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627B1 - 휴대용 살균소독제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살균소독제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627B1
KR102260627B1 KR1020200181825A KR20200181825A KR102260627B1 KR 102260627 B1 KR102260627 B1 KR 102260627B1 KR 1020200181825 A KR1020200181825 A KR 1020200181825A KR 20200181825 A KR20200181825 A KR 20200181825A KR 102260627 B1 KR102260627 B1 KR 102260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late
electrode plates
groov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근환
Original Assignee
조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근환 filed Critical 조근환
Priority to KR1020200181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6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살균소독제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물의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소독제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하여 물의 원활한 공급을 통한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소형으로 이루어져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휴대용 살균소독제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살균소독제 발생장치{PORTABLE DISINFECTANT GENE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살균소독제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물의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소독제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하여 물의 원활한 공급을 통한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소형으로 이루어져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휴대용 살균소독제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는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각종 오염원에 노출되고, 외부 활동 등이 늘어나면서 일상 생활속에서 병균 등에 쉽게 노출되므로 인해 각종 질병 발생의 위험이 높다.
이에 따라, 개인위생을 위해서 사람과 사람, 사람과 물건, 물건과 물건, 자신의 신체부위 간에 각종 병균 등을 직,간접적으로 전파시킬 가능성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사람의 손은 개인 위생방법을 통하여 항상 청결하게 유지,관리해야 한다.
손은 비누와 물을 이용하여 자주 씻는 것으로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나, 손을 씻을 수 있는 장소로의 접근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알콜이 함유된 손소독제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끈적임이나 알콜 특유의 향 등으로 인해 거부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4458호(2012.07.18.) '휴대용 소독기'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의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소독제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하여 물의 원활한 공급을 통한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소형으로 이루어져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휴대용 살균소독제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스(110); 케이스(110)로 수용되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소독제가 발생되도록 하는 발생부(120); 발생부(120)를 케이스(110)에 고정하는 고정부(130); 및 발생부(12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살균소독제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110)는,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에 유출입구(111)가 형성되며, 발생부(120)는 케이스(110)의 하부로 수용되면서 케이스(110)로 수용되는 물과 접촉되는 두 전극판(121)을 포함하되, 두 전극판(121) 중 어느 하나의 전극판이 음극판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의 전극판이 양극판으로 이루어지면서 전원공급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고정부(130)는 케이스(110)의 하부를 기밀하면서 두 전극판(121)이 케이스(111)의 하부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130)는, 케이스(110)의 하부 내측으로 결합되며 케이스(111)와 연통되는 중공(131a)이 형성되는 고정판(131); 및 고정판(131)의 하부로 결합되면서 케이스(111)의 하부를 기밀하는 한편, 고정판(131)과의 사이로 두 전극판(121)이 설치되도록 하는 기밀판(132)을 포함하고, 두 전극판(121)은 고정판(131)의 하부에 상하로 배치되며 중공(131a)과 연통되는 다수의 통공(12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110)는 내측면에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함몰홈(112)이 형성되고, 고정판(131)은 케이스(111)로 결합시, 함몰홈(112)을 이루는 상부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판(131)은 하부에 복수의 체결돌기(135)가 형성되고, 기밀판(132)은 상부에 체결돌기(135)가 인입되는 복수의 체결홈(136)이 형성되면서 고정판(131)과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두 전극판(121) 간에는 가압링(122)이 배치되며, 가압링(122)은 두 전극판(121)이 접하지 않도록 하는 한편, 고정판(131)과 기밀판(132) 간의 결합시, 압착되면서 두 전극판(121)이 고정판(131)과 기밀판(132)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밀판(132)은 상부에 두 전극판(121)이 수용되는 수용홈(134)과, 상부 양측에 수용홈(134)과 연통되는 확장홈(134a)과, 확장홈(134a)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멍(134b)이 형성되고, 전극판(121)은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확장홈(134a)으로 인입되는 이동방지판(123)과, 상부가 이동방지판(123)에 고정되고 하부가 구멍(134b)을 통과하여 전원공급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핀(12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밀판(132)은 외측 둘레에 홈부(132a)가 형성되고, 고정부(130)는 홈부(132a)로 결합되면서 기밀판(132)과 케이스(111) 간을 기밀하는 기밀링(13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부(140)는 기밀판(132)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두 전극판(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141)를 포함하고, 상부가 개방되어 케이스(111)의 하부로 결합되면서 내측으로 수용되는 배터리(141)를 보호하는 커버(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부(140)는, 케이스(110)에서의 살균소독제 발생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142); 및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배터리(141)가 충전되도록 하는 전원단자(14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의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소독제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의 원활한 공급을 통한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소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살균 및 소독제 발생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유출입구로 분사수단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살균 및 소독제 발생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살균 및 소독제 발생장치를 나타낸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살균 및 소독제 발생장치를 나타낸 종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살균 및 소독제 발생장치에서 발생부와 고정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7에서 발생부와 고정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살균 및 소독제 발생장치에서 표시부가 구비돈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살균소독제 발생장치(이하 "살균소독제 발생장치"라 한다)(100)는 케이스(110), 케이스(110)로 수용되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소독제가 발생되도록 하는 발생부(120), 발생부(120)를 케이스(110)에 고정하는 고정부(130) 및 발생부(12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4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내측으로 빈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 내부와 연통되는 유출입구(111)가 형성된다.
케이스(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대한 육안으로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투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출입구(111)는 도 1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상부가 상방향으로 돌출되면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케이스(110)의 내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케이스(110)에서 발생된 살균소독제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살균소독제 발생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상부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유출입구(111)를 개폐하는 뚜껑(150)을 더 포함한다.
뚜껑(150)은 살균소독제 발생장치(100)에 대한 미사용시, 유출입구(111)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케이스(110)에서 발생된 살균소독제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살균소독제 발생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에서 발생되는 살균소독제를 외부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수단(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사수단(160)은 유출입구(111)로 결합되면서 케이스(110)에서 발생되는 살균소독제가 외부로 분사되도록 한다.
여기서, 뚜껑(1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소독제 발생장치(100)에 대한 미사용시, 분사수단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분사수단(160)을 보호하는 한편, 케이스(110)에서 발생된 살균소독제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발생부(120)는 케이스(110)로 수용되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소독제 예를 들면, 수산기(Hydroxyl Radical)가 발생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수산기는 물(H2O) 분자가 강력한 전기적 에너지에 의해 분리되는 과정에서 수소 원자(H+) 하나가 떨어질 때 발생되며, 살균 및 소독 능력이 오존과 염소보다 2배 이상 강력하고 인체에는 전혀 해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소독제 발생장치(100)는 물의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소독제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하여 물의 원활한 공급을 통한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되도록 하며, 소형으로 이루어져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발생부(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로 수용되는 물과 접촉되는 두 전극판(121)을 포함한다.
두 전극판(121) 중 어느 하나의 전극판은 음극판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의 전극판은 양극판으로 이루어지면서 전원공급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는 하부가 개방되고, 고정부(130)는 케이스(110)의 하부를 기밀하는 한편, 두 전극판(121)이 케이스(110)로 수용되는 물과 접촉되도록 한다.
고정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내부와 연통되는 중공(131a)이 형성되며 케이스(110)의 하부 내측으로 결합되는 고정판(131), 고정판(131)의 하부로 결합되면서 케이스(110)의 하부를 기밀하는 한편, 고정판(131)과의 사이로 두 전극판(121)이 설치되도록 하는 기밀판(132)을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에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함몰홈(112) 이 형성된다.
고정판(131)은 케이스(110)의 하부로 인입되면서 함몰홈(112)으로 결합되는 한편, 함몰홈(112)을 이루는 상부면으로 밀착된다.
기밀판(132)은 고정판(131)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함몰홈(112)으로 결합되면서 고정판(131)과 기밀판(134) 간으로 두 전극판(121)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밀판(132)은 상부에 두 전극판(121)이 수용되는 수용홈(134)이 형성되고, 고정판(131)은 하부 양측에 복수의 체결돌기(135)가 형성된다.
기밀판(132)은 상부 양측에 체결돌기(135)가 인입되는 복수의 체결홈(136)이 형성되면서 고정판(131)과 성호 결합된다.
이에 따라, 고정부(130)는 고정판(131)과 기밀판(132)이 상호 결합되면서 내측으로 두 전극판(121)이 설치된 모듈 형태를 이루면서 케이스(110)의 하부로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밀판(132)과 케이스(110) 간을 기밀하는 기밀링(137)을 더 포함한다.
기밀판(132)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둘레에 기밀링(137)이 결합되는 홈부(132a)가 형성된다.
기밀링(137)은 실리콘이나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며, 케이스(110)로의 기밀판(132) 결합시, 함몰홈(112)을 이루는 내측 둘레로 밀착되면서 케이스(110)와 기밀판(132) 간이 기밀되도록 한다.
두 전극판(121)은 고정판(131)의 하부에 상하로 배치되며, 중공(131a)과 연통되는 다수의 통공(121a)이 형성된다.
두 전극판(121) 간에는 가압링(122)이 배치된다.
가압링(122)은 실리콘이나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두 전극판(121) 간에 배치되면서 두 전극판(121)이 접하지 않도록 하는 한편, 고정판(131)과 기밀판(132) 간의 결합시, 압착되면서 두 전극판(121)이 고정판(131)과 기밀판(132)으로 밀착되도록 한다.
두 전극판(121)은 다수의 통공(121a)이 중공(131a)과 연통되면서 케이스(110)로 수용되는 물과 쉽게 접촉할 수 있다.
기밀판(132)은 상부 양측에 수용홈(134)과 연통되는 확장홈(134a)과, 확장홈(134a)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멍(134b)이 형성된다.
전극판(121)은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확장홈(134a)으로 인입되는 이동방지판(123)과, 상부가 이동방지판(123)에 고정되고 하부가 구멍(134b)을 통과하여 전원공급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핀(124)이 구비된다.
전극판(121)은 이동방지판(123)이 확장홈(134a)으로 인입되면서 일정 위치로의 배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외력 등에 의한 흔들림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30)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두 전극판(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141)를 포함한다.
살균소독제 발생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어 케이스(110)의 하부로 결합되면서 내측으로 수용되는 배터리(141)를 보호하는 커버(170)를 더 포함한다.
배터리(141)는 기밀판(13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커버(170)의 내측으로 수용되면서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40)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에서의 살균소독제 발생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142)를 더 포함한다.
제어스위치(142)는 커버(17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온(ON)/오프(OFF)에 따라 배터리(141)의 전원이 두 전극판(121)으로 전달되도록 하거나 차단되도록 하면서 케이스(110)에서의 살균소독제 발생을 제어한다.
전원공급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배터리(141)가 충전되도록 하는 전원단자(143)를 더 포함한다.
전원단자(143)는 커버(170)에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살균소독제 발생장치(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에서 발생되는 살균소독제의 농도를 감지하여 표시하는 표시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80)는 케이스(110)에서 발생되는 살균소독제의 농도가 표시되도록 하며, 케이스(11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표시부(180)는 살균소독제의 PH농도에 따른 색변화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살균소독제 발생장치(100)는 케이스(110)에서의 살균소독제 발생시, 표시부(180)를 통해 살균 및 소독제의 농도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제어스위치(142)를 통한 제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살균소독제 발생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살균소독제 발생장치 110 : 케이스
111 : 유출입구 112 : 함몰홈
120 : 발생부 121 : 전극판
122 : 가압링 130 : 고정부
131 : 고정판 132 : 기밀판
134 : 수용홈 135 : 체결돌기
136 : 체결홈 137 : 기밀링
140 : 전원공급부 141 : 배터리
142 : 제어스위치 143 : 전원단자
150 : 뚜껑 160 : 분사수단
170 : 커버 180 : 표시부

Claims (10)

  1.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에 유출입구(111)가 형성되며 내측면에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함몰홈(112)이 형성되는 케이스(110);
    다수의 통공(121a)이 형성되는 전극이 다른 두 전극판(121)을 포함하면서 케이스(110)로 수용되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소독제가 발생되도록 하는 발생부(120);
    케이스(110)의 하부 내측으로 결합되어 함몰홈(112)을 이루는 상부면에 밀착되며 중앙부에 중공(131a)이 형성되고 하부에 복수의 체결돌기(135)가 형성되는 고정판(131)과, 상부에 체결돌기(135)가 인입되는 복수의 체결홈(136)이 형성되어 고정판(131)의 하부로 결합되면서 케이스(111)의 하부를 기밀하며 고정판(131)과의 사이로 두 전극판(121)이 설치되도록 하고 외측 둘레에 홈부(132a)가 형성되는 기밀판(132)과, 홈부(132a)로 결합되면서 기밀판(132)과 케이스(111) 간을 기밀하는 기밀링(137)을 포함하면서 발생부(120)를 케이스(110)에 고정하는 고정부(130);
    케이스(110)에서의 살균소독제 발생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142)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배터리(141)가 충전되도록 하는 전원단자(143)와, 기밀판(132)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두 전극판(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141)를 포함하면서 발생부(12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40);
    상부가 개방되어 케이스(111)의 하부로 결합되면서 내측으로 수용되는 배터리(141)를 보호하는 커버(170);
    케이스(110)에 구비되며 살균소독제의 농도에 따른 색변화가 표시되는 표시부(180); 및
    실리콘이나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두 전극판(121) 간에 배치되면서 두 전극판(121) 간이 기밀되도록 하는 가압링(122)을 포함하고,
    기밀판(132)은 상부에 두 전극판(121)이 수용되는 수용홈(134)과, 상부 양측에 수용홈(134)과 연통되는 확장홈(134a)과, 확장홈(134a)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멍(134b)이 형성되고,
    전극판(121)은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확장홈(134a)으로 인입되는 이동방지판(123)과, 상부가 이동방지판(123)에 고정되고 하부가 구멍(134b)을 통과하여 전원공급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핀(12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살균소독제 발생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81825A 2020-12-23 2020-12-23 휴대용 살균소독제 발생장치 KR102260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825A KR102260627B1 (ko) 2020-12-23 2020-12-23 휴대용 살균소독제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825A KR102260627B1 (ko) 2020-12-23 2020-12-23 휴대용 살균소독제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627B1 true KR102260627B1 (ko) 2021-06-03

Family

ID=76396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825A KR102260627B1 (ko) 2020-12-23 2020-12-23 휴대용 살균소독제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6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2256B1 (ko) * 2021-08-10 2022-12-01 나노씨엠에스(주) 인체에 무해한 살균 장치
KR20230049992A (ko) 2021-10-07 2023-04-14 (주) 그린바이오텍 휴대형 오존수 살균소독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227B1 (ko) * 2011-02-15 2011-11-08 주식회사 그렌텍 휴대용 미용수 살균기
KR101164458B1 (ko) 2010-03-08 2012-07-18 주식회사 바이칼 휴대용 소독기
KR101280595B1 (ko) * 2011-09-08 2013-07-02 허경란 산성이온수 제조장치
KR101433117B1 (ko) * 2012-08-28 2014-08-25 주식회사 그렌텍 충전식 휴대용 미용 살균 보습기
KR20160133621A (ko) * 2015-05-12 2016-11-23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수소수 분무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458B1 (ko) 2010-03-08 2012-07-18 주식회사 바이칼 휴대용 소독기
KR101080227B1 (ko) * 2011-02-15 2011-11-08 주식회사 그렌텍 휴대용 미용수 살균기
KR101280595B1 (ko) * 2011-09-08 2013-07-02 허경란 산성이온수 제조장치
KR101433117B1 (ko) * 2012-08-28 2014-08-25 주식회사 그렌텍 충전식 휴대용 미용 살균 보습기
KR20160133621A (ko) * 2015-05-12 2016-11-23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수소수 분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2256B1 (ko) * 2021-08-10 2022-12-01 나노씨엠에스(주) 인체에 무해한 살균 장치
KR20230049992A (ko) 2021-10-07 2023-04-14 (주) 그린바이오텍 휴대형 오존수 살균소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0627B1 (ko) 휴대용 살균소독제 발생장치
KR100770628B1 (ko) 저온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구비한 틀니 세척 및 살균기
US8142624B2 (en) Portable contact lens cleansing apparatus and cleaning method of contact lens
US20130299340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terilized saline solution
WO2002069771A3 (en) Toothbrush holder
KR20110067592A (ko) 휴대 가능한 의치용 세척 살균장치
CN101897985B (zh) 便携式灭菌器
KR102057886B1 (ko) 살균수 생성장치
KR101164458B1 (ko) 휴대용 소독기
KR101773399B1 (ko) 탈착식 살균 모듈을 구비한 살균기
CN211748567U (zh) 杀菌杯盖及杀菌水杯
KR20190041113A (ko) 젖병 소독기
JP2007307374A (ja) 携帯電話の薫香消毒器
CN209137453U (zh) 一种便携式臭氧灭菌器
CN108486603A (zh) 次氯酸钠清菌仪
CN208511546U (zh) 一种手机消毒器
KR20140029568A (ko) 충전식 휴대용 미용 살균 보습기
CN213863628U (zh) 一种能产生臭氧水的喷雾瓶
KR100697546B1 (ko) 휴대용 콘택트 렌즈의 세척기
KR20110017308A (ko) 전기분해를 이용한 수산화이온 생성장치
CN214343517U (zh) 一种口罩消毒盒
KR102209994B1 (ko) 칫솔 살균 장치
CN213344638U (zh) 一种隐形眼镜护理盒
CN217138722U (zh) 一种马桶杀菌除味净化器
KR102157307B1 (ko) 살균기능을 포함하는 변기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