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83851A1 - 새로운 유기전계발광소자용 화합물 및 그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 Google Patents

새로운 유기전계발광소자용 화합물 및 그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83851A1
WO2013183851A1 PCT/KR2013/002321 KR2013002321W WO2013183851A1 WO 2013183851 A1 WO2013183851 A1 WO 2013183851A1 KR 2013002321 W KR2013002321 W KR 2013002321W WO 2013183851 A1 WO2013183851 A1 WO 201318385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ubstituted
unsubstituted
group
compound
m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232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현서용
윤용호
송정한
Original Assignee
(주)피엔에이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11844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30136359A/ko
Application filed by (주)피엔에이치테크 filed Critical (주)피엔에이치테크
Priority to CN201380038179.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4471021B/zh
Publication of WO201318385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8385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56Ring systems containing three or more rings
    • C07D209/80[b, c]- or [b, d]-condensed
    • C07D209/82Carbazoles; Hydrogenated carbazoles
    • C07D209/86Carbazoles; Hydrogenated carbazole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ring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hree hetero rings
    • C07D471/1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5/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5/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hree hetero rings
    • C07D495/1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 C07D5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513/04Ortho-condensed system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2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nitrogen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phenanthroline or carbazol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3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6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hetero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6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sulfur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benzothiophen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und f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 compound f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hat can improve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It relates to an element.
  • liquid crystal display As the movement to the information society accelerates, the proportion of flat panel displays is gradually increasing.
  • LCD liquid crystal display
  •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rganic EL is a phenomenon in which electrons and holes injected through an anode and an anode into an organic thin film are recombined to form excitons, and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is generated from the formed excitons from a single crystal of anthracene by Pope et al. In 1963. It has been discovered for the first time and has been actively studied since it was reported by CW Tang et al. (CW Tang, SA Vanslyke, Applied physics Letters. 51, 913p, 1987).
  • Organic materials used i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are largely divided into high molecular and low molecular forms, and low molecules may be divided into pure organic materials and metal complexes forming metals and chelates.
  • High molecular materials can produce multifunctional materials by combining various functional units with polymer chains, but there are difficulties in refining composites and forming devices, and low molecular materials can synthesize materials of different characteristics, There is a limit to the material synthesis.
  •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an be formed in a stacked structure.
  • the advantage of the laminated structure is that the material can be selected and used according to each function.
  • the device structure forms a hole injection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between an anode and a cathode, thereby emitting a light emitting layer.
  • the exciton can be easily formed and the luminous efficiency can be increased.
  • Luminescent material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host materials and luminescent materials (dopant) materials, and luminescent materials are classified into fluorescence and phosphorescence according to the emission mechanism.
  • the excited state of the former in the compound is 1: 3 with singlet to triplet ratios and three times more triplet states. Therefore, the internal quantum efficiency of fluorescence falling from the singlet state to the ground state is only 25%, while the internal quantum efficiency of phosphorescence falling from the triplet state to the ground state is 75%. In addition, the theoretical limit of the internal quantum efficiency reaches 100% in the case of a quarterly transition from singlet to triplet.
  • Phosphorescent light emitting material is a light emitting material that improved the luminous efficiency by using this point.
  •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electrical stability and electron and hole transport ability, and the triplet state energy is high, the compound f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hat can be used in the light emitting layer as a host that can improve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phosphorescent material and an organic electric field comprising the same A light emitting device can be provided.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lectron transport material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ound that can be used in the hole transport material and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ing the same.
  • a compound f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Structural Formula 1 or 2 may be provided.
  • R 4 to R 6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R 4 to R 6 are each independently a hydrogen atom,
  • R 4 to R 6 is a fused C 3 to C 30 cycloalkyl group further bonded with a neighboring carbon atom of the carbon atom to which one is bonded,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fused C1 to C30 heterocycloalky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fused C6 to C30 aryl group, or
  • X 1 to X 37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X 1 to X 37 are each independently a nitrogen atom, or ego,
  • Y 1 to Y 13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Y 1 to Y 13 are each independently an oxygen atom, a sulfur atom, , or ego,
  • R 8 to R 70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R 8 to R 70 are each independently a hydrogen atom, , , , ,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30 alk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3 to C30 cycloalk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30 heterocycloalk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6 to C30 aryl group, or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Or a C1 to C30 heteroaryl group, or at least one of R 8 to R 70 is a fused C3 to C30 cycloalkyl group which is further substituted with an adjacent carbon atom of the carbon atom to which one is bonded, or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fused C1 to C30 heterocycloalky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fused C6 to C30 aryl group
  • Ar 3 to Ar 7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r 3 to Ar 7 are each independently
  •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30 alk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3 to C30 cycloalk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30 heterocycloalk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6 to C30 aryl group, or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30 heteroaryl group,
  • Ar 1 and Ar 2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r 1 and Ar 2 are each independently , , , , ,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30 alk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3 to C30 cycloalk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30 heterocycloalk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6 to C30 ar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Or a C1 to C30 heteroaryl group, or Ar 1 and Ar 2 are bonded to each other and form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30 heterocycloalkyl group,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30 heteroaryl group, together with a nitrogen atom therebetween. Can do it,
  • X 38 to X 40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X 38 to X 40 are each independently a nitrogen atom, or ego,
  • Y 14 to Y 17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Y 14 to Y 17 are each independently an oxygen atom, a sulfur atom, , or ego,
  • R 71 to R 116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R 71 to R 116 may be independently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30 alky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3 to C30 cycloalky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A C30 heterocycloalky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6 to C30 aryl group,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30 heteroaryl group,
  • Ar 8 is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30 alky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3 to C30 cycloalky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30 heterocycloalky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6 to C30 aryl group,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30 heteroaryl group,
  • R 1 to R 3 , and R 7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R 1 to R 3 , and R 7 are each independently a hydrogen atom,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30 alky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3 to A C30 cycloalky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30 heterocycloalky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6 to C30 aryl group,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30 heteroaryl group, or R 1 to R 3 , and R At least one of 7 is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fused C3 to C30 cycloalky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fused C1 to C30 heterocycloalkyl group, further bonded to a neighboring carbon atom of the carbon atom to which one is bonded, Substituted or unsubstitute
  •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6 to C30 aryl group examples include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phen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biphen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terphen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naphthalen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nthracen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phenanthren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fluoren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spirofluoren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pyrenyl group, or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phenyl It may be a rillenyl group.
  •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2 to C30 heteroaryl group examples include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pyridin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pyrimidin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triazin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thiophenyl group ,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pyrrol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benzothiophen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indol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imidazo [1,2-a] pyridin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Benzimidazol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indazol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phenothiazin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phenazin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arbazolyl group, substituted or
  •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ound may be a compound f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selected from compounds 1 to 92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structural formula.
  •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ing the compound for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may be provided.
  •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 single electrode or a plurality of organic material layer between 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1 selected from the single or plurality of organic material layer
  • At least one organic material layer may include the compound f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 the singular or plural organic material layers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layer.
  • the plurality of organic material layers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plurality of organic material layers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n electron injection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 hole blocking layer, an electron blocking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and a hole injection layer.
  • the emission layer may include a host and a dopant.
  •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electrical stability and electron and hole transport ability, high triplet energy, host, hole injection material, hole transport material, electron transport material, electron injection material and the like which can improve the luminous efficiency of phosphorescent material
  • a compound f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hat can be used as a sealing material having excellent refractive index in a top emission method,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can be provided.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and second to be used below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 a component when referred to as being “formed” or “laminated” on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attached to, or laminated to, the front or one side on the surface of the other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 atom bond means a single bond, a double bond or a triple bond unless otherwise defined.
  • substituted means that at least one hydrogen in a substituent or compound is deuterium, a halogen group, a hydroxy group, an amino group, a C1 to C30 amine group, a nitro group, a C1 to C30 silyl group, a C1 to C30 Alkyl group, C1 to C30 alkylsilyl group, C3 to C30 cycloalkyl group, C1 to C30 heterocycloalkyl group, C6 to C30 aryl group, C1 to C30 heteroaryl group, C1 to C20 alkoxy group, C1 to C10 trifluoroalkyl group or cyan It means what is substituted by a nog.
  • Two adjacent substituents among the alkoxy group, C1 to C10 trifluoroalkyl group or cyano group may be fused to form a ring.
  • hetero means one to four heteroatom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 O, S, and P in one functional group, and the remainder is carbon unless otherwise defined.
  • hydrogen means monotium, dihydrogen, or tritium unless otherwise defined.
  • an "alkyl group” means an aliphatic hydrocarbon group.
  • the alkyl group may be a "saturated alkyl group" that does not contain any double or triple bonds.
  • the alkyl group may be an "unsaturated alkyl group" containing at least one double or triple bond.
  • Alkenylene group means a functional group consisting of at least two carbon atoms of at least one carbon-carbon double bond
  • alkynylene group means at least two carbon atoms of at least one carbon-carbon triplet. It means a functional group consisting of a bond.
  • the alkyl group, whether saturated or unsaturated, may be branched, straight chain or cyclic.
  • the alkyl group may be a C1 to C30 alkyl group. More specifically, the alkyl group may be a C1 to C20 alkyl group, a C1 to C10 alkyl group, or a C1 to C6 alkyl group.
  • a C1 to C4 alkyl group has 1 to 4 carbon atoms in the alkyl chain, i.e., the alkyl chain is methyl, ethyl, propyl, iso-propyl, n-butyl, iso-butyl, sec-butyl and t-buty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the alkyl group is methyl, ethyl, propyl, isopropyl, butyl, isobutyl, t-butyl, pentyl, hexyl, ethenyl, propenyl, butenyl, cyclopropyl, cyclo A butyl group, a cyclopentyl group, a cyclohexyl group, etc. are meant.
  • Amine group includes an arylamine group, an alkylamine group, an arylalkylamine group, or an alkylarylamine group.
  • a "cycloalkyl group” includes monocyclic or fused polycyclic (ie, rings that divide adjacent pairs of carbon atoms) functional groups.
  • Heterocycloalkyl group means containing 1 to 4 heteroatom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 O, S and P in the cycloalkyl group, and the rest are carbon. When the heterocycloalkyl group is a fused ring, each ring may include 1 to 4 heteroatoms.
  • Aromatic group means a functional group in which all elements of the functional group in the ring form have p-orbitals, and these p-orbitals form conjugation. Specific examples include an aryl group and a heteroaryl group.
  • aryl group includes a monocyclic or fused ring polycyclic (ie, a ring that divides adjacent pairs of carbon atoms) functional groups.
  • Heteroaryl group means containing 1 to 4 heteroatom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 O, S and P in the aryl group, the rest being carbon. When the heteroaryl group is a fused ring, each ring may include 1 to 4 heteroatoms.
  • the number of atoms of the ring in the aryl group and heteroaryl group is the sum of the number of carbon atoms and non-carbon atoms.
  • alkylaryl group When used in combination with an "alkylaryl group” or an “arylalkyl group”, the terms of each of the above alkyl and aryl have the meanings and content indicated above.
  • arylalkyl group means an aryl substituted alkyl radical such as benzyl and is included in the alkyl group.
  • alkylaryl group means an alkyl substituted aryl radical and is included in an aryl group.
  •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 including the compound f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es a first electrode (110); Second electrode 150; And a single or plurality of organic material layers 130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at least one organic material layer selected from the single or plurality of organic material layers 130 includes a compound f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o.
  • the singular or plural organic layer 130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layer 134.
  • the organic layer 130 includes a light emitting layer 134, and the organic layer includes an electron injection layer 131, an electron transport layer 132, a hole blocking layer 133, an electron blocking layer 135, a hol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transport layer 136 and the hole injection layer 137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emission layer 134 may include a host and a dopant.
  •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s preferably supported by a transparent substrate.
  • the material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good mechanical strength, thermal stability and transparency.
  • glass, a transparent plastic film, etc. can be used.
  • anode material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al, an alloy, an electrically conductive compound having a work function of 4 eV or more, or a mixture thereof can be used.
  •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s such as Au or CuI, ITO (indium tin oxide), SnO 2 and ZnO which are metals are mentioned.
  • the thickness of the positive electrode film is preferably 10 to 200 nm.
  • the negative electrode material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al, an alloy, an electrically conductive compound or a mixture thereof having a work function of less than 4 eV can be used.
  • a metal, an alloy, an electrically conductive compound or a mixture thereof having a work function of less than 4 eV can be used.
  • Na, Na-K alloy, calcium, magnesium, lithium, lithium alloy, indium, aluminum, magnesium alloy, aluminum alloy is mentioned.
  • aluminum / AlO 2 , aluminum / lithium, magnesium / silver or magnesium / indium may be used.
  • the thickness of the negative electrode film is preferably 10 to 200 nm.
  • At least one electrode preferably has a light transmittance of 10% or more.
  • the sheet resistance of the electrode is preferably several hundred ⁇ / mm or less.
  •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is 10 nm to 1 m, more preferably 10 to 400 nm.
  • Such an electrode may be manufactured by forming the above electrode material into a thin film through vapor deposition or sputtering such as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or the like.
  • the compound for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ed to sui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 known hole transport material, a hole injection material, a light emitting layer material, a host material of the light emitting layer, an electron transport material, and an electron injection material, respectively, It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the compound for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diphenylphosphine oxide-4- (triphenylsilyl) phenyl (TSPO1), Alq 3 , 2,5-diaryl silol derivative (PyPySPyPy), perfluorinated compound (PF-6P), Octasubstituted cyclooctatetraene compound (COTs) can be mentioned.
  •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the hole transport layer and the hole injection layer may be formed of a single layer containing one or more kinds of the above-mentioned compounds, or may be stacked with different kinds of compounds. It may consist of a plurality of layers to contain.
  • the light emitting material examples include photoluminescent fluorescent materials, fluorescent brighteners, laser dyes, organic scintillators, and reagents for fluorescence analysis.
  • Each layer constituting the organic E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into a thin film through a known method such as vacuum deposition, spin coating or casting, or can be produced using a material used in each layer.
  • a material used in each layer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film thickness of each layer, and it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but can usually be determined in the range of 2 nm to 5,000 nm.
  • the compound f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by a vacuum deposition metho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hin film forming process is simple and can be easily obtained as a homogeneous thin film with little pin hole.
  • NPB N, N'-Bis (naphthalen-1-yl) -N, N'-bis (phenyl) benzidine
  • NPB was deposited on a glass substrate coated with ITO to form a hole transport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20 nm.
  • Ir (ppy) 3 was used as a dopant, and compound 1 was deposited at 9% rate, that is, the deposition rate of compound 1 was 0.1 nm / sec.
  • Ir (ppy) 3 was deposited at 0.009nm / sec to dope Ir (ppy) 3 to a deposition rate of 8% to form a light emitting layer 30nm thick on the hole transport layer.
  • Balq was deposited thereon to form a hole blocking layer that prevents holes from moving through the light emitting layer to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lq 3 was deposited thereon to form an electron transport layer having a thickness of 40 nm. By depositing, an electron injectio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 nm was formed. Aluminum was deposited on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to form a cathode of 120 nm, thereby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each material is an organic material
  • Compound 1, NPB, Alq 3 , Balq was deposited at a rate of 0.1 nm / sec
  • lithium fluoride is deposited at a rate of 0.01 nm / sec
  • aluminum is 0.5 nm / sec It was.
  •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of Device Examples 2 to 14 was manufactured by the same method as Device Example 1, except that Compound 1 was used as the light emitting material shown in Table 1 below.
  •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CBP ((4,4-N, N-dicarbazole) biphenyl) was used instead of Compound 1 and Compound 6 was used instead of NPB as the hole transport material. Was prepared.
  •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wa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same method as Device Example 27, except that Compound 6 was used as the hole transport material shown in Table 1 below.
  •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wa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same method as Example 1 except for using (4,4-N, N-dicarbazole) biphenyl (CBP) as a light emitting material instead of Compound 1.
  •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made from above (substrate size: 25x25mm 2 / deposition area: 2x2mm 2) an IVL measuring set (CS-2000 + fixture + IVL program) and then fixed to the raises the current by 1mA / m 2 light emission luminance of the deposition surface (cd / m 2 ), driving voltage (V), current density (A / m 2 ), and luminous efficiency (cd / A), and the driving voltage and luminous efficiency are shown in Table 1 above when the luminance is 1000 cd / m 2 . Indicated.
  •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electrical stability and electron and hole transport ability, high triplet energy, host, hole injection material, hole transport material, electron transport material, electron injection material and the like which can improve the luminous efficiency of phosphorescent material
  • a compound f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hat can be used as a sealing material having excellent refractive index in a top emission method,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can be provid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하기 구조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용 화합물 및 그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가 개시된다. 이에 의하여, 전기적 안정성 및 전자와 정공 수송능력이 우수하며, 삼중항 상태 에너지가 높아 인광발광재료의 발광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호스트, 정공수송물질 및 전자수송 물질로 사용할 수 있는 유기발광소자용 화합물 및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새로운 유기전계발광소자용 화합물 및 그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소자용 화합물 및 그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발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소자용 화합물 및 그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로의 움직임이 가속화되면서 평판 디스플레이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 중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현재 가장 많이 쓰이고 있지만 액정에 전압을 가해 백라이트로부터의 빛을 컬러필터로 통과시켜 삼원색을 얻음으로써 화면을 만드는 방식이며, 유기EL(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은 자체발광 소자로써 시야각 및 대조비 등이 우수하고, 경량 및 박형이 가능하며 휘는 성질의 기판에도 사용할 수 있어,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가능하여 차세대 표시소자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유기EL은 유기물 박막에 음극과 양극을 통하여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을 통해 여기자를 형성하고, 형성된 그 여기자로부터 특정한 파장의 빛이 발생하는 현상으로 1963년 Pope 등에 의해 안트라센(anthracene)의 단결정으로부터 처음으로 발견되었고 이후 이스트만 코닥사의 탕(C.W Tang)등에 의해 적층형의 유기EL 소자의 보고(C.W Tang, S.A Vanslyke, Applied physics Letters. 51권 913p, 1987) 된 이후 활발히 연구 되고 있다.
유기전계발광소자에 사용되는 유기물질은 크게 고분자와 저분자 형태로 나누어 지며 저분자는 순 유기물질과 메탈과 킬레이트를 형성한 메탈 콤플렉스로 나뉘어질 수 있다.
고분자 물질은 다양한 기능의 유닛을 고분자 체인에 결합하여 다 기능의 물질을 만들어 낼 수 있으나, 합성물 정제시나 소자 형성 시 어려움이 있고, 저분자 물질은 각 특성의 물질을 합성 할 수 있으나 다 기능의 특성을 나타내는 물질 합성에는 한계가 있다 하겠다.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적층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적층구조의 장점으로는 각 기능에 맞게끔 물질을 선택하여 사용 할 수 있는 것인데, 일반적으로 소자구조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을 형성하여 발광층에서 여기자 형성을 쉽게 하게 하고, 발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발광물질은 호스트물질과 발광물질(도판트)물질로 크게 나눌 수 있고, 발광물질은 발광 기작에 따라 형광과 인광으로 구별된다.
화합물 내 전자의 여기 상태는 일중항 대 삼중항의 비율이 1:3으로 삼중항 상태가 3배 정도 더 생성된다. 따라서, 일중항 상태에서 기저상태로 떨어지는 형광의 내부양자효율이 25%에 그치는 반면 삼중항 상태에서 기저상태로 떨어지는 인광의 내부양자효율은 75%이다. 또한 일중항 상태에서 삼중항 상태로 계간전이가 일어날 경우 내부양자효율의 이론적 한계치는 100%에 달한다. 이러한 점을 이용해 발광효율을 개선한 발광재료가 인광 발광재료이다.
유기물의 특성상 인광 발광은 어려움이 있어, 인광 발광재료로는 전이금속(이리듐)을 이용한 유기금속화합물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를 보조하는 호스트 물질로 유기물질이 이용되고 있다. 인광발광물질을 보조하는 물질(호스트)는 밴드갭이 넓고 상중항 상태 에너지가 높아야 한다. 전류효율과 발광효율이 우수한 인광물질이 각광을 받고 있으나 전자 수송능력과 정공 수송능력, 열적, 전기적으로 안전하고, 특히 삼중항 상태의 에너지가 높은 호스트 물질이 없어 개발이 시급하다.
본 발명은 전기적 안정성 및 전자와 정공 수송능력이 우수하며, 삼중항 상태 에너지가 높아 인광발광재료의 발광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호스트로서 발광층에 사용될 수 있는 유기발광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전자수송재료나, 정공수송재료에 사용될 수 있는 유기발광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기 발광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본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기 구조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용 화합물이 제공될 수 있다.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01
상기 구조식 1 또는 2에서,
R4 내지 R6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고, R4 내지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02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03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04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05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06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07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08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09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10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11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12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13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14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15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16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17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18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19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20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21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22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23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24
,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시클로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시클로알킬기이거나, 또는 R4 내지 R6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그 어느 하나가 결합된 탄소원자의 이웃한 탄소원자와 추가로 결합하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융합된 C3 내지 C30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융합된 C1 내지 C30 헤테로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융합된 C6 내지 C30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융합된 C1 내지 C30 헤테로 아릴기를 형성할 수 있고,
X1 내지 X37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고, X1 내지 X37은 각각 독립적으로 질소원자, 또는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25
이고,
Y1 내지 Y13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고, Y1 내지 Y13은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 황원자,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26
, 또는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27
이고,
R8 내지 R70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고, R8 내지 R7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28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29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30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31
,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이고, 또는 R8 내지 R70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그 어느 하나가 결합된 탄소원자의 이웃한 탄소원자와 추가로 결합하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융합된 C3 내지 C30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융합된 C1 내지 C30 헤테로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융합된 C6 내지 C30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융합된 C1 내지 C30 헤테로 아릴기를 형성할 수 있고,
Ar3 내지 Ar7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고, Ar3 내지 Ar7은 각각 독립적으로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32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33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34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35
,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이고,
Ar1 및 Ar2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고,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36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37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38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39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40
,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이거나, 또는 Ar1 및 Ar2는 서로 결합되고 그들 사이의 질소원자와 함께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시클로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를 형성할 수 있고,
X38 내지 X40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고, X38 내지 X40은 각각 독립적으로 질소원자, 또는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41
이고,
Y14 내지 Y17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고, Y14 내지 Y17은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 황원자,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42
, 또는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43
이고,
R71 내지 R116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고, R71 내지 R116은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이고,
Ar8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이고,
R1 내지 R3, 및 R7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고, R1 내지 R3,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이거나, 또는 R1 내지 R3, 및 R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그 어느 하나가 결합된 탄소원자의 이웃한 탄소원자와 추가로 결합하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융합된 C3 내지 C30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융합된 C1 내지 C30 헤테로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융합된 C6 내지 C30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융합된 C1 내지 C30 헤테로 아릴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의 예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바이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터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나프탈레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안트라세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난트레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플루오레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스파이로플루오레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파이레닐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릴레닐기일 수 있다.
상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의 예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디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미디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트리아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싸이오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롤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조싸이오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인돌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미다조[1,2-a]피리디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지이미다졸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인다졸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노티아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나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카바졸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벤조싸이오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미다졸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트리아졸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테트라졸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옥사다이아졸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옥사트리아졸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싸이아트리아졸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조트리아졸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라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다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퓨리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퀴놀리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소퀴놀리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프탈라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나프피리디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퀴녹살리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퀴나졸리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크리디닐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난트롤리닐기, 바람직하게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디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미디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트리아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싸이오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롤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조싸이오페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인돌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미다조[1,2-a]피리디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벤지이미다졸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인다졸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노티아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나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카바졸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벤조싸이오페닐기일 수 있다.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용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 내지 9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용 화합물일 수 있다.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44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45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46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47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48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49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50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51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52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53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54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55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56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57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58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59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60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61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62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63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64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65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66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67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68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69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70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71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72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73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74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75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76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77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78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79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80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81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82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83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84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85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86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87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88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용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전극, 제2전극 및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단수 또는 복수의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단수 또는 복수의 유기물층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물층은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용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수 또는 복수의 유기물층은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유기물층은 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유기물층은 전자주입층, 전자수송층, 정공차단층, 전자차단층, 정공수송층 및 정공주입층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은 호스트와 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적 안정성 및 전자와 홀 수송능력이 우수하며, 삼중항 상태 에너지가 높아 인광발광재료의 발광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호스트, 정공주입물질, 정공수송물질, 전자수송물질, 전자주입물질 및 탑 이미션(top emission) 방식에서 굴절률이 우수한 밀봉 물질로 사용할 수 있는 유기발광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될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형성되어" 있다거나 "적층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표면 상의 전면 또는 일면에 직접 부착되어 형성되어 있거나 적층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더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원자가결합"이란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단일결합, 이중결합 또는 삼중결합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치환"이란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치환기 또는 화합물 중의 적어도 하나의 수소가 중수소, 할로겐기,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C1 내지 C30 아민기, 니트로기, C1 내지 C30 실릴기, C1 내지 C30 알킬기, C1 내지 C30 알킬실릴기, C3 내지 C30 시클로알킬기, C1 내지 C30 헤테로시클로알킬기, C6 내지 C30 아릴기, C1 내지 C30 헤테로 아릴기, C1 내지 C20 알콕시기, C1 내지 C10 트리플루오로알킬기 또는 시아노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치환된 할로겐기,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C1 내지 C30 아민기, C3 내지 C30 실릴기, C1 내지 C30 알킬기, C1 내지 C30 알킬실릴기, C3 내지 C30 시클로알킬기, C6 내지 C30 아릴기, C1 내지 C20 알콕시기, C1 내지 C10 트리플루오로알킬기 또는 시아노기 중 인접한 두 개의 치환기가 융합되어 고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헤테로"란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하나의 작용기 내에 N, O, S 및 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 원자를 1 내지 4개 함유하고, 나머지는 탄소인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들의 조합"이란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둘 이상의 치환기가 연결기로 결합되어 있거나, 둘 이상의 치환기가 축합하여 결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소"란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일중수소, 이중수소, 또는 삼중수소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알킬(alkyl)기"란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의미한다.
알킬기는 어떠한 이중결합이나 삼중결합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포화 알킬(saturated alkyl)기" 일 수 있다.
알킬기는 적어도 하나의 이중결합 또는 삼중결합을 포함하고 있는 "불포화 알킬(unsaturated alkyl)기"일 수도 있다.
"알케닐렌(alkenylene)기"는 적어도 두 개의 탄소원자가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으로 이루어진 작용기를 의미하며, "알키닐렌(alkynylene)기" 는 적어도 두 개의 탄소원자가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으로 이루어진 작용기를 의미한다. 포화이든 불포화이든 간에 알킬기는 분지형, 직쇄형 또는 환형일 수 있다.
알킬기는 C1 내지 C30 알킬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알킬기는 C1 내지 C20 알킬기,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C1 내지 C6 알킬기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C1 내지 C4 알킬기는 알킬쇄에 1 내지 4 개의 탄소원자, 즉, 알킬쇄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및 t-부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됨을 나타낸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알킬기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에테닐기, 프로페닐기, 부테닐기,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을 의미한다.
"아민기"는 아릴아민기, 알킬아민기, 아릴알킬아민기, 또는 알킬아릴아민기를 포함한다.
"시클로알킬(cycloalkyl)기"는 모노시클릭 또는 융합고리 폴리시클릭(즉, 탄소원자들의 인접한 쌍들을 나눠 가지는 고리) 작용기를 포함한다.
"헤테로시클로알킬(heterocycloalkyl)기"는 시클로알킬기 내에 N, O, S 및 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1 내지 4개 함유하고, 나머지는 탄소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헤테로시클로알킬기가 융합고리인 경우, 각각의 고리마다 상기 헤테로 원자를 1 내지 4개 포함할 수 있다.
"방향족(aromatic)기"는 고리 형태인 작용기의 모든 원소가 p-오비탈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p-오비탈이 공액(conjugation)을 형성하고 있는 작용기를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로 아릴기와 헤테로아릴기가 있다.
"아릴(aryl)기"는 모노시클릭 또는 융합 고리 폴리시클릭(즉, 탄소원자들의 인접한 쌍들을 나눠 가지는 고리) 작용기를 포함한다.
"헤테로아릴(heteroaryl)기"는 아릴기 내에 N, O, S 및 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1 내지 4개 함유하고, 나머지는 탄소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헤테로아릴기가 융합고리인 경우, 각각의 고리마다 상기 헤테로 원자를 1 내지 4개 포함할 수 있다.
아릴기 및 헤테로아릴기에서 고리의 원자수는 탄소수 및 비탄소원자수의 합이다.
"알킬아릴기" 또는 "아릴알킬기"와 같이 조합하여 사용할 때, 상기에 든 각각의 알킬 및 아릴의 용어는 상기 나타낸 의미와 내용을 가진다.
"아릴알킬기"이란 용어는 벤질과 같은 아릴 치환된 알킬 라디칼을 의미하며 알킬기에 포함된다.
"알킬아릴기"이란 용어는 알킬 치환된 아릴 라디칼을 의미하며 아릴기에 포함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용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1)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제1전극(110); 제2전극(150); 및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단수 또는 복수의 유기물층(130)을 포함하며, 상기 단수 또는 복수의 유기물층(130)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물층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용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수 또는 복수의 유기물층(130)은 발광층(13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유기물층(130)은 발광층(134)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유기물층은 전자주입층(131), 전자수송층(132), 정공차단층(133), 전자차단층(135), 정공수송층(136) 및 정공주입층(137)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134)은 호스트와 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는 바람직하게는 투명기판에 의하여 지지된다. 투명기판의 재료로는 양호한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및 투명성을 갖는 한 특별한 제한은 없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유리, 투명 플라스틱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양극재료로서는 4eV 이상의 일함수를 갖는 금속, 합금, 전기전도성 화합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금속인 Au 또는 CuI, ITO(인듐 주석 산화물), SnO2 및 ZnO와 같은 투명 전도성 재료를 들 수 있다. 양극 필름의 두께는 10 내지 200nm 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음극 재료로서는 4eV 미만의 일함수를 갖는 금속, 합금, 전기 전도성 화합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Na, Na-K 합금, 칼슘, 마그네슘, 리튬, 리튬 합금, 인듐, 알루미늄, 마그네슘 합금, 알루미늄 합금을 들 수 있다. 이외에, 알루미늄/AlO2, 알루미늄/리튬, 마그네슘/은 또는 마그네슘/인듐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음극필름의 두께는 10 내지 200nm 가 바람직하다.
유기 EL 소자의 발광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하나 이상의 전극은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의 광투과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의 쉬트저항은 바람직하게는 수백 Ω/mm 이하이다. 전극의 두께는 10nm 내지 1㎛,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0nm 이다. 이러한 전극은 화학적 기상증착(CVD), 물리적 기상증착(PVD) 등의 기상증착법 또는 스퍼터링법을 통하여 상기한 전극 재료를 박막으로 형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하게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소자용 화합물이 사용될 때, 공지된 정공수송 물질, 정공주입 물질, 발광층 물질, 발광층의 호스트 물질, 전자수송 물질, 및 전자주입 물질이 상기 각각의 유기물층에서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소자용 화합물과 선택적으로 병행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정공 수송 물질로서 N,N-dicarbazolyl-3,5-benzene(mCP), poly(3,4-et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sulfonate (PEDOT:PSS), N, N’-di(1-naphthyl)-N,N’-diphenylbenzidine(NPD), N,N'-디페닐-N,N'-디(3-메틸페닐)-4,4'-디아미노비페닐(TPD), N,N'-디페닐-N,N'-디나프틸-4,4'-디아미노비페닐, N,N,N'N'-테트라-p-톨릴-4,4'-디아미노비페닐, N,N,N'N'-테트라페닐-4,4'-디아미노비페닐, 코퍼(II)1,10,15,20-테트라페닐-21H,23H-포피린 등과 같은 포피린(porphyrin)화합물 유도체, 주쇄 또는 측쇄내에 방향족 3차아민을 갖는 중합체, 1,1-비스(4-디-p-톨릴아미노페닐)시클로헥산, N,N,N-트리(p-톨릴)아민, 4, 4', 4'-트리스[N-(3-메틸페닐)-N-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과 같은 트리아릴아민 유도체, N-페닐카르바졸 및 폴리비닐카르바졸과 같은 카르바졸 유도체, 무금속 프탈로시아닌, 구리프탈로시아닌과 같은 프탈로시아닌 유도체, 스타버스트 아민 유도체, 엔아민스틸벤계 유도체, 방향족 삼급아민과 스티릴 아민 화합물의 유도체, 및 폴리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전자 수송 물질로서 diphenylphosphine oxide-4-(triphenylsilyl)phenyl (TSPO1), Alq3, 2,5-디아릴 실롤 유도체(PyPySPyPy), 퍼플루오리네이티드 화합물(PF-6P), Octasubstituted cyclooctatetraene 화합물(COTs)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소자에 있어서, 전자 주입층, 전자 수송층, 정공 수송층 및 정공 주입층은 상기한 화합물의 하나 이상의 종류를 함유하는 단일 층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호 적층된, 상이한 종류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발광재료로서 예를 들면 축광 형광재료, 형광증백제, 레이저 색소, 유기 신틸레이터 및 형광 분석용 시약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카바졸계 화합물, 포스핀옥사이드계 화합물, 카바졸계 포스핀옥사이드 화합물, bis((3,5-difluoro-4-cyanophenyl)pyridine) iridium picolinate(FCNIrpic), 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안트라센, 페난트렌, 피렌, 크리센, 페릴렌, 코로넨, 루브렌 및 퀴나크리돈과 같은 폴리아로마틱 화합물, 퀴터페닐과 같은 올리고페닐렌 화합물, 1,4-비스 (2-메틸스티릴)벤젠, 1,4-비스(4-메틸스티릴)벤젠, 1,4-비스(4-메틸-5-페닐-2-옥사졸릴)벤젠, 1,4-비스(5-페닐-2-옥사졸릴)벤젠, 2,5-비스(5-t-부틸-2-벤즈옥사졸릴)사이오펜, 1,4-디페닐-1,3-부타디엔, 1,6-디페닐-1,3,5-헥사트리엔,1,1,4,4-테트라페닐-1,3-부타디엔과 같은 액체신틸레이션용 신틸레이터, 옥신 유도체의 금속착체, 쿠마린 색소, 디시아노메틸렌피란 색소, 디시아노메틸렌사이오피란 색소, 폴리메틴 색소, 옥소벤즈안트라센 색소, 크산텐 색소, 카르보스티릴 색소, 페릴렌 색소, 옥사진 화합물, 스틸벤 유도체, 스피로 화합물, 옥사디아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를 구성하는 각 층은 진공 증착, 스핀 코팅 또는 캐스팅과 같은 공지된 방법을 통하여 박막으로 형성시키거나, 각 층에서 사용되는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들 각층의 막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재료의 특성에 따라 알맞게 선택할 수 있으나, 보통 2nm 내지 5,000nm의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용 화합물은 진공 증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므로, 박막 형성 공정이 간편하고, 핀홀(pin hole)이 거의 없는 균질한 박막으로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를 위한 것으로서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화합물 1 합성
(1) 제조예 1: 중간체 1-1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89
1,2-diiodobenzene(19.8g, 0.06mol, sigma aldrich), triisopropyl borate(16.9g, 0.09mol, sigma aldrich), 촉매 CuI(1.14 g, 0.006 mol,sigma aldrich), Sodium hydride(2.2 g, 0.09mol,sigma aldrich)에 THF 800ml를 넣고 25℃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증류수를 넣고 추출하여 칼럼 정제(n-Hexane: methylene chloride)하여 중간체 1-1을 15.3 g(수율 77%) 수득하였다.
LC/MS: m/z=331[(M+1)+]
(2) 제조예 1-2: 중간체 1-2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90
중간체 1-1(15.3g, 0.046mol), 1-iodo-2-nitrobenzene(7.5g, 0.03mol, sigma aldrich), Pd(OAc)2 (0.34g, 0.0015mol, sigma aldrich), P(tBu)2Me(0.48g, 0.003mol, sigma aldrich), KOtBu (10.1 g, 0.09 mol,sigma aldrich)에 t-Butyl alcohol 600ml를 넣고 25℃에서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증류수를 넣고 추출하여 칼럼 정제(n-Hexane: methylene chloride)하여 중간체 1-2을 8.5g(수율 57%) 수득하였다.
LC/MS: m/z=325[(M+1)+]
(3) 제조예 1-3: 중간체 1-3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91
중간체 1-2(8.5g, 0.026 mol), triphenylphosphine(20.5g, 0.078mol, sigma aldrich에 o-dichlorobenzene 340ml를 넣고 180℃에서 환류시켜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냉각 하여 증류수를 넣고 추출하여 칼럼 정제(n-Hexane : methylene chloride)하여 중간체 1-3을 6.8 g(수율 89%) 수득하였다.
LC/MS: m/z=293[(M+1)+]
(4) 제조예 1-4: 중간체 1-4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92
중간체 1-3(6.8g, 0.023mol), bromobenzene(3.6g, 0.023mol, sigma aldrich), Pd2(dba)3(1.1g, 0.0012mol, sigma aldrich), P(t-Bu)3(0.28g, 0.0014mol,sigma aldrich), NatOBu(2.7g, 0.028mol,sigma aldrich)에 Toluene 280ml를 넣고 80℃에서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냉각 하여 증류수를 넣고 추출하여 칼럼 정제(n-Hexane: methylene chloride)하여 중간체 1-4를 6.4 g(수율 75%) 수득하였다.
LC/MS: m/z=368[(M+1)+]
(5) 제조예 1-5: 중간체 1-5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93
Dibenzothiophene(20g, 0.109mol, sigma aldrich), N-Iodosuccinimide(12.1g, 0.054mol, sigma aldrich)과 Solvent Chloroform/Acetone(3:1)을 800ml를 넣고 25℃에서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하여 중간체 1-5를 9g (수율 27%)수득하였다.
LC/MS: m/z=310[(M+1)+]
(6) 제조예 1-6: 중간체 1-6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94
중간체 1-5(9g, 0.029mol), 1,4-diiodobenzene(9.6g, 0.029mol, sigma aldrich), 촉매 Copper(II) (0.52g, 0.0029mol, sigma aldrich), Potassium fluoride(1.7g, 0.029mol, sigma aldrich)에 DMSO 360ml를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methylene chloride)하여 중간체 1-6을 7.1g(수율 63%) 수득하였다.
LC/MS: m/z=386[(M+1)+]
(7) 제조예 1-7: 화합물 1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95
중간체 1-6(7.1g, 0.018mol), 중간체 1-4(6.4g, 0.018mol), 촉매 Copper(II) (0.33g, 0.0018mol), Potassium fluoride(1.1g, 0.018mol)에 DMSO 280ml를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 methylene chloride)하여 화합물 1을 4.6g(수율 51%) 수득하였다.
H-NMR (200MHz, CDCl3):δ ppm, 1H(7.50/M, 7.45/M, 7.94/D, 7.33/M, 7.25/M, 8.55/D, 7.59/D, 7.43/M, 7.79/D, 7.98/D, 7.52/M, 8.45/D, 8.41/D, 8.20/D) 2H(7.50/D) 3H(7.58/M) 4H(7.25/D )
LC/MS: m/z=502[(M+1)+]
실시예 2: 화합물 2 합성
(1) 제조예 2-1: 중간체 2-1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96
1-phenyl-1H-benzo[d]imidazole(21.2g, 0.109mol, sigma aldrich), N-Iodosuccinimide(12.1g, 0.054mol)과 Solvent Chloroform/Acetone(3:1)을 800ml를 넣고 25℃에서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하여 중간체 2-1을 9.3g (수율 27%)수득하였다.
LC/MS: m/z=320[(M+1)+]
(2) 제조예 2-2: 중간체 2-2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97
중간체 2-1(9.3g, 0.029mol), 1,4-diiodobenzene(9.6g, 0.029mol), 촉매 Copper(II) (0.52g, 0.0029mol), Potassium fluoride(1.7g, 0.029mol)에 DMSO 370ml를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methylene chloride)하여 중간체 2-2를 7.1 g(수율 62%) 수득하였다.
LC/MS: m/z=396[(M+1)+]
(3) 제조예 2-3: 화합물 2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98
중간체 2-2(7.1g, 0.018mol), 중간체 1-4(6.4g, 0.018 mol), 촉매 Copper(II) (0.33g, 0.0018mol), Potassium fluoride(1.1g, 0.018mol)에 DMSO 280ml을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 methylene chloride)하여 화합물 2를 4.6g(수율 50%) 수득하였다.
H-NMR(200MHz, CDCl3): δ ppm, 1H(7.50/M, 7.29/M, 8.12/D, 7.63/D, 7.90/D, 7.39/M, 8.10/D, 7.59/D, 8.56/D) 2H(7.45/M, 7.22/M, 7.25/D, 7.85/D) 4H(7.50/D, 7.58/M)
LC/MS: m/z= 512[(M+1)+]
실시예 3: 화합물 5 합성
(1) 제조예 3-1: 중간체 5-1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099
triphenylene (24.9g, 0.109mol, sigma aldrich), N-Iodosuccinimide(12.1g, 0.054mol)과 Solvent Chloroform/Acetone(3:1)을 800ml를 넣고 25℃에서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하여 중간체 5-1을 10.3g (수율 24%) 수득하였다.
LC/MS: m/z= 354[(M+1)+]
(2) 제조예 3-2: 중간체 5-2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00
중간체 5-1(10.3g, 0.029mol), 1,4-diiodobenzene(9.6g, 0.029mol), 촉매 Copper(II) (0.52g, 0.0029mol), Potassium fluoride(1.7g, 0.029mol)에 DMSO 370ml을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methylene chloride)하여 중간체 5-2를 7.7 g(수율 62%) 수득하였다.(m/z=430)
LC/MS: m/z= 430[(M+1)+]
(3) 제조예 3-3: 화합물 5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01
중간체 5-2(7.7g, 0.018mol), 중간체 1-4(6.4g, 0.018mol), 촉매 Copper(II) (0.33g, 0.0018mol), Potassium fluoride(1.1g, 0.018mol)에 DMSO 280ml을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 methylene chloride)하여 화합물 5를 4.6g(수율 47%) 수득하였다.
H-NMR(200MHz, CDCl3): δ ppm, 1H(7.50/M, 7.45/M, 7.63/D, 7.29/M, 7.90/D, 7.39/M, 8.34/D, 8.99/D) 2H (8.10/D, 8.93/D, 7.88/M, 7.82/M, 7.50/D, 7.58/M) 3H(8.12/D) 4H (7.25/D)
LC/MS: m/z= 546[(M+1)+]
실시예 4: 화합물 6 합성
(1) 제조예 4-1: 중간체 6-1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02
N-phenyldibenzo[b,d]thiophene-4-amine (30g, 0.109mol, sigma aldrich), N-Iodosuccinimide(12.1g, 0.054mol)과 Solvent Chloroform/Acetone(3:1)을 800ml를 넣고 25℃에서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하여 중간체 6-1을 11.6 g (수율 24%)수득하였다.
LC/MS: m/z= 401[(M+1)+]
(2) 제조예 4-2: 중간체 6-2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03
중간체 6-1(11.6g, 0.029mol), 1,4-diiodobenzene(9.6g, 0.029mol), 촉매 Copper(II) (0.52g, 0.0029mol), Potassium fluoride(1.7g, 0.02 mol)에 DMSO 370ml를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methylene chloride)하여 중간체 6-2를 8.6g(수율 62%) 수득하였다.
LC/MS: m/z= 477[(M+1)+]
(3) 제조예 4-3: 화합물 6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04
중간체 6-2(8.6g, 0.018mol), 중간체 1-4(6.4g, 0.018mol), 촉매 Copper(II) (0.33g, 0.0018mol), Potassium fluoride(1.1g, 0.018mol)에 DMSO 280ml를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 methylene chloride)하여 화합물 6을 4.6g(수율 43%) 수득하였다.
H-NMR(200MHz, CDCl3): δ ppm, 1H(7.45/M, 7.63/D, 7.29/M, 8.12/D, 7.90/D, 7.39/M, 8.10/D, 6.81/M, 6.86/D, 7.27/M, 7.81/D, 8.45/D, 7.52/M, 7.98/D) 2H (7.50/M, 7.50/D, 7.58/M, 7.54/D, 6.69/D, 7.20/M, 6.63/D)
LC/MS: m/z= 593[(M+1)+]
실시예 5: 화합물 7 합성
(1) 제조예 5-1: 중간체 7-1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05
benzo[f][1,9]phenanthroline (25.1g, 0.109mol, sigma aldrich), N-Iodosuccinimide(12.1g, 0.054mol)과 Solvent Chloroform/Acetone(3:1)을 800ml를 넣고 25℃에서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하여 중간체 7-1을 10.3g (수율 27%)수득하였다.
LC/MS: m/z= 356[(M+1)+]
(2) 제조예 5-2: 중간체 7-2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06
중간체 7-1(11.6g, 0.029mol), 1,4-diiodobenzene(9.6g, 0.029mol), 촉매 Copper(II)(0.52g, 0.0029mol), Potassium fluoride(1.7g, 0.029mol)에 DMSO 370ml를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methylene chloride)하여 중간체 7-2를 8.6g(수율 69%) 수득하였다.
LC/MS: m/z= 432[(M+1)+]
(3) 제조예 5-3: 화합물 7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07
중간체 7-2(8.6g, 0.020mol), 중간체 1-4(6.8g, 0.020mol), 촉매 Copper(II) (0.38g, 0.0020mol), Potassium fluoride(1.2g, 0.020mol)에 DMSO 300ml을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 methylene chloride)하여 화합물 7을 4.6g(수율 42%) 수득하였다.
H-NMR(200MHz, CDCl3): δ ppm, 1H(7.50/M, 7.45/M, 7.63/D, 7.29/M, 8.12/D, 7.90/D, 7.39/M, 8.10/D, 7.58/M, 8.83/D, 8.38/D, 8.34/S, 7.73/D, 8.06/D, 7.50/D, 8.45/D, 8.91/S) 2H(7.50/D, 7.58/M) 4H(7.25/D)
LC/MS: m/z=548 [(M+1)+]
실시예 6: 화합물 12 합성
(1) 제조예 6-1: 중간체 12-1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08
5-phenyl-5,7a-dihydro-4bH-pyrrolo[3,2-f][1,10]phenanthroline (32.4g, 0.109mol, sigma aldrich), N-Iodosuccinimide(12.1g, 0.054mol)과 Solvent Chloroform/Acetone(3:1)을 800ml를 넣고 25℃에서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하여 중간체 12-1을 10.3g (수율 22%)수득하였다.
LC/MS: m/z=423 [(M+1)+]
(2) 제조예 6-2: 중간체 12-2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09
중간체 12-1(10.3g, 0.024mol), 1,4-diiodobenzene(7.9g, 0.024mol), 촉매 Copper(II)(0.43g, 0.0024mol), Potassium fluoride(1.4g, 0.024mol)에 DMSO 400ml을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methylene chloride)하여 중간체 12-2를 8.6 g(수율 72%) 수득하였다.
LC/MS: m/z=499 [(M+1)+]
(3) 제조예 6-3: 화합물 12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10
중간체 12-2(8.6g, 0.017mol), 중간체 1-4(6.8g, 0.017mol), 촉매 Copper(II) (0.33g, 0.0017mol), Potassium fluoride(1.1g, 0.017mol)에 DMSO 300ml을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 methylene chloride)하여 화합물 12를 4.6g(수율 44%) 수득하였다.
H-NMR(200MHz, CDCl3): δ ppm, 1H(7.50/M, 7.45/M, 7.63/D, 7.29/M, 8.12/D, 7.90/D, 7.39/M, 8.10/D, 6.77/M, 5.07/S, 4.07/S, 4.32/S, 7.48/D, 8.51/D, 7.67/D, 6.94/M, 8.53/D, 6.81/M) 2H(7.50/D, 7.59/D, 7.44/D, 7.58/M, 6.60/D, 7.23/M)
LC/MS: m/z= 615[(M+1)+]
실시예 7: 화합물 14 합성
(1) 제조예 7-1: 중간체 14-1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11
pyrido[2,3-f][1,7]phenanthroline(25.2g, 0.109mol, sigma aldrich), N-Iodosuccinimide(12.1g, 0.054mol)과 Solvent Chloroform/Acetone(3:1)을 800ml를 넣고 25℃에서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하여 중간체 14-1을 10.3g (수율 26%)수득하였다.
LC/MS: m/z= 357[(M+1)+]
(2) 제조예 7-2: 중간체 14-2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12
중간체 14-1(10.3g, 0.029mol), 1,4-diiodobenzene(9.4g, 0.029mol), 촉매 Copper(II)(0.33g, 0.0029mol), Potassium fluoride(1.7g, 0.029mol)에 DMSO 400ml를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methylene chloride)하여 중간체 14-2를 8.6 g(수율 68%) 수득하였다.
LC/MS: m/z= 499[(M+1)+]
(3) 제조예 7-3: 화합물 14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13
중간체 14-2(8.6g, 0.020mol), 중간체 1-4(8.0g, 0.020mol), 촉매 Copper(II) (0.38g, 0.0020mol), Potassium fluoride(1.2g, 0.020mol)에 DMSO 300ml를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 methylene chloride)하여 화합물 14를 4.6g(수율 42%) 수득하였다.
H-NMR(200MHz, CDCl3): δ ppm, 1H(7.50/M, 7.45/M, 7.63/D, 7.29/M, 8.12/D, 7.90/D, 7.39/M, 8.10/D, 8.57/S, 8.22/S) 2H(8.38/D, 8.83/D, 7.50/D) 4H(7.25/D, 7.58/M)
LC/MS: m/z=549[(M+1)+]
실시예 8: 화합물 15 합성
(1) 제조예 8-1: 중간체 15-1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14
diphenylamine (18.4g, 0.109mol, sigma aldrich), N-Iodosuccinimide(12.1g, 0.054mol)과 Solvent Chloroform/Acetone(3:1)을 800ml를 넣고 25℃에서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하여 중간체 15-1을 10.3g (수율 32%)수득하였다.
LC/MS: m/z=295[(M+1)+]
(2) 제조예 8-2: 중간체 15-2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15
중간체 15-1(10.3g, 0.035mol), 1,4-diiodobenzene(11.3g, 0.035mol), 촉매 Copper(II)(0.40g, 0.0029mol), Potassium fluoride(2.05g, 0.029mol)에 DMSO 400ml을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methylene chloride)하여 중간체 15-2를 8.6 g(수율 66%) 수득하였다.
LC/MS: m/z=371[(M+1)+]
(3) 제조예 8-3: 화합물 15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16
중간체 15-2(8.6g, 0.023mol), 중간체 1-4(9.2g, 0.023mol), 촉매 Copper(II) (0.44g, 0.0020mol), Potassium fluoride(1.4g, 0.020mol)에 DMSO 340ml을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 methylene chloride)하여 화합물 15를 4.6g(수율 41%) 수득하였다.
H-NMR(200MHz, CDCl3): δ ppm, 1H(7.50/M, 7.45/M, 7.63/D, 7.29/M, 8.12/D, 7.90/D, 7.39/M, 8.10/D) 2H(6.81/M, 6.69/D, 7.54/D, 7.50/D, 7.58/M) 4H(7.20/M, 6.63/D)
LC/MS: m/z= 487[(M+1)+]
실시예 9: 화합물 18 합성
(1) 제조예 9-1: 중간체 18-1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17
4-bromo-9-phenyl-9H-carbazole(10g, 0.031mol, sigma aldrich), 4-bromophenylboronic acid (7.5g, 0.037mol, sigma aldrich), Pd(pph)4(1.0g, 0.0009 mol, sigma Aldrich), NaOH(3.7g, 0.093mol, sigma aldrich )에 THF 360ml를 넣고 질소 하에서 3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반응혼합물을 냉각 시킨 후 dichloromethane 추출 후 실리카 column 정제(MC:HEX)하여 중간체 18-1를 9.1g(수율 74%)수득하였다.
LC/MS: m/z= 398[(M+1)+]
(2) 제조예 9-2: 화합물 18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18
중간체 18-1(9.1g, 0.023mol), 9H-pyrido[3,4-b]indol-9-ylboronic acid(5.9g, 0.028mol, sigma aldrich), 촉매 Copper(II)(0.29g, 0.0023mol), Potassium fluoride(1.65g, 0.023mol)에 DMSO 400ml을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methylene chloride)하여 화합물 18을 8.6g(수율 77%) 수득하였다.
H-NMR(200MHz, CDCl3): δ ppm, 1H(7.45/M, 7.25/M, 8.55/D, 7.33/M, 7.94/D, 7.59/D, 7.43/M) 2H(8.78/S, 9.26/S, 7.68/D, 7.50/D, 7.58/D) 3H(7.79/D)
LC/MS: m/z= 489[(M+1)+]
실시예 10: 화합물 21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19
중간체 18-1(9.1g, 0.023mol), 4,6-diphenyl-1,3,5-triazin-2-ylboronic acid (7.8g, 0.028mol, sigma aldrich), 촉매 Copper(II)(0.29g, 0.0023 mol), Potassium fluoride(1.65g, 0.023mol)에 DMSO 400ml을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methylene chloride)하여 화합물 21을 8.6 g(수율 68%) 수득하였다.
H-NMR(200MHz, CDCl3): δ ppm, 1H(7.25/M, 7.45/M, 7.33/M, 8.55/D, 7.94/D, 7.59/D, 7.43/M, 7.79/D) 2H(7.41/M, 7.85/D, 7.25/D, 7.50/D, 7.58/D) 4H(8.28/D, 7.51/M)
LC/MS: m/z= 551[(M+1)+]
실시예 11: 화합물 22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20
중간체 18-1(9.1g, 0.023mol), 3,5-diphenyl-4H-1,2,4-triazol-4-ylboronic acid (7.4g, 0.028mol, sigma aldrich), 촉매 Copper(II)(0.29g, 0.0023mol), Potassium fluoride(1.65g, 0.023mol)에 DMSO 400ml을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methylene chloride)하여 화합물 22를 8.6 g(69%) 수득하였다.
H-NMR(200MHz, CDCl3): δ ppm, 1H (7.45/M, 7.94/D, 7.33/M, 7.25/M, 8.55/D, 7.43/M) 2H(7.41/M, 7.68/D, 7.50/D, 7.58/M) 3H(7.79/D) 4H(7.51/M, 8.28/D)
LC/MS: m/z=539 [(M+1)+]
실시예 12: 화합물 23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21
중간체 18-1(9.1g, 0.023mol), 3,5-bis(1-phenyl-1H-benzo[d]imidazol-2-yl)phenylboronic acid (14.2g, 0.028 mol, sigma aldrich), 촉매 Copper(II)(0.29g, 0.0023mol), Potassium fluoride(1.65g, 0.023mol)에 DMSO 400ml을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methylene chloride)하여 화합물 23을 8.6g(수율 48%) 수득하였다.
H-NMR(200MHz, CDCl3): δ ppm, 1H(8.55/D, 7.33/M, 7.94/D, 7.25/M, 7.43/M, 7.79/D) 2H(8.56/D, 7.58/D) 3H(7.59/D, 7.45/M, 7.66/S) 4H(7.58/M, 7.25/D, 7.22/M) 6H(7.50/D)
LC/MS: m/z= 780[(M+1)+]
실시예 13: 화합물 25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22
중간체 18-1(9.1g, 0.023mol), dipyridin-3-ylboramidic acid (6.0g, 0.028mol, sigma aldrich), 촉매 Copper(II)(0.29g, 0.0023mol), Potassium fluoride(1.65g, 0.023mol)에 DMSO 400ml을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methylene chloride)하여 화합물 25를 8.6g(수율 77%) 수득하였다.
H-NMR(200MHz, CDCl3): δ ppm, 1H(7.45/M, 7.94/D, 7.33/M, 7.25/M, 8.55/D, 7.59/D, 7.43/M, 7.79/D) 2H(7.58/M, 7.50/D, 7.54/D, 6.69/D, 8.04/S, 8.09/D, 7.36/M, 7.27/D)
LC/MS: m/z=489 [(M+1)+]
실시예 14: 화합물 29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23
중간체 18-1(9.1g, 0.023mol), imidazo[1,2-a]pyridin-7-ylboronic acid (4.5g, 0.028mol, sigma aldrich), 촉매 Copper(II)(0.29g, 0.0023mol), Potassium fluoride(1.65g, 0.023mol)에 DMSO 400ml을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methylene chloride)하여 화합물 29를 8.6g(수율 86%) 수득하였다.
H-NMR(200MHz, CDCl3): δ ppm, 1H(7.25/M, 7.45/M, 7.94/D, 7.33/M, 8.55/D, 7.59/D, 7.43/M, 7.79/D, 7.73/S, 6.87/D, 8.54/D) 2H(7.48/D, 7.50/D, 7.58/M) 4H(7.25/D)
LC/MS: m/z= 435[(M+1)+]
실시예 15: 화합물 30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24
중간체 18-1(9.1g, 0.023mol), 9H-carbazol-9-ylboronic acid (5.9g, 0.028mol, sigma aldrich), 촉매 Copper(II)(0.29 g, 0.0023 mol), Potassium fluoride(1.65g, 0.023mol)에 DMSO 400ml를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methylene chloride)하여 화합물 30을 8.6g(수율 63%) 수득하였다.
H-NMR(200MHz, CDCl3): δ ppm, 1H(7.50/M, 7.63/D, 7.29/M, 8.12/D, 7.45/M, 7.59/D, 7.43/M) 2H(7.50/D, 7.68/D, 7.58/M, 7.94/D, 7.33/M, 7.25/M, 8.55/D) 3H(7.79/D)
LC/MS: m/z=485 [(M+1)+]
실시예 16: 화합물 31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25
중간체 18-1(9.1g, 0.023mol), 2,7-bis(9-phenyl-9H-fluoren-9-yl)-9H-carbazol-9-ylboronic acid (18.9, 0.028mol, sigma aldrich), 촉매 Copper(II)(0.29 g, 0.0023 mol), Potassium fluoride(1.65g, 0.023mol)에 DMSO 400ml를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methylene chloride)하여 화합물 31을 15.9g(수율 69%) 수득하였다.
H-NMR(200MHz, CDCl3): δ ppm, 1H(7.28/D, 7.45/M, 7.59/D, 7.43/M, 7.55/S, 7.31/D, 8.00/D, 8.31/D, 6.80/D, 7.20/D) 2H(7.50/D, 7.55/D, 7.68/M, 7.58/M, 8.55/D, 8.55/S) 3H(7.28/M, 7.79/D) 4H(7.11/D, 7.87/D, 7.38/M) 5H(7.33/M)
LC/MS: m/z= 966[(M+1)+]
실시예 17: 화합물 34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26
중간체 18-1(9.1g, 0.023mol), 4,6-diphenyl-1,3,5-triazin-2-ylboronic acid (7.8g, 0.028mol, sigma aldrich), 촉매 Copper(II)(0.29g, 0.0023mol), Potassium fluoride(1.65g, 0.023mol)에 DMSO 400ml를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methylene chloride)하여 화합물 34를 8.6g(수율 68%) 수득하였다.
H-NMR(200MHz, CDCl3): δ ppm, 1H(7.25/M, 7.45/M, 7.94/D, 7.33/M, 8.55/D, 7.59/D, 7.43/M, 7.79/D) 2H(7.25/D, 7.85/D, 7.41/M, 7.58/M, 7.50/D) 4H(8.28/D, 7.51/M)
LC/MS: m/z= 551[(M+1)+]
실시예 18: 화합물 35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27
중간체 18-1(9.1g, 0.023mol), 2,6-diphenylpyridin-4-ylboronic acid (7.7g, 0.028mol, sigma aldrich), 촉매 Copper(II)(0.29g, 0.0023mol), Potassium fluoride(1.65g, 0.023mol)에 DMSO 400ml를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methylene chloride)하여 화합물 35를 10.1g(수율 80%) 수득하였다.
H-NMR(200MHz, CDCl3): δ ppm, 1H(7.45/M, 7.94/D, 7.33/M, 7.25/M, 8.55/D, 7.59/D, 7.43/M, 7.79/D) 2H(8.20/S, 7.47/M, 7.50/D, 7.58/M) 4H(8.30/M, 7.54/M, 7.25/D)
LC/MS: m/z= 549[(M+1)+]
실시예 19: 화합물 39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28
중간체 18-1(9.1g, 0.023mol), 5-(9H-carbazol-9-yl)-2-phenyl-1H-benzo[d]imidazol-1-ylboronic acid (11.3g, 0.028mol, sigma aldrich), 촉매 Copper(II)(0.29g, 0.0023mol), Potassium fluoride(1.65g, 0.023mol)에 DMSO 400ml를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400ml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methylene chloride)하여 화합물 39를 9.1g(수율 62%) 수득하였다.
H-NMR(200MHz, CDCl3): δ ppm, 1H(7.45/M, 7.90/D, 7.39/M, 8.10/D, 7.59/D, 7.15/D, 8.55/D, 7.25/M, 7.33/M, 7.94/D, 7.70/S, 7.41/M) 2H(7.50/M, 7.50/D, 7.79/D, 7.68/D, 8.28/D, 7.51/M, 7.58/M, 7.29/M, 8.12/D, 7.63/D)
LC/MS: m/z=677.81[(M+1)+]
실시예 20: 화합물 44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29
중간체 18-1(9.1g, 0.023mol), triphenylen-2-ylboronic acid (7.6g, 0.028mol, sigma aldrich), 촉매 Copper(II)(0.29g, 0.0023mol), Potassium fluoride(1.65g, 0.023mol)에 DMSO 400ml를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methylene chloride)하여 화합물 44를 8.8g(수율 70%) 수득하였다.
H-NMR(200MHz, CDCl3): δ ppm, 1H(7.45/M, 7.94/D, 7.33/M, 7.25/M, 8.55/D, 7.59/D, 7.43/M, 7.79/D, 9.15/S, 8.04/D, 8.18/D) 2H(8.12/D, 7.82/M, 7.88/M, 8.93/D, 7.58/M, 7.50/D)
LC/MS: m/z= 546[(M+1)+]
실시예 21: 화합물 46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30
중간체 18-1(9.1g, 0.023mol), 9,9-diphenyl-9H-fluoren-2-ylboronic acid (10.1g, 0.028mol, sigma aldrich), 촉매 Copper(II)(0.29g, 0.0023mol), Potassium fluoride(1.65g, 0.023mol)에 DMSO 400ml를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methylene chloride)하여 화합물 46을 9.0g(수율 62%) 수득하였다.
H-NMR(200MHz, CDCl3): δ ppm, 1H (7.50/M, 7.45/M, 7.29/M, 8.12/D, 7.90/D, 7.39/M, 8.10/D, 7.77/S, 7.93/D, 7.87/D, 7.38/M, 7.28/M, 7.55/D) 2H(7.50/D, 7.58/M, 7.63/D, 7.26/M) 4H(7.11/D, 7.33/M, 7.25/D)
LC/MS: m/z= 636[(M+1)+]
실시예 22: 화합물 56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31
중간체 18-1(9.1g, 0.023mol), 4-(9H-carbazol-9-yl)phenyl(biphenyl-4-yl)boramidic acid(12.7g, 0.028mol, sigma aldrich), 촉매 Copper(II)(0.29g, 0.0023 mol), Potassium fluoride(1.65g, 0.023mol)에 DMSO 400ml를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methylene chloride)하여 화합물 56을 10.4g(수율 62%) 수득하였다.
H-NMR(200MHz, CDCl3): δ ppm, 1H(7.41/M, 7.63/D, 7.50/M, 7.29/M, 8.12/D, 7.45/M, 7.59/D, 7.43/M, 7.79/D) 2H(7.58/M, 7.50/D, 7.54/D, 6.63/D, 7.37/D, 7.94/D, 7.33/M, 7.25/M, 8.55/D, 7.51/M, 7.52/D, 7.54/M) 4H(6.69/D)
LC/MS: m/z= 728[(M+1)+]
실시예 23: 화합물 60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32
중간체 18-1(9.1g, 0.023mol), 9,9-diphenyl-9H-fluoren-2-yl(triphenylen-2-yl)boramidic acid(16.9g, 0.028mol, sigma aldrich), 촉매 Copper(II)(0.29g, 0.0023mol), Potassium fluoride(1.65g, 0.023mol)에 DMSO 400ml를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methylene chloride)하여 화합물 60을 14.2g(수율 70%) 수득하였다.
H-NMR(200MHz, CDCl3): δ ppm, 1H(7.45/M, 7.94/D, 7.25/M, 8.55/D, 7.59/D, 7.43/M, 7.79/D, 7.02/D, 8.13/S, 6.58/D, 7.62/D, 6.75/D, 7.55/D, 7.28/M, 7.38/M) 2H(8.12/D, 7.82/M, 7.88/M, 8.93/D, 7.50/D, 7.58/M, 7.54/D, 6.69/D, 7.26/M, 7.87/D) 4H(7.11/D) 5H(7.33/M)
LC/MS: m/z= 878[(M+1)+]
실시예 24: 화합물 64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33
중간체 18-1(9.1g, 0.023mol), 4-(4,6-diphenyl-1,3,5-triazin-2-yl)phenyl(triphenylen-2-yl)boramidic acid(16.6g, 0.028mol, sigma aldrich), 촉매 Copper(II)(0.29g, 0.0023mol), Potassium fluoride(1.65g, 0.023mol)에 DMSO 400ml를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methylene chloride)하여 화합물 64를 15.1g(수율 76%) 수득하였다.
H-NMR(200MHz, CDCl3): δ ppm, 1H(7.45/M, 7.59/D, 7.43/M, 7.79/D, 7.94/D, 7.33/M, 7.25/M, 8.55/D, 7.02/D, 7.87/D, 8.13/S) 2H(8.93/D, 7.88/M, 7.82/M, 8.12/D, 7.41/M, 7.90/D, 7.54/D, 7.50/D, 7.58/M) 4H(7.51/M, 8.28/D, 6.69/D)
LC/MS: m/z= 869[(M+1)+]
실시예 25: 화합물 72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34
중간체 18-1(9.1g, 0.023mol), biphenyl-4-yl(9,9-diphenyl-9H-fluoren-2-yl)boramidic acid (12.2g, 0.028mol, sigma aldrich), 촉매 Copper(II)(0.29g, 0.0023mol), Potassium fluoride(1.65g, 0.023mol)에 DMSO 400ml를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methylene chloride)하여 화합물 72를 15.4g(수율 83%) 수득하였다.
H-NMR(200MHz, CDCl3): δ ppm, 1H(7.45/M, 7.59/D, 7.43/M, 7.79/D, 7.94/D, 7.25/M, 8.55/D, 6.75/D, 6.58/D, 7.62/D, 7.87/D, 7.38/M, 7.28/M, 7.55/D, 7.41/M) 2H(7.50/D, 7.58/M, 7.51/M, 7.52/D, 7.26/M) 4H(7.11/D, 7.54/D, 6.69/D) 5H(7.33/M)
LC/MS: m/z= 804[(M+1)+]
실시예 26: 화합물 77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35
중간체 18-1(9.1g, 0.023mol), 3-(9H-carbazol-9-yl)phenyl(biphenyl-4-yl)boramidic acid(12.7g, 0.028mol, sigma aldrich), 촉매 Copper(II)(0.29g, 0.0023mol), Potassium fluoride(1.65g, 0.023mol)에 DMSO 400ml를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methylene chloride)하여 화합물 77을 8.6g(수율 51%) 수득하였다.
H-NMR(200MHz, CDCl3): δ ppm, 1H(7.50/M, 7.45/M, 7.59/D, 7.43/M, 7.79/D, 7.41/M, 6.63/D, 7.20/M, 6.86/D, 7.63/D, 6.50/S, 7.29/M, 8.12/D) 2H(7.50/D, 7.51/M, 7.52/D, 7.58/M, 7.94/D, 7.33/M, 7.25/M, 8.55/D) 4H(7.54/D, 6.69/D)
LC/MS: m/z=728 [(M+1)+]
실시예 27: 화합물 80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36
중간체 18-1(9.1g, 0.023mol), naphthalen-2-yl(triphenylen-2-yl)boramidic acid (11.6g, 0.028mol, sigma aldrich), 촉매 Copper(II)(0.29g, 0.0023mol), Potassium fluoride(1.65g, 0.023mol)에 DMSO 400ml를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methylene chloride)하여 화합물 80을 8.6g(수율 54%) 수득하였다.
H-NMR(200MHz, CDCl3): δ ppm, 1H(7.50/M, 7.45/M, 7.94/D, 7.33/M, 7.25/M, 8.55/D, 7.59/D, 7.43/M, 7.79/D, 7.02/D, 7.87/D, 8.13/S, 7.49/D, 7.84/D, 7.88/D, 7.36/M, 7.77/D, 7.74/S) 2H(8.93/D, 7.88/M, 7.82/M, 8.12/D, 7.54/D, 6.69/D, 7.50/D, 7.58/M)
LC/MS: m/z= 687[(M+1)+]
실시예 28: 화합물 83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37
중간체 18-1(9.1g, 0.023mol), dibenzo[b,d]thiophen-3-yl(naphthalen-2-yl)boramidic acid(10.0g, 0.028mol, sigma aldrich), 촉매 Copper(II)(0.29g, 0.0023mol), Potassium fluoride(1.65g, 0.023mol)에 DMSO 400ml를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methylene chloride)하여 화합물 83을 8.6g(수율 58%) 수득하였다.
H-NMR(200MHz, CDCl3): δ ppm, 1H (7.45/M, 7.94/D, 7.33/M, 7.25/M, 8.55/D, 7.59/D, 7.43/M, 7.79/D, 7.98/D, 7.52/M, 8.45/D, 7.36/M, 7.88/D, 7.81/D, 7.27/D, 6.86/D, 7.49/D, 7.84/D, 7.74/S, 7.77/D) 2H(7.50/M, 7.50/D, 6.69/D, 7.58/M, 7.54/D)
LC/MS: m/z= 643[(M+1)+]
실시예 29: 화합물 89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38
중간체 18-1(9.1g, 0.023mol), dibenzo[b,d]thiophen-2-yl(phenyl)boramidic acid (8.9g, 0.028mol, sigma aldrich), 촉매 Copper(II)(0.29g, 0.0023mol), Potassium fluoride(1.65g, 0.023mol)에 DMSO 400ml를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methylene chloride)하여 화합물 89를 9.0g(수율 66%) 수득하였다.
H-NMR(200MHz, CDCl3): δ ppm, 1H (7.50/M, 7.45/M, 7.33/M, 7.94/D, 7.59/D, 7.43/M, 7.79/D, 7.98/D, 7.98/D, 8.55/D, 8.45/D, 7.52/M, 6.88/D, 6.63/D, 7.34/D) 2H(7.50/D, 6.63/D, 7.54/D, 7.58/M, 7.25/M, 7.20/M, 6.69/D)
LC/MS: m/z= 593[(M+1)+]
실시예 30: 화합물 90 합성
(1) 제조예 30-1: 중간체 90-1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39
중간체 1-4(8.5g, 0.023mol), 6-bromonaphthalen-2-ylboronic acid (8.0g, 0.028mol, sigma aldrich), 촉매 Copper(II)(0.29g, 0.0023mol), Potassium fluoride(1.65g, 0.023mol)에 DMSO 400ml를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methylene chloride)하여 중간체 90-1을 7.5g(수율 73%) 수득하였다.
(2) 제조예 30-2: 화합물 90 합성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40
중간체 90-1(7.5g, 0.016mol), 9-phenyl-9H-carbazol-4-ylboronic acid (5.7g, 0.020mol, sigma aldrich), 촉매 Copper(II)(0.20g, 0.0016mol), Potassium fluoride(1.14g, 0.023mol)에 DMSO 300ml를 넣고 13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을 반응 용매량 만큼 첨가하여 추출 후 칼럼 정제(n-Hexane: methylene chloride)하여 화합물 90을 6.5g(수율 67%) 수득하였다.
H-NMR(200MHz, CDCl3): δ ppm, 2H(8.55/D, 7.33/M, 7.58/S, 7.94/D, 7.25/D, 7.45/M, 7.59/D, 7.43/M, 7.79/D, 7.73/D, 7.92/D) 4H(7.50/D, 7.58/M)
LC/MS: m/z= 611[(M+1)+]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쓰이는 약어는 아래와 같다.
NPB: N,N'-Bis(naphthalen-1-yl)-N,N'-bis(phenyl)benzidine
Ir(ppy)3: Iridium, tris(2-phenylpyidine)
Balq: Bis(2-methyl-8-quinolinolato-N1,O8)-(1,1'-Biphenyl-4-olato)aluminum
Alq3: tris(8-quinolinolato)-aluminium(III)
CBP: (4,4-N,N-dicarbazole)biphenyl
소자실시예 1: 화합물 1을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로 하여 유기전계발광소자 제조
ITO로 코팅된 유리기판 위에 NPB를 증착하여 120nm의 정공수송층을 형성하였으며, 이어서 Ir(ppy)3을 도펀트로 하여 화합물 1을 9% 속도(rate), 즉 화합물 1 의 증착속도를 0.1nm/sec, Ir(ppy)3 증착속도를 0.009nm/sec로 증착하여 증착속도 비율이 8%가 되도록 Ir(ppy)3을 도핑하여 정공수송층 상에 발광층을 30nm 두께로 형성하였다. 그 위에 Balq를 10nm 두께로 증착하여 정공이 발광층을 지나 전자수송층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정공차단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Alq3를 증착하여 40nm두께의 전자수송층을 형성하였으며, 그 위에 불화리튬을 증착하여 1nm두께의 전자주입층을 형성하였다. 전자주입층 상에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120nm의 음극을 형성하여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조하였다.
이때, 각 물질의 증착속도는 유기물질인, 화합물 1, NPB, Alq3, Balq는 0.1 nm/sec의 속도로 증착하였고, 불화리튬은 0.01 nm/sec, 알루미늄은 0.5 nm/sec의 속도로 증착하였다.
소자실시예 2 내지 26
화합물 1 대신에 하기 표 1에 기재된 발광재료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소자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소자실시예 2 내지 14의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조하였다.
소자실시예 27
화합물 1 대신 호스트 물질로서 CBP((4,4-N,N-dicarbazole)biphenyl)를 사용하고, 정공수송물질로서 NPB 대신 화합물6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소자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조하였다.
소자실시예 28 내지 35
화합물 6 대신에 하기 표 1에 기재된 정공수송재료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소자실시예27과 동일한 방법으로 소자실시예 28 내지 35의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조하였다.
소자비교예 1
상기 화합물 1 대신 (4,4-N,N-dicarbazole)biphenyl (CBP)를 발광재료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소자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조하였다.
이하, 상기 소자실시예 1 내지 35와 소자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유기전계발광소자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발광재료 (호스트) 정공수송재료 구동전압 (V at 1000cd/m2) 발광효율 (cd/A)
소자실시예 1 화합물 1 NPB 5.1 35 녹색
소자실시예 2 화합물 2 NPB 5.9 30 녹색
소자실시예 3 화합물 5 NPB 6.0 25 녹색
소자실시예 4 화합물 6 NPB 5.4 22 녹색
소자실시예 5 화합물 7 NPB 4.5 25 녹색
소자실시예 6 화합물 12 NPB 5.9 26 녹색
소자실시예 7 화합물 14 NPB 5.2 27 녹색
소자실시예 8 화합물 15 NPB 5.5 31 녹색
소자실시예 9 화합물 18 NPB 5.1 27 녹색
소자실시예 10 화합물 21 NPB 5.4 29 녹색
소자실시예 11 화합물 22 NPB 5.5 22 녹색
소자실시예 12 화합물 23 NPB 5.0 34 녹색
소자실시예 13 화합물 29 NPB 4.9 30 녹색
소자실시예 14 화합물 30 NPB 5.7 20 녹색
소자실시예 15 화합물 31 NPB 5.7 24 녹색
소자실시예 16 화합물 34 NPB 5.9 25 녹색
소자실시예 17 화합물 35 NPB 5.6 26 녹색
소자실시예 18 화합물 39 NPB 5.7 24 녹색
소자실시예 19 화합물 44 NPB 5.8 28 녹색
소자실시예 20 화합물 46 NPB 5.8 26 녹색
소자실시예 21 화합물 56 NPB 6.0 25 녹색
소자실시예 22 화합물 60 NPB 6.1 20 녹색
소자실시예 23 화합물 64 NPB 5.2 22 녹색
소자실시예 24 화합물 72 NPB 5.9 21 녹색
소자실시예 25 화합물 77 NPB 5.8 23 녹색
소자실시예 26 화합물 80 NPB 5.4 26 녹색
소자실시예 27 CBP 화합물 6 5.5 22 녹색
소자실시예 28 CBP 화합물 15 6.0 21 녹색
소자실시예 29 CBP 화합물 25 5.4 22 녹색
소자실시예 30 CBP 화합물 56 5.4 22 녹색
소자실시예 31 CBP 화합물 64 5.3 20 녹색
소자실시예 32 CBP 화합물 77 5.8 22 녹색
소자실시예 33 CBP 화합물 80 5.4 21 녹색
소자실시예 34 CBP 화합물 83 5.2 21 녹색
소자실시예 35 CBP 화합물 89 5.9 20 녹색
소자비교예 1 CBP NPB 7.5 17 녹색
구동전압 및 발광효율 측정
위에서 만든 유기발광소자(기판크기: 25x25mm2/증착면적: 2x2mm2)를 IVL 측정셋트(CS-2000+지그+IVL프로그램)에 고정 한 후 전류를 1mA/m2씩 상승시키며 증착면의 발광 휘도(cd/m2), 구동전압(V), 전류밀도(A/m2), 발광효율(cd/A)을 측정하여 휘도가 1000cd/m2 일 때 구동전압과 발광효율을 상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용 화합물이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발광층의 호스트 물질로 사용되거나 정공수송재료로 사용될 때 종래의 CBP를 발광재료로 사용하거나, NPB를 정공수송재료로 사용할 때보다 구동전압은 상당히 떨어지고, 발광효율은 상당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적 안정성 및 전자와 홀 수송능력이 우수하며, 삼중항 상태 에너지가 높아 인광발광재료의 발광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호스트, 정공주입물질, 정공수송물질, 전자수송물질, 전자주입물질 및 탑 이미션(top emission) 방식에서 굴절률이 우수한 밀봉 물질로 사용할 수 있는 유기발광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하기 구조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용 화합물.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41
    상기 구조식 1 또는 2에서,
    R4 내지 R6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고, R4 내지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42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43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44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45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46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47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48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49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50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51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52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53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54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55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56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57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58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59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60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61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62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63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64
    ,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시클로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시클로알킬기이거나, 또는 R4 내지 R6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그 어느 하나가 결합된 탄소원자의 이웃한 탄소원자와 추가로 결합하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융합된 C3 내지 C30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융합된 C1 내지 C30 헤테로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융합된 C6 내지 C30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융합된 C1 내지 C30 헤테로 아릴기를 형성할 수 있고,
    X1 내지 X37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고, X1 내지 X37은 각각 독립적으로 질소원자, 또는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65
    이고,
    Y1 내지 Y13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고, Y1 내지 Y13은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 황원자,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66
    , 또는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67
    이고,
    R8 내지 R70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고, R8 내지 R7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68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69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70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71
    ,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이고, 또는 R8 내지 R70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그 어느 하나가 결합된 탄소원자의 이웃한 탄소원자와 추가로 결합하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융합된 C3 내지 C30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융합된 C1 내지 C30 헤테로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융합된 C6 내지 C30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융합된 C1 내지 C30 헤테로 아릴기를 형성할 수 있고,
    Ar3 내지 Ar7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고, Ar3 내지 Ar7은 각각 독립적으로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72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73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74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75
    ,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이고,
    Ar1 및 Ar2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고,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76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77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78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79
    ,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80
    ,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이거나, 또는 Ar1 및 Ar2는 서로 결합되고 그들 사이의 질소원자와 함께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시클로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를 형성할 수 있고,
    X38 내지 X40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고, X38 내지 X40은 각각 독립적으로 질소원자, 또는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81
    이고,
    Y14 내지 Y17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고, Y14 내지 Y17은 각각 독립적으로 산소원자, 황원자,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82
    , 또는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83
    이고,
    R71 내지 R116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고, R71 내지 R116은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이고,
    Ar8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이고,
    R1 내지 R3, 및 R7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고, R1 내지 R3,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이거나, 또는 R1 내지 R3, 및 R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그 어느 하나가 결합된 탄소원자의 이웃한 탄소원자와 추가로 결합하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융합된 C3 내지 C30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융합된 C1 내지 C30 헤테로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융합된 C6 내지 C30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융합된 C1 내지 C30 헤테로 아릴기를 형성할 수 있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용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 내지 9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용 화합물.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84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85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86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87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88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89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90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91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92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93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94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95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96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97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98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199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200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201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202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203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204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205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206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207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208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209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210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211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212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213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214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215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216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217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218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219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220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221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222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223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224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225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226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227
    Figure PCTKR2013002321-appb-I000228
  3.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용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4. 제1전극, 제2전극 및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단수 또는 복수의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단수 또는 복수의 유기물층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물층은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용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수 또는 복수의 유기물층은 발광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기물층은 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유기물층은 전자주입층, 전자수송층, 정공차단층, 전자차단층, 정공수송층 및 정공주입층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호스트와 도펀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PCT/KR2013/002321 2012-06-04 2013-03-21 새로운 유기전계발광소자용 화합물 및 그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WO2013183851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80038179.3A CN104471021B (zh) 2012-06-04 2013-03-21 新的有机电致发光器件用化合物及包含该化合物的有机电致发光器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643 2012-06-04
KR20120059643 2012-06-04
KR10-2012-0118447 2012-10-24
KR1020120118447A KR20130136359A (ko) 2012-06-04 2012-10-24 새로운 유기전계발광소자용 화합물 및 그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20120151964A KR101527181B1 (ko) 2012-06-04 2012-12-24 새로운 유기전계발광소자용 화합물 및 그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2012-0151964 2012-12-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83851A1 true WO2013183851A1 (ko) 2013-12-12

Family

ID=49712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2321 WO2013183851A1 (ko) 2012-06-04 2013-03-21 새로운 유기전계발광소자용 화합물 및 그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3183851A1 (ko)

Cited B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50088A (zh) * 2013-12-26 2015-05-27 北京鼎材科技有限公司 一种含咔唑基的衍生物及其在有机电致发光器件中的应用
CN104650089A (zh) * 2013-12-26 2015-05-27 北京鼎材科技有限公司 一种含咔唑-9-基基团的芴类衍生物及其应用
CN104650076A (zh) * 2013-12-26 2015-05-27 北京鼎材科技有限公司 含有咪唑并吡啶基团的化合物及在有机电致发光中的应用
CN104650090A (zh) * 2013-12-26 2015-05-27 北京鼎材科技有限公司 一种含咔唑-3-基基团的芴类衍生物及其应用
WO2015084021A1 (en) * 2013-12-04 2015-06-11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Korea Ltd. Novel organic electroluminescent compound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ing the same
EP2910555A1 (en) * 2014-02-24 2015-08-26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WO2015142040A1 (en) 2014-03-17 2015-09-24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Korea Ltd. Electron buffering material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WO2015167199A1 (en) * 2014-04-29 2015-11-05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Korea Ltd. Electron transport material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2016113397A (ja) * 2014-12-15 2016-06-23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Samsung Display Co.,Ltd. カルバゾール化合物、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材料、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20160240792A1 (en) * 2015-02-06 2016-08-18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CN106068261A (zh) * 2014-03-17 2016-11-02 罗门哈斯电子材料韩国有限公司 电子缓冲材料和有机电致发光装置
JP2016199538A (ja) * 2015-04-06 2016-12-01 ユニバーサル ディスプレイ コーポレイション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材料及びデバイス
CN106232591A (zh) * 2014-04-29 2016-12-14 罗门哈斯电子材料韩国有限公司 电子传输材料和包含其的有机电致发光装置
CN107001270A (zh) * 2014-11-21 2017-08-01 默克专利有限公司 用于电子器件中的杂环化合物
WO2017150380A1 (ja) * 2016-02-29 2017-09-08 東ソー株式会社 キノキサリン化合物及びその用途
CN107337680A (zh) * 2017-07-17 2017-11-10 江苏三月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以芴为核心的有机化合物及其在oled器件上的应用
CN109516980A (zh) * 2017-09-20 2019-03-26 邱天隆 双极性材料以及有机发光二极管元件
JP2021020912A (ja) * 2016-02-29 2021-02-18 東ソー株式会社 キノキサリン化合物及びその用途
CN114805373A (zh) * 2022-02-25 2022-07-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空穴传输材料、发光器件、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20127802A (ko) 2020-01-15 2022-09-20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화합물, 유기 전기발광 소자용 재료, 유기 전기발광 소자 및 전자 기기
US11495749B2 (en) 2015-04-06 2022-11-08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1581487B2 (en) 2017-04-26 2023-02-14 Oti Lumionics Inc. Patterned conductive coating for surface of an opto-electronic device
US11730012B2 (en) 2019-03-07 2023-08-15 Oti Lumionics Inc. Materials for forming a nucleation-inhibiting coating and devices incorporating same
US11751415B2 (en) 2018-02-02 2023-09-05 Oti Lumionics Inc. Materials for forming a nucleation-inhibiting coating and devices incorporating same
US11818949B2 (en) 2015-04-06 2023-11-14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1834459B2 (en) 2018-12-12 2023-12-05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Host materials for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11985841B2 (en) 2020-12-07 2024-05-14 Oti Lumionics Inc. Patterning a conductive deposited layer using a nucleation inhibiting coating and an underlying metallic coat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3007A2 (en) * 2010-04-23 2011-10-27 Cheil Industries Inc. Compound for optoelectronic devic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ncluding the same and display includ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KR20110117548A (ko) * 2010-04-21 2011-10-27 덕산하이메탈(주) 다이벤조사이오펜과 아릴아민 유도체를 가지는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
JP2012049518A (ja) * 2010-07-27 2012-03-08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材料、化合物、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表示装置、並びに照明装置
WO2012046560A1 (en) * 2010-10-04 2012-04-1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Composite material, light-emitting element, light-emitting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light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7548A (ko) * 2010-04-21 2011-10-27 덕산하이메탈(주) 다이벤조사이오펜과 아릴아민 유도체를 가지는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
WO2011133007A2 (en) * 2010-04-23 2011-10-27 Cheil Industries Inc. Compound for optoelectronic devic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ncluding the same and display includ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JP2012049518A (ja) * 2010-07-27 2012-03-08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材料、化合物、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表示装置、並びに照明装置
WO2012046560A1 (en) * 2010-10-04 2012-04-1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Composite material, light-emitting element, light-emitting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lighting device

Cited B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4021A1 (en) * 2013-12-04 2015-06-11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Korea Ltd. Novel organic electroluminescent compound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04650088A (zh) * 2013-12-26 2015-05-27 北京鼎材科技有限公司 一种含咔唑基的衍生物及其在有机电致发光器件中的应用
CN104650089A (zh) * 2013-12-26 2015-05-27 北京鼎材科技有限公司 一种含咔唑-9-基基团的芴类衍生物及其应用
CN104650076A (zh) * 2013-12-26 2015-05-27 北京鼎材科技有限公司 含有咪唑并吡啶基团的化合物及在有机电致发光中的应用
CN104650090A (zh) * 2013-12-26 2015-05-27 北京鼎材科技有限公司 一种含咔唑-3-基基团的芴类衍生物及其应用
CN104650089B (zh) * 2013-12-26 2017-10-03 固安鼎材科技有限公司 一种含咔唑‑9‑基基团的芴类衍生物及其应用
US9502656B2 (en) 2014-02-24 2016-11-22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JP2015157808A (ja) * 2014-02-24 2015-09-03 ユニバーサル ディスプレイ コーポレイション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材料、及びデバイス
EP2910555A1 (en) * 2014-02-24 2015-08-26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EP3119751A4 (en) * 2014-03-17 2017-12-27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Korea Ltd. Electron buffering material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N106068261A (zh) * 2014-03-17 2016-11-02 罗门哈斯电子材料韩国有限公司 电子缓冲材料和有机电致发光装置
CN106068261B (zh) * 2014-03-17 2019-08-23 罗门哈斯电子材料韩国有限公司 电子缓冲材料和有机电致发光装置
EP3415508A1 (en) * 2014-03-17 2018-12-19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Korea Ltd. Electron buffering material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WO2015142040A1 (en) 2014-03-17 2015-09-24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Korea Ltd. Electron buffering material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WO2015167199A1 (en) * 2014-04-29 2015-11-05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Korea Ltd. Electron transport material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06232591B (zh) * 2014-04-29 2020-08-11 罗门哈斯电子材料韩国有限公司 电子传输材料和包含其的有机电致发光装置
CN106232591A (zh) * 2014-04-29 2016-12-14 罗门哈斯电子材料韩国有限公司 电子传输材料和包含其的有机电致发光装置
US10818846B2 (en) 2014-04-29 2020-10-27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Korea Ltd. Electron transport material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ing the same
EP3137451A4 (en) * 2014-04-29 2018-01-03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Korea Ltd. Electron transport material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07001270A (zh) * 2014-11-21 2017-08-01 默克专利有限公司 用于电子器件中的杂环化合物
CN107001270B (zh) * 2014-11-21 2020-09-15 默克专利有限公司 用于电子器件中的杂环化合物
US20170324038A1 (en) * 2014-11-21 2017-11-09 Merck Patent Gmbh Heterocyclic compounds for use in electronic devices
US10957859B2 (en) * 2014-11-21 2021-03-23 Merck Patent Gmbh Heterocyclic compounds for use in electronic devices
US10084142B2 (en) 2014-12-15 2018-09-25 Samsung Display Co., Ltd. Carbazole compound, material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JP2016113397A (ja) * 2014-12-15 2016-06-23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Samsung Display Co.,Ltd. カルバゾール化合物、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材料、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11245081B2 (en) 2015-02-06 2022-02-08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0644247B2 (en) * 2015-02-06 2020-05-05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20160240792A1 (en) * 2015-02-06 2016-08-18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1245080B2 (en) 2015-04-06 2022-02-08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0693082B2 (en) 2015-04-06 2020-06-23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1818949B2 (en) 2015-04-06 2023-11-14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1672175B2 (en) 2015-04-06 2023-06-06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0593890B2 (en) 2015-04-06 2020-03-17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US11495749B2 (en) 2015-04-06 2022-11-08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JP2016199538A (ja) * 2015-04-06 2016-12-01 ユニバーサル ディスプレイ コーポレイション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材料及びデバイス
WO2017150380A1 (ja) * 2016-02-29 2017-09-08 東ソー株式会社 キノキサリン化合物及びその用途
JP7040583B2 (ja) 2016-02-29 2022-03-23 東ソー株式会社 キノキサリン化合物及びその用途
JP2021020912A (ja) * 2016-02-29 2021-02-18 東ソー株式会社 キノキサリン化合物及びその用途
US11581487B2 (en) 2017-04-26 2023-02-14 Oti Lumionics Inc. Patterned conductive coating for surface of an opto-electronic device
CN107337680A (zh) * 2017-07-17 2017-11-10 江苏三月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以芴为核心的有机化合物及其在oled器件上的应用
CN109516980A (zh) * 2017-09-20 2019-03-26 邱天隆 双极性材料以及有机发光二极管元件
CN109516980B (zh) * 2017-09-20 2020-12-11 邱天隆 双极性材料以及有机发光二极管元件
US11751415B2 (en) 2018-02-02 2023-09-05 Oti Lumionics Inc. Materials for forming a nucleation-inhibiting coating and devices incorporating same
US11834459B2 (en) 2018-12-12 2023-12-05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Host materials for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11730012B2 (en) 2019-03-07 2023-08-15 Oti Lumionics Inc. Materials for forming a nucleation-inhibiting coating and devices incorporating same
KR20220127802A (ko) 2020-01-15 2022-09-20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화합물, 유기 전기발광 소자용 재료, 유기 전기발광 소자 및 전자 기기
US11985841B2 (en) 2020-12-07 2024-05-14 Oti Lumionics Inc. Patterning a conductive deposited layer using a nucleation inhibiting coating and an underlying metallic coating
CN114805373B (zh) * 2022-02-25 2023-10-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空穴传输材料、发光器件、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4805373A (zh) * 2022-02-25 2022-07-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空穴传输材料、发光器件、显示面板及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83851A1 (ko) 새로운 유기전계발광소자용 화합물 및 그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WO2021107737A1 (ko) 유기 발광 소자
WO2020080872A1 (ko)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WO2021020942A1 (ko) 유기 발광 소자
WO2018066830A1 (ko) 장수명, 저전압 및 고효율 특성을 갖는 유기 발광 소자
WO2018066831A1 (ko) 장수명, 저전압 및 고효율 특성을 갖는 유기 발광 소자
WO2016126022A1 (ko) 저전압구동이 가능하며 장수명을 갖는 유기 발광 소자
WO2019139419A1 (ko) 유기 발광 소자
WO2017057976A1 (ko) 스피로형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WO2014163228A1 (ko) 새로운 유기전계발광소자용 화합물 및 그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WO2019240464A1 (ko) 유기 발광 소자
WO2018080066A1 (ko) 유기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WO2021112403A1 (ko) 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전기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9212287A9 (ko)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WO2020009467A1 (ko) 다환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EP3371182A1 (en) Electron buffering materials, electron transport material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ing the same
WO2019059611A1 (ko) 유기 발광 소자
WO2012039534A1 (ko) 유기광전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
WO2019221545A1 (ko) 유기발광소자
WO2013095039A1 (ko)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WO2017131483A1 (ko) 스피로형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자 소자
WO2021020946A1 (ko) 유기 발광 소자
WO2021020948A1 (ko) 유기 발광 소자
WO2021215669A1 (ko) 유기 광전자 소자용 화합물, 유기 광전자 소자용 조성물, 유기 광전자 소자 및 표시 장치
WO2021020929A1 (ko)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79993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79993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