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19859A1 -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포함하는 도라지 추출물의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포함하는 도라지 추출물의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19859A1
WO2014119859A1 PCT/KR2014/000408 KR2014000408W WO2014119859A1 WO 2014119859 A1 WO2014119859 A1 WO 2014119859A1 KR 2014000408 W KR2014000408 W KR 2014000408W WO 2014119859 A1 WO2014119859 A1 WO 201411985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kin
platycodin
skin diseases
bellflower extract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040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택중
박세진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0973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516063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0976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096771A/ko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411985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1985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6Platycod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포함하는 도라지 추출물의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피부외용제와 피부질환 개선 또는 완화용 화장품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억제하고 알레르기 동물 모델에서 우수한 가려움증 완화, 염증, 부종,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에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각종 피부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포함하는 도라지 추출물의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은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포함하는 도라지 추출물의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산업의 발달로 인한 환경오염과 합성물질의 생산 증가로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을 비롯한 피부질환의 발병빈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도시인들은 생활환경이 서구화로 변화함에 따라 진드기, 습도 저하에 따라 증가하는 먼지, 애완견의 털, 꽃가루, 새로운 과일 및 음식 등 외부의 다양한 항원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에 노출될 기회가 점차 커지고 있다.
비만세포 및 혈중 호염구는 여러 가지 알레르기 질환 즉,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아토피성피부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천식, 음식 알레르기 및 아나필락틱 쇼크(anaphylactic shock) 등을 유발하는 체내 세포로 알려져 있다.
쥐의 호염기성 백혈구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비만세포인 RBL-2H3세포는 활성화 되었을 경우 알러지 반응에 의한 탈 과립현상을 통해 히스타민이나 β-헥소미니다아제, 대사산물, 그리고 염증성 사이토카인 등을 방출한다.
산업화가 가속되면서 현대인들은 다양한 형태의 항원(allergen)에 노출되어 있어서 알레르기 및 아토피에 의한 피부질환의 발생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로부터 알레르기반응을 완화시켜 줄 수 있는 물질의 연구에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이 집중되어 이들 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제와 함께 다양한 원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나 아직 체계적인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는 초롱꽃과(Campanul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류로서 중국, 일본 및 우리나라 각지에 자생하고 있으며 예로부터 약용과 식용으로 이용되어 최근까지 널리 재배하여 생산되고 있다. 1940년도부터 현재까지 17종의 사포닌 종류가 분리되었고 그 구조도 밝혀졌다. 이외에도 스테롤(sterol),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등의 조성이 조사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감기, 천식, 페결핵에 거담제로서 유용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서 기관지 천식 치료나 면역증강 및 활성에 효능이 있는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도라지에서 약효를 나타내는 주성분들 중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는 도라지 뿌리에 존재하는 트리터페노이드 사포닌계(triterpenoid saponin) 화합물 중의 하나로 항 염증효과, 항 비만효과,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통각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포함하는 도라지 추출물로부터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포함하는 도라지 추출물이 피부염의 가려움증 완화, 염증 치료, 피부보습 및 피부탄력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포함하는 도라지 추출물의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포함하는 도라지 추출물의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외용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포함하는 도라지 추출물의 피부질환 개선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포함하는 도라지 추출물의 피부질환 개선 또는 완화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포함하는 도라지 추출물은 비만세포의 탈 과립을 억제하고 알레르기 동물 모델에서 우수한 가려움증 완화, 염증, 부종,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에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우수한 의약품, 화장품, 피부외용제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의 화학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2b는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가 IgE/Ag-유도성 수동 피부 아나필락시스(PCA)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IgE/Ag-유도성 비만세포에서 탈 과립현상의 생체표지물질인 β-헥소사미니다아제의 방출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IgE/Ag-유도성 비만세포에서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에 의한 비만세포 내 IL-3 사이토카인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DNCB(2,4-dinitrochlorobenzene)로 접촉성 피부염이 유도된 마우스의 등쪽 표피에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을 도포한 후의 긁는 행위의 변화를 확인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DNCB로 접촉성 피부염이 유도된 마우스의 등쪽 표피에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을 도포한 후의 피부 관능 평가를 확인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DNCB로 접촉성 피부염이 유도된 마우스의 등쪽 표피에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을 도포한 후의 등쪽 표피를 조직 적출한 뒤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 염색 과정을 거친 뒤 현미경 관찰하여 촬영한 사진이다.(각 각 40배 확대, 100배 확대한 현미경 관찰 사진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가 DNCB에 의해 유도된 접촉피부염에 미치는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a 및 9b는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크림 타입 화장제와 세럼 타입 화장제의 피부보습효과를 MY-808S Moisture Checker(Scalar, Japan)으로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의 피부 안전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럼의 피부질환 개선 효능 확인을 위한 동물 모델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럼의 피부질환 개선 효능 확인을 위한 피부조직 병리검사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럼의 피부 적용 관능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포함하는 도라지 추출물의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포함하는 도라지 추출물의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포함하는 도라지 추출물의 피부질환 개선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포함하는 도라지 추출물의 피부질환 개선 또는 완화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함유하는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4000408-appb-I000001
.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화합물은 플라바논(flavanone)의 한 종류로 IUPAC 명칭은 3β-(β-D-glucopyranosyloxy)-2β,16α,23,24-tetrahydroxy-O-D-apio-β-D-furanosyl-(1→3)-O-β-D-xylopyranosyl-(1→4)-O-6-deoxy-olean-12-en-28-oic acid이며, 이 물질의 분자식(Molecular Formula)은 C57H92O28이고, 분자량(Molecular Weight)은 1225.32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화합물은 염, 바람직하게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 산(free acid)에 의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리 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구연산, 초산, 젖산, 주석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 벤조산, 글루콘산, 메타술폰산, 글리콜산, 숙신산, 4-톨루엔술폰산, 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염산, 브롬산, 황산 및 인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화합물은 천연물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당 업계에 공지된 화학적 합성법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화합물을 상업적으로 입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천연물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성분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기때문에 거의 독성을 가지지 않으며, 인체에 무해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혀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가려움증 완화, 염증반응 억제, 부종 억제, 피부 보습 및 피부탄력 증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조성물은 접촉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 중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화합물,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전체 약학적 조성물 중량의 0.0001 내지 10중량%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0.005 내지 5중량%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0.001 내지 0.1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화합물,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0.0001중량% 이하일 경우,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화합물,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피부질환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효과를 발휘할 수 없을 수 있다. 또한,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 50 중량%의 효과와 비슷하거나 더욱 높은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은 도라지를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로 추출하고 발효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고형분을 제거한 후, 농축, 동결건조 과정을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를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로 추출하고 발효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고형분을 제거하는 단계; 농축, 동결건조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피부질환 예방, 개선, 완화 또는 치료용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 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함유하는 도라지 추출물을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4000408-appb-I000002
.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피부외용제는 가려움증 완화, 염증반응 억제, 부종 억제, 피부 보습 및 피부탄력 증진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효과를 나타내고, 상기 피부외용제는 접촉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피부외용제는 연고제, 크림제, 로숀제, 액제, 드레싱제, 패취제, 수포제, 테이프제, 연무제, 외용산제 및 스프레이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는 연고제, 용액제(예를 들면 현탁액, 유화액, 로션), 수포제, 테이프제, 연무제 및 외용산제와 같은 피부의 국부적 표면에 직접 적용될 수 있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의 양은 제제에 따라 다르지만, 연고제, 크림제, 겔제와 로션제의 경우, 예를 들면 0.001 내지 0.1 w/v%, 수포제의 경우 0.001 내지 0.2 w/v%, 테이프제의 경우 0.001 내지 0.2 w/v%, 및 외용산제의 경우 0.001 내지 0.2 w/v%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피부외용제 중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함유하는 도라지 추출물 파우더는 전체 피부외용제 중량의 0.0001 내지 0.2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0.0001 내지 0.1 중량%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의 활성성분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일반적으로 피부외용제에 사용되는 어떠한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연고제, 크림제, 겔제 및 로션제의 경우, 백색와셀린(와셀린), 황색와셀린, 라놀린, 정제 밀랍, 세타놀, 스테아릴 알콜, 스테아르산, 수소첨가유, 탄화수소겔, 폴리에틸렌 글리콜, 액체 파라핀 및 스쿠알란과 같은 기제; 올레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글리세롤 트리이소옥타노에이트, 크로타미톤, 디에틸 세바케이트, 디이소프로필 세바케이트, 디이소프로필아디페이트, 헥실라울레이트,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식물성유, 지방산 알콜 및 알콜과 같은 용매 또는 안정화제; 토코페롤 유도체, L-아스코르브산,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및 부틸히드록시아니졸과 같은 항산화제; p-히드록시벤조에이트와 같은 방부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및 소듐히알루로네이트와 같은 연석제;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스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및 레시틴과 같은 계면활성제;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크산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및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스와 같은 증점제; 안정화제; 보존제; 흡착 촉진제; 및 기타 적당한 충진제들이 첨가될 수 있다.
수포제의 경우, 폴리아크릴산과 폴리아크릴산 공중합체와 같은 점착제; 알루미늄설페이트, 알루미늄 포타슘 설페이트,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마그네슘 알루미노메타실리케이트 및 디히드록시알루미늄 아미노아세테이트와 같은 가교제;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젤라틴, 소듐알기네이트,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와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스와 같은 증점제;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마크로골), 폴리에틸렌글리콜과 1,3-부탄디올과 같은 다가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와 같은 계면활성제; ℓ-멘톨과 같은 향료; p-히드록시벤조에이트와 같은 방부제; 정제수; 및 기타 적당한 충진제가 첨가될 수 있다.
테이프제의 경우, 스틸렌-이소프렌-스틸렌 블럭 공중합체 및 아크릴레이트 수지와 같은 점착제; 아크릴성 포화탄화수소 수지, 수소 첨가된 로신 수지 및 테르펜 수지와 같은 점착 수지; 액체 검과 액체 파라핀과 같은 유연제;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과 같은 항산화제;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은 다가알콜; 올레산과 같은 흡착 촉진제;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와 같은 계면활성제; 및 기타 적당한 충진제가 첨가될 수 있다. 그밖에,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와 폴리비닐알콜과 같은 물흡수성 폴리머와 소량의 정제수가 물을 함유하는 테이프제의 제조에 첨가될 수 있다.
연무제의 경우, 백색와셀린(와셀린), 황색와셀린, 라놀린, 정제 밀랍, 세타놀, 스테아릴 알콜, 스테아르산, 수소첨가유, 탄화수소겔, 폴리 에틸렌글리콜, 액체 파라핀 및 스쿠알란과 같은 기제; 올레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글리세롤 트리이소옥타노에이트, 크로타미톤, 디에틸세바케이트, 디이소프로필 세바케이트, 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식물성유, 지방족 알콜 및 알콜과 같은 용매 또는 안정화제; 토코페롤 유도체, L-아스코르브산,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및 부틸히드록시아니졸과 같은 항산화제; p-히드록시벤조에이트와 같은 방부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및 소듐히알루로네이트와 같은 연석제;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스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및 레시틴과 같은 계면 활성제 연고, 크림, 겔 또는 로션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크산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및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스와 같은 증점제; 안정화제; 완충제; 감미제 현탁제; 유화제; 조미료; 방부제; 흡착 촉진제 및 기타 적당한 충진제들이 첨가될 수 있다.
외용산제의 경우, 감자전분, 쌀전분, 옥수수 전분, 탈크 및 산화아연과 같은 충진제, 및 기타 적당한 첨가제들이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피부외용제를 제조하는데 잘 알려진 방법에 따라, 필요에 따라 적당한 기제와 함께, 각 성분을 잘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조된 제제는 필요에 따라 병변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함유하는 도라지 추출물은 피부질환 개선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4000408-appb-I000003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피부질환 개선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가려움증 완화, 염증반응 억제, 부종 억제, 피부 보습 및 피부탄력 증진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효과를 나타내고, 상기 피부질환 개선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접촉성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완화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중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함유하는 도라지 추출물 파우더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량의 0.00001 내지 1중량%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종래의 화장료제형인 피부외용연고, 에센스, 미백크림, 로션, 에멀젼, 팩, 일반화장수, 스킨밀크, 크림, 세럼, 미용비누, 유연화장수, 약용화장수, 헤어토닉, 전신세정제, 오일젤과 같은 여러 가지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함유하는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 또는 완화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4000408-appb-I000004
.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건강기능식품 중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함유하는 도라지 추출물 파우더는 전체 건강기능식품 중량의 0.001 내지 1중량%로 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험예 및 제조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이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실험준비>
(1)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의 제조방법
표준화된 1 중량%, 3 중량%, 5 중량%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은 (주)비엔씨바이오팜으로부터 공급받았으며, 구체적인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라지 원료를 물(정제수),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2회 이상 추출하고 여기서 얻어진 추출물을 발효 후 원심분리하여 고형분을 제거한 다음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용매가 제거된 각각의 추출물을 확보하였다. 추출물로부터 단일 활성성분을 분리정제하기 위하여 위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물로 완전히 녹인 다음 RP-18, Diaion HP-20, 그리고 이온 교환 겔 컬럼(Ion exchange gel column)을 이용하여 각 분획 별 활성을 확인한 후 활성을 보이는 분획만을 얻어내었고, 추가 HPLC 과정을 통해 각 단일 활성성분을 분리 정제하였다.
○ 분석기기
-HPLC system : Agilent 1260 series
-Column : Kinetex C18 column (2.6 ㎛, 4.6 mm x 100 mm, Phenomenex, Germany)
-검출기 : Alltech ELSD 2000
○ HPLC 및 ELSD 조건
시료는 Agilent 1260 시리즈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컬럼은 C18 컬럼(2.6 ㎛, 4.6 mm x 100 mm, Phenomenex, Germany)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은 0.15% 포름산(A), 아세토니트릴(B), 메탄올(C)을 사용하였고,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기울기 용매흘림(gradient flow) 방법으로 대상물질인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분석하였다.
기울기 용매흘림 완료 후 컬럼의 안정화를 위해 10분간 0.15% 포름산(A) : 아세토니트릴(B) : 메탄올(C) = 75 : 20 : 5 (v/v) 로 post-run을 실시하였다. 이때, 시료의 주입량 및 유속은 20 ㎕ 와 0.6 ml/min 로 조정하였다.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시료의 검출은 ELSD 검출기를 이용하였으며, 이때 건조가스는 질소를 사용하였으며 유속 및 온도는 1.5 ㎕/min 및 80℃로 설정하여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정량하였다.
○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표준품의 표준정량곡선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는 상용 표준품(Futoro lab.사)을 정확히 계량하여 50% 메탄올에 용해시킨 다음 HPLC/ELSD를 이용, 표준정량곡선을 그려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량을 확인하였다.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상용 표준품으로부터 구한 표준정량곡선의 검량선 계산식은 y=17.757x-643.76 (R2=0.999)로 양호한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시험물질의 표준화를 위하여 각 시료를 50% 메탄올에 20 mg/ml이 되도록 용해한 다음 불순물을 제거하고 (0.45 ㎛ filter) HPLC/ELSD 검출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으로부터 내부 표준물질의 피크 면적에 대한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의 피크 면적비를 구하여 미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추출물 내의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농도를 구하여 제품을 표준화하였다.
(2) 세포배양
쥐의 비만세포인 RBL-2H3세포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Rockville, MD, USA)로 부터 구매하였으며, 10% FBS와 100 unit/ml의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이글 최소 필수 배지(Eagle’s minimal essential medium) (WelGENE, Daegu, Korea) 에서 2-3일마다 배양액을 교환해 주었으며, 배양환경은 37℃로 유지되는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3) 실험동물
수컷 ICR 마우스(7주)는 오리엔트 바이오 (Gangneung, Korea)로부터 구매하여 온도 20-22℃와 습도 40-50%의 환경에서 사육하였다. 모든 동물들은 표준화 된 사료와 물을 제공하였으며, 연세대학교의 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IACUC) (Wonju, Korea)가 본 연구의 동물실험을 승인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수동피부과민반응 측정
항-DNP-특이적 IgE (0.5 μg)는 각각의 ICR 마우스의 귀에 피하주사로 주입하였으며, 24시간 후에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의 1%, 3% 그리고 5%를 포함하는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100 mg/kg의 농도로 경구투여 하여, 1시간 후에 3% 에반스 블루와 혼합된 DNP-HSA (200 μg)을 정맥주사 하였다. DNP-HSA 처리 2시간 후에 ICR 마우스를 안락사 시키고 귀의 IgE/Ag 반응에 의한 에반스 블루 염색약의 양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500 μl 포름알데히드에 해당 귀를 절개 하여 넣고, 63℃에서 하루 동안 반응시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620 nm의 흡광도로 염색약의 양을 측정하였다. (도2a 및 2b)
[실험예 2] β-헥소미니다아제 방출량 측정
탈 과립 현상의 표지 물질인 β-헥소미니다아제의 방출량을 측정함으로써 알러지 반응 억제 정도를 세포 수준에서 알아보았다. RBL-2H3 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200,000 세포가 되도록 분주한 후, 12시간을 배양하였다. 항-DNP-특이적 IgE를 200 ng/ml 농도로 각 웰에 감작시켜 12시간 배양하였다. IgE에 감작된 세포는 PIPES 완충액 (25 mM PIPES, pH 7.2, 110 mM NaCl, 4 mM KCl, 0.4 mM MgCl2, 40 mM HCl, 5.6 mM 글루코스, 1 mM CaCl2, 및 0.1% BSA)로 두 번 세척하였고, 37℃에서 30분 동안 PIPES 완충액에 녹인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처리하였다. 세포는 37℃에서 15분간 DNP-HSA (25 ng/ml)와 반응시켰으며 안정화를 위해 5분간 얼음 위에 두었다. β-헥소미니다아제 방출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IgE/Ag 반응이 일어난 세포가 존재하는 웰의 PIPES 완충액 상층액과 β-헥소미니다아제의 기질인 0.1 M 시트레이트 완충액 (pH 4.5)에 녹인 p-NAG를 96-웰 플레이트에서 혼합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고, 0.1 M 카르보네이트 완충액 (pH 10.5)를 처리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뒤,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405 nm의 파장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3)
[실험예 3]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에 의한 비만세포 내 IL-3 사이토카인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
RBL-2H3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분주한 뒤, 200 ng/ml 항-DNP-특이적 IgE를 감작시켜 하루 동안 배양하였다. PIPES 완충액으로 두 번 세척 한 후,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를 처리하고, 1시간 동안 DNP-HSA (25 ng/ml)를 처리하였다. 반응 후에,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TRI 반응액 (Sigma-Aldrich, St. Louis, MO, USA)를 이용하여 총 RNA를 추출하였다. 총 RNA는 흡광도계를 이용하여 정량하여 1 μg의 RNA를 이용하였고, cDNA 합성 및 PCR은 (아큐파워 RT/PCR 프리믹스 키트, Bioneer, Daejeon, Korea)를 이용하여 RT-PCR을 수행하였다. PCR조건은 IL-3의 경우, 94℃ 1분, 60℃ 45초, 72℃ 45초로 24 사이클을 수행하였다. PCR 산물은 2% 아가로즈 겔로 전기영동을 한 후, 에티디움 브로마이드를 첨가하여 밴드를 가시화 하였다. 사용된 프라이머는 다음과 같다.
IL-3 sense 5’-GTATGCTGCTCCCGCTCCTGATG-3’
IL-3 antisense 5’-CATTCCACGGTCATAGGGCGAAAG-3’
β-actin sense 5’-ATGCCATCCTGCGTCTGGACCTGGC-3’ 및
β-actin antisense 5’-AGCATTTGCGGTGCACGATGGAGGG-3’.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5%의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를 포함하는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100 μg/ml을 처리했을 경우 IgE/Ag 반응에 의한 IL-3의 유전자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가 IL-3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IgE/Ag 반응에 의한 탈 과립현상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도 4)
[실험예 4]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 유도 (실험동물의 준비)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 유도하기 위해 지연형 과민반응의 항원으로 DNCB(2,4-dinitrochlorobenzene)를 아세톤과 올리브 오일의 혼합용액(혼합 부피 비율 3:1)에 1%가 되게 용해한 후 7주령의 수컷 ICR 마우스의 등쪽 부위 2 ㎝2에 300 ㎕를 도포하여 1차 면역시켰다. 1차 면역 4일 경화 후 0.5% DNCB를 등쪽 부위에 250 ㎕을 도포하고 이를 약 2주간 지속적으로 동일 농도, 동일 양을 처리해 줌으로써 2차 면역을 실시하였다.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을 도포하는 군은 2차 DNCB 투여 시부터 격일 단위로 한번씩 0.2 mg/ml 의 농도로 등쪽 부위에 200 ㎕씩을 도포하였다.
[실험예 5] 긁는 행위의 변화
2차 항원투여 후 24시간 간격으로 동영상 촬영을 통해 접촉성 피부염에 의해 발생되는 긁는 행위의 횟수를 측정 하는 긁는 행위 확인 실험을 실시하였다. DNCB의 2차 도포 후 등쪽 표피의 부족이 지속적으로 발생한 뒤로 개체의 등쪽 부위를 긁는 행위는 계속해서 증가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을 함께 투여한 군에서는 3번째 투여 이후에는 점차 긁는 행위가 감소되어 회복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5)
[실험예 6] 피부 관능 평가 실시
피부 상태를 홍반, 가려움과 건조피부, 부종과 혈종, 짓무름, 태선화, 이 5항목에 대해 증상없음 0점, 증상 약함 1점, 보통 2점, 심함 3점으로 채점한 후, 5항목의 점수를 합산함으로써 최소 0점(아무 증상이 없는 상태)에서 최고 15점(모든 항목의 증상이 심한 상태)사이의 평가 점수를 부여하였다.
이를 통한 피부 관능평가에서 DNCB를 도포하여 접촉성 피부염이 유발된 군에서는 점수가 점차 증가하여 13점 이상에 이르렀으나,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을 함께 도포한 실험군에서는 정상군의 수준만큼 현저히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6)
[실험예 7] 등쪽 표피의 두께의 변화(등쪽 표피 부종 확인)
등쪽 표피의 두께는 등쪽 표피를 조직 적출 한 후에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 염색을 실시하여 확인하였다. 정상군에 비하여 DNCB의 2차 도포 후 등쪽 표피의 부종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두께가 증가되었다.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3번째 투여부터 유의하게 부종이 완화되었고 상기 결과로 인해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에 항염증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도 7)
[실험예 8]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가 DNCB에 의해 유도된 접촉 피부염에 미치는 피부 개선 효과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의 알레르기성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회복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정상군과 DNCB로 알레르기 접촉피부염을 유발시킨 DNCB군 및 DNCB군에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도포한 실험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육안적 관찰에서 DNCB군은 등 부위에 피부 반점, 홍반, 피부 건조, 부종 및 출혈 등이 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상태의 마우스에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를 3회 도포하면 환부의 피부염이 어느 정도 회복되는 양상을 볼 수 있었다. 또한 7회 도포 시에는 거의 정상 피부 상태로 회복되었다.(도 8)
[실험예 9]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의 피부 보습효과 실험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의 파우더를 0.008% 함유하는 크림 및 세럼을 만들어 피부 보습효과 실험을 수행하였다. 피부 보습효과에 사용된 기기는 MY-808S Moisture Checker(Scalar, Japan) 였으며 사람의 팔뚝 안쪽 면을 이용하여 임상시험 하였다.
보습력 측정방법은 바르기 전의 피부 보습력을 대조군을 포함하여 체크하고, 각각의 시료 0.25 g/cm2를 바른 다음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경과 후의 피부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피부 보습력은 온도, 습도에 따라 아주 민감하게 발생하므로, 온도 20℃, 습도 60%로 일정하게 조절되는 항온 항습실 내에서 실시하였다.
피검자는 20대 남녀, 5명을 대상으로 하여 시험 하였다.
우선 첫째로 MY-808S 수분 측정기(MY-808S Moisture Checker)로 시험한 결과를 도 9a에 나타내었다. 도 9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파우더 0.008%가 함유된 크림에서 바르기 전의 피부 수분측정량인 30.88%에서, 바른 후 38.02%의 피부 수분 측정량으로 증가하는 피부보습효과가 있었으며, 시간 경과에 따른 피부 보습효과는 4시간 경과후의 피부 보습효과는 바른 후에 시간 단위별로 점차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지만 일반 피부 상태의 수분측정량보다 높은 수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9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파우더 0.008%가 함유된 세럼에서 바르기 전의 피부 수분측정량인 30.08%에서, 바른 후 37.96%의 피부 수분 측정량으로 증가하는 피부보습효과가 있었으며, 시간 경과에 따른 피부 보습효과는 4시간 경과후의 피부 보습효과는 바른 후에 시간 단위별로 점차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지만 일반 피부 상태의 수분측정량보다 높은 수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이유는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이 피부 각질층 표면을 덮어 피부의 수분 손실량을 막아주며, 피부 수분의 홀딩효과가 있어 보습효과가 지속되는 것으로 해석되어 진다.
한편, 도 9a와 도 9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파우더 0.008%가 함유된 크림보다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파우더 0.008%가 함유된 세럼에서 더 높은 보습효과가 있었다.(도 9a 및 도 9b)
[실험예 10]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의 피부 감작 실험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의 파우더를 5% 포함하는 수용액의 피부 안전성 확인을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20대 남녀 피검자 4명의 왼쪽 팔뚝 안쪽에 각각 4 cm2 씩 두 구역을 지정하였다. 변화 상태를 점검하기 위하여 수용액 도포 전에 왼쪽 팔뚝 안쪽을 촬영하였다. 첫 번째 구역에는 정제수를 1 ml 도포하여 패치를 부착하였으며, 두 번째 구역에는 5%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수용액을 도포하고 패치를 부착하였다. 여타 환경적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로 24시간을 유지시켜주고 난 후, 패치를 떼어내고 지정된 구역의 피부 상태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의 파우더를 5% 포함하는 수용액을 도포한 부위와 정제수만을 도포한 부위의 피부상태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의 파우더를 5% 포함하는 수용액은 피부에 안전하다고 생각된다.(도 10)
[실험예 11]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세럼의 동물 모델 적용 실험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파우더 0.008%가 함유된 세럼의 피부질환 개선 효능 확인을 위한 동물 모델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ICR 마우스로 명명되는 흰 쥐들을 각각 6마리씩 ‘정상군’, ‘모델군’, ‘A제품군’, ‘B제품군’, ‘C제품군’, 그리고 본 연구 시제품을 적용한 ‘PD제품군’으로 나누었다. 임의로 피부질환을 유발하기 위하여 아세톤과 올리브 오일을 3:1로 섞어 만든 기제에 DNCB를 녹여서 만든 1% DNCB 용액과 5% DNCB 용액을 사용하였다. 흰 쥐의 등쪽 부위를 제모하고 하루 동안 피부를 진정시킨 뒤, 1% DNCB 용액을 등쪽 부위에 도포하여 감작한다. 4일 후부터 2주 동안 0.5% DNCB 용액을 반복적으로 도포하여 피부질환을 유발하였다. 피부질환 유발 여부는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각 제품군에 맞게 해당 제품 및 본 연구의 시제품을 적정량 도포하였다.
피부 관능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세럼인 본 연구의 시제품을 적용하였을 경우 다른 제품군들에 비해 얼마만큼의 효능을 보이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피부질환의 심각성 정도를 홍반, 가려움과 건조피부, 부종과 혈종, 짓무름, 태선화와 같은 5가지 항목을 각각 평가한 점수의 총합으로 나타내었다. 각각의 항목에 대하여 증상 없음(0점), 증상 약함(1점), 보통(2점), 심함(3점)으로 채점한 후 5항목의 점수를 합산함으로써 최소 0점에서 최고 15점 사이의 평가점수를 부여하였으며, 이를 도 12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또한 피부질환으로 인해 발생되는 행동양식을 수치화하여 측정하기 위해서 긁는 행위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 군의 흰 쥐들이 등쪽 부위를 물어뜯거나 뒷발로 긁는 등의 행위를 2주 동안 60분씩 격일단위로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영상 촬영하고 그 행동양식을 횟수로서 측정하였다. 이를 도 11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파우더 0.008%가 함유된 세럼을 도포한 본 연구 시제품군의 흰 쥐의 경우, 대조군이나 타제품 적용군들에 비하여 관능적인 피부질환 상태도 개선되었으며, 피부질환에 의한 긁는 행위도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파우더 0.008%가 함유된 세럼은 피부질환 동물 모델에 있어서도 개선효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11)
[실험예 12]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세럼의 피부조직 병리 검사 실험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파우더 0.008%가 함유된 세럼의 피부질환 개선 효능 확인을 위한 피부조직 병리검사 실험을 진행하였다. 앞서 실험예 12의 실험 종료 후에 등쪽 부위의 피부를 적출하여 4% 파라포름알데히드에서 4시간 고정하고, 30% 수크로스 용액에서 안정화 시켜주었다. 그 조직을 Tissue-Tek O.C.T compound (SAKURA, USA)로 포매하였다. 각 조직의 부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법을 이용하여 조직 염색을 하였으며, 광학 현미경상에서 40배와 100배의 배율로 피부의 전반적인 상태를 관찰하였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파우더 0.008%가 함유된 세럼을 도포한 본 연구 시제품군의 흰 쥐의 경우, 대조군이나 타제품 적용군들에 비하여 표피의 부종 상태도 효과적으로 개선되었으며, 전체적인 피부조직의 두께도 일반 정상군 흰 쥐와 유사하게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파우더 0.008%가 함유된 세럼은 피부조직 병리적으로도 개선효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12)
[실험예 13]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세럼의 피부 적용 관능 실험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파우더 0.008%가 함유된 세럼의 피부 적용 관능 실험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소 얼굴 피부에 홍반과 피부질환이 자주 발생하는 10대 중반 남성 피검자에게 2주간 매일 일정한 시간에 지속적으로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파우더 0.008%가 함유된 세럼을 얼굴에 골고루 펴 바르도록 하였다. 피검자의 피부 변화를 관능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실험을 시작하는 시기와 2주 후의 얼굴 사진을 촬영하였다.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파우더 0.008%가 함유된 세럼을 얼굴 피부에 2주간 매일 지속적으로 도포하였을 경우, 홍반의 정도가 개선되고 두드러지게 나타났던 피부질환과 피부트러블이 다소 진정되는 면을 살펴볼 수 있었다.(도 13)
[제조예]
[제조예 1] 산제의 제조
표 1
플라티코딘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0.1 mg
수크로즈 100 mg
탈크 10 mg
상기 성분들을 분말화하여 혼합한 후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2] 정제의 제조
표 2
플라티코딘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0.1 mg
전분 100 mg
수크로즈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혼합한 후 이를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3] 캅셀제의 제조
표 3
플라티코딘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0.1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즈 15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 mg
통상의 캅셀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혼합한 후 젤라틴 캡슐에 충진하여 캅셀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4] 과립제의 제조
표 4
플라티코딘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0.1 mg
대두 추출물 50 mg
포도당 200 mg
전분 500 mg
상기 성분들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mL를 첨가하여 60℃에서 건조시켜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여 과립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5] 환제의 제조
표 5
플라티코딘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0.1 mg
유당 1,500 mg
글리세린 1,500 mg
전분 980 mg
상기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환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제조예 6] 주사제의 제조
표 6
플라티코딘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0.1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789.9 mg
NaHPO4·12H2O 30 mg
통상의 주사제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3 mL)가 되도록 상기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제조예 7] 액제의 제조
표 7
플라티코딘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0.1 mg
이성화당 10,000 mg
만니톨 5,000 m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상기 성분을 용해시키고, 적절한 향을 가한 다음 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제조한다.
[제조예 8] 크림의 제조
표 8
A. 유상
플라티코딘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0.008 중량%
스테아린산 10
스테아릴알콜 4
스테아린산부틸 8
스테아린산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2
비타민E아세테이트 0.5
비타민A팔미테이트 0.1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2
마카데미아넛츠유 1
다실유 1
향료 0.4
방부제 적량
B.수상
플라티코딘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0.008 중량%
글리세린 4
1,2펜타디올 3
히알론산나트륨 1
수산화칼륨 2
아스콜빈산인산마그네슘 0.1
L-알기닌염산염 0.01
에데트산삼나트륨 0.05
정제수 잔여
A의 유상부와 B의 수상부를 각각 70℃로 가열하여 완전 용해하였다. A상을 B상에 부가하여 유화기로 유화한다. 유화물을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냉각하여 크림을 얻었다.
[제조예 9A] 유액의 제조
표 9
A.유상
플라티코딘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0.008 중량%
스쿠알란 5
올레일올레이트 3
바세린 2
솔비탄세스퀴올레인산에스테르 0.8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1.2
달맞이꽃유 0.5
향료 0.3
방부제 적량
B.수상
플라티코딘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0.008 중량%
1,3부틸렌글리콜 4.5
에탄올 3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수산화칼륨 0.1
L-아스파라긴산염 0.01
에데트산염 0.05
정제수 잔여
상기 처방으로 상법에 의해 유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9B] 유액의 제조
표 10
플라티코딘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0.008 중량%
세틸알콜에테르 1
실리콘KF96(20cs) 2
유동파라핀 3
프로필렌글리콜 5
글리세린 2
에틸알콜 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0.1
2-아미노메틸프로판올 0.1
비타민A산 0.05
알킬렌옥시드 유도체 2
히드록시프로린 0.1
트레할로스 1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증류수 잔량
상기 처방으로 상법에 의해 유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0] 화장수의 제조
표 11
A.알콜상
에탄올 5.0 중량%
POE올레일알콜에테르 2
향료 0.05
B.수상
플라티코딘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0.008 중량%
1,3-부틸렌글리콜 9.5
피롤리돈카르본산나트륨 0.5
니코틴산아미드 0.3
글리세린 5
디몰포리노피리다디논 0.1
정제수 잔량
A의 알콜상을 B의 수상에 첨가하고, 가용화하여 화장수를 얻었다.
[제조예 11] 수렴화장수의 제조
표 12
플라티코딘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0.008 중량%
디프로필렌글리콜 2
구연산 0.03
구연산소다 0.05
알킬렌옥시드 유도체 0.1
에틸알콜 5
히드록시프로린 0.03
트레할로스 0.5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증류수 잔량
상기 처방으로 상법에 의해 화장수를 제조했다.
[제조예 12] 크림의 제조
표 13
A. 유상
에탄올 2.0 중량%
바세린 2
스쿠알란 20
글리세린모노지방산에스테르 2
Tween60 3
이소프로필밀리스테이트 6
글리실레진산스테아릴1 0.5
글리세린모노-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0.05
4-메톡시-4'-t-부틸디벤조일메탄 0.05
BHT 0.01
방부제 0.3
향료 0.2
B. 수상
플라티코딘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0.008 중량%
글리세린 10
프로필렌글리콜 5
알킬렌옥시드유도체 0.1
히드록시프로린 0.05
트레할로스 5
에데트산삼나트륨 0.1
수산화칼륨 1
증류수 잔량
상기 처방으로 상법에 의해 크림을 제조했다.
[제조예 13] 피부보습 스킨의 제조
표 14
플라티코딘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파우더 0.008 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2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 0.02
1,3-부틸렌글리콜 0.02
알란토인 3
소듐히아루로닉에씨드 5
카보머 0.1
세토스테아릴알코올 0.7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소르비탄올리베이트 1.5
소이레시틴 0.2
디메치콘 0.2
세칠옥타노에이트 0.2
쉐어버터 0.2
소듐플리아크릴레이트 3
트리에탄올아민 0.1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0.3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스킨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제조예 14] 피부보습 세럼의 제조
표 15
플라티코딘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파우더 0.008 중량%
호호바 5
블랙쎄서미 2
스윗아몬드 3
이멀싱파잉왁스 1
비타민E 1
글리세린 2
히아루론산 1
마린 엘라스틴 1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세럼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제조예 15] 피부보습 로션의 제조
표 16
플라티코딘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파우더 0.008 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2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 0.02
1,3-부틸렌글리콜 0.02
알란토인 3
소듐히아루노닉에씨드 5
카보머 0.1
세토스테아릴알코올 0.7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소르비탄올리베이트 1.5
소이레시틴 0.2
디메치콘 0.2
세칠옥타노에이트 0.2
쉐어버터 0.2
소듐플리아크릴레이트 3
트리에탄올아민 0.1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0.3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로숀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제조예 16] 피부보습 에센스의 제조
표 17
플라티코딘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파우더 0.008 중량%
알란토인 0.05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 0.02
트리에탄올아민 0.2
소듐히아루로닉에씨드 7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0.15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4
카보머 0.2
에탄올 3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칠렌소르비탄 0.2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2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에센스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제조예 17] 피부보습 크림의 제조
표 18
플라티코딘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파우더 0.008 중량%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 0.02
알란토인 0.1
글리세린 5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2
소듐히아루로닉에씨드 6
카보머 0.1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7
폴리데센 2
스쿠알란 2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부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3
세틸옥타노이에이트 5
마이크로크리스탈린납 0.1
트리에칠펜탄디올 0.1
쉐어버터 0.2
소르비탄올리베이트 0.3
사이클로메치콘 0.3
스테아릴메치콘 0.5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0.15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크림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제조예 18] 피부보습 팩의 제조
표 19
플라티코딘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파우더 0.008 중량%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 0.02
베타인 3
글리세릴폴리메타크릴레이트 2
알란토인 0.1
소듐하이루로닉에씨드 2
글리세린 3
디프로필렌글리콜 5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2
폴리비닐알코올 10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칠렌소르비탄 0.9
세스퀴올레인산 0.3
호호바에스테르 2
세테아릴알코올 1.5
페트로라튬 0.5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팩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제조예 19] 피부보습 클렌징 로숀의 제조
표 20
플라티코딘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파우더 0.008 중량%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 0.02
파라옥시안향산메칠 0.2
글리세린 4
소듐하이루로닉에씨드 2
프로필렌글리콜 3
카보머 5
세테아릴알코올 0.7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쉐어버터 1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마카다미아넛오일 1
세스퀴올레인산 0.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칠소르비탄 2
폴리데센 5
미네랄오일 20
디메치콘 5
스테아릴디메치콘 2
트리에탄올아민 0.05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클렌징 로숀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제조예 20] 피부보습 메이크업 베이스의 제조
표 21
플라티코딘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파우더 0.008 중량%
코팅실리카 1
실리카 10
이산화티탄 8
산화아연 3
색소 1
판상파우더 잔량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메이크업 베이스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제조예 21] 피부보습 파우더 팩트의 제조
표 22
플라티코딘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파우더 0.008 중량%
마이카 15
이산화티탄 7
실리콘오일 3
에스터계오일 3
색소 적량
향료 적량
탈크 잔량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파우더 팩트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파우더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2] 피부보습 투웨이 케이크의 제조
표 23
플라티코딘 D 함유 도라지 추출물 파우더 0.008 중량%
마이카 15
이산화티탄 12
실리콘오일 3
에스터계오일 5
색소 적량
향료 적량
탈크 잔량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투웨이 케이크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피부염 질환 환자의 유병률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현재 항히스타민제 또는 스테로이드제를 증상완화제로 사용하고 있을 뿐 피부질환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제품이 거의 없다. 따라서, 천연 물질에서 분리하여 부작용이 없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피부외용제, 피부질환 개선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의 경우, 그 수요는 클 것으로 전망된다.

Claims (19)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함유하는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4000408-appb-I000005
    .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가려움증 완화, 염증반응 억제, 부종 억제, 피부 보습 및 피부탄력 증진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접촉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 중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함유하는 도라지 추출물은 전체 약학적 조성물 중량의 0.000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은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를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로 추출하고 발효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고형분을 제거한 후, 농축, 동결건조 과정을 거쳐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를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로 추출하고 발효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고형분을 제거하는 단계; 및
    농축, 동결건조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플라티코딘 D (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8.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함유하는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외용제:
    [화학식 1]
    Figure PCTKR2014000408-appb-I000006
    .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외용제는 가려움증 완화, 염증반응 억제, 부종 억제, 피부 보습 및 피부탄력 증진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외용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외용제는 접촉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외용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외용제는 연고제, 크림제, 로숀제, 액제, 드레싱제, 패취제, 수포제, 테이프제, 연무제, 외용산제 및 스프레이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외용제.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외용제 중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함유하는 도라지 추출물은 전체 피부외용제 중량의 0.0001 내지 0.1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외용제.
  13.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함유하는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1]
    Figure PCTKR2014000408-appb-I000007
    .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가려움증 완화, 염증반응 억제, 부종 억제, 피부 보습 및 피부탄력 증진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접촉성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완화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중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함유하는 도라지 추출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량의 0.00001 내지 1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17.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함유하는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 또는 완화용 건강기능식품:
    [화학식 1]
    Figure PCTKR2014000408-appb-I000008
    .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 중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함유하는 도라지 추출물이 전체 건강기능식품 중량의 0.001 내지 1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 또는 완화용 건강기능식품.
  19.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함유하는 도라지 추출물의 피부질환 예방, 개선, 완화 또는 치료 용도:
    [화학식 1]
    Figure PCTKR2014000408-appb-I000009
    .
PCT/KR2014/000408 2013-01-29 2014-01-14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포함하는 도라지 추출물의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411985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734A KR101516063B1 (ko) 2013-01-29 2013-01-29 플라티코딘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30009767A KR20140096771A (ko) 2013-01-29 2013-01-29 플라티코딘 d를 함유하는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접촉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3-0009734 2013-01-29
KR10-2013-0009767 2013-01-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19859A1 true WO2014119859A1 (ko) 2014-08-07

Family

ID=51262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0408 WO2014119859A1 (ko) 2013-01-29 2014-01-14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포함하는 도라지 추출물의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411985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041A (ko) * 1998-06-16 2000-01-15 이은방 항염증 활성이 있는 길경 추출물
KR20110063912A (ko) * 2009-12-07 2011-06-15 이정복 길경, 홍삼 및 시호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피부 외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041A (ko) * 1998-06-16 2000-01-15 이은방 항염증 활성이 있는 길경 추출물
KR20110063912A (ko) * 2009-12-07 2011-06-15 이정복 길경, 홍삼 및 시호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피부 외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ARK, SAE-JIN ET AL.: "Inhibitory Effect of PG-Platycodin D on the Development of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in ICR Mice.", JOURNAL OF LIFE SCIENCE ., vol. 22, no. 10, October 2012 (2012-10-01), pages 1339 - 134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59292A2 (ko)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우수한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
WO2021112398A1 (ko)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6060525A1 (ko)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WO2015156439A1 (ko) 천심련추출물 또는 안드로그라폴라이드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WO2022260454A1 (ko) 장수만리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 또는 노화 방지용 조성물
WO2018004141A1 (ko)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WO2017213346A1 (ko) 디오스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WO2024071736A1 (ko) 스트렙토코커스 피오게네스의 사균체 또는 spea 단백질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5030328A1 (ko) Gpcr19 작용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2173382A2 (ko) 탄시논ⅱ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18139809A1 (ko)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인삼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WO2018111042A2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7119535A1 (ko) 카노신, 대두 펩타이드 및 천심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WO2019168348A1 (ko) 탈모 치료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20138834A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119859A1 (ko) 플라티코딘 d(platycodin d)를 포함하는 도라지 추출물의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5037855A1 (en) A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combined herbs consisting of acanthopanax koreanum nakai and 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 showing preventing activity of baldness and stimulating activity of hair growth
WO2016122091A1 (ko) 심비디움(cymbidi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 질환 또는 접촉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WO2017142368A2 (ko)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031655A1 (ko) 티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104681A1 (ko) 에리오딕티올(eriodictyol)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1002642A1 (ko) 뱀독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2173383A2 (ko) 크립토탄시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24101570A1 (ko) 스테비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및 항알레르기용 조성물
WO2014051296A1 (ko) 청미래덩굴의 뿌리줄기인 토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을 위한 약학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74550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4550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