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33302A1 -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 Google Patents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33302A1
WO2014133302A1 PCT/KR2014/001537 KR2014001537W WO2014133302A1 WO 2014133302 A1 WO2014133302 A1 WO 2014133302A1 KR 2014001537 W KR2014001537 W KR 2014001537W WO 2014133302 A1 WO2014133302 A1 WO 201413330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sliding member
pipe
wash basi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153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창환
김동명
Original Assignee
Kim Chang Hwan
Kim Dong Myung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2034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354685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2996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354686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3278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354687B1/ko
Application filed by Kim Chang Hwan, Kim Dong Myung filed Critical Kim Chang Hwan
Priority to CN201480010740.1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008627B/zh
Priority to US14/768,342 priority patent/US10132065B2/en
Publication of WO201413330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3330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4Odour seals having U-shaped tr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기에 형성된 배수공으로 삽입되고 길이 방향 상단에 상기 배수공에 걸리는 플랜지가 구비된 배수파이프와, 상기 플랜지와의 사이에 세면기를 고정시키는 체결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 수단은 세면기의 하부로 노출된 상기 배수파이프를 하향 가함으로써 세면기를 상향 가압하여 세면기와 배수파이프를 서로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본 발명은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면기에 설치되어 물이 하수구로 배출되는 통로가 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기에는 물을 하수구 등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세트가 설비된다. 선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59796호(2012.04.25)에는 세면대용 배수 세트 구조가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세면대용 배수 세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세면대용 배수 세트 구조는 팝업 배수부(10)와, 호스부(20)와, 배수관(30)을 구비한다. 세면대(1)는 수도물이 저장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용기로서,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팝업 배수부(10)의 팝업 밸브가 구비된다. 호스부(20)는 플렉서블 관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배수관(30)은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관으로서, 호스부(20)와 하수구(3)의 사이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하지만,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세면대용 배수 세트 구조는 호스부(20)의 내구성이 약하여 쉽게 파손되며,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기 쉬운 구조이기 때문에 최근에는 배수 관 전체를 금속 재질로 교체하고 있는 추세이다.
도 2는 다른 양상에 따른 종래의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세면대(1)에 형성된 관통공에 배수관(2)이 삽입 설치되며, 배수관(2)의 상단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굴곡부(21)가 형성되어 세면대(1)의 바닥부 상면에 지지된다. 굴곡부(21)와 세면대(1)의 바닥부 상면의 사이에는 패킹 부재(22)가 구비된다. 또한, 세면대(1)의 바닥부 하면에는 배수관(2)에 너트(24)가 체결되어, 배수관(2)은 세면대(1)에 결합된다. 상기 너트(24)와 세면대(1)의 바닥부 하면 사이에는 패킹 부재(22) 및 와셔(23)가 구비된다. 상기 배수관(2)의 하단에는 굴곡 유로를 형성하여 하수구의 이물, 각종 가스, 악취, 벌레 등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트랩관(4)이 체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세면기 설치용 파이프 구조의 설치 및 해체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배수관(2)을 세면대(1)의 관통공에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끼우고, 배수관(2)의 하단을 트랩관(4)의 상단에 체결함과 아울러 너트(24)를 조여 세면대(1)에 배수관(2)을 고정한다. 배수관(2)의 해체시에는 너트(24)를 풀고 배수관(2)의 하단과 트랩관(4)의 상단 간의 체결을 해제한 후, 배수관(2)을 세면대(1)의 관통공으로부터 빼내 일련의 분리 작업이 완료된다.
하지만, 종래의 세면기 설치용 파이프 기구는 배수관의 해체시 너트를 조이거나 풀기 위한 별도의 전문 공구를 필요로 하고, 교체 및 보수 작업이 불편하며,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전문 공구가 없이도 간단하게 배수파이프를 설치 및 해체할 수 있고, 배수관과 트랩관 간의 체결 작업을 생략 가능한 개선된 구조의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는 세면기에 형성된 배수공으로 삽입되고 길이 방향 상단에 상기 배수공에 걸리는 플랜지가 구비된 배수파이프와, 상기 플랜지와의 사이에 세면기를 고정시키는 체결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 수단은 세면기의 하부로 노출된 상기 배수파이프를 하향 가함으로써 세면기를 상향 가압하여 세면기와 배수파이프를 서로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체결 수단은 상기 배수파이프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딩 부재와, 배수파이프가 삽입되며 하단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접촉되고 상단이 세면기의 하면에 접촉되어 탄성 가압되는 제1 스프링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배수파이프에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고정 수단은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걸쇠와, 상기 걸쇠가 배수파이프를 가압하도록 걸쇠를 회전 방향 일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2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배수파이프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쇠를 삽입시키는 요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배수파이프의 하단에는 굴곡된 유로를 통해 트랩(Trap) 속에 물을 고이게하는 트랩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슬라이딩 부재의 하단에는 굴곡된 유로를 통해 트랩(Trap) 속에 물을 고이게하는 트랩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슬라이딩 부재와 트랩관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체결 수단은 세면기의 하부로 노출된 상기 배수파이프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이 슬라이딩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핸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파이프에는 링크부재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요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링크부재는 상측이 상기 핸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측에 걸림홈이 형성된 제1 링크 부재와, 상측이 상기 걸림 홈에 삽입되어 연결되고 하측이 상기 배수파이프의 측면을 향해 연장 형성된 제2 링크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는 제2 링크 부재가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되도록 홀을 형성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링크 부재의 하측 단부는 슬라이딩 부재를 지나 배수파이프의 측면을 향하여 연장되고; 제2 링크 부재와 가이드부의 내벽 사이에 스프링 부재가 더 구비되어 제2 링크 부재를 배수파이프 쪽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요입홈은 상측이 제2 링크 부재의 하측 단부의 연장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체결 수단은 상기 배수파이프의 측면을 가압함과 아울러 상기 세면기의 바닥부 하면을 배수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상향 가압하여 상기 배수파이프를 세면기에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체결 수단은 배수파이프가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부로 위치하며 배수파이프가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압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가압 부재 사이에 구비되며 일측은 슬라이딩 부재에 접촉되고 타측은 가압 부재에 접촉되어 상기 가압 부재를 세면기 쪽으로 가압하는 제1 스프링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배수파이프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상기에서, 슬라이딩 부재에는 폭 방향으로 관통된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파이프에는 오목하게 요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수단은 슬라이딩 부재가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슬라이딩 부재의 외측으로 위치하며 내향 돌출된 가압 돌기를 구비하는 잠금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잠금 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잠금 부재를 상향 가압하는 제2 스프링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볼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잠금 부재의 가압 돌기가 볼 부재를 폭 방향으로 내향 가압하여, 볼 부재가 관통공을 통하여 내향 노출되어 요입홈에 삽입됨으로써 슬라이딩 부재가 배수파이프에 체결되며, 제1 스프링 부재는 가압 부재를 상향 가압하여, 배수파이프가 세면기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잠금 부재는 가압 돌기로부터 길이 방향 하향 이격되며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스토퍼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관통공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하향 이격되며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안착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안착 돌기는 길이 방향으로 스토퍼 돌기와 가압 돌기 사이에 위치하며, 안착 돌기의 단부는 스토퍼 돌기의 단부보다 폭 방향으로 외측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요입홈의 내단으로부터 가압 돌기의 내단 까지의 폭 방향 거리는 볼 부재의 지름보다 크고, 배수파이프의 외면으로부터 가압 돌기의 내단 까지의 폭 방향 거리는 볼 부재의 지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체결 수단은 슬라이딩 부재를 가지는 트랩부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세면기 사이에 위치하고 배수파이프가 삽입되어 구비되는 제1스프링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스프링 부재는 슬라이딩 부재와 세면기 사이에서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슬라이딩 부재는 배수파이프에 억지 끼워 맞춤 관계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슬라이딩 부재는 배수파이프에 나사 체결 방식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슬라이딩 부재와 배수파이프 사이에는 오링이 더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요홈이 형성되어 오링은 요홈에 위치하고, 배수파이프는 오링과 억지 끼워 맞춤 관계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슬라이딩 부재와 배수파이프 사이에는 오링이 더 구비되며; 상기 배수파이프에 요홈이 형성되어 오링은 요홈에 위치하고, 슬라이딩 부재는 오링과 억지 끼워 맞춤 관계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배수파이프에는 오링을 향하여 돌출된 걸림 돌기가 구비되며; 결합부와 배수파이프가 결합될 때 걸림 돌기가 오링을 지나면서 오링은 팽창 변형되며, 걸림 돌기가 오링의 하부에 위치하여 오링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슬라이딩 부재에는 상단으로부터 하향하여 길이 방향으로 끼움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단으로부 하향 이격되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끼움홈에 연결되는 걸림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파이프에는 돌출된 걸림 돌기가 구비되어; 슬라이딩 부재의 끼움홈을 따라 걸림 돌기가 슬라이딩한 후 다시 걸림홈부를 따라 슬라이딩 되어 걸림홈부에 걸리면서 슬라이딩 부재와 배수파이프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슬라이딩 부재는 유압호스용 커플링이고, 상기 배수파이프에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부재와 배수파이프는 커플링 결합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체결 수단은 세면기의 하부로 노출된 배수파이프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와 배수파이프 사이에 위치하여 배수파이프를 클램핑하며 슬라이딩부재에 걸리도록 구비된 클램프부재와, 상기 배수파이프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며 세면기와 슬라이딩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하방 가압하는 제1 스프링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배수파이프를 따라 내려온 물을 흘려보내는 상부연결관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배수파이프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중공체로써 상기 클램프부재가 돌출되는 측방슬릿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배수파이프의 하부외측에는 오목하게 요입홈가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부재는 상기 요입홈에 체결되며; 상기 클램프부재는 요입홈에 위치하는 원호부와, 상기 원호부의 양끝단부에서 연장되어 측방슬릿공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체결 수단은 배수파이프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경사 형성된 와셔턱부를 가지는 슬라이딩부재과, 상기 와셔턱부 상부에 밀착되고 슬라이딩부재에 피봇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배수파이프가 삽입되는 클램프와셔와, 상기 배수파이프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며 세면기와 클램프와셔 사이에 위치하여 클램프와셔와 슬라이딩부재를 하향 가압하는 제1 스프링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체결 수단은 배수파이프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경사 형성된 와셔턱부와, 상기 와셔턱부상에 안착된 클램프와셔의 돌출부가 피봇가능하게 삽입되는 피봇부와, 상기 피봇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측방으로 관통된 유격공이 형성된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상부연결관은 배수파이프가 삽입 가능한 중공관 형태이며, 상부연결관의 하단에는 연결연장부가 하단부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며; 상기 연결연장부의 상부에는 트랩커버가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트랩커버는 판상의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커버지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지지부는 연결연장부 상단의 외경면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트랩커버가 연결연장부에 삽입 결합되었을 시, 상기 커버의 하면과 연결연장부의 상단 사이에 유체가 유동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는 별도의 전문 공구가 없이도 간단하게 배수파이프를 설치 및 해체할 수 있으므로 남녀 노소 누구나 용이하게 작업이 가능하고 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트랩관을 일체로 형성할 경우 조립 공정수를 더욱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세면대용 배수 세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의 고정 수단을 부분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가 세면기에서 해체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가 세면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가 체결 수단으로부터 해체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의 고정 수단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의 체결 수단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의 체결 수단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가 세면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19의 "A" 부위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2는 도 21의 변형 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3은 도 19의 "B" 부위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의 작동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변형된 슬라이딩 부재를 구비한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의 작동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6은 본 발명에 억찌끼움 방식 체결 수단을 구비한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7은 도 26의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의 배수파이프와 결합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8는 도 26의 변형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의 결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9는 도 26의 변형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의 배수파이프와 결합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0은 도 26의 다른 변형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의 배수파이프와 결합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1은 본 발명에 클램프 체결 수단을 구비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2는 도 31의 배수파이프를 도시한 분리 정면도이며,
도 33은 도 3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이고,
도 34는 도 33의 변형 예이고,
도 35는 도 31의 배수파이프 기구에 구비된 슬라이딩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6은 도 35에 도시한 슬라이딩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37은 도 35에 도시한 슬라이딩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8은 본 발명에 클램프 체결 수단을 구비한 예에 구비된 클램프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9는 도 38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0은 도 31의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에 구비된 클램프부재에 의한 배수파이프와 슬라이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41은 도 36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의 배수파이프와 슬라이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절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42는 도 41의 슬라이딩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 이고,
도 43은 도41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의 클램프와셔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4는 도31의 상부연결관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5는 도 44의 트랩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6은 트랩커버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의 고정 수단을 부분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가 세면기에서 해체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가 세면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가 체결 수단으로부터 해체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의 고정 수단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를 세면기에 설치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의 고정 수단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부분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의 고정수단이 고정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가 세면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100)는 배수파이프(111)와, 체결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체결 수단은 세면기(1)의 바닥부 하면을 가압하고 플랜지(113)의 하부로 연장된 파이프인 관상의 몸체를 하방으로 당기도록 설치되어, 배수파이프(111)를 세면기(1)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슬라이딩 부재(121)와, 와셔(105)와, 제1 스프링 부재(125)와,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 수단은 세면기(1)의 바닥부 하면을 배수파이프(111)의 길이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고 배수파이프(111)를 하향 당김으로써, 세면기(1)에 배수파이프(111)가 고정설치되도록 한다. 즉, 배수파이프(111)는 체결 수단에 의해 세면기(1)에 고정 설치된다.
배수파이프(111)는 길이를 갖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플랜지(113)가 형성된다. 플랜지(113)는 배수파이프(111)의 길이 방향 상단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굴곡 연장되어, 세면기(1)에 형성된 배수공의 둘레로 세면기(1)의 상면에 걸리게 된다. 배수파이프(111)의 하단은 세면기(1)에 형성된 배수공을 관통하여 하향 연장된다. 배수파이프(111)는 플랜지(113)가 세면기(1)에 형성된 배수공에 걸리고, 배수공을 관통하여 하향 연장된 형태로 세면기(1)에 설치된다.
배수파이프(111)의 외주면에는 오목한 요입홈(111a)이 형성된다. 상기 요입홈(111a)은 플랜지(113)로부터 하향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배수파이프(111)가 배수공에 삽입되어 설치될 때 세면기(1)로부터 하향 노출된 위치에 형성된다. 요입홈(111a)은 배수파이프(111)의 길이 방향으로 상하 이격되어 다수의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입홈(111a)에 후술할 걸쇠(123)가 삽입된다.
슬라이딩 부재(121)는 중공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배수파이프(111)가 삽입된다. 슬라이딩 부재(121)는 배수파이프(11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수파이프(111)의 하단으로부터 끼워진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는 배수파이프(111)에 끼워지는 관부(1211)와, 상기 관부(121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그립부(1212)와, 후술할 걸쇠(123)가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지지부(1213)로 이루어진다. 상기 그립부(1212)는 슬라이딩 부재(121)의 슬라이딩 시 작업자의 손에 파지되기 용이하도록 작용한다. 상기 그립부(1212)는 환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관부(1211)의 내측에는 후술할 제1 스프링 부재(125)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하여 내향 형성된 턱부인 안착부(1215)가 형성되며, 관부(1211)의 측면에는 걸쇠(123)가 삽입되기 위한 홈부(12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부(1211)가 그립부(1212)를 지나서까지 하향 연장되어 홈부(1214)는 그립부(1212)의 하부로 관부(121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부(1214)는 측방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1215)는 관부(1211)의 내측으로 돌출된 턱부를 형성하도록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관부(1211)의 내측 직경은 배수파이프(121)의 외측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1 스프링 부재(125)는 배수파이프(111)의 외측과 관부(1211)의 내측 사이로 삽입된 상태로 안착부(1215)에 지지된다. 상기 안착부(1215)의 내면은 배수파이프(111)의 외경면보다 큰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관부(1211)는 반드시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면이 폐쇄형의 관체로 될 필요가 없다. 상기 관부(1211)과 파이프로 이루어진 경우, 그립부(1212)는 관부(121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안착부(1215)로부터 관부(1211) 상단까지의 거리에 의하여 제1 스프링 부재(125)가 압축되는 정도가 제한될 수 있다.
와셔(105)는 원판형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배수파이프(111)가 끼워지며, 배수파이프(11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상기 와셔(105)는 세면기(1)의 바닥부 하면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세면기(1)는 지지부(113)와 와셔(105)의 사이에서 양측으로부터 가압되어 고정된다. 상기 지지부(113)와 세면기(1)의 바닥부 상면 사이에는 누수 방지를 위한 링형상의 패킹(101)이 구비된다. 상기 패킹(101)으로 배수파이프(111)가 삽입된다. 세면기(1)의 바닥부 하면과 와셔(105)에도 패킹(101)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스프링 부재(125)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하단이 슬라이딩 부재(121)의 안착부(1215)에 걸리어 지지되고, 상단이 와셔(105)에 지지된다. 와셔(105)를 구비하지 않고 제1 스프링 부재(125)의 상단은 직접 세면기(1)의 바닥부 하면에 접촉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스프링 부재(125)는 와셔(105)를 세면기(1)의 바닥부 하면 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작용을 한다. 고정 수단은 슬라이딩 부재(121)를 배수파이프(111)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걸쇠(123)와, 제2 스프링 부재(123a)로 이루어진다.
걸쇠(123)는 일측이 슬라이딩 부재(121)의 회전지지부(1213)에 피봇 축인 힌지축(123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회전지지부(1213)는 슬라이딩 부재(121)에 외향 돌출 구비된 돌기 형태로 형성되며, 그립부(1212)의 하부와 관부(1211)의 외측에 연결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걸쇠(123)는 힌지축(1231)을 중심으로 슬라이딩 부재(121)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상기 힌지축(1231)의 축방향은 배수파이프(111)의 길이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걸쇠(123)는 슬라이딩 부재(121)의 양측으로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개수를 늘리거나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걸쇠(123)에는 힌지축(1231)을 중심으로한 회전 반경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경사진 형상의 첨단부(1233)가 형성된다. 첨단부(1233)는 배수파이프(111)에 형성된 요입홈(111a)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부재(121)는 배수파이프(111)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고정된다. 상기 관부(1211)에 측방으로 형성된 홈부(1214)를 지나 요입홈(111a)에 삽입된다. 홈부(1214)는 단면이 상면은 상향 경사지고 하면은 수평이거나 상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첨단부(1233)는 홈부(1214)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면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도록 한다.
제2 스프링 부재(123a)는 걸쇠(123)가 배수파이프(111)를 가압하도록, 걸쇠(123)를 회전 방향 일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제2 스프링 부재(123a)는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힌지축(1231)에 결합되어 걸쇠(123)를 배수파이프(111)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구비된다. 제2 스프링 부재(123a)는 일측 연장부는 그립부(1212)에 접촉되고 다른 연장부는 걸쇠(123)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상기에서, 걸쇠(123)의 오므리는 회전 방향은 걸쇠(123)의 첨단부(1233)가 배수파이프(111)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회전 방향이다. 상기 제2 스프링 부재(123a)는 걸쇠(123)를 배수파이프(111)의 가압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으며, 슬라이딩 부재(121)가 배수파이프(11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다 걸쇠(123)가 요입홈(111a)과 마주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제2 스프링 부재(123a)의 가압력에 의해 걸쇠(123)는 요입홈(111a)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부재(121)는 배수파이프(111)에 고정된다.
상기 배수파이프(111)의 하단에는 트랩관이 결합된다. 트랩관은 굴곡된 유로를 통해 트랩(Trap) 속에 물을 고이게하는 것으로서, 하수구의 이물, 각종 가스, 악취, 벌레 등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100)는 세면기(1)에 설치 시, 먼저 배수파이프(111)를 세면기(1)의 배수공에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삽입하고, 배수파이프(111)의 하단을 트랩관에 끼우거나 나사 체결하여 연결한 후, 슬라이딩 부재(121)를 상부로 슬라이딩시켜 걸쇠(123)가 요입홈(111a)에 걸리도록 한다. 걸쇠(123)가 요입홈(111a)에 걸리게 되면, 제2 스프링 부재(123a)는 걸쇠(123)가 요입홈(111a)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슬라이딩 부재(121)는 배수파이프(111)의 길이 방향으로 더이상 슬라이딩되지 못하고 구속되어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슬라이딩 부재(121)와 와셔(105) 사이에 개재된 제1 스프링 부재(125)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와셔(105)를 배수파이프(111)의 지지부(113) 측, 즉, 상부 측으로 가압하여 배수파이프(111)는 세면기(1)에 고정이 완료된다.
반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100)는 세면기(1)로부터 해체 시, 걸쇠(123)를 양측으로 벌리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걸쇠(123)가 요입홈(111a)에 삽입된 상태를 해제하면, 슬라이딩 부재(121)는 제1 스프링 부재(125)에 의해 배수파이프(111)로부터 고정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배수파이프(111)는 세면기(1)로부터 고정 해제되어 자유로운 상태가 되며, 배수파이프(111)의 하단을 트랩관으로부터 분리시키고, 배수파이프(111)를 세면기(1)의 배수공으로부터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분리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가 세면기에서 해체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가 세면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에서 설명될 실시 예는 전술한 실시 예와 비교하여 트랩관의 구조 및 트랩관과의 결합 구조가 변경된 것으로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100)는 배수파이프(111)와, 체결 및 트랩 모듈(7)과, 와셔(105)와, 제1 스프링 부재(125)와, 걸쇠(123)와, 제2 스프링 부재(123a)를 구비한다. 상기 체결 및 트랩 모듈(7)은 슬라이딩 부재(121)와 트랩관(131)으로 구성되며, 슬라이딩 부재(121)와 트랩관(131)은 일체로 형성된다.
배수파이프(111)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지지부(113)가 형성된다. 지지부(113)는 배수파이프(111)의 길이 방향 상단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굴곡되게 연장되어, 배수공의 둘레로 세면기(1)의 바닥부 상면에 걸리게 된다. 배수파이프(111)의 하단은 세면기(1)에 형성된 배수공에 삽입되며, 지지부(113)에 걸려 배수파이프(11)는 세면기(1)에 매달린다. 배수파이프(111)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요입홈이 형성된다. 요입홈은 배수파이프(111)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의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입홈은 후술할 걸쇠(123)를 삽입시킨다.
슬라이딩 부재(121)는 중공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배수파이프(111)가 삽입된다. 슬라이딩 부재(121)는 배수파이프(11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다.
와셔(105)는 원판형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배수파이프(111)에 끼워지며, 배수파이프(11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상기 와셔(105)는 세면기(1)의 바닥부 하면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세면기(1)는 지지부(113)와 와셔(105)의 사이에 고정된다. 제1 스프링 부재(125)는 압축 용수철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하단이 슬라이딩 부재(121)에 지지되고, 상단이 와셔(105)에 지지된다. 제1 스프링 부재(125)는 와셔(105)를 세면기(1)의 바닥부 하면 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작용을 한다.
걸쇠(123)는 일측이 슬라이딩 부재(1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걸쇠(123)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슬라이딩 부재(121)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상기 힌지축의 축방향은 배수파이프(111)의 길이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 스프링 부재는 걸쇠(123a)가 배수파이프(111)를 가압하도록, 걸쇠(123)를 회전 방향 일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제2 스프링 부재(123a)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트랩관(131)은 슬라이딩 부재(121)의 하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트랩관(131)은 길이 방향으로 일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제1 격벽(1311)과 제2 격벽(1312)이 구비된다. 제1 격벽(1311)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제2 격벽(1312)은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1 격벽(1311)과 제2 격벽(1312)의 경사진 방향은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격벽(1311)과 제2 격벽(1312) 사이에 형성되는 트랩 유로를 통해 물을 고이게 한다. 즉, 상기 제1 격벽(1311)과 제2 격벽(1312)의 구성을 통해, 트랩관(131)의 내부에는 "U"자 형상이 상하로 교차된 굴곡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굴곡 유로는 물을 고이게 하는 트랩 유로를 형성하여 하수구의 이물, 각종 가스, 악취, 벌레 등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트랩관(131)이 슬라이딩 부재(121)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조립 공정수를 줄일 수 있고, 트랩관(131)의 일자형 구조 및 내부에 형성된 트랩 유로 구조를 통해 트랩관의 외부 차지 공간을 줄임과 아울러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100)는 세면기(1)에 설치 시, 먼저 배수파이프(111)를 세면기(1)의 배수공에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삽입하고, 슬라이딩 부재(121) 및 트랩관(131)이 일체로 구성된 체결 및 트랩 모듈(7)을 상부로 슬라이딩시켜 걸쇠(123)가 요입홈(111a)에 걸리도록 한다. 걸쇠(123)가 요입홈에 걸리게 되면, 제2 스프링 부재(123a)는 걸쇠(123)가 요입홈(111a)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체결 및 트랩 모듈(7)은 배수파이프(111)의 길이방향으로 더이상 슬라이딩되지 못하고 구속되어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슬라이딩 부재(121)와 와셔(105) 사이에 개재된 제1 스프링 부재(125)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와셔(105)를 배수파이프(111)의 지지부(113) 측, 즉, 상부 측으로 가압하여 배수파이프(111)는 세면기(1)에 고정이 완료된다.
반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100)는 세면기(1)로부터 해체 시, 걸쇠(123)를 양측으로 벌리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걸쇠(123)가 요입홈(111a)에 삽입된 상태를 해제하면, 체결 및 트랩 모듈(7)은 제1 스프링 부재(125)에 의해 배수파이프(111)로부터 고정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배수파이프(111)는 세면기(1)로부터 고정 해제되어 자유로운 상태가 되며, 배수파이프(111)를 세면기(1)의 배수공으로부터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분리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의 체결 수단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의 체결 수단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가 세면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100)는 배수파이프(111)와, 체결 수단을 포함한다.
체결 수단은 플랜지(113)와의 사이에 세면기(1)를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슬라이딩 부재(121)와, 핸들(122)과, 가압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 수단은 배수파이프(111)의 측면을 탄성 가압하여, 세면기(1)와 배수파이프(111)를 서로 체결시킨다. 즉, 배수파이프(111)는 체결 수단에 의해 세면기(1)에 체결되거나 체결 해제되며, 상기 체결 및 체결 해제 동작이 원터치 방식으로 이루어져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에는 체결 수단의 원터치 동작 구조 및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배수파이프(111)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플랜지(113)가 형성된다. 플랜지(113)는 배수파이프(111)의 길이 방향 상단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세면기(1)의 배수공의 둘레를 따라 세면기(1)의 바닥부 상면에 걸리게 된다. 배수파이프(111)는 세면기(1)에 형성된 배수공에 삽입되며, 플랜지(113)에 걸려 배수파이프(111)는 세면기(1)의 통공에 삽입된 상태로 된다. 상기 배수파이프(111)는 상부로부터 통공에 삽입되어 세면기(1)의 하부로 노출된다. 배수파이프(111)의 외주면에는 플랜지(113)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요입홈(111a)이 형성된다.
요입홈(111a)은 배수파이프(111)의 길이 방향으로 플랜지(113)로부터 하향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입홈(111a)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요입홈(111a)은 배수파이프(111)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요입홈(111a)에는 후술할 제2 링크 부재(124b)의 하측 단부인 굴곡부(1243b)가 삽입된다. 상기 요입홈(111a)은 상측이 제2 링크 부재(124b)의 하측 단부인 굴곡부(1243b)의 연장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하측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요입홈(111a)의 상측 경사 각도를 제2 링크 부재(124b)의 굴곡부(1243b) 각도와 나란하게 형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굴곡부(1243b)가 요입홈(111a)으로부터 이탈할 때 요입홈(111a)의 상측 경사면을 통해 굴곡부(1243b)가 요입홈(111a)으로부터 미끄러져 부드럽게 빠지며, 굴곡부(1243b)가 요입홈(111a)에 삽입된 상태일 때 굴곡부(1243b)가 요입홈(111a)의 하측 수평면에 걸려 슬라이딩 부재(121)가 배수파이프(111)에 견고히 고정된다.
슬라이딩 부재(121)는 중공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배수파이프(111)가 삽입된다. 슬라이딩 부재(121)는 배수파이프(11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는 배수파이프(111)에 끼워지는 관부(1211)와, 상단에 상기 관부(121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세면기(1)의 바닥부 하면을 지지하는 플랜지(113)와, 후술할 핸들(122)과 조립되기 위한 회전지지부(1213)와, 가이드부(1216)로 구성된다.
세면기(1)의 바닥부 상면과 배수파이프(111)의 플랜지(113)의 사이 및 세면기(1)의 바닥부 하면과 슬라이딩 부재(121)의 플랜지(113) 사이에는 각각 씰링 작용을 하는 고무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링형상의 패킹(101)가 구비된다. 상기 플랜지(113)는 패킹(101)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작용을 함과 아울러 슬라이딩 부재(121)의 슬라이딩 시 작업자의 손에 파지되기 용이하도록 하는 작용한다. 플랜지(113)의 하부로 상기 관부(1211)의 측면에는 제2 링크 부재(124b)의 하측 단부가 삽입되는 홈부(1214)가 형성된다. 상기 홈부(1214)는 제2 링크 부재(124b)의 하측 단부를 배수파이프(111)의 측면과 통하게 한다. 가이드부(1216)는 슬라이딩 부재(121)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상하 방향으로 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제2 링크 부재(124b)는 가이드부(1216)와 관부(1211)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된다. 상기 가이드부(1216)는 단면이 대략 'ㄷ'형으로 형성되며, 관부(1211)의 외측으로 구비되어 관부(1211)와 가이드부(1216)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슬라이딩 부재(121)에 홈부(1214)를 형성하지 않고, 슬라이딩 부재(121)의 하단보다 하부로 제2 링크 부재(124b)의 하측 단부가 위치되도록 슬라이딩 부재(121)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핸들(122)은 막대 형상으로서, 상단이 플랜지(113)의 하부로 슬라이딩 부재(121)의 외측으로 힌지축(1223)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핸들(122)은 플랜지(113)의 하부로 구비되는 브라켓인 회전지지부(1213)에 피봇 축인 힌지축(122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핸들(122)은 플랜지(11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핸들(122)은 힌지축(1223)을 중심으로 슬라이딩 부재(121)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힌지축(1223)의 축방향은 배수파이프(111)의 길이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핸들(122)은 슬라이딩 부재(121)의 양측에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개수를 늘리거나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핸들(122)은 힌지축(1223)을 기준으로 회전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핸들(122)의 연장 길이가 충분히 길게 형성되어 작업자가 핸들(122)을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시킬 때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비교적 작은 힘으로도 충분한 힘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가압 수단은 상기 핸들(122)의 회전에 따라 배수파이프(111)의 측면을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는 것으로서, 제1 링크 부재(124a)와, 제2 링크 부재(124b) 및 스프링 부재(125a)로 이루어진다. 제1 링크 부재(124a)는 상단이 핸들(12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측에 걸림홈(1242a)이 형성된다. 제1 링크 부재(124a)의 상단에는 양측으로 돌출된 피봇축(1241a)이 구비되어 핸들(12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핸들(122)은 단면이 'ㄷ'자 형태로 피봇축(1241a)이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링크 부재(124a)의 상단은 상기 힌지축(1223)으로부터 핸들(122)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에서 피봇축(1241a)은 별도로 구비되고, 제1 링크 부재(124a)의 상단에 삽입공을 형성하여, 피봇축(1241a)을 핸들(122)과 제1 링크 부재(124a)에 삽입시켜, 제1 링크 부재(124a)를 핸들(12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링크 부재(124b)는 상측이 걸림홈(1242a)에 연결되고, 하측이 배수파이프(111)의 측면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2 링크 부재(124b)의 상측 단부에는 후크부(1241b)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부(1241b)가 제1 링크 부재(124a)의 걸림홈(1242a)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2 링크 부재(124b)의 하측 단부의 일부는 배수파이프(111)의 측면을 향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경사진 굴곡부(1243b)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1242a) 내에서 후크부(1241b)는 유격을 가지고 상하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걸림홈(1242a) 내에서 후크부(1241b)가 상하로 유격을 가지게 되므로, 요입홈(111a)의 형성 위치 공차를 크게 할 수 있다. 또는 걸림홈(1242a)의 크기를 변경하여 유격량을 조정함으로써 가압되는 힘의 크기를 조정할 수도 있다.
상기 굴곡부(1243b)는 슬라이딩 부재(121)에 형성된 홈부(1214)로 삽입되어 배수파이프(111)의 측면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제2 링크 부재(124b)의 외측면에는 후술할 스프링 부재(125a)를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결합편(1242b)이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만곡된 형태의 스프링 부재(125a)의 상하단이 결합편(1242b)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에서, 제2 링크부재(124b)의 골곡부(1243b)의 하측 단부는 홈부(1214)에 삽입되며, 굴곡 부위가 슬라이딩 부재(121)의 홈부(1214) 상측 단부에 걸려 배수파이프(111)를 가압 해제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상기 굴곡부(1243b)의 가압 해제 방향은 탄성 변형되기 전 본래의 경사 각도에서 배수파이프(111)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경사진 방향을 의미한다.
스프링 부재(125a)는 제2 링크 부재(124b)와 가이드부(1216)의 내벽 사이에 배치되며, 판 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 측이 제2 링크 부재(124b)의 결합편(1242b) 사이에 지지된다. 스프링 부재(125a)의 타 측은 가이드부(1216)의 내벽에 밀착되어, 제2 링크 부재(124b)를 배수파이프(111) 측으로 탄성 가압한다.
핸들(122)이 힌지축(1223)을 중심으로 슬라이딩 부재(121)의 외측 방향을 향해 회전되면(도 7에서 반시계 방향), 피봇축(1241a)을 중심으로 핸들(12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링크 부재(124a)는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 링크 부재(124a)에 연결된 제2 링크 부재(124b)는 후크부(1241b)에 의해 상측으로 견인되어 가이드부(1216)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제2 링크 부재(124b)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굴곡부(1243b)가 홈부(1214)의 상측 단부에 홈부(1241)가 형성되지 않고 제2 링크 부재(124b)가 슬라이딩 부재(121)의 하단 하부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경우에는 슬라이딩 부재(121)의 하단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반경 방향 외향 운동하게 되어 굴곡부(1243b)의 단부가 배수파이프(111)의 요입홈(111a)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로 인해, 슬라이딩 부재(121)는 배수파이프(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자유로이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가 된다.
반대로, 핸들(122)이 힌지축(1223)을 중심으로 슬라이딩 부재(121)의 내측 방향을 향해 회전되면(도 7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 피봇축(1241a)을 중심으로 핸들(12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링크 부재(124a)가 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 링크 부재(124a)에 연결된 제2 링크 부재(124b)는 제1 링크 부재(124a)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어 가이드부(1216)에 의하여 안내되며 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제2 링크 부재(124b)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굴곡부(1243b)가 홈부(1214)의 상측 단부에 걸려있는 상태가 해제되어 탄성 복원됨에 따라 굴곡부(1243b)의 단부가 배수파이프(111)의 요입홈(111a)으로 삽입된다. 이 경우, 스프링 부재(125a)는 굴곡부(1243b)가 요입홈(111a)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제2 링크 부재(124b)를 지속적으로 탄성 가압하고 있다. 이로 인해, 슬라이딩 부재(121)는 배수파이프(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속되어 슬라이딩이 제한되고 고정된다. 그리고 제1 링크 부재(124a)와 제2 링크 부재(124b)의 탄성 가압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121)는 상방향으로 가압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수파이프(111)의 하단에는 트랩관이 결합된다. 트랩관은 굴곡된 유로를 통해 트랩(Trap) 속에 물을 고이게 하는 것으로서, 하수구의 이물, 각종 가스, 악취, 벌레 등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100)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배수파이프(111)를 세면기(1)의 배수공에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삽입한다. 배수공에 삽입되어 세면기(1) 하부로 노출된 배수파이프(111)에 슬라이딩 부재(121)를 삽입시킨다.
이후에, 배수파이프(111)의 하단을 트랩관에 끼우거나 나사 체결하여 연결한다. 다음으로, 핸들(122)을 벌리는 방향(도 7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딩 부재(121)를 상부로 슬라이딩시켜 슬라이딩 부재(121)의 플랜지부(113)와 배수파이프(111)의 플랜지(113)의 사이에 세면기(1)가 위치한 상태로 세면기(1)의 바닥부 하면에 패킹(101)이 밀착되게 한다. 상기에서 패킹(101)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세면기(1)가 슬라이딩 부재(73)의 플랜지부(113)와 배수파이프(111)의 플랜지(113)의 사이에 밀착된다.
이때, 피봇축(1241a)은 반경 방향으로 힌지축(1223a) 보다 외측으로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핸들(122)을 오므리는 방향(도 7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링크부재(124a)와 제2 링크부재(124b)가 하향 운동을 하며, 제2 링크부재(124b)의 굴곡부(1243b)가 홈부(1214)의 상단에 접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되고 스프링 부재(125a)가 제2 링크부재(124b)를 배수파이프(111)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제2 링크부재(124b)는 하향 운동하면서 배수파이프(111) 방향을 운동되고, 굴곡부(1243b)의 하단이 요입홈(111a)에 삽입된다. 그리고 굴곡부(1243b)의 하단이 요입홈(111a)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에서 핸들(122)을 계속 회전시키면 제1 링크부재(124a)와 제2 링크부재(124b)에 압축 하중이 발생하고, 따라서 슬라이딩 부재(121)에 상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이 발생하여, 세면기(1)는 배수파이프(121)의 플랜지(113)와 슬라이딩 부재(121)의 플랜지부(113) 사이에서 가압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핸들(122)을 계속회전시켜 피봇축(1241a)이 반경 방향으로 힌지축(1223) 보다 내측으로 위치하면, 조립이 완료되고, 핸들(122)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조립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에서 제1 링크부재(124a)와 제2 링크부재(124b)는 일체로 하여, 상단이 핸들(7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 일부에 굴곡부(1243b)가 구비된 링크부재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링크 부재(124b)의 굴곡부(1243b) 하단이 배수파이프(111)의 요입홈(111a)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부재(121)는 배수파이프(111)에 고정되어 세면기(1)의 하면을 밀착 지지함으로써 일련의 조립 과정이 완료된다.
반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100)의 분해 과정을 설명하면, 핸들(122)을 벌리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슬라이딩 부재(121)가 배수파이프(111)로부터 고정 해제되면, 슬라이딩 부재(121)는 배수파이프(111)로부터 자유로이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가 되어 세면기(1)의 하면을 밀착 지지한 상태가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배수파이프(111)를 트랩관으로부터 분리하고 세면기(1)의 배수공의 상부 방향으로 인출하여 일련의 분해 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19의 "A" 부위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2는 도 21의 변형 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3은 도 19의 "B" 부위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의 작동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변형된 슬라이딩 부재를 구비한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의 작동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도 19의 세로 방향인 배수파이프(111)의 길이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고 하며, 가로 방향을 '폭 방향'이라고 한다.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는 배수파이프(111)와, 체결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배수파이프(111)는 길이를 갖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에 외향 확장된 플랜지부(113)가 형성 구비된다. 상기 플랜지부(113)는 배수파이프(111)의 길이 방향 상단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굴곡되게 연장되어, 세면기(1)의 배수공(1a)의 둘레를 따라 세면기(1)의 바닥부 상면에 걸리게 된다. 상기 배수파이프(111)는 상부로부터 세면기(1)에 형성된 배수공(1a)에 삽입되며, 플랜지(113)가 배수공(1a)의 상부로 걸려, 배수파이프(111)가 세면기(1) 배수공(1a)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배수파이프(111)의 세면기(1) 하부로 노출된 외주면에는 오목하게 요입홈(111a)이 형성된다.
상기 요입홈(111a)은 후술할 관통공(121a)를 통하여 내향 노출된 볼 부재(5)가 삽입되는 개소이다. 상기 요입홈(111a)은 배수파이프(111)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이겨되어 다수 형성된다. 상기 요입홈(111a)은 원주 방향을 따라 배수파이프(111)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요입홈(111a)은 배수파이프(111)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의 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2는 도 21의 변형 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요입홈(111a)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파이프(111)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요입된 홈의 구조일 수 있고, 도 22에 도시된 것처럼 배수파이프(111)에 굴곡부(111c)를 형성하여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체결 수단은 배수파이프(111)를 세면기(1)를 고정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슬라이딩 부재(121)와, 가압 부재(127)와, 제1 스프링 부재(125)와, 고정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 수단은 배수파이프(111)의 측면을 가압함과 아울러 세면기(1)의 바닥부 하면을 배수파이프(111)의 길이 방향으로 상향 탄성 가압함으로써, 배수파이프(111)에 하향하는 하중이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배수파이프(111)를 세면기(1)에 결합시키는 작용을 한다.
슬라이딩 부재(121)는 중공 관 형상으로 이루지며, 상기 배수파이프(111)의 세면기(1) 하부로 노출된 부분이 슬라이딩 부재(121)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는 배수파이프(111)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끼워 삽입시킨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에는 측방으로 볼 부재(5)가 위치하는 관통공(121a)이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21a)은 슬라이딩 부재(121)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21a)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다.
도 23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딩 부재(121)와 배수파이프(111)의 사이에는 씰링을 위한 오링(55)이 구비된다. 상기 오링(55)은 배수파이프(111)의 외측과 슬라이딩 부재(121)의 내측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오링(55)은 길이 방향으로 관통공(121a)의 하부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 및/또는 배수파이프(111)에는 오링(55)이 삽입되는 오목한 홈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의 외주면에는 외향 돌출된 안착 돌기(121b)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 돌기(121b)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공(121a)의 하부로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돌출 구비된다.
상기 가압 부재(127)는 세면기(1)의 바닥부 하면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배수파이프(111)가 끼워져, 배수파이프(111)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세면기(1) 하부로 노출된 배수파이프(111) 부분이 가압 부재(127)에 끼워진다. 가압 부재(127)는 하향하는 오목한 형태의 개구부(1271)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271)로 후술할 제1 스프링 부재(125)가 삽입된다. 상기 가압 부재(127)는 개구부(1271)가 형성되지 않고 플랜지와 같은 형태로 외향 돌출된 돌출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가압부재(127)에 형성되어 제1 스프링 부재(125)의 상단이 접촉되어 지지되는 개구부(1271)나 돌출부재를 '상부지지부'라 한다.
상기 가압 부재(127)는 세면기(1)와 슬라이딩 부재(121) 사이에 위치한다.
세면기(1)의 바닥부 상면과 배수파이프(111)의 플랜지부(113)의 사이 및 세면기(1)의 바닥부 하면과 가압 부재(127) 사이에는 각각 씰링 작용을 하는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링 형상의 패킹(101)가 구비된다. 상기 패킹(101)는 배수파이프(111)가 끼워져 구비된다.
상기 가압 부재(127)는 제1 스프링 부재(125)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된다.
제1 스프링 부재(125)는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부재(121)와 가압 부재(127) 사이에 위치하여 양측에서 가압되며, 하측이 슬라이딩 부재(121)에 접촉되어 지지되고 상측이 가압 부재(127)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상기 제1 스프링 부재(125)는 코일 스프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프링 부재(125)는 가압 부재(127)를 세면기(1)의 바닥부 하면 측으로 가압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제1 스프링 부재(125)의 상측은 가압 부재(127)의 상부지지부에 접촉되어 지지되며 개구부(1271)로 삽입되거나 돌출부재에 접촉되어 지지되며, 하측은 슬라이딩 부재(121)의 상단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가 배수파이프(111)에 고정된 상태일 때, 제1 스프링 부재(125)는 가압 부재(127)를 상측으로 탄성 가압하여 배수파이프(111)가 세면기(1)에 결합시킨다.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를 배수파이프(111)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잠금 부재(128)와, 제2 스프링 부재(123b)와, 볼 부재(5)로 이루어진다.
상기 잠금 부재(128)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의 외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가 잠금 부재(128) 내로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잠금 부재(128)는 상하로 개구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슬라이딩 부재(121)를 향하는 방향인 폭방향 내향으로 돌출된 스토퍼 돌기(1282)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 돌기(1282)는 잠금 부재(128)에 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슬라이딩 부재(121)에 형성된 안착 돌기(121b)에 걸림으로써 잠금 부재(128)의 상부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거리가 제한된다. 상기 스토퍼 돌기(1282)의 폭 방향 내측단은 안착 돌기(121b)의 외측단보다 폭 방향으로 내측으로 위치한다.
상기 잠금 부재(128)에는 가압 돌기(1281)가 구비된다. 가압 돌기(1281)는 잠금 부재(128)의 내측에서 폭 방향으로 내향 돌출 형성되며, 스토퍼 돌기(1282)로부터 길이 방향 상방으로 이격되게 위치한다. 상기 가압 돌기(1281)는 잠금 부재(128)의 상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하향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가압 돌기(1281)의 상면은 볼 부재(5)에 가까워질수록 하향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압 돌기(1281)의 상부의 잠금 부재(128) 부분(이하에서 '잠금부재 상부'라 한다)의 내면은 가압 돌기(1281)보다 폭 방향으로 외측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잠금부재 상부가 볼 부재(5) 외측으로 위치하는 경우 볼 부재(5)는 내측으로 가압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상기 잠금 부재(128)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잠금부재 상부의 내경은 가압 돌기(128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 돌기(1282)의 상단이 안착 돌기(121b)의 하단에 접할 때, 가압 돌기(1281)는 볼 부재(5)의 외측으로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가압 돌기(1281)가 볼 부재(5)의 외측으로 위치할 때 볼 부재(5)에 접촉되어, 관통공(121a)에 삽입되어 있는 볼 부재(5)는 가압 돌기(1281)에 의하여 폭 방향으로 내향(배수파이프(111) 쪽으로) 가압된다. 상기 잠금 부재(128)를 하향 이동시켜 잠금부재 상부가 볼 부재(5)의 외측으로 위치하면 볼 부재(5)는 내향 가압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상기 가압 돌기(1281)의 내단은 슬라이딩 부재(121)의 외면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볼 부재(5)는 관통공(121a)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볼 부재(5)는 가압 돌기(1281)에 의하여 외측에서 폭 방향으로 내향 가압되면 관통공(121a)을 통하여 배수파이프(111)로 노출되어 배수파이프(111)를 가압하게 된다.
볼 부재(5)가 요입홈(111a)의 내단에 접한다고 할 때, 상기에서 배수파이프(111)의 요입홈(111a)의 내단으로부터 가압 돌기(1281)의 내단까지의 폭 방향 거리는 볼 부재(5)의 지름과 같거나 볼 부재(5)의 지름보다 크고, 배수파이프(111)의 외면으로부터 가압 돌기(1281)의 내단까지의 폭 방향 거리는 볼 부재(5)의 지름보다 작게 된다. 따라서 가압 돌기(1281)가 볼 부재(5)의 폭 방향 외측으로 위치할 때, 볼 부재(5)는 요입홈(111a)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상기 배수파이프(111)의 외면으로부터 잠금부재 상부의 내면까지의 폭 방향 거리는 볼 부재(5)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며, 슬라이딩 부재(121)의 외면으로부터 잠금부재 상부의 내면까지의 폭 방향 거리는 볼 부재(5)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잠금부재 상부가 볼 부재(5)의 폭 방향 외측으로 위치할 때, 볼 부재(5)는 이탈하지 않으면서 슬라이딩 부재(121)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길이 방향으로 상기 가압 돌기(1281)와 스토퍼 돌기(1282)의 사이에 슬라이딩 부재(121)의 안착 돌기(121b)가 위치하며, 후술할 제2 스프링 부재(123b)로 슬라이딩 부재(121)가 삽입되어 가압 돌기(1281)와 안착 돌기(121b)의 사이에 제2 스프링 부재(123b)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스프링 부재(123b)는 코일 스프링으로 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121)와 잠금 부재(128)가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가압 돌기(1281)의 내경은 슬라이딩 부재(12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 돌기(121b)의 외경은 스토퍼 돌기(1282)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스프링 부재(123b)는 길이 방향으로 안착 돌기(121b)와 가압 돌기(1281) 사이에 위치하고, 슬라이딩 부재(121)와 잠금 부재(128) 사이에 형성된 원통형 공간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 스프링 부재(123b)는 안착 돌기(121b)와 가압 돌기(1281) 사이에 위치하여, 안착 돌기(121b)와 가압 돌기(1281)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양측을 가압한다. 상기 잠금 부재(128)는 제2 스프링 부재(123b)에 의해 상향 가압된다.
상기 잠금 부재(128)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잠금 부재(128)는 제2 스프링 부재(123b)에 의해 상향 가압되어, 스토퍼 돌기(1282)가 안착 돌기(121b)에 접하게 되고, 가압 돌기(1281)는 볼 부재(5)의 외측으로 위치하며, 볼 부재(5)가 가압 돌기(1281)에 의하여 폭 방향으로 내향 가압된다. 상기 볼 부재(5)는 관통공(121a)을 통하여 내향 돌출되므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슬라이딩 부재(12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볼 부재(5)가 요입홈(111a)의 외측으로 위치하면 요입홈(111a)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부재(121)가 배수파이프(111)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가압 부재(127)와 슬라이딩 부재(121) 사이에 구비된 제1 스프링 부재(125)가 압축되면서 가압 부재(127)가 상향 가압된다. 따라서 세면기(1)는 플랜지(113)와 가압 부재(127)에 의하여 상하에서 가압되고, 배수파이프(111)는 세면기(1)에 고정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의 하측에는 트랩관(131)이 결합된다. 트랩관(131)은 굴곡된 유로를 통해 트랩(Trap) 속에 물을 고이게 하는 것으로서, 하수구의 이물, 각종 가스, 악취, 벌레 등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와 트랩관(131)의 사이에는 씰링을 위한 오링(55)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는 세면기(1)에 설치 시, 먼저, 배수파이프(111)를 세면기(1)의 배수공(1a)에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삽입한다. 이때, 플랜지(113)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패킹(101)가 배수파이프(111)에 끼워진 후, 배수파이프(111)를 세면기(1)의 배수공(1a)에 삽입시킬 수 있다.
배수파이프(111)를 배수공(1a)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세면기(1) 하부로 돌출된 배수파이프(111) 부분으로 하부로부터 순차적으로 가압 부재(127)와, 제1 스프링 부재(125)가 끼워지도록 한다. 이후에, 슬라이딩 부재(121), 잠금 부재(128), 제2 스프링 부재(123b) 및 볼 부재(5)가 조립된 모듈을 가압 부재(127)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수파이프(111)에 끼워지도록 한다. 상기 가압 부재(127)가 끼워지기 전에 또 하나의 패킹(101)가 먼저 끼워지도록 하여, 가압 부재(127)의 상부로 패킹(101)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잠금 부재(128)를 도 24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 방향으로 당겨 잠금부재 상부가 볼 부재(5)의 외측으로 위치되도록 하면 볼 부재(5)는 폭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배수파이프(111)로부터 자유로이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부재(121)의 하단을 트랩관(131)에 삽입시켜 연결되도록 한다. 이후에, 잠금 부재(128)를 당김 상태를 해제하면 제2 스프링 부재(123b)의 복원력에 의해 잠금 부재(128)가 상승함과 아울러 볼 부재(5)가 가압된다. 상기와 같이 볼 부재(5)가 가압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부재(121)를 배수파이프(111) 상하로 이동시켜 볼 부재(5)가 요입홈(111a)에 삽입되면 체결이 완료된다.
상기에서 슬라이딩 부재(121), 잠금 부재(128), 제2 스프링 부재(123b) 및 볼 부재(5)가 조립된 모듈의 슬라이딩 부재(121) 하단을 트랩관(131)에 삽입시켜 연결하고, 슬라이딩 부재(121)의 상부로 제1 스프링 부재(125)와 가압 부재(127)를 위치시킨다. 상기 가압 부재(127), 제1 스프링 부재(125), 슬라이딩 부재(121), 잠금 부재(128), 제2 스프링 부재(123b) 및 볼 부재(5)는 세면기(1)의 하부로 위치한다. 이때 패킹(101)도 각각 세면기(1)의 상부와, 세면기(1)의 상부이며 가압 부재(128)의 상부로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배수공(1a)의 상부로부터 배수파이프(111)를 하향 삽입시켜 배수파이프(111)가 가압 부재(128)와 슬라이딩 부재(121)로 삽입되도록 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배수파이프(111)가 삽입될 때, 볼 부재(5)가 요입홈(111a)에 삽입되면 체결이 완료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는 세면기(1)로부터 해체 시, 잠금 부재(128)를 하부로 당겨 잠금부재 상부가 볼 부재(5)의 가압 상태가 해제되며, 이 상태에서 배수파이프(111)를 상향 이동시켜 세면기(1)의 배수공(1a)으로부터 이탈시키면 해체가 완료된다.
상기에서 슬라이딩 부재(121)를 트랩관(131)으로부터 분리하고, 잠금 부재(128)를 하부로 당겨 잠금부재 상부가 볼 부재(5)의 가압 상태가 해제되도록 한 후 슬라이딩 부재(121), 잠금 부재(128), 제2 스프링 부재(123b) 및 볼 부재(5)가 조립된 모듈을 배수파이프(111)의 하단으로 분리하여 일련의 해체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의 작동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5에 도시된 실시 예는 전술한 실시 예와 비교하여 주름을 가지는 신장부를 더 구비하는 것으로서,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부재(121)는 하단에 신장부(1217)를 매개로 트랩관(131)에 연결된다. 상기 신장부(1217)는 슬라이딩 부재(121)와 트랩관(131)에 구비된다.
상기 신장부(1217)는 슬라이딩 부재(121)의 하측 부위에 주름관 등의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로 이루어져,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다. 따라서, 해체 작업 시 슬라이딩 부재(121)를 트랩관(131)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신장부(1217)를 신장 또는 수축시켜 배수파이프(111)로부터 슬라이딩 부재(121), 잠금 부재(128), 제2 스프링 부재(123b) 및 볼 부재(5)가 조립된 모듈을 하향시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신장부(1217)에 슬라이딩 부재(121)를 삽입시킨 후 외면을 묶어서 슬라이딩 부재(121)에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트랩관(131)과 신장부(1217)도 같은 방법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트랩관(131)을 구비하지 않고 상기 신장부(1217)가 절곡된 형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트랩관으로 작용될 수도 있다.
도 26은 본 발명에 억찌끼움 방식의 체결 수단을 구비한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7은 도 26의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의 배수파이프와 결합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8는 도 26의 변형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의 결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9는 도 26의 변형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의 배수파이프와 결합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0은 도 26의 다른 변형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의 배수파이프와 결합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2에서의 세로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고 한다.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억찌끼움 방식의 체결 수단을 구비한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는 배수파이프(111)와, 와셔(105)와, 제1 스프링 부재(125)와, 슬라이딩 부재(121) 및 트랩관(131)를 포함한다.
배수파이프(111)는 파이프와 같이 길이를 갖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 단부에 플랜지(113)가 구비된다. 플랜지(113)는 배수파이프(111)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굴곡 연장되어, 세면기(1)의 배수공의 둘레로 세면기(1)의 상면에 걸리게 된다. 배수파이프(111)의 관 형상 부분이 세면기(1)에 형성된 배수공에 삽입되며, 플랜지(113)가 배수공에 걸려 배수파이프(111)는 세면기(1)의 배수공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배수파이프(111)의 관 형상 부분은 배수공을 지나 세면기(1)의 하부로 돌출된다.
세면기(1)의 상면과 배수파이프(111)의 플랜지(113)의 사이에는 링 형상의 패킹(101)가 구비된다. 세면기(1)의 내부에는 오버플로우된 물이 배수파이프(111)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배수파이프(111)에는 상기 공간부와 통하도록 측방으로 배수측공(12)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측공(111d)은 배수파이프(111)가 세면기(1) 배수공에 삽입되면 공간부에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와셔(105)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세면기(1)의 하부로 노출된 배수파이프(111)가 삽입되는 것으로서, 배수파이프(111)의 관 형상 부분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배수파이프(111)가 설치된 때, 세면기(1)는 배수파이프(111)의 플랜지(113)와 와셔(105) 사이에 위치하며, 양측에서 와셔(105)와 플랜지(113)에 의하여 가압된다. 와셔(105)는 세면기(1)의 하면을 가압한다. 세면기(1)의 하면과 와셔(105)의 사이에는 패킹(101)가 구비된다. 패킹(101)는 링 형상으로서, 배수파이프(111)의 관 형상 부분이 패킹(101)로 삽입된다. 세면기(1)의 하부로 노출된 배수파이프(1)의 관 형상 부분으로 패킹(101)와 와셔(105)가 차례로 끼워진다.
와셔(105)는 후술할 제1 스프링 부재(125)의 탄성력에 의해 세면기(1)의 바닥부 하면을 상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세면기(1)에 배수파이프(111)가 고정되도록 한다.
제1 스프링 부재(125))는 코일 스프링이나 고무나 합성수지 관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와셔(105)와 슬라이딩 부재(121) 사이에 위치한다. 고무나 합성수지 관체로 구성되는 경우 단면이 원형이며, 탄성력을 가지도록 측방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스프링 부재(125)의 하단은 슬라이딩 부재(121)의 상단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가압되고, 상단은 와셔(105)에 지지된다. 상기 제1 스프링 부재(125)는 슬라이딩 부재(121)의 상단과 세면기(1)의 하면 사이에서 가압되어 압축된다. 와셔(105)를 구비하는 경우 와셔(105)를 세면기(1)의 하면으로 가압하는 작용을 한다.
슬라이딩 부재(121)는 세면기(1)의 배수공에 삽입되어 세면기(1)의 하부로 노출된 배수파이프(111)에 결합되며, 제1 스프링 부재(125)를 상방향으로 세면기(1)를 향하여 가압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체로 이루어져 내측에 배수파이프(111)가 삽입되어 배수파이프(1)에 결합된다. 슬라이딩 부재(121)가 배수파이프(111)에 결합되면서 제1 스프링 부재(125)를 압축시키면 제1 스프링 부재(125)의 상단이 세면기(1)의 하면을 가압하게 되고, 배수파이프(111)에는 아래로 당겨지는 하중이 발생하게 되어, 세면기(1)는 플랜지(113)와 제1 스프링 부재(125) 사이에서 가압되고, 배수파이프(111)는 세면기(1)에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는 제1 스프링 부재(125)가 세면기(1)의 하면을 상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세면기(1)와 배수파이프(111)는 서로 체결된다. 즉, 배수파이프(111)는 슬라이딩 부재(121)와 제1 스프링 부재(125)에 의해 세면기(1)에 체결되는 구조이다. 슬라이딩 부재(121)의 상측에는 제1 스프링 부재(125)의 하단에 접촉하여 하단을 가압하는 플랜지(1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113)는 슬라이딩 부재(121)의 상단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도 있다. 상기 플랜지(113)는 슬라이딩 부재(121)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113)의 상부로 돌출된 부분은 제1 스프링 부재(125) 내로 삽입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슬라이딩 부재(121)는 후술할 트랩관(131)의 상부로 구비된다. 도 26에서 도면부호 42는 슬라이딩 부재(121)가 트랩관(131)에 체결되도록 하는 나사산을 도시한 것이다.
트랩관(131)는 상부로 슬라이딩 부재(121)를 구비한다. 도 26에서 도면부호 1313은 트랩관(131)의 상측에 구비되어 슬라이딩 부재(121)가 결합되는 관연결부를 도시한 것이다. 나사 체결되는 경우 관연결부(1313)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랩관(131)은 굴곡된 유로를 통해 트랩 내에 물이 고이게 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하수구의 이물, 각종 가스, 악취, 벌레 등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트랩부(131)는 상하로 배관이 구비되어 세면기(1)가 설치되는 바닥의 하수구로 연결된다. 상기 배관의 일부는 주름관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수축이 가능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121)는 트랩관(131)에 억지 끼워 맞춤 관계로 결합될 수도 있고, 트랩관(131)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트랩관(131)를 이루는 상부의 배관의 일부가 슬라이딩 부재(121)가 될 수 있다.
상기 트랩관(131)는 중공체로서 내부에 제1 격벽(1311)과 제2 격벽(1312)이 구비된다. 제1 격벽(1311)은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제2 격벽(1312)은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1 격벽(1311)의 하단은 제2 격벽(1312)의 상단보다 낮게 형성되어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트랩 유로에 물이 고이게 된다. 즉, 상기 제1 격벽(1311)과 제2 격벽(1312)의 구성을 통해, 트랩관(131)의 내부에는 "U"자 형상의 굴곡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격벽(1311)과 제2 격벽(1312)의 경사진 방향은 서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랩관(131)는 "U"자 형상으로 굴곡된 배관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는 다양한 형태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첫 번째 예로, 슬라이딩 부재(121)와 배수파이프(111)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오링(55)이 구비되고, 억지 끼워 맞춤 관계로 슬라이딩 부재(121)와 배수파이프(111)가 결합된다. 오링(55)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슬라이딩 부재(121)에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의 내주면에는 오링(55)이 삽입되는 오링홈(55a)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요홈은 배수파이프(111)의 외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오링(55)은 탄성력을 갖는 고무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오링홈(55a)에 삽입된다. 오링홈(55a)에 삽입된 오링(55)의 내경은 배수파이프(111)의 외경보다 작다. 슬라이딩 부재(121)에 외력을 가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슬라딩 부재(121) 내로 배수파이프(111)가 슬라이딩 삽입되면, 제1 스프링 부재(125)는 세면기(1)의 하면과 슬라이딩 부재(121)에서 압축된다. 와셔(105)가 배수파이프(111)에 끼워져 있는 경우, 와셔(105)의 상면은 세면기(1)의 하면에 접하고, 제1 스프링 부재(125)는 와셔(105)의 하면과 슬라이딩 부재(121)의 상단 사이에서 압축된다.
배수파이프(111)가 오링(55)에 삽입되는 위치까지 슬라이딩 부재(121)를 상방향 이동시키면, 배수파이프(111)는 오링(55)에 억지 끼워 맞춤 관계로 삽입된다. 배수파이프(111)는 오링(55)에 삽입됨으로써 슬라이딩 부재(121)가 배수파이프(111)에 결합된 후 외력이 제거되어도, 오링(55)의 탄성력 및 마찰력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121)는 배수파이프(111)로부터 하부로 미끄러져 분리되지 않게 된다.
상기에서 슬라이딩 부재(121)의 내경을 배수파이프(111)의 외경보다 작게 하여 슬라이딩 부재(121)과 배수파이프(111)가 억지 끼워 맞춤 관계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오링(55)은 구비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28는 도 26의 변형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의 결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9는 도 26의 변형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의 배수파이프와 결합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슬라이딩 부재(121)는 걸림 돌기와 홈의 형태로 배수파이프(111)에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배수파이프(111)의 외주면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 돌기(111b)가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걸림 돌기(111b)는 원주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의 내주면에는 상단으로부터 하향하여 길이 방향으로 걸림 돌기(111b)가 삽입되는 끼움홈(121c)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딩 부재(121)의 내주면에 상기 끼움홈(121c)으로 삽입된 걸림 돌기(111b)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형성하는 걸림홈부(121d)이 오목하게 구비된다. 걸림홈부(121d)는 슬라이딩 부재(121)의 내주면에 오목하게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부(121d)은 슬라이딩 부재(121)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형성된다. 걸림홈부(121d)의 원주 방향 단부는 끼움홈(121c)으로 연결된다.
상기 배수파이프(111)의 외경은 슬라이딩 부재(121)의 내경보다 작으며, 걸림 돌기(111b)가 형성된 부분은 슬라이딩 부재(121)의 내경보다 크다. 그리고 걸림 돌기(111b)가 형성된 부분은 끼움홈(121c)과 걸림홈부(121d)가 형성된 부분보다는 작게 되어 상기 배수파이프(111)를 슬라이딩 부재(121)에 끼울 때 걸림 돌기(111b)가 걸리어 삽입되지 않으나, 걸림 돌기(111b)를 끼움홈(121c)에 맞추어 삽입하는 경우, 배수파이프(111)는 슬라이딩 부재(121)에 슬라이딩 삽입된다. 상기 걸림 돌기(111b)는 끼움홈(121c)에 삽입되어 하향 슬라이딩 된다.
슬라이딩 부재(121)는 배수파이프(111)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걸림 돌기(111b)에 끼움홈(121c)을 일치시켜 슬라이딩 부재(121)를 배수파이프(111)의 상부 방향으로 끼운다. 이후에, 걸림 돌기(111b)가 걸림홈부(121d)의 위치까지 도달하도록 배수파이프(111)를 슬라이딩 부재(121)에 끼우고, 슬라이딩 부재(121)를 배수파이프(111)에 대해 회전시켜 걸림 돌기(111b)가 걸림홈부(121d)을 따라 이동하면서 걸림턱에 의해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구속됨으로써, 슬라이딩 부재(121)는 배수파이프(111)에 고정된다. 걸림턱은 걸림홈부(121d)의 상하부에 형성된다.
이때, 제1 스프링 부재(125)는 세면기(1)의 하면과 슬라이딩 부재(121)의 상단 사이에서 압축된다. 도 29에서 도면부호 55는 오링을 도시한 것이고, 도면부호 55a는 오링(55)이 삽입되도록 슬라이딩 부재(121)의 내면에 형성된 오링홈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오링홈(55a)은 걸림홈부(121d)으로부터 길이 방향 하부로 이격되어 오목하게 형성된다.
슬라이딩 부재(121)를 배수파이프(111)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슬라이딩 부재(121)를 회전시켜 걸림홈부(121d)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걸림 돌기(111b)가 걸림홈부(121d)의 단부에 이르고 끼움홈(121c)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딩 부재(121)를 하향 이동시켜 배수파이프(111)로부터 슬라이딩 부재(121)를 분리한다.
한편, 도 30은 도 26의 다른 변형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의 배수파이프와 결합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세 번째 실시 예로, 도 30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부재(121)는 도 26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걸림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배수파이프(111)의 외주면에는 오링(55)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걸림 돌기(111b)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 돌기(111b)는 링 형태로 배수파이프(111)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슬라이딩 부재(121)의 내경은 걸림 돌기(111b)가 걸리지 않을 크기로 형성된다.
배수파이프(111)의 걸림 돌기(111b) 부분은 오링(55)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슬라이딩 부재(121)과 배수파이프(111)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오링(55)이 구비되며, 오링(55)은 슬라이딩 부재(121)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다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의 내주면에는 오링(55)을 삽입시키는 오링홈(55a)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오링(55)은 탄성력을 갖는 고무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오링홈(55a)에 삽입된다.
슬라이딩 부재(121)에 외력을 가하여 배수파이프(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로 이동시켜 걸림 돌기(111b) 부분이 오링(55)에 접촉하면서 오링(55)은 변형하면서 팽창하고, 걸림 돌기(111b) 부분이 오링(55)을 지나면 오링(55)은 다시 수축하게 되다. 걸림 돌기(15)는 오링(55)의 하부로 위치하여 오링(55)을 지지한다. 제1 스프링 부재(125)는 세면기(1)의 하면과 슬라이딩 부재(121)에서 압축된다. 상기 오링(55)은 슬라이딩 부재(121)의 오링홈(55a)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걸림 돌기(111b)의 하부에서 오링(55)이 지지되면 오링(55)을 매개로 슬라이딩 부재(121)도 지지되어 배수파이프(111)로부터 하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걸림 돌기(111b)는 오링(55)의 하부를 지지하여 도 26의 실시 예와 비교하여 더욱 견고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파이프(111)의 하단부의 외경면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슬라이딩 부재(121)의 내경면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서로 나사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배수파이프(111)에 슬라이딩 부재(121)를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슬라이딩 부재(121)가 배수파이프(111)에 나사 체결되어 상향 이동되면 제1 스프링 부재(125)는 세면기(1)와 슬라이딩 부재(121)에서 압축된다.
또한, 실용신안 공개 제20-2010-0011061호 공개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121)를 유압 호스용 커플링으로 하고, 배수파이프(111) 외경면에 오목한 홈을 형성하여, 배수파이프(111)에 슬라이딩 부재(121)를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슬라이딩 부재(121)가 배수파이프(111)에 상향 이동되면서 커플링 결합될 때 제1 스프링 부재(125)는 세면기(1)의 하면과 슬라이딩 부재(121)에서 압축된다.
도 31은 본 발명에 클램프 체결 수단을 구비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2는 도 31의 배수파이프를 도시한 분리 정면도이며, 도 33은 도 3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이고, 도 34는 도 33의 변형 예이고, 도 35는 도 31의 배수파이프 기구에 구비된 슬라이딩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6은 도 35에 도시한 슬라이딩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37은 도 35에 도시한 슬라이딩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8은 본 발명에 클램프 체결 수단을 구비한 예에 구비된 클램프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9는 도 38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0은 도 31의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에 구비된 클램프부재에 의한 배수파이프와 슬라이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41은 도 36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의 배수파이프와 슬라이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절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42는 도 41의 슬라이딩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 이고, 도 43은 도41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의 클램프와셔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4는 도31의 상부연결관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5는 도 44의 트랩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6은 트랩커버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3의 세로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고, 플랜지부에서 패킹부재로의 방향을“하향”으로 패킹부재에서 플랜지부로의 방향을“상향”으로 하여 기재한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100)는 배수파이프(111)와 체결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파이프(111)는 세면기(1)의 배수공에 삽입되어 세면기(1)의 하부로 노출된다. 체결 수단은 세면기(1)의 하부로 노출된 배수파이프(111)에 결합되어 배수파이프(111)가 세면기(1)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배수파이프(111)의 상단에는 플랜지부(113)가 구비된다. 상기 플랜지(113)는 상기 세면기(1)의 배수공 상단에 걸리며 밀착되고, 배수파이프(111)는 플랜지(113)로부터 하향 연장된 중공체로 이루어진다. 배수파이프(111)는 단면이 원형인 관체로 이루어진다.
패킹(101)은 상기 배수파이프(111)가 삽입되며 상기 패킹(101)의 상면부는 플랜지부(113)의 하부면에 밀착된다. 상기 패킹(101)의 하면부는 상기 세면기(1)의 배수공의 상단에 밀착되어 상기 배수파이프(111)와 배수공 상단의 사이에 하수가 세지 않도록 씰링작용을 한다. 또 다른 패킹(101)은 상기 배수파이프(111)가 삽입되며 상기 세면기(1)의 배수공 하단에 패킹(101)의 상단부가 밀착된다. 상기 패킹(101)은 상기 배수파이프(111)와 배수공 하단부 사이에 하수가 세지 않도록 씰링작용을 한다. 와셔(105)는 상기 배수파이프(111)가 삽입되며, 상기 와셔(105)의 상면부는 상기 패킹(101)의 하면부와 밀착되어 구비되어진다. 상기 와셔(105)는 하면부가 제1 스프링 부재(125)의 상단부와 접촉하여 상향으로 가압된다. 상기 와셔(105)는 상기 제1 스프링 부재(125)의 상향하는 가압력을 상기 패킹(101)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스프링 부재(125)의 상단은 상기 와셔(105)의 하면부와 접촉하며, 와셔(105)를 상향으로 가압한다. 상기 제1 스프링 부재(125)의 하단은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의 상단에 접촉하며, 하향 가압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배수파이프(111)의 플랜지(113)에 하향으로 잡아당기는 외력이 발생하여 배수파이프(111)가 세면기(1)에 밀착 결합된다.
상기 체결 수단은 슬라이딩부재(121)와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와 배수파이프(111)를 고정시켜주는 클램프부재(141)와 제1 스프링 부재(125)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딩부재(121)로 세면기(1)의 하부로 노출된 배수파이프(11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클램프부재(141)는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와 배수파이프(111)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클램프부재(141)는 배수파이프(111)의 하부 외측에 형성된 요입홈(111a)를 클램핑하며 슬라이딩부재(121)에 걸리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스프링 부재(125)로 상기 배수파이프(111)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된다. 상기 제1 스프링 부재(125)는 스프링홈부(1218)를 통해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에 삽입된다. 상기 제1 스프링 부재(125)는 세면기(1)와 슬라이딩부재(121) 사이에 위치하며 압축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121)를 하방 가압하여 세면기(1)와 배수파이프(111)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121)는 배수파이프(111)를 따라 내려온 물을 하수공으로 유도하여 흘려보내는 상부연결관(151)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연결관(151)의 하단은 상기 상부연결관(151)의 하단에 연결되는 신장부(1215)와, 세면기에서 발생한 수돗물을 하수공으로 유도하기 위한 하부연결관(135) 등 물을 하수구로 흘려보내기 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연결관(135)은 상기 하부연결관(135)에 삽입되는 이음부재(137)와 상기 하수공에 삽입되는 패킹부재(139)를 포함한다. 상기 이음부재(137)는 상기 상부연결관(151)과 하수공이 형성된 바닥면과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상부연결관(151)은 슬라이딩부재(121)의 하단에 형성된 연결관홈부(1219)에 삽입되어 연결관턱부(1219a)에 밀착고정되는 중공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신장부(1215)는 상부연결관(151)의 하단에 결합된다. 상기 신장부(1215)는 하수구의 위치에 따라 배관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도록 한 연질재질의 주름진 중공관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연결관(135)은 상기 신장부(1215)의 하단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은 하수공에 연결되는 중공관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음부재(137)는 하부연결관(135)에 관통삽입되어 설치되고 하부면은 하수공이 형성된 바닥면과 밀착고정되는 링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패킹부재(139)는 상기 하부연결관(135)에 삽입되고 상부가 상기 이음부재(137)의 하부면에 밀착되며 하부는 하수공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 패킹부재(139)는 상기 이음부재(137)와 함께 하수구 외부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파이프(111)는 측방공(117)과 요입홈(111a)을 포함한다. 상기 측방공(117)은 길이방향으로 플랜지(113)와 요입홈(111a)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수파이프(111)에 형성된다. 상기 측방공(117)은 측방으로 관통형성 되어있다. 상기 측방공(117)은 세면기(1)에 오버플로우된 하수가 배수되도록 하는 통로역할을 한다.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입홈(111a)은 배수파이프(111)의 하단으로부터 상향 이격된 위치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오목하게 형성된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 요입홈(111a)은 배수파이프(111)의 하단으로부터 상향 이격된 위치에 서로 마주하도록 외측에 나란하며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5 내지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재(121)는 배수파이프(11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중공체이다.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에는 상기 클램프부재(141)가 돌출되는 측방슬릿공(1217a)이 관통형성 되어있다. 상기 측방슬릿공(1217a)은 상기 클램프부재(141)를 조작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이를 통하여 클램핑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의 내부에는 상단으로부터 하향 이격된 위치에 안착부(1215)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1215)에는 상기 제1 스프링 부재(125)가 밀착 고정된다. 상기 안착부(1215)는 반경 방향으로 내향 연장되어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부재(141)가 설치되는 상기 클램프홈부(1217)은 상기 안착부(1215)로부터 하향 이격된 위치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홈부(1217)로부터 하향 이격된 위치에는 O링홈부(12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O링홈부(55a)는 원주방향으로 외향 연장되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O링홈부(55a)의 내측에는 O링(55)이 삽입된다. 상기 O링(55)은 상기 배수파이프(111)와 슬라이딩부재(121)사이에서 씰링작용을 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의 최하단부의 내측에는 상기 O링홈부(55a)로부터 하향 이격된 위치에 연결관턱부(1219a)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관턱부(1219a)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내향 돌출되어 볼록하게 구비되어진다. 상기 연결관턱부(1219a)의 턱면은 하향한다. 상기 연결관턱부(1219a)는 상부연결관(151)을 슬라이딩부재(121)에 밀착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부재(141)는 원호부(1411)와 손잡이부(14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호부(1411)는 요입홈(111a)을 클램핑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손잡이부(1413)는 원호부(1411)의 양끝단부에서 연장되어 측방슬릿공(1217a)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손잡이부(1413)를 가압하면 원호부(1411)가 변형된다. 상기 원호부(1411)의 원호각은 180°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1413)는 원호부(1411)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원호부(1411)의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손잡이부(1413)와 원호부(1411)의 단부에서 연장된 접선의 각도는 대략 90°를 이룬다.
상기 미끄럼방지부(1415)는 손잡이부(1413)의 양단에 내각 120°이하로 연장되어 각각 구비된다.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부재(141)는 원호부(1411)가 엇갈린 형태로 변형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변형된 클램프부재(141)는 원호부(1411)와 손잡이부(14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호부(1411)는 요입홈(111a)을 클램핑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손잡이부(1413)는 원호부(1411)의 양 단부에서 연장되어 측방슬릿공(1217a)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원호부(1411)는 양 단부가 서로 교차하여 구비된다. 상기 엇갈린 원호부(1411)의 양단으로 부터 하향 연장되어 손잡이부(1413)가 구비된다. 상기 원호부(141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손잡이부(1413)는 타측의 손잡이부(1413)로 구비되고 상기 원호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손잡이부(1413)는 일측의 손잡이부(1413)로 구비된다. 원호부(1411)의 양 단부가 엇갈리어 만나는 중심에서 연장된 접선과 상기 손잡이부(1413)가 이루는 각도는 대략 90°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도 38의 클램프부재(141)와 반대로 도 39의 변형된 클램프부재(141)는 손잡이부(1413)를 반경 방향 내향 가압하게 되면 원호부(1411)의 직경이 커지게 되어 배수파이프(111)가 삽입되고 요입홈(111a)에 맞추어 손잡이부(1413)에 반경 방향 내향하는 가압을 해제 하게되면 원호부(1411)의 직경이 작아지며 요입홈(111a)을 클램핑하여 배수파이프(111)를 고정시키게 된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부재(141)의 원호부(1411)가 요입홈(111a)을 클램핑한 상태에서 원호부의 외경은 클램프홈부(1217)의 내측 단부에 걸리며 배수파이프(111)와 슬라이딩부재(121)가 서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결합된다.
도 41 내지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클램프 체결 수단을 구비한 예의 변형예로 상기 체결 수단은 슬라이딩부재(121)와, 클램프와셔(161)와, 제1 스프링 부재(125)로 이루어진다. 하부로 노출되 상기 배수파이프(111)는 제1 스프링 부재(125), 클램프와셔(161)의 차례로 삽입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121)는 배수파이프(11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설치되는 중공체이다.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의 상단 내측에는 배관홈(1218a)이 형성된다. 상기 배관홈(1218a)은 배수파이프(111)와 제1 스프링 부재(125)이 삽입 가능하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배관홈(1218a)으로부터 하향 이격된 위치에 와셔턱부(2214)가 경사 형성된다.
상기 와셔턱부(2214) 상에 상기 클램프와셔(161)가 밀착되며 슬라이딩부재(121)에 피봇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클램프와셔(161)로 상기 배수파이프(111)가 삽입된다.
상기 제1 스프링 부재(125)에 상기 배수파이프(111)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된다. 상기 제1 스프링 부재(125)는 세면기(1)와 클램프와셔(161)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 스프링 부재(125)는 클램프와셔(161)와 슬라이딩부재(121)를 하향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재(121)를 배수파이프(11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의 내부는 와셔턱부(2214)와, 피봇부(2212)와, 유격공(2216)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와셔턱부(2214)는 상향하며 경사 형성되어 있다. 피봇부(2212)는 상기 와셔턱부(2214)의 가장높은 위치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봇부(2212)는 클램프와셔(161)의 돌출부(1613)가 피봇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격공(2216)은 상기 피봇부(2212)와 대향하는 위치에 측방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격공(2216)은 와셔턱부(2214)의 가장 낮은 위치의 상부로 형성되어진다. 상기 유격공(2216)은 클램프와셔(161)의 연장돌출부(1615)가 상, 하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유격공(2216)을 통한 클램프와셔(161)의 조작으로 상기 슬라이딩부재(121)를 알맞은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와셔턱부(2214)는 피봇부(2212)와 유격공(2216)의 하단부에 형성된다.상기 와셔턱부(2214)상에 클램프와셔(161)가 상기 제1 스프링 부재(125)에 의해 하향 밀착되어 거치된다. 상기 와셔턱부(2214)는 원주방향으로 비스듬이 내향 연장되며 볼록하게 구비되어진다. O링홈부(55a)는 상기 와셔턱부(2214)로부터 하향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O링홈부(55a)의 내측은 O링(55)이 고정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관턱부(1219a)는 상기 O링홈부(1217)로부터 하향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연결관턱부(1219a)는 상기 상부연결관(131)이 밀착결합 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볼록하게 구비되어진다.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와셔(161)는 슬라이딩부재(121)의 내부에 구비된 와셔턱부(2214)상에 구비된다. 상기 클램프와셔(161)는 와셔부(1611)와, 돌출부(1613)와, 연장돌출부(1615)와, 홀(1617)로 이루어진다. 상기 와셔부(1611)는 상기 배수파이프(111)에 접촉하여 슬라이딩부재(121)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돌출부(1613)는 상기 피봇부(2212)에 삽입되며 피봇작용의 중심점 역할을 한다. 연장돌출부(1615)는 상기 피봇부(2212)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연장된다. 연장돌출부(1615)는 상기 클램프와셔(161)의 조작을 위한 손잡이 역할을 한다. 상기 홀(1617)은 상기 와셔부(1611)의 중앙부에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와셔부(1611)는 상기 슬라이딩부재(121) 내측의 와셔턱부(2214)상에 설치된다. 상기 와셔부(1611)에 상기 배수파이프(111)가 삽입되고 상기 연장돌출부(1615)를 통해 수평조작 된다. 그 후 상기 제1 스프링 부재(125)의 하향 팽창에 의해 수평 방향에서 대각선 방향으로의 자세변형으로 인한 상기 홀(1617)의 지름이 축소된다. 따라서, 상기 홀(1617)의 내경이 상기 배수파이프(111)의 외경에 접촉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121)가 고정된다. 상기 돌출부(1613)는 상기 와셔부(1611)의 단부에서 사각형의 형태로 돌출 연장되어있다. 상기 연장돌출부(1615)는 상기 돌출부(1613)에 대향하여 사각형의 형태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홀(1617)은 상기 와셔부(1611)의 중앙에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홀(1617)에 상기 배수파이프(111)가 삽입되도록 하는 원의 형태 또는 상기 배수파이프(111)의 형태와 모양에 따라 달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1617)은 상기 배수파이프(111)의 형상에 관계없이 배수파이프(111)의 외부면과 접촉되는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재(121)를 안정적으로 배수파이프(111)에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연결관(151)은 배수파이프(111)가 삽입 가능한 중공관 형태이다. 상부연결관(151)의 하단에는 연결연장부(1511)가 하단부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연결연장부(1511)의 상부에는 트랩커버(152)가 삽입 결합된다.
도 45 및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랩커버(152)는 판상의 커버(1521)와 상기 커버(1521)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구비되는 커버지지부(15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지지부(1522)는 연결연장부(1511) 상단의 외경면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1521)를 지지한다. 상기 커버지지부(1522)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커버지지부(1522)의 길이 방향 길이는 상부연결관(151)의 길이 방향 바닥면으로 부터 상향 연장된 연결연장부(1511)의 길이 방향 길이보다 길다.
따라서, 상기 트랩커버(152)가 연결연장부(1511)에 삽입 결합되었을 시, 상기 커버(1521)의 하면과 연결연장부(1511)의 상부 사이에 유체가 유동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어 하수가 하수공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관(151)에 하수가 흐르지 않을 시, 상부연결관(151)의 내부에 구비된 트랩커버(152)로 인하여 상부연결관(151)의 내부에 남은 하수는 트랩커버(152)와 연결연장부(1511)의 상부 사이에 수용되게 됨으로써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막아 하수구로부터의 이물, 악취, 벌레 등이 역류하는 것이 방지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는 별도의 전문 공구가 없이도 간단하게 배수파이프를 설치 및 해체할 수 있으므로 남녀 노소 누구나 용이하게 작업이 가능하고 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트랩관을 일체로 형성할 경우 조립 공정수를 더욱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0)

  1. 세면기(1)에 형성된 배수공으로 삽입되고 길이 방향 상단에 상기 배수공에 걸리는 플랜지(113)가 구비된 배수파이프(111)와, 상기 플랜지(113)와의 사이에 세면기(1)를 고정시키는 체결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 수단은 세면기(1)의 하부로 노출된 상기 배수파이프(111)를 하향 가함으로써 세면기(1)를 상향 가압하여 세면기(1)와 배수파이프(111)를 서로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배수파이프(111)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딩 부재(121)와, 배수파이프(111)가 삽입되며 하단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에 접촉되고 상단이 세면기(1)의 하면에 접촉되어 탄성 가압되는 제1 스프링 부재(125)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를 배수파이프(111)에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걸쇠(123)와, 상기 걸쇠(123)가 배수파이프(111)를 가압하도록 걸쇠(131)를 회전 방향 일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2 스프링 부재(123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파이프(111)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쇠(123)를 삽입시키는 요입홈(11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파이프(111)의 하단에는 굴곡된 유로를 통해 트랩(Trap) 속에 물을 고이게하는 트랩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의 하단에는 굴곡된 유로를 통해 트랩(Trap) 속에 물을 고이게하는 트랩관(131)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은 세면기(1)의 하부로 노출된 상기 배수파이프(111)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딩 부재(121)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핸들(122)과, 상기 핸들(122)이 슬라이딩 부재(1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핸들(12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파이프(111)에는 링크부재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요입홈(11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측이 상기 핸들(12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측에 걸림홈(1242a)이 형성된 제1 링크 부재(124a)와, 상측이 상기 걸림 홈(1242a)에 삽입되어 연결되고 하측이 상기 배수파이프(111)의 측면을 향해 연장 형성된 제2 링크 부재(124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에는 제2 링크 부재(124b)가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되도록 홀을 형성하는 가이드부(126)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링크 부재(124b)의 하측 단부는 슬라이딩 부재(121)를 지나 배수파이프(111)의 측면을 향하여 연장되고; 제2 링크 부재(124b)와 가이드부(126)의 내벽 사이에 스프링 부재(125a)가 더 구비되어 제2 링크 부재(124b)를 배수파이프(111) 쪽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홈(111a)은 상측이 제2 링크 부재(124b)의 하측 단부의 연장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배수파이프(111)의 측면을 가압함과 아울러 상기 세면기(1)의 바닥부 하면을 배수파이프(111)의 길이 방향으로 상향 가압하여 상기 배수파이프(111)를 세면기(1)에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은 배수파이프(111)가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딩 부재(121)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의 상부로 위치하며 배수파이프(111)가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압 부재(127)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와 가압 부재(127) 사이에 구비되며 일측은 슬라이딩 부재(121)에 접촉되고 타측은 가압 부재(127)에 접촉되어 상기 가압 부재(127)를 세면기(1) 쪽으로 가압하는 제1 스프링 부재(125)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를 배수파이프(11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에는 폭 방향으로 관통된 하나 이상의 관통공(121a)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파이프(111)에는 오목하게 요입홈(111a)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수단은 슬라이딩 부재(121)가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슬라이딩 부재(121)의 외측으로 위치하며 내향 돌출된 가압 돌기(1281)를 구비하는 잠금 부재(128)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와 잠금 부재(128) 사이에 구비되어 잠금 부재(128)를 상향 가압하는 제2 스프링 부재(123b)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에 형성된 관통공(121a)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볼 부재(5)로 이루어지며; 상기 잠금 부재(128)의 가압 돌기(1281)가 볼 부재(5)를 폭 방향으로 내향 가압하여, 볼 부재(5)가 관통공(121a)을 통하여 내향 노출되어 요입홈(111a)에 삽입됨으로써 슬라이딩 부재(121)가 배수파이프(111)에 체결되며, 제1 스프링 부재(125)는 가압 부재(127)를 상향 가압하여, 배수파이프(111)가 세면기(1)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128)는 가압 돌기(1281)로부터 길이 방향 하향 이격되며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스토퍼 돌기(1282)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는 관통공(121a)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하향 이격되며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안착 돌기(121b)를 구비하며; 상기 안착 돌기(121b)는 길이 방향으로 스토퍼 돌기(1282)와 가압 돌기(1281) 사이에 위치하며, 안착 돌기(121b)의 단부는 스토퍼 돌기(1282)의 단부보다 폭 방향으로 외측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홈(111a)의 내단으로부터 가압 돌기(1281)의 내단 까지의 폭 방향 거리는 볼 부재(5)의 지름보다 크고, 배수파이프(111)의 외면으로부터 가압 돌기(1281)의 내단 까지의 폭 방향 거리는 볼 부재(5)의 지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16. 제1 항에 있어서, 체결 수단은 슬라이딩 부재(121)를 가지는 트랩부(131)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와 세면기 사이에 위치하고 배수파이프(111)가 삽입되어 구비되는 제1스프링 부재(125)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스프링 부재(125)는 슬라이딩 부재(121)와 세면기(1) 사이에서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는 배수파이프(111)에 억지 끼워 맞춤 관계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는 배수파이프(111)에 나사 체결 방식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와 배수파이프(111) 사이에는 오링(55)이 더 구비되며; 상기 배수파이프(111)에 요홈이 형성되어 오링(55)은 요홈에 위치하고, 슬라이딩 부재(121)는 오링(55)과 억지 끼워 맞춤 관계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파이프(111)에는 오링(55)을 향하여 돌출된 걸림 돌기(15)가 구비되며; 결합부(121)와 배수파이프(111)가 결합될 때 걸림 돌기(111b)가 오링(55)을 지나면서 오링(55)은 팽창 변형되며, 걸림 돌기(111b)가 오링(55)의 하부에 위치하여 오링(55)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21.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에는 상단으로부터 하향하여 길이 방향으로 끼움홈(121c)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단으로부 하향 이격되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끼움홈(121c)에 연결되는 걸림홈부(121d)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파이프(111)에는 돌출된 걸림 돌기(111b)가 구비되어; 슬라이딩 부재(121)의 끼움홈(121c)을 따라 걸림 돌기(111b)가 슬라이딩한 후 다시 걸림홈부(121d)를 따라 슬라이딩 되어 걸림홈부(121d)에 걸리면서 슬라이딩 부재(121)와 배수파이프(111)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22.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121)는 유압호스용 커플링이고, 상기 배수파이프(111)에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부재(121)와 배수파이프(111)는 커플링 결합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2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은 세면기(1)의 하부로 노출된 배수파이프(11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부재(121)와,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와 배수파이프(111)사이에 위치하여 배수파이프(111)를 클램핑하며 슬라이딩부재(121)에 걸리도록 구비된 클램프부재(141)와, 상기 배수파이프(111)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며 세면기(1)와 슬라이딩부재(121)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재(121)를 하방 가압하는 제1 스프링 부재(12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100).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121)는 배수파이프(11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중공체로써 상기 클램프부재(141)가 돌출되는 측방슬릿공(1217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100).
  25.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파이프(111)의 하부외측에는 오목하게 요입홈(111a)가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부재(141)는 상기 요입홈(111a)에 체결되며; 상기 클램프부재(141)는 요입홈(111a)에 위치하는 원호부(1411)와, 상기 원호부(1411)의 양끝단부에서 연장되어 측방슬릿공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부(14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100).
  26.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은 배수파이프(11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경사 형성된 와셔턱부(2214)를 가지는 슬라이딩부재(121)과, 상기 와셔턱부(2214)상에 밀착되고 슬라이딩부재(121)에 피봇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배수파이프(111)가 삽입되는 클램프와셔(161)와, 상기 배수파이프(111)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며 세면기(1)와 클램프와셔(161) 사이에 위치하여 클램프와셔(161)와 슬라이딩부재(121)를 하향 가압하는 제1 스프링 부재(12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100).
  27.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은 배수파이프(11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경사 형성된 와셔턱부(2214)와, 상기 와셔턱부(2214)상에 안착된 클램프와셔(151)의 돌출부(1513)가 피봇가능하게 삽입되는 피봇부(2212)와, 상기 피봇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측방으로 관통된 유격공(2216)이 형성된 슬라이딩부재(1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100).
  28.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121)의 하단은 상부연결관(151)의 상단과 결합되고; 상기 상부연결관(151)은 배수파이프(111)가 삽입 가능한 중공관 형태이며, 상부연결관(151)의 하단에는 연결연장부(1511)가 하단부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며; 상기 연결연장부(1511)의 상부에는 트랩커버(152)가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100).
  29.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커버(152)는 판상의 커버(1521)와 상기 커버(1521)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커버지지부(15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지지부(1522)는 연결연장부(1511) 상단의 외경면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1521)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100).
  30.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커버(152)가 연결연장부(1522)에 삽입 결합되었을 시, 상기 커버(1521)의 하면과 연결연장부(1511)의 상단 사이에 유체가 유동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100).
PCT/KR2014/001537 2013-02-26 2014-02-25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WO2014133302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10740.1A CN105008627B (zh) 2013-02-26 2014-02-25 用于设置盥洗池的排水管装置
US14/768,342 US10132065B2 (en) 2013-02-26 2014-02-25 Drain pipe assembly for installation of washst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341 2013-02-26
KR1020130020341A KR101354685B1 (ko) 2013-02-26 2013-02-26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KR10-2013-0029968 2013-03-20
KR1020130029968A KR101354686B1 (ko) 2013-03-20 2013-03-20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KR10-2013-0032782 2013-03-27
KR1020130032782A KR101354687B1 (ko) 2013-03-27 2013-03-27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KR1020130068647 2013-06-14
KR10-2013-0068647 2013-06-14
KR10-2013-0139981 2013-11-18
KR20130139981 2013-11-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33302A1 true WO2014133302A1 (ko) 2014-09-04

Family

ID=51428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1537 WO2014133302A1 (ko) 2013-02-26 2014-02-25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32065B2 (ko)
CN (1) CN105008627B (ko)
WO (1) WO20141333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54234A (zh) * 2019-01-29 2019-04-19 吕家杰 具有球形阀瓣的下水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7752A1 (fr) * 2016-02-12 2017-08-18 Salvatore Tribuiani Siphon
KR101945124B1 (ko) * 2017-10-26 2019-02-01 서상봉 세면대 배수관용 연결장치
CN109972702A (zh) * 2019-03-31 2019-07-05 台州市百依洁具有限公司 一种快速装卸的下水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524U (ko) * 2006-11-29 2008-06-03 장태원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100001106U (ko) * 2008-07-23 2010-02-02 미키코리아(주) 가변형 휠체어
KR200449468Y1 (ko) * 2009-08-19 2010-07-13 김창겸 싱크대용 배수구 연결장치
KR200459796Y1 (ko) * 2010-07-22 2012-05-04 황호경 세면대용 배수 세트 구조
KR20130030614A (ko) * 2011-09-19 2013-03-27 황경원 너트체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4085A (en) * 1964-10-05 1967-04-18 Minella Plumbing Supplies Inc Concealed pop-up valve for waste drains
GB1155421A (en) * 1965-08-04 1969-06-18 Michael Flagg Washbasins
US5893396A (en) * 1997-03-05 1999-04-13 Bj Industries, Inc. Height adjustable standpipe
CN200985533Y (zh) * 2006-12-22 2007-12-05 登康科技有限公司 排水管结构
JP5214321B2 (ja) * 2008-05-08 2013-06-19 小島 ▲徳▼厚 排水設備
KR20100011061U (ko) 2009-05-04 2010-11-12 지종연 유압호스 연결용 커플링
KR101401676B1 (ko) * 2011-06-30 2014-06-03 주식회사 하나에스디 입상관 고정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524U (ko) * 2006-11-29 2008-06-03 장태원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100001106U (ko) * 2008-07-23 2010-02-02 미키코리아(주) 가변형 휠체어
KR200449468Y1 (ko) * 2009-08-19 2010-07-13 김창겸 싱크대용 배수구 연결장치
KR200459796Y1 (ko) * 2010-07-22 2012-05-04 황호경 세면대용 배수 세트 구조
KR20130030614A (ko) * 2011-09-19 2013-03-27 황경원 너트체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54234A (zh) * 2019-01-29 2019-04-19 吕家杰 具有球形阀瓣的下水机构
CN109654234B (zh) * 2019-01-29 2023-08-11 吕家杰 具有球形阀瓣的下水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08627B (zh) 2017-04-05
CN105008627A (zh) 2015-10-28
US20160010316A1 (en) 2016-01-14
US10132065B2 (en) 2018-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33302A1 (ko)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WO2016126086A1 (en) Dish washer
WO2019017512A1 (ko) 정수기
WO2012087057A2 (ko) 의류처리장치
WO2015072698A1 (en) Jet unit, jet nozz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h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WO2017116053A1 (en) Latch assembly for vehicle trunk door
WO2013085299A1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EP2900860A1 (en) Steam spraying apparatus and clothing dry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AU2014374589A1 (en) Dish washing machine
WO2020246730A1 (ko) 청소기
WO2020055216A1 (ko) 청소기
EP3119935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19009533A1 (ko) 프로파일 조립체
WO2010016691A2 (ko) 우산
WO2020179965A1 (en) Headrest
WO2012141399A1 (ko) 원구와 말구가 개선된 콘크리트 전주제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주의 제작방법
WO2024019346A1 (ko) 무제한 장력 거리 조절기능을 갖는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치차 라쳇 장력기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WO2020027405A1 (ko) 모듈러 파일을 이용한 콘크리트 파일 구조, 모듈러 파일 제조 장치 및 방법
WO2022119089A1 (ko) 차량 기어 노브
WO2019088674A1 (ko) 착즙 드럼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WO2021071348A1 (ko)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WO2014084443A1 (ko) 우수 초기배제, 저장, 인공함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우수 초기배제, 저장, 인공함양 방법
WO2017200150A1 (ko) 렌치
WO2019050230A1 (ko) 활선 작업용 수동 안전 유압식 다기능 특고압 절연 플라이어 스틱 및 그 플라이어 스틱을 이용한 스마트 간접활선공법
WO2020235705A1 (ko) 액션 로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7563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68342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0.04.2016)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563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