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73728A1 -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및 그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및 그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73728A1
WO2014073728A1 PCT/KR2012/009880 KR2012009880W WO2014073728A1 WO 2014073728 A1 WO2014073728 A1 WO 2014073728A1 KR 2012009880 W KR2012009880 W KR 2012009880W WO 2014073728 A1 WO2014073728 A1 WO 201407372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elmet
black box
box function
imag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988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철우
김주찬
이동철
Original Assignee
(주)티엘씨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엘씨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티엘씨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WO201407372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7372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lmet, and in particular, when the user detects the wearing of the helmet to activate the black box function (black box function) and to take an image by using a camera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lmet according to the activated black box func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helmet having a black box function for recording the photographed imag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the wearing of protective equipment such as helmets, belts, gloves, etc. is essential for the safety of workers in industrial sites such as construction sites, shipyards, machine shops or disaster sites.
  • the helmet is designed to protect the worker's head and face from falling objects and unexpected dangers. Wearing the helmet is an essential safety rule on the job site.
  • helmets are hard helmets for construction workers or miners, as well as safety helmets for cyclists, skaters, etc., helmets for motorcycles, airtight, watertight or pressure-resistant head equipment for airplanes, divers or astronauts. It include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tivate the black box function when detecting the wearing of the helmet from the user and to display the image using a camera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lmet according to the activated black box func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helmet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ich have a black box function to photograph and record the captured image.
  • the smart helmet having a black box function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lmet to be worn by the user for sensing various sensing information; Control means for activating a black box function based on the measured sensing information and recording an image photographed according to the activated black box function; And photographing means for photographing an imag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ccording to activation of the black box function.
  • the sensing means comprises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internal or external temperature of the helmet worn by the user;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hock sensor for measuring the impact from the outside applied to the wearing helmet.
  • control means determines whether the user wears the helmet based on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wears the helme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characterized in that to activate the black box function It is done.
  • control means determines whether the user has an accident based on the impact measured by the shock sensor,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an acciden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recorded image is recor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to the external device.
  • control means transmits the recorded image to an external device,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point where the accident occurred together with the recorded image to the external device.
  • control means transmits the recorded image to an external device, and extracts only an image within a preset time from the time when an accident occurs among the recorded images and transmits the extracted image to the external device. It features.
  • the photographing means is mount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helmet, characterized in that for shooting the image in at least one of the front direction, side direction, rear direction of the helmet.
  • a method of operating a smart helmet having a black box function in which a sensing means is mounted on one side of a helmet to be worn by a user to measure various sensing information; Activating a black box function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by a control means; And recording by the photographing means by capturing an image according to the activation of the black box function.
  • the measuring may include measuring an internal temperature or an external temperature of the helmet worn by the user; And measuring impact from the outside applied to the helmet being worn.
  • the activating step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wears the helmet based on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wears the helme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black box function is activated. It features.
  • the operating method of the smart helmet having a black box function compris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has an accident based on the impact measured by the impact sensor;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an acciden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ransmitting the recorded image to an external device.
  • the transmitting may include transmitting the recorded image to an external device, and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on the point where the accident occurred together with the recorded image to the external device.
  • the recorded image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extracted image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by extracting only an image within a preset time from an accident occurrence time of the recorded image. It is characterized by.
  • the recording may include at least one photographing means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lmet to photograph the image in at least one of a front direction, a side direction, and a rear direction of the helmet. .
  • the present invention by activating the black box function when the user detects the wearing of the helmet, by recording an image by using the camera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lmet according to the activated black box function, to record the captured image, In case of an accident, it is possible to obtain evidence data.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negligence of the accident party on the basis of the evidence obtained in this way because it can secure evidence data when the accident occurs.
  • the present invention activates the black box function when the user detects the wearing of the helmet, by taking an image by using a camera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lmet according to the activated black box function to record the recorded image, accident Since the situation at that time can be determin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xpected to activate the smart helmet.
  • FIG. 1 is a first view showing a smart helmet having a black box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means 140 shown in FIG.
  • FIG 3 is a first view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 smart helm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second view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 smart helm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second view showing a smart helmet having a black box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trol unit 143 control unit
  • FIGS. 1 to 5 a smart helmet having a black box function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cusing on the part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operation and 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tivate the black box function when the user detects the wearing of the helmet and to take a video using a camera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lmet according to the activated black box function to record the recorded image Suggest.
  • FIG. 1 is a first view showing a smart helmet having a black box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smart helmet having a black box function may include a helmet body 110, a photographing means 120, a sensing means 130, a control means 140, and the like. Can be.
  • the helmet body 110 may be worn on the user's head to protect the user's head and face.
  • the photographing means 120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lmet to photograph the front direction, the side direction, the rear direction, and the like of the helmet. At least one of the photographing means 120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lmet to photograph some or all of the front direction, the side direction, and the rear direction.
  • the photographing means 120 may use, for example, a charge couple device (CCD).
  • CCD charge couple device
  • the sensing unit 130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lmet to measure various sensing information.
  • the sensing means 130 may include, for example,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a temperature inside or outside the helmet, an illumina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illuminance around the worker, a humidity sensor for detecting humidity around the worker, and a gas harmful to a human body. It may include a gas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 impact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 impact from the outside applied to the helmet.
  • the control means 140 may activate the black box function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ing means 130 and record an image according to the activated black box function.
  • control unit 14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wears a helmet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wears the helmet, the control unit 140 performs a black box function. It can be activated.
  • the control means 140 may transmit an image recorded according to the black box function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ing means 130 through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 control means 14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has an accident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hock sensor,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an acciden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ctivation of the black box
  • the recorded image may be transmitted to external devices such as a user terminal or an administrator terminal.
  • the user terminal may be a concept encompassing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ersonal computer (PC), a notebook, and the like.
  •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 PC personal computer
  • control unit 140 may extract an imag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an accident and transmit the extracted image to external devices.
  •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means 140 shown in FIG.
  • the control unit 14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41, an input unit 142, a control unit 143, an output unit 144, a storage unit 145, and the like. Can be.
  • the communication unit 141 may transmit various information by wire or wirelessly in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 the communication unit 141 uses a protocol such as Wi-Fi (Wi-Fi Fidelity),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ci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or Bluetooth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protocols such a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and Zigbee may be used.
  • Wi-Fi Fidelity Wi-Fi Fidelity
  • Wibro Wireless broadband
  • 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cirowave Access
  •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 Bluetooth such a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and Zigbee may be used.
  •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 Zigbee Zigbee
  • the communication unit 141 may further include a GPS receiver for detecting a location of the user.
  • the input unit 142 may receive an image captured by the at least one photographing means 120, and may receiv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at least one sensing means 130.
  • the controller 143 determines whether the user wears a helmet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ing means 12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wears the helmet, the controller activates the black box function. can do.
  • the controller 143 determines whether the user has an accident on the basis of the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means 12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an acciden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black box function. Therefore, the recorded image can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 controller 143 may be implement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ing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controller 143 described herein may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and field programmable gates (FPGAs). arrays,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s
  • the output unit 144 may output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for the recorded image according to the black box function.
  • the output unit 144 may be, for example, a speaker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or a display for outputting a video signal.
  • the storage unit 145 may store the captured image according to the block box function. In this case, the storage unit 145 may store not only a video signal but also an audio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 the storage unit 145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types of storage media, such as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nd a card type.
  • Memory e.g. SD or XD memory
  • RAM random access memory
  •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 ROM read-only memory
  •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 FIG 3 is a first view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 smart helm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trol means may check whether the user receives the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sensing means as the user wears the smart helmet (S310).
  • the sensing means may use a temperature sensor that can measure the user's body temperature.
  •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wears a helmet based on the received sensing information (S320).
  • control means may activate the black box function (S330).
  • control means may receive an image corresponding to some or all of the front direction, the side direction, and the rear direction of the helmet from the photographing means according to the activation of the black box function (S340).
  • control means may store the received image in the storage unit (S350).
  • control unit may classify and store the input image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 FIG. 4 is a second view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 smart helm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trol means may check whether the user receives the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sensing means as the user wears the smart helmet (S410).
  • the sensing means may use a shock sensor that can detect an external shock.
  • the control means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an accident based on the received sensing information (S420).
  • control means may extract only an image within a preset time from the time when the accident occurred among the recorded images (S430).
  • control means may transmit the extracted image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user terminal or an administrator terminal through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S440).
  • control unit may transmit not only an image but also position information on a point where an accident occurs.
  • FIG. 5 is a second view showing a smart helmet having a black box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mart helmet having a black box function includes a helmet body 110, a photographing means 120, a sensing means 130, a control means 140, and a fixing means 150. And the like.
  • the helmet body 110 may be worn on the user's head to protect the user's head and face.
  • the photographing means 120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lmet to photograph the front direction, the side direction, the rear direction, and the like of the helmet. At least one of the photographing means 120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lmet to photograph some or all of the front direction, the side direction, and the rear direction.
  • the sensing unit 130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lmet to measure various sensing information.
  • the control means 140 may activate the black box function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ing means 130 and record an image according to the activated black box function.
  • the control means 140 may transmit an image recorded according to the black box function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ing means 130 through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 the fixing means 150 may attach and detach devices for providing a black box function. That is, the smart helmet described in FIG. 1 includes devices for providing a black box function, but the devices are attached and detached as necessary here.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operated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 each or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some or all functions combined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a.
  • such a computer program may be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such as a USB memory, a CD disk, a flash memory, and the like,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orage medium of the computer program may include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 carrier wave medium, and the lik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및 그 운용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은 사용자가 착용하고자 하는 헬멧의 일측에 장착되어 각종 센싱 정보를 측정하는 센싱 수단; 측정된 상기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상기 블랙 박스 기능에 따라 촬영되는 영상을 기록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블랙 박스 기능의 활성화에 따라 기 설정된 방향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및 그 운용 방법
본 발명은 헬멧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로부터의 헬멧 착용을 감지하면 블랙 박스 기능(black box function)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블랙 박스 기능에 따라 헬멧의 일측에 장착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그 촬영한 영상을 기록하도록 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 조선소, 기계공장과 같은 산업현장이나 재해현장 등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헬멧, 벨트, 장갑 등과 같은 보호 장구의 착용은 필수적이다. 그 중 헬멧은 고공의 낙하물이나 예상치 못한 위험으로부터 작업자의 머리와 안면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헬멧의 착용은 작업 현장에서 필수적인 안전수칙에 해당된다.
특히 헬멧은 건설 인부용 또는 광부용의 경질형 헬멧 뿐 아니라 자전거 타는 사람, 스케이터 보더 등을 위한 안전 헬멧, 모터사이클용 헬멧, 비행기, 다이버 또는 우주 비행사 등을 위한 기밀, 수밀 또는 내압의 헤드장비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사고가 날 경우, 사고 당사자의 진술 외에 증거자료가 부족하여 사고 당사자의 과실을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로부터의 헬멧 착용을 감지하면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블랙 박스 기능에 따라 헬멧의 일측에 장착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그 촬영한 영상을 기록하도록 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은 사용자가 착용하고자 하는 헬멧의 일측에 장착되어 각종 센싱 정보를 측정하는 센싱 수단; 측정된 상기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상기 블랙 박스 기능에 따라 촬영되는 영상을 기록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블랙 박스 기능의 활성화에 따라 기 설정된 방향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사용자가 착용하는 헬멧의 내부 온도 또는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센서; 및 착용하고 있는 상기 헬멧에 가해지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측정하는 충격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수단은 측정된 상기 온도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상기 헬멧을 착용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상기 헬멧을 착용하였다고 판단하게 되면 상기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충격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충격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다고 판단하게 되면, 기록된 상기 영상을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수단은 기록된 상기 영상을 외부 기기로 전송하되, 기록된 상기 영상과 함께 상기 사고가 발생한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수단은 기록된 상기 영상을 외부 기기로 전송하되, 기록된 상기 영상 중 사고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의 영상만을 추출하여 추출된 상기 영상을 상기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촬영 수단은 상기 헬멧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가 장착되어, 상기 헬멧의 정면 방향, 측면 방향, 후면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관점에 따른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의 운용 방법은 센싱 수단이 사용자가 착용하고자 하는 헬멧의 일측에 장착되어 각종 센싱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제어 수단이 측정된 상기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촬영 수단이 상기 블랙 박스 기능의 활성화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상기 영상을 기록하는 단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착용하는 헬멧의 내부 온도 또는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착용하고 있는 상기 헬멧에 가해지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활성화하는 단계는 측정된 상기 온도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상기 헬멧을 착용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상기 헬멧을 착용하였다고 판단하게 되면 상기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의 운용 방법은 상기 충격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충격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다고 판단하게 되면, 기록된 상기 영상을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기록된 상기 영상을 외부 기기로 전송하되, 기록된 상기 영상과 함께 상기 사고가 발생한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기록된 상기 영상을 외부 기기로 전송하되, 기록된 상기 영상 중 사고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의 영상만을 추출하여 추출된 상기 영상을 상기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수단이 상기 헬멧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가 장착되어, 상기 헬멧의 정면 방향, 측면 방향, 후면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의 헬멧 착용을 감지하면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블랙 박스 기능에 따라 헬멧의 일측에 장착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그 촬영한 영상을 기록하도록 함으로써, 사고 발생 시 증거 자료 확보가 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고 발생 시 증거 자료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렇게 확보된 증거 자료를 근거로 사고 당사자의 과실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의 헬멧 착용을 감지하면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블랙 박스 기능에 따라 헬멧의 일측에 장착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그 촬영한 영상을 기록하도록 함으로써, 사고 당시의 상황을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 헬멧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을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수단(140)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헬멧의 운영 방법을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헬멧의 운영 방법을 나타내는 제 2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을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헬멧 본체
120: 촬영 수단
130: 센싱 수단
140: 제어 수단
141: 통신부
142: 입력부
143: 제어부
144: 출력부
145: 저장부
150: 고정 수단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및 그 운용 방법을 첨부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의 헬멧 착용을 감지하면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블랙 박스 기능에 따라 헬멧의 일측에 장착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그 촬영한 영상을 기록하도록 하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을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은 헬멧 본체(110), 촬영 수단(120), 센싱 수단(130), 및 제어 수단(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헬멧 본체(110)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여 사용자의 머리와 안면을 보호할 수 있다.
촬영 수단(120)은 헬멧의 일측에 장착되어 헬멧의 정면 방향, 측면 방향, 후면 방향 등을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 수단(120)은 정면 방향, 측면 방향, 후면 방향 중 일부 또는 전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헬멧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촬영 수단(120)은 예컨대, CCD(Charge Couple Devic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센싱 수단(130)은 헬멧의 일측에 장착되어 각종 센싱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센싱 수단(130)은 예컨대, 헬멧의 내부 또는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센서, 작업자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감지 센서, 작업자 주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 센서, 인체에 해로운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감지 센서, 헬멧에 가해지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수단(140)은 센싱 수단(130)으로부터 측정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하고 그 활성화된 블랙 박스 기능에 따라 영상을 기록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수단(140)은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하였다고 판단하게 되면,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 수단(140)은 센싱 수단(130)으로부터 측정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블랙 박스 기능에 따라 기록된 영상을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수단(140)은 충격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다고 판단하게 되면, 블랙 박스의 활성화에 따라 기록된 영상을 외부의 기기들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자 단말기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및 노트북 등을 포괄하는 개념일 수 있다.
또한, 제어 수단(140)은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다고 판단하게 되는 시점부터 일정 시간 이내의 영상을 추출하여 그 추출된 영상을 외부의 기기들에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수단(140)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수단(140)은 통신부(141), 입력부(142), 제어부(143), 출력부(144), 및 저장부(14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41)는 외부의 기기와 연동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각종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41)는 예컨대, Wi-Fi(Wireless Fidelity),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ci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하거나 근거리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지그비(zigbee) 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41)는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GPS 수신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42)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 수단(120)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입력 받을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130)으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어부(143)는 센싱 수단(120)을 통해 측정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하였다고 판단하게 되면,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부(143)는 센서 수단(120)을 통해 측정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다고 판단하게 되면, 블랙 박스 기능의 활성화에 따라 기록된 영상을 외부의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3)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제어부(143)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출력부(144)는 블랙 박스 기능에 따라 기록된 영상에 대한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부(144)는 예컨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이거나 비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등일 수 있다.
저장부(145)는 블록 박스 기능에 따라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45)는 비디오 신호 뿐 아니라 이에 상응하는 오디오 신호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45)는 다양한 타입의 저장매체로 구현될 수 있는데,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헬멧의 운영 방법을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수단은 사용자가 스마트 헬멧을 착용함에 따라 센싱 수단으로부터 측정된 센싱 정보를 입력 받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310).
이때, 센싱 수단은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온도 감지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 수단은 그 확인한 결과로 센싱 정보를 입력 받으면, 입력 받은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20).
다음으로, 제어 수단은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하였다고 판단하게 되면,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S330).
다음으로, 제어 수단은 블랙 박스 기능의 활성화에 따라 촬영 수단으로부터 헬멧의 전면 방향, 측면 방향, 후면 방향 중 일부 또는 전체에 상응하는 영상을 입력 받을 수 있다(S340).
다음으로, 제어 수단은 입력 받은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S350). 이때, 제어 수단은 입력 받은 영상을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헬멧의 운영 방법을 나타내는 제 2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수단은 사용자가 스마트 헬멧을 착용함에 따라 센싱 수단으로부터 측정된 센싱 정보를 입력 받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410).
이때, 센싱 수단은 외부의 충격을 감지할 수 있는 충격 감지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 수단은 그 확인한 결과로 센싱 정보를 입력 받으면, 입력 받은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20).
다음으로, 제어 수단은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다고 판단하게 되면, 기록된 영상 중 사고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의 영상만을 추출할 수 있다(S430).
다음으로, 제어 수단은 추출된 영상을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의 기기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자 단말기 등에 전송할 수 있다(S440).
또한, 제어 수단은 영상 뿐 아니라 사고가 발생한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을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은 헬멧 본체(110), 촬영 수단(120), 센싱 수단(130), 제어 수단(140), 및 고정 수단(1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헬멧 본체(110)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여 사용자의 머리와 안면을 보호할 수 있다.
촬영 수단(120)은 헬멧의 일측에 장착되어 헬멧의 정면 방향, 측면 방향, 후면 방향 등을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 수단(120)은 정면 방향, 측면 방향, 후면 방향 중 일부 또는 전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헬멧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가 장착될 수 있다.
센싱 수단(130)은 헬멧의 일측에 장착되어 각종 센싱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 수단(140)은 센싱 수단(130)으로부터 측정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하고 그 활성화된 블랙 박스 기능에 따라 영상을 기록할 수 있다.
제어 수단(140)은 센싱 수단(130)으로부터 측정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블랙 박스 기능에 따라 기록된 영상을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고정 수단(150)은 블랙 박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기기들을 탈부착할 수 있다. 즉, 도 1에서 설명된 스마트 헬멧은 블랙 박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기기들을 내장하고 있지만, 여기서는 그러한 기기들을 필요에 따라 탈부착하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사용자가 착용하고자 하는 헬멧의 일측에 장착되어 각종 센싱 정보를 측정하는 센싱 수단;
    측정된 상기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상기 블랙 박스 기능에 따라 촬영되는 영상을 기록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블랙 박스 기능의 활성화에 따라 기 설정된 방향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수단;
    을 포함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사용자가 착용하는 헬멧의 내부 온도 또는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센서; 및
    착용하고 있는 상기 헬멧에 가해지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측정하는 충격 감지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측정된 상기 온도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상기 헬멧을 착용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상기 헬멧을 착용하였다고 판단하게 되면 상기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충격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충격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다고 판단하게 되면, 기록된 상기 영상을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기록된 상기 영상을 외부 기기로 전송하되, 기록된 상기 영상과 함께 상기 사고가 발생한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기록된 상기 영상을 외부 기기로 전송하되, 기록된 상기 영상 중 사고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의 영상만을 추출하여 추출된 상기 영상을 상기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수단은,
    상기 헬멧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가 장착되어,
    상기 헬멧의 정면 방향, 측면 방향, 후면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8. 센싱 수단이 사용자가 착용하고자 하는 헬멧의 일측에 장착되어 각종 센싱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제어 수단이 측정된 상기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촬영 수단이 상기 블랙 박스 기능의 활성화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상기 영상을 기록하는 단계;
    을 포함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의 운용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착용하는 헬멧의 내부 온도 또는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착용하고 있는 상기 헬멧에 가해지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의 운용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하는 단계는,
    측정된 상기 온도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상기 헬멧을 착용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상기 헬멧을 착용하였다고 판단하게 되면 상기 블랙 박스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의 운용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충격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그 판단한 결과로 사용자가 사고를 당했다고 판단하게 되면, 기록된 상기 영상을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의 운용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기록된 상기 영상을 외부 기기로 전송하되, 기록된 상기 영상과 함께 상기 사고가 발생한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의 운용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기록된 상기 영상을 외부 기기로 전송하되, 기록된 상기 영상 중 사고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의 영상만을 추출하여 추출된 상기 영상을 상기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의 운용 방법.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수단이 상기 헬멧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가 장착되어,
    상기 헬멧의 정면 방향, 측면 방향, 후면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의 운영 방법.
PCT/KR2012/009880 2012-11-12 2012-11-21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및 그 운용 방법 WO201407372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323 2012-11-12
KR1020120127323A KR101303607B1 (ko) 2012-11-12 2012-11-12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및 그 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73728A1 true WO2014073728A1 (ko) 2014-05-15

Family

ID=49454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9880 WO2014073728A1 (ko) 2012-11-12 2012-11-21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및 그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03607B1 (ko)
WO (1) WO20140737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449B1 (ko) 2013-03-11 2014-02-27 이규환 블랙박스 기능을 구비하는 헬멧
KR101670033B1 (ko) * 2013-11-21 2016-10-27 백승환 스마트 블랙박스 헬멧을 이용한 스마트 블랙박스 서비스 시스템
KR101608077B1 (ko) * 2014-08-11 2016-04-01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촬영용 헬멧
KR101842360B1 (ko) * 2016-08-25 2018-03-26 이도용 스마트 배달 슈트
KR20200041848A (ko) 2020-04-04 2020-04-22 조영빈 360도 블랙박스와 hud가 부착된 스마트 헬멧
KR102414564B1 (ko) 2020-10-23 2022-06-28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후방 인지 및 사고 발생시 위치를 전송하는 헬멧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8711A1 (en) * 2007-03-07 2008-09-12 Umbilical Design Ab System for detecting an accident
JP2010148718A (ja) * 2008-12-25 2010-07-08 Honda Motor Co Ltd 生体情報検出システム
KR20100095843A (ko) * 2009-02-23 2010-09-01 주식회사 맥스포 헬멧 및 그의 주변 환경 데이터 저장방법
KR101079344B1 (ko) * 2010-11-03 2011-11-04 (주)티엘씨테크놀로지 스마트 벨트와 그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8711A1 (en) * 2007-03-07 2008-09-12 Umbilical Design Ab System for detecting an accident
JP2010148718A (ja) * 2008-12-25 2010-07-08 Honda Motor Co Ltd 生体情報検出システム
KR20100095843A (ko) * 2009-02-23 2010-09-01 주식회사 맥스포 헬멧 및 그의 주변 환경 데이터 저장방법
KR101079344B1 (ko) * 2010-11-03 2011-11-04 (주)티엘씨테크놀로지 스마트 벨트와 그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3607B1 (ko) 201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73728A1 (ko)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및 그 운용 방법
WO2013147521A1 (ko) 이동통신단말기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 헤드셋 및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 헤드셋 시스템
WO2014157806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5030301A1 (en) Smartwatch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2060506A1 (ko) 소방작업을 위한 스마트 웨어
WO2015111790A1 (en) Smart watch,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WO2015012441A1 (en) Digit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4181918A1 (en) Smart wat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5105234A1 (en) Head mounted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6017855A1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WO201914318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etecting status of battery thereof
WO2015030307A1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4092380A1 (ko)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WO2021040126A1 (ko) 복합환경 측정을 이용한 지능형 웨어러블 위험 상태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WO2022169009A1 (ko) 스마트 워치 기반의 활선 감지 방법
WO2015163737A1 (ko) 외장형 데이터 수집부를 포함하는 오토바이용 블랙박스
WO2021060943A1 (en) Electronic device for identify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WO2016108325A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WO2014073729A1 (ko)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 벨트 및 그 운용 방법
WO2016117948A1 (ko) 도장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WO2017099448A1 (ko) 법정선량계를 결합하는 스마트 선량계
WO2021201593A1 (ko) 데이터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12138133A2 (ko) 네트워크 영상 단말기
WO2020085867A1 (en) Method for indicating impact of external shock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555386B1 (ko) 스마트 안전모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8815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8815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