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41446A1 - 임플란트를 이용한 약물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임플란트를 이용한 약물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41446A1
WO2013141446A1 PCT/KR2012/004795 KR2012004795W WO2013141446A1 WO 2013141446 A1 WO2013141446 A1 WO 2013141446A1 KR 2012004795 W KR2012004795 W KR 2012004795W WO 2013141446 A1 WO2013141446 A1 WO 201314144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mplant
drug
drug delivery
delivery device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479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황치일
이신재
박영석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JP2014558659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5511159A/ja
Priority to US14/373,018 priority patent/US20150011951A1/en
Priority to CN201280062433.9A priority patent/CN103997984A/zh
Publication of WO201314144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4144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61M31/002Devices for releasing a drug at a continuous and controlled rate for a prolonged period of ti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69Devices for implanting pellets, e.g. markers or solid medicam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implants implanted in the human body in a bone adhes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ug delivery device using an implant to enable the continuous use of various drug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diseases using the implant.
  • the drug delivery system is a dosage form designed to deliver the required amount of drug by minimizing the side effects of the existing drug and maximizing the efficacy and effect. In addition, it is used as a means to solve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injection.
  • the drug delivery system is effective when an anti-inflammatory drug is administered orally when treating arthritis.
  • the drug delivery system has other side effects such as ulcer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Therefore, it means designing the body to reduce these side effects and maximize the efficacy.
  • oral administration of the drug is the most common form for chronic outpatients who require long-term continuous drug administration. Therefore, despite the superiority of the drug self-formulation, long-term administration of the patient is not well observed. It is always present and is a big problem in the treatment of chronic diseases and suppression of aggravation, which causes considerable losses due to problems such as personal health as well as nationally abandoned drugs.
  • the insulin pump has been developed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diseases among chronic diseases, and has been developed to enable continuous drug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f the drug concentra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brought exercise restrictions in lif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continuously administering a variety of drugs required for the treatment of diseases of chronic diseases using the implant, the inconvenience of regular taking and injection of the drug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ug delivery device using an implant to minimize the number of side effects or side effects.
  •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 each dosage part formed at an end of the diffusion part to inject the contents of the drug cartridge into the human body.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effects.
  • the accuracy and promptness according to the drug delivery is excellent and the dosing efficiency is improved.
  • FIG. 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ug deli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drug deli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ug deli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2 (a) to (c) are embodiments of the drug deli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drug deli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 the drug delivery device 1 includes an implant 10 implanted in the human body to perform a supporting function, and a lid 20 coupled to the implant 10 to perform a blocking function; A receiving part 12 formed on the implant 10 to accommodate the drug cartridge 30 as well as to be opened and closed by the cover part 20; A plurality of diffusion parts 14 formed on a wall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part 12 to diffuse and discharge the contents of the drug cartridge 30; And each dosage unit 16 formed at an end of the diffusion unit 14 to inject the contents of the drug cartridge 30 into the human body.
  • the drug delivery device 1 is composed of the implant 10, the cover portion 20 and the drug cartridge 30 is coupled to each other, in particular in the implant 10 and the receiving portion 12 and The diffusion unit 14 and the dosage unit 16 are further provided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aking the drug of the chronic patient.
  • the implant 10 is screwed to the human body of the chronic disease, preferably bone tissue of the chronic disease, the screw thread (10-2)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s screwed to the human body On the inner wall upper side, a screw thread (10-4) to which the cover portion 20 is screwed is formed.
  • the implant 10 and the cover portion 20 is limited to that coupled to the screw type as a coupling structure, but is also included in the technical category of the division even if fixed by sliding or interference fit method.
  • the receiving part 12 is formed to be concave in the implant 10 to provide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drug cartridge 30, and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ppearance of the drug cartridge 30,
  • the cylindrical shape is preferable, but the polygonal shape is included in the technical category of the present application.
  • At least one guide protrusion 12-5 is form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part 12 to guide the engagement and withdrawal of the drug cartridge 30.
  •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guide protrusions 12-5 form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2, even if the guide grooves are formed in place of the guide protrusions 12-5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category of the present application. .
  • the diffusion part 14 is formed through the wall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12 in a sequential order, and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contents of the drug cartridge 30 diffuses in the peripheral direction, in particular the drug
  • the fluidity of the contents of the cartridge 30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sizes.
  • the diffusion portion 14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hole that is inclined downward gradually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side, as the inclination of the inlet and the outlet is different, as in the "b" of FIG.
  • the inlet and the outlet may be formed as horizontal holes having a uniform cross-sectional area and slope.
  • the dosage unit 16 is sequentially formed on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implant 10 to contact the medulla bone (B), and communicates with the diffusion unit 14, the drug cartridge ( It performs the function of releasing the contents of 30) into the human body.
  • the dosage portion 16 may be formed in the bone portion or the mountain portion of the screw thread (10-2), it is preferable to form sequentially in the bone portion in consideration of the dosage efficiency of the drug cartridge (30). Do.
  • cover portion 20 is coupled to the inlet of the implant 10 to prevent leakage of the drug cartridge 30 as well as to block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12 It can be screwed or screwed in.
  • the drug cartridge 30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receiving portion 12, and at least one guide groove 32 fitted i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with a guide protrusion 12-5 and a male and female coupling method. ) Is formed.
  • a pull-out protrusion 34 in the form of a handle of the drug cartridge 30 is formed is used in the receiving and withdrawal process on the top.
  • the drug cartridge 3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orporate an absorbent body that absorbs the drug in the housing 36 and, in particular, corresponds to a position where the diffusion part 14 is formed in the housing 36.
  • an absorbent body that absorbs the drug in the housing 36 and, in particular, corresponds to a position where the diffusion part 14 is formed in the housing 36.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being limited to embedding the absorbing member in the housing 36 as the drug cartridge 30, but is included in the technical category of the present application even if the housing 36 is excluded.
  • the drug delivery device 1 when operating the drug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drug delivery device 1 is inserted into the medulla bone (B) through the cortical bone (A) of the chronic disease
  • the process must be upfront.
  • the receiver 12 receives the drug cartridge 30 having a component suitable for the treatment of a chronic patient and the lid part. Refit 20.
  • the dosage unit 16 of the drug delivery device 1 is located in the medulla bone B of the chronic patient, as shown in FIG. 3, the contents of the drug cartridge 30 are diffused by osmotic pressure. Are administered to the human body b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에 골유착 방식으로 심는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인체에 심어져 지지기능을 수행하는 임플란트(10), 및 상기 임플란트(10)에 결합되어 막음기능을 수행하는 덮개부(20)를 포함하며; 상기 임플란트(10)에 형성되어 약물카트리지(30)를 수용함은 물론 상기 덮개부(20)에 의해 개폐되는 수용부(12)와; 상기 수용부(12)의 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약물카트리지(30)의 내용물을 확산 방출하는 다수개의 확산부(14); 및 상기 확산부(14)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약물카트리지(30)의 내용물을 인체로 주입하는 각각의 투약부(16)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임플란트에 의해 약물을 지속적으로 투약함으로써, 상기 약물의 경구적인 복용 및 주사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불편함 및 상기 약물의 경구적인 투약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부작용이 최소화된다.

Description

임플란트를 이용한 약물전달장치
본 발명은 인체에 골유착 방식으로 심는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환자의 질환치료에 필요한 각종 약물을 지속적으로 투약할 수 있도록 한 임플란트를 이용한 약물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DDS)은 기존 의약품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효능 및 효과를 극대화시켜 필요한 양의 약물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한 제형으로서, 이 약물전달시스템은 약물의 경구적인 복용이나 주사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는 수단으로 이용된다.
예를 들어, 약물전달시스템은 관절염 치료시 소염진통제를 경구로 투약했을 때 약물이 관절에 작용할 경우는 약효를 나타내지만 그 이외의 부분 특히 위 장관에서의 궤양과 같은 부작용(위장관에서 궤양발생)을 나타내므로, 이러한 부작용을 줄이고 약효를 극대화하도록 체형을 설계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 밖에도, 치료법이나 약물의 특이한 물리화학적 특성, 약동학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약물의 전달 경로와 전달기술의 형태에 새로운 방법을 도입함으로써, 효과적인 치료방법을 얻고 환자의 불편감을 줄이는 등 편익을 목적으로 개발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상당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그러나, 장기간의 지속적인 약물 투약이 필요한 만성 질환 외래환자의 경우 상기 약물의 경구적인 복용이 가장 흔한 형태인데, 이에 따라 상기 약물 자체 제형의 우수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장시간 복용이 잘 지켜지지 않는 문제점이 항상 존재하고 있어서 만성 질환의 치료 및 악화 억제에 큰 문제가 되고 있으며, 이는 개인 건강은 물론 국가 경제적으로도 버려지는 약 등의 문제로 인해 상당한 손실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만성 질환 중의 대표적인 질환의 하나인 당뇨병의 치료에는 최근 인슐린 펌프라는 것이 개발되어 지속적인 약물 투약 및 약물 농도의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발전적 성과를 이루었으나, 결국은 주사침을 사용함으로써 생기는 통증 및 공포감과 일상 생활에서의 운동 제한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외에도 고혈압 제제, 파킨슨씨병 제제 및 피임약 등은 성실한 복약이 필수적인 분야이며, 시간에 맞춘 약물 복용을 잊어버리거나 약물 복용을 하지 못하여 건강상의 큰 손실을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기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만성질환자의 질환치료에 필요한 각종 약물을 지속적으로 투약함으로써, 상기 약물의 정기적인 복용 및 주사에 따른 불편함이나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임플란트를 이용한 약물전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체에 심어져 지지기능을 수행하는 임플란트, 및 상기 임플란트에 결합되어 막음기능을 수행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임플란트에 형성되어 약물카트리지를 수용함은 물론 상기 덮개부에 의해 개폐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약물카트리지의 내용물을 확산 방출하는 다수개의 확산부; 및 상기 확산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약물카트리지의 내용물을 인체로 주입하는 각각의 투약부를 더 구비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포함한다.
첫째, 상기 임플란트에 의해 약물을 지속적으로 투약함으로써, 상기 약물의 장기복용 및 주사에 따른 각종 불편함이나 두려움이 최소화된다.
둘째, 상기 임플란트에 의해 약물을 규칙적으로 투약함으로써, 상기 약물의 경구적인 투약과정에서 발생하는 위장관의 부작용이 최소화된다.
셋째, 상기 임플란트에 의해 약물을 인체에 직접 투약함으로써, 상기 약물전달에 따른 정확성 및 신속성이 우수해져 투약 효율이 향상된다.
넷째, 상기 덮개부의 개폐작용에 의해 상기 약물카트리지의 수용 및 교환에 따른 각종 작업성이 향상되어 작업자의 만족도가 극대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전달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2(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약물전달장치의 실시예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전달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약물전달장치 10 : 임플란트
12 : 수용부 12-5 : 가이드돌기
14 : 확산부 16 : 투약부
20 : 덮개부 30 : 약물카트리지
32 : 가이드홈 34 : 인출돌기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전달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약물전달장치의 실시예들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전달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약물전달장치(1)는, 인체에 심어져 지지기능을 수행하는 임플란트(10), 및 상기 임플란트(10)에 결합되어 막음기능을 수행하는 덮개부(20)를 포함하며; 상기 임플란트(10)에 형성되어 약물카트리지(30)를 수용함은 물론 상기 덮개부(20)에 의해 개폐되는 수용부(12)와; 상기 수용부(12)의 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약물카트리지(30)의 내용물을 확산 방출하는 다수개의 확산부(14); 및 상기 확산부(14)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약물카트리지(30)의 내용물을 인체로 주입하는 각각의 투약부(16)를 더 구비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약물전달장치(1)는 상기 임플란트(10)와 상기 덮개부(20)와 상기 약물카트리지(30)가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며, 특히 상기 임플란트(10)에 상기 수용부(12)와 상기 확산부(14)와 상기 투약부(16)를 더 구비하여 상기 만성질환자의 약물복용에 따른 편리성을 증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임플란트(10)는 상기 만성질환자의 인체, 바람직하게는 만성질환자의 골조직에 나사식으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그 둘레면에 상기 인체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나사산(10-2)이 형성되고, 그 내벽상부측에 상기 덮개부(20)가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나사선(10-4)이 형성된다.
이때, 본원에서는 상기 임플란트(10) 및 상기 덮개부(20)의 결합구조로서 나사식으로 결합된 것에 한정하였지만, 그 밖에도 슬라이딩방식이나 억지끼움방식으로 고정하더라도 분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2)는 상기 임플란트(10)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약물카트리지(30)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약물카트리지(30)의 외관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특히 원통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지만 다각형상으로 형성하더라도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12)의 벽면에는 상기 약물카트리지(30)와의 결합 및 인출을 안내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가이드돌기(12-5)가 형성된다.
또한, 본원에서는 상기 수용부(12)의 벽면에 상기 가이드돌기(12-5)가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였지만, 상기 가이드돌기(12-5)를 대신하여 가이드홈을 형성하였더라도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확산부(14)는 상기 수용부(12)의 벽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관통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약물카트리지(30)의 내용물이 주변방향으로 확산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특히 상기 약물카트리지(30)의 내용물의 유동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부(14)의 형성과정에서 도 2의 'a'에서와 같이, 그 입구와 그 출구의 단면적이 상이하여 그 입구로부터 그 출구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작아지거나 커지는 확관공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확산부(14)는 도 2의 "b"에서와 같이, 그 입구와 그 출구의 경사도가 상이하여 그 입구로부터 그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점 하향식으로 경사지는 경사공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도 2의 'c'에서와 같이, 그 입구와 그 출구가 균일한 단면적 및 경사도를 갖는 수평공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확산부(14)의 형성과정에서, 도 2의 "a"에 개시된 단면적을 다르게 형성하는 방식과 도 2의 "b"에 개시된 경사도를 다르게 형성하는 방식을 겸용하더라도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투약부(16)는 상기 임플란트(10)의 외벽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수질골(B)과 접촉하는 것으로서, 상기 확산부(14)와 연통하며, 상기 약물카트리지(30)의 내용물을 인체로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투약부(16)는 상기 나사산(10-2)의 골부분이나 산부분에 형성할 수 있지만, 상기 약물카트리지(30)의 투약효율을 고려하여 상기 골부분에 순차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임플란트(10)의 주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약물카트리지(30)의 누출을 방지함은 물론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용부(12)의 상부측에 나사식 또는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덮개부(20)의 형성과정에서 그 머리부에 일자형상 또는 십자형상의 나사홈(22)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덮개부(20)의 체결 및 개방과정에서의 작업성 및 편리성을 극대화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약물카트리지(30)는 상기 수용부(12)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서, 그 둘레면에 가이드돌기(12-5)와 암수결합방식으로 끼워지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가이드홈(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약물카트리지(30)의 손잡이 형태의 인출돌기(34)가 형성되어 상면에 수용 및 인출과정에서 이용된다.
이때, 상기 약물카트리지(30)는, 하우징(36)내에 약물을 흡수하여 머금는 흡수부체를 내장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하우징(36)에 상기 확산부(14)의 형성위치와 대응하는 간격 및 크기를 갖는 관통공을 형성함으로써, 약물공급에 따른 효율을 극대화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원에서는 상기 약물카트리지(30)로서 상기 하우징(36)내에 상기 흡수부재를 내장하는 것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밖에도 상기 하우징(36)을 배제하더라도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약물전달시스템을 가동하려는 경우, 일단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약물전달장치(1)를 상기 만성질환자의 피질골(A)을 경유하여 수질골(B)로 삽입하여 체결하는 과정이 선결되어야 한다.
이어서, 상기 약물전달장치(1)의 상기 덮개부(20)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12)에 만성질환자의 치료에 적합한 성분을 갖는 상기 약물카트리지(30)를 수용하고 상기 덮개부(20)를 다시 체결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임플란트(10)에 구성된 가이드돌기(12-5)와 상기 약물카트리지(30)에 구성된 가이드홈(32)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약물카트리지(30)의 수용 및 인출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하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약물전달장치(1)의 투약부(16)가 상기 만성질환자의 수질골(B)에 위치하므로, 상기 약물카트리지(30)의 내용물이 삼투압현상에 의한 확산작용에 의해 인체로 투약된다.
한편, 상기 수용부(12)에 수용된 상기 약물카트리지(30)의 수명이 다하여 교환하려는 경우, 상기 덮개부(20)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인출돌기(34)를 잡아당겨 상기 약물카트리지(30)를 인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성요소들을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에 불과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범위에 속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인체에 심어져 지지기능을 수행하는 임플란트(10), 및 상기 임플란트(10)에 결합되어 막음기능을 수행하는 덮개부(20);
    를 포함하며;
    상기 임플란트(10)에 형성되어 약물카트리지(30)를 수용함은 물론 상기 덮개부에 의해 개폐되는 수용부(12)와;
    상기 수용부(12)의 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약물카트리지(30)의 내용물을 확산방출하는 다수개의 확산부(14); 및
    상기 확산부(14)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약물카트리지(30)의 내용물을 인체로 주입하는 각각의 투약부(16);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약물전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10)는,
    상기 만성질환자의 치조골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약물전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임플란트(10)의 주입구에 나사식 또는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약물전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20)는
    그 머리부에 일자형 또는 십자형의 나사홈(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약물전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2)는,
    그 벽면에 상기 약물카트리지(30)의 수용 및 인출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돌기(1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약물전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카트리지(30)는,
    그 둘레면에 상기 수용부(12)의 가이드돌기(12-5)와 암수결합되는 가이드홈(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약물전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카트리지(30)는,
    그 상부면에 결합 및 분리과정에서의 편리성을 위한 인출돌기(3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약물전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14)는,
    그 입구와 그 출구의 단면적을 상이하게 형성한 확관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약물전달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14)는,
    그 입구와 그 출구의 경사도를 상이하게 형성한 경사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약물전달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14)는,
    그 입구와 그 출구의 단면적 및 경사도를 같게 형성한 수평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약물전달장치.
PCT/KR2012/004795 2012-03-22 2012-06-18 임플란트를 이용한 약물전달장치 WO2013141446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558659A JP2015511159A (ja) 2012-03-22 2012-06-18 インプラントを利用した薬物伝達装置
US14/373,018 US20150011951A1 (en) 2012-03-22 2012-06-18 Drug delivery system using implant
CN201280062433.9A CN103997984A (zh) 2012-03-22 2012-06-18 使用植入物的药物递送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335A KR101336780B1 (ko) 2012-03-22 2012-03-22 임플란트를 이용한 약물전달장치
KR10-2012-0029335 2012-03-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41446A1 true WO2013141446A1 (ko) 2013-09-26

Family

ID=49222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4795 WO2013141446A1 (ko) 2012-03-22 2012-06-18 임플란트를 이용한 약물전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011951A1 (ko)
JP (1) JP2015511159A (ko)
KR (1) KR101336780B1 (ko)
CN (1) CN103997984A (ko)
WO (1) WO20131414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986B1 (ko) 2014-08-27 2016-07-19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금 나노로드가 결합된 티타니아 나노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91954B1 (ko) * 2015-07-28 2017-11-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골식립형 투약 임플란트
CN106859791B (zh) * 2017-02-21 2019-02-15 广州市健齿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二段式牙科种植体
CN110151290A (zh) * 2018-02-12 2019-08-23 香港科能有限公司 可释放药物的植入物和制造及使用方法
WO2022212288A1 (en) * 2021-03-29 2022-10-06 Massachusetts Eye And Ear Infirmary Submucosal implantable drug delivery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CN114681082B (zh) * 2022-04-13 2024-01-26 山东恒泰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促进愈合的牙种植体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031B1 (ko) * 2007-03-19 2008-09-02 강릉대학교산학협력단 다공성 임플란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80534A (ko) * 2006-10-30 2009-07-24 조인트 스톡 컴퍼니 '알티메드‘ 치아 임플란트
WO2009120886A2 (en) * 2008-03-28 2009-10-01 Drexel University Design and manufacturing of bioactive implanted surgical fixation devices using injection molding of gradient cellular strucures
KR20100126142A (ko) * 2009-05-21 2010-12-01 주식회사 파마코텍 치과용 임플란트의 골 융합 향상을 위한 상변환성 고효율 약물 전달체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KR20100138504A (ko) * 2009-06-25 2010-12-31 닥터후 주식회사 어버트먼트에 마이크로포어가 형성된 치과용 임프란트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4189A (en) * 1991-06-03 1994-08-02 Wade Stephen E Device for controlled diffusion of a chemical substance
JPH0810337A (ja) * 1994-03-22 1996-01-16 Sangi Co Ltd 薬剤の体内注入装置
US5584688A (en) * 1994-03-22 1996-12-17 Sangi Co., Ltd. Medicine injection device
EP0864299B1 (de) * 1997-03-10 2004-09-22 Hämmerle, Christoph, Prof. Dr. Dentale oder implantologische Dosiervorrichtung
IT1307829B1 (it) * 1999-12-21 2001-11-19 Consiglio Nazionale Ricerche Protesi dentale con mezzi per il rilascio di farmaci o fattorispecifici atti ad impedire l'insorgenza di infezioni e/o promuovere
JP5089169B2 (ja) * 2003-06-13 2012-12-05 ザ・ユニバ−シティ・オブ・コネチカット 構造的/生物学的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CN101028211B (zh) * 2006-10-26 2010-12-01 刘洪臣 人工种植体全身给药装置
WO2010019781A1 (en) * 2008-08-13 2010-02-18 Smed-Ta/Td, Llc Drug delivery implants
US8475505B2 (en) * 2008-08-13 2013-07-02 Smed-Ta/Td, Llc Orthopaedic screws
EP2341852B1 (en) * 2008-08-29 2018-08-15 SMed-TA/TD, LLC Orthopaedic implant
US8888828B2 (en) * 2009-07-16 2014-11-18 Covidien Lp Composite fixation device
CN201719396U (zh) * 2010-07-06 2011-01-26 西安中邦种植体技术有限公司 一种口腔种植体装置
CN102283714B (zh) * 2011-07-26 2013-10-09 常州百康特医疗器械有限公司 组装式牙科植入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0534A (ko) * 2006-10-30 2009-07-24 조인트 스톡 컴퍼니 '알티메드‘ 치아 임플란트
KR100856031B1 (ko) * 2007-03-19 2008-09-02 강릉대학교산학협력단 다공성 임플란트 및 그 제조방법
WO2009120886A2 (en) * 2008-03-28 2009-10-01 Drexel University Design and manufacturing of bioactive implanted surgical fixation devices using injection molding of gradient cellular strucures
KR20100126142A (ko) * 2009-05-21 2010-12-01 주식회사 파마코텍 치과용 임플란트의 골 융합 향상을 위한 상변환성 고효율 약물 전달체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KR20100138504A (ko) * 2009-06-25 2010-12-31 닥터후 주식회사 어버트먼트에 마이크로포어가 형성된 치과용 임프란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11159A (ja) 2015-04-16
CN103997984A (zh) 2014-08-20
KR20130107496A (ko) 2013-10-02
US20150011951A1 (en) 2015-01-08
KR101336780B1 (ko)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41446A1 (ko) 임플란트를 이용한 약물전달장치
WO2016195200A1 (ko) 피부 자극용 유체 주입 장치
Radbruch et al. Constipation and the use of laxatives: a comparison between transdermal fentanyl and oral morphine
WO2017018598A1 (ko) 골식립형 투약 임플란트
WO2010085031A2 (ko) 미세바늘을 이용한 유용성분 피부전달용 용기
WO2010082707A1 (ko) 주사바늘길이조절용관조립체
WO2016013741A1 (ko) 스틱인저리와 감염 방지기능을 갖는 수액 주사니들 유닛
WO2020027504A1 (ko) 음압조절수단이 구비된 지방흡입 및 이식용 주사기
WO2014062013A1 (ko) 약액 유량 제어장치
WO2015053504A1 (ko) 두개골 이식형 약물 주입 포트
WO2013054988A1 (ko) 약물 주입 장치
WO2015174659A1 (ko) 주사액 정량 주사용 스토퍼를 갖는 주사기
WO2012020913A2 (ko) 주름관을 구비한 관장액 주입용기
WO2021015444A1 (ko) 계수기를 구비하는 자가약물주입 조절장치
WO2021153882A1 (ko) 체내 이식형 수동 제어 약물전달 장치
WO2023191233A1 (ko) 니들 홀더
WO2017176069A2 (ko) 생체흡수성 금속을 이용한 마이크로 니들
WO2019151578A1 (ko) 호환성을 향상시킨 일회용 주사기 세트
CN216147554U (zh) 一种麻醉药品存储用放置架
WO2012020914A2 (ko) 오목부가 형성된 삽입관을 구비한 관장액 주입용기
WO2014109437A1 (ko) 중심정맥관용 키트
WO2017007125A1 (ko) 약제 주입 장치
WO2020116778A1 (ko) 볼러스 카운터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기
WO2018147563A1 (ko) 펜 타입 주사기의 안전 커버 구조
KR102501996B1 (ko) 뇌실포트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7196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558659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373018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7196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