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77540A1 - 신체를 경사지게 눕혀 행하는 턱걸이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신체를 경사지게 눕혀 행하는 턱걸이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77540A1
WO2014077540A1 PCT/KR2013/009979 KR2013009979W WO2014077540A1 WO 2014077540 A1 WO2014077540 A1 WO 2014077540A1 KR 2013009979 W KR2013009979 W KR 2013009979W WO 2014077540 A1 WO2014077540 A1 WO 201407754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odies
user
exercise
ch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997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차능진
Original Assignee
한길특수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길특수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한길특수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DE112013005514.7T priority Critical patent/DE112013005514T5/de
Priority to CN201380060326.7A priority patent/CN104936658A/zh
Priority to JP2015542944A priority patent/JP2016501076A/ja
Priority to US14/443,398 priority patent/US20150297931A1/en
Publication of WO201407754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7754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00Horizont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7Exercising devices not moving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81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comprising additional means assisting the user to overcome part of the resisting force, i.e. assisted-active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8User-manipulated weights using user's bod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1218Chinning, pull-up, i.e. concentric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2015/0007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 A61H2015/0014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cylinder-like, i.e.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61H2201/1261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 A61H2201/1284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using own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42Lying down
    • A63B2208/0257Lying down pro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technical field related to a device that can easily perform a chin.
  • Scoliosis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is, which causes the spine to bend to the left or to the right, which is caused by obesity in the abdomen or obesity in learning posture or work posture.
  • the chin-up exercise is one of the exercises to straighten the body vertically, and can use the muscles of the body evenly, and it is a good exercise to maintain the overall body balanc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for easily carrying a chin-up exercise for anyone with weak muscle strength.
  • the iron bar for the chin should be installed only in the outdoors
  • the present invention simply installed in the room, such as in the home or office, present a device that can help to improve the health through the chin exercise Was don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capable of easily carrying a jaw movement while holding a gripping rod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a body while being hung on a plurality of roller members formed between parallel bodies installed at an inclined angle with a horizontal plane.
  • the upper part of the user's head to propose a chin exercise equipment that does not collide with the gripping rod.
  • a lower base member 150 is
  • a pair of parallel bodies (100, 101) formed in an inclined shape with a predetermined curve toward one side of the base member;
  • a gripping rod 200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body and having a horizontal pipe shap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a surface of the body;
  • a jaw dropping exercise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jaw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ull-up exercise device in the folded state.
  • Figure 3 is a side view of a conventional puller.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kinema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 6 to 11 are diagrams for explaining various exercise methods.
  • a lower base member 150 is
  • a gripping rod 200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body and having a horizontal pipe shap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a surface of the body; It includes.
  • the backrest member 600 may include a roller shaft 620 formed in plural in the space between the bodies and a roller member 620 rotatably fitted to the roller shaft.
  • the body and the gripping rods are connected by u-shaped gripping rod connecting portions 210 and 211 to allow the user's head to enter and exit through the u-shaped inner spac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ull-up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ull-up exercise device in a folded state
  • Figure 3 is a side schematic view of a conventional pull-up man
  • Figure 4 is a kinematic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prototype photograph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6 to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various exercise methods.
  • FIG. 3 a user briefly shows a scene in which a user performs a chin-up movement in a conventional iron bar.
  • the body rises vertically upwards, the arm is severely folded, and the head is not hit by the iron bar.
  • the jaw movement is performed.
  • the body 100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a horizontal plane to one side of the base member 150 holding the entire structure,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As a result, there is a peculiarity that the gripping rod 200 is formed as a horizontal rod which can be held by the user.
  • the body is preferably formed in the form of a pipe, and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or curve, or a combination of a straight line and a curve.
  • a support 140 supporting the body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body 100.
  • the support and the body may be formed as a single body.
  • the inclined body is preferably formed of two parallel pipes.
  • roller member 600 which is a backrest member that supports the back. Since the roller is freely rotated around the roller shaft 620, it is an appropriate means for easily moving the body while leaning on the user's body.
  • any member having a plate shape or other low frictional force may be used.
  • the roller member 600 is fitted to the roller shaft 620 formed in parallel through the upper and lower ends.
  • the shape and size of the roller member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 the position where the roller member is installed is preferably formed from about 50 centimeters to about 2.5 meters from the ground, but may be manufactured in a very small size for infants, and the installed position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 the foot plate 50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most roller member.
  • This scaffold can be used by the exerciser is very useful in the exercise 'sit and stand up' as shown in the use scene of FIG.
  • the uppermost part of the body 100 forms a u-shaped curve and gripping rod connecting portions 210 and 211 are formed, and at the end thereof, a straight gripping rod 200 is formed to connect the ends of the two gripping rod connecting portions.
  •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its peculiarity in that the gripping rods 200 are separated from the surfaces formed by the bodies 100 and 101.
  • the present invention is a gripper rod grasping by hand, the space (E) (plane) made by the body (100,101) in space (Fig. 7) Spaced apart), and as the space between them as the user's head as the jaw movement, it is possible to rise and fall.
  • the spaced E space is preferably 30 centimeters or more for adults, and smaller than tha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 new exercise that strengthens the whole body by using the arm force rather than the exercise of 'chining up'.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kinematic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 F force when pulling the gripping rod 200 by hand as shown in FIG. 7
  • D direction in which the user's body is moved by the force F
  • the directions of F and D coincide in a typical bar movement, there is a peculiarity that F and D form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leans against the roller member 600, the device can be used even with a much smaller force than when performing a chin-up exercise in a conventional iron rod mechanism.
  • Section A corresponds to the lower part of the body in Figure 4, which is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back of the leg of the user's body and is formed almost straight.
  • section B corresponds to a region where the user's back part is main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point where section A and section B meet each other is near the waist of the user, and the lumbar spine may be well supported by the roller member.
  • a and B sections are generally inclined and may have a straight line or a slight curvature.
  • the prototype 140 is vertically formed and welded to the body.
  • the joint 310 may be install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base member 150, and the support 140 may be rotatable.
  • a means by coupling the body connecting portion 145 and the body (100, 101) to prevent the support from flipping backward.
  • a means may include a ring member (not shown) for enclosing the support 140 and the roller shaft 620 together to bind each other.
  • the joint 300 may also be form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base member 150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bodies 100 and 101, which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muscle strength, height, weight, and the like.
  • Figure 2 shows that after the use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lded, the volume can be reduced.
  •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metal, wood,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as appropriate to the installation situation.
  • Figure 11 to form a member protruding upward in the body to lean on the roller member, while holding this portion can be an exercise to move the body up and down by stretching or folding the arm.
  •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w type of exercise device for the chin, can be widely used in the industrial field of manufacturing the exercise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수평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몸체에 형성된 롤러 부재들에 등을 댄 채로, 상부 몸체 상부에 형성된 파지봉을 쥐고 턱걸이 운동을 할 수 있으며 또한, 팔에 힘을 주는 방향과 사용자의 신체가 움직이는 방향이 서로 다른 독특한 구조를 가진 턱걸이 운동기구가 제시된다.

Description

신체를 경사지게 눕혀 행하는 턱걸이 운동기구
본 발명은 턱걸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기술분야에 속한다.
과거에는 허리질환이 노인에게만 국한된 것으로 알려져 왔지만, 현대인들은 남녀노소 할 것 없이 각종 전자기기의 사용 및 부적절한 생활습관 등에 의하여 허리에 통증을 호소하는 사례가 많다.
척추 측만증이 그 대표적인 예인데, 이는 척추가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휘어지는 것으로서, 이는 비만으로 배가 튀어나오거나, 학습자세나 업무자세가 바르지 않아 생기는 병이다.
그 이외에도 많은 사람들이 각종 원인에 의하여 허리 통증을 호소하고 있으며, 이럴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척추를 곧게 펴주는 각종 운동이 권장되고 있다. 턱걸이 운동도 몸을 수직하게 펴는 운동의 하나로서, 신체의 근육을 골고루 사용할 수 있으며, 전체 신체 밸런스를 유지하는 좋은 운동에 해당한다.
학교운동장 및 체력단련장에는 흔히 턱걸이 운동을 위한 철봉이 설치되어 있다. 턱걸이 운동은 신체 근력을 단련하기에 매우 좋은 운동이지만 오직 팔의 힘으로 체중을 상승시켜야 하므로 턱걸이 운동을 반복적으로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사람은 흔치 않다. 턱걸이를 몇 차례 하는 것만으로는 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기에는 매우 부족하다.
통상의 학교운동장 등에 설치되어 있는 철봉은 단지 설치만 되어 있을 뿐 활용하는 사람은 거의 없는 실정을 감안하여, 근력이 약한 남녀노소 누구라도 손쉽게 턱걸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본 발명 장치가 제시된다.
한편, 턱걸이를 하기 위한 철봉은 야외에만 설치되어야 한다는 선입견에서 탈피하여, 본 발명에서는 가정내 혹은 사무실과 같이 실내에 간단히 설치하여, 평소에 턱걸이 운동을 통한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치를 제시하게 되었다.
수평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경사지게 설치된 평행한 몸체 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롤러 부재에 등에 댄 채로, 몸체 상부에 형성된 파지봉을 쥐고 용이하게 턱걸이 운동을 할 수 있는 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파지봉을 손으로 당김에 따라 사용자의 머리 상부가 파지봉과 부딪치지 않는 턱걸이 운동기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하부의 베이스부재(150);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측 상방으로 소정의 곡선이 있는 경사를 이루며 형성되는 한 쌍의 평행한 몸체(100,101);
상기 몸체의 후방을 받쳐주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와 결합되는 지지체(140);
상기 몸체의 상방에 결합되되, 몸체가 이루는 면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가로의 파이프 형상으로 된 파지봉(200);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턱걸이 운동기구가 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롤러부재에 등을 기댄 채로 비스듬히 누워서 파지봉을 잡아 당기면, 매우 수월하게 턱걸이 운동이 가능하며, 실외는 물론 실내에서도 사용하기 편리하여 사용장의 건강 증진에 유익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턱걸이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접철된 상태의 턱걸이 운동기구이다.
도 3은 종래의 턱걸이 하는 사람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운동역학적인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시제품 촬영사진이다.
도 6 내지 도 11는 여러 운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하부의 베이스부재(150);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측 상방으로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형성되는 한 쌍의 평행한 몸체(100,101);
상기 몸체 사이 공간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등을 대고 기댈 수 있는 등받이 부재(600);
상기 몸체의 후방을 받쳐주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와 결합되는 지지체(140);
상기 몸체의 상방에 결합되되, 몸체가 이루는 면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가로의 파이프 형상으로 된 파지봉(200); 을 포함한다.
상기 등받이부재(600)는, 상기 몸체 사이 공간에 다수개로 형성되는 롤러축(620) 및 롤러축에 끼워져 회동가능한 롤러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와 파지봉은 u자 형상의 파지봉연결부(210,211)에 의하여, 연결되어, u 자 형상의 내부공간을 통해서, 사용자의 머리가 출입가능하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범위내에서 파악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턱걸이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접철된 상태의 턱걸이 운동기구, 도 3은 종래의 턱걸이 하는 사람의 측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운동역학적인 설명을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시제품 촬영사진, 도 6 내지 도 9는 여러 운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는 종래의 철봉에서 사용자가 턱걸이 운동을 하는 장면을 간략히 도시한 것인데, 손으로 철봉을 잡고 당기면 신체가 수직 상방향으로 올라가게 되고, 팔은 심하게 접히게 됨과 동시에, 머리 부분이 철봉에 부딪히지 않기 위하여, 얼굴을 철봉의 후방으로 젖히면서, 턱걸이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래의 턱걸이 동작은 팔 근력이 충분한 사람이 아니면 매우 하기 힘든 운동으로서, 생활 스포츠로서 자리잡지 못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구조물을 떠받치고 있는 베이스부재(150)의 일측 상방으로 수평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진 몸체(100)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쥘 수 있는 수평한 봉인 파지봉(200)이 형성되어 있다는 특이점이 있다.
몸체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직선 혹은 곡선, 또는 직선과 곡선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기울어져 있으므로 이를 떠받치는 지지체(140)가 몸체(100)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물론 지지체와 몸체는 하나의 바디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경사진 몸체는 바람직하게는 두개의 평행한 파이프로 형성된다.(101,101)
이러한 파이프형 몸체(100, 101) 사이의 공간에는 등을 떠받치는 등받이 부재인 롤러부재(600)가 형성된다. 롤러는 롤러축(620)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동되므로, 사용자 신체를 기댄 채 신체를 이동시키기 수월한 적절한 수단이다.
등받이부재는 판 형상이나 기타 마찰력이 작은 여하한의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롤러부재 표면에는 지압을 위한 수단을 부착할 수 있음은 물론, 선호도에 따라서 쿠션 수단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롤러부재에 등을 기댄 채 파지봉(200)을 잡고서, 팔의 완력을 이용하여 신체를 롤러부재 상방으로 끌어올림으로써 턱걸이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롤러부재(600)는 상하단에 거쳐 평행하게 다수 형성된 롤러축(620)에 끼워져 있다. 이러한 롤러부재의 형태와 크기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롤러부재가 설치되는 위치는, 지상으로부터 약 50 센티미터부터 약 2.5미터 정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지만, 유아들을 위한 초소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그 설치되는 위치는 매우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한편, 최하단의 롤러부재의 하부측에는 발판(5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발판은 운동자가 올라 설 수 있으며 도 9의 사용장면과 같이 '앉았다일어서기' 운동을 함에 있어서도 매우 유용하다.
발판(500)이 도 1의 상태에서 도 2와 같이 접힐 수 있도록 힌지 구조를 일측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00)의 최상부에는 u자형 곡선을 이루며 파지봉연결부(210,211)가 형성되어, 그 단부에는 직선형의 파지봉(200)이 두 파지봉연결부의 단부를 이어주도록 형성된다.
도 6과 도 7에서는 본 발명을 이용한 전형적인 운동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 장치는 파지봉(200)이 몸체(100,101)가 이루는 면과는 분리되어 있다는 점에 그 특이점이 있다.
통상적인 철봉은 파지봉에 해당하는 철봉이 철봉기둥에 바로 연결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손으로 쥐는 파지봉이, 공간상에서 몸체(100,101)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면(面)과는 공간 ' E '(도 7)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그 사이 공간으로는 도 7과 같이 사용자의 머리가 턱걸이 운동을 함에 따라, 오르락내리락 할 수 있게 된다. 이격되는 E 공간은 성인의 경우 30센티미터 이상이 바람직하며, 아동, 청소년 용도일 경우에는 이보다 더 작게 함이 필요하다.
엄밀히 말하면 본 발명은 '턱걸이'를 하는 운동이라기 보다는, 팔의 완력을 이용하여 전신(全身)을 근력을 강화시키는 새로운 운동에 해당한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운동역학적인 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롤러부재에 등을 기대고 도 6과 같이 자세를 잡은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손으로 파지봉(200)을 당길 때의 힘은 F로 표시하였다. 그리고 힘 F에 의하여 사용자의 신체가 이동되는 방향을 변위벡터 D로 표시하였다. 통상적인 철봉운동에서는 F와 D의 방향이 일치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F와 D가 소정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는 특이점이 있다. 사용자는 롤러부재(600)에 기댄 채 있기 때문에, 통상의 철봉기구에서 턱걸이 운동을 할 때 보다 훨씬 작은 힘으로도, 본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에서 A구간은 몸체의 하부에 해당하며, 이는 사용자 신체의 다리 후면에 대응되는 영역이고 거의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서 B 구간은 사용자의 등 부분이 주로 닿게 되는 영역에 해당하며, A 구간과 B 구간이 서로 만나는 지점은 사용자의 허리 근처가 되며, 롤러부재에 의하여 요추가 잘 받쳐질 수 있다.
A 및 B 구간은 전체적으로는 경사져 있으며, 직선 혹은 약간의 곡률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의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와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는, 도 7과 같이 사용자의 신체가 상방으로 올라감에 따라 점점 더, 사용자의 몸은 가로로 더 뉘게 되어, 도 7의 위치에서는 팔의 근력을 덜 요구하게 된다는 특징이 있다. 즉, 도 6과 같은 근력을 많이 쓰기 시작하는 위치로부터 점점 근력을 덜 쓰는 도 7로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팔에서 필요한 힘이 감소하게 된다는 점이 기존의 철봉과는 완전히 다른 것이다. 도 10에서 이러한 특징에 해당하는 것을 그래프화 하여 도시하였다. 즉 수평면에서 신체무게중심까지가 멀어질수록 팔에 걸리는 힘이 낮아짐을 보이고 있다.
도 5의 사진에서는 지지체(140)를 수직으로 형성하여 몸체에 용접 고정한 시제품을 도시하고 있다.
당업자 수준에서 베이스부재(150) 후미 부분에 조인트(310)를 설치하고, 지지체(140)를 회동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몸체연결부(145)와 몸체(100,101)를 결합하여 지지체가 후방으로 젖혀짖지 않도록 하는 수단(미도시)을 더 형성할 수 있음도 가능하다. 가령 이러한 수단의 예로서는 지지체(140)와 롤러축(620)를 한꺼번에 둘러싸서 상호 결속시키는 링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베이스부재(150) 전면부에도 조인트(300)를 형성하여, 몸체(100,101)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근력, 키, 몸무게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장치의 사용이 종료된 후, 접어서 부피를 줄일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본 발명 장치를 이루는 재료는 금속, 목재, 플라스틱 기타 재료를 설치된 상황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과 도 9와 같은 운동은 사용자의 하체를 튼튼하게 함과 더불어, 등 쪽을 더욱 자극하게 되므로, 체력이 허약해져 있는 노약자에게 특히 유용한 운동방법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는 몸체에 상부로 돌출된 부재를 형성하여 롤러부재에 등을 기댄 채, 이 부분을 쥐고서 팔을 펴거나 접어서 신체를 위, 아래로 이동시키는 운동을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새로운 형태의 턱걸이 운동기구로서, 운동기구를 제작하는 산업 분야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

Claims (2)

  1. 하부의 베이스부재(150);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측 상방으로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형성되는 한 쌍의 평행한 몸체(100,101);
    상기 몸체 사이 공간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등을 대고 기댈 수 있는 등받이 부재(600);
    상기 몸체(100,101)의 후방을 받쳐주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부재(150)의 상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100,101)와 결합되는 지지체(140);
    상기 몸체(100,101)의 상방에 결합되되, 상기 몸체(100,101)가 이루는 면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파지봉(200); 을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부재(600)는, 상기 한쌍의 몸체(100,101) 사이 공간에 다수개로 형성되는 롤러축(620) 및 롤러축에 끼워져 회동가능한 롤러부재(62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100,101)와 파지봉(200)은 휘어진 파지봉연결부(210,211)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신체를 경사지게 눕혀 행하는 턱걸이 운동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두 몸체의 하부 일측을 가로질러 발판(500)이 더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를 경사지게 눕혀 행하는 턱걸이 운동기구.
PCT/KR2013/009979 2012-11-19 2013-11-06 신체를 경사지게 눕혀 행하는 턱걸이 운동기구 WO2014077540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12013005514.7T DE112013005514T5 (de) 2012-11-19 2013-11-06 Klimmzug-Übungsmechanismus mit schräggestelltem Korpus
CN201380060326.7A CN104936658A (zh) 2012-11-19 2013-11-06 倾斜躺卧引体向上运动器材
JP2015542944A JP2016501076A (ja) 2012-11-19 2013-11-06 体を斜めに横たえて行う懸垂運動器具
US14/443,398 US20150297931A1 (en) 2012-11-19 2013-11-06 Chin-up exercise mechanism for inclined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119 2012-11-19
KR1020120131119A KR101250816B1 (ko) 2012-11-19 2012-11-19 신체를 경사지게 눕혀 행하는 턱걸이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77540A1 true WO2014077540A1 (ko) 2014-05-22

Family

ID=48442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9979 WO2014077540A1 (ko) 2012-11-19 2013-11-06 신체를 경사지게 눕혀 행하는 턱걸이 운동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297931A1 (ko)
JP (1) JP2016501076A (ko)
KR (1) KR101250816B1 (ko)
CN (1) CN104936658A (ko)
DE (1) DE112013005514T5 (ko)
WO (1) WO20140775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5139A1 (ko) * 2014-12-24 2016-06-30 엄광복 요추 교정운동 보조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6261A (zh) * 2016-05-25 2016-08-03 江苏黑池文化传媒有限公司 安全核心舞蹈脊柱矫正训练器
US10492975B2 (en) * 2017-08-30 2019-12-03 William J. Mangino, JR. Full-body massage apparatu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UA127087U (uk) * 2018-03-15 2018-07-10 Костянтин Веніамінович Разумовський Апарат тракційної рефлексотерапії хребта разумовського
CN113521674B (zh) * 2021-07-16 2022-07-05 琼台师范学院 一种儿童上肢力量训练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9137A (en) * 1997-01-07 1998-06-02 Chililon Enterprise Co., Ltd. Multifunctional training machine
US20020065176A1 (en) * 2000-11-30 2002-05-30 Lafond Julie Back roller exercise apparatus
KR200422843Y1 (ko) * 2006-05-18 2006-07-31 동-헐 우 연동식 스트레치 휘트니스 기구
KR20100008025U (ko) * 2009-02-04 2010-08-12 이진형 복근 운동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22720A (en) * 1919-11-25 Hassage-machine
US1836981A (en) * 1927-08-08 1931-12-15 Roll A Way Bed Corp Massaging and exercising apparatus
US2840072A (en) * 1954-08-24 1958-06-24 Frank P Ingram Massage bed
US3874657A (en) * 1970-06-04 1975-04-01 Frank J Niebojewski Exercise apparatus including stall bars and exercise equipment mounted thereon
US4193394A (en) * 1978-08-18 1980-03-18 Billy Everett Back walker and massage device
JPS617726Y2 (ko) * 1980-12-12 1986-03-10
US4867142A (en) * 1988-02-12 1989-09-19 Prd Corporation Self actuated lombar traction apparatus
US5215511A (en) * 1992-05-14 1993-06-01 Cheng Wen Liang Indoor gymnastic apparatus with means for back massaging
US5772614A (en) * 1994-03-15 1998-06-30 Lindquist; Edward E. Back massage device usable with leg elevation
CA2146223A1 (en) * 1995-04-03 1996-10-04 Richard Fortier Power massager
US5573485A (en) * 1995-05-31 1996-11-12 Geschwender; Robert C. Exercising and stretching apparatus
US5674185A (en) * 1995-12-28 1997-10-07 Chang; Chien-Chung Sole massaging device
US5833590A (en) * 1997-09-29 1998-11-10 Chiu; Ching-Chih Backbone stretching exerciser
US5931769A (en) * 1998-07-23 1999-08-03 Nunez; Luis Alberto Exercise device
US5913758A (en) * 1998-07-23 1999-06-22 Nunez; Luis Alberto Stretching device
US6390997B1 (en) * 1998-10-02 2002-05-21 David M. Vitko Back stimulator and rehabilitation apparatus
US6231489B1 (en) * 1999-05-24 2001-05-15 Stamina Products, Inc. Device for multiple torso exercises
US6245000B1 (en) * 1999-08-19 2001-06-12 Anna Saakian Exercise device and body toner with adjustable inclined roller platform
CR6182A (es) * 2000-04-28 2000-09-19 Alberto Nuñez Linares Luis Dispositivo de estiramiento y masaje de espalda y hombros
US6312401B1 (en) * 2000-09-05 2001-11-06 David W. Smith Collapsible cervical traction device
US7326159B2 (en) * 2005-10-03 2008-02-05 Chou May Rong Fitness apparatus for abdomen and waist
US7381171B2 (en) * 2006-10-16 2008-06-03 Chih-Liang Chen Back and abdomen exercising apparatus
US7645248B2 (en) * 2006-12-15 2010-01-12 Luke Brown Wall-mounted back massager including wheels
USD581471S1 (en) * 2007-05-07 2008-11-25 E. Mishan & Sons, Inc. Abdominal exerciser
USD647153S1 (en) * 2010-10-05 2011-10-18 E. Mishan & Sons, Inc. Abdominal exerciser with rotatable seat
US9084909B1 (en) * 2011-01-26 2015-07-21 Stephen D. Henley Apparatus and method for exercise ball cradle
TWM412785U (en) * 2011-03-04 2011-10-01 Zhu Zhen Gang Pull-up rehabilit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9137A (en) * 1997-01-07 1998-06-02 Chililon Enterprise Co., Ltd. Multifunctional training machine
US20020065176A1 (en) * 2000-11-30 2002-05-30 Lafond Julie Back roller exercise apparatus
KR200422843Y1 (ko) * 2006-05-18 2006-07-31 동-헐 우 연동식 스트레치 휘트니스 기구
KR20100008025U (ko) * 2009-02-04 2010-08-12 이진형 복근 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5139A1 (ko) * 2014-12-24 2016-06-30 엄광복 요추 교정운동 보조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36658A (zh) 2015-09-23
DE112013005514T5 (de) 2015-09-24
KR101250816B1 (ko) 2013-04-05
JP2016501076A (ja) 2016-01-18
US20150297931A1 (en)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3008B2 (en) Squat exercise apparatus
US9713745B2 (en) Portable calisthenics exercise device
WO2014077540A1 (ko) 신체를 경사지게 눕혀 행하는 턱걸이 운동기구
US20150297948A1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s
US20140038793A1 (en) Exercise Device
US20130225377A1 (en) Stretching Exercise Apparatus
US20110224057A1 (en) Universal fitness machine
WO2022114616A1 (ko) 레터럴 레이즈 머신
US20130310232A1 (en) Exercise Apparatus
KR101905367B1 (ko) 스쿼트 운동 기구
US7470221B1 (en) Upper extremity portable exercise machine
CN210355822U (zh) 拉线式多功能健身器
US7134989B2 (en) Multifunction exercise machine
US8105216B2 (en) Exercise device for stomach muscles
KR100651259B1 (ko)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
WO2019022513A1 (ko) 밸런스 운동이 가능한 플랭크 코어운동기구
CN215839984U (zh) 一种新型康复科用腿部康复装置
WO2023243790A1 (ko) 벤트 오버 로우 머신
KR20190015122A (ko)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EP2907548A1 (en) Exercise device for strengthening of abdominal muscles
CN203001777U (zh) 新型家庭组合健身器
WO2023160134A1 (zh) 一种健身器
CN204502256U (zh) 一种锻炼全身的健身器材
WO2021075637A1 (ko)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
CN202751744U (zh) 一种多功能健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5523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443398

Country of ref document: US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542944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12013005514

Country of ref document: DE

Ref document number: 1120130055147

Country of ref document: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5523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