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564B1 - 후방 인지 및 사고 발생시 위치를 전송하는 헬멧 시스템 - Google Patents

후방 인지 및 사고 발생시 위치를 전송하는 헬멧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564B1
KR102414564B1 KR1020200137995A KR20200137995A KR102414564B1 KR 102414564 B1 KR102414564 B1 KR 102414564B1 KR 1020200137995 A KR1020200137995 A KR 1020200137995A KR 20200137995 A KR20200137995 A KR 20200137995A KR 102414564 B1 KR102414564 B1 KR 102414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unit
circuit board
groove
ac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3814A (ko
Inventor
박철영
정희성
전대기
우창환
박상선
Original Assignee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37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564B1/ko
Publication of KR20220053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Means for detecting hazards or acciden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2Optical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2Determin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헬멧부; 상기 헬멧부의 상단 내측에 배치되며, 1) 상기 헬멧부에 가해지는 가속도 변화량을 측정하는 가속도센서, 2) GPS와 통신하여 상기 헬멧부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센서 및 3) 상기 가속도센서의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회로기판유닛; 상가 헬멧부의 후단 내측에 배치되며, 통공을 통해 노출되는 카메라모듈을 통해 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 상기 회로기판유닛, 상기 카메라모듈 및 상기 분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 및 미리 설정되는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 및 외부 서버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후방 인지 및 사고 발생시 위치를 전송하는 헬멧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후방 인지 및 사고 발생시 위치를 전송하는 헬멧 시스템{DETACHABLE AUTO CLAMP DEVICE}
본 발명은 헬멧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카메라모듈을 통한 블랙박스 기능과 가속도센서에 의해 사고의 발생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사고 발생 지점을 전송하는 기술을 통해 후방 인지 및 사고 발생시 위치를 전송하는 헬멧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퍼스널 모빌리티 시장이 성장하면서 동시에 매년 사고율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여기서, 퍼스널 모빌리티는 전동 킥보드, 전기 자전거, 전동 스쿠터 등을 의미한다. 이 때, 사용자는 머리와 안면을 보호하기 위해 헬멧을 착용하게 되는데, 헬멧을 착용하면 주위 시야에 큰 제약이 생겨 시야 각도가 좁아지고, 후방 인지 능력이 저하되어 사고의 발생 확률은 더욱 높아진다.
퍼스널 모빌리티와 같은 이륜차는 자동차보다 안정성이 매우 떨어지기 때문에 가벼운 접촉 사고일지라도 중상 또는 사망에 이를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추돌 사고 등이 발생하여 헬멧 착용자가 의식을 잃어 버리는 경우, 신속한 사고 접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응급 처치가 늦어지는 등의 결과로 심각한 인명 피해가 발생한다. 또한, 사고 당사자의 진술 이외에 증거 자료가 부족하여 사고 당사자의 과실을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 또한 용이하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60722호 (발명의 명칭: 다기능 헬멧을 이용한 교통사고 응급처치 및 도주차량 추적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052999호 (발명의 명칭: 오토바이 블랙박스용 카메라 및 카메라 장착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3607호(발명의 명칭: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및 그 운용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고의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사고 발생시 비상연락망을 통해 사고 위치를 전송하고, 후방에 대한 실시간 촬영을 통해 사용자의 후방 인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헬멧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헬멧에 가해지는 충격이 센서, 각 종 전자 부품 등이 배치되는 회로기판부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완충하여 헬멧 시스템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헬멧에 가해지는 충격을 높은 신뢰성으로 감지하여 사고의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고자 한다.
또한, 본 장치의 각 구성요소 사이의 결합 관계를 용이하게 하여 유지, 관리가 편리하도록 한다. 또한, 제품 원가를 절감하고 제품 경쟁력을 개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헬멧부; 상기 헬멧부의 상단 내측에 배치되며, 1) 상기 헬멧부에 가해지는 가속도 변화량을 측정하는 가속도센서, 2) GPS와 통신하여 상기 헬멧부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센서 및 3) 상기 가속도센서의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회로기판유닛; 상가 헬멧부의 후단 내측에 배치되며, 통공을 통해 노출되는 카메라모듈을 통해 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 상기 회로기판유닛, 상기 카메라모듈 및 상기 분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 및 미리 설정되는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 및 외부 서버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후방 인지 및 사고 발생시 위치를 전송하는 헬멧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가 사고의 발생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헬멧부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1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스마트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스마트디바이스는 미리 설정되는 비상연락처에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문자열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속도센서는 6축으로 이루어지며, 가속도 변화량은 x, y 및 z축 방향의 가속도 변화량을 각각 측정한 후 이를 합산하는 방법으로 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로기판유닛은 곡면브라켓을 통해 상기 헬멧부에 배치되며, 상기 곡면브라켓은 상측이 상기 헬멧부의 내측면과 면 부착 가능하게 곡면으로 형성되며, 하측에는 상기 회로기판유닛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곡면과 상기 안착홈 사이에는 연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로기판유닛은 상기 안착홈에 역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회로기판유닛의 하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착층과 쿠션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헬멧부의 내측면에는 좌우 대칭이 되도록 상기 헬멧부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홈과, 상기 제1홈과 상기 헬멧부의 상단에서 교차되도록 상기 헬멧부의 좌우 측면을 가로지르는 제2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에는 선 형태의 진동전달선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시스템은 사고의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사고 발생시 비상연락망을 통해 사고 위치를 전송하고, 후방에 대한 실시간 촬영을 통해 사용자의 후방 인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헬멧에 가해지는 충격이 센서, 각 종 전자 부품 등이 배치되는 회로기판부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완충하여 헬멧 시스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헬멧에 가해지는 충격을 높은 신뢰성으로 감지하여 사고의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의 각 구성요소 사이의 결합 관계를 용이하게 하여 유지, 관리가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품 원가를 절감하고 제품 경쟁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 인지 및 사고 발생시 위치를 전송하는 헬멧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A 영역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2의 헬멧부에 형성되는 제1홈과 제2홈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 인지 및 사고 발생시 위치를 전송하는 헬멧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A 영역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헬멧부에 형성되는 제1홈과 제2홈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 인지 및 사고 발생시 위치를 전송하는 헬멧 시스템은 헬멧부(100), 회로기판유닛(200), 카메라모듈(300), 제어부(400), 무선통신모듈(500), 전원부(550), 스마트디바이스(600), 서버(7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헬멧부(100)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부분으로 무선통신모듈(500) 등에 의한 전파 간섭을 낮추면서도 강성은 우수한 복합 섬유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헬멧부(100)는 사용자의 얼굴이 노출될 수 있도록 전면은 개구되어 있다. 헬멧부(100)는 사고 등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한다.
회로기판유닛(200)은 헬멧부(100)의 상단 내측에 배치되며, 1) 헬멧부(100)에 가해지는 가속도 변화량을 측정하는 가속도센서(210), 2) GPS와 통신하여 헬멧부(100)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센서(260) 및 3) 가속도센서(210)의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부(280)를 포함한다.
회로기판유닛(200)은 헬멧부(100)의 상단 부근 특히 헬멧부(100)의 전후를 가로지르는 가상의 대칭선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회로기판유닛(200)은 상면에 실장되는 회로 소자 등 각 종 부품을 포함하고 있는 바, 곡면브라켓(220)을 통해 헬멧부(100)에 배치된다. 곡면브라켓(220)은 상측이 헬멧부(100)의 내측면과 면 부착 가능하게 곡면으로 형성되며, 하측에는 회로기판유닛(200)이 안착되는 안착홈(222)이 형성되고, 곡면과 안착홈(222) 사이에는 연통공(2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곡면브라켓(220)은 접착제 등을 통해 헬멧부(100)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브라켓(220)은 전체적으로 반구 형상일 수 있다. 곡면브라켓(220)의 하측에는 안착홈(222)이 형성되며 이 때, 회로기판유닛(200)은 안착홈(222)에 역방향으로 배치된다. 한편, 회로기판유닛(200)이 안착홈(222)에 배치될 때, 회로기판유닛(200)의 하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착층(226)과 쿠션층(228)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접착층(226)은 쿠션층(228)이 안착홈(222)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쿠션층(228)은 고무 재질, 실리콘 재질 등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쿠션층(228)은 헬멧부(100)에 가해지는 충격이 회로기판유닛(200)으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쿠션층(228)의 횡단면은 회로기판유닛(200)의 횡단면의 크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곡면브라켓(220)의 상측 곡면에는 쿠션층(228)이 얇은 두께로 전체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한편, 회로기판유닛(200)이 안착홈(222)에 역방향으로 배치되면, 안착홈(222)은 도포되는 충진재에 의해 빈 공간이 채워질 수 있다. 여기서, 충진재는 예를 들어 스티로폼일 수 있다. 또한, 곡면브라켓(220)에는 안착홈(222)을 개폐시키는 커버(221)가 결합되어 회로기판유닛(20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가속도센서(210)는 회로기판유닛(200)의 상면에 실장될 수 있다. 여기서, 가속도센서(210)는 헬멧부(100)에 가해지는 가속도의 변화, 헬멧부(100)에 가해지는 충격 등을 측정하기 위한 용도를 갖는다. 한편, 안착홈(222) 내에는 회로기판유닛(200)을 고정시키기 위한 탄성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탄성부재는 회로 소자 중 어느 하나의 상면과 커버(221) 사이에 배치되어 회로기판유닛(200)을 가압할 수 있다.
헬멧부(100)의 내측면에는 좌우 대칭이 되도록 헬멧부(100)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홈(110)과, 제1홈(110)과 헬멧부(100)의 상단에서 교차되도록 헬멧부(100)의 좌우 측면을 가로지르는 제2홈(12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홈(110)과 제2홈(120)은 헬멧부(100)의 상단 내측면에서 십자 모양으로 교차되어 교차점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1홈(110) 및 제2홈(120)에는 금속 재질의 진동전달선(130)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홈(110)의 일단에 배치되어 교차점을 향해 연장되는 진동전달선(130)은 교차점에서 외측으로 이탈된다. 또한, 제1홈(110)의 타단에 배치되어 교차점을 향해 연장되는 진동전달선(130)은 교차점에서 외측으로 이탈된다. 동일하게 제2홈(120)의 일단과 타단에 배치되어 교차점을 향해 각각 연장되는 진동전달선(130)은 교차점에서 외측으로 이탈된다. 즉, 헬멧부(100)의 내측 교차점에는 4개의 진동전달선(130)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교차점에서 제1홈(110) 및 제2홈(120) 외측으로 이탈되는 진동전달선(130)은 가속도센서(21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진동전달선(130)은 곡면브라켓(220)의 연통공(224)을 통해 안착홈(222)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진동전달선(130)은 가속도센서(210)의 표면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진동전달선(130)은 헬멧부(100)가 크게 네 영역으로 분할되는 경우 각 영역에 가해지는 충격을 가속도센서(210)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가속도센서(210)는 헬멧부(100)의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이런 가속도센서(210)는 6축으로 이루어지며, 가속도 변화량은 x, y 및 z축 방향의 가속도 변화량을 각각 측정한 후 이를 합산하는 방법으로 산출될 수 있다. 가속도센서(210)는 이미 공지된 기술을 활용하는 것인 바, 이하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위치센서(260)는 사용자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 헬멧부(100)에 배치된다. 위치센서(260)는 예를 들어, GPS 수신기이며, 이 때, 위치센서(260)는 GPS를 이용하여 사고 발생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유닛(200)은 헬멧부(100)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석부(280)는 가속도센서(210)를 기반으로 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분석부(280)는 가속도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임계값은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한 상태에서 사고가 발생되는 상황을 가정하여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임계값은 주행 중 속도가 급격하게 줄어들면서 외부 충격이 발생되는 가속도 변화량을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분석부(280)에서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는 제어부(400)에 전달될 수 있다.
카메라모듈(300)은 헬멧부(100)의 후단 내측에 배치되며, 통공을 통해 노출되는 카메라모듈(300)을 통해 후방을 촬영한다. 카메라모듈(300)은 사용자가 주행 중 후방 인지를 위해 헬멧부(100)의 후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모듈(300)은 블랙박스 기능에 따라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을 실시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300)은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 현장에 대한 상황, 현장 정보, 사고 경위를 파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정지 상태인 경우, 카메라모듈(300)은 주변을 감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모듈(300)을 통해 촬영된 영상은 무선통신모듈(500)을 통해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회로기판유닛(200), 카메라모듈(300) 및 분석부(2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해당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가 사고의 발생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400)는 헬멧부(100)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1신호를 생성하여 무선통신모듈(500)을 통해 스마트디바이스(6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신호는 사고가 발생한 시점에서 헬멧부(100)의 위치정보, 사고의 발생 시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스마트디바이스(600)는 미리 설정되는 비상연락처에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문자열을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디바이스(600)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한편,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카메라모듈(300)에서 촬영되는 영상은 스마트디바이스(600)에서 출력된다.
무선통신모듈(500)은 미리 설정되는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600) 및 외부 서버(70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무선통신모듈(500)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이런 무선통신모듈(500)은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안착홈(22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500)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예를 들어, 블루투스 등이 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500)은 카메라모듈(300)과 스마트디바이스(60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헬멧부(100)의 후방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모듈(500)은 모바일 기기에 대한 무선 이동통신 규격인 lte 등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스마트디바이스(600)는 서버(700)에 촬영 영상 등을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는 카메라모듈(300)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 헬멧부(100)의 위치정보, 헬멧부(100)의 이동경로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는 외부에 위치하는 클라우드일 수 있다.
전원부(550)는 회로기판유닛(200), 카메라모듈(300), 제어부(400), 무선통신모듈(500) 등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부(550)는 헬멧부(100)의 하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부(550)는 리튬배터리, 스텝다운컨버터, 충전모듈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텝다운컨버터는 리튬배터리의 출력 전원을 조정하여 각 구성요소에 적합한 크기의 전원으로 강압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시스템은 헬멧부(100) 일측에 형성되는 전원 버튼을 On으로 전환함에 따라 작동하기 시작한다. 전원부(550)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면 카메라모듈(300)과 무선통신모듈(500)이 각각 초기화된다. 한편, 카메라모듈(300)과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600)는 블루투스 등을 통해 자동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카메라모듈(300)의 실시간 촬영 영상을 스마트디바이스(600)에 출력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0)가 사고의 발생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면 헬멧부(100)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1신호가 스마트디바이스(600)에 전송되고, 스마트디바이스(600)는 자동으로 비상연락처에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문자열을 전송하게 된다.
헬멧의 사용이 종료되어 전원 버튼을 Off로 전환하면, 헬멧부(100) 내의 카메라모듈(300) 등의 작동이 정지되고,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600)에 대한 연결 상태가 해제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헬멧부 200: 회로기판유닛
300: 카메라모듈 400: 제어부
500: 무선통신모듈 550: 전원부
600: 스마트디바이스 700: 서버
210: 가속도센서 260: 위치센서
280: 분석부

220: 곡면브라켓 221: 커버
222: 안착홈 224: 연통공
226: 접착층 228: 쿠션층

110: 제1홈 120: 제2홈
130: 진동전달선

Claims (6)

  1. 헬멧부;
    상기 헬멧부의 상단 내측에 배치되며, 1) 상기 헬멧부에 가해지는 가속도 변화량을 측정하는 가속도센서, 2) GPS와 통신하여 상기 헬멧부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센서 및 3) 상기 가속도센서의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회로기판유닛;
    상기 헬멧부의 후단 내측에 배치되며, 통공을 통해 노출되는 카메라모듈을 통해 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
    상기 회로기판유닛, 상기 카메라모듈 및 상기 분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 및
    미리 설정되는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 및 외부 서버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헬멧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헬멧부의 전후를 대칭적으로 가로지르는 제1홈과, 상기 헬멧부의 좌우를 대칭적으로 가로지르는 제2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에는 선 형태의 진동전달선이 배치되며,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은 상기 헬멧부의 상단 내측면에서 십자 모양으로 교차되어 교차점을 형성하고, 상기 헬멧부의 내측 교차점에는 진동전달선이 외측으로 노출되는 후방 인지 및 사고 발생시 위치를 전송하는 헬멧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사고의 발생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헬멧부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1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스마트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스마트디바이스는 미리 설정되는 비상연락처에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문자열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인지 및 사고 발생시 위치를 전송하는 헬멧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센서는 6축으로 이루어지며, 가속도 변화량은 x, y 및 z축 방향의 가속도 변화량을 각각 측정한 후 이를 합산하는 방법으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인지 및 사고 발생시 위치를 전송하는 헬멧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유닛은 곡면브라켓을 통해 상기 헬멧부에 배치되며,
    상기 곡면브라켓은 상측이 상기 헬멧부의 내측면과 면 부착 가능하게 곡면으로 형성되며, 하측에는 상기 회로기판유닛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곡면과 상기 안착홈 사이에는 연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인지 및 사고 발생시 위치를 전송하는 헬멧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유닛은 상기 안착홈에 역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회로기판유닛의 하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착층과 쿠션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인지 및 사고 발생시 위치를 전송하는 헬멧 시스템.
  6. 삭제
KR1020200137995A 2020-10-23 2020-10-23 후방 인지 및 사고 발생시 위치를 전송하는 헬멧 시스템 KR102414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995A KR102414564B1 (ko) 2020-10-23 2020-10-23 후방 인지 및 사고 발생시 위치를 전송하는 헬멧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995A KR102414564B1 (ko) 2020-10-23 2020-10-23 후방 인지 및 사고 발생시 위치를 전송하는 헬멧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814A KR20220053814A (ko) 2022-05-02
KR102414564B1 true KR102414564B1 (ko) 2022-06-28

Family

ID=81593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995A KR102414564B1 (ko) 2020-10-23 2020-10-23 후방 인지 및 사고 발생시 위치를 전송하는 헬멧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5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6913A (ja) * 1999-03-08 2000-09-19 Toenec Corp 作業用ヘルメット及び作業用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911632B1 (ko) * 2017-04-24 2018-10-24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바이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5821U (ja) * 1992-04-20 1993-11-19 株式会社フジクラ ヘルメット
KR101303607B1 (ko) 2012-11-12 2013-09-26 (주)티엘씨테크놀로지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및 그 운용 방법
KR101629175B1 (ko) * 2014-10-14 2016-06-1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다기능 헬멧
KR20170080774A (ko) * 2015-12-30 2017-07-11 강상봉 모자 겸용 헬멧
KR102589378B1 (ko) * 2016-08-31 2023-10-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 및 헬멧
KR101960722B1 (ko) 2017-12-21 2019-03-21 재단법인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다기능 헬멧을 이용한 교통사고 응급처치 및 도주차량 추적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6913A (ja) * 1999-03-08 2000-09-19 Toenec Corp 作業用ヘルメット及び作業用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911632B1 (ko) * 2017-04-24 2018-10-24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바이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814A (ko) 202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3381B2 (en) Phone docking station mounted on a vehicle for enhanced driving safety
US7170058B2 (en) Device for assisting a person in rescue operations under hazardous situations
US20140348484A1 (en) Safety accessory with situational awareness and data retention
KR101629175B1 (ko) 다기능 헬멧
KR101738414B1 (ko) 차량 사고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긴급 콜 시스템
JP4173176B2 (ja) ドライブレコーダ
KR101092222B1 (ko) 헬멧
KR102025832B1 (ko) 스마트 지팡이
KR20150106091A (ko) 레이저 hud 스마트 헬멧
KR101996761B1 (ko) 휴대용 헬멧
KR101157864B1 (ko)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
KR101670033B1 (ko) 스마트 블랙박스 헬멧을 이용한 스마트 블랙박스 서비스 시스템
KR20190066215A (ko)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
CN106652089A (zh) 一种行车数据记录装置及方法
KR101682702B1 (ko) 9축 센서 모듈을 이용한 차량 블랙박스 시스템
KR102414564B1 (ko) 후방 인지 및 사고 발생시 위치를 전송하는 헬멧 시스템
KR101532087B1 (ko) 외장형 데이터 수집부를 포함하는 오토바이용 블랙박스
US11533961B1 (en) Multi-functional vehicle helmet
KR102506131B1 (ko)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
KR102405645B1 (ko) 블랙박스 겸용 이륜 이동수단용 스마트기기 거치대
KR101512809B1 (ko)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79970B1 (ko)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 제공 시스템
JP2008236385A (ja) 携帯端末装置
CN213247169U (zh) 用于配套自动驾驶自行车的显示头盔
KR20150068796A (ko) 차량의 감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