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47360A1 - 가상로봇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장치 및 상기 가상로봇과 동기화되는 애완로봇 - Google Patents

가상로봇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장치 및 상기 가상로봇과 동기화되는 애완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47360A1
WO2013147360A1 PCT/KR2012/002692 KR2012002692W WO2013147360A1 WO 2013147360 A1 WO2013147360 A1 WO 2013147360A1 KR 2012002692 W KR2012002692 W KR 2012002692W WO 2013147360 A1 WO2013147360 A1 WO 201314736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obot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omman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269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성종
Original Assignee
Lee Seongjong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03291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358585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03292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264049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03611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416343B1/ko
Application filed by Lee Seongjong filed Critical Lee Seongjong
Publication of WO201314736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4736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04Artificial life, i.e. computing arrangements simulating life
    • G06N3/006Artificial life, i.e. computing arrangements simulating life based on simulated virtual individual or collective life forms, e.g. social simulations or particle swarm optimisation [PS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04Artificial life, i.e. computing arrangements simulating life
    • G06N3/008Artificial life, i.e. computing arrangements simulating life based on physical entities controlled by simulated intelligence so as to replicate intelligent life forms, e.g. based on robots replicating pets or humans in their appearance or behaviou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20Binding and programming of remote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t robot that is synchronized with a virtual robo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ology that can identify and cope with emergencies of the elderly by using a pet robot synchronized with a virtual robo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
  • an interactive pet robo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49041
  • a cyber breeding system of a pet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a cyber breeding method using the sam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87636
  •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can not be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pet robot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 the present invention synchronizes the virtual robot and pet robo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ontrol the other through either the virtual robot or pet robot, giving the user a similar pleasure to breeding a real pet, and commands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 provides a pet robot easy to control.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t robot that can protect the elderly and easily cope with an emergency by grasping an emergency situation and contacting an emergency contact network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et robot.
  • Pet robot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recognizes the behavior of the virtual robot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ame behavior as the recognized behavior Synchronization processing unit for controlling the reproduction of the pet robo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pet robot is not paired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if not paired at a specific time,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ut of the predetermined area If at least one of the above, it may include an emergency processing unit for taking automatic contact through a predetermined emergency contact network.
  • the emergency situation processing unit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pet robot is paired, when the command is not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utomatically through a predetermined emergency contact network You can get in touch.
  • the emergency situation processing unit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pet robot is not paired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when not paired at a specific time, the area of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f it is at least one of the cases, the emergency situation check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user's situation is an emergency by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a vibration command and a sound comman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urrent situation is determined as an emergency If necessary, the primary contact control unit makes primary contact with at least one emergency contact network among security guards, guardians, and neighbors, and if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ince the first contact, the emergency contact network of hospitals, centers, or police stations It may include a secondary contact control for making secondary contact.
  • the emergency situation processing unit the user to control the pet robot to approach the user's location at the same time the primary contact to perform at least one of the sound output, vibration output, the collision with the user. It may further include an awakening command unit.
  • the location of the user, if there is a position sensor attached to the user, through the position sensor, if there is no position sensor attached to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 can figure it out from a position.
  • a pet robot that is easy to command and control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the pet robot by detecting the emergency situ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pet robot and by contacting the emergency contact network, the pet robot that can protect the elderly and easily cope with the emergency situation Is provided.
  •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et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performing an emergency contact when an emergency occur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action for a pet robot to awaken a user when an emergency occur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recognizes the pet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nu implement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to communicate with a pet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for giving a command to the pet robot through the touch the icon provid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dividing a voice conversation with a pet robo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view showing a screen for giving a command to read a pet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schedule management through a pet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performing an emergency contact function via a pet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mpathetic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including a virtual robot to communicate through 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providing a list of virtual robots that exist around a current location and connected to 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that provides a list of virtual robots existing around a current location and connected to 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that provides a list of virtual robots existing around a current location and connected to 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et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et robot 150 is synchronized with the virtual robo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occurs to the user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emergency communication network is contacted. It is configured to take.
  • the pet robot 15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10, a synchronization processing unit 120, and an emergency processing unit 130.
  •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ay transmit / receive various commands, transmit /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for location determination, and the like.
  • the synchronization processor 120 may recognize the behavior of the virtual robot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by us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control the pet robot to reproduce the same behavior as the recognized behavior. .
  • a user may own a physical robot (eg, a dog shape) and possess and manage a virtual robot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pet robot in an application form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 the real pet robot and the application-type virtual robot can b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the movement of the other one through one movement can be controlled.
  • the virtual robot on the screen and the real pet robot may represent a reaction that simultaneously responds to the skinship.
  • the emergency situation processing unit 130 may notify the emergency situation by taking an emergency contact.
  •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pet robot are not pair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when not paired at a specific time, if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utside of a predetermined area, at least one of: It may be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and automatic contact may be made through a predetermined emergency contact network. For exampl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pet robot are not paired for more than 12 hours, when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outside the user's living area (eg, Changwon),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t can be judged that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condition of.
  •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outside the user's living area (eg, Changwon)
  •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t can be judged that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condition of.
  •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pet robot are paired, if a command is not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be automatically contacted through a preset emergency contact network. .
  • the emergency situation processor 130 may include an emergency situation controller 131, a primary contact controller 132, and 133.
  • the emergency check unit 131 when the emergency check unit 131 is not pair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pet robot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if not paired at a specific time, at least one of the case where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ut of the predetermined area.
  • at least one of a vibration command and a sound comm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user situation is an emergency. That is, even if the illustrated various situations such as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pet robot is not paired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there may be a case that is not an emergency,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generate vibration or sound The user can be aware of the situation, and if it is not an emergency, the user can get a reply to the current situation.
  • the emergency check unit 131 is a user awakening command unit for controlling the pet robot to approach at the location of the user at the same time as the primary contact to perform at least one of the sound output, vibration output, the collision with the user. It may further include (not shown). Therefore, the pet robot approaches the user and sends various signals (eg, sound output, vibration output, collision with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check whether the user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 the primary contact control unit 132 may make primary contact with at least one emergency contact network among security guards, guardians, and neighbors. That is, primary contact may be made to an emergency contact number that is easily accessible to the user, such that the user may visit the current location such as the user's residence. That is, the user visit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current situation and take a first step.
  • the secondary contact control unit 133 may make a secondary contact with at least one emergency contact network among a hospital, a 119 center, and a police station after a predetermined time since the first contact. That is, since the current situation is not an accurate situation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ex. 1 hour) after the first contact, it means that the current situation is an actual emergency, and therefore, at least one of a hospital, a 119 center, and a police station for emergency rescue. Secondary contacts can be made to the emergency contact network. The emergency contact process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performing an emergency contact when an emergency occu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curity guard 211 of the emergency contacts in the emergency contact network is primarily provided. At least one of the guardian 212 and the neighbor 213 may be contacted. This is to make an initial contact with the emergency contact number that is easily accessible to pinpoint the current situation.
  • the secondary contact can be made to the hospital 221, the 119 center 222, and the police station 223 for emergency rescue. have.
  • the primary contact means to determine whether an emergency has actually occurred when it is not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occurrence has occurred, and with the first contact, the pet robot approaches the user's position and outputs sound and vibrates. At least one of the output and the collision with the user may be performed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 the process for a pet robot to approach the user and wake the us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3.
  •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action for a pet robot to awaken a user when an emergency occu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may be determined, and the pet robot may approach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o output a sound, or give a stimulus to the user such that the current situation is an emergency. have.
  • the location of the user may be determined by using the location sensor when the location sensor is attached to the user, and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determined by the location sensor when the location sensor is not attached to the user. Can be.
  •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et robot and the virtual robo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give pleasure to the elderly, children, etc.
  • Emergency contact can easily be made to guardians, 119 centers, etc., enabling effective protection for the elderly.
  •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communicating with the robot 150 may include a command recognition unit 410 and a transmitter 420.
  • the command recognition unit 410 may determine whether a predetermined condition for executing a predetermined command is established.
  • the predetermined comm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all command to the robot, an ac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a dialog or a screen touch, a read command, an alarm command, and an emergency contact command. That is, the user is a call command for calling the robot 15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a book reading command for the robot 150 to read a book, an alarm command to sound an alarm according to a set schedule. If a user does not interact with the robot 150 for a predetermined time, one of the emergency contact commands for contacting the stored emergency contact network may be performed.
  • the one or more commands are transmitted to the robot 150 when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and the predetermined condition may be established by a user's input or in various other ways.
  • the preset condition may be establish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whether a screen is touched to recognize a command input, whether a voice is input, whether an alarm time is established or whether a connection time condition is established.
  • a specific condition is established and a corresponding comm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robot 150 to be performed.
  • a user when a user inputs a voice in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to communicate with the robot 150, the user may recognize the voice and perform a corresponding command.
  • the transmitter 420 may transmit an action command to the robot when a condition for executing the predetermined command is established. For example, when a condition for robot call is established (specific voice input for call), the transmitter 420 may transmit a call command to the robot 150.
  •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robot recognition unit 430 that synchronizes with the robot throug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robot.
  • the robot recognition unit 430 may set and connect one or more conditions upon initial connection with the robot, and automatically connect the robot when the robot approach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fter the initial connection. A process of recognizing the robot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5.
  •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recognizes the pet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is initially connected with the robot 150, the user may manually connect the robot and set various conditions for connecting the robot.
  •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be paired with a robot through a Bluetooth connection, and various conditions such as a distance (eg, within 10 m of a radius) to be automatically connected in the future may be set. Thereafter, the connection may be automatically made when the set condition is satisfied.
  • a distance eg, within 10 m of a radius
  • the connection may be automatically made when the set condition is satisfied.
  •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recognizes the robot 150 through Bluetooth has been described.
  •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may recognize the robot 150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in addition to Bluetooth.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robot input receiver 440 for receiving a user command input to the robot. That is, in addition to inputting a comman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a command may be directly input to the robot and the comm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For example, when the user directly strokes a specific part of the robot, the user may recognize this as a specific command and transmit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to perform the command.
  • the user can allow the robot to perform a variety of functions through a simpl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nu implement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a pet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various commands can be given to the robot 15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and a call button 610, a caring button 620, and a story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 the call button 610 is for calling the robot 150 away from the user, and after touching the call button 610, the user mobile communication a specific word (ex. 'Come here', 'come here')
  •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may recognize this as a command for calling and transmit the call command to the robot 150.
  • the robot 150 receiving the call command may move to the identified position by grasp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 Caring button 620 is a function that can provide fun to the user by taking care of the robot 150 and can communicate as if raising a pet in the virtual space, more detail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do.
  •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giving a command to a pet robot through an icon touch provided on a scr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one or more caring menu icons 710, 720, 730, and 740 ar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user touches a desired icon to perform various operations of the robot 150. You can do that. For example, when the pill icon 710 is touched, the robot 150 may give medicine to a sick state to treat a disease, and when the radio control icon 710 is click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 Can be wirelessly controlled by the movement of the robot (150). In addition, when the hamburger icon 730 is clicked, an image of the robot eating rice is output on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so that the robot 150 can be fed, and the external robot 150 is also displayed. You may want to try eating rice (ex.
  • the bath pool icon 740 when the bath pool icon 740 is touched, an image of the robot bathing is output on the screen, and the external robot 150 may also be recognized as a bath by following an operation or outputting an effect sound. .
  • other bathing goods such as soap for bathing may be provided as an icon.
  • the state after bathing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ubbing time and intensity. That is, when the user takes a bath through a certain amount of time and intensity, the state of the robot is changed, so that the user can have fun similar to actually bathing a pet.
  • the robot may interact with the robot through a skinship such as stroking or tickling a specific part of the robot (eg, head, chest, tail, etc.) displayed on the screen.
  • a skinship such as stroking or tickling a specific part of the robot (eg, head, chest, tail, etc.) displayed on the screen.
  • the robot may be set to display a response using vibration, sound, light, or the like.
  • the happiness index of the robo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kinships, the strength, and the like, and the facial expression change, the behavior change, etc. of the robot may appear according to the happiness index. For example, if the happiness index is 30% or less, sad expressions, 31% to 60%, no expression, 60% or more can be set to show a happy expression.
  • the user wants to hit the robot by strongly inputting the touch strength of the robot, it can give various effects such as a band-aid, a bruise on the hit area, and may cause the happiness index to fall.
  • the happiness index may be improved through various rapports, such as voice communication, feeding, and walking with the robot.
  • the talk button 630 is The user and the robot 15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s a pre-registered word (eg, 'turn back' or 'bark'), the user may perform a corresponding action and may not be registered. In the case of voice inputting a word, the voice may be set to follow the input voice.
  • a pre-registered word eg, 'turn back' or 'bark'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dividing a voice conversation with a pet robo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mode is switched to a voice input mode, and the user may touch the voice input button 810 again to attempt various conversations with the robot.
  • a preset word is input, an action corresponding to the preset word may be input or the answer may be answered with a pre-stored phrase.
  • the input word may be followed.
  • the voice input by the user may be recorded, and the recorded files may be stored and managed in a separate storage space.
  • the read button 640 may provide a variety of pre-registered contents such as a storybook, a Buddhist scripture, a Bible, a hymn, and the like to read the corresponding contents. That is, the user may touch the read button 640 to read the contents of the stored book through the robot 150,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giving a command to read a pet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various contents 610, 620, 630, 640, 650, and 660 for reading a book through the robot 150 are output on the screen.
  • the various contents 610, 620, 630, 640, 650, and 660 may include a half-night mirror, a castle tower, a fairy tale, and the like.
  • the robot 150 since the robot 150 may be provided with hardware for outputting high quality sound, the user may listen to the contents of a book output with high quality sound.
  •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or giving various commands to the robot 150 may include an alarm button (not shown) for notifying a user of a specific schedule.
  • An alarm function through an alarm button (not show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10.
  •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schedule management through a pet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chedule setting for the alarm may be set automatically by a user directly inputting a schedule or receiving a text.
  • the text content is interpreted to automatically set a schedule 1020, and when the corresponding schedule time is reached, the robot 150 provides the user with a schedule.
  • the user can freely edit the registered schedule and set various methods (type of alarm sound, alarm type, etc.) for notifying the schedule.
  • the contact button 650 may set various functions to contact the contacts listed in the emergency contact network when the user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robot 150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ex. 5 hours). As a menu for the user, the user may designate a time for operating the emergency contact, a plurality of contacts stored in the emergency contact network, and the like. The situation in which the emergency contact is to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performing an emergency contact function via a pet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act method can be made by various methods such as telephone and text, and when the text is transmitted, the contents indicating an emergency situation (1420) (ex. "Hong Gil-dong has not communicated with the pet robot for 5 hours. Please ”),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and the like.
  • the user may be photographed by a camera attached to the robot 150, and the photographed image or the im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emergency contact network together.
  • the guardian or the like who has been contacted can immediately confirm the user's personality and can prevent the user's situation from worsening.
  • FIG. 1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mpathetic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ympathetic robot 150 may include a command receiver 1210, a controller 1220, and a command transmitter 1230.
  • the command receiver 1210 may receive one or more commands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That is, when a user transmits various commands (calling, reading, etc.)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the command receiving unit 1210 may receive one or more commands.
  • the controller 1220 may control to perform an ac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mmand. For example, when the received command is a robot 150 call command, the robot 150 may control the robot 150 to move to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 the command transmitter 1230 may transmit the received comman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 th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part touch oper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o that the command is performed.
  • the robot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do not exist separately for the provision of a pet, but operate in an organic interlocked manner, so that all the advantages of each device of the robot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an be used. .
  •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that is easy to carry around the user can call the robot at any time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can give commands to the robot, and various services can be provided through hardware attached to the robot.
  • the hardware limitations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an be overcome.
  • the contact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contacted with a predetermined contact, so that the effect of checking the safety of the elderly living alone may occur, and the silver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It can also be used in industry.
  • FIG. 1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including a virtual robot communicating through 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may include a robot controller 1310, a robot network controller 1320, and a robot information provider 1330.
  • the robot controller 1310 may control the pet robot 150 and the virtual robot on the screen synchronized with the pet robot. That is, there is a physical robot in the physical form, there is a virtual robo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that communicates with the pet robot and the behavior, sound, etc. are synchronized, so that the user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pet robot and the virtual robot Commands can be controlled so that both sides respond together.
  • the virtual robot and the pet robot on the screen may be controlled to react to the touch or stroke at the same time. have.
  • the robot network controller 1320 may register the virtual robot in a predetermined space on the network and manage a connection state. For example, if a community (ex. cafe) is established online for interaction between the virtual robot owners, the virtual robot owners can join the community, and after joining, they can be automatically connected according to the set conditions. Can be. As an example of the set conditions, various conditions may be set such as to be always connected in a wifi enabled area, to be connected at a specific time, or to be connected only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is located at a specific place. . That is, the robot network controller 1320 may manage information registered in a predetermined space (eg, a cafe, a predetermined space on an SNS) on the network, and manage a condition for connection.
  • a predetermined space eg, a cafe, a predetermined space on an SNS
  • the robot network controller 1320 may manage a connection state including at least one of whether a network connection is disclosed, a network connection history of the virtual robot, and a connection location of the virtual robot.
  •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is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space (ex. cafe) on the network, it is possible to freely exchange between the connected virtual robot owners, various functions such as chat, fi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each other can be provided.
  • a predetermined space ex. cafe
  • the robot information provider 1330 may provide a user with a robot list that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among virtual bots registered in a predetermined space on the network . For example, to provide the user with a list of virtual robots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ex. 2 km radius) from the location of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r of the currently connected virtual robots among the registered virtual robots of interest. You can also provide a list to the user.
  • a predetermined distance ex. 2 km radius
  • FIG.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providing a list of virtual robots that exist around a current location and connected to 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5 is a current 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that provides a list of virtual robots that exist in the vicinity and connected to a network.
  • 1432, 1442, and 1452 may exist,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may be provided with a list of virtual robots within a distance specified by the user.
  • the robot information providing screen 15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a distance from a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to virtual robots, nicknames of virtual robots, and connection. Etc. may be provided, and a conversation with a user of a virtual robot connected through a conversation menu may be attempted.
  •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may be provided that provides a virtual robot that can provide greater pleasure to the virtual robot owner as well as exchange information.
  • a method for communicating between a virtual robot and a pet robot may be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various computer-implemented operations.
  •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 the medium o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 Examples of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Robotic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가상로봇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장치 및 상기 가상로봇과 동기화되는 애완로봇이 개시된다. 애완로봇은, 이동통신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표시된 가상로봇의 행동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행동과 동일한 행동을 애완로봇이 재현하도록 제어하는 동기화 처리부,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상기 애완로봇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페어링되지 않는 경우, 특정 시간에 페어링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가 기설정된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면, 기설정된 비상연락망을 통해 자동연락을 취하는 긴급상황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로봇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장치 및 상기 가상로봇과 동기화되는 애완로봇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장치의 가상로봇과 동기화되는 애완로봇 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단말장치의 가상로봇과 동기화된 애완로봇을 이용하여 노약자의 긴급상황 발생을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1959년 미국에서 최초의 산업용 로봇을 개발한 이래, 로봇은 산업용뿐만 아니라 가정용, 의료용, 서비스용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애완용 로봇이 널리 보급되어 사랑받고 있으며,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가상공간상의 애완동물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관련하여, 대화형 애완로봇(한국공개특허 10-2006-0049041), 이동통신단말장치를 이용한 애완동물의 사이버 사육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사이버 사육방법(한국공개특허 10-2004-0087636) 등이 개시되어 있으나, 종래기술은 애완로봇과 이동통신단말장치를 연계하여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애완로봇을 이동통신단말장치와 연계하여 서로 교감하며, 사용자의 긴급상황 발생을 파악하고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는 애완로봇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의 가상로봇과 애완로봇을 동기화하여 가상로봇 또는애완로봇 어느 하나를 통해 나머지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실제 애완동물을 사육하는 것과 유사한 즐거움을 주며,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명령 및 제어가 용이한 애완로봇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과 애완로봇의 통신을 통해 긴급상황 발생을 파악하고 비상연락망에 연락을 취함으로써, 노약자의 신변을 보호하고 긴급상황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는 애완로봇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로봇은, 이동통신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표시된 가상로봇의 행동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행동과 동일한 행동을 애완로봇이 재현하도록 제어하는 동기화 처리부,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상기 애완로봇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페어링되지 않는 경우, 특정 시간에 페어링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가 기설정된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면, 기설정된 비상연락망을 통해 자동연락을 취하는 긴급상황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긴급상황 처리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상기 애완로봇이 페어링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상 명령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기설정된 비상연락망을 통해 자동 연락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긴급상황 처리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상기 애완로봇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페어링되지 않는 경우, 특정 시간에 페어링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가 기설정된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진동명령 및 소리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여 현재 사용자의 상황이 긴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긴급상황 확인부, 현재 상황이 긴급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경비원, 보호자, 이웃 주민 중 적어도 하나의 비상연락망에 1차 연락을 취하는 1차 연락 제어부 및 상기 1차 연락 이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병원, 119센터, 경찰서 중 적어도 하나의 비상연락망에 2차 연락을 취하는 2차 연락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긴급상황 처리부는, 상기 1차 연락과 동시에 상기 애완로봇이 상기 사용자의 위치로 접근하여 소리출력, 진동출력, 사용자와의 충돌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 각성 명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위치는, 상기 사용자에 부착된 위치 센서가 있는 경우, 상기 위치 센서를 통해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에에 부착된 위치 센서가 없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위치로부터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의 가상로봇과 애완로봇을 동기화하여 가상로봇 또는애완로봇 어느 하나를 통해 나머지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실제 애완동물을 사육하는 것과 유사한 즐거움을 주며, 이동통신단말을 통한 명령 및 제어가 용이한 애완로봇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과 애완로봇의 통신을 통해 긴급상황 발생을 파악하고 비상연락망에 연락을 취함으로써, 노약자의 신변을 보호하고 긴급상황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는 애완로봇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로봇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긴급상황 발생시 비상연락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긴급상황 발생시 애완로봇이 사용자를 각성시키기 위한 행동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장치가 애완로봇을 인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애완로봇과 교감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단말장치에 구현되는 메뉴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면에 구비된 아이콘 터치를 통해 애완로봇에 명령을 내리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애완로봇과 음성대화를 나누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애완로봇에게 책 읽기 명령을 내리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애완로봇을 통한 일정관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애완로봇을 통한 비상연락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감형 로봇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해 교류하는 가상로봇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현재 위치 주변에 존재하고, 네트워크에 접속한 가상로봇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현재 위치 주변에 존재하고, 네트워크에 접속한 가상로봇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로봇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애완로봇(150)은 이동통신단말(100)의 가상로봇과 동기화되고, 이동통신단말(100)과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에게 긴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비상연락망을 통해 연락을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애완로봇(150)은 통신부(110), 동기화 처리부(120), 및 긴급상황 처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이동통신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구성으로, 다양한 명령의 송수신, 위치 파악을 위한 위치 정보의 송수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동기화 처리부(120)는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100)에 표시된 가상로봇의 행동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행동과 동일한 행동을 애완로봇이 재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실물 형태(ex. 강아지 형상)의 애완로봇을 소유할 수 있고, 상기 애완로봇과 동일한 형상의 가상로봇을 이동통신단말(100) 상에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보유,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실물 애완로봇과 어플리케이션 형태의 가상로봇은 서로 동기화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움직임을 통해 다른 하나의 움직임이 제어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형태의 가상로봇을 화면 터치하여 스킨쉽을 시도하는 경우, 화면상의 가상로봇과 실물 애완로봇이 동시에 스킨쉽에 반응하는 리액션을 나타낼 수 있다.
긴급상황 처리부(130)는 이동통신단말(100)의 사용자에게 긴급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비상연락을 취하여 긴급상황임을 알릴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단말(100)과 상기 애완로봇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페어링되지 않는 경우, 특정 시간에 페어링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가 기설정된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면, 긴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기설정된 비상연락망을 통해 자동연락을 취할 수 있다. 일예로, 이동통신단말(100)과 상기 애완로봇이 12시간 이상 페어링되지 않는 경우, 이동통신단말(100)의 위치가 사용자 거주지역(ex. 창원)을 벗어나는 경우, 이동통신단말(100) 사용자의 신변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100)과 상기 애완로봇이 페어링된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로(100)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상 명령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기설정된 비상연락망을 통해 자동 연락을 취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긴급상황 처리부(130)는 긴급상황 확인부(131), 1차 연락 제어부(132), (1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긴급상황 확인부(131)는 이동통신단말과 상기 애완로봇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페어링되지 않는 경우, 특정 시간에 페어링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가 기설정된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진동명령 및 소리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여 현재 사용자의 상황이 긴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단말과 상기 애완로봇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페어링되지 않는 경우 등과 같이 예시된 여러가지 상황들이 발생한 경우라 하더라도, 긴급상황이 아닌 경우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이동통신단말기에 진동이나 소리를 발생하도록 하여 사용자를 자각시킬 수 있고, 긴급상황이 아닌 경우 사용자로부터 현재 상황에 대한 회신을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 긴급상황 확인부(131)는 상기 1차 연락과 동시에 상기 애완로봇이 상기 사용자의 위치로 접근하여 소리출력, 진동출력, 사용자와의 충돌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 각성 명령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애완로봇이 접근하여 여러가지 신호(ex. 소리출력, 진동출력, 사용자와의 충돌)를 보냄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긴급상황에 처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1차 연락 제어부(132)는 현재 상황이 긴급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경비원, 보호자, 이웃 주민 중 적어도 하나의 비상연락망에 1차 연락을 취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게 접근성이 용이한 비상연락처에 1차 연락을 취하여 사용자의 거주지 등 현재 위치에 방문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방문을 통해 현재 상황을 정확히 인지하고, 1차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2차 연락 제어부(133)는 상기 1차 연락 이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병원, 119센터, 경찰서 중 적어도 하나의 비상연락망에 2차 연락을 취할 수 있다. 즉, 상기 상기 1차 연락 이후 기설정된 시간(ex. 1시간)이상 정확한 상황파악이 되지 않는다는 것은 현재상황이 실제 긴급상황임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긴급 구조를 위한 병원, 119센터, 경찰서 중 적어도 하나의 비상연락망에 2차 연락을 취할 수 있다. 상기 비상연락 과정은 도 2를 참고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긴급상황 발생시 비상연락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애완로봇(150)과 이동통신단말(100)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통신하지 않는 등 긴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1차적으로 비상연락망에 있는 비상연락처 중 경비원(211), 보호자(212), 이웃주민(213) 중 적어도 하나에 연락을 취할 수 있다. 이는 접근성이 용이한 비상연락처에 1차 연락하여 현재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자 함이다.
1차 연락 후, 일정 시간이 지나도 긴급상황이 해제되지 않으면, 긴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확정되므로, 긴급 구조를 위한 병원(221), 119센터(222), 경찰서(223)에 2차 연락을 취할 수 있다.
이때, 1차 연락의 의미는 긴급상황 발생이 발생한 것이 확정적이지 않을 때, 긴급 상황이 실제로 발생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며, 1차 연락과 함께 상기 애완로봇이 상기 사용자의 위치로 접근하여 소리출력, 진동출력, 사용자와의 충돌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긴급 상황 발생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애완로봇이 사용자에게 접근하여 사용자를 일깨우기 위한 과정은 도 3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긴급상황 발생시 애완로봇이 사용자를 각성시키기 위한 행동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애완로봇이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 접근하여 소리를 출력하거나, 사용자와 충돌하는 등 사용자에게 자극을 주어, 현재 상황이 긴급상황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위치는, 일예로, 상기 사용자에 부착된 위치 센서가 있는 경우, 상기 위치 센서를 통해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에에 부착된 위치 센서가 없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위치로부터 파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노인, 어린이 등의 경우, 보호자가 24시간 함께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애완로봇과 이동통신단말의 가상로봇간의 교감을 통해 노인, 어린이 등에 즐거움을 줄 수 있음은 물론이고, 긴급상황 발생시에 보호자, 119센터 등에 손쉽게 비상연락을 취할 수 있어 노약자에 대한 효과적인 보호가 가능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장치와 애완로봇의 다양한 기능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로봇(150)과 통신을 통해 교감하는 이동통신단말장치(100)는 명령 인식부(410) 및 송신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 인식부(410)는 소정의 명령 수행을 위한 기설정된 조건의 성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명령은 로봇에 대한 호출 명령, 대화 또는 화면터치에 상응하는 행동하기 명령, 책 읽어주기 명령, 알람 명령, 비상 연락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장치(100)를 통해 로봇(150)을 호출하기 위한 호출명령, 로봇(150)이 책을 읽도록 하는 책 읽어주기 명령, 설정된 스케줄에 맞추어 알람을 울리도록 하는 알람명령,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 동안 로봇(150)과 교감이 없으면 저장된 비상연락망에 연락하도록 하는 비상연락명령 중 하나의 명령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로봇(150)에게 전송되는데, 기설정된 조건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성립하거나 기타 다양한 방식으로 성립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기설정된 조건은 명령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화면 터치 여부, 음성 입력 여부, 알람 시간 성립여부, 연결 시간조건 성립여부 등 다양한 팩터들에 의해 성립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면의 특정영역 또는 아이콘을 클릭하는 경우, 특정한 조건이 성립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응하는 명령이 로봇(150)에게 전달되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사용자가 로봇(150)과 대화하기 위해 이동통신단말장치(100)에 음성을 입력하면 상기 음성을 인식하여 해당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송신부(420)는 상기 소정의 명령 수행을 위한 조건이 성립되면, 로봇에 행동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 호출을 위한 조건이 성립(호출을 위한 특정한 음성입력)되면, 송신부(420)는 호출 명령을 로봇(15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단말장치(100)는 상기 로봇과의 통신접속을 통해 상기 로봇과 동기화하는 로봇 인식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봇 인식부(430)는, 상기 로봇과 최초 연결시 하나 이상의 조건을 설정하여 연결하고, 상기 최초 연결 이후에는 소정 거리 내에 상기 로봇이 근접하면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장치(100)가 로봇을 인식하는 과정은 도 5를 참고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장치가 애완로봇을 인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이동통신단말장치(100)가 로봇(150)과 최초 연결시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로봇을 연결하고 로봇 연결을 위한 다양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연결을 통해 이동통신단말장치(100)와 로봇을 페어링(pairing)하고, 향후 자동으로 연결되기 위한 거리(ex. 반경 10m이내) 등 다양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연결시에는 상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를 통해 이동통신단말장치(100)가 로봇(150)을 인식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블루투스 이외에도 다양한 통신방법을 통해 이동통신단말장치(100)가 로봇(150)을 인식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다시 도 4를 참고하면, 이동통신단말장치(100)는 상기 로봇에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로봇입력 수신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단말장치(100)를 통한 명령 입력뿐만 아니라, 로봇에 직접 명령을 입력하고 상기 명령이 이동통신단말장치(100)에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로봇의 특정부분을 직접 쓰다듬는 경우, 이를 특정한 명령으로 인식하고, 이동통신단말장치(100)에 해당되는 명령을 전달하여 명령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동통신단말장치(100)를 통해 로봇에 다양한 명령을 전달하고 교감함으로써,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장치(100)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로봇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동통신단말장치(100)와 교감하는 로봇이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들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애완로봇과 교감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단말장치에 구현되는 메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이동통신단말장치(100)를 통해 로봇(150)에 다양한 명령을 내릴 수 있으며, 이동통신단말장치(100)의 화면에는 부르기 버튼(610), 돌보기 버튼 (620), 이야기 버튼 (630), 책읽기 버튼 (640), 연락하기(6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부르기 버튼(610)은 떨어져 있는 로봇(150)을 호출하기 위한 것으로, 부르기 버튼(610)을 터치한 후, 사용자가 특정한 단어(ex. '이리와', 'come here')를 이동통신단말장치(100)에 음성입력하면, 이동통신단말장치(100)는 이를 호출을 위한 명령으로 인식하고 호출명령을 로봇(150)에 전달할 수 있다. 호출명령을 전달받은 로봇(150)은 이동통신단말장치(100)의 위치를 파악하여 파악된 위치로 이동해 갈 수 있다
돌보기 버튼 (620)은 로봇(150)을 돌보며 가상의 공간에서 실제로 애완동물을 키우는 것처럼 교감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재미를 안겨 줄 수 있는 기능이며, 보다 상세한 내용은 도 7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면에 구비된 아이콘 터치를 통해 애완로봇에 명령을 내리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돌보기 버튼 (620)을 터치하면, 하나 이상의 돌보기 메뉴 아이콘(710, 720, 730, 740)이 화면 표시되며, 사용자는 원하는 아이콘을 터치하여 로봇(150)이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약 아이콘(710)을 터치하는 경우, 로봇(150)이 아픈 상태에 약을 주어 병을 치료하도록 할 수 있고, 무선 조종 아이콘(710)을 클릭하는 경우, 이동통신단말장치(100)를 이용하여 로봇(150)의 움직임을 무선 조종할 수 있다. 또한, 햄버거 아이콘(730)을 클릭하는 경우, 로봇(150)에게 밥을 줄 수 있도록, 이동통신단말장치(100)의 화면상에는 로봇이 밥을 먹는 영상이 출력되고, 외부의 로봇(150)도 밥을 먹는 시늉(ex. 고개를 아래로 숙이고 혀를 날름거리는 행동 등)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목욕풀 아이콘(740)을 터치하는 경우, 화면상에는 로봇이 목욕하는 영상이 출력되고, 외부의 로봇(150)도 동작을 따라하거나 효과음이 출력되도록 하여 목욕하는 것처럼 인식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목욕을 위한 비누 등 기타 목욕용품이 아이콘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일예로, 비누 아이콘을 터치하여 로봇을 문지르는 경우, 문지르는 시간, 강도 등에 따라 목욕 후의 상태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일정한 시간, 강도를 통해 목욕을 시키는 경우 로봇의 상태가 변화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실제로 애완동물을 목욕시키는 것과 유사한 재미를 안겨줄 수 있다.
상기 기능 이외에도, 화면에 출력되는 로봇의 특정부분(ex. 머리, 가슴, 꼬리 등)을 쓰다듬거나 간지럽히는 등 스킨쉽을 통하여 로봇과 교감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로봇에 스킨쉽을 하는 경우, 로봇은 진동, 소리, 불빛 등을 이용하여 반응을 나타내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스킨쉽의 횟수, 강도 등에 따라 로봇의 행복지수를 변화시킬 수 있고, 행복지수에 따라 로봇의 표정변화, 행동변화 등이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행복지수가 30% 이하이면 슬픈표정, 31%~60%이면 무표정, 60% 이상이면 기뻐하는 표정을 나타내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로봇의 터치 강도를 강하게 입력하여 로봇을 때리고자 한다면, 때린 부위에 반창고, 멍 등 다양한 효과를 줄 수 있고, 행복지수가 하락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행복지수는 로봇과 음성교감하기, 밥 먹여주기, 산책하기 등 다양한 교감을 통해서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산책하기는, 일예로, 스마트폰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지닌 채로 실제로 걷거나 뛰는 행동을 하는 경우, 이를 산책하기로 인식하여, 로봇의 행복지수, 건강지수 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행복지수, 건강지수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로봇에 명령을 내리기 위한 기능이 제한되는 등 다양한 제약사항이 생기도록 설정될 수 있다.다시 도 6을 참고하면, 이야기 버튼(630)은 사용자와 로봇(150)이 대화할 수 있는 기능이며, 일예로, 사용자가 미리 등록된 단어(ex. '돌아', '짖어')를 음성입력하는 경우, 상응하는 행동을 하도록 하며, 등록되지 않은 단어를 음성입력하는 경우에는 입력된 음성을 그대로 따라 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야기 버튼(630)을 통한 음성대화는 도 8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애완로봇과 음성대화를 나누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이야기 버튼(630)을 터치하면 음성입력을 위한 모드로 전환되고, 사용자는 다시 음성입력버튼(810)을 터치하여 로봇에게 다양한 대화를 시도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단어가 입력되면, 이에 상응하는 행동을 하거나, 미리 저장된 문구로 대답하도록 할 수 있고, 기설정된 단어 이외의 단어가 입력되면 입력된 단어를 그대로 따라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은 녹음될 수 있으며, 상기 녹음된 파일들은 별도의 저장공간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고하면, 책읽기 버튼(640)은 구연동화, 불경, 성경, 찬송가 등 미리 등록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여 해당 컨텐츠를 읽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로봇(150)을 통해 저장된 책의 내용을 읽도록 하기 위해 책읽기 버튼(640)을 터치할 수 있으며, 이는 도 9를 참고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애완로봇에게 책 읽기 명령을 내리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책읽기 버튼(640)을 터치하면, 로봇(150)을 통해 책을 읽기 위한 다양한 컨텐츠(610, 620, 630, 640, 650, 660)가 화면에 출력된다. 일예로, 다양한 컨텐츠(610, 620, 630, 640, 650, 660)는 반야심경, 천수경, 전래동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로봇(150)에는 고음질의 소리 출력을 위한 하드웨어가 구비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고음질의 음성으로 출력되는 책의 내용을 청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책을 읽기 위한 음성 컨텐츠를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기타 다양한 방식의 컨텐츠가 다운로드 되어 재생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로봇(150)에 다양한 명령을 내리기 위한 이동통신단말장치(100)의 화면에는 사용자에게 특정한 스케줄을 알리기 위한 알람 버튼(미도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알람 버튼(미도시)을 통한 알람 기능은 도 10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애완로봇을 통한 일정관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알람을 위한 스케줄 설정은 사용자가 스케줄을 직접 입력하거나, 문자를 수신 등을 통해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특정한 시간, 장소 등이 입력된 문자가 수신(1010)되면, 상기 문자 내용을 해석하여 스케줄을 자동 설정(1020)하고, 해당 스케줄 시간에 도달하면 로봇(15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방법으로 스케줄을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150)이 사용자에게 다가와 짖는 소리를 내거나(150), 진동 기타 다양한 음성출력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스케줄을 알려줄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등록된 스케줄을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으며, 일정을 통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알람소리의 종류, 알람의 방식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고하면, 연락하기 버튼(650)은 사용자가 기설정된 시간(ex. 5시간)이상 로봇(150)과 통신하지 않는 경우, 비상연락망에 기재된 연락처로 연락하기 위해 다양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로서, 사용자는 비상연락을 동작하게 되는 시간, 비상연락망에 저장되는 복수의 연락처 등을 지정할 수 있다. 비상연락이 동작하게 되는 상황은 도 11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애완로봇을 통한 비상연락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로봇(150)이 기설정된 시간(ex. 5시간)-사용자가 임의로 설정 가능한 시간-동안 이동통신단말장치(100)와 교감이 없는 경우, 비상연락망(1410)에 저장된 연락처로 자동 연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독거 노인 등 돌보는 사람 없이 혼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경우, 이들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일정시간 이상 이동통신단말장치(100)와 로봇(150)간의 교감이 없는 경우, 사용자 신변에 이상이 생긴 것으로 파악하여 비상연락망(ex. 복지사, 병원, 복지원, 보호자, 친지 등)에 저장된 번호로 자동 연락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연락방법은 전화, 문자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하며, 문자로 전송하는 경우, 비상 상황임을 알리는 내용(1420)(ex. "홍길동 님께서 5시간째 애완로봇과 교감하고 있지 않습니다. 보호자께서는 확인바랍니다"), 이동통신단말장치(100)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신변에 이상이 생긴 것으로 파악된 경우, 로봇(150)에 부착된 카메라로 사용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을 비상연락망에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연락을 받은 보호자 등은 사용자의 신변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상황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감형 로봇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교감형 로봇(150)은 명령수신부(1210), 제어부(1220), 명령 송신부(1230)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수신부(1210)는 이동통신단말장치(100)로부터 하나 이상의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장치(100)를 통해 다양한 명령(호출, 책읽기 등)을 전송하면, 명령수신부(1210)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20)는 상기 수신된 명령에 대응하는 행동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된 명령이 로봇(150) 호출명령인 경우, 로봇(150)이 이동통신단말장치(100)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로봇(150)을 제어할 수 있다.
명령 송신부(1230)는 로봇(150)이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직접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된 명령을 이동통신단말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로봇(150)의 특정 부분을 터치하는 경우, 특정부분 터치 동작에 상응하는 명령을 이동통신단말장치(100)로 전송하여 상기 명령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로봇과 이동통신단말장치가 애완동물 제공을 위해 별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유기적으로 연동하여 동작함으로써, 로봇과 이동통신단말장치 각각의 장치가 갖는 장점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즉, 휴대가 간편한 이통통신단말장치를 사용자 주변에 두어 이동통신단말장치를 통해 언제든 로봇을 호출하고, 로봇에 명령을 내릴 수 있으며, 로봇에 부착된 하드웨어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으므로, 이동통신단말장치의 하드웨어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장치와 애완로봇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교감하지 않는 경우, 기설정된 연락처로 자동 연락되도록 하여, 독거노인 등의 안전을 체크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어, 독거노인 등을 위한 실버산업에도 활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장치발명인 이동통신단말장치 및 교감형 로봇에 대해 설명되었으나, 상기 장치가 수행되는 방법 또한 상기 내용에 따라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해 교류하는 가상로봇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이동통신단말장치(100)는 로봇 제어부(1310), 로봇 네트워크 제어부(1320), 로봇 정보 제공부(1330)을 포함할 수 있다.
로봇 제어부(1310)는 애완로봇(150) 및 상기 애완로봇과 동기화되는 화면상의 가상로봇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실물형태의 애완로봇이 존재하고, 상기 애완로봇과 통신하며 행동, 소리 등이 동기화되는 이동통신단말장치(100) 내의 가상로봇이 함께 존재하여, 사용자가 상기 애완로봇과 가상로봇 중 일측에 대한 명령을 내리면 양측이 함께 반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장치(100)의 화면상에 출력되는 가상로봇의 화면을 터치하거나 쓰다듬으면, 화면상의 가상로봇과 애완로봇이 동시에 터치 또는 쓰다듬는 행동에 대한 리액션을 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로봇 네트워크 제어부(1320)는 가상로봇을 네트워크 상의 소정 공간에 등록하고 접속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로봇 소유자들 간의 교류를 위한 커뮤니티(ex. cafe)가 온라인 상에 만들어지면, 가상로봇 소유자들은 상기 커뮤니티에 가입할 수 있고, 가입된 이후에는 설정된 조건에 따라 자동적으로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조건의 일예로는, wifi 가능 지역에서는 항시 접속되도록 하거나, 특정한 시간에 접속되도록 하거나, 이동통신단말장치(100)가 특정한 장소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접속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즉, 로봇 네트워크 제어부(1320)는 네트워크 상의 소정공간(ex. cafe, SNS상의 소정공간)에 등록되는 정보 등을 관리하고 이와 더불어 접속을 위한 조건 등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로봇 네트워크 제어부(1320), 네트워크 접속 공개 여부, 가상로봇의 네트워크 접속이력, 가상로봇의 접속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접속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단말장치(100)가 네트워크 상의 소정공간(ex. cafe)에 접속되면, 접속된 가상로봇 소유자간의 자유로운 교류가 가능해지며, 상호간의 채팅, 파일송수신 등 다양한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로봇 정보 제공부(1330)는 상기 네트워크 상의 소정 공간에 등록한 가상로봇 중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로봇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현재 이동통신단말장치(100)의 위치로부터 기설정된 거리(ex. 반경 2km) 내에 존재하는 가상로봇들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거나, 관심등록된 가상로봇들 중 현재 접속된 가상로봇들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가상로봇 리스트를 이동통신단말장치(100)에 제공하는 일실시예를 도 14 및 도 1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현재 위치 주변에 존재하고, 네트워크에 접속한 가상로봇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현재 위치 주변에 존재하고, 네트워크에 접속한 가상로봇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현재 이동통신단말장치(100)및 애완로봇(150)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이동통신단말 상의 가상로봇들(1421, 1431, 1441, 1451)과 애완로봇들(1422, 1432, 1442, 1452)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단말장치(100)는 사용자가 지정하는 거리 내의 가상로봇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예로, 도 15를 참고하면, 이동통신단말장치(100)의 로봇정보 제공화면(1500)에는 이동통신단말장치(100)의 현재위치로부터 가상로봇들까지의 거리, 가상로봇들의 닉네임, 접속여부 등이 제공될 수 있고, 대화하기 메뉴를 통해 접속된 가상로봇의 소용자와 대화를 시도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거리에 따른 가상로봇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일예를 설명하였으나, 기타 다른 조건을 설정하여 조건을 만족하는 가상로봇의 리스트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가상로봇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교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보 교환은 물론이고, 가상로봇 소유자에게 보다 큰 즐거움을 선사할 수 있는 가상로봇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가상로봇과 애완로봇이 통신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소정의 명령 수행을 위한 기설정된 조건의 성립 여부를 판단하는 명령 인식부; 및
    상기 소정의 명령 수행을 위한 조건이 성립되면, 화면상의 가상로봇과 애완로봇에 행동명령을 전송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로봇과의 통신접속을 통해 상기 화면상의 가상로봇과 상기 애완로봇을 동기화하는 로봇 인식부
    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인식부는,
    상기 애완로봇과 최초 연결시 하나 이상의 조건을 설정하여 연결하고,
    상기 최초 연결 이후에는 소정 거리 내에 상기 애완로봇이 근접하면 자동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로봇에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로봇입력 수신부
    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명령은,
    상기 화면상의 가상로봇 및 애완로봇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호출 명령, 대화 또는 화면터치에 상응하는 행동하기 명령, 책 읽어주기 명령, 알람 명령, 비상 연락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된 조건의 성립 여부 판단은,
    명령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화면 터치 여부, 음성 입력 여부, 알람 시간 성립여부, 연결 시간조건 성립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장치.
  6. 애완로봇 및 상기 애완로봇과 동기화되는 화면상의 가상 로봇을 제어하는 로봇 제어부;
    상기 가상 로봇을 네트워크 상의 소정 공간에 등록하고 접속상태를 관리하는 로봇 네트워크 제어부; 및
    상기 네트워크 상의 소정 공간에 등록한 가상 로봇 중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로봇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로봇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네트워크 제어부는,
    네트워크 접속 공개 여부, 가상 로봇의 네트워크 접속이력, 가상 로봇의 접속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접속상태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정보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내에 존재하는 가상 로봇의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정보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가 관심로봇으로 지정한 가상 로봇이 상기 네트워크 상의 소정 공간에 접속한 경우, 접속한 가상 로봇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장치.
  10. 이동통신단말장치로부터 명령 또는 신호를 수신하는 명령 수신부;
    상기 수신된 명령에 대응하는 행동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명령을 상기 이동통신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명령 송신부
    를 포함하는 교감형 애완로봇.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표시된 가상로봇의 행동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행동과 동일한 행동을 애완로봇이 재현하도록 제어하는 동기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감형 애완로봇.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상기 애완로봇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페어링되지 않는 경우, 특정 시간에 페어링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가 기설정된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면, 기설정된 비상연락망을 통해 자동연락을 취하는 긴급상황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감형 애완로봇.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 처리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상기 애완로봇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페어링되지 않는 경우, 특정 시간에 페어링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가 기설정된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진동명령 및 소리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여 현재 사용자의 상황이 긴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긴급상황 확인부;
    현재 상황이 긴급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경비원, 보호자, 이웃 주민 중 적어도 하나의 비상연락망에 1차 연락을 취하는 1차 연락 제어부; 및
    상기 1차 연락 이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병원, 119센터, 경찰서 중 적어도 하나의 비상연락망에 2차 연락을 취하는 2차 연락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감형 애완로봇.
PCT/KR2012/002692 2012-03-30 2012-04-09 가상로봇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장치 및 상기 가상로봇과 동기화되는 애완로봇 WO201314736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921 2012-03-30
KR1020120032919A KR101358585B1 (ko) 2012-03-30 2012-03-30 교감형 로봇 및 상기 로봇과 통신하는 이동통신단말장치
KR10-2012-0032919 2012-03-30
KR1020120032921A KR101264049B1 (ko) 2012-03-30 2012-03-30 이동통신단말장치의 가상 로봇과 동기화되는 애완 로봇
KR10-2012-0036117 2012-04-06
KR1020120036117A KR101416343B1 (ko) 2012-04-06 2012-04-06 가상 로봇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장치 및 상기 가상 로봇과 동기화되는 애완 로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47360A1 true WO2013147360A1 (ko) 2013-10-03

Family

ID=49260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2692 WO2013147360A1 (ko) 2012-03-30 2012-04-09 가상로봇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장치 및 상기 가상로봇과 동기화되는 애완로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314736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86706A (zh) * 2017-06-16 2017-09-22 重庆柚瓣家科技有限公司 养老机器人控制模块远程化的方法及系统
CN107704169A (zh) * 2017-09-26 2018-02-16 北京光年无限科技有限公司 虚拟人的状态管理方法和系统
CN114040177A (zh) * 2021-12-15 2022-02-11 深圳百岁欢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家用医疗机器人的科技监护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6580A (ja) * 2000-03-03 2001-09-11 Sony Corp 情報通信ロボット装置、情報通信方法および情報通信ロボットシステム
JP2009000408A (ja) * 2007-06-25 2009-01-08 Softbank Bb Corp 電子ペット情報移行方法、電子ペットシステム、携帯電話端末及びペット型ロボット
KR100968944B1 (ko) * 2009-12-14 2010-07-14 (주) 아이알로봇 로봇 동기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1053875B1 (ko) * 2008-07-14 2011-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와 동기화된 로봇의 이벤트 실행 방법 및 그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6580A (ja) * 2000-03-03 2001-09-11 Sony Corp 情報通信ロボット装置、情報通信方法および情報通信ロボットシステム
JP2009000408A (ja) * 2007-06-25 2009-01-08 Softbank Bb Corp 電子ペット情報移行方法、電子ペットシステム、携帯電話端末及びペット型ロボット
KR101053875B1 (ko) * 2008-07-14 2011-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와 동기화된 로봇의 이벤트 실행 방법 및 그시스템
KR100968944B1 (ko) * 2009-12-14 2010-07-14 (주) 아이알로봇 로봇 동기화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86706A (zh) * 2017-06-16 2017-09-22 重庆柚瓣家科技有限公司 养老机器人控制模块远程化的方法及系统
CN107186706B (zh) * 2017-06-16 2019-08-09 重庆柚瓣家科技有限公司 养老机器人控制模块远程化的方法及系统
CN107704169A (zh) * 2017-09-26 2018-02-16 北京光年无限科技有限公司 虚拟人的状态管理方法和系统
CN114040177A (zh) * 2021-12-15 2022-02-11 深圳百岁欢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家用医疗机器人的科技监护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80798B1 (en) Robot, robot system, and recording medium
KR101053875B1 (ko) 휴대 단말기와 동기화된 로봇의 이벤트 실행 방법 및 그시스템
KR101007483B1 (ko) 로봇
CN104580730B (zh) 闹钟提醒方法及装置
CN107026943A (zh) 语音交互方法及系统
KR101264049B1 (ko) 이동통신단말장치의 가상 로봇과 동기화되는 애완 로봇
CN108495295A (zh) 紧急呼叫方法、装置、系统以及电子设备
WO2013147360A1 (ko) 가상로봇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장치 및 상기 가상로봇과 동기화되는 애완로봇
WO2019059493A1 (ko)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케어 시스템
JP2004214895A (ja) 通信補助装置
Park et al. Self-organizing wearable device platform for assisting and reminding humans in real time
KR101196973B1 (ko) 로봇을 이용한 영유아 돌보기 방법
CN103338316B (zh) 整合型安全确认系统与方法
KR102120860B1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
CN106357610A (zh) 通信方法及装置
JP5099912B2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WO2019004762A1 (ko) 이어셋을 이용한 통역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7150702A (ja) ナースコール装置
KR20180082777A (ko) 노년층을 위한 교감 로봇시스템
JP2009024426A (ja) 電気錠システム
JP2004029908A (ja) サポート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6153223A1 (ko) 무인기를 활용한 유저 모니터링 시스템
WO2021107394A1 (ko) 다양한 상태의 눈을 위한 동공 추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건강 진단 시스템
KR101416343B1 (ko) 가상 로봇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장치 및 상기 가상 로봇과 동기화되는 애완 로봇
JP2013074442A (ja) 来訪者対応機能を有するドアホ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7260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7260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