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17823A1 - 응축수 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쓰레기 매립장용 가스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응축수 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쓰레기 매립장용 가스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17823A1
WO2014017823A1 PCT/KR2013/006625 KR2013006625W WO2014017823A1 WO 2014017823 A1 WO2014017823 A1 WO 2014017823A1 KR 2013006625 W KR2013006625 W KR 2013006625W WO 2014017823 A1 WO2014017823 A1 WO 201401782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ndensate
closing member
discharge pip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662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경호
천승규
손원백
함종헌
오민석
Original Assignee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08081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230111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1036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293371B1/ko
Application filed by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filed Critical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Publication of WO201401782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1782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B09B1/006Shafts or wells in waste d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2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 F16K3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with the float rigidly connected to the valv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ensate drainage device and a gas transfer device for a landfill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ndfill gas transfer having a condensate drainage device for removing condensate from harmful and explosive gas generated in a landfill. Relates to a device.
  • a method of treating garbage, waste, etc. using a landfill site is to pile up rubbish to a certain height, and then repeat the process of covering the rubbish stacked with soil or a similar shield (commonly called 'soil layer'). It is a waste disposal method that decomposes waste for several decades.
  • the landfill gas having flammability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naturally decomposing the stacked waste and waste. Therefore, a method of reducing the risk of fire or explosion in the landfill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gas transfer pipes having gas inlet holes in the landfill and discharging the landfill gas generated from the waste to the outside is commonly used.
  • the landfill ga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landfill is usually disposed of by incineration, but recently, the landfill gas is used to produce electricity by power generation, and researches on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low-cost energy production methods are actively conducted.
  • the gas generated from the landfill contains a large amount of water, if such gas is supplied to a power plant as it is, it will interfere with securing the homogeneity of the gas. There are drawbacks to shortening that are not economically viable.
  • Korean Patent No. 10-0400087 has been proposed as a technology regarding a condensate drainage device for removing condensate contained in the landfill gas.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densate drainage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construction and installation is easy, and the external gas is prevented from flowing back into the conveying pipe and the gas transfer device for landfills having the same. .
  • the landfill gas generated in the landfill gas flow is installed in the conveying pipe flows to separate the condensed water contained in the landfill gas from the landfill gas, it is installed in the conveying pip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nveying pipe
  • the bottom portion and the outlet which are formed in a hollow shape with the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onnection portion, coupled to the discharge pip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ipe portion, the outlet for the discharge of the condensate is formed through
  • an opening / closing member installed inside the discharge pipe portion to move between a blocking position for blocking the opening and an open position spaced upwardly from the blocking position to open the discharge port, and the level of the condensate stored in the discharge pipe portion is When the water level is lower than the reference level, the opening member Located in the blocking position, when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ate stored in the discharge pipe portion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water level,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moved to the open position by the buoyancy generated by the condensate water to discharge the condensed water through the
  • the landfill gas generated in the landfill gas flow is installed in the conveying pipe flows to separate the condensed water contained in the landfill gas from the landfill gas, it is installed in the conveying pip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nveying pipe
  • the connecting portion which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in a hollow shape, the discharge pip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connecting portion,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ipe portion,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through the inlet for the inflow of the condensate, the discharge It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pipe portion, the inlet through the bottom portion is formed through the outlet for discharging the condensate and the blocking position for blocking the outlet and the open position spaced upwardly from the blocking position to open the outlet
  • the discharge pipe so as to be movable between locking positions for blocking And an opening / closing member installed inside the opening,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member is positioned at the blocking position when the level of the condensate stored in the discharge pip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level, and the level of the condensate stored in the discharge pipe
  • the condensate drainage device can be manufactured in a small and simple configuration. Accordingly, the condensate drainage device can be easily manufactured and constructed, the installation cost is reduced, and is less affected by the settlement of the surrounding ground where the condensate drainage device is installed. Less functional impairment of condensate drains and landfill gas feeders. In addition, even when the condensate in the condensate drainage is completely evaporated, it is possible to block the inflow of the landfill gas to prevent the landfill gas from flowing back into the transfer pipe to maintain the transport pipe function.
  • FIG.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gas transportation device for a landf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separat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densate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densate drainage shown in FIG. 2.
  • FIG. 4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ndensate drainage device shown in FIG.
  • FIG. 7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densate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densate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densate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densate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separation perspective view of the condensate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densate drainage device illustrated in FIG. 11.
  • FIG. 13 to 15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the locking unit shown in FIG. 11 or FIG. 12.
  • FIG. 16 and 17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the bottom illustrated in FIG. 11 or 12.
  • FIG. 18 to 21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ndensate drainage device shown in FIG.
  • FIG. 2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densate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densate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4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densate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densate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densate drainage device is installed in a conveying pipe through which the landfill gas generated in the landfill gas flows to separate the condensate contained in the landfill gas with the landfill gas It is to be connected to the conveying pipe line and is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is installed in the conveying pipe and the hollow form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and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portion and the discharge pip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connection portion, the discharge of the condensate Opening and closing member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discharge pipe portion to be movable between the bottom portion is formed through the outlet for the opening and the blocking position for blocking the outlet and the open position for opening the outlet spaced upwardly from the blocking position It includes, the level of the condensate stored in the discharge pipe portion reference In the lower stat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located in the blocking position, and when the level of the condensate stored in the discharge pip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level,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moved to the open position by buoyancy generated by the condensate.
  • the condensate drainage device is installed in the conveying pipe through which the landfill gas generated in the landfill layer flows to separate the condensate contained in the landfill gas from the landfill gas
  • the connection portion is installed in the transport pipe
  • the hollow shape is forme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onnection portion
  • the discharge pipe portion communicated with the connection portion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ipe portion
  • the inflow of the condensate Hanging part is formed through the inlet for the through,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ipe portion
  • the bottom portion is formed through the outlet for the discharge of the condensate and the blocking position for blocking the outlet and spaced apart upward from the blocking position To block the inlet through an open position to open the outlet.
  • an opening / closing member installed inside the discharge pipe portion to move between the rim positions, and the opening / closing member is positioned at the blocking position when the level of the condensate stored in the discharge pipe portion is lower than a reference level.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moved to the open position by buoyancy generated by the condensate, and the condensate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upward.
  • moving it is characterized by moving only to the locking position by the locking portion.
  • th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in a hollow tubular shape, the transfer pipe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ng portion, respectively, the discharge pipe portion is forme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discharge pipe portion is 'T' shaped Can be achieved.
  • the bottom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scharge pipe portion.
  • the bottom part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discharge pipe part.
  •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in the blocking position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o be deformable when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 the discharge port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may be formed in a spherical shape.
  • the bottom portion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may be rolled toward the discharge port by the weight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has a ring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ischarge port and is provided with a contact portion protruding downward, and the contact hole may be blocked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while surrounding the discharge port.
  • the contact part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o be deformable when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part.
  • the bottom portion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to surround the outlet, and provided with a contact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and the outlet may be block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member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tact protrusion.
  • the condensate drainag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on force applying unit for applying a force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so that the blocking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disposed at the blocking position.
  • the adhesion force applying unit may be an elastic member that elastically biase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toward the bottom portion.
  • the gas filling device for a landfill is embedded in the landfill layer to a predetermined depth, the gas collecting pipe and the gas collecting pipe for collecting the landfill gas generated in the landfill layer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pipe, and includes a conveying conduit for drawing the landfill gas collected in the gas collecting pipe and the condensate drainage having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 FIG.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gas filling apparatus for a landf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schematic separat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densate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Figure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densate drainage device shown in FIG. 4
  • FIG. 6 ar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condensate drainage device shown in FIG. 2 or 3.
  • a leachate drainage layer 52 is formed, and at least one garbage landfill layer 54 in which waste is stack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an upper portion of the leachate drainage layer 52.
  • a garbage landfill layer 54 in which waste is stack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an upper portion of the leachate drainage layer 52.
  • an intermediate cover layer 56 in which earth and sand or similar shields are stacked is formed between the landfill layers 54.
  • Holes 50 are formed in the waste landfill layer 54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a gas collection pipe 10 is installed inside the hole 50, and the waste landfill layer 54 and the gas collection are needed.
  • a gap retaining material 20 and a steel pipe 82 may be installed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pipes 10.
  • the gas collection pipe 10 is embedded in the landfill layer 54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collects flammable and explosive landfill gas generated in the landfill layer 54 and transfers i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as collection pipe 10.
  • a plurality of gas inlets are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and are preferably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hole 50 perforated in the landfill layer 54.
  • the gas collecting tube 10 may be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for example,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and the inner diameter is typically 15 to 35 cm.
  • a permeable filler such as crushed stone and aggregates 92, 94, and 96 is filled, so that the waste of the landfill layer 54 is formed in the gas collecting tube 10. Is prevented from being blocked, and the landfill gas generated in the landfill layer 54 is easily introduced into the gas collection pipe 10.
  • the steel pipe 82 protects the upper region of the hole 50, which is relatively low in gas generation and the ground is not firm, and thus easily deforms the hole 50 formed in the landfill layer 54, and later garbage landfill When the height is increased to extend the length of the gas transfer device, it is mount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hole 50 formed in the landfill layer 54.
  • the upper flange of the steel pipe 82 may be equipped with a blind flange 84 for preventing the outflow of the landfill gas.
  • the upper part of the gas collecting tube 10 is equipped with a conveying pipe line 40 for drawing out the landfill gas collected by the gas collecting tube 10.
  • the transfer pipe 40 is to send landfill gas collected by a plurality of gas collection pipes 10 installed in a landfill to a power plant, or to collect and process them to one place.
  • the transfer pipe 40 is equipped with a condensate drainage device 200 for separating condensate contained in the landfill gas from the landfill gas by gravity.
  • the condensate water drainer 200 includes a connection part 210, a discharge pipe part 220, a bottom part 230, and an opening / closing member 240.
  • the connecting portion 210 is formed in a hollow tubular shape with both ends open. Both ends of the connecting portion 210 are connected to the conveying pipe 40, respectively,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210 and the conveying pipe 4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the discharge pipe 220 is formed in a hollow shap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210,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discharge pipe 220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portion 210, accordingly
  • the connection portion 210 and the discharge pipe portion 220 forms a 'T' shape.
  •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ipe portion 220 is open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ing portion 210.
  • the bottom portion 23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pipe portion 220, a flange portion 233 extending in the outward direction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ottom portion 230.
  • the bottom portion 23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231 form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and a sealing member 232 such as, for example, an O-ring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230. 2 and 3, but three outlets 231 are shown, but the number is not limited.
  • the flange portion 233 and / or the sealing member 232 may be omitted from the bottom portion 230. As long as the bottom portion 230 is fitt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pipe portion 220 and can maintain only airtightness, the shape thereof is not limited.
  • the sealing member 332 is discharge pipe part when the bottom part 230 is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ipe part 220. The airtightness is maintaine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220.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40 is guided toward the cent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portion 220 in order to be free to move up and down in the discharge pipe portion 220, the movement of the left and right is limited.
  • the member may protrude.
  • the protruding height is not limited as long a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40 can move only up and down in the discharge pipe part 220.
  • connection portion 210, the discharge pipe portion 220 and the bottom portion (except the sealing member) 230 is preferably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ransfer pipe (40).
  • the transfer pipe 40, the connection portion 210, the discharge pipe portion 230 and the bottom portion 230 is preferably made of a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material.
  • 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 the bottom portion 230 is shown as a structure in which the discharge pipe portion 220 is manufactured separately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discharge pipe portion 220, as will be discussed in FIG.
  • the bottom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discharge pipe, which will be discussed in detail later.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40 is for opening or blocking the outlet 231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230.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40 is moved between the open position and the blocking position by the buoyancy of the condensate, that is, when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at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level,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40 is buoyancy of the condensate Since it must rise by,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4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ower density than the condensed water, for example, a material such as rubber.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40 should block the outlet 231,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40 should have a predetermined weight.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40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40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by inserting a predetermined volume of water into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40 may have a certain weight.
  • the reference water level refers to the water level when the opening / closing member 240 rises (ie, floats on the condensate) due to the buoyancy of the condensate, and the reference water level indic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nsity of the condensate and the opening / closing member 24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It is determined by the weight of the member 240. These can be obtained by experiment.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40 is disposed inside the discharge pipe part 220 and is disposed to be movable between the blocking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 the blocking position means a position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230 as shown in Figure 4, whereby the outlet 231 is blocked, the open position is shown in Figure 6 As show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40 is spaced upward from the blocking position due to buoyancy means a position in which the outlet 231 is opened.
  • the condensed water included in the landfill gas flowing through the transfer pipe 40 is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pipe part 220 by gravity and stored.
  • the flow rate of the condensate flowing into the conveying line is extremely small, so that there is no condensate in the discharge pipe portion 220 at all (that is, completely evaporated), that is, in the state of FIG. 2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230, the outlet 231 is blocked accordingly. Therefore, the external gas generated in the ground in which the condensate drainage device is embedded is prevented from flowing back to the transfer pipe 40.
  • the condensed water is stored to some extent in the discharge pipe portion 220, when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ate water is lower than the reference water level, that is, in the state of Figure 5,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40 still blocks the outlet 231, the condensate (W) is It is not discharged. Therefore, in a special case, that is, when the amount of condensate contained in the landfill gas is extremely small and condensate is not completely evaporated in the discharge pipe part 220, a certain level of condensate is stored in the discharge pipe part 220, and thus the landfill gas is stored. There is an additional effect of facilitating the aggregation of water (condensed water) contained in.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40 is raised to the open position by the buoyancy force of the condensate (W), according to the discharge port 231 ) Is opened to discharge the condensate (W) through the outlet. Then, when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ate (W) is lower than the reference water level by the discharge of the condensate (W),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40 is lowered again as shown in Figure 5, accordingly, the condensate (W) is a certain level Will be maintained.
  • the discharge port 231 is blocked by the opening / closing member 240, so that the external gas in the ground flows back to the transfer pipe 40. It is prevented to maintain the conveying piping function. Except when the condensed water is completely evaporated, the condensed water is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in the discharge pipe portion 220, so that the condensation of water (condensed water) contained in the landfill gas becomes easy.
  • the outlet 231 of the discharge pipe portion is block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230 by its own weight.
  • the opening portion 240 in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230 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member 240
  • the elastic material for example, rubber or airtight easily It can comprise with the silicon etc. which can be kept to make it easy.
  •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4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40 is deformed when contacting the bottom portion 230 so as to be completely in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230. 231 may be completely blocked to further prevent backflow of gas.
  • the material as described above may wrap the whole as well as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40.
  • FIG.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densate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outlet portion 231A is formed through the bottom portion 230A.
  • the outlet portion 231A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is preferably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230A.
  •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230A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discharge port 231A from the edge.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40A may be formed in a spherical shape.
  • the opening / closing member 240A rolls along the bottom portion 230A by its own weight and is fitted into the discharge port 231A. Accordingly, the outlet 231A is stably blocked.
  • FIG 8 and 9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the condensate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contact portion 241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40B.
  • the contact portion 241 is formed in a ring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ischarge hole 231B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230B, for example, when the discharge hole 231B is circular, and has a circular ring shape. Protruding downward from. In the state in which the opening / closing member 240B is disposed in the blocking position, the contact portion 24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230B while surrounding the outlet 231B, whereby the outlet 231B is blocked.
  • the contact portion 241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rubber, the contact portion 241 is completely deformed to the bottom portion 230B when the contact portion 241 is deformed when the contact portion 24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230B. Completely blocked.
  • a contact protrusion 234 is provided at the bottom portion 230C.
  • the contact protrusion 234 is formed in a ring shape so as to surround the discharge port 231C, and protrudes upward.
  • the contact protrusion 23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member 240C, thereby discharging the outlet 231C.
  • the condensate drainag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on force applying unit (not shown).
  • the adhesion force applying unit is to close the opening / closing member further to the bottom even when there is no condensation water in the discharge pipe part, to prevent gas backflow more completely.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the bottom part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weight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thus the outlet is blocked.
  • a close contact is made only by the load of the opening / closing member, a minute gap occurs between the opening / closing member and the bottom part,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gas flows back through the gap.
  • the adhesion force applying unit is for preventing the possibility of such a reverse flow of the gas
  • the elastic force such as a spring is adopted as the adhesion force applying unit.
  • One end of the spring is supported at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to elastically bia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e, apply force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thereby opening and closing the member at the bottom. More tightly sealed, the outlet is completely shut off.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raised by the buoyancy force (the spring contracts), and the discharge port is opened accordingly.
  • the spring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corrosion resistance so that the spring is not corroded by the landfill gas flowing in the transfer pipe and the condensed water contained in the landfill gas.
  • the spring is used as the elastic member, rubber or the like may be used.
  • rubber in the case of rubber can not apply a compressive force can apply only a tensile forc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installation method somewhat.
  • one end of the rubber is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t should be configured to pull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toward the bottom.
  • the bottom part is form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discharge pipe part, b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par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scharge pipe part.
  • 10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densate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densate drainage apparatus 300 includes a connection part 310, a discharge pipe part 320, a bottom part 330, and an opening / closing member 340.
  • the connecting portion 310 is formed in a hollow tubular shape with both ends open. Both ends of the connection part 310 are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40, respectively, and thus the connection part 210 and the transfer pipe 4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the discharge pipe 320 is formed in a hollow shap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310,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discharge pipe 320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310, accordingly
  • the connection part 310 and the discharge pipe part 320 form a 'T' shape.
  •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ipe 320 is open to communicate with the connection 210.
  • the bottom part 330 extends in an inward direction from a lower end of the discharge pipe part 320.
  • the outlet 331 for discharging the condensed water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330.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340 is for opening or blocking the outlet 231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230.
  • FIG. 1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densate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densate drainage device shown in FIG. 11, and FIGS. 13 to 15 are shown in FIG. 11 or 12.
  • 16 and 17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the bottom part shown in FIG. 11 or 12, and FIGS. 18 to 21 are operating procedures of the condensate drainage device shown in FIG. 11 or 12.
  • the condensate drain device 400 includes a connection part 410, a discharge pipe part 420, a locking part 430, a bottom part 440, and an opening / closing member. (450).
  • connection part 410 Since the connection part 410, the discharge pipe part 420, and the bottom part 44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0, they are omitted to avoid overlapping descriptions.
  • the catching part 43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pipe part 420 and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ipe part 420.
  • the catching part 430 is located at an upper end of the bottom part 440 and the opening / closing member 4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discharge pipe part 420.
  • the locking portion 430 is provided with an inlet 431 form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and a sealing member 432 such as, for example, an O-ring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locking portion 430.
  • a sealing member 432 such as, for example, an O-ring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locking portion 430.
  • Inlet 431 is to prevent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 to be introduced into the connecting portion 410 to be described later, the size should be smaller than one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
  • the sealing member 432 may be omitted from the locking portion 430. If the locking portion 430 is fitt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pipe portion 420 can maintain only the airtight,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shape. For example, when a large suction pressure is formed in the condensate drainage due to some cause such as a check, the locking portion 430 prevent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 from entering the connection portion 410 and the inlet 431. By blocking the, foreign matter such as leachate, landfill gas or air from the outside to prevent the inflow into the transfer pipe 40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410.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 is Even in the open position to be described later, the condensate is not discharged, so that the water level rises further.
  •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ate continues to rise and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nveying pipe 40 through the connecting part 410, but the inlet 431 of the catching part 430 is block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 so that It can block the inflow into the conveying line.
  • the size of the inlet 431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discharge of the residue generated in the plumbing work, the amount of condensed water introduced, and the like.
  • the size and shape of the inlet 431 is not limited to the shape and size as long as it can block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
  • the opening 235 of the lower surface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inlet 431.
  • the size of the inlet 431 should be smaller than one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 but the size of the opening 234 may be larger than one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
  • the locking position 233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 in FIG. 13 or 14 is located below the locking position 234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 in FIG. 15.
  • the size of the outlet 441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discharge of the residue generated in the plumbing work, the amount of condensate discharged, and the like.
  • the size and shape of the outlet 441 is not limited to the shape and size as long as it can block the discharge of condensed water by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
  • the locking portion 430 is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ipe portion 42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thereunder, and then the bottom portion 440 is discharge pipe portion 420. ),
  • the sealing members 432 and 442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part 420, thereby maintaining airtightness.
  • the material of the connecting portion 410, the discharge pipe 420, the locking portion 430 and the bottom portion (except the sealing member) 440 is preferably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ransfer pipe (40).
  • the transfer pipe 40, the connection portion 410, the discharge pipe portion 430, the locking portion 430 and the bottom portion 440 is preferably made of a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material.
  • 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 the catching portion 430 and the bottom portion 440 is shown in a structure that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discharge pipe 420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discharge pipe 420, but will be described later.
  • at least one of the locking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discharge pipe portion, which will be discussed in detail later.
  •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 is for opening or blocking the outlet 441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440.
  • Shape and material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 is the same a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40 in Figures 2 to 9.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 is moved between the open position and the blocking position by the buoyancy of the condensate, that is, when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at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level,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 is the buoyancy of the condensate Since it must rise by,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ower density than the condensed water, for example, a material such as rubber.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 when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at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level,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 should block the outlet 441,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 must have a predetermined self-weight.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by inserting a predetermined volume of water into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 may have a certain weight.
  • the reference water level refers to the water level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 rises (ie, floats on the condensate) due to the buoyancy of the condensate, and the reference water level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nsity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 It is determined by the weight of the member 450. These can be obtained by experiment.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 is disposed inside the discharge pipe part 420, and is disposed to be movable between the blocking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 the blocking position means a position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 is in close contact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440 as shown in FIG. 18, whereby the outlet 441 is blocked, and the opening position is shown in FIG. 20.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 is spaced upward from the blocking position due to the buoyancy means a position where the outlet 441 is opened.
  • the condensed water included in the landfill gas flowing through the transfer pipe 40 is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pipe part 420 by gravity and stored.
  • the flow rate of the condensate flowing into the conveying line is extremely small, so that the condensate is completely absent in the discharge pipe part 420 (completely evaporated), that is, in the state of FIG. 18,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 45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440, and the outlet 441 is blocked. Therefore, the external gas generated in the ground in which the condensate drainage device is embedded is prevented from flowing back to the transfer pipe 40.
  • the condensed water is stored to some extent in the discharge pipe portion 420, when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is lower than the reference level, that is, in the state 19,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 still blocks the discharge port 441, the condensate (W) is discharged It doesn't work. Therefore, in a special case, that is, unless the amount of condensate contained in the landfill gas is so small that the condensate in the discharge pipe 420 is completely evaporated, a certain level of condensate is stored in the discharge pipe 420, and thus the landfill gas There is an effect of facilitating aggregation of water (condensed water) contained in.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 is raised to the open position by the buoyancy force of the condensate (W), according to the discharge port 441 ) Is opened to discharge the condensate (W) through the outlet. Then, when 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ate (W) is lower than the reference level by the discharge of the condensate (W),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 is lowered again as shown in Figure 19, whereby the condensate (W) is a certain level Will be maintained.
  • the opening / closing member 450 rises to the locked position, that is, in the state of FIG. 21.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 blocks the inlet 431 to block inflow of external leachate, landfill gas, air, or stored condensate into the connection part 410.
  • the locking position means a position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 is in close contact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ocking portion 430, and thus the inlet 431 is blocked as shown in FIG.
  • the discharge port 431 is blocked by the opening / closing member 440, so that the external gas in the ground flows back to the transfer pipe 40. It is prevented to maintain the conveying piping function. Except when the condensed water is completely evaporated, the condensed water is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in the discharge pipe 420, so that the condensation of water (condensed water) contained in the landfill gas becomes easy.
  • the inlet 431 is blocked, so that the outside of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onveying piping function by preventing backflow of gas, leachate, air or stored condensate.
  • the length of the discharge pipe portion that is, the vertical length of the condensate drainage device is short and the device is simple, so that the construction is easy and the installation cost is reduced.
  • the vertical length of the condensate drainage device is short, it is less affected by the settlement, thereby reducing the functional impairment of the landfill gas transfer device.
  • the condensate is automatically discharged or blocked by buoyancy generated by the condensate, rather than being controlled to discharge or block the condensate through a valve controlled by an electrical signal as in the related art.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an expensive valve as in the prior art, the price competitiveness of the device is improved, and all problems that may occur due to the failure of the valve are eliminated.
  • FIG. 2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densate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outlet 441A is formed through the bottom portion 440A, and the outlet 441A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is preferab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portion 440A.
  •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440A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edge toward the outlet 441A.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A may be formed in a spherical shape.
  • the opening / closing member 450A rolls along the bottom 440A by its own weight and is fitted into the discharge port 431A. Accordingly, the outlet 441A is stably shut off.
  • 23 and 24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the condensate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contact portion 451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0B.
  • the contact portion 451 is formed in a ring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ischarge hole 441B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440B, for example, when the discharge hole 441B is circular, and has a bottom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member 450B. Protruding downward from.
  • the contact portion 45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440B while surrounding the discharge opening 441B, whereby the discharge opening 441B is blocked.
  • the contact portion 451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rubber, the contact portion 451 is completely deformed to the bottom portion 440B while the contact portion 451 is deformed when the contact portion 45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440B. Completely blocked.
  • a contact protrusion 244 is provided at the bottom portion 440C.
  • the contact protrusion 244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to surround the discharge port 441C, and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 the contact protrusion 24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member 450C, and thus the outlet 441C is blocked.
  • the bottom part is form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discharge pipe part, b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par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scharge pipe part.
  • 25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densate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densate drain device 500 includes a connection part 510, a discharge pipe part 520, a locking part 530, a bottom part 540,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550. It includes.
  • the connecting portion 510 is formed in a hollow tubular shape with both ends open. Both ends of the connecting portion 510 are connected to the conveying pipe 40, respectively,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510 and the conveying pipe 4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the discharge pipe portion 520 is formed in a hollow shap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510,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discharge pipe portion 520 is forme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portion 510, accordingly
  • the connecting part 510 and the discharge pipe part 520 form a 'T' shape.
  •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ipe 520 is open to communicate with the connecting portion 510.
  • the catching part 530 is formed to extend inwardly from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ipe part 520 and is formed above the bottom part 540 and the opening / closing member 550.
  • an inlet 531 for penetrating the condensate and blocking the opening / closing member 55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cking portion 530.
  • the bottom part 540 extends in an inward direction from a lower end of the discharge pipe part 520.
  • a discharge port 541 for discharging condensed water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540.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50 blocks the inlet 531 formed in the locking portion 530, and opens or blocks the outlet 541 formed in the bottom 540.
  • the entire locking portion 530 and the bottom portion 540 is shown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scharge pipe portion 520, only one of the locking portion 530 or the bottom portion 540 is integral with the discharge pipe portion 520. It may be formed 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 및 설치가 용이하고, 외부가스가 이송관로로 역류되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응축수 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쓰레기 매립장용 가스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수장치는 쓰레기 매립층에서 발생되는 매립가스가 유동되는 이송관로에 설치되어 매립가스에 포함된 응축수를 매립가스와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이송관로와 연통되도록 이송관로에 설치되는 연결부와 중공의 형상으로 연결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연결부와 연통되는 배출관부와 배출관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응축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바닥부와 배출구를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차단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출관부 내부에 설치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배출관부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가 기준수위보다 낮은 상태에서는 개폐부재가 차단위치에 위치되며, 배출관부에 저장된 상기 응축수의 수위가 기준수위보다 높은 상태에서는 응축수에 의해 발생되는 부력에 의해 개폐부재가 개방위치로 이동되어 배출구를 통해 응축수가 배출된다.

Description

응축수 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쓰레기 매립장용 가스이송장치
본 발명은 응축수 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쓰레기 매립장용 가스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쓰레기 매립장에서 발생하는 유해, 폭발성 가스로부터 응축수를 제거하기 위한 응축수 배수장치를 구비한 쓰레기 매립장용 가스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 매립장을 이용한 쓰레기, 폐기물 등의 처리방법은 쓰레기를 일정한 높이로 쌓아 적층한 후, 흙 또는 이와 유사한 차폐물(통상, '복토층'이라 함)로 적층된 쓰레기를 덮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년 내지 수십 년 동안 쓰레기를 자연 분해시키는 쓰레기 처리방법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적층된 쓰레기 및 폐기물이 자연 분해되는 과정에서 인화성을 가진 매립가스가 생성된다. 따라서 가스 유입공이 형성된 다수의 가스 이송관을 쓰레기 매립장에 설치하여,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매립가스를 외부로 배출함에 의하여, 쓰레기 매립장에서의 화재 또는 폭발의 위험성을 줄이는 방법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쓰레기 매립장의 외부로 배출된 매립가스는 통상 소각에 의하여 폐기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매립가스를 이용하여 발전에 의한 전기를 생산하는 한편, 친환경적이며 저가의 에너지 생산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쓰레기 매립장에서 발생하는 가스는 그 특성상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이와 같은 가스를 그대로 발전소에 공급하면, 가스의 균질성 확보에 지장이 있어 발전의 효율성이 저하됨은 물론이고, 발전 시설의 수명을 단축시킴으로써 경제적으로 실용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매립가스에 포함된 응축수를 제거하는 응축수 배수장치에 관한 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0400087호가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그 구성이 복잡하고 장비의 크기가 커서 장비의 제조 및 시공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한국등록특허 제10-0400087호의 경우 배출 밸브에 의해 응축수가 배출 또는 차단되는데, 이를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배출 밸브가 전기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밸브여야만 한다. 그런데, 이런 밸브는 가격이 비쌀 뿐 아니라, 응축수 배수장치의 경우 습기가 많은 지중에 매립되므로, 지중의 습기 등에 의해 밸브가 쉽게 고장이 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밸브가 고장이 난 경우, 이를 교체 또는 수리하기 위해서는 땅을 파고 난 후 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많은 노력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학자 하는 과제는, 시공 및 설치가 용이하고, 외부가스가 이송관로로 역류되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응축수 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쓰레기 매립장용 가스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쓰레기 매립층에서 발생되는 매립가스가 유동되는 이송관로에 설치되어 상기 매립가스에 포함된 응축수를 상기 매립가스와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송관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이송관로에 설치되는 연결부와 중공의 형상으로 상기 연결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와 연통되는 배출관부와 상기 배출관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응축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바닥부와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상기 차단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배출관부 내부에 설치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부에 저장된 상기 응축수의 수위가 기준수위보다 낮은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차단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배출관부에 저장된 상기 응축수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보다 높은 상태에서는 상기 응축수에 의해 발생되는 부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응축수가 배출되는 응축수 배수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쓰레기 매립층에서 발생되는 매립가스가 유동되는 이송관로에 설치되어 상기 매립가스에 포함된 응축수를 상기 매립가스와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송관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이송관로에 설치되는 연결부, 중공의 형상으로 상기 연결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와 연통되는 배출관부, 상기 배출관부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응축수의 유입을 위한 유입구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 상기 배출관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응축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바닥부 및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상기 차단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를 거쳐 상기 유입구를 차단하는 걸림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배출관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부에 저장된 상기 응축수의 수위가 기준수위보다 낮은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차단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배출관부에 저장된 상기 응축수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보다 높은 상태에서는 상기 응축수에 의해 발생되는 부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응축수가 배출되고, 상기 개폐부재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걸림부에 의하여 상기 걸림 위치까지만 이동하는 응축수 배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응축수 배수장치를 작고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응축수 배수장치의 제작 및 시공이 용이하며 설치 비용이 절감되고, 응축수 배수장치가 설치된 주변의 지반의 침하에 영향을 덜 받으므로 응축수 배수장치 및 쓰레기 매립장용 가스이송장치의 기능 손상이 적게 된다. 나아가, 응축수 배수장치 내의 응축수가 완전히 증발되더라도, 매립 가스의 유입을 차단하여 매립 가스가 이송관로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송배관 기능을 유지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매립장용 가스이송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수장치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응축수 배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응축수 배수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수장치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응축수 배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된 걸림부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닥부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1은 도 12에 도시된 응축수 배수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응축수 배수장치는 쓰레기 매립층에서 발생되는 매립가스가 유동되는 이송관로에 설치되어 상기 매립가스에 포함된 응축수를 상기 매립가스와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송관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이송관로에 설치되는 연결부와 중공의 형상으로 상기 연결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와 연통되는 배출관부와 상기 배출관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응축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바닥부와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상기 차단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배출관부 내부에 설치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부에 저장된 상기 응축수의 수위가 기준수위보다 낮은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차단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배출관부에 저장된 상기 응축수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보다 높은 상태에서는 상기 응축수에 의해 발생되는 부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응축수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응축수 배수장치는 쓰레기 매립층에서 발생되는 매립가스가 유동되는 이송관로에 설치되어 상기 매립가스에 포함된 응축수를 상기 매립가스와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송관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이송관로에 설치되는 연결부, 중공의 형상으로 상기 연결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와 연통되는 배출관부, 상기 배출관부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응축수의 유입을 위한 유입구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 상기 배출관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응축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바닥부 및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상기 차단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를 거쳐 상기 유입구를 차단하는 걸림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배출관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부에 저장된 상기 응축수의 수위가 기준수위보다 낮은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차단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배출관부에 저장된 상기 응축수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보다 높은 상태에서는 상기 응축수에 의해 발생되는 부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응축수가 배출되고, 상기 개폐부재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걸림부에 의하여 상기 걸림 위치까지만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의 양측 단부에 상기 이송관로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배출관부는 상기 연결부의 중앙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와 상기 배출관부는 'T'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배출관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배출관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단위치에서 상기 바닥부에 밀착되는 상기 개폐부재의 하면은, 상기 바닥부와의 밀착 시 변형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출구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는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의 자중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배출구 쪽으로 구를 수 있도록, 상기 바닥부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차단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재의 하면 중 상기 배출구를 둘러싸는 일부의 영역만이 상기 바닥부에 밀착되면서 상기 배출구를 차단할 수 있다.
개폐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배출구의 형상에 대응되는 고리 형상을 가지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접촉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부가 상기 배출구를 감싸면서 상기 바닥부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배출구가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바닥부와의 밀착 시 변형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배출구를 감싸도록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방으로 돌출되는 접촉돌기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부재의 하면이 상기 접촉돌기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배출구가 차단될 수 있다.
응축수 배수장치는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차단위치에 배치시,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바닥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개폐부재에 힘을 인가하는 밀착력 인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착력 인가유닛은 상기 개폐부재를 상기 바닥부쪽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쓰레기 매립장용 가스이송장치는 쓰레기 매립층에 소정 깊이로 매설되어, 상기 쓰레기 매립층에서 발생하는 매립가스를 포집하는 가스포집관과 상기 가스포집관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포집관에 포집된 매립가스를 인출하는 이송관로 및 상기 기술한 특징을 갖는 응축수 배수장치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매립장용 가스이송장치 및 응축수 배수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매립장용 가스이송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수장치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응축수 배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응축수 배수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통상적인 쓰레기 매립장의 최하부에는 침출수 집배수층(52)이 형성되어 있고, 침출수 집배수층(52)의 상부에는 쓰레기를 소정 높이로 적층 매립한 적어도 하나의 쓰레기 매립층(54)이 형성되어 있으며, 쓰레기 매립층(54) 사이에는 토사 또는 이와 유사한 차폐물이 적층된 중간 복토층(5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쓰레기 매립층(54)에는 소정 깊이로 홀(50, hole)이 천공되어 있으며, 홀(50)의 내부에는 가스포집관(10)이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쓰레기 매립층(54)과 가스포집관(1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 유지재(20) 및 강관(82)이 설치될 수 있다.
가스포집관(10)은 쓰레기 매립층(54)에 소정 깊이로 매설되어, 쓰레기 매립층(54)에서 발생하는 인화성, 폭발성 매립가스를 포집하여, 가스포집관(10)의 상부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표면에는 다수의 가스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쓰레기 매립층(54)에 천공된 홀(50, hole)의 중심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가스포집관(10)은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면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경은 통상적으로 15 내지 35cm이다. 가스포집관(10)과 홀(50)의 사이에는 쇄석, 골재(92, 94, 96) 등의 통기성 충진재가 충진되어, 쓰레기 매립층(54)의 쓰레기가 가스포집관(10)에 형성된 가스 유입구를 봉쇄하는 것을 방지하고, 쓰레기 매립층(54)에서 발생한 매립가스가 가스포집관(10)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강관(82)은 상대적으로 가스의 발생이 적고, 지반이 견고하지 않아, 쓰레기 매립층(54)에 형성된 홀(50)의 변형이 용이한, 홀(50)의 상부 영역을 보호하고, 추후 쓰레기 매립 높이가 상승하는 경우 가스이송장치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쓰레기 매립층(54)에 형성된 홀(50)의 상부 영역에 장착된다. 그리고, 강관(82)의 상부에는 매립가스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맹플랜지(84)가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가스포집관(10)의 상부에는 가스포집관(10)에 의하여 포집된 매립가스를 인출하는 이송관로(40)가 장착되어 있다.
이송관로(40)는 쓰레기 매립장에 설치된 다수의 가스포집관(10)에 의하여 포집된 매립가스를 발전소로 보내거나, 어느 한 곳으로 모아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송관로(40)에는 매립가스에 포함된 응축수를 중력에 의하여 매립가스와 분리하는 응축수 배수장치(200)가 장착되어 있다.
이하, 응축수 배수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수장치(200)는 연결부(210)와, 배출관부(220)와, 바닥부(230)와, 개폐부재(240)를 포함한다.
연결부(210)는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부(210)의 양측 단부는 이송관로(40)에 각각 연결되며, 이에 따라 연결부(210)와 이송관로(40)가 서로 연통된다.
배출관부(220)는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결부(2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배출관부(220)는 연결부(210)의 중앙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이에 따라 연결부(210) 및 배출관부(220)는 'T'자 형상을 형성한다. 배출관부(220)의 상단부는 개방되어 연결부(210)와 연통된다.
바닥부(230)는 배출관부(2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부(230)의 하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부(233)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부(230)에는 그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배출구(231)가 마련되어 있으며, 바닥부(230)의 측면에는 예를 들어, 오링과 같은 실링부재(232)가 마련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배출구(231)가 세 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개수에는 제한은 없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바닥부(230)에서 플랜지부(233) 및/또는 실링부재(232)가 생략될 수도 있다. 바닥부(230)가 배출관부(2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끼워져 기밀만 유지할 수 있으면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응축수 배수장치(200)에 있어서, 배출관부(220) 내로 후술할 개폐부재(240)를 넣은 후, 바닥부(230)를 배출관부(220)에 끼우면 실링부재(332)가 배출관부(220)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기밀이 유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개폐부재(240)가 배출관부(220)에서 상하로의 이동은 자유롭고, 좌우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기 위하여, 배출관부(220)의 내측면에 중심을 향하여 가이드부재가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돌출된 높이는 개폐부재(240)가 배출관부(220)에서 상하 이동만 할 수 있으면 제한은 없다. 또한, 가이드부재의 개수에 제한은 없다.
또한, 연결부(210), 배출관부(220) 및 바닥부(단, 실링부재 제외)(230)의 재질은 이송관로(4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이송관로(40), 연결부(210), 배출관부(230) 및 바닥부(230)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바닥부(230)는 배출관부(220)와 별개로 제작되어 배출관부(2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로 구조로 도시되어 있으나, 후술할 도 8에서 검토하는 바와 같이, 바닥부는 배출관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관해서는 뒤에서 구체적으로 검토한다.
개폐부재(240)는 바닥부(230)에 형성된 배출구(231)를 개방 또는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응축수의 부력에 의해 개폐부재(240)가 개방위치와 차단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므로, 즉, 응축수의 수위가 기준수위보다 높은 경우에는 개폐부재(240)가 응축수의 부력에 의하여 상승해야 하므로, 개폐부재(240)는 응축수보다 밀도가 작은 소재, 예를 들어 고무 재질과 같은 물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응축수의 수위가 기준수위보다 낮은 경우에는 개폐부재(240)가 배출구(231)를 차단하고 있어야 하기에, 개폐부재(240)는 소정의 자중(自重)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개폐부재(240)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개폐부재(240)의 내부에 물을 소정의 부피만큼 삽입하여 일정 자중을 지니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수위라 함은 응축수의 부력에 의해 개폐부재(240)가 상승(즉, 응축수에 뜨는)할 때의 수위를 의미하며, 이 기준수위는 응축수와 개폐부재(240)의 밀도 차이 및 개폐부재(240)의 자중에 의해 결정된다. 이들은 실험에 의하여 구하여질 수 있다. 개폐부재(240)는 배출관부(220)의 내부에 배치되며, 차단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때, 차단위치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240)가 바닥부(230)에 밀착(접촉)되고, 이에 따라 배출구(231)가 차단되는 위치를 의미하며, 개방위치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240)가 부력으로 인하여 차단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배출구(231)가 개방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응축수 배수장치(200)에 있어서, 이송관로(40)를 유동하는 매립가스에 포함된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배출관부(220)로 유입되어 저장되게 된다.
이때, 이송관로로 유입되는 응축수의 유량이 극히 적어서 배출관부(220) 내에 응축수가 전혀 없는 상태(완전히 증발한 상태), 즉, 도 4의 상태에서는 개폐부재(240)의 자중에 의해 개폐부재(240)가 바닥부(230)에 밀착되고, 이에 따라 배출구(231)가 차단된다. 따라서, 응축수 배수장치가 매립된 땅속에서 발생하는 외부가스가 이송관로(40)로 역류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배출관부(220) 내에 응축수가 어느 정도 저장은 되었으나, 응축수의 수위가 기준수위보다 낮은 경우, 즉 도 5의 상태에서는 개폐부재(240)가 여전히 배출구(231)를 차단하므로 응축수(W)가 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특별한 경우, 즉, 매립가스에 포함된 응축수의 양이 극히 적어서 배출관부(220) 내의 응축수가 완전히 증발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배출관부(220) 내에서 일정 수준의 응축수가 저장되며, 따라서 매립가스에 포함된 수분(응축수)의 응집이 용이하게 되는 추가적인 효과가 있다.
한편, 배출관부(220) 내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가 기준수위보다 높은 상태, 즉 도 6의 상태에서는 응축수(W)의 부력에 의해 개폐부재(240)가 개방위치로 상승하며, 이에 따라 배출구(231)가 개방되어 배출구를 통해 응축수(W)가 배출된다. 그리고, 응축수(W)의 배출에 의해 응축수(W)의 수위가 기준수위보다 낮아지면, 다시 도 5의 상태와 같이 개폐부재(240)가 하강되고, 이에 따라 응축수(W)가 일정 수준의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관부(220) 내의 응축수가 완전히 증발하더라도 개폐부재(240)에 의해 배출구(231)가 차단되므로, 땅속의 외부가스가 이송관로(40)로 역류되는 것이 방지되어 이송배관 기능의 유지가 가능하다. 그리고 응축수가 완전히 증발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배출관부(220) 내에서 응축수가 일정 수위로 유지되므로, 매립가스에 포함된 수분(응축수)의 응집이 용이해진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출관부의 배출구(231)는 개폐부재(240)가 자중에 의해 바닥부(230)에 밀착됨으로써 차단된다. 이때, 배출구의 차단이 보다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개폐부재(240)에서 바닥부(230)에 접촉되는 부분, 즉 개폐부재(240)의 하면을 탄성을 가지는 소재, 예를 들어 고무 또는 기밀을 용이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실리콘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폐부재(240)의 하면이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면, 바닥부(230)와의 접촉 시 개폐부재(240)의 하면이 변형되면서 바닥부(230)에 완전히 밀착되게 되고, 이에 따라 배출구(231)가 완전히 차단되어 가스의 역류를 더욱더 방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재질이 개폐부재(240)의 하면뿐만 아니라 전체를 감쌀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수장치(200A)에서 특징이 되는 부분에 관해서 설명한다. 먼저, 바닥부(230A)에는 배출구(231A)가 관통 형성되는데, 이때 배출구(231A)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바닥부(230A)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바닥부(230A)의 상면은 가장자리로부터 배출구(231A)쪽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개폐부재(240A)는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관부(220A)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가 기준수위보다 낮은 상태에서는, 개폐부재(240A)가 자중에 의해 바닥부(230A)를 따라 굴러서 배출구(231A)에 끼워지게 되며, 이에 따라 배출구(231A)가 안정적으로 차단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응축수 배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개폐부재(240B)의 하면에는 접촉부(241)가 마련되어 있다. 접촉부(241)는 바닥부(230B)에 형성된 배출구(231B)의 형상에 대응되는 고리 형상, 예를 들어 배출구(231B)가 원형인 경우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폐부재(240B)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개폐부재(240B)가 차단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접촉부(241)는 배출구(231B)를 둘러싸면서 바닥부(230B)에 밀착되며, 이에 따라 배출구(231B)가 차단된다. 이때, 접촉부(241)를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하면, 바닥부(230B)에 밀착 시 접촉부(241)가 변형되면서 바닥부(230B)에 완전히 밀착되며, 이에 따라 배출구(231B)가 완벽하게 차단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바닥부(230C)에는 접촉돌기(234)가 마련되어 있다. 접촉돌기(234)는 배출구(231C)를 감싸도록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개폐부재(240C)가 차단위치에 배치되면, 접촉돌기(234)가 개폐부재(240C)의 하면에 밀착되고, 이에 따라 배출구(231C)가 차단된다.
그리고, 도 8 및 도 9에 나타난 실시예에 따르면, 개폐부재가 차단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개폐부재의 하면 중 배출구를 둘러싸는 일부의 영역, 즉 도 6에서는 개폐부재의 접촉부(241)이고 도 9에서는 접촉돌기(234)에 접촉되는 영역만이 바닥부와 접촉되게 된다. 따라서, 개폐부재의 모든 하중이 접촉되는 일부의 영역에 집중되고, 이에 따라 개폐부재가 바닥부에 더욱더 견고하게 밀착되며, 그 결과 배출구가 더욱더 완벽하게 차단되므로 가스의 역류가 완전하게 방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응축수 배수장치는 밀착력 인가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밀착력 인가유닛은 배출관부 내에 응축수가 전혀 없을 때에도, 개폐부재를 더욱 바닥부에 밀착시켜 가스가 역류하는 것을 보다 더 완벽하게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개폐부재의 자중에 의해서 개폐부재와 바닥부이 밀착되고, 이에 따라 배출구가 차단되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개폐부재의 하중만으로 밀착된 경우 개폐부재와 바닥부 사이에 미세 틈이 발생하고, 이 틈으로 가스가 역류할 가능성이 있다.
밀착력 인가유닛은 이와 같은 가스의 역류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밀착력 인가유닛으로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채용된다. 스프링의 일측 단부는 연결부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개폐부재의 상면에 지지되어, 개폐부재를 바닥부 쪽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며(즉, 개폐부재에 힘을 인가함), 이에 따라 개폐부재가 바닥부에 더욱더 견고하게 밀착되어 배출구가 완벽하게 차단된다.
그리고, 배출관부 내에 응축수가 일정 수위 이상으로 저장되면, 부력에 의해 개폐부재가 상승하고(이때, 스프링은 수축), 이에 따라 배출구가 개방된다.
이때, 중요하게 고려할 점은 응축수에 의한 부력에 의해 개폐부재가 상승할 수 있도록 스프링의 탄성력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인데, 스프링의 탄성력은 스프링의 재료(탄성계수), 길이 및 개수 등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이송관로 내부를 흐르는 매립가스와 매립가스에 포함된 응축수에 의해 스프링이 부식되지 않도록, 스프링은 내부식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로 스프링을 채용하였으나, 고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고무의 경우 압축력을 인가할 수 없고 인장력만을 인가할 수 있으므로, 설치방식이 다소 변경될 필요성은 있다. 예를 들어, 고무의 일단부는 바닥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개폐부재에 연결되어, 개폐부재를 바닥부쪽으로 당기도록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앞서 검토한 실시예에서는 바닥부가 배출관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부가 배출관부에 일체로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수장치(300)는 연결부(310)와, 배출관부(320)와, 바닥부(330)와, 개폐부재(340)를 포함한다.
연결부(310)는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부(310)의 양측 단부는 이송관로(40)에 각각 연결되며, 이에 따라 연결부(210)와 이송관로(40)가 서로 연통된다.
배출관부(320)는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결부(3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배출관부(320)는 연결부(310)의 중앙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이에 따라 연결부(310) 및 배출관부(320)는 'T'자 형상을 형성한다. 배출관부(320)의 상단부는 개방되어 연결부(210)와 연통된다.
바닥부(330)는 배출관부(320)의 하단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바닥부(330)의 중앙에는 응축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331)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개폐부재(340)는 바닥부(230)에 형성된 배출구(231)를 개방 또는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2 내지 도 6과 비교하여 바닥부의 구조만 상이할 뿐, 응축수의 배출 및 외부가스가 차단되는 원리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7 내지 도 9에서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도 바닥부의 구조만 상이할 뿐, 그 원리가 그대로 적용되기에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수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수장치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응축수 배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3 내지 도 15는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된 걸림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닥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8 내지 도 21은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된 응축수 배수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수장치(400)는 연결부(410)와, 배출관부(420)와, 걸림부(430)와, 바닥부(440)와, 개폐부재(450)를 포함한다.
연결부(410), 배출관부(420) 및 바닥부(440)는 도 2 내지 도 10에서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걸림부(430)는 배출관부(4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배출관부(420)의 내부에 결합된다. 걸림부(430)는 배출관부(420) 내에서 후술할 바닥부(440) 및 개폐부재(450)보다 상단에 위치한다. 걸림부(430)에는 그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유입구(431)가 마련되어 있으며, 걸림부(430)의 측면에는 예를 들어, 오링과 같은 실링부재(432)가 마련되어 있다. 도 12에서 유입구(431)가 한 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개수에는 제한은 없다. 유입구(431)는 후술할 개폐부재(450)가 연결부(4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크기는 개폐부재(450)의 일면보다 작아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걸림부(430)에서 실링부재(432)가 생략될 수도 있다. 걸림부(430)가 배출관부(4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끼워져 기밀만 유지할 수 있으면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점검 등과 같은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응축수 배수장치에 큰 흡입압력이 형성되는 경우, 걸림부(430)는 개폐부재(450)가 연결부(4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입구(431)를 차단함으로써, 외부의 침출수, 매립가스 또는 공기 등의 이물질이 연결부(410)를 통하여 이송관로(4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폐기물 자체에서 발생되거나 강우 등으로 인하여 폐기물 층으로 유입되어 발생되는 침출수가 응축수 배수장치 주변에 포설된 골재로 유입되거나 응축수 배수장치의 주변의 배수가 원활하지 않는 경우, 개폐부재(450)가 후술할 개방위치에 위치하더라도 응축수가 배출되지 않아 수위가 더 오르게 된다. 이 경우, 응축수의 수위가 계속 상승하여 연결부(410)를 통하여 이송관로(40)로 유입될 수도 있는데, 걸림부(430)의 유입구(431)는 개폐부재(450)로 차단되게 되므로, 응축수의 이송관로로의 유입을 차단할 수가 있다.
도 13 및 도 14는 걸림부(430)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경우로, 유입구(431)의 크기가 다르게 도시되어 있다. 유입구(431)의 크기는 배관공사에서 발생하는 찌꺼기의 배출, 유입되는 응축수의 양 등을 고려하여 유입구(431)의 크기를 결정될 수 있다. 유입구(431)의 크기 및 형상은 개폐부재(450)를 차단할 수 있으면, 그 형상 및 크기에 제한은 없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430)의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유입구(431)의 크기보다 하면의 개구부(235)가 더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유입구(431)의 크기는 개폐부재(450)의 일면보다 작아야 하나, 개구부(234)의 크기는 개폐부재(450)의 일면보다 클 수 있다. 도 13 또는 도 14에서의 개폐부재(450)의 걸림위치(233)는 도 15에서의 개폐부재(450)의 걸림위치(234)보다 하부에 위치한다.
도 16 및 도 17은 바닥부(440)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경우로, 배출구(441)의 크기가 다르게 도시되어 있다. 배출구(441)의 크기는 배관공사에서 발생하는 찌꺼기의 배출, 배출되는 응축수의 양 등을 고려하여 배출구(441)의 크기를 결정될 수 있다. 배출구(441)의 크기 및 형상은 개폐부재(450)로 응축수 배출을 차단할 수 있으면, 그 형상 및 크기에 제한은 없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응축수 배수장치(400)에 있어서, 배출관부(420) 내로 걸림부(430)를 넣고, 그 아래에 후술할 개폐부재(450)를 넣은 후, 바닥부(440)를 배출관부(420)에 끼우면 실링부재(432, 442)가 배출관부(420)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기밀이 유지된다.
또한, 연결부(410), 배출관부(420), 걸림부(430) 및 바닥부(단, 실링부재 제외)(440)의 재질은 이송관로(4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이송관로(40), 연결부(410), 배출관부(430), 걸림부(430) 및 바닥부(440)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걸림부(430) 및 바닥부(440)는 배출관부(420)와 별개로 제작되어 배출관부(4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로의 구조로 도시되어 있으나, 후술할 도 25에서 검토하는 바와 같이, 걸림부 및 바닥부 중 적어도 하나는 배출관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관해서는 뒤에서 구체적으로 검토한다.
개폐부재(450)는 바닥부(440)에 형성된 배출구(441)를 개방 또는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개폐부재(450)의 형상 및 재질은 도 2 내지 도 9에서의 개폐부재(240)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응축수의 부력에 의해 개폐부재(450)가 개방위치와 차단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므로, 즉, 응축수의 수위가 기준수위보다 높은 경우에는 개폐부재(450)가 응축수의 부력에 의하여 상승해야 하므로, 개폐부재(450)는 응축수보다 밀도가 작은 소재, 예를 들어 고무 재질과 같은 물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응축수의 수위가 기준수위보다 낮은 경우에는 개폐부재(450)가 배출구(441)를 차단하고 있어야 하기에, 개폐부재(450)는 소정의 자중(自重)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개폐부재(450)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개폐부재(450)의 내부에 물을 소정의 부피만큼 삽입하여 일정 자중을 지니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수위라 함은 응축수의 부력에 의해 개폐부재(450)가 상승(즉, 응축수에 뜨는)할 때의 수위를 의미하며, 이 기준수위는 응축수와 개폐부재(450)의 밀도 차이 및 개폐부재(450)의 자중에 의해 결정된다. 이들은 실험에 의하여 구하여질 수 있다. 개폐부재(450)는 배출관부(420)의 내부에 배치되며, 차단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때, 차단위치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450)가 바닥부(440)에 밀착(접촉)되고, 이에 따라 배출구(441)가 차단되는 위치를 의미하며, 개방위치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450)가 부력으로 인하여 차단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배출구(441)가 개방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응축수 배수장치(400)에 있어서, 이송관로(40)를 유동하는 매립가스에 포함된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배출관부(420)로 유입되어 저장되게 된다.
이때, 이송관로로 유입되는 응축수의 유량이 극히 적어서 배출관부(420) 내에 응축수가 전혀 없는 상태(완전히 증발한 상태), 즉, 도 18의 상태에서는 개폐부재(450)의 자중에 의해 개폐부재(450)가 바닥부(440)에 밀착되고, 이에 따라 배출구(441)가 차단된다. 따라서, 응축수 배수장치가 매립된 땅속에서 발생하는 외부가스가 이송관로(40)로 역류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배출관부(420) 내에 응축수가 어느 정도 저장은 되었으나, 응축수의 수위가 기준수위보다 낮은 경우, 즉 도 19 상태에서는 개폐부재(450)가 여전히 배출구(441)를 차단하므로 응축수(W)가 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특별한 경우, 즉, 매립가스에 포함된 응축수의 양이 극히 적어서 배출관부(420) 내의 응축수가 완전히 증발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배출관부(420) 내에서 일정 수준의 응축수가 저장되며, 따라서 매립가스에 포함된 수분(응축수)의 응집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배출관부(420) 내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가 기준수위보다 높은 상태, 즉 도 20의 상태에서는 응축수(W)의 부력에 의해 개폐부재(450)가 개방위치로 상승하며, 이에 따라 배출구(441)가 개방되어 배출구를 통해 응축수(W)가 배출된다. 그리고, 응축수(W)의 배출에 의해 응축수(W)의 수위가 기준수위보다 낮아지면, 다시 도 19의 상태와 같이 개폐부재(450)가 하강되고, 이에 따라 응축수(W)가 일정 수준의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외부의 흡입 압력 또는 개폐부재(450)가 상승하지만 응축수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거나 침출수에 의해 수위를 형성하는 이유로 인하여, 개폐부재(450)가 상승하여 걸림위치에 있는 경우, 즉 도 21의 상태에서는 개폐부재(450)가 유입구(431)를 막아, 외부의 침출수, 매립가스, 공기 또는 저장된 응축수의 연결부(410)로의 유입을 차단한다.
이때, 걸림위치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450)가 걸림부(430)의 하면에 밀착(접촉)되고, 이에 따라 유입구(431)가 차단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관부(420) 내의 응축수가 완전히 증발하더라도 개폐부재(440)에 의해 배출구(431)가 차단되므로, 땅속의 외부가스가 이송관로(40)로 역류되는 것이 방지되어 이송배관 기능의 유지가 가능하다. 그리고 응축수가 완전히 증발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배출관부(420) 내에서 응축수가 일정 수위로 유지되므로, 매립가스에 포함된 수분(응축수)의 응집이 용이해진다. 또한, 외부 흡입 압력 또는 개폐부재(450)가 상승하지만 응축수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거나 침출수에 의해 수위를 형성하는 이유로 인하여 개폐부재(450)가 상승하더라도, 유입구(431)가 차단되므로, 땅속의 외부가스, 침출수, 공기 또는 저장된 응축수의 역류를 방지하여 이송배관 기능의 유지가 가능하다.
본 발명들에 의하면, 배출관부의 길이, 즉, 응축수 배수장치의 수직방향 길이가 짧고 장치가 간단하여 시공이 용이하고, 설치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응축수 배수장치의 수직방향 길이가 짧아 침하에 따른 영향을 적게 받음으로써 쓰레기 매립장용 가스이송장치의 기능 손상이 적다.
또한, 종래와 같이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밸브를 통해 응축수의 배출 또는 차단에 제어되는 것이 아니라, 응축수에 의해 발생되는 부력에 의해 자동으로 응축수가 배출 또는 차단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고가의 밸브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장치의 가격경쟁력이 향상되고, 밸브의 고장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모든 문제점들이 제거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수장치(400A)에서 특징이 되는 부분에 관해서 설명한다. 먼저, 바닥부(440A)에는 배출구(441A)가 관통 형성되는데, 이때 배출구(441A)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바닥부(440A)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바닥부(440A)의 상면은 가장자리로부터 배출구(441A)쪽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개폐부재(450A)는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관부(420A)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가 기준수위보다 낮은 상태에서는, 개폐부재(450A)가 자중에 의해 바닥부(440A)를 따라 굴러서 배출구(431A)에 끼워지게 되며, 이에 따라 배출구(441A)가 안정적으로 차단된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응축수 배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개폐부재(450B)의 하면에는 접촉부(451)가 마련되어 있다. 접촉부(451)는 바닥부(440B)에 형성된 배출구(441B)의 형상에 대응되는 고리 형상, 예를 들어 배출구(441B)가 원형인 경우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폐부재(450B)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개폐부재(450B)가 차단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접촉부(451)는 배출구(441B)를 둘러싸면서 바닥부(440B)에 밀착되며, 이에 따라 배출구(441B)가 차단된다. 이때, 접촉부(451)를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하면, 바닥부(440B)에 밀착 시 접촉부(451)가 변형되면서 바닥부(440B)에 완전히 밀착되며, 이에 따라 배출구(441B)가 완벽하게 차단된다.
도 24를 참조하면, 바닥부(440C)에는 접촉돌기(244)가 마련되어 있다. 접촉돌기(244)는 배출구(441C)를 감싸도록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개폐부재(450C)가 차단위치에 배치되면, 접촉돌기(244)가 개폐부재(450C)의 하면에 밀착되고, 이에 따라 배출구(441C)가 차단된다.
그리고,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난 실시예에 따르면, 개폐부재가 차단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개폐부재의 하면 중 배출구를 둘러싸는 일부의 영역, 즉 도 23에서는 개폐부재의 접촉부(451)이고 도 24에서는 접촉돌기(244)에 접촉되는 영역만이 바닥부와 접촉되게 된다. 따라서, 개폐부재의 모든 하중이 접촉되는 일부의 영역에 집중되고, 이에 따라 개폐부재가 바닥부에 더욱더 견고하게 밀착되며, 그 결과 배출구가 더욱더 완벽하게 차단되므로 가스의 역류가 완전하게 방지된다.
한편, 앞서 검토한 실시예에서는 바닥부가 배출관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부가 배출관부에 일체로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수장치(500)는 연결부(510)와, 배출관부(520)와, 걸림부(530)와, 바닥부(540)와, 개폐부재(550)를 포함한다.
연결부(510)는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부(510)의 양측 단부는 이송관로(40)에 각각 연결되며, 이에 따라 연결부(510)와 이송관로(40)가 서로 연통된다.
배출관부(520)는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결부(5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배출관부(520)는 연결부(510)의 중앙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이에 따라 연결부(510) 및 배출관부(520)는 'T'자 형상을 형성한다. 배출관부(520)의 상단부는 개방되어 연결부(510)와 연통된다.
걸림부(530)는 배출관부(520)의 내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바닥부(540) 및 개폐부재(550) 보다는 상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부(530)의 중앙에는 응축수의 유입 및 개폐부재(550) 차단을 위한 유입구(531)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540)는 배출관부(520)의 하단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바닥부(540)의 중앙에는 응축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541)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개폐부재(550)는 걸림부(530)에 형성된 유입구(531)를 차단하고, 바닥부(540)에 형성된 배출구(541)를 개방 또는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본 도면에서는 걸림부(530) 및 바닥부(540) 전체가 배출관부(5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걸림부(530) 또는 바닥부(540) 하나만 배출관부(5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1 내지 도 21과 비교하여 걸림부 및 바닥부의 구조만 상이할 뿐, 응축수의 배출 및 외부가스가 차단되는 원리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22 내지 도 24에서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도 바닥부의 구조만 상이할 뿐, 그 원리가 그대로 적용되기에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5)

  1. 쓰레기 매립층에서 발생되는 매립가스가 유동되는 이송관로에 설치되어 상기 매립가스에 포함된 응축수를 상기 매립가스와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송관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이송관로에 설치되는 연결부;
    중공의 형상으로 상기 연결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와 연통되는 배출관부;
    상기 배출관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응축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바닥부; 및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상기 차단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배출관부 내부에 설치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부에 저장된 상기 응축수의 수위가 기준수위보다 낮은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차단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배출관부에 저장된 상기 응축수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보다 높은 상태에서는 상기 응축수에 의해 발생되는 부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응축수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배출관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배출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의 양측 단부에 상기 이송관로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배출관부는 상기 연결부의 중앙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와 상기 배출관부는 'T'자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위치에서 상기 바닥부에 밀착되는 상기 개폐부재의 하면은, 상기 바닥부와의 밀착 시 변형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의 자중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배출구 쪽으로 구를 수 있도록, 상기 바닥부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차단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재의 하면 중 상기 배출구를 둘러싸는 일부의 영역만이 상기 바닥부에 밀착되면서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배출구의 형상에 대응되는 고리 형상을 가지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접촉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부가 상기 배출구를 감싸면서 상기 바닥부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배출구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수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배출구를 감싸도록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방으로 돌출되는 접촉돌기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부재의 하면이 상기 접촉돌기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배출구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수장치.
  10. 쓰레기 매립층에서 발생되는 매립가스가 유동되는 이송관로에 설치되어 상기 매립가스에 포함된 응축수를 상기 매립가스와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송관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이송관로에 설치되는 연결부;
    중공의 형상으로 상기 연결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와 연통되는 배출관부;
    상기 배출관부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응축수의 유입을 위한 유입구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
    상기 배출관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응축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바닥부; 및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상기 차단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를 거쳐 상기 유입구를 차단하는 걸림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배출관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부에 저장된 상기 응축수의 수위가 기준수위보다 낮은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차단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배출관부에 저장된 상기 응축수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보다 높은 상태에서는 상기 응축수에 의해 발생되는 부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응축수가 배출되고, 상기 개폐부재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걸림부에 의하여 상기 걸림 위치까지만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수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 및 상기 바닥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배출관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수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 및 상기 바닥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배출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수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의 양측 단부에 상기 이송관로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배출관부는 상기 연결부의 중앙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와 상기 배출관부는 'T'자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수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위치에서 상기 바닥부에 밀착되는 상기 개폐부재의 하면은, 상기 바닥부와의 밀착 시 변형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수장치.
  15. 쓰레기 매립층에 소정 깊이로 매설되어, 상기 쓰레기 매립층에서 발생하는 매립가스를 포집하는 가스포집관;
    상기 가스포집관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포집관에 포집된 매립가스를 인출하는 이송관로; 및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되어 있는 응축수 배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매립장용 가스이송장치.
PCT/KR2013/006625 2012-07-24 2013-07-24 응축수 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쓰레기 매립장용 가스이송장치 WO201401782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818A KR101230111B1 (ko) 2012-07-24 2012-07-24 응축수 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쓰레기 매립장용 가스이송장치
KR10-2012-0080818 2012-07-24
KR1020130010366A KR101293371B1 (ko) 2013-01-30 2013-01-30 개폐부재를 이용한 응축수 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스이송장치
KR10-2013-0010366 2013-0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17823A1 true WO2014017823A1 (ko) 2014-01-30

Family

ID=49997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6625 WO2014017823A1 (ko) 2012-07-24 2013-07-24 응축수 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쓰레기 매립장용 가스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401782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50258A (zh) * 2017-08-08 2017-11-17 深圳市中兰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垃圾填埋气收集系统的泄水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304Y1 (ko) * 2004-03-05 2004-06-04 (주)후상리모텍 수봉장치의 첵크밸브와 이를 이용한 수봉장치
KR100526394B1 (ko) * 2005-05-30 2005-11-03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응축수 배수장치를 구비한 쓰레기 매립장용 가스배출장치
JP2006266440A (ja) * 2005-03-25 2006-10-05 Koichi Araki 可燃ガス配管用エアパージ具
KR101105441B1 (ko) * 2009-11-04 2012-01-1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압가스 배관의 안전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304Y1 (ko) * 2004-03-05 2004-06-04 (주)후상리모텍 수봉장치의 첵크밸브와 이를 이용한 수봉장치
JP2006266440A (ja) * 2005-03-25 2006-10-05 Koichi Araki 可燃ガス配管用エアパージ具
KR100526394B1 (ko) * 2005-05-30 2005-11-03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응축수 배수장치를 구비한 쓰레기 매립장용 가스배출장치
KR101105441B1 (ko) * 2009-11-04 2012-01-1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압가스 배관의 안전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50258A (zh) * 2017-08-08 2017-11-17 深圳市中兰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垃圾填埋气收集系统的泄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23217A2 (ko) 맨홀 커버 조립체
US6644342B1 (en) Modular integrated wastewater lift station construction kit
WO2020116854A1 (ko) 스마트팜과 건축물 냉난방을 위한 단일 급수방식을 이용한 지열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CN107355242B (zh) 隧道防排水系统
KR101293371B1 (ko) 개폐부재를 이용한 응축수 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스이송장치
WO2014017823A1 (ko) 응축수 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쓰레기 매립장용 가스이송장치
WO2012063996A1 (en) Sump device for improving water quality
AU2014200967B2 (en) A Pipeline Leak Detection System
WO2012033297A2 (ko) 오배수 통기밴트
WO2017065465A1 (ko) 태양광 발전장치
JP2012219582A (ja) 防臭式インバートのマンホール及び汚水桝
KR101230111B1 (ko) 응축수 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쓰레기 매립장용 가스이송장치
US865112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solating a section of fluid line
WO2016010316A1 (ko) 무동력 역류 방지 장치
CN100410457C (zh) 组合管件式检查井
WO2015034124A1 (ko) 오배수 배관용 에어벤트
KR100792577B1 (ko) 스팀배관 맨홀용 스틸챔버
KR100640143B1 (ko) 관정 시설물 보호장치
CN213089146U (zh) 一种用于炼化厂管线漏喷后的抢修防喷装置
CN219471157U (zh) 一种用于排水沟渠下方的排污管密封检查井构造
KR20150010246A (ko) 관로용 통합관리 맨홀
CN206694841U (zh) 一种注射用泮托拉唑钠配液系统排水空气隔断
CN218862671U (zh) 隧道洞内排水结构
KR102636030B1 (ko) 기체 이송배관용 응축수 배출장치
KR102110468B1 (ko) 지중송전 케이블의 누전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232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232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