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30792A1 - 열사이펀 기능성 내부 유로가 구비된 방사선 동위원소 액체 표적장치 - Google Patents

열사이펀 기능성 내부 유로가 구비된 방사선 동위원소 액체 표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30792A1
WO2014030792A1 PCT/KR2012/006853 KR2012006853W WO2014030792A1 WO 2014030792 A1 WO2014030792 A1 WO 2014030792A1 KR 2012006853 W KR2012006853 W KR 2012006853W WO 2014030792 A1 WO2014030792 A1 WO 201403079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vity
thermosiphon
concentrate
cooling
th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685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홍봉환
황원택
양태건
정인수
강준선
박연수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의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의학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의학원
Priority to US14/418,91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50170777A1/en
Priority to DE112012006830.0T priority patent/DE112012006830T5/de
Publication of WO201403079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3079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GCONVERSION OF CHEMICAL ELEMENTS; RADIOACTIVE SOURCES
    • G21G4/00Radioactive sources
    • G21G4/04Radioactive sources other than neutron sources
    • G21G4/06Radioactive sources other than neutron sourc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G21G4/08Radioactive sources other than neutron sourc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application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GCONVERSION OF CHEMICAL ELEMENTS; RADIOACTIVE SOURCES
    • G21G1/00Arrangements for converting chemical element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e.g. producing radioactive isotopes
    • G21G1/04Arrangements for converting chemical element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e.g. producing radioactive isotopes outside nuclear reactors or particle accelerators
    • G21G1/10Arrangements for converting chemical element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e.g. producing radioactive isotopes outside nuclear reactors or particle accelerators by bombardment with electrically charged particl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HOBTAINING ENERGY FROM RADIOACTIVE SOURCES; APPLICATIONS OF RADIATION FROM RADIOACTIVE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TILISING COSMIC RADIATION
    • G21H5/00Applications of radiation from radioactive sources or arrangements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heat generation and pressure rise inside the cavity when irradiating protons with high current at the energy of a given proton in producing 18 F, a radioisotope, through nuclear reaction of protons with H 2 18 O (heavy water).
  • Psitron emission tomography In general, Psitron Emission Tomography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s widely used for the early diagnosis of tumors and various diseases.
  • H 2 18 O (heavy water) 18 O (p, n) 18 and by the F nuclear reaction 18 F is generated by chemical synthesis in 18 F synthesizer generated the final FDG Is produced. Therefore, a device for generating a basic 18 F is required, and such a device is called an H 2 18 O (heavy water) target device (H 2 18 O water target).
  • H 2 18 O (heavy water) target device H 2 18 O water target.
  • An example of such a target devic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65057.
  • the yield of 18 F produced by the targeting device i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protons expressed in terms of the energy and current of the protons, which is the unit of electron volts (eV) irradiated during the nuclear reaction.
  • the total energy of a proton is expressed as the product of the unit energy of the proton and the number of protons.
  • the protons actually used for nuclear reactions are almost a fraction, and most of the proton's energy is converted into heat.
  • the H 2 18 O (heavy water) in the target device absorbs a lot of energy, heavy water in the cavity is accompanied by a phase change, the state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do.
  • Such harsh conditions have an undesirable effect on the life of the target device. That is, in the target apparatus, the density change of the heavy water occurs due to the phase change of the reactants in the cavity and the high temperature heat perturbation, so that the yield of the target apparatus is lowered.
  • Irradiation of particle beams within liquid targets for radioisotope production increases the internal pressure with a lot of heat.
  • pressure is a variable that determines the life of the target device.
  • 1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the principle of cooling the concentrate contained in the cavity in a conventional targeting device.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rgeting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effectively cool heavy water in the cavity during the nuclear reaction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targeting device so that the cooling performance is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e conventional targeting device.
  • a radioisotope liquid targeting device having a thermosiphon functional inner flow path includes a cavity member having a cavity in which a concentrate for nuclear reaction is accommodated, and a concentrate in the cavity.
  • a target device for producing a radioisotope by nuclear reaction between the proton irradiated with and the concentrate includes a cavity member having a cavity in which a concentrate for nuclear reaction is accommodated, and a concentrate in the cavity.
  • the cavity member has a front opening portion and a rear opening portion which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on an irradiation path of the proton and connected to the cavity so that the cavity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 a front thin film disposed to block the front opening
  • a front cooli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 thermosiphon induction member having a thermosiphon flow path connected to the cavity to be connected to the rear opening and to allow a concentrate contained in the cavity to flow by a thermosiphoning phenomenon
  • a rear cooling member coupled to a rear portion of the thermal siphon induction member and having a cooling water supply space.
  •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concentrate are increased by the nuclear reaction in the cavity. Inducing convection to occur naturally provides the effect of significantly improving cooling performance.
  • 1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the principle of cooling the concentrate contained in the cavity in a conventional targeting device.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targ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components constituting the target device shown in FIG. 3.
  •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mponents shown in Figure 4 assembled together.
  •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VI-VI line shown in FIG. 5.
  • thermosiphon flow path 7 is a graph showing the cooling performance of the targe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hermosiphon flow path.
  • FIG. 2 conceptually illustrates the principle of cooling the concentrate contained in the cavity in the target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targ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components constituting the target device shown in FIG. 3.
  •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mponents shown in Figure 4 assembled together.
  •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VI-VI line shown in FIG. 5.
  • 7 is a graph showing the cooling performance of the targe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hermosiphon flow path.
  • a radioisotope liquid target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arget device”) equipped with a thermosiphon functional internal flow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mmodates a nuclear reaction concentrate. It is provided with a cavity member having a cavity, and relates to a target device for producing a radioisotope by nuclear reaction between the protons irradiated to the concentrate and the concentrate.
  • This target device is to produce 18 F by the nuclear reaction between the proton and the H 2 18 O enriched water irradiated, for example, the H 2 18 O enriched water.
  • Arrows labeled "Y" in FIG. 2 indicate the flow direction of the cooling water, and arrows marked “S” indicate the flow direction of the H 2 18 O concentrate.
  • the target device 10 includes a cavity member 20, a front thin film 30, a front cooling member 40, a thermosiphon induction member 60, and a rear cooling member 70.
  • the cavity member 20 includes a cavity 22, a front opening 24, and a rear opening 26.
  • the cavity member 20 may be made of a metal hav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such as copper (Cu).
  • the cavity 22 is a spac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avity member 20.
  • the cavity 22 contains the H 2 18 O concentrate.
  • the H 2 18 O enriched water refers to H 2 O in H 2 18 O is concentrated to above 95%.
  •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vity 22 may be provided with a thermochemical stable layer plated with titanium (Ti) or niobium (Nb).
  • the cavity 22 is opened to the outside by the front opening 24 and the rear opening 26.
  • the cavity 22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with respect to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irradiation path of the protons.
  • the volume of the cavity 22 is generally 1.0 cc to 6.0 cc and is generally used for nuclear reaction as the volume of the H 2 18 O concentrate.
  • Substantially the volume of the cavity 22 is a volume including the thermosiphon flow path 64 provided in the thermosiphon induction member 60 to be described later.
  • a plurality of cooling fins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vity member 20.
  • the cavity member 20 is provided with a space in which the coolant flow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avity 22.
  • the front openings 24 and rear openings 26 are arranged to face away from each other on the irradiation path of the protons with the cavity 22 therebetween.
  • the front opening 24 and the rear opening 26 are connected to the cavity 22 so that the cavity 22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 Protons are irradiated toward the cavity 22 through the front opening 24, and the irradiated protons are all absorbed by the H 2 18 O concentrate contained in the cavity 22.
  • the front thin film 30 is disposed to cover the front opening 24.
  • the H 2 18 O concentrate filled in the cavity 22 by the front thin film 30 is kept in the cavity 22 without flowing out.
  • the front thin film 30 is coupled to the cavity 22 in a sealed state by a sealing member (not shown) such as polyethylene.
  • the front thin film 30 is made of a metal such as titanium (Ti) or niobium (Nb), and its thickness is generally several tens of micrometers. More specifically, the front thin film 30 may have a thickness of 50 ⁇ m.
  • the front cooling member 40 is coupled to the cavity member 20 to support the front thin film 30.
  • the front thin film 30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cooling member 40 and the cavity member 20.
  • the front cooling member 40 include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2.
  • the through hole 42 is formed to penetrate the front cooling member 40 in the direction of irradiation of the proton.
  • the total area of the through holes 42 may be 80% or more of the total area of the front opening 24.
  • the proton is the front grating portion 44, that is, the through holes 42 are not formed in the front cooling member 40 and cannot pass through the portion between the through holes 42. Protons that do not pass (44) appear to lose energy.
  • the through hole 42 may have a circular or hexagonal cross-sectional shape perpendicular to the irradiation path of the protons.
  • the through holes 42 are arranged in a honeycomb shape on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irradiation path of the protons.
  • the front cooling member 40 has a space in which cooling water flows. Heat generated during the nuclear reaction as well as heat generated in the front grating portion 44 of the front cooling member 40 when the protons are irradiated is cooled by the cooling water.
  • the front cooling member 40 may be made of a metal having good thermal conductivity, such as aluminum (Al) or copper (Cu).
  • the front cooling member 40 supports the front thin film 30 and also suppresses the front thin film 30 from swelling due to an increase in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concentrate in the cavity 22.
  • thermosiphon induction member 60 is a component that implements the core operational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mosiphon phenomenon refers to the natural convection phenomenon caused by the densit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medium, the flow of the medium occurs.
  • thermosiphonism is a mechanism in which a fluid circulates by natural conv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luid does not have any external means such as an external pump.
  • the thermosiphon induction member 60 is connected to the rear opening 26.
  • the thermosiphon induction member 60 includes a housing 62, a thermosiphon flow path 64, a block structure 66, and a coolant flow portion 68.
  • the housing 62 is disposed to face the rear opening 26 of the cavity member 20.
  • the housing 62 is provided with a space through which coolant flows.
  • a gasket is disposed between the housing 62 and the cavity member 20 to seal the concentrate contained in the cavity 22.
  • the housing 62 and the cavity member 20 may b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by means such as bolts. That is, the cavity member 20 and the thermosiphon induction member 6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bolts.
  • the thermosiphon flow path 64 is provided to allow the concentrate contained in the cavity 22 to flow by a thermosiphoning phenomenon.
  • the thermosiphon flow path 64 is connected to the cavity. More specifically, the thermosiphon flow path 64 is formed by dividing a space formed inside the housing 62 by a block structure 66 to be described later.
  • the thermosiphon flow path 64 is a space formed between the block structure 66 and the housing 62.
  • the thermosiphon flow path 64 is a flow path connecting the ceiling and the bottom of the cavity 22.
  • the thermosiphon flow path 64 is cooled while the hot concentrate near the ceiling of the cavity 22 flows along the upper portion of the block structure 66 by a thermosiphon (natural convection) phenomenon to increase the specific gravity.
  • thermosiphon flow path 64 serves as a passage for inducing convection to occur smoothly due to a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generated by heating the concentrate contained in the cavity 22 during the nuclear reaction.
  • the thermosiphon flow channel 64 serves to increase the heat transfer area of the concentrate.
  • the block structure 66 is disposed in a space inside the housing 62.
  • the thermosiphon flow path 64 is formed by the block structure 66.
  • the block structure 66 may be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62 by welding, bolts, or the like. Meanwhile, the block structure 66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62.
  • the interior of the block structure 66 forms an empty space. That is, the empty space formed in the block structure 66 constitutes a coolant flow portion 68 that allows the coolant introduced into the rear cooling member 70 to be described later to flow. That is, the coolant flow portion 68 is formed so that the concentrate contained in the cavity 22 has an effective cooling action in the process of flowing by the thermosiphon phenomenon.
  • the coolant flow portion 68 may be implemented by the block structure 66 present. That is, the block structure 66 occupies a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62 so that the thermosiphon flow path 64 is connected to the ceiling and the bottom of the cavity 22.
  • the rear cooling member 70 is coupl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thermosiphon induction member 60.
  • the rear cooling member 70 is configured to allow the coolant to flow in and out in a state in which it is coupled with the thermosiphon induction member 60. That is, the rear cooling member 70 is coupl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thermosiphon induction member 60 and is provided with a cooling water supply space. Cooling water flowing into the rear cooling member 70 flows into the cooling water flow portion 68 provided in the thermosiphon induction member 60 to exchange heat with the concentrate flowing along the block structure 66. To cool effectively.
  • the front cooling member 40, the cavity member 20 or the thermosiphon induction member 60 and the rear cooling member 70 may be integrally coupled by a coupling means such as a bolt.
  • the protons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s 42 of the front cooling member 40 pass through the front thin film 30, and a part of the energy is absorbed by the front thin film 30, and all the remaining energy is transferred to the cavity member 20. It is absorbed by the H 2 18 O concentrate contained in the cavity 22.
  • the proton is that the H 2 18 O enriched water and a nuclear reaction thereby be produced is 18 F.
  • the heat generated in the front grating portion 44 of the front cooling member 40 when the proton is irradiated is cooled by the cool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front cooling member 40.
  • thermosiphon induction member 60 flows through the thermosiphon flow path 64 due to convection as the specific gravity of the concentrate heated by the nuclear reaction in the cavity 22 is changed. .
  • heat exchange with the cooling water flowing around the cavity 22 occurs smoothly to prevent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concentrate from rising excessively.
  • the concentrate flowing in the thermosiphon flow path 64 may be cooled more rapidly by heat exchange with the coolant introduced into the coolant flow part 68 provided in the block structure 66.
  • the targe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volume of the cavity as in the prior art, and forms a thermosiphon flow path in the space connected to the cavity to smoothly concentrate the condensate heated by heat generated during the nuclear reaction. By making it flow,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cooling performanc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cooling effect of the concentrate by allowing the coolant to flow into the block structure provided to form the thermosiphon flow path. 7 is a graph showing the cooling performance of the targe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hermosiphon flow path. That is, FIG.
  • FIG. 7 shows a target device having a cavity and having a thermosiphon flow path in the same volume as a target device having a volume of a cube (20 mm X 20 mm X 20 mm) when a 30MeV / 20 proton beam is irradiated with 8 cc of water. Shows the change in pressure. According to Figure 7, it can be seen that the internal pressure rise of the target device provided with the thermosiphon flow passage is significantly low.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cooling performance is remarkably improved when the thermosiphon flow channel is provide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 a radioisotope liquid targeting device having a thermosiphon functional inner flow path includes a cavity member having a cavity in which a concentrate for nuclear reaction is accommodated, and a concentrate in the cavity.
  • a target device for producing a radioisotope by nuclear reaction between the proton irradiated with and the concentrate includes a cavity member having a cavity in which a concentrate for nuclear reaction is accommodated, and a concentrate in the cavity.
  • the cavity member has a front opening portion and a rear opening portion which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on an irradiation path of the proton and connected to the cavity so that the cavity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 a front thin film disposed to block the front opening
  • a front cooli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 thermosiphon induction member having a thermosiphon flow path connected to the cavity to be connected to the rear opening and to allow a concentrate contained in the cavity to flow by a thermosiphoning phenomenon
  • a rear cooling member coupled to a rear portion of the thermal siphon induction member and having a cooling water supply space.
  • thermosiphon induction member is formed with a block structure occupying a central portion such that the thermosiphon flow path is connected to the ceiling and the bottom of the cavity.
  • Cooling water flow portion is formed in the block structure and the cooling water flow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rear cooling member can be introduced.
  • a gasket is disposed between the cavity member and the thermosiphon induction member so that the concentrate contained in the cavity does not leak, and the cavity member and the thermosiphon induction member are mutually coupled by bol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rticle Accel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열사이펀 기능성 내부 유로가 구비된 방사선 동위원소 액체 표적장치는, 핵 반응용 농축물이 수용되는 캐비티를 가지는 캐비티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캐비티에 농축물에 조사된 양성자와 상기 농축물 간 핵반응에 의해 방사성 동위원소를 생산하기 위한 표적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부재는, 상기 양성자의 조사 경로 상에 서로 반대쪽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캐비티가 외부와 통하도록 상기 캐비티와 연결되어 있는 전면 개구부 및 후면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 개구부를 막도록 배치되어 있는 전면 박막; 상기 핵반응시 상기 캐비티 내에서의 압력 상승으로 인해 상기 전면 박막이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면 박막을 지지하도록 상기 캐비티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양성자의 조사 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양성자의 조사방향으로 관통공이 복수 형성되어 있는 전면 냉각부재; 상기 후면 개구부에 연결되며 상기 캐비티 내에 수용된 농축물이 열사이펀 현상에 의해 유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캐비티와 연결된 열사이펀 유로가 구비된 열사이펀 유도 부재; 및 상기 열 사이펀 유도 부재의 후면부에 결합되며 냉각수 공급 공간이 구비된 후면 냉각 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표도 : 도 3)

Description

열사이펀 기능성 내부 유로가 구비된 방사선 동위원소 액체 표적장치
본 발명은 양성자와 H2 18O(중수)의 핵반응을 통해 방사성 동위원소인 18F를 생산하는 데 있어서 주어진 양성자의 에너지에서 고전류로 양성자를 조사했을 때, 캐비티 내부의 발열과 압력상승을 최소화하도록 냉각 성능이 향상된 동위원소 생산용 중수(H2 18O) 표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성자 방출 단층촬영장치(Positron Emission Tomography)는 종양 및 다양한 질병의 조기 진단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양성자 방출 단층촬영술(Positron Emission Tomography)을 이용한 진단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양성자 방출 동위원소가 표지된 양성자 방출 방사성 의약품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방사성 의약품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는 암 진단에 사용되는 FDG (2-[18F]Fluoro-2-deoxy-D-glucose), 암 종류 중 뇌종양의 진단에 유용한 L-[11C-methyl]methionine 등이 있다.
FDG의 생산은 양성자를 H2 18O(중수)에 조사하게 되면 18O(p,n)18F 핵반응에 의하여 18F가 생성되며, 생성된 18F 합성장치에서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최종적으로 FDG가 생산되는 것이다. 따라서, 기본이 되는 18F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장치를 H2 18O(중수) 표적장치(H2 18O water target)라고 한다. 이러한 표적장치의 일 예가 등록특허 제1065057호에 개시되어 있다.
표적장치에서 생성되는 18F의 양을 수율로 표시한다. 표적장치의 수율은 핵반응 과정에서 조사되는 일렉트론 볼트(eV) 단위인 양성자의 에너지와 전류로 표현되는 양성자의 수에 비례한다. 양성자의 총 에너지는 양성자의 단위 에너지와 양성자의 수의 곱으로 표현된다. 하지만, 핵반응 과정에서 실제로 핵반응에 이용되는 양성자는 거의 일부이고 대부분의 양성자의 에너지는 열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표적장치의 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양성자의 에너지 또는 전류를 높이면, 표적장치 내부의 H2 18O(중수)가 많은 에너지를 흡수하게 되어 캐비티 내의 중수가 상변화를 수반하며, 고온 및 고압의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가혹한 조건은 표적장치의 수명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표적장치에서 캐비티 내의 반응물의 상변화 및 고온의 열 섭동에 의해 부분적인 중수의 밀도 변화가 일어나서 표적장치의 수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표적장치에서 H2 18O(중수)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은 그 표적장치의 수명과 생산 수율을 높이기 위해 중요한 해결과제이다.
방사성 동위원소 생산을 위하여 액체표적 내에 입자 빔을 조사하게 되면 많은 열과 함께 내부의 압력이 상승한다. 특히 압력의 경우는 표적장치의 수명을 좌우하는 변수이다. 도 1은 종래의 표적장치에서 캐비티 내에 수용된 농축물을 냉각시키는 원리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방사성 동위원소의 생산수율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입자 빔의 전류량을 증가시켜야하는데 이에 따른 압력의 증가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액체표적의 효과적인 냉각이 필수적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표적장치 보다 냉각 성능이 현저하게 개선되도록 그 표적장치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핵 반응 과정에서 캐비티 내의 중수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표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사이펀 기능성 내부 유로가 구비된 방사선 동위원소 액체 표적장치는, 핵 반응용 농축물이 수용되는 캐비티를 가지는 캐비티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캐비티에 농축물에 조사된 양성자와 상기 농축물 간 핵반응에 의해 방사성 동위원소를 생산하기 위한 표적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부재는, 상기 양성자의 조사 경로 상에 서로 반대쪽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캐비티가 외부와 통하도록 상기 캐비티와 연결되어 있는 전면 개구부 및 후면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 개구부를 막도록 배치되어 있는 전면 박막;
상기 핵반응시 상기 캐비티 내에서의 압력 상승으로 인해 상기 전면 박막이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면 박막을 지지하도록 상기 캐비티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양성자의 조사 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양성자의 조사방향으로 관통공이 복수 형성되어 있는 전면 냉각부재;
상기 후면 개구부에 연결되며 상기 캐비티 내에 수용된 농축물이 열사이펀 현상에 의해 유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캐비티와 연결된 열사이펀 유로가 구비된 열사이펀 유도 부재; 및
상기 열 사이펀 유도 부재의 후면부에 결합되며 냉각수 공급 공간이 구비된 후면 냉각 부재;를 포함한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사이펀 기능성 내부 유로가 구비된 방사선 동위원소 액체 표적장치는 캐비티 내의 핵 반응에 의해 농축물의 온도와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냉각수와 병행하여 상기 캐비티 내에 수용된 농축물이 열사이펀 현상에 의해 자연스럽게 대류가 일어나도록 유도함으로써 냉각 성능이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표적장치에서 캐비티 내에 수용된 농축물을 냉각시키는 원리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적장치에서 캐비티 내에 수용된 농축물을 냉각시키는 원리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적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절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적 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상호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Ⅵ-Ⅵ 선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7은 열사이펀 유로의 존부에 따른 표적장치의 냉각성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적장치에서 캐비티 내에 수용된 농축물을 냉각시키는 원리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적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절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적 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상호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Ⅵ-Ⅵ 선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7은 열사이펀 유로의 존부에 따른 표적장치의 냉각성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사이펀 기능성 내부 유로가 구비된 방사선 동위원소 액체 표적장치(10, 이하 "표적장치"라 함)는 핵 반응용 농축물이 수용되는 캐비티를 가지는 캐비티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캐비티에 농축물에 조사된 양성자와 상기 농축물 간 핵반응에 의해 방사성 동위원소를 생산하기 위한 표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표적장치는 예컨대, H2 18O 농축물에 조사된 양성자와 상기 H2 18O 농축물간의 핵반응에 의해 18F을 생산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에서 "Y"로 표기된 화살표는 냉각수의 유동방향을 나타내며, "S"로 표기된 화살표는 H2 18O 농축물의 유동방향을 나타낸다.
상기 표적장치(10)는 캐비티 부재(20)와, 전면 박막(30)과, 전면 냉각 부재(40)와, 열사이펀 유도 부재(60)와, 후면 냉각 부재(70)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티 부재(20)는 캐비티(22)와, 전면 개구부(24)와, 후면 개구부(2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캐비티 부재(20)는 구리(Cu) 등과 같이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캐비티(22)는 상기 캐비티 부재(20)의 중앙에 형성된 공간이다. 상기 캐비티(22)에는 상기 H2 18O 농축물이 수용된다. 상기 H2 18O 농축물은 H2 18O이 95%이상 농축되어 있는 H2O을 말한다. 상기 캐비티(22)의 내주면에는 티타늄(Ti) 또는 니오븀(Nb)이 도금 처리된 열화학적 안정층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티(22)는 전면 개구부(24)와 후면 개구부(26)에 의해 외부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캐비티(22)는 상기 양성자의 조사 경로에 수직인 평면에 대한 단면이 원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 캐비티(22)의 체적은 대략 1.0cc~6.0cc로 H2 18O 농축물의 체적으로 핵반응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캐비티(22)의 체적은 후술하는 열사이펀 유도 부재(60)에 마련된 열사이펀 유로(64)를 포함한 체적이다. 상기 캐비티 부재(2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냉각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티 부재(20)는 상기 캐비티(22)의 둘레를 따라 냉각수가 유동하는 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 개구부(24) 및 후면 개구부(26)는 상기 캐비티(22)를 사이에 두고 상기 양성자의 조사 경로 상에 서로 반대쪽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면 개구부(24) 및 후면 개구부(26)는 상기 캐비티(22)가 외부와 통하도록 그 캐비티(22)와 연결되어 있다.
양성자는 상기 전면 개구부(24)를 통해서 상기 캐비티(22)쪽으로 조사되며, 조사된 양성자는 그 에너지가 상기 캐비티(22)에 수용된 H2 18O 농축물에 모두 흡수된다.
상기 전면 박막(30)은 상기 전면 개구부(24)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면 박막(30)에 의해 상기 캐비티(22)에 충전되는 H2 18O 농축물은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고 상기 캐비티(22)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전면 박막(30)은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씰링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캐비티(22)와 밀폐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전면 박막(30)은 티타늄(Ti) 또는 니오븀(Nb) 등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두께는 일반적으로 수십㎛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전면 박막(30)의 두께는 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냉각 부재(40)는 상기 전면 박막(30)을 지지하도록 상기 캐비티 부재(2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전면 냉각 부재(40)와 상기 캐비티 부재(20) 사이에 상기 전면 박막(30)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면 냉각 부재(40)는 관통공(42)을 복수 구비하고 있다. 상기 관통공(42)은 상기 양성자의 조사 방향으로 그 전면 냉각 부재(4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42)들의 총면적은, 상기 전면 개구부(24)의 총면적의 80%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성자는 전면 격자부분(44), 즉 상기 전면 냉각 부재(40) 중 상기 관통공(42)들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관통공(42)들 사이에 있는 부분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상기 전면 격자부분(44)을 통과하지 못하는 양성자는 에너지 손실로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공(42)들의 총면적이 상기 전면 개구부(24)의 총면적의 80% 미만이 되도록 하는 것은, 상기 양성자의 에너지 손실을 과다하게 발생시켜 상기 18F의 생산 효율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관통공(42)은 상기 양성자의 조사 경로에 대해 수직인 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육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관통공(42)들은 상기 양성자의 조사경로에 대해 수직인 단면상에서 벌집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면 냉각 부재(40)에는 냉각수가 유동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성자의 조사시 상기 전면 냉각 부재(40)의 전면 격자부분(44)에 발생되는 열뿐만 아니라 상기 핵반응 시 발생하는 열은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게 된다. 상기 전면 냉각 부재(40)는 알루미늄(Al) 또는 동(Cu) 등과 같이 열전도성이 양호한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전면 냉각 부재(40)는 상기 전면 박막(30)을 지지하여 그 전면 박막(30)이 상기 캐비티(22) 내의 농축물의 온도와 압력의 상승에 의해 부풀어 오르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열사이펀 유도 부재(60)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작용효과를 구현하는 구성요소이다. 열사이펀(thermociphon) 현상은 매질의 온도 변화에 따른 밀도차에 의해 자연 대류현상이 일어나 매질의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열사이펀 현상은 유체가 어떠한 외부의 펌프 등과 같은 수단의 일이 없는 상태에서 자연대류에 의해 유체가 순환하는 메카니즘으로 예컨대 태양열 난방에 많이 이용되는 메커니즘이다.
상기 열사이펀 유도 부재(60)는 상기 후면 개구부(26)에 연결된다. 상기 열사이펀 유도 부재(60)는 하우징(62)과, 열사이펀 유로(64)와, 블록 구조물(66)과, 냉각수 유동부(68)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62)은 상기 캐비티 부재(20)의 후면 개구부(26)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62)에는 냉각수가 유입되어 유동하는 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62)과 상기 캐비티 부재(20) 사이에는 상기 캐비티(22)에 수용된 농축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밀봉 작용을 하는 가스켓이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62)과 상기 캐비티 부재(20)는 볼트와 같은 수단에 의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캐비티 부재(20)와 상기 열사이펀 유도 부재(60)는 볼트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상기 열사이펀 유로(64)는 상기 캐비티(22) 내에 수용된 농축물이 열사이펀 현상에 의해 유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것이다. 상기 열사이펀 유로(64)는 상기 캐비티와 연결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열사이펀 유로(64)는 후술하는 블록 구조물(66)에 의해 상기 하우징(62)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 분할되어 형성된다. 상기 열사이펀 유로(64)는 상기 블록 구조물(66)과 상기 하우징(62)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다. 상기 열사이펀 유로(64)는 상기 캐비티(22)의 천장과 바닥을 연결하는 유로이다. 상기 열사이펀 유로(64)는 상기 캐비티(22)의 천장 부근의 고온의 농축물이 열사이펀(자연대류현상) 현상에 의해 상기 블록 구조물(66)의 상부를 따라 유동하면서 냉각되어 비중이 커지면서 상기 캐비티(22)의 바닥 부근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열사이펀 유로(64)는 상기 캐비티(22)에 수용된 농축물이 핵반응 시 가열됨으로써 발생되는 비중의 차이에 의해 대류 현상이 원활하게 일어나도록 유도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열사이펀 유로(64)는 농축물의 전열 면적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블록 구조물(66)은 상기 하우징(62) 내부의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블록 구조물(66)에 의해 상기 열사이펀 유로(64)가 형성된다. 상기 블록 구조물(66)은 상기 하우징(62) 내주면에 용접, 볼트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록 구조물(66)은 상기 하우징(6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 구조물(66)의 내부는 빈 공간을 형성한다. 즉, 상기 블록 구조물(66)에 형성된 빈 공간은 후술하는 후면 냉각 부재(70)에 유입된 냉각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냉각수 유동부(68)를 구성한다. 즉, 상기 냉각수 유동부(68)는 상기 캐비티(22)에 수용된 농축물이 열사이펀 현상에 의해 유동하는 과정에서 효과적인 냉각 작용을 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냉각수 유동부(68)는 상기 블록 구조물(66)이 존재함으로써 구현이 가능하다. 즉, 상기 블록 구조물(66)은 상기 열사이펀 유로(64)가 상기 캐비티(22)의 천장과 바닥에 연결되도록 중앙부를 상기 하우징(62)의 내부 공간의 중앙부를 점유한다.
상기 후면 냉각 부재(70)는 상기 열사이펀 유도 부재(60)의 후면부에 결합된다. 상기 후면 냉각부재(70)는 열사이펀 유도 부재(60)와 결합된 상태에서 냉각수가 출입하여 유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후면 냉각 부재(70)는 상기 열사이펀 유도 부재(60)의 후면부에 결합되며 냉각수 공급 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후면 냉각 부재(70)에 유입되는 냉각수는 상기 열사이펀 유도 부재(60)에 마련된 냉각수 유동부(68)에 유입되어 상기 블록 구조물(66) 둘레를 따라 유동하는 농축물과 열교환됨으로써 농축물을 효과적으로 냉각한다.
한편, 상기 전면 냉각 부재(40), 상기 캐비티 부재(20) 또는 상기 열사이펀 유도 부재(60) 및 상기 후면 냉각부재(70)는 볼트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표적장치(10)를 사용하여 18F를 생산하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사이클로트론 등과 같은 입자가속장비에서 적절한 에너지를 가지도록 양성자를 발생시킨 후에 그 양성자를 도 6에 도시된 표적장치(10)에 조사하면, 양성자의 일부는 전면 냉각 부재(40)의 전면 격자부분(44)을 통과하지 못하게 되고 모두 흡수되며 양성자의 나머지는 전면 냉각 부재(40)의 관통공(42)들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전면 냉각 부재(40)의 관통공(42)들을 통과한 양성자는 전면 박막(30)을 통과하면서 그 에너지의 일부가 전면 박막(30)에 흡수되고 나머지 에너지가 모두 캐비티 부재(20)의 캐비티(22)에 수용된 H2 18O 농축물에 흡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양성자가 H2 18O 농축물에 조사되게 되면, 그 양성자는 H2 18O 농축물과 핵반응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18F가 생산되게 된다. 그리고, 양성자의 조사시 전면 냉각 부재(40)의 전면 격자부분(44)에 발생되는 열은 전면 냉각 부재(40)를 통해 유동하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된다. 한편, 상기 캐비티(22) 내에서 양성자와 H2 18O 농축물간의 핵반응시 발생되는 열은 상기 캐비티 부재(20)를 통해 유동하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열사이펀 유도 부재(60)는 상기 캐비티(22) 내에서 핵 반응에 의해 가열된 농축물의 비중이 달라짐에 따라 상기 열사이펀 유로(64)를 통해 농축물이 대류현상에 의해 유동한다. 이와 같이 상기 열사이펀 유로(64)를 통해 농축물이 활발하게 유동함에 따라 상기 캐비티(22) 주위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열교환이 원활하게 발생하여 농축물의 온도와 압력이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열사이펀 유로(64)를 유동하는 농축물은 상기 블록 구조물(66)에 마련된 냉각수 유동부(68)에 유입된 냉각수와 열교환함으로써 더욱 빠르게 냉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적장치는 캐비티의 체적을 종래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그 캐비티와 연결되는 공간에 열사이펀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핵 반응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가열된 농축물을 대류 현상에 의해 원활하게 유동시킴으로써 냉각 성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열사이펀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구비된 블록 구조물의 내부에 냉각수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농축물의 냉각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7은 열사이펀 유로의 존부에 따른 표적장치의 냉각성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즉, 도 7은 30MeV/20 양성자 빔이 8cc의 물에 조사되었을 때 정육면체(20mm X 20mm X 20mm)캐비티의 체적을 가진 표적장치와 동일 체적으로 캐비티를 가지며 열사이펀 유로가 구비된 표적장치의 시간에 따른 압력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 7에 따르면 열사이펀 유로가 구비된 표적장치의 내부 압력 상승이 현저하게 낮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과 같이 열사이펀 유로가 구비된 경우에 냉각성능이 현저하게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사이펀 기능성 내부 유로가 구비된 방사선 동위원소 액체 표적장치는, 핵 반응용 농축물이 수용되는 캐비티를 가지는 캐비티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캐비티에 농축물에 조사된 양성자와 상기 농축물 간 핵반응에 의해 방사성 동위원소를 생산하기 위한 표적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부재는, 상기 양성자의 조사 경로 상에 서로 반대쪽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캐비티가 외부와 통하도록 상기 캐비티와 연결되어 있는 전면 개구부 및 후면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 개구부를 막도록 배치되어 있는 전면 박막;
상기 핵반응시 상기 캐비티 내에서의 압력 상승으로 인해 상기 전면 박막이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면 박막을 지지하도록 상기 캐비티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양성자의 조사 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양성자의 조사방향으로 관통공이 복수 형성되어 있는 전면 냉각부재;
상기 후면 개구부에 연결되며 상기 캐비티 내에 수용된 농축물이 열사이펀 현상에 의해 유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캐비티와 연결된 열사이펀 유로가 구비된 열사이펀 유도 부재; 및
상기 열 사이펀 유도 부재의 후면부에 결합되며 냉각수 공급 공간이 구비된 후면 냉각 부재;를 포함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열사이펀 유도 부재는 상기 열사이펀 유로가 상기 캐비티의 천장과 바닥에 연결되도록 중앙부를 점유하는 블록 구조물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록 구조물의 내부에 냉각수 유동부가 형성되며 상기 냉각수 유동부는 상기 후면 냉각 부재에 공급된 냉각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티 부재와 상기 열사이펀 유도 부재 사이에는 상기 캐비티에 수용된 농축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가스켓이 배치되며, 상기 캐비티 부재와 상기 열 사이펀 유도 부재는 볼트에 의해 상호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4)

  1. 핵 반응용 농축물이 수용되는 캐비티를 가지는 캐비티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캐비티에 농축물에 조사된 양성자와 상기 농축물 간 핵반응에 의해 방사성 동위원소를 생산하기 위한 표적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부재는, 상기 양성자의 조사 경로 상에 서로 반대쪽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캐비티가 외부와 통하도록 상기 캐비티와 연결되어 있는 전면 개구부 및 후면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 개구부를 막도록 배치되어 있는 전면 박막;
    상기 핵반응시 상기 캐비티 내에서의 압력 상승으로 인해 상기 전면 박막이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면 박막을 지지하도록 상기 캐비티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양성자의 조사 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양성자의 조사방향으로 관통공이 복수 형성되어 있는 전면 냉각부재;
    상기 후면 개구부에 연결되며 상기 캐비티 내에 수용된 농축물이 열사이펀 현상에 의해 유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캐비티와 연결된 열사이펀 유로가 구비된 열사이펀 유도 부재; 및
    상기 열 사이펀 유도 부재의 후면부에 결합되며 냉각수 공급 공간이 구비된 후면 냉각 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사이펀 기능성 내부 유로가 구비된 방사선 동위원소 액체 표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사이펀 유도 부재는 상기 열사이펀 유로가 상기 캐비티의 천장과 바닥에 연결되도록 중앙부를 점유하는 블록 구조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사이펀 기능성 내부 유로가 구비된 방사선 동위원소 액체 표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구조물의 내부에 냉각수 유동부가 형성되며 상기 냉각수 유동부는 상기 후면 냉각 부재에 공급된 냉각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사이펀 기능성 내부 유로가 구비된 방사선 동위원소 액체 표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부재와 상기 열사이펀 유도 부재 사이에는 상기 캐비티에 수용된 농축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가스켓이 배치되며, 상기 캐비티 부재와 상기 열 사이펀 유도 부재는 볼트에 의해 상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사이펀 기능성 내부 유로가 구비된 방사선 동위원소 액체 표적장치.
PCT/KR2012/006853 2012-08-20 2012-08-28 열사이펀 기능성 내부 유로가 구비된 방사선 동위원소 액체 표적장치 WO2014030792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18,914 US20150170777A1 (en) 2012-08-20 2012-08-28 Radioactive isotope liquid targeting apparatus having functional thermosiphon internal flow channel
DE112012006830.0T DE112012006830T5 (de) 2012-08-20 2012-08-28 Target-Gerät für radioaktive Isotopenflüssigkeiten mit einem internen Strömungskanal als funktioneller Thermosiph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901 2012-08-20
KR1020120090901A KR101366689B1 (ko) 2012-08-20 2012-08-20 열사이펀 기능성 내부 유로가 구비된 방사선 동위원소 액체 표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30792A1 true WO2014030792A1 (ko) 2014-02-27

Family

ID=50150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6853 WO2014030792A1 (ko) 2012-08-20 2012-08-28 열사이펀 기능성 내부 유로가 구비된 방사선 동위원소 액체 표적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170777A1 (ko)
KR (1) KR101366689B1 (ko)
DE (1) DE112012006830T5 (ko)
WO (1) WO20140307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5392B2 (en) * 2016-06-17 2020-03-17 General Electric Company Target assembly and isotope production system having a grid section
RU2644395C1 (ru) * 2016-12-30 2018-02-1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Том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Генератор для получения стерильных радиоизотопов
JP7445491B2 (ja) * 2020-03-30 2024-03-07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ターゲット装置
CN116705375B (zh) * 2023-03-20 2024-03-19 中子高新技术产业发展(重庆)有限公司 一种基于加速器的同位素生产固液耦合靶装置
CN116189953B (zh) * 2023-03-24 2024-01-26 中子高新技术产业发展(重庆)有限公司 一种18f同位素生产高功能率液态靶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823A (ko) * 1998-09-15 2000-04-15 김성년 방사성동위원소 액체 표적 조사 장치
JP2006284337A (ja) * 2005-03-31 2006-10-19 Hitachi Ltd 放射性同位元素製造装置
KR100648408B1 (ko) * 2005-06-21 2006-11-24 한국원자력연구소 표적장치
KR100648407B1 (ko) * 2005-06-21 2006-11-24 한국원자력연구소 탄소-11 및 불소-18을 동시에 생산하기 위한 복합표적유니트 및 복합 생산방법
KR101065057B1 (ko) * 2009-05-20 2011-09-15 재단법인 한국원자력의학원 냉각 성능이 향상된 동위원소 생산용 중수 표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3177A (ja) * 2001-07-27 2003-02-13 Mitsubishi Heavy Ind Ltd 冷却系統一体型原子炉およびその運転方法
WO2003099374A2 (en) * 2002-05-21 2003-12-04 Duke University Batch target and method for producing radionuclid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823A (ko) * 1998-09-15 2000-04-15 김성년 방사성동위원소 액체 표적 조사 장치
JP2006284337A (ja) * 2005-03-31 2006-10-19 Hitachi Ltd 放射性同位元素製造装置
KR100648408B1 (ko) * 2005-06-21 2006-11-24 한국원자력연구소 표적장치
KR100648407B1 (ko) * 2005-06-21 2006-11-24 한국원자력연구소 탄소-11 및 불소-18을 동시에 생산하기 위한 복합표적유니트 및 복합 생산방법
KR101065057B1 (ko) * 2009-05-20 2011-09-15 재단법인 한국원자력의학원 냉각 성능이 향상된 동위원소 생산용 중수 표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70777A1 (en) 2015-06-18
DE112012006830T5 (de) 2015-05-21
KR101366689B1 (ko) 2014-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1615B2 (ja) 放射性同位体を製造する装置及び方法
WO2014030792A1 (ko) 열사이펀 기능성 내부 유로가 구비된 방사선 동위원소 액체 표적장치
KR101106118B1 (ko) 방사성 동위 원소 생성용 타겟 장치
CN104508158B (zh) 用于锝‑99m的回旋加速器生产的方法、系统和装置
US7831009B2 (en) Tantalum water target body for production of radioisotopes
US20100086095A1 (en) Radioisotop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radioisotope manufacturing method
KR101065057B1 (ko) 냉각 성능이 향상된 동위원소 생산용 중수 표적장치
CN208372315U (zh) 中子捕获治疗系统
KR100967359B1 (ko) 내부 핀구조를 가지는 동위원소 생산 기체표적
KR100648408B1 (ko) 표적장치
US8670513B2 (en) Particle beam target with improved heat transfer and related apparatus and methods
KR20110043196A (ko) 메탈폼을 이용한 동위원소 생산 대전류 고체표적
CN213424610U (zh) 一种用于生产放射性同位素的靶装置
KR101130997B1 (ko) 방사성 동위 원소를 생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2425686B1 (en) Particle beam target with improved heat transfer and related method
JP6730874B2 (ja) 放射性核種製造装置、ターゲット装置及び放射性薬剤の製造方法
CN116705375B (zh) 一种基于加速器的同位素生产固液耦合靶装置
Sawan et al. Neutronics assessment of blanket options for the HAPL laser inertial fusion energy chamber
Lee et al. 11 C Gas Target Yield Increase of KOTRON-13 Cyclotron
KR20000019826A (ko) 방사성 동위원소 생산용 빔 조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8331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418914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120120068300

Country of ref document: DE

Ref document number: 112012006830

Country of ref document: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8331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