로 내려 가면서 하강하였던 다지기롤러(80)는 지속적으로 완충 스프링(73)에 의한 반발 탄성이 작용하면서 비록 식재부(20)의 하중이 얹혀져 있더라도 손쉽게 벗어날 수가 있게 된다.
즉, 다지기롤러(80)가 하강하였다 상승하게 될 때 이미 완충 스프링(73)에 의해 식재부(20)의 하중 충격을 완충시키면서 반발력에 의해 보다 용이한 상승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므로 다지기롤러(80)가 이동하는 식재면이 불규칙하기도 하고, 부분적으로 일정 이상의 깊이로 요입부가 있어도 신속하게 벗어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모종을 식재하면서 식재면을 따라 이동하는 다지기롤러(80)와 식재부(20)의 승강 폭이 일정 범위를 항상 유지되게 함으로써 모종의 식재 깊이를 일정하고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다지기롤러(80)의 후방에 구비되는 복토롤러(90)는 다지기롤러(80)와 연결 링크(91)에 의해서 연결되게 하여 승강 작용이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각이 식재면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식재면과 항상 동시에 접촉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모종이 일정한 깊이로 식재되면 복토롤러(90)에 의해서는 식재된 모종에 일정 깊이로 흙이 복토되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모종을 식재할 식재면의 높낮이에 적절하게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하면서 모종을 식재 중에 식재면을 따라 일정한 깊이로서 식재가 이루어질 수가 있도록 하므로 모종 식재를 수작업으로 할 때보다는 대단히 쉽게 하면서 작업 효율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Claims (6)

  1. 엔진과 변속기로서 구비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모종취출부를 승강시켜 모종을 식재하는 식재부 및 조작부를 포함하는 모종 식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와 상기 식재부의 사이에서 일측이 상기 식재부에 연결되면서 하부에 연결되는 다지기롤러의 높이가 조절되게 하는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의 단부와 상기 구동부가 각각 독립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상기 구동부와 높이조절부간을 연결하는 링크부;
    하단이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는 지지대의 상단에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 상단부가 축결합되는 고정연결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서 양측면의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한 가이드 홀을 관통하여 상기 링크부의 링크와 핀결합되면서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측으로 일정한 탄성을 갖도록 하여 상기 식재부의 하중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구비되는 하중지지부;
    를 포함하는 모종 식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양단이 상기 식재부와 상기 링크부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 브라켓;
    상기 연결 브라켓에 일체로 결합되어 일정한 높이로 구비되는 관형상의 외부 고정관;
    상기 외부 고정관의 내부에서 하단부가 상기 다지기롤러에 연결되는 롤러 연결 브라켓에 일체로 고정되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내부 이동관;
    상기 외부 고정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며, 상기 외부 고정관의 상부측으로 돌출된 축단부에는 회전 조작이 가능하도록 핸들이 고정되고, 상기 내부 이동관의 내부를 관통하는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내부 이동관의 내주면에 형성한 나선부와 나사결합되며, 상기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내부 이동관이 일정 높이로 승강하면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높이조절축;
    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모종 식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일정 높이차를 두고 상부 링크와 하부 링크가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 링크는 상기 하중지지부의 하단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가이드 홀을 관통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핀결합되는 모종 식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연결부는
    상기 구동부의 상부에 하단이 고정되고, 일정 높이에서 후방으로 수평 절곡되도록 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양측으로 수평 절곡시킨 상단부의 양측에 상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면서 하부측 판면에는 일정 높이로 장공의 가이드 홀을 형성하여 일정 높이로서 구비되는 가이드 플레이트;
    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모종 식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중지지부는
    양측의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양측면 하단부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가이드 홀을 관통하여 상기 링크부의 링크와 핀결합되면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채널;
    상기 승강채널의 상부면을 하부로부터 관통하여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단부를 양측에서 축결합되도록 한 고정축에 수직 관통시켜 나사 결합되도록 하는 조절 볼트;
    상기 조절 볼트의 하단부측 볼트 헤드와 상기 승강채널의 상부면 사이에서 상기 조절 볼트의 외주면으로 구비되어 상기 식재부의 하중에 연동하는 상기 승강채널의 하강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 스프링;
    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모종 식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지기롤러는 복토롤러와는 독립적으로 승강 작용하도록 연결 링크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하는 모종 식재장치.
PCT/KR2013/009287 2013-04-05 2013-10-17 모종 식재장치 WO201416326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230A KR101298212B1 (ko) 2012-11-29 2013-04-05 모종 식재장치
KR10-2013-0037230 2013-04-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63263A1 true WO2014163263A1 (ko) 2014-10-09

Family

ID=51658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9287 WO2014163263A1 (ko) 2013-04-05 2013-10-17 모종 식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41632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32621A (ja) * 2020-02-28 2021-09-13 井関農機株式会社 移植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9619A (ja) * 1999-12-17 2001-06-26 Iseki & Co Ltd 苗植機
JP2004236556A (ja) * 2003-02-05 2004-08-26 Seirei Ind Co Ltd 野菜移植機
KR20080091566A (ko) * 2007-04-09 2008-10-14 경상북도 예천군 모종 이식기
JP2008295366A (ja) * 2007-05-31 2008-12-11 Iseki & Co Ltd 苗移植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9619A (ja) * 1999-12-17 2001-06-26 Iseki & Co Ltd 苗植機
JP2004236556A (ja) * 2003-02-05 2004-08-26 Seirei Ind Co Ltd 野菜移植機
KR20080091566A (ko) * 2007-04-09 2008-10-14 경상북도 예천군 모종 이식기
JP2008295366A (ja) * 2007-05-31 2008-12-11 Iseki & Co Ltd 苗移植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32621A (ja) * 2020-02-28 2021-09-13 井関農機株式会社 移植機
JP7164838B2 (ja) 2020-02-28 2022-11-02 井関農機株式会社 移植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81998B (zh) 一种园林绿化用杨树苗移栽扶持装置
CN109220118B (zh) 一种农业移栽器
KR101298212B1 (ko) 모종 식재장치
KR20130115972A (ko) 이식기
WO2014163263A1 (ko) 모종 식재장치
CN110431962B (zh) 具有精准取种功能的豆类播种机
CN109429812B (zh) 一种园林花盆装土设备
CN113711738A (zh) 一种基于农业种植可调节距离的等距播种农机
CN109275398B (zh) 一种农业移栽器的工作方法
CN201726661U (zh) 秧苗移栽机
CN216626565U (zh) 一种深度可调的蔬菜种植用翻土装置
JP2015116133A (ja) 歩行型移植機
WO2015142044A1 (ko) 파종기
CN111316882A (zh) 一种榆树起苗装置
KR20130076408A (ko) 포트묘 이식장치
CN109618576A (zh) 移栽起垄设备
KR20120007793A (ko) 파종기
CN209983069U (zh) 一种水旱两用机动式播种机
CN107896577B (zh) 一种双辊支撑无障碍落地播种机
KR102118196B1 (ko) 수평 및 위치조정이 용이한 파종기
CN109121580B (zh) 小地块外部牵拉式玉米播种机
CN114651579B (zh) 一种履带式人参秧苗栽植机
KR20090124208A (ko) 묘삼 식재장치 및 방법
CN217770837U (zh) 一种行距可调节大蒜播种机
WO2022039331A1 (ko) 손수레형 종자 파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809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809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