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03479A1 - Aid 재할당 방법 및 aid 재할당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Aid 재할당 방법 및 aid 재할당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03479A1
WO2014003479A1 PCT/KR2013/005756 KR2013005756W WO2014003479A1 WO 2014003479 A1 WO2014003479 A1 WO 2014003479A1 KR 2013005756 W KR2013005756 W KR 2013005756W WO 2014003479 A1 WO2014003479 A1 WO 201400347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id
request
terminal
aid reassignment
reass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575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양석
김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CN201380034845.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4412631B/zh
Priority to US14/411,302 priority patent/US9913162B2/en
Priority to JP2015520045A priority patent/JP5982571B2/ja
Priority to CN201810790395.8A priority patent/CN108834135B/zh
Publication of WO201400347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03479A1/ko
Priority to US15/875,075 priority patent/US1029915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1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1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 H04W28/022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power availability or consum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Abstract

무선랜 시스템을 최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AID 재할당 방법 및 AID 재할당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AID 재할당 요청을 위한 재연결 요청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한 재연결 요청 프레임을 현재 결합된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단계 및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AID 재할당 정보를 포함한 재연결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단말의 특성 변경에 따라 현재 결합된 단말의 AID를 동적으로 재할당 할 수 있어 무선랜 시스템을 최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AID 재할당 방법 및 AID 재할당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의 특성 변경에 따라 무선랜 시스템을 최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AID 재할당 방법 및 AID 재할당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서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은 무선 주파수 기술을 바탕으로 개인용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등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를 사용하여 가정이나 기업 또는 특정 서비스 제공지역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무선랜 기술에 대한 표준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위원회 산하의 IEEE 802.11 WG(Working Group)에 의해 개발되고 표준화된다. IEEE 802.11a는 5 GHz에서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을 이용하여, 54 Mbps의 최대 전송 속도(maximum PHY data rate)를 제공한다. IEEE 802.11b는 2.4 GHz에서 직접 시퀀스 방식(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DSSS)을 적용하여, 11 Mbps의 최대 전송 속도(maximum PHY data rate)를 제공한다. IEEE 802.11g는 2.4 GHz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를 적용하여, 54 Mbps의 최대 전송 속도(maximum PHY data rate)를 제공한다. IEEE 802.11n은 2개의 공간적인 스트림(spatial stream)과 40 MHz 대역폭을 사용했을 때 300 Mbps의 최대 전송 속도(maximum PHY data rate)를 제공하고, 4개의 공간적인 스트림(spatial stream)과 40 MHz의 대역폭을 사용했을 때 600 Mbps의 최대 전송 속도(maximum PHY data rate)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무선랜의 보급이 활성화되고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이 다양화됨에 따라, IEEE 802.11n이 지원하는 데이터 처리 속도보다 더 높은 처리율을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무선랜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초고처리율(very high throughput, VHT) 무선랜 기술은 802.11 무선랜 기술 중 하나로, 1 Gbps 이상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지원하기 위하여 제안되고 있다. 그 중, IEEE 802.11ac는 5 GHz 대역에서 초고처리율 제공을 위한 표준으로서 개발되고 있고, IEEE 802.11ad는 60 GHz 대역에서 초고처리율 제공을 위한 표준으로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랜 기술을 기초로 한 시스템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는 단말의 접속되는 순서대로 개별 AID(Association ID)를 부여하여 단말들을 관리하였다. 그러나, 802.11ah의 사용 예와 같이 6000개 이상의 단말을 지원해야 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특성이 유사한 단말들을 그룹화해서 AID를 부여한 후 관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즉, 액세스 포인트는 복수의 단말을 페이지(page) 단위로 그룹화하고 서로 다른 주기로 팀 요소(TIM element)를 설정함으로써 트래픽 양과 동시 채널 접속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만일 팀(TIM)이 설정되는 주기에 트래픽의 과부하가 발생하는 경우 특정 페이지 그룹의 단말 중 일부를 다른 페이지로 변경하기 위해 AID를 재할당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단말의 서비스 타입이 변경된 경우, 단말의 트래픽 특성이 변경된 경우 이에 상응하도록 재할당할 필요성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으로 인해 AID 할당 요청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AID 할당에 관한 구체적인 방법은 아직 비공개 상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의 특성 변경에 따라 무선랜 시스템을 최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AID 재할당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AID 재할당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팀 스케줄링 방법에 따르면, AID 재할당 요청을 위한 재연결 요청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한 재연결 요청 프레임을 현재 결합된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AID 재할당 정보를 포함한 재연결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AID 재할당 요청을 위한 재연결 요청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AID 재할당 요청 요소를 포함하는 재연결 요청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ID 재할당 요청 요소는, AID 재할당 요청 이유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ID 재할당 요청 이유 필드는, 서비스 타입 변경 정보, 저전력 모드 정보, 리슨 인터벌 변경 정보, 트래픽 패턴 변경 정보 및 잔여 배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재연결 요청 프레임은 서비스 타입 요소(element)를 더 포함하고, 상기 AID 재할당 요청 이유 필드가 상기 서비스 타입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타입 변경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된 서비스 타입을 상기 서비스 타입 요소에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ID 재할당 방법은, AID 재할당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ID 재할당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트래픽 패턴 정보, 배터리 정보 및 서비스 타입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AID 재할당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팀 스케줄링 방법에 따르면, 현재 결합된 단말로부터 재연결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재연결 요청 프레임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AID를 재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재할당한 AID를 포함하는 재연결 응답 프레임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현재 결합된 단말로부터 재연결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결합된 단말로부터 AID 재할당 요청 요소를 포함하는 재연결 요청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ID 재할당 요청 요소는, AID 재할당 요청 이유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재연결 요청 프레임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AID를 재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재연결 요청 프레임에 포함된 현재 AP 주소, SSID 및 상기 AID 재할당 요청 요소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 결과 상기 재연결 요청 프레임이 AID 재할당 요청이면, 상기 AID 재할당 요청 요소에 포함된 상기 AID 재할당 요청 이유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AID를 재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재연결 응답 프레임은, AID 재할당 성공 정보, AID 재할당 실패 정보 및 재할당된 AID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 따르면, 송수신부; 및 AID 재할당 요청을 위한 재연결 요청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재연결 요청 프레임을 현재 결합된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한 후,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AID 재할당 정보를 포함한 재연결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프로세싱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싱부는, AID 재할당 요청 요소를 포함하는 재연결 요청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ID 재할당 요청 요소는, AID 재할당 요청 이유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ID 재할당 요청 이유 필드는, 서비스 타입 변경 정보, 저전력 모드 정보, 리슨 인터벌 변경 정보, 트래픽 패턴 변경 정보 및 잔여 배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싱부는, 상기 단말의 트래픽 패턴 정보, 배터리 정보 및 서비스 타입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AID 재할당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에 따르면,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단말로부터 수신된 AID 재할당 요청 요소를 포함하는 재연결 요청 프레임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AID를 재할당하고, 상기 재할당한 AID를 포함하는 재연결 응답 프레임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프로세싱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AID 재할당 요청 요소는, AID 재할당 요청 이유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싱부는, 상기 재연결 요청 프레임에 포함된 현재 AP 주소, SSID 및 상기 AID 재할당 요청 요소를 확인한 결과 상기 재연결 요청 프레임이 AID 재할당 요청이면, 상기 AID 재할당 요청 요소에 포함된 상기 AID 재할당 요청 이유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AID를 재할당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D 재할당 방법 및 AID 재할당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따르면, 단말의 AID를 재할당할 필요가 있는 경우 AID 재할당 요청 요소를 추가하여 재연결 요청 프레임을 생성하고, 생성한 재연결 요청 프레임을 현재 결합된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한 후,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AID 재할당 정보를 포함한 재연결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다.
따라서, 단말의 특성 변경에 따라 현재 결합된 단말의 AID를 동적으로 재할당 할 수 있어 무선랜 시스템을 최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도 1은 IEEE 802.11 무선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결합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팀 요소 포맷(TIM element format)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파워 세이빙 모드의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계층적 AID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그룹화된 페이지와 서로 다른 주기로 설정된 팀 요소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재연결 요청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에서 수행하는 팀 재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연결 요청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D 재할당 요청 요소 포맷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D 재할당 요청 이유 필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타입 요소 포맷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에서 수행하는 팀 재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할당 응답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D 재할당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D 재할당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스테이션(station, STA)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의 규정을 따르는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와 무선 매체(medium)에 대한 물리 계층(physical layer)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포함하는 임의의 기능 매체를 의미한다. 스테이션(STA)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인 스테이션(STA)과 비-액세스 포인트(non-AP)인 스테이션(STA)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P)인 스테이션(STA)은 단순히 액세스 포인트(AP)로 불릴 수 있고, 비-액세스 포인트(non-AP)인 스테이션(STA)은 단순히 단말(terminal)로 불릴 수 있다.
단말(terminal)은 프로세서(Processor)와 트랜시버(transceiver)를 포함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디스플레이(display) 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프레임을 생성하거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프레임을 처리하도록 고안된 유닛(unit)을 의미하며, 스테이션(STA)을 제어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트랜시버는 프로세서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스테이션(STA)을 위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프레임을 송수신하도록 고안된 유닛을 의미한다.
액세스 포인트(AP)는 집중 제어기, 기지국(base station, BS), 노드-B(node-B), e노드-B, BTS(base transceiver system), 또는 사이트 제어기 등을 지칭할 수 있고, 그 것들의 일부 또는 전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사용자 터미널(User Terminal, UT), 무선 터미널,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AT), 터미널,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SS),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무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이동 노드, 모바일 또는 다른 용어들로서 지칭될 수 있다. 단말기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셀룰러 전화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게이밍 (gaming) 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음악저장 및 재생 가전제품,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브라우징이 가능한 인터넷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능들의 조합들을 통합하고 있는 휴대형 유닛 또는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IEEE 802.11 무선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EEE 802.11 무선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를 포함한다. BSS는 성공적으로 동기화를 이루어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스테이션(STA 1, STA 2(AP 1), STA 3, STA 4, STA 5(AP 2))의 집합을 의미하며, 특정 영역을 의미하는 개념은 아니다.
BSS는 인프라스트럭쳐 BSS(infrastructure BSS)와 독립 BSS(independent BSS, IBSS)로 구분할 수 있으며, BSS 1과 BSS 2는 인프라스트럭쳐 BSS를 의미한다. BSS 1은 단말(STA 1), 분배 서비스(distribu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STA 2(AP 1)) 및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STA 2(AP 1), STA 5(AP 2))를 연결하는 분배 시스템(Distribution System, DS)을 포함할 수 있다. BSS 1에서 액세스 포인트(STA 2(AP 1))는 단말(STA 1)을 관리한다.
BSS 2는 단말(STA 3, STA 4), 분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STA 5(AP 2)) 및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STA 2(AP 1), STA 5(AP 2))를 연결하는 분배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BSS 2에서 액세스 포인트(STA 5(AP 2))는 단말(STA 3, STA 4)을 관리한다.
한편, 독립 BSS는 애드-혹(ad-hoc) 모드로 동작하는 BSS이다. IBSS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중앙에서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개체(centralized management entity)가 존재하지 않는다. 즉, IBSS에서 단말들은 분산된 방식(distributed manner)으로 관리된다. IBSS에서 모든 단말은 이동 단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분배 시스템(DS)으로 접속이 허용되지 않으므로 자기 완비적 네트워크(self-contained network)를 이룬다.
액세스 포인트(STA 2(AP 1), STA 5(AP 2))는 자신에게 결합된(associated) 단말(STA 1, STA 3, STA 4)을 위하여 무선 매체를 통한 분산 시스템(DS)에 대한 접속을 제공한다. BSS 1 또는 BSS 2에서 단말들(STA 1, STA 3, STA 4) 사이의 통신은 일반적으로 액세스 포인트(STA 2(AP 1), STA 5(AP 2))를 통해 이루어지나, 다이렉트 링크(direct link)가 설정된 경우에는 단말들(STA 1, STA 3, STA 4) 간의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쳐 BSS는 분배 시스템(DS)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분배 시스템(DS)을 통하여 연결된 복수의 BSS를 확장 서비스 세트(extended service set, ESS)라 한다. ESS에 포함되는 스테이션들은 서로 통신할 수 있으며, 동일한 ESS 내에서 단말은 끊김 없이 통신하면서 하나의 BSS에서 다른 BSS로 이동할 수 있다.
분배 시스템(DS)은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가 다른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기 위한 메커니즘(mechanism)으로서, 이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는 자신이 관리하는 BSS에 결합되어 있는 단말들을 위해 프레임을 전송하거나, 다른 BSS로 이동한 임의의 단말을 위해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는 유선 네트워크 등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와 프레임을 송수신할 수가 있다. 이러한 분배 시스템(DS)은 반드시 네트워크일 필요는 없으며, IEEE 802.11 표준에 규정된 소정의 분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그 형태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예컨대, 분배 시스템은 메쉬 네트워크(mesh network)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이거나, 액세스 포인트들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물리적인 구조물일 수 있다.
후술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D 재할당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IEEE 802.11 무선랜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더불어 IEEE 802.11 무선랜 시스템뿐만 아니라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 등과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결합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인트라스트럭쳐 BSS에서 단말(STA)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먼저 단말(STA)은 액세스 포인트(AP)와 결합되어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인프라스트럭쳐 BSS에서 단말(STA)의 결합 과정은 크게 1) 액세스 포인트(AP)를 탐지하는 단계(probe step), 2) 탐지된 액세스 포인트(AP)와의 인증 단계(authentication step), 3) 인증된 액세스 포인트(AP)와의 연결 단계(association step)로 구분된다.
단말(STA)은 먼저 탐지 프로세스(process)를 통해 이웃하는 액세스 포인트들(APs)을 탐지할 수 있다. 탐지 프로세스는 수동 스캐닝(passive scanning) 방법과 능동 스캐닝(active scanning) 방법으로 구분된다. 수동 스캐닝 방법은 이웃하는 액세스 포인트들(APs)이 전송하는 비컨을 엿들음(overhearing)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능동 스캐닝 방법은 프로브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을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AP)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대응된 프로브 응답 프레임(probe response frame)을 해당 단말(STA)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STA)은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수신함으로써 이웃하는 액세스 포인트들(APs)의 존재를 알 수 있다.
그 후, 단말(STA)은 탐지된 액세스 포인트(AP)와의 인증을 수행하며, 탐지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APs)과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IEEE 802.11 표준에 따른 인증 알고리즘(algorithm)은 두 개의 인증 프레임을 교환하는 오픈 시스템(open system) 알고리즘, 네 개의 인증 프레임을 교환하는 공유 키(shared key) 알고리즘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인증 알고리즘을 기초로 인증 요청 프레임(authentication request frame)과 인증 응답 프레임(authentication response frame)을 교환하는 과정을 통해, 단말(STA)은 액세스 포인트(AP)와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말(STA)은 인증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APs) 중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AP)를 선택하고,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AP)와 연결 과정을 수행한다. 즉, 단말(STA)은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AP)에 연결 요청 프레임(association request frame)을 전송하고, 연결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AP)는 연결 요청 프레임에 대응된 연결 응답 프레임(association response frame)을 해당 단말(STA)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연결 요청 프레임과 연결 응답 프레임을 교환하는 과정을 통해, 단말(STA)은 액세스 포인트(AP)와 연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비컨에 포함된 TIM의 구성 요소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IEEE 802.11 무선랜 시스템에서, 단말에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비컨(beacon frame) 내의 TIM(traffic indication map)을 사용하여 전송할 데이터가 있음을 단말에 알려준다.
도 3을 참조하면, TIM은 요소 ID(element ID) 필드(field), 길이(length) 필드, 디팀(delivery traffic indication message, DTIM) 카운트(count) 필드, 디팀 주기(DTIM period) 필드, 비트맵 컨트롤(bitmap control) 필드 및 파셜 버츄얼 비트맵(partial virtual bitmap) 필드를 포함한다.
길이 필드는 정보 필드의 길이를 나타낸다. 디팀 카운트 필드는 디팀 이 나타나기 전에 나타나는 비컨의 개수를 나타내며, 디팀 카운트가 0 인 경우 현재 팀(TIM)이 (DTIM)에 해당함을 알려준다. 디팀 카운트 필드는 1 옥텟(octet)으로 구성된다. 디팀 주기 필드는 연속되는 디팀들 간의 비컨 인터벌(interval)의 개수를 나타낸다. 만일 모든 팀(TIM)이 디팀(DTIM)인 경우에 디팀 주기 필드의 값은 1 이다. 디팀 주기 필드는 1 옥텟으로 구성된다.
비트맵 컨트롤 필드는 1 옥텟으로 구성되며, 비트맵 제어 필드 중 비트(bit) 번호 0은 AID(association ID) 0과 연관되는 트래픽 인디케이터 비트(traffic indicator bit)를 의미한다. 이러한 비트가 1로 설정되고 디팀 카운트 필드의 값이 0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멀티캐스트(multicast) 또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 프레임이 액세스 포인트에 버퍼링(buffering)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비트맵 제어 필드 중 나머지 7비트들은 비트맵 오프셋(bitmap offset)을 형성한다.
팀 요소 포맷(TIM element format)dml 길이(Length) 필드가 1 옥텟(octet)을 가지므로, 파셜 버츄얼 비트맵은 최대 251 옥텟(octet)까지 가질 수 있어, 총 2007개(8×251-1)의 단말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파셜 버츄얼 비트맵 필드의 각 비트는 특정 단말을 위해 버퍼링된 트래픽(traffic)과 대응한다. 임의의 단말의 AID가 N인 경우, 상기 임의의 단말을 위해 버퍼링된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으면 파셜 버츄얼 비트맵 필드 중 비트 번호 N은 0으로 설정되고, 상기 임의의 단말을 위해 버퍼링된 트래픽이 존재하면 부분 가상 비트맵 필드 중 비트 번호 N은 1로 설정된다.
도 4는 액세스 포인트의 데이터 전송 과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AP)는 주기적으로 비컨을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하며, 3개의 비컨 간격(interval)으로 디팀(DTIM)이 포함된 비컨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전력 절감 모드(power save mode, PSM)의 단말(STA 1, STA 2)은 주기적으로 깨어나(awake) 비컨을 수신하고, 비컨에 포함된 팀(TIM) 또는 디팀(DTIM)을 확인하여 자신에게 전송될 데이터가 액세스 포인트에 버퍼링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이때, 버퍼링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단말(STA 1, STA 2)은 깨어있는 상태를 유지하여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버퍼링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말(STA 1, STA 2)은 절력 절감 상태(즉, doze 상태)로 돌아간다.
즉, 자신의 AID에 대응하는 팀(TIM) 내의 비트가 1 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단말(STA 1, STA 2)은 자신이 깨어 있고 데이터를 받을 준비가 되어 있음을 알리는 PS(Power Save)-Poll 프레임(또는, 트리거(trigger)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AP)에 전송하고, 액세스 포인트(AP)는 PS-Poll 프레임을 수신함으로써 단말(STA 1, STA 2)이 데이터 수신을 위한 준비가 되었음을 확인하고, 단말(STA 1, STA 2)에 데이터 또는 ACK(acknowledgement)을 전송할 수 있다. ACK을 단말(STA 1, STA 2)에 전송한 경우, 액세스 포인트(AP)는 적절한 시점에 데이터를 단말(STA 1, STA 2)에 전송한다. 한편, 자신의 AID에 대응하는 팀(TIM) 내의 비트가 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단말(STA 1, STA 2)은 전력 절감 상태로 돌아간다.
도 5는 계층적 AID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6은 그룹화된 페이지와 서로 다른 주기로 설정된 팀 요소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 7은 재연결 요청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계층적 AID 구조는 페이지 아이디(Page ID), 블록 인덱스(Block Index), 서브 블록 내 스테이션 비트 포지션 인덱스(STA bit position index in a Sub-Block)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계층적 AID 구조를 통해 2007개 이상의 단말을 팀 비트맵(TIM bitmap)으로 표현하고 관리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는 복수의 단말을 페이지 단위로 그룹화하여 단말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주기로 팀 요소(TIM element)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만일, 페이지1에 속한 단말들의 트래픽 양이 적은 경우 페이지1에 속한 단말들에 대해서는 디팀 비컨에 팀 요소를 설정한다. 또한, 페이지 2에 속한 단말들의 트래픽 양이 많은 경우 페이지2에 속한 단말들에 대해서는 매 비컨에 팀 요소를 설정하여 트래픽 양과 동시에 채널 접속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런데, 페이지 단위로 그룹화된 단말의 서비스 타입이 변경된 경우(예를 들어, 다른 트래픽 패턴을 갖게된 경우), 단말의 잔여 배터리 상황이 변경된 경우, 리슨 인터벌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발생하면 단말의 AID를 재할당할 필요가 있다.
통상적으로 단말은 자신의 AID 재할당을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재연결 요청 프레임(Reassociation Request Frame)을 이용한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재연결 요청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단말이 확장된 서비스 세트(Extended Service Set, ESS) 내 다른 기본 서비스 세트(BSS)의 액세스 포인트에 결합하기 위해 전송하는 프레임이다. 즉, 현재 결합된(associated) 액세스 포인트에 AID 재할당을 요청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든 정보 요소를 포함한 재연결 요청 프레임을 전송할 필요가 없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에서 수행하는 팀 재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100)은 현재 AID 재할당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810).
여기서, 단말(100)은 단말(100)의 트래픽 패턴 정보, 배터리 정보, 서비스 타입 정보 등에 기초하여 AID 재할당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0)은 전송 트래픽 양이 현저히 적어진 경우, 잔여 배터리 양이 미리 설정된 양 이하가 된 경우 이전 보다 더 긴 주기로 깨어나기 위해 AID 재할당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다.
단말(100)은 단계 810을 통해 AID 재할당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AID 재할당 요청 요소를 포함하는 재연결 요청 프레임(Reassociation Request Frame)을 생성한다(S820).
여기서, 단말(100)은 AID 재할당 요청(AID Reassignment Request) 요소(element)를 포함한 재연결 요청 프레임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재연결 요청 프레임은 현재 결합된(associated)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프레임이므로, Capability, Listen Interval, Current AP address, SSID(Service Set Identifier), Supported rates 필드와 상기 AID 재할당 요청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ID 재할당 요청 요소는 요소 아이디(Element ID), 길이(Length), AID 재할당 요청 이유(AID Reassignment cause)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AID 재할당 요청 이유 필드는 서비스 타입 변경(Service Type change) 정보, 저전력 모드 정보(Low Power Mode), 리슨 인터벌 변경(Listen Interval change) 정보, 트래픽 패턴 변경 정보, 잔여 배터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재연결 요청 프레임은 서비스 타입(Service Type) 요소(elemen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재연결 요청 프레임이 서비스 타입 요소를 더 포함하는 경우, 단말(100)은 AID 재할당 요청 이유(AID Reassignment Cause) 필드에 포함된 단말(100)의 서비스 타입 변경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된 서비스 타입을 상기 서비스 타입 요소에 표시하여 추가할 수 있다.
단말(100)은 단계 820을 통해 생성한 재연결 요청 프레임을 현재 결합된 액세스 포인트(200)로 전송한다(S830).
이후, 단말(100)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단계 830을 통해 전송한 재연결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재할당된 AID 를 포함하는 재연결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다(S8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D 재할당 방법에서는 AID 재할당을 요청하는 이유로, 서비스 타입이 변경된 경우, 단말의 잔여 배터리 상황에 따라 저전력 모드로 변경된 경우, 리슨 인터벌을 변경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AID 재할당을 요청하는 이유에 제한은 없다.
이하, 상술한 재연결 요청 프레임 구조, AID 재할당 요청 요소 포맷, AID 재할당 요청 이유 필드 및 서비스 타입 요소 포맷을 도 9 내지 도 12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연결 요청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D 재할당 요청 요소 포맷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D 재할당 요청 이유 필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타입 요소 포맷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단말(100)의 AID를 재할당할 이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결합된 액세스 포인트(200)에 재연결 요청 프레임을 전송한다.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200)는 현재 결합된 액세스 포인트(200)이므로 기존 재연결 요청 프레임에서 Extended Supported Rates, Power Capability, Supported Channels, RSN(Robust Security Network), QoS(Quality of Service) Capability, RM Enabled Capabilities, Mobility Domain 요소들을 제외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100)이 액세스 포인트(200)에 전송하는 재연결 요청 프레임은 Capability, Listen Interval, Current AP address, SSID, Supported rates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AID 재할당을 요청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AID 재할당 요청(AID Reassignment Request), 서비스 타입(Service Type) 요소를 포함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AID 재할당 요청 요소는 1 옥텟의 요소 아이디(Element ID), 1 옥텟의 길이(Length) 및 1 옥텟의 AID 재할당 요청 이유(AID Reassignment Cause)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AID 재할당 요청 이유(AID Reassignment Cause) 필드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ID 재할당을 요청하는 이유가 비트(bit) 단위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AID 재할당 요청 이유 필드는 (1)서비스 타입 변경 즉 응용 계층의 서비스 타입이 변경된 경우(예를 들어 트래픽 패턴 변경), (2)단말의 잔여 배터리 상황에 따라 저전력 모드(Low Power Mode)로 변경된 경우, (3)리슨 인터벌을 변경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AID를 재할당할 필요가 있는 경우라면 추가적으로 AID 재할당 요청 이유 필드에 추가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AID 재할당을 요청하는 이유가 서비스 타입이 변경된 경우 변경된 서비스 타입을 도 9에 도시된 재연결 요청 프레임 중 서비스 타입 요소에 표시하여 추가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타입 요소는 요소 아이디(Element ID), 길이(Length) 및 서비스 타입(Service Type)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에서 수행하는 팀 재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할당 응답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200)는 단말(100)로부터 AID 재할당 요청 요소를 포함하는 재연결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다(S1310).
여기서, AID 재할당 요청 요소는 AID 재할당을 요청하는 이유를 나타내는 AID 재할당 요청 이유(AID Reassignment Cause)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ID 재할당 요청 이유 필드는 서비스 타입 변경(Service Type change) 정보, 저전력 모드 정보(Low Power Mode), 리슨 인터벌 변경(Listen Interval Change) 정보, 트래픽 패턴 변경 정보 및 잔여 배터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0)는 단계 1310을 통해 수신된 재연결 요청 프레임에 포함된 AP address, SSID 및 AID 재할당 요청 요소를 확인하고(S1320), 확인 결과 수신된 재연결 요청 프레임이 AID 재할당 요청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330).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200)는 AP address, SSID의 확인을 통해 단말(100)이 현재 결합된 단말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AID 재할당 요청 요소 확인을 통해 재연결 요청 프레임이 AID 재할당 요청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0)는 단계 1330읕 통해 수신된 재연결 요청 프레임이 AID 재할당 요청이면, AID 재할당 요청 요소에 포함된 AID 요청 이유에 기초하여 단말(100)의 AID를 재할당한다(S1340).
구체적으로, 액세스 포인트(200)는 AID 요청 이유가 단말(100)의 트래픽 양이 증가한 경우라면 매 비컨마다 단말(100)이 깨어날 수 있도록 AID를 재할당할 수 있다. 또는, 단말(100)의 트래픽 양이 감소한 경우라면 이전 보다 더 긴 주기 마다 단말(100)이 깨어날 수 있도록 AID를 재할당할 수 있다. 또는, 단말(100)의 잔여 배터리가 얼마 남지 않거나, 리슨 인터벌을 길게 할 필요성이 발생한 경우 이전 보다 더 긴 주기 마다 단말(100)이 깨어날 수 있도록 AID를 재할당할 수도 있다.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200)는 AID 재할당 결과를 도 7에 도시된 재연결 응답 프레임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액세스 포인트(200)는 Status code에 AID 재할당 성공 또는 실패 여부를 표시하고, AID 필드에 재할당된 AID 값을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액세스 포인트(200)는 단계 1340을 통해 재할당한 AID를 포함하는 재연결 응답 프레임을 단말(100)로 전송한다(S13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D 재할당 방법에 따르면, 재연결 요청 프레임에 일부 필드를 추가하여 현재 결합된 단말의 AID를 동적으로 재할당할 수 있어 무선랜 시스템을 최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후술되는 구성요소들은 물리적인 구분이 아니라 기능적인 구분에 의해서 정의되는 구성요소들로서 각각이 수행하는 기능들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 및/또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 및 프로세싱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두 개 이상의 구성요소의 기능이 하나의 구성요소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에서 구성요소에 부여되는 명칭은 각각의 구성요소를 물리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각각의 구성요소가 수행하는 대표적인 기능을 암시하기 위해서 부여된 것이며, 구성요소의 명칭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지 않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D 재할당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송수신부(110) 및 프로세싱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10)는 프로세싱부(120)의 제어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200) 또는 다른 단말과 통신을 수행한다.
프로세싱부(120)는 현재 AID 재할당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프로세싱부(120)는 단말(100)의 트래픽 패턴 정보, 배터리 정보, 서비스 타입 정보 등에 기초하여 AID 재할당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부는 AID 재할당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AID 재할당 요청 요소를 포함하는 재연결 요청 프레임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싱부(120)는 AID 재할당 요청(AID Reassignment Request) 요소(element)를 포함한 재연결 요청 프레임을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재연결 요청 프레임은 현재 결합된 액세스 포인트(200)로 전송하는 프레임이므로 Capability, Listen Interval, Current AP address, SSID(Service Set Identifier), Supported rates 필드와 상기 AID 재할당 요청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ID 재할당 요청 요소는 AID 재할당 요청 이유(AID Reassignment cause)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AID 재할당 요청 이유 필드는 서비스 타입 변경(Service Type change) 정보, 저전력 모드 정보(Low Power Mode), 리슨 인터벌 변경(Listen Interval change) 정보, 트래픽 패턴 변경 정보, 잔여 배터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부(120)는 재연결 요청 프레임에 서비스 타입(Service Type) 요소(element)가 포함된 경우, AID 재할당 요청 이유(AID Reassignment Cause) 필드에 포함된 단말(100)의 서비스 타입 변경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된 서비스 타입을 상기 서비스 타입 요소에 표시하여 추가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부(120)는 생성한 재연결 요청 프레임을 송수신부(110)를 통해 현재 결합된 액세스 포인트(200)로 전송한다.
또한, 프로세싱부(120)는 송수신부(110)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 재할당된 AID 를 포함하는 재연결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D 재할당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은, AID 재할당을 요청하는 이유로, 서비스 타입이 변경된 경우, 단말의 잔여 배터리 상황에 따라 저전력 모드로 변경된 경우, 리슨 인터벌을 변경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AID를 재할당할 필요가 있는 사항들이 AID 재할당을 요청하는 이유가 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D 재할당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200)는 통신부(210) 및 프로세싱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프로세싱부(220)의 제어에 기초하여 주변 단말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싱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단말(100)로부터 AID 재할당 요청 요소를 포함하는 재연결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다.
여기서, AID 재할당 요청 요소는 AID 재할당을 요청하는 이유를 나타내는 AID 재할당 요청 이유 필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AID 재할당 요청 이유 필드는 서비스 타입 변경(Service Type change) 정보, 저전력 모드 정보(Low Power Mode), 리슨 인터벌 변경(Listen Interval Change) 정보, 트래픽 패턴 변경 정보 및 잔여 배터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부(220)는 수신된 재연결 요청 프레임이 AID 재할당 요청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프로세싱부(220)는 AP address, SSID의 확인을 통해 단말(100)이 현재 결합된 단말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AID 재할당 요청 요소의 확인을 통해 재연결 요청 프레임이 AID 재할당 요청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싱부(220)는 수신된 재연결 요청 프레임이 AID 재할당 요청이면, AID 재할당 요청 요소에 포함된 AID 요청 이유에 기초하여 단말(100)의 AID를 재할당하고, 재할당한 AID를 포함한 재연결 응답 프레임을 생성한다.
여기서, 프로세싱부(220)는 재연결 응답 프레임 중 Status code에 AID 재할당 성공 또는 실패 여부를 표시하고, AID 필드에 재할당된 AID 값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부(220)는 재할당한 AID를 포함하는 재연결 응답 프레임을 통신부(210)를 통해 단말(1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D 재할당 방법을 수행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따르면, 재연결 요청 프레임에 일부 필드를 추가하여 현재 결합된 단말의 AID를 동적으로 재할당할 수 있어 무선랜 시스템을 최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단말에서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ID 재할당 요청을 위한 재연결 요청 프레임(Reassociation Request Frame)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한 재연결 요청 프레임을 현재 결합된(associated)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AID 재할당 정보를 포함한 재연결 응답 프레임(Reassociation Response Frame)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ID 재할당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ID 재할당 요청을 위한 재연결 요청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AID 재할당 요청(AID Reassignment Request) 요소(element)를 포함하는 재연결 요청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D 재할당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AID 재할당 요청 요소는,
    AID 재할당 요청 이유(AID Reassignment Cause)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D 재할당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AID 재할당 요청 이유 필드는,
    서비스 타입 변경(Service Type change) 정보, 저전력 모드 정보(Low Power Mode), 리슨 인터벌 변경(Listen Interval Change) 정보, 트래픽 패턴 변경 정보 및 잔여 배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D 재할당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재연결 요청 프레임은 서비스 타입(Service Type) 요소(element)를 더 포함하고,
    상기 AID 재할당 요청 이유 필드가 상기 서비스 타입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타입 변경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된 서비스 타입을 상기 서비스 타입 요소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D 재할당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ID 재할당 방법은,
    AID 재할당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D 재할당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AID 재할당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트래픽 패턴 정보, 배터리 정보 및 서비스 타입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AID 재할당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D 재할당 방법.
  8. 액세스 포인트에서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재 결합된(associated) 단말로부터 재연결 요청 프레임(Reassociation Request Frame)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연결 요청 프레임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AID를 재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재할당한 AID를 포함하는 재연결 응답 프레임(Reassociation Response Frame)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ID 재할당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현재 결합된 단말로부터 재연결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결합된 단말로부터 AID 재할당 요청(AID Reassignment Request) 요소(element)를 포함하는 재연결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D 재할당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AID 재할당 요청 요소는,
    AID 재할당 요청 이유(AID Reassignment Cause)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D 재할당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재연결 요청 프레임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AID를 재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재연결 요청 프레임에 포함된 현재 AP 주소(Current AP address), SSID(Service Set ID) 및 상기 AID 재할당 요청 요소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 결과 상기 재연결 요청 프레임이 AID 재할당 요청이면, 상기 AID 재할당 요청 요소에 포함된 상기 AID 재할당 요청 이유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AID를 재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D 재할당 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재연결 응답 프레임은,
    AID 재할당 성공 정보, AID 재할당 실패 정보 및 재할당된 AID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D 재할당 방법.
  13. 송수신부; 및
    AID 재할당 요청을 위한 재연결 요청 프레임(Reassociation Request Frame)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재연결 요청 프레임을 현재 결합된(associated)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한 후,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AID 재할당 정보를 포함한 재연결 응답 프레임(Reassociation Response Frame)을 수신하는 프로세싱부를 포함하는 단말.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부는,
    AID 재할당 요청(AID Reassignment Request) 요소(element)를 포함하는 재연결 요청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AID 재할당 요청 요소는,
    AID 재할당 요청 이유(AID Reassignment Cause)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AID 재할당 요청 이유 필드는,
    서비스 타입 변경(Service Type change) 정보, 저전력 모드 정보(Low Power Mode), 리슨 인터벌 변경(Listen Interval Change) 정보, 트래픽 패턴 변경 정보 및 잔여 배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부는,
    상기 단말의 트래픽 패턴 정보, 배터리 정보 및 서비스 타입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AID 재할당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8.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단말로부터 수신된 AID 재할당 요청(AID Reassignment Request) 요소(element)를 포함하는 재연결 요청 프레임(Reassociation Request Frame)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AID를 재할당하고, 상기 재할당한 AID를 포함하는 재연결 응답 프레임(Reassociation Response Frame)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프로세싱부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AID 재할당 요청 요소는,
    AID 재할당 요청 이유(AID Reassignment Cause)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부는,
    상기 재연결 요청 프레임에 포함된 현재 AP 주소(Current AP address), SSID(Service Set ID) 및 상기 AID 재할당 요청 요소를 확인한 결과 상기 재연결 요청 프레임이 AID 재할당 요청이면, 상기 AID 재할당 요청 요소에 포함된 상기 AID 재할당 요청 이유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AID를 재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PCT/KR2013/005756 2012-06-28 2013-06-28 Aid 재할당 방법 및 aid 재할당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WO2014003479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80034845.6A CN104412631B (zh) 2012-06-28 2013-06-28 Aid再分配方法以及用于执行所述aid再分配方法的装置
US14/411,302 US9913162B2 (en) 2012-06-28 2013-06-28 AID reassign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aid aid reassignment method
JP2015520045A JP5982571B2 (ja) 2012-06-28 2013-06-28 Aid再割り当て方法及びaid再割り当て方法を実行する装置
CN201810790395.8A CN108834135B (zh) 2012-06-28 2013-06-28 Aid再分配方法以及用于执行所述aid再分配方法的装置
US15/875,075 US10299156B2 (en) 2012-06-28 2018-01-19 AID reassign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aid AID reassignment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9980 2012-06-28
KR10-2012-0069980 2012-06-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4/411,302 A-371-Of-International US9913162B2 (en) 2012-06-28 2013-06-28 AID reassign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aid aid reassignment method
US15/875,075 Continuation US10299156B2 (en) 2012-06-28 2018-01-19 AID reassign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aid AID reassignment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03479A1 true WO2014003479A1 (ko) 2014-01-03

Family

ID=49783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5756 WO2014003479A1 (ko) 2012-06-28 2013-06-28 Aid 재할당 방법 및 aid 재할당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913162B2 (ko)
JP (3) JP5982571B2 (ko)
KR (2) KR101553858B1 (ko)
CN (2) CN108834135B (ko)
WO (1) WO20140034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69661B2 (en) * 2015-04-06 2017-09-19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network fast authentication / association using re-association object
CN108141753B (zh) * 2015-10-16 2021-09-03 索尼公司 通信装置和通信方法
TWI602459B (zh) * 2017-02-22 2017-10-11 芯光飛股份有限公司 通訊系統及物聯網系統
JP6997570B2 (ja) 2017-09-25 2022-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25349A1 (en) * 2002-06-05 2007-02-01 Broadcom Corporation Distributed MAC architecture for wireless repeater
WO2008088114A1 (en) * 2007-01-15 2008-07-24 Lg Electronics Inc. Wireless network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in a wireless network
WO2010067960A2 (ko) * 2008-12-12 2010-06-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랜에서의 빠른 핸드오버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단말
WO2012033379A2 (en) * 2010-09-10 2012-03-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cipher communication for management frame using quality of service mechanism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WO2012057407A1 (ko) * 2010-10-27 2012-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장치간 통신을 위한 스케줄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7002A (ja) 2002-12-03 2004-07-02 Sony Corp 無線通信端末、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KR20050067897A (ko) 2003-12-29 2005-07-05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트래픽 분산 방법
KR100603578B1 (ko) * 2005-01-07 2006-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단말의 동적 전화번호 등록 방법 및 그 시스템
US7463607B2 (en) * 2005-04-15 2008-12-09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pre-allocating and communicating IP address information during wireless communication
US7577438B2 (en) * 2005-04-25 2009-08-1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addressing and power savings in wireless systems
DE102005027387A1 (de) * 2005-06-14 2006-12-28 Deutsche Thomson-Brandt Gmbh Netzwerkverbindungs-Schalteinheit sowie Netzwerkstation
KR100694219B1 (ko) 2005-08-19 2007-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단말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100701742B1 (ko) * 2006-03-09 2007-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이피의 버퍼 메모리 할당 장치 및 방법
KR20080041531A (ko) 2006-11-07 2008-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네트워크에서 통신방법 및 무선네트워크 시스템
JP5456488B2 (ja) * 2007-02-27 2014-03-26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Wlanのパワーマネジメントのための方法と装置
US7991409B2 (en) * 2007-03-05 2011-08-02 Intel Corporation Wake-on-WLAN for stationary wireless stations
JP5239665B2 (ja) 2008-09-12 2013-07-17 富士通株式会社 無線lan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おいて使用される装置
US9538368B2 (en) * 2011-11-24 2017-01-0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ceiving data on basis of grouping in wireless LAN system, and device for supporting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25349A1 (en) * 2002-06-05 2007-02-01 Broadcom Corporation Distributed MAC architecture for wireless repeater
WO2008088114A1 (en) * 2007-01-15 2008-07-24 Lg Electronics Inc. Wireless network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in a wireless network
WO2010067960A2 (ko) * 2008-12-12 2010-06-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랜에서의 빠른 핸드오버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단말
WO2012033379A2 (en) * 2010-09-10 2012-03-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cipher communication for management frame using quality of service mechanism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WO2012057407A1 (ko) * 2010-10-27 2012-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장치간 통신을 위한 스케줄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13162B2 (en) 2018-03-06
CN108834135B (zh) 2022-09-06
JP6215411B2 (ja) 2017-10-18
KR101991482B1 (ko) 2019-09-30
JP2018014748A (ja) 2018-01-25
KR101553858B1 (ko) 2015-09-17
CN104412631A (zh) 2015-03-11
US20180146394A1 (en) 2018-05-24
CN108834135A (zh) 2018-11-16
JP6386644B2 (ja) 2018-09-05
KR20140003339A (ko) 2014-01-09
KR20140120873A (ko) 2014-10-14
JP5982571B2 (ja) 2016-08-31
US10299156B2 (en) 2019-05-21
CN104412631B (zh) 2018-08-17
US20150146524A1 (en) 2015-05-28
JP2015526011A (ja) 2015-09-07
JP2017005733A (ja)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82090A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숨겨진 노드 문제의 완화 방법
WO2014027765A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WO2015005675A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5005677A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7099542A1 (ko) 다중 베이직 서비스 식별자 세트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WO2014014281A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능동 검색 방법
WO2011115448A2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멀티 밴드 정보 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5023103A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3122398A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필터링 기반 스캐닝 방법 및 장치
WO20160180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access point in wireless lan system
WO2013154405A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비콘 프레임의 선택적 디코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1230556A1 (ko) Drx에 기초한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20237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within white space band using message indicating whether available channel information is valid in wireless system
WO2017196103A1 (ko) Ack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
WO2013183931A1 (en) Method of active scanning and associating based on configuration information
WO2015002462A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접속 방법 및 장치
WO2021246656A1 (ko) 선호 링크 정보 전송 방법
WO2014003479A1 (ko) Aid 재할당 방법 및 aid 재할당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WO2014163285A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액세스 수행 방법 및 장치
WO2015005684A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3187653A1 (en) Method of accessing channel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WO2013032080A1 (ko) 비 ap로 동작하는 sta을 통한 ds접속
WO2014163282A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스테이션의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4168321A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액세스 수행 방법 및 장치
WO2014003472A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검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094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411302

Country of ref document: US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520045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8/05/2015)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094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