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51354A1 - 자가발전 유닛을 가지는 기능수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자가발전 유닛을 가지는 기능수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51354A1
WO2014051354A1 PCT/KR2013/008633 KR2013008633W WO2014051354A1 WO 2014051354 A1 WO2014051354 A1 WO 2014051354A1 KR 2013008633 W KR2013008633 W KR 2013008633W WO 2014051354 A1 WO2014051354 A1 WO 201405135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nit
water
self
electrode
storag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863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성태
이근규
나기석
나영세
김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노
Priority to JP2015534390A priority Critical patent/JP6139688B2/ja
Priority to US14/432,084 priority patent/US20150291453A1/en
Priority to CN201380051066.7A priority patent/CN104661966A/zh
Publication of WO201405135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5135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13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17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 C25B9/19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with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5Systems or processes based on supernatural or anthroposophic principles, cosmic or terrestrial radiation, geomancy or rhabdomanc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2Non-contaminated water, e.g. for industrial water supply
    • C02F2103/026Treating water for medical or cosmetic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4Seals, conne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9Apparatus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e.g. solar cells, windpower,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5Electrolytic cell with membranes or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02F2201/46165Special power supply, e.g. solar energy or batte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95Cells containing solid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water generating apparatus applicable to beauty and health products.
  • mist In the former case, it is referred to as a mist and is used a lot among women, and in the case of mist, various cosmetic ingredients are added to the inside of the airtight container to replenish moisture, thereby helping to moisturize the skin.
  • Korean Patent No. 10-1080227 discloses sterilized beauty water from pre-treated beauty water through underwater discharge.
  • An apparatus capable of generating a has been disclosed.
  • the portable beauty water sterilizer is cumbersome to replace the separate battery power (AAA type 2) at regular intervals.
  • AAA type 2 separate battery power
  • electrolysis since electrolysis is not performed, distilled water or R / O purified water may not be used, and chlorine and odor may be generated during electrolysis, thereby causing discomfort.
  • the generated water since the generated water is used without distinction between cosmetic and sterilization, there may be side effects due to cosmetic and sterilization using chlorine.
  •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purified water in addition to tap water, the object is to provide a functional water generating device having a self-generation unit for the electrolysis filter operation.
  • Functional water generating apparatus having a self-genera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storage chamber for receiving any one of the water containing tap water, purified water, distilled water and adducts therein; An electrode unit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water storage chamber to form a bottom surface, wherein an electrode of any one of an anode and a cathode is exposed; And a power supply unit disposed below the electrode unit to supply power to the electrode unit, and converting kinetic energy added by a user into electrical energy to produce electricity.
  • the electrode unit includes: a power source of the power supply unit. Received,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vert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storage chamber into functional water.
  • the electrode unit includes an electrode module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water storage chamber, wherein the electrode module comprises: first and second frames; First and second electrodes connected to power sources having different polaritie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rames; And a soli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 the power supply unit is disposed under the electrode unit, the control module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a power generation unit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unit and converts kinetic energy of the user into electrical energy, wherein the power generation unit is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power supply unit; A coil wound around the core block; A guide rail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so as to be concentric with the core block; And a magnet moving along the guide rail.
  • the magnet has a through hol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guide rail in the center, it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ner space of the core block.
  • the power generation unit may b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guide rail, and a pair of elastic members that collide with the magnet dur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magnet; may further include.
  • the elastic member is provided in a spherical shape formed of any one material of rubber, silicon, urethane may be in point contact at the time of the first contact with the magnet, the coil is deformed by the impact generated during the collision with the magnet It may be formed of any one of a spring and a leaf spring.
  • a sealing membe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the control module to block water from the water storage chamber from flowing into the control module.
  • the power supply unit may include a cover member detachable from the bottom surface.
  • the water storage chamber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any one of the microdroplet injection unit and the lid member on the upper side.
  • the microdroplet injection unit is a sealing cover member screwed to the upper opening of the water storage chamber; A pumping unit fixedly coupled to a center of the sealing cover member; A pipe member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pumping unit to supply the functional water in the water storage chamber to the pumping unit; And a cap member protecting the pumping unit.
  • the power supply unit may generate electricity when the reciprocating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unctional water generating device.
  • the control module unit may further include a switching unit that controls on / off of power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of switching a polarity of power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have.
  • electrolysis is possible, so you can replace the raw water you want, such as purified water or distilled water, in addition to tap water.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nctional water generating device having a self-genera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 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FIG.
  •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hydrogen and ozone are form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lectrod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nctional water generating device having a self-generat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nctional water generating device having a self-genera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 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 Figures 4 and 5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the electrode of the functional water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unctional water generating apparatus having a self-power unit may include a water storage chamber 110, an electrode unit 120 and a power supply unit 130 in the housing.
  • the water storage chamber 110, the electrode unit 120 and the power supply 130 may be composed of a singl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are provided as a separate component from each other detachable It may be configured as possible.
  • the water storage chamber 110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water may be stored in the internal space.
  • the water may be used by selecting any one of water purified by using tap water, R / O filter unit, distilled water, or water that has been post-treated through a predetermined process.
  •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unlike conventional devices that generate functional water using electrolysis can use only tap wat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any kind of water desired by the user can be used.
  • the electrode unit 120 may be disposed below the water storage chamber 110, and the electrode module 20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osed to form a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chamber 110.
  • the electrode 120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chamber 110.
  • the electrode module 200 includes a first electrode 210 and a second electrode 220 interposed between first and second frames 201 and 202 and the first and second frames 201 and 202. And a soli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230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210 and 220.
  • the structure of such an electrode module 200 may be provided by the device describ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564654.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registered patent, the electrode module 200 may be composed of a first electrode 210 as an anode electrode to cause an electrolysis reaction in water, the first electrode 210 consisting of the anode electrode
  • the second electrode 220 may be configured as a cathode electrod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causing an electrolysis reaction in water.
  • the soli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230 may transfer hydrogen ions generated by an electrolysis rea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210 and 220 provided as the anode electrode and the cathode electrode.
  • an auxiliary electrode not show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220 provided as the cathode electrode and the soli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230.
  • the auxiliary electrode passes hydrogen ions generated from the first electrode 210, which is the anode electrode, to the cathode electrode, and OH-ion generated from the second electrode 220, the cathode electrode, reacts with the cation divalent ion.
  • By generating a scale generated on the surfa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generation of scale on the surface of the cathode electrode.
  • the power supply unit 130 may be configured with a simple structure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rt.
  • the cathode electrode is formed to face the inner bottom surface fac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chamber 110, and ozone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 the anode electrode may be formed to face the inner bottom surface that is a surface fac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chamber 110.
  • the power supply unit 130 is disposed below the electrode unit 120 to supply power to the electrode module 200 provided in the electrode unit 120. As shown in FIG. 3, the power supply unit 130 may include a cover member 131, a control module unit 132, and a power generation unit 133.
  • the cover member 131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wer supply unit 130, and if necessary, the cover member 131 may be exposed to expose the inside of the power supply unit 130 so as to be maintained.
  • the control module unit 132 may include a DC converter 132a, a capacitor 132b, and a battery unit 132c as shown in FIG. 5.
  • the DC converter 132a converts the AC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ion unit 133 to be described below into DC using a plurality of diodes, and performs power storage in the capacitor unit 132b to supply power of a predetermined size.
  • the storage unit 132c may be stor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ity stored in the battery unit 132c is preferably DC 5V / 200mA.
  • control module unit 132 by providing a separate switch membe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ower stored in the battery unit 132c on / off by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member.
  • switch member by switching the polarity of the switch memb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olarity of the power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210, 22 to the positive or negative electrode,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You can change the number of numbers.
  • an electrode expos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chamber 110 may be an anode, and hydrogen may be included for cosmetic purposes.
  • the electrode expos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chamber 110 is preferably a cathode.
  • the change of the electrode may be made by a switching unit not shown, or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210 and 220 may be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direction of the polarity may be adjusted by changing directions.
  • control module unit 132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210 and 220 ne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are not shown arou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210 and 220.
  • the sealing member is installed, it is necessary to be disposed so that the water inside the water storage chamber 110 does not leak to the control module unit 132 side.
  • the power generation unit 133 is provided to enable the user to directly produce electricity whenever necessary, instead of a separate external battery power source, as shown in FIG. 5, the core block 133a fixedly installed in the power supply unit 130. ), A coil 133b wound around the core block 133a, a guide rail 133c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130 so as to be concentric with the core block 133a, and the guide rail 133c. It may include a magnet (133d) and the elastic member 133e moving along.
  • the core block 133a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to form a space therein as shown, and the coil 133b may be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 the winding number of the coil 133b may be formed between 2000 and 4000 times, and the winding number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device and the size of electricity required.
  • the space formed in the core block 133a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the size of the space may be provid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magnet 133d.
  • the guide rail 133c may be disposed to be concentric with the center of the core block 133a.
  • one end of the control module part 132 is disposed below the electrode part 120. It is fixed to the lower side, the other end may be fixed by the cover member 131.
  • the magnet 133d has a through hol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guide rail 133c at the center thereof, through which the magnet 133d can move along the guide rail 133c.
  • the magnet 133d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ner space of the core block 133a, and preferably has a siz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block 133a. Do. Since the magnet 133d is disposed to move along the guide rail 133c, when the user shakes the functional water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 133d may reciprocat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of FIG. 5 to generate AC power. .
  • the elastic member 133e may b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guide rail 133c, and dur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magnet 133d, the magnet 133d collides first before colliding with the inner wall surface, thereby causing a collision. It can serve to absorb the shock that can be generated by.
  • the elastic member 133e is provided in a spherical shape formed of any one material of rubber, silicon, and urethane, and may be in point contact upon initial contact with the magnet 133d.
  • the cylindrical shape may have a variety of shapes as necessary.
  • the elastic member 133e may be formed of any one of a coil spring and a leaf spring whose shape is deformed by an impact generated when colliding with the magnet 133d.
  • the power supply unit 130 uses a separate replaceable battery, or a rechargeable battery is a magnet using a Faraday principle tha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to solve the hassle
  • a self-powered capacitor of the power storage method but not limited to this, and is not limited to the storage direction using solar heat or, if necessary, by connecting a rotary lever or the like, rather than the configuration to shake up and down in the axial direction
  • Any type of power supply capable of self-power generation such as having a rotatable rotor or the like can be used.
  • the coil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power supply unit 130 forms a stator wound around, and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tator is provided with a rotor of a rotatable configura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coil wound on the stator. It is also possible to obtain electricity by rotating the rotor using the rotary lever.
  • the functional water generating device can supply the functional water produced in the form of a mist, for this purpose, the upper side of the water storage chamber 110 It may be provided with a microdroplet injection unit 300 that can inject the functional water into fine water particles through a pumping operation.
  • the microdroplet injection unit 300 is a commonly used configuration, the sealing cover member 310 is screwed to the upper opening of the water storage chamber 110, the fixed coupling in the center of the sealing cover member 310
  • the pumping unit 320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pumping unit 320, the pipe member 321 for supplying the functional water in the water storage chamber 110 to the pumping unit 320 and the pumping unit ( Cap member 330 to protect 320 may be included.
  • a power source that can be used on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uch as battery power
  • a self-powered method tha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only by shaking the operation 5-10 times just before use It can produce enough electricity for use, without the hassle of changing batteries or charging.
  • the electrode is changed through a simple switching operation, so that when sterilizing water is required, the electrode generating ozone meets the water, and when generating functional water containing hydrogen for skin beauty, the electrode generating hydrogen is generated. It is possible to meet with water, so it is possible to produce functional water with two different functions in one instrument.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functional water generating device related technology applicable to a lo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유닛을 가지는 기능수 생성장치는 내부에 수돗물, 정수된 물, 증류수 및 부가물이 포함된 물 중 어느 하나의 물을 수용하는 물 저장 챔버; 상기 물 저장 챔버의 하측에 결합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며, 양극 및 음극 중 어느 하나의 전극이 노출되는 전극부; 및 상기 전극부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극부에 전원을 공급하며, 사용자에 의해 부가되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물 저장 챔버에 수용된 물을 기능수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가발전 유닛을 가지는 기능수 생성장치
본 발명은 미용 및 건강용품에 적용 가능한 기능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과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실내 난방장치의 가동 및 야외 활동으로 건조해진 피부에 보습을 위해 수분을 공급하거나, 화장실 사용 또는 식사 전후로 손을 살균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전자의 경우, 미스트 등으로 지칭되어 여성들 사이에서 많이 사용되는데, 미스트의 경우 밀폐용기 내부에 수분 보충을 위한 물 이외에 다양한 화장수 성분 등을 추가하여, 피부 보습에 도움을 주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미스트의 기능과 살균수로의 기능을 동시에 부여할 수 있는 휴대용 미용수 살균기 등이 개발되고 있는데, 그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0227호에는 수중방전을 통하여 전처리 미용수로부터 살균미용수를 생성할 수 있는 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휴대용 미용수 살균기는 별도의 배터리 전원(AAA 타입 2개)을 일정 주기마다 교체하여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수돗물 이외의 물을 사용할 경우, 전기분해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증류수나 R/O 정수된 물을 사용할 수 없으며, 전기 분해 시 염소 및 냄새가 발생되어 불쾌감을 줄 수 있다. 특히, 생성된 물은 미용용과 살균용 구분 없이 사용되므로, 염소를 이용한 미용 및 살균에 따른 부작용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수돗물 이외에 정수된 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전기분해 필터 작동을 위한 자가발전 유닛을 가지는 기능수 생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유닛을 가지는 기능수 생성장치는 내부에 수돗물, 정수된 물, 증류수 및 부가물이 포함된 물 중 어느 하나의 물을 수용하는 물 저장 챔버; 상기 물 저장 챔버의 하측에 결합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며, 양극 및 음극 중 어느 하나의 전극이 노출되는 전극부; 및 상기 전극부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극부에 전원을 공급하며, 사용자에 의해 부가되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물 저장 챔버에 수용된 물을 기능수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극부는 상기 물 저장 챔버의 지름과 대응되는 지름을 가지는 전극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모듈은, 제 1 및 제 2 프레임;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이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전극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어 모듈부; 및 상기 제어 모듈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전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코어 블록; 상기 코어블록에 권선되는 코일; 상기 코어블록과 동심이 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는 중앙에 상기 가이드 레일의 지름과 대응되는 형상의 통공을 가지며, 상기 코어 블록의 내부 공간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전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양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마그네트의 왕복 이동 시 상기 마그네트와 충돌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구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마그네트와 최초 접촉 시 점 접촉할 수도 있고, 상기 마그네트와의 충돌 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는 코일 스프링 및 판 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과 제어 모듈부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물 저장 챔버에 수용된 물이 상기 제어 모듈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는 바닥면에 착탈 가능한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저장 챔버는 상측에 미세액적 분사유닛 및 뚜껑부재 중 어느 하나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미세액적 분사유닛은 물 저장 챔버의 상측 개구부에 나사 결합되는 밀폐 커버부재; 상기 밀폐 커버부재 중앙에 고정 결합되는 펌핑유닛; 상기 펌핑유닛의 중앙에 연결되어, 상기 물 저장 챔버 내부의 기능수를 상기 펌핑유닛으로 공급하는 파이프 부재; 및 상기 펌핑유닛을 보호하는 캡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기능수 생성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 전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 제어하는 스위칭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에 인가되는 전원의 극성을 전환하는 기능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원수의 수질과 상관 없이 전기 분해가 가능하므로, 수돗물 이외에도 정수된 물이나 증류수 등 사용자가 원하는 원수를 마음대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건전지 교환이나 충전식 배터리의 충전 등과 같은 번거로운 메인터넌스 없이 사용 직전 사용자가 5~10회 정도 흔들어주면 사용에 필요한 전기를 생산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제품들 대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저 용량 전원을 사용하므로 안전하다.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가볍고 휴대성이 높으며,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다.
전극의 위치를 변경하여 필요에 따라 수소가 포함된 기능수를 생성하여 미용에 사용할 수도 있고, 오존을 포함하는 SPI(Super Plasma Ion)를 생산할 수 있어 살균수로 사용 가능한 기능수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를 구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유닛을 가지는 기능수 생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모듈의 동작에 따라 수소와 오존이 형성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유닛을 가지는 기능수 생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유닛을 가지는 기능수 생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장치의 전극을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유닛을 가지는 기능수 생성장치는 하우징 내부에 물 저장 챔버(110), 전극부(120) 및 전원 공급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 저장 챔버(110), 전극부(120) 및 전원 공급부(130)는 하나의 몸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개별 부품으로 마련되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물 저장 챔버(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내부 공간부에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물은 수돗물, R/O 필터유닛 등을 이용하여 정수된 물, 증류수, 또는, 소정의 공정을 통해 후처리 된 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는, 기존의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기능수를 생성하는 장치들이 수돗물 만을 이용할 수 있는 것과는 다르게, 사용자가 원하는 어떠한 종류의 물이라도 사용 가능하다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전극부(120)는 상기 물 저장 챔버(110)의 하측에 배치되며, 그 내부에 설치되는 후술할 전극모듈(200)이 상기 물 저장 챔버(110)의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극부(120)는 상기 물 저장 챔버(110)와 연결되는 상하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극모듈(200)은 제 1 및 제 2 프레임(201)(202)과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201)(202)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전극(210)과 제 2 전극(220) 및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210)(220) 사이에 개재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극모듈(200)의 구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564654호에 기재되어 있는 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등록 특허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전극모듈(200)은 수중에서 전기분해 반응을 일으키는 양극전극으로 제 1 전극(210)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양극전극으로 구성되는 제 1 전극(210)을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수중에서 전기분해 반응을 일으키는 음극전극으로 제 2 전극(220)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230)은 상기 양극전극과 음극전극으로 마련되는 제 1 및 제 2 전극(210)(220) 사이에서 전기분해반응으로 생성되는 수소이온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극전극으로 마련되는 제 2 전극(220)과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230) 사이에는 미도시된 보조전극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조전극은 상기 양극전극인 제 1 전극(210)에서 발생되는 수소이온을 상기 음극전극으로 통과시키고, 상기 음극전극인 제 2 전극(220)에서 발생되는 OH-이온이 양이온 2가 이온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스케일을 표면에 생성시켜 상기 음극전극 표면에서의 스케일 생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230)을 이용하여 물을 전기분해 하기 때문에, 저전력을 이용하여 오존 또는 수소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소형 배터리 등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물을 전기분해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전지 등을 이용할 경우, 최대 3 내지 5W 정도의 전력을 생산하여 이를 이용한 전기분해를 하는 장치들이 기존에 공개된 바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상기한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230)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1W 미만의 환경에서도 전기분해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기존에 비해 간단한 구조로 전원 공급부(130)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 저장 챔버(110)에 저장된 물에 수소이온을 포함시킬 경우에는 음극전극을 상기 물 저장 챔버(110)에 저장된 물과 마주보는 면인 내측 바닥면을 향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물에 오존을 포함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양극전극을 상기 물 저장 챔버(110)에 저장된 물과 마주보는 면인 내측 바닥면을 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물 저장 챔버(110)에 저장된 물에 수소(H2)가 포함되면, 피부의 노화 방지, 활성산소 제거, 주름개선효과, 피부보습효과, 여드름 등 피부 트러블 개선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능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물에 오존(O3)이 포함되면, 대장균 등을 죽일 수 있는 표면살균 효과를 가지는 살균수를 형성할 수 있어, 휴대용 손 소독 용도수 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탈취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는 기능수를 생성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30)는 상기 전극부(12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극부(120)에 마련된 상기 전극모듈(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131), 제어 모듈부(132) 및 발전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131)는 상기 전원 공급부(130)는 바닥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필요할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130) 내부를 노출하여 메인터넌스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어 모듈부(13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변환부(132a), 콘덴서부(132b) 및 축전지부(13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류변환부(132a)는 복수 개의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후술할 발전부(133)에서 생성된 교류전원을 직류로 변환하고, 상기 콘덴서부(132b)에서 축전을 진행하여, 일정 크기의 전원을 상기 축전지부(132c)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축전지부(132c)에 저장되는 전기는 직류 5V/200mA인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제어 모듈부(132)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스위치 부재를 마련하여, 이 스위치부재의 전환동작에 의해, 상기 축전지부(132c)에 저장된 전원을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재의 극성 전환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210)(22)에 인가되는 전원의 극성을 양극으로 할 것인지, 음극으로 한 것인지를 결정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기능수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살균을 위해 오존이 포함된 SPI(Super Plasma Ion) 기능수를 생성할 경우에는 상기 물 저장 챔버(110)의 바닥면에 노출되는 전극은 양극이 될 수 있으며, 미용을 위해 수소가 포함된 기능수를 생성할 경우에는 상기 물 저장 챔버(110)의 바닥면에 노출되는 전극은 음극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극의 변화는 미도시된 스위칭 유닛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210)(220)을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방향을 전환하여 극성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어 모듈부(132)와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210)(220)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필요가 있는데,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210)(220) 주변에는 미도시된 실링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물 저장 챔버(110) 내부의 물이 상기 제어 모듈부(132) 측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배치될 필요가 있다.
발전부(133)는 별도의 외부 배터리 전원 대신, 필요할 경우 마다 사용자가 전기를 직접 생산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공급부(13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코어블록(133a), 상기 코어블록(133a)에 권선되는 코일(133b), 상기 코어블록(133a)과 동심이 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13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133c), 상기 가이드 레일(133c)을 따라 움직이는 마그네트(133d) 및 탄성부재(133e)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블록(133a)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며, 그 외주면에 상기 코일(133b)이 일정 횟수로 권선될 수 있다. 상기 코일(133b)의 권선횟수는 2000 내지 4000회 사이로 형성될 수 있는데, 권선횟수는 장치의 크기 및 필요로 하는 전기의 크기에 따라 가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어블록(133a)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는 대략 원통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은데, 상기 공간부의 크기는 상기 마그네트(133d) 보다는 큰 지름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33c)은 상기 코어블록(133a)의 중심과 동심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은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단은 상기 전극부(120)의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어 모듈부(132)의 하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커버부재(13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마그네트(133d)는 중앙에 상기 가이드 레일(133c)의 지름과 대응되는 형상의 통공이 형성되어, 이 통공을 통해 상기 마그네트(133d)가 상기 가이드 레일(133c)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133d)는 상기 코어블록(133a)의 내부 공간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블록(133a)의 내주면과 간섭되지 않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그네트(133d)는 상기 가이드 레일(133c)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기능수 생성장치를 흔들면,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교류전원을 발생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133e)는 상기 가이드 레일(133c)의 양 끝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마그네트(133d)의 왕복 이동 시, 상기 마그네트(133d)가 내측 벽면과 충돌하기 이전에 먼저 충돌하여, 충돌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재(133e)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구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마그네트(133d)와 최초 접촉 시 점 접촉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원통형상은 물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탄성부재(133e)는 상기 마그네트(133d)와의 충돌 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는 코일 스프링 및 판 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130)는 별도의 교체형 배터리를 사용하거나, 충전식 배터리는 사용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도록,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한 페러데이 원리를 이용한 마그네트 축전방식의 자가발전식 축전기를 사용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태양열을 이용한 축전방식이나, 상기한 바와 같이 상하로 흔들어 주는 구성이 아닌 회전레버 등을 연결하여 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로터 등을 구비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자가발전이 가능한 전원공급장치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즉, 전원 공급부(130)의 내측 벽에 고정된 형태의 코일이 권취된 스테이터를 형성하고, 상기 스테이터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에는 상기 스테이터에 권선된 코일과 간섭되지 않도록, 회전 가능한 구성의 로터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레버를 이용하여 로터를 회전시켜 전기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기능수 생성장치는 미스트 형태로 생산된 기능수를 공급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물 저장 챔버(110)의 상측에는 펌핑 동작을 통해 기능수를 미세한 물 입자로 분사할 수 있는 미세액적 분사유닛(3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미세액적 분사유닛(300)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구성으로, 상기 물 저장 챔버(110)의 상측 개구부에 나사 결합되는 밀폐 커버부재(310), 상기 밀폐 커버부재(310) 중앙에 고정 결합되는 펌핑유닛(320), 상기 펌핑유닛(320)의 중앙에 연결되어, 상기 물 저장 챔버(110) 내부의 기능수를 상기 펌핑유닛(320)으로 공급하는 파이프 부재(321) 및 상기 펌핑유닛(320)을 보호하는 캡 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스트와 같이 미세액적으로 분사할 필요가 없이, 생성된 기능수를 그때 그때 따라 쓸 수 있도록 물통 용도로 본 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미세액적 분사유닛(300) 대신 일반적인 뚜껑부재(400)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전원과 같이 일정 기간 동안만 사용 가능한 전원을 사용하는 대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가발전 방식으로 전원 공급부를 형성하여, 사용 직전 5~10회정도 흔들어주는 동작만으로 사용에 충분한 전기를 생산할 수 있어, 배터리 교체나 충전과 같은 번거로움 없이 사용 가능하다.
또한, 간단한 스위칭 동작을 통해 전극을 변경하여, 살균수가 필요할 경우에는 오존이 발생되는 전극이 물과 만나도록 하고, 피부 미용을 위한 수소가 포함된 기능수를 생성할 경우에는 수소가 발생되는 전극이 물과 만나도록 할 수 있어, 하나의 기기로 2가지 서로 다른 기능을 기능수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수돗물 이외에 증류수, 정수된 물 등 다양한 원수 사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기능수 생성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화장수 등에 적용 가능한 기능수 생성장치 관련 기술에 적용 가능하다.

Claims (14)

  1. 내부에 수돗물, 정수된 물, 증류수 및 부가물이 포함된 물 중 어느 하나의 물을 수용하는 물 저장 챔버;
    상기 물 저장 챔버의 하측에 결합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며, 양극 및 음극 중 어느 하나의 전극이 노출되는 전극부; 및
    상기 전극부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극부에 전원을 공급하며, 사용자에 의해 부가되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물 저장 챔버에 수용된 물을 기능수로 변환시키는 자가발전 유닛을 가지는 기능수 생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물 저장 챔버의 지름과 대응되는 지름을 가지는 전극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모듈은,
    제 1 및 제 2 프레임;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이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자가발전 유닛을 가지는 기능수 생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전극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어 모듈부; 및
    상기 제어 모듈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전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코어 블록;
    상기 코어블록에 권선되는 코일;
    상기 코어블록과 동심이 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자가발전 유닛을 가지는 기능수 생성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중앙에 상기 가이드 레일의 지름과 대응되는 형상의 통공을 가지며,
    상기 코어 블록의 내부 공간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자가발전 유닛을 가지는 기능수 생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양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마그네트의 왕복 이동 시 상기 마그네트와 충돌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가발전 유닛을 가지는 기능수 생성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구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마그네트와 최초 접촉 시 점 접촉하는 자가발전 유닛을 가지는 기능수 생성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마그네트와의 충돌 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는 코일 스프링 및 판 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자가발전 유닛을 가지는 기능수 생성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과 제어 모듈부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물 저장 챔버에 수용된 물이 상기 제어 모듈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자가발전 유닛을 가지는 기능수 생성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바닥면에 착탈 가능한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자가발전 유닛을 가지는 기능수 생성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 챔버는,
    상측에 미세액적 분사유닛 및 뚜껑부재 중 어느 하나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자가발전 유닛을 가지는 기능수 생성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액적 분사유닛은,
    물 저장 챔버의 상측 개구부에 나사 결합되는 밀폐 커버부재;
    상기 밀폐 커버부재 중앙에 고정 결합되는 펌핑유닛;
    상기 펌핑유닛의 중앙에 연결되어, 상기 물 저장 챔버 내부의 기능수를 상기 펌핑유닛으로 공급하는 파이프 부재; 및
    상기 펌핑유닛을 보호하는 캡 부재;를 포함하는 자가발전 유닛을 가지는 기능수 생성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기능수 생성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 전기를 생성하는 자가발전 유닛을 가지는 기능수 생성장치.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 제어하는 스위칭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자가발전 유닛을 가지는 기능수 생성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에 인가되는 전원의 극성을 전환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자가발전 유닛을 가지는 기능수 생성장치.
PCT/KR2013/008633 2012-09-28 2013-09-26 자가발전 유닛을 가지는 기능수 생성장치 WO2014051354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534390A JP6139688B2 (ja) 2012-09-28 2013-09-26 自己発電ユニットを有する機能水生成装置
US14/432,084 US20150291453A1 (en) 2012-09-28 2013-09-26 Functional Water Manufacturing Apparatus With Self-Generated Power
CN201380051066.7A CN104661966A (zh) 2012-09-28 2013-09-26 包括自发电单元的功能性水生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493A KR101436311B1 (ko) 2012-09-28 2012-09-28 자가발전 유닛을 가지는 기능수 생성장치
KR10-2012-0108493 2012-09-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51354A1 true WO2014051354A1 (ko) 2014-04-03

Family

ID=50388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8633 WO2014051354A1 (ko) 2012-09-28 2013-09-26 자가발전 유닛을 가지는 기능수 생성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291453A1 (ko)
JP (1) JP6139688B2 (ko)
KR (1) KR101436311B1 (ko)
CN (1) CN104661966A (ko)
WO (1) WO20140513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07232B2 (en) * 2015-06-18 2019-02-19 Hiroaki Minakawa Dissolved hydrogen liquid-discharging pot and method for generating pressurized dissolved hydrogen liquid
KR102117309B1 (ko) * 2018-04-16 2020-06-01 홍의숙 휴대용 수소수 미스트기
KR102165957B1 (ko) * 2018-10-30 2020-10-14 장대규 분무장치
KR102227941B1 (ko) * 2019-07-30 2021-03-15 조승현 휴대용 수소수 미스트 분사기
KR102567966B1 (ko) * 2021-05-11 2023-08-16 주식회사 에코링크스 전도성막과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한 정수장치 및 정수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8440A (ja) * 2000-07-03 2002-01-22 Yoshiya Okazaki 携帯用の殺菌水噴射装置
JP2002241209A (ja) * 2001-02-21 2002-08-28 Hsp:Kk 殺菌水の連続生成装置
JP2011110539A (ja) * 2009-11-30 2011-06-09 Sanyo Electric Co Ltd 携帯用電解水噴霧器
KR20120045412A (ko) * 2010-10-29 2012-05-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살균수발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51972Y (zh) * 1992-05-09 1994-01-05 钱锦文 使用原子氧为消毒剂的净水器
US6524475B1 (en) * 1999-05-25 2003-02-25 Miox Corporation Portable water disinfection system
JP2003093479A (ja) * 2001-07-18 2003-04-02 Sanyo Electric Co Ltd 殺菌方法及び電解水生成装置
JP2004097977A (ja) * 2002-09-11 2004-04-02 Toshitsugu Kawada 強酸化電位水の中和処理装置
KR100564654B1 (ko) * 2003-06-25 2006-03-31 김정미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JP2005094832A (ja) * 2003-09-12 2005-04-07 Sony Corp 発電装置
DE20318754U1 (de) * 2003-12-04 2004-02-19 Schulze, Dirk Elektrochemischer Ozonerzeuger
EP1610447B1 (en) * 2004-06-14 2009-09-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Driving unit
JP4704093B2 (ja) * 2005-04-14 2011-06-15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振動発電機
US8500209B2 (en) * 2006-08-11 2013-08-06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Manually rotatable tool
JP4980016B2 (ja) * 2006-09-20 2012-07-18 ペルメレック電極株式会社 電解水噴出装置及び殺菌方法
EP2094318A1 (en) * 2006-10-31 2009-09-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Portable bio-chemical decontaminant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8157972B2 (en) * 2008-01-31 2012-04-17 Oxygenator Water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electrolytic water treatment process
DE102009020509A1 (de) * 2009-05-08 2010-11-11 Komet Group Gmbh Werkzeugmaschine mit Maschinenspindel und Werkzeugaufnahme
JP2011092883A (ja) * 2009-10-30 2011-05-12 Sanyo Electric Co Ltd 携帯用電解水噴霧器
JP5327095B2 (ja) * 2010-02-22 2013-10-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振動発電機
KR101125663B1 (ko) * 2010-04-30 2012-03-27 유연성 모듈화된 휴대용 발전기
KR200459135Y1 (ko) * 2010-05-03 2012-03-19 김일봉 포터블 수소풍부수 제조장치
KR101020982B1 (ko) * 2010-05-17 2011-03-09 주식회사 이온팜스 이온수기
US20120104877A1 (en) * 2010-11-02 2012-05-03 Blake L. Isaacs Portable Linear Generator
JP5418485B2 (ja) * 2010-12-08 2014-02-19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振動発電機
KR101080227B1 (ko) * 2011-02-15 2011-11-08 주식회사 그렌텍 휴대용 미용수 살균기
JP3169258U (ja) * 2011-05-12 2011-07-21 東栄部品株式会社 除菌洗浄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8440A (ja) * 2000-07-03 2002-01-22 Yoshiya Okazaki 携帯用の殺菌水噴射装置
JP2002241209A (ja) * 2001-02-21 2002-08-28 Hsp:Kk 殺菌水の連続生成装置
JP2011110539A (ja) * 2009-11-30 2011-06-09 Sanyo Electric Co Ltd 携帯用電解水噴霧器
KR20120045412A (ko) * 2010-10-29 2012-05-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살균수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6311B1 (ko) 2014-11-03
US20150291453A1 (en) 2015-10-15
JP6139688B2 (ja) 2017-05-31
JP2015533103A (ja) 2015-11-19
KR20140042144A (ko) 2014-04-07
CN104661966A (zh) 201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51354A1 (ko) 자가발전 유닛을 가지는 기능수 생성장치
WO2016047846A1 (ko) 수소수를 이용한 휴대용 미세먼지 제거 살균 스프레이건
KR101997045B1 (ko) 살균이 가능한 피부 관리 미용 기기
KR200451601Y1 (ko)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 세정수 생성 장치
KR101724631B1 (ko) 수소 발생 장치
KR101080227B1 (ko) 휴대용 미용수 살균기
CN105565467B (zh) 一种杀菌消毒器
WO2013157701A1 (ko) 휴대용 살균장치
WO2022014883A1 (ko) 휴대용 살균장치
CN106725953B (zh) 假牙清洗机以及清洗假牙的方法
KR20150103914A (ko) 조명부를 포함하고 살균력이 증가된 휴대용 미용 살균 보습기
WO2015174689A1 (ko) 피부미용장치
KR102260627B1 (ko) 휴대용 살균소독제 발생장치
CN212416424U (zh) 一种多功能消毒盒
WO2021206441A1 (ko) 사용 후 마스크의 정전기 재충전 장치
CN105862326A (zh) 一种洗衣方法和投入式洗衣装置
KR20170099261A (ko) 피부용 마스크
CN213284653U (zh) 一种便携式电子除菌器
CN214380141U (zh) 空气净化移动电源
CN205419888U (zh) 一种杀菌消毒器
CN212679688U (zh) 一种消毒喷雾器
CN213557826U (zh) 便携式臭氧水喷雾器
CN217972696U (zh) 一种水处理杀菌装置
CN217576111U (zh) 一种漱口水瓶
KR20180065738A (ko) 세탁용 전기분해 장치 및 그 충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4033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534390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432084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17-07-2015 )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4033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