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4208A - 묘삼 식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묘삼 식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4208A
KR20090124208A KR1020080050277A KR20080050277A KR20090124208A KR 20090124208 A KR20090124208 A KR 20090124208A KR 1020080050277 A KR1020080050277 A KR 1020080050277A KR 20080050277 A KR20080050277 A KR 20080050277A KR 20090124208 A KR20090124208 A KR 20090124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ing
cone
planting cone
open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0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1554B1 (ko
Inventor
홍형수
Original Assignee
홍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형수 filed Critical 홍형수
Priority to KR1020080050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554B1/ko
Publication of KR20090124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28Construction of wheels; methods of assembling on ax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을 재배하기 위하여 묘삼을 기계적으로 식재할 수 있게 하는 묘삼 식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묘삼의 식재작업을 편리하게 하고, 묘삼의 고른 흙 묻힘과 일정한 각도와 간격을 유지시켜 줌으로써 우수한 상품가치를 가진 인삼을 수확할 수 있어 농가의 노동력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묘삼 식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삼, 묘삼, 식재, 이식, 식재콘

Description

묘삼 식재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ICKING OUT GINSENG SEEDLING}
본 발명은 인삼을 재배하기 위하여 묘삼을 기계적으로 식재할 수 있게 하는 묘삼 식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묘삼의 식재작업을 편리하게 하고, 묘삼의 고른 흙 묻힘과 일정한 각도와 간격을 유지시켜 줌으로써 우수한 상품가치를 가진 인삼을 수확할 수 있어 농가의 노동력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묘삼 식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삼 재배는 인삼 종자를 파종 후 일년 남짓 자란 어린 인삼(이하 "묘삼"이라 함)을 이식하여 식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삼은 부가가치가 높은 농산물로서 근래에 인삼 재배를 전업하는 농가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인삼 재배에 따른 많은 인력이 필요한 시점으로서 그에 따라 기계 식재가 요구되지만, 여전히 묘삼 식재는 인력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즉, 여전히 사람이 직접 흙을 파서 묘삼을 식재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농촌 노동력의 고령화로 인력에 의한 작업이 힘들뿐만 아니라 인력 수급에도 한계가 있어 적기에 묘삼을 식재하는데 여러 가지로 어려움이 있다.
또한, 묘삼 식재작업에 있어서 묘삼을 소정의 각도, 보통 45도 정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흙속에 심어야 토양 성분의 흡수와 뿌리의 성장을 원활하게 하지만, 단순한 수작업에 의하여 묘삼을 심게 되면 묘삼의 각도가 불규칙하게 심어지고, 서로 간의 간격이 일정치 않을 뿐만 아니라 수작업에 의한 묻힘 상태가 불안정해 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에 따라, 묘삼 각각의 묻힘 상태의 불량에 따라 성장에 많은 장애를 주어 인삼의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묘삼을 기계적으로 식재할 수 있게 하여 묘삼의 식재작업을 편리하게 하고, 묘삼의 고른 흙 묻힘과 일정한 각도와 간격을 유지시켜 줌으로써 우수한 상품가치를 가진 인삼을 수확할 수 있어 농가의 노동력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묘삼 식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로드를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승강로드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로드의 하부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로드와 함께 승강되고, 묘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며, 상기 승강로드의 하강에 의해 흙속으로 투입되어 상기 묘삼을 식재할 수 있도록 하부가 첨형(尖形)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가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 식재콘과, 상기 승강로드의 하부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로드와 함께 승강되고, 상기 식재콘의 하부가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가 되도록 상기 식재콘을 작동시키는 식재콘 작동부와, 상기 승강로드와 함께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에 의해 상 기 식재콘이 하강될 경우 상기 식재콘의 하부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식재콘을 흙속으로 찔러 넣고, 상기 승강부에 의해 상기 식재콘이 상승될 경우 상기 식재콘의 하부가 열린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식재콘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식재콘 작동부를 작동시키는 식재콘 개폐유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승강부, 식재콘, 식재콘 작동부 및 식재콘 개폐유지부 각각은, 상기 프레임에 일렬로 복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함께 회전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에 맞물려 상기 승강로드를 상하로 승강시키도록 상기 승강로드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의 회전축은, 전기 모터에 의한 회전 또는 인력에 의한 승강핸들의 회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묘삼 식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식재콘은 상부를 중심으로 하부가 벌어져 개폐되도록 2개로 분할되고, 상기 식재콘 작동부는, 상기 승강로드의 하부 타단에 설치된 하우징과, 각각의 일단이 2개로 분할된 상기 식재콘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식재콘의 하부를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가 되도록 2개로 분할된 상기 식재콘을 각각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한 쌍의 연결로드와, 상기 연결로드 각각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연결로드와 함께 회전하고,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의 일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각각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레버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회전레버 각각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레버 각각의 회전이 복원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제1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재콘 작동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레버 각각의 회전이 상기 제1 스프링에 의해 복원될 경우 상기 회전레버 각각이 동일 선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레버 각각의 회전을 구속하는 한 쌍의 레버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재콘 개폐유지부는, 상기 승강로드와 함께 승강함과 동시에 상기 승강로드에 대하여 슬라이드되어 상기 승강로드와 별도로 올림 또는 내림 상태가 되도록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내림 상태인 경우 상기 회전레버 각각의 일단을 눌러 회전시키는 개폐로드와, 상기 개폐로드의 상부에 결합된 내림판과, 상기 내림판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개폐로드에 결합된 올림판과, 상기 개폐로드가 상기 승강로드와 별도로 올림 또는 내림 상태가 되도록 상기 내림판의 상단에 접촉하여 내리거나 상기 올림판의 하단에 접촉하여 올리도록 상기 개폐로드의 내림판 및 올림판을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구비된 회전캠과, 상기 개폐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올림판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올림판을 상방으로 탄성 가압하여 상기 개폐로드의 올림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2 스프링과, 상기 회전캠의 가압돌기가 상기 개폐로드의 내림판을 가압하여 상기 개폐로드의 내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로드의 하부에 설치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개폐로드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과, 상기 개폐로드의 고정홈에 제3 스프링에 의해 탄성 삽입되어 상기 개폐로드의 내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식재콘 작동부는, 상기 회전레버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재콘 개폐유지부는, 상기 개폐로드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레버 각각의 일단을 접촉시켜 누름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상기 개폐로드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 누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름부재는 충격흡수재질의 외피가 착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재콘 개폐유지부는, 상기 개폐로드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레버 각각의 일단 사이에 삽입됨과 동시에 접촉되어 누름 가능하고, 상기 개폐로드의 지름보다 작고 일정한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된 삽입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재는 충격흡수재질의 외피가 착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구동바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바퀴는, 전기 모터에 의한 회전 또는 인력에 의한 구동핸들의 회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바퀴는,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에 따라 돌출 형성된 복수 의 돌출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좌우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바퀴와, 상기 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드의 상승에 의해 상기 식재콘이 상승된 경우 하부가 상기 식재콘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상광하협 형상으로 된 투입호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방법은,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가 첨형(尖形)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가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가 되도록 작동되는 식재콘에 묘삼을 투입하는 묘삼 투입단계와, 상기 묘삼이 수용된 상기 식재콘의 하부가 닫힌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식재콘을 하강시켜 흙속으로 찔러 넣는 식재콘 하강단계와, 상기 식재콘이 흙속에 투입된 후 상기 식재콘의 하부가 열린 상태가 되도록 작동시켜 상기 식재콘에 수용된 상기 묘삼을 흙속에 식재하는 묘삼 식재단계와, 열린 상태인 상기 식재콘의 하부로 흙이 밀려 들어와 상기 묘삼을 감싸도록상기 식재콘의 하부가 열린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식재콘을 상승시키는 식재콘 상승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식재콘 상승단계 이후에 진행되고, 상기 식재콘이 흙 밖으로 상승된 경우 상기 식재콘의 하부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복귀시키는 식재콘 복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재콘 복귀단계 이후에 진행되고, 상기 식재콘을 소정 거리 이동시키는 식재콘 이동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묘삼 투입단계, 식재콘 하강단계, 묘삼 식재단계, 식재콘 상승단계, 식재콘 복귀단계 및 식재콘 이동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장치는, 승강부, 식재콘, 식재콘 작동부 및 식재콘 개폐유지부의 연동과정을 통하여 식재콘이 흙을 파지 않고, 그대로 식재콘의 하부가 닫힌 상태로 흙속으로 투입된 후 식재콘의 하부가 열린 상태가 되어 수용된 묘삼을 흙속에 놓아둔 채 식재콘의 하부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승하여 묘삼이 상기 식재콘의 하부로 밀려드는 흙에 감싸져 묻히게 된다. 그에 따라, 묘삼을 기계적으로 식재할 수 있게 하여 묘삼의 식재작업을 편리하게 하고, 묘삼의 고른 흙 묻힘과 일정한 각도와 간격을 유지시켜 줌으로써 우수한 상품가치를 가진 인삼을 수확할 수 있어 농가의 노동력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식재콘 작동부의 회전레버의 복귀시 회전을 구속하는 레버 스톱퍼에 의해 식재콘이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지지 않고, 오래 사용하더라도 언제나 지면에 대하여 일정하게 묘삼을 식재할 수 있어 식재작업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식재콘 개폐유지부의 개폐로드 하단에 설치된 누름부재에 충격흡수재질의 외피를 착용시켜 식재콘 개폐유지부의 개폐로드의 하단과 식재콘 작동부의 회전레버의 일단이 접촉함으로써 충격에 의한 파손의 위험 및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식재콘 개폐유지부의 개폐로드 하단에 설치된 삽입부재가 개폐로드의 지름보다 작되 일정한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식재콘이 열린 상태에서 상승될 때, 회전레버의 회동된 상태를 일정하게 하여 식재콘의 열린 상태 역시 일정하게 할 수 있어, 식재콘이 흙의 자중에 의해 닫히지 않도록 하여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7은 도 1의 실시예 중 승강부, 식재콘 작동부 및 식재콘 개폐유지부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8 및 9는 도 1의 실시예 중 식재콘의 닫힌 상태 및 열린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장치 중 식재콘 작동부 및 식재콘 개폐유지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 및 12는 도 10의 실시예의 요부를 정면에서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장치 중 식재콘 작동부 및 식재콘 개폐유지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 및 15는 도 13의 실시예의 요부를 정면에서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장치는, 도 1 내지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 승강부(200), 식재콘(300), 식재콘 작동부(400) 및 식재콘 개폐유지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구동부(600), 이동바퀴(700), 이동손잡이(800) 및 투입호퍼(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200)는 도 3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로드(210), 승강로드(220), 회전축(230), 피니언기어(240) 및 랙기어(25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재콘 작동부(400)는 도 10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10), 연결로드(420), 회전레버(430), 제1 스프링(440), 레버 스톱퍼(450) 및 가이드롤러(46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식재콘 개폐유지부(500)는 도 3 내지 7 및 10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로드(510), 내림판(520), 올림판(530), 회전캠(540), 제2 스프링(550), 고정수단(560)으로 구성될 수 있고, 누름부재(570) 또는 삽입부재(58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수단(560)은 고정홈(561), 고정볼(562) 및 제3 스프링(563)으로 구성될 수 있으고, 상기 누름부재(570) 또는 삽입부재(580)는 충격흡수재질의 외피(미도시)가 착용될 수 있다.
프레임(100)은 후술할 각종 구성요소가 설치될 수 있도록 견고하게 설계되어야 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바(110a, 110b) 사이에 복수의 지지바(120)가 결합되어 사각틀 형상을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장치는 프레 임(100)에 승강부(200), 식재콘(300), 식재콘 작동부(400) 및 개폐유지부(500)가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하나의 묘삼을 기계적으로 식재하기 위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프레임(100)은 수직바(130)가 결합되어 지면에 세울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작업자가 묘삼을 식재하고자 하는 곳에 프레임(100)을 올려놓고, 각종 구성요소를 작동시켜 하나씩 묘삼을 식재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장치는 승강부(200), 식재콘(300), 식재콘 작동부(400) 및 개폐유지부(500) 각각이 상기 프레임(100)에 일렬로 복수가 구비되어 복수의 묘삼을 한번에 식재할 수 있다.
승강부(200)는 도 3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로드(210)를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승강로드(220)를 상하로 승강시킨다. 상기 승강부(200)는 회전축(230), 피니언기어(240) 및 랙기어(250)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축(230)은 상기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피니언기어(240)는 상기 회전축(230)에 설치되어 함께 회전하며, 랙기어(250)는 상기 피니언기어(240)에 맞물려 상기 승강로드(220)를 상하로 승강시키도록 상기 승강로드(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승강부(200)는 고정된 가이드로드(210)를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설치된 승강로드(220)를 랙 앤 피니언 메커니즘에 의해 상하로 승강시키는 것이다. 즉, 회전축(230)에 설치된 피니언기어(240)가 회전축(23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고, 승강로드(220)에 형성된 랙기어(250)가 상기 피니언기어(240)와 치합되어 피니언기어(240)의 회전에 따라 상하 승강되면서 승강로드(220)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회전축(230)은 도 16에 도 시된 전기 모터(260')의 구동에 따른 회전에 의하여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거나,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력에 의하여 승강핸들(260)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도 1 및 2에는 승강핸들(260)의 회전을 받아 감속시킨 후 그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230)에 전달하도록 감속기어, 체인 및 풀리 등이 구비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회전축(230)에 승강핸들(260)을 바로 연결하거나 기타 다른 동력전달수단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식재콘(300)은 도 1, 3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로드(220)의 하부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로드(220)와 함께 승강되고, 묘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며, 상기 승강로드(220)의 하강에 의해 흙속으로 투입되어 상기 묘삼을 식재할 수 있도록 하부가 뾰족한 모양인 첨형(尖形)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가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다. 즉,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재콘(300)은 상부를 중심으로 하부가 벌어져 개폐되도록 2개로 분할될 수 있고, 식재콘(300)의 상부는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식재콘(300)의 상부를 중심으로 식재콘(300)의 하부를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벌어지게 함으로써 열린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재콘(300)을 열린 상태에서 반대로 회전시켜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식재콘(300)의 개구된 상부에 묘삼을 투입할 때, 작업자가 직접 투입하거나 기계를 이용하여 투입하는 경우에도 식재콘(300)의 상부가 좁아 쉽게 투입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투입호퍼(900)를 설치하는 것이다. 투입호퍼(900)는 식재콘(300)에 묘삼이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승강로 드(220)의 상승에 의해 상기 식재콘(300)이 상승된 경우 하부가 상기 식재콘(300)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프레임(100)에 고정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투입호퍼(900)는 상광하협, 즉 상부는 묘삼이 용이하게 투입되도록 넓되 하부는 식재콘(300)의 내부로 미끄러져 수용되도록 좁은 형상을 가진다.
식재콘 작동부(400)는 상기 식재콘(300)의 하부가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가 되도록 식재콘(300)을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도 10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로드(220)의 하부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로드(220)와 함께 승강된다. 상기 식재콘 작동부(400)가 상기 식재콘(300)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도 7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10), 연결로드(420), 회전레버(430) 및 제1 스프링(4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재콘 작동부(400)의 하우징(410)은 상기 승강로드(220)의 하부 타단에 설치된다. 연결로드(420)는 한 쌍이 구비되어 각각의 일단이 2개로 분할된 상기 식재콘(300)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식재콘(300)의 하부를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가 되도록 2개로 분할된 상기 식재콘(300)을 각각 역방향으로 회동시킨다. 회전레버(430) 또한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로드(420) 각각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410)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연결로드(420)와 함께 회전하고,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의 일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각각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스프링(440) 역시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410) 내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회전레버(430) 각각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레버(430) 각각의 회전이 복원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즉, 식재콘 작동부(400)는 식재콘(300)의 하부를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가 되도록 식재콘(300)을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회전레버(430)의 회전에 의해 연결로드(420)가 회전하고, 연결로드(420)의 회전으로 2개로 분할된 식재콘(300)이 회전함으로써, 식재콘(300)의 하부를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가 되도록 작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1 스프링(440)은 회전레버(430)의 회전 시 압축 또는 인장되어 탄성복원력을 저장해 두었다가 식재콘(300)의 하부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가 되도록 회전레버(43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처음의 닫힌 상태로 복원시켜 주는 것이다. 이 경우, 회전레버(430) 각각에 제공되는 탄성복원력이 달라져 어느 한쪽의 회전레버(430)의 복원되는 회전이 과도해지면 연결로드(420) 및 식재콘(300) 역시 어느 한쪽으로 회전이 심화됨으로써 지면에 대하여 식재콘(300)이 한쪽으로 기울어져 복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레버 스톱퍼(450)를 설치하는 것이다. 레버 스톱퍼(450)는 상기 하우징(41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레버(430) 각각의 회전이 상기 제1 스프링(440)에 의해 복원될 경우 상기 회전레버(430) 각각이 동일 선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레버(430) 각각의 회전을 구속한다. 상기 레버 스톱퍼(450)는 도 10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410) 내부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끝단이 회전레버(430)의 회전 반경 안에 위치함으로써, 회전레버(430)의 복원시 회전레버(430)와 접촉되어 회전을 구속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회전레버(430)가 제1 스프링(440)에 의해 복원될 경우 언제나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지면에 대하여 식재콘(300)이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아 묘 삼의 식재에 있어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식재콘 작동부(400)의 회전레버(430)를 회전시키고, 식재콘(300)의 하부가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식재콘 개폐유지부(500)가 설치된다.
식재콘 개폐유지부(500)는 도 3 내지 7 및 10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로드(220)와 함께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200)에 의해 상기 식재콘(300)이 하강될 경우 상기 식재콘(300)의 하부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식재콘(300)을 흙속으로 찔러 넣고, 상기 승강부(200)에 의해 상기 식재콘(300)이 상승될 경우 상기 식재콘(300)의 하부가 열린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식재콘(300)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식재콘 작동부(400)를 작동시킨다. 이러한 작동을 위하여 상기 식재콘 개폐유지부(500)는 개폐로드(510), 내림판(520), 올림판(530), 회전캠(540), 제2 스프링(550) 및 고정수단(560)이 구비된다.
식재콘 개폐유지부(500)의 개폐로드(510)는 상기 승강로드(220)와 함께 승강함과 동시에 상기 승강로드(220)에 대하여 슬라이드되어 상기 승강로드(220)와 별도로 올림 또는 내림 상태가 되도록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하우징(410)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내림 상태인 경우 상기 회전레버(430) 각각의 일단을 눌러 회전시킨다. 이 경우, 상기 개폐로드(510)의 일단이 식재콘 작동부(400)의 회전레버(430) 각각의 일단을 눌러 회전시킴으로써, 식재콘(300)의 하부가 열림 상태가 되는 것이며, 개폐로드(510)의 하단과 회전레버(430)의 일단이 접촉되어 눌러질 때 보다 용이하게 회전레버(430)가 회전될 수 있도록 가이드롤러(460)를 설치할 수 있다. 가 이드롤러(460)는 상기 식재콘 작동부(400)의 회전레버(43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폐로드(510)의 하단이 회전레버(430)의 일단에 접촉되어 누를 때 회전레버(430)에 걸리는 힘을 분산시켜 회전레버(430)가 쉽게 회전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도 10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로드(510)의 하단과 회전레버(430)의 일단이 접촉될 때 넓은 면적으로 쉽게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410)의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상기 개폐로드(51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 누름부재(570)를 상기 개폐로드(510)의 하단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부재(570)는 회전레버(430)의 일단과 접촉시 충격에 의한 파손 및 소음이 발생할 경우 이를 줄이기 위하여 충격흡수재질, 예컨대 고무나 우레탄 및 합성수지 재질의 외피(미도시)를 착용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3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로드(5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레버(430) 각각의 일단 사이에 삽입됨과 동시에 접촉되어 누름 가능하고, 상기 개폐로드(510)의 지름보다 작고 일정한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된 삽입부재(58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삽입부재(580)가 개폐로드(510)의 지름보다 작되 일정한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식재콘(300)이 열린 상태에서 상승될 때, 회전레버(430)의 회동된 상태를 일정하게 하여 식재콘(300)의 열린 상태 역시 일정하게 할 수 있어, 식재콘이 흙의 자중에 의해 닫히지 않도록 하여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식재콘 개폐유지부(500)의 내림판(520)은 상기 개폐로드(5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올림판(530)은 상기 내림판(520)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개폐로드(510)에 결합되며, 회전캠(540)은 상기 개폐로드(510)가 상기 승강로드(220)와 별도로 올림 또는 내림 상태가 되도록 상기 내림판(520)의 상단에 접촉하여 내리거나 상기 올림판(530)의 하단에 접촉하여 올리도록 상기 개폐로드(510)의 내림판(520) 및 올림판(530)을 가압하는 가압돌기(545)가 구비된다. 또한, 제2 스프링(550)은 상기 개폐로드(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올림판(530)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올림판(530)을 상방으로 탄성 가압하여 상기 개폐로드(510)의 올림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 경우, 제2 스프링(550)에 의하여 상기 개폐로드(510)가 올림 상태가 될 때, 개폐로드(510)가 제2 스프링(550)의 스프링력에 따라 상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즉 올림 상태 또는 내림 상태 사이에서만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예컨대, 도 3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로드(510)는 내림 상태의 경우에는 제1 스톱퍼(522)에 올림판(530)이 걸려 슬라이딩이 제한되고, 올림 상태의 경우에는 제2 스톱퍼(524)에 올림판(530)이 걸려 슬라이딩이 제한되는 것이다. 다만, 개폐로드(510)의 하단에 누름부재(570)가 설치된 경우에는 제2 스톱퍼(524)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이 누름부재(570)가 하우징(410)의 내부 상단에 접촉되어 개폐로드(510)의 올림 상태에서의 슬라이딩을 제한할 수 있다.
고정수단(560)은 상기 회전캠(540)의 가압돌기(545)가 상기 개폐로드(510)의 내림판(520)을 가압하여 상기 개폐로드(510)의 내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로드(510)의 하부에 설치된다. 즉, 승강로드(220)와 함께 하강된 개폐로드(510)를 상기 승강로드(220)와 별도로 내림 또는 올림 상태가 되도록 회전캠(540)의 가압돌기(545)가 상기 개폐로드(510)에 형성된 내림판(520) 및 올림판(530)을 상하로 가압하고, 상기 개폐로드(510)가 올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2 스 프링(550)에 의해 스프링력이 제공되며, 상기 개폐로드(510)가 내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수단(560)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수단(560)은 도 11, 12 및 14,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로드(510)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561)과, 상기 개폐로드(510)의 고정홈(561)에 제3 스프링(563)에 의해 탄성 삽입되어 상기 개폐로드(510)의 내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볼(562)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개폐로드(510)가 내림 상태인 경우 상기 고정볼(562)이 제3 스프링(563)의 스프링력에 의해 밀려 상기 개폐로드(510)의 고정홈(561)에 삽입 고정되는 것이다. 이 경우, 개폐로드(510)의 올림판(530)의 하방에 설치된 제2 스프링(550)이 올림판(530)을 상방으로 들어올려 개폐로드(510)를 올림 상태가 되도록 스프링력을 제공하지만, 상기 고정볼(562)이 고정홈(561)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개폐로드(510)는 내림 상태가 유지된다. 그러나, 회전캠(540)의 가압돌기(545)가 올림판(530)의 하단을 접촉 가압하면, 제2 스프링(550)에 의한 힘과 합쳐져 상기 제3 스프링(563)에 의해 고정홈(561)에 삽입 고정된 고정볼(562)의 힘을 이기면서 개폐로드(510)는 내림 상태에서 올림 상태로 변환된다. 상기 개폐로드(510)의 올림 상태에서는 식재콘 작동부(400)와 연계하여 식재콘(300)의 하부가 닫힌 상태가 되고, 개폐로드(510)의 내림 상태에서는 식재콘(300)의 하부가 열린 상태가 된다.
구동바퀴(600)는 도 2 및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100)을 이동시킨다. 상기 구동바퀴(600)는 프레임(100)의 전후방에 각각 4륜이 설치될 수도 있으나, 묘삼의 식재 후 지면을 고르 기 위하여 전후방에 원통 형상의 2륜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구동바퀴(600)는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에 따라 돌출 형성된 복수의 돌출핀(605)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핀(605)은 지면에 침투하여 프레임(100)의 이동을 원활히 하고, 슬립이 일어나지 않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바퀴(600)에 의한 구동뿐 아니라 프레임(100)을 작업장에 보다 빨리 이동시키기 위하여 이동바퀴(700) 및 이동손잡이(8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바퀴(70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의 좌우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손잡이(800)는 상기 프레임(100)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묘삼 식재장치를 작업장에 이동시키기 위하여 이동바퀴(700) 및 이동손잡이(800)를 장착한 후 이동손잡이(800)를 작업자가 잡고 밀면서 이동바퀴(700)의 구동에 의해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4 및 25는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7 내지 23에 도시된 묘삼 식재장치의 작동과정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 17 내지 23는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24은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방법은, 도 24 및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묘삼 투입단계(S100), 식재콘 하강단계(S200), 묘삼 식재단계(S300) 및 식재콘 상승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식재콘 복귀단계(S500) 및 식재콘 이동단계(S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묘삼 투입단계(S10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되며, 하부가 첨형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가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가 되도록 작동되는 식재콘(300)에 묘삼(G)을 투입한다. 묘삼 투입단계(S100)에서 작업자가 직접 묘삼(G)을 식재콘(300)에 투입하는데, 식재콘(300)의 개구된 상부가 좁은 경우 상광하협 형상으로 된 투입호퍼(900)를 통해 통해 묘삼(G)을 투입할 수 있다. 상기 투입호퍼(900)는 하부가 상기 식재콘(300)의 상부와 연통될 수 있어 투입호퍼(900)의 상부로 묘삼(G)을 투입하면 식재콘(300)의 내부에 수용되게 된다.
식재콘 하강단계(S20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묘삼(G)이 수용된 상기 식재콘(300)의 하부가 닫힌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식재콘(300)을 하강시켜 흙속으로 찔러 넣는다. 식재콘 하강단계(S200)에서 식재콘(300)은 묘삼(G)을 수용한 채로 승강부(200)의 작동에 의해 하강하며, 식재콘(300)의 하부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 채 흙속을 들어간다. 이때, 상기 식재콘(300)의 하부가 흙속으로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식재콘(300)의 하부가 첨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묘삼 식재단계(S30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재콘(300)이 흙속에 투입된 후 상기 식재콘(300)의 하부가 열린 상태가 되도록 작동시켜 상기 식재 콘(300)에 수용된 상기 묘삼(G)을 흙속에 식재한다. 이 경우, 상기 식재콘(300)의 열린 상태가 되면, 식재콘(300)의 내부에 수용된 식재콘(300)으로부터 이탈되어 흙속에 놓이게 되며, 식재콘(300)이 열리면서 그 사이로 흙이 밀려들어 오게 되고, 흙속에 놓인 묘삼(G)은 흙속에 식재되는 것이다. 그 후, 식재콘(300)이 하강된 상태에서 닫히게 되면 흙과 함께 묘삼(G)을 다시 수용하게 되므로 열린 상태를 유지한 채 상승되어야 한다.
식재콘 상승단계(S40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린 상태인 상기 식재콘(300)의 하부로 흙이 밀려 들어와 상기 묘삼(G)을 감싸도록 상기 식재콘(300)의 하부가 열린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식재콘(300)을 상승시킨다. 식재콘(300)이 열린 상태를 유지한 채 상승하면, 식재콘(300)이 차지하던 부피만큼 주위의 흙이 밀려들어와 차게 되고, 그에 따라 묘삼(G)은 더욱 견고하게 흙속에 묻히게 되어 식재가 완료되는 것이다.
식재콘 복귀단계(S500)는 도 21 및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재콘 상승단계(S400) 이후에 진행되고, 상기 식재콘(300)이 흙 밖으로 상승된 경우 상기 식재콘(300)의 하부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복귀시킨다. 묘삼(G)을 식재한 식재콘(300)은 열린 상태로 상승되어 있으므로 다시 묘삼(G)을 수용하여 재차 식재하기 위해서는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식재콘 복귀단계(S500)를 두는 것이며, 묘삼(G)이 식재된 자리와 같은 자리에서 다시 다른 묘삼(G)을 식재할 수 없으므로 후술할 식재콘 이동단계(S600)를 두게 된다.
식재콘 이동단계(S600)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재콘 복귀단 계(S500) 이후에 진행되고, 상기 식재콘(300)을 소정 거리 이동시킨다. 이 경우, 상기 묘삼 투입단계(S100), 식재콘 하강단계(S200), 묘삼 식재단계(S300), 식재콘 상승단계(S400), 식재콘 복귀단계(S500) 및 식재콘 이동단계(S600)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반복된다. 그에 따라, 묘삼을 계속적으로 반복하여 식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각각의 단계를 실현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묘삼 식재장치를 사용하는 것이며, 그에 따라 인력의 절감을 이룰 수 있고, 묘삼이 일정하게 식재되어 고품질의 삼을 수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7은 도 1의 실시예 중 승강부, 식재콘 작동부 및 식재콘 개폐유지부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8 및 9는 도 1의 실시예 중 식재콘의 닫힌 상태 및 열린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장치 중 식재콘 작동부 및 식재콘 개폐유지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 및 12는 도 10의 실시예의 요부를 정면에서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장치 중 식재콘 작동부 및 식재콘 개폐유지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 및 15는 도 13의 실시예의 요부를 정면에서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7 내지 23은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묘삼 식재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G : 묘삼
100 : 프레임
200 : 승강부
210 : 가이드로드 220 : 승강로드
230 : 회전축 240 : 피니언기어
250 : 랙기어 260 : 승강핸들
300 : 식재콘
400 : 식재콘 작동부
410 : 하우징 420 : 연결로드
430 : 회전레버 440 : 제1 스프링
450 : 레버 스톱퍼 460 : 가이드롤러
500 : 식재콘 개폐유지부
510 : 개폐로드 520 : 내림판
530 : 올림판
540 : 회전캠 545 : 가압돌기
550 : 제2 스프링
560 : 고정수단 561 : 고정홈
562 : 고정볼 563 : 제3 스프링
570 : 누름부재
580 : 삽입부재
600 : 구동바퀴 605 : 돌출핀
650 : 구동핸들
700 : 이동바퀴
800 : 이동손잡이
900 : 투입호퍼

Claims (21)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로드를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승강로드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로드의 하부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로드와 함께 승강되고, 묘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며, 상기 승강로드의 하강에 의해 흙속으로 투입되어 상기 묘삼을 식재할 수 있도록 하부가 첨형(尖形)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가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 식재콘과,
    상기 승강로드의 하부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로드와 함께 승강되고, 상기 식재콘의 하부가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가 되도록 상기 식재콘을 작동시키는 식재콘 작동부와,
    상기 승강로드와 함께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에 의해 상기 식재콘이 하강될 경우 상기 식재콘의 하부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식재콘을 흙속으로 찔러 넣고, 상기 승강부에 의해 상기 식재콘이 상승될 경우 상기 식재콘의 하부가 열린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식재콘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식재콘 작동부를 작동시키는 식재콘 개폐유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묘삼 식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 식재콘, 식재콘 작동부 및 식재콘 개폐유지부 각각은,
    상기 프레임에 일렬로 복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 식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함께 회전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에 맞물려 상기 승강로드를 상하로 승강시키도록 상기 승강로드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 식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의 회전축은,
    전기 모터에 의한 회전 또는 인력에 의한 승강핸들의 회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 식재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콘은 상부를 중심으로 하부가 벌어져 개폐되도록 2개로 분할되고,
    상기 식재콘 작동부는,
    상기 승강로드의 하부 타단에 설치된 하우징과,
    각각의 일단이 2개로 분할된 상기 식재콘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식재콘의 하부를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가 되도록 2개로 분할된 상기 식재콘을 각각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한 쌍의 연결로드와,
    상기 연결로드 각각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연결로드와 함께 회전하고,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의 일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각각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레버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회전레버 각각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레버 각각의 회전이 복원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제1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 식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콘 작동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레버 각각의 회전이 상기 제1 스프링에 의해 복원될 경우 상기 회전레버 각각이 동일 선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레버 각각의 회전을 구속하는 한 쌍의 레버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묘삼 식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콘 개폐유지부는,
    상기 승강로드와 함께 승강함과 동시에 상기 승강로드에 대하여 슬라이드되어 상기 승강로드와 별도로 올림 또는 내림 상태가 되도록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내림 상태인 경우 상기 회전레버 각각의 일단을 눌러 회전시키는 개폐로드와,
    상기 개폐로드의 상부에 결합된 내림판과,
    상기 내림판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개폐로드에 결합된 올림판과,
    상기 개폐로드가 상기 승강로드와 별도로 올림 또는 내림 상태가 되도록 상기 내림판의 상단에 접촉하여 내리거나 상기 올림판의 하단에 접촉하여 올리도록 상기 개폐로드의 내림판 및 올림판을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구비된 회전캠과,
    상기 개폐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올림판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올림판을 상방으로 탄성 가압하여 상기 개폐로드의 올림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2 스프링과,
    상기 회전캠의 가압돌기가 상기 개폐로드의 내림판을 가압하여 상기 개폐로드의 내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로드의 하부에 설치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 식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개폐로드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과,
    상기 개폐로드의 고정홈에 제3 스프링에 의해 탄성 삽입되어 상기 개폐로드의 내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 식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식재콘 작동부는,
    상기 회전레버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 식재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콘 개폐유지부는,
    상기 개폐로드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레버 각각의 일단을 접촉시켜 누름 가능하고, 상기 개폐로드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 누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 식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는 충격흡수재질의 외피가 착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 식재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콘 개폐유지부는,
    상기 개폐로드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레버 각각의 일단 사이에 삽입됨과 동시에 접촉되어 누름 가능하고, 상기 개폐로드의 지름보다 작고 일정한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된 삽입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 식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충격흡수재질의 외피가 착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 식재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구동바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 식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퀴는,
    전기 모터에 의한 회전 또는 인력에 의한 구동핸들의 회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 식재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퀴는,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에 따라 돌출 형성된 복수의 돌출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 식재장치.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좌우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바퀴와,
    상기 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 는 이동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 식재장치.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드의 상승에 의해 상기 식재콘이 상승된 경우 하부가 상기 식재콘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상광하협 형상으로 된 투입호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 식재장치.
  19.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가 첨형(尖形)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가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가 되도록 작동되는 식재콘에 묘삼을 투입하는 묘삼 투입단계와,
    상기 묘삼이 수용된 상기 식재콘의 하부가 닫힌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식재콘을 하강시켜 흙속으로 찔러 넣는 식재콘 하강단계와,
    상기 식재콘이 흙속에 투입된 후 상기 식재콘의 하부가 열린 상태가 되도록 작동시켜 상기 식재콘에 수용된 상기 묘삼을 흙속에 식재하는 묘삼 식재단계와,
    열린 상태인 상기 식재콘의 하부로 흙이 밀려 들어와 상기 묘삼을 감싸도록상기 식재콘의 하부가 열린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식재콘을 상승시키는 식재콘 상승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묘삼 식재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콘 상승단계 이후에 진행되고, 상기 식재콘이 흙 밖으로 상승된 경우 상기 식재콘의 하부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복귀시키는 식재콘 복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 식재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콘 복귀단계 이후에 진행되고, 상기 식재콘을 소정 거리 이동시키는 식재콘 이동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묘삼 투입단계, 식재콘 하강단계, 묘삼 식재단계, 식재콘 상승단계, 식재콘 복귀단계 및 식재콘 이동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 식재방법.
KR1020080050277A 2008-05-29 2008-05-29 묘삼 식재장치 및 방법 KR100991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277A KR100991554B1 (ko) 2008-05-29 2008-05-29 묘삼 식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277A KR100991554B1 (ko) 2008-05-29 2008-05-29 묘삼 식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208A true KR20090124208A (ko) 2009-12-03
KR100991554B1 KR100991554B1 (ko) 2010-11-04

Family

ID=41686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0277A KR100991554B1 (ko) 2008-05-29 2008-05-29 묘삼 식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15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09743A (zh) * 2015-08-13 2015-11-04 昆明理工大学 一种三七播种机专用顶升机构
CN113455373A (zh) * 2021-07-09 2021-10-01 北京城农科工科技发展有限公司 苗钵支撑落土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2382B (zh) * 2018-11-20 2020-11-24 惠安多殿起优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水田秧苗的供给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09743A (zh) * 2015-08-13 2015-11-04 昆明理工大学 一种三七播种机专用顶升机构
CN113455373A (zh) * 2021-07-09 2021-10-01 北京城农科工科技发展有限公司 苗钵支撑落土装置
CN113455373B (zh) * 2021-07-09 2023-06-13 北京城农科工科技发展有限公司 苗钵支撑落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1554B1 (ko) 201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2939B1 (ko) 야채이식기
CN108738878A (zh) 一种园艺栽培学用便于使用的栽培架
CN112602411A (zh) 一种蔬菜种植用一体化播种设备
CN104541707A (zh) 蔬菜自动移栽机
KR100991554B1 (ko) 묘삼 식재장치 및 방법
CN115349419A (zh) 一种农业园艺起苗装置及起苗方法
CN217038236U (zh) 苗木输送装置及自动种植机构
KR101919004B1 (ko) 마늘종구 발근부 하향 직립 파종기
CN109121602B (zh) 一种护根式小植株取出器
KR20090020455A (ko) 묘삼 식재기 및 묘삼 식재방법
KR20120122104A (ko) 손수레 구동방식의 포크 부재를 구비하는 묘종 이식기
KR20110047447A (ko) 식물 이식장치
KR100644731B1 (ko) 인삼묘 식재기
JP6627108B1 (ja) 種または球根の植付機
KR101190625B1 (ko) 묘삼 식재용 식재호퍼
KR20200076005A (ko) 소형 동력 파종장치
CN212786567U (zh) 一种有机蔬菜播种装置
KR200472391Y1 (ko) 기구식 묘삼식부장치
CN113545247A (zh) 一种黄金蜜李种植用避免土壤板结的高产栽培方法
CN108781664B (zh) 一种打窝移栽一体机
KR101206920B1 (ko) 묘삼 식재기
CN216853070U (zh) 农业育苗幼苗栽培装置
CN217850109U (zh) 一种液压式蔬菜移栽机
CN213214326U (zh) 一种南瓜免耕地育苗移栽机
CN221510264U (zh) 一种多用途栽苗播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